KR102150581B1 - 갑각류 양식장치 - Google Patents

갑각류 양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581B1
KR102150581B1 KR1020180121292A KR20180121292A KR102150581B1 KR 102150581 B1 KR102150581 B1 KR 102150581B1 KR 1020180121292 A KR1020180121292 A KR 1020180121292A KR 20180121292 A KR20180121292 A KR 20180121292A KR 102150581 B1 KR102150581 B1 KR 102150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supply
supply means
crustac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1180A (ko
Inventor
임민수
Original Assignee
임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민수 filed Critical 임민수
Priority to KR1020180121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581B1/ko
Publication of KR20200041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갑각류를 육상의 수조에서 양식할 때에 그 양식되는 갑각류의 종류에 따라 활동하는 수심이 다름을 감안하여 수조의 수중 상/중/하 조도를 조절하고, 또 갑각류를 양식하는 수조 양식 물을 정화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갑각류 양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갑각류를 양식하기 위해 물이 수용되고, 상부에는 발광수단(110)이 설치되며, 일 측에는 정수 물을 공급하는 정수공급수단(120)이 설치되고, 내부에는 수조의 물을 하부에서 유입시켜 상부를 통해 다시 하부로 배출시키는 물 배출수단(130)과 수조내부의 수심 상/중/하부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측정수단(140)과 물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측정센서(150)와 상기 수조의 물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수단(160)과 상기 수조의 물을 목적 온도로 유지시키는 온도조절수단(170)을 설치하여 된 수조(100); 상기 수조의 일측에 상기 물 배출수단의 상단 높이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여과탱크(210)가 마련되고, 그 여과탱크의 내부에는 수조의 물이 공급되는 물 공급수단(220)이 설치되며, 그 물 공급수단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는 상기 물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여재(230)를 충입시켜 된 여과수단(200); 상기 여과수단의 출측에 마련되어 여과수단에서 여과된 여과수를 공급받아 상기 수조로 공급하는 여과수저장탱크(30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갑각류 양식장치{Farm equipment of crustacean}
본 발명은 갑각류를 육상의 수조에서 양식할 때에 그 양식되는 갑각류의 종류에 따라 활동하는 수심이 다름을 감안하여 수조의 수중 상/중/하 조도를 조절하고, 또 갑각류를 양식하는 수조 물을 정화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갑각류 양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안 해역에서 발생하는 무분별한 어류의 남획과 환경오염에 따른 수질환경 등의 변화로 인하여 자연적인 어족자원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그러나 생활수준의 개선에 따른 웰빙푸드(건강식품)의 선호로 인하여 싱싱한 생선이나 해산물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특히, 구제역이나 조류독감 또는 광우병과 같은 가축의 질병으로 인하여 육류의 소비는 점차 줄어들지만, 건강-웰빙 식품으로서 생선이나 해산물의 소비는 뚜렷한 증가 추세에 있다.
또한, 살아 있는 활어를 선호하는 국내 소비자들의 취향에 의하여 활어의 소비는 매우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활어의 수요와 공급에 따른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도록, 잡는 어업보다는 기르는 어업으로서의 양식산업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연안해역에서 이루어지는 천해양식은 자연재해나 수질오염 또는 각종 질병과 같은 여러 위험 요소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으며, 값싼 중국산 수입어류로 말미암아 국내의 양식 산업이 활로를 찾지 못하고 침체 되어 가는 실정이다.
따라서. 연안해역에서 이루어지는 천해양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바다가 아닌 육상에 양식 수조를 시설하여 다양한 어종을 양식할 수 있도록 한 빌딩형 양식시설이 보급되고 있다.
최근에는 수조 하부에 광원을 설치하고 수조 바닥으로 균일한 조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명필터를 설치하고 수조 바닥에 꼬리걸이를 설치하여 해마의 치어가 사육수 표면에 표류하다가 폐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ㆍ치어 양식수조(한국공개특허 10-2016-0053139호)가 제공되어 있고, 그 구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일정 면적의 빛을 투과할 수 있는 바닥과 외벽을 갖고 사육수를 수용할 수 있는 양식수조;
상기 양식수조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주입관;
상기 양식수조 일측에서 사육수를 공급하는 사육수주입관;
상기 양식수조 하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사육수를 배수할 수 있는 배수관;
상기 양식수조의 바닥면 외측에 설치되어 양식수조 하부에서 바닥면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와 상기 양식수조 바닥면 외측 사이에 삽입되어 광원부의 빛을 수조 바닥면으로 일정하게 산란시키는 조명필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한국공개특허 10-2016-0053139 : 복합 양식 수조. 한국공개특허 10-2016-0136986 :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 치어 양식수조.
본 발명은 갑각류를 육상의 수조에서 양식할 때에 그 양식되는 갑각류의 종류에 따라 활동하는 수심이 다름을 감안하여 수조의 수중 상/중/하부 조도를 조절하여 육상의 수조에서 양식되는 갑각류의 종류에 따른 양식에 필요한 조명조건을 최적화하여 상기 수조에서 양식되는 갑각류의 빠르고 건강한 성장을 유도함과 동시에 수조의 물을 정화하여 재사용함으로써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갑각류 양식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 구성은,
갑각류를 양식하기 위해 물이 수용되는 수조(100)의 상부에 조명의 밝기나 빛의 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적색, 녹색, 파란색의 디밍조명이 설치된 발광수단(110)과,
상기 수조의 일 측에 설치되어 수조로 정수된 물을 공급하는 정수공급수단(120)과,
상기 수조에 수용된 물의 수면보다 높은 길이를 갖으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 외주 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물 흡입구멍(131a)이 복수 개 형성된 외통(131)과, 그 외통의 내부에 상단이 상기 외통의 상단보다 낮게 설치되며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에는 배수관(132a)을 설치하여 된 내통(132)으로 구성되어 수조의 물을 하부에서 유입시켜 상부를 통해 다시 하부로 배출시키는 물 배출수단(130)과,
상기 수조에서 양식되는 갑각류의 종류에 따라 조도를 달리하도록 수중에 침지되는 스틱(141)의 상/중/하부에 각각의 광원측정센서(141a,141b,141c)를 설치하여 된 조도측정수단(140)과,
상기 수조의 물이 부족하면 그를 감지하여 상기 정수공급수단을 통하여 정수를 수조로 공급하도록 하는 제1수위감지센서(151)와 수조의 물이 충분하면 그를 감지하여 상기 정수공급수단의 정수공급을 차단하는 제2수위감지센서(152)를 설치하여 된 수위측정센서(150)와,
상기 수조의 물에 산소를 공급하도록 수조 내부 바닥면에 공기폭기구(161)가 설치되고 그 공기폭기구로 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공기공급 관(162)이 설치되며, 그 외부공기공급 관으로 외부공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외부공기공급기(163)로 구성된 산소공급수단(160)과,
상기 수조의 물이 목적하는 온도 이하일 때는 가열하고, 수조의 물 온도가 목적하는 온도 이상일 때는 냉각시키는 가열기(171)와 냉각기(172)를 설치하여 수조의 물을 목적 온도로 유지시키는 온도조절수단(170)과,
상기 수조의 일측에 상기 물 배출수단의 상단 높이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여과탱크(210)가 마련되고, 그 여과탱크의 내부에 상단이 상기 여재의 상부 표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수조의 물이 공급되는 통형의 물 공급수단(220)이 설치되며, 그 물 공급수단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는 상기 물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여재(230)를 충입시켜 된 복수 개의 여과수단(200)과,
상기 여과수단의 출측에 마련되어 여과수단에서 여과된 여과수를 공급받아 상기 수조로 공급하는 여과수저장탱크(300)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갑각류 양식장치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갑각류를 육상의 수조에서 양식할 때에 그 양식되는 갑각류의 종류에 따라 활동하는 수심이 다름을 감안하여 수조의 수중 상/중/하부 조도를 조절하여 육상의 수조에서 양식되는 갑각류의 종류에 따른 양식에 필요한 조명조건을 최적화하여 상기 수조에서 양식되는 갑각류의 빠르고 건강한 성장을 유도함으로써 수산농가의 수득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수조의 물을 정화하여 재사용함으로써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갑각류 양식장치 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2는 갑각류 양식장치에서 수조를 발췌한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갑각류 양식장치에서 여과수단 일부를 발췌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갑각류 양식장치에서 여과수저장탱크를 발췌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갑각류 양식장치에서 물 배출수단을 발췌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갑각류 양식장치에서 물 배출수단을 발췌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갑각류 양식장치 제어 블록도.
본 발명은 갑각류를 육상의 수조에서 양식할 때에 그 양식되는 갑각류의 종류에 따라 활동하는 수심이 다름을 감안하여 수조의 수중 상/중/하 조도를 조절하고, 또 갑각류를 양식하는 수조 양식 물을 정화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갑각류 양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도 1은 본 발명의 갑각류 양식장치 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갑각류 양식장치에서 수조를 발췌한 단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갑각류 양식장치에서 여과수단 일부를 발췌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갑각류 양식장치에서 여과수저장탱크를 발췌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갑각류 양식장치에서 물 배출수단을 발췌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갑각류 양식장치에서 물 배출수단을 발췌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갑각류 양식장치 제어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갑각류를 양식하기 위해 물이 수용되는 수조(100)의 상부에 조명의 밝기나 빛의 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적색, 녹색, 파란색의 디밍조명이 설치된 발광수단(110)과,
상기 수조의 일 측에 설치되어 수조로 정수된 물을 공급하는 정수공급수단(120)과,
상기 수조에 수용된 물의 수면보다 높은 길이를 갖으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 외주 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물 흡입구멍(131a)이 복수 개 형성된 외통(131)과, 그 외통의 내부에 상단이 상기 외통의 상단보다 낮게 설치되며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에는 배수관(132a)을 설치하여 된 내통(132)으로 구성되어 수조의 물을 하부에서 유입시켜 상부를 통해 다시 하부로 배출시키는 물 배출수단(130)과,
상기 수조에서 양식되는 갑각류의 종류에 따라 조도를 달리하도록 수중에 침지되는 스틱(141)의 상/중/하부에 각각의 광원측정센서(141a,141b,141c)를 설치하여 된 조도측정수단(140)과,
상기 수조의 물이 부족하면 그를 감지하여 상기 정수공급수단을 통하여 정수를 수조로 공급하도록 하는 제1수위감지센서(151)와 수조의 물이 충분하면 그를 감지하여 상기 정수공급수단의 정수공급을 차단하는 제2수위감지센서(152)를 설치하여 된 수위측정센서(150)와,
상기 수조의 물에 산소를 공급하도록 수조 내부 바닥면에 공기폭기구(161)가 설치되고 그 공기폭기구로 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공기공급 관(162)이 설치되며, 그 외부공기공급 관으로 외부공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외부공기공급기(163)로 구성된 산소공급수단(160)과,
상기 수조의 물이 목적하는 온도 이하일 때는 가열하고, 수조의 물 온도가 목적하는 온도 이상일 때는 냉각시키는 가열기(171)와 냉각기(172)를 설치하여 수조의 물을 목적 온도로 유지시키는 온도조절수단(170)과,
상기 수조의 일측에 상기 물 배출수단의 상단 높이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여과탱크(210)가 마련되고, 그 여과탱크의 내부에 상단이 상기 여재의 상부 표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수조의 물이 공급되는 통형의 물 공급수단(220)이 설치되며, 그 물 공급수단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는 상기 물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여재(230)를 충입시켜 된 복수 개의 여과수단(200)과,
상기 여과수단의 출측에 마련되어 여과수단에서 여과된 여과수를 공급받아 상기 수조로 공급하는 여과수저장탱크(300)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상기의 구성에서 수조(100)는 갑각류를 양식하기 위한 물이 수용되고, 상부에는 발광수단(110)이 설치되는데, 그 발광수단(110)은 갑각류가 양식되는 수조로 빛을 밝히는 것으로, 그 일실시 예는 조명의 밝기나 빛의 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디밍조명을 사용한다.
그 이유는 수조(100)에서 양식되는 갑각류(물의 상층부에서 생활하는 민물새우, 물의 중간층에서 생활하는 흰다리새우, 대하, 물의 하부에서 생활하는 집게 발이 큰 바닷가재 등)의 생활(생육) 깊이가 다르기 때문에 그 깊이를 감안하여 디밍조명을 사용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디밍조명에서 적색(red)의 조명은 물을 투과하는 깊이가 가장 깊고, 녹색(green)의 조명은 중간이며, 파란색(blue)의 조명은 짧기 때문에 상기 수조(100)에서 양식되는 갑각류의 종류에 따라 조명을 색상을 조절하여 조명한다.
상기와 같은 조명수단(110)은 제어부(C)를 통하여 밝기 및 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고, 제어부(C)를 통하지 않고 수동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조(100)내부의 수심 상/중/하부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측정수단(140)은, 상기 수조(100)에서 양식되는 갑각류가 무엇인지에 따라 수조(100)의 깊이를 달리하여 생활하기 때문에 그 깊이에 맞는 조명을 선택 사용하도록 하는 것으로, 그 일실시 예는 수조(100)의 수중에 침지되는 스틱(141)에 수중의 물 상/중/하부 조도를 측정하는 각각의 광원측정센서(141a,141b,141c)가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최상부에 위치한 광원측정센서(141a)는 물의 상층부에서 생활하는 민물새우 등을 양식할 때에 그 민물새우가 생활하는데 적합한지를 측정하여 적합하지 않으면 제어부(C)를 통하여 제어부에 입력된 밝기의 값으로 상기 조도측정수단(140)을 제어하고,
또 상기 중간에 위치한 광원측정센서(141b)는, 물의 중간층에서 생활하는 흰다리새우, 대하 등을 양식할 때에는 그 흰다리새우, 대하 등이 생활하는데 적합한지를 측정하여 적합하지 않으면 제어부(C)를 통하여 제어부에 입력된 밝기의 값으로 상기 조도측정수단(140)을 제어하며,
또 상기 최하부에 위치한 광원측정센서(141c)는, 물의 하부에서 생활하는 집게 발이 큰 바닷가재 등을 양식할 때에는 그 흰다리새우, 대하 등이 생활하는데 적합한지를 측정하여 적합하지 않으면 제어부(C)를 통하여 제어부에 입력된 밝기의 값으로 상기 조도측정수단(140)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각각의 광원측정센서(141a,141b,141c)를 이용하여 수조(100)에서 양식되는 갑각류가 무엇인지에 따라 그에 적합한 조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상기 광원측정센서(141a)와 광원측정센서(141b)의 합한 평균값을 산정하거나, 광원측정센서(141b)와 광원측정센서(141c)의 합한 평균값을 산정하거나, 광원측정센서(141a)와 광원측정센서(141c)의 합한 평균값을 산정하는 방법 중 선택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정수 물을 수조(100)로 공급하는 정수공급수단(120)은, 상기 수위측정센서(150)에서의 측정값에 따라 밸브(B)를 열고 펌프(P)를 작동시켜 수조(100)로의 정수공급 여부를 결정하며 그 결정은 제어부(C)에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수위측정센서(150)는, 수조(100)의 물이 부족하면 그를 감지하여 상기 정수공급수단(120)의 정수를 수조(100)로 공급하도록 하는 수조(100)의 하부에 설치된 제1수위감지센서(151)와 수조(100)의 물이 충분하면 그를 감지하여 상기 정수공급수단(120)의 정수공급을 차단하는 수조의 상부에 설치된 제2수위감지센서(15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정수공급수단(120)은 펌프(P)가 설치된 정수공급 관이다.
상기 수조(100)에는 민물새우를 양식할 경우에는 민물이 공급되고, 흰다리새우, 대하, 집게 발이 큰 바닷가재 등을 양식할 때에는 바닷물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물 배출수단(130)은, 수조의 물을 하부에서 유입시켜 상부를 통해 다시 하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그 일실시 예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조(100)에 수용된 물의 수면보다 높은 길이를 갖으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 외주 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물 흡입구멍(131a)이 복수 개 형성된 외통(131)과, 그 외통의 내부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이 상기 외통(131)의 상단보다 낮게 설치되며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에는 배수관(132a)을 설치하여 된 내통(132)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물 배출수단(130)은, 수조(100)에 수용된 이물질을 포함하는 악취가 용존된 물을 배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외통(131)의 하부 외주 면에 내부와 연통되는 물 흡입구멍(131a)을 형성시킨 이유는, 상기 수조(100)의 하부에는 갑각류의 분비물을 포함하는 먹이의 일부가 침전되어 있음으로 그 침전된 이물질을 상기 물 흡입구멍(131a)을 통하여 흡입 배출시키도록 하기 위함이고, 상기 외통(131)의 길이를 수조(100)에 수용된 물의 수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길게 형성시켜 외통(131)의 상단이 물의 수면보다 높게 함으로써 수조(100)의 물이 외통(131)의 상부로 넘이 들어오지 못하고 물 흡입구멍(131a)으로만 흡입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내통(312)을 상기 외통(131)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단이 상기 외통(131)의 상단보다 낮게 설치하여 상기 물 흡입구멍(131a)으로 흡입돼 들어온 물이 외통(131)의 내부를 통하여 내통(132)의 상단으로 넘어들어와 배수관(132)을 통하여 배수되어 상기 여과탱크(100)로 공급되도록 하였다.
상기의 원리는 물 흡입구멍(131a)으로의 물 흡입력을 극대화시켜 수조(200) 내에 침전된 이물질의 배출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산소공급수단(160)은, 상기 수조(100)의 내부에 설치된 공기폭기구(161)와, 그 공기폭기구(160)로 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공기공급 관(162)과, 그 외부공기공급 관(162)으로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수조(100)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공기공급기(163)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산소공급수단(160)은, 상기 수조(100)의 용존산소량을 갑각류가 양식되는데 적정한 농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그 일실시 예는 상기 수조(100)의 내부에 설치된 공기폭기구(161)와, 그 공기폭기구(161)로 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공기공급 관(162)과, 그 외부공기공급 관(162)으로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상기 수조(100)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공기공급기(16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성에서 외부공기공급기(163)를 수조(100)의 외부에 설치하는 이유는, 외부공기가 산소농도가 높기 때문에 외부공기를 수조(100)에 공급하기 위함이며, 상기 공기폭기구(161)는 수조(100)의 바닥면에 설치하여 상기 공기폭기구(161)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에 의해 상기 수조(100)의 바닥면 물을 와류시켜 바닥면에 침전된 이물질을 부상하게 함으로써 그 부상된 이물질이 상기 물 흡입구멍(131a)으로 흡입 배출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본 발명의 온도조절수단(170)은, 상기 수조(100)의 물이 목적하는 온도 이하일 때는 가열하고, 수조(100)의 물 온도가 목적하는 온도 이상일 때는 냉각시키는 가열기(171)와 냉각기(172)를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가열기(171)와 냉각기(172)는 수조(100)의 물을 동절기는 물론 하절기에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수단(170)의 제어는 제어부(C)에서 한다.
이상의 설명은 갑각류가 양식되는 수조(10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이고, 이하에서는 여과수단(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여과수단(200)은, 상기 수조(100)의 물 배출수단(130)에 의해 공급되는 물의 부유물 또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수조(100)의 일측에 상기 물 배출수단(130)의 상단 높이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여과탱크(210)가 마련되고, 그 여과탱크(210)의 내부에는 수조(100)의 물이 공급되는 물 공급수단(220)이 설치되며, 그 물 공급수단(220)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는 상기 물 배출수단(130)에서 물 공급수단(220)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여재(230)를 충입된다.
한편, 상기 물 공급수단(220)은, 통형의 관으로써 상단이 상기 여재(130)의 상부 표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그 이유는, 여과탱크(210)의 물이 상기 통형의 관으로 오버플로우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에서 여과수단(200)은 복수 개 설치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물 배출수단(130)에서 물 공급수단(220)을 통하여 여재(230)로 공급되는 수조(100)의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복수 회에 걸쳐 여과하여 여과효율을 높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여과수단(200)의 실시 예 구성은,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 배출수단(130)의 배수관(132a)과 연결설치되어 그 배수관(132a)으로 배수되는 물을 각 여과탱크(210) 중 최전방에 설치된 물 공급수단(220)의 상단을 통하여 여재(230)로 공급되고 그 공급되는 물은 최전방의 여재(230) 사이사이를 통과하면서 1차로 이물질을 걸러주고, 그 이물질이 1차로 걸러진 물은 관(P)를 통하여 각각의
상기와 같이 이물질이 여과탱크(210)로 공급되면서 상기 최전방의 여과탱크와 마찬가지로 이물질을 여과하고 최종 여과탱크(220)를 통과한 물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여과수저장탱크(300)로 공급되면서 여과과정이 완료 된다.
상기의 여과수저장탱크(300)에 공급된 정수된 물은 수조(100)의 물이 부족할 때 정수공급수단(120)을 통하여 수조(100)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수조(100)의 물과 여과수단(200)의 물을 완전히 배수시키고자 할 때에는 관(P)에 설치된 각 밸브와 배수관(132a)에 설치된 밸브를 열어 배수시키고 그 배수가 완료되면 상기 열린 각 밸브를 잠그고 새로운 물을 공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갑각류 양식장치는. 갑각류를 양식하는 수조의 물을 정화하여 재사용함으로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수조에서 양식되는 갑각류의 종류에 따라 그 갑각류가 원하는 조도를 조절하여 줌으로써 양식되는 갑각류의 빠르고 건강한 성장을 유도하여 수산농가의 수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삭제
100 : 수조 110 : 발광수단
120 : 정수공급수단 130 : 물 배출수단
313 : 외통 131a : 물 흡입구멍
132 : 내통 132a : 배수관
140 : 조도측정수단 141 : 스틱
141a,141b,141c : 광원측정센서
150 ; 수위측정센서 151 : 제1수위감지센서
152 : 제2수위감지센서 160 : 산소공급수단
161 : 공기폭기구 162 : 외부공기공급 관
163 : 외부공기공급기 170 : 온도조절수단
171 : 가열기 172 : 냉각기
200 : 여과수단 210 : 여과탱크
220 : 물 공급수단 230 : 여재
300 : 여과수저장탱크

Claims (8)

  1. 갑각류를 양식하기 위해 물이 수용되는 수조(100)의 상부에 조명의 밝기나 빛의 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적색, 녹색, 파란색의 디밍조명이 설치된 발광수단(110)과,
    상기 수조의 일 측에 설치되어 수조로 정수된 물을 공급하는 정수공급수단(120)과,
    상기 수조에 수용된 물의 수면보다 높은 길이를 갖으며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 외주 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물 흡입구멍(131a)이 복수 개 형성된 외통(131)과, 그 외통의 내부에 상단이 상기 외통의 상단보다 낮게 설치되며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에는 배수관(132a)을 설치하여 된 내통(132)으로 구성되어 수조의 물을 하부에서 유입시켜 상부를 통해 다시 하부로 배출시키는 물 배출수단(130)과,
    상기 수조에서 양식되는 갑각류의 종류에 따라 조도를 달리하도록 수중에 침지되는 스틱(141)의 상/중/하부에 각각의 광원측정센서(141a,141b,141c)를 설치하여 된 조도측정수단(140)과,
    상기 수조의 물이 부족하면 그를 감지하여 상기 정수공급수단을 통하여 정수를 수조로 공급하도록 하는 제1수위감지센서(151)와 수조의 물이 충분하면 그를 감지하여 상기 정수공급수단의 정수공급을 차단하는 제2수위감지센서(152)를 설치하여 된 수위측정센서(150)와,
    상기 수조의 물에 산소를 공급하도록 수조 내부 바닥면에 공기폭기구(161)가 설치되고 그 공기폭기구로 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공기공급 관(162)이 설치되며, 그 외부공기공급 관으로 외부공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된 외부공기공급기(163)로 구성된 산소공급수단(160)과,
    상기 수조의 물이 목적하는 온도 이하일 때는 가열하고, 수조의 물 온도가 목적하는 온도 이상일 때는 냉각시키는 가열기(171)와 냉각기(172)를 설치하여 수조의 물을 목적 온도로 유지시키는 온도조절수단(170)과,
    상기 수조의 일측에 상기 물 배출수단의 상단 높이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여과탱크(210)가 마련되고, 그 여과탱크의 내부에 상단이 여재의 상부 표면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수조의 물이 공급되는 통형의 물 공급수단(220)이 설치되며, 그 물 공급수단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는 상기 물 공급수단에서 공급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여재(230)를 충입시켜 된 복수 개의 여과수단(200)과,
    상기 여과수단의 출측에 마련되어 여과수단에서 여과된 여과수를 공급받아 상기 수조로 공급하는 여과수저장탱크(300)로 이루어진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 양식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121292A 2018-10-11 2018-10-11 갑각류 양식장치 KR102150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292A KR102150581B1 (ko) 2018-10-11 2018-10-11 갑각류 양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292A KR102150581B1 (ko) 2018-10-11 2018-10-11 갑각류 양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180A KR20200041180A (ko) 2020-04-21
KR102150581B1 true KR102150581B1 (ko) 2020-09-01

Family

ID=70456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292A KR102150581B1 (ko) 2018-10-11 2018-10-11 갑각류 양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5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547B1 (ko) 2022-12-13 2023-10-11 박해영 양식장용 등기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17224A (ja) 2009-02-06 2012-08-02 キム,チュンベ リサイクル資材を用いたインキュベーター式養魚場
KR101293737B1 (ko) * 2013-04-29 2013-08-07 대한민국 다층사육이 가능한 전복사육수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8331B2 (ja) * 1994-02-26 1997-06-11 有限会社オーディーアイ 海水魚の飼育方法
JP3053793B2 (ja) * 1997-12-08 2000-06-19 株式会社九州メディカル 甲殻類養殖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694421B1 (ko) * 2005-04-28 2007-03-12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수족관의 제어 방법
KR101756867B1 (ko) 2014-10-31 2017-07-12 한국기계연구원 복합 양식 수조
KR101773247B1 (ko) 2015-05-22 2017-09-04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천마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 치어 양식수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17224A (ja) 2009-02-06 2012-08-02 キム,チュンベ リサイクル資材を用いたインキュベーター式養魚場
KR101293737B1 (ko) * 2013-04-29 2013-08-07 대한민국 다층사육이 가능한 전복사육수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8547B1 (ko) 2022-12-13 2023-10-11 박해영 양식장용 등기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180A (ko)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27656A1 (en) Algae Farm
JP5629288B2 (ja) 魚介類養殖装置並びに養殖方法
KR102150284B1 (ko) 복층형 새우 양식장치
CN107072181B (zh) 水产养殖设施和培养方法
CN100372510C (zh) 全人工培育斑节对虾亲体的方法
KR102297174B1 (ko) 큰징거미새우의 종묘 생육 장치
CN110973019B (zh) 一种用led光源促进红鳍东方鲀从受精卵到仔稚幼鱼期间存活和生长的方法
KR101773247B1 (ko)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 치어 양식수조
CN209268391U (zh) 一种丰年虾的孵化分离装置
TW201902346A (zh) 水產品養殖裝置
CN103988803A (zh) 一种虹吸式浮游动物饲料孵化和投饵系统及其使用方法
CN109452203A (zh) 一种许氏平鲉深水网箱大规格苗种培育方法
KR102150581B1 (ko) 갑각류 양식장치
CN204518873U (zh) 一种丰年虫的孵化装置
GB2518217A (en) Shrimp aquaculture
KR101756867B1 (ko) 복합 양식 수조
Şen Temperature tolerance of loliginid squid (Loligo vulgaris Lamarck, 1798) eggs in controlled conditions
JP6799887B2 (ja) 食用ガエルを養殖するための飼育水の循環システム
CN106172135A (zh) 一种暗纹东方鲀自然繁殖的方法
JP3745339B2 (ja) 真鯛の深海養殖方法及び装置
CN113383733B (zh) 一种棘头梅童鱼苗种人工培育方法
CN111432633B (zh) 用于培养普通章鱼真蛸的双幼体的方法
NO343418B1 (no) Anordning ved merd
KR101839314B1 (ko) 쏘가리 초기 양식방법 및 양식장치
KR101839315B1 (ko) 쏘가리 초기 양식방법 및 양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