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6986A -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 치어 양식수조 - Google Patents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 치어 양식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6986A
KR20160136986A KR1020150071430A KR20150071430A KR20160136986A KR 20160136986 A KR20160136986 A KR 20160136986A KR 1020150071430 A KR1020150071430 A KR 1020150071430A KR 20150071430 A KR20150071430 A KR 20150071430A KR 20160136986 A KR20160136986 A KR 20160136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aquarium
hippocampus
light sourc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3247B1 (ko
Inventor
노섬
노경언
신상옥
Original Assignee
노섬
노경언
신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섬, 노경언, 신상옥 filed Critical 노섬
Priority to KR1020150071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247B1/ko
Publication of KR20160136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마 양식 초기 단계에서 해마 자어, 치어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해마 자ㆍ치어 양식수조에 관한 것으로, 일정 면적의 빛을 투과할 수 있는 바닥과 외벽을 갖고 사육수를 수용할 수 있는 양식수조, 상기 양식수조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주입관, 상기 양식수조 일측에서 사육수를 공급하는 사육수주입관, 상기 양식수조 하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사육수를 배수할 수 있는 배수관, 상기 양식수조의 바닥 아랫면에 설치되어 양식수조 하부에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와 상기 양식수조 바닥 아랫면 사이에 삽입되어 광원부의 빛을 수조 바닥에 일정하게 산란시키는 조명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ㆍ치어 양식수조를 제공함으로써, 해마의 자어, 치어가 수면위에서 표류하면서 대량 폐사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 치어 양식수조{Aquaculture tank lighted from below for seahorse fry}
본 발명은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어 및 치어의 양성을 위한 수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조 하부에 광원을 설치하고 수조 바닥으로 균일한 조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명필터를 설치하고 수조바닥에 꼬리걸이를 설치하여 해마의 치어가 사육수 표면에 표류하다가 폐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ㆍ치어 양식수조에 관한 것이다.
오래전부터 해마(sea horse)는 어류로 보기에는 독특한 체형과 수컷이 난태생인 자어를 출산하는 등의 특이한 생활사로 사람들의 관심이 되어 왔다. 해마는 해룡(seadragon), 실고기(pipefish)와 더불어 실고기과(Syngnathidae)에 속하는 경골어류로서, 세계적으로 36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는 복해마(Hippocampus kuda), 가시해마(H. hiatrix), 왕관해마(H. coronatus), 산호해마(H. mohnikei)와 점해마(H. trimaculatus) 등 5종이 알려져 있으며, 잘피나 모자반 등 해초와 해조군락에서 서식하고 있다.
해마는 기질에 몸을 고정할 수 있는 꼬리를 가지고 있으며, 머리는 몸통과 직각을 이루고 있다. 수영할 때는 몸을 꼿꼿이 세우고 유영을 하며, 눈은 독자적으로 움직이며 회전할 수 있어 모든 방향을 고개를 돌리지 않은 채 볼 수 있다. 몸의 외부는 비늘이 없고 암컷 해마는 몸 전체를 체륜과 같은 뼈고리(bony rings)들로 되어 있는 갑옷으로 완전히 감싸져 있는 반면, 수컷 해마는 배의 아랫부분인 보육낭 주변은 싸여 있지 않다. 또한 단단한 뼈갑옷(bony armour)은 천적으로부터 해마를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한다.
해마는 일생을 일부일처제로 살며 수컷이 새끼를 낳는 특이한 방식으로 번식한다. 번식기가 되면 암컷과 수컷이 서로 배를 정면으로 붙여 교미하고, 이때 암컷은 수컷의 배에 있는 주머니(보육낭) 속에 알을 낳는다. 이때부터 수컷은 수정란을 돌보고 부화시킬 뿐 아니라, 태어난 새끼가 어느 정도 자라 독립할 때까지 뱃속에서 키운다. 수컷의 배가 점점 불러오고, 새끼 해마가 1 cm 정도까지 자라면 수컷은 이미 성체의 모양을 지닌 새끼 해마를 몸에서 내보낸다.
해마는 그 독특하면서도 아름다운 외관과 느리지만 우아한 움직임으로 세계 관상어 시장에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천식에서 발기부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우리나라의 동의보감에서도 해마는 간과 신장에 작용하여 양기를 보호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한다고 하였으며, 신장의 양기가 허약하여 생기는 발기불능, 야뇨증, 고환이 위축되는 증상, 임산부가 난산으로 힘들 때, 노인과 허약자의 정신쇠약과 복통으로 치료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특히 중국 약재시장에서 해마 소비량은 연간 2억 5천 마리에 달하며, 그 가격도 1 kg에 200만원에서 높게는 1000만원을 호가하는 고급약재로 이용되고 있다. 이렇게 중국에서 소비되는 해마는 대부분 자연산으로, 동남아 등지에서 자연 채취하여 조달하여 왔다.
그러나 2004년,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 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 CITES)'은 해마를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하여 자연 상태에서의 불법포획 금지하였고, 동남아 등지에서도 자국의 수산자원 보존을 위하여 어업금지령을 선포하고 있는 실정이다. 자연 상태에서는 낮은 번식률과 느린 유영으로 쉽게 포획되는 해마는 그 시장이 커지면서 그 동안 무차별적으로 남획되어, 실제로 필리핀 등의 일부 동남아 지역의 해마 개체군은 70% 이상 감소된 상태로 알려졌다.
그런데, CITES에서는 자연산에 대해서만 규제하기 때문에 양식시설에서 생산된 양식 해마는 그 규제 대상에서 제외되어 국제 무역의 대상생물로 이용 가능하다. 그러나 해마는 환경에 민감하여 작은 환경변화에도 쉽게 대량 폐사를 일으키는 폐사율이 매우 높은 종으로 양식이 어려운 어종으로 손꼽혀 왔다.
현재 해마를 양식하고 있는 나라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중국과 호주 등 16 개국 뿐이다. 1957년 중국의 광동성에서 처음 인공번식이 진행된 이래, 해마 인공번식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상업적 규모의 양식은 1990년대에 호주, 뉴질랜드 및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특히, 2000년 이후 호주가 big-belly seahorse(H. abdominalis)를 대상으로 해마 대량 양식을 진행하면서 호주와 뉴질랜드에 소재하는 9개 업체가 매달 17만 마리를 출하할 수 있는 양식 시스템을 갖추고 세계 관상어 시장과 홍콩의 약재시장에 진출해 있다. 또한 해마 최대 소비국인 중국에서도 해마의 양식과 보존, 관리에 관한 워크숍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세계 해마 양식 전쟁에 뛰어 들고 있다.
해마 양식에서 가장 어렵고도 중요한 부분은 해마 자어, 치어의 생존율을 높이는 것이다. 특히 해마는 지느러미를 이용하여 수직유영을 하면서 부레에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상하로 움직이는데, 이 과정에서 공기를 지나치게 흡입하게 되면 물 표층에 떠올라 바닥으로 내려갈 수 없게 되어 먹이를 제대로 먹지 못해 죽는 경우가 많았다. 본 발명자들은 한국 등록특허 10-1054365호에서 해마 자어, 치어의 표류를 억제하기 위한 해마치어용 사육수조를 개시하였으나, 출산 20일 후 생존율이 13.5%에 그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해마 양식과정에서 중요한 자어, 치어의 초기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와 노력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54365호에서는 해마 치어가 사육될 수 있도록 해수가 채워진 수조와, 주광성 특징을 갖는 해마 자ㆍ치어의 먹이생물이 수조에 채워진 해수의 중앙 영역에 모일 수 있도록 상기 수조에 채워지는 해수 내부에 위치하며 빛을 발산하는 등으로 구성됨으로써, 해마치어의 먹이생물이 해수 중앙영역에 모이도록 하여 해마치어가 섭식 중에 수면의 기포를 들이마셔 폐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해마치어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해마치어용 사육수조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47609호에서는 수조의 바닥면 중심에 수직으로 세워져 360도 사방으로 빛을 발광하고,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 곧게 세워짐을 유지할 수 있으며, 공급된 외부의 공기나 물을 이용하여 엘이디모듈의 발열을 냉각시킬 수 있고, 냉각 후 토출된 공기나 물을 이용하여 수조의 물에 대한 순환을 도와주게 되는 수조용 조명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09253호에서는 정수장이나 하수 처리장의 유입수 또는 하천수의 수질 이상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어류를 이용한 화상감시용 수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틀체부 후면에 간접방식 조명장치를 구비하여 감시수조에 반사된 간접조명을 제공하고, 또한 수조를 구성하는 패널중 측면 및 하부면 구획벽이 렌즈의 입사각과 평행해 지도록 패널의 형태를 각각 사다리꼴로 형성하여, 상기 수조를 촬영하는 렌즈의 원근조절을 통해 수조내의 어류의 위치를 완전하게 추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감시수조의 어류로 부터 보다 정밀한 데이터를 도출하고자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화상감시용 수조에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07019호에서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유체를 포함하고, 배양물을 성장시키는 배양실(110)과;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된 구동실(120)과; 상기 배양실(110)과 구동실(120)을 분리시키고 다수개의 유체안내구가 구비된 분리판(150)과;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배양실(110)에 조명을 조사하는 조명실(130)과; 상기 배양실(110)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삼각형상의 경사면을 가지는 덮개(140);를 포함하는 내부 관찰용 수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들은 본 발명의 수조 하부에 광원을 설치하고 수조 바닥으로 균일한 조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명필터를 설치하여 해마를 수조 바닥으로 모이게 하여 출산된 해마의 자어 및 치어가 사육수 표면에 표류하다가 폐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치어용 양식수조와는 그 구성 및 효과에서 차이를 보인다.
종래에 해마 양식의 가장 어려운 점 중 하나는 해마 출산 후, 양식 초기 단계에서 해마 자어, 치어의 폐사율이 매우 높은 것이었다. 특히 해마의 자어, 치어가 사육수 표면으로 올라와 힘없이 쓸려다니다가 폐사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러한 표류성 폐사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안이 모색되었다. 그러나, 해마 출산 후, 급격한 폐사가 일어나는 5~7일 내의 critical period에서의 폐사율을 줄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해마의 대량생산을 위하여 해마의 자어, 치어기 표류성 폐사를 저감시키기 위한 해마 자어, 치어용 사육수조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면적의 빛을 투과할 수 있는 바닥과 외벽을 갖고 사육수를 수용할 수 있는 양식수조, 상기 양식수조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주입관, 상기 양식수조 일측에서 사육수를 공급하는 사육수주입관, 상기 양식수조 하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사육수를 배수할 수 있는 배수관, 상기 양식수조의 바닥 아랫면에 설치되어 양식수조 하부에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와 상기 양식수조 바닥 아랫면 사이에 삽입되어 광원부의 빛을 수조 바닥에 일정하게 산란시키는 조명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치어 양식수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해마 양식 수조의 하부 바닥에 조명을 설치하고, 조명필터를 통하여 균일한 빛이 사육수조 하부면을 조사하도록 하여 일차적으로는 주광성을 가지고 있는 해마의 먹이생물과 이들을 포식하는 해마의 자어, 치어를 사육수조의 하부에 같이 머무르도록 함으로써 해마의 자어, 치어가 수면위에서 표류하면서 대량 폐사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해마 자어, 치어기의 생존률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ㆍ치어 양식수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ㆍ치어 양식수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ㆍ치어 양식수조의 산란필터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치어 양식수조에서 해마 자ㆍ치어의 사육 상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해마 자ㆍ치어 사육에 있어서 출산 후, 5~7일 사이에 발생하는 대량치사를 획기적으로 저감시키고 건강한 해마를 안정적으로 사육할 수 있는 수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ㆍ치어 양식수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마치어 사육수조는 일정 면적의 빛을 투과할 수 있는 바닥과 외벽을 갖고 사육수를 수용할 수 있는 양식수조(100)와 상기 양식수조(100)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주입관(160), 상기 양식수조(100) 일측에서 사육수를 공급하는 사육수주입관(180), 상기 양식수조 하부 바닥면(110)에 설치되어 사육수를 배수할 수 있는 배수관(150), 상기 양식수조의 바닥 아랫면 외부에 설치되어 양식수조 하부에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광원부(300), 상기 광원부(300)와 상기 양식수조 바닥 아랫면 사이에 삽입되어 광원부(300)의 빛을 수조 바닥에 일정하게 산란시키는 조명필터(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마 자ㆍ치어를 위한 사육수조(100)는 일반적인 어류의 사육수조로서, 재질은 투명 또는 반투명 FRP 수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수조의 바닥(110)은 조명장치의 효율을 위하여 투명바닥, 또는 반투명의 빛을 투과할 수 있는 바닥을 갖는다. 해마 양식에 있어서 가장 어려운 문제였던 해마 자어, 치어 초기의 높은 폐사율은 해마 출생 이후, 5~7일 이내에 해마의 자어, 치어가 사육수의 표면에 떠올라 유영을 하면서 수조 아래로 내려갈 수 있는 능력을 잃고 수면에서만 떠다니다가 먹이로 접근하지 못하고 폐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표류성 자어, 치어는 대부분 사육수 표면으로 올라왔다가가 작은 기포를 들여 마신 상태로, 일단 기포를 마신 개체들은 허약해 구제가 어려웠다.
초기 유생기부터 비교적 강한 유영력을 가지고 있어서 스스로 몸의 균형을 잘 유지할 수 있는 H. abdominalis는 꼬리로 몸을 기질에 정착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사육수 표면으로 떠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치사율이 비교적 낮았으나, 출산초기에 몸을 정착할 수 없는 유영성 자어기를 가지고 있는 H. kuda 또는 H. reidi의 경우는 여전히 높은 치사율을 보였다.
본 발명자에 의한 종래 발명에서는 해마의 자어, 치어가 사육수조의 하부와 중앙에 머무르도록 기포를 수조의 측면하부에서 측면상부로, 측면상부에서 중앙상부로, 중앙상부에서 중앙하부로, 중앙하부에서 다시 측면하부로 순환하는 약한 수류를 형성시켜 해마자ㆍ치어가 수조의 측면에 머무르지 않고 중앙에서 유영하도록 유도하였다. 또한 조명을 수조 전면에 배치하고 수조에 설치된 상부광차단 커버 및 전면상층부광차단커버를 이용하여 해마치어의 먹이인 동물성 플랑크톤을 수조중층으로 유도함으로써, 해마의 자어, 치어도 자연적으로 수조 중층으로 유도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출생 후 100%에 가까운 폐사율을 출산 후, 20일까지 저감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수조 전면에 위치한 조명은 해마의 자어, 치어가 사육수면에서 표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지는 못하였고, 에어레이션의 조절을 통해서도 해마의 자어, 치어를 사육수조의 하부에 지속적으로 머무르도록 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육수조의 바닥(110)을 빛이 투과 가능한 소재를 사용하고, 사육수조의 바닥 아랫면에 양식수조 하부에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광원부(300)를 둠으로써, 사육수조의 상부와 하부에 조도의 차이가 발생하도록 하였다. 이는 해마의 자어, 치어의 먹이로 이용되는 Artemia, Neomysis 등의 동물성 먹이가 주광성인 것을 이용하여 양식수조(100)의 상부와 대비되는 높은 조도의 수조바닥(110)으로 먹이가 모이도록 하여, 해마의 자어, 치어를 수조바닥(110)으로 유인하기 위한 것이다. 전면부에 광원을 설치했던 종래의 해마 치어용 수조에서도 역시 먹이생물의 주광성을 이용하여 해마의 자어, 치어를 유인했으나, 여전히 표류성 해마치어가 나타나며 상대적으로 높은 치사율을 나타내었었다. 이는 빛이 측면에서 상하부로 분산 조사되어 수조의 하부와 상부의 조도의 대비에 큰 차이가 없었던 때문으로 해석되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 수조 하부에 광원을 설치하여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빛을 조사함으로써 해마의 자어, 치어가 양식수조의 하부에 보다 집중적으로 머무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광원이 집중된 지점에 먹이생물 및 해마의 자어, 치어가 집중되면서 사육수 내의 부분환경이 변화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수온, 용존산소 등 사육수의 환경에 매우 민감하여 높은 치사율을 보이는 해마의 자어, 치어기에 이러한 환경 조건을 좀더 정확하고 세밀하게 컨트롤하기 위하여 광원(300)이 수조바닥(110)의 일부분에 집중되지 않고, 수조바닥 전체에 걸쳐서 고른 조도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광원(300)과 수조바닥(110) 사이에 조명필터(220)를 삽입하여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이 넓은 범위를 고르게 조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광원반사갓(320)은 광원(300)의 빛이 수조 상부로 집중되어 효율을 높여주며, 아울러 광원(300)과 조명필터(200)를 포함한 수조의 조명장치를 양식수조(100) 하부에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광원(300)은 LED 등을 양식수조(100)의 하부면 전체에 고르게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경제적인 효과를 감안하여 40w 백색 형광등, 광원반사갓(320)과 조명필터(330)를 사용하여 양식수조(100)의 하부면 전체에 걸쳐 부드러운 조명이 밝게 조사되도록 하였다. 광원의 형태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수조바닥의 모양과 전체적인 고른 조명을 고려하여 선택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치어 양식수조의 측면 단면도이다. 양식수조(100) 하부에 광원(300)과 조명필터(200)가 배치된 광원반사갓(320)은 체결부(340)와 체결나사(350)에 의해 양식수조(100)에 체결된다. 광원(300)과 조명필터(200)는 광원반사갓(320)의 내부에 설치된 광원고정대(310)와 조명필터고정부(330)에 의해 광원반사갓(320)에 의해 고정되어 양식수조(100) 외측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체결부는 비투과성 재질로 구성되며, 조명부와 수조를 안착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분리 및 조립 가능한 형태로 제작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치어 양식수조의 산란필터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광원(300)이 수조바닥(110)에 고르게 빛을 조사하기 위하여 조명필터(200)를 사용하며, 조명필터는 불투명유리, 반투명유리, 불투명플라스틱, 반투명플라스틱, 아크릴, ABS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조명필터(200)는 광원(300)에서 나오는 빛을 산란 및 반사시켜 빛을 수조 바닥으로 고르게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조명필터(200)가 광원에서 나오는 빛의 진입방향에 대하여 0~60˚의 경사를 갖는 통공(210)을 형성하여 빛이 복수회의 산란과, 반사를 통하여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수조바닥(110)에 고르게 비추도록 하였다.
불투명 조명필터의 경우, 광원과 직접 마주보는 면은 거울형 반사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면이 거울형 반사재질로 구성됨으로써 광원(300)으로부터 방사된 빛은 광원반사갓(320)에 의해 다시 반사되고 다시 거울형 반사 재질에 의해 반사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조명필터(200)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최종적으로 빛이 방출된다. 즉, 광원(300)으로부터 1차 방사된 이 조명필터(200)와 광원반사갓(320)으로 밀폐된 광공간에서 2차, 3차 반사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균일한 광량과 광질로 조사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치어 양식수조에서 해마 자어, 치어의 사육 상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해마의 자어, 치어는 양식수조(110)의 하부에 집중된 빛의 영향으로 수조 바닥 부분으로 이동하여 섭이활동을 하면서 사육된다. 공기주입관(160)은 상부에서 양식수조(100)의 중앙부로 내려와 중앙 하부에 위치한 기포발생기(170)에 의해 기포를 발생시킴으로써, 따라서 사육수는 사육수조의 중앙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고, 측면의 상부에서 다시 하부로 회전하는 수류를 만들게 된다. 또한 사육수주입관(180)은 사육수조(100)의 측면에 위치하므로 이러한 수류방향이 유지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은 수류방향은 해마의 자어, 치어가 꼬리걸이(400)가 있는 사육수조 바닥면(110)에 머무르도록 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꼬리걸이(400)는 해마의 자치어가 수조바닥면에 체류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으로, 중성 부력을 갖는 해마 자ㆍ치어가 수조 내의 수류 회전에 의해 수조 상부로 휩쓸리는 것을 방지한다. 꼬리걸이(400)는 수조 바닥에 균등히 분산될 수 있도록 형성하며, 내부에 철심이 형성되고 플라스틱 재질로 감싸여진(비닐코팅철사 또는 플라스틱 그물) 재료가 적절하며, 꼬리걸이(400)가 수조 바닥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진공압착판 등의 꼬리걸이고정핀(410)으로 한 곳 이상을 고정하여 설치한다.
해마 어종별 종래의 사육수조와 본 발명에 따른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치어 양식수조에서의 출산 2주 동안의 표류성 자어의 출현수 비교
어종 종래의 사육수조 본 발명의 해마치어 사육수조
A B A B C
H. kuda 52 38 2 0 2
H. reidi 46 42 1 3 3
합 계 98 80 3 3 5
폐사율(%) 49 40 1.5 1.5 2.5
본 발명에 따른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치어 양식수조를 이용하여 해마 출산 후, 생존률을 조사하였다. 폐사율은 해마 출산 후, 대량 폐사가 발생하는 출산 5~7일에 해당하는 critical period의 폐사율을 보기 위하여, H. kudaH. reidi의 자어를 출산 직후 100미씩 무작위로 선별하여 종래의 사육수조에 A, B의 2 그룹과 본 발명에 따른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치어용 양식수조에 A, B, C의 3개 그룹을 각각 2주 동안 사육하였고, 사육하는 동안, 사육수면에 떠오르는 표류성 자어의 수를 측정하였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사육수조에서 사육한 해마의 치어의 폐사율은 평균 44.5%였으며, 본 발명에 의한 해마치어 사육수조에서 사육한 해마의 치어의 폐사율은 평균 1.83%로 사육수 표면에 부상하여 내려가지 못하는 표류성 자어의 출현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따라서 해마의 출산 직후, 급격한 폐사율을 보이는 critical period에서의 해마 자어 및 치어의 생존율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해마 자치어가 표류성이 되어 폐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육수면 위에 부유하는 먹이를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한 가로배수관(130)을 설치하였다. 사육수 내에 형성된 수류에 의하여 사육수 내에 급이되지 않고 부상하고 있는 먹이류는 사육수면에 모여 떠오르게 되고 아울러 사육수면에 부유하던 이물질과 함께 사육수면을 따라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사육수면을 따라 통공이 형성된 가로배수관(130)으로 사육수와 함께 배수된다.
가로배수관(130)은 사육수면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사육수의 수류방향과 만나는 면에 배수망(140)이 형성되어 이 통공을 통하여 사육수가 배수된다. 또한 통공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은 벽이 형성된 가로배수관으로 형성되어 부유 이물질을 함유한 사육수는 회수되지 않고 그대로 배수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일반적인 사육수의 환수과정을 통해 사육수면에 부유하는 이물질이 같이 배수되게 된다. 사육수의 환수량은 사육수주수량에 의하여 결정되며 가로배수관(130)이 형성된 위치에 따라 수조(100) 내의 사육수량이 결정된다. 이렇게 사육수면의 부유하는 먹이류를 신속히 제거하여 해마의 자치어가 먹이를 따라 사육수면으로 이동하여 표류하다가 폐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해마의 자ㆍ치어 사육수조는 해마의 자어, 치어 초기의 표류성 치어 발생을 억제하여 생존률을 현저히 높일 수 있었다. 그러나 해마의 대량생산을 위하여는 이후의 폐사율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사육조건의 확립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해마 자어, 치어기의 높은 폐사율을 저감시키기 위한 해마 치어 양성수조에 관한 것으로 수조 하부 바닥에 조명을 설치하고 균일한 빛이 사육수조 하부면을 조사하도록 하여 해마의 자어, 치어를 사육수조의 하부에 머무르도록 하며, 해마의 자어, 치어가 수면위에서 표류하면서 대량 폐사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해마의 대량 양식의 발판을 제공하고 양식 어민의 소득증대에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 양식수조 110 : 수조바닥
120 : 세로배수관 130 : 가로배수관
140 : 배수망 150 : 배수관
160 : 공기주입관 170 : 기포발생기
180 : 사육수주입관
200 : 조명필터 210 : 통공
300 : 광원부 310 : 광원고정대
320 : 광원반사갓 330 : 조명필터고정부
340 : 체결부 350 : 체결나사
400 : 꼬리걸이

Claims (5)

  1. 일정 면적의 빛을 투과할 수 있는 바닥과 외벽을 갖고 사육수를 수용할 수 있는 양식수조;
    상기 양식수조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주입관;
    상기 양식수조 일측에서 사육수를 공급하는 사육수주입관;
    상기 양식수조 하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사육수를 배수할 수 있는 배수관;
    상기 양식수조의 바닥면 외측에 설치되어 양식수조 하부에서 바닥면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와 상기 양식수조 바닥면 외측 사이에 삽입되어 광원부의 빛을 수조 바닥면으로 일정하게 산란시키는 조명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치어용 양식수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 하부 외측에는 반사갓을 설치하여 광원부의 빛이 수조 하부에 집중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치어용 양식수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필터는 불투명유리, 반투명유리, 불투명플라스틱, 반투명플라스틱, 아크릴, ABS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조명필터는 빛의 진입방향에 대하여 0~60˚의 경사를 갖는 복수 개의 통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치어용 양식수조.
  4. 제3항에 있어서, 양식 수조 바닥에는 꼬리걸이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꼬리걸이는 하나 이상의 꼬리걸이핀으로 수족 바닥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치어용 양식수조.
  5. 제1항에 있어서, 배수관의 상부에는 가로방향으로 수평 배수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치어용 양식수조.
KR1020150071430A 2015-05-22 2015-05-22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 치어 양식수조 KR101773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430A KR101773247B1 (ko) 2015-05-22 2015-05-22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 치어 양식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430A KR101773247B1 (ko) 2015-05-22 2015-05-22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 치어 양식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986A true KR20160136986A (ko) 2016-11-30
KR101773247B1 KR101773247B1 (ko) 2017-09-04

Family

ID=57707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430A KR101773247B1 (ko) 2015-05-22 2015-05-22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 치어 양식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24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9428A (zh) * 2017-09-04 2017-12-08 天津农学院 一种线纹海马高产家系的选育方法
CN110050730A (zh) * 2019-05-23 2019-07-26 中国长江三峡集团有限公司 一种测试鱼类对气泡幕与灯光趋向行为的实验装置及方法
KR20200041180A (ko) 2018-10-11 2020-04-21 임민수 갑각류 양식장치
KR20220078030A (ko) * 2020-12-03 2022-06-10 김경자 해마 양식용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한 해마의 생산성 증진 방법
CN115486390A (zh) * 2022-09-23 2022-12-20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一种促进育儿囊鼓气雄海马恢复的装置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5231B1 (ko) 2020-11-26 2023-02-28 김경자 해마 치어 분리 및 수집하는 수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424Y1 (ko) * 2006-10-31 2007-12-03 유재근 저면으로부터 조사되는 조명장치를 갖는 어항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9428A (zh) * 2017-09-04 2017-12-08 天津农学院 一种线纹海马高产家系的选育方法
KR20200041180A (ko) 2018-10-11 2020-04-21 임민수 갑각류 양식장치
CN110050730A (zh) * 2019-05-23 2019-07-26 中国长江三峡集团有限公司 一种测试鱼类对气泡幕与灯光趋向行为的实验装置及方法
KR20220078030A (ko) * 2020-12-03 2022-06-10 김경자 해마 양식용 미생물 제제 및 이를 이용한 해마의 생산성 증진 방법
CN115486390A (zh) * 2022-09-23 2022-12-20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一种促进育儿囊鼓气雄海马恢复的装置及方法
CN115486390B (zh) * 2022-09-23 2023-08-29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一种促进育儿囊鼓气雄海马恢复的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3247B1 (ko) 2017-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3247B1 (ko)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 치어 양식수조
KR100689083B1 (ko) 갑각류의 유충 사육방법과 장치
CN104115775B (zh) 一种洄游型大西洋鲑工厂化人工育苗方法
KR101728224B1 (ko)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용 사육수조
Partridge et al. The effect of a 24-hour photoperiod on the survival, growth and swim bladder inflation of pre-flexion yellowfin tuna (Thunnus albacares) larvae
CN109452203A (zh) 一种许氏平鲉深水网箱大规格苗种培育方法
KR102297174B1 (ko) 큰징거미새우의 종묘 생육 장치
Shelbourne et al. Marine Fish Culture in Britain I. Plaice Rearing in Closed Circulation at Lowestoft, 1975–1960
KR101744393B1 (ko) 해마 자, 치어 생산방법
CN1194609C (zh) 松江鲈鱼水花鱼苗生产技术
Nabhitabhata et al. Sepioteuthis lessoniana
ES2930074T3 (es) Método de acuicultura para la producción de huevos de salmón
CN106852283A (zh) 一种红鳍东方鲀培育方法
CN108782365A (zh) 一种长薄鳅仔稚鱼苗种培育方法
Blanco Rearing of the seahorse Hippocampus guttulatus: Key factors involved in growth and survival
CN110622892B (zh) 一种条石鲷流水式促产方法及仔稚鱼培育方法
Nabhitabhata et al. Performance of simple large-scale cephalopod culture system in Thailand
JP7174062B2 (ja) マダコ(octopus vulgaris)の幼生の培養方法
Ranjan et al. Good aquaculture practices for marine finfish hatchery
KR101755810B1 (ko) 양성주광성을 이용한 유생분리 장치
UA65842C2 (en) Method of commercial growing the giant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zenbergii)
Len et al. Estimation of live food consumption for Hippocampus barbouri and Hippocampus kuda
Oliver et al. Seahorses and Pipefish
Nabhitabhata Sepiella inermis
Cartagena Rearing of the seahorse Hippocampus guttulatus: key factors involved in growth and surviv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