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8224B1 -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용 사육수조 - Google Patents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용 사육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8224B1
KR101728224B1 KR1020150071448A KR20150071448A KR101728224B1 KR 101728224 B1 KR101728224 B1 KR 101728224B1 KR 1020150071448 A KR1020150071448 A KR 1020150071448A KR 20150071448 A KR20150071448 A KR 20150071448A KR 101728224 B1 KR101728224 B1 KR 101728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pipe
drain pipe
br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6996A (ko
Inventor
노섬
노경언
신상옥
Original Assignee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천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천마 filed Critical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천마
Priority to KR1020150071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224B1/ko
Publication of KR20160136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2Introducing gases into the water, e.g. aerators, ai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면적의 바닥과 외벽을 갖고 사육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조, 상기 수조 일측에 형성되어 수조 측면을 따라 사육수를 분사하여 수조 내에 일정 방향의 수류를 형성시키면서 사육수를 주입할 수 있는 사육수주입관, 상기 수조의 사육수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 상기 수조의 바닥 일면에 설치되고, 중앙에 배수를 위한 통공을 갖는 세로배수관, 상기 세로배수관의 일단에 연결되고, 수조 내에 형성된 와류와 만나는 부분에 사육수면을 따라 통공이 형성되어 사육수를 배수하는 가로배수관, 상기 가로배수관과 세로배수관을 따라 배수되는 사육수를 수조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수조를 제공함으로써 양식 해마가 부유 먹이에 유인되어 사육수면으로 올라와 표류하다가 폐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용 사육수조{Sea horse aquaculture tank capable of removing floating debris easily}
본 발명은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용 사육수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육수면을 따라 위치한 가로배수관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사육수면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환수과정에서 함께 배수되는 사육수와 함께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용 사육수조에 관한 것이다.
오래전부터 해마(sea horse)는 어류로 보기에는 독특한 체형과 수컷이 난태생인 자어를 출산하는 등의 특이한 생활사로 사람들의 관심이 되어 왔다. 해마는 해룡(seadragon), 실고기(pipefish)와 더불어 실고기과(Syngnathidae)에 속하는 경골어류로서, 세계적으로 36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는 복해마(Hippocampus kuda), 가시해마(H. histrix), 왕관해마(H. coronatus), 산호해마(H. mohnikei)와 점해마(H. trimaculatus) 등 5종이 알려져 있으며, 잘피나 모자반 등 해초와 해조군락에서 서식하고 있다.
해마는 기질에 몸을 고정할 수 있는 꼬리를 가지고 있으며, 머리는 몸통과 직각을 이루고 있다. 해마는 일생을 일부일처제로 살며 수컷이 새끼를 낳는 특이한 방식으로 번식한다. 번식기가 되면 암컷과 수컷이 서로 꼬리를 감아 교미하고, 이때 암컷은 수컷의 배에 있는 주머니(보육낭) 속에 알을 낳는다. 이때부터 수컷은 수정란을 돌보고 부화시킬 뿐 아니라, 태어난 새끼가 어느 정도 자라 독립할 때까지 뱃속에서 키운다. 수컷의 배가 점점 불러오고, 새끼 해마가 1 cm 정도까지 자라면 수컷은 이미 성체의 모양을 지닌 새끼 해마를 몸에서 내보낸다.
해마는 그 독특하면서도 아름다운 외관과 느리지만 우아한 움직임으로 세계 관상어 시장에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천식에서 발기부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우리나라의 동의보감에서도 해마는 간과 신장에 작용하여 양기를 보호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한다고 하였으며, 신장의 양기가 허약하여 생기는 발기불능, 야뇨증, 고환이 위축되는 증상, 임산부가 난산으로 힘들 때, 노인과 허약자의 정신쇠약과 복통으로 치료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특히 중국 약재시장에서 해마 소비량은 연간 2억 5천 마리에 달하며, 그 가격도 1 kg에 200만원에서 높게는 1000만원을 호가하는 고급약재로 이용되고 있다. 이렇게 중국에서 소비되는 해마는 대부분 자연산으로, 동남아 등지에서 자연 채취하여 조달하여 왔다.
그러나 2004년,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 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 CITES)'은 해마를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하여 자연 상태에서의 불법포획이 금지하였고, 동남아 등지에서도 자국의 수산자원 보존을 위하여 포획을 금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자연 상태에서는 낮은 번식률과 느린 유영으로 쉽게 포획되는 해마는 그 시장이 커지면서 그 동안 무차별적으로 남획되어, 실제로 필리핀 등의 일부 동남아 지역의 해마 개체군은 70% 이상 감소된 상태로 알려졌다.
그런데, CITES에서는 자연산에 대해서만 규제하기 때문에 양식시설에서 생산된 양식 해마는 그 규제 대상에서 제외되어 국제 무역의 대상생물로 이용 가능하다. 그러나 해마는 환경에 민감하여 작은 환경변화에도 쉽게 대량 폐사를 일으키는 폐사율이 매우 높은 종으로 양식이 어려운 어종으로 손꼽혀 왔다.
현재 해마를 양식하고 있는 나라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중국과 호주 등 16개국 뿐이다. 1957년 중국의 광동성에서 처음 인공번식이 진행된 이래, 해마 인공번식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상업적 규모의 양식은 1990년대에 호주, 뉴질랜드 및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특히, 2000년 이후 호주가 big-belly seahorse(H. abdominalis)를 대상으로 해마 대량 양식을 진행하면서 호주와 뉴질랜드 9개 업체가 매달 17만 마리를 출하할 수 있는 양식 시스템을 갖추고 세계 관상어 시장과 중국의 약재시장에 진출해 있다. 또한 해마 최대 소비국인 중국에서도 해마의 양식과 보존, 관리에 관한 워크숍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세계 해마 양식 전쟁에 뛰어 들고 있다.
해마 양식에서 가장 어렵고도 중요한 부분은 해마 자어, 치어의 생존율을 높이는 것이다. 특히 해마는 지느러미를 이용하여 수직유영을 하면서 부레에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상하로 움직이는데, 이 과정에서 공기를 지나치게 흡입하게 되면 물 표층에 떠올라 바닥으로 내려갈 수 없게 되어 먹이를 제대로 먹지 못해 죽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출산 후, 12일 이내에 대량폐사가 일어나므로 이때의 생존율을 높이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해마 양성 과정 중 먹이로 부화시킨 알테미아, 로티퍼, 곤쟁이류를 사용하게 되는데, 해마의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살아있는 먹이수급의 곤란과 경제성 때문에, 냉동 곤쟁이로 전환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냉동 곤쟁이로의 먹이 전환은 쉬운 것은 아니며, 섭이되지 않은 냉동 곤쟁이는 일부가 부유하면서 사육수의 관리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또한 부유하는 곤쟁이를 따라 해마가 사육수면으로 올라오면서 사육수 표면에서 표류하다가 폐사하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해마 대량 양식에서 사육수 표면에 부유하는 섭이되지 않은 먹이 등의 이물질 제거는 사육수질 관리에도 필요할 뿐만 아니라, 표류성 개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해마의 폐사율을 낮추는 데도 중요하다. 따라서, 부유 이물질을 지속적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해마 양성용 사육수조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54365호에서는 해마 치어가 사육될 수 있도록 해수가 채워진 수조와, 주광성 특징을 갖는 해마 자ㆍ치어의 먹이생물이 수조에 채워진 해수의 중앙 영역에 모일 수 있도록 상기 수조에 채워지는 해수 내부에 위치하며 빛을 발산하는 등으로 구성됨으로써, 해마치어의 먹이생물이 해수 중앙영역에 모이도록 하여 해마치어가 섭식 중에 수면의 기포를 들이마셔 폐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해마치어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해마치어용 사육수조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12043호에서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수위조절파이프, 상기 수위조절 파이프 하단에서 일정거리의 간격을 갖고, 수위조절파이프와 일정 공간을 유지하여 외측을 감싸는 배수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배수 파이프 내부 바닥은 밀폐되고 배수파이프 몸통의 일부에는 사육수 조절용 통공이 형성된 양식생물이 사육되는 수조에서 일정량의 사육수를 지속적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수위조절파이프와 배수파이프를 결합한 배수장치로서 바닥부 수조 재질이 얇아 바닥에 이중관 파이프 구조가 불가능한 사육수조에서도 하나의 파이프 배수관으로 배수장치를 형성하여 사육수의 수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유리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사육수조용 이중 배수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12234호에서는 각종어류를 양식하는 양식장수조의 배수구를 차단하는 배출수단이 평상시에는 자력에 의해 차단상태를 유지하다가 수조내로 유입되는 수량이 어느 정도 증가하게 되면 배출수단이 자력에 대항하여 순간적으로 열리면서 수조내의 물이 일정시간동안 빠른 유속과 강한수류를 이루면서 배출되게 하여 수조내부의 각종 찌꺼기들은 쉽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면에 설치되는 슬러지 수거수단에 의해 수조의 부유이물질들도 함께 신속, 간편하게 수거배출 할 수 있도록 한 어류 양식수조의 급배수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284941호에서는 적어도 하단 일부가 개방된 상태로, 수족관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상하경로와; 상기 상하경로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기; 그리고 상기 상하경로의 상단 외주연에 설치되는 필터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기포발생기가 발생한 기포에 의하여 상하경로의 상단부에서의 물을 상기 필터수단이 정수할 수 있는 수족관용 정수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 발명들은 본 발명의 사육수면을 따라 위치한 가로배수관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사육수면에 부유하는 이물질이 환수과정 중 함께 배수되는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수조와는 그 구성 및 효과에서 차이를 보인다.
종래 해마 양식 과정 중, 살아있는 먹이에서 냉동먹이로 먹이를 전환하면서 섭식하지 못한 먹이 찌꺼기가 다량으로 사육수면에 부유하면서 양식 해마가 사육수 표면으로 유인되어 종국에는 양식 해마의 폐사율이 증가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육수면에 부유하는 먹이를 포함한 이물질을 신속하게 제거하여 양식 해마가 사육수면에 떠올라 폐사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육수의 수질을 관리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면적의 바닥과 외벽을 갖고 사육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조, 상기 수조 일측에 형성되어 수조 측면을 따라 사육수를 분사하여 수조 내에 일정 방향의 수류를 형성시키면서 사육수를 주입할 수 있는 사육수주입관, 상기 수조의 사육수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 상기 수조의 바닥 일면에 설치되고, 중앙에 배수를 위한 통공을 갖는 세로배수관, 상기 세로배수관의 일단에 연결되고, 수조 내에 형성된 와류와 만나는 부분에 사육수면을 따라 통공이 형성되어 사육수를 배수하는 가로배수관, 상기 가로배수관과 세로배수관을 따라 배수되는 사육수를 수조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용 사육수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용 사육수조를 이용하여 해마를 양식하면서 급이 되지 않은 냉동 먹이 및 이물질을 따로 에너지를 사용하여 펌프를 구동하지 않더라도 일반적인 환수과정 중 사육수면에 부유하는 즉시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써 양식 해마가 부유 먹이에 유인되어 사육수면으로 올라와 표류하다가 폐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해마의 대량 양식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용 사육수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용 사육수조의 외부배수관형 단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용 사육수조의 가로배수관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용 사육수조의 가로배수관 작용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용 사육수조의 해마사육 상태를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어류양식 중, 사육수 수면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양성수조에 관한 것으로서, 해마의 양식 과정 중, 생물 먹이에서 냉동먹이로 전환하면서 발생하는 부유 이물질의 신속한 제거가 필요해 지면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수조의 단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일정 면적의 바닥과 외벽을 갖고 사육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조(100), 상기 수조(100) 일측에 형성되어 수조 측면을 따라 사육수를 분사하여 수조 내에 일정 방향의 와류를 형성시키면서 사육수를 주입할 수 있는 사육수주입관(110), 상기 수조(100)의 사육수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130), 상기 수조의 바닥 일면에 설치되고, 중앙에 배수를 위한통공을 갖는 세로배수관(240), 상기 세로배수관의 일단에 연결되고, 수조 내에 형성된 와류와 만나는 부분에 사육수면을 따라 통공이 형성되어 사육수를 배수하는 가로배수관(230), 상기 가로배수관(230)과 세로배수관(240)을 따라 배수되는 사육수를 수조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관(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수조에 관한 것이다.
해마 치어는 주로 로티퍼나 알테미아 등을 부화시켜 살아있는 상태의 생물 먹이를 급이한다. 이러한 생물 먹이는 이들의 주광성 등을 이용하여 해마 치어의 수조 내 분포 등을 유도하는 데에 용이하게 이용하기도 하며, 해마 치어의 성장 단계와 영양 상태에 따라서 영양을 강화하여 급이하기에도 편리하다.
그러나 이러한 생물 먹이는 해마 치어가 성장하면서 그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대량의 급이를 하기에는 그 수급에 제한이 있다. 특히, 생물 먹이의 생장단계에 따라 영양이 부족해질 수 있으며, 적당한 생장단계의 생물 먹이를 적기에 대량 공급하기에는 먹이 배양에 많은 시간과 공간 및 인력이 투여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소하고 경제적인 해마 양식을 위하여 해마의 적절한 성장 단계에서 생물 먹이를 냉동 곤쟁이 등으로 전화시켜 줄 필요가 있다. 이러한 냉동 먹이는 따로 준비과정이 필요 없이 원하는 때에 필요한 양을 공급할 수 있으며, 급이되는 먹이의 영양도 컨트롤이 쉬운 잇점이 있다.
그러나 생물 먹이에서 냉동 먹이로의 사료 전환은 쉬운 일이 아니어서, 적절한 조건과 시기를 맞추어 전환해야 한다. 먹이 전환 과정에서 사육 수조에 급이된 냉동 곤쟁이 등이 해마에 의하여 섭이되지 않은 채, 사육수에 휩쓸려 다니다가 사육수면 위를 부유하게 되면, 해마는 먹이를 찾아 사육수면 위로 부상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해마가 사육수면으로 올라가 공기면과 접하면서 공기를 먹거나, 보육낭에 기포가 들어가면 상하 유영능력을 잃는 해마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해마는 사육수조 아랫쪽로 이동하지 못하고 사육수조의 표면을 떠다니다가 폐사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한다. 따라서 사육수면 위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신속하게 제거하는 것은 해마 양식에서 꼭 필요한 작업이다. 종전에는 급이되지 않고 부유되는 이물질을 뜰 채를 사용하여 수시로 떠내어 제거하여 왔으나 지속적인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수조(100) 내의 사육수는 공급되는 사육수 또는 공기로 인하여 일정 방향으로 수류를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수류 등은 양식 과정에서 바닥에 침적될 수 있는 이물질 등을 용승시킴으로써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렇게 양식 수조에서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부유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공급되는 사육수가 수조 중앙을 중심으로 효율적으로 일정한 수류를 형성하면서 수조의 바닥으로 물을 공급하여 수조내의 물이 상하교류가 원활하게 이루어 지면서 바닥에 유기물의 침강을 막아 깨끗한 바닥환경을 만들도록 하기 위하여 사육수주입관(110)을 수조 하부까지 연장시키고, 사육수 주입방향을 수조(100) 벽면과 평행하도록 배치하였으며, 밸브(120)로 사육수 주입량과 함께 수류의 속도를 조절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서 주입된 사육수는 수조(100) 벽면을 따라 수조를 돌며 일정 방향의 흐름을 갖는 수류를 형성시키게 되고, 이 힘은 수조 상부까지 전달되게 된다. 이때 수류가 양식 해마에 과도한 응력을 가하지 않도록 밸브(120)로 수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사육수 내의 수류는 사육수의 공급 이외에 공기공급을 통하여도 형성될 수 있다. 공기공급관(130)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일정한 압력으로 사육수 밀면서 수조 내에 수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기포생성기(140) 또는 블로어를 수조(100) 측면 방향으로 설치하거나, 벤추리관을 설치하여 일정한 압력을 가해 수조 내에 수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사육수 내에 형성된 수류에 의하여 사육수 내에 급이된 먹이가 섭이되지 않고 사육수면에 떠오르게 되고 아울러 사육수면에 부유하던 이물질과 함께 사육수면을 따라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사육수면을 따라 통공이 형성된 가로배수관(230)으로 사육수와 함께 배수된다.
가로배수관(230)은 사육수면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사육수의 수류방향과 만나는 면에 통공이 형성되어 이 통공을 통하여 사육수가 배수된다. 또한 통공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은 벽이 형성된 가로배수관으로 형성되어 부유 이물질을 함유한 사육수는 회수되지 않고 그대로 배수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일반적인 사육수의 환수과정을 통해 공급된 사육수의 양만큼 사육수는 배수되며 수조 내의 수류 작용에 의해 사육수면에 부유한 이물질이 사육수와 같이 배수되게 된다. 사육수의 환수량은 사육수주입과 배수량에 의하여 결정되며 가로배수관(230)이 형성되는 높이에 따라 수조(100) 내의 저장 사육수량이 결정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수조의 외부배수관형 단면사시도이다. 배수관(300)과 연결되는 세로배수관(240)은 수조(100)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세로배수관(240)은 배수관(300)과 같은 역할을 하며, 사육수면에 부유하는 부유 이물질 이외에 수조(100) 내에 침적할 수 있는 이물질의 배출을 위하여 다른 배수장치를 더 설치할 수 있다(미도시). 가로배수관이 수조 내부에 형성되고 배수관이 외부에 형성되는 구조는 기존의 수조에 비하여 수조 바닥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수조의 가로배수관(230) 분해사시도이다. 가로배수관(230)에 형성된 통공은 사육수면에 부유하는 섭이되지 않은 먹이 등의 이물질을 신속히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배출 통공에 양식 해마 등이 함께 쓸려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로배수관(230)의 통공을 덮을 수 있도록 배수망(200)을 형성한다.
배수망(200)의 망목은 해마의 성장 단계에 따른 체장에 의해 결정하며, 너무 작을 경우 부유 이물질이 배수망에 걸려 쌓이면서 막힐 수 있으므로 적절한 크기로 사용한다. 또한 배수망(200)은 망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가로배수관(230)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하였으며, 배수망(200)은 망틀(210)에 고정되고 망틀(210)은 배수관(300)에 끼워서 체결하며, 고정캡(220)으로 가로배수관(230) 일단을 막아서 마무리한다.
망틀(210) 또는 가로배수관(230)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길이를 갖는 이물질수집턱(250)이 가로배수관(230)의 가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수집턱(250)은 사육수가 표면에서 일정한 유속으로 회전하는동안 표면 아래에 위치함으로서 수표면에 떠 있는 이물질을 가로 배수관(230)을 넘어갈 수 없도록 막아서 배수망(200)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물질수집턱(250)의 길이는 1~3 cm 정도의 길이로 돌출되는 것이 적절하며, 수면에 대하여 하방으로 30~60˚의 각도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수조의 가로배수관 작용도이다. 수조(100) 내 사육수의 수면 높이는 가로배수관(230)의 높이와 같게 유지되어 사육수주입관(110)으로 공급되는 사육수와 배수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일정량이 사육수가 환수됨과 동시에 부유 이물질을 포함한 사육수가 이물질수집턱(250)에 의해 걸러지면서 배수망(200)으로 집입하여 배수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수조의 해마사육 상태를 나타낸 단면사시도이다. 도 5의 해마 양성용 사육수조는 배수관이 사육수조 중심부에 위치하는 형태로서 중심을 기준으로 배수관의 일단 수면 상부에 가로배수관(230)이 'ㄱ'자 파이프를매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2에서 도시한 배수관이 외부에 형성된 것과 달리, 수조 중심에 배수관이 형성됨으로써 바닥 면적의 활용도는 낮을 수 있으나 해마 양성 후, 사육수조의 청소 등이 유용한 면이 있다.
수조 내부에는 사육되는 해마가 수중에 정착할 수 있도록 꼬리걸이(400)를 형성함으로써 해마의 습성에 따른 휴식처를 제공할 수 있다. 꼬리걸이(400)는 수류가 갖는 유속에 의해 수조 바닥에서 움직일 수 있으므로 고정핀 등으로 고정하여 일정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해마는 세계적인 공급부족에도 불구하고 양식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어류로, 이는 해마의 양식과정이 매우 까다롭고 해마의 성장 단계에 따라 대량 폐사가 자주 일어나면서 적합한 양식방법을 수립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부유 이물질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는 본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 수조에서 해마의 양식하는 과정을 통하여 표류성 개체의 출현을 억제하여 폐사율을 낮추는 면에서 매우 양호한 양식 성적을 거두었으며, 이는 한국에 적합한 해마 양식 방법의 수립에 있어 중요한 과정 중 하나라 사료된다.
또한 본 발명의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수조는 따로 배수나 이물질 제거를 위하여 에너지를 사용하여 펌프를 작동시킬 필요 없이 일반적인 사육수 환수과정을 통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해마 양식 이외에 부유 물질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는 양식 수조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수조에 관한 것으로 이를 이용하여 해마를 양식하면서 급이되지 않은 냉동 먹이 및 이물질을 따로 에너지를 사용하여 펌프를 구동하지 않더라도 일반적인 환수과정 중 사육수면에 부유하는 유막과 부유유기잡물을 즉시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써 양식 해마가 부유 먹이에 유인되어 사육수면으로 올라와 표류하다가 폐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해마의 대량 양식 및 양식어민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100 : 수조 110 : 사육수주입관
120 : 밸브 130 : 공기공급관
140 : 기포발생기
200 : 배수망 210 : 망틀
220 : 고정캡 230 : 가로배수관
240 : 세로배수관 250 : 이물질수집턱
300 : 배수관
400 : 꼬리걸이
a : 사육수면

Claims (5)

  1. 일정 면적의 바닥과 외벽을 갖고 사육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조; 상기 수조 일측에 형성되어 수조 측면을 따라 사육수를 분사하여 수조 내에 일정 방향의 수류를 형성시키면서 사육수를 주입할 수 있는 사육수주입관; 상기 수조의 사육수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 상기 수조의 바닥 일면에 설치되고, 중앙에 배수를 위한 통공을 갖는 세로배수관;
    상기 세로배수관의 일단에 연결되고, 수조 내에 형성된 와류와 만나는 부분에 사육수면을 따라 가로로 형성된 파이프의 일측면이 개방된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에는 망틀과 배수망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사육수를 배수하는 가로배수관;
    상기 가로배수관 또는 망틀의 가로방향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일정각도를 갖는 이물질 수집턱이 형성되고;
    상기 가로배수관과 세로배수관을 따라 배수되는 사육수를 수조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용 사육수조
  2. 일정 면적의 바닥과 외벽을 갖고 사육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조; 상기 수조 일측에 형성되어 수조 측면을 따라 사육수를 분사하여 수조 내에 일정 방향의 수류를 형성시키면서 사육수를 주입할 수 있는 사육수주입관; 상기 수조의 사육수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 상기 수조의 외부에 설치되어 일단에는 배수를 위한 통공을 갖는 세로배수관;
    상기 세로배수관의 타단에 연결되고, 수조 내부로 연장되어 사육수에 형성된 와류와 만나는 부분에 사육수면을 따라 통공이 형성되어 사육수를 배수하며, 사육수면을 따라 가로로 형성된 파이프의 일측면이 개방된 통공에는 망틀과 배수망이 탈착가능하게 형성되는 가로배수관;
    상기 가로 배수관 또는 망틀의 가로방향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일정 각도를 갖는 이물질 수집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용 사육수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조 바닥의 일측에는 해마의 꼬리걸이가 고정 장치에 의해 사육수조 바닥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용 사육수조
  4. 삭제
  5. 삭제
KR1020150071448A 2015-05-22 2015-05-22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용 사육수조 KR101728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448A KR101728224B1 (ko) 2015-05-22 2015-05-22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용 사육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448A KR101728224B1 (ko) 2015-05-22 2015-05-22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용 사육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996A KR20160136996A (ko) 2016-11-30
KR101728224B1 true KR101728224B1 (ko) 2017-04-21

Family

ID=57707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448A KR101728224B1 (ko) 2015-05-22 2015-05-22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용 사육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2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2874A (ko) * 2019-12-26 2021-07-06 어업회사법인 가비 주식회사 무척추동물 유생 사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47383A (zh) * 2017-03-16 2017-08-18 广西精工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海马幼苗养殖技术
CN107667916A (zh) * 2017-08-29 2018-02-09 天津农学院 一种幼海马使用冰冻饵料的育苗方法
CN108770734A (zh) * 2018-03-23 2018-11-09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一种大规模灰海马亲海马配对方法
CN108901946A (zh) * 2018-06-26 2018-11-30 青岛浩然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长方体框架式海马附着基
CN109548716A (zh) * 2018-12-26 2019-04-02 福建省水产研究所(福建水产病害防治中心) 一种线纹海马稚、幼鱼阶段生态培育方法
KR102647638B1 (ko) * 2021-11-04 2024-03-13 임새해 수족관용 정수장치
KR102612549B1 (ko) * 2023-06-27 2023-12-11 강원특별자치도 육상양식 사육수조의 중앙집중식 버켓형 드레인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378B1 (ko) * 2012-10-11 2013-02-05 대한민국 뱀장어 초기 자어 사육수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378B1 (ko) * 2012-10-11 2013-02-05 대한민국 뱀장어 초기 자어 사육수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최영웅외 4, 한국산 해마, 'Hippocampus coronatus의 출산과 초기성장', 한국양식학회지 Vol.19(2):109~118, 2006.(발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2874A (ko) * 2019-12-26 2021-07-06 어업회사법인 가비 주식회사 무척추동물 유생 사육장치
KR102352621B1 (ko) 2019-12-26 2022-01-19 어업회사법인 가비 주식회사 무척추동물 유생 사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996A (ko)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224B1 (ko)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용 사육수조
CN101637136B (zh) 一种池蝶蚌幼蚌的繁育方法
CN100577002C (zh) 松江鲈鱼夏花苗种的生产方法
JP5629288B2 (ja) 魚介類養殖装置並びに養殖方法
CN103070122B (zh) 曼氏无针乌贼受精卵的孵化选优方法及专用装置
KR101606673B1 (ko) T자형 굴곡을 갖는 전복 양식용 쉘터
KR101773247B1 (ko)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 치어 양식수조
James Culture of sea-cucumber
CN202444962U (zh) 陆龟幼龟养殖装置
KR101475414B1 (ko) 육상축제식 양식장을 활용한 어패류의 고생산성 양식을 위한 원스톱(One-stop) 복합 양식 시스템 및 양식 방법
CN110269020A (zh) 一种自反馈式淡水珍珠养殖系统及其养殖方法
CN102640718A (zh) 池塘小网箱养殖匙吻鲟苗种方法及网箱
KR101549211B1 (ko) 어린 패류의 상향식 수류 실내사육장치
CN101103712A (zh) 斑点叉尾鮰人工孵化方法
KR101170304B1 (ko) 양식어류와 갯지렁이의 복합양식 시스템 및 방법
CN104472406B (zh) 一种虎斑乌贼室内水泥池养殖方法
CN203194305U (zh) 曼氏无针乌贼受精卵的孵化笼
Vijaykumar et al. Low cost breeding and hatching techniques for the catfish (Heteropneustes fossilis) for small-scale farmers
KR101744393B1 (ko) 해마 자, 치어 생산방법
CN100484396C (zh) 一种头足类苗种培育的方法及所用的装置
KR101479839B1 (ko) 관상어 번식 축양용 복합수조
KR100760272B1 (ko) 패류 유생 생산용 수조
CN103798119B (zh) 池塘多功能浮萍培育网箱
CN104137799B (zh) 野生东北七鳃鳗的人工繁育方法
CN203801508U (zh) 一种光唇鱼亲鱼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507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701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2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