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393B1 - 해마 자, 치어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해마 자, 치어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393B1
KR101744393B1 KR1020150071441A KR20150071441A KR101744393B1 KR 101744393 B1 KR101744393 B1 KR 101744393B1 KR 1020150071441 A KR1020150071441 A KR 1020150071441A KR 20150071441 A KR20150071441 A KR 20150071441A KR 101744393 B1 KR101744393 B1 KR 101744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ppocampus
water
breeding
days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6993A (ko
Inventor
노섬
노경언
신상옥
Original Assignee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천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천마 filed Critical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천마
Priority to KR1020150071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393B1/ko
Publication of KR20160136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마 친어를 입식하는 단계(A), 상기 (A)단계의 해마 친어를 암수 1:1의 비율로 교미시키는 단계(B), 상기 (B)단계에서 출생한 해마 치어를 수집하는 단계(C), 상기 (C)단계의 해마 치어를 출생 1일 내지 5일 이내에 사육수를 기수 염도로 단계적으로 순치시키는 단계(D), 상기 (D)단계의 해마 치어를 15~30일 이내에 사육수를 해수 염도 로 재순치시키는 단계(E)를 포함하며, 상기 (C)단계, (D)단계, 또는 (E)단계는 사육수조의 저면에서 빛을 조사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마치어 생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해마 자어, 치어의 폐사율을 낮추고 안정적이고 양식 가능한 해마 치어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해마 자, 치어 생산방법{Aquaculture method for seahorse fry}
본 발명은 해마의 치어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마 친어를 교미시켜 얻은 자어를 저염도 해수에 순치하고 사육수조 하부에 조명을 함으로써 해마치어의 생존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해마치어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래전부터 해마(sea horse)는 어류로 보기에는 독특한 체형과 수컷이 난태생인 자어를 출산하는 등의 특이한 생활사로 사람들의 관심이 되어 왔다. 해마는 해룡(seadragon), 실고기(pipefish)와 더불어 실고기과(Syngnathidae)에 속하는 경골어류로서, 세계적으로 36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는 복해마(Hippocampus kuda), 가시해마(H. hiatrix), 왕관해마(H. coronatus), 산호해마(H. mohnikei)와 점해마(H. trimaculatus) 등 5종이 알려져 있으며, 잘피나 모자반 등 해초와 해조군락에서 서식하고 있다.
해마는 기질에 몸을 고정할 수 있는 꼬리를 가지고 있으며, 머리는 몸통과 직각을 이루고 있다. 해마는 일생을 일부일처제로 살며 수컷이 새끼를 낳는 특이한 방식으로 번식한다. 번식기가 되면 암컷과 수컷이 서로 꼬리를 감아 교미하고, 이때 암컷은 수컷의 배에 있는 주머니(보육낭) 속에 알을 낳는다. 이때부터 수컷은 수정란을 돌보고 부화시킬 뿐 아니라, 태어난 새끼가 어느 정도 자라 독립할 때까지 뱃속에서 키운다. 수컷의 배가 점점 불러오고, 새끼 해마가 1 cm 정도까지 자라면 수컷은 이미 성체의 모양을 지닌 새끼 해마를 몸에서 내보낸다.
해마는 그 독특하면서도 아름다운 외관과 느리지만 우아한 움직임으로 세계 관상어 시장에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천식에서 발기부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우리나라의 동의보감에서도 해마는 간과 신장에 작용하여 양기를 보호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한다고 하였으며, 신장의 양기가 허약하여 생기는 발기불능, 야뇨증, 고환이 위축되는 증상, 임산부가 난산으로 힘들 때, 노인과 허약자의 정신쇠약과 복통으로 치료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특히 중국 약재시장에서 해마 소비량은 연간 2억 5천 마리에 달하며, 그 가격도 1 kg에 200만원에서 높게는 1000만원을 호가하는 고급약재로 이용되고 있다. 이렇게 중국에서 소비되는 해마는 대부분 자연산으로, 동남아 등지에서 자연 채취하여 조달하여 왔다.
그러나 2004년,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 CITES)'은 해마를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하여 자연 상태에서의 불법포획을 금지하였고, 동남아 등지에서도 자국의 수산자원 보존을 위하여 어업금지령까지 내리고 있는 실정이다. 자연 상태에서는 낮은 번식률과 느린 유영으로 쉽게 포획되는 해마는 그 시장이 커지면서 그 동안 무차별적으로 남획되어, 실제로 필리핀 등의 일부 동남아 지역의 해마 개체군은 70% 이상 감소된 상태로 알려졌다.
그런데, CITES에서는 자연산에 대해서만 규제하기 때문에 양식시설에서 생산된 양식 해마는 그 규제 대상에서 제외되어 국제 무역의 대상생물로 이용 가능하다. 그러나 해마는 환경에 민감하여 작은 환경변화에도 쉽게 대량 폐사를 일으키는 폐사율이 매우 높은 종으로 양식이 어려운 어종으로 손꼽혀 왔다.
현재 해마를 양식하고 있는 나라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중국과 호주 등 16 개국 뿐이다. 1957년 중국의 광동성에서 처음 인공번식이 진행된 이래, 해마 인공번식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상업적 규모의 양식은 1990년대에 호주, 뉴질랜드 및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특히, 2000년 이후 호주가 big-belly seahorse(H. abdominalis)를 대상으로 해마 대량 양식을 진행하면서 호주와 뉴질랜드 9개 업체가 매달 17만 마리를 출하할 수 있는 양식 시스템을 갖추고 세계 관상어 시장과 중국의 약재시장에 진출해 있다. 또한 해마 최대 소비국인 중국에서도 해마의 양식과 보존, 관리에 관한 워크숍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세계 해마 양식 전쟁에 뛰어 들고 있다.
그러나 해마의 세계적인 공급부족에도 해마 양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이유 중 하나는 해마 자어, 치어의 폐사율이 매우 높으며, 양식 단계에 따라서 먹이, 생육 조건 등이 매우 까다롭기 때문에 그 양식 방법의 확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해마는 지느러미를 이용하여 수직유영을 하면서 부레에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상하로 움직이는데, 이 과정에서 공기를 지나치게 흡입하게 되면 물 표층에 떠올라 바닥으로 내려갈 수 없게 되어 먹이를 제대로 먹지 못해 죽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해마 출산 후, 12일 이내에 주로 대량폐사가 일어나, 양식 가능한 치어 단계의 해마조차 생산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어 왔으며, 이후에도 먹이 섭식과 생육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해마의 치어생산 방법과 양식 방법의 수립을 위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54365호에서는 해마 치어가 사육될 수 있도록 해수가 채워진 수조와, 주광성 특징을 갖는 해마 치어의 먹이생물이 수조에 채워진 해수의 중앙 영역에 모일 수 있도록 상기 수조에 채워지는 해수 내부에 위치하며 빛을 발산하는 등으로 구성됨으로써, 해마치어의 먹이생물이 해수 중앙영역에 모이도록 하여 해마치어가 섭식 중에 수면의 기포를 들이마셔 폐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해마치어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해마치어용 사육수조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79406호에서는 해수 순치 및 양식 방법은 송어 및 연어류의 치어를 사육조 내로 이동시키고, 상기 사육조 내의 용수의 염도를 연속적으로 증가시켜 해수에 상응하는 염도에서 생존 가능하도록 적응시키는 해수적응단계와, 상기 해수적응단계를 거친 어류를 해수에서 양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어 및 연어류의 해수순치 및 양식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20041호에서는 어류의 알을 담수조 내에서 부화시켜 일정시간 성장시키는 부화성장단계와, 상기 부화성장단계를 거친 어류를 양식수조 내로 이동시키고 양식수조 내의 용수의 염도를 일정시간마다 단계적으로 증가시 켜 해수에 상응하는 염도에서 생존 가능하도록 적응시키는 해수적응단계와, 상기 해수적응단계를 거친 어류를 출하하는 출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투압 조절능력을 이용한 철갑상어, 산천어, 무지개 송어 증의 어류의 양식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111066호에서는 ⅰ) 염분 7.5‰ 이하에서 48시간 해수 순치하는 단계; ⅱ) 염분 15‰ 이하에서 48시간 해수 순치하는 단계; 및 ⅲ) 염분 22.5‰ 이하에서 48시간 해수 순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철갑상어의 단계별 해수순치 방법 및 염분 30‰이하에서 저장 또는 유통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들은 회유성 어류의 해수 및 담수로의 순치 및 양식과정의 편리성을 위한 해수 순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마의 양식 과정 중 염도 조절 단계를 포함하여 양식 해마의 생존율을 높이는 해마 양식 방법과는 그 목적, 구성 및 효과에서 차이를 보인다.
해마는 전세계적으로 매년 공급 부족이 계속되고 있어 고부가가치의 양식 어종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해마의 양식은 치어, 자어의 치사율이 매우 높아 해마 양식이 매우 까다로웠다. 특히, 해마 출생 후 12일 이내에 대량 폐사가 발생하면서 양식 가능한 해마 치어의 생산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해마 출생 후, 여러 가지 사육 조건을 다각도로 연구하여 안정적으로 양식이 가능한 해마 치어를 생산하는 방법의 수립이 절실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해마 자어, 치어의 폐사율을 낮추고 안정적이고 양식 가능한 해마 치어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마 친어를 입식하는 단계(A), 상기 (A)단계의 해마 친어를 암수 1:1의 비율로 교미시키는 단계(B), 상기 (B)단계에서 출생한 해마 치어를 수집하는 단계(C), 상기 (C)단계의 해마 치어를 출생 1일 내지 5일 이내에 사육수를 기수 염도로 단계적으로 순치시켜 사육하는 단계(D), 상기 (D)단계의 해마 치어를 15~30일 이내에 사육수를 해수 염도로 재순치시키는 단계(E)를 포함하며, 상기 (C)단계, (D)단계, 또는 (E)단계는 사육수조의 저면에서 빛을 조사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마치어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마 치어 생산방법을 통하여 대량 폐사를 일으켰던 해마 출생 초기의 해마 자어 생존율을 현저하게 높여 양식 가능한 해마치어를 생산함으로써 고부가가치의 해마 양식이 가능하고, 이를 통하여 양식 어민의 수입 증대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해마치어 생산방법의 체계적 단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한 5종의 해마 H. kuda, H. reidi, H. barbouri, H. abdominalis,H. coronatus을 외부형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염도 18 ppt에서 사육한 H. abdominalis 자어의 사육기간 경과에 따른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해마치어 생산을 위한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치어용 양식수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은 H. kuda, H. reidi, H. barbouri, H. abdominalis,H. coronatus 해마 자어 출생 후, 각 critical period 중, 수조 저면에서 빛을 조사하고, 18 ppt의 저염도 사육수로 순치하여 사육하며 해마 자어의 체장 변화와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해마 양식에 있어서, 출산 직후부터 먹이 섭식을 안정적으로 하여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치어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해마치어 생산방법을 수립하기 위하여 실시한 실험들을 근거로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해마 친어가 출산하면 성어와 같은 모양을 지니고 태어난다. 그러나 유영능력이 약하고 꼬리를 지지체(기질)에 감아 사육 수조 하부에 안정적으로 착저하지 못한 자어들은 사육수의 수류에 휩쓸려 다니다가 폐사하고 만다. 이러한 대량 폐사는 양식 과정 중, 해마 종류에 따라 2~3회 발생하며 본 발명자들은 이렇게 폐사 위험이 높은 시기를 해마 종류마다 critical period로 구분하여 관리하였다.
해마 양식에서 대량폐사의 위험이 있는 critical period는 해마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출산 직후부터 7일까지, 10~16일, 그리고 80~90일 사이였으며, 특히 출산 직후부터 약 30~50일 정도 폐사율을 저감시키는 것이 건강한 해마 치어생산에 가장 중요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해마의 출산 직후부터 30~50일까지의 사육조건을 수립하면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해마치어 생산방법의 체계적 단계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해마 친어를 입식하는 단계(A), 상기 (A)단계의 해마 친어를 암수 1:1의 비율로 교미시키는 단계(B), 상기 (B)단계에서 출생한 해마 치어를 수집하는 단계(C), 상기 (C)단계의 해마 치어를 출생 1일 내지 5일 이내에 사육수를 기수 염도로 단계적으로 순치시켜 사육하는 단계(D), 상기 (D)단계의 해마 치어를 15~30일 이내에 사육수를 해수 염도 로 재순치시키는 단계(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마치어 생산방법으로, 상기 (C)단계, (D)단계, 또는 (E)단계는 사육수조의 저면에서 빛을 조사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해마 친어 관리
해마류의 대량생산을 위한 대상종은 ① 미관과 체색을 고려한 외부형태, ② 관상용과 산업용으로 사용될 것에 대비하여 체형이 대형일 것 ③ 우리나라 환경 특성을 고려하여 생산 원가를 낮출 수 있는 경제적인 종일 것 ④ 종 특이성을 감안하여 성장이 빨라 생산이 용이할 것 등을 선정 기준으로 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한 5종의 해마 H. kuda, H. reidi, H. barbouri, H. abdominalis,H. coronatus의 외부형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상기의 해마 어종 선정기준을 토대로 최종적으로 수입종 H. kuda, H. reidi, H. barbouri H. abdominalis와 국내산 H. coronatus 1종 모두 5종을 선택하여 사육하였다.
해마 친어는 실험수조에 수용되기 전 예비수조에서 유수식으로 2~3일 안정시킨 후, 담수욕과 포르말린 100ppm으로 1시간 씩 3일 처리하여 질병 및 기생충 소독을 한 후 실험수조로 이동시켰다.
2. 출산 자어의 확보
실험수조에 충분히 순치된 해마 친어는 암수 각각 30마리씩 10개 원형수조(500L)에 수용하여 암수 비율이 1:1이 되도록 하여 교미시켰다. 완전양식 기술이 확립된 일반적인 어류에서는 종묘의 생산시 암컷의 난과 수컷의 정액을 분리하여 수집한 후, 인공수정을 통해 자어, 치어를 발생시킨다.
이에 반해, 해마류는 암수(커플)의 자연적인 교미를 통해 암컷이 수컷의 보육낭에 알을 낳도록 유도하고, 수컷은 2~4주 후에 아기 해마를 출산하는 자연스러운 과정을 통해 자어를 얻게 된다. 해마류의 수컷은 교미가 끝나면 출산수조로 옮겨지며, 종에 따라서 매월 약 200~1,000 마리를 출산하는데, 출산 직후, 자어를 분리, 선별하여 자어를 확보한다.
3. 자ㆍ치어사육
(1). 기수 순치에 의한 폐사율 감소
출생 직후의 해마 자어는 유영능력이 떨어지고 사육 수조 하부에 안정적으로 착저하지 못하면서 5~7일 이내에 대량 폐사하는 경우가 빈번하였고, 100%의 자어가 전량 폐사하는 경우도 많아 해마 양식에 큰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폐사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해마의 자어, 치어가 서식하는 자연 생태환경을 고려하여 종묘생산 실험을 하였다. H. abdominalis의 서식지는 주로 얕은 수심의 수초가 우거져 있는 곳이며, H. kuda의 경우, 기수지역의 망그로브가 우거져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H. abdominalis H. kuda는 저염분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을 것으로 추측되며, 만일 이들 종의 해마 치어가 저염분 환경에 적응하여 생존한다면 염도조절을 위한 에너지 소비 및 이와 관련된 대사율에 변화를 주어 먹이섭취나 소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근해 연안, 또는 망그로브 서식지의 일반적인 염도인 18 ppt의 염수환경에서 해마 치어를 순치시키고 먹이 섭이와 성장상태 및 폐사율을 측정하였다. 사육수의 염도조정을 하는 시기에 해마자ㆍ치어의 사육방법은 반지수식방법을 택하여 염분조정을 해주는 시기는 원칙적으로 지수식으로 하여주고 4-5일 간격으로 필요에 따라 자치어가 잠을 자는 야간에만 조정된 염분도의 물을 유수시켜 수질의 안정과 남아있는 먹이생물과 유기물을 원활하게 배출시켰다.
저염도 사육을 위하여 H. abdominalis 자어를 출생 직후 각 300마리씩 4개 실험수조에 옮기고 그 중 3개 실험수조에는 34 ppt이던 사육수를 1일째에는 최종 24 ppt, 2일째에는 최종 18 ppt로 되도록 사육수를 환수하였고, 이후 18 ppt로 유지시켰다. 나머지 한 개의 실험수조는 계속해서 34 ppt의 염도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실험 기간 동안 부화시킨 알테미아를 하루 4회 공급을 기본으로 하여 먹이 잔존량을 조사하면서 급이 하였다.
염분 18 ppt에서 사육된 H. abdominalis 자어의 20일 후 생존율
실험구 총마리수 생존어수 생존율(%)
34 ppt 300 48 16
18 ppt-1 300 277 92.3
18 ppt-2 300 280 93.3
18 ppt-3 300 268 89.3
표 1.은 H. abdominalis 자어를 일반적인 기수의 염도와 유사한 18 ppt로 순치시킨 후, 출생 20일 후의 생존율을 나타낸 표이다. H. abdominalis 자어는 출생시 친어와 함께 노출되는 일반 해수 염도인 34 ppt에서 사육될 경우, 출생 20일 이내에 84%가 폐사하였다. 또한 이 후, 2차, 3차 critical period에서 폐사율은 더욱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H. abdominalis 자어를 기수 염도 18 ppt로 순치시킨 경우, 생존율은 3개의 실험구에서 모두 92.3, 93.3, 89.3%로 획기적으로 높아졌다.
도 3은 염도 18 ppt에서 사육한 H. abdominalis 자어의 사육기간 경과에 따른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사육수 염도 34 ppt의 대조구의 경우, 사육 3일부터 폐사 개체가 발생하기 시작하여 6일째 되면서 70% 이상의 개체가 폐사하였다.
그러나 사육수의 염도를 18 ppt로 전환시킨 경우, H. abdominalis 자어는 20일의 사육기간 동안 낮은 염도의 사육수에 적응한 것을 알 수 있었고, 폐사 개체도 획기적으로 감소하여 해마치어 생산에서 가장 폐사율이 높은 1차 critical period 대량 폐사 없이 사육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어류의 삼투압 조절에 따른 대사 에너지와 관련이 있은 것으로 보인다. 생물이 생명활동을 유지하는 데에는 체내의 환경을 일정한 생리적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경골어류의 체액 삼투질 농도는 담수어와 해수어에 관계없이 300mOsm/kg로 유지되며, 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과정은 다르나, 담수어와 해수어 모두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해마 자어 초기 성장단계에서 염분을 낮추어 주면 삼투압 조절에 소모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어 어류의 자어, 치어의 생존율을 높이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저염도 사육수는 어종에 따라 15~20일 이후에 차츰 해마 성어의 사육수와 같은 30~36 ppt, 특히 34ppt가 되도록 사육수를 전환하였으며, 생존율의 급격한 하락은 보이지 않았다.
(2). 하부 조명에 의한 폐사율 감소
H. abdominalis, H. barbouri H. coronatus의 경우 당초 34ppt의 사육수를 저염도 사육수로의 전환으로 1차 critical period의 폐사율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었으나, H. kudaH. reidi의 경우 여전히 높은 폐사율을 보였다. H. kudaH. reidiH. abdominalis, H. barbouri H. coronatus에 비하여 자어의 유영능력이 떨어지는 편이어서 수면에 떠올라 표류하다가 폐사하는 개체가 많았다. 저염도 사육수 전환후에도 H. kuda는 34% H. reidi는 36%의 개체가 표류성 자어로 폐사하였고, 사육수조 하부에 안정적으로 착저하지 못하고 사육수면으로 떠올랐다.
이때 대부분의 표류하는 해마 자어는 주로 유영하는 생물 먹이를 따라 사육수면으로 올라오는 것으로 보이며, 일단 사육수면으로 부상하여 기포를 흡입하게 되면 해마 자어의 자력으로 수조 하부로 내려오지 못하고 표류하면서 폐사하였다. 따라서 해마 자어를 사육수조 하부에 안정적으로 착저시켜 먹이활동을 할 수 있도록 생물 먹이를 사육수조의 하부에 머무르게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먹이 생물의 주광성을 이용하였다.
조명의 위치에 따른 해마 어종별 표류성 자어의 출현(출생 후 10일)
해마 종류 초기 개체수 출생 10일 후 표류성 자어 출현수
수조 상면 수조 측면 수조 저면
H. kuda 200 68 26 2
H. coronatus 200 5 3 0
H. reidi 200 72 31 2
H. barbouri 200 6 2 0
H. abdominalis 200 8 1 0
표 2는 해마 자어 출생 10일 후, 조명장치의 위치에 따른 어종별 표류성 자어의 출현 빈도를 나타낸 표이다. H. kuda, H. reidi, H. barbouri, H. abdominalisH. coronatus을 각 출생 직후, 각 200미씩 3개의 실험수조에 분리하고 저염수로 순치시키면서 사육수조를 조사하는 조명을 수조 상면, 수조 측면 그리고 수조 저면으로 위치시키고 표류성 자어의 개체수를 기록하였다.
실험 결과, H. abdominalis, H. barbouri H. coronatus의 해마 자어는 조명장치의 위치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저염도의 사육수 순치만으로도 폐사율이 상당히 저감되었다. 그러나 조명장치를 수조 저면에 설치하여 수조 하부에 빛을 조사할 경우 유의하게 표류성 자어의 출현수가 줄었다.
하부에 조명장치를 갖는 수조가 해마 치어의 생존율에 미치는 효과를 좀더 명확하게 알아보기 위하여 조명장치의 위치에 표류성 자어의 출현수가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H. kudaH. reidi의 자어를 각 3그룹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H. kudaH. reidi의 자어를 출생 직후 100미씩 무작위로 선별하여 종래의 사육수조에 A, B의 2 그룹과 본 발명에 따른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치어 양식수조에 A, B, C의 3개 그룹을 각각 2주 동안 사육하였고, 사육하는 동안, 사육수면에 떠오르는 표류성 자어의 수를 측정하였다.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사육수조에서 사육한 해마의 치어의 폐사율은 평균 44.5%였으며, 본 발명에 의한 해마치어 사육수조에서 사육한 해마의 치어의 폐사율은 평균 2.8%로 사육수 표면에 부상하여 내려가지 못하는 표류성 자어의 출현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따라서 해마의 출산 직후, 급격한 폐사율을 보이는 critical period에서의 해마 자어 및 치어의 생존율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해마 어종별 종래의 사육수조와 본 발명에 따른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치어 양식수조에서의 출산 2주 동안의 표류성 자어의 출현수 비교
어종 종래의 사육수조 본 발명의 해마치어 사육수조
A B A B C
H. kuda 52 38 2 0 2
H. reidi 46 42 1 3 3
합 계 98 80 3 3 5
폐사율(%) 49 40 1.5 1.5 2.5
도 4는 해마치어 생산을 위한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치어용 양식수조의 분해사시도이다. H. kudaH. reidi의 경우, 조명장치를 수조 상면에 설치할 경우, 저염도 해수 순치로도 34%와 36%의 폐사율을 보였고, 조명장치를 수조 측면에 설치한 경우 폐사율이 각각 13%, 15.5%로 낮아졌다. 또한 조명장치를 수조 저면에 설치하여 사육수조의 하부에 빛을 조사한 경우 표류성 자어의 출현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H. kudaH. reidi 각각 1%의 개체만이 사육수면에서 표류하다가 폐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사육수조 저면에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수조 하부에 빛을 조사함으로써 해마 자어의 폐사율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해마 양식 방법에 따른 어종 별 critical period 중의 성장과 생존율
종 류 출산직후 평균체장(mm) 사육 일수(일) 사육일수 경과 후 평균체장 (mm) 사율일수 경과 후 생존율 (%)
H. kuda 4.15 30 18.6 65.5
H. coronatus 12.65 30 21.8 69
H. reidi 6.1 53 32.6 66
H. barbouri 9.47 30 20.3 78.5
H. abdominalis 12.8 34 36.8 79
표 4는 H. kuda, H. reidi, H. barbouri, H. abdominalis,H. coronatus 해마 자어 출생 후, 수조 저면에서 빛을 조사하고, 18 ppt의 저염도 사육수로 순치하여 사육하며 해마 자어의 체장 변화와 생존율을 나타낸 표이다. 각 종의 사육일수는 각 종에 따라 폐사율이 가장 높았던 1차 critical period의 기간이며, 각 해마 종의 크기에 따라 150~300미의 해마 자어를 실험수조에 수용하여 실험하였다. 또한 저염수 순치는 대량생산 시스템을 구축에 유리하도록 해마자어 4일째까지 24~26ppt로, 5일째까지 18~20ppt의 염도가 되도록 사육수를 전환하여 실행하였다.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험한 5종 모두에서 65% 이상의 양호한 생존율을 기록하였다. 따라서 저염수 순치와 하부 조명장치로 양식 가능한 5종의 해마 치어 양식 방법을 수립하게 되었다.
또한 해마 자치어가 표류성이 되어 폐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육수면 위에 부유하는 먹이를 야간에 실시하는 물의 환수 시에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한 가로배수관(130)을 설치하였다. 사육수 내에 형성된 수류에 의하여 사육수 내에 머무르지 않고 부상하고 있는 먹이류는 사육수면에 모여 떠오르게 되고 아울러 사육수면에 부유하던 이물질과 함께 사육수면을 따라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사육수면을 따라 통공이 형성된 가로배수관(130)으로 사육수와 함께 배수된다.
가로배수관(130)은 사육수면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사육수의 수류방향과 만나는 면에 배수망(140)이 형성되어 이 통공을 통하여 사육수가 배수된다. 또한 통공이 형성된 면의 반대 면은 벽이 형성된 가로배수관으로 형성되어 부유 이물질을 함유한 사육수는 회수되지 않고 그대로 배수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일반적인 사육수의 환수과정을 통해 사육수면에 부유하는 이물질이 같이 배수되게 된다. 사육수의 환수량은 사육수주입과 배수량에 의하여 결정되며 가로배수관(130)이 형성된 위치에 따라 수조(100) 내의 사육수량이 결정된다. 이렇게 사육수면의 부유하는 먹이류를 신속히 제거하여 해마의 자치어가 먹이를 따라 사육수면으로 이동하여 표류하다가 폐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H. kuda, H. reidi, H. barbouri, H. abdominalis,H. coronatus 해마 자어 출생 후, 각 critical period 중, 수조 저면에서 빛을 조사하고, 18 ppt의 저염도 사육수로 순치하여 사육하며 해마 자어의 체장 변화와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저염도 사육수는 종에 따라 15~30일 사이에 해수로 재 순치 시켰다. 도 5에서 보듯이 생존율과 성장률 모두 양호하여 해마의 대량생산에 필요한 건강한 치어를 생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전세계적으로 공급이 부족하나 폐사율이 높아 양식이 까다로웠던 해마의 치어를 안정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부가가치 높은 어류 양식으로 양식어민의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 양식수조 110 : 수조바닥
120 : 세로배수관 130 : 가로배수관
140 : 배수망 150 : 배수관
170 : 기포발생기 180 : 사육수주입관
200 : 조명필터
300 : 광원부 310 : 광원고정대
310 : 광원반사갓 340 : 체결부

Claims (4)

  1. 해마 친어를 담수욕과 포르말린에 1시간씩 3일 처리하여 소독한 후, 사육수조로 입식하는 단계(A);
    상기 (A)단계의 해마 친어를 암수 1:1의 비율로 교미시키는 단계(B);
    상기 (B)단계에서 출생한 해마 치어를 수집하는 단계(C);
    상기 (C)단계의 해마 치어를 출생 1일 내지 5일 이내에 사육수를 기수 염도 18~20 ppt로 단계적으로 순치시켜 사육하는 단계(D);
    상기 (D)단계의 해마 치어를 15~30일 이내에 사육수를 해수 염도 30~36 ppt로 재순치시키는 단계(E);를 포함하며,
    상기 (C)단계, (D)단계 또는 (E)단계는 사육수조의 외부 저면에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수조 하부에서 빛을 조사하여 사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마치어 생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마는 H. kuda, H. reidi, H. barbouri, H. abdominalis, 또는 H. coronatus 중 어느 하나의 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마치어 생산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150071441A 2015-05-22 2015-05-22 해마 자, 치어 생산방법 KR101744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441A KR101744393B1 (ko) 2015-05-22 2015-05-22 해마 자, 치어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441A KR101744393B1 (ko) 2015-05-22 2015-05-22 해마 자, 치어 생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993A KR20160136993A (ko) 2016-11-30
KR101744393B1 true KR101744393B1 (ko) 2017-06-09

Family

ID=57707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441A KR101744393B1 (ko) 2015-05-22 2015-05-22 해마 자, 치어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3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18562A (zh) * 2017-02-24 2017-06-13 天津农学院 一种海马幼苗的人工培育方法
CN107372212A (zh) * 2017-07-18 2017-11-24 青岛浩然生态海洋水产科技有限公司 一种海马苗种网箱养成方法
CN111631185B (zh) * 2020-06-04 2022-01-11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一种利用养殖背景和光照的大规模灰海马低质苗养殖方法
CN115486390B (zh) * 2022-09-23 2023-08-29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一种促进育儿囊鼓气雄海马恢复的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041B1 (ko) * 2007-08-03 2008-04-08 김종철 삼투압 조절능력을 이용한 어류의 양식방법
CN102232362A (zh) * 2010-05-06 2011-11-09 海南龙盛生物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海马生态养殖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041B1 (ko) * 2007-08-03 2008-04-08 김종철 삼투압 조절능력을 이용한 어류의 양식방법
CN102232362A (zh) * 2010-05-06 2011-11-09 海南龙盛生物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海马生态养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993A (ko)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93759B (zh) 一种石斑鱼规模化全人工育苗方法
KR100856855B1 (ko) 황소개구리 유체를 동물의 먹이로 이용하는 방법
Fielder et al. Hatchery manual for the production of Australian bass, mulloway and yellowtail kingfish
CN102379254A (zh) 一种红螯光壳螯虾可控化同步抱卵繁育方法
KR101773247B1 (ko) 하부조명을 갖는 해마 자, 치어 양식수조
KR101744393B1 (ko) 해마 자, 치어 생산방법
CN109452203A (zh) 一种许氏平鲉深水网箱大规格苗种培育方法
CN100370896C (zh) 半滑舌鳎的亲鱼培育方法
CN102919186B (zh) 一种多鳞鱚的人工繁育方法
KR101184458B1 (ko) 갯지렁이의 종묘 생산을 위한 양식 장치
Nabhitabhata et al. Sepioteuthis lessoniana
Chen et al. Sea cucumber aquaculture in China
US11310999B2 (en) Aquaculture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almon eggs
Aydın et al. Turbot and flounder aquaculture
CN109122566A (zh) 一种促使虎纹蛙集中产卵的高存活养殖方法及其养殖设备
Ranjan et al. Good aquaculture practices for marine finfish hatchery
UA65842C2 (en) Method of commercial growing the giant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zenbergii)
Andriani et al. Freshwater Lobster (Cherax quadricarinatus) Cultivation in Cangkuang District, Bandung Regency, West Java, Indonesia: A Case Study
KR101839314B1 (ko) 쏘가리 초기 양식방법 및 양식장치
KR101839315B1 (ko) 쏘가리 초기 양식방법 및 양식장치
CN104585094A (zh) 一种银鲴的人工繁殖方法
Ingram et al. Murray cod aquaculture—current information and current status
Komugisha et al. Better management practices for African catfish (Clarias gariepinus) spawning and fingerling production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UA39757U (uk) Спосіб інтенсивного вирощування товарних річкових раків у полікультурі
Abate et al. Manual for production of Chamo strain Nile tilapia fingerlings and preparation of fish feeds from locally available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