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9083B1 - 갑각류의 유충 사육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갑각류의 유충 사육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9083B1
KR100689083B1 KR1020027000876A KR20027000876A KR100689083B1 KR 100689083 B1 KR100689083 B1 KR 100689083B1 KR 1020027000876 A KR1020027000876 A KR 1020027000876A KR 20027000876 A KR20027000876 A KR 20027000876A KR 100689083 B1 KR100689083 B1 KR 100689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medium
larvae
breeding
la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2895A (ko
Inventor
사토시 미카미
Original Assignee
오스트렐리안 프레쉬 리서치 앤드 디벨로프먼트 코포레이션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트렐리안 프레쉬 리서치 앤드 디벨로프먼트 코포레이션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오스트렐리안 프레쉬 리서치 앤드 디벨로프먼트 코포레이션 피티와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20092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9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crustaceans, e.g. lobsters or shrim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2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갑각류의 유충 사육 방법은 유충 사육용 배지를 유지하기 위한 탱크(50)를 제공하는 단계, 살균되고 여과된 유충 사육용 배지를 배지의 수평 순환을 야기시키기에 적합한 배출구(64)를 통하여 유충 손상을 막는 유출구 유속으로 탱크(50)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유충 스크린을 포함하는 배수관 어셈블리(65)를 통하여 배지를 연속적으로 배수하는 단계 및 선택된 온도에서 배지를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갑각류의 유충 사육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는 볼트로 연결되고, 함께 밀봉된 탱크(50)의 모듈 채널 부분(51, 52), 두개의 부탱크(53, 54), 온도 조절 장치가 있는 살균장치(55) 및 여과되고, 미리 살균된 배지를 순환시키기 위한 수중용 펌프(56)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갑각류의 유충 이 조성물과 이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도 제공된다.

Description

갑각류의 유충 사육방법과 장치{CRUSTACEAN LARVA RAISING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갑각류의 유충 사육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별히 테누스종(Thenus spp.)에 사용하기 위한 갑각류의 유충 사육방법과 장치에 적용되는 것이지만, 상기 적용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고, 예시적인 목적을 위하여 그러한 적용이 언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그의 발명 요소들이 락 바닷가재(rock lobster)와 슬리퍼 바닷가재(slipper lobster) 유충과 같은 다른 적용들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갑각류의 종을 상업화하기 위하여 이들 유충을 기르고자 하는 전략 개발을 위한 수많은 시도가 있었다. 최근에 락 바닷가재와 슬리퍼 바닷가재 종을 위한 전략 개발에 노력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들의 요약이 아래의 표 1에 제공된다.
표 1
Figure 112002001858705-pct00001
연대학적인 유충 사육 노력의 결과가 표 2에 제공된다.
표 2
Figure 112002001858705-pct00015
락 바닷가재와 슬리퍼 바닷가재 유충을 위한 최근의 4개의 주요한 상업적-연구용 사육탱크 시스템은, 남부 락 바닷가재(Southern rock lobster:Jasus edwardsii)를 위한, TAFI(Tasmanian Aquaculture and Fisheries Institute)에 의해 개발된 시스템과, 남부 락 바닷가재 및 동부 락 바닷가재(Eastern rock lobster: Jasus verreauxi)를 위한 뉴질랜드의 NIWA(National Institute of Water and Atmospheric Research)에 의해 개발된 시스템, 일본 락 바닷가재(Panulirus japonicus)를 위한 FRIM(Fisheries Research Institute of Mie), JSFA(Japan Sea-farming Association) 및 동경과학 대학교의 과학기술 연구소에 의해 개발된 시스템이 있다.
이 시스템들의 광범위한 특징들과 간행된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1.(TAFI)
- 남부 락 바닷가재
- 30ℓ탱크 중 물 10ℓ
- 사육 밀도(stocking density): ℓ당 새로 부화된 유충 20마리
- 유생 무획득
2. 용승류 탱크 시스템(NIWA)
- 남부 락 바닷가재
- 4 ×72ℓ탱크의 조합
- 사육 밀도: ℓ당 새로 부화된 유충 26마리
- 1990년에 단 1마리 유생만이 생존
3. 제로 물 이동(zero water movement) 탱크 시스템(FRIM)
- 일본 락 바닷가재
- 200ℓ탱크 중 물 150 ~ 180ℓ
- 사육 밀도: ℓ당 새로 부화된 유충 20마리
- 유생단계에 대한 생존률 1% 미만(10마리에 이르는 유생)
4.(JSFA)
- 일본 락 바닷가재
- 200ℓ탱크 중 물 150 ~ 180ℓ
- 사육 밀도: ℓ당 새로 부화된 유충 20마리 ~ ℓ당 최종 단계 유충 1마리
- 유생 단계에 대한 생존률 약 1% (100마리에 이르는 유생)
통상적으로 모레톤 베이 버그(Moreton Bay Bugs)로 알려진 테누스종(Thenus spp.), 슬리퍼 바닷가재 및 베이 바닷가재(Bay lobster)는 서부 호주의 샤크 베이(shark bay)로부터 북 뉴 사우스 웨일즈의 곱스(coff's) 항구에 이르는 호주의 북쪽 해안을 따라서 발견되었다. 테누스종은 두 가지가 있다: 진흙 버그(mud bugs:Thenus sp.)와 모래 버그(sand bugs:Thenus orientalis)이다. 진흙 버그는 전체적으로 갈색이며 걸어 다니는 다리에 갈색의 줄무늬를 갖고 있는 반면에, 모래 버그는 전체적으로 작은 반점이 있으며 걸어다니는 다리에 반점을 갖고 있다. 진흙 버그는 미세한 진흙 바닥을 좋아하며, 전형적으로 10~30미터 깊이의 해안 연안수로부터 트롤 어업으로 잡는다. 모래 버그는 더 크고, 더 거치른 입자 크기를 가진 퇴적물을 더 좋아하며, 연안 암초와 근해 해역의 30 ~ 60미터 깊이에서 트롤 어업으로 잡는다.
최근에, 모레톤 베이 버그(Moreton Bay bugs)의 상업적인 수중 양식은 세계 어느 곳에서도 실시되고 있지 않다. 이들 상업화에서 주요한 장애물은 유충단계를 통하여 버그로 유지하는데 따르는 어려움 때문이다. 다른 슬리퍼 바닷가재 또는 락 바닷가재와 같이, 모래톤 베이 버그는 필로소마(phyllosoma)라 불리우는 매우 특징적인 평평한 유충단계를 가지고 있다. 그들은 물기둥 안에서 솟아오르고 떨어지면서 플랑크톤 안에서 순환되므로 배양 환경을 조절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최근에, 모레톤 베이 버그 필로소마의 배양조건의 포괄적인 연구가 착수되었고, 이러한 종들의 상업적인 수중양식에 대한 높은 가능성이 제시되었다(Mikami, 1995). 모레톤 베이 버그의 필로소마는 25일에서 35일 안에 소규모에서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며, 4단계의 유충단계를 거치고, 상업적인 규모(250g)에 도달하는데 1년이 걸린다.
Mikami(1995)의 연구 이후에, 더 많은 연구가 과거 5년동안 본 출원인에 의해 착수되었다. 이 연구의 중요한 목적은 소규모의 실험실 규모로부터 모레톤 베이 버그 수중양식의 상업화이다. 현재 가장 중요한 이슈 중 하나는 모레톤 베이 버그 유충을 사육하는 기술적인 면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가지 측면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갑각류 유충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어도 10cm 깊이의 유충 사육용 배지를 수용하기 위한 탱크를 제공하는 단계;
유충의 손상을 막기 위해 선택된 배출구 유속을 유지하면서, 유충 사육용 배지의 수평적인 순환을 일으키도록 탱크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배출구를 통하여 실질적으로 살균되고 여과된 유충 사육용 배지를 상기 탱크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유충 스크린을 포함하는 배출 어셈블리를 통하여, 유충의 손상을 막기 위하여 선택된 유속으로 상기 배지를 연속적으로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배지를 사육될 유충종을 위해 선택된 온도로 유지하는 단계.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넓게는 다음을 포함하는 갑각류 유충 사육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질적으로 살균되고 여과된 유충 사육용 배지의 공급수단;
적어도 10cm 깊이의 상기 유충 사육용 배지를 수용하기 위한 탱크;
상기 배지를 탱크 내로 이송하여 탱크 내에서 상기 배지의 수평적인 순환을 야기 위한, 상기 공급수단에 연결된 복수의 배출구;
유충 스크린을 가지고 있고, 상기 탱크 내의 선택된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배치된 배출수단; 및
상기 배지의 온도 조절 수단.
유충 사육용 탱크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수평 횡단면을 가지고 있어서, 연속적으로 한 방향의 순환이 유지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유충 사육용 탱크는 환상의(annular)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유충 사육용 탱크는 말단 부분에 의해 닫혀진 곧은 부분을 가지고 있는 환상의 레이스웨이(raceway)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레이스웨이는 구부러진 부분과 곧은 부분의 모듈 구조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선 면적과 보유 용량이 선택되어질 수 있다. 예컨대, 모듈 구성요소는 플라스틱 재료로 성형되거나 레이스웨이를 형성하기 위해, 어셈블리 내에 볼트로 조여질 수 있다. 구성요소는 미리 성형된 접속부 밀봉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경화성 실리콘 또는 다른 밀봉재와 같은 인-시튜(in situ) 캐스트밀봉으로 밀봉될 수 있다.
탱크의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1미터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물 깊이는 약 10cm~20cm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비교적 얕은 깊이는 유충의 잦은 먹이 공급을 가능케할 것이다. 바람직한 환상 및/또는 모듈 레이스웨이 구조의 경우에, 레이스웨이의 단면은 예를 들면 30cm 깊이일 수 있다. 레이스웨이의 단면의 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육용 배지 배출구의 배열에 의해 결정된 적합한 치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그것은 또한 30cm 범위안에 있을 것이다.
모레톤 베이 버그의 필로소마의 경우, ℓ당 새롭게 부화된 유충 약 40마리의 전형적인 사육 밀도가 사용되어지고, 점차적으로 ℓ당 마지막 단계 유충 약 10~15마리로 줄어든다.
산업적인 환경에서 바닥 면적 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탱크는 쌓아서 적층 상태로 정렬될 수 있다.
배지는 사육하는 종에 따라서 선택될 것이다. 일반적인 배지는 바닷물, 또는 야생에서 유기물이 존재하는 자연 환경 배지와 일치시키기 위해 선택된 조성을 갖는 인공적인 바닷물일 수 있다.
물 배출구는 복수개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의 갯수는 순환에 대해서 일관된 흐름을 가진 한 방향으로의 연속적인 순환을 촉진하기 위해 선택된 갯수일 수 있다. 노즐의 갯수와 탱크의 용량은 용적 측정 유속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노즐의 유속은 유충이 자상을 입지 않도록 하면서, 탱크 안의 순환을 유지하기 위해서 선택된 어느 유속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속은 모레톤 베이 버그의 첫번째 필로소마 단계와 같은 초기 유충 단계에서 적어도 분당 4 ~ 6m이하의 범위에서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속은 탱크 안의 배지의 계속적인 순환을 유지시키는 최소한의 유속이다.
배출구는 탱크의 바닥 또는 꼭대기에 위치한다. 예컨대, 배출구는 상기한 배지 수준을 포함하는 탱크의 바닥에 위치한 또는 탱크의 벽에 위치한 선형 또는 고리모양의 분기관과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분기관 또는 다수의 분기관이 제공되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모듈 레이스웨이 탱크와 관련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배출구들은 모듈 구조체의 조립 후에 설치된 레이스웨이의 내부벽과 외부벽의 상부에 위치하고, 19mm 폴리에틸렌 분기관으로부터 연장된 4mm 노즐을 가진 튜브들이다. 배출구들은 탱크의 바닥까지 연장되고, 노즐들은 원하는 순환 방향으로 향해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벽에서부터 약간 안쪽으로 향해 있다.
배지는 연속적인 한 방향 시스템에 의해 공급되거나 또는 일부는 재순환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방향 공급시, 바닷물 같은 배지는 헤드 탱크 내에서 1㎛ 필터, 바람직하게는 0.5㎛ 필터를 통하여 자연적인 공급물로부터 여과된다.
바람직하게는, 배수 장치는 약 1mm의 메쉬 크기를 가진 것이 제공된다. 메쉬를 통한 유속은 각 경우에 실험적으로 결정된다. 그러나 단위 면적당 유속은 유입속도보다 훨씬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메쉬의 표면적은 최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장치는 탱크 내에서의 배지의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목적을 위하여 배수장치는 원하는 수준 또는 10~20cm로 세트된 표면 배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배수장치는 배지 칼럼의 어느 수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 수준은 배지공급/배수 속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배수에 의해 상기 수준을 조절하는 경우에, 이러한 조절은 배지를 폐기하거나 또는 재순환시키는 스탠드파이프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메쉬로된 배수구에 의해 이루어지며, 스탠드파이프의 길이는 조절 가능하다.
선택된 간격으로 탱크로부터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기 위해서 선택된 덮개 또는 다른 수단을 가진 탱크가 제공될 수 있다. 유충에게의 먹이공급 횟수를 최대화하기 위해, 빛은 낮시간동안에 탱크로부터 차단되어야 한다. 이런 목적을 위해서 탱크는 불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테리아, 원생동물 또는 균류에 의한 오염은 필로소마를 사육하는데 심각한 문제이다. 유충 사육시 오염의 주요한 근원은 들어오는 물, 먹이, 공기, 사람의 손길 및 배양물질(알들, 물 및 부화 탱크로 부터 새롭게 부화된 유충)이다. 유충이 자라고 있는 물은 어떤 유기물도 없어야 한다. 따라서 여과 후에, 여과된 바닷물은 UV 살균기, 초미세 여과법, 염소처리법, 산성화 또는 오존화와 같은 적합한 방법에 의해 살균된다. 예를 들면, 여과된 바닷물은 박테리아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약 10ℓ/시간/Watt의 아크 또는 다른 근원으로부터의 UV방사선에 노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약 10ppm의 염소를, 바람직하게는 공기 없이, 12시간동안 배지와 함께 항온처리하고, 염소를 중성화하기 위해 충분한 티오황산나트륨을 첨가한 다.
여과되고 살균된 공급물질의 온도는 적당한 자동온도조절장치를 가진 가열장치 및/또는 냉각장치와 같은 것에 의해 원하는 범위에서 유지된다.
한 방향 시스템에 대한 대안으로서, 유충 사육용 탱크와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부탱크를 포함하는 반-재순환(semi-recirculation)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부탱크가 사용된다. 부탱크는 각각 유충 사육용 탱크와 적어도 같은 용량을 가지고 있다. 이 구체예에서, 여과되고 살균된 물을 포함하는 부탱크는 수중용 펌프를 사용하여 약 24시간동안 충진된 유충 사육용 탱크 내로 순환될 수 있다. 24시간 후에, 펌프는 물의 온도가 대략 같은, 바람직하게는 약 ±0.5℃로 조절된 물의 온도를 가지고 있는 다른 부탱크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런 후, 물은 다시 유충 사육용 탱크에서 순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속은 한 방향 흐름 시스템과 같다. 하나의 부탱크 안의 물을 사용하는 동안에, 다른 부탱크는 비어지고 건조될 수 있다.
반-재순환의 경우에, 예를 들면, 사육용 물은 12시간동안 10%의 염소로 살균되어지고, 그런 다음 10%의 티오황산나트륨으로 중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육용 물은 염소가 남아있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사육 시스템에 도입하기 전에 Palintest
Figure 112002001858705-pct00003
(DPD NO 1)와 같은 것으로 테스트한다.
모레톤 베이 버그의 필로소마의 경우에, 배지의 온도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26℃~27℃이다. 필로소마는 24~30℃의 범위에서 자랄 수 있으나, 26℃이하의 온도에서는 성장 속도가 느리고, 28℃이상의 온도에서는 비성공적인 탈피, 동족을 잡아 먹는 행위(cannibalism) 및 질병의 위험을 증가시킬 것이다. 유충이 사육용 탱크로 옮겨질때, 유충 사육 시스템의 온도를 부화 탱크와 같은 유충의 근원과 실질적으로 같은 온도에서 ±0.5℃ 범위내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사육용 물의 온도가 변해야 한다면, 온도 변화는 바람직하게는 시간당 1℃ 이내로 유지시켜야 한다.
배지의 염도는 종에 따라 다르다. 모레톤 베이 버그의 필로소마의 경우에 염도는 25~40ppt 범위에서 유지되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34~36ppt이다. 필로소마는 갑작스런 염도의 변화에 내성이 없어서, 염도 변화는 하루에 ±1ppt이내에서 유지되어야한다.
필로소마의 모든 단계를 통하여, 필로소마는 광양성(photopositive) 반응에 강하다. 낮 시간동안 표면에 유충이 모이는 것을 피하기 위해, 사육 시스템을 검은 플라스틱 시트 같은 것으로 덮어 놓을 수 있다.
pH는 7~9사이로 유지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2~8.5사이의 자연적인 바닷물 pH가 좋다.
강한 폭기(aeration)는 유충에 손상을 준다. 그래서 사육용 탱크 안에서 폭기를 사용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육용 탱크의 산소 수준은 바람직하게는 26~27℃에서 7ppm이상으로 유지한다. 유충의 산소 소비는 매우 낮기 때문에, 사육 밀도의 조절과 함께 큰 표면적을 가지고 있는 사육용 물의 순환은 일반적으로 폭기없이 유충의 산소 수요량을 공급하는 데에 적당하다.
흐름-통과(flow-through) 시스템에서는, 필로소마를 사육하는 바람직한 최대 의 밀도는 다음과 같다:
- ℓ당 제1령 유충 40마리
- ℓ당 제2령 유충 25마리
- ℓ당 제3령 유충 10마리
- ℓ당 제4령유충 5마리.
이것보다 더 높은 밀도로 사육하면 탈피하는 시간에 동족을 잡아먹는 확률이 높아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탈피 전/탈피 후 유충은 탈피를 하고 있는 유충에 의해 먹힌다.
필로소마에게는 바람직하게는 조절된 먹이를 먹인다. 최대의 필로소마 성장과 생존율을 얻기 위해서는, 저며지고 신선한 살아있는 연체동물, 바람직하게는 살아있는 피피(pipis:Donax spp.)의 살이 바람직하다. 얼은 음식을 사용하는 것은 신선한 음식을 사용하는 것보다 더 늦은 성장을 가져올 것이다. 바다새우(Artemia spp.)도 또한 사용될 수 있으나, 단지 필로소마가 제 1령 단계일때만 가능하다.
살아있는 피피의 사용은 때때로 탈피하는 시기 동안에 높은 수준의 치사율을 야기할 수 있다. 이것을 탈피-죽음 증후군(MDS)이라 부른다. 다른 종들에 있어서 MDS의 야기는 여전히 불분명하지만, 테누스(Thenus)의 경우에 MDS는 먹이의 질(food quality)이 계절에 따라 변화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표준이 되는 먹이의 질을 얻기 위해서 쌍각조개를 충분히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양 강화(enrichment)를 위해, 극소 녹조류인 난노클로로프시스종(Nannochloropsis spp.) 또는 이소클시스종(lsochrsis spp.), 캐토셀로스종(Chaetoceros spp.) 및 파블로바종(Pavlova spp.)과 같은 다른 극소 조류 및/또는 규조류가 유용함이 증명되었다. 영양 강화는 바람직하게는 20 ×107이상의 세포 밀도에서 25~28℃에서 조류 물(algae water)과 함께 피피를 배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류 물 40ℓ당 약 1kg(껍질을 가진 젖은 무게)의 피피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은 12시간마다 갈아줘야 한다. 영양 강화 과정은 적어도 24시간동안 수행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48시간이다. 조류 물의 암모니아 수준은 1ppm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피피의 살(소화관, 생식선, 아가미 및 외피)은 전체 무게의 약 20%이다.
선택적으로 바람직한 조류로서, Marine Sigma(Nisshin Science), Marine Growth(Nisshin Science) 및 Algamac-2000(Bio Marine)과 같은 건조된 상업적인 종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업적인 제품의 세포의 숫자는 ml당 2천만개 이상을 유지해야 한다.
먹이는 어느 적당한 방법에 의해 준비될 수 있다. 바람직한 피피의 경우에, 살은 대충 저며진 다음에, 0.5 ~ 2.0mm의 메쉬를 이용하여 첫번째 세척을 실시하고, 그 후에 0.5mm 미만의 메쉬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방식으로, 두 등급의 메쉬를 이용하여 세척할 수 있다. 큰 메쉬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유충의 단계에 따라 다양하다. 예를 들면, 제 1령에서는 1.0mm를 사용하고, 제 2령에서는 1.5mm를 사용하며, 제 3령과 제 4령에서는 2.0mm를 사용한다. 큰 크기의 메쉬와 작은 크기의 메쉬 사이에 걸린 저며진 살의 조각들은 모아둔다. 큰 사이즈 메쉬에 걸린 저며진 살은 위의 과정을 반복해서 다시 저민다.
먹이는 박테리아의 오염을 피하기 위해서 먹이를 주기 전에 살균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살은 조심스럽게 UV로 살균된 바닷물에 의해 세척되고, 그 다음에 30분이상동안 0.1% 염소처리된 바닷물에서 항온처리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유충에게 먹이를 주기 전에 다시 UV로 살균된 바닷물로 작은 메쉬의 먹이 조각들을 세척한다.
바닷물과 함께 준비된 먹이 재료는, 예를 들면 피펫을 사용하여 사육용 물에 균등하게 분배될 수 있다. 먹이 조각들은 사육용 탱크의 바닥에 가라앉을 것이다. 먹이를 준 후에 사육용 탱크에 남아 있는 먹이 조각들은 다음 먹이를 주기 전에 치워야 한다. 먹이 수준의 변화는 성장단계와 탈피단계(intermoult stage)에 의해 좌우된다. 먹이의 수준은 전의 먹이로부터 얼마나 많은 먹이가 남았는지에 따라 조절된다.
필로소마는 부화를 한 밤부터 먹기 시작한다. 유충 탈피를 동시에 발생시키기 위해서(동시성) 첫번째 날 아침에 먹이를 주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로소마가 먹이를 더 많이 먹기 시작하면 남아 있는 먹이의 양에 따라 먹이를 주는 속도를 조절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루에 두 번 이른 아침과 늦은 저녁에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5일~6일째에, 필로소마는 탈피를 준비하기 시작하므로 먹이를 주는 속도는 5일째 저녁부터 감소할 것이다.
필로소마의 제 1령에서 제 2령으로의 탈피는 이른 아침에 일어날 것이고, 아침에 그리고 늦은 저녁에 먹이 수준은 극소화될 것이다. 7~9일째에는, 하루에 두번 먹이를 주는 것은 허용될 수 있으나, 9일째를 향해 가면서 필로소마는 더 많이 먹기 시작한다. 남아있는 먹이의 양을 정기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필로소마의 굶주림을 피하기 위해 바람직하고, 필요하다면 하루에 먹이를 3번 준다.
9~10일째 먹이 수준은 심지어 탈피 전에도 여전히 높다. 아침에 동족을 잡아먹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밤에 충분한 먹이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충은 보통 이른 아침(오전 4~5시)에 제 3령으로 탈피를 하므로 탈피 단계전 또는 탈피단계 동안에 충분한 먹이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탱크 안에 남아 있는 먹이가 없다면 탈피 전에 여분의 먹이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피 후 유충 단계는 3~6시간동안 먹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아침 먹이를 최소화해야하며, 오후에는 많은 먹이를 주어야한다. 12~16일까지는 하루에 3번 먹이를 주고, 바람직하게는 8시간마다 먹이를 준다. 필로소마의 굶주림은 필로소마가 제 3령에서 제 4령으로 탈피를 할 때 동족을 잡아먹는 것을 야기시킬 것이다.
제 4령 필로소마는(15~27일)는 15~17일째에는 하루에 3번 먹이를 주고, 바람직하게는 항상 먹이를 섭취할 수 있도록 충분한 먹이를 준다. 18~21일째에는 필로소마의 먹이수준이 최고이다. 유충에게 하루에 3번이상 먹이를 주며, 바람직하게는 3번의 먹이공급에 있어 각각의 먹이공급을 2시간이상 지연시키지 않도록 한다. 21~30일부터는 필로소마가 니스토(nisto)단계로 변태되기 시작하므로 먹이 수준은 필로소마의 제 4령의 숫자가 감소함에 따라 감소되어야 한다. 필로소마가 25~26일 정도에 먹이를 먹지 않으면 단지 하루에 2번으로 먹이공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최적의 사육 조건(신체적 그리고 영양적) 하에서, 필로소마들의 탈피기간들(intermoult periods)이 바람직하게 일치된다. 이러한 탈피기간의 조절은 사육 조건(온도, 먹이조건, 사육 밀도 등)에 따라 좌우되며, 모든 유충 단계동안에 최적의 사육조건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유충은 하나의 사육용 탱크를 사용해서 사육될 수 있고, 탱크의 교환은 필요없다. 제 4령 필로소마가 니스토 단계로 변태되는 때에, 예비-변태중인 필로소마는 니스토 탱크에 옮겨져야 한다. 변태는 항상 해가 진 후 늦은 저녁에 일어난다. 예비-변태중인 필로소마는 외부 형태에 있어서의 변화들, 즉 더듬이 아래의 W모양의 틈 형성(이것들은 눈구멍이 된다); 등위에 작은 점들; 몸의 색이 하얗게 변하는 것과 같은 변화들에 따라 동정될 수 있다. 예비-변태중인 필로소마는 바닷물과 함께 니스토 탱크에 옮겨져야 한다.
박테리아 오염을 피하기 위해, 유충이 자라고 있는 물에 사람의 손길이 닿으면 안된다. 예를 들면, 유충을 다루기 전에 항 박테리아 비누로 손을 씻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도구들은 사용되지 않는 동안에 예를 들어 0.01% 염소수조에 보관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3~4일마다 완전하게 물을 갈아준다. 유리기구는 신선한 물로 주의깊게 세척할 것이며, 건조할 때는 선반에 보관한다.
필로소마는 부화 후에 즉시 먹기 시작할 수 있으나, 이것은 유충의 노른자 보유(yolk retention)와 온도에 의해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필로소마는 부화 6~12시간후에 먹이를 먹기 시작하나, 먹이 없이 72시간동안 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 27℃에서 48시간까지의 굶주림 시간은 생명과 탈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일반적으 로 불회복점(Point of No return)의 50% 수준(PNR50 )은 부화 후 72시간동안이지만, 이것은 유충의 노른자 보유에 따라서 변화될 것이다. 초기 먹이공급의 지연은 제 1령 기간을 연장시킨다. 제 2령으로의 탈피 후에 초기 굶주림은 성장에 영향이 없다.
필로소마는 탈피기간보다 탈피의 전 후 단계(탈피의 ±12시간)에 먹이를 덜 먹는다. 탈피기간 중에는 필로소마는 밤낮동안 계속 먹는다. 비록 필로소마가 굶주림을 견디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먹이 없이 72시간동안 살 수 있어도, 긴 기간동안의 굶주림과 적은 먹이공급은 탈피 시간동안에 MDS의 위험율의 증가를 초래할 것이다.
필로소마는 먹이 섭취에 있어서 수동적이지 않다. 그들은 다가가서 먹이를 공격한다. 필로소마가 가슴다리(pereiopod)를 사용하여 먹이를 공격하고, 등딱지 부분의 중앙(복부면)에 위치한 구기부분(mouthparts)으로 패스한다. 구기부분은 상순(labrum), 소치(paragnath)쌍, 하악골과 첫번째 턱다리(maxilliped)를 포함한다. 상순(labrum)과 소치(paragnath)는 하악골의 윗부분을 덮는다. 먹이조각들은 첫번째 턱다리(maxilliped)에 의해 소치(paragnath)로 밀어넣어져서 작은 조각들로 잘라진다. 그런 다음, 전방의 팁(anterior tip) 위에 가위같은 모양을 가지고 있는 하악골에서 먹이는 더 잘게 부숴진다. 따라서 필로소마는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부드러운 먹이조각만을 먹을 수 있다.
필로소마가 섭취한 먹이가 소화관 시스템에 도달된 후에는, 중장선(midgut gland) 세포의 세포질 안에 지방이 풍부한 작은 구체들로 인하여 중장선의 색깔이 투명한 것에서 하얀색으로 변한다. 섭취된 먹이의 일부분만이, 소화가 일어나는 주요한 부분인 중장선 영역으로 들어간다. 먹이의 대부분은 중장 세관을 통과하여, 먹은 후 5 ~10분후에 항문을 통하여 배출된다. 필로소마의 배설물은 지방이 많은 가배설물(pseudo-faeces)이다.
필로소마는 플랑크톤이며, 주로 물의 흐름과 같은 방향으로 헤엄친다. 그러나 필로소마는 또한 강한 광양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빛의 근원을 따라서 분당 10~15cm 헤엄친다.
부화장에서 필로소마는 낮동안에는 빛의 강도가 가장 밝은 지점에 모여들고, 밤동안에는 물 칼럼 내에 균일하게 흩어져 있다. 필로소마는 0.5μEm-2sec-1의 조도아래에서 강한 주광성을 보인다. 필로소마는 탱크의 바닥으로 헤엄칠 수 있으며, 분당 10~15m의 물의 흐름에 대항하여 먹이를 낚을 수 있다. 필로소마가 건강할 때, 그들은 그들의 몸을 회전하면서 헤엄친다.
탈피는 보통 해뜰무렵 이른 아침에 일어난다. 예비-탈피 단계(필로소마의 내부의 화학적 조성이 바뀌는 단계)는 실제 탈피의 2~3시간 전에 시작된다. 예비-탈피 단계 유충은 몸의 색깔이 변하는 것(투명한 색에서 화이트-핑크로)과 등딱지가 부풀어 오르는 것에 의해 동정될 수 있다. 탈피 후의 필로소마는 매우 부드럽고 2~3시간동안은 연약하다. 탈피 후의 필로소마의 운동은 물의 흐름에 의해 좌우될 것이다. 탈피 단계중의 유충이 탈피 후의 필로소마와 탈피 전의 필로소마를 먹는 현상인 동족을 잡아먹는 현상은 단지 탈피할 때에만 나타난다. 탈피 후의 필로소마는 탈피 2~4시간 후에 먹이를 먹기 시작한다.
변태는 단지 해질 무렵인 늦은 저녁에 단지 10~20분간 일어난다. 예비-변태 필로소마는 등껍질의 가운데 부분의 작은 점들(이것은 변태 후에 등껍질의 꼭대기 끝이 된다)과 더듬이 아래의 W모양의 작은 틈(이것은 눈구멍이 된다)과 같은 그들의 외부 형태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다. 예비-변태단계의 필로소마의 전체 몸은 가늘고 밝은 하얀색으로 되는 경향이 있다.
필로소마가 동족을 잡아먹는 것은 단지 탈피하는 동안에만 관찰할 수 있다. 탈피 단계중의 필로소마가 탈피 전과 탈피 후 단계의 필로소마를 먹는다. 그러나 만약 필로소마가 탈피 중간기간동안 필요한 영양이 충분히 공급된다면 동족을 잡아 먹는 수준이 현저히 감소할 것이다.
필로소마의 병의 원인은 박테리아, 균류, 영양, 바이러스 및 환경적 또는 스트레스로 나눠질 수 있다. 박테리아에 의한 오염이 필로소마를 사육하는데 주요한 문제이다. 박테리아 오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초기 배양물(알들), 유입되는 물과 먹이이다. 여과, UV와 같은 물리적인 방법 및/또는 염소화, 오존화와 같은 화학적인 방법에 의한 바닷물의 살균은 박테리아 유래의 질병을 막는데 효과적이다. 박테리아로부터 기인된 다수의 심각한 질병들이 있다.
유충 사육의 말기(필로소마의 제 4령 가운데)로 갈수록, 비브리오 감염은 소화관 차단을 초래할 것이다. 이로 인해 중장세관에 음식물이 쌓이는 증상이 나타난다(변비). 이 경우 유충은 6~12시간 후에 죽을 것이다. 중장의 통로는 비브리오에 의해 감염되고, 소화관 물질은 더 이상 중장세관으로부터 배출되지 못한다. 이 질병은 전염되지 않는다. 사육용 탱크의 바닥 표면에서의 박테리아의 축적이 이러한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매일의 관리, 특히 바닥 표면에 대한 관리는 이 질병의 예방에 중요한 요소이다. 선택적으로, 사육용 탱크를 교환하므로써 이 질병으로 인한 치명적인 죽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 쌍의 더듬이 선(antenna glands)은 더듬이의 아래에 놓여 있는 배설기관이다. 더듬이 선은 암모니아를 헤모림프(hemolymph)로부터 선택적으로 옮기는 방광이라고 불리우는 단세포층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다. 방광은 등 표면의 통로까지 연결되어 있으며, 암모니아는 통로를 통하여 배설된다. 이러한 통로의 직경은 5㎛미만이다. 더듬이 선의 입구 주위에 암모니아가 많기 때문에 실모양의 박테리아가 쉽게 자라서, 더듬이 선의 입구를 덮어버릴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세포층의 탈저(necrosis)를 야기한다. 건강한 더듬이 선은 투명하다. 그러나 탈저 후에 그것의 색깔은 갈색/검정으로 변한다. 만약 두개의 더듬이 선 모두가 감염되었다면 유충은 24~48시간안에 죽을 것이다. 10ppm의 스트렙토마이신은 박테리아의 성장을 방해할 수 있으나, 더듬이 선의 탈저를 위한 치료 대책은 없다. 유충 탱크 시스템을 날마다 청소해 주는 것이 이런 종류의 질병에 의한 치사율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방법이다.
실모양의 박테리아(Leucothrix sp.) 감염은 외골격의 표면에서 관찰된다. 잘 관리되지 않은 물이 이것을 야기시킨다. 비록 황산 스트렙토마이신 10ppm이 예방하는데 효과적이긴 하지만, 항생제의 계속적인 사용은 피해야 한다.
균류에서 기원하는 병은 주로 바다에서 발견되는 해양 균류로부터의 감염을 포함하고, 때때로 유충의 외골격의 표면, 특히 가슴다리의 외부 강모(exopodal setae)에서 자란다. 해양 균류는 부화하고 탈피한 후 3~4일동안 자라기 시작한다. 외부 강모 스틱(stick)에서 자라는 균류는 먹이 조각을 흡입할 것이고, 그 결과 유충은 함께 달라붙게 될 것이다. 이러한 유충은 즉시 죽지는 않지만, 먹는 것과 헤엄치는 것은 멈추게 될 것이며, 균류의 출현 후 2~3일이 지나면 높은 치사율을 초래하게 될 것이다. 하루에 2번 20ppm의 포르말린(formalin)을 적용하므로써 해양 균류의 성장을 막을 수 있으나, 유충의 외골격 표면에 이미 존재하는 균류에 대해서는 효과적이지 않다.
영양은 최적의 성장 뿐만아니라 어떤 종류의 질병을 막는데 아주 효과적인 요소이다. 필로소마는 만약 그들의 영양이 충분하다면, 박테리아 유래의 병에 대항하여 어느 정도의 저항력을 가진다. 탈피 죽음 증후군(MDS)은 탈피 시작 시기에 관찰할 수 있는 파멸적인 증후군이다. 유충은 이러한 과정의 중간에 탈피를 멈추고 죽는다. 이러한 증후군은 탈피시간에 이를 때까지 예측될 수 없다. 탈피기간동안에 유충의 생존율과 활동성은 항상 높으며, 탈피기간은 일반적으로 동시에 진행된다. 자연적 먹이(쌍각조개, 피피)의 영양성분의 계절적인 변화가 MDS의 주요한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이른 봄(9월)에서 한여름(12월)동안에는 영양이 강화되지 않은 피피가 먹이로 사용되므로 높은 수준의 MDS가 관찰된다. MDS는 한여름(1월)에서 가을(6월)사이에 아주 낮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피피의 영양 강화(영양가의 증가)는 이런 증후군 을 막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때때로 MDS는 필로소마가 영양 강화된 피피를 먹었을 때에도 심지어 일어난다. 명백하게, 높은 밀도(개별적인 먹이 공급량의 감소)와 환경 조건의 변화(영양 흡수의 변화)와 같은 다른 요소들도 어떤 식으로든 MDS와 상관관계가 있다.
환경적(물리적 그리고 화학적) 스트레스로부터 기원한 병은 전염되지 않는다. 환경적 스트레스는 헤모림프(hemolymph)의 덩어리 조각들인 하얀 반점들에 의해 명백히 알 수 있다. 화학적 오염의 수준(염소, 포르말린 등)과 물리적 스트레스(높은 사육 밀도, 덮개로부터의 신선한 물방울)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필로소마는 이러한 하얀 반점이 나타난 후 24시간 안에 죽을 것이다. 치료방법은 없다.
유충 후(NISTO)의 사육
니스토(nisto) 단계로 변태된 후에, 니스토들은 니스토 탱크 안에서 사육된다. 니스토의 외골격은 투명하지만 석회질이 아니다. 니스토의 색깔은 외골격 아래의 색소형성 발달 때문에 투명한 흰색에서 오렌지 색으로 변한다. 니스토 사육용 탱크의 물의 질은 필로소마 사육용 물과 같다. 니스토는 높은 밀도에서 자랄 수 있다(ℓ당 100이상의 니스토). 니스토 단계동안 먹이는 필요없다. 니스토 단계는 약 7일정도이고, 온도는 26~27℃로 유지된다. 동종을 잡아먹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예비-변태된 필로소마와 탈피 중간단계인 필로소마를 분리시킨다. 유충을 사육했던 탱크와 같은 디자인의 한 방향 순환 탱크와 같은 것이 니스토의 사육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변태 탱크에서 물은 유충 사육용 탱크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취급되어져야 한다. 먹이는 필요없다. 공기도 필요없다.
유생(juvenile) 배양
7일 후에, 니스토는 유생 단계로 탈피한다. 유생 단계로의 탈피는 항상 밤에 일어난다. 유생기의 외골격은 석회질로 되고 색소가 형성된다. 새롭게 탈피된 유생은 다음날 아침 니스토 탱크로부터 회수되어, 유생 보관 탱크로 옮겨져야 한다.
유생은 밤에 활동한다. 바람직하게는, 먹이는 하루에 한 번 저녁에 주고 다음날 아침 남아있는 먹이와 배설물을 치운다. 먹이의 양은 남아 있는 먹이의 양에 따라 조절된다. 제 1령 유생의 먹이 크기는 제 2령 또는 제3령기의 필로소마의 먹이 크기와 비슷하다. 영양이 강화된 피피의 저며진 살은 적어도 제 4령 유생기까지 적합하고, 그런 다음 영양이 강화되지 않은 피피, 오징어, 가리비 및 홍합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유생 배양의 최적의 온도는 26~27℃이다.
한배새끼군체(Bloodstock)
잡은 후에, 살아있는 알을 밴 암컷은 용기 내 탱크 속에 저장되고, 바람직하게는 부드러운 폭기 및/또는 물 교환장치가 설비되어 있다. 먹이를 주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환경적인 조건, 특히 물의 온도 및 염도는 살아있는 동물의 보관동안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알을 밴 암컷은 물과 함께 수송된다. 알을 밴 암컷이 물 없이 약 30시간동안 생존할 수 있을지라도, 긴 시간동안 공기 노출은 육체적으로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때때로 부화장으로 인도된 후 알을 밴 암컷은 몇일 동안 그들의 복부의 알을 벗겨낼 것이다.
알을 밴 암컷의 소량(<6)은 물(10~20ℓ)과 순수한 산소로 채워진 플라스틱 백으로 이송될 수 있다. 그 후, 플라스틱 백을 에스키(esky)에 넣고, 부화장으로 보낸다. 알을 밴 암컷과 그들의 알은 질병의 영향없이 백 안에서 24~36시간을 이송될 수 있다.
알은 밴 암컷의 다량(>6)에 대해서는, 어류 운반장치가 추천된다. 한 마리당 10ℓ이상의 해수가 적절한 부피이다. 수송하는 동안 순수한 공기 또는 산소는 분당 2ℓ이상으로 공급되어야 한다. 이 방법에 의한 수송이 24시간때까지는 알을 밴 암컷 또는 알에 불리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알을 밴 암컷은 바람직하게는 폭기(분당 >2ℓ 공기)하에서 시간당 100% 이상의 바닷물 교환이 이루어지는 탱크 내에 유지된다. 한 마리당 최소한 30ℓ의 바닷물이 필요하다. 바닷물은 바람직하게는 사용하기 전에 UV로 살균된다. 탱크는 바람직하게는 검은 플라스틱 시트와 같은 것으로 덮는다. 저장 탱크 속의 물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0~28℃ 사이로 유지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6~27℃로 유지된다. 하루의 온도 변화는 1℃보다 높지 않아야 한다.
암컷은 하루 한번 저녁에 먹이를 주고, 바람직하게는 다음날 아침에 남아있는 먹이를 제거한다. 바람직하게는, 먹이는 피피, 오징어 및 홍합과 같은 신선한 연체동물로부터 선택된다. 먹이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분동안 0.1% 염소 용액으로 살균시킨 후, 먹이를 주기 전에 UV 살균된 바닷물로 주의하여 세척한다.
한배새끼군체 유지 시스템
한배새끼군체 유지 시스템은 200ℓ이상의 용량을 가지는 원형 또는 사각의 탱크로 이루어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한배새끼군체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유지 탱크의 위에 검은 덮개 시트가 설치되어 있다. 부드러운 폭기는 일반적으로 분당 약 >2ℓ로 제공된다. 바닷물은 탱크의 한쪽 끝으로부터 공급되고, 바람직하게는 탱크의 바닥으로부터 공급되어 다른 쪽 끝으로, 바람직하게는 탱크의 위쪽으로 배출된다.
공급되는 물은 한 마리당 최소 30ℓ의 바닷물로서, 바람직하게는 1~5㎛로 필터되고, UV 살균된 물이다. 시간당 >100%의 교환율이 바람직하고, 온도는 20~28℃사이, 바람직하게는 26~27℃이다.
암컷은 바람직하게는 하루에 한번 저녁에 먹이를 주고, 다음날 아침에 먹이를 사이퍼닝(siphoning)과 같은 방법으로 청소하고, 스폰지로 바닥을 청소한다. 탱크는 매 10~15일마다 새로운 깨끗한 탱크로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화 시스템
부화 시스템은 100~200ℓ의 용량을 가지는 원형 또는 사각의 탱크로 이루어져 있다. 바닷물은 탱크의 한쪽 끝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바닥으로부터 공급된다. 물은 유충들이 달아나는 것을 막기 위하여 500㎛ 메쉬를 통해 방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탱크의 위에는 15~20㎝의 개구부를 가지는 검은 덮개 시트가 있다. 배출구 주위에는 분당 약 2ℓ의 느린 폭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은 0.5~1㎛로 필터되고, UV 살균된 물을 공급한다. 바람직하게는, 물은 시간당 약 100%의 교환율로 사용되고,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6~27℃로 유지된다.
부화 탱크는 오후에 준비하여, 늦은 오후에 암컷을 이동시킨다. 먹이를 주는 것은 부화 탱크에서는 필요하지 않다. 부화 탱크는 유충들을 모은 후에, 6시간동안 0.1% 염소로 살균시킨다. 만약 유충들이 다음날 아침까지 부화하지 않는다면, 암컷은 유지 탱크로 되돌리고, 다른 부화 탱크를 준비한다.
유충들이 호박-갈색으로 보일 때, 각각의 알을 밴 암컷을 100~200ℓ의 부화 탱크로 이동시킨다. 부화 탱크는 오후에 준비하고, 암컷은 유충이 부화되기 전, 늦은 오후에 이동시킨다. 바닷물은 미리 필터하고, UV로 살균하여 시간당 약 100% 교환율로 공급되고, 유충들의 달아남을 막기 위하여 500㎛ 메쉬를 통해 탱크로부터 방출된다. 바람직하게는, 배출구 주위에 분당 약 2ℓ로 느린 폭기가 공급된다.
부화는 항상 일출 즈음에 발생한다. 알이 부화될 때, 암컷은 몇 번 꼬리를 움직이고, 유충들은 물속으로 흩어진다. 이것은 약 10~20분 계속된다. 부화는 아침에 일어나지만, 때때로 2~3일 아침동안 계속된다. 암컷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조명은 사용되지 않는다.
부화 후에, 유충은 매우 부드럽고 연약하며, 수영 능력이 부족하고, 따라서 강한 폭기는 피해야 한다. 부화 후, 유충의 외골격이 단단해져 광원을 향해 20~30분동안 수영을 시작한다. 유충들이 물의 표면(광원)에 모일 때, 유충의 포획이 가능하다.
유충들은 반드시 물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유리 비이커 또는 유리 사발은 포획용으로 적당한 용기이다.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실질적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설명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이 참조될 것이다.
여기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재순환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과 도 2의 장치에 관련하여 사용하기에 적절한 유충 사육용 탱크의 자세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 탱크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관련된 장치를 통한 흐름의 평면도이고;
도 6은 크기를 확대하지 않은 도 5 탱크의 상세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1에 설명된 반-재순환 시스템의 선택적인 구체예이고;
도 8은 도 5에 설명된 시스템을 통한 흐름의 선택적인 구체예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관련된 완전히 재순환되는 유충 사육용 시스템의 실례이다.
도면에서 같은 구성요소가 사용될 때 같은 번호로 표시된다.
한배새끼군체 유지 시스템
바닷물은 1㎛로 여과하고 UV 살균하여 연속적으로 공급된다. 물 공급장치는 시간당 100%의 교환율로 한 마리당 30ℓ의 바닷물로 설정되어 있다. 온도는 26~27℃ 사이에서 유지된다. 살균된 물은 200ℓ용량의 원형 탱크에 공급된다. 검은 플라스틱 덮개 시트는 한배새끼군체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유지 탱크의 위에 배치된다. 탱크는 분당 >2ℓ공기로 부드럽게 폭기된다. 물은 탱크 바닥의 한쪽 끝에서 공급되어 탱크 위의 다른 쪽 끝으로 연속적으로 배출된다.
알을 밴 암컷은 탱크로 도입시키고, 하루에 한 번 저녁에 먹이를 주었다. 탱크에 남아있는 먹이는 다음날 아침에 제거된다. 먹이는 적어도 30분동안 0.1% 염소 용액으로 살균한 후, 먹이를 주기 전에 UV 살균된 바닷물로 조심스럽게 세척된 피피이다.
유충이 호박-갈색으로 보이게 되면, 각각의 알을 밴 암컷을 부화 탱크로 이동시킨다.
부화 시스템
물은 사용하기 전에 여과, 살균하고, 시간당 약 100%의 교환율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며, 온도는 26~27℃로 유지된다. 물은 200ℓ용량의 원형 탱크에 공급된다. 처리된 물은 탱크의 한쪽 끝 바닥으로부터 공급된다. 물은 유충들이 달아나는 것을 막기 위하여 500㎛ 메쉬를 통해 방출된다. 15~20㎝의 개구부를 가지는 검은 덮개 시트로 탱크를 덮는다. 분당 2ℓ로 느린 폭기가 배출구 주위에 공급된다.
부화 탱크는 오후에 준비하고, 늦은 오후에 암컷을 이동시킨다. 부화 탱크에서는 먹이를 줄 필요가 없다. 부화 탱크는 유충의 포획 후에 6시간동안 0.1% 염소로 살균시킨다. 만약 다음날 아침까지 유충이 부화되지 않으면, 암컷은 유지 탱크로 되돌려보내고, 다른 부화 탱크를 준비한다.
부화는 항상 일출 즈음에 이루어진다. 알들이 부화될 때, 암컷은 몇 번 꼬리를 움직이고, 유충은 물 속으로 흩어진다. 이것은 약 10~20분 유지된다. 부화는 아 침에 이루어지지만, 때때로 2~3일 아침동안 계속된다. 암컷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조명은 사용되지 않는다.
부화 후에, 유충은 매우 부드럽고, 연약하며 수영 능력이 부족하므로 강한 폭기는 피한다. 유충의 외골격이 단단해지면, 유충들은 부화 후에 광원을 향해 20~30분 수영을 시작한다. 유충이 광원을 향해 물 표면에 모일 때, 유충의 포획이 가능하다.
유충은 반드시 물과 함께 이동될 수 있으므로, 유리 사발이 포획된 유충의 이동에 사용되었다.
유충 사육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지지용 받침대는 원하는 작업 높이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탱크 베어링 부분(13)을 포함하는 탱크 프레임(12)을 지지하는 교각(pier)(10)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육용 탱크(14)는 베어링 부분 위에 지지되어 있고, 낮 동안에 사용하기 위해 검은 플라스틱 덮개(15)가 설비되어 있다.
연속된 3개의 부탱크(16)가 있으며, 이 부탱크에 1㎛로 여과된 바닷물이 공급된다(나타내지 않음). 각각의 부탱크(16)의 용량은 유충 사육용 탱크(14)와 동일하다.
수중용 펌프 및 필터 부품(17)은 하나의 부탱크(16)로부터 다른 부탱크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기에 적합하다. 각각의 부탱크는 가열장치를 조절하는 자동온도조절장치가 설비되어 있다. 각각의 부탱크(16)는 폐기물 배수관(21)과 연통하는 위로 향한 배수관(20)을 가지고 있다.
수중용 펌프 및 필터 부품(17)은 UV 살균장치(23)로 물을 공급하는 가요성관(22)과 연결된 배출구를 가지고 있다. UV 살균장치(23)는 호스(24)를 통하여 살균된 물을 탱크(14)로 공급한다. 탱크(14)의 바닥을 통해 연장되고, 배수관(27)을 통해 부탱크(16)로 물을 되돌리는 분기관(26)과 연결된 개방 스탠드파이프(25)의 높이에 의해 정해지는 탱크(14)에서의 물의 깊이는 15㎝이다. 탱크(14)는 스탠드파이프(25)를 둘러싸고, 탱크 바닥에서 상기 스탠드파이프(25)로 연장된 메쉬 에셈블리(31)를 가지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물 공급 호스(24)는 탱크(14)의 바닥 주위 내부 표면에 위치된 유입 노즐 고리(33)가 배열되기에 적합한 분기관(32)으로 물을 공급한다. 다수의 노즐(34)은 유입 노즐 고리(33) 상에 배치되고, 탱크(14) 내에서 한쪽 방향으로 끝없이 순환을 유발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모든 노즐들이 유도된다. 노즐 흐름 속도는 제 1령 필로소마(phyllosoma) 단계에서, 분당 5m로 조절되고, 제 4령 단계에서 분당 15~20m로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사용시에 하나의 부탱크(16) 속의 물은 수중용 펌프(17)를 사용하여 24시간동안 유충 사육용 탱크(14) 속에서 순환된다. 24시간 후, 펌프(17)는 같은 온도(±0.5℃)로 조절된 물이 있는 다른 부탱크(16)로 이동된다. 그 후, 물은 유충 사육용 탱크(14) 내로 다시 순환된다.
하나의 부탱크 내의 물이 사용되는 동안 나머지 탱크를 비우거나 건조시킨다. 부탱크(16)로 공급되는 사육용 물은 12시간동안 10% 염소로 살균된 후, 10% 티오황산나트륨으로 중화시킨다. 염소 중화된 물은 사육 시스템으로 도입되기 전에 Palintest
Figure 112002001858705-pct00004
(DPD No 1)로 확인한다.
도 5 및 도 6에 설명된 구체예에서, 사이펀(35)은 물의 높이를 유지시키는 외부 범람 탱크(36)와 연결된다. 이 구체예에서 물은 필터를 통해 원수(raw water) 유입구(37)로부터 UV 살균장치(23)에 공급되어 헤드 탱크(41)에 공급된다. 헤드 탱크(41)는 가열장치와 자동온도조절장치(42)를 가지고 있다. 헤드 탱크의 물은 공급 파이프(43)를 통해 UV 살균장치(23)에 공급된다.
사용시에 유입구(37)의 물은 0.5㎛ 필터(40)를 통해 여과되어 헤드 탱크(41)에 공급된다. 여과된 물이 헤드 탱크(42)에 공급된 후, 온도(26~27℃)가 조절된 물은 10ℓ/시간/Watt UV 방사를 하는 살균장치(23)를 통과한다. 염도는 34~36ppt 사이로 유지되고, 염도 변화는 하루당 ±1ppt 내로 유지된다. 낮 동안에 표면에 유충들이 모이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사육 시스템에는 검은 플라스틱 시트를 덮어둔다. pH의 수준은 8.2~8.5 사이로 유지된다(천연 바닷물 pH 수준). 사육용 물의 산소 수준은 폭기 없이 사육용 물의 순환에 의하여 7ppm 이상으로 유지된다.
사육 밀도
도 5 및 도 6의 흐름-통과 시스템 하에서, 필로소마의 최대 사육 밀도는 다음과 같다:
ℓ당 제 1령(齡)(탈피와 탈피사이에 걸리는 시간) 유충 40마리
ℓ당 제 2령 유충 25마리
ℓ당 제 3령 유충 10마리
ℓ당 제 4령 유충 5마리.
도 7에 설명된 구체예에서, 도 1의 구조에 대해 선택적인 구조의 반-재순환 시스템이 제공되고, 환상(annular)의 유충 사육용 탱크(50)는 모듈의 곧은 채널 부분(51)과 코너의 채널 부분(52)의 어셈블리로 이루어진다. 채널 부분(51 및 52)은 대체로 불투명한 플라스틱 물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채널의 벽 높이와 폭은 각각 30㎝이다. 성형 부분들은 탱크(50)를 형성하기 위하여 서로 볼트로 죄어져 있으며, 실리콘 방수제로 밀폐되어 있다.
두 개의 부탱크(53, 54)는 각각 유충 사육용 탱크(50)와 같거나 더 큰 용량을 가지고 있다. UV 살균장치(55)와 수중용 펌프(56)는 0.5~1.0㎛로 여과되고, 12시간동안 염소로 미리 살균된 배지를 순환시킨 후, 10% 티오황산나트륨으로 중화시킨다. 새로운 사육용 물은 염소가 남아있지 않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육용 시스템에 도입시키기 전에 Palintest
Figure 112002001858705-pct00005
(DPD No 1)로 시험한다.
배지는 UV 살균장치(55)를 통해 운반되어 약 10ℓ/시간/Watt로 UV 방사된다. 살균장치(55)는 ±0.5℃내로 온도를 유지시키는 가열장치/냉각장치/자동온도조절장치로 이루어진 온도 조절 기관을 포함하고 있다. 배지는 배달관(57)에 의해 탱크에 전달되고, 상기 운송관은 탱크(50)의 내부벽 및 외부벽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분리관(60)에 의해 내부순환관(61)과 외부 순환관(62)으로 분기되어 있다.
다수의 적하관(dropper)(63)은 순환관(61 및 62)으로부터 탱크(50)의 바닥을 향해 각각의 벽을 따라 연장되고, 노즐(64) 내에서 종결된다. 각각의 적하관은, 순환하는 방향으로 정렬되고 각각의 벽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노즐(64) 내에서 종결된다.
1㎟ 메쉬의 배수관은 사용시에 부탱크로의 순환을 가능하게 하고, 탱크(50) 내의 높이의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시스템의 기본 조작은 하나의 부탱크의 물을 수중용 펌프를 사용하여 24시간동안 유충 사육용 탱크 내로 순환시키는 것이다. 24시간 후에, 펌프는 동일한 온도(±0.5℃)로 조절된 물을 가지고 있는 다른 부탱크로 이동된다. 그 후, 물은 사육용 탱크 내로 다시 순환된다. 하나의 부탱크가 사용되는 동안, 나머지 부탱크는 폐기물을 없애고, 전처리된 배지로 재충전하기 위한 준비로서 건조시킨다.
도 8의 구체예에서, 공급되는 바닷물을 사용하기에 적합한 한 방향 흐름 통과 시스템을 예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이것은 도 7의 구체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적어도 1.0㎛, 바람직하게는 0.5㎛로 여과시킨 바닷물을 UV 살균장치/온도조절 어셈블리(55)로 운반하고, 그곳에서부터 운송관으로 운반한다. 이 시스템을 통과한 흐름은 배수관(65)을 통해 직접 폐기처리된다.
도 9의 구체예에서, 배지 재생으로 완전히 재순환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고 있다. 이 구체예에서는, 다수의 탱크(50)에 복식의 분리관(60)을 통하여 배지가 공급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탱크 용량의 합과 같은 부피를 가지는 저장기(66)가 설치되어 있다. 저장기는 저장통(67)으로 분기되어 있는 배수관(65)으로부터 배지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저장통 부분(67)을 가지고 있다. 펌프(70)는 바이오필터(71), 거품 분류기(72) 및 가공 유니트(73)로 배지를 운반시키고, 가공 유니트(73)는 UV 살균장치, 오존 발생기 및 온도 조절뿐만 아니라 벤트리관을 가지는 혼합기 동력부의 기능이 통합되어 있다.
유충용 먹이
표준 품질의 먹이를 얻기 위하여 쌍각조개의 영양 강화는 필요하다. 극소녹조류들인 극소염색체종은 25~28℃ 사이로 유지된 온도 범위에서 살아있는 피피와 공배양(coculture)되었다. 조류의 배양은 조류 물 40ℓ당 젖은 무게로 1kg의 피피의 비율로 사용되고, 매 12시간마다 교체하였다. 조류 물에서 암모니아의 수준은 1ppm 이하로 유지하였다. 영양 강화 공정은 48시간동안 계속하였다. 껍질을 포함한 상태의 피피의 젖은 무게를 기준으로 하여 20%의 피피 살이 얻어졌다.
영양 강화된 피피는 절단판 상에서 굽은 "딕 나이프(dick knife)"로 대충 저몄다. 조각은 먹이를 줄 유충 단계에 따라 0.5~2.0mm의 큰 메쉬를 통해 세척한 후, 0.5mm의 작은 메쉬로 세척하고, 1령용으로 1.0mm의 큰 메쉬, 2령용으로 1.5mm와 3령 및 4령용 메쉬로서 2.0mm로 세척하였다. 큰 메쉬와 작은 메쉬 사이에 걸린 저며진 살 조각들을 모아두었다. 큰 메쉬와 작은 메쉬 사이에 걸린 저며진 살 조각들을 다시 저미고, 상기의 공정을 반복한다.
가공된 먹이는 조심스럽게 UV 살균된 바닷물에서 살을 세척하므로써 먹이를 주기 전에 살균한 후, 30분동안 0.1% 염소 바닷물 용액내에서 항온처리하였다. 세척된 먹이 입자는 유충에게 먹이를 주기 전에 작은 메쉬 상에서 다시 UV 살균된 바닷물로 세척하였다.
살균된 바닷물과 함께 준비된 먹이 재료를 피펫을 사용하여 사육용 물에서 균등하게 분배하였다. 먹이 입자는 사육용 탱크의 바닥에 가라앉았다. 먹이를 준 후, 사육용 탱크에 남아있는 먹이 입자는 다음 번의 먹이를 첨가하기 전에 제거하 였다.
먹이를 주는 수준은 성장 단계와 탈피 단계에 따라 변화한다. 먹이를 주는 수준은 이전의 먹이로부터 얼마나 많은 먹이가 남아있는가를 주목하여 조절하였다. 다음은 1톤 탱크 내에서 1000마리의 필로소마에 대해 표준화한 매일의 먹이 수준이다.
1령(1일~5일)
(1일)
필로소마는 부화된 밤부터 먹기 시작하였다(저민 살 조직들 50㎖). 유충 탈피의 동시성을 얻기 위하여 1일 아침에는 먹이를 주지 않았다.
(2일~4일)
필로소마는 더 먹기 시작하여 먹이를 주는 수준을 남아있는 먹이의 수준에 따라 조절하였다. 먹이는 하루에 2번 주었다(이른 아침과 늦은 저녁에 50~70㎖).
(5일~6일)
필로소마는 탈피하기 위한 준비를 시작하여 먹이를 주는 수준을 5일째의 저녁부터 감소시켰다(아침에 50~70㎖, 늦은 오후에 30~40㎖).
2령(6일~10일)
(6일~7일)
1령 필로소마가 이른 아침에 2령으로 탈피하였기에, 아침에 먹이를 주는 수준을 최소화시키고, 늦은 저녁은 더 증가시켰다(아침에 50~60㎖, 오후에 60~80㎖).
(7일~9일)
하루에 먹이를 두 번 주었지만(50~60㎖), 9일쯤 필로소마는 더 먹기 시작하여 하루에 3번 먹이를 주는 것이 필요하였다.
(9일~10일)
먹이를 주는 수준은 탈피 전까지 여전히 높았다. 아침에 동족끼리 서로 잡아먹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밤새 섭취할 수 있게 충분한 먹이(70~80㎖)를 주었다.
3령(10일~16일)
(10일~12일)
유충은 이른 아침에 탈피하였으므로, 탈피 단계 전과 탈피 단계 동안에 섭취할 수 있는 먹이는 충분하였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탱크 내에 남아있는 먹이가 없었기 때문에, 탈피가 되기 전에 여분의 먹이(20~30㎖)를 주었다. 탈피 단계 뒤 유충은 3~6시간동안 먹이를 먹지 않았기에, 아침에 주는 먹이를 최소화(50~60㎖)하고, 오후에는 더 높은 수준으로 하였다(100~120㎖).
(12일~16일)
유충에게 하루에 3번(70~80㎖, 8시간마다) 먹이를 주었으며, 먹이는 항상 적절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4령(15일~27일)
(15일~17일)
유충에게 하루에 3번(60~70㎖) 먹이를 주었으며, 먹이는 항상 적절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8일~21일)
필로소마의 먹이를 주는 수준은 이 시기에 최대였다. 유충에게 하루에 세 번 먹이를 주었다(100~120㎖).
(21일~30일)
필로소마는 니스토(nisto) 단계로 변태하기 시작하였고, 그 결과 먹이를 주는 수준은 4령 필로소마의 감소 수에 따라 감소시켰다. 필로소마가 25~26일 사이에 먹이를 먹지 않을 때, 먹이를 주는 것은 하루에 두 번으로 감소되었다(60~80㎖). 서로 같은 동족을 잡아먹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다른 탈피중인 필로소마로부터 예비-변태 필로소마를 분리하였다. 니스토 단계의 기간은 약 7일이고, 온도는 26~27℃로 유지되었다.
유생 배양
7일 후, 니스토는 유생 단계로 탈피하였다. 유생으로의 탈피는 항상 밤 동안에 일어난다. 유생의 외골격은 석회질로 되고 착색된다. 새롭게 탈피한 유생은 다음날 아침 니스토 탱크로부터 수집하여 유생 유지 탱크로 이동시킨다.
유생들은 야행성이다. 아침에 하루 한번 먹이를 주고, 다음날 아침에 남아있는 먹이와 배설물을 제거하였다. 먹이를 주는 수준은 남아있는 먹이의 양에 따라 조절하였다. 1령 유생의 먹이 크기는 2령 또는 3령 필로소마의 먹이에 대해 작은 크기이다. 영양 강화된 피피의 저며진 살은 적어도 4령 유충까지는 적절하고, 그 후에는 영양 강화되지 않은 피피, 오징어, 조개 및 홍합을 사용할 수 있다. 유생 배양을 위한 최적의 온도는 26~27℃이다.
상기한 내용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로 주어진 것이고, 당 분야에서 숙 련된 사람들이 명백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런 모든 변형과 변경 및 다른 변형과 변경도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넓은 범위 및 영역 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7)

  1.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테누스종(Thenus spp.), 락 바닷가재 또는 슬리퍼 바닷가재 유충의 사육 방법:
    적어도 10cm~1m의 깊이로 유충 사육 배지를 유지하기 위한 환상의 탱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배지의 수평 순환을 야기시키기 위한, 탱크의 환상의 측벽에 배치된 복수의 배출구를 통하여, 유충의 손상을 막도록 분당 6m 미만의 배출구 유속을 유지하면서 상기 탱크에 살균되고, 여과된 유충 사육용 배지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유충의 손상을 막기 위해 선택된 상기 배지의 유속을 유지하면서, 유충 스크린을 포함하는 탱크 깊이-조절 배수 어셈블리를 통하여 상기 배지를 연속적으로 배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살균되고, 여과된 유충 사육용 배지의 온도를 조절하므로써, 사육하는 유충종을 수용하기 위해 26~27℃의 온도에서 상기 배지를 유지시키는 단계.
  2. 다음의 장치를 포함하는 테누스종, 락 바닷가재 또는 슬리퍼 바닷가재 유충의 사육 장치:
    살균되고, 여과된 유충 사육용 배지의 공급수단;
    적어도 10cm~1m의 깊이로 유충 사육용 배지를 유지시키기 위한 환상의 탱크;
    상기 탱크 내에 상기 배지를 운반하여 상기 탱크 내에서 상기 배지의 수평 순환을 야기시키기 위한, 상기 공급수단과 연결된, 탱크의 환상 측벽 상의 복수의 배출구;
    분당 6m 미만의 상기 배지의 유속을 유지하면서, 상기 탱크 내에 선택된 수준을 유지하도록 배열된 유충 스크린을 포함하는 배수 수단; 및
    사육하는 유충종을 수용하기 위해 26~27℃의 온도에서 상기 배지를 유지시키도록 적용된, 상기 배지 공급용의 온도 조절 장치.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충 사육용 탱크는 부분-원형(part-circular) 말단부분에 의해 닫혀진 곧은 부분을 가지는 환상의 레이스웨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용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스웨이는 부분-원형 말단부분과 곧은 부분의 모듈 구조를 포함하므로써, 선 면적 및 유지 용량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용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및 곧은 부분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레이스웨이를 형성시키기 위한 어셈블리에 볼트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용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1미터 이하의 깊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용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의 깊이는 10~20cm 사이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용 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적층 상태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용 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배출구는 둘레에 대해 일정한 흐름을 가지는 연속적인 한 방향 순환을 촉진시키기 위해 배향된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용 장치.
  11. 삭제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은 탱크 내에서 배지의 순환을 유지시키기 위한 최소 유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용 장치.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출구는 선형 또는 고리형 분기관에 의해 상기 연속적인 공급수단으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용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또는 고리형 분기관은 상기 배지의 선택된 수준보다 높은 탱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구는 탱크의 바닥 지역에 있어 적하기에 의해 상기 분기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용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환상의 탱크이고, 상기 분기관은 탱크의 내부 벽 및 외부 벽의 상부의 각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용 장치.
  1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출구는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순환은 원하는 순환 방향으로의 성분과 상기 탱크의 한쪽 측벽의 내부 방향으로의 성분을 가지는 방향으로 상기 노즐을 조준하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용 장치.
  1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공급수단은 재순환 공급수단, 비-재순환 공급수단 및 부분적인 재순환 공급수단으로부터 선택된 연속적인 공급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용 장치.
  1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는 1㎛ 미만의 입자 크기로 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용 장치.
  1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방법, 화학적 방법 또는 방사법에 의해 살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용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은 UV 살균, 초미세 여과, 염소소독/중화, 산성화/중화 및 오존화 중 하나 이상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용 장치.
  2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수단은 약 1mm의 메쉬 크기를 가지는 메쉬로 된 배수 개구부가 설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용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로 된 배수 개구부는 사용시에 배출구를 통과하는 배출구 유속보다 낮도록 선택된 유출 속도를 가지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용 장치.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수단은 10~20cm의 배지 수준이 되도록 설정된 표면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용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배수관은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스탠드파이프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용 장치.
  2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를 위한 덮개 수단이 더 제공되고, 덮개 수단과 상기 탱크는 사용시에 주위의 빛에 불투명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용 장치.
  2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 장치는 자동온도조절장치를 포함하고, 가열장치 및 냉각장치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용 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선택된 온도 ±0.5℃로 상기 배지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용 장치.
  28. 제 1항에 있어서, 유충은 모레톤 베이 버그의 필로소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 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는 상기 탱크에 도입된 유충의 근원과 동일한 온도 ±0.5℃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 방법.
  30.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의 염도는 25~40ppt 사이의 범위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 방법.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염도는 하루당 1ppt 미만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 방법.
  32. 제 28항 내지 제 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H 수준은 7~9 사이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 방법.
  33. 제 28항 또는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및 사육 밀도는 사육용 물의 산소 레벨이 적어도 7ppm의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 방법.
  34. 제 33항에 있어서, 필로소마의 최대 사육 밀도는 다음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 방법;
    - ℓ당 제 1령 유충 40마리
    - ℓ당 제 2령 유충 25마리
    - ℓ당 제 3령 유충 10마리
    - ℓ당 제 4령 유충 5마리.
  35. 미세조류 및 돌말로부터 선택되는 영양 강화 성분으로 배양시킨 연체동물로부터 유래된 저민 연체동물의 살을 포함하는 갑각류의 유충 먹이 조성물.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연체동물 살은 도낙스종(Donax spp.)으로부터 유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먹이 조성물.
  37. 제 35항 또는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 강화 성분은 난노클로로프시스종(Nannochloropsis spp.), 이소클시스종(Isochrsis spp.) 및 파블로바종(Pavlova spp.)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먹이 조성물.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배출구는 둘레에 대해 일정한 흐름을 가지는 연속적인 한 방향 순환을 촉진시키기 위해 배향된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각류의 유충 사육용 장치.
KR1020027000876A 1999-07-22 2000-07-21 갑각류의 유충 사육방법과 장치 KR1006890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Q1776A AUPQ177699A0 (en) 1999-07-22 1999-07-22 Crustean larva raising method and apparatus
AUPQ1776 1999-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895A KR20020092895A (ko) 2002-12-12
KR100689083B1 true KR100689083B1 (ko) 2007-03-09

Family

ID=3815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876A KR100689083B1 (ko) 1999-07-22 2000-07-21 갑각류의 유충 사육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561134B1 (ko)
EP (1) EP1206177B1 (ko)
JP (1) JP4748906B2 (ko)
KR (1) KR100689083B1 (ko)
CN (1) CN1186977C (ko)
AT (1) ATE322838T1 (ko)
AU (1) AUPQ177699A0 (ko)
DE (1) DE60027305T2 (ko)
ES (1) ES2260027T3 (ko)
HK (1) HK1050297A1 (ko)
WO (1) WO20010068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513B1 (ko) * 2006-03-22 2007-07-09 대한민국 유충사육장치
WO2007148209A1 (en) * 2006-06-22 2007-12-27 Power Robert M Commercial post larval collector habitat
US20080017125A1 (en) * 2006-06-22 2008-01-24 Power Robert M Culture tank for marine organisms
US8506811B2 (en) * 2007-03-01 2013-08-13 Bradley Innovation Group, Llc Process and system for growing crustaceans and other fish
KR100874806B1 (ko) 2007-07-05 2008-12-19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곤충사육장치
WO2009090521A2 (en) * 2008-01-11 2009-07-23 Blarney Stone Trading 16 (Proprietary) Limited A method for the intensive production of prawns
WO2011022016A1 (en) 2009-08-20 2011-02-24 Aqua Manna, Llc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US8877045B1 (en) 2008-08-20 2014-11-04 Bradley Innovation Group, Llc Water treatment apparatus
WO2010036704A1 (en) 2008-09-24 2010-04-01 Darden Aquafarm, Inc. Mechanized collector of juvenile lobsters
DE202008013223U1 (de) * 2008-10-08 2010-02-18 Big Dutchman International Gmbh Indoor-Fischfarm mit aufgeständertem Becken
US8336498B2 (en) 2009-05-13 2012-12-25 The Texas A&M University System System and method for super-intensive shrimp production
CN102461482B (zh) * 2010-11-17 2013-07-03 东北农业大学 一种跳虫饲养装置
CN102132681B (zh) * 2010-12-21 2012-11-21 天津市滨海新区九马能源工程技术有限公司 节能型养殖海水净化调温系统
CN103392364B (zh) 2011-02-18 2017-03-08 德国电信股份公司 用于在运行第一和第二移动通信网络时节省能量的方法、移动通信网络
CA3085086C (en) 2011-12-06 2023-08-08 Delta Faucet Company Ozone distribution in a faucet
JP6255013B2 (ja) * 2012-06-18 2017-12-27 グリーンオニキス リミテッド 水産養殖条件下で育てられた開始材料からの生成物質の継続的生成のための小型装置
CN103651260A (zh) * 2012-09-02 2014-03-26 郭德宏 一种养殖金蝉的方法
CN104920264A (zh) * 2015-06-25 2015-09-23 时敏 一种青虾养殖方法
CN104920267A (zh) * 2015-06-25 2015-09-23 时敏 一种对虾养殖方法
US11458214B2 (en) 2015-12-21 2022-10-04 Delta Faucet Company Fluid delivery system including a disinfectant device
CN105941334B (zh) * 2016-04-29 2019-01-04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一种卤虫无节幼体孵化及快速分离的方法
CN106259137B (zh) * 2016-08-09 2019-11-08 中国水产科学研究院南海水产研究所 一种跑道式高密度封闭水产养殖系统及养殖水产的方法
US10278368B1 (en) 2016-10-05 2019-05-07 Verily Life Sciences Llc Automated flying insect separator
US10779521B2 (en) * 2016-10-05 2020-09-22 Verily Life Sciences Llc Automated mass rearing system for insect larvae
CN106962292B (zh) * 2017-03-20 2023-04-28 广州威佰昆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蚊虫幼虫大规模饲养设备及饲养盘
CN107361027A (zh) * 2017-08-31 2017-11-21 中国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一种采用人工饲料循环灭菌法饲养捕食性蝽的装置及方法
CN107821337A (zh) * 2017-11-23 2018-03-23 南宁市生润科技有限公司 一种柴虫养殖箱
ES2714930B2 (es) * 2017-11-29 2020-01-15 Inst Espanol De Oceanografia Procedimiento para el cultivo de paralarvas del pulpo común Octopus vulgaris
US11425894B2 (en) * 2018-08-14 2022-08-30 Associates Of Cape Cod, Incorporated Horseshoe crab incubation system
US20200275643A1 (en) * 2019-02-28 2020-09-03 Verily Life Sciences Llc Egg hatching and larvae separation devices and methods
JP7222767B2 (ja) * 2019-03-19 2023-02-15 株式会社ニッスイ 十脚目幼生の飼育方法
CN110495412A (zh) * 2019-09-09 2019-11-26 鲁东大学 一种刺参与真蛸工厂化综合养殖的方法
NL2024692B9 (en) * 2020-01-17 2021-11-29 Protix Bv Method for controlling hatching of an insect egg
CN111758632B (zh) * 2020-07-14 2022-03-01 和县明信水产养殖专业合作社 一种稻田小龙虾早秋繁育苗的方法
CN112471062B (zh) * 2021-01-22 2022-12-16 广州澳朗斯贸易有限公司 一种鱼类养殖循环优化系统的工作方法
CN112772535B (zh) * 2021-01-31 2022-07-05 南京数字空间新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活鱼运输装置
KR102363800B1 (ko) * 2021-05-24 2022-02-16 송경규 유충 사육 및 가공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CN113367102A (zh) * 2021-06-24 2021-09-10 广东省农业科学院茶叶研究所 一种能够提高繁殖率的叶蝉养殖方法
CN115053851B (zh) * 2022-05-25 2023-06-02 中国水产科学研究院黄海水产研究所 一种用于双壳贝类幼体延迟变态的装置及其使用方法
CN116267759A (zh) * 2023-02-10 2023-06-23 通威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鱼苗养殖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4423A (en) * 1969-12-24 1973-04-03 Apparatus for growing crustaceans
US3797458A (en) * 1970-12-08 1974-03-19 Ocean Protein Corp Apparatus for growing crustaceans
US4003337A (en) * 1974-10-23 1977-01-18 Kerry Lamar Moore Fish growing tank and method
US4036176A (en) * 1975-02-03 1977-07-19 Syntex (U.S.A.) Inc. System for culturing aquatic animals
JPS5311800A (en) * 1976-07-20 1978-02-02 Asahi Chemical Ind Method of well preserving and transporting live fish and apparatus therefor
US4300477A (en) 1978-06-26 1981-11-17 Sanders Associates, Inc. Aquaculture rearing system
JPS58500588A (ja) * 1981-02-11 1983-04-21 アイシ−アイ オ−ストラリア リミテイド 軟体動物の養殖方法
JPS5998635A (ja) * 1982-11-30 1984-06-07 日立造船株式会社 えびまたはかにの種苗生産台船
AU5247086A (en) 1985-02-20 1986-08-28 Babington, Hubert Prawn hatchery
US4972801A (en) * 1988-08-15 1990-11-27 Hunt Robert D Pumping system for producing oxygen enriched water useful in the growing of aquatic life
US5353745A (en) * 1992-09-29 1994-10-11 Fahs Ii Richard W Aquaculture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5762024A (en) * 1996-04-17 1998-06-09 David E. Meilahn Aquaculture system
CN1228008A (zh) * 1996-06-24 1999-09-08 德克萨斯州立大学董事会 自动化的闭路循环水产养殖过滤系统
CN1198074A (zh) * 1996-07-30 1998-11-04 株式会社吉发斯 鱼的饲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60027T3 (es) 2006-11-01
DE60027305T2 (de) 2007-01-18
JP4748906B2 (ja) 2011-08-17
HK1050297A1 (en) 2003-06-20
EP1206177A4 (en) 2004-09-08
ATE322838T1 (de) 2006-04-15
DE60027305D1 (de) 2006-05-24
CN1362857A (zh) 2002-08-07
KR20020092895A (ko) 2002-12-12
EP1206177B1 (en) 2006-04-12
EP1206177A1 (en) 2002-05-22
JP2003505049A (ja) 2003-02-12
CN1186977C (zh) 2005-02-02
US6561134B1 (en) 2003-05-13
WO2001006847A1 (en) 2001-02-01
AUPQ177699A0 (en) 199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083B1 (ko) 갑각류의 유충 사육방법과 장치
Lim Larviculture of the greasy grouper Epinephelus tauvina F. and the brown‐marbled grouper E. fuscoguttatus F. in Singapore
CN101375673B (zh) 一种石斑鱼工厂化人工育苗方法
CN100372510C (zh) 全人工培育斑节对虾亲体的方法
CN109122443B (zh) 澳洲淡水龙虾循环水抱卵孵化系统及育苗方法
CN102257972A (zh) 鞍带石斑鱼工厂化育苗方法
CN109452203A (zh) 一种许氏平鲉深水网箱大规格苗种培育方法
CN107114283A (zh) 一种棘头梅童鱼的人工繁育方法
Liu et al. Sea urchin aquaculture in China
CN106942103B (zh) 一种瓜螺的人工育苗方法
CN110250047B (zh) 一种工厂化养殖四指马鲅的方法
Nabhitabhata et al. Performance of simple large-scale cephalopod culture system in Thailand
Yaqing et al. The status of mariculture in northern China
AU2004222820B2 (en) Crustacean larva raising method and apparatus
CN112586409A (zh) 一种黄鳝苗种室内水池中间培育的养殖方法
KR101839314B1 (ko) 쏘가리 초기 양식방법 및 양식장치
KR101839315B1 (ko) 쏘가리 초기 양식방법 및 양식장치
JP2525609B2 (ja) イセエビ類幼生の飼育方法
UA65842C2 (en) Method of commercial growing the giant freshwater prawn (macrobrachium rozenbergii)
CN116235805B (zh) 一种高效、生态的南美白对虾和金钱鱼的混养方法
Ingram et al. Murray cod aquaculture—current information and current status
Matsuoka A review of the nursery and growout culture techniques for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Japan
CN116806749B (zh) 一种沙塘鳢人工繁殖方法
KR100464672B1 (ko) 흑진주조개의 종묘생산용 해상사육장치
AU5954300A (en) Crustacean larva raising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