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806B1 - 곤충사육장치 - Google Patents

곤충사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806B1
KR100874806B1 KR1020070067454A KR20070067454A KR100874806B1 KR 100874806 B1 KR100874806 B1 KR 100874806B1 KR 1020070067454 A KR1020070067454 A KR 1020070067454A KR 20070067454 A KR20070067454 A KR 20070067454A KR 100874806 B1 KR100874806 B1 KR 100874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eding
insect
tank
water
lif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연재
윤태중
김동건
김선이
Original Assignee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67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8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곤충의 사육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곤충에게 자연 상태와 유사한 사육수의 유동을 제공할 수 있는 곤충사육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곤충사육장치는 내부에 사육수가 수용된 사육수조, 상기 사육수조의 내부에 수용되어 곤충을 사육하기 위한 독립된 사육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사육수가 통과 가능하도록 형성된 사육용기 및 상기 사육용기를 지지하며, 상기 사육 수조와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사용용기의 사육수 수위를 조절하는 승강유닛을 포함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사육용기 내의 사육수 수위를 조절할 수 있고, 자연환경과 유사한 사육수의 유동을 곤충에게 제공함으로써 곤충의 사육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곤충, 사육, 용기, 수위조절, 정화, 순환

Description

곤충사육장치{INSECT RAISING DEVICE}
본 발명은 곤충사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곤충의 사육용기의 수위를 조절하여 최적의 사육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육에 필요한 노동력 및 그에 따른 소요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곤충사육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명화, 산업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면서, 환경 및 생태계 파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즉, 수질이나 대기가 오염되면서 일부 곤충 등의 동물들이 멸종하고 있으며, 멸종으로부터 보호하고 사육하기 위한 시도들이 필요한 때이다. 특히, 최근 여러 선진 국가들에서는 곤충을 자원화하거나 희귀 곤충을 보호 및 보전하기 위한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즉, 최근 들어 곤충은 학문 또는 애완을 위한 용도 이외에 천적자원, 환경정화, 환경지표, 치료제 등 여러 방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사육되고 있다.
물장군이나 꼬마 잠자리도 그 대표적인 곤충이다. 노린재목 물장군과에 속하는 물장군은 늪이나 연못 또는 하천의 고인 물 등에 서식하며, 최근에는 수질 오염으로 인하여 그 수가 뚜렷하게 줄어들고 있어서, 꼬마 잠자리와 함께 멸종위기 II 급으로 분류되어 보호되고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곤충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물에 사는 상기 곤충과 상기 곤충의 유충을 통칭하는 것으로 물장군이나 꼬마잠자리 및 그 유충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멸종 위기의 곤충을 사육하는 장치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곤충의 사육을 위한 장치는 그 곤충의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조건을 만들어 줄 수 있어야 될 뿐만 아니라, 자동화 등으로 사람의 적은 노력으로 값싸게 사육되어야 하며, 그 외의 대량 사육에 적합하여야 하는 등 여러 문제점을 극복하고 해결하여야 하나, 종래의 사육 장치는 이와 같은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일 예로서, 도 1을 제시하여 종래의 사육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곤충사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곤충을 대량으로 사육하기 위해 곤충의 개수만큼 복수개의 사육용기(10)를 마련하고, 상기 각 사육용기(10)에 사육수(20)를 공급한 다음 각 사육용기(10)를 통해 곤충을 한마리씩 개별적으로 사육시켰다.
그러나, 종래에는 찌꺼기 등에 의해 더러워진 사육수(20)를 갈아주기 위해 각각의 사육용기(10)에 수용된 사육수(20)를 개별적으로 교환해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이에 따라 사육에 필요한 노동력 및 그에 따른 소요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한번 사용된 사육수(20)를 재사용할 수 없어 사육수(20)의 사용량 및 그에 따른 소요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환경 오염을 유발하 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뿐 아니라, 곤충이 커가면서 필요한 사육수의 수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부재하여, 최적의 사육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 환경과 같이 흐르는 물의 유동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유충의 발육 상태에 따라 수위가 조절될 뿐만 아니라, 자연 환경과 같이 흐르는 물의 유동 환경을 구비한 곤충사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충의 사육에 필요한 노동력 및 그에 따른 소요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곤충사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육수를 재사용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곤충사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곤충사육장치는 내부에 사육수가 수용된 사육수조, 상기 사육수조의 내부에 수용되어 곤충을 사육하기 위한 독립된 사육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사육수가 통과 가능하도록 형성된 사육용기 및 상기 사육용기를 지지하며, 상기 사육 수조와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사용용기의 사육수 수위를 조절하는 승강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승강유닛과 상기 사육수조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승강유닛은 망상(網狀)의 재질로 형성되되, 바구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유닛은 양 측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천공된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된 제 1결합부 및 상기 사육수조에 형성된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결합홀 및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 또는 암나사 및 수나사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승강 유닛은 끝단이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사육 수조의 상부 측에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봉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바로 구비되어, 상기 제 2결합부 및 상기 홈부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승강유닛은 양 측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천공되어 형성된 복수의 결합홀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사육수조에서 돌출된 돌기부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사육용기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용기를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홀더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승강유닛의 양 측부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되되, 고리형태로 형성된 삽입부재 및 상기 사육수조의 외부에 상기 삽입부재의 일단이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레일 형상으로 형성된 레일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사육용기는 상부를 폐쇄하는 투명재질의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사육수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정화모듈은 상기 사육수를 자외선으로 소독하는 자외선소독기 또는 상기 사육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망상(網狀)조직으로 형성된 여과부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곤충사육장치는 상기 사육수가 상기 사육수조 내부 또는 상기 사육수조와 상기 정화모듈 간에 순환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순환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곤충사육장치에 포함된, 상기 사육수조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때, 상기 각 사육수조 중 상측 배치된 상기 사육수조에 수용된 사육수를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된 상기 사육수조로 공급하는 연결유로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곤충사육장치에 의하면 유충의 발육 상태에 따라 수위가 조절될 뿐만 아니라, 자연 환경과 같이 흐르는 물의 유동 환경을 곤충에게 제공하여, 곤충의 사육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사육수 교체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곤충의 사육에 필요한 노동력 및 그에 따른 소요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염된 사육수를 정화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육수의 사용량 및 그에 따른 소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고, 곤충의 사육이 친환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곤충사육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곤충 사육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사육용기와 커버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곤충사육장치는 대량의 곤충을 집단 사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사육수조(100), 승강유닛(200) 및 사육용기(300)를 포함한다.
상기 사육수조(100)는 내부에 소정 수용 공간을 가지며 상면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한 플라스틱, 실리콘 또는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육수조(100)가 사각 통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원통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사육수조(100)의 내부에는 곤충을 사육하기 위한 사육수(120)가 출입한다.
상기 사육용기(300)는 사육수조(100)의 내부에서 곤충을 사육하기 위한 독립된 사육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사육수(120)가 통과 가능한 다공질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곤충을 사육하기 위한 사육공간을 가지며 상하면이 개방된 통 형상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복수개가 구비된다. 일 예로서 이와 같은 사육용기(300)는 소정 메시(mesh)를 갖는 망(網)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육용기(300)가 원형 단면을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사각 단면을 갖는 통 형상이나, 삼각형 단면을 갖는 통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사육용기(300)는 그 상면을 폐쇄하는 커버부재(310)가 결합 가능하다. 커버부재(310)는 상기 사육용기(300) 내부에 수납된 곤충이 밖으로 탈출하지 못하도록 상면을 폐쇄하는 것이다. 이때, 커버부재(310)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사육용기(300)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커버부재(310) 외부에는 스티커 등으로 상기 사육용기(300) 내부에 수납된 곤충에 관한 정보를 기재할 수도 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사육용기(300) 전체가 다공질 재질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사육용기(300)의 일부에 해당되는 부위만 다공질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사육용기(300)가 구비된 사육수조(100)는 복수개의 층을 이루어 배치되며, 각 사육수조(100)를 서로 다른 높이에 계단식으로 배치시킨 후 상측에 배치되는 사육수조(100)로부터 하측에 배치되는 사육수조(100)로 사육수(120)가 순환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역시 사육수(120)는 정화모듈(400)에 의해 정화된 후 연결유로(350)에 의해 순환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육수조(100)로부터 다른 사육수조(100)로의 사육수(120)의 순환은 연결유로(35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연결유로(350)로서는 통상의 호스 또는 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연결유로(350)는 사육수(120)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500)와 연결되며, 순환펌프(500)의 내부에 사육수(120)를 정화시키기 위한 정화모듈(400)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사육수조(100) 내부에 상기 정화모듈(400)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순환펌프(500)는 상기 사육수조(100)에서 배출된 상기 사육수(120)를 최상층에 위치한 상기 사육수조(100)로 공급하여, 상기 사육수(120)가 순환되게 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순환펌프(500)에 관한 기술은 공지된 것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정화모듈(400)은 자외선소독기(미도시) 및 여과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정화모듈(400)로 유입된 상기 사육수(120)는 상기 여과부에서 이물질은 여과되고, 상기 자외선소독기를 경유하며 소독되어 상기 순환펌프(500)로 유입되고, 상기 사육수조(100) 방향으로 안내된다. 여기서, 상기 여과부(미도시)는 망상(網狀)조직으로 형성된 여과재로 형성된다. 즉, 상기 여과부(미도시)는 상기 사육수(120)가 유통 가능하되 상기 이물질은 여과되도록 여과솜 또는 모래와 같은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를 가진 여과재를 수용한 여과판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자외선 소독기는 상기 사육수(120)에 포함된 상기 곤충에게 해로운 미생물을 소독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사육공간에서 사육되는 상기 곤충에게 공급되는 상기 사육수(120)는 상기 정화모듈(400)을 통과함으로써, 이물질이 제거되어, 상기 곤충이 생장하기에 적합한 상태로 제공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육수(120)는 상기 순환펌프(500)에 의해 상기 사육수조(100) 및 상기 정화모듈(400)을 따라 순환하게 되므로, 상기 사육수조(100) 내부에서 사육되고 있는 상기 곤충의 배설물 및 상기 곤충에 의해 발생되는 부유물 등이 혼합되게 되고, 이를 상기 정화모듈(400)을 통과하게 함으로써, 상기 곤충에게 적합한 상기 사육수(120)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곤충사육장치는 사육용기(300)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승강 유닛(200)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 유닛(200)은 그 위에 복수개의 상기 사육용기(300)를 올려 놓으며, 사육수조(100)의 측면과 고정할 수 있는 제 1결합부(210)를 구비한다.
보다 자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 5를 제시한다. 도 5는 제 1실시예에 따른 곤충 사육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유닛(200)은 사육수(120)가 출입할 수 있도록 망 형태로 제작되며, 대략 사각형의 바구니 모양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승강 유닛(200)에는 4 모서리 부근에 상기 사육수조(100)의 측벽과 인접되도록 배치되는 강성이 있는 제 1결합부(210)가 구비되며, 상기 제 1결합부 (210)에는 복수의 결합홀(2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홀(211)은 사육수조(100)의 측벽에 형성된 고정홀(212)과 연결 부재(220)에 의하여 결합되게 되는데, 복수의 상기 결합홀(211) 중에서 어느 것과 결합되는지에 따라서 사육용기(300)의 사육수(120) 수위가 결정된다. 즉, 가장 위에 형성된 결합홀(211)과 고정홀(212)이 결합하게 되면, 사육용기(300)의 수위가 높게 형성되며, 가장 아래에 형성된 결합홀(211)과 고정홀(212)이 결합하게 되면, 사육용기(300)의 수위가 낮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220)는 암나사 및 수나사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211)과 상기 고정홀(212)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재(220)를 암나사 및 수나사로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고정홀(212)이 내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암나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20)는 수나사로 구비되어, 상기 결합홀(211)을 관통하되, 상기 고정홀(212)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20)는 상기 사육수조(100)의 내면에 상기 결합홀(2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로 구비되어, 상기 결합홀(211)에 삽입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수위 조절은 곤충이 유충 시에는 수위를 낮게 형성하였다가, 성충이 되면서 차차 사육 환경을 보다 적합하게 변형하기 위하여 사육용기(300)의 사육수(120) 수위를 높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곤충의 종류에 따라 유충 시에는 수위를 높게 형성하였다가, 성충이 되면서 차차 사육용기(300)의 사육수(120) 수위를 낮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성장 과정에서만 수위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밤낮이나 계절, 절기, 짝짓기 시기 등 특정한 시간에 수위를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승강 유닛(200)의 재질은 철재이거나 플라스틱, 또는 고무 등으로 형성 할 수 있으며, 승강 유닛(200)과 제 1결합부(210)의 재질은 동종일 수도 있으나 달리 구성할 수도 있다.
2실시예
도 6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곤충사육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곤충사육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제 2실시예에 따른 승강유닛을 변형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곤충사육장치는 사육수조(100), 승강유닛(250) 및 사육용기(30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승강유닛(250)은 제 1결합부(210), 지지부(257) 및 복수의 수용홀더(255)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홀더(255)는 상기 사육용기(300)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용기(300)를 수용 지지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용용기(300)는 커버부재(310) 방향의 단면이 하부 단면보다 상대적으로 크도록 걸림턱(301)을 형성하여, 상기 수용홀더(255)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걸림턱(301) 부분에서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257)는 상기 수용홀더(255)간 또는 상기 제 1결합부(210)와 상기 수용홀더(255)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용기(300)가 수용된 상태에서도 상기 승강유닛(250)이 하부로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일정 이상의 강도를 지니는 철제, 플라스틱 또는 고무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된다.
또한, 도 6에서는 미도시 하였지만, 상기 수용홀더(255)에 별도의 조임 방식으로 상기 수용용기(30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미도시)를 구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충격에는 상기 수용용기(300)가 전복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유닛(250)은 상기 수용홀더(255)를 일렬이 아닌 복수의 열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때, 상기 지지부(257)는 상기 수용홀더(255)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홀더(255)의 지름을 형성하는 양 측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수용홀더(255)에 상기 수용용기(300, 도 6참조)가 수용된 경우에도 상기 수용용기(300)가 전복되거나,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1결합부(210)는 복수 개가 상기 승강유닛(255)의 모서리 부위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배치는 선형 또는 면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수용홀더(255) 및 상기 지지부(257)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용홀더(255)를 원형의 띠 형상으로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용용기(300)와 상기 수용홀더(255)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상기 수용용기(300)로 유입되는 상기 사육수(120)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고, 상기 수용용기(300)를 지지하는 형태면, 상기 수용용기(300)의 형상에 따라 상기 수용홀더(255)의 외형을 자유롭게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도 6의 Ⅰ부분을 변형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유닛(260)은 삽입부재(215) 및 레일부재(230)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재(215)는 사각기둥이 아라비아 숫자 7과 유사한 형상의 고리형태로 굴곡 형성되어 구비되되, 끝단부의 단변(短邊)을 형성하는 자유단 부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천공된 복수 개의 결합홀(216)이 형성된다.
상기 레일부재(230)는 상기 사육수조(100)에서 외부로 돌출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중공을 형성한 사각 기둥 형상, 즉, 레일형상으로 형성되되, 바닥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레일형상의 상부 인접 부위에 상기 연결부재(220)가 삽입되는 고정홀(231)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레일부재(230)의 내부 중공은 상기 삽입부재(21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재(215)의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되되, 상대적으로 좀 더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홀(216)은 내부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암나사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220)는 상기 결합홀(216)에 대응되는 형상의 수나사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사육수조(100)에 상기 승강유닛(260)을 고정하는 경우에는, 상기 삽입부재(215)의 자유단을 상기 레일부재(230)에 삽입하고, 상기 고정홀(231)에 상기 결합홀(216)을 상호 대응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연결부재(220)를 나사 결합하여 고정한다. 또한 제 1실시예와 유사하게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결합홀(216)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사육공간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곤충사육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육수조(100), 승강유닛(270) 및 사육용기(30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승강유닛(270)은 제 2결합부(280), 홈부(290) 및 연결부재(275)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275)는 일정길이 및 일정 강성을 지니고, 봉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바로 구비되며, 상기 제 2결합부(280)와 상기 홈부(290)를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결합부(280)는 밑면이 사각형인 바구니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승강유닛(200)의 상부 에지 중 두 측이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 2결합부(280)는 상기 승강유닛(270)의 두 측면이 상부로 연장되고, 여기에 외부로 굴곡되어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반원기둥의 곡면을 이루는 면 형태, 즉, 후크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결합부(280)의 하면에는 상기 연결부재(275)가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홈부(290)는 상기 사육수조(100)의 두 측면 상부 모서리 부근에 상기 제 2결합부(280)와 인접하여 오목하게 파인 홈으로 형성되되, 상기 연결부재(275)의 하부 길이방향 단면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결합부(280)에 수용된 상기 고정바 형태의 연결부재(275)가 상기 홈부(290)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승강유닛(200)은 상기 사 육수조(100)에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승강유닛(270)의 평면 형상은 상기 사육수조(100)의 내부 공간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275)를 상기 제 2결합부(280)에 결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 2결합부(280)가 형성된 부위까지 상기 승강유닛(270)이 상기 사육수조(100) 내부로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275)의 유무에 따라 상기 사육용기(300) 내의 상기 사육수(120) 수위를 2단계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유닛(270)이 봉 형상의 상기 연결부재(275)를 구비하고, 이에 따라, 2단계로 상기 수위를 조절하는 것으로 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홈부(290)를 바닥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천공된 고정홀(미도시)로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높이에 맞추어 상기 연결부재(275)를 상기 홈부(290)에 삽입 고정함으로써, 상기 수위를 다단계로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곤충사육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곤충사육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곤충 사육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사육용기와 커버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제 1실시예에 따른 곤충 사육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곤충사육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승강유닛을 변형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Ⅰ부분을 변형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곤충사육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사육수조 120: 사육수
200: 승강유닛 210: 제 1결합부
215: 삽입부재 230: 레일부재
255: 수용홀더 280: 제 2결합부
290: 홈부 300: 사육용기
310: 커버부재 350: 연결유로
400: 정화모듈 500: 순환펌프

Claims (17)

  1. 곤충을 사육하는 곤충사육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사육수가 수용된 사육수조;
    상기 사육수조의 내부에 수용되어 곤충을 사육하기 위한 독립된 사육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사육수가 통과 가능하도록 형성된 사육용기; 및
    상기 사육용기를 지지하며, 상기 사육 수조와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사용용기의 사육수 수위를 조절하는 승강유닛;
    을 포함하는 곤충사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승강유닛과 상기 사육수조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사육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망상(網狀)의 재질로 형성되되, 바구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사육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양 측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천공된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된 제 1결합부; 및
    상기 사육수조에 형성된 고정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사육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결합홀 및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 또는 암나사 및 수나사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사육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유닛은
    끝단이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결합부; 및
    상기 사육 수조의 상부 측에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봉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바로 구비되어, 상기 제 2결합부 및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사육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양 측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천공되어 형성된 복수의 결합홀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사육수조에서 돌출된 돌기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사육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사육용기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용기를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홀더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사육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승강유닛의 양 측부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되되, 고리형태로 형성된 삽입부재; 및
    상기 사육수조의 외부에 상기 삽입부재의 일단이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레일 형상으로 형성된 레일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사육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육용기는 상부를 폐쇄하는 투명재질의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사육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육수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사육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모듈은 상기 사육수를 자외선으로 소독하는 자외선소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사육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모듈은 상기 사육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망상(網狀)조직으로 형성된 여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사육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육수가 상기 사육수조 내부 또는 상기 사육수조와 상기 정화모듈 간에 순환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순환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사육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육수조는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사육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사육수조 중 상측 배치된 상기 사육수조에 수용된 사육수를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된 상기 사육수조로 공급하는 연결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사육장치.
KR1020070067454A 2007-07-05 2007-07-05 곤충사육장치 KR100874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454A KR100874806B1 (ko) 2007-07-05 2007-07-05 곤충사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454A KR100874806B1 (ko) 2007-07-05 2007-07-05 곤충사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4806B1 true KR100874806B1 (ko) 2008-12-19

Family

ID=40372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454A KR100874806B1 (ko) 2007-07-05 2007-07-05 곤충사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4806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668B1 (ko) 2009-06-17 2010-01-27 주식회사 에코탑 꼬마잠자리의 자연적 생태복원 사육장치
KR101130174B1 (ko) 2009-09-23 2012-04-12 김학남 천적곤충의 대량 생산 시설
KR101499059B1 (ko) * 2014-06-17 2015-03-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곤충사육장치, 이를 이용한 곤충사육방법 및 곤충 대량 사육 시스템
CN105211564A (zh) * 2015-11-02 2016-01-06 刘新霞 一种田鳖养殖仿生饲料以及制作方法
CN105325368A (zh) * 2015-11-02 2016-02-17 刘新霞 一种在养殖池中养殖田鳖的方法
KR20160054947A (ko) 2014-11-07 2016-05-17 이인규 버섯 재배 겸용 곤충 사육 키트
CN106305624A (zh) * 2016-05-31 2017-01-11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一种简易的瓜实蝇温度胁迫处理装置及方法
KR20190016892A (ko) * 2017-08-09 2019-02-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광릉왕모기 대량 사육 시스템
KR20190098413A (ko) 2018-02-14 2019-08-22 주식회사 반석이엔지 곤충사육 시스템
KR20190117930A (ko) 2018-04-09 2019-10-17 전영선 굼벵이 사육장치 및 방법
KR102035095B1 (ko) 2019-03-05 2019-10-23 원종식 다목적 양식장
WO2020138526A1 (ko) 2018-12-26 2020-07-02 농업회사법인 푸디웜 주식회사 곤충의 사육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1834A (ja) 1996-12-30 1998-07-28 Manabu Tateishi 餌料用コオロギの繁殖方法
WO2001006847A1 (en) 1999-07-22 2001-02-01 Australian Fresh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Pty Ltd Crustacean larva rais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737513B1 (ko) * 2006-03-22 2007-07-09 대한민국 유충사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1834A (ja) 1996-12-30 1998-07-28 Manabu Tateishi 餌料用コオロギの繁殖方法
WO2001006847A1 (en) 1999-07-22 2001-02-01 Australian Fresh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Pty Ltd Crustacean larva rais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737513B1 (ko) * 2006-03-22 2007-07-09 대한민국 유충사육장치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668B1 (ko) 2009-06-17 2010-01-27 주식회사 에코탑 꼬마잠자리의 자연적 생태복원 사육장치
KR101130174B1 (ko) 2009-09-23 2012-04-12 김학남 천적곤충의 대량 생산 시설
KR101499059B1 (ko) * 2014-06-17 2015-03-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곤충사육장치, 이를 이용한 곤충사육방법 및 곤충 대량 사육 시스템
KR20160054947A (ko) 2014-11-07 2016-05-17 이인규 버섯 재배 겸용 곤충 사육 키트
CN105211564A (zh) * 2015-11-02 2016-01-06 刘新霞 一种田鳖养殖仿生饲料以及制作方法
CN105325368A (zh) * 2015-11-02 2016-02-17 刘新霞 一种在养殖池中养殖田鳖的方法
CN106305624A (zh) * 2016-05-31 2017-01-11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一种简易的瓜实蝇温度胁迫处理装置及方法
CN106305624B (zh) * 2016-05-31 2019-07-16 广西壮族自治区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一种简易的瓜实蝇温度胁迫处理装置及方法
KR20190016892A (ko) * 2017-08-09 2019-02-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광릉왕모기 대량 사육 시스템
KR102201230B1 (ko) * 2017-08-09 2021-01-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광릉왕모기 대량 사육 시스템
KR20190098413A (ko) 2018-02-14 2019-08-22 주식회사 반석이엔지 곤충사육 시스템
KR20190117930A (ko) 2018-04-09 2019-10-17 전영선 굼벵이 사육장치 및 방법
WO2020138526A1 (ko) 2018-12-26 2020-07-02 농업회사법인 푸디웜 주식회사 곤충의 사육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00079752A (ko) 2018-12-26 2020-07-06 농업회사법인 푸디웜 주식회사 곤충의 사육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35095B1 (ko) 2019-03-05 2019-10-23 원종식 다목적 양식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4806B1 (ko) 곤충사육장치
KR100952879B1 (ko) 갯벌 체험수조
KR101206491B1 (ko) 에어 리프트 장치를 이용한 양식 시스템 및 새우 양식 방법
KR101483606B1 (ko) 다층식 아파트형 입체수조
KR930002425Y1 (ko) 관상물고기용 어항
KR20150001800U (ko) 어항용 부유 이물질 정수기
KR100903260B1 (ko) 곤충사육장치
KR101039472B1 (ko) 전시용 수족관 사육수 여과장치
JP6829557B2 (ja) 鰻養殖システムおよび鰻養殖方法
KR101085597B1 (ko) 다중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KR100737513B1 (ko) 유충사육장치
KR20220075694A (ko)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순환여과시스템의 수처리 시스템
KR101718360B1 (ko) 수족관 필터링 시스템
KR100968614B1 (ko) 패류서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KR100764483B1 (ko) 여과식 멸균장치를 이용한 어란부화시스템
KR102608604B1 (ko) 아쿠아포닉스 설비의 수조 칸막이장치
KR100761415B1 (ko) 미생물 서식용 활어수족관
KR100530716B1 (ko) 무동력 부유식 이물질수거및 여과장치
KR101724610B1 (ko) 자연환경적 계류형 어류 수정란 부화시스템
JP6480071B1 (ja) 養殖装置
WO2016163006A1 (ja) 水産物の養殖装置
KR20100088294A (ko) 토출박스를 이용한 생태연못 수질 정화 시스템
CN105307485A (zh) 水净化系统、水净化方法、水净化系统的启动方法以及水净化单元
CN220369322U (zh) 红树林景观水缸过滤系统
WO2000051422A1 (en) Purification device for purifying fresh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