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614B1 - 패류서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패류서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614B1
KR100968614B1 KR1020080007986A KR20080007986A KR100968614B1 KR 100968614 B1 KR100968614 B1 KR 100968614B1 KR 1020080007986 A KR1020080007986 A KR 1020080007986A KR 20080007986 A KR20080007986 A KR 20080007986A KR 100968614 B1 KR100968614 B1 KR 100968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fish
appeal
frame body
base material
vegetatio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1861A (ko
Inventor
황순진
김백호
권오병
박선구
문정수
조인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썸
황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썸, 황순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썸
Priority to KR1020080007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614B1/ko
Publication of KR20090081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틀 몸체와; 틀 몸체에 설치되어 호소내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는 부력부재와; 부력부재의 상부에 설치되고 패류의 서식처로 이용될 수 있으며 수생식물이 식재 가능한 식생기반재; 및 부력부재와 식생기반재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서식장치와; 상기 패류서식장치를 호소내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 시스템이 개시된다.
패류서식장치, 수생식물, 진흙유닛, 고정유닛, 수질정화

Description

패류서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질정화 시스템{An inhabitant of shellfish and a system for the quality of water purification}
본 발명은 패류서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질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패류의 서식을 돕는 패류서식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수질을 정화시키는 수질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와 산업화의 진행에 따라 대기 중에 분진, 이산화탄소, 이산화황 등의 오염물질의 양이 증가하였고, 이러한 물질들이 지표의 오염물질과 함께 강우에 의하여 하천 및 호소 등에 유입될 뿐만 아니라, 생활하수, 공장폐수 등에 존재하는 지속적인 오염물질의 유입으로 인하여 수중의 오염물질의 농도가 증가하게 되었다.
특히, 질소화합물 및 인산염 등을 포함하는 영양염류는 유기물 분해를 일으키는 미생물의 생육과 증식에 필요한 무기성 원소이며, 생물세포 형성과 생활 에너지 획득을 위하여 연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는 원소이다.
그러나, 이러한 질소 및 인 등의 영양염류가 과도하게 증가하면 수중 생태계의 자정 능력의 한계를 초과하는 부영양화(eutrophication)현상이 발생하고, 수중의 식물성 플랑크톤의 과잉성장이 유발되어 호소 등의 탁도가 저하되고 심한 경우 에는 부패물에 의한 악취가 발생하며, 수중의 어류를 폐사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하천 및 호소 등의 수질개선을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미처리 오염물질들과 강우시 유출되는 비점오염원으로부터의 오염물질 배출에 의해 실효성이 많이 떨어지고 있다.
이렇게 심화되고 있는 하천 및 호소의 부영양화 등 수질악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물리화학적인 수처리 방식의 적용에 한계가 있으며, 친환경적 공법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친환경적 수처리 공법으로써 수질개선을 위해 우렁이, 말조개 등 패류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패류의 여과능을 조류제어와 관련된 수질 개선에 이용하고자 하는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얼룩말 조개의 경우 여과능이 개체당 1L/day 정도로 여과율이 높으며, 소형 박테리아부터 동물 플랑크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의 부유 생물을 여과하기 때문에 수체의 투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첩은 높은 섭식능과 함께 이동성이 뛰어나 효율적인 수처리가 가능하다. 여과율은 패류의 크기보다는 패류 종의 여과 능력에 따라 달라지므로 적용대상 수체의 특성에 맞게 패류가 선정되어야 한다.
현재 패류를 수질개선에 적용하기 위한 기반연구는 초기 단계이며, 서식처와 관련된 기술개발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수질개선 및 생태계 회복이 필요한 호소내에서 패류 서식을 위한 효율적인 서식처 제공이 시급한 상태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패류를 이용하여 정체수역의 수질을 개선하는 수질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패류의 서식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여 패류의 여과능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수질을 정화시키도록 하는 패류서식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수생식물을 식재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체수역의 수질을 정화할 수 있는 패류서식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패류서식장치는, 틀 몸체와; 상기 틀 몸체에 설치되어 호소내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는 부력부재와; 상기 부력부재의 상부에 설치되고 패류의 서식처로 이용될 수 있으며 수생식물이 식재 가능한 식생기반재; 및 상기 부력부재와 식생기반재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틀 몸체와 부력부재 및 식생기반재를 둘러싸 그 형태를 유지시키는 외부망체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틀 몸체에는, 호소내로 늘어뜨려지는 로프부재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식생기반재는, 상기 틀 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소정두께로 진흙이 수용되어 형성되고, 상기 진흙으로 패류가 침투하여 서식할 수 있는 진흙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진흙유닛은, 판재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바닥에 마련되며 물이 통과될 수 있는 통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진흙유닛에는, 상기 진흙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진흙유닛에서 진흙이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천연섬유매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공부에는, 패류가 통공부를 통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망체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틀 몸체 내부에 격자형상으로 마련된 내부지지틀과; 상기 내부지지틀의 격자점에 마련되는 끼움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식생기반재에서 식생하는 패류가 부착 및 이동하여 대기중의 공기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끼움지지부에 설치되는 막대부재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식생기반재에서 식생하는 패류가 호소내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망체로 형성되어 상기 틀 몸체의 주위를 소정높이로 둘러싸는 보호펜스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수질정화 시스템은, 패류서식장치와; 상기 패류서식장치를 호소내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유닛은, 호소내 바닥에 설치되는 닻과; 일단이 상기 패류서식장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닻에 연결되는 로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유닛은, 호소내 바닥에 설치되는 닻과; 수면에 부유하면서 상기 패류서식장치를 호소내에서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수면부유체와; 상기 닻과 수면부유체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수면부유체와 패류서식장치를 연 결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수질정화 시스템은, 틀 몸체와; 상기 틀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패류의 서식처로 이용될 수 있는 식생기반재와; 상기 식생기반재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부와; 호소내 바닥에 설치되는 닻과; 수면에 부유하면서 상기 패류서식장치를 호소내에서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수면부유체와; 상기 닻과 수면부유체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수면부유체와 패류서식장치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류서식장치에 따르면, 패류가 서식되기에 적합한 서식환경을 제공하여 정체수역의 수질을 정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패류서식장치가 정체수역 내에서 발생되는 충격에 대해 내구성을 지니므로 설치 후 오랫 동안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계속적으로 수질을 정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패류서식장치에 로프부재가 마련되어 있어서, 패류가 패류서식장치를 벗어난 공간에서도 서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패류의 서식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진흙유닛을 마련하여서 패류가 잘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천연섬유매트를 마련함으로써, 패류의 서식에 필요한 진흙의 유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류서식장치에 수생식물을 식재함으로써, 패류의 여과능과 함께 수생식물을 이용하여 정체수역의 수질을 정화시킬 수 있어서 수질정화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생식물은 패류의 먹이감, 서식처 및 피난처로 이용될 수 있어서 패류의 서식에 도움을 주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패류가 패류서식장치에서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어서, 패류서식장치 내에서 패류의 서식밀도 및 수질정화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면부유체를 마련함으로써, 패류서식장치의 작동을 확인할 수 있고 유지 및 보수를 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류서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질정화 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시스템(10)은 패류(12)와 수생식물(20)과, 상기 수생식물(20)이 식재되고 성장할 수 있게 하는 기반재 및 패류(12)의 서식처로 이용되는 패류서식장치(30)와, 로프부재(70) 및 고정유닛(80)을 포함한다.
상기 패류(12)는 호소내에서 서식하면서 호소내의 수질을 정화시키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패류(12)는 섭식활동시 영양염을 배출하는데, 상기 영양염은 식물플랑크톤이나 다른 미생물의 성장에 재이용된다. 또한 패류(12)가 배출하는 배설물은 입자 형태로써 호소내의 바닥으로 침강되어 생물의 먹이원으로 이용된다. 상기와 같이, 패류(12)는 수중과 퇴적층을 기능적으로 연결시키므로 생태학적으로 매 우 중요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수질정화에 사용되는 패류(12)의 종류를 한정하지는 않으나, 생태계의 교란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국내 자생패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생식물(20)은 패류서식장치(30)에 식재되어 성장한다. 수생식물(20)의 줄기와 잎은 호소내의 물의 유동을 감소시켜 오염물질의 확산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패류서식장치(30)에 서식하는 패류(12) 및 미생물의 부착기질로 이용될 수 있어서 패류(12)가 수생식물(20)을 타고 수면위로 올라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생식물(20)은 패류(12)의 먹이로 이용될 수 있어서, 패류(12)의 서식에 도움을 준다. 한편 수생식물(20)로는 노랑꽃창포, 갈대, 부등 등 정수성 수생식물(20)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패류서식장치(30)는 틀 몸체(32)와, 부력부재(34)와, 식생기반재(36)와, 외부망체(38) 및 통공부(40)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틀 몸체(32)는 내부에 수용부를 가지는 틀 형태로 마련되어 패류서식장치(30) 전체의 형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틀 몸체(32)의 재질은 플라스틱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이 견고하고 내구성있는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좋다.
상기 부력부재(34)는 틀 몸체(32) 내부 바닥에 설치되어 패류서식장치(30)가 호소내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부력부재(34)는 양 단부가 밀폐된 PEM관, 천연 목재, 발포성 판형 EVA 소재, 스티로폼, 올레핀계열의 발포성형수지와 같이 수상에서 부력이 우수한 재료를 선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발포성의 에틸 렌 초산비닐 코폴리머(EVA; Ethylene Vinylacetate Copolymer)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식생기반재(36)는 부력부재(34)의 상부에 설치되며 패류(12)가 식생하며 성장하는 서식처로 이용된다. 여기서 식생기반재(36)는 토양, 폐그물, 합성섬유, 천연 섬유사 재질의 매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식생기반재(36)의 일례로는, 양 단부가 밀봉된 다수의 중공형 관을 뗏목의 형태로 배열하여 부력을 유지하고 식생기반재로 흙을 사용한 한국특허출원 제20010043609호(뗏목형 인공 식물섬), 양면이 밀폐된 원통형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부유체를 사용하고 식재홈이 마련되어 있으며 섬유질 재질인 블록 구조의 식생기반재를 이용한 한국특허출원 제19980012959호(수상식물 재배장치) 등이 공지 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의 식생기반재(36)는 종래 식생기반재의 구성을 차용할 수 있다.
상기 외부망체(38)는 틀 몸체(32)와 부력부재(34) 및 식생기반재(36)를 둘러싸 패류서식장치(30) 전체의 형태를 유지시키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패류서식장치(30)를 보호한다. 더욱이 외부망체(38)는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으로 제작될 수 있어서 호소내에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패류서식장치(30)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통공부(40)는 부력부재(34)와 식생기반재(36)를 상하로 관통하여 마련된다. 여기서 패류서식장치(30)는 호소내에 위치되므로 호소내에서 유동하는 물에 의해 저항을 받게 되는데, 상기 저항으로 패류서식장치(30)가 손상될 수도 있다. 그래서 통공부(40)를 마련하여 호소내에서 유동하는 물이 패류서식장치(30)를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패류서식장치(30)에 가해지는 저항을 줄일 수 있어서 패류서식장치(30)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통공부(40)를 통해 패류(12)의 분비물을 패류서식장치(30) 외부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한편 통공부(40)를 통해 패류(12)가 패류서식장치(30)에서 이탈되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공부(40)의 소정위치에 망체(42)가 설치된다. 그래서 패류(12)는 패류서식장치(30) 내에서 안전하게 서식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틀 몸체(32)의 내부에는 패류(12)에게 적합한 서식환경을 제공해주기 위한 진흙유닛(50)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진흙유닛(50)은 판재형상의 프레임(52)과, 통로부(54)를 포함한다.
도 5a,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52)은 수용부를 가지는 판재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수용부에 진흙(58)이 수용된다. 여기서 프레임(52)은 틀 몸체(32)와 동일하게 프라스틱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이 견고하고 내구성있는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통로부(strainer)(54)는 프레임(52)의 바닥면에 망 형상으로 마련되며 이를 통해 물이 통과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흙유닛(50)은 호소에 잠겨있으므로 그 바닥면이 막혀있으면 호소내의 물의 유동에 의해 진흙유닛(50)이 저항을 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항으로 인해 프레임(52)에 수용된 진흙(58)과 이물질이 호소내로 유출되어 호소의 수질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 제점을 방지하고자 프레임(52)의 바닥면에 망 형상의 통로부(54)를 마련하여 물이 패류서식장치(30)를 용이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호소내에서 진흙유닛(50)에 가해지는 저항을 최소화하여 진흙유닛(50)에 포함된 진흙(58) 및 이물질이 호소내로 유출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한편 도 5c, 도 5d를 참조하면, 상기 천연섬유매트(56)는 프레임(52)의 수용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천연섬유매트(56)는 코코넛섬유와 천연고무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진흙(58)이 수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호소내에서 진흙(58)이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6a,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 제3 실시예에서는 수생식물(120,220)과 통공부(140,240)의 형상과 개수 및 배열방법 등을 한정하지 않으므로 실시환경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같은 맥락으로 도 7a,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4, 제5 실시예의 진흙유닛(350,450) 역시 그 형상과 개수 및 배열방법 등을 한정하지 않으므로 실시환경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6 실시예에 따른 패류서식장치(530)는 틀 몸체(532)의 수용부에 마련되는 내부지지틀(564)과, 상기 내부지지틀(564)의 격자점에 마련되는 끼움지지부(566)와, 상기 끼움지지부(566)에 연결되는 막대부재(568) 및 보호펜스(569)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내부지지틀(564)과 끼움지지부(566)는 합성수지 또는 경금속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그 형상, 크기 및 배열 등은 실시환경에 따라 적 절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막대부재(568)는 끼움지지부(566)에 설치되어 식생기반재(536)에서 식생하는 패류(512)가 부착 및 이동하여 대기중의 공기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호펜스(569)는 망으로 형성되어 틀 몸체(532)와 부력부재(534) 및 식생기반재(536)를 포함하는 패류서식장치(530)의 주위를 소정높이로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그래서 식생기반재(536)에서 서식되는 패류(512)가 패류서식장치(53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음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위험에서 패류(512)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래서 패류서식장치(530)내에 패류(512)의 서식 밀도를 높일 수 있고 수질 정화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로프부재(70)는 줄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단은 틀 몸체(32)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호소 내로 늘어뜨려진다. 여기서 로프부재(70)는 코코넛 또는 황마 재질의 천연섬유나 화학섬유 재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80)은 패류서식장치(30)를 호소 내에 고정설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닻(82)과 로프(84)를 포함한다.
상기 로프(84)의 일단은 패류서식장치(30)의 일측에 연결되고, 로프(84)의 타단은 상기 닻(82) 또는 주변의 고정시설에 연결되어 패류서식장치(30)를 호소 내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로프(84)는 강성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호소 내의 물의 유동에도 패류서식장치(30)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시스템(600)은 패 류(612)와 수생식물(620)과 상기 수생식물(620)이 식재되고 성장할 수 있게 하는 기반재 및 패류(612)의 서식처로 이용되는 패류서식장치(630)와, 로프부재(670) 및 고정유닛(68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유닛(680)은 닻(682)과 로프(684) 및 수면부유체(686)를 포함한다.
상기 수면부유체(686)는 패류서식장치(630)를 호소내의 일정한 깊이에 설치시키기 위해 수면에 부유하며 로프(684)를 통해 패류서식장치(630)와 연결된다. 그래서 사람이 수면부유체(686)에 올라가서 호소내에 설치된 패류서식장치(630)의 작동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면부유체(686)는 호소의 물의 유동에 대응되게 이동되므로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수면부유체(686)가 패류서식장치(630)에 충분한 부력을 제공하여 패류서식장치(630)가 호소 내에서 일정한 깊이에 설치 가능한 경우에는, 패류서식장치(630)에 포함되어 있는 부력부재를 포함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이로 인해 패류서식장치를 간단한 구조로 제작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유지, 보수가 간편한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수면부유체(686)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는 제1 내지 제6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제1 내지 제6 실시예에서 자세히 하였으므로 제7 실시예에서는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패류서식장치(30,630) 및 이를 이용한 수질정화시스템(10,600)에 따르면, 패류가 서식되기에 적합한 서식환경을 제공하여 정체수역의 수질을 정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패류서식장치가 정체수역 내에서 발생되는 충격에 대해 내구성을 지니므로 설치 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계속적으로 수질을 정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패류서식장치에 로프부재가 마련되어 있어서, 패류가 패류서식장치를 벗어난 공간에서도 서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패류의 서식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진흙유닛을 마련하여서 패류가 잘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천연섬유매트를 마련함으로써, 패류의 서식에 필요한 진흙의 유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류서식장치에 수생식물을 식재함으로써, 패류의 여과능과 함께 수생식물을 이용하여 정체수역의 수질을 정화시킬 수 있어서 수질정화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생식물은 패류의 먹이감, 서식처 및 피난처로 이용될 수 있어서 패류의 서식에 도움을 주는 이점이 있다.
또한 패류가 패류서식장치에서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어서, 패류서식장치 내에서 패류의 서식밀도 및 수질정화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면부유체를 마련함으로써, 패류서식장치의 작동을 확인할 수 있고 유지 및 보수를 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패류서식장치의 측면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진흙유닛이 마련된 패류서식장치의 평면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진흙유닛의 사시도.
도 5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진흙유닛의 사시도.
도 5b는 제1 실시에에 따른 프레임의 사시도.
도 5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천연섬유매트가 마련된 진흙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d는 도 5c의 A-A선 단면도.
도 6a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통공부가 마련된 패류서식장치의 평면도.
도 6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통공부가 도 6a와 다르게 마련된 패류서식장치의 평면도.
도 7a는 제4 실시에에 따른 진흙유닛이 마련된 패류서식장치의 평면도.
도 7b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진흙유닛이 도 7a와 다르게 마련된 패류서식장치의 평면도.
도 8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내부지지틀과 끼움지지부 및 이와 결합하는 막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패류서식장치의 평면도.
도 9는 제6 실시예에 따른 막대부재가 끼움지지부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보호펜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제7 실시예에 따른 수질정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600...수질정화 시스템 20,620...수생식물
30,630...패류서식장치 40,140,240...통공부
50,350,450...진흙유닛 70, 670...로프부재
80,680...고정유닛

Claims (14)

  1. 틀 몸체;
    상기 틀 몸체에 설치되어 호소내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는 부력부재;
    상기 부력부재의 상부에 설치되고 패류의 서식처로 이용될 수 있으며 수생식물이 식재 가능한 식생기반재;
    상기 부력부재와 식생기반재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부;
    상기 틀 몸체 내부에 격자형상으로 마련된 내부지지틀;
    상기 내부지지틀의 격자점에 마련되는 끼움지지부;
    상기 식생기반재에서 식생하는 패류가 부착 및 이동하여 대기중의 공기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끼움지지부에 설치되는 막대부재; 및
    상기 식생기반재에서 식생하는 패류가 호소내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망체로 형성되어 상기 틀 몸체의 주위를 소정높이로 둘러싸는 보호펜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공부에는,
    패류가 통공부를 통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망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서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틀 몸체와 부력부재 및 식생기반재를 둘러싸 그 형태를 유지시키는 외부망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서식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틀 몸체에는,
    호소내로 늘어뜨려지는 로프부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서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기반재는,
    상기 틀 몸체의 내부에 마련되며 소정두께로 진흙이 수용되어 형성되고, 상기 진흙으로 패류가 침투하여 서식할 수 있는 진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서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진흙유닛은,
    판재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바닥에 마련되며 물이 통과될 수 있는 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서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흙유닛에는,
    상기 진흙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진흙유닛에서 진흙이 유실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천연섬유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서식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의 패류서식장치와;
    상기 패류서식장치를 호소내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호소내 바닥에 설치되는 닻과;
    일단이 상기 패류서식장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닻에 연결되는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호소내 바닥에 설치되는 닻과;
    수면에 부유하면서 상기 패류서식장치를 호소내에서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수면부유체와;
    상기 닻과 수면부유체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 및
    상기 수면부유체와 패류서식장치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14. 틀 몸체;
    상기 틀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패류의 서식처로 이용될 수 있으며 수생식물이 식재가능한 식생기반재;
    상기 식생기반재의 상하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통공부;
    상기 틀 몸체 내부에 격자형상으로 마련된 내부지지틀;
    상기 내부지지틀의 격자점에 마련되는 끼움지지부;
    상기 식생기반재에서 식생하는 패류가 부착 및 이동하여 대기중의 공기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끼움지지부에 설치되는 막대부재; 및
    상기 식생기반재에서 식생하는 패류가 호소내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망체로 형성되어 상기 틀 몸체의 주위를 소정높이로 둘러싸는 보호펜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공부에는, 패류가 통공부를 통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망체가 설치된 패류서식장치와;
    호소내 바닥에 설치되는 닻과;
    수면에 부유하면서 상기 패류서식장치를 호소내에서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수면부유체와;
    상기 닻과 상기 수면부유체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수면부유체와 상기 패류서식장치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KR1020080007986A 2008-01-25 2008-01-25 패류서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KR100968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986A KR100968614B1 (ko) 2008-01-25 2008-01-25 패류서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7986A KR100968614B1 (ko) 2008-01-25 2008-01-25 패류서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861A KR20090081861A (ko) 2009-07-29
KR100968614B1 true KR100968614B1 (ko) 2010-07-08

Family

ID=41293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986A KR100968614B1 (ko) 2008-01-25 2008-01-25 패류서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6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795B1 (ko) * 2011-03-04 2011-06-09 양헌상 이동이 용이한 잠수식 수중화분
CN106035187B (zh) * 2016-05-31 2019-06-18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杂交鲟养殖系统
KR102069330B1 (ko) * 2017-08-08 2020-01-23 주식회사 비엔에코 다기능 부유생태섬
CN115949040A (zh) * 2022-12-23 2023-04-11 中国环境科学研究院 生态拦截沟系统及其施工方法和循环利用稻田退水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615A (ko) * 2001-09-07 2003-03-15 유춘열 젖꼭지가 보였다 안 보였다 하는 브래지어
KR200321615Y1 (ko) * 2003-04-16 2003-07-31 이광우 수중부도
KR20040074162A (ko) * 2003-02-17 2004-08-23 안태석 호소의 경사면 녹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615A (ko) * 2001-09-07 2003-03-15 유춘열 젖꼭지가 보였다 안 보였다 하는 브래지어
KR20040074162A (ko) * 2003-02-17 2004-08-23 안태석 호소의 경사면 녹화장치
KR200321615Y1 (ko) * 2003-04-16 2003-07-31 이광우 수중부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861A (ko) 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237B1 (ko)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
US11598064B2 (en) Lake restoration systems and processes
KR100904560B1 (ko) 수질정화 폭기처리 인공식물섬
KR101295313B1 (ko) 생태복원을 위한 수생식물을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KR101241838B1 (ko) 복합효과를 얻는 오수의 습지정화 방법 및 장치
JP5345375B2 (ja) 沈水植物の再生方法、それに使用する沈水植物の栽培方法、植物再生基盤、浮島
CN109963463B (zh) 水处理或海洋动物养殖的浮动装置
KR101227842B1 (ko) 오탁 및 녹조방지용 부유체
KR100924538B1 (ko) 다기능 조경 및 생태정화 식물섬
KR100990954B1 (ko)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
KR20020074911A (ko) 하천과 담수의 수질정화용 부유구조물
KR100968614B1 (ko) 패류서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KR100591885B1 (ko) 수질정화용 수초섬
JPH081188A (ja) ヨシを利用する汚染水浄化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汚水又はヘドロ処理装置
KR100834091B1 (ko) 펜스형 조립식 생태 수초섬
KR100899573B1 (ko) 어류산란처 및 수질정화기능이 구비된 하천의 침수방틀
KR100371959B1 (ko) 수경 농업에 이용되는 플라스틱 파이프 부체 구조물 및이를 이용한 수질 정화방법
KR20000036265A (ko) 수변 식물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
KR100927241B1 (ko) 수초섬
KR101127107B1 (ko) 인공섬 유니트
KR101407518B1 (ko) 여과형 생태 수중보
KR100530716B1 (ko) 무동력 부유식 이물질수거및 여과장치
KR100893674B1 (ko) 내부 순환형 식생 여과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과시스템
JP3910858B2 (ja) 自然環境改善用ブロック製品及び浮設体、並びに自然環境改善方法
KR101580142B1 (ko) 인공 식물섬의 식물식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