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615Y1 - 수중부도 - Google Patents

수중부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615Y1
KR200321615Y1 KR20-2003-0011703U KR20030011703U KR200321615Y1 KR 200321615 Y1 KR200321615 Y1 KR 200321615Y1 KR 20030011703 U KR20030011703 U KR 20030011703U KR 200321615 Y1 KR200321615 Y1 KR 2003216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s
water
underwater
submerged
pla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17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우
조현진
Original Assignee
이광우
조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우, 조현진 filed Critical 이광우
Priority to KR20-2003-00117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6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6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6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06Aerobic processes using submerg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3/00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3/006Apparatus and plant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details of construction, e.g. specially adapted seals, modules, connec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의 부도가 하천 및 호수(저수지)에 갈대, 달뿌리풀, 물억새, 꽃창포, 줄, 부들 등의 정수식물을 식재하여 수면 위에 떠있는 상태인데 반해 본 고안의 수중부도는 수중 설치되어 연, 수련, 노랑어리연, 어리연, 마름 등의 부엽식물 그리고 검정말, 나사말 등 침수식물들을 식재식물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수생식물을 식재할 여건을 만들어주어 경관미 추구, 수질정화 효과, 다양한 생물서식공간 창출 등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수중부도는 식재기반을 인공토양, 자연토양(진흙)으로 구성하고, 식재기반틀은 STS, PE, PVC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구성하며, 부체는 스티로폴, 발포우레탄, STS PIPE, PE 파이프 등의 다공성합성수지발포체로 제작하였다. 그리고 고정장치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닻 등에 의하여 하천 저면에 고정한 앵커블럭에 와이어 로프와 같은 연결수단으로 지지하므로서 수류의 변화에 적응하여 고정되도로 한다.
본 고안의 수중부도는 이같이 단순히 부상된 상태가 아니라 수저에 고정되면서 안정된 구조를 이루게 되며, 토양에 의하여 식물체의 적절한 성장으로 기존의 부도가 갖는 일정기간 경과후 교체하여야 하는 단점을 없애고, 안정된 상태를 장기간 유지가능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중부도{Floating island for plant growing base}
본 고안은 하천 및 저수지 등의 물 속에 설치하여 수질정화, 수면녹화, 생물서식공간 창출, 생태환경을 조성하여 생태환경교육장 등을 제공하는 수중부도(水中浮島)에 관한 것이다. 특히 기존의 수면 위에 떠 있는 부도가 식재식물로 정수(淨水)식물에 한정되어 있는 반면 본 고안 수중부도에서는 부엽(浮葉)식물 및 침수(沈水)식물을 식재하여 부도를 물 속에 설치한다는 점에 중점을 두어 수질정화효과가 있는 다양한 식물을 도입함으로써 폭넓은 생물 서식공간을 창출하고 경관적으로 아름다움을 부가시키는 등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수중부도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수중부도는 정수식물을 이용해서 생태계 파괴의 원인인 부영양화를 방지하기 위해 뿌리를 통해 영양물질이 흡수되도록 하여 부영양화를 방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식물로는 갈대, 달뿌리풀, 물억새, 꽃창포, 줄, 부들 등이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선 기존의 부도에 식재되어 있는 정수식물에만 국한되지 않고 식재범위를 넓혀 경관가치 뿐 아니라 수질정화효과가 있는 부엽식물 및 침수식물이 생육할 수 있는 수중 부도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부체를 배치함에 있어 수중부체와 수상부체로 나뉘어질 수 있는데, 수중부체는 수중에 부체를 두는 것으로 수면위로 나타나지 않으며, 수상부체는 다양한 형태(구형, 조류모양, 동물모양 등)의 부체를 수면 위로 띄움으로써 본 고안의 수중부도의 자연스런 미를 부가시킬 수 있다. 본 수중부도를 고정하는 방법으로 하천 저면의 앵커블럭과 와이어 로프(STS WIRE)로 연결하여 지지력을 확보함으로써 영구적으로 보존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부도와는 다르게 물 속에 부도를 설치하는 것으로 정수식물에 국한된 소재에서 부엽식물인 연, 수련, 노랑어리연, 어리연, 마름 등과 침수식물인 검정말, 나사말 등 도입하여 중점적으로 식물의 사용범위를 확대하고, 뿌리를 통해 수중의 무기이온과 양이온을 흡착하여 식물생육이 촉진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부체의 위치를 수중과 수상부체로 나누어 본 고안의 수중부도를 설치하는 점이다.
도 1 은 본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정단면구성도,
도 2 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구성도,
도 3 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4 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단면구성도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수중부체부 10:수상부체부 21:지지와이어 22:수저면부 23:앵커체 20:고정부 30:식재공간부 50:프레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자연친화형 수중부도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부도는 기존의 물위에 떠있는 부도와는 다르게 물 속에 설치한다는 특징이 있고, 식재식물은 부엽식물과 침수식물을 이용한 것으로 조성된 수중부도로 인해 미생물의 부착공간을 제공하고, 물 속의 질소와 인 등의 영양물질을 흡수하여 제거해 주며, 녹조현상을 억제하는 역할과 더불어 식물의 생육을 촉진시켜 수질정화에 효과적인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상기한 부도의 식재기반으로 인공토양, 자연토양(진흙)을 기반으로 조성함으로써 부식될 염려가 없어 부영양화의 주요원인이 되는 질소와 인 등이 자체적으로 유출되지 않고, 교체할 필요 없이 영구적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서 부체는 스티로폴, 발포우레탄, STS PIPE, PE PIPE 등을 소재로 수중에 배치하는 방법과 수상에 배치시키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수중에 배치하는 방법과 더불어 수상에 부체를 배치하는 방법은 부체가 수면 위에 떠있기 때문에 아름다운 형태(구형, 조류모양, 동식물모양 등)로 만들어 띄워줌으로써 자연스러운 경관조성이 가능하다. 또한 수중부도를 하천 및 호수 저면 내에 박힌 앵커블럭과 와이어 로프로 연결하여 임의로 떠다니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게 고안하여 자연적인 생육환경을 연출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기존의 부도와는 달리 물 속에 부도를 설치하는 것으로 정수식물에 국한된 소재에서 연, 수련, 노랑어리연, 어리연, 마름 등 부엽식물과 검정말, 나사말 등의 침수식물을 도입하여 식물의 사용범위를 확대하고, 도입된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생육습성에 맞추어 적절한 식생기반 환경을 제공하는데 있다.
부엽식물이라 함은 뿌리는 물 밑바닥에 고착하고 잎은 물 위에 떠서 생육하는 식물을 일컫는 말로 수중의 뿌리에서 수상으로 올라오는 줄기의 길이는 식물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300mm∼2000mm에 이르며, 침수식물은 식물체 전체가 물속에 잠겨 고착·생육하는 식물을 말한다. 따라서 이러한 식물을 위한 생육환경을 조성하는 데에는 그 식재기반이 수중의 일정 수심조건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부도가 수중의 일정 수심에 위치하는 데에는 기존의 부체와 달리 별도의 부체를 필요하게 되었다.
이하 본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여 첨부한 도면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하듯이 구조물전체에 대한 부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식생식물에 대한 식재공간을 제공하는 수중부체부(1)와
상기한 수중부체와 연결되어져 수상에 부유하면서 부력제공과 동시에 미관을 좋게하는 수상부체부(10)와,
상기한 수중부체는 수저면(22)에 설치된 앵커체(23)와 지지와이어(21)에 의하여 연결하여 고정가능하게 하는 고정부(20)
그리고 수중부체부에 의하여 형성된 내부공간에 식물이 활착하여 성장가능한 식재공간부(30)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수중부체부(1)는 내부에 식재공간부(3)을 형성하고 상부로는 개방구조를 갖도록 하여 식재된 식물체가 성장가능토록 구성한 용기형태로 구성한다. 수중부체는 전체구조물이 부유가능하도록 다공성발포합성수지재로 제조한다. 수중부체의 저면부에는 지지와이어(21)의 선단이 고정가능한 연결부(4)를 형성한다. 수중부체의 형태는 가장 기본적으로 원형이나 사각형태의 용기구조이지만 설치되는 장소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토록 한다.
본 고안에서 수상부체부(10)는 대부분이 수상에 노출되어지는 구조로 수중부체부(1)의 상측에 설치된 제2연결부(5)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지도록한다. 수상부체부는 수상에 노출된 구조이므로 구조상 육안에 의한 관찰이 되는 형태이므로 가능한한 수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동식물의 형태를 모방한 것으로 구성한다. 수상부체도 구성상 부력을 부여하도록 수중부체와 유사한 재질로 제작한다.
본 고안에서 고정부(20)는 호수나 강저면에 고정되는 앵커체(22)에 지지와이어(21)의 일단이 고정되며, 지지와이어(21)의 타단은 수중부체의 저면부와 연결토록 하므로서 수중부체에 대한 고정기능을 부여하는 것이다.지지와이어는 수중부체의 규모나 크기에 따라 다수개 설치가능하다.
고정부에서 앵커체(23)는 하저면이 연약한 경우에는 중량물(27)을 이용하여 고정토록할 수 있으며, 지지와이어를 고정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나 구조라도 제한받을 필요는 없다.
본 고안에서 식재공간부(30)는 수중부체에 형성된 공간부에 식재된 식물이 성장할 수있는 토양이 담겨지는 공간이다. 식재공간부는 일반적인 토양을 위시하여 다공성의 경량토들이 주를 이루도록 한다. 경량토외에도 식재식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미세한 입자를 갖는 토양구조물을 함께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시에는 영양성분도 함께 배합조성할 수 있다. 식재공간부의 상하층(33)(34)를 다공성재질의 여과재질로 구성한 여과층을 구성하며, 이 여과층의 사이에 식물이 활착하여 성장하는 성장토양층(35)으로 구성된다. 상하층은 가장 일반적으로는 부직포와 같은 재질을 이용하지만 사용되는 토양의 성질에 따라 발포합성수지재 혹은 다공성박판수지재등을 이용하여 토양입자들이 상하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예로서 도 4에 도시한 것은 수중부체부(1)를 발포합성수지재로 하지 아니하고 내구성이 있는 금속봉체 혹은 합성수지봉체로 박스형프레임(50)을 구성하며, 그 하부에 별도의 부력발생부(51)을 부착하고, 박스형프레임의 측면에서 앵커체(23)와 지지와이어(21)에 의하여 연결하여 고정가능하게 하는 고정부(20) 그리고 수중부체부에 의하여 형성된 내부공간에 식물이 활착하여 성장가능한 식재공간부(30)를 형성하여 주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유속의 변화가 심하고 구조가 대형화된 경우에는 발포합성수지재만 성형한 경우 심한 유속이나 장기간의 화학적물리적 침식을 견디기 어려운 환경에 적용하는 구조이다. 박스형프레임(50)이란 통상적인 봉체구조물에 의하여 육면체형태의 박스를 구성하는 것이며, 가능한한 수중에서 부식이 없도록 스테인레스재질이 가장 유효하다. 그외에도 방부처리된 목재나 부식방지 처리된 금속봉체를 이용하여도 좋으나 이들 재료는 일정한 기간이 경과하면 대치하여 주어야만 안정된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의 부도와는 다르게 물 속에 설치함으로써 식재식물로 부엽식물(연, 수련, 노랑어리연, 어리연, 마름 등)과 침수식물(검정말, 나사말 등)을 이용함으로써, 수질정화 성능을 향상시키고, 관상가치를 높여주며, 식물의 뿌리가 물 속에 공급한 산소를 고정하여 미생물의 활성을 더욱 증가시키며, 물고기들의 서식처로서의 기능도 향상된다.
부체를 수중에 위치 또는 동물모양의 부체를 수상에 위치시킴으로써 자연미를 그대로 창출하여 경관상 가치를 더욱 높게 한다.

Claims (6)

  1. 구조물전체에 대한 부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식생식물에 대한 식재공간을 제공하는 용기형태의 수중부체부(1)와
    상기한 수중부체와 연결되어져 수상에 부유하면서 부력제공과 동시에 미관을 좋게하는 수상부체부(10)와,
    상기한 수저면(22)에 설치된 앵커체(23)와 지지와이어(21)에 의하여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수중부체의 저면부연결하여 구조물 전체를 고정가능하게 하는 고정부(20)
    그리고 수중부체부에 의하여 형성된 내부공간에 부엽식물과 수침식물이 활착하여 성장가능한 식재공간부(30)으로 구성되는 수중부도.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중부체부(1)는 내부에 공간부(3)를 형성하고 상부로는 개방구조를 갖도록 하여 식재된 식물체가 성장가능토록 구성한 용기형태로 구성한 다공성발포합성수지재로 제조하며,
    저면부에는 지지와이어(21)의 선단이 고정가능한 연결부(4)와 수상부체와 연결가능한 제2연결부(5)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중부도.
  3. 제 1 항에 있어서,
    수상부체부(10)는 다공성발포합성수지재로 제조하되 동식물의 형태를 모방한 구조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중부도.
  4.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부의 앵커체(23)가 중량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부도.
  5. 제 1 항에 있어서,
    식생공간부(30)은 상하층(33)(34)을 다공성재질의 여과재질로 구성한 여과층을 구성하며, 이 여과층의 사이에 식물이 활착하여 성장하는 성장토양층(35)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부도.
  6. 제 1 항에 있어서,
    수중부체부(1)를 박스형프레임(50)으로 구성하며, 그 하부에 부력발생부(51)을 부착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부도.
KR20-2003-0011703U 2003-04-16 2003-04-16 수중부도 KR2003216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703U KR200321615Y1 (ko) 2003-04-16 2003-04-16 수중부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1703U KR200321615Y1 (ko) 2003-04-16 2003-04-16 수중부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615Y1 true KR200321615Y1 (ko) 2003-07-31

Family

ID=49336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703U KR200321615Y1 (ko) 2003-04-16 2003-04-16 수중부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61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614B1 (ko) * 2008-01-25 2010-07-08 주식회사 아썸 패류서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KR100990954B1 (ko) 2008-06-11 2010-10-29 주식회사 아썸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
CN110342644A (zh) * 2019-08-19 2019-10-18 重庆德润新邦环境修复有限公司 一种适用于深水河湖水系的原位生态修复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614B1 (ko) * 2008-01-25 2010-07-08 주식회사 아썸 패류서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KR100990954B1 (ko) 2008-06-11 2010-10-29 주식회사 아썸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
CN110342644A (zh) * 2019-08-19 2019-10-18 重庆德润新邦环境修复有限公司 一种适用于深水河湖水系的原位生态修复装置
CN110342644B (zh) * 2019-08-19 2024-02-13 重庆德润新邦环境修复有限公司 一种适用于深水河湖水系的原位生态修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237B1 (ko)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
KR100486931B1 (ko) 생태환경조성 및 수질 정화용 부도체와 그 제조방법
JP2008061509A (ja) 藻場造成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藻場造成方法
KR100990954B1 (ko) 부유 침수식 생물서식장치
CN112004410A (zh) 水生植物栽培用容器
KR20020074911A (ko) 하천과 담수의 수질정화용 부유구조물
KR20150143001A (ko) 담수어족자원의 자연증가 및 보호용 부류식 뗏목형 인공산란장
KR100582210B1 (ko) 친환경적인 식생식물 및 어류서식처가 구비된 식생부력체
JPH0858683A (ja) 浮島用浮ブロック
JP2007135429A (ja) 水中植生工法及び水中植生施設
US11034415B2 (en) Permeable concrete vessel for creating floating aquatic habitats
KR100478735B1 (ko) 비골격형 인공 식물섬
KR200321615Y1 (ko) 수중부도
KR101742191B1 (ko) 인공 생태섬
KR20060027302A (ko) 상수원 수질 정화용 부유구조물
JPH1043A (ja) 海底生物育成方式及びその育成基質
KR100904711B1 (ko) 수생식물의 식재장치
CN210480988U (zh) 一种适用于深水河湖水系的原位生态修复装置
KR200211901Y1 (ko) 담수호의 수질정화용 식물부도
KR101821775B1 (ko) 다기능 해중림초
JP2001095416A (ja) 浮島漁礁とそれを用いた魚類の集魚方法
KR100353083B1 (ko) 부어초
KR100456510B1 (ko) 호소의 경사면 녹화장치
JP2004065141A (ja) 育苗装置
CN102173514B (zh) 一种用于控制水华的多功能浮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