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7302A - 상수원 수질 정화용 부유구조물 - Google Patents

상수원 수질 정화용 부유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7302A
KR20060027302A KR1020050113398A KR20050113398A KR20060027302A KR 20060027302 A KR20060027302 A KR 20060027302A KR 1020050113398 A KR1020050113398 A KR 1020050113398A KR 20050113398 A KR20050113398 A KR 20050113398A KR 20060027302 A KR20060027302 A KR 20060027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center
peripheral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4385B1 (ko
Inventor
김석기
Original Assignee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113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4385B1/ko
Publication of KR20060027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4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4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생식물을 인공의 부유구조물에 식재하여 댐이나 자연호수 또는 하천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상수원 수질 정화용 부유구조물로서, 수중 바닥에 고정되어 최고 수위 이상의 높이로 수직하게 설치된 지주(100); 중앙 주위에 다수개의 식물망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식물망 삽입홈(114)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테두리 측면 각각에는 부력파이프(140)가 삽입되는 파이프 삽입홈(116)이 형성되며, 수위 변동시 부력에 의하여 지주(100)를 따라 승하강되도록 중앙에 지주(100)가 수직하게 삽입되어 끼워지는 지주삽입홈(112)이 구비되는 중앙프레임(110); 위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 다수개의 식물망 삽입홈(122)과 파이프 삽입홈(124)이 구비된 다수개의 주위프레임(120); 및 일측면에만 파이프 삽입홈(134)이 길게 구비된 다수개의 마감프레임(130)으로 구성되되,
상기 중앙프레임(110) 외곽으로 주위프레임(120)이 연결되고 각각의 주위프레임(120) 외곽으로 별개의 주위프레임(120) 또는 마감프레임(130)이 차례로 연결되도록, 중앙프레임(110)과 주위프레임(120) 사이 및 주위프레임(120)과 마감프레임(130) 사이에 소정 길이의 부력파이프(140)가 삽입된 상태에서 각각의 프레임(110, 120, 130)간에 U볼트(150)로 체결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구조물로 형성된다.
지주, 중앙프레임, 주위프레임, 마감프레임, 부력파이프

Description

상수원 수질 정화용 부유구조물{Floating structural body for purifying water quality of river, lake and marsh}
도 1은 종래의 부유구조물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부유구조물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부유구조물에 식물망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구조물의 정단면도.
도 5a, 5b 및 5c는 각각 도 4를 구성하는 중앙프레임, 주위프레임 및 마감프레임의 사시도.
도 6a, 6b 및 6c는 각각의 프레임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부유구조물을 나타내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지주 102 : 기초콘크리트
110 : 중앙프레임 112 : 지주삽입홈
114, 122 : 식물망 삽입홈
116, 124, 132 : 파이프 삽입홈 120 : 주위프레임
130 : 마감프레임 140 : 부력파이프
150 : U볼트
본 발명은 수생식물을 인공의 부유구조물에 식재하여 댐이나 자연호수 또는 하천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력파이프가 테두리에 내장된 프레임상에 수생식물을 식재한 식물망을 탑재하여 수면 위에 설치함으로써 수생식물에 의한 수중의 유기질 및 영양염류를 제거하여 수질을 개선시키는 상수원 수질 정화용 부유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댐에 의하여 조성되거나 습지나 호수와 같은 담수호가 많은데, 담수호는 상류로부터 축사의 오염물질과 생활 하수, 잉여분의 비료 및 농약 등이 유입되어 적조나 플랑크톤 등의 이상 증식이 일어나는 부영양화 현상이 자주 발생된다.
이러한 부영양화는 담수의 생태계를 파괴하여 담수내의 모든 생물을 폐사시키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담수호에 갈대, 달뿌리풀, 물억새, 꽃창포, 줄, 부들 등과 같은 수생식물을 식재하여 영양물질을 흡수, 제거하는 것이 효과적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런데 수생식물은 수심이 낮은 담수호의 가장자리에 심는 것은 가능하지만,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식물이 자랄 수 없으므로 부력에 의하여 수면에 뜨는 인공의 부유구조물에 수생식물을 식재할 필요가 있었다.
종래의 부유구조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08705호에 개시된 바에 의하면 대나무나 목재 등 천연재질로 부유체를 만들고, 천연 섬유사 매트를 올려놓아 흙을 채우고 수생식물을 심은 포트를 천연 섬유사 매트에 끼워서 수면에 부유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부유구조물에 의하면 천연재질의 부유체와 매트는 내구성이 약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시 부패가 진행되므로 오히려 수질 오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대형화할 수 없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부유구조물을 개선한 종래의 다른 부유구조물(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74911호)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틀(10)에는 망상구조물로 된 식물망(20)이 탑재되도록 다수개의 개구(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식물망에는 수생식물이 식재된다. 이러한 형태의 고정틀(10)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고정틀(10)과 다수개 연결되고, 외곽 고정틀(10)의 모서리에는 부유체(30)가 설치되어 전체 구조물을 수면에 부상시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전체 구조물이 유수의 흐름에 의하여 떠내려가지 않도록 고정틀(10)은 앵커(40)에 의하여 수중 바닥에 고정된다.
그러나, 위와 같이 형성된 부유구조물은 부유체(30)가 고정틀(10)의 외곽에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대형화하기 위하여 서로 연결되는 부유틀(10)의 개수를 증가시키게 되면 부유체(30)가 설치되지 않은 중앙 부분이 수면 아래로 침수되어 제기능을 다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홍수와 같이 담수호의 수위가 급 격히 상승하게 되면 전체 구조물을 고정시키고 있던 앵커(40)의 기능이 상실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유체(30)가 고정틀(10) 외곽에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므로 미관을 해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담수호의 수위나 유속의 급격한 증가가 있더라도 유실되거나 침수되지 않도록 수중 바닥에 고정된 지주에 결합되고, 수생식물이 식재될 프레임이 대규모로 설치되더라도 침수되지 않도록 각각의 프레임 사이에 부력파이프가 내장된 상수원 수질 정화용 부유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수원 수질 정화용 부유구조물은, 담수호의 부영양화를 방지하는 수생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수면 위에 부유되는 구조물에 있어서,
수중 바닥에 고정되어 최고 수위 이상의 높이로 수직하게 설치된 지주(100);
중앙 주위에 다수개의 식물망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식물망 삽입홈(114)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테두리 측면 각각에는 부력파이프(140)가 삽입되는 파이프 삽입홈(116)이 형성되며, 수위 변동시 부력에 의하여 지주(100)를 따라 승하강되도록 중앙에 지주(100)가 수직하게 삽입되어 끼워지는 지주삽입홈(112)이 구비되는 중앙 프레임(110);
위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 다수개의 식물망 삽입홈(122)과 파이프 삽입홈(124)이 구비된 다수개의 주위프레임(120); 및
일측면에만 파이프 삽입홈(134)이 길게 구비된 다수개의 마감프레임(130)으로 구성되되,
상기 중앙프레임(110) 외곽으로 주위프레임(120)이 연결되고 각각의 주위프레임(120) 외곽으로 별개의 주위프레임(120) 또는 마감프레임(130)이 차례로 연결되도록, 중앙프레임(110)과 주위프레임(120) 사이 및 주위프레임(120)과 마감프레임(130) 사이에 소정 길이의 부력파이프(140)가 삽입된 상태에서 각각의 프레임(110, 120, 130)간에 U볼트(150)로 체결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구조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주(100)의 상단에 조명등(102)을 포함한 시설물이 설치되고, 상기 중앙프레임(110)은 지주삽입홈(118)이 수직하게 반분되도록 분할되어 지주(100)가 삽입된 상태에서 U볼트(150)로 체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구조물의 정단면도이고, 도 5a, 5b 및 5c는 각각 도 4를 구성하는 중앙프레임, 주위프레임 및 마감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6a, 6b 및 6c는 각각 중앙프레임의 결합상태, 중앙프레임과 주위프레임의 결합상태 및 주위프레임과 마감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부유구조물이 완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크게, 전체 부유구조물을 수중 바닥에 고정시키는 지주(100)와, 지주(100)에 결합되는 중앙프레임(110), 중앙프레임(110)의 외곽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주위프레임(120), 주위프레임(120)의 외곽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마감프레임(130), 각각의 프레임(110, 120, 130) 사이에 삽입되어 이들을 부상시키는 부력파이프(140) 및 각각의 프레임(110, 120, 130)을 체결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지주(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의 기초콘크리트(102)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그 상단은 적어도 최고 수위 이상의 높이이어야 한다.
이때, 지주(100)에 결합되는 중앙프레임(110) 외곽과 연결되는 주위프레임(120)에 또 다시 연결되는 주위프레임(120)의 수가 많을수록 지주(100)에 가해지는 힘이 커지므로 지주(100)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다수개의 보강지지대(104)를 별도의 기초콘크리트(102)에 매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중앙프레임(110)은 상기 지주(100)가 수직하게 삽입되어 끼워지는 지주삽입홈(112)이 중앙에 형성되어, 수위 변동시 부력에 의하여 지주(100)를 따라 중앙프레임(110)이 승하강된다. 그리고 그 주위에는 수생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다수개의 식물망(도 1에서의 20)을 탑재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식물망 삽입홈(114)이 수직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중앙프레임(110)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지주삽입홈(112)의 하부 개구를 통하여 지주(100) 상단으로 삽입된다.
한편, 본 발명을 구성하는 중앙프레임(110)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대칭의 조립형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지주(100) 상단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명등(106)이 설치되어 있거나 분수의 노즐이 설치된 구조물인 경우 지주(100) 상단으로의 삽입이 곤란하므로 지주(100)의 외주면에 설치하기 위한 구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프레임(110)의 지주삽입홈(118)이 반원형으로 수직하게 반분되도록 2개의 조립체로 형성되며, 그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지주삽입홈(112)에 지주(100)의 외주면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조립체 중앙 근방에 형성된 체결구(118)의 하부를 통과하여 U볼트(150)의 상단을 삽입시킨 후 U볼트(150)의 상단에 와셔(152)를 삽입한 다음 너트(154)로 고정시킴으로써 하나의 완전한 중앙프레임(110)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주위프레임(120)은 상기 중앙프레임(110)과 유사하게 다수개의 식물망 삽입홈(122)과 파이프 삽입홈(124)이 구비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마감프레임(130)은 상기 주위프레임(120)의 측면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위프레임(120)의 파이프 삽입홈(124)과 대응되는 형상의 파이프 삽입홈(132)이 구비되어 있어 주위프레임(120)의 외곽에 부력파이프(140)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본 발명에 의한 부유구조물 전체를 마감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중앙프레임(110), 주위프레임(120) 및 마감프레임(1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0) 주위로 중앙프레임(110)이 결합되고, 중앙프레임(110) 외곽으로 다수개의 주위프레임(120)이 연결되고, 각각의 주위프레임(120) 외곽으로 별개의 주위프레임(120) 또는 마감프레임(130)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프레임(110)과 주위프레임(120) 또는 주위프레임(120)과 별개의 주위프레임(120)의 결합을 살펴보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프레임(110, 120) 외곽으로 부력파이프(140)가 삽입되도록 양측단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프레임에 형성된 체결구(118, 126) 하부로 U볼트(150)를 삽입시킨 후 그 상단에 와셔(152)를 삽입시킨 다음 너트(154)로 체결함으로써 각각의 프레임(110, 120)은 견고하게 연결된다.
이때 부력파이프(140)는 1개의 프레임(110, 120) 길이에 해당되는 길이로도 할 수 있으나 프레임의 연결 형태에 따라 2 이상의 프레임(110, 120) 길이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부력이 충분한 경우 일부를 생략할 수도 있되 전체 부유구조물이 균형을 이루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주위프레임(120)과 마감프레임(130)의 결합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부유구조물은,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각각의 프레임(110, 120) 연결 방식을 변경, 예컨대 중앙프레임(110)의 외곽 일부에만 주위프레임(120)을 연결하게 되는 전체 부유구조물의 형태를 바꿀 수 있으며, 프레임(110, 120)의 형태를 도면에 도시된 육면체(4각기둥) 이 외에 삼각기둥, 오각기둥 등의 형태로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십자가, 별, 꽃 모양 등)를 표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지주(100)와 이와 결합되는 별도의 중앙프레임(110)을 설치함으로써 보다 내구성을 강화시킴은 물론, 설계자가 원하는 복잡한 형태를 표현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수원 수질 정화용 부유구조물을 사용하면, 중앙프레임 중앙이 지주에 결합되어 유수에 떠내려갈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수위의 변동에 관계없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각각의 프레임 외곽에 부력파이프가 설치됨으로써 많은 수의 프레임을 연결하더라도 어느 한 쪽으로의 치우침 없이 수면위에 부상하게 된다. 또한 지주의 상단에 조명등과 같은 시설물을 설치하거나, 각각의 프레임 형태 및 연결방식을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표출이 가능하므로 주위 환경과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담수호의 부영양화를 방지하는 수생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수면 위에 부유되는 구조물에 있어서,
    수중 바닥에 고정되어 최고 수위 이상의 높이로 수직하게 설치된 지주(100);
    중앙 주위에 다수개의 식물망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식물망 삽입홈(114)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테두리 측면 각각에는 부력파이프(140)가 삽입되는 파이프 삽입홈(116)이 형성되며, 수위 변동시 부력에 의하여 지주(100)를 따라 승하강되도록 중앙에 지주(100)가 수직하게 삽입되어 끼워지는 지주삽입홈(112)이 구비되는 중앙프레임(110);
    위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 다수개의 식물망 삽입홈(122)과 파이프 삽입홈(124)이 구비된 다수개의 주위프레임(120); 및
    일측면에만 파이프 삽입홈(134)이 길게 구비된 다수개의 마감프레임(130)으로 구성되되,
    상기 중앙프레임(110) 외곽으로 주위프레임(120)이 연결되고 각각의 주위프레임(120) 외곽으로 별개의 주위프레임(120) 또는 마감프레임(130)이 차례로 연결되도록, 중앙프레임(110)과 주위프레임(120) 사이 및 주위프레임(120)과 마감프레임(130) 사이에 소정 길이의 부력파이프(140)가 삽입된 상태에서 각각의 프레임(110, 120, 130)간에 U볼트(150)로 체결되어 전체적으로 하나의 구조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원 수질 정화용 부유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00)의 상단에는 조명등(102)을 포함한 시설물이 설치되고, 상기 중앙프레임(110)은 지주삽입홈(118)이 수직하게 반분되도록 분할되어 지주(100)가 삽입된 상태에서 U볼트(150)로 체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원 수질 정화용 부유구조물.
KR1020050113398A 2005-11-25 2005-11-25 상수원 수질 정화용 부유구조물 KR100704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398A KR100704385B1 (ko) 2005-11-25 2005-11-25 상수원 수질 정화용 부유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398A KR100704385B1 (ko) 2005-11-25 2005-11-25 상수원 수질 정화용 부유구조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208U Division KR200369561Y1 (ko) 2004-09-22 2004-09-22 상수원 수질 정화용 부유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302A true KR20060027302A (ko) 2006-03-27
KR100704385B1 KR100704385B1 (ko) 2007-04-06

Family

ID=37138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398A KR100704385B1 (ko) 2005-11-25 2005-11-25 상수원 수질 정화용 부유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438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6317A1 (es) * 2009-09-23 2011-03-31 Macrofitas Sl Sistema y dispositivos para ayuda en la plantación y crecimiento de especies vegetales en flotación del tipo macrofitos en usos destinados a la depuración de aguas.
CN102802403A (zh) * 2009-05-08 2012-11-28 马可菲塔斯有限公司 浮动装配结构
CN108046435A (zh) * 2017-12-19 2018-05-18 高邮市恒昌泡沫制品有限公司 一种生态浮床
WO2019104377A1 (en) 2017-11-30 2019-06-06 Chris Walker Modular floating structure
CN115006897A (zh) * 2021-12-30 2022-09-06 广州城建职业学院 一种装配式污水潜水泵支承湖水过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R200103229T2 (tr) * 1999-05-10 2002-04-22 Acordis Industrial Fibers Gmbh Filaman oluşturan poliesterler ve kopoliesterler ve bunların üretilmesi için bir işlem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02403A (zh) * 2009-05-08 2012-11-28 马可菲塔斯有限公司 浮动装配结构
WO2011036317A1 (es) * 2009-09-23 2011-03-31 Macrofitas Sl Sistema y dispositivos para ayuda en la plantación y crecimiento de especies vegetales en flotación del tipo macrofitos en usos destinados a la depuración de aguas.
ES2358715A1 (es) * 2009-09-23 2011-05-13 Macropitas S.L. Sistema y dispositivos para ayuda en la plantación y crecimiento de especies vegetables en flotación del tipo macrofitos en usos destinados a la depuración de aguas.
WO2019104377A1 (en) 2017-11-30 2019-06-06 Chris Walker Modular floating structure
CN111386034A (zh) * 2017-11-30 2020-07-07 克里斯·沃克 模块化漂浮结构
US11490572B2 (en) 2017-11-30 2022-11-08 Chris Walker Modular floating structure
AU2021107594B4 (en) * 2017-11-30 2023-03-16 Terry Lucke Modular floating structure
CN108046435A (zh) * 2017-12-19 2018-05-18 高邮市恒昌泡沫制品有限公司 一种生态浮床
CN115006897A (zh) * 2021-12-30 2022-09-06 广州城建职业学院 一种装配式污水潜水泵支承湖水过滤装置
CN115006897B (zh) * 2021-12-30 2023-09-12 广州城建职业学院 一种装配式污水潜水泵支承湖水过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4385B1 (ko) 200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237B1 (ko) 수생태 복원 및 수질개선을 위한 복합 서식장치
KR20020096770A (ko) 수위조절용 계류장치와 수위조절체를 이용한 인공부도
KR100704385B1 (ko) 상수원 수질 정화용 부유구조물
KR101309593B1 (ko) 녹조 발생억제와 수질정화를 위한 인공 식물섬
KR100977138B1 (ko) 인공섬유니트
KR20020074911A (ko) 하천과 담수의 수질정화용 부유구조물
CN104803557A (zh) 复合型净化农田排水与生态修复的沟塘湿地系统
KR200433035Y1 (ko) 하천 제방의 생태복원용 방틀 구조
KR100289084B1 (ko) 수변 식물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
KR100297876B1 (ko) 담수호의수질정화용인공부도
KR20030086414A (ko) 비골격형 인공 식물섬
KR200369561Y1 (ko) 상수원 수질 정화용 부유구조물
KR200202650Y1 (ko) 하천의 수질 정화용 인공 부도
KR101742191B1 (ko) 인공 생태섬
JPH10276598A (ja) 浮きプランター及びその固定方法
KR200284980Y1 (ko) 식생식물활착안정과 구조유지를 가능하게하는조립부비노출형호안블록
KR200181461Y1 (ko) 인공 부도 관찰용 부교
KR101154472B1 (ko) 외부보강형 인공식물섬
KR200321615Y1 (ko) 수중부도
JPH1034187A (ja) 汚水及び水質浄化用浮島
KR101343259B1 (ko) 수생식물을 이용한 부력식 연못정화장치
CN110156167A (zh) 硬质化基面生态沟渠和生态沟渠系统
KR100675145B1 (ko) 자정기능 향상을 위한 하천의 가변식재틀 구조
KR200202649Y1 (ko) 수질정화용 인공 부도의 부유체
KR100595961B1 (ko) 하천의 수질 정화를 위한 인공 식물섬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