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5961B1 - 하천의 수질 정화를 위한 인공 식물섬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하천의 수질 정화를 위한 인공 식물섬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5961B1
KR100595961B1 KR1020040053355A KR20040053355A KR100595961B1 KR 100595961 B1 KR100595961 B1 KR 100595961B1 KR 1020040053355 A KR1020040053355 A KR 1020040053355A KR 20040053355 A KR20040053355 A KR 20040053355A KR 100595961 B1 KR100595961 B1 KR 100595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fastened
river
fastener
artificial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4296A (ko
Inventor
최기영
Original Assignee
(주)화신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신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화신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40053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961B1/ko
Publication of KR20060004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6Sealings 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의 수질 정화를 위한 인공 식물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천의 양측면에 인공 식물섬을 구축하여 수중 생명체의 은식처 및 서식지 등을 제공토록 하며, 그로 인하여 하천의 수질 개선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하천의 수질 정화를 위한 인공 식물섬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방, 콘크리트 옹벽을 포함하는 하천에 있어서, 상기 옹벽의 기저부에 매설되는 하부 앵커; 상기 하부 앵커에 체결 볼트로 체결되는 상부 고정판; 상기 상부 고정판의 돌출부의 원형홈에 체결되는 하부 체결대; 상기 하부 체결대에 체결되는 원통형 중간 체결대; 상기 중간 체결대에 체결되는 원통형 상부 체결대; 상기 상부 체결대에 체결되는 부력판; 및 상기 부력판에 삽입되는 설치되고, 내부에 수중 식물이 식재된 수중식물 케이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질 정화를 위한 인공 식물섬의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하천, 수질 정화, 인공 식물섬

Description

하천의 수질 정화를 위한 인공 식물섬의 설치구조{MOUNTING STRUCTURE OF ARTIFICIAL PLANT ISLEND FOR RIVER}
도 1은 종래의 하천에 옹벽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인공 식물섬이 하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인공 식물섬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하천 200: 옹벽
300: 제방 400: 하부 앵커
500: 하부 체결대 600: 중간 체결대
700: 상부 체결대 800: 부력판
900: 인공 식물섬
본 발명은, 하천의 수질 정화를 위한 인공 식물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천의 양측면에 인공 식물섬을 구축하여 수중 생명체의 은식처 및 서식지 등을 제공토록 하며, 그로 인하여 하천의 수질 개선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하천의 수질 정 화를 위한 인공 식물섬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에는 수로 공사를 시행하는 경우, 수중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한 시설을 설치하고 있으나, 기존의 하천에는 이러한 시설이 없고 단지 수중 식물만이 식재되는 정도이다.
도 1은 종래의 하천에 옹벽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하천(50)은, 양측에 옹벽(30)이 설치되고, 상기 옹벽(30)에는 측면에 제방(40)이 설치된다.
상술한 일반적인 하천(50)은, 수중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는 시설이 미흡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자연 생태계의 파괴를 초래하며, 또한 하천(50)의 수질을 개선하는 시설이 없어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하천의 수질이 악화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하천의 양측면에 인공 식물섬을 구축하여 수중 생명체의 은식처 및 서식지 등을 제공토록 하며, 그로 인하여 하천의 수질 개선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하천의 수질 정화를 위한 인공 식물섬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은, 제방, 콘크리트 옹벽을 포함하는 하천에 있어서, 상기 옹벽의 기저부에 매설되는 하부 앵커; 상기 하부 앵커에 체결 볼트로 체결되는 상부 고정판; 상기 상부 고정판의 돌출부의 원형홈에 체결되는 하부 체결대; 상기 하부 체결대에 체결되는 원통형 중간 체결대; 상기 중간 체결대에 체결되는 원통형 상부 체결대; 상기 상부 체결대에 체결되는 부력판; 및 상기 부력판에 삽입되는 설치되고, 내부에 수중 식물이 식재된 수중식물 케이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질 정화를 위한 인공 식물섬의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인공 식물섬이 하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인공 식물섬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천(100)에는 양측에 콘크리트 옹벽(200)이 설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옹벽(200)에는 연접되게 제방(300)이 설치된다.
상기 옹벽(200)에는 하천(100) 측으로 물고기의 서식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인공 식물섬(900)이 설치된다.
상기 인공 식물섬(900)은, 옹벽(200)의 기저부에 매설되는 하부 앵커(400), 상기 하부 앵커(400)에 체결 볼트(440)로 체결되는 상부 고정판(450), 상기 상부 고정판(450)에 체결되는 하부 체결대(500), 상기 하부 체결대(500)에 체결되는 중간 체결대(600), 상기 중간 체결대(600)에 체결되는 상부 체결대(700), 상기 상부 체결대(700)에 체결되는 부력판(800), 및 상기 부력판(800)에 삽입되는 수중식물 케이스(850)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 앵커(400)는, 상부 원형판(410), 그 원형판의 하부 중앙에 고정된 파이프가 일체로 형성되는 부재로, 원형판(410)에 다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되며, 파이프에 앵커부(420)가 수평하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 고정판(450)은, 상부 원형판(410)과 동일한 형태로, 중앙 상부로 돌출부(458)가 형성되고, 중앙에 원형홈이 형성되며, 상부 고정판(450)에는 다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앵커(400)와 상부 고정판(450)은, 체결 볼트(440)에 의해 상호 체결된다.
상기 하부 체결대(500)는, 원통형 부재로, 양측에 수직하게 세로홈(510)이 형성되고, 하부에 체결봉(530)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고정판(450)의 돌출부(458)의 원형홈에 하부 체결대(500)의 체결봉(530)이 체결된다.
상기 중간 체결대(600)는, 원통형 부재로, 양측에 수직하게 세로홈(61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부 체결대(500)와 중간 체결대(600)는 체결 볼트(550)와 너트(554)로 상호 체결된다.
상기 상부 체결대(700)는, 원통형 부재로, 양측에 수직하게 세로홈(710)이 형성되고, 상부에 체결봉(730)이 형성된다.
상기 중간 체결대(600)와 상부 체결대(700)는, 체결 볼트(650)와 너트(654)에 의해 상호 체결된다.
상기 부력판(800)은, 중앙을 기점으로 양측으로 경사지게 좁아지는 단면을 가지고, 다수개의 설치홈(810)이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 끼움홈(82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부력판(800)은 끼움홈(820)에 상부 체결대(700)의 체결봉(730)이 체결된다.
상기 부력판(800)에는 설치홈(810)에 수중식물 케이스(850)가 삽입되고, 상 기 수중식물 케이스(850)에는 내부에 수중 식물(852)이 식재된다.
상기 부력판(800)에 의해 상기 인공 식물섬(900)은 하천 수위에 따라 상,하부로 승,하강되면서 유지되게 된다.
상기 하부 체결대(500), 중간 체결대(600) 및 상부 체결대(700)는, 원통형의 파이프 부재로, 양측에 세로홈(510)(610)(710)이 각각 형성되어 체결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는 바, 상부에 체결대(700)에 체결된 부력판(800)에 의해 하천(100)의 표면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효과를 하기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인공 식물섬이 하천에 설치되면, 수중 생명체의 은식처 및 서식지 등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하여 하천의 수질 정화를 이룰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인공 식물섬이 하천의 수위에 따라 일정 간격을 유동할 수 있어 시설물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제방, 콘크리트 옹벽을 포함하는 하천에 있어서,
    상기 옹벽(200)의 기저부에 매설되고, 상부 원형판(410), 그 원형판의 하부 중앙에 고정된 파이프로, 원형판(410)에 다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파이프에 앵커부(420)가 수평하게 형성된 하부 앵커(400);
    상기 하부 앵커(400)에 체결 볼트(440)로 체결되고, 상부 원형판(410)과 동일한 형태로, 중앙 상부로 돌출부(458)가 형성되고, 중앙에 원형홈이 형성되며, 다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된 상부 고정판(450);
    상기 상부 고정판(450)의 돌출부(458)의 원형홈에 체결되고, 원통형 부재로, 양측에 수직하게 세로홈(510)이 형성되고, 하부에 체결봉(530)이 형성된 하부 체결대(500);
    상기 하부 체결대(500)에 체결되고, 원통형 부재로, 양측에 수직하게 세로홈(610)이 형성되고, 하부 체결대(500)와 체결 볼트(550)와 너트(554)로 상호 체결되는 중간 체결대(600);
    상기 중간 체결대(600)에 체결되고, 원통형 부재로, 양측에 수직하게 세로홈(710)이 형성되고, 상부에 체결봉(730)이 형성된 상부 체결대(700);
    상기 상부 체결대(700)에 체결되고, 중앙을 기점으로 양측으로 경사지게 좁아지는 단면을 가지고, 다수개의 설치홈(810)이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 끼움홈(820)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820)에 상부 체결대(700)의 체결봉(730)이 체결되는 부력판(800); 및
    상기 부력판(800)에 삽입되는 설치되고, 내부에 수중 식물(852)이 식재된 수중식물 케이스(8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질 정화를 위한 인공 식물섬의 설치구조.
KR1020040053355A 2004-07-09 2004-07-09 하천의 수질 정화를 위한 인공 식물섬의 설치구조 KR100595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355A KR100595961B1 (ko) 2004-07-09 2004-07-09 하천의 수질 정화를 위한 인공 식물섬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355A KR100595961B1 (ko) 2004-07-09 2004-07-09 하천의 수질 정화를 위한 인공 식물섬의 설치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586U Division KR200364406Y1 (ko) 2004-07-09 2004-07-09 하천의 수질 정화를 위한 인공 식물섬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296A KR20060004296A (ko) 2006-01-12
KR100595961B1 true KR100595961B1 (ko) 2006-07-05

Family

ID=3711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355A KR100595961B1 (ko) 2004-07-09 2004-07-09 하천의 수질 정화를 위한 인공 식물섬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59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660B1 (ko) 2009-09-23 2009-12-21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하천 사면에 형성된 친환경적인 생태 이동 통로
CN110150046A (zh) * 2019-05-30 2019-08-23 广东工业大学 一种沉水植物培养的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033B1 (ko) * 2007-08-13 2008-01-04 (주)우주엔지니어링 하천 생태계 보호를 위한 버드나무 인공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660B1 (ko) 2009-09-23 2009-12-21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하천 사면에 형성된 친환경적인 생태 이동 통로
CN110150046A (zh) * 2019-05-30 2019-08-23 广东工业大学 一种沉水植物培养的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296A (ko) 200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5961B1 (ko) 하천의 수질 정화를 위한 인공 식물섬의 설치구조
US5514285A (en) Aeration system
KR200364406Y1 (ko) 하천의 수질 정화를 위한 인공 식물섬의 설치구조
KR20090012167A (ko) 토목섬유를 이용한 계단형 낙차공/보의 개량시스템 및 그시공방법
KR101082410B1 (ko) 인공어초 형성 또는 침식과 모래 유실의 원인인 파랑 에너지 저감을 위한 해양 구조물 단위 모듈
JP2002330662A (ja) 水底沈設部材並びにそれを用いた人工魚礁、沈床、魚道及び護岸部材
KR100566604B1 (ko) 소하천의 수로 보호용 시설물의 구조
JP2010509520A (ja) 消波構造物
JP3739498B2 (ja) 護岸構造
KR100374187B1 (ko) 하부 골조에 단위 소파블럭이 계지 조립되는 호안구조
RU2314386C1 (ru) Искусственный риф
KR100459509B1 (ko) 친환경적인 하천저면의 생태보호시설
KR200358605Y1 (ko) 친환경적인 하천저면의 생태보호시설
KR200226344Y1 (ko) 하부 골조에 단위 소파블럭이 계지 조립되는 호안구조
KR200298530Y1 (ko) 어초블록
JP2000344182A (ja) 合成樹脂体を利用した水上施設
KR100619559B1 (ko) 하천 수중 바닥면 수초 걸이대 설치구조
KR100604674B1 (ko)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 블록
KR200411833Y1 (ko) 소하천 물막이 가시설
KR100618562B1 (ko) 하천바닥에 설치되는 친환경적인 세굴방지블럭
KR200429763Y1 (ko) 세굴방지블럭
KR20180137298A (ko) 주철 판넬을 이용한 친환경 버트리스 사방댐
KR100886265B1 (ko) 인공 식물섬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08158Y1 (ko) 하천 제방의 유실방지 블록
KR200376248Y1 (ko) 하천 수중 바닥면 수초 걸이대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