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265B1 - 인공 식물섬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인공 식물섬 및 이의 시공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265B1
KR100886265B1 KR1020070060010A KR20070060010A KR100886265B1 KR 100886265 B1 KR100886265 B1 KR 100886265B1 KR 1020070060010 A KR1020070060010 A KR 1020070060010A KR 20070060010 A KR20070060010 A KR 20070060010A KR 100886265 B1 KR100886265 B1 KR 100886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egetation
rods
horizontal
based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1709A (ko
Inventor
이미경
Original Assignee
이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경 filed Critical 이미경
Priority to KR1020070060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265B1/ko
Publication of KR20080111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 식물섬에 관한 것으로서 수면을 덮도록 매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질 정화용 식물은 줄기가 수면 밖에 위치되어 뿌리가 수중에 위치되게 관통되게 식재되는 식생기반매질과, 상기 식생기반매질의 형상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 및 하부 표면에 격자 구조를 이루도록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는 제1 및 제2수평봉과, 상기 식생기반매질의 외곽에 2개가 1쌍으로 관통하여 하부가 수중에 위치되며 상부가 수면 밖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수평봉의 교차 부분과 수직으로 체결되는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 사이의 상기 식생기반매질의 하부 표면에 배치되는 상기 제2수평봉 아래에 물 보다 비중이 작은 물질로 형성되어 설치되는 부력수단과, 상기 수직봉과 체결되어 상기 부력수단이 상기 수직봉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봉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매트 형상의 식생기반매질을 대나무로 고정시켜 자연친화적이며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구조 및 시공이 간단하며, 또한, 식재된 수질 정화용 식물이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인공 식물섬, 대나무, 수질 정화용 식물, 생물학적, 자연친화적

Description

인공 식물섬 및 이의 시공방법{Artificial plant islan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섬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을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설치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을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을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설치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인공 식물섬 11: 식생기반매질
13, 15: 제1 및 제2수평봉 17: 수직봉
19: 부력수단 21: 체결봉
23: 제3수평봉 25: 커버매트
27: 다공질 바이오블록
본 발명은 인공 식물섬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연 소재인 대나무를 사용하여 자연친화적인 인공 식물섬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화와 도시화에 의하여 파괴된 자연 및 생태 환경을 복원하려는 노력과 시도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하천, 저수지 또는 담수호 등의 수질을 정화하기 위한 수질정화방법으로는 크게 화학물질을 사용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방법과 생물을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상기 화학적 방법과 생물학적 방법을 모두 사용하는 복합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화학물질을 이용한 화학적 수질정화 설비 또는, 생물학적 오수 또는 폐수처리 설비의 경우, 막대한 초기 자본이 투입되어야 하고, 그 설비 건설시 환경파괴에 대한 우려가 심하고, 현재 상기와 같은 처리설비들을 설치하는 경우, 해당 지역 주민 및 민간 환경단체의 강한 반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인공 식물섬을 이용하여 경제적이면서도 친환경적으로 오폐수를 정화 처리하는 수질정화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인공 식물섬은 수면에 수질 정화용 식물이 식재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이 식재된 식물 뿌리가 수중의 오염물질을 흡수하여 제거하는 것에 의해 수질을 정화한다.
이러한 인공 식물섬은 수심이 깊거나 수위 변동이 큰 곳, 호안 경사가 급한 곳, 그리고 기질이 콘크리트와 같은 곳에서 수생식물을 복원할 수 있는 효과적인 생태기술로서, 수질 정화, 생물서식공간 제공, 파랑 감소 및 경관미 조성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인공 식물섬에는 주로 갈대, 애기부들, 줄, 노랑꽃창포 등의 수생하는 정수식물이 식재된다.
이러한 인공 식물섬을 이용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종래의 기술이 특허공개제 2003 - 17074 호(발명의 명칭: 수질정화용 인공 식물섬)에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수질정화용 인공 식물섬은 식물섬 블록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탑재 프레임이 설치되며, 이 탑재 프레임 각각에 배양 상자가 다수 개 탑재되고, 이 배양 상자에 수질 정화용 식물이 식재된 식재용기가 다수 개 탑재된다.
상기에서 식재용기는 물의 통과가 자유로운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수질정화용 식물이 식재되며, 배양 상자는 물의 통과가 자유로운 다공성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다수 개의 탑재 프레임은 서로 체결된 다수개의 배양 상자들을 탑재할 수 있도록 사각박스 형상으로 물의 통과가 용이한 다공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인공 식물섬은 수생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다수 개의 식재 용기뿐만 아니라 이 다수 개의 식재용기를 탑재하기 위한 다수 개의 배양 상자 및 다수 개의 탑재 프레임이 필요하므로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양 상자 및 탑재 프레임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므로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배양 상자 내에 수질 정화용 식물이 식재된 다수 개의 식재 용기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양 상자에 탑재되므로 이 식물이 용이하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매트 형상의 식생기반매질을 대나무로 고정시켜 자연친화적이며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구조 및 시공이 간단한 인공 식물섬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재된 수질 정화용 식물이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인공 식물섬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섬은 수면을 덮도록 매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질 정화용 식물은 줄기가 수면 밖에 위치되어 뿌리가 수중에 위치되게 관통되게 식재되는 식생기반매질과, 상기 식생기반매질의 형상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 및 하부 표면에 격자 구조를 이루도록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는 제1 및 제2수평봉과, 상기 식생기반매질의 외곽에 2개가 1쌍으로 관통하여 하부가 수중에 위치되며 상부가 수면 밖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수평봉의 교차 부분과 수직으로 체결되는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 사이의 상기 식생기반매질의 하부 표면에 배치되는 상기 제2수평봉 아래에 물 보다 비중이 작은 물질로 형성되어 설치되는 부력수단과, 상기 수직봉과 체결되어 상기 부력수단이 상기 수직봉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봉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식물섬은 수면을 덮도록 매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질 정화용 식물은 줄기가 수면 밖에 위치되어 뿌리가 수중에 위치되게 관통되게 식재되는 식생기반매질과, 상기 식생기반매질의 형상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 및 하부 표면에 격자 구조를 이루도록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는 제1 및 제2수평봉과, 상기 식생기반매질의 외곽에 2개가 1쌍으로 관통하여 하부가 수중 바닥면과 접촉되어 수중에 어류 서식공간을 확보하며 상부가 수면 밖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수평봉의 교차 부분과 수직으로 체결되는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 사이의 상기 식생기반매질의 하부 표면에 배치되는 상기 제2수평봉 아래에 물 보다 비중이 작은 물질로 형성되어 설치되는 부력수단과, 상기 수직봉과 체결되어 상기 부력수단이 상기 수직봉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봉과, 상기 수직봉의 하부에 격자 구조를 이루도록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게 체결되는 제3수평봉과, 상기 수중 바닥면을 덮도록 상기 제3수평봉에 거치되게 설치되며 수질을 정화하는 다공질 바이오블록 또는 자갈이 실장되는 커버매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식생기반매질이 암면(rock wool)으로 형성되며, 제1, 제2 및 제3수평봉, 상기 수직봉, 상기 체결봉 및 상기 커버매트가 대나무로 형성되고, 부력수단이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섬 시공방법은 수면을 덮는 매트 형상으로 형성된 식생기반매질의 형상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 및 하부 표면 각각에 제1 및 제2수평봉을 격자 구조를 이루도록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하고, 상기 식생기반매질의 외곽을 2개가 1쌍을 이루는 수직봉이 관통하여 하부가 수중에 위치되며 상부가 수면 밖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수평봉의 교차 부분과 수직으로 체결하며, 상기 수직봉 사이의 상기 식생기반매질의 하부 표면에 물 보다 비중이 작은 물질로 형성된 부력수단을 배치하고, 상기 부력수단이 상기 수직봉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부력수단 하부의 상기 수직봉 사이에 체결봉을 체결하며, 상기 식생기반매질에 수질 정화용 식물을 줄기가 수면 밖에 위치하고 뿌리가 수중에 위치하도록 식재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섬 시공방법은 수면을 덮는 매트 형상으로 형성된 식생기반매질의 형상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 및 하부 표면 각각에 제1 및 제2수평봉을 격자 구조를 이루도록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하고, 상기 식생기반매질의 외곽을 2개가 1쌍을 이루는 수직봉이 관통하여 하부가 수중 바닥면과 접촉되어 수중에 어류 서식공간을 확보하며 상부가 수면 밖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수평봉의 교차 부분과 수직으로 체결하며, 상기 수직봉 사이의 상기 식생기반매질의 하부 표면에 물 보다 비중이 작은 물질로 형성된 부력수단을 배치하고, 상기 부력수단이 상기 수직봉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부력수단 하부의 상기 수직봉 사이에 체결봉을 체결하며, 상기 수직봉 하부에 제3수평봉을 격자 구조를 이루도록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게 체결하고, 상기 식생기반매질에 수질 정화용 식물을 줄기가 수면 밖에 위치하고 뿌리가 수중에 위치하도록 식재하며, 상기 제3수평봉에 거치되어 상기 수중 바닥면을 덮으며 수질을 정화하는 다공질 바이오블록 또는 자갈이 실장되는 커버매트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식생기반매질을 암면(rock wool)으로 형성하고, 제1, 제2 및 제3수평봉, 상기 수직봉과 상기 체결봉을 대나무로 형성하며, 부력수단을 폴리에틸렌으로 형성한다. 또한, 커버매트를 대나무로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섬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을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설치된 것을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식물섬(10)은 식생기반매질(11), 제1 및 제2수평봉(13)(15), 수직봉(17), 부력수단(19) 및 체결봉(21)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식생기반매질(11)은 갈대, 애기부들, 줄, 노랑꽃창포 등의 수질 정화용 식물이 식재되는 것으로 하천, 저수지 또는 담수호 등의 수면을 덮도록 암면(rock wool) 등의 섬유로 매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수질 정화용 식물은 줄기가 식생기반매질(11) 상에서 성장되며 뿌리가 식생기반매질(11)을 관통하여 수중에 위치한다.
상기에서 수질 정화용 식물이 식생기반매질(11)에 관통되게 식재되므로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암면(rock wool) 등의 섬유로 형성된 식생기반매질(11)은 섬유 상에 의해 수중에 있는 수질 정화용 식물의 뿌리와 함께 오염된 물의 수질을 정화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수평봉(13)(15)은 대나무로 형성되며 각각 식생기반매질(11)의 상부 및 하부 표면에 격자 구조를 이루도록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식생기반매질(11)의 형상이 변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수직봉(17)은 제1 및 제2수평봉(15)과 동일하게 대나무로 형성되며 식생기반매질(11)을 관통하여 하부가 수중에 위치되며 상부가 수면 밖으로 노출된다.
상기에서 수직봉(17)은 식생기반매질(11)의 외곽에 2개가 1쌍으로 설치되며 제1 및 제2수평봉(13)(15)의 교차 부분과 수직으로 체결된다.
부력수단(19)은 물 보다 비중이 작은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로 구성되는 파이프로 형성되어 수직봉(17) 사이의 식생기반매질(11)의 하부 표면에 배치되는 제2수평봉(15) 아래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부력수단(19)은 식생기반매질(11)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인공 식물섬(10)의 자체 부력을 갖도록 하여 수위 변동에 의한 부력을 조절한 다.
체결봉(21)은 수직봉(17)과 결합되어 부력수단(19)이 수직봉(17)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에서 체결봉(21)은 대나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인공 식물섬(10)은 식생기반매질(11)에 갈대, 애기부들, 줄, 노랑꽃창포 등의 수질 정화용 식물이 식재된 상태에서 부력수단(19)에 의해 하천, 저수지 또는 담수호 등의 수면에 설치된다.
상기에서 수질 정화용 식물은 뿌리가 식생기반매질(11)을 관통하여 수중에 위치하여 섬유 상의 식생기반매질(11)과 함께 오염된 물의 수질을 정화한다.
상기에서 제1 및 제2수평봉(15) 및 수직봉(17)도 대나무로 형성되며 식생기반매질(11)을 관통하여 하부가 수중에 위치되며 상부가 수면 밖으로 노출된다.
상기에서 식생기반매질(11)의 형상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및 제2수평봉(13)(15)과 부력수단(19)을 고정하는 수직봉(17) 및 체결봉(21)이 대나무로 형성되므로 자연친화적이며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인공 식물섬(10)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수면을 덮는 매트 형상으로 형성된 식생기반매질(11)의 형상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 및 하부 표면 각각에 제1 및 제2수평봉(13)(15)을 격자 구조를 이루도록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한다.
상기에서 식생기반매질(11)을 암면(rock wool) 등의 섬유로 형성하고, 제1 및 제2수평봉을 대나무로 형성한다.
그리고 식생기반매질(11)의 외곽을 2개가 1쌍을 이루는 수직봉(17)을 제1 및 제2수평봉(13)(15)의 교차 부분과 수직으로 체결한다.
이때, 상기 수직봉(17)은 대나무로 형성하며 식생기반매질(11)을 관통하여 하부가 수중에 위치되며 상부가 수면 밖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그 후, 상기 수직봉(17) 사이의 식생기반매질(11)의 하부 표면에 물 보다 비중이 작은 물질로 형성된 부력수단(19)을 배치하고, 이 부력수단(19) 하부의 수직봉(17) 사이에 체결봉(21)을 체결하여 수직봉(17) 사이에서 부력수단(19)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에서 부력수단(19)을 폴리에틸렌으로 형성하며, 체결봉(21)을 대나무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식생기반매질(11)에 수질 정화용 식물을 줄기가 수면 밖에 위치하고 뿌리가 수중에 위치하도록 식재한다.
도 3은 도 1을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설치된 것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공 식물섬(10)은 식생기반매질(11), 제1, 제2 및 제3수평봉(13)(15)(23), 수직봉(17), 부력수단(19), 체결봉(21), 및 커버매트(25)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식생기반매질(11), 제1 및 제2수평봉(13)(15), 부력수단(19) 및 체결봉(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이다.
수직봉(17)은 제1 및 제2수평봉(13)(15)과 동일하게 대나무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며 식생기반매질(11)을 관통하여 하부가 하천, 저수지 또는 담수호 등의 수중 바닥면에 접촉되고 상부가 수면 밖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에서 수직봉(17)은 식생기반매질(11)의 외곽에 2개가 1쌍으로 설치되며 수직하는 제1 및 제2수평봉(13)(15)의 교차 부분과 체결된다.
제3수평봉(23)은 대나무로 형성되며 제1 및 제2수평봉(13)(15)과 같이 격자 구조를 이루도록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수직봉(17)의 하부와 결합된다.
상기에서 제3수평봉(23)은 긴 길이의 수직봉(17)이 가해지는 작은 힘에 의해 쉽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매트(25)는 수중 바닥면을 덮도록 다수 개의 대나무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에서 커버매트(25)는 제3수평봉(23)에 거치되게 설치되며 수질을 정화하는 다공질 바이오블록(27) 또는 자갈 등이 이탈되지 않게 실장된다.
상술한 구성의 인공 식물섬은 수직봉(17)의 길이가 길어 수중 바닥면과 접촉되므로 식생기반매질(11)과 커버매트(25) 사이의 공간이 크게 되어 어류 등의 휴식, 도피 및 산란을 위한 어류 서식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어 수중 생태계를 회복할 수 있다.
또한, 커버매트(25) 상에 이탈되지 않도록 실장된 다공질 바이오블록(27)은 수질을 정화하므로 수질 정화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인공 식물섬(10)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수면을 덮는 매트 형상으로 형성된 식생기반매질(11)의 형상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 및 하부 표면 각각에 제1 및 제2수평봉(13)(15)을 격자 구조를 이루도록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한다.
상기에서 식생기반매질(11)을 암면(rock wool) 등의 섬유로 형성하고, 제1 및 제2수평봉을 대나무로 형성한다.
그리고 식생기반매질(11)의 외곽을 2개가 1쌍을 이루는 수직봉(17)을 제1 및 제2수평봉(13)(15)의 교차 부분과 수직으로 체결한다.
이때, 상기 수직봉(17)은 대나무로 형성하며 식생기반매질(11)을 관통하여 하부가 수중의 바닥면에 위치되며 상부가 수면 밖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그 후, 수직봉(17) 사이의 식생기반매질(11)의 하부 표면에 물 보다 비중이 작은 물질로 형성된 부력수단(19)을 배치하고, 이 부력수단(19) 하부의 수직봉(17) 사이에 체결봉(21)을 체결하여 수직봉(17) 사이에서 부력수단(19)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에서 부력수단(19)을 폴리에틸렌으로 형성하며, 체결봉(21)을 대나무로 형성한다.
그리고 수직봉(17) 하부에 제3수평봉(23)을 격자 구조를 이루도록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게 체결하는데, 이 제3수평봉(23)도 대나무로 형성한다.
그 후, 식생기반매질(11)에 수질 정화용 식물을 줄기가 수면 밖에 위치하고 뿌리가 수중에 위치하도록 식재하고, 수중 바닥면을 덮으며 수질을 정화하는 다공질 바이오블록(27) 또는 자갈이 실장되는 커버매트(25)를 제3수평봉(23)에 거치되게 설치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공 식물섬 및 이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매트 형상의 식생기반매질을 대나무로 고정시켜 자연친화적이며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구조 및 시공이 간단하다.
둘째, 본 발명은 식재된 수질 정화용 식물이 용이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수면을 덮도록 매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질 정화용 식물은 줄기가 수면 밖에 위치되어 뿌리가 수중에 위치되게 관통되게 식재되는 식생기반매질과, 상기 식생기반매질의 형상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 및 하부 표면에 격자 구조를 이루도록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는 제1 및 제2수평봉과, 상기 식생기반매질의 외곽에 2개가 1쌍으로 관통하여 하부가 수중 바닥면과 접촉되어 수중에 어류 서식공간을 확보하며 상부가 수면 밖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수평봉의 교차 부분과 수직으로 체결되는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 사이의 상기 식생기반매질의 하부 표면에 배치되는 상기 제2수평봉 아래에 물 보다 비중이 작은 물질로 형성되어 설치되는 부력수단과, 상기 수직봉과 체결되어 상기 부력수단이 상기 수직봉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봉과, 상기 수직봉의 하부에 격자 구조를 이루도록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게 체결되는 제3수평봉과, 상기 수중 바닥면을 덮도록 상기 제3수평봉에 거치되게 설치되며 수질을 정화하는 다공질 바이오블록 또는 자갈이 실장되는 커버매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식물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식생기반매질은 암면(rock wool)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식물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3수평봉, 상기 수직봉, 상기 체결봉 및 상기 커버매트가 대나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식물섬.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부력수단은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식물섬.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수면을 덮는 매트 형상으로 형성된 식생기반매질의 형상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 및 하부 표면 각각에 제1 및 제2수평봉을 격자 구조를 이루도록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하고, 상기 식생기반매질의 외곽을 2개가 1쌍을 이루는 수직봉이 관통하여 하부가 수중 바닥면과 접촉되어 수중에 어류 서식공간을 확보하며 상부가 수면 밖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수평봉의 교차 부분과 수직으로 체결하며, 상기 수직봉 사이의 상기 식생기반매질의 하부 표면에 물 보다 비중이 작은 물질로 형성된 부력수단을 배치하고, 상기 부력수단이 상기 수직봉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부력수단 하부의 상기 수직봉 사이에 체결봉을 체결하며, 상기 수직봉 하부에 제3수평봉을 격자 구조를 이루도록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게 체결하고, 상기 식생기반매질에 수질 정화용 식물을 줄기가 수면 밖에 위치하고 뿌리가 수중에 위치하도록 식재하며, 상기 제3수평봉에 거치되어 상기 수중 바닥면을 덮으며 수질을 정화하는 다공질 바이오블록 또는 자갈이 실장되는 커버매트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식물섬 시공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식생기반매질을 암면(rock wool)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식물섬 시공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수평봉, 상기 수직봉과 상기 체결봉을 대나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식물섬 시공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부력수단을 폴리에틸렌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식물섬 시공방법.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커버매트를 대나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 식물섬 시공방법.
KR1020070060010A 2007-06-19 2007-06-19 인공 식물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86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010A KR100886265B1 (ko) 2007-06-19 2007-06-19 인공 식물섬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010A KR100886265B1 (ko) 2007-06-19 2007-06-19 인공 식물섬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709A KR20080111709A (ko) 2008-12-24
KR100886265B1 true KR100886265B1 (ko) 2009-03-03

Family

ID=40369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010A KR100886265B1 (ko) 2007-06-19 2007-06-19 인공 식물섬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2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538B1 (ko) 2009-04-23 2009-11-02 주식회사 에코탑 다기능 조경 및 생태정화 식물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897A (ko) * 1999-04-10 2000-11-15 김용규 식생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897A (ko) * 1999-04-10 2000-11-15 김용규 식생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538B1 (ko) 2009-04-23 2009-11-02 주식회사 에코탑 다기능 조경 및 생태정화 식물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709A (ko)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74911A (ko) 하천과 담수의 수질정화용 부유구조물
CN104803557A (zh) 复合型净化农田排水与生态修复的沟塘湿地系统
KR200441555Y1 (ko) 수질정화용 게비온
JP4299382B2 (ja) 水処理用人工湿地
KR100886265B1 (ko) 인공 식물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04385B1 (ko) 상수원 수질 정화용 부유구조물
KR100289084B1 (ko) 수변 식물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
KR101742191B1 (ko) 인공 생태섬
KR100796555B1 (ko) 하천 정화용 식물식재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인공습지
CN204529619U (zh) 复合型净化农田排水与生态修复的沟塘湿地系统
KR100968614B1 (ko) 패류서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KR100899573B1 (ko) 어류산란처 및 수질정화기능이 구비된 하천의 침수방틀
KR200202650Y1 (ko) 하천의 수질 정화용 인공 부도
KR100567943B1 (ko) 생태어소 방틀
KR100906260B1 (ko) 식생수로 및 그의 시공방법
JP3739498B2 (ja) 護岸構造
KR100513704B1 (ko) 식재용 인공매트
KR200254537Y1 (ko) 유기 및 무기질 부영양원의 흡수분해기능을 갖는천연부식성의호안부재
JPH0442000Y2 (ko)
KR200181461Y1 (ko) 인공 부도 관찰용 부교
JP4746362B2 (ja) 波浪エネルギを利用した水質浄化施設
KR200293165Y1 (ko) 댐이나 호수의 수질개선을 위한 수초재배용 부유상자
KR102092260B1 (ko) 여울블럭
RU2773122C2 (ru) Модуль фитосистемы дл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промышленных сточных вод от минеральных загрязнителей
KR200308779Y1 (ko) 교량을 이용한 하천수질정화기구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