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610B1 - 자연환경적 계류형 어류 수정란 부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연환경적 계류형 어류 수정란 부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610B1
KR101724610B1 KR1020160120291A KR20160120291A KR101724610B1 KR 101724610 B1 KR101724610 B1 KR 101724610B1 KR 1020160120291 A KR1020160120291 A KR 1020160120291A KR 20160120291 A KR20160120291 A KR 20160120291A KR 101724610 B1 KR101724610 B1 KR 101724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hatching
water
incubator
ultravio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0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준
임후순
박재민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 (수산자원연구소 토속어류산업화센터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 (수산자원연구소 토속어류산업화센터장) filed Critical 경상북도 (수산자원연구소 토속어류산업화센터장)
Priority to KR1020160120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7Hatching, e.g. incub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로 유입된 어란부화용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정화조, 상기 정화된 어란부화용수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조사장치, 상기 자외선조사장치에 의해 살균된 어란부화용수를 이용하여 어란을 부화시키기 위한 부화조 및 상기 부화조로부터 유입된 어란부화용수를 외부로 유출시키되, 상기 부화조로부터 유입된 자어 또는 치어를 보관하기 위한 회수기를 포함하는 회수조를 포함하되, 외력에 의한 가압 없이 상기 정화조로 유입된 어란부화용수가 상기 회수조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기 정화조, 상기 부화조 및 상기 회수조의 순으로 수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란부화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연환경적 계류형 어류 수정란 부화시스템{ENVIRONMENTLY SHALLOW WATER STREAM TYPE SYSTEM FOR HATCHING OUT FISH EGGS}
본 발명은 어란부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식하고자 하는 어류의 알을 자어 또는 치어로 성장시키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식하고자 하는 어류의 알을 성장시켜 자어(仔魚) 또는 치어(稚魚)를 생산하는 것이 양식업에 있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므로 양식업계에서 어란의 효과적인 부화를 위한 시스템 개발은 꾸준히 요구되어 왔다.
어란을 성장시키려면, 어란이 성장하기에 적합한 상태, 즉 어란이 자연상태와 유사한 조건에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여야 어란에 대한 양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 한국특허공개번호 제2001-0007745호에서 치어 인공부화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나, 성장수를 필터, 살균기를 통해 어란을 수용 및 부화시키는 부화기에 이르도록 모터를 이용하여 성장수를 가압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고, 또 한국특허등록번호 제0764483호에서 어란부화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나, 마찬가지로 순환 펌프를 이용하여 용수를 가압하여 부화조로 공급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어란부화시스템은 인위적으로 수압이 제어된 용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자연상태와 유사한 환경을 마련할 수 있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으며, 모터나 펌프 따위의 구동이나 용수에 대한 유속 제어 없이는 어란에 공급되는 용수의 여과 및 살균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가진 문제를 해소하고 자연 상태와 유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어란부화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로 유입된 어란부화용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정화조, 상기 정화된 어란부화용수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조사장치, 상기 자외선조사장치에 의해 살균된 어란부화용수를 이용하여 어란을 부화시키기 위한 부화조 및 상기 부화조로부터 유입된 어란부화용수를 외부로 유출시키되, 상기 부화조로부터 유입된 자어 또는 치어를 보관하기 위한 회수기를 포함하는 회수조를 포함하되, 외력에 의한 가압 없이 상기 정화조로 유입된 어란부화용수가 상기 회수조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기 정화조, 상기 부화조 및 상기 회수조의 순으로 수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란부화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정화조는, 격벽에 의해 제1 정화조 및 제2 정화조로 나뉘어지되, 상기 제1 정화조는, 상기 제1 정화조에 입설되되, 상기 정화조의 수위에 대응하는 높이에 부유물퇴출구를 적어도 일 측면에 구비한 정화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정화조는, 상기 제2 정화의 내측 하부를 가로막도록 설치된 제1 메쉬 및 상기 제1 메쉬 상에 깔린 여과사를 포함하여, 상기 격벽과 상기 정화조 저면 사이의 간극을 통해 상기 제1 메쉬 하부로 유입된 상기 제1 정화조의 어란부화용수를 정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정화조는, 외부에서 공급된 상기 어란부화용수가 용출되도록 입설된 정화조 유입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어란부화용수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정화조 유입관 내부에 입수된 산소 발생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자외선조사장치는, 측면 하단부에 상기 정화조로부터 상기 어란부화용수가 유입되는 자외선조사장치 유입관과, 측면 상단부에 자외선에 의해 살균된 어란부화용수가 유출되는 자외선조사장치 유출관을 포함한 자외선조사관 및 상기 자외선조사관에 삽입 설치되어, 자외선을 발광하는 자외선발생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부화조는, 어란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부화기는, 저면이 제2 메쉬인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2 메쉬는, 상기 어란의 이동은 차단하고 치어의 이동은 가능한 구멍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부화조는, 상기 어란부화용수가 유입되는 부화조 유입관 및 상기 부화조 유입관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된 어란부화용수를 다수의 유출공을 통해 상기 어란부화용수를 분지 유출하기 위한 부화조 공급분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란부화시스템은, 정화조, 자외선살균장치 및 부화조 등 사이에 모터나 펌프와 같은 가압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어란부화용수가 자연히 흐르도록 함으로써, 자연 상태와 유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란부화시스템에 포함된 정화조, 부화조 및 회수조는 어란부화용수의 유입구 및 유출구의 높이를 조절하여 어란부화용수가 외력에 의한 가압없이 자연히 흐르도록 함으로써 수생균의 발생을 억제하고 어란의 부화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란부화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의 또 다른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조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자외선조사장치의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화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부화조에 유입되는 어란부화용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화조의 부화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부화조의 유출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주조의 회수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란부화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란부화시스템(100)은 정화조(110), 자외선조사장치(120), 부화조(130) 및 회수조(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어란부화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정화조(110)는 강물, 지하수, 하천수 등과 같은 어란부화용수를 정화하기 위한 수조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110)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화조(110)는 수조를 가로막은 격벽(115)에 의해 제1 정화조(110a) 및 제2 정화조(110b)로 나뉠 수 있다.
제1 정화조(110a)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어란부화용수가 용출되는 정화조 유입관(111, 112)이 입설(立設)될 수 있다. 정화조 유입관(111, 112)은 대략 U자형 관으로서, 정화조(110)의 일 측면에 형성된 관통공을 지나도록 설치되되, 일 단(112)은 제1 정화조(110a) 내부에서 상방을 향하고, 타 단(111)은 정화조(110) 외부에서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정화조 유입관의 타 단(111)의 높이는 일 단(112)의 높이보다 높게 하여, 정화조 유입관에 유입되는 어란부화용수의 수압이 높지 않더라도 정화조 유입관 내부에 수용된 어란부화용수가 반대편을 통해 자연스럽게 용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정화조(110a)는 입설된 정화관(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화관(113)은 적어도 일 측면에 제1 정화조(110a)에 유지되는 수위에 대응한 높이 또는 그보다 조금 낮은 높이에,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유물 퇴출구(114)를 형성할 수 있다.
부유물 퇴출구(114)는 어란부화용수의 수면 위에 떠있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정화조 유입관(112)을 통해 용출된 어란부화용수의 부유 물질은 부유물 퇴출구(114)를 통해 정화관(113)의 관로 내부로 낙하하여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정화조 유입관(111, 112), 일 예로 제1 정화조(110a) 측의 정화조 유입관(112)에는 어란부화용수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산소 공급 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산소 공급 수단은 외부로부터 공급된 산소를 기포 따위로 방출하여 어란부화용수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 예로 산소가 방사되는 다수의 구멍이 외면에 형성된 일명 에어 스톤일 수 있으나, 산소를 어란부화용수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면 그 종류나 형태 등을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렇게 제1 정화조(110a)에서 산소가 공급되고 부유 물질이 제거된 어란부화용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벽(115)과 정화조(110) 저면 사이의 간극(G)을 통해 제2 정화조(110), 구체적으로는 제1 메쉬(116) 하부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외부에서 공급된 어란부화용수에 의해 제1 정화조(110a)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어란부화용수느 상대적으로 수위가 낮은 제2 정화조(110b)로 간극(G)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
제1 메쉬(116)는 제2 정화조(110b)의 내측 하부를 가로막도록 전면에 설치되어, 제1 메쉬(116) 하부로부터 차오르는 어란부화용수 내에 남아있는 오염 물질의 투과를 차단함으로써 어란부화용수를 여과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메쉬(116)에 의해 여과된 어란부화용수만 자외선조사장치(120) 및/또는 부화조(130)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정화조 유출구(118)는 제1 메쉬(116)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정화조(110b)는 제1 메쉬(116) 위에 깔린 여과사(117)를 더 포함하여, 제2 정화조(110b)에 공급되는 어란부화용수 내의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여과사(117)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자갈 및/또는 모래가 혼합된 것일 수 있고 여과사(117)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메쉬(116)의 구멍 크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제1 메쉬(116) 위에 깔린 여과사(117)가 통과하지 않을 정도 그리고 어란부화용수에 있는 오염 물질이 통과하지 않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1 및 제2 정화조(110a, 110b)를 통해 정화된 어란부화용수는 정화조 유출구(118)를 통해 정화조(110) 외부로 유출되며, 이는 정화조 유출관(119) 및 자외선조사장치 유입관(1221)을 통해 자외선조사장치(120)로 유입된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조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자외선조사장치의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자외선조사장치(120)는 정화조(110)를 통해 정화된 어란부화용수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기 위한 장치로서, 자외선발생수단(121) 및 자외선조사관(122)을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발생수단(121)은 자외선 광을 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장치(1211, 1212) 및 발광장치(1211, 1212)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발생수단(121),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발광장치(1211, 1212)는 자외선조사관(122) 내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자외선조사관(122) 내부에 유입된 어란부화용수에 자외선 광을 조사하여 물속에 함유된 곰팡이, 효모, 원생동물, 박테리아, 비브리오균, 유생포자와 같은 유기적인 조직을 광분해에 의해서 바꾸고 증가하는 세포의 핵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더 이상의 세포 광분해가 일어나지 않게 살균할 수 있다. 즉, 어떠한 화학약품도 사용하지 않으며 물리적, 생물학적, 화학적 변형없이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자외선조사관(122)은 상기 발광장치(1211, 1212)가 삽입 설치 가능한 관 형상이되, 입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자외선조사관(122)은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자세를 유지하도록 일 단부에 지지판을 구비할 수 있다.
자외선조사관(122)은, 일 측면 하단부에 어란부화용수가 유입되는 자외선조사장치 유입관(1221)과 일 측면 상단부에 어란부화용수가 유출되는 자외선조사장치 유출관(1222)을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조사장치 유입관(1221)은 입설된 자외선조사관(122)의 하단부에 형성되되, 정화조 유출관(119)의 높이보다 낮게 위치함으로써, 정화조(110), 구체적으로는 제2 정화조(110b)에 차오른 어란부화용수가 중력에 의해 자외선조사장치 유입관(1221)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조사장치 유출관(1222)은 상기 자외선조사장치 유입관(1221)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자외선조사장치 유입관(1221)을 통해 유입되어 자외선조사관(122) 내부에 차오른 어란부화용수가 높은 위치에서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자외선조사장치 유출관(1222)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수위가 형성된 부화조(130)로 어란부화용수를 외력에 의한 가압 없이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외선조사장치 유출관(1222)이 형성된 높이는 자외선조사장치 유입관(1221)의 높이는 물론, 부화조(130)의 높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되, 정화조(110)의 수위 또는 정화조 유출관(119)의 높이보다는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자외선조사장치 유출관(1222)에는 살균된 어란부화용수를 복수의 부화조(130)에 공급하기 위해 적어도 둘 이상의 부화조 유입분지관(124, 125)과 상기 자외선조사장치 유출관(1222)을 결합할 수 있는 부화조 유입분배기(123)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부화조 유입분지관(124, 125) 상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란부화용수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밸브(V1, V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화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화조(130)는 어란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화기(132~135)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부화조(130)는 상기 자외선조사장치(120)를 통해 살균된 어란부화용수를 이용하여 부화기(132~135)에 수용된 어란을 부화시킬 수 있다.
어란부화용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화조 유입분지관(125)(본 명세서에서는 부화조 유입관이라는 용어와 혼용하기로 한다)을 통해 부화조(130)에 유입되되, 부화조 유입관(125)의 말단에는 적어도 일 측면에 다수의 유출공(孔)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부화조 공급분지관(131a, 13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화조 유입분지관(125)의 말단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부화조 공급분지관(131a, 131b)과 상기 부화조 유입분지관(125)을 결합할 수 있는 부화조 공급분배기(126)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부화조 공급분배기(126)에 결합된 부화조 공급분지관(131a, 131b)의 전체 길이는 대략 부화조(130)의 폭 길이에 대응하도록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게 형성된 부화조 공급분지관(131a, 131b)은 일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유출공을 통해 어란부화용수가 부화기(132)의 특정 영역에 어란부화용수가 집중 공급되지 않고, 부화기(132)의 넓은 영역에 고르게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화조(130) 내부에는 4개의 부화기(132~135)가 안착될 수 있으나 그 개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부화기(132~135)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어란이 유동할 수 있는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소정 형상의 틀(1321)을 포함할 수 있고, 부화기 틀(1321)로 형성되는 영역의 저면에는 제2 메쉬(1322)를 포함할 수 있다.
부화기 틀(1321)은 물에 쉽게 부식되지 않은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되, 상기 부화기 틀(1321)은 소정 두께를 가져 부화기(132~135)에 안착된 어란이 부화기(132~135)를 벗어나지 않고 부화기 틀(1321) 및 제2 메쉬(1322)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 내에서 자유로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메쉬(1322)는 구멍의 크기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제2 메쉬(1322) 위에 안착된 어란이 통과되지 않도록 하되, 어란이 부화하여 성장한 자어 또는 치어는 제2 메쉬(1322)를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2 메쉬(1322)에 안착된 어란이 부화하여 소정의 성장기를 거친 자어 또는 치어는 제2 메쉬(1322)를 통과하고 유수 등에 따라 부화조 유출구(136)를 거쳐 회수조(140)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부화기(132~135)는 부화기 틀(1321)을 하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부화기 다리(13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쉬(1322)가 부화기 다리(1323)에 의해 공중에 떠받쳐질 수 있도록 부화기 다리(1323)의 길이는 틀(1321)의 두께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되, 부화기(132~135) 전체의 높이가 부화조(130)의 수위에 대응되도록 부화기 다리(1323)의 길이를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만약, 부화기(132~135)의 높이가 부화조(130)의 수위보다 낮으면 어란이 부화기 밖으로 이탈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부화기(132~135)의 높이가 부화조(130)의 수위보다 높으면 제2 메쉬(1322) 상의 어란이 유동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기 때문에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화조(130)의 일 측면, 구체적으로는 어란부화용수가 유입되는 측면과 반대 측면에는 유수 등에 따라 자어 또는 치어를 회수조(140)로 유도시키기 위해 하단부에 부화조 유출구(136)를 포함할 수 있다(도 11 참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수조(140)는 부화조(130)로부터 유입된 자어 또는 치어를 보관하기 위한 회수기(142)를 포함할 수 있다.
부화조(130)에 수용된 어란부화용수는 물론, 부화된 자어 또는 치어가 부화조 유출관(137) 및 회수조 유입관(141)을 거쳐 회수기(142)에 유입된다.
회수기(142)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일 측면을 형성하고 있는 제3 메쉬(1422)과, 제3 메쉬(1422)을 이용하여 대략 용기의 형태를 유지 및 고정하기 위한 고정 틀(14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수기(142)에 유입된 어란부화용수는 제3 메쉬(1422)를 통해 회수조(140) 전반으로 유출되어 회수조(140)의 수위를 결정하고, 회수기(142)에 유입된 자어 또는 치어는 제3 메쉬(1422)를 통과하지 못하고 회수기(142) 내에 머무르게 된다. 따라서, 제3 메쉬(1422)의 구멍 크기는 자어 또는 치어가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회수기(142)를 통해 자어 또는 치어를 보관할 수 있다.
여기서 회수조(140)에 구비된 회수조 유입관(141)의 말단은 절곡부를 가져 대략 'ㄱ'자 배관 형상을 갖되, 소정의 각도로 위를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부화조(130) 저면에 가라앉은 이물질은 부화조(130)의 하단부에 구비된 부화조 유출관(137)을 통해 회수기(142)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이물질이 회수기(142)로 유입되지 않고 회수조 유입관(141)의 말단 절곡부에 머무르도록 하기 위해, 회수조 유입관(141)의 말단은 소정의 각도로 위를 향한 'ㄱ'자 배관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곡부에 퇴적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절곡부를 포함한 회수조 유입관(141)의 일부 배관을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회수조(140)에는 내부에 입설된 수위조절관(1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위조절관(143)의 일 단은 회수조(140) 내부에 위치하나, 타 단은 회수조(140)에 수용된 어란부화용수를 외부로 퇴수시키기 위해 임의의 배수시설(미도시)에 연결되거나, 어란부화용수를 순환시키기 위해 순환시스템(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회수조(140) 내부에 입설된 수위조절관(143)의 높이는 회수기(142)의 높이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회수기(142)에 보관된 자어나 치어는 회수기(142) 밖으로 이탈되지 않고 회수기(142)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수조(140)의 일 측면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여, 육안으로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란부화시스템(100)은, 정화조(110), 부화조(120) 및 회수조(130)의 순서로 수위가 높도록 설계되어(구체적으로 정화조(110)의 수위, 입설된 자외선조사장치(120)의 유출관(1222)의 높이, 부화조(120)의 수위 및 회수조(130)의 수위 순서), 외력에 의한 가압 없이 어란부화용수가 정화조(110)로부터 회수조(130)를 거친 외부까지 자연히 흐르도록 함으로써 수생균의 발생을 억제하고 어란의 부화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란부화시스템(100)은 여울이 있는 자연적인 환경을 조성하기 때문에, 주로 여울이 있는 하천에서 산란을 하는 쏘가리 양식을 위해 적용될 수 있으나, 반듯이 이에 한하지 않는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어란부화시스템 110: 정화조
110a: 제1 정화조 110b: 제2 정화조
111, 112: 정화조 유입관 113: 정화관
114: 부유물 퇴출구 115: 격벽
116: 제1 메쉬 117: 여과사
118: 정화조 유출구 119: 정화조 유출관
120: 자외선조사장치 121: 자외선발생수단
1211, 1212: 발광장치 122: 자외선조사관
1221: 자외선조사장치 유입관 1222: 자외선조사장치 유출관
123: 부화조 유입분배기 124, 125: 부화조 유입분지관
126: 부화조 공급분배기 130: 부화조
131a, 131b: 부화조 공급분지관 132~135: 부화기
1321: 부화기 틀 1322: 제2 메쉬
1323: 부화기 다리 136: 부화조 유출구
137: 부화조 유출관 140: 회수조
141: 회수조 유입관 142: 회수기
1421: 고정 틀 1422: 제3 메쉬
143: 수위조절관

Claims (6)

  1. 내부로 유입된 어란부화용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정화조;
    상기 정화된 어란부화용수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조사장치;
    상기 자외선조사장치에 의해 살균된 어란부화용수를 이용하여 어란을 부화시키기 위한 부화조; 및
    상기 부화조로부터 유입된 어란부화용수를 외부로 유출시키되, 상기 부화조로부터 유입된 자어 또는 치어를 보관하기 위한 회수기를 포함하는 회수조;
    를 포함하되,
    외력에 의한 가압 없이 상기 정화조로 유입된 어란부화용수가 상기 회수조 외부로 유출되도록, 상기 정화조, 상기 부화조 및 상기 회수조의 순으로 수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부화조는, 어란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화기;
    를 포함하고,
    상기 부화기는, 저면이 제2 메쉬이며, 내부에 어란이 유동할 수 있는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틀을 포함하며, 상기 부화기 틀의 하측면에는 상기 부화기의 전체높이가 부화조의 수위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부화기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2 메쉬는, 상기 어란의 이동은 차단하고 치어의 이동은 가능한 구멍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란부화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는, 격벽에 의해 제1 정화조 및 제2 정화조로 나뉘어지되,
    상기 제1 정화조는,
    정화조 유입관이 입설되되, 상기 정화조의 수위에 대응하는 높이에 부유물퇴출구를 적어도 일 측면에 구비한 정화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정화조는,
    상기 제2 정화조의 내측 하부를 가로막도록 설치된 제1 메쉬 및 상기 제1 메쉬 상에 깔린 여과사를 포함하여, 상기 격벽과 상기 정화조 저면 사이의 간극을 통해 상기 제1 메쉬 하부로 유입된 상기 제1 정화조의 어란부화용수를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란부화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화조는,
    외부에서 공급된 상기 어란부화용수가 용출되도록 입설된 정화조 유입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어란부화용수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정화조 유입관 내부에 입수된 산소 발생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란부화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조사장치는,
    측면 하단부에 상기 정화조로부터 상기 어란부화용수가 유입되는 자외선조사장치 유입관과, 측면 상단부에 자외선에 의해 살균된 어란부화용수가 유출되는 자외선조사장치 유출관을 포함한 자외선조사관; 및
    상기 자외선조사관에 삽입 설치되어, 자외선을 발광하는 자외선발생수단;
    을 포함하는 어란부화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조는,
    상기 어란부화용수가 유입되는 부화조 유입관; 및
    상기 부화조 유입관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된 어란부화용수를 다수의 유출공을 통해 상기 어란부화용수를 분지 유출하기 위한 부화조 공급분지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란부화시스템.
KR1020160120291A 2016-09-20 2016-09-20 자연환경적 계류형 어류 수정란 부화시스템 KR101724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291A KR101724610B1 (ko) 2016-09-20 2016-09-20 자연환경적 계류형 어류 수정란 부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0291A KR101724610B1 (ko) 2016-09-20 2016-09-20 자연환경적 계류형 어류 수정란 부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4610B1 true KR101724610B1 (ko) 2017-04-26

Family

ID=58704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0291A KR101724610B1 (ko) 2016-09-20 2016-09-20 자연환경적 계류형 어류 수정란 부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6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4269A (ko) * 2021-07-21 2023-01-30 한국수산자원공단 어란 부화방류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8535A (ja) * 1999-04-09 2000-10-17 Yamaha Motor Co Ltd 水循環設備における殺菌槽の設置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8535A (ja) * 1999-04-09 2000-10-17 Yamaha Motor Co Ltd 水循環設備における殺菌槽の設置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4269A (ko) * 2021-07-21 2023-01-30 한국수산자원공단 어란 부화방류시스템
KR102650907B1 (ko) 2021-07-21 2024-03-26 한국수산자원공단 어란 부화방류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72980B (zh) 利用复合养殖的城市型生物絮团养殖与植物栽培系统
KR101295313B1 (ko) 생태복원을 위한 수생식물을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US20060180532A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206491B1 (ko) 에어 리프트 장치를 이용한 양식 시스템 및 새우 양식 방법
ES2278959T3 (es) Medio en criaderos para el tratamiento del agua que forma un entorno de crecimiento para organismos marinos.
KR100874806B1 (ko) 곤충사육장치
CN103112996A (zh) 一种养殖水循环净化方法及装置
KR102275891B1 (ko) 물고기 양식 설비 및 방법
JP5544512B2 (ja) 魚介類の循環式養殖装置及び養殖方法
CN100402122C (zh) 海水强力紫外线消毒过滤器
KR101934267B1 (ko) 바이오플락시스템 유기고형물 제거장치
KR101058492B1 (ko) 활어수족관의 살균정수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활어수족관
CN106305569A (zh) 自洁净内循环控温型养殖系统
KR101724610B1 (ko) 자연환경적 계류형 어류 수정란 부화시스템
CN206570083U (zh) 漂浮式微生物水体净化系统
KR20010007745A (ko) 치어 인공부화시스템
KR101085597B1 (ko) 다중 여과조를 구비하는 수족관
ZA200502733B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KR20120108585A (ko) 해수 정수장치
NO330681B1 (no) Oppdrettssystem for akvatiske organismer
RU153441U1 (ru) Комплекс для воспроизводства рыбы
KR102073706B1 (ko) 화분 일체형 수족관
KR100739045B1 (ko) 자외선과 미세 기포를 이용한 유수 살균장치
KR100764483B1 (ko) 여과식 멸균장치를 이용한 어란부화시스템
KR200445575Y1 (ko) 활어수족관용 살균정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