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085B1 -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085B1
KR102133085B1 KR1020180073721A KR20180073721A KR102133085B1 KR 102133085 B1 KR102133085 B1 KR 102133085B1 KR 1020180073721 A KR1020180073721 A KR 1020180073721A KR 20180073721 A KR20180073721 A KR 20180073721A KR 102133085 B1 KR102133085 B1 KR 102133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breeding
housing
temperature
constan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140A (ko
Inventor
이상훈
김인덕
윤인숙
한국인
이경용
윤형주
이용석
정종민
Original Assignee
그린테코 주식회사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테코 주식회사,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그린테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3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0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1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곤충의 성장과정에 따른 각 단계별로 온도, 습도 조도 및 사육시간 등을 정밀하게 자동 제어하고 사육환경의 최적화와 유충 크기별 분리 사육이 가능하게 하여 대량 생산과 단가를 절감시킨 자동형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은 산란부, 유충사육부 및 우화부에 각각 항온항습 장치를 구비하여 온도와 습도가 조절된 공기를 사육장치에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은 산란부의 가동시간을 측정하고 알려주는 타이머와 경보부를 구비하여 2~4일 간격으로 산란된 알을 인출 및 유충 사육부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유충 크기 별 사육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은 최적의 항온 항습 조건을 산란부, 유충사육부 및 우화부에 각각 제공하고, 유충 크기 별 사육이 가능하므로 곤충 라이프 사이클을 단축시켜 대량 생산과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Automatic and continuous inset mass production system for cost reduction}
본 발명은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곤충의 성장과정에 따른 각 단계별로 온도, 습도 조도 및 사육시간 등을 정밀하게 자동 제어하고 사육환경의 최적화와 유충 크기별 분리 사육이 가능하게 하여 대량 생산과 단가를 절감시킨 자동형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곤충(insect)이란 동물 중에서 가장 종류가 많은 곤충강(Insecta)에 속하는 무당벌레, 풀잠자리, 꽃등에, 딱정벌레 등과 같은 절지동물(Arthropoda)을 포함한다.
곤충은 서식환경의 범위를 넓히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며 부적합한 환경을 극복하기 위하여 일생동안 태를 바꾸는데, 일반적으로 알(eggs), 유충(larvae), 번데기(pupae), 그리고 성충(adults)의 4단계를 거친다.
곤충의 알에서 부화한 유충은 성충과 모양이 비슷한 것도 있지만 대개는 형태가 다르며 여러 차례 탈피를 한 후 번데기나 성충으로 변하는데 이와 같이 모양(형태)을 바꾸는 현상을 변태(metamorphosis)라 한다. 일생동안 모양 바꾸기를 몇 번이나 하고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에 따라, 변태에는 완전변태 및 불완전변태로 구분이 되는데, 그 중에서도 많은 곤충은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번데기 시기를 거쳐서 성충이 되며 이를 완전변태(complete metamorphosis)라 한다.
곤충의 일생을 살펴 볼 때 태를 바꾸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 즉, 알에서 유충이 되는 과정을 부화(hatching)라 하고, 유충에서 번데기가 되는 것을 용화(pupation)라 하며, 번데기에서 성충이 되는 것은 우화(emergence)라고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암수가 되어 교미를 하게 되고 암컷은 알을 낳게 되는데 이를 산란(oviposition)이라 한다.
최근, 곤충 생태에 대한 연구에서 다양한 곤충의 자원화 활용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이를 통해 갈색거저리 등과 같은 곤충이 새로운 농가소득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곤충의 자원화 이용은 프랑스, 독일, 러시아, 일본 등지에서 잇달아 시작되었으며, 국내에서는 10여 년 전부터 애완동물, 양식어류 등의 사료로 활용되면서 곤충 사육이 증가되었으며, 최근에는 상업화를 목적으로 갈색거저리를 대량 증식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여기에서,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는 곤충분류학상 딱정벌레목 거저리과(Tenebrionidae)에 속하며, 그 유충은 동물 중에서 단백질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으면서 성장이 빠르며, 번식률이 아주 높고, 유충의 허물은 키틴(chitin) 생산에 필요한 우수한 원료로 이용될 수 있으며, 칼슘의 함량이 새우나 게 껍질보다 낮아서 가공하기 쉽기 때문에, 기능식품, 의약용품, 보건용품, 환경재료, 사료 등과 같이 광범위한 응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곤충을 대량사육하기 위해 등록번호 10-1663202호에는 수용 부재, 습도조절 유닛과 가열부재를 구비한 곤충 대량 사육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등록특허는 가열부재가 곤충이 사육되는 수용부재 하부 바닥에 열을 가하여 온도를 조절하고 있으므로 수용부재 상층부와 바닥부의 온도가 균일하지 못하고, 특히 외기온도가 높거나 낮은 경우에 사육공간 전체에 항온 항습을 유지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의 장치는 곤충 사육 전체 단계(부화, 용화, 우화 및 산란)에 적용하기 어려워 곤충 사육기간을 단축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곤충 사육 전체 단계(부화, 용화, 우화 및 산란)별로 항온 항습이 유지되는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외기 온도 변화에도 사육장치 내의 온도와 습도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는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유충 크기 별로 사육 가능한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11), 상기 하우징의 공간을 두 개로 분리하는 격벽(12),상기 격벽으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는 하우징 공간의 내측에 위치하며, 성충이 산란한 알과 곤충분을 하부로 투과하는 제 1 분리망(13), 상기 제 1 분리망 하면에 접촉되어 설치되고, 내부에 산란유도 배지가 들어있으며 산란된 알을 보관하는 제 1 수거망(14), 상기 격벽(12)과 하우징의 측벽으로 형성되는 항온항습 챔버(15) 및 상기 챔버에서 항온항습 제어된 공기가 챔버 반대편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격벽의 상하부에 형성된 관통부(16)를 구비하는 산란부(10) ;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21), 상기 하우징의 공간을 두 개로 분리하는 격벽(22),상기 격벽으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는 하우징 공간의 내측에 위치하며, 유충이 사육되는 제 2 분리망(23) 및 상기 격벽(22)과 하우징의 측벽으로 형성되는 항온항습 챔버(25), 상기 챔버에서 항온항습 제어된 공기가 챔버 반대편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격벽의 상하부에 형성된 관통부(26)를 구비하는 유충 사육부(20) ;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31), 상기 하우징의 공간을 두 개로 분리하는 격벽(32),상기 격벽으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는 하우징 공간의 내측에 위치하며, 번데기가 놓여지는 제 3 분리망(33) 및 상기 격벽(32)과 하우징의 측벽으로 형성되는 항온항습 챔버(35), 상기 챔버에서 항온항습 제어된 공기가 챔버 반대편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격벽의 상하부에 형성된 관통부(36)을 구비하는 우화부(30) ; 및
상기 항온항습 챔버(15, 25, 35) 내부에 각각 위치하여 설정온도와 습도를 제공하는 복수의 항온 항습 장치(50) ; 및
상기 산란부, 사육부 및 우화부에 위치하는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온도와 습도와 비교하여 상기 항온 항습 장치(50)를 컨트롤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은 산란부, 유충사육부 및 우화부에 각각 항온항습 장치를 구비하여 온도와 습도가 조절된 공기를 사육장치에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은 산란부의 가동시간을 측정하고 알려주는 타이머와 경보부를 구비하여 2~4일 간격으로 산란된 알을 인출 및 유충 사육부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유충 크기 별 사육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은 최적의 항온 항습 조건을 산란부, 유충사육부 및 우화부에 각각 제공하고, 유충 크기 별 사육이 가능하므로 곤충 라이프 사이클을 단축시켜 대량 생산과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의 일 구현예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서 항온 항습 챔버가 구동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을 도면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실시 태양에 대한 설명 또는 도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의 일 구현예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서 항온 항습 챔버가 구동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은 산란부(10), 유충 사육부(20), 우화부(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산란부에서는 성충이 30~40일 정도 사육되면서 알을 낳는 사육 공간이다. 상기 유충 사육실은 2~4일 범위 내에 산란된 알이 수거 및 부화되는 부화실과 부화된 유충을 사육하는 사육실을 포함한다. 상기 우화실에는 번데기가 성충으로 완전 변태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산란부(10)에서 유충 사육부(20)로 알이 이동되고, 유충 사육부에서 우화부로 번데기(전체 생성된 번데기 중 산란을 위한 일부 번데기만 이동함)가 이동되고, 상기 우화부에서 산란부로 성충이 이동된다.
상기 산란부(10)는 하우징(11), 격벽(12), 제 1 분리망(13), 제 1 수거망(14), 항온항습 챔버(15) 및 관통부(16)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다.
상기 격벽(12)은 상기 하우징을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차단벽이다. 상기 격벽(12)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하우징 공간은 성충이 사육되는 공간이고, 그 반대편 하우징 공간은 항온 항습 챔버(15)가 위치한다.
상기 제 1 분리망(13)은 상기 격벽으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는 하우징 공간의 내측에 위치하며, 성충이 산란한 알과 곤충분을 하부로 투과한다.
상기 제 1 수거망(14)은 상기 제 1 분리망 하면에 접촉되어 설치되고, 내부에 산란유도 배지가 들어있으며 산란된 알을 받아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수거망(14)은 밑에 산란유도배지(밀기울)가 깔려 있으며, 알이 산란된 배지 수거상자를 의미한다.
상기 항온항습 챔버(15)는 상기 격벽과 하우징의 측벽으로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챔버 내부에는 항온항습장치(50)가 설치된다.
상기 관통부(16)는 상기 챔버(15)에서 항온항습 제어된 공기가 챔버 반대편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격벽의 상하부에 형성된 홀이나 구멍이다.
상기 항온항습장치(50)는 물을 저장하는 가습조(51), 가습조에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증발시키는 가습히터(52), 내부에 냉매가 팽창됨에 따라 외부 표면에 접촉되는 공기 및 수증기의 온도를 낮추는 증발기(53), 전기코일로 공기 및 수증기의 온도를 높일 수 있는 히터(54), 챔버에서 온도와 습도가 콘트롤된 공기 및 수증기를 상기 관통부를 통해 곤충 사육공간으로 강제 이송하는 팬(55), 상기 가습조에 물을 공급하는 수조(56), 상기 수조로부터 물을 가습조에 이송하는 배관(57) 및 자동밸브(58)를 포함한다.
상기 가습조는 수조(56)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일정 수위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40)는 가습조에 설치된 수위 센서의 수위 데이터를 수신 받으며, 자동밸브(58)를 콘트롤하여 가습조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가습조, 증발기, 히터 등은 공지된 장치들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충 사육부(2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21), 상기 하우징의 공간을 두 개로 분리하는 격벽(22),상기 격벽으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는 하우징 공간의 내측에 위치하며, 유충이 사육되는 제 2 분리망(23) 및 상기 격벽(22)과 하우징의 측벽으로 형성되는 항온항습 챔버(25), 상기 챔버에서 항온항습 제어된 공기가 챔버 반대편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격벽의 상하부에 형성된 관통부(26)를 구비한다.
상기 유충사육부(20)는 상기 제 2 분리망 하부에서 곤충분을 수거하는 제 2 수거망(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 격벽(22), 항온항습 챔버(25) 및 관통부(26)는 상기 산란부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충 사육부(2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충 사육부는 도 1에 도시된 유충 사육부가 1~50개가 연속하여, 또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산란부(10), 유충 사육부(20), 우화부(30)가 본체(60)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유충 사육부가 상기 본체 내부에 하나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다.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은 상기 산란부(10), 복수의(예를 들면, 1 내지 50여 개) 유충 사육부(20), 우화부(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이들을 외부(외부시설이나 장치 등)와 구분 및 보호할 수 있는 형태의 본체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본체에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제시된 정형화된 직육면체 구조 이외에도 내부에 산란부, 유충사육부 및 우화부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어떤 형태의 구조물도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유충 사육부는 부화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화실은 적정온도가 35℃, 습도 70%의 온도 습도 조건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우화부(3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31), 상기 하우징의 공간을 두 개로 분리하는 격벽(32),상기 격벽으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는 하우징 공간의 내측에 위치하며, 번데기가 놓여지는 제 3 분리망(33) 및 상기 격벽(32)과 하우징의 측벽으로 형성되는 항온항습 챔버(35), 상기 챔버에서 항온항습 제어된 공기가 챔버 반대편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격벽의 상하부에 형성된 관통부(36)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31), 격벽(32), 항온항습 챔버(35) 및 관통부(26)는 상기 산란부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산란부, 사육부 및 우화부에 위치하는 온도센서(T)와 습도센서(H)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온도와 습도와 비교하여 상기 항온 항습 장치(60)를 컨트롤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40)는 저장부(41), 항온항습 모듈(42), 조도 모듈(43), 사육모듈(44), 디스플레이부(45) 및 통신부(46)와 이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4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에는 산란부, 사육부 및 우화부의 적정 온도, 습도 및 사육시간이 저장된다.
상기 산란부의 적정온도 범위는 25~30℃이고, 기준 온도는 27℃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산란부의 적정습도는 60%로 설정될 수 있다. 산란부에서 알을 수거하는 기준 시간은 3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유충 사육실의 적정온도 범위는 26~29℃이고, 하한기준값은 26℃, 상한 기준값은 29℃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유충 사육실의 적정습도 는 60%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우화실의 적정온도 범위는 25~28℃이고, 하한기준값은 25℃, 상한 기준값은 28℃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유충 사육실의 적정습도 는 60%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우화실의 사육 시간은 1~2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모듈화된 항온항습 모듈(42)을 처리하여 상기 항온 항습 장치(60)를 컨트롤할 수 있다.
상기 항온항습 모듈은, 먼저, 프로세서가 상기 산란부, 사육부 및 우화부에 각각 위치하는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온도범위와 습도범위와 비교하는 단계, 측정된 온도 또는 습도데이터가 설정 범위보다 높은 경우 가습히터(62), 증발기(63) 또는 히터(64)의 가동을 정지하는 단계, 측정된 온도 또는 습도데이터가 설정 범위보다 낮은 경우 가습히터(62), 증발기(63) 또는 히터(64)를 가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모듈화된 조도 모듈(43)을 처리하여 LED(17)를 컨트롤할 수 있다.
상기 조도 모듈은, 먼저, 프로세서가 상기 산란부, 사육부 및 우화부에 각각 위치하는 조도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조도범위와 비교하는 단계, 측정된 조도 데이터가 설정 범위보다 높은 경우 LED 가동을 정지하는 단계, 측정된 조도 데이터가 설정 범위보다 낮은 경우 LED를 가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육모듈은 산란부, 사육부 및 우화부의 사육 기간을 설정하고 사육 기간의 경과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예를 들면, 상기 사육모듈은 타이머와 경보부를 구비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즉, 상기 시스템은 상기 산란부의 가동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를 구비하고, 2~4일 간격으로 설정된 상기 타이머의 설정 시간이 종료되면 알림부저(경보부)를 작동하여 관리자에게 사육이 종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또는, 상기 시스템은 내부에 타이머가 구비된 제어부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모듈화된) 사육모듈을 처리하여 경보를 울리게 하거나 관리자 단말로 문자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5)는 상기 본체(50)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현재 온도, 습도, 사육시간을 표시할 수 있고, 비이상적으로 온도나 습도가 높거나 낮을 경우 이를 알려주는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은 상기 본체 외면에 형성된 입력모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모듈은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사육조건(온도, 습도, 시간 등)을 설정 변경 할 수 있다.
입력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과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은 관리자 단말과 유무선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11), 상기 하우징의 공간을 두 개로 분리하는 격벽(12),상기 격벽으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는 하우징 공간의 내측에 위치하며, 성충이 산란한 알과 곤충분을 하부로 투과하는 제 1 분리망(13), 상기 제 1 분리망 하면에 접촉되어 설치되고, 내부에 산란유도 배지가 들어있으며 산란된 알을 보관하는 제 1 수거망(14), 상기 격벽(12)과 하우징의 측벽으로 형성되는 항온항습 챔버(15) 및 상기 챔버에서 항온항습 제어된 공기가 챔버 반대편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격벽의 상하부에 형성된 관통부(16)를 구비하는 산란부(10) ;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21), 상기 하우징의 공간을 두 개로 분리하는 격벽(22),상기 격벽으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는 하우징 공간의 내측에 위치하며, 유충이 사육되는 제 2 분리망(23) 및 상기 격벽(22)과 하우징의 측벽으로 형성되는 항온항습 챔버(25), 상기 챔버에서 항온항습 제어된 공기가 챔버 반대편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격벽의 상하부에 형성된 관통부(26)를 구비하는 유충 사육부(20) ;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31), 상기 하우징의 공간을 두 개로 분리하는 격벽(32),상기 격벽으로 인해 외부로 노출되는 하우징 공간의 내측에 위치하며, 번데기가 놓여지는 제 3 분리망(33) 및 상기 격벽(32)과 하우징의 측벽으로 형성되는 항온항습 챔버(35), 상기 챔버에서 항온항습 제어된 공기가 챔버 반대편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격벽의 상하부에 형성된 관통부(36)을 구비하는 우화부(30) ;
    상기 항온항습 챔버(15, 25, 35) 내부에 각각 위치하여 설정온도와 습도를 제공하는 복수의 항온 항습 장치(50) ; 및
    상기 산란부, 사육부 및 우화부에 위치하는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온도와 습도와 비교하여 상기 항온 항습 장치(50)를 컨트롤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고,
    상기 항온 항습 장치(50)는 물을 저장하는 가습조(51), 가습조에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증발시키는 가습히터(52), 내부에 냉매가 팽창됨에 따라 외부 표면에 접촉되는 공기 및 수증기의 온도를 낮추는 증발기(53), 전기코일로 공기 및 수증기의 온도를 높일 수 있는 히터(54), 챔버에서 온도와 습도가 콘트롤된 공기 및 수증기를 상기 관통부를 통해 곤충 사육공간으로 강제 이송하는 팬(55)을 포함하는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산란부의 가동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를 구비하고, 2~4일 간격으로 설정된 상기 타이머의 설정 시간이 종료되면 알림부저를 작동하는 경보부를 포함하는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란부, 사육부 및 우화부에 각각 위치하는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온도와 습도와 비교하여 히터, 증발기를 온오프하는 항온 항습 모듈 ; 및
    상기 산란부, 사육부 및 우화부에 각각 위치하는 조도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조도와 비교하여 LED 등을 온오프하는 조도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
KR1020180073721A 2018-06-27 2018-06-27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 KR102133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721A KR102133085B1 (ko) 2018-06-27 2018-06-27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721A KR102133085B1 (ko) 2018-06-27 2018-06-27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140A KR20200001140A (ko) 2020-01-06
KR102133085B1 true KR102133085B1 (ko) 2020-07-13

Family

ID=69159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721A KR102133085B1 (ko) 2018-06-27 2018-06-27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0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615B1 (ko) * 2021-06-30 2024-01-03 홍소현 곤충사육장의 온도 및 습도 공급을 위한 가열 가습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683B1 (ko) 2009-06-03 2009-11-23 박성남 브라인쉬림프의 수집장치 및 그 방법
KR101665359B1 (ko) * 2012-04-27 2016-10-24 에스펙 가부시키가이샤 환경 시험 장치
KR101828287B1 (ko) * 2017-08-04 2018-02-12 김원준 파리목 곤충과 분변토 생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201B1 (ko) * 2016-03-02 2018-04-27 농업회사법인 (주)한국유용곤충연구소 동애등에 대량생산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683B1 (ko) 2009-06-03 2009-11-23 박성남 브라인쉬림프의 수집장치 및 그 방법
KR101665359B1 (ko) * 2012-04-27 2016-10-24 에스펙 가부시키가이샤 환경 시험 장치
KR101828287B1 (ko) * 2017-08-04 2018-02-12 김원준 파리목 곤충과 분변토 생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140A (ko) 202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5348E (en) Artificial system and method for breeding hematophagous insects
Navarro-Campos et al. Impact of factitious foods and prey on the oviposition of the predatory mites Gaeolaelaps aculeifer and Stratiolaelaps scimitus (Acari: Laelapidae)
KR101220410B1 (ko) 나방류 천적의 대량 증식 장치 및 방법
KR101828287B1 (ko) 파리목 곤충과 분변토 생산 시스템
Kortsmit et al. Behaviour of two fly species reared for livestock feed: optimising production and insect welfare
Batool et al. Effect of prey density on biology and functional response of Chrysoperla carnea (Stephens)(Neuroptera: Chrysopidae)
Xie et al. Development, survival and reproduction of Stratiolaelaps scimitus (Acari: Laelapidae) on four diets
KR102133085B1 (ko) 단가절감을 위한 자동화 연속형 곤충 대량 생산 시스템
Zhang et al.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adults and progeny of the predaceous mite Lasioseius japonicus (Acari: Blattisociidae) fed on the cereal mite Tyrophagus putrescentiae (Acari: Acaridae)
Takalloozadeh Effect of different prey species on the biological parameters of Chrysoperla carnea (Neuroptera: Chrysopidae) in laboratory conditions
CN112075390A (zh) 一种草地贪夜蛾寄生蜂扩繁方法
Wang et al. Cannibalism of parasitoid‐attacked conspecifics in a non‐carnivorous caterpillar
KR101771799B1 (ko) 다수 여왕벌을 이용한 대군 육성용 벌통
EP1414292B1 (en) Bee hive and method for parasite control of bees and bee hives
CN109644947A (zh) 一种叉角厉蝽的养殖方法
Tan et al. Light dependency of life trails, reproduction, locomotion, and predation in the polyphagous ladybird H ippodamia variegata
KR20120066738A (ko) 꿀벌부채명나방의 알을 이용한 포식성 천적의 사육방법
Veríssimo et al. Biology and olfactory response of Salpingogaster nigra Schiner (Diptera: Syrphidae)
Fadini et al. Response of the predatory mite Phytoseiulus macropilis (Banks) to volatiles produced by strawberry plants in response to attack by Tetranychid mites (Acari: Phytoseiidae: Tetranychidae)
CN110583587A (zh) 一种黏虫复壮方法
RU2641622C1 (ru) Способ увеличения количества кладок мухи чёрная львинка
Zhan et al. The mating strategy and reproductive performance of Agriphila aeneociliella (Lepidoptera: Crambidae), a new insect pest of wheat in China
CN107494459B (zh) 一种野蚕幼虫的饲养方法
Scherrer et al. A new device to autonomously feed individualized mantids on extended periods of time
CN207167474U (zh) 一种寄生蜂寄生率测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