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004B1 - 어류 포획 장치 - Google Patents

어류 포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004B1
KR101839004B1 KR1020160158934A KR20160158934A KR101839004B1 KR 101839004 B1 KR101839004 B1 KR 101839004B1 KR 1020160158934 A KR1020160158934 A KR 1020160158934A KR 20160158934 A KR20160158934 A KR 20160158934A KR 101839004 B1 KR101839004 B1 KR 101839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ching
fish
base frame
magne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호
변진수
송행섭
오현석
임희정
조경래
이영임
Original Assignee
(주)코리아에코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아에코웍스 filed Critical (주)코리아에코웍스
Priority to PCT/KR2016/01375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97366A1/ko
Priority to KR1020160158934A priority patent/KR101839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류 포획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종류의 어류를 내부로 유인하여 자동으로 포획할 수 있는 어류 포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류 포획 장치는 수면 위로 부상(浮上)하는 부력체; 수중에 잠긴 경우 어류가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개구부를 가지는 용기 형태의 포획조를 포함하는 포획 유닛; 중공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부력체에 결합되고, 수중에 잠기는 하부에는 상기 포획조가 안치되는 제1안치부가 형성되며, 수면 위로 노출되는 상부에는 상기 포획조가 안치되는 제2안치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1안치부 및 제2안치부와 연통되어 상기 포획조가 이동하는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제2안치부에 설치되어 상기 포획조를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이송 유닛; 상기 부력체 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기를 발생시켜 공급하는 발전 시스템; 및 상기 포획 유닛, 베이스 프레임, 이송 유닛 및 발전 시스템과 신호를 주고 받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안치부가 위치한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포획조에는 어류 감지 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어류 감지 수단에 의해 어류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이송유닛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어류 포획 장치{APPARATUS FOR CAPTURING FISHES}
본 발명은 어류 포획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종류의 어류를 내부로 유인하여 자동으로 포획할 수 있는 어류 포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류 포획 장치는 어류를 소정의 수용 공간이 마련된 내부로 유인하여 포획하는 것으로서, 생태 위해(危害) 외래어종을 퇴치하거나 수산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포획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어류 포획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어류 포획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내부에 깔대기형의 유인 안내구(11)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개구부(12)가 마련되어 한 쌍의 포획체(10a,10b)가 각각의 개구부(12)에 형성된 암,수 체결부(5,6)를 통하여 결합됨으로써, 내부에 소정의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포획체(10a,10b)가 결합된 개구부(12)에는 연결끈(40)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 클립(30)이 결속될 수 있는 결속공(50)이 돌출형성되어 연결 클립(30)이 결속공(50)에 결속됨으로써, 상기 포획체(10a,10b)를 원거리로 투척한 후 회수시에도 원거리에 침수된 포획체(10a,10b)를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기술에 따른 어류 포획 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 쌍의 포획체(10a,10b)에 형성된 유인 안내구(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사면(20)에는 어류가 좋아하는 미끼(떡밥 등)를 부착하고 포획체(10a,10b) 내에도 소정량 미끼를 배치시키되, 물속에서도 흩어지지 않도록 물에 반죽을 하여 부착한다.
아울러, 상기 어류 포획 장치를 흐르는 물이나, 고여있는 물에 투척한다. 이때, 어류 포획 장치는 결속공(50)에 연결 클립(30)과 결속끈(40)이 결속되어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어류 포획 장치가 물에 투척되면 어류 포획 장치의 통수공(7)과 유인 안내구(11)로 물이 유입되어 어류 포획 장치가 침수되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물결이 어류 포획 장치를 투척할 때보다 진정되어 평소와 같은 흐름이 유지되면 어류가 미끼의 냄새를 맡고 유인 안내구(11)측으로 유인된다.
이처럼 유인 안내구(11)측으로 유인되어 미끼를 먹던 어류는 포획체(10a,10b) 내에 배치된 미끼를 먹기 위하여 수용 공간 내로 진입하게 되고, 수용 공간 내의 미끼에 유인되어 수용 공간 내로 진입하게 된 어류 중 포획체(10a,10b) 밖으로 빠져나가려 하는 어류는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유인 안내구(11)의 개구부가 매우 좁기 때문에 한 번에 외부로 빠져나가기 매우 힘들게 되어 빠져 나가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게 된다.
즉, 수용 공간 내측으로 들어 올때는 점점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면(20)에 의해 쉽게 들어올 수 있었지만, 나갈 때에는 개구부가 매우 좁기 때문에 한번에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포획체(10a,10b)의 수용 공간에 머물게 된 어류는 어류 포획 장치에 의해 포획될 수 밖에 없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어류 포획 장치를 사용하여 어류를 다량으로 포획하기 위해서는 최초에 포획되는 어류가 얼마만큼 빨리 포획되는지 여부와 얼마만큼의 어류가 수용 공간내에 머물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다량의 어류를 포획할 수 있는지의 여부가 결정되는데, 최초에는 어류가 미끼에 대하여 의심을 하여 포획되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특히, 어류는 무리를 지어 유영하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어류가 없는 곳으로는 잘 이동하려 하지 않는다.
따라서, 어류 포획 장치의 내부에 소정 수의 어류가 포획되어 잔류하고 있는 상태가 되면 그 후로부터는 어류가 쉽게 유인되어 포획되는 반면, 어류 포획 장치의 내부에 어류가 소정 수 만큼 포획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어류가 소정 수가 될 때까지의 시간이 매우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어류 포획 장치는 대부분 특정 어종을 유인하기 위하여 특정한 형태를 가지도록 제조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어류를 포획하는데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 기술에 따른 어류 포획 장치는 포획된 어류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수거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KR 10-1480018 B1 (2015.01.07.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어류가 내부로 쉽게 유인되어 자동으로 포획되도록 하는 어류 포획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류 포획 장치는 수면 위로 부상(浮上)하는 부력체; 수중에 잠긴 경우 어류가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개구부를 가지는 용기 형태의 포획조를 포함하는 포획 유닛; 중공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부력체에 결합되고, 수중에 잠기는 하부에는 상기 포획조가 안치되는 제1안치부가 형성되며, 수면 위로 노출되는 상부에는 상기 포획조가 안치되는 제2안치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1안치부 및 제2안치부와 연통되어 상기 포획조가 이동하는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제2안치부에 설치되어 상기 포획조를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이송 유닛; 상기 부력체 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기를 발생시켜 공급하는 발전 시스템; 및 상기 포획 유닛, 베이스 프레임, 이송 유닛 및 발전 시스템과 신호를 주고 받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안치부가 위치한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포획조에는 어류 감지 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어류 감지 수단에 의해 어류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이송유닛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획조는 상기 이동통로에 복수로 마련되어 상호 간에 연결된 상태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환상(環狀)으로 이루어져 상기 부력체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류 감지 수단은, 상기 포획조의 내부 바닥면에 배치되되, 상면에 루어, 인공 또는 자연형 자갈 또는 인공 또는 자연형 수초가 결합되는 제1자석; 상기 제1안치부가 위치한 베이스 프레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자석과 극성이 다른 제2자석; 및 상기 제2자석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센서 및 제2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안치부에 상기 포획조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자석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자력에 의해 상기 제1자석에 부착되고 상기 제1센서에서 제2센서로 신호를 전달함에 따라 상기 제1안치부에 상기 포획조가 안치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상기 포획조의 내부로 어류가 들어와 상기 루어, 인공 또는 자연형 자갈 또는 인공 또는 자연형 수초를 건드리게 되면 상기 제1자석이 움직이게 되어 상기 제1자석에 부착된 제2자석이 하방으로 떨어지게 되고 상기 제1센서로부터 제2센서로의 신호 전달이 차단됨에 따라 상기 포획조의 내부에 어류가 포획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센서 및 제2센서는 광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획조의 저면 또는 이송 컨베이어에는 복수의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 또는 포획조의 저면에는 상기 복수의 끼움돌기와 대응되게 복수의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복수의 제1안치부 및 제2안치부가 병렬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1안치부 및 제2안치부에 복수의 포획조가 각각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포획 유닛의 내부에 목적하는 대상 어종의 특성에 적합한 루어, 인공 또는 자연형 자갈 및 인공 또는 자연형 수초 등을 설치하고 루어, 인공 또는 자연형 자갈 및 인공 또는 자연형 수초 등에 어류를 유인하기 위한 음향 장치, 주파수 발진기, 또는 향을 내는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어류가 내부로 쉽게 유인되도록 한 다음, 어류가 포획된 포획조가 이송 유닛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자동으로 어류를 포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획조의 저면에는 복수의 끼움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이송 유닛의 이송 컨베이어에는 복수의 끼움홈을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끼움돌기가 복수의 끼움홈에 끼워져 포획조가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하는 경우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전 시스템을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지 않고 전기를 스스로 발생시켜 구동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전력을 소모하는데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에 복수의 제1안치부 및 제2안치부를 병렬로 각각 형성하여 복수로 형성된 제1안치부 및 제2안치부에 복수의 포획조를 위치시킴으로써, 한번에 다양한 어류를 포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어류 포획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어류 포획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어류 포획 장치에 채용되는 베이스 프레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어류 포획 장치에 채용되는 베이스 프레임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어류 포획 장치에서 포획조 내부로 들어오는 어류를 감지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어류 포획 장치에 채용되는 이송 유닛의 이송 컨베이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어류 포획 장치에 채용되는 수거 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른 어류 포획 장치용 포획 유닛의 포획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포획조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른 어류 포획 장치용 포획 유닛의 포획조 내부에 루어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포획조의 내부에 인공 자갈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c)는 포획조의 내부에 인공 수초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어류 포획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어류 포획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어류 포획 장치는, 부력체(10), 포획 유닛(20), 베이스 프레임(30), 이송 유닛(40), 발전 시스템(5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부력체(10)는 수면 위로 부상(浮上)하여 후술할 베이스 프레임(30)에 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내부가 빈 합성수지나 스티로폼 등과 같이 비중이 매우 작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부력체(10)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져 베이스 프레임(30)의 양측이 각각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부력체(10)에는 베이스 프레임(30)의 양측이 통과하여 끼워지도록 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된다.
포획 유닛(20)은 수중에 잠긴 경우 어류가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개구부(21a)를 가지는 용기 형태의 포획조(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포획조(21)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후술할 베이스 프레임(30)의 내부에 형성되는 이동통로(34)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획조(21)는 이동통로(34)에 복수로 마련되어 상호 간에 연결고리에 의해 연결되어 복수의 포획조(21)가 일체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포획조(21)의 개구부(21a)는 상면 또는 측면들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포획조(21)의 저면에는 복수의 끼움돌기(24)가 돌출 형성되는데, 복수의 끼움돌기(24)는 이송 유닛(40)의 이송 컨베이어(41)에 형성되는 복수의 끼움홈(43)에 끼워져 포획조(21)가 이송 컨베이어(41)에 의해 이동하는 경우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송 유닛(40)은 후술할 베이스 프레임(30)의 제2안치부(32)에 설치되어 포획조(21)를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이송 컨베이어(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발전 시스템(50)(이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예로 들어 설명함)은 부력체(10) 및 베이스 프레임(30)의 상부에 설치되어 햇빛을 받아 전기를 발생시키고, 발생시킨 전기를 저장하며, 어류 포획 장치의 전기가 필요한 곳에 전기를 공급한다.
즉, 태양광 발전 시스템(50)은 이송 유닛(40)의 이송 컨베이어(41)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 수거 유닛(70)의 수거 컨베이어(72)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 및 제어부 등에 각각 전기를 공급한다.
이처럼 태양광 발전 시스템(50)을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지 않고 전기를 스스로 발생시켜 구동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전력을 소모하는데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주지 관용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는 포획 유닛(20), 베이스 프레임(30), 이송 유닛(40) 및 태양광 발전 시스템(50)과 신호를 주고 받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어부는 부력체(10) 또는 베이스 프레임(30)의 상부(물에 잠기지 않은 부분) 일측에 설치될 수 있고,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어류 포획 장치는, 제1안치부(31)가 위치한 베이스 프레임(30) 및 포획조(21)에 어류 감지 수단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어류 감지 수단에 의해 어류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신호를 전달하여 이송유닛(40)을 작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어류 감지 수단은, 포획조(21)의 내부 바닥면에 배치되되, 상면에 목적하는 대상 어종의 특성에 적합한 루어(26), 인공 또는 자연형 자갈(27)(이하, 인공 자갈을 예로 들어 설명함) 또는 인공 또는 자연형 수초(28)(이하, 인공 수초를 예로 들어 설명함)가 결합되는 제1자석(23); 제1안치부(31)가 위치한 베이스 프레임(3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자석(23)과 극성이 다른 제2자석(33); 및 제2자석(33)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베이스 프레임(30)에 설치되는 제1센서(A) 및 제2센서(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어류 감지 수단에 의해 어류가 감지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로 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루어(26)는 어류별로 좋아하는 먹이를 닮은 형태로 제작되어 물속에서 수류에 의해 자유자재로 움직여 살아 있는 어류의 특성을 흉내낼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인공 자갈(27)은 자갈 등에 산란하는 어류가 좋아하는 크기, 형태, 색깔 등으로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물에는 가라 앉으면서도 최대한 가벼운 재질로 제작하여 어류가 건드릴 경우 잘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한다.
아울러, 인공 수초(28)는 어류별로 좋아하는 수초와 유사하게 제작하여 설치한다.
아울러, 상기 제1센서(A) 및 제2센서(B)는 광센서가 주로 채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어류 포획 장치에 채용되는 베이스 프레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어류 포획 장치에 채용되는 베이스 프레임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베이스 프레임(30)은 중공 형태로 이루어져 부력체(10)에 결합되는데, 예를 들면, 베이스 프레임(30)은 환상(環狀)으로 이루어져 부력체(10)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30)에는 수중에 잠기는 하부에 포획조(21)가 안치되는 홈 형태의 제1안치부(31)가 형성되며, 수면 위로 노출되는 상부에 포획조(21)가 안치되는 홈 형태의 제2안치부(32)가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30)의 내부에는 제1안치부(31) 및 제2안치부(32)와 연통되어 포획조(21)가 이동하는 이동통로(34)가 형성된다. 즉, 제1안치부(31)의 양측에는 각각 제1삽입구(31a) 및 제1배출구(31b)가 형성되고, 제2안치부(32)의 양측에는 각각 제2삽입구(32a) 및 제2배출구(32b)가 형성된다.
베이스 프레임(30)의 다른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30)에는 복수의 제1안치부(31) 및 제2안치부(32)가 병렬로 각각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복수로 형성된 제1안치부(31) 및 제2안치부(32)에 복수의 포획조(21)가 각각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각각의 포획조(21)에는 포획하고자 하는 어류가 좋아하는 루어, 인공 자갈, 인공 수초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어류 포획 장치에서 포획조 내부로 들어오는 어류를 감지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베이스 프레임(30)의 내부 이동통로(34)에 복수로 마련되어 서로 연결된 포획조들 중 제1안치부(31)에 어느 하나의 포획조(21)가 정확하게 위치하는 경우 제2자석(33)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자력에 의해 제1자석(23)에 부착되고 제1센서(A)에서 제2센서(B)로 신호를 전달함에 따라 제1안치부(31)에 상기 포획조(21)가 안치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포획조(21)의 내부로 어류가 들어와 루어(26), 인공 자갈(27) 또는 인공 수초(28)를 건드리게 되면 포획조(21)의 바닥면에 가라앉아 있던 제1자석(23)이 움직이게 되어 제1자석(23)에 부착된 제2자석(33)이 하방으로 떨어지게 되고 제1센서(A)로부터 제2센서(B)로의 신호 전달이 차단됨에 따라 포획조(21)의 내부에 어류가 포획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자석(23)과 제2자석(33)이 자력에 의해 부착된다고 표현을 하였는데, 엄밀하게 말하면 제1자석(23)과 제2자석(33) 사이의 포획조(21) 부분과 베이스 프레임(30)의 제1안치부(31) 부분은 제1자석(23)과 제2자석(33)에서 발생되는 자력이 통과하여 제1자석(23)과 제2자석(33)이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도록 자력이 잘 통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어류 포획 장치에 채용되는 이송 유닛의 이송 컨베이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어류 감지 수단에 의해 어류가 포획된 상태를 감지하게 되면, 제2센서(B)는 제어부로 감지된 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어부는 이송 유닛(40)의 이송 컨베이어(41)에 결합된 구동모터(미도시)에 신호를 전달하여 구동모터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송 컨베이어(41)가 동작함에 따라 제2안치부(32)에 안치된 상태의 포획조(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호 간에 연결된 복수의 포획조(21)는 시계방향으로 상기 일정 거리 만큼씩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포획조(21)의 저면에는 복수의 끼움돌기(24)가 돌출 형성되고, 이송 컨베이어(41)에는 복수의 끼움돌기(24)와 대응되게 복수의 끼움홈(43)이 형성된다.
이와 달리, 이송 컨베이어(41)에 복수의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포획조(21)의 저면에 복수의 끼움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어류 포획 장치에 채용되는 수거 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수거 유닛(70)은 베이스 프레임(30)의 제2안치부(32)에 위치한 포획조(21)로부터 낙하하는 포획된 어류를 수거하도록 제2안치부(32)의 하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저장조(71) 및 수거 컨베이어(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저장조(71)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태로 이루어져 포획조(21)로부터 낙하하는 어류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면 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거 컨베이어(72)는 저장조(71)가 복수로 배치되고 저장조(71)를 일정 위치까지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부력체(10)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고, 베이스 프레임(3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른 어류 포획 장치용 포획 유닛의 포획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포획조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른 어류 포획 장치용 포획 유닛(20)은, 수중에 잠긴 경우 어류가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개구부(21a)를 가지는 용기 형태의 포획조(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포획조(21)의 내부에는 루어(26), 인공 자갈(27) 또는 인공 수초(28)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루어(26), 인공 자갈(27) 또는 인공 수초(28)에는 어류를 유인하기 위한 음향 장치, 주파수 발진기, 또는 향을 내는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포획조(21)에 형성되는 개구부(21a)는 상면 또는 측면들 중 하나 이상의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포획조(21)의 내부로 들어오는 어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포획조(21)에는 감지센서를 설치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감지센서는 주로 광센서가 채용된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른 어류 포획 장치용 포획 유닛의 포획조 내부에 루어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b)는 포획조의 내부에 인공 자갈이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c)는 포획조의 내부에 인공 수초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포획조(21)의 내부에는 루어(26), 인공 자갈(27) 또는 인공 수초(28)가 설치될 수 있다.
루어(26)는 어류별로 좋아하는 먹이를 닮은 형태로 제작되어 물속에서 수류에 의해 자유자재로 움직여 살아 있는 어류의 특성을 흉내낼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인공 자갈(27)은 자갈 등에 산란하는 어류가 좋아하는 크기, 형태, 색깔 등으로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물에는 가라 앉으면서도 최대한 가벼운 재질로 제작하여 어류가 건드릴 경우 잘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한다.
아울러, 인공 수초(28)는 어류별로 좋아하는 수초와 유사하게 제작하여 설치한다.
이러한 루어(26), 인공 자갈(27) 또는 인공 수초(28)에는, 포획하고자 하는 어류가 좋아하는 소리 또는 향을 내는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획 유닛(20)의 포획조(21) 내부에 루어(26), 인공 자갈(27) 및 인공 수초(28) 등을 설치하고 루어(26), 인공 자갈(27) 및 인공 수초(28) 등에 어류를 유인하기 위한 음향 장치, 주파수 발진기, 또는 향을 내는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어류가 내부로 쉽게 유인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포획조(21)는 광 투과성 및 음파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포획조(21)의 내부에는 어류를 유인하기 위한 광원, 음향 장치, 주파수 발진기, 또는 향을 내는 장치가 비주기적으로 작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부력체 20 : 포획 유닛
21 : 포획조 26 : 루어
27 : 인공 자갈 28 : 인공 수초
30 : 베이스 프레임 40 : 이송 유닛
41 : 이송 컨베이어 50 : 발전 시스템

Claims (7)

  1. 수면 위로 부상(浮上)하는 부력체;
    수중에 잠긴 경우 어류가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개구부를 가지는 용기 형태의 포획조를 포함하는 포획 유닛;
    중공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부력체에 결합되고, 수중에 잠기는 하부에는 상기 포획조가 안치되는 제1안치부가 형성되며, 수면 위로 노출되는 상부에는 상기 포획조가 안치되는 제2안치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제1안치부 및 제2안치부와 연통되어 상기 포획조가 이동하는 이동통로가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제2안치부에 설치되어 상기 포획조를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이송 유닛;
    상기 부력체 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기를 발생시켜 공급하는 발전 시스템; 및
    상기 포획 유닛, 베이스 프레임, 이송 유닛 및 발전 시스템과 신호를 주고 받도록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안치부가 위치한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포획조에는 어류 감지 수단이 설치되어 상기 어류 감지 수단에 의해 어류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이송유닛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획조는 상기 이동통로에 복수로 마련되어 상호 간에 연결된 상태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환상(環狀)으로 이루어져 상기 부력체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류 감지 수단은,
    상기 포획조의 내부 바닥면에 배치되되, 상면에 루어, 인공 또는 자연형 자갈 또는 인공 또는 자연형 수초가 결합되는 제1자석;
    상기 제1안치부가 위치한 베이스 프레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자석과 극성이 다른 제2자석; 및
    상기 제2자석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센서 및 제2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안치부에 상기 포획조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자석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자력에 의해 상기 제1자석에 부착되고 상기 제1센서에서 제2센서로 신호를 전달함에 따라 상기 제1안치부에 상기 포획조가 안치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상기 포획조의 내부로 어류가 들어와 상기 루어, 인공 또는 자연형 자갈 또는 인공 또는 자연형 수초를 건드리게 되면 상기 제1자석이 움직이게 되어 상기 제1자석에 부착된 제2자석이 하방으로 떨어지게 되고 상기 제1센서로부터 제2센서로의 신호 전달이 차단됨에 따라 상기 포획조의 내부에 어류가 포획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 및 제2센서는 광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획조의 저면 또는 이송 컨베이어에는 복수의 끼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송 컨베이어 또는 포획조의 저면에는 상기 복수의 끼움돌기와 대응되게 복수의 끼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 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복수의 제1안치부 및 제2안치부가 병렬로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제1안치부 및 제2안치부에 복수의 포획조가 각각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포획 장치.
KR1020160158934A 2016-11-28 2016-11-28 어류 포획 장치 KR101839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13754 WO2018097366A1 (ko) 2016-11-28 2016-11-28 어류 포획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포획 유닛
KR1020160158934A KR101839004B1 (ko) 2016-11-28 2016-11-28 어류 포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934A KR101839004B1 (ko) 2016-11-28 2016-11-28 어류 포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004B1 true KR101839004B1 (ko) 2018-03-16

Family

ID=61910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934A KR101839004B1 (ko) 2016-11-28 2016-11-28 어류 포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0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1266A (zh) * 2020-08-28 2020-12-04 万月华 一种可指定捕捉各种大小鱼的捕鱼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444Y1 (ko) 1998-08-10 2001-01-15 전상신 어류포획 용구
KR100424093B1 (ko) 2002-01-17 2004-03-22 정정호 활어 포획용 어구
KR100742212B1 (ko) 2006-02-20 2007-07-24 전순호 어류 포획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444Y1 (ko) 1998-08-10 2001-01-15 전상신 어류포획 용구
KR100424093B1 (ko) 2002-01-17 2004-03-22 정정호 활어 포획용 어구
KR100742212B1 (ko) 2006-02-20 2007-07-24 전순호 어류 포획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1266A (zh) * 2020-08-28 2020-12-04 万月华 一种可指定捕捉各种大小鱼的捕鱼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0078B2 (en) Artificial fishing lure that generates visual and audible signals
KR100927683B1 (ko) 브라인쉬림프의 수집장치 및 그 방법
US11930795B2 (en) Larvae counter
WO2016023071A1 (en) An aquatic management system
KR101729167B1 (ko) 동애등에 사육 장치
KR101839004B1 (ko) 어류 포획 장치
KR101245835B1 (ko) 유생 수집 장치
KR20180061436A (ko) 어류 포획장치용 포획 유닛
Secor et al. Technical NOTES Modification of the Quatrefoil Light Trap for Use in Hatchery Ponds
JP3811816B2 (ja) 魚検出装置,魚捕獲装置および魚捕獲方法
CN202026717U (zh) 仿生电子装置
KR20200063431A (ko) 식용 곤충 대량 사육을 위한 채란 분리 장치
CN105994100A (zh) 海水鱼类育苗装置及育苗方法
CN205511767U (zh) 一种钓鱼工具及其钓鱼竿
CN107318748A (zh) 一种用于水族缸的生物控藻装置
US20190223422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use for attracting and catching fish
KR101923559B1 (ko) 어류 유인기능 및 어류 먹이습성을 이용하는 어구
CN104285924A (zh) 全智能捕鱼器
NO20030016D0 (no) Anordning for oppdrett av fisk i åpent hav
CN208891509U (zh) 一种渔业的快速捕捞装置
CN204146186U (zh) 全智能捕鱼器
CN209073234U (zh) 一种具有孵化灯自动调节的虾卵孵化器
WO2018097366A1 (ko) 어류 포획 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포획 유닛
KR20180024569A (ko) 수중에 수면을 형성한 양식장치
KR20200064717A (ko) 반려동물용 식수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