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691B1 - 세발 보조부재 - Google Patents

세발 보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691B1
KR100920691B1 KR1020090026282A KR20090026282A KR100920691B1 KR 100920691 B1 KR100920691 B1 KR 100920691B1 KR 1020090026282 A KR1020090026282 A KR 1020090026282A KR 20090026282 A KR20090026282 A KR 20090026282A KR 100920691 B1 KR100920691 B1 KR 100920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ead
trike
fix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4689A (ko
Inventor
김상우
Original Assignee
김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우 filed Critical 김상우
Priority to KR1020090026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691B1/ko
Publication of KR20090104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691B1/ko
Priority to JP2010068663A priority patent/JP5318805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14Closed washing devices, e.g. washing ca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40Hair-nets; Hair-protecting cap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발(洗髮) 보조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모발의 샴푸시 머리에 착용하여 모발과 세발 보조부재의 사이에 계속 거품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모발 및 두피를 문지르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세정도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샴푸액 및 비누를 묻혀 문지르면 거품이 발생하는 원단인 거품발생부재를 이용하여 머리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 일정 깊이로 머리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입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발, 세척, 샴푸, 직물, 다공

Description

세발 보조부재{AUXILIARY MEMBER FOR HAIR WASHING}
본 발명은 세발 보조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발의 샴푸시 머리에 구비시켜 모발과 세발 보조부재의 사이에 계속 거품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모발 및 두피를 문지르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세정도 향상되도록 하는 세발 보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세척은, 모발에 물을 적신 후 샴푸 액을 손에 받은 다음 모발에 바르고 거품이 발생하도록 수회 문지르고 나서 물로 세척한다. 이러한 모발 세척 과정은, 모발의 상태를 감안해서 1회 또는 2회 더 반복한 후 완료된다.
또한, 모발의 샴푸 중에는, 샴푸에 의한 거품이 사방으로 튀기 때문에 나중에 주변 전체를 청소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샴푸에 의한 거품이 머리 전체에 쌓인 경우, 귀에 묻거나 눈에 들어가 고통을 주는 불편이 있다. 또한, 샴푸중에는, 손가락 및 손톱에 의하여 두피가 긁히거나 모근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둥근 빗살들이 형성된 고무소재의 모발세척용 브러쉬가 사용되기기도 한다. 상기 모발세척용 브러쉬는, 모발의 샴푸 중 두피나 모근의 손상을 방지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모발세척용 브러쉬는, 짧은 모발은 문지르고 거품을 내어 샴푸가 용이하지만, 모발이 길 경우에는, 빗살에 모발이 엉켜 문지르기가 불편하고 모발이 빠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발 세척용 브러쉬는, 긴 모발의 샴푸시 거품을 제거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샴푸를 불편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정에서 샴푸시 발생하는 문제점 외에, 미용실에서는 타인의 모발을 샴푸하기 때문에 마사지 세기를 조절하기 어려워 손님에게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미용실에서는 모발의 샴푸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모발의 샴푸를 자동으로 해주는 자동 모발 세척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나, 가격대가 고가이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일반 가정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발 보조부재를 머리에 쓰고 모발을 세척함으로써, 거품이 계속 유지된 상태에서 모발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발 보조부재를 이용하여 모발과 두피를 마시지할 때 거품이 계속 유지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발 보조부재에 의하여 거품이 계속 유지됨으로써, 모발의 세척력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샴푸액 및 비누를 묻혀 문지르면 거품이 발생하는 원단인 거품발생부재를 이용하여 머리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 일정 깊이로 머리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입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를 머리에 일정 깊이로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입구부에는, 덮개부를 머리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머리에 탄성력을 이용하여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덮개부로 덮여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되는 당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덮개부는, 귀가 노출될 수 있도록 귀걸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덮개부는, 긴 모발을 묶을 수 있도록 내부 일측에 묶음링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덮개부는, 앞머리를 용이하게 넣을 수 있고 머리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가변되도록 하단 가장자리에 당김부재를 구비시킨 가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는, 고정부의 후방에 연결되는 당김부재와, 상기 당김부재에 의하여 당겨져 모발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포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상기 덮개부는, 고정부의 후방으로부터 상부에 움직이지 않도록 연결되는 2개의 고정끈과, 상기 고정끈의 각 끝단에 고정부의 정면에 연결된 고무줄과 이어져 형성되는 당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고정부는, 일정폭과 길이로 형성되고 전면에서 묶을 수 있도록 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고정부는, 머리에 밀착이 용이하도록 후방측 가장자리에 간격을 두고 당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고정부는, 양측에 탄성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당김부재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의 단부에는, 서로 연결하여 조임이 유지되도록 벨크로 파스너, 훅크, 똑딱단추, 단추 중 하나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발의 세척시 이용되는 샴푸액 및 비누에 의한 거품이 주변으로 튀지 않아 주변 청소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캡부재 안에 샴푸 중에 거품이 계속 유지됨으로써, 모발의 세척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캡부재 안의 거품이 얼굴의 눈 주위로 흘러내리지 않아 모발의 세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모발이 긴 경우 외부로 늘어 뜨리지 않고 캡부재 안에서 한꺼번에 씻 어낼 수 있어 모발을 간편하고 신속히 씻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캡부재 안에 거품이 계속 유지됨에 따라 두피 및 모발에 잘 스며들어 세척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머리에 간단히 쓰고 샴푸를 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사용한 후에는 접어서 수납장에 넣어 둘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모발 및 두피의 마사지가 세발 보조부재에 의하여 샴푸 중 전체에 걸쳐 이루어짐에 따라 세척력 및 모발의 부드러움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자동 모발 세척장치에 비해 다공의 신축성을 갖는 직물소재로 제조되기 때문에 저렴한 가격대에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발 보조부재(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샴푸액 및 비누를 묻혀 문지르면 거품이 발생하는 원단인 거품발생부재를 이용하여 머리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덮개부(4)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4)의 일측에는, 일정 깊이로 머리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입구부(5)가 형성된다.
상기한 거품발생부재는, 직물지, 샤워타월, 엠보싱이 형성된 때타월, 일정 크기의 구멍이 형성된 직물지, 스폰지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부(4)를 머리에 일정 깊이로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입구부(5)에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4)를 머리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6)가 더 구비된다.
상기한 고정부(6)에는, 모발이 덮개부(4)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하면서 머리에 고정되도록 하는 당김부재(8a)가 덮개부(4)의 가장자리에 구비된다. 상기 당김부재(8)는, 고무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발 보조부재(2)는, 고정부(6)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3과 같이, 모발이 덮개부(4) 밖으로 나오지 않게 머리에 고정할 수 있도록 덮개부(4)의 가장자리에 일정 폭의 직물지를 부착시킨 고정부(6)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6)는, 전면에 묶을 수 있도록 단부(1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세발 보조부재(2)는, 덮개부(4) 및 고정부(6)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4 내지 도 9와 같이, 상기 덮개부(4)에 귀가 노출될 수 있도록 귀걸이부(10)가 형성된다. 상기한 귀걸이부(10)는, 귀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샴푸 중 답답함을 해소할 수 있고 덮개부(4)의 자세를 잡아 줄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귀걸이부(10)는, 삼각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부(4)에는, 도 4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모발을 묶을 수 있도록 하는 묶음링(12)이 내부 후방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묶음링(12)은, 모발을 간단히 묶을 수 있도록 고무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덮개부(4)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머리를 집어 넣을 수 있고 머리의 크기에 따라 확장 또는 수축될 수 있도록 가변부(14)가 전면에 형성된다. 상기한 가변부(14)에는, 하단이 펴지거나 수축될 수 있도록 당김부재(8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당김부재(8b)는, 일정 폭 및 길이로 형성되는 고무줄 또 는 고무밴드 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가변부(14)는, 당김부재(8b)를 약간 들추고 앞머리를 용이하게 올려 넣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외에 상기 가변부(14)는, 확장 및 수축이 좋기 때문에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알맞게 착용이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4)는, 도 4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면을 외부에서 당기도록 고정부(6)에 연결되는 당김부재(8c)를 구비한다. 상기 당김부재(8c)로 당겨지는 덮개부(4)는, 후방에 포켓부(16)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포켓부(16)는, 고무줄을 이용한 묶음링(12)으로 묶은 긴 모발이 담겨지도록 한다.
상기한 모발을 묶은 묶은링(12)은, 모발이 계속 묶여 있으면 샴푸가 불편하기 때문에 세발 보조부재(2)를 머리에 쓴 후에는 용이하게 샴푸할 수 있도록 모발에서 분리된다.
또한, 세발 보조부재(2)에는, 도 4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4)가 귀걸이부(10)를 덮거나 양측으로 처지지 않도록 하는 당김부재(8d)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당김부재(8d)는, 덮개부(4)의 좌우 양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앞뒤 고정부(6)에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당김부재(8d)는, 덮개부(4)의 상부에 움직이지 않도록 연결되는 2개의 고정끈(d1)과, 상기 고정끈(d1)의 각 끝단과 고정부(6)의 정면에 연결되는 고무줄(d2)이 이어져 형성된다.
상기 당김부재(8d)는, 신축성이 없는 고정끈(d1)이 고무줄(d2)을 당기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당김부재(8d)는, 모발 및 두피의 마사지시 고정부(6)의 단 부(18)부분이 눈 가까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잡아준다. 그리고, 상기 고정끈(d1)은, 고무줄(d2)에 의하여 긴장이 형성되기 때문에 덮개부(4)가 양측으로 쏠리지 않도록 잡아주기도 한다.
또한, 세발 보조부재(2)의 고정부(6)에는, 도 4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18)에 벨크로 파스너(2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단부(18)는, 벨크로 파스너(20)의 겹치는 정도에 따라 조임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한 단부(18)에는, 벨크로 파스너(20)외에 견고하게 연결을 유지할 수 있는 체결수단인 훅크, 똑딱단추, 단추를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한 고정부(6)는, 도 4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머리에 밀착이 용이하도록 후방측 가장자리에 간격을 두고 당김부재(8e)가 형성된다. 상기한 당김부재(8e)는, 머리의 뒤쪽 부분을 당겨줘 모발의 무게를 지지하고 모발이 모아지도록 한다.
상기한 고정부(6)에는, 도 4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당김부재(8f)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당김부재(8f)는, 고정부(6)를 머리에 고정할 때 장력이 발휘됨으로써, 조임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6)에 형성되는 당김부재(8f)는, 적어도 한 곳 이상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모발을 세정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세발 보조부재(2)를 머리에 쓰고, 모발이 젖을 수 있도록 덮개부(4)에 물을 부어 젖게한다. 그리고 나서 샴푸 또는 비누를 덮개부(4)에 문질러 거품을 낸다. 상기 덮개부(4)에 는, 수많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많은 양의 거품을 빠르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부(4)를 문지를 때 발생하는 거품은, 모발 및 두피에 고루 확산되어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거품은, 덮개부(4)와 모발사이에서 계속 유지되기 때문에 쉽게 제거되지 않는다. 또한, 거품은 모발상의 덮개부(4)에 머물러 있고 흘러내리지 않기 때문에 눈에 들어가는 불편이 없이 샴푸를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6)에 구비된 당김부재(8)는, 고무줄이기 때문에 세발 보조부재(2)의 덮개부(4)를 바로 쓰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세발 보조부재(2)에는, 덮개부(4)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여러 가지 기능성 구성요소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기능성 구성요소들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6)에 형성된 단부(18)를 단단히 묶으면 덮개부(4)는 머리위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부(6)는, 샴푸시 모발 및 두피를 마사지할 때 덮개부(4)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모발량 및 머리의 크기에 따라 덮개부(4)의 가변부(14)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4)가 벌어지거나 축소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한 가변부(14)는, 당김부재(8b)를 약간 들추고 앞머리를 올려 넣을 수 있어서 앞머리 정리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가변부(14)는, 확장 및 수축이 좋기 때문에 사용자의 머리에 알맞게 크기를 조정할 수 있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크로 파스너(20)가 부착된 고정부(6)의 단부(18)는,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단부(18)끼리 서로 부착시켜 주면 머리에 단단히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덮개부(4)의 양측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귀걸이부(10)를 통해 귀를 노출시켜 줌으로써 귀에 거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덮개부(4)가 너무 깊게 착용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모발이 긴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4)의 내부에 있는 묶음링(12)을 당겨서 긴 모발을 묶은 다음 세발 보조부재(2)를 뒤에서부터 쓴다.
이때, 묶은 모발은, 포켓부(16)에 자연스럽게 집어 넣어진다. 상기 머리의 뒤에서부터 세발 보조부재(2)를 쓴 후에는, 앞쪽의 당김부재(8b)를 당겨 가변부(14) 안쪽에 앞머리를 쓸어 올려 집어 넣는다. 상기한 앞머리가 가변부(14)에 의하여 덮히게 됨으로써, 샴푸 중 삐져 나오는 일 없이 샴푸를 잘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나서, 고정부(6)의 단부(18)를 당긴 후 부착된 벨크로 파스너(20)를 이용해 견고하게 부착시킨다. 상기한 과정을 거쳐 세발 보조부재(2)의 착용이 완료되면, 묶음링(12)을 모발에서 분리시켜 모발에 대한 샴푸가 용이하도록 준비한다.
상기한 포켓부(16)는, 당김부재(8c)의 당김에 의하여 뒤로 쳐져서 형성되고묶음링(12)을 분리시킨 모발이 담겨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발이 모여있는 포켓부(16)는, 당김부재(8c)에 의하여 당겨지고 있어 샴푸시 세발 보조부재(2)가 앞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여 샴푸가 편리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세발 보조부재(2)는, 모발을 샴푸할 때 세정부재의 세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머리에 세발 보조부재를 쓰고 마사지를 통해 발생시킨 거품으로 모발 및 두피를 세정함으로써 세척이 깨끗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미용 산업 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발 보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발 보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발 보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발 보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세발 보조부재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세발 보조부재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4에 나타낸 세발 보조부재를 도시한 배면도.
도 8은, 도 4에 나타낸 단부의 부착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4에 나타낸 세발 보조부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세발 보조부재 4: 덮개부
6: 고정부 8a~8f: 당김부재
10: 귀걸이부 12: 묶음링
14: 가변부 16: 포켓(Pocket)부
18: 단부 20: 벨크로 파스너(Velcro Fastener)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샴푸액 및 비누를 묻혀 문지르면 거품이 발생하는 직물지, 샤워타월, 엠보싱이 형성된 때타월, 일정 크기의 구멍이 형성된 직물지, 스폰지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머리를 덮을 수 있는 덮개부(4)와,
    상기 덮개부(4)의 일측에 일정 깊이로 머리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입구부(5)와,
    상기 입구부(5)에 형성되어 덮개부(4)를 머리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6)와,
    상기 덮개부(4)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긴 머리를 묶을 수 있도록 하는 묶음링(1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머리에 착용한 채로 모발과 두피를 세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 보조부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6)는, 머리에 탄성력을 이용하여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덮개부(4)로 덮여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되는 당김부재(8a)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 보조부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4)는, 귀가 노출될 수 있도록 귀걸이부(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 보조부재.
  6. 삭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4)는, 앞머리를 용이하게 넣을 수 있고 머리의 크기에 따라 신장되도록 하고 머리의 크기에 따라 가변되도록 하단 가장자리에 당김부재(8b)를 구비시킨 가변부(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 보조부재.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4)는, 고정부(6)의 후방에 연결되는 당김부재(8c)와, 상기 당김부재(8c)에 의하여 당겨져 모발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포켓부(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 보조부재.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4)는, 고정부(6)의 후방으로부터 상부에 움직이지 않도록 연결되는 2개의 고정끈(d1)과, 상기 고정끈(d1)의 각 끝단에 고정부(6)의 정면에 연결된 고무줄(d2)과 이어져 형성되는 당김부재(8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 보조부재.
  10. 삭제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6)는, 머리에 밀착이 용이하도록 후방 양측 가장자리에 당김부재(8e)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 보조부재.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6)는, 길이가 신축되도록 당김부재(8f)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발 보조부재.
  13. 삭제
KR1020090026282A 2008-03-31 2009-03-27 세발 보조부재 KR100920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282A KR100920691B1 (ko) 2008-03-31 2009-03-27 세발 보조부재
JP2010068663A JP5318805B2 (ja) 2009-03-27 2010-03-24 洗髪補助部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596 2008-03-31
KR1020090026282A KR100920691B1 (ko) 2008-03-31 2009-03-27 세발 보조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689A KR20090104689A (ko) 2009-10-06
KR100920691B1 true KR100920691B1 (ko) 2009-10-07

Family

ID=41534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282A KR100920691B1 (ko) 2008-03-31 2009-03-27 세발 보조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318805B2 (ko)
KR (1) KR1009206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59503U (ko) * 1987-10-06 1989-04-14
JP2002336033A (ja) * 2001-05-16 2002-11-26 Masako Kitsugi 洗髪用キャップ
US20030159707A1 (en) * 2002-02-22 2003-08-28 Dielle S.R.L. Cap for treating locks of hair, provided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tens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275U (ja) * 1992-10-15 1995-11-14 誠 大島 シャンプーキャップ
JP2001218617A (ja) * 2000-02-07 2001-08-14 Rie Tsunamoto 髪のすそを乾かすキャップ型タオル
JP3107263U (ja) * 2004-08-17 2005-01-27 優子 井上 防水で乾燥キッズタ−バン
JP2006167404A (ja) * 2004-12-15 2006-06-29 Masumi Mizumura 洗髪用スポンジネット
JP3118539U (ja) * 2005-10-14 2006-02-02 愛子 今辻 洗髪用補助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59503U (ko) * 1987-10-06 1989-04-14
JP2002336033A (ja) * 2001-05-16 2002-11-26 Masako Kitsugi 洗髪用キャップ
US20030159707A1 (en) * 2002-02-22 2003-08-28 Dielle S.R.L. Cap for treating locks of hair, provided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tens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689A (ko) 2009-10-06
JP2010227570A (ja) 2010-10-14
JP5318805B2 (ja)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0885B2 (en) Hair drying net and turban towel
US5490528A (en) Fitted hair towel
US20180027952A1 (en) Expandable Styling Garment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20100138979A1 (en) Ergonomically shaped water blocking face screen
US100803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ir weave wash and dry
US20110154556A1 (en) Splash guard
KR100920691B1 (ko) 세발 보조부재
KR200441386Y1 (ko) 인체환경을 고려한 일체형 염색커버
KR20200074421A (ko) 머리 정리용 수건
KR200481572Y1 (ko) 헤어캡 겸용 타올
JP2020049124A (ja) カバーとその使用方法
KR100848327B1 (ko) 물흐름방지구
US9907573B2 (en) Skin-care apparatus
JP2010000141A (ja) 洗髪支援具
JPH0998902A (ja) 湯あがりターバン
JP3006672U (ja) 筒状シャワーキャップ
KR200490636Y1 (ko) 로션 도포기
JP3183306U (ja) ペット美容施術用エプロン
US10694799B1 (en) Hair towel
KR200409482Y1 (ko) 턱 당김이 겸용 마스크 팩
JP3103445U (ja) 洗髪用ケープ
KR100638253B1 (ko) 거품 세안망
JP3069619U (ja) パ―マ液吸収用タ―バン
JP3112601U (ja) 耳かけ蒸しタオル
KR20220002190U (ko) 머리 정리 수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