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253B1 - 거품 세안망 - Google Patents

거품 세안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253B1
KR100638253B1 KR1020040078905A KR20040078905A KR100638253B1 KR 100638253 B1 KR100638253 B1 KR 100638253B1 KR 1020040078905 A KR1020040078905 A KR 1020040078905A KR 20040078905 A KR20040078905 A KR 20040078905A KR 100638253 B1 KR100638253 B1 KR 100638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sing
foam
string
bubble
b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6882A (ko
Inventor
김연수
Original Assignee
김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수 filed Critical 김연수
Priority to KR1020040078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253B1/ko
Publication of KR20040096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6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2Bathing sponges, brushes, gloves, or similar cleaning or rubb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14Foam or lather mak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15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fibres of specified chemical or physical nature, e.g. natural silk
    • D06N3/0038Polyolefin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eth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사로 구성되어 적은 양의 클렌징 제품을 묻혀서 다량의 고운 입자를 갖는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거품 세안망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는 전체적으로 다수개의 통공들이 촘촘하게 미세한 크기로 형성되고 일단부 테두리가 일부위 겹쳐져 타원형의 거품발생부가 형성되고 타단부 테두리가 중앙으로 모아지도록 결속부재에 의해 감겨지는 세안망 몸체와, 그 세안망 몸체의 단부에 끈이나 실로 된 끈부재를 매개로 연결되고 손가락이 통과될 정도의 크기의 구멍을 갖는 고리로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거품 세안망의 일부위를 다중막을 갖는 거품발생부로 형성시킴으로써, 적은 양의 클렌징 제품으로 많은 양의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량을 절감하고, 고운 입자의 거품을 사용하게 되어 사용자의 피부 자극을 줄임과 아울러, 세정 성능이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세안망, 거품발생부, 다중막, 클렌징

Description

거품 세안망{a bubble mesh}
도 1은 본 고안 거품 세안망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2 : 거품발생부
15 : 결속끈 16 : 결속부재
20 : 고리 25 : 끈부재
35 : 마감재
본 발명은 거품 세안망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리에틸렌 소재의 망사체로 이루어져 적은 양의 클렌징 제품이나 비누, 피부 세정제로 많은 양의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거품 세안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굴의 피부에는 모공, 즉 털이 나있는 구멍이 1cm당 200~300여개가 있으며, 얼굴 전체에는 약 20,000여개 정도가 분포되어 있다. 또, 그 모공에 는 피지선이라는 주머니가 달려 있으며, 여기서 생성된 피지가 털과 모공을 통해 피부 표면으로 배출된다.
기존 화장을 하게 되는 여성들의 경우, 몇년전에는 화운데이션을 바르고 투웨이 케익을 덧발라도 땀이 나거나 비를 맞게 될 경우 화장이 금방 지워지게 되었으나, 최근에는 물기에도 지워지지 않는 화장품이 개발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적으로 여성들의 화장법은 화장을 할때 얼굴의 미백효과를 위해 모공속에 끈끈한 화운데이션이 채워지도록 바르고, 그 위에 파우더 또는 투웨이 케익을 바르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그런데, 현재 주종을 이루는 화장품들의 경우, 피부의 모공을 막을 뿐만 아니라, 쉽게 제거되지 않는 것이 특성이다. 따라서, 화장을 지우기 위해서는 비누 세안만으로는 화장품 성분이 피부에서 씻겨지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클렌징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화장이 잘 지워지지 않을 경우에는 모공을 막아 노폐물이 배출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적절한 피지 분비의 장애요소로 작용하여 얼굴 피부를 거칠어지게 만드며, 얼굴 피부와 트러블이 발생하여 화장이 들뜨게 되는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클렌징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화장품의 특성상 얼굴에 클렌징 제품을 묻혀 마사지를 하더라도 얼굴이 개운치가 않으며, 다음날 화장이 잘 받지 않은 경우가 발생한다.
이는, 화운데이션등의 화장품이 피부 모공의 내부로 채워져 있으므로 클렌징 제품이 그 모공 속으로 깊숙히 침투되지 못하여 화장을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피부 깊숙히 채워진 화장품을 제거하기 위해 타월등에 비누등의 피부 세정제를 묻힌 다음에 거품을 충분히 발생시킨 후에 그 거품이 묻은 타월을 피부에 문질러 제거하도록 하는 방식이 있으나, 이는 피부 각질층까지 벗겨낼 우려가 있어 오히려 피부 면역성과 탄력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누나 별도의 클렌징제품을 손이나 타월에 묻혀서 거품을 발생시킬 경우에는 그 거품의 효소가 완전히 분해되지 못하고 대략 30~40%정도만이 분해되어 피부 세안에 사용되고 있으므로, 그 효능이 저하될 수 밖에 없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에는 스폰지를 이용하여 거품을 다량 발생시켜 효소의 분해비율을 높이는 방식이 있으나, 그 스폰지는 천연스폰지일 경우 생산 원가가 비쌀 뿐만 아니라, 비누등의 클렌징 제품이 알카리성분이므로 그 알카리 성분으로 인해 화학적으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발생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적은 양의 클렌징 제품을 묻혀서 다량의 고운 입자를 갖는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거품 세안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부 테두리가 외측으로 복수회 겹쳐지도록 감겨져 결속끈에 의해 다중막으로 결속된 거품발생부가 형성되고, 타단부 테두리가 중앙으로 집중되도록 결속부재에 의해 결속되며, 다수개의 미세한 통공들이 형성되는 망사 소재의 세안망 몸체와;
상기 세안망 몸체의 타단부에 끈부재를 매개로 연결되고 단부에 손가락이 통과될 정도의 구멍을 갖는 환형의 고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 상기 세안망 몸체는 그 재질이 폴리에틸렌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품 세안망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조는 전체적으로 다수개의 통공들이 촘촘하게 미세한 크기로 형성되고 일단부 테두리가 일부위 겹쳐져 타원형의 거품발생부(12)가 형성되고 타단부 테두리가 중앙으로 모아지도록 결속부재(16)에 의해 감겨지는 세안망 몸체(10)와, 그 세안망 몸체(10)의 단부에 끈이나 실로 된 끈부재(25)를 매개로 연결되고 손가락이 통과될 정도의 크기의 구멍을 갖는 고리(20)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거품발생부(12)는 일단부 테두리가 외측으로 말려 올라가서 겹쳐지게 되므로, 다중의 막을 갖도록 감기게 되어 타원형의 고리(20) 형태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그 거품발생부(12)는 겹쳐진 부위가 풀리지 않도록 결속끈(15)에 의해 양측이 결속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그 세안망 몸체(10)는 중앙부위가 일단측에 형성된 거품발생부(12)의 내부로 통과한 후에 타단부 테두리와 뒤집어진 상태로 결속부재(16)에 의해 결속된 구조를 갖는다.
이는, 결속부재(16)에 의해 결속된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 세안망 몸체(10)는 그 재질이 인체에 무해한 폴리에틸렌(Polyethylene)등의 합성수지계열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결속부재(16)와 끈부재(25)는 와이어 또는 끈, 실등을 채택할 수 있으며, 고리(2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미설명 부호 "35"는 세안망 몸체의 타단부를 결속부재(16)로 묶은 후에 뒤집은 상태에서 외관상 이미지를 위해 마감 처리하기 위한 마감재를 나타낸 것이다.
또, 바람직하게는 결속부재(16)와 끈부재(25)가 일체로 연결되고, 그 끈부재(25)의 외주에 마감재(35)가 관통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거품 세안망은, 그 조립과정은 망사로 이루어진 세안망 몸체(10)의 일단부를 외측으로 감기도록 둥글게 말아서 다중막으로 구성된 거품발생부(12)를 형성시키고, 이어서 중앙부위를 집어서 거품발생부(12)의 내부를 통해 관통시킨 후에 타단부 테두리측과 같이 손으로 모은 후에 결속부재(16)로 그 외주면을 감아서 결속시킨다.
이때, 거품발생부(12)의 양측 부위에 결속끈(15)을 이용하여 묶어서 풀림 현 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 타단부 테두리와 중앙부위의 결속작업을 자세히 설명하면, 세안망 몸체(1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단부는 앞서 설명한 거품발생부(12)가 형성되고, 타단부는 중앙부위를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묶은 후에 거품발생부(12)의 중앙 내부로 삽입되게 관통시킨 후에 그 묶여진 중앙부의 단부가 타단부의 테두리와 결속부재(16)를 매개로 같이 결속되므로, 거품발생부(12)가 하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부에 결속된 타단부가 위치하도록 한 후에 그 결속부위에 고리(20)의 끈부재(25)를 연결시키면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한 조립이 완료된 거품 세안망은 사용자가 고리(20)의 구멍으로 손가락의 일부를 삽입시켜 파지한 다음에 거품발생부(12)측에 비누, 피부 세정제등의 클렌징 제품을 적당량 묻힌 후에 다중막으로 구성된 거품발생부(12)를 손으로 비벼서 다량의 거품을 발생시키고, 그 발생된 거품을 얼굴에 발라서 세안하는 과정을 갖는다.
이때, 거품을 발생시키는 과정에서 막과 막의 마찰 및 통공과 통공을 통과하는 클렌징 제품의 효소가 미세하게 분해되므로, 거품의 입자가 고운 입자로 갖게 됨과 아울러 많은 양의 거품이 발생하게 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자극을 줄이면서 그 분해비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켜 클렌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적은 양의 클렌징 제품을 사용하게 되어 과다한 세제 사용으로 인한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이 완료된 세안망은 물에 세척한 후에 고리(20)를 이용하여 욕실 벽등의 장소에 걸어서 건조시킨 후에 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망사로 구성되어 적은 양의 클렌징 제품을 묻혀서 다량의 고운 입자를 갖는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것인바,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거품 세안망의 일부위를 다중막을 갖는 거품발생부(12)로 형성시킴으로써, 적은 양의 클렌징 제품으로 많은 양의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량을 절감하고 환경 오염을 예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고운 입자의 거품을 사용하므로 사용자의 피부 자극을 줄이면서 세정 성능이 향상되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일단부 테두리가 외측으로 다중막으로 결속된 거품발생부(12)가 형성되고, 타단부 테두리가 중앙으로 집중되도록 결속부재(16)에 의해 결속되며, 인체에 무해한 폴리에틸렌의 합성수지계열을 재질로 채용하고 다수의 미세한 통공들이 형성되는 망사 소재의 세안망 몸체(10)와;
    상기 세안망 몸체(10)의 타단부에 와이어, 끈 또는 실로 된 끈부재(25)를 매개로 연결되고 손가락이 통과될 정도의 구멍을 갖는 환형의 고리(20);로 구성된 거품 세안망에 있어서,
    상기 거품발생부(12)는 다수개의 통공들이 촘촘하게 미세한 크기로 형성되고 일단부 테두리가 외측으로 말려 올라가서 겹쳐지게 되므로, 다중의 막을 갖도록 감기게 되어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겹쳐진 부위가 풀리지 않도록 결속끈(15)에 의해 양측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세안망.
  2. 삭제
KR1020040078905A 2004-10-05 2004-10-05 거품 세안망 KR100638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905A KR100638253B1 (ko) 2004-10-05 2004-10-05 거품 세안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905A KR100638253B1 (ko) 2004-10-05 2004-10-05 거품 세안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882A KR20040096882A (ko) 2004-11-17
KR100638253B1 true KR100638253B1 (ko) 2006-10-24

Family

ID=37375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905A KR100638253B1 (ko) 2004-10-05 2004-10-05 거품 세안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2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7794A (en) 1998-03-02 1999-01-12 Chien; Kuo-Ching Structure of bathing container
JP2001169960A (ja) 1999-12-15 2001-06-26 Kokubo Kogyosho:Kk 洗顔用泡立て具
JP2002219072A (ja) 2001-01-25 2002-08-06 Reiko Takada 泡立てネットとその製造方法
US6530623B1 (en) 1999-05-12 2003-03-11 Izumi Kazumura Foam-forming net for face-washing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7794A (en) 1998-03-02 1999-01-12 Chien; Kuo-Ching Structure of bathing container
US6530623B1 (en) 1999-05-12 2003-03-11 Izumi Kazumura Foam-forming net for face-washing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JP2001169960A (ja) 1999-12-15 2001-06-26 Kokubo Kogyosho:Kk 洗顔用泡立て具
JP2002219072A (ja) 2001-01-25 2002-08-06 Reiko Takada 泡立てネットと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882A (ko) 200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7227B2 (ja) 表面模様付きのフィルム器具
US6026534A (en) Bathing ball
KR101035140B1 (ko) 클렌징 패드
US4091491A (en) Skin care mitt
CN1249671A (zh) 身体清洗用具
US5713094A (en) Washing implement
JP4448954B2 (ja) 入浴用タオル、垢すりおよび清掃具
US6085380A (en) Bathing implement constructed of looped filaments
KR100638253B1 (ko) 거품 세안망
JP3521217B2 (ja) 洗顔用泡立てネット
JP3532479B2 (ja) 洗顔用泡立て具
US10478021B2 (en) Utility wash cloth
KR20180112970A (ko) 바디 샤워용 루파 글로브
WO2022265143A1 (ko) 다용도 세척 브러시
US9907573B2 (en) Skin-care apparatus
US20240138631A1 (en) Bath Pouf Pouch
US6408478B1 (en) Foam generating net for washing the face
KR101997663B1 (ko) 반려동물 목욕용 밴드형 방수 귀마개
KR200187209Y1 (ko) 진동 샤워기
KR100920691B1 (ko) 세발 보조부재
JPH0237434Y2 (ko)
JP2005111226A (ja) シャワーヘッドカバー
JP2000316744A (ja) 洗顔用泡立てネットとその製造方法
JP2002266147A (ja) キャップ
CN206777269U (zh) 沐浴擦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