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072B1 - 카드 및 호스트 기기 - Google Patents

카드 및 호스트 기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072B1
KR100919072B1 KR1020097006198A KR20097006198A KR100919072B1 KR 100919072 B1 KR100919072 B1 KR 100919072B1 KR 1020097006198 A KR1020097006198 A KR 1020097006198A KR 20097006198 A KR20097006198 A KR 20097006198A KR 100919072 B1 KR100919072 B1 KR 100919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ard
command
identification
voltage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6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7545A (ko
Inventor
아끼히사 후지모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90047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0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9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g. flash memory, one time programmable memory [O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8Saving storage space on storag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1Improving I/O perform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06F3/0659Command handling arrangements, e.g. command buffers, queues, command 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3Detection of memory cassette insertion or removal; Continuity checks of supply or ground lines; Detection of supply variations, interruptions or levels ; Switching between alternative suppl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1Error dete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2003/0697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device management, e.g. handlers, drivers, I/O schedul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6/00Indexing scheme related to dedicated interfaces for computers
    • G06F2206/10Indexing scheme related to storage interfaces for computers, indexing schema related to group G06F3/06
    • G06F2206/1014One time programmable [OTP] memory, e.g. PROM, W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4B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 Power Source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호스트 기기(2)는 카드(1)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또한 카드에 정보를 기입하고, 또한 제1 전압 범위 또는 제1 전압 범위보다 작은 제2 전압 범위 중의 어느 하나에 속하는 전원 전압을 공급 가능하고, 전압 식별 커맨드(CMDV)를 상기 카드에 발행한다. 전압 식별 커맨드는, 전압 범위 식별부(VOLS)와, 오류 검출부(ED)와, 체크 패턴부(CPS)를 포함한다. 전압 범위 식별부는, 전원 전압이 제1 전압 범위 또는 제2 전압 범위의 어디에 속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오류 검출부는, 전압 식별 커맨드를 수신한 카드가 전압 식별 커맨드의 오류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패턴을 갖는다. 체크 패턴부는 미리 설정된 패턴을 갖는다.

Description

카드 및 호스트 기기{CARD AND HOST DEVICE}
본 발명은, 카드 및 호스트 기기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 및 호스트 기기의 동작 전압 및 용량의 확인에 관한 것이다.
최근, 퍼스널 컴퓨터, PDA, 카메라, 휴대 전화 등의 여러 가지 휴대용 전자 기기에 있어서는, 리무버블 기억 디바이스의 하나인 메모리 카드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메모리 카드로서는, PC 카드, 및 소형의 SDTM 카드가 주목받고 있다. SDTM 카드는, 플래시 메모리 및 카드 컨트롤러 등을 내장한 메모리 카드이며, 특히 소형화, 대용량화, 및 고속화의 요구에 걸맞도록 설계되어 있다.
종래, 메모리 카드 및 그 호스트 기기의 동작 전압은, 3.3V(고전압) 레인지이고, 2.7 내지 3.6V의 전압 범위를 서포트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더욱 낮은 전압, 예를 들면 1.8V(저전압) 레인지, 즉 예를 들면, 1.65 내지 1.95V의 전압 범위를 서포트하는 동작에 대한 요구가 나오고 있다.
또한, 종래의 메모리 카드의 용량에서는, 대용량화하는 데이터의 보존에 충분하지 않고, 대용량의 정보를 기억 가능한 SDTM 카드의 실현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동작 전압 및 용량의 상호 확인이 가능한 메모리 카드 및 호스트 기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시점에 따른 호스트 기기는, 카드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또한 카드에 정보를 기입하고, 또한 제1 전압 범위 또는 상기 제1 전압 범위보다 낮은 제2 전압 범위 중의 어느 하나에 속하는 전원 전압을 공급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전압 범위 식별부와, 오류 검출부와, 체크 패턴부를 포함한 전압 식별 커맨드를 상기 카드에 발생하도록 구성된 호스트 기기로서, 상기 전압 범위 식별부가, 상기 전원 전압이 상기 제1 전압 범위 또는 상기 제2 전압 범위 중의 어디에 속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류 검출부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를 수신한 카드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의 오류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패턴을 갖고, 상기 체크 패턴부가, 미리 설정된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시점에 따른 카드는, 정보를 기록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갖고, 제1 전압 범위에 속하는 전압만, 또는 상기 제1 전압 범위 및 상기 제1 전압 범위보다 낮은 제2 전압 범위에 속하는 전압으로 동작 가능하고, 전압 범위 식별부와, 오류 검출부와, 체크 패턴부를 포함한 전압 식별 커맨드를 공급받도록 구성된 카드로서,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에 응답하여, 전압 범위 식별부와, 오류 검출부 또는 체크 패턴부를 포함한 리스폰스를 발행하고, 상기 리스폰스의 상기 전압 범위 식별부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의 상기 전압 범위 식별부와 동일한 패턴을 갖고, 상기 리스폰스의 상기 오류 검출부가, 상기 리스폰스를 수신한 기기가 상기 리스폰스의 오류를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패턴을 갖고, 상기 리스폰스의 상기 체크 패턴부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의 상기 체크 패턴과 동일한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카드 및 호스트 기기의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메모리 카드 내의 NAND형 플래시 메모리에 있어서의 데이터 배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메모리의 초기화 직전까지, 호스트 기기가 발행하는 커맨드를 예시하는 도면.
도 4는 전압 체크 커맨드의 내용의 주요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전압 체크 커맨드의 리스폰스의 내용의 주요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호스트 기기가 고전압 범위 동작인 경우의, 동작 전압 범위의 체크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7은 호스트 기기가 저전압 범위 동작인 경우의, 동작 전압 범위의 체크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의 내용의 주요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의 리스폰스의 내용의 주요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메모리의 초기화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대략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은 필요한 부분에만 행한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는, 호스트 기기 및 카드가 서포트하고 있는 동작 전압 범위의 상호 확인에 관한 것이다.
저전압 동작이 가능한 카드를 실현한 경우, 고전압 동작만을 서포트하는 카드(고전압 카드)와, 저전압과 고전압을 서포트하는 카드(2전압 카드)와, 저전압을 공급하는 호스트 기기와, 고전압을 공급하는 호스트 기기가 혼재되어 유통되는 것이 예상된다.
그 결과, 저전압을 공급하는 호스트 기기(저전압 호스트 기기)와 고전압 카드가 조합된 경우에, 이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각 카드는, 호스트 기기에 삽입되었을 때에, 호스트 기기로부터의 커맨드에 의해 초기화된다. 초기화 시에, 호스트 기기는, 카드에 설치되어 있는, 동작 조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레지스터 내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커맨드를 카드에 발행한다. 이 정보로부터, 호스트 기기는, 카드가 서포트하는 전압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 동작 조건에 관한 정보의 취득 시에, 고전압 카드는, 저전압 동작을 서포트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호스트로부터 공급된 저전압의 전원에 의해 동작하여, 동작 조건 레지스터의 정보를 공급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카드가 본래 서포트하고 있지 않은 전압에 의해 카드가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동작 조건 레지스터 정보의 수수 자체의 정당성을 보증할 수 없다. 이로 인해, 호스트 기기가, 삽입된 카드의 초기화를 시도하여, 초기화가 실패한 경우에는, 카드가 저전압 동작을 서포트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는 방법이 취해지게 된다.
또한, 고전압을 공급하는 종래의 호스트 기기와, 2전압 카드의 경우에는, 양자가 고전압에서 동작해도 되므로, 특별히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카드 및 호스트 기기의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1)는, 메모리(3), 카드 컨트롤러(4)를 포함하고 있다.
카드(1)는, 고전압(예를 들면 3.3V)만, 또는 고전압과 저전압(예를 들면 1.8V)의 양쪽의 동작을 서포트하고 있다. 또한, 저전압 동작이라고 하는 경우, 실제로는, 카드(1) 및 호스트 기기(2)가, 1.8V를 포함하는 범위의 전압(예를 들면 1.65V 내지 1.95V)에 대응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고전압 동작이라고 하는 경우, 3.3V를 포함하는 범위의 전압(예를 들면 2.7 내지 3.6V)에 대응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형적으로는, 동작 전압의 범위 자체는, 카드(1)와 호스트 기기(2) 사이에서 동일하다. 저전압의 범위와 고전압의 범위 사이에는, 미사용 전압의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호스트 기기(2)는, 전압 공급부(5), 판독/기입부(6), 커맨드 제어부(7) 등을 포함하고 있다. 전압 공급부(5)는, 고전압 또는 저전압의 전원 전위 Vdd로 동작함과 함께, 이 전원 전위 Vdd 및 공통 전위 Vss를 카드에 공급한다. 판독/기입부(6)는, 카드(1)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카드(1)에 데이터를 기입하거나 한다. 커맨드 제어부(7)는, 카드(1)와 커맨드 및 리스폰스의 수수를 행한다. 참조 부호 11, 12, 13, 14, 17에 대해서는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다.
메모리(3)로서, 예를 들면 NAND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NAND형 플래시 메모리의 데이터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NAND형 플래시 메모리(11)의 각 페이지는, 2112Byte((512Byte분의 데이터 기억부 + 16Byte분의 용장부) × 4)를 갖고 있으며, 128페이지분이 하나의 소거 단위(256kByte + 8kByte)로 된다.
또한, NAND형 플래시 메모리(21)는, 플래시 메모리로의 데이터 입출력을 행하기 위한 페이지 버퍼(21A)를 구비하고 있다. 이 페이지 버퍼(21A)의 기억 용량은, 2112Byte(2048Byte + 64Byte)이다. 데이터 기입 등을 행할 때에는, 페이지 버퍼(21A)는, 플래시 메모리에 대한 데이터 입출력 처리를 자신의 기억 용량에 상당하는 1페이지분의 단위로 실행한다.
NAND형 플래시 메모리(21)의 기억 용량이 예를 들면 1G 비트인 경우, 256kByte 블록(소거 단위)의 수는 512개로 된다. 또한, 이 NAND형 플래시 메모리(21)는, 예를 들면 0.09㎛ 프로세스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즉, NAND형 플래시 메모리(21)의 디자인 룰은 0.1㎛ 미만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소거 단위가 256kByte 블록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소거 단위가 예를 들면 16kByte 블록으로 되도록 구축하는 것도 실용상 유효하다. 이 경우, 각 페이지는 528Byte(512Byte분의 데이터 기억부 + 16Byte분의 용장부)를 갖고 있으며, 32페이지분이 하나의 소거 단위(16kByte + 0.5kByte(여기에서, k는 1024))로 된다. 또한, NAND형 플래시 메모리(21)로서는, 하나의 메모리 셀에 1비트의 정보를 기억하는 2치 메모리여도 되고, 하나의 메모리 셀에 2비트 이상의 정보를 기억하는 다치 메모리여도 된다.
다음으로, 도 1의 카드(1) 및 호스트 기기(2)를 이용한 초기화 방법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초기화 처리에는, 여러 가지 처리가 포함되어 있으며, 먼저, 메모리의 초기화 직전까지, 호스트 기기(2)가 발행하는 커맨드의 개략을 설명한다. 도 3은, 메모리의 초기화 직전까지, 호스트 기기(2)가 발행하는 커맨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후술하는 메모리의 초기화 커맨드에 의해, 메모리(2)의 동작 조건 레지스터로부터 정보를 취득하기 전까지는, 카드(1) 및 호스트 기기(2)는 동작 전압에 의해 동작한다. 이 동안에, 카드(1)는 동작 전압에 의해 동작할 수 있을 것이 필요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화의 개시에 수반하여, 호스트 기기(2)는 리셋 커맨드(CMDR)를 발행한다. 리셋 커맨드(CMDR)가 카드(1)에 발행됨으로써, 카드(1)의 각 회로가 리셋된다.
다음으로, 호스트 기기(2)는 전압 체크 커맨드(CMDV)를 발행한다. 이 커맨드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새롭게 도입되는 커맨드이다. 이로 인해, 종래의 카드(1)는, 이 전압 체크 커맨드(CMDV)를 인식하지 않고, 이 커맨드가 공급되더라도, 호스트 기기(2)에 대하여 리스폰스를 돌려주지 않는다. 전압 체크 커맨드(CMDV)를 이용하여, 호스트 기기(2)와 카드(1) 사이에서, 서포트하고 있는 동작 전압(동작 전압 범위)를 서로 확인할 수 있다. 상호 확인 방법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예를 들면 카드(1)가 데이터 보존 기능으로부터 확장된 각종의 I/O 기능을 서포트하고 있는 경우, 호스트 기기(2)는 카드(1)에 초기화 커맨드(CMDIO)를 발행한다. 이 후, 메모리(1)의 초기화 커맨드가 공급된다. 메모리의 초기화에 관해서는,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다.
다음으로, 전압 체크 커맨드(CMDV)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전압 체크 커맨드(CMDV)의 내용의 주요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압 체크 커맨드(CMDV)는, 적어도 체크 패턴부(CPS)와, 전압 범위 식별부(VOLS)를 갖는다. 전압 범위 식별부(VOLS)는, 호스트 기기(2)가 저전압 동작과 고전압 동작 중의 어느 것을 서포트하고 있는가를 일의적으로 나타내는 패턴을 갖는다.
체크 패턴부(CPS) 및 전압 범위 식별부(VOLS)의 비트수는 임의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는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호스트 기기(2)와 카드(1)는, 전압 범위 식별부(VOLS)의 비트 패턴의 일치, 불일치를 검토함으로써, 서로의 동작 전압 범위를 인식한다. 이로 인해, 노이즈에 의해 이 부분의 패턴이 변화된 경우 등에 오인식되지 않도록, 체크 패턴부(CPS)는 예를 들면 8비트 정도, 전압 범위 식별부(VOLS)는 예를 들면 4비트 정도로 할 수 있다. 커맨드부(CM)에는 이 커맨드를 식별하기 위한 인덱스가 형성된다.
커맨드가 호스트 기기(2)로부터 카드(1)에 올바르게 전해졌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압 체크 커맨드(CMDV) 내에, 예를 들면 CRC(Cyclic Redundancy Check) 등의 오류 검출 부합 등을 이용한 오류 검출 부호부(ED)가 설정된다. 카드(1)는, 오류 검출 부합을 이용하여, 전압 체크 커맨드(CMDV) 내의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5는 전압 체크 커맨드(CMDV)의 리스폰스의 내용의 주요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압 체크 커맨드(CMDV)의 리스폰스는, 적어도 체크 패턴부(CPA)와, 전압 범위 식별부(VOLA)를 갖는다. 카드(1)는, 체크 패턴부(CPA)에 있어서 전압 체크 커맨드(CMDV)와 동일한 비트 패턴을 형성하고, 전압 범위 식별부(VOLA)에 있어서 전압 범위 식별부(VOLS)와 동일한 비트 패턴을 형성한 다음, 호스트 기기에 리스폰스를 돌려준다. 리스폰스에는, 전압 체크 커맨드(CMDV)의 경우와 동일하게, 오류 검출 부호부(ED)가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호스트 기기(2)는, 오류 검출 부합을 이용하거나, 리스폰스가 커맨드와 동일한 패턴인지를 비교함으로써, 전압 체크 커맨드(CMDV)의 리스폰스 내의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호스트 기기(2)와 카드(1)가, 전압 체크 커맨드(CMDV)를 이용하여 상대가 서포트하는 동작 전압 범위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호스트 기기(2)가 저전압 범위 동작인 경우와 고전압 범위 동작인 경우에 따라 처리가 상이하다. 우선, 고전압 범위 동작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호스트 기기(2)가 고전압 범위 동작인 경우의, 동작 전압 범위의 체크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T1에 있어서, 호스트 기기(2)는, 전술한 전압 체크 커맨드(CMDV)를, 카드(1)에 발행한다.
스텝 ST2에 있어서, 호스트 기기(2)는, 전압 체크 커맨드(CMDV)에 대한 리스폰스의 유무를 판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카드는, 전압 체크 커맨드(CMDV)를 인식하지 않기 때문에, 이 커맨드에 대한 리스폰스를 발행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호스트 기기(2)는 카드(1)가 저전압 카드가 아니라, 즉 고전압 범위 동작에 의해 처리를 계속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메모리의 초기화 처리로 이행한다. 메모리의 초기화에 관해서는,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다.
한편, 초기화 중인 카드(1)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카드인 경우, 카드(1)는 도 5에 도시한 리스폰스를 호스트 기기(2)에 돌려준다. 이 때, 우선, 카드(1)는, 전압 체크 커맨드(CMDV)의 전압 범위 식별부(VOLS)의 비트 패턴을 관찰한다. 그리고, 이 비트 패턴과 동일한 비트 패턴을 전압 범위 식별부(VOLA)에서 갖는 리스폰스를 돌려준다.
다음으로, 스텝 ST3에 있어서, 호스트 기기(2)는, 리스폰스 내의 전압 범위 식별부(VOLA)의 패턴과, 전압 체크 커맨드(CMDV) 내의 전압 범위 식별부(VOLS)의 패턴의 일치를 확인한다. 이들의 일치가 확인됨으로써, 호스트 기기(2)는, 카드(1)가 전압 체크 커맨드(CMDV)를 인식 가능한 신 카드이고, 호스트 기기(2)의 동작 전압 범위를 서포트하고 있음을 인지한다.
또한, 동시에, 호스트 기기(2)는, CRC 체크, 또는 리스폰스의 비트 패턴이 커맨드의 비트 패턴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다. 이에 따라, 전압 체크 커맨드(CMDV)의 수수가 신뢰할 수 있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커맨드 내에 오류 검출 부호가 형성되는 버스 모드의 경우, 리스폰스 내의 오류 검출 부호부(ED)의 패턴을 예를 들면 CRC 부호로 하여 리스폰스의 정당성을 확인한다. 또한, 전압 체크 커맨드(CMDV) 내에 오류 검출 부호부(ED)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버스 모드인 경우에는, 전압 범위 식별부 VOLS와 전압 범위 식별부 VOLA, 및 커맨드와 리스폰스 각각의 체크 패턴부(CPS, CPA)의 일치를 이용하여 정상적인 리스폰스라고 판정한다. 리스폰스가 정상이라고 판정된 경우, 전압 체크 처리는 종료한다. 그 후, 플로우는 메모리의 초기화 처리로 이행한다. 이것에 대해서는,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다.
한편, 전압 범위 식별부 VOLS와 전압 범위 식별부 VOLA가 불일치한 경우, 또는(및) 체크 패턴부 CPS와 체크 패턴부 CPA가 불일치한 경우, 오류 검출 부호에 의해 오류가 검출된 경우, 동작 전압 범위의 체크 처리가 종료된다. 이에 따라, 초기화 처리가 정지된다.
도 7은 호스트 기기(2)의 동작 전압이 저전압 범위 내인 경우의, 동작 전압 범위의 체크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고전압 범위 동작의 경우와 상이한 것은, 이하의 1점뿐이다. 즉, 스텝 ST2에 있어서, 카드(1)로부터의 리스폰스가 없는 경우, 카드(1)는 저전압에서 동작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저전압 범위 동작의 호스트 기기(2)가 고전압 카드를 처리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초기화 처리가 정지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카드(1) 및 호스트 기기(2)에 따르면, 새롭게 형성된 커맨드의 수수에 의해, 카드(1) 및 호스트 기기(2)가, 상대가 서포트하는 동작 전압 범위를 지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카드(1) 및 호스트 기기(2)가 함께 서포트하고 있는 동작 전압 범위에 따라, 후속하는 초기화 처리를 정상적인 동작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기기(2)는, 양자가 서포트하는 동작 전압 범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것을 검출함과 함께 초기화 처리를 중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정상이 아닌 상태에서의 초기화 등의 불필요한 처리, 및 호스트의 오동작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압 체크 커맨드(CMDV)가 체크 패턴을 갖고 있으며, 카드(1)는, 전압 체크 커맨드(CMDV)의 리스폰스 중에 이 체크 패턴과 동일한 패턴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이 체크 패턴을 비교함으로서 전압 체크 커맨드(CMDV)의 수수가 신뢰할 수 있는 것임이 보증된다. 이로 인해, 각 커맨드 내에 부호 오류 검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버스 모드인 경우에도 리스폰스 내의 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는, 카드가 탑재하는 메모리가, 대용량 메모리인지 소용량 메모리인지에 따른 메모리의 초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용량의 정보를 기억 가능한 카드(대용량 카드)의 실현에 있어서, 대용량 카드에 대응하는 포맷을 새롭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새로운 포맷에 따른 파일 시스템은, 종래의 저용량 포맷의 파일 시스템과 상이하다. 그리고, 저용량 포맷에 따른 종래의 호스트 기기는, 대용량 카드의 파일 시스템을 인식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종래의 호스트 기기가 대용량 카드를 잘못 초기화하게 되면, 카드의 데이터가 파괴될 우려가 있다.
호스트 기기가 대용량을 서포트하고 있는지의 여부, 및 초기화 중인 카드가 대용량을 서포트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이하의 4가지 조합이 생긴다.
(1) 종래의 호스트 기기(대용량 서포트하지 않음) + 소용량 카드
(2) 종래의 호스트 기기 + 대용량 카드
(3) 대용량 서포트 호스트 기기(소용량도 서포트) + 소용량 카드
(4) 대용량 서포트 호스트 기기 + 대용량 카드
이상의 어느 경우인지를, 호스트 기기 또는(및) 카드가 검출하여, 이것에 맞는 대응을 하는 것이 요망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카드(11)는, 소용량 또는 대용량의 메모리(13), 카드 컨트롤러(14)를 탑재하고 있다. 호스트 기기(12)는 커맨드 제어부(17)를 포함한다. 커맨드 제어부(17)는, 제1 실시 형태의 커맨드 제어부(7)의 기능에 더하여, 후술하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를 서포트함과 함께, 소용량 카드, 및 대용량 카드의 모두를 서포트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메모리의 초기화 커맨드의 내용은, 제1 실시 형태의 플로우차트에서 어디에 도착했는가에 따라 상이하다. 동작 전압 범위 체크의 처리 결과, 처리가 도 6의 A에 도달한 경우, 호스트 기기(12)는, 전압 체크 커맨드(CMDV)를 발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종래형이 아니라, 즉 대용량에도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초기화 중인 카드가 소용량 카드인 경우에는 상기의 경우 (3)에 대응한다. 이 경우, 호스트 기기(12)는 종래의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를 발행한다. 카드(1)의 카드 컨트롤러(14)는, 이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를 받아서, 종래와 호환성이 있는 모드로 메모리를 초기화한다.
한편, 처리가 도 6 또는 도 7의 B에 도달한 경우, 호스트 기기(12)는, 이하에 나타내는 새로운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를 이용하여 메모리의 초기화를 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새로운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의 내용의 주요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는, 제1 전압 식별부(V1S), 제2 전압 식별부(V2S), 용량 식별부(HCS), 비지 통지부(BS)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2 전압 식별부(V2S)가 없고, 제1 전압 식별부(V1S)만이 정의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전압 식별부(V1S)는, 예를 들면 복수개의 비트로 구성되고, 각 비트가 적당한 폭의 전압(예를 들면 0.1V)에 대응한다. 제1 전압 식별부(V1S)가 대응하는 전압의 범위는, 제1 실시 형태의 고전압 동작 범위와 동일하다. 호스트 기기(12)는 현재 인가하고 있는 전압을 나타내는 비트를 “1”로 한다.
제2 전압 식별부(V2S)는 1비트로 구성된다. 복수개의 비트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호스트 기기(12)가 저전압 범위의 전압을 인가하고 있을 때에, 이 비트가 셋트된다. 제2 전압 식별부(V2S)가 복수개의 비트인 경우, 제2 전압 식별부(V2S)의 각 비트가 커버하는 전압의 폭은, 제1 전압 식별부(V1S)의 그것보다 작게 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0.05V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장래, 호스트 기기 및 카드의 동작 전압이 더욱 저하된 경우에도, 더욱 세밀하게 자신의 동작 전압을 나타낼 수 있다. 제2 전압 식별부(V2S)가 대응하는 전압의 범위는, 제1 실시 형태의 저전압 동작 범위와 동일하다.
제1 전압 식별부(V1S)가 커버하는 전압 범위와 제2 전압 식별부(V2S)가 커버하는 전압 범위 사이에는, 중간 전압 범위부(VM)가 설치된다. 호스트 기기(12)는 중간 전압 범위부(VM)에 대응하는 전압 범위를 서포트하지 않고, 이로 인해, 중간 전압 범위부(VM) 내의 각 비트가 “1”로 되지는 않는다.
중간 전압 범위부(VM)를 설치함으로써, 이하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카드(11)가 2개의 동작 전압 범위에 대응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카드 컨트롤러(14)는 전압 레귤레이터를 갖는다. 전압 레귤레이터는, 호스트 기기(12)로부터의 전원 전압이 고전압인지 저전압인지를 판단하고, 이 전원 전압을 카드(11)의 동작 전압으로 변환한다. 이 때, 2개의 동작 전압 범위가 연속되어 있으면, 예를 들면 2개의 동작 전압 범위의 거의 중간의 전압이 공급된 경우에 전압 레귤레이터의 판정이 곤란해진다. 그 결과, 동작이 늦어진다. 이에 비하여, 미사용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전압 레귤레이터가 공급 전압이 속하는 범위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용량 식별부(HCS)는, 호스트 기기(12)가, 소용량만 서포트하고 있는지, 소용량 및 대용량 양쪽을 서포트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패턴을 갖는다. 비지 통지부(BS)는, 리스폰스에 있어서 0 또는 1로 되어, 커맨드 내에서는, 불변(예를 들면 “0”)이다. 신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는, CRC 부호 등으로 이루어지는 오류 검출부(ED)를 갖고 있어도 된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의 리스폰스의 내용의 주요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의 리스폰스의 각 부는, 커맨드와 동일한 포맷을 갖고, 제1 전압 식별부(V1A), 제2 전압 식별부(V2A), 용량 식별부(HCA), 비지 통지부(BA)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전압 식별부(V1A)는, 커맨드 내의 제1 전압 식별부(V1S)와 동일한 비트수를 갖고, 자신이 서포트하는 동작 전압에 대응하는 비트 전체를 예를 들면 “1”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2 전압 식별부(V2A)도, 커맨드 내의 제2 전압 식별부(V2S)와 동일한 비트수를 갖는다. 카드(11)는, 자신이 서포트하는 동작 전압에 대응하는 비트 전체를 예를 들면 “1”로 한다.
용량 식별부(HCA)는, 카드(11)가, 소용량 카드인지, 대용량 카드인지를 나타내고 있다. 비지 통지부(BS)는, 메모리의 초기화가 행해지고 있는 동안, 그 취지를 나타내는 비트 패턴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메모리의 초기화 방법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메모리의 초기화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도 6 및 도 7의 A 및 B의 연속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적어도, 카드(11) 및 호스트 기기(12)의 쌍방이 전압 체크 커맨드(CMDV)를 발행하는 것을 서포트하고 있을 것이, 신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의 발행 조건으로 된다. 그리고, 카드(11)가 대용량 카드인 경우에는, 신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가 발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T11에 있어서, 호스트 기기(2)는 도 8에 도시한 신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를 발행한다. 호스트 기기(2)가 대용량 카드를 서포트하고 있는 경우, 이 커맨드의 용량 식별부(HCS)는, 대용량 카드를 서포트하는 취지의 비트 패턴으로 설정된다.
또한, 호스트 기기가 종래의 타입인 경우, 전압 체크 커맨드(CMDV) 및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신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는 발행되지 않는다. 그리고, 초기화 중인 카드가 소용량 카드인 경우, 상기의 (1)의 경우에 해당하고, 종래의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에 응답하여, 카드(11)는, 종래와 호환이 있는 모드에서 초기화된다(카드(11)가 리스폰스를 돌려주는 동작도 포함된다).
호스트 기기가 종래의 타입이고, 초기화 중인 카드(11)가 대용량 카드인 경우, 상기의 (2)의 경우에 해당하고, 전압 체크 커맨드(CMDV)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카드(11)는, 초기화 처리를 중지하기 위하여,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에 대하여 초기화를 완료시키지 않는다. 호스트 기기는, 타임 아웃 체크에 의해 초기화할 수 없었음을 검지한다. 이로 인해, 대용량 카드가 소용량 포맷에 의해 잘못 초기화되는 것이 회피된다.
다음으로, 스텝 ST12에 있어서, 호스트 기기(12)는, 신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에 대한 리스폰스의 유무를 판정한다. 리스폰스가 없는 경우에는 에러로 하여 처리 는 종료된다. 리스폰스가 있었던 경우, 스텝 ST13에 있어서, 호스트 기기(12)는, 리스폰스 중인 비지 통지부(BA)의 비트 패턴을 체크한다. 이 비트 패턴이, 메모리의 초기화가 종료되어, 그 취지를 나타내는 패턴으로 될 때까지, 호스트 기기(12)는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를 계속하여 발행한다(스텝 ST14). 이 때, 일단 메모리(13)의 초기화가 개시되면, 리스폰스를 돌려주는 것만으로, 카드(11)는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의 인수에 설정된 내용 자체는 계속하여 무시한다. 또한, 호스트 기기(12)는, 메모리(13)의 초기화를 하고 있는 시간에 대한 타임 아웃 체크를 행한다.
메모리(13)의 초기화가 종료되면, 스텝 ST15에 있어서, 호스트 기기(12)는, 리스폰스 중인 용량 식별부(HCA)의 비트 패턴을 체크한다. 용량 식별부(HCA)는 초기화가 완료되었을 때에 유효하게 된다. 초기화 중인 카드(11)가 신 카드이고, 소용량 카드인 경우에는, HCA=0을 나타내고, 상기 (3)의 경우에 해당한다. 그 결과, 호스트 기기(12)는, 카드가 소용량 카드로서 초기화되었음을 지득한다. 대용량 카드의 경우에는, HCA=1을 나타내고, 상기의 (4)의 경우에 해당한다. 그 결과, 호스트 기기(12)는, 카드(11)가 대용량 카드로서 초기화되었음을 지득한다. 그 후, 처리는, 또 다른 처리(예를 들면 카드(11)의 ID의 취득)로 이행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호스트 기기(12) 및 카드(11)에 따르면,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와 리스폰스 내에, 소용량 카드 또는 대용량 카드의 서포트 정보나 식별 정보가 형성된다. 호스트 기기(12) 및 카드(11)는 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대가 대용량을 서포트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호스트 기기(12) 및 카드(11)가, 모두 대용량을 서포트하고 있는 경우에만, 대용량 카드(11)가 초기화된다. 호스트 기기(12) 및 카드(11)가, 모두 소용량을 서포트하고 있는 경우에만, 소용량 카드가 초기화된다. 또한, 대용량을 서포트하는 호스트 기기(12)는 소용량도 서포트해야만 하기 때문에, 소용량 호스트가 대용량 카드(11)를 초기화하고자 한 경우에만, 초기화 처리가 중지된다. 따라서, 신구 호스트 기기와, 신구 카드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에도,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있어서, 당업자라면, 각종의 변경예 및 수정예를 상도할 수 있는 것이고, 이들 변경예 및 수정예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작 전압 및 용량의 상호 확인이 가능한 카드 및 호스트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6)

  1. 카드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카드에 정보를 기입하고, 제1 전압 범위 또는 상기 제1 전압 범위의 하한보다 낮은 상한을 가지는 제2 전압 범위에 속하는 전원 전압을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전압 범위 식별부, 오류 검출부 및 체크 패턴부를 포함하는 전압 식별 커맨드를 상기 카드에 발행하도록 구성된 호스트 기기로서,
    상기 전압 범위 식별부는, 상기 전원 전압이 상기 제1 전압 범위 및 상기 제2 전압 범위 중 어디에 속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류 검출부는,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를 수신한 상기 카드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가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패턴을 갖고,
    상기 체크 패턴부는 미리 설정된 패턴을 가지며,
    상기 호스트 기기는, 상기 호스트 기기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에 대한 리스폰스를 수신했는지 여부에 따라 초기화 커맨드를 새로운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로 변경하고,
    상기 초기화 커맨드는 상기 카드가 메모리를 초기화하도록 지시하는 제1 전압 식별부 및 중간 전압 범위부를 포함하고,
    상기 새로운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는 상기 제1 전압 식별부, 상기 중간 전압 범위부 및 제2 전압 식별부와, 적어도 용량 식별부를 포함하는 부(section)를 포함하며,
    상기 호스트 기기는 상기 새로운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를 상기 카드에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기기는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에 대한 리스폰스를 수신하고,
    상기 리스폰스는 전압 범위 식별부와, 오류 검출부 또는 체크 패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류 검출부는 상기 리스폰스의 오류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패턴을 갖고,
    상기 호스트 기기는,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의 전압 범위 식별부와 상기 리스폰스의 전압 범위 식별부가 동일한 패턴을 갖고, 상기 오류 검출부 및 상기 체크 패턴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리스폰스가 유효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다음 커맨드를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기기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에 대한 리스폰스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전압 범위에 속하는 전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기기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의 리스폰스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전압 초기화 커맨드는, 상기 호스트 기기가 소용량만을 서포트(support)하고 있는지 또는 상기 호스트 기기가 소용량과 대용량을 모두 서포트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는 제1 동작 전압 식별부 또는 제2 동작 전압 식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동작 전압 식별부는 제1 폭의 전압에 대응하는 제1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동작 전압 식별부는 상기 제1 폭의 전압보다 작은 제2 폭의 전압에 대응하는 제2 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기기.
  6. 정보를 기입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제1 전압 범위에 속하는 전압 범위, 또는 상기 제1 전압 범위의 하한보다 낮은 상한을 가지는 제2 전압 범위에 속하는 전압 범위에서 동작 가능하고,
    전압 범위 식별부, 오류 검출부 및 체크 패턴부를 포함하는 전압 식별 커맨드를 인식하도록 구성된 카드로서,
    상기 카드는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에 응답하여, 전압 범위 식별부, 오류 검출부 및 체크 패턴부를 포함하는 리스폰스를 발행하거나 발행하지 않으며,
    상기 카드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에 의해 지정된 전압 범위 내에서 동작할 수 있을 때, 상기 리스폰스의 전압 범위 식별부는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의 전압 범위 식별부와 동일한 패턴을 갖고,
    상기 리스폰스의 오류 검출부는 상기 리스폰스가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패턴을 갖고,
    상기 리스폰스의 체크 패턴부는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의 체크 패턴부와 동일한 패턴을 가지며,
    상기 카드는, 상기 카드가 발행한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의 리스폰스에 따라 초기화 커맨드 및 새로운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 중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초기화 커맨드는 상기 카드가 메모리를 초기화하도록 지시하는 제1 전압 식별부 및 중간 전압 범위부를 포함하고,
    상기 새로운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는 상기 제1 전압 식별부, 상기 중간 전압 범위부 및 제2 전압 식별부와, 적어도 용량 식별부를 포함하는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를 수신한 후 상기 초기화 커맨드를 수신하고, 상기 카드가 소용량인 경우, 상기 카드는 상기 카드의 초기화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리스폰스를 발행하고,
    상기 카드가, 호스트 기기가 소용량만을 서포트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초기화 커맨드를 수신하고, 상기 카드가 대용량인 경우, 초기화가 캔슬(calcel)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를 수신한 후, 호스트 기기가 소용량과 대용량 모두를 서포트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초기화 커맨드를 수신하는 때에, 상기 카드는, 상기 카드가 소용량인 경우에는 초기화가 소용량으로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리스폰스를 발행하고, 상기 카드가 대용량인 경우에는 초기화가 대용량으로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리스폰스를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고 상기 초기화 커맨드를 수신하고, 상기 카드가 소용량인 경우, 상기 카드는 상기 카드의 초기화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리스폰스를 발행하고,
    상기 카드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고 상기 초기화 커맨드를 수신하고, 상기 카드가 대용량인 경우, 초기화가 캔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10. 호스트 기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카드로서,
    정보를 기입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전압 범위 내에 있는 전압의 공급에 의해 동작하고,
    전압 식별 커맨드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카드의 동작 전압이 상기 전압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1 리스폰스를 발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호스트 기기가 대용량 또는 소용량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서포트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초기화 커맨드를 인식하도록 구성되며,
    초기화 완료 후에 상기 카드가 소용량 또는 대용량을 서포트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리스폰스를 발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기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카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의 공급이 없는 경우와, 상기 호스트 기기가 서포트하는 용량과 상기 카드가 서포트하는 용량이 매칭(matching)되지 않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가 만족될 때, 상기 카드가 초기화를 중지(abandon)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기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카드.
  12. 정보를 기입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제1 전압 범위에 속하는 전압 범위, 또는 상기 제1 전압 범위의 하한보다 낮은 상한을 가지는 제2 전압 범위에 속하는 전압 범위에서 동작가능하고,
    전압 범위 식별부, 오류 검출부 및 체크 패턴부를 포함하는 전압 식별 커맨드를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카드로서,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에 응답하여 전압 범위 식별부 및 체크 패턴부를 포함하는 리스폰스를 발행하거나 발행하지 않으며,
    상기 카드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에 의해서 지정되는 전압 범위에서 동작할 수 있는 경우에 상기 리스폰스의 전압 범위 식별부는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의 전압 범위 식별부와 동일한 패턴을 가지며,
    상기 리스폰스의 체크 패턴부는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의 체크 패턴부와 동일한 패턴을 가지며,
    상기 카드는, 상기 카드가 발행하는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의 리스폰스에 따라 초기화 커맨드 및 새로운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 중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초기화 커맨드는 상기 카드가 메모리를 초기화하도록 지시하는 제1 전압 식별부 및 중간 전압 범위부를 포함하며,
    상기 새로운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는 상기 제1 전압 식별부, 상기 중간 전압 범위부 및 제2 전압 식별부와, 적어도 용량 식별부를 포함하는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를 수신한 후에 초기화 커맨드를 수신하고, 상기 카드가 소용량인 경우, 상기 카드는 상기 카드의 초기화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리스폰스를 발행하고,
    상기 카드가, 호스트 기기가 소용량만을 서포트하는 것을 나타내는 초기화 커맨드를 수신하고 상기 카드가 대용량인 경우, 상기 초기화가 캔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의 수신 후에, 호스트 기기가 소용량 및 대용량 모두를 서포트하는 것을 나타내는 초기화 커맨드를 수신하는 때에, 상기 카드는 상기 카드가 소용량인 경우에는 소용량으로 초기화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리스폰스를 발행하고, 상기 카드가 대용량인 경우에는 대용량으로 초기화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리스폰스를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고서 초기화 커맨드를 수신하고, 상기 카드가 소용량인 경우에, 상기 카드는 상기 카드의 초기화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리스폰스를 발행하고,
    상기 카드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고서 초기화 커맨드를 수신하고, 상기 카드가 대용량인 경우, 상기 초기화가 캔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16. 카드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카드에 정보를 기입하고,
    제1 전압 범위 또는 상기 제1 전압 범위의 하한보다 낮은 상한을 가지는 제2 전압 범위에 속하는 전원 전압을 공급하며,
    전압 범위 식별부, 오류 검출부 및 체크 패턴부를 포함하는 전압 식별 커맨드를 상기 카드에 발행하도록 구성되는 호스트 기기로서,
    상기 전압 범위 식별부는 상기 전원 전압이 상기 제1 전압 범위 및 상기 제2 전압 범위 중 어디에 속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류 검출부는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를 수신한 카드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가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패턴을 가지고,
    상기 체크 패턴부는 미리 설정된 패턴을 가지며,
    상기 호스트 기기는, 상기 호스트 기기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에 대한 리스폰스를 수신하는지 여부에 따라, 초기화 커맨드 또는 새로운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를 발행하며,
    상기 초기화 커맨드는 상기 카드가 메모리를 초기화하도록 지시하는 제1 전압 식별부 및 중간 전압 범위부를 포함하고,
    상기 새로운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는 상기 제1 전압 식별부, 상기 중간 전압 범위부 및 제2 전압 식별부와, 적어도 용량 식별부를 포함하는 부를 포함하며,
    상기 호스트 기기가 상기 초기화 커맨드 및 상기 새로운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 중 하나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호스트 기기는 상기 메모리의 초기화를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기기.
  17. 정보를 기입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제1 전압 범위에 속하는 전압 범위, 또는 상기 제1 전압 범위의 하한보다 낮은 상한을 가지는 제2 전압 범위에 속하는 전압 범위에서 동작 가능하고,
    전압 범위 식별부, 오류 검출부 및 체크 패턴부를 포함하는 전압 식별 커맨드를 인식하도록 구성된 기억 디바이스로서,
    상기 기억 디바이스는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에 응답하여, 전압 범위 식별부, 오류 검출부 및 체크 패턴부를 포함하는 리스폰스를 발행하거나 발행하지 않으며,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에 의해 지정된 전압 범위 내에서 동작할 수 있을 때, 상기 리스폰스의 전압 범위 식별부는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의 전압 범위 식별부와 동일한 패턴을 갖고,
    상기 리스폰스의 오류 검출부는 상기 리스폰스가 유효한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패턴을 갖고,
    상기 리스폰스의 체크 패턴부는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의 체크 패턴부와 동일한 패턴을 가지며,
    상기 기억 디바이스는,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발행한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의 리스폰스에 따라 초기화 커맨드 및 새로운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 중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초기화 커맨드는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메모리를 초기화하도록 지시하는 제1 전압 식별부 및 중간 전압 범위부를 포함하고,
    상기 새로운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는 상기 제1 전압 식별부, 상기 중간 전압 범위부 및 제2 전압 식별부와, 적어도 용량 식별부를 포함하는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를 수신한 후 상기 초기화 커맨드를 수신하고,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소용량인 경우, 상기 기억 디바이스는 상기 기억 디바이스의 초기화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리스폰스를 발행하고,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호스트 기기가 소용량만을 서포트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초기화 커맨드를 수신하고,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대용량인 경우, 초기화가 캔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디바이스.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를 수신한 후, 호스트 기기가 소용량과 대용량 모두를 서포트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기 초기화 커맨드를 수신하는 때에, 상기 기억 디바이스는,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소용량인 경우에는 초기화가 소용량으로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리스폰스를 발행하고,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대용량인 경우에는 초기화가 대용량으로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리스폰스를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디바이스.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고 상기 초기화 커맨드를 수신하고,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소용량인 경우, 상기 기억 디바이스는 상기 기억 디바이스의 초기화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리스폰스를 발행하고,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고 상기 초기화 커맨드를 수신하고,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대용량인 경우, 초기화가 캔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디바이스.
  21. 호스트 기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기억 디바이스로서,
    정보를 기입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전압 범위 내에 있는 전압의 공급에 의해 동작하고,
    전압 식별 커맨드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기억 디바이스의 동작 전압이 상기 전압 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1 리스폰스를 발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호스트 기기가 대용량 또는 소용량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서포트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초기화 커맨드를 인식하도록 구성되며,
    초기화 완료 후에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소용량 또는 대용량을 서포트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제2 리스폰스를 발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기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기억 디바이스.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의 공급이 없는 경우와, 상기 호스트 기기가 서포트하는 용량과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서포트하는 용량이 매칭되지 않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가 만족될 때,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초기화를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기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기억 디바이스.
  23. 정보를 기입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제1 전압 범위에 속하는 전압 범위, 또는 상기 제1 전압 범위의 하한보다 낮은 상한을 가지는 제2 전압 범위에 속하는 전압 범위에서 동작가능하고,
    전압 범위 식별부, 오류 검출부 및 체크 패턴부를 포함하는 전압 식별 커맨드를 인식하도록 구성되는 기억 디바이스로서,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에 응답하여 전압 범위 식별부 및 체크 패턴부를 포함하는 리스폰스를 발행하거나 발행하지 않으며,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에 의해서 지정되는 전압 범위에서 동작할 수 있는 경우에 상기 리스폰스의 전압 범위 식별부는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의 전압 범위 식별부와 동일한 패턴을 가지며,
    상기 리스폰스의 체크 패턴부는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의 체크 패턴부와 동일한 패턴을 가지며,
    상기 기억 디바이스는,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발행하는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의 리스폰스에 따라, 초기화 커맨드 및 새로운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 중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초기화 커맨드는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메모리를 초기화하도록 지시하는 제1 전압 식별부 및 중간 전압 범위부를 포함하며,
    상기 새로운 메모리 초기화 커맨드는 상기 제1 전압 식별부, 상기 중간 전압 범위부 및 제2 전압 식별부와, 적어도 용량 식별부를 포함하는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디바이스.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를 수신한 후에 초기화 커맨드를 수신하고,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소용량인 경우, 상기 기억 디바이스는 상기 기억 디바이스의 초기화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리스폰스를 발행하고,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호스트 기기가 소용량만을 서포트하는 것을 나타내는 초기화 커맨드를 수신하고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대용량인 경우, 상기 초기화가 캔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디바이스.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의 수신 후에, 호스트 기기가 소용량 및 대용량 모두를 서포트하는 것을 나타내는 초기화 커맨드를 수신하는 때에, 상기 기억 디바이스는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소용량인 경우에는 소용량으로 초기화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리스폰스를 발행하고,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대용량인 경우에는 대용량으로 초기화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리스폰스를 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디바이스.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고서 초기화 커맨드를 수신하고,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소용량인 경우에, 상기 기억 디바이스는 상기 기억 디바이스의 초기화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리스폰스를 발행하고,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상기 전압 식별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고서 초기화 커맨드를 수신하고, 상기 기억 디바이스가 대용량인 경우, 상기 초기화가 캔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디바이스.
KR1020097006198A 2004-11-26 2005-11-25 카드 및 호스트 기기 KR1009190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4/017627 WO2006057049A1 (ja) 2004-11-26 2004-11-26 カードおよびホスト機器
WOPCT/JP2004/017627 2004-11-2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2176A Division KR20070047735A (ko) 2004-11-26 2005-11-25 카드 및 호스트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545A KR20090047545A (ko) 2009-05-12
KR100919072B1 true KR100919072B1 (ko) 2009-09-28

Family

ID=364977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2176A KR20070047735A (ko) 2004-11-26 2005-11-25 카드 및 호스트 기기
KR1020097006198A KR100919072B1 (ko) 2004-11-26 2005-11-25 카드 및 호스트 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2176A KR20070047735A (ko) 2004-11-26 2005-11-25 카드 및 호스트 기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4) US7353993B2 (ko)
EP (2) EP1816590B1 (ko)
JP (1) JP4620049B2 (ko)
KR (2) KR20070047735A (ko)
CN (1) CN1947130B (ko)
BR (1) BRPI0510243B1 (ko)
CA (1) CA2563281C (ko)
RU (1) RU2365996C2 (ko)
TW (2) TW200617797A (ko)
WO (2) WO20060570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57049A1 (ja) 2004-11-26 2006-06-01 Kabushiki Kaisha Toshiba カードおよびホスト機器
JP4817836B2 (ja) 2004-12-27 2011-11-16 株式会社東芝 カードおよびホスト機器
US7581678B2 (en) 2005-02-22 2009-09-01 Tyfone, Inc. Electronic transaction card
JPWO2006117966A1 (ja) * 2005-04-27 2008-12-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ード型電子装置及びホスト装置
US20080261486A1 (en) * 2007-04-17 2008-10-23 Ridemakerz, Llc Programmable toy sound module
US8548819B2 (en) * 2007-04-17 2013-10-01 Ridemakerz, Llc Method of providing a consumer profile accessible by an on-line interface and related to retail purchase of custom personalized toys
US9741027B2 (en) 2007-12-14 2017-08-22 Tyfone, Inc. Memory card based contactless devices
JP5106219B2 (ja) 2008-03-19 2012-12-26 株式会社東芝 メモリデバイス、ホストデバイス、メモリシステム、メモリデバイスの制御方法、ホストデバイスの制御方法、およびメモリ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20100033310A1 (en) * 2008-08-08 2010-02-11 Narendra Siva G Power negotation for small rfid card
US8451122B2 (en) 2008-08-08 2013-05-28 Tyfone, Inc. Smartcard performance enhancement circuits and systems
US7961101B2 (en) * 2008-08-08 2011-06-14 Tyfone, Inc. Small RFID card with integrated inductive element
WO2010099093A1 (en) 2009-02-24 2010-09-02 Tyfone, Inc. Contactless device with miniaturized antenna
KR101442934B1 (ko) 2009-12-17 2014-09-2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반도체 시스템, 반도체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 초기화 방법
US8880747B2 (en) * 2012-05-15 2014-11-04 Dell Products, L.P. Endpoint device discovery system
JP6300202B2 (ja) * 2014-03-03 2018-03-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及びメモリカード制御装置
JP2016029556A (ja) 2014-07-15 2016-03-03 株式会社東芝 ホスト機器および拡張性デバイス
JP6413077B2 (ja) * 2014-10-10 2018-10-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ホスト装置、スレーブ装置、インターフェイス半導体装置及びリムーバブルシステム
JP2017097825A (ja) 2015-11-16 2017-06-01 株式会社東芝 ホスト機器および拡張デバイス
US10235312B2 (en) 2016-10-07 2019-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system and host device that maintain compatibility with memory devices under previous standards and/or versions of standards
KR20180101760A (ko) * 2017-03-06 2018-09-1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저장 장치,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US10418115B2 (en) 2017-07-07 2019-09-17 Micron Technology, Inc. Managed NAND performance throttling
WO2019031295A1 (ja) 2017-08-08 2019-02-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カード装置、ホスト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11714576B2 (en) * 2020-10-29 2023-08-01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bus drive defect detection
US11605408B1 (en) * 2021-11-03 2023-03-14 Micron Technology, Inc. Merged command decoder for half-frequency circuits of a memory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2887A (ja) * 1998-01-30 1999-08-06 Ntt Data Corp 通信システム
JP2000010668A (ja) * 1998-06-18 2000-01-14 Hitachi Ltd メモリカード供給電圧制御方式
JP2000250665A (ja) * 1999-02-26 2000-09-14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及びメモリカード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0160B2 (ja) * 1987-04-18 1997-02-12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Lsiカ−ドのリ−ドライタ−
US4827109A (en) 1987-02-18 1989-05-02 Fuji Photo Film Co., Ltd. Photographic printing system
FR2654235B1 (fr) * 1989-11-07 1992-01-17 Europ Rech Electr Lab Lecteur de carte a circuit integre a contacts.
TW199216B (en) 1991-12-02 1993-02-01 Jin-Shan Li Card identification system
JPH0612537A (ja) 1992-06-25 1994-01-21 Fuji Photo Film Co Ltd Icメモリカード
DE4243108A1 (de) 1992-12-18 1994-06-23 Eurosil Electronic Gmbh IC-Karte
JP3480746B2 (ja) 1993-11-11 2003-12-22 株式会社東芝 携帯可能電子装置
US5404460A (en) 1994-01-28 1995-04-04 Vlsi Technology, Inc. Method for configuring multiple identical serial I/O devices to unique addresses through a serial bus
JP3209634B2 (ja) 1994-03-28 2001-09-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計算機システム
JP3545045B2 (ja) * 1994-05-18 2004-07-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Icカードアクセス用パターンファイルの作成方法
FR2730328B1 (fr) * 1995-02-03 1997-04-04 Connectors Pontarlier Connecteur pour appareil lecteur de carte a microcircuit et appareil lecteur de carte a microcircuit le comprenant
JP3337050B2 (ja) * 1995-12-27 2002-10-2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Icカード
JPH09282426A (ja) * 1996-04-17 1997-10-31 Dainippon Printing Co Ltd Icカード及びその通信方法
SG101460A1 (en) 1997-02-14 2004-01-30 Canon Kk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R2764073B1 (fr) 1997-05-30 1999-07-16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Protocole de communication pour carte a memoire asynchrone
JP3364133B2 (ja) * 1997-10-16 2003-01-08 富士通株式会社 カード、ホスト装置、及び、ドライブ装置
TW364102B (en) 1997-10-24 1999-07-11 Soulstar Technology Corp Method for storing and playing sound cards and device thereof
JP3593460B2 (ja) 1998-07-29 2004-11-24 富士通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
US6230274B1 (en) 1998-11-03 2001-05-08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oring a memory device channel when exiting a low power state
US6279114B1 (en) * 1998-11-04 2001-08-21 Sandisk Corporation Voltage negotiation in a single host multiple cards system
JP2000250661A (ja) * 1999-02-26 2000-09-14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及びメモリカード
US6364208B1 (en) 1999-03-29 2002-04-02 Transmo Limited Card changing system
US7788553B2 (en) 2000-01-06 2010-08-31 Super Talent Electronics, Inc. Mass production testing of USB flash cards with various flash memory cells
US6820148B1 (en) 2000-08-17 2004-11-16 Sandisk Corporation Multiple removable non-volatile memory cards serially communicating with a host
JP4676600B2 (ja) * 2000-10-02 2011-04-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Icカード、リーダライタ、icカードシステム及びicカードの動作条件設定方法
US6753758B2 (en) 2001-01-03 2004-06-22 Gerald Adolph Colman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voltage
TW561414B (en) * 2001-12-24 2003-11-11 Winbond Electronics Corp Universal memory card reader
JP4204226B2 (ja) 2001-12-28 2009-01-07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デバイス識別方法、データ伝送方法、デバイス識別子付与装置、並びにデバイス
KR100440969B1 (ko) 2002-05-23 200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킹 방법 및 그 장치
KR100440972B1 (ko) * 2002-07-27 200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드 삽입 인식에 의한 데이터 전송 상태 자동 설정 장치및 방법
JP3866635B2 (ja) 2002-08-26 2007-01-10 株式会社東芝 メモリカード及び記憶領域切り替え方法
JP3806077B2 (ja) * 2002-08-26 2006-08-09 株式会社東芝 メモリカード認識システム、容量切り替え型メモリカード・ホスト機器、容量切り替え型メモリカード、記憶容量設定方法及び記憶容量設定プログラム
DE10261174B3 (de) 2002-12-20 2004-06-17 Daimlerchrysler Ag Automatische Adressierung auf Bussystemen
WO2004084127A1 (ja) * 2003-03-20 2004-09-30 Renesas Technology Corp. メモリカードおよびその初期化設定方法
KR100524988B1 (ko) * 2003-10-02 2005-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Usb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mmc 장치 및 이에대한 인터페이스 방법
US7441053B2 (en) * 2003-12-15 2008-10-21 Nokia Corporation Support of an interaction between a host device and a peripheral device
US7492763B1 (en) 2004-07-16 2009-02-17 Applied Micro Circuits Corporation User-specified key creation from attributes independent of encapsulation type
JP4637526B2 (ja) * 2004-07-28 2011-02-23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および不揮発性記憶装置
US20060044926A1 (en) * 2004-08-27 2006-03-0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performance parameters in memory devices
US7196958B2 (en) * 2004-08-31 2007-03-27 Micron Technology, Inc. Power efficient memory and cards
WO2006057049A1 (ja) * 2004-11-26 2006-06-01 Kabushiki Kaisha Toshiba カードおよびホスト機器
TWI319160B (en) * 2005-07-11 2010-01-01 Via Tech Inc Memory card capable of supporting various voltage supply and control chip and method of supporting voltage thereof
US20070076502A1 (en) 2005-09-30 2007-04-05 Pyeon Hong B Daisy chain cascading devices
US8364861B2 (en) 2006-03-28 2013-01-29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Asynchronous ID generation
US8700818B2 (en) 2006-09-29 2014-04-15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Packet based ID generation for serially interconnected devices
US7925854B2 (en) 2006-12-06 2011-04-12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memory devices of mixed type
US8984249B2 (en) 2006-12-20 2015-03-17 Novachips Canada Inc. ID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rially interconnected devices
US8010710B2 (en) 2007-02-13 2011-08-30 Mosaid Technologies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device type of serially interconnected devices
JP2009026296A (ja) 2007-06-21 2009-02-05 Toshiba Corp 電子デバイス、メモリデバイス、ホスト装置
WO2009027802A1 (en) 2007-08-28 2009-03-05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bus testing and addressing in mass memory components
US20100169535A1 (en) 2008-12-30 2010-07-01 Celio Technology Corporation Data stream management
TWM364102U (en) 2009-05-13 2009-09-01 Shen Chuen Entpr Co Ltd Corner joint
US8392614B2 (en) 2009-07-27 2013-03-05 Sandisk Il Ltd. Device identifier sele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2887A (ja) * 1998-01-30 1999-08-06 Ntt Data Corp 通信システム
JP2000010668A (ja) * 1998-06-18 2000-01-14 Hitachi Ltd メモリカード供給電圧制御方式
JP2000250665A (ja) * 1999-02-26 2000-09-14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及びメモリカ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RE48772E1 (en) 2021-10-12
US20120176855A1 (en) 2012-07-12
JPWO2006057340A1 (ja) 2008-06-05
US20140351514A1 (en) 2014-11-27
CA2563281A1 (en) 2006-06-01
BRPI0510243A (pt) 2007-10-23
CA2563281C (en) 2011-11-15
US7549580B2 (en) 2009-06-23
JP4620049B2 (ja) 2011-01-26
WO2006057340A1 (ja) 2006-06-01
US8827167B2 (en) 2014-09-09
US20130013882A1 (en) 2013-01-10
US20070051806A1 (en) 2007-03-08
EP3330895A1 (en) 2018-06-06
CN1947130A (zh) 2007-04-11
US7810727B2 (en) 2010-10-12
US8596548B2 (en) 2013-12-03
US20090224042A1 (en) 2009-09-10
US9052843B2 (en) 2015-06-09
US20110114737A1 (en) 2011-05-19
TW200638271A (en) 2006-11-01
TW200617797A (en) 2006-06-01
US20100322017A1 (en) 2010-12-23
US8397990B2 (en) 2013-03-19
EP1816590B1 (en) 2018-03-07
US20130166843A1 (en) 2013-06-27
USRE49643E1 (en) 2023-09-05
CN1947130B (zh) 2010-09-29
RU2006137709A (ru) 2008-04-27
KR20070047735A (ko) 2007-05-07
EP1816590A1 (en) 2007-08-08
USRE47543E1 (en) 2019-07-30
WO2006057049A1 (ja) 2006-06-01
US7891566B2 (en) 2011-02-22
US9417798B2 (en) 2016-08-16
US20150234596A1 (en) 2015-08-20
EP1816590A4 (en) 2015-05-27
RU2365996C2 (ru) 2009-08-27
BRPI0510243B1 (pt) 2018-03-13
US20140068111A1 (en) 2014-03-06
KR20090047545A (ko) 2009-05-12
TWI311284B (ko) 2009-06-21
US8162216B2 (en) 2012-04-24
US8286874B2 (en) 2012-10-16
US20080149715A1 (en) 2008-06-26
US7353993B2 (en) 2008-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072B1 (ko) 카드 및 호스트 기기
US11169594B2 (en) Card and host apparatus
CN101313287B (zh) 经由嵌入式控制器初始化快闪存储设备
US20080114935A1 (en) Memory Card System and Method Transmitting Hos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