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227B1 - 분류 땜납조 - Google Patents

분류 땜납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227B1
KR100918227B1 KR1020077025379A KR20077025379A KR100918227B1 KR 100918227 B1 KR100918227 B1 KR 100918227B1 KR 1020077025379 A KR1020077025379 A KR 1020077025379A KR 20077025379 A KR20077025379 A KR 20077025379A KR 100918227 B1 KR100918227 B1 KR 100918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solder
fractionation
molten solde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5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8682A (ko
Inventor
미츠오 젠
사토시 오자와
Original Assignee
센주긴조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주긴조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센주긴조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8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8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8Soldering by means of dipping in molten sol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6Solder feeding devices; Solder melting pans
    • B23K3/0646Solder baths
    • B23K3/0653Solder baths with wave generating means, e.g. nozzles, jets, foun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6Solder feeding devices; Solder melting p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57Solder materials or compositions; Methods of application thereof
    • H05K3/3468Applying molten so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lten Solder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과제)
종래의 분류 땜납조는, 산화물이 용융 땜납에 혼입된 채 덕트의 흡입구로부터 덕트 내로 빨려들어가고, 그것이 분류 노즐로부터 나와 프린트 기판에 부착되었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분류 땜납조는, 펌프 설치측과는 반대측에 산화물 고임부를 형성해 두고, 분류 노즐의 측면에는 펌프측이 막힌 통을 장착하고 있다. 그리고 산화물 고임부의 중간 정도에는 다수의 구멍이 뚫려 형성된 다공판을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있다.
Figure R1020077025379
분류 땜납조

Description

분류 땜납조{WAVE SOLDERING BATH}
본 발명은, 용융 땜납을 분류시키고, 분류된 용융 땜납에 프린트 기판을 접촉시켜 프린트 기판에 땜납을 부착시키는 분류 땜납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비디오 등의 가정용 전기 제품에 장착하는 프린트 기판의 납땜은, 대량 생산에 적합한 플로우법으로 행하고 있다. 플로우법이란, 자동 납땜장치로 납땜하는 것이다. 플로우법에서 이용하는 자동 납땜장치에는 플럭서, 프리히터, 분류 땜납조, 냉각기 등의 처리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처리장치 상에 반송용 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은, 반송용 컨베이어로 유지되어 상기 처리장치 위를 주행하면서, 플럭서로 플럭스 도포, 프리히터로 예비 가열, 분류 땜납조에서 땜납의 부착, 냉각기에 의해 냉각되어 납땜이 이루어진다.
프린트 기판의 납땜에서는, 각각의 처리장치에서 적정한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납땜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분류 땜납조에서는, 땜납의 산화물(이하, 간단하게 산화물이라고 한다) 이 프린트 기판에 부착되는 것으로 인한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었다. 즉 프린트 기판에 산화물이 부착되면, 프린트 기판 자체의 외관이 나빠져 상품 가치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인접한 납땜부 사이에 부착되면 절연 저항의 저하나 단락의 원인이 되어 전기 제품의 기능을 완전히 저해하게 된다. 그로 인해 분류 땜납조에서는, 프린트 기판에 산화물을 부착시켜서는 안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분류 땜납조에서 프린트 기판의 납땜을 실시했을 때, 프린트 기판에 산화물이 부착되는 원인은, 산화물이 분류 펌프에 빨려들어가 분류 노즐로부터 분류되는 용융 땜납과 함께 분류하여 프린트 기판에 부착되기 때문이다. 이것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분류 땜납조에서는 분류 노즐로부터 항상 청정한 상태의 용융 땜납이 분류하는데, 이 때 용융 땜납은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산화물이 된다. 산화물은 용융 땜납보다 비중이 작기 때문에, 분류 노즐의 주변에 부유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산화물이 단순히 부유하고 있는 것만으로는, 산화물이 하측의 분류 펌프에 빨려들어가는 일은 없다. 왜냐하면 분류 펌프는 분류 땜납조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고, 게다가 대부분의 분류 땜납조에서는 분류 펌프의 흡입구가 하향으로 되어 있어, 비중이 가벼운 산화물이 흡입구까지 가라앉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용융 땜납의 액면에 부유하고 있는 산화물이 하측에 설치된 분류 펌프에 빨려들어가, 그것이 분류 노즐로부터 나와 프린트 기판에 부착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 이유는, 분류 땜납조에서는, 용융 땜납이 분류 노즐로부터 분류한 후에, 용융 땜납 안에 낙하하여 깊게 가라앉는데, 이 때 표면에 부유하고 있는 산화물을 말려들게 하여 산화물을 하측에 깊게 가라앉히게 되고, 그 산화물이 용융 땜납과 함께 분류 펌프에 빨려들어가 분류 노즐로부터 분류하기 때문이다.
종래부터 분류 땜납조에 있어서, 산화물이 프린트 기판에 부착되지 않도록 한 분류 땜납조는 다수 제안되었다. 본원 출원인이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평7-42324호 (특허 문헌 1) 에서 제안한 분류 땜납조는, 분류 노즐의 측면에 통을 설치하고, 분류 펌프와 반대측에 저장조를 형성하고, 그 저장조와 조 본체 사이에 망 또는 다공판의 칸막이판을 설치한 것이다. 특허 문헌 1 의 분류 땜납조에서는, 분류 노즐로부터 나온 용융 땜납이 본체의 용융 땜납 안에 낙하하지 않고, 통으로 받아내기 때문에 산화물이 용융 땜납 안에 가라앉는 일이 없다. 또 이 분류 땜납조는, 통으로 받은 분류 후의 용융 땜납을 저장조로 흐르게 하고, 게다가 저장조와 분류 펌프측 사이에 철망이나 다공판 등으로 형성된 칸막이판이 설치되어 있어, 그 칸막이판에 의해 산화물이 걸러지게 되어 있다.
또 동일 본원 출원인이 제안한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평6-23663호 (특허 문헌 2) 는, 저장조와 조 본체 내에 철망이나 다공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칸막이판을 설치함과 함께, 저장조에 추가로 망이나 다공판의 바구니를 설치한 것이다. 이 분류 땜납조는, 저장조 내에 고인 산화물을 바구니와 칸막이판으로 걸러내어 용융 땜납만을 통과시킨다. 그리고, 바구니로 걸러낸 산화물이 저장조에 고이면, 바구니를 분류 땜납조 밖으로 꺼내어 산화물을 폐기하도록 한 것이다.
또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8-76375호 (특허 문헌 3) 는, 상부가 용융 땜납의 액면 위로 돌출하고, 하부가 연통된 판형상의 칸막이판을 본체에 형성하여 분류 노즐과 분류 펌프 설치 사이를 구획한 분류 땜납조이다. 특허 문헌 3 의 분류 땜납조는, 분류 노즐 주변에서 발생한 산화물이 용융 땜납의 액면 상을 부유하여 분류 펌프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칸막이판으로 저지하고자 한 것이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평7-42324호
특허 문헌 2: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평6-23663호
특허 문헌 3: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8-76375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특허 문헌 1 의 분류 땜납조, 즉 분류 노즐의 측면에 통을 설치하고, 저장조와 조 본체 사이에 철망이나 다공판으로 이루어지는 칸막이판을 설치한 분류 땜납조는, 그 칸막이판이 산화물의 이동을 저지하기 때문에, 산화물이 분류 펌프에 빨려들어가는 일이 없다. 그러나, 칸막이판을 설치한 분류 땜납조에서는, 칸막이판에 산화물이 부착되고, 그것이 퇴적되면 칸막이판으로부터 떨어져 분류 펌프에 빨려들어가게 된다. 그래서, 칸막이판에 부착된 산화물을 정기적으로 제거해야만 했다. 그러나, 칸막이판으로부터 산화물을 제거하는 작업은 많이 수고스러울 뿐만 아니라, 산화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었다. 즉 칸막이판이 설치된 분류 땜납조는, 칸막이판이 용융 땜납 안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산화물의 제거는 손으로 더듬는 상태로 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여기에서의 산화물의 제거 작업은, 용융 땜납의 액면 위로부터 긴 주걱을 삽입하고, 그 주걱으로 칸막이판을 문질러 칸막이판의 표면에 부착된 산화물을 긁어 내야하는 것인데, 용융 땜납 안은 상측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산화물을 완전하게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며, 게다가 제거 작업중에 용융 땜납이 주걱에 의해 비산되어 작업자에 닿는다는 매우 위험한 작업을 해야만 했다.
또, 특허 문헌 2 에서는, 저장조에 철망이나 다공판으로 만든 바구니를 잠기게 넣어 두어, 저장조 상에 떠오른 산화물을 바구니로 걸러낸 후, 바구니를 분류 땜납조 밖으로 꺼내어 소정의 폐기용 용기에 산화물을 폐기시킨다. 이 때 바구니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해, 바구니를 폐기용 용기에 부딪치게 하거나 바구니에 충격을 주거나, 나아가서는 바구니의 표면을 주걱으로 긁어 내어 산화물을 제거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바구니를 밖으로 꺼냈을 때 바구니나 산화물이 차가워지기 때문에, 바구니의 철망이나 다공판에 엉켜붙은 산화물이 굳어지게 되어, 충격이나 문질러냄으로는 용이하게 제거할 수 없다. 또 특허 문헌 2 의 분류 땜납조도 특허 문헌 1 과 마찬가지로 칸막이판에 산화물이 부착되기 때문에, 이것을 정기적으로 제거하지 않으면 안되어, 역시 많은 수고와 위험을 동반하는 것이었다.
또한 특허 문헌 3 의 분류 땜납조에서는, 용융 땜납의 액면에 판형상의 칸막이판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용융 땜납의 액면 상에서 부유하고 있는 산화물은 그 칸막이판에 가로막혀 분류 펌프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분류 땜납조에서는, 용융 땜납이 분류 노즐로부터 분류하여 낙하할 때 분류 노즐 주변에 있는 산화물을 말려들게 하여 가라앉히게 되고, 그것이 분류 펌프에 빨려들어간다. 또한 이 분류 땜납조에서는, 용융 땜납의 액면에 산화물이 다량으로 고이면, 산화물이 분류 땜납조로부터 넘쳐나와 바깥쪽으로 흘러넘치는 경우가 있었다. 산화물이 분류 땜납조로부터 흘러넘치면, 자동 납땜장치의 배선이나 작업장의 바닥을 태우거나 밖으로 넘쳐 비산된 산화물이 작업자에 닿아 화상을 입히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저장조와 조 본체 사이에 철망이나 칸막이판을 설치하면, 확실히 산화물은 그 칸막이판에 의해 걸러져 분류 펌프측으로 이동하지 않지만, 칸막이판에는 산화물이 부착되어 그 제거에 다대한 수고와 위험이 동반되기 때문에, 칸막이판을 설치하지 않고도 산화물이 분류 펌프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수단에 대해 예의 검토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용융 땜납이 분류 노즐로부터 흘러 떨어졌을 때에, 흘러 떨어진 지점의 용융 땜납 안에 완충물이 있으면, 흘러 떨어진 용융 땜납은 그 완충물보다 하측에 가라앉지 않게 되고, 그 결과, 흘러 떨어지는 용융 땜납 안에 산화물이 혼입되어 있어도 산화물은 하측에 가라앉지 않고, 분류 펌프에 빨려들어가지 않게 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본체 내에 분류 노즐과 분류 펌프가 설치된 분류 땜납조에 있어서, 분류 펌프 설치 지점과 반대측이 되는 지점의 본체 단부에 산화물 고임부가 설치되어 있고, 또 분류 노즐의 측면에는 펌프측을 막은 통이 장착되어 있고, 게다가 통의 출구에 있는 산화물 고임부에는 다공판이 용융 땜납의 액면 아래에 잠기도록 되어 설치되어 있고, 그 다공판의 일단은 분류 노즐 또는 본체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음과 함께, 다공판의 타단에는 용융 땜납의 액면 위로 돌출된 레버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땜납조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분류 땜납조는, 분류 노즐의 측면에 통이 설치되어 있고, 분류 노즐로부터 분류 후의 용융 땜납은 통 안으로 낙하하고 분류 노즐 주변의 용융 땜납 안으로는 직접 낙하하지 않기 때문에, 분류시에 산화된 산화물은 분류 노즐 주변에서 떠돌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류 땜납조에서는, 용융 땜납이 분류 노즐로부터 분류하여 세차게 낙하해도, 낙하는 통 안이며, 분류 노즐 주변에서 산화물을 하측에 깊게 가라앉게 하지 않고, 당연히 하측에 설치된 펌프에 빨려들어가지도 않는다.
또 본 발명의 분류 땜납조는, 분류 노즐의 측면에 설치한 통의 펌프측을 막고 있기 때문에, 산화물을 혼입한 분류 후의 용융 땜납은 모두 펌프 설치 위치보다 먼 산화물 고임부로 유입되어, 가령 산화물 고임부에서 산화물이 깊게 가라앉아도 펌프에 빨려들어가는 일은 없다. 그 통은 산화물 고임부측을 낮게 하여 경사지게 해두면, 산화물은 통 내에 정체되지 않고 산화물 고임부로 유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분류 땜납조는, 산화물 고임부가 되는 용융 땜납 안에 다공판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통으로부터 산화물 고임부 안으로 유입된 산화물 혼입의 용융 땜납은, 유입의 세기가 다공판에 의해 완충되어 용융 땜납은 세차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산화물은 다공판보다 하측에 가라앉지 않게 되어 펌프에도 빨려들어가지 않게 된다.
그리고 또 본 발명의 분류 땜납조는, 다공판이 본체 또는 분류 노즐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다공판에 산화물이 부착되어도 다공판을 용융 땜납 안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것만으로, 다공판에 부착된 산화물은 다공판으로부터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제거된 산화물은 용융 땜납 상에 부유하므로, 그것을 모음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분류 땜납조에서는, 다공판에 부착된 산화물의 제거 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융 땜납이 튈 위험성도 전혀 없다.
본 발명의 분류 땜납조에 있어서의 다공판의 설치 위치, 즉 용융 땜납의 액면으로부터의 설치 위치는 10 ∼ 200 ㎜ 가 적합하다. 다공판의 설치 위치가 용융 땜납의 액면으로부터 l0 ㎜ 보다 얕으면, 통으로부터 흘러 떨어진 용융 땜납이 다공판에 의해 되튕겨져 산화물을 발생시키게 되고, 또 통으로부터 흘러 떨어진 세찬 용융 땜납이 세찬 상태로 다공판의 구멍을 통과하여, 산화물과 함께 하측에 가라앉아 분류 펌프에 빨려들어가게 된다. 한편, 다공판의 설치 위치가 용융 땜납의 액면으로부터 200 ㎜ 보다 깊은 지점이면, 통으로부터 흘러 떨어진 용융 땜납이 다공판에 도달하기 전에 분류 펌프측으로 이동하여 산화물이 분류 펌프에 빨려들어가게 된다.
또 본 발명의 분류 땜납조에 설치하는 다공판의 구멍직경은 2 ∼ 10 ㎜ 이다. 다공판의 구멍직경이 2 ㎜ 보다 작으면, 산화물이 쉽게 부착되어 곧바로 막히게 된다. 그런데, 그 구멍직경이 10 ㎜ 보다 크면, 통으로부터 세차게 흘러 떨어진 용융 땜납이 힘있는 상태로 구멍을 통과하여 깊게 가라앉게 되고, 산화물도 깊게 가라앉아 분류 펌프에 빨려들어가게 된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분류 땜납조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 분류 땜납조를 일부 파단한 사시도, 도 2 는 2 차 분류 노즐의 통 부분에서 절단한 정면 단면도, 도 3 은 산화물 고임부의 부분에서 절단한 측면 단면도, 도 4 는 측면 단면도에서 본 산화물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분류 땜납조 (1) 의 본체 (2) 는 덮개가 없는 박스형상으로, 본체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프린트 기판의 진행 방향 (화살표 A) 순으로 1 차 분류 노즐 (3) 과 2 차 분류 노즐 (4) (1 차 분류 노즐과 2 차 분류 노즐을 종합하여 간단하게 분류 노즐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이 설치되어 있고, 또 본체 내에는 용융 땜납 (5) 이 들어가 있다. 본체 내에 들어 있는 용융 땜납 (5) 은, 역시 도시하지 않는 전열 히터로 용융 상태를 유지함과 함께, 소정의 온도로 유지되고 있다. 1 차 분류 노즐 (3) 상부에는 다수의 분출 구멍 (6…) 이 뚫려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분류하는 용융 땜납을 거센 상태로 하여 프린트 기판의 관통구멍이나 전자 부품의 구석부에 용융 땜납을 침입시키기 위해서이다. 1 차 분류 노즐로부터 분류하는 용융 땜납은, 요철이 있는 거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납땜부에 고드름이나 브리지 등의 불량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래서, 이들 불량을 2 차 분류 노즐로부터 분류하는 온화한 용융 땜납으로 수정한다. 2 차 분류 노즐 (4) 은, 분류구 (discharge port) 가 넓게 되어 있고, 그 분류구에는 프린트 기판의 진입측으로 만곡한 프론트 플레이트 (7) 가 장착되고, 프린트 기판의 퇴출측에 넓은 평면으로 된 리어 플레이트 (8) 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를 흘러나오는 용융 땜납은 온화한 상태가 되어, 1 차 분류 노즐의 납땜에서 발생한 고드름이나 브리지를 수정한다. 또 1 차 분류 노즐 (3) 과 2 차 분류 노즐 (4) 의 양단에는, 분류 노즐로부터 분류한 용융 땜납을 횡측으로 유출시키지 않기 위해 사이드 플레이트 (9, 10, 11) 가 장착되어 있다.
1 차 분류 노즐 (3) 과 2 차 분류 노즐 (4) 은, 각각 덕트 (12, 13) 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들 덕트 (12, 13) 의 단부에는 분류 펌프 (14) 가 설치되어 있고, 분류 펌프의 하부가 되는 지점의 덕트 (13) 에는 흡입구 (15) 가 뚫려 형성되어 있다. 분류 펌프 (14) 의 상부 중앙에는 축 (16) 이 고정되어 있고, 그 축은 덕트 (12, 13) 의 천정면을 삽입통과하여 상부가 용융 땜납 (5) 의 액면 위로 돌출되어 있다. 축 (16) 의 상단에는 도시하지 않는 풀리가 장착되어 있고, 그 풀리는 역시 도시하지 않는 모터와 연동하고 있다. 본체 (2) 는, 분류 펌프 (14) 를 설치한 측과 반대측이 되는 지점이 산화물 고임부 (17) 로 되어 있다.
1 차 분류 노즐 (3) 의 양측에는 통 (18, 19) 이 장착되어 있고, 2 차 분류 노즐 (4) 의 양측에는 통 (19, 20) 이 장착되어 있다. 통 (19) 은, 1 차 분류 노즐 (3) 과 2 차 분류 노즐 (4) 에 공통된 통이다. 이들 통은, 산화물 고임부 (17) 쪽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고, 경사가 심한 단부는 사이드 플레이트 (11) 에 의해 막혀져 있다. 이들 통 (18, 19, 20) 의 출구 (21‥) 는 산화물 고임부 (17) 에 위치하고 있다.
산화물 고임부 (17) 에는 통 (18, 19, 20) 의 출구 (21‥) 보다 하측이 되는 지점의 용융 땜납 안에 다공판 (22) 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그 다공판에는 다수의 구멍 (23…) 이 뚫려 형성되어 있다. 다공판 (22) 의 설치 상태는, 다공판의 일단에 환봉 (24) 을 고정시키고, 그 환봉이 본체 (2) 의 내측 측벽에 고정된 유지편 (25, 25) 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또 다공판 (22) 의 타단에는 레버 (26) 가 세워져 형성되어 있다. 레버 (26) 는 상부가 본체 (2) 보다 상측이 되는 지점에서 본체 (2) 의 외부 방향으로 굽어 있으며, 화살표 X 와 같이 들어 올리면, 다공판 (22) 은 도 3 의 일점쇄선과 같이 회전운동하게 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구성의 본 발명 분류 땜납조에 있어서의 용융 땜납의 분류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는 모터를 구동시키면, 그 모터와 연동하고 있는 축 (16) 이 회전하고, 그 축을 고정시킨 분류 펌프 (14) 가 회전한다. 그러면 분류 펌프 (14) 는 덕트 (13) 의 하부에 있는 용융 땜납 (5) 을 덕트 (13) 의 흡입구 (15) 로부터 덕트 내로 빨아들여 도 2 의 화살표와 같이 덕트 (13) 의 안쪽으로 보낸다. 덕트 (13) 의 안쪽으로 보내진 용융 땜납은 유동 방향이 상측으로 변경되고, 덕트 (13) 의 상부에 설치된 분류 노즐 (3, 4) 로부터 분류한다. 이 때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1 차 분류 노즐 (3) 에서는, 다수의 분출 구멍 (6…) 으로부터 용융 땜납이 분류하기 때문에 요철이 있는 거친 분류가 되고, 2 차 분류 노즐에서는 넓은 분류구로부터 분류하기 때문에 온화한 분류가 된다. 분류 노즐로부터 분류한 용융 땜납은, 공기와 접촉하여 산화물이 형성되어, 분류 후의 용융 땜납 안으로 혼입된다.
분류 노즐의 측면에는 통 (18, 19, 20) 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분류 노즐로부터 분류한 용융 땜납은, 이들 통 안으로 낙하하고, 통의 경사를 따라 산화물 고임부 (17) 로 흘러들어간다. 산화물 고임부 (17) 로 흘러들어간 산화물 혼입의 용융 땜납은, 통 (18, 19, 20) 으로부터 흘러들어가는 힘으로 산화물 고임부의 용융 땜납 안에 가라앉게 된다. 그러나 산화물 고임부 (17) 의 중간 정도에는 다공판 (22) 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하측에 가라앉게 되는 용융 땜납은, 그 다공판에 의해 힘이 완충되어 세차지 않게 된다. 그러면 용융 땜납의 하측에 가라앉는 힘이 없어지기 때문에, 용융 땜납 안에 혼입해 있던 비중이 가벼운 산화물은 상측으로 떠오른다. 따라서, 통으로부터 산화물 고임부에 유입된 용융 땜납은, 산화물이 상측으로 떠오르고, 용융 땜납만이 다공판 (22) 의 다수의 구멍 (23…) 을 통과하여 덕트 (13) 의 하부로 유동하고, 덕트의 흡입구 (15) 로부터 덕트 내로 빨려들어간다. 이 때 다공판에서는, 하측에 가라앉는 용융 땜납의 유입력을 완충시킴과 함께 산화물을 걸러내고 있다. 덕트 (13) 내에 빨려들어간 용융 땜납 안에는 산화물이 혼입되지 않고, 당연 분류 노즐로부터 분류하는 용융 땜납 안에도 산화물이 혼입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분류하는 용융 땜납에 접촉하여 납땜되는 프린트 기판에는 산화물이 부착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산화물 혼입의 용융 땜납이 다공판 (22) 에 의해 완충됨과 함께, 산화물이 다공판 (22) 의 다수의 구멍 (23) 에 의해 걸러지기 때문에, 분류 땜납조를 장시간 가동시키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공판 (22) 에는 산화물 (27) 이 부착되고, 그것이 퇴적하게 된다. 다공판 (22) 에 산화물이 대량으로 퇴적하면, 다공판의 구멍 (23…) 을 막아 용융 땜납의 통과를 방해하게 될 뿐만 아니라, 용융 땜납과 함께 산화물이 덕트 (13) 의 하측으로 유동하여 흡입구 (15) 로부터 덕트 내로 빨려들어가게 된다.
그래서 분류 땜납조에서는, 다공판 (22) 에 부착된 산화물을 정기적으로 제 거해야만 한다. 다공판에 부착된 산화물의 제거는, 도 3 의 화살표 X 와 같이 레버 (26) 를 올리거나 내린다. 그러면 다공판 (22) 이 도 3 의 일점쇄선과 같이 일단이 크게 상하동하기 때문에, 다공판 (22) 에 부착되어 있던 산화물은, 용융 땜납에 쓸려져 다공판 (22) 으로부터 떨어져 상측으로 떠오른다. 이와 같이 하여 상측으로 떠오른 산화물은, 국자나 망 등으로 떠내어 폐기 용기에 버린다. 이 산화물 제거 작업에서 다공판의 일단을 상하동시킬 때에는, 용융 땜납 안에서 상하동시켜, 용융 땜납의 액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나가지 않도록 한다. 다공판을 용융 땜납의 액면으로부터 상측으로 꺼내면, 다공판을 내렸을 때 용융 땜납이 튈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분류 땜납조로서, 산화물 고임부의 용융 땜납 액면으로부터 105 ㎜ 의 지점에 직경 3 ㎜ 의 구멍이 다수 뚫려 형성된 다공판을 설치하고, 또 분류 노즐의 양측에는 2 도 경사진 통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본체 내에는, 종래의 Pb-Sn 땜납보다 산화가 심한 Sn-3Ag-0.5Cu 의 무연 땜납을 투입하여 프린트 기판의 납땜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납땜 작업 중에는 4 시간마다 다공판에 장착된 레버를 상하동시켜 다공판에 부착된 산화물을 제거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분류 땜납조에 있어서의 납땜 작업에서는, 산화물이 부착된 프린트 기판은 전혀 없었다. 한편, 통이나 다공판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분류 땜납조에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납땜을 실시한 바, 납땜면에 산화물이 부착된 프린트 기판이 다수 관찰되었다.
도 1 은 본 발명 분류 땜납조를 일부 파단한 사시도.
도 2 는 2 차 분류 노즐의 통 부분에서 절단한 정면 단면도.
도 3 은 산화물 고임부의 부분에서 절단한 측면 단면도.
도 4 는 측면 단면도에서 본 산화물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
부호의 설명
1: 분류 땜납조 2: 본체
3: 1 차 분류 노즐 4: 2 차 분류 노즐
5: 용융 땜납 18, 19, 20: 통
21: 통의 출구 22: 다공판
26: 레버
분류 땜납조에 사용되던 종래의 땜납은 주석·납합금이었으나, 납의 사용이 규제되고 있어 최근에는 주석 주성분의 무연 땜납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무연 땜납은, 산화되기 쉬운 주석을 주성분으로 하고, 게다가 융점이 높기 때문에 종래의 주석·납합금보다 산화물의 발생이 많다. 본 발명의 분류 땜납조는, 분류 노즐로부터의 산화물 유출이 거의 없기 때문에, 무연 땜납을 사용한 경우, 특히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4)

  1. 본체 내에 분류 노즐과 분류 펌프가 설치된 분류 땜납조에 있어서, 상기 분류 땜납조의 본체 단부에 산화물 고임부가 형성되어 있고, 또 분류 노즐의 측면에는 펌프측을 막은 통이 장착되어 있고, 게다가 산화물 고임부에는 다공판이 용융 땜납의 액면 아래에 잠기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고, 그 다공판의 일단은 분류 노즐 또는 본체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음과 함께, 다공판의 타단에는 용융 땜납의 액면 위로 돌출된 레버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다공판은 용융 땜납의 액면으로부터 10 ∼ 200 ㎜ 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땜납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은 산화물 고임부측을 낮게 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땜납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의 구멍직경이 2 ∼ 1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땜납조.
KR1020077025379A 2005-04-06 2006-03-13 분류 땜납조 KR100918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09534 2005-04-06
JP2005109534 2005-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682A KR20070118682A (ko) 2007-12-17
KR100918227B1 true KR100918227B1 (ko) 2009-09-21

Family

ID=37114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5379A KR100918227B1 (ko) 2005-04-06 2006-03-13 분류 땜납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212094A1 (ko)
EP (1) EP1876874A4 (ko)
JP (1) JP4605222B2 (ko)
KR (1) KR100918227B1 (ko)
CN (1) CN100584154C (ko)
BR (1) BRPI0610697A2 (ko)
WO (1) WO20061122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13677B1 (en) * 2009-03-24 2013-07-31 Senju Metal Industry Co., Ltd. Localized jet soldering device and partial jet soldering method
JP5279606B2 (ja) * 2009-05-14 2013-09-04 株式会社デンソー はんだ付け装置
US20190366460A1 (en) * 2018-06-01 2019-12-05 Progress Y&Y Corp. Soldering apparatus and solder nozzle module thereof
JP6590232B1 (ja) * 2019-04-22 2019-10-16 千住金属工業株式会社 はんだ付け装置及びはんだ付け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189A (ja) * 1990-05-21 1992-01-29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リント配線板の洗浄方法
JPH0741570Y2 (ja) * 1992-05-08 1995-09-27 千住金属工業株式会社 噴流はんだ槽
KR200153131Y1 (ko) * 1996-11-04 1999-08-02 진건영 납땜장치의 노즐
JP2003332724A (ja) 2002-05-13 2003-11-21 Nihon Dennetsu Keiki Co Ltd はんだ波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7849B2 (ja) * 1991-01-28 2001-07-16 ソニー株式会社 噴流はんだ槽
US5411197A (en) * 1993-10-19 1995-05-02 Senju Metal Industry Co., Ltd. Soldering pot
JP4647150B2 (ja) * 2001-08-07 2011-03-09 千住金属工業株式会社 酸化物の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189A (ja) * 1990-05-21 1992-01-29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リント配線板の洗浄方法
JPH0741570Y2 (ja) * 1992-05-08 1995-09-27 千住金属工業株式会社 噴流はんだ槽
KR200153131Y1 (ko) * 1996-11-04 1999-08-02 진건영 납땜장치의 노즐
JP2003332724A (ja) 2002-05-13 2003-11-21 Nihon Dennetsu Keiki Co Ltd はんだ波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12094A1 (en) 2009-08-27
JP4605222B2 (ja) 2011-01-05
KR20070118682A (ko) 2007-12-17
BRPI0610697A2 (pt) 2010-07-20
JPWO2006112216A1 (ja) 2008-12-04
EP1876874A4 (en) 2011-01-19
CN100584154C (zh) 2010-01-20
WO2006112216A1 (ja) 2006-10-26
EP1876874A1 (en) 2008-01-09
CN101176393A (zh) 200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0646B1 (en) Jet solder bath
EP1378309B1 (en) Method for separating solder and solder oxides
KR100918227B1 (ko) 분류 땜납조
KR101044582B1 (ko) 분류 땜납조
EP1283086A2 (en) Solder dross removal apparatus and method
JP3090733B2 (ja) 噴流半田槽
JP2504122Y2 (ja) 噴流半田付け装置
JP5458854B2 (ja) 噴流はんだ槽
JPH11172394A (ja) 溶融めっき液ポット内のドロス回収装置
JP4661609B2 (ja) はんだ付け装置
JP2003033869A (ja) 酸化物の分離方法および酸化物の分離用具
JP2504129Y2 (ja) 噴流半田付け装置
JPH0741570Y2 (ja) 噴流はんだ槽
JPH0593655U (ja) 噴流はんだ槽
JPH0593653U (ja) 噴流はんだ槽
JPH0666863U (ja) 噴流はんだ槽
JPH0742324U (ja) 噴流はんだ槽
JPH08325684A (ja) 溶融金属めっき浴中のドロス除去方法および装置
JPH0513029B2 (ko)
JPH08309520A (ja) 噴流式はんだ付け装置
JPH0783174B2 (ja) プリント基板のはんだ付け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S63149071A (ja) 片面噴流半田槽
JPH08325685A (ja) 溶融金属めっき浴中のドロス除去方法
KR20030069016A (ko) 산화물의 분리장치
JPH04160140A (ja) 溶融亜鉛めっきポット内のドロス回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