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726B1 - 유도가열조리기 - Google Patents

유도가열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726B1
KR100917726B1 KR1020057000550A KR20057000550A KR100917726B1 KR 100917726 B1 KR100917726 B1 KR 100917726B1 KR 1020057000550 A KR1020057000550 A KR 1020057000550A KR 20057000550 A KR20057000550 A KR 20057000550A KR 100917726 B1 KR100917726 B1 KR 100917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light guide
induction heat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1457A (ko
Inventor
가지데쓰야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21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18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arrangements using lights for heating zone state indic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성으로, 광원부의 발광의 불균일과 빛의 누설을 개선한 발광부를 얻기 위해서, 광원(6)을 수납하는 광원수납부(17)를 구비하고, 이 광원수납부(17)를 코일유지대(15), 도광체(7)의 일부, 광원의 상부를 덮는 차광 커버 및 광원을 얹어 놓은 기판으로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광원수납부로부터의 빛이 외부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부반사광을 활용함으로써, 광원수납부(17)에 대응하는 도광체 부분으로부터의 빛의 방사를 강하게 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유도가열조리기{INDUCTION HEATING COOKER}
본 발명은 가정에서 사용되는 유도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냄비 등의 피가열물을 얹어 놓는 탑 플레이트의 윗면에 빛에 의한 시각적 표시를 하는 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도가열조리기에서는, 가열코일에 고주파전류를 흘려서 고주파자계를 발생시켜, 가열코일과 자기결합하고 있는 냄비 등(부하)에 고주파자계에 의한 와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와전류에 의해서 냄비에 주울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냄비자체가 발열하여, 식품을 조리할 수 있다. 유도가열조리기에서는 냄비자체가 발열하기 때문에, 불이 보이는 가스조리기나 가열부가 빨갛게 타오르는 전기 히터와 달리, 유도가열상태를 시각적으로 파악(인식)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의 일본 특허공개 2001-160483호 공보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광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7은, 상기 공보에 기재된 선행기술의 유도가열조리기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7에 있어서, 외곽을 구성하는 본체(1)의 상부에 절연물의 탑 플레이트(2)가 설치되어 있다. 탑 플레이트(2) 위에 냄비 등의 피가열물(3)이 놓여진다. 탑 플레이트(2)의 아래에는 피가열물(3)을 유도가열하기 위한 가열코일(4)이 설치되어 있다. 가열코일(4)의 아래에 발광부(5)가 설치되어 있다. 발광부(5)는 광원(6)과 도광체(7)로 구성되어, 발광면(8)으로부터 투광성의 탑 플레이트(2)를 향하여 빛을 조사한다. 가열코일이나 발광부(5)는 제어부(9)에 의해 제어된다.
가열코일(4)에 소정의 고주파전류가 통전되면, 피가열물(3)은 유도가열에 의해 가열된다. 통전과 연이어 동작하여 광원(6)이 점등하고, 그 빛은 도광체(7)로 유도되어 발광면(8)으로부터 출사하여, 탑 플레이트(2)의 아래면에 조사된다. 이 빛은 탑 플레이트(2)를 투과하여 윗면에 출사하고, 탑 플레이트(2)의 윗면에는 도 8에 크로스 해칭으로 도시한 둥근 고리형상의 빛의 모양이 그려진다. 이 모양에 의해 사용자는, 그 빛의 모양으로 나타난 부분이 통전되어 유도과열상태인 가열코일(4)에 대향하는(그 바로 위의) 탑 플레이트(2) 위의 영역을 시각적으로 파악(인식)할 수 있다.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채형의 도광체편(7a)과, 도광체편(7a)의 입사광부(7b)에 설치한 광원(6)이 도광체(7)의 1개의 블록을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블록을 복수개(예를 들면 6개 내지 8개) 조합하여 도 8에 도시한 둥근 고리형상의 발광부(5)를 제작하고 있었다. 그 때문에, 발광부(5)를 조립하는 데에 있어서 다수의 블록을 조합함과 동시에, 조합 후의 좁은 공간 내에서 각 광원(6)으로의 배선을 해야만 한다. 그 때문에 부품수가 많은 것과 동시에 제조공정수가 많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다수의 광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밝기의 불균형이나 빛의 누출이 생겨 둥근 고리형상의 빛의 패턴이 명료성이 부족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코일(4)의 아래에 도광체(7)의 원판형상부분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1)의 바닥부에 설치된 팬(도시생략)으로부터 가열코일(4)을 향하여 보내어지는 냉각풍의 흐름이 도광체(7)에서 차단되어, 가열코일(4)이 충분히 냉각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도광체에 있어서의 빛의 전송 손실을 작게 함으로써 밝기를 개선하고, 밝기의 불균형과 빛의 누출을 개선한, 개량된 발광부를 가진 유도가열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도가열조리기는, 가열코일을 유지하는 코일유지대, 상기가열코일의 바깥둘레에 설치되어 빛을 방사하는 도광체, 상기 도광체의 입광부에 빛을 입사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을 수납하는 광원수납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코일유지대와 상기 광원수납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코일유지대가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차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코일유지대에서 반사한 빛이 광원수납부를 구성하는 도광체의 벽면에 입사하여, 이 부분으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강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가열조리기는, 피가열물을 유도가열하기 위한 가열코일, 상기 가열코일을 유지하는 코일유지대, 상기 가열코일의 바깥둘레부에 설치된 도광체, 상기 도광체의 입광부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을 수납하는 광원수납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코일유지대와 상기 광원수납부는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코일유지대가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의 바람직하지 못한 흩어짐을 차단하는 차광부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코일유지대에서 반사한 빛이 광원수납부를 구성하는 도광체의 벽면에 입사하여, 이 부분으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강하게 한다. 또한 도광체 전체의 색의 얼룩 및 빛의 강도의 불균일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차광하는 차광커버를 코일유지대에 부착함으로써, 광원수납부의 상부로부터의 빛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광방사면으로부터의 방사광량이 증가하여, 색의 얼룩 및 광량의 불균일을 적게 할 수 있다. 차광커버가, 도광체에 형성한 입광부로부터 나오는 빛을 차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입광부로부터의 빛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입광부의 윗면 또는 광원수납부의 벽면을 구성하는 도광체의 부분에 조면(粗面)을 형성한 광확산부를 설치하고 있다. 입광부의 윗면을 구성하는 도광체의 부분에 조면을 형성한 광확산부를 설치함으로써, 윗면으로의 출사광량이 증가한다. 광원수납부의 벽면을 구성하는 도광체의 부분에 조면을 형성한 광확산부를 설치함으로써, 도광체로의 입사광량이 증가한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입광부 근방의 발광면의 방사광을 강하게 하므로 발광면의 밝기 불균일을 적게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가열조리기는, 특히,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코일유지대가 도광체의 바깥둘레로부터 나오는 빛을 차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광체의 측벽으로부터의 광반사가 억제되고, 발광면으로부터의 방사가 증가하여 색의 얼룩 및 광량의 불균일을 적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가열조리기는, 특히,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광원을 얹어 놓는 기판을 구비한다. 상기 기판을 차광부재로 구성함으로써, 빛이 외부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색의 얼룩 및 광량의 불균일을 적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가열조리기는, 특히, 청구항 3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기판의 적어도 일부에 빛을 투과하지 않는 층을 설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빛이 외부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유도가열조리기는, 특히,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에 있어서, 광원에, 바람직하지 않은 빛의 흩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광원의 측부를 덮는 광원 커버를 설치하고 있다. 광원 커버에 의해 광원의 측부를 덮는 것으로, 광원의 전방으로부터 도광체의 입광면에 입사하는 빛의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유도가열조리기의 주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유도가열조리기의 발광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유도가열조리기의 가열코일 유니트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유도가열조리기의 전원수납부에 사용하는 차광 커버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광원에 차광 커버를 설치한 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유도가열조리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탑 플레이트 위의 표시도형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발광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유도가열조리기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도가열조리기의 주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는 같은 유도가열조리기의 발광부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 단면도이다. 도 4는 유도가열조리기의 가열코일유니트의 평면도이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유도가열조리기의 기본구성은, 도 7에 도시한 종래 예와 실질적으로 같기 때문에, 양자에게 공통하는 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발광부(55)에 대하여 도 1로부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발광부(55)는, 광원(26)과 단면이 사변형인 둥근 고리형상의 도광체(3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광체(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직사각형의 투광성의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진 둥근 고리형상의 부재이다. 그 안쪽 및 바깥쪽의 원통면은 거울면 형상으로 마무리되고, 내외 양면의 간격 즉 원통형상부의 두께는 균일하게 마무리되어 있는 것이, 전반사작용에 의한 빛의 둥근 고리형상 도광체(30) 내에서 반복적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밝고 명 료한 링형상 패턴을 얻기 위해서는, 그 플라스틱재료는 내부 광분수가 적고 또한 광굴절률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26)으로서는 발광다이오드가 적합하다. 도광체(30)의 바깥둘레 원통면의 일부에는 광원(26)으로부터의 빛을 둥근 고리형상부로 도입하기 위한 입광부(11)가 설치되어 있다. 입광부(11)는 구부러진 쐐기형의 투광성의 부재이다. 입광부(11)는, 도광체(30)의 바깥둘레면(30a)에서 소정의 거리를 사이를 두고 대향하는 2개의 입광면(12)과, 각 입광면(12)으로부터 바깥둘레면(30a)을 따라 서서히 두께가 감소하는 경사부(11a)를 갖는다. 각 입광면(12)에 대향하여, 기판(19)에 부착된 광원(26)이 배치되어 있다. 광원(26)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입광부(11)의 입광면(12)으로부터 입사하여, 쐐기형의 입광부(11)를 통하여 둥근 고리형상의 도광체(30) 내에 도입된다. 그 도입의 전송효율을 높게 하기 위해서는 입광부(11)와 도광체(30)의 사이의 접합면이 광학적으로 무반사 또는 극히 낮은 반사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양자의 광학굴절률의 중간 굴절률에 가까운 광학굴절률의 실리콘 오일 등을 개재시키는 것도 전송효율의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체(30)의 바닥면(30b)에는 도광체(30)로부터 바닥면(30b)을 향하는 빛을 반사하는 금속증착막 등의 광반사층(13)이 형성되어 있다. 광반사층(13)에서 반사한 빛은 도광체(30)의 윗면의 발광면(14)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혹은 거기에서 공기 중으로 출사한다. 또 도 1의 발광면(14)에는 해칭을 붙여 표시하였지만, 이것은 단면을 도시한 것이 아니라, 그 윗면이 조면화(粗面化)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광반사층(13)은, 바닥면(30b)에 실리콘수지 등의 비투광성 또한 고반사율의 도료를 도포하여도 좋다. 또 한 접착제, 점착테이프를 바닥면(30b)에 붙여도 좋다. 또한 요철의 형성 등의 간단한 방법에 의해 광반사층(13)을 형성할 수도 있다. 둥근 고리형상의 도광체(30)의 위쪽면 즉 윗면에는, 발광면(14)에 작은 요철을 형성하거나, 다수의 얕은 홈을 형성하는 등의 방법으로, 조면화하면, 그 면으로부터 외부로의 출사광의 광량이 증가한다.
도광체(30)의 입광부(11)로부터 입사한 빛은, 도 2에 화살표(40, 41)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체(30)를 따라 전해진다. 도 3의 단면도에 도시한 도광체(30)의 안쪽면(14a), 및 바깥쪽면(14b)은 상기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거울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빛이 둥근 고리형상의 도광체(30)를 따라 전해 질 때, 빛은 안쪽면(14a) 및 바깥쪽면(14b)의 사이에서 전반사를 반복하여 전파하여, 안쪽면(14a) 및 바깥쪽면(14b)으로부터 외부로 누출되는 경우는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26)을 2개 설치하여 좌우의 2개의 입광부(11)로부터 도광체(30)에 빛을 입사하고 있기 때문에, 입사한 빛은 도광체(30) 중을 우회전과 좌회전의 양 방향으로 진행한다. 도광체(30)의 둥근 고리형상의 발광면(14)의 각 부분으로부터 외부로 방사되는 빛의 강도는 양 방향으로 진행하는 빛의 강도와의 합으로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발광면(14)의 각 부분으로부터 외부로 방사되는 빛의 강도는 둥근 고리형상의 발광면(14)의 거의 전체둘레의 부분에서 거의 균일하게 된다.
도 2에 도시한 도광체(30)의 입광부(11) 근방의 부분(L)은, 양 입광부(11)로부터 입사한 빛이 도광체(30)를 한바퀴 돌아 마지막에 도달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 부분을 지나는 빛의 양이 약간 적어지는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이 부분 (L)에 대향하는 탑 플레이트 위의 고리형상의 빛의 고리의 밝기가 약간 저하하여, 밝기에 불균일이 생기기 쉬워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문제를 이하에 설명하는 구성에 의해 해결하고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발광부(55)를 사용한 유도가열조리기의 가열코일 유니트의 구성에 대하여 도 4의 평면도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가열코일(4)은 코일유지대(15)에 놓여져 있다. 가열코일(4)의 바닥부는, 냉각풍이 가열코일(4)에 직접 닿도록 큰 공간(도시생략)을 형성하고 있다. 코일유지대(15)에는 도광체(30)로부터의 빛을 차광하기 위해서 차광성의 측벽(15a)을 설치하고 있다. 가열코일(4)의 바깥둘레부에는 자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알루미늄 등의 도전재료로 이루어지는 자기누설 방지링(16)이 설치되어 있다. 자기누설 방지링(16)과 코일유지대(15)의 측벽(15a)의 사이에 도광체(30)가 설치되어 있다. 광원(26)을 수납하는 광원수납부(17)가 코일유지대(15)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광원수납부(17)에 대하여 도 1과 도 4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광원수납부(17)는, 코일유지대(15)의 측벽과 도광체(30)의 사이의 밑바닥이 없는 공간이다. 이 공간에, 광원(26, 26)이 들어가도록, 광원(26)을 탑재한 기판(19)을 아래쪽에서 부착하여 나사(20)에 의해 윗면을 덮는 차광 커버(18)와 함께 고정한다. 즉, 차광 커버(18)와 기판(19)은 광원수납부(17)의 상하로 체결수단의 나사(20)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차광 커버(18)는, 광원(26)으로부터의 빛이 윗면에서 외부로 방사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차광 커버(18)에서 빛을 반사시켜 다시 도광체(30)로 입사되기 때문에, 아래면으로 빛을 반사하는 수단, 예를 들면 알 루미늄박의 붙임층이나 빛을 반사하는 도포를 실시하고 있다.
차광 커버(18)의 구성의 다른 예로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광부분으로서의 연장부(18a, 18b)를, 차광 커버(48)에 설치하여 입광부(11)의 윗면도 덮도록 한 차광 커버(48)를 사용하여도 좋다. 기판(19)에는 입광부(11)에 대향하여 2개의 광원(26)을 설치하고 있다. 기판(19)의 윗면에는 차광 커버(18)의 아래면과 같은 모양의 금속박이나 도포 등의 빛을 반사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도 1의 기판(19)에는 커넥터(21)가 설치되고, 이 커넥터(21)는 기판(19) 위에서 광원(26)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21)는, 기판(19)을 광원수납부(17)에 부착하였을 때, 코일유지대(15)의 하부에 오는 것과 같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21)에 외부리드선을 결선하기 쉬워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유도가열조리기의 동작과 기술적 특징에 대하여 도 1에서부터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시를 생략한 주지의 전원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전원이 투입되어 가열코일(4)(도 4)에 전류가 흐르면 유도자계가 발생하여, 탑 플레이트(2)(도 7를 참조) 위에 얹어 놓은 피가열물(3)을 전자유도에 의해 가열한다. 이 때 도 4에 도시한 가열코일(4)의 바깥둘레에 설치한 자기누설 방지링(16)의 차폐작용에 의해, 자속이 옆쪽으로 누설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전원의 투입과 동시에 도 1에 도시한 광원(26)이 점등한다. 광원(발광 다이오드)(26)으로부터의 출사광은, 도광체(30)에 설치한 입광부(11)의 입광면(12)으로부터 도광체(30)에 입사하고, 도광체(30)의 위쪽의 발광면(14)으로부터 축 X의 방향에 빛을 방사하면서 도광체(30) 중을 둥근 고 리형상의 도광체(30)를 따라 통과한다. 이에 따라 탑 플레이트(2) 위에 도광체(30)의 둥근 고리형상의 발광면(14)의 형상에 가까운 빛의 고리가 나타난다. 이 빛의 고리에 의해 가열코일(4)의 위치가 표시된다. 도광체(30)의 안둘레쪽에는 자기누설 방지링(16)이 존재하고, 바깥둘레쪽에는 코일유지대(15)의 측벽이 존재하므로 도광체(30)의 내외의 양측면으로부터 빛이 누설하는 경우는 없다. 빛은 효율적으로 발광면(14)으로부터 방사된다.
입광부(11)로부터 입사한 빛은 발광면(14)으로부터 외부로 빛을 방사하면서 도광체(30) 중을 원둘레를 따라 도광되기 때문에, 발광면(14)으로부터 나오는 빛의 강도는 입광부(1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약간 저하한다. 특히 광원수납부(17)의 벽면을 형성하는 도광체(30)의 부분(L)(도 2)은, 양쪽의 입광부(11)로부터 도광체(30)로 입사한 빛이 도광체(30)에 전달되어 마지막에 도달하는 부분이다. 그 때문에 빛의 강도가 약해지고 있고, 부분(L)의 발광면(14)으로부터 조사되는 빛도 약하기 때문에 다른 부분보다 어두워질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분(L)의 발광면(14)으로부터 출사하는 빛의 광량의 감소를 보충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이 구성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수납부(17)의 상부에 차광 커버(18)를 설치하고, 하부에 기판(19)을 설치하고 있다. 코일유지대(15)의 측벽은 차광성부재로 구성하여 광원(26)의 빛이 외부로 누설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광원(26)으로부터 조사된 빛 중에 입광부(11)에 입사하지 않는 빛의 대부분은 광원수납부(17) 내에서 반사를 반복하여, 일부는 입광부(11)로부터 도광체(30)로 들어간다. 또한 다른 일부는 도광체(30)의 조면에 만들어진 바깥둘레면(30a)으로부터 도광체(30)에 입사한다. 이에 따라 광원수납부(17)를 구성하는 도광체(30)의 바깥둘레면(30a)의 근방에 있어서의 빛의 광량이 증가한다. 그 결과 바깥둘레면(30a) 근방의 발광면(14)으로부터 출사하는 광량이 증가하여 발광면(14)의 밝기의 불균일이 적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광원(26)으로부터 나오는 빛의 이용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차광 커버(18)의 양 끝단부를 연장하여, 도 5에 도시한 차광 커버(48)와 같이, 연장부(18a, 18b)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연장부(18a, 18b)로부터 입광부(11)의 윗면(11c, 11d)을 차광 커버(48)로 덮도록 하면, 발광면(14)으로부터 출사하는 빛의 고리가 아름다운 둥근 고리가 된다. 또한, 입광부(11)로부터 새어나온 빛의 일부가 입광부(11) 근방의 도광체(30)의 바깥둘레면(30a)에 입사하여, 이 부분의 발광면(14)의 방사광을 강하게 하므로 발광면(14)의 밝기의 불균일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입광부(11)의 윗면(11c, 11d)에 작은 요철을 형성하거나, 다수의 얕은 홈을 형성하거나 하여 조면(粗面)으로 하면, 윗면(11c, 11d)으로의 출사광량이 증가한다. 또한 부분(L)의 도광체(30)의 바깥둘레면(30a) 및 대향하는 안쪽면(30d)을 상기의 조면(粗面)으로 하면 도광체(30)로의 입사광량이 증가하여, 부분(L)의 발광면(14)의 방사광량이 증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가열코일(4)의 바깥둘레에 둥근 고리형상의 도광체(30)를 설치한다고 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탑 플레이트(2) 위에 밝기의 불균일이 적은 고리 형상의 빛의 도형을 표시할 수 있다.
광원수납부(17)를 차광 커버(18) 또는 (48)로 덮는 것에 의해, 빛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광체(30)의 입광부(11)나 광원(26)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유도가열조리기의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광체(30)로서 고리형상의 부재를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육각형 등 임의의 형상의 도광체를 사용할 수 있다. 임의형상의 도광체를 사용하면, 탑 플레이트 위에 빛에 의한 임의의 도형을 표시할 수가 있다. 또한 도광체의 단면형상도 도 3에 예시한 사변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다리꼴 등의 다른 형상이라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수납부(17)를 코일유지대(15)와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광원수납부(17)를 별개로 제작하여, 코일유지대(15)에 부착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수납부(17)를 1개소 설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광체의 길이가 길고 많은 광원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필요에 따라서 복수의 개소에 설치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유지대(15)에 차광성의 측벽을 설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도광체(30)의 측면으로부터 빛이 누설하는 것이 허용되는 경우는, 측벽을 차광성으로 할 필요는 없고, 측벽을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다.
광원(26)을 얹어 놓은 기판(19)은 일반적으로는 빛이 다소 투과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앞서 설명한 것처럼 빛이 투과하지 않는 쪽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투광성의 기판에 대해서는 도포 등을 실시하고 그 일부분에 차광부를 설치하여, 빛이 투과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기판(19)에 빛을 투과하지 않는 층을 형성하여 빛이 투과하지 않도록 하면, 도광체의 측벽으로부터의 입사광이 증가하여, 그 부분의 발광면(14)으로부터의 출사광량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 발광면(14)의 밝기의 불균일을 또한 적게 할 수 있다. 빛이 가열코일 유니트의 아래면으로 누설되기 어렵기 때문에, 탑 플레이트(2) 위에서 보았을 때, 상기의 누설된 빛이 눈에 들어가지 않아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는 일이 없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26) 그 자체에 광원 커버(50)를 설치하여, 광원(26)의 빛이 입광면(12) 이외의 방향으로 방사되지 않도록 하면, 입광면(12)으로의 입사광이 강해지므로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는, 광원수납부(17)를 차광하여 광원(26)으로부터의 빛의 복사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성이면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둥근 고리형상의 투광성의 도광체의 측면으로부터 광원의 빛이 입사되어, 이 빛이 도광체의 둥근 고리형상의 단면인 발광면으로부터 외부로 출사된다. 입사한 빛은 도광체의 원통면의 측벽에서 전반사하면서 둥근 고리형상의 도광체를 통과하므로 도광체 내의 빛의 분포가 비교적 균일하게 되어, 발광면으로부터 외부로 출사되는 광량의 둥근 고리형상의 각부에서의 불균일이 적어진다. 그 결과 비교적 균일한 밝기를 갖는 고리형상의 빛의 도형을 표시할 수가 있다. 도광체는 가열코일의 주위에 있고, 가열코일의 바닥부로의 냉각풍의 송풍을 방해하지 않으므로, 가열코일의 냉각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은, 불이나 히터가 없는 전자유도조리기에 있어서, 유도가열의 자계를 발생하고 있는 탑 플레이트 부분을 발광수단이 내는 빛으로 표시하는 장치의 도광체에 있어서의 빛의 전송손실을 적게 하여 밝기를 개선하고, 밝기의 불균일과 빛의 누설을 개선하여, 명료화된 발광부를 제공한다.

Claims (8)

  1. 피가열물을 유도가열하기 위한 가열코일,
    상기 가열코일을 유지하는 코일유지대,
    상기 가열코일의 바깥둘레부에 설치된 도광체,
    상기 도광체의 입광부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
    상기 광원을 수납하는 광원수납부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유지대의 측벽과 상기 도광체의 벽면 사이에 상기 광원수납부를 형성하고, 상기 측벽은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의 바람직하지 않은 흩어짐을 차단하는 차광성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차광하는 차광 커버가 상기 광원수납부의 윗면을 덮도록 상기 코일유지대에 부착됨과 동시에, 적어도 상기 입광부의 윗면 또는 상기 광원수납부의 벽면을 구성하는 상기 도광체의 부분에 조면을 형성한 광확산부를 설치하여, 상기 입광부 근방의 상기 도광체의 발광면으로부터 출사하는 광량을 증가시켜 상기 발광면의 밝기의 불균일을 적게한 유도가열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유지대는 도광체의 바깥둘레로부터 나오는 빛을 차광하도록 구성된 유도가열조리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유지대는, 차광부재에 의해 구성된, 광원을 얹어 놓은 기판을 구비한 유도가열조리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적어도 일부에 빛을 투과하지 않는 층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 유도가열조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에, 바람직하지 않은 빛의 흩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광원을 덮는 광원 커버를 설치한 유도가열조리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57000550A 2002-07-12 2003-07-14 유도가열조리기 KR100917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03840 2002-07-12
JPJP-P-2002-00203840 2002-07-12
PCT/JP2003/008887 WO2004023846A1 (ja) 2002-07-12 2003-07-14 誘導加熱調理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457A KR20050021457A (ko) 2005-03-07
KR100917726B1 true KR100917726B1 (ko) 2009-09-15

Family

ID=31972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550A KR100917726B1 (ko) 2002-07-12 2003-07-14 유도가열조리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536668B1 (ko)
JP (1) JP4081086B2 (ko)
KR (1) KR100917726B1 (ko)
CN (1) CN100456897C (ko)
AU (1) AU2003298883A1 (ko)
HK (1) HK1080672A1 (ko)
WO (1) WO20040238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9501B2 (ja) * 2006-03-20 2010-10-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5067285B2 (ja) * 2008-06-30 2012-11-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4831214B2 (ja) * 2009-07-01 2011-12-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WO2011010428A1 (ja) * 2009-07-24 2011-01-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N102474920B (zh) * 2009-07-24 2014-02-2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加热烹调器
WO2012137517A1 (ja) * 2011-04-08 2012-10-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EP3104664B1 (en) 2015-06-10 2021-03-3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ob comprising heating zone illumination means
EP3386271B1 (en) * 2017-04-07 2021-05-1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Optical system and induction hob comprising an optical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1297A (ja) 1986-07-10 1988-01-28 Murata Mfg Co Ltd 酸化亜鉛圧電結晶薄膜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302Y2 (ko) * 1988-02-19 1993-04-16
JP2604417Y2 (ja) * 1993-09-30 2000-05-15 日本精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3405298B2 (ja) * 1999-12-02 2003-05-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EP2101546B1 (en) * 1999-12-02 2016-07-13 Panasonic Corporation Induction-heating cooking device
JP3647721B2 (ja) * 2000-05-30 2005-05-18 リンナイ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N2432751Y (zh) * 2000-06-23 2001-05-30 北京福瑞德机电新技术公司 电磁烹调炉
JP3769462B2 (ja) * 2000-12-08 2006-04-26 株式会社東芝 加熱調理器
JP3770154B2 (ja) * 2001-12-25 2006-04-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1297A (ja) 1986-07-10 1988-01-28 Murata Mfg Co Ltd 酸化亜鉛圧電結晶薄膜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98883A1 (en) 2004-03-29
EP1536668A1 (fr) 2005-06-01
EP1536668B1 (fr) 2014-01-08
WO2004023846A1 (ja) 2004-03-18
CN100456897C (zh) 2009-01-28
HK1080672A1 (en) 2006-04-28
KR20050021457A (ko) 2005-03-07
JP4081086B2 (ja) 2008-04-23
EP1536668A4 (fr) 2012-05-16
CN1669360A (zh) 2005-09-14
JPWO2004023846A1 (ja) 200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5201B1 (ko) 유도 가열 조리기
KR100494962B1 (ko) 선형상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유도 가열 조리기
KR100917726B1 (ko) 유도가열조리기
JP6622296B2 (ja) 誘導加熱調理機器
JP2009059493A (ja) 誘導加熱調理器
JP3584906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3197003A (ja) 線状発光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誘導加熱調理器
WO2014112379A1 (ja) 誘導加熱調理器
JP3573132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1326064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4265881A (ja) 誘導加熱調理器
CN210624615U (zh) 加热电器
JP3938163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445642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3938164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3938165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609515B2 (ja) 加熱調理器
JP5067285B2 (ja) 加熱調理器
JP2003151741A (ja) 誘導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