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201B1 - 유도 가열 조리기 - Google Patents

유도 가열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201B1
KR100485201B1 KR10-2002-7006990A KR20027006990A KR100485201B1 KR 100485201 B1 KR100485201 B1 KR 100485201B1 KR 20027006990 A KR20027006990 A KR 20027006990A KR 100485201 B1 KR100485201 B1 KR 100485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heating
top plate
light guid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7535A (ko
Inventor
아이하라가즈유키
나카쿠라히로후미
오카다가즈이치
호소이고우이치
오오니시시게조우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43071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40529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11768A external-priority patent/JP340531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11767A external-priority patent/JP340531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4518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32606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68554A external-priority patent/JP3596429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7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7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2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18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arrangements using lights for heating zone state indic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63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using coil coo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6/00Aspects relating to 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covered by group H05B6/00
    • H05B2206/02Induction heating
    • H05B2206/022Special supports for the induction co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유도 가열 조리기는 피가열 조리 용기를 배치하는 투광성 천판과, 상기 피가열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 코일과, 광선을 발광하는 발광 수단과, 상기 발광 수단에 의해 발광된 상기 광선을 전파하는 투광성 도광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광선은 상기 도광 수단의 외주 부분을 발광시킨다.

Description

유도 가열 조리기{Induction heater for cooking}
본 발명은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도 가열 조리기는 안전한 가열 조리기로서 주목받고 있다. 종래, 이 종류의 유도 가열 조리기의 가열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으로서, 출력 설정부 주변에 전구 혹은 반도체 소자 등을 사용하여 점등하는 표시부를 설치하는 구성이 일반적이다. 또한, 장착형 유도 가열 조리기 등은 출력 설정부와 조리부가 시각적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조리부의 전방에도 동일한 표시부를 설치하는 것도 있다. 이하, 그 구성에 대해서 도 36을 참조하면서 종래의 유도 가열 조리기(3600)를 설명한다.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도 가열 조리기(3600)는 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6001)와, 피가열 조리 용기(6002)를 배치하는 천판(6003)과, 천판(6003)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가열 코일(6004)과, 피가열 조리 용기(6002)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센서(6005)와, 가열 코일(6004)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6006)와, 출력 제어부(6006)를 냉각하는 송풍기(6007)와, 전원의 온/오프를 행하는 전원 스위치(6008)와, 전원 스위치(6008)의 온/오프를 표시하는 전원 표시부(6009)와, 출력 설정을 행하는 출력 설정부(6010)와, 출력 설정을 표시하는 출력 표시부(6011)와, 천판(6003)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제 2 출력 표시부(6012)와, 가열을 표시하는 가열 상태 표시부(6013)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6008)를 동작시키면 전원 표시부(6009)가 점등하여 전원의 온/오프를 표시한다. 더욱이 조리물이 들어간 피가열 조리 용기(6002)를 천판(6003)에 배치하여, 출력 설정부(6010)를 동작시키면 출력 표시부(6011)가 점등하여 출력 설정을 표시함과 함께 가열이 개시된다. 또한, 동시에 제 2 출력 표시부(6012)가 점등하여 출력 설정을 표시한다. 더욱이 온도 센서(6005)로써 검지한 온도 상태에 따라서 가열 상태 표시부(6013)가 점등하여 가열 상태를 표시한다.
종래 이 종류의 유도 가열 조리기는 가스렌지에 비하여, 불이 나지 않고, 또한 열 효율이 높기 때문에, 그 수요가 늘고 있다. 도 37은 종래의 일반적인 유도 가열 조리기(3700)의 사시도이다. 도 37에 있어서, 6101은 본체 케이스, 6102는 피가열 조리기를 배치하는 천판, 6103 및 6104는 정격 출력이 동일한 유도 가열에 의한 가열부로, 천판(6102)의 아래쪽에 설치된 가열 코일(도시하지 않는다)에 대응하고 있다. 6105는 래디언트 히터(radiant heater)로 유도 가열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알루미늄 냄비나 구리 냄비에서 가열할 때에 사용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유도 가열 조리기(3700)에서 유도 가열 조리를 행할 경우, 유도 가열이 가능한 가열 조리 용기를 천판 상의 가열부(6103 또는 6104)에 배치하여, 전원을 넣음으로써 행하여 왔다.
유도 가열 조리기는 가열 코일에 고주파 전류를 흘려서, 고주파 자계를 발생시켜, 가열 코일과 자기 결합하고 있는 냄비(부하)에 나선 전류에 의한 쥴 열(joule heat)을 발생시켜, 냄비 자체를 발열시켜 조리를 행하는 조리기이다. 그 때문에 불이 보이는 가스 조리기나 가열부가 적열하는 전기 히터와 달라 가열부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보 제 2903561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것이 있었다. 도 38을 참조하여 종래의 유도 가열 조리기(3800)를 설명한다. 도 38에 있어서 유도 가열 조리기(3800)는 천판(6201)의 아래쪽에 설치된 피가열 냄비를 유도 가열에 의해 가열하는 가열 코일(6202)과, 이 가열 코일(6202) 주변에 배치된 전구(620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열 동작과 동시에 가열 코일(6202) 주변에 배치한 전구(6203)가 점등하여 가열 범위를 표시하는 것 및 본체 상면에 설치한 철판의 하면에 수광에 의해 발광하는 물질을 붙여, 냄비를 배치하여 가열 동작을 개시하면 가열 코일의 중앙에 설치한 전구(6203)가 발광하여, 그 광을 받아 상기 물질이 2차 발광함으로써 천판 상에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원(circle; 6204)을 표시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 7-312279호 공보에는 가열 코일의 외주에 고리형으로 복수 개의 가열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와 그 외측 근방에 화력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를 설치하여, 가열 코일에 통전하여 가열하면 가열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가 빛이나 가열 상태를 알 수 있으며, 그 근방의 가열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가 빛이나 화력이 명확해진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도 40에 있어서 유도 가열 조리기(4000)는 천판(6301)의 아래쪽에 설치된 피가열 냄비를 유도 가열에 의해 가열하는 가열 코일(6302)과, 이 가열 코일(6302) 주변에 배치된 전구(630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열 동작과 동시에 가열 코일(6302) 주변에 배치한 전구(6303)가 점등하여 가열 범위를 표시한다.
더욱이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열 코일의 아래쪽에 도광체편(6304a)과 광원(6305)을 1블록으로 하고, 이들 블록을 조합하여 원 고리형의 도광체(6304)를 설치하는 구성이 제안되었다. 이 구성에서는 원 고리형의 중앙부에 복수의 광원(6305)을 배치하여, 가열 코일에 통전하여 가열하면 이들 광원(6305)이 점등하여, 원 고리형의 도광체(6304)의 외주부에서 발광함으로써 가열 상태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종래의 유도 가열 조리기(3600)의 가열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에서는 실제로 조리를 행하는 부분과 표시하는 부분이 시각적으로 분리되어 있어, 가열 상태의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어렵다.
특히, 불이 보이는 가스 조리기에 비하여 유도 가열 조리기는 출력되는 교번 자속이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어렵고, 사용하기 나쁘다는 과제가 있었다.
유도 가열 조리기는 일반적으로 가열 상태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전원을 넣고 가열 조리 용기를 천판에 배치하여 화력 설정하고 나서 가열을 개시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 예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열을 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시각적으로 파악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전원의 온 오프 상태에 대해서는 그다지 배려되어 있지 않다. 즉, 천판에 가열 조리 용기가 배치되어 있어도 전원이 온 상태인지의 여부는 불명확하다. 그 때문에 일일이 전원 표시부를 보고 확인해야만 했다. 그런데 전원 표시부의 표시는 작고 또한 가열 조리기를 가열하는 가열부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바쁠 때나 연속하여 조리를 할 때 일일이 확인을 하는 것은 번거로웠다.
도 37에 도시하는 종래의 유도 가열 조리기(3700)에서는 복수의 가열부는 모두 동일한 정격 가열 코일을 사용했었다. 예를 들면 도 37에서 가열부(가열부(6103 및 6104))는 2개소에 있으며, 그에 대응하는 가열 코일의 정격 출력은 2kW였다.
그런데 최근 조리의 다종 다양화에 따라 다른 출력의 가열부, 특히 출력이 큰 것이 바람직하게 되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정격이 다른 가열 코일 즉 입출력이 다른 가열부를 갖는 유도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데 가열부의 출력이 달라도 유도 가열 조리기에서는 그 구별을 할 수 없다. 종래의 유도 가열 조리기에서는 가열부의 양쪽에 피가열 조리 용기를 배치하는 경우는 물론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배치하는 경우라도 어느 가열부에 배치하여도 됐었다.
그러나, 가열부의 출력이 다른 경우, 가열부의 선택을 잘못하면 예정한 조리 시간이 어긋나거나, 온도가 너무 상승하여 조리의 마무리가 나빠지거나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도 38에 도시하는 종래의 유도 가열 조리기(3800)의 구성에서는 가열 코일(6202) 주변에 발광 수단, 예를 들면 전구(6203)를 배치한 형태이기 때문에, 가열 코일(6202)에 대응하는 가열부를 표시하는 데 복수 개의 전구가 필요했었다. 또한, 전구 수를 한정하면 점 표시이기 때문에 전체를 알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2차 발광을 이용한 표시 방법은 원 등의 도형을 비교적 간단히 그릴 수 있지만, 2차 발광의 발광 효율이 나빠 표시가 흐려 보기 어렵고, 또한 가열 코일의 중앙에 배치한 전구(6203)의 광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구의 지향성이나 설치 격차 때문에, 명확한 도형을 그리기 어려우며, 더욱이 2차 발광 물질이 고온의 천판(6201) 하에 설치되기 때문에 안정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어, 아직까지 실용화되고 있지 않다.
도 40 및 도 41에 도시하는 종래의 구성에서는 모두 복수의 광원을 사용하고 있지만, 모두 각 광원을 직렬로 배선한 1계통이기 때문에, 어떠한 원인으로 일부라도 고장나면 전체가 점등하지 않게 되어, 가열부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표시 패턴으로서는 점등과 점멸의 패턴 밖에 없어 여러 표시를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정성이 높은 유도 가열 조리기의 가열 상태를 가스 조리기에 가까운 감각으로 표시함으로써, 더욱 사용성 좋은 유도 가열 조리기로서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원의 온 오프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가열의 유무 상태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유도 가열 조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출력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유도 가열 조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열 코일에 대응하는 가열부의 가열 범위 주변을 적은 수의 광원으로 명확히 표시할 수 있는 유도 가열 조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부가 고장나도 전체가 점등하지 않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가열부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과 함께 다수의 패턴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유도 가열 조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천판의 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천판의 다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천판의 또 다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도광 수단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되는 다른 유도 가열 조리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되는 또 다른 유도 가열 조리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련되는 또 다른 유도 가열 조리기의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분해 사시도.
도 8b는 동일 유도 가열 조리기의 도광 수단의 부분 확대도.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도광 수단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
도 9b는 동일 유도 가열 조리기의 도광 수단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도광 수단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단면도.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도광 수단 근방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
도 14b는 동일 유도 가열 조리기의 도광 수단 근방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를 도시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를 도시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요부 확대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4 내지 6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사시도.
도 18은 동일 유도 가열 조리기의 단면도.
도 19는 동일 유도 가열 조리기의 발광 수단의 사시도.
도 20은 동일 유도 가열 조리기의 다른 발광 수단의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사시도.
도 22는 동일 실시예 8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요부 평면도.
도 23은 동일 실시예 9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요부 평면도.
도 24는 동일 실시예 10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발광 수단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요부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외관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발광 수단의 평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도광체의 전개도.
도 29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광원의 배선도.
도 29b는 동일 유도 가열 조리기의 천판 상에 그려진 표시 도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외관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요부 단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도광체와 광원과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다른 도광체와 광원과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도광체편의 일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5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광원의 배선도.
도 35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의 천판 상에 그려진 표시 도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6은 종래의 유도 가열 조리기의 사시도.
도 37은 종래의 다른 유도 가열 조리기의 사시도.
도 38은 종래의 또 다른 유도 가열 조리기의 요부 단면도.
도 39는 종래의 또 다른 유도 가열 조리기의 표시 도형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0은 종래의 또 다른 유도 가열 조리기의 단면도.
도 41은 종래의 또 다른 유도 가열 조리기의 도광체와 광원과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는 피가열 조리 용기를 배치하는 투광성 천판과, 상기 피가열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 코일과, 광선을 발광하는 발광 수단과, 상기 발광 수단에 의해 발광된 상기 광선을 전파하는 투광성 도광 수단(light conducting means)을 구비하며, 상기 광선은 상기 도광 수단의 외주 부분을 발광시켜, 그로써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발광 수단 및 상기 도광 수단은 상기 가열 코일에 대하여 상기 천판의 반대쪽에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도광 수단은 원판 형상을 가지고, 상기 도광 수단은 중앙부에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발광 수단은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도광 수단은 내주 쪽에서 외주 쪽을 향하여 얇아지는 두께를 가지고, 상기 도광 수단은 상면과 하면을 가지며,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며, 상기 광선을 반사하는 반사 수단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도광 수단은 상기 도광 수단의 외주 쪽 끝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광선을 상기 천판 방향으로 반사하는 조사면을 가져도 된다.
상기 조사면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광선을 상기 천판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 수단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도광 수단은 상기 조사면에 대하여 상기 천판 쪽에 형성되며, 상기 광선을 상기 천판으로 안내하는 벽부를 더 가지며, 상기 벽부는 상기 천판과 대향하는 상면부를 가지고, 상기 상면부는 상기 상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광선을 난반사 혹은 확산하는 표시 수단을 가져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다른 유도 가열 조리기는 피가열 조리 용기를 배치하는 투광성 천판과, 상기 피가열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 코일과, 광선을 발광하는 발광 수단과, 상기 발광 수단에 의해 발광된 상기 광선을 전파하는 투광성 도광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도광 수단은 상기 발광 수단으로부터 발광된 상기 광선을 입사하는 경계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 수단에 대하여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는 곡면을 가지며, 그로써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또 다른 유도 가열 조리기는 피가열 조리 용기를 배치하는 투광성 천판과, 상기 피가열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 코일과, 상기 가열 코일을 고정하는 코일 베이스와, 광선을 발광하는 발광 수단과, 상기 발광 수단에 의해 발광된 상기 광선을 전파하는 투광성 도광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도광 수단은 상기 코일 베이스에 고정되며, 그로써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또 다른 유도 가열 조리기는 피가열 조리 용기를 배치하는 투광성 천판과, 상기 피가열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 코일과, 광선을 발광하는 발광 수단과, 상기 발광 수단에 의해 발광된 상기 광선을 전파하는 투광성 도광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가열 코일은 상기 도광 수단에 고정되며, 그로써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또 다른 유도 가열 조리기는 피가열 조리 용기를 배치하는 투광성 천판과, 상기 피가열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 코일과, 광선을 발광하는 발광 수단과, 상기 발광 수단에 의해 발광된 상기 광선을 전파하는 투광성 도광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 수단은 상기 도광 수단에 고정되며, 그로써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가열 코일을 고정하는 코일 베이스를 더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또 다른 유도 가열 조리기는 피가열 조리 용기를 배치하는 투광성 천판과, 상기 피가열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 코일과, 상기 가열 코일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수단과,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을 냉각하는 냉각풍을 발생하는 송풍 수단과, 광선을 발광하는 발광 수단과, 상기 발광 수단에 의해 발광된 상기 광선을 전파하는 투광성 도광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냉각풍은 상기 발광 수단 및 상기 도광 수단을 냉각하여, 그로써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냉각풍은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을 냉각한 후에 상기 발광 수단 및 상기 도광 수단을 냉각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또 다른 유도 가열 조리기는 피가열 조리 용기를 배치하는 투광성 천판과, 상기 피가열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 코일과, 광선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 수단과, 상기 복수의 발광 수단에 의해 발광된 상기 광선을 전파하는 투광성 도광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도광 수단은 상기 복수의 발광 수단에 대응하는 도광체 블록을 포함하며, 그로써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또 다른 유도 가열 조리기는 피가열 조리 용기를 배치하는 투광성 천판과, 상기 천판 상에 설치되어 유도 가열에 의해 상기 피가열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1개 이상의 가열부와, 상기 천판에 대하여 상기 피가열 조리 용기의 반대쪽에서 상기 가열부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가열 코일과, 상기 가열부의 사용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전원이 투입되면 상기 사용 상태를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해 상기 가열부 근방에 표시하며, 그로써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피가열 조리 용기가 배치되어 상기 가열 코일에 의해 가열되면, 상기 가열부 근방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을 변경하여도 된다.
상기 전원이 투입된 후, 소정 시간 경과하여도 출력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원을 오프로 하여도 된다.
상기 유도 가열 조리기는 복수 개의 상기 가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원이 투입된 후, 소정 시간 경과하여도 출력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가열부가 있을 때는, 상기 제어 수단은 그 출력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가열부에 대응하는 표시를 소거하여도 된다.
상기 유도 가열 조리기는 복수 개의 상기 가열부를 구비하며,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의 사용 상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 근방에 표시하여도 된다.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 내용이 점멸 점등에서 점등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가열부 근방에 표시되는 상기 표시 내용을 변경하여도 된다.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의 색이 변화하도록 상기 가열부 근방에 표시되는 상기 표시 내용을 변경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또 다른 유도 가열 조리기는 피가열성 조리 용기를 배치하여 유도 가열에 의해 가열하는 천판 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가열부와, 상기 천판에 대하여 상기 피가열 조리 용기의 반대쪽에서 상기 복수의 가열부에 대응하여 각각 설치되는 출력이 다른 복수의 가열 코일과, 광선을 발광하는 발광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 수단은 상기 천판 상에 상기 가열 코일의 상기 출력 차이를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도형을 표시하여, 그로써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출력은 정격 출력을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출력은 설정 출력을 포함하여도 된다.
상기 출력의 차이는 상기 도형의 대소로 표시되어도 된다.
상기 출력의 차이는 상기 도형의 폭 차이로 표시되어도 된다.
상기 출력의 차이는 상기 도형의 수 차이로 표시되어도 된다.
상기 출력의 차이가 상사 도형 수의 차이로 표시되는 경우, 상기 가열 코일의 한쪽에 대응하는 표시를 단일로 하고 상기 가열 코일의 다른쪽에 대응하는 표시를 2중 또는 그 이상으로 하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출력의 차이는 상기 도형의 색 차이와 상기 도형의 색 농담(color darkness) 차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표시되어도 된다.
상기 출력의 차이는 점, 직선 또는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표시하여도 된다.
상기 가열 코일은 2개로, 상기 발광 수단은 상기 천판 상에 상기 가열 코일의 상기 출력 차이를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가열 코일의 적어도 한쪽에 도형을 표시하여도 된다.
상기 발광 수단은 조리 중 점등하여, 조리 종료 후 상기 천판의 온도가 위험 온도 이하가 될 때까지 점멸 점등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또 다른 유도 가열 조리기는 본체 케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는 투광성 천판과, 상기 천판 상에 설치되어 피가열 조리 용기를 배치하여 유도 가열에 의해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천판에 대하여 상기 피가열 조리 용기의 반대쪽에서 상기 가열부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가열 코일과, 상기 가열 코일의 외주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도광체와, 상기 도광체에 광선을 발광하는 광원을 구비하며, 상기 도광체는 상기 광원에 의해 발광되는 상기 광선을 수광하여, 상기 가열 코일의 상기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천판으로의 방향으로 상기 광선을 발광하여, 그로써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도광체는 상기 천판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상면과 상기 상면에 대하여 상기 천판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하면을 가지고, 상기 하면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서,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를 가져도 된다.
상기 도광체는 상기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광선을 난반사시키는 난반사층(a random reflective layer)을 가져도 된다.
상기 도광체는 상기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광선을 경면 반사시키는 경면 반사층(a mirror surface reflective layer)을 가져도 된다.
상기 도광체는 상기 하면에 형성되는 톱니형 프리즘을 가져도 된다.
상기 광선을 발광하는 상기 상면 이외의 면에 형성되어, 상기 도광체보다 광의 굴절율이 작은 층을 더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하면은 상기 광선의 반사율이 부분적으로 변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도광체는 도너츠형 형상을 가져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또 다른 유도 가열 조리기는 본체 케이스의 상면에 설치한 투광성 천판과, 상기 천판 상에 설치된 피가열 조리 용기를 배치하여 유도 가열에 의해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천판에 대하여 상기 피가열 조리 용기의 반대쪽에서 상기 가열부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가열 코일과, 광선을 발광하는 복수의 제 1 광원 및 복수의 제 2 광원과, 상기 복수의 제 1 광원 및 복수의 제 2 광원에 의해 발광되는 상기 광선을 도광하여 상기 가열 코일의 외주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광선을 발광하는 도광체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광원 및 복수의 제 2 광원은 서로 병렬로 배선되어, 그로써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복수의 제 1 광원 및 복수의 제 2 광원은 블록화하여 배선되어도 된다.
상기 복수의 제 1 광원 및 복수의 제 2 광원은 순서대로 반복되도록 배선되어도 된다.
상기 도광체는 고리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도광체의 중앙부에 상기 복수의 제 1 광원 및 복수의 제 2 광원이 고리형으로 배열되어도 된다.
상기 도광체는 복수 개의 도광체편을 포함하여, 상기 도광체편과 적어도 2개의 상기 광원을 1개의 블록으로 하여, 상기 블록을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상기 도광체는 외주 끝 부분에 상기 천판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세운 벽부를 가지고, 상기 벽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천판 방향으로 상기 광선이 발광되어도 된다.
상기 복수의 제 1 광원 및 복수의 제 2 광원은 서로 교대로 점멸하여도 된다.
상기 광선을 발광하는 복수의 제 3 광원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광원, 복수의 제 2 광원 및 복수의 제 3 광원이 순차 점멸하여도 된다.
상기 복수의 제 1 광원을 접속하는 리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리드부는 상기 도광체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상기 리드부 각각은 트위스트형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어느 국면에 따르면, 도광 수단의 외주 부분을 발광시킴으로써, 발광한 광선이 투광성 천판을 투과하여, 가열 상태를 천판의 상면 쪽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각적으로 분리되어 있던 가열 상태의 표시를 조리부 근방에서 표현할 수 있어, 가스 조리기에 가까운 감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광 수단 및 발광 수단을 가열 코일의 아래쪽에 배치함으로써, 발광 수단의 바로 위에 광선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광 수단에 수지 등을 사용할 경우, 피가열 조리 용기 등으로부터의 복사, 전도, 전달에 의한 열 영향으로의 변색·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강자계의 영향에 의한 발광 수단의 오동작 혹은 자기 발열에서의 신뢰성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수단의 온도 상승에 동반하는 광도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광 수단을 원판형으로 구성하여, 중앙부에 개구를 설치하고, 발광 수단을 도광 수단의 개구부에 배치함으로써, 광도가 균일한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광 수단의 내주 두께를 두껍고, 외주를 향하여 얇아지도록 구성하여, 도광 수단의 상면 혹은 하면 혹은 양면에 반사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광선 입사 시의 손실을 저감함과 함께, 반사 수단에 의해, 전파 중의 광선 손실을 저감하여, 보다 손실이 적은 광도 높은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광 수단의 외주 끝 부분에 조사면(예를 들면 광이 전파하는 방향에 대하여 45°각도를 갖는 면)을 설치하여, 전파된 광선을 전반사시킴으로써, 조리면인 천판 방향으로 광선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도광 수단의 외주 끝 부분에 설치한 조사면과 평행하게 반사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전반사 시의 광선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광 수단의 외주 끝 부분에 설치한 조사면의 상면에 천판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세운 벽부를 설치하여, 벽부의 상면부에 전파된 광선을 난반사 혹은 확산하는 표시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보다 천판에 근접한 위치에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광 수단의 경계 부분에 발광 수단에 대하여 오목형(경계의 성질로서 볼록형인 경우 광선을 모으고, 오목형인 경우 광선을 넓히는 성질이 있다.)의 곡면을 설치함으로써 굴절각을 크게 할 수 있어, 지향 각도가 작은 발광 수단을 사용하여도 광도 높이, 범위가 넓은 균일한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광 수단을 코일 베이스에 고정시킴으로써, 가열 영역과 도광 수단에 의한 표시와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수단을 도광 수단에 고정시킴으로써, 발광 수단과 도광 수단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제어 수단을 냉각한 후에, 발광 수단 및 도광 수단을 냉각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발광 수단의 온도 상승에 의한 광도 저하를 방지하여, 도광 수단에 사용하는 수지 등의 변색,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광 수단을 블록화함으로써, 고장난 블록만을 교환함으로써 수리를 신속·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전원의 온 오프 상태를 가열 조리 용기 근방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음과 함께 가열의 유무도 확인할 수 있어 사용성이 좋아진다. 그리고, 전원이 투입되면, 투입된 것이 가열부 근방에 표시되기 때문에, 전원이 온(on)인 것을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수단은 전원이 투입되면 그 상태를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해 상기 가열부 근방에 표시하고, 더욱이 피가열 조리 용기가 배치되어 가열되면 표시 내용을 변경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피가열 조리 용기 근방에서 표시 내용이 시각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전원의 온 상태 및 가열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이 투입된 후, 소정 시간 경과하여도 출력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는 제어 수단은 전원을 오프(off)로 하도록 하였다. 또한, 유도 가열에 의해 가열하는 가열부가 복수 개 있는 유도 가열 조리기로, 전원이 투입된 후, 소정 시간 경과하여도 출력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가열부가 있을 때는, 제어 수단은 그 가열부의 표시를 소거하도록 하였다. 또한, 유도 가열에 의해 가열하는 가열부가 복수 개 있는 유도 가열 조리기로,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 그 상태를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 근방에 표시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가열부 표시를 필요 최저한으로 하였기 때문에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표시 내용은 점멸 점등으로부터 점등 변경에서 행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표시 내용은 색 변화로 행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리고, 표시 내용을 점멸 점등과 점등 및 색 변화로 행하고 있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도형의 차이에 의해 출력 차이를 표시함으로써, 용이하게 가열부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정격 출력의 차이를 도형의 대소 차이, 도형의 폭 차이, 도형의 수 차이, 도형의 1중과 2중 또는 그 이상과의 차이를 표시하도록 하였다. 혹은 정격 출력의 차이를 도형의 색 차이, 또는 색의 농담 차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표시를 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도형의 차이에 의해 가열부의 정격 출력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 또한, 표시 도형은 점, 직선 또는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표시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도형은 간단하기 때문에 표시에 필요한 발광 수단의 구성도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가열 코일로 이루어질 경우는 어느 한쪽만 도형 표시를 하도록 하였다. 이로써 용이하게 정격 출력 구별을 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수단은 조리 중 점등하고, 조리 종료 후 천판의 온도가 위험 온도 이하가 될 때까지 점멸 점등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 구성에 의해 조리의 진행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전체 둘레에 걸쳐 발광하기 때문에 천판 상에 가열부를 명확히 표시할 수 있다. 천판 상에 연속된 선명한 도형을 표시하기 때문에 가열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광원으로부터의 직진광이 멀리까지 닿기 때문에 도광체 전체가 균일하게 발광하게 된다. 도광체 하부로부터의 반사광은 동등하게 상부에 이르기 때문에, 표시가 얼룩지는 일이 없다. 광의 누설에 의한 손실이 적기 때문에 천판 상에 선명한 도형을 그릴 수 있다. 천판 상에 농담이 다른 도형을 그릴 수 있다. 원형의 가열 코일에 대해서는 가열부를 명확히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르면, 광원을 배선한 하나의 계통이 고장나도 다른 계통이 고장나 있지 않으면 그 계통은 계속 점등한다. 또한, 복수의 계통이 있기 때문에 표시 패턴도 여러가지로 조합할 수 있다. 광원을 배선한 하나의 계통이 고장나도 다른 계통이 고장나 있지 않으면 그 계통은 계속 점등하기 때문에, 가열부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복수의 계통이 있기 때문에 조합 수가 많아져 표시 패턴도 많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의 기능 혹은 기기의 상태 혹은 사용 상태 혹은 시간 등에 따라, 계통마다 광원의 종류 혹은 색 혹은 크기 혹은 밝기 등을 바꾸거나, 점등 혹은 점멸 혹은 소등을 계통마다 바꾸는 것은 설계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적어도 2개 계통의 광원을 계통마다 블록화하여 배선하는 구성으로 하면, 하나의 계통이 고장나도 다른 계통이 고장나 있지 않으면 그 계통은 블록으로서 계속 점등하기 때문에, 가열부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과 함께, 고장나 있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적어도 2개 계통의 광원을 계통이 순서대로 반복되도록 배선하는 구성으로 하면, 하나의 계통이 고장나도 다른 계통이 고장나 있지 않으면 그 계통은 블록으로서 계속 점등하기 때문에, 가열부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음과 함께, 광량이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고장나 있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광체를 원 고리형으로 하여, 그 중앙부에 복수의 광원을 원 고리형으로 배열하는 구성으로 하면, 천판 상의 표시가 연속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고장 때문에 표시되지 않는 개소가 있거나, 광량이 감소하거나 하였을 때는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광원의 배선 계통을 2계통으로 하여, 각각의 계통을 교대로 점멸하는 구성으로 하면, 항상 어느 한쪽의 계통이 점등하고 있기 때문에 안심할 수 있다. 또한, 계통마다 발광색을 바꿈으로써 시각적 인식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교대로 점등하지 않을 때는 고장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광원의 배선 계통을 적어도 3계통으로 하고, 각각의 계통을 점멸하는 구성으로 하면, 고장에 의해 시각적 인식을 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점멸을 계통마다 순차 행함으로써 점등하지 않을 때는 고장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광원의 리드선을 트위스트형으로 하는 구성으로 하면, 유도 가열의 자계에 의한 오동작 또는 발열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시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100)의 개략도로, 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101)와, 피가열 조리 용기(102)를 배치하는 투광성 내열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천판(103)과, 천판(103)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피가열 조리 용기(102)를 가열하는 가열 코일(104)과, 가열 코일(104)로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수단(105)과, 가열 코일(104)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광선을 발광하는 전구 혹은 반도체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발광 수단(106)과, 가열 코일(104)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발광 수단(106)의 광선을 전파하는 투광성 유리 혹은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광 수단(107)을 가지며, 발광 수단(106)을 도광 수단(107)의 외주 끝 부분보다 안쪽에 설치하여, 화살표(A1)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광 수단(107)의 대략 수평 외주 방향을 향하여 광선을 전파시켜, 도광 수단(107)의 외주 부분을 발광시키도록 구성한 유도 가열 조리기이며, 가열 코일(104)과 발광 수단(106)은 출력 제어 수단(105)과 리드선 등으로 접속되어 있다. 천판(103) 측에서 본 도광 수단(107)의 형상은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광 수단(107)의 형상은 사각형 판형일 수 있다. 도광 수단(107)의 형상은 삼각형 판형이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유도 가열 조리기(100)에 대해서 그 작용을 설명한다. 천판(103)에 피가열 조리기(102)를 배치하여 가열을 개시하면, 출력 제어 수단(105)은 가열 코일(104)에 가열을 지시하는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발광 수단(106)에 발광을 지시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발광한 광선은 화살표(A1)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광 수단(107)을 전파하여, 외주 부분을 발광시킨다. 이 발광한 광선은 예를 들면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광성 내열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천판(103)을 투과하여, 가열 상태를 천판(103)의 상면 쪽에 표시하는 것이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하면, 도광 수단(107)의 외주 끝 부분을 발광함으로써, 가열 상태를 천판(103)의 상면 쪽에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각적으로 분리되어 있던 가열 상태 표시를 조리부 근방에서 표현할 수 있어, 가스 조리기에 가까운 감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광 수단(107) 및 발광 수단(106)을 가열 코일(104)의 아래쪽에 설치함으로써, 발광 수단(106)의 바로 위에 광선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광 수단(107)으로 수지 등을 사용할 경우, 피가열 조리 용기(102) 등으로부터의 복사, 전도, 전달에 의한 열 영향으로의 변색·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구 혹은 반도체 발광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발광 수단(106)에서는 강자계의 영향에 의한 오동작 혹은 자기 발열에서의 신뢰성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수단(106)에 사용하는 반도체 소자 등의 온도 상승에 동반하는 광도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에서는 가열 상태의 표시 형태를 원 고리형 혹은 반원 고리형 혹은 점선형으로 하였지만, 천판(103) 상에 표시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천판(103)은 전면에 있어서 투광성일 필요는 없으며, 불투명한 부분이 있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 1로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광성 유리 혹은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광 수단(107A)을 원판형으로 구성하여, 중앙부에 개구부를 설치하고, 도광 수단(107A)의 개구부에 발광 수단(106)을 배치하여, 도광 수단의 외주를 향하여 광선을 전파시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유도 가열 조리기에 대해서 그 작용을 설명한다. 발광 수단(106)에 사용하는 전구 혹은 반도체 소자 등의 점광원은 통상 어느 지향 각도를 가지고 넓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며, 예를 들면 발광 수단(106)에 대하여 평행 평판형으로 찍혀나온 광선의 광도는 불균일해진다. 이것은 광선 각각의 평행 평판에 대한 직선 거리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하면, 발광 수단(106)으로부터 도광 수단(107A)의 외주 끝 부분의 직선 거리는 동일 반경으로 일정해져, 광도가 균일한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광 수단(107A)의 외주 끝 부분에 확산재를 도포 혹은 표면을 난반사하도록 처리하든지, 별도 부재의 수광재를 일체 혹은 고정하여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발광 수단(106)의 개수에 대해서는 설계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 1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400)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유도 가열 조리기(100)의 구성 요소와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광성 유리 혹은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광 수단(107B)의 내주 두께를 두껍고, 외주를 향하여 얇아지도록 구성하여, 도광 수단(107B)의 상면 혹은 하면 혹은 양면에 불투명한 수지 혹은 판금 혹은 경체(鏡體) 등으로 이루어지는 반사 수단(108)을 설치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유도 가열 조리기(400)에 대해서 그 작용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광 수단(106)에 사용하는 전구 혹은 반도체 소자 등의 점광원은 통상 어느 지향 각도를 가지고 넓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도광 수단(107B)의 입사면(121)은 발광 수단(106)의 지향 각도에 따른 두께가 필요해진다. 발광 수단(106)의 지향 각도에 대하여 도광 수단(107B)의 입사면 두께가 얇은 경우, 두께보다도 어긋난 광선은 모두 손실되게 된다. 그러나, 발광 수단(106)의 지향 각도가 넓은 경우에, 도광 수단(107B)의 두께를 모두 균일하게 두껍게 하는 것은 합리적이 아니라, 광선을 전파하는 외주를 향하여 두께를 얇아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광선은 직진하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 설치한 경사면을 뚫고 나가 광선을 손실하게 된다.
그렇지만,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광성 유리 혹은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광 수단(107B)의 내주 두께를 두껍고, 외주를 향하여 얇아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입사 시의 광선 손실을 저감함과 함께 합리적인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광 수단(107B)의 상면 혹은 하면 혹은 양면에 불투명한 수지 혹은 판금 혹은 경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반사 수단(108)을 설치함으로써, 전파 중의 광선 손실을 저감하여, 보다 손실이 적은 광도가 높은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 1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500)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유도 가열 조리기(100)의 구성 요소와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광성 유리 혹은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광 수단(107C)의 외주 끝 부분에 조사면(122)으로서 C컷(광이 전파하는 방향(화살표(A1))에 대하여 45°)을 설치하여, 전파된 광선을 전반사시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유도 가열 조리기(500)에 대해서 그 작용을 설명한다. 전구 혹은 반도체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발광 수단(106)의 광선을 투광성 유리 혹은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광 수단(107C)의 끝 부분으로부터 입사하면 도광 수단(107C)을 전파한 광선은 발광 수단(106)의 반대쪽의 끝 부분에서 발광한다. 이 끝 부분에 조사면(122)으로서 C컷(광이 전파하는 방향(화살표(A1)에 대하여 45°)을 구성하여, 전파된 광선을 전반사시킴으로써 조리면인 천판(103) 방향으로 광선을 안내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하면, 천판(103)의 상면 쪽에 의해 명확한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 1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600)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유도 가열 조리기(100)의 구성 요소와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도 가열 조리기(600)는 투광성 유리 혹은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광 수단(107C)의 외주 끝 부분에 설치한 조사면(122)(C컷)과 평행하게, 불투명한 수지 혹은 판금 혹은 경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반사 수단(108)을 배치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유도 가열 조리기(600)에 대해서 그 작용을 설명한다. 도광 수단(107C)을 전파한 광선은 도광 수단(107C)의 외주 끝 부분에 설치한 조사면(122)(C컷(광이 전파하는 방향에 대하여 45°))으로써, 전파된 광선을 전반사시킨다. 그러나, 작업의 격차 등을 생각하면, 조사면(122)(C컷)으로부터 광선이 손실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조사면(122)(C컷)과 평행하게 불투명한 수지 혹은 판금 혹은 경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반사 수단(108)을 배치하여, 손실한 광선을 조리면인 천판(103) 방향으로 광선을 안내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하면, 작업의 격차 등에 의해 손실된 광선도 반사 수단(108)에 의해 조리면인 천판(103) 방향으로 광선을 안내할 수 있어, 보다 명확한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반사 수단(108)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조사면(122)(C컷)에 요철면을 준비하여 난반사시키는, 혹은 확산재를 도포 혹은 별도 부재의 수광재를 일체 혹은 고정하여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 1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700)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유도 가열 조리기(100)의 구성 요소와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참조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도 가열 조리기(700)는 투광성 유리 혹은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광 수단(107D)의 외주 끝 부분에 설치한 조사면(122)(C컷)의 상면에 투광성 내열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천판(103)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세운 벽부(109)를 설치하여, 벽부(109)의 상면부에 전파된 광선을 난반사 혹은 확산하는 표시 수단(110)을 설치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유도 가열 조리기(700)에 대해서 그 작용을 설명한다. 조사면(122)(C컷)에 의한 전반사로써 천판(103) 방향으로 안내된 광선은 도광 수단(107D)이 가열 코일(104)의 아래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천판(103)보다 깊이 들어간 듯이 보인다. 그렇지만, 도광 수단(107)의 상면에 벽부(109)를 설치하여 천판(103) 방향으로 광선을 안내하여, 벽부(109)의 상면부에 광선을 난반사 혹은 확산시키는 표시 수단(110)을 설치함으로써, 보다 천판(103)에 근접한 위치에서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수단(110)은 요철면을 형성하여 난반사시키는, 혹은 확산재를 도포하는, 혹은 별도 부재의 수광재를 일체 혹은 고정하는 것이다.
이렇게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하면, 보다 천판(103)에 근접한 위치에서 표시할 수 있어, 시인성이 향상한다.
또한, 이 벽부(109)의 상면 위치는 천판(103)에 밀착하여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이 벽부(109)의 상면 형상은 경사를 설치하거나, 곡면형으로 하거나 설계자가 임의로 바꿀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천판(103)의 상면 혹은 하면에 동일한 요철면 혹은 확산하는 처리를 설치하여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대해서 도 8a, 도 8b 및 도 9a, 도 9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시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800)의 개략도이다. 유도 가열 조리기(800)는 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201)와, 피가열 조리 용기(202)를 배치하는 투광성 내열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천판(203)과, 천판(203)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피가열 조리 용기(202)를 가열하는 가열 코일(104)과, 가열 코일(204)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광선을 발광하는 전구 혹은 반도체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발광 수단(206)과, 가열 코일(204)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발광 수단(206)의 광선을 전파하는 투광성 유리 혹은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광 수단(207)을 갖는다. 도 8b는 유도 가열 조리기(800)의 도광 수단(207)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광 수단(206)의 광선을 입사하는 도광 수단(207)의 경계 부분에 발광 수단(206)에 대하여 오목형 곡면(221)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유도 가열 조리기(800)에 대해서 그 작용을 설명한다. 전구 혹은 반도체 소자로 이루어지는 발광 수단(206)에 의한 광선은 통상 어느 지향 각도를 가지고 넓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며, 표시에 사용하는 범위는 이 지향 각도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면 실시예 1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원판형 도광 수단을 구성할 경우는 전각(360°)/지향 각도에 의해 표시 범위가 결정되지만, 그 지향 각도에 있어서 90°를 넘는 것은 드물며, 복수 개의 발광 수단(206)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지향 각도가 큰 경우, 도광 수단(207)으로의 입사 시의 광 손실이 커진다. 또한, 직접 광을 표시로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도광 수단(207)을 사용하여 광을 전파시킬 경우, 전파 과정에서 광선을 손실하기 때문에, 발광 수단(206)에 상당량의 광도가 필요해진다. 그러나, 상당량의 광도를 얻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지향 각도는 작아진다. 또한, 통상 광선은 2개의 매질 경계를 통과할 때 광선이 입사하는 각도에 대하여 굴절하며, 입사하는 각도(입사각)에 대하여 음의 성질(굴절각)을 보이기 때문에, 더욱 발광 수단(206)의 수가 증가하게 된다.
이렇게, 입사 시의 광선 손실, 전파 과정에서의 광선 손실, 표시하기 위한 광도 저하, 광선 굴절 등을 비추어 보면, 광도가 높은 범위가 넓은 표시를 얻기 위해서는 상당수의 발광 수단(206)이 필요해진다. 그렇지만, 도광 수단(207)의 경계 부분에 발광 수단(206)에 대하여 오목형(경계의 성질로서 볼록형인 경우 광선을 모으고, 오목형인 경우 광선을 넓히는 성질이 있다.)의 곡면(221)을 설치함으로써 입사각에 대하여 굴절각을 크게 함으로써, 지향 각도가 작은 발광 수단(206)을 사용하더라도 광도 높은 범위의 넓은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오목형 곡면(221)의 반경은 설계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8b에서는 광선의 전파 방향을 도광 수단의 내주 쪽으로부터 외주 방향으로 하였지만, 도 9a와 같이 도광 수단(207)의 외주 쪽에 발광 수단(206)을 설치하여 광선의 전파 방향을 외주로부터 내측으로 하든지, 혹은 도 9b와 같이 도광 수단(207)의 아래쪽에 발광 수단(206)을 설치하여 광선의 전파 방향을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하여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3)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대해서 도 10,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도시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1000)의 개략도로, 유도 가열 조리기(1000)는 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301)와, 피가열 조리 용기(302)를 배치하는 투광성 내열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천판(303)과, 천판(303)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피가열 조리기(302)를 가열하는 가열 코일(304)과, 가열 코일(304)을 배치하는 내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코일 베이스(311)와, 가열 코일(304)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광선을 발광하는 전구 혹은 반도체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발광 수단(306)과, 가열 코일(304)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발광 수단(306)의 광선을 전파하는 투광성 유리 혹은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광 수단(307)을 가지며, 도광 수단(307)을 코일 베이스(311)에 나사(321)로 나사 고정 또는 접착 등으로 고정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유도 가열 조리기(1000)에 대해서 그 작용을 설명한다. 도광 수단(307)에 의해 천판(303)의 상면 쪽에 유도 가열 조리기(1000)의 가열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 가열 영역과 도광 수단(307)에 의한 표시 위치와의 사이의 관계가 중요해진다. 가열 영역과 도광 수단(307)에 의한 표시 위치와의 사이의 위치 관계가 어긋나 있는 경우, 가열 영역에 대한 피가열 조리 용기(302)가 배치하는 위치가 어긋나, 가열 효율이 낮아지거나, 가열 분포의 불균일과 같은 불량이 예측된다. 그렇지만, 도광 수단(307)을 코일 베이스(309)에 나사 고정, 접착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가열 영역과 도광 수단(307)에 의한 표시 위치와의 사이의 위치 관계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에 도시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1100)와 같이 가열 코일(304)을 배치하는 코일 베이스를 도광 수단(307)으로써 겸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1100)의 구성과 같이 피가열 조리 용기(302)를 가열하는 가열 코일(304)을 직접 도광 수단(307)에 배치함으로써, 가열 영역과 도광 수단(307)에 의한 표시 위치와의 사이의 위치 관계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도광 수단(307)에 수지 등을 사용할 경우에는 가열 코일(304)의 자기 발열 혹은 피가열 조리 용기(302) 등으로부터의 복사, 전도, 전달에 의한 열 영향으로 변색·변형 등의 불량이 예측되기 때문에,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열 코일(304)과의 접촉면(322)에 리브(323)를 형성하여 도광 수단(307)과 가열 코일(304) 사이의 접촉 면적을 감소하여, 열 영향을 완화하는 구성을 취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이 리브(323)는 내열 절연 재료 등의 별도 부재로 구성하여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4)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대해서 도 13,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도시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1300)의 개략도로, 유도 가열 조리기(1300)는 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401)와, 피가열 조리 용기(402)를 배치하는 투광성 내열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천판(403)과, 천판(403)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피가열 조리 용기(402)를 가열하는 가열 코일(404)과, 가열 코일(404)을 배치하는 코일 베이스(411)와, 가열 코일(404)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광선을 발광하는 전구 혹은 반도체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발광 수단(406)과, 가열 코일(404)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발광 수단(406)의 광선을 전파하는 투광성 유리 혹은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광 수단(407)을 가지며, 발광 수단(406)을 도광 수단(407)에 나사(421)에 의해 나사 고정 또는 접착 등으로 고정한 유도 가열 조리기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유도 가열 조리기(1300)에 대해서 그 작용을 설명한다. 실시예 1에서도 서술한 바와 같이 전구 혹은 반도체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발광 수단(406)으로부터 발광된 광선은 통상 어느 지향 각도를 가지고 넓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며, 발광 수단(406)과 도광 수단(407) 사이의 위치 어긋남에 의해, 입사 시에 광선을 손실하여, 천판(403)을 통해 표시를 행할 경우는 광량이 적어 표시가 보기 힘들어지거나, 광도의 불균일에 의한 얼룩이 생기거나 한다는 불량이 예측된다. 그렇지만, 발광 수단(406)을 도광 수단(407)에 나사 고정, 또는 접착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발광 수단(406)으로부터 발광된 광선의 도광 수단(407)으로의 입사 위치를 규제할 수 있어, 입사 시의 광선 손실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수단(406)의 설치 방향으로서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광 수단(407)에 대하여 평행하게 발광 수단(406)의 기판(422)을 나사 고정, 혹은 끼워 넣는 구성이 제작 상 간단하지만, 도 1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광 수단(406)의 기판(422)은 도광 수단(407)에 대하여 평행하여 전구 혹은 반도체 소자 등만 도광 수단(407)의 광선을 전파하는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구성하든지, 혹은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광 수단(406)의 기판(422)은 도광 수단(407)에 대하여 수직으로 전구 혹은 반도체 소자 등이 도광 수단(407)의 광선을 전파하는 방향과 수직으로 구성함으로써, 더욱 입사 시의 광선 손실을 감소할 수 있다.
(실시예 5)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대해서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를 도시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1500)의 개략도로, 유도 가열 조리기(1500)는 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501)와, 피가열 조리 용기(502)를 배치하는 투광성 내열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천판(503)과, 천판(503)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피가열 조리 용기(502)를 가열하는 가열 코일(504)과, 가열 코일(504)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수단(505)과, 출력 제어 수단(505)을 냉각하는 팬 등으로 이루어지는 송풍 수단(512)과, 출력 제어 수단(505)으로 송풍하는 경로를 구성한 덕트(513)와, 가열 코일(504)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광선을 발광하는 전구 혹은 반도체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발광 수단(506)과, 가열 코일(504)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발광 수단(506)의 광선을 전파하는 투광성 유리 혹은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광 수단(507)을 가지며, 출력 제어 수단(505)을 냉각한 후에, 발광 수단(506) 및 도광 수단(507)을 냉각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유도 가열 조리기(1500)에 대해서 그 작용을 설명한다. 송풍 수단(512)에 의해 발생한 냉각풍은 덕트(513)를 경유하여 출력 제어 수단(505)을 냉각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덕트(513)의 출구부(513A) 형상을 발광 수단(506) 및 도광 수단(507)의 방향으로 향함으로써, 냉각풍의 흐름을 도시하는 화살표(521), 화살표(522) 및 화살표(523)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출력 제어 수단(505)을 냉각한 후, 발광 수단(506)을 냉각하여, 도광 수단(507)과 가열 코일(504) 사이를 통과하여 천판(503) 방향으로 흐른다. 따라서, 피가열 조리 용기(502) 등으로부터의 복사, 전도, 전달에 의해 전해지는 열 영향 혹은 가열 코일(504)의 자기 발열에 의한 열 영향 등에 의해, 발광 수단(506)에 사용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광도 저하, 도광 수단(507)에 사용하는 수지의 변색,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6)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대해서 도 1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6은 광선을 발광하는 전구 혹은 반도체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발광 수단(606)과, 발광 수단(606)의 광선을 전파하는 투광성 유리 혹은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광 수단(607)을 도시한다. 도광 수단(607)은 복수의 발광 수단(606)에 대응하는 도광체 블록(622)을 포함한다. 도광체 블록(622)은 도광 수단(607)을 블록화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발광 수단(606) 및 도광 수단(607)을 구비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에 대해서 그 작용을 설명한다. 도광 수단(607)은 발광 수단(606)의 지향 각도에 따라서 블록화된 도광체 블록(622)을 포함한다. 블록화된 도광체 블록(622)을 복수 조합한 경우, 도 16과 같이 공간(621)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5에서도 서술한 바와 같이, 이 공간(621)은 냉각 시에 대단히 유리하여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 수단(607)을 블록화함으로써, 도광 수단(607)의 일부가 고장나도, 도광체 블록(622)만을 교환함으로써 수리를 신속·간단히 행할 수 있다.
(실시예 7)
본 발명의 실시예 7 내지 9의 설명에 있어서는 유도 가열에 의한 가열부가 2개소 있는 소위 2구 풍로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실시예 7 내지 9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1700)의 사시도, 도 18은 유도 가열 조리기(1700)의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도 가열 조리기(1700)는 본체를 구성하는 케이스(2001)와 케이스(2001)의 상면에 설치한 투광성 천판(2002)과, 이 천판(2002) 상에 설치한 피가열 조리 용기를 배치하여 유도 가열에 의해 가열하는 가열부(2003)와, 가열부(2003)에 대응하여 천판(2002)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열부(2003)를 가열하는 가열 코일(2004)과, 가열 코일(2004)과 표시 내용을 제어하는 제어부(2005)와 가열부(2003)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센서(2006)와, 천판(2002) 상에 사용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 수단(2007)과, 전원의 온 오프를 행하는 전원 스위치(2008)와 전원 스위치(2008)의 온 오프를 표시하는 전원 표시부(2009)와, 출력 설정을 행하는 출력 설정부(2010)와, 출력 설정을 표시하는 출력 표시부(2011)와, 천판(2002)의 전방부에 제 2 출력 표시부(2012)가 설치된 구성이다. 또한, 2013은 래디언트 히터로 유도 가열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알루미늄 냄비나 구리 냄비에서 가열할 때에 사용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7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 7은 전원 온과 동시에 가열부(2003)에 전원이 투입된 것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표시 내용으로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 7에서는 표시 내용을 도형으로 하여 표시하였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전원 스위치(2008)를 온 동작시키면 전원 표시부(2009)가 점등함과 함께 발광 수단(2007)이 발광하고, 그 광은 투광성 천판(2002)을 투광하여, 천판(2002) 상의 가열부(2003) 근방에 전원이 투입된 것을 도시하는 도형을 표시한다. 도형의 형상으로서는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쉬운 것이면 되기 때문에, 가열 코일(2004)의 반경 정도의 막대 형상이어도 되지만, 가열 코일(2004)의 주변 일부 또는 전체를 둘러싸는 도형, 예를 들면 원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의 일부 또는 전부로 하면 도형이 크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쉬워진다. 또한, 가열 조리 용기를 배치하는 장소가 명확하게 도시되기 때문에 편리성이 좋아진다.
도형의 표시 형태로서는 점등 또는 점멸 점등 방법에서도 되며, 색으로서 적, 청 등의 여러 색을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7과 같이 유도 가열에 의한 가열부(2003)가 2개소 있는 경우는 각각의 가열부(2003)의 표시 형태를 바꾸어도 된다. 예를 들면 튀김용 가열부는 점멸 점등으로 표시하여, 냄비 요리용 가열부는 점등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가열부의 출력의 차이로 색을 바꾸거나 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 7에서는 투광성 천판(2002)을 사용하고 있지만, 천판(2002)의 전면이 투광성일 필요는 없으며 도형을 표시하는 데 필요한 부분이 투광성이고 다른 부분이 불투광성이어도 된다.
이어서 발광 수단(2007)에 대해서 설명한다. 막대형 도형의 표시인 경우는 막대형 발광체나, 전구나 LED와 같은 반도체 발광 소자 등을 선상으로 나열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가열부(2003)의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싸는 표시인 경우는, 고리형 발광체 또는 전구나 반도체 발광 소자를 나열하는 방법에서도 되지만 비용이 높이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발광 수단(2007)으로서 도광판을 사용하는 방식이 실용적이다.
도 19는 발광 수단(2007)으로서 도너츠형 도광체(2014)와 그 중심에 전구 또는 반도체 발광 소자로 이루어지는 광원(2015)을 설치한 구성을 도시한다. 전원 스위치(2008)의 온에 따라 중심부에 있는 광원(2015)이 점등하여, 이 광이 도광체(2014)로 유도되어 도광체(2014)의 주변부에서 발광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주변부에서 발광한 광은 천판(2002) 상에 도형, 본 실시예 7에서는 원을 표시한다. 이 경우, 도광체(2014)의 직경을 가열 코일(2004)의 직경보다도 약간 크게 해 두면 가열부(2003) 주변에 원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20은 도 19의 도광체(2014)를 분할하여 부채꼴 도광체(2016A)로 한 것으로, 이 부채꼴 도광체(2016A)와 그 끼우는 부분에 설치한 광원(2017)에서 1블록으로 하여, 이 블록을 조합함으로써, 반원 등의 도형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 발광 수단(2007)으로서 원 시스템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원 시스템 이외의 사각형 등의 각종 형태를 도광판과 광원을 조합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7에 의하면, 전원의 온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전원을 온 상태로 하여 실제로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는 이하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방법으로 하면 된다.
즉, 전원 스위치(2008)가 투입되고나서 소정 시간 동안, 예를 들면 5분 정도 동안에 출력 설정부(2010)가 설정되지 않을 경우, 제어부(2005)는 전원 스위치(2008)를 자동적으로 오프로 하는 방법이다.
또한, 가열부(2003)가 2개소 있을 경우는 전원 스위치(2008)의 투입 시는 2개소 모두 도형이 표시되지만, 한쪽밖에 사용되지 않고 다른쪽이 그대로 되어 있는 경우는 소정 시간 경과 후 사용하고 있지 않은 쪽의 가열부를 표시하지 않도록 한다. 이 때, 한쪽의 가열부가 표시되어 있으면 다른쪽 가열부의 전원 스위치도 마찬가지로 온 상태인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다.
더욱이, 가열부가 2개소 있는 경우에 전원 스위치(2008)의 투입에 의해, 한쪽 가열부에 대응하는 도형 밖에 표시되지 않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도 한쪽이 표시되어 있으면 다른쪽도 전원이 온 상태에 있는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스위치(2008)의 온 상태에서는 가열부의 도형 표시는 하지 않으며, 사용하는 가열부의 출력 설정부(각 가열부별 스위치)(2010)를 온으로 하였을 때에만 도형을 표시하면, 사용 중의 가열부를 명확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력 절약을 할 수 있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7에 의하면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전원의 온 오프 상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전원의 온 오프를 확인해야만 한다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실시예 8)
본 실시예 8은 실시예 7에 이어서 도 17에 도시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1700)로 가열 조리를 하기 위해 출력 설정부(2010)에서 출력을 설정하였을 때, 천판(2002) 상의 도형 표시가 전원 온 상태 표시와 다른 표시를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전원 스위치(2008)를 투입하여, 전원 온 상태로부터 더욱 사용 상태가 진행하여 출력을 설정하여 가열 상태가 되었을 때, 천판(2002) 상의 표시가 사용 상태에 따라서 변하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표시가 천판(2002) 상에 원으로 표시될 경우, 전원 스위치(2008)가 투입되어 온 상태가 되면, 원이 점멸로 표시되며, 더욱 가열되면 원이 점멸에서 점등으로 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원이 온이 된 것, 더욱이 가열이 개시된 것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시의 변경 방법으로서는 전원 온이 되면 청색계 색이 되고, 가열되면 적색계 색으로 변경한다는 식으로 색의 변화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더욱이, 전원이 온이 되면 흐린 적색이 되고, 가열되면 짙은 적색으로 변경하는 식으로 색의 농담 변화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더욱이, 점등/점멸, 색의 종류, 색의 조합에 의해 사용 상태의 변경에 따른 표시 변경을 하여도 된다.
또한 전원이 온이 되면 청색으로 점등하고, 가열되면 적색으로 점등하며, 가열이 종료하면 적색의 점멸 점등이 되도록 사용 상태 변화를 여러가지 조합으로 표시하여도 된다.
또한 색 차이의 표시는 색 광원이 다른 것을 1세트로 하여 제어부(2005)에 의해 제어하도록 하여도 되며, 적당히 필터를 사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색의 농담 표시는 제어부(2005)에 의해 광원으로의 출력을 바꾸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예 9)
본 실시예 9는 천판(2002)의 전방부에 설치한 제 2 출력 표시부(2012)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전원 스위치(2008)가 투입되어 전원이 온 상태가 되면 출력 표시부(2012)가 점멸 점등하고, 출력이 설정되면 출력 표시부(2012)가 점등하도록 하였다. 통상 제 2 출력 표시부(2012)는 출력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해 수단계로 구분되어 있다. 따라서, 최대 출력의 경우는 점등 범위가 넓지만 최저 출력의 경우는 점등 범위가 좁아지기 때문에, 이 경우라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약간 크게 하면 된다. 또한, 점멸 점등은 최대 출력의 표시로 행하면 확인하기 쉽다.
또한, 실시예 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열 종료 상태에서, 전원 온이 점등되면 그 색을 점멸시킴으로써 조리의 진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합으로 여러 표시가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9에 의하면 조리의 진행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7 내지 9에서는 유도 가열부가 2개소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유도 가열부가 1개 밖에 없을 경우, 혹은 3개소 이상 있는 경우에 대해서도 본 실시예 7 내지 9에 준거하여 행하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10)
이하 발명의 실시예 10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천판은 투광성이라도 불투광성이라도 된다. 단, 불투광성인 경우는 천판형 도형에 상당하는 부분은 투광성으로 해야만 한다. 그 방법으로서는, 천판을 구성하는 투광성 유리 등의 하면에 흑색계 무기 도료를 도포하고, 투광성을 필요로 하는 부분만 상기 무기 도료를 도포하지 않는다는 방법으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10에 있어서는 투광성 천판을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10에서는 정격 출력이 다른 복수의 가열 코일의 일례로서, 정격 출력이 2kW와 3kW 2개의 가열 코일로 이루어질 경우에, 설명에 있어서는 좌측에 2kW, 우측에 3kW의 가열 코일을 배치한 경우로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10의 유도 가열 조리기의 구성과 도 37에 도시하는 종래의 유도 가열 조리기(3700)의 구성은 주된 부분에서 거의 동일하며, 특히 다른 점은 천판 상에 표시되는 가열부의 표시 방법이다. 따라서, 실시예 10의 구성과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천판으로의 표시는 천판의 아래쪽에 설치한 발광 수단에 의해 발광한 광을 투과성 천판 상으로부터 보는 것(천판 상의 표시 수단)으로, 도형은 발광 수단의 구성과 거의 일치한다. 그러나, 실시예 10은 표시의 차이를 명확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발광 수단의 설명은 개요에 멈춘다.
도 21은 본 실시예 10의 유도 가열 조리기(2100)의 사시도이다. 도 21에 있어서, 좌측이 정격 출력 2kW의 가열 코일에 대응한 가열부(3006)이고, 우측이 정격 출력 3kW의 가열 코일에 대응한 가열부(3007)이다. 본 실시예 10에서는 정격 출력의 차이를 도형의 대소로 표시한 것으로, 도형으로서 가열부를 둘러싸는 원으로 도시하고 있다. 정격 출력 2kW에 대응하는 원의 반경보다도 정격 출력 3kW에 대응하는 원 쪽을 크게 하였다. 이로써 어느쪽 출력이 큰지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 10에서는 도형으로서 원을 사용하였지만, 이 이외에 가열부 전체를 둘러싸는 사각형 등의 다각형이어도 되고, 원이나 다각형의 일부여도 된다.
또한, 도형의 크기는 정격 출력의 차이를 판별할 수 있을 정도의 차이가 있으면 되기 때문에, 그 크기는 반드시 가열부를 둘러쌀 정도의 크기일 필요는 없지만, 가열부를 둘러쌀 정도의 크기이면 가열 조리 용기를 천판에 배치 후 혹은 가열 중 또는 조리 중에라도 정격 출력의 차이를 판별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도형으로서 가열부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하였지만, 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에, 선을 사용하여 선 길이의 장단으로 구별하도록 하여도 되고, 더욱이 전구의 대소를 사용하여 점으로서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단, 선 또는 점으로 표시하면, 원 등의 가열부 주위를 둘러싼 경우에 비하여 판별하기 어려워진다.
(실시예 11)
도 22는 본 실시예 11의 유도 가열 조리기의 요부인 가열부(3008 및 3009)만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2에 있어서 정격 출력 2kW의 가열 코일에 대응한 가열부(3008)의 원주 폭은 3kW의 가열 코일에 대응한 가열부(3009)의 원주 폭에 비하여 가늘게 되어 있다. 이로써 출력의 차이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도형으로서는 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으로 표시할 경우라도 선 폭의 굵고 가늠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점으로 표시할 경우라도 그 크기의 대소로 판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0의 도형 표시의 방식에 실시예 11의 도형 표시의 방식을 가미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실시예 12)
도 23은 본 실시예 12의 유도 가열 조리기의 요부인 가열부(3010 및 3011)의 평면도이다. 도 23에 있어서 정격 출력 2kW에 대응한 가열부(3010)의 도형은 하나의 원으로 표시하고 정격 출력 3kW에 대응한 가열부(3011)의 도형은 동심원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원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로써 출력의 차이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각형으로 가열부를 둘러쌀 경우, 한쪽을 하나로 다른쪽을 대소가 다른 상사 도형을 동심적으로 배치하면 된다. 또한, 선이나 점을 사용하여 표시할 경우는 선의 개수나 점의 수를 바꿈으로써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 12의 도형 표시의 방식에 실시예 10 또는/및 실시예 11의 도형 표시의 방식을 가미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실시예 13)
상술한 실시예 10 내지 실시예 12에서는 정격 출력의 차이를 도형의 차이로서 표시하여 왔다.
실시예 13에서는 도형의 색 차이에 의해, 정격 출력을 판별하고자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다른 정격 출력에 대응하는 가열부를 동일한 크기의 원으로 표시하고, 정격 출력 2kW의 가열부를 청색, 정격 출력 3kW의 가열부를 적색으로 표시하는 방법이다. 또한, 동일한 색을 사용하여 정격 출력 2kW의 가열부를 흐린 적색으로 표시하고, 정격 출력 3kW의 가열부를 짙은 적색으로 표시한다는 식으로 색의 농담을 이용하여도 된다.
또한, 표시에 색을 붙이는 방법으로서는 전구나 형광등과 같은 막대형 발열체의 외피에 색을 붙인 색 광원의 사용 혹은 필터를 사용하면 기호 색 및 색의 농담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원과 같이 가열부를 둘러싸는 표시에 색을 붙이는 방법으로서는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형광등과 같은 고리형 발광 수단의 외피에 색을 붙인 색 광원을 도너츠형 도광판(3012)의 중심에 발광 수단(3013)으로서 설치하여, 이 발광 수단(3013)의 광을 도광판(3012)에서 도광하여 그 주변에서 고리형으로 발광시켜, 천판 상에 원을 표시하여도 된다. 이 때, 광원으로서 색 광원을 사용하면 된다. 혹은 도광판(3012)에 컬러 도광판을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천판 아래에 미리 광 조사를 받아 발광하는 발광 도료를 도포해 두어 이 발광 도료를 빛나게 하는 방법도 있다.
(실시예 14)
실시예 10 내지 13에서는 정격 출력이 다른 가열부에 가열부마다 도형을 표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서술하였지만, 실시예 14에서는 유도 가열부가 2개소인 경우, 한쪽을 표시한다. 또한, 도형의 표시는 실시예 10 내지 13에 준하여 행하면 된다.
이상, 실시예 10 내지 14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도형의 형태나 각종 색에 의해 정격 출력의 차이를 도시할 수 있다. 물론 표시는 상기 실시예 10 내지 14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점, 직선, 원, 다각형 또는 원이나 다각형의 일부 및 각종 색의 조합에 의해 적당히 표시 형태를 바꿀 수 있다. 예를 들면, 정격 출력 2kW의 가열부의 원 표시에 대하여, 정격 출력 3kW의 원의 반경을 크고, 폭 넓게, 색을 바꾸어 표시하는 것 등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열부 내측을 면으로서 이용하여, 면 발광의 차이로 구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천판 아래에 발광 수단을 설치하여, 이 발광 수단의 발광을 천판에 표시하도록 한 것이지만, 이 이외에 천판에 도형을 표시하여, 이것에 의해 구별하는 방법도 있다. 단, 천판의 아래쪽에 도형을 그린 경우는 상면으로부터 입사한 광의 반사광을 보게 되어, 천판의 판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보기 힘들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천판 상에 도형을 그릴 경우는 피가열 조리 용기와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고려해야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열부가 2개소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2개소 이상이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고, 가열부 수가 많아 가열 코일의 정격 출력 차이가 많을수록 본 발명의 효과는 증대한다.
또한, 정격 출력이 2kW 및 3kW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보다 작은 또는 보다 큰 정격 출력이어도 되며, 출력이 큰 가열부를 좌측에 출력이 작은 가열부를 우측에 설치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유도 가열 조리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온도 검지 수단, 제어 수단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도형을 조리 중엔 점등하고, 조리 종료 후 천판의 온도가 위험 온도 이하가 될 때까지 점멸 점등하거나, 「냄비 없음 상태 시」, 「튀김 조리 시」등의 기능별로 표시 방법을 바꾸도록 하여도 된다.
(실시예 14)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4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가열 코일의 외주부란 투영면에서 도광체가 가열 코일의 외주에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높이 방향의 위치 관계를 지정한 것은 아니지만, 실시예 14에서는 도광체는 가열 코일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도 26은 실시예 14에 관련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2500)의 사시도이다.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4005)의 상면에 투광성 천판(400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천판(4006)에는 유도 가열에 의해 냄비를 가열하여 피조리물을 조리하는 가열부(4007)와 유도 가열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냄비를 사용하여 조리하는 래디언트 히터(400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4005)의 전방 측면에는 배소기(roaster;4009)와 조작부(401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5는 도 26의 가열 코일(4007)의 어느 한쪽의 단면을 도시하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25에 있어서 천판(4006)의 가열부(4007)(도 26) 상에 조리 냄비(4011)가 배치된다. 이 조리 냄비(4011)를 가열하기 위해 천판(4006)의 하부 가열부(4007)(도 26) 즉 조리 냄비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열 코일(4012)을 설치하고 있다. 더욱이 가열 코일(4012)의 아래쪽에 도광체(4013)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도광체(4013)의 크기를 가열 코일(4012)의 외주부를 둘러쌀 정도의 크기로 함으로써 도광체(4013)로부터의 발광이 가열 코일(4012)에 방해받는 일 없이 천판(4006)에 이르러, 천판(4006) 상에 가열부(4007)의 범위를 명확히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광체(4013)로서는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나 유리 등 광의 투과 성능이 좋은 재료를 사용한다. 4014는 전구나 LED(반도체 발광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원으로, 이 광원(4014)으로부터 발한 광이 도광체(4013)를 전파한다. 15는 제어부에서 조리에 있어서의 화력 조절이나 광원(4014)의 점멸 등의 제어를 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특징인 하나의 도광체와 하나의 광원을 1세트로 한 발광 수단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 도광체(4013)는 원형의 가열 코일(4012)(도 25)에 대응하여 도너츠형 원형으로 하고, 도광체(4013)의 내경은 가열 코일(4012)의 외형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또한, 도광체(4013)의 광로에 대한 직각 방향에 대한 단면은 원형, 사각형 또는 그에 준하는 형상이면 된다. 그리고, 이러한 도광체(4013)는 일반적으로는 수지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도광체(4013)의 광 입력 위치에는 광원실(4016)을 설치하여, 거기에 본 실시예 14에서는 광원(4014)으로서 1개의 전구를 설치하고 있다. 광원실(4016)은 도광체(4013)로의 방향 이외에는 광이 방사하지 않도록 반사판으로 둘러싸고 있다. 광원(4014)으로부터 발한 광은 화살표(40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광체(4013)의 내부를 직진 또는 반사를 반복하면서 전파하여 간다. 이 전파하여 가는 과정에서 천판(4006)으로의 방향으로 광을 방사하여 그 강도는 감쇠하여 간다. 이렇게 광은 도광체(4013)를 전파하면서 천판(4006) 방향으로 광을 방사하여 가기 때문에 천판(4006)에는 도광체(4013)의 상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도형이 표시된다. 도 27에 있어서는 원이 표시되게 된다.
광 전파 중에 광이 천판(4006)으로의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방사되면, 그 강도가 감쇠하기 때문에, 그것을 억제하기 위해, 도광체(4013) 상부의 천판(4006)으로의 방향으로 발광 부분 이외의 부분에는 반사층을 설치하고 있다. 이 반사층으로서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박 또는 판을 사용하여도 되고, 금속이나 금속 산화물의 증착 또는 스퍼터링(sputtering)을 사용하여 형성하여도 된다. 더욱이 도장이나 화학적 방법에 의해 반사막을 만드는 방법도 있다. 어쨌든 반사막을 설치함으로써 천판(4006) 방향으로의 광 감쇠를 억제할 수 있다.
도 28은 천판(4006) 방향으로의 발광을 균일하게 하기 위한 도광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수지 성형에 의해 얻어진 도광체(4013)의 전개도로, 예를 들면 도 27은 이러한 형상의 도광체(4013)를 둥글게 하여 원형으로 한 것이다.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광체(4013)는 발광하는 상부(4013a)를 수평으로 하여 광을 반사하는 하부(13b)에 경사를 설치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즉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을 반사하는 하부(4013b)와, 발광하는 상부(4013a) 사이의 간격이 광원(4014)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서 짧아지고 있다. 이로써, 상부(4013a)로부터의 간격이 짧은 점(q)으로부터 입사한 광은 광원(14)으로부터 거리(L2) 떨어진 위치(4022)에서 하부(4013b)에 부딪쳐 반사하여 상부(4013b)로 향한다. 또한, 상부(4013a)로부터의 간격이 보다 긴 위치점(q)으로부터 입사한 광은 광원(4014)보다 가까운 거리(L1) 떨어진 위치(4023)에서 하부(4013b)에 부딪쳐 반사하여 상부(4013b)로 향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광체(4013)의 상부(4013a)로부터 균일하게 발광할 수 있어, 천판(4006) 상에 광 강도가 균일한 도형을 그릴 수 있다.
다음으로 도광체의 하부(4013b)에 반사층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서술한다. 반사층 중 난반사층의 설치 방법으로서는 하부(4013b)의 표면을 기계적으로 연마하여 요철을 설치한다. 혹은 화학적으로 에칭하여도 된다. 이 때 에칭에 의해 요철면을 얻기 어려울 때는 마스킹을 병용하여 행하면 된다. 또한 도광체(4013)를 수지 성형에서 행할 때 하부(4013b)에 미세한 요철이 가능하도록 하여도 된다. 더욱이 하부(4013b)의 표면에 동종 또는 이종의 물질을 부착 등에 의해 부착시켜 요철을 설치하여도 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요철면에 금속 가루 등을 부착시키면 난반사층이 얻어진다. 이 난반사층에 광이 입사하면 주위로 확산 반사하기 때문에 발광의 균일성이 얻어지기 쉽다.
또한, 경면 반사층의 설치 방법으로서는 도광체 하부(4013b)에 상술한 바와 같이 증착, 스퍼터링 또는 도장에 의해 금속 가루에 의한 층을 설치하는 방법 혹은 금속박 또는 판을 점착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경면 반사층은 하부(4013b)에 경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특히 유효하여 상부(4013a)로부터의 발광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하부(4013b)에 경사가 있을 경우 수지 성형 시에 하부(4013b)의 면에 톱니형으로 다수의 연속된 프리즘을 설치하여, 이 프리즘에 의해 입사광을 반사하여 상부(4013a)로부터 발광하도록 하여도 균일하게 발광할 수 있다.
더욱이, 광의 반사층을 설치하는 방법으로서는 도광체(4013)의 광 굴절율보다도 굴절율이 작은 물질로 도광체(4013)를 덮어, 양자의 계면에서 전반사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실시예 14에서는 광원(4014)으로부터 입사한 광을 도광체(4013)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발광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천판(4006) 상에 농담이 있는 도형을 표시하고 싶은 경우는 도광체(4013)의 하부(4013b) 반사율을 부분적으로 바꾸기 위해 하부(4013b)의 조면도를 부분적으로 바꾸거나, 하부(4013b)에 경사가 있는 경우는 경사를 부분적으로 바꾸거나 하여 반사율을 부분적으로 바꾸어, 농담이 있는 도형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코일의 외주가 길어, 하나의 광원에서는 광원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광원으로부터 발광된 광 강도가 낮아져버릴 경우는 광원과 반원형 도광체를 1세트로 하여, 2세트 사용하도록 하면 된다. 필요에 따라서 이 세트 수를 늘려 가면 된다.
이상 서술한 실시예 14에서는 도광체의 외형으로서는 원형인 경우에 대하여 서술하였지만 앞에서도 서술한 바와 같이 사각형 또는 원이나 사각형에 준하는 형태이면 되는 것은 물론이다. 단, 가열 코일은 일반적으로는 원형이기 때문에 도광체도 원형으로 하면 가열 코일의 위치 즉 가열부의 위치도 확실해지며, 게다가 안정감이 뛰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열 코일의 전체 둘레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쳐 도형을 그릴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 반 둘레 등의 가열 코일의 일부에 도형을 그려도 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4에 의거하면 천판 상에 점이나 선이 아닌 전체에 걸쳐 연속된 선명한 도형을 그릴 수 있다. 게다가 광원의 사용 수도 최저한이기 때문에 비용면에서도 염가로 할 수 있다.
(실시예 15)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5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5에 사용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3000)의 사시도이다.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5006)의 상면에 투광성 천판(5007)이 설치되어 있다. 이 천판(5007)에는 유도 가열에 의해 냄비를 가열하여 피조리물을 조리하는 가열부(5008)와 유도 가열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냄비를 사용하여 조리하는 래디언트 히터(500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 케이스(5006)의 전방 측면에는 배소기(5010)와 조작부(5011)가 설치되어 있다.
도 31은 도 30의 가열부(5008)의 어느 한쪽 단면을 도시하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31에 있어서 천판(5007)의 가열부(5008)(도 30) 상에 조리 냄비(5012)가 배치된다. 이 조리 냄비(5012)를 가열하기 위해 천판(5007)의 하부 가열부(5008) 즉 조리 냄비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열 코일(5013)을 설치하고 있다. 더욱이 가열 코일(5013)의 아래쪽에 도광체(5014)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도광체(5014)의 크기를 가열 코일(5013)의 외주부를 둘러쌀 정도의 크기로 함으로써 도광체(5014)로부터의 발광이 가열 코일(5013)에 방해받지 않고 천판(5007)에 이르며, 천판(5007) 상에 가열부(5008)의 범위를 명확히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광체(5014)로서는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나 유리 등 광 투과 성능이 좋은 재료를 사용한다. 5015는 전구나 LED(반도체 발광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원으로, 이 광원(5015)으로부터 발한 광은 화살표(5031)로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체(5014)를 전파하여 그 외주부에서 천판(5007) 방향으로 발광한다. 5016은 제어부에서 조리에 있어서의 화력 조절이나 광원(5015) 점멸 등의 제어를 행한다.
도 29a는 본 발명의 특징인 복수의 광원 계통으로서 2계통의 경우를 도시한 배선도이다. 도 29a는 2계통의 배선도로 6개의 광원(5015a)과 그 전원(5017a)으로 이루어지는 계통(5018A)과, 6개의 광원(5015b)과 그 전원(5017b)으로 이루어지는 계통(5018B)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광원의 전원으로서는 직류여도 교류여도 된다. 도 29b는 광원(5015a) 및 광원(5015b)에 의해 천판(7)에 각각 그려지는 도형의 일례를 표시한 것으로, 계통(5018A)에 의해 도형(5019a)이, 계통(5018B)에 의해 도형(5019b)이 표시된다. 또한, 도 29b에 있어서, 계통(5018A)과 계통(5018B) 사이에 명확한 경계(5032)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은 설계 문제로 경계(5032)를 설치하여도 되고 겹치도록 하여도 된다.
도 29에 있어서, 예를 들면 광원(5015a)의 1개가 고장나면, 계통(5018A)은 소등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계통(5018A)이 고장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과 함께, 계통(5018B)이 점등하고 있기 때문에 가열 상태인 것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계통(5018A) 및 계통(5018B)을 동시에 또는 교대로 점멸시킴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가열 상태인 것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여 도광체(5014)와 광원(5015)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2는 도광체(5014)를 원 고리형으로 하고, 그 중앙부에 복수의 광원(5015)을 원 고리형으로 배열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도 32에서는 22개의 광원(5015)을 사용하여, 그 중 좌측의 6개 광원을 직렬로 배선하여 계통(5018A)으로 하고, 우측의 6개 광원을 직렬로 배선하여 계통(5018B)으로 하며, 각각의 계통을 블록으로 하여 배치한 경우를 도시한다. 이렇게 복수의 광원을 배치함으로써 원고리형의 도광체(5014)의 외주로부터 광이 동등하게 발광한다. 그리고, 천판 상에 원형의 도형을 표시한다.
또한, 광원(5015)의 리드부(5020)의 접속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32에 있어서는 광원의 리드부(5020)는 원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선하고 있다. 이것은 유도 가열 시의 자계에 의한 오동작 및 발열을 적게 하기 위함이다. 이 광원(5015)의 리드부(5020)는 리드선 혹은 기판 상의 패턴이어도 된다.
또한, 도 33은 도광체(5014)와 광원(5015)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다른 예이다. 도 33에서는 도광체(5014)를 복수 개의 도광체편(5014a)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한 도광체편(5014a)과 적어도 2개의 광원(5015)을 1블록으로 하여, 상기 블록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도 33은 6블록에서 원 고리를 작성한 것이다. 이렇게 도광체편(5014a)과 광원(5015)을 조합함으로써 여러 형상의 도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33에서는 광원(5015)은 12개 사용하여 그 배선은 도 32와 동일하다. 광원(5015)의 리드부(5021)는 원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선하고 있다. 도 32와 다른 점은 각 광원(5015)의 리드부(5021)를 트위스트형으로 하고 있는 점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32보다도 더욱 자계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이 광원(5015)의 리드부(5021)는 리드선 혹은 기판 상의 패턴이어도 된다.
또한, 리드부를 방사상으로 배치하거나, 트위스트형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하거나 하는 것과 도광체의 형상과는 전혀 관계 없다. 예를 들면 도 32에 있어서 트위스트형으로 하여도 된다. 리드부를 이렇게 배치하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유도 가열 시의 자계 영향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이 목적을 위해서는 어느 유도 가열 조리기에 사용하여도 된다.
도 33 및 도 34에서는, 도광체(5014)를 원 고리형으로 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광체(5014)는 고리형이면 된다.
도 34는 도광체편(5014b)의 다른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광체편(5014b)의 외주에 천판(5007)(도 30)에 수직 방향으로 벽(5022)을 설치하고 있다. 이로써 천판(5007)으로의 광 강도를 늘릴 수 있다.
(실시예 16)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6에 대해서 도 35a 및 도 35b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6이 실시예 15와 다른 점은 복수의 광원 배선이 다른 점이며, 다른 구성은 실시예 15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5a는 실시예 16에 있어서의 복수의 광원 배선도이다. 실시예 15와 다른 점은 계통(5018A)의 광원(5015a)과 계통(5018B)의 광원(5015b)을 교대로 배열하여 각 계통 모두 광원을 6개씩 사용한 점이다. 그리고 도 35b는 광원(5015a) 및 광원(5015b)에 의해 천판(5007)에 그려지는 도형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도 35a의 좌측 광원부(5022a)에 의해 도 35b의 좌측 도형(5023a)이 표시된다. 또한 우측 광원부(5022b)에 의해 도 35b의 우측 도형(5023b)이 표시된다. 또한, 도형(5023a와 5023b)과의 경계는 설계에 의해 명확해지도록 하여도 되며, 겹치도록 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35a 및 도 35b에 있어서, 예를 들면 광원(5015a)의 1개가 고장나면, 계통(5018A)은 소등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표시가 흐려지기 때문에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계통(5018B)이 점등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는 흐려지지만 가열 상태인 것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계통(5018A) 및 계통(5018B)을 동시에 또는 교대로 점멸시킴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가열 상태인 것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더욱이, 광원(5015a와 5015b)의 발광색을 바꾸는, 예를 들면 청과 적으로 함으로써 화력 차이를 표시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가열 초기 단계는 어느 한쪽의 계통을 점등하여, 가열이 진행함에 따라 양쪽 계통을 점등하도록 하여도 된다. 더욱이 점멸 패턴을 가함으로써 상기 이외의 여러 패턴의 표시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광체(5014)와 광원(5015)과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6에 있어서도 실시예 15와 동일한 관계가 된다. 도 32 및 도 33에 있어서 광원(5015)을 하나 걸러 접속하면 된다.
또한, 실시예 15 또는 16에 있어서는 광원을 2계통으로 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3계통 이상으로 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특히 3계통 이상으로 하여, 각 계통을 순차 점멸하여 가도록 하면 발광이 흐르도록 이동하기 때문에 외관이 좋다. 그러나, 실용적으로는 계통 수가 많아지면 배선이 복잡해지고, 또한, 광원을 다수 사용하면 비용면에서도 문제가 되기 때문에, 3계통 정도까지가 한도이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천판 상면 쪽에 가열 상태를 발광시키는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시각적으로 분리되어 있던 가열 상태 표시를 조리부 근방에서 표현할 수 있어, 가스 조리기에 가까운 감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광 수단 및 발광 수단을 가열 코일 아래쪽에 설치함으로써, 피가열 조리 용기 등으로부터의 반사, 전도, 전달에 의한 열 영향으로의 도광 수단의 변색·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구 혹은 반도체 발광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발광 수단에 있어서는, 강자계의 영향에 의한 오동작 혹은 자기 발열로의 신뢰성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수단으로 사용하는 반도체 소자 등의 온도 상승에 동반하는 광도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수단으로부터 바로 아래로의 광선 누출을 가열 코일로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광 수단을 원판형으로 구성하여, 중앙부에 개구부를 설치하고, 도광 수단의 개구부에 발광 수단을 배치함으로써, 광도가 균일한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통상, 원형 가열 영역 및 원통형 피가열 조리 용기와 유사한 형태로써 표시함으로써 시각 인식 효과는 더욱 향상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광 수단의 내주의 두께를 두껍고, 외주를 향하여 얇아지도록 구성하여, 도광 수단의 상면 혹은 하면 혹은 양면에 반사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광선 입사 시의 손실을 저감함과 함께, 반사판에 의해, 전파 중인 광선 손실을 저감하여, 보다 손실이 적은 광도 높은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합리적인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광 수단의 외주 끝 부분에 조사면을 구성함으로써, 전파된 광선을 전반사시킴으로써, 조리면인 천판 방향으로 광선을 안내할 수 있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광 수단의 외주 끝 부분에 설치한 조사면과 평행하게 반사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작업의 격차 등에 의한 전반사 시의 광선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광 수단의 상면에 벽부를 설치하여 천판 방향으로 광선을 안내하여, 벽부의 상면부에 광선을 난반사 혹은 확산시킴으로써, 보다 천판에 근접한 위치에서 표시할 수 있어, 시인성이 향상한다. 또한, 난반사시킴으로써, 여러 각도에서도 시각 인식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 수단의 광선을 입사하는 도광 수단의 경계 부분에 발광 수단에 대하여 오목형 곡면을 설치함으로써, 입사각보다도 굴절각을 크게 할 수 있어, 지향 각도가 작은 발광 수단을 사용하여도, 광도 높은 범위가 넓은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발광 수단 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염가인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수단의 발광하는 광선을 도광 수단의 외주 끝 부분보다 안쪽으로부터 외주로 전파함으로써 광도의 균일한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광 수단을 코일 베이스에 고정함으로써, 가열 영역과 도광 수단에 의한 표시와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어, 열 효율 저하, 가열 분포의 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수단이 발광하는 광선을 도광 수단의 외주 끝 부분보다 안쪽에서 외주로 전파함으로써 광도가 균일한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코일 베이스를 도광 수단으로 겸함으로써, 가열 영역과 도광 수단에 의한 표시와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음과 함께,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수단이 발광하는 광선을 도광 수단의 외주 끝 부분보다 안쪽에서 외주로 전파함으로써 광도가 균일한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 수단을 도광 수단에 고정함으로써, 도광 수단으로의 입사 위치를 규제할 수 있어, 입사 시의 광선 손실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발광 수단을 도광 수단의 광선을 전파하는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구성함으로써, 더욱이 입사 시의 광선 손실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수단이 발광하는 광선을 도광 수단으로 중심에서 외주로 전파함으로써 광도의 균일한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피가열 조리 용기 등으로부터의 복사, 전도, 전달에 의하여 전달되는 열 영향 혹은 가열 코일의 자기 발열에 의한 열 영향 등에 의해, 발광 수단에 사용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광도 저하, 도광 수단에 사용하는 수지의 변색,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수단이 발광하는 광선을 도광 수단으로 중심에서 외주로 전파함으로써 광도가 균일한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록화한 것을 복수 조합함으로써,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 수단과 발광 수단을 조합할 때마다 블록화함으로써, 고장난 블록만을 교환함으로써 수리를 신속·간단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수리 비용 등도 염가로 끝나, 서비스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수단이 발광하는 광선을 도광 수단으로 중심에서 외주로 전파함으로써 광도가 균일한 표시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이 온 상태가 되면, 천판 상의 가열부 주변에 도형이 표시되기 때문에, 전원이 온 것을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온에서 천판 상에 표시된 도형 표시가 가열이 개시되면 또 다른 형태로 표시되기 때문에, 전원 온 상태와 가열 상태와의 구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 코일의 정격 출력 차이를 발광 수단에 의해 천판 상의 가열부에 도형으로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정격 출력의 차이를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리의 종류 또는 량에 의해 가열부 선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하게 조리를 행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원과, 그 광원의 광을 받아 가열 코일 외주의 일부 또는 전체에 걸쳐 발행하는 도광체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천판 상에 연속된 선명한 도형을 표시할 수 있어 가열 상태를 용이하게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게다가 광원 수를 최소한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생산성 및 비용면에서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광원을 적어도 2개 계통으로 분할하여, 각 계통을 병렬로 배선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계통이 고장나도 다른 계통에 의해 가열 상태인 것을 시각적으로 포착할 수 있다. 또한, 점등 등에 의한 표시 조합의 자유도가 커진다.

Claims (51)

  1. 피가열 조리 용기를 배치하는 투광성 천판과,
    상기 피가열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 코일과,
    광선을 발광하는 발광 수단과,
    상기 발광 수단에 의해 발광된 상기 광선을 전파하는 투광성 도광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도광 수단은 판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발광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광선을 상기 도광 수단의 외주 부분을 향하여 유도하며,
    상기 광선은 상기 도광 수단의 외주 부분을 발광시키는 유도 가열 조리기.
  2. 피가열 조리 용기를 배치하는 투광성 천판과,
    상기 피가열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 코일과,
    광선을 발광하는 발광 수단과,
    상기 발광 수단에 의해 발광된 상기 광선을 전파하는 투광성 도광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광선은 상기 도광 수단의 외주 부분을 발광시킴과 동시에,
    상기 발광 수단 및 상기 도광 수단은 상기 가열 코일에 대하여 상기 천판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수단은 원판 형상을 가지고,
    상기 도광 수단은 중앙부에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발광 수단은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수단은 내주 쪽에서 외주 쪽을 향하여 얇아지는 두께를 가지고,
    상기 도광 수단은 상면과 하면을 가지며,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며, 상기 광선을 반사하는 반사 수단을 더 구비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수단은 상기 도광 수단의 외주 쪽 끝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광선을 상기 천판 방향으로 반사하는 조사면을 갖는 유도 가열 조리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면과 평행하게 설치된 상기 광선을 상기 천판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 수단을 더 구비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수단은 상기 조사면에 대하여 상기 천판 쪽에 형성되며, 상기 광선을 상기 천판으로 안내하는 벽부를 더 가지며,
    상기 벽부는 상기 천판과 대향하는 상면부를 가지며,
    상기 상면부는 이 상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광선을 난반사(randomly reflecting) 혹은 확산하는 표시 수단을 갖는 유도 가열 조리기.
  8. 피가열 조리 용기를 배치하는 투광성 천판과,
    상기 피가열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 코일과,
    광선을 발광하는 발광 수단과,
    상기 발광 수단에 의해 발광된 상기 광선을 전파하는 투광성 도광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도광 수단은 상기 발광 수단으로부터 발광된 상기 광선을 입사하는 경계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 수단에 대하여 오목형으로 형성되는 곡면을 갖는 유도 가열 조리기.
  9. 피가열 조리 용기를 배치하는 투광성 천판과,
    상기 피가열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 코일과,
    상기 가열 코일을 고정하는 코일 베이스와,
    광선을 발광하는 발광 수단과,
    상기 발광 수단에 의해 발광된 상기 광선을 전파하는 투광성 도광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도광 수단은 상기 코일 베이스에 고정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
  10. 피가열 조리 용기를 배치하는 투광성 천판과,
    상기 피가열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 코일과,
    광선을 발광하는 발광 수단과,
    상기 발광 수단에 의해 발광된 상기 광선을 전파하는 투광성 도광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가열 코일은 상기 도광 수단에 고정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수단은 상기 도광 수단에 고정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 수단을 고정하는 코일 베이스를 더 구비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13. 피가열 조리 용기를 배치하는 투광성 천판과,
    상기 피가열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 코일과,
    상기 가열 코일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 수단과,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을 냉각하는 냉각풍을 발생하는 송풍 수단과,
    광선을 발광하는 발광 수단과,
    상기 발광 수단에 의해 발광된 상기 광선을 전파하는 투광성 도광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냉각풍은 상기 발광 수단 및 상기 도광 수단을 냉각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풍은 상기 출력 제어 수단을 냉각한 후에 상기 발광 수단 및 상기 도광 수단을 냉각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수단은 복수이며,
    상기 도광 수단은 상기 복수의 발광 수단에 대응하는 도광체 블록을 포함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판 상에 설치되어 유도 가열에 의해 상기 피가열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1개 이상의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의 사용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전원이 투입되면 상기 사용 상태를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해 상기 가열부 근방에 표시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피가열 조리 용기가 배치되어 상기 가열 코일에 의해 가열되면, 상기 가열부 근방에 표시되는 표시 내용을 변경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이 투입된 후, 소정 시간 경과하여도 출력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전원을 오프(off)로 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 조리기는 복수 개의 상기 가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원이 투입된 후, 소정 시간 경과하여도 출력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가열부가 있을 때는, 상기 제어 수단은 그 출력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가열부에 대응하는 표시를 소거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 조리기는 복수 개의 상기 가열부를 구비하며,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의 사용 상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부 근방에 표시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 내용이 점멸 점등으로부터 점등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가열부 근방에 표시되는 상기 표시 내용을 변경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 색이 변화하도록 상기 가열부 근방에 표시되는 상기 표시 수단 내용을 변경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23. 제 1 항에 있어서,
    피가열 조리 용기를 배치하여 유도 가열에 의해 가열하는 천판 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가열부와,
    상기 천판에 대하여 상기 피가열 조리 용기의 반대쪽에서 상기 복수의 가열부에 대응하여 각각 설치되는 출력이 다른 복수의 가열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발광 수단은 상기 천판 상에 상기 가열 코일의 상기 출력의 차이를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도형을 표시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정격 출력을 포함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설정 출력을 포함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의 차이는 상기 도형의 대소로 표시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의 차이는 상기 도형의 폭 차이로 표시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의 차이는 상기 도형의 수 차이로 표시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의 차이가 상사 도형 수의 차이로 표시될 경우, 상기 가열 코일의 한쪽에 대응하는 표시를 단일로 하고 상기 가열 코일의 다른쪽에 대응하는 표시를 이중 또는 그 이상으로 하도록 한 유도 가열 조리기.
  30.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의 차이는 상기 도형의 색 차이와 상기 도형의 색 농도 차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표시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
  31.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의 차이는 점, 직선 또는 다각형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표시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
  32.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코일은 2개이고,
    상기 발광 수단은 상기 천판 상에 상기 가열 코일의 상기 출력 차이를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가열 코일의 적어도 한쪽에 도형을 표시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33.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수단은 조리 중 점등하고, 조리 종료 후 상기 천판의 온도가 위험 온도 이하가 될 때까지 점멸 점등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34. 본체 케이스 상면에 설치되는 투광성 천판과,
    상기 천판 상에 설치되어 피가열 조리 용기를 배치하여 유도 가열에 의해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천판에 대하여 상기 피가열 조리 용기의 반대쪽에서 상기 가열부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가열 코일과,
    상기 가열 코일의 외주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도광체와,
    상기 도광체에 광선을 발광하는 광원을 구비하며,
    상기 도광체는 상기 광원에 의해 발광되는 상기 광선을 수광하여, 상기 가열 코일의 외주를 따라 도광하고, 상기 가열 코일의 상기 외주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천판으로의 방향으로 상기 광선을 발광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는 상기 천판에 대향하여 형성되는 상면과 상기 상면에 대하여 상기 천판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하면을 가지고,
    상기 하면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서,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경사를 갖는 유도 가열 조리기.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는 상기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광선을 난반사시키는 난반사층(a random reflective layer)을 갖는 유도 가열 조리기.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는 상기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광선을 경면 반사시키는 경면 반사층(a mirror surface reflective layer)을 갖는 유도 가열 조리기.
  38.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는 상기 하면에 형성되는 톱니형 프리즘을 갖는 유도 가열 조리기.
  39.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선을 발광하는 상기 상면 이외의 면에 형성되어, 상기 도광체로부터 광의 굴절율이 작은 층을 더 구비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40.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은 상기 광선의 반사율이 부분적으로 변하도록 형성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
  41.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는 도너츠형 형상을 갖는 유도 가열 조리기.
  42. 본체 케이스의 상면에 설치한 투광성 천판과,
    상기 천판 상에 설치된 피가열 조리 용기를 배치하여 유도 가열에 의해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천판에 대하여 상기 피가열 조리 용기의 반대쪽에서 상기 가열부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가열 코일과,
    광선을 발광하는 복수의 제 1 광원 및 복수의 제 2 광원과,
    상기 복수의 제 1 광원 및 복수의 제 2 광원에 의해 발광되는 상기 광선을 도광하여, 상기 광선을 상기 가열 코일의 외주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원고리형으로 발광하는 도광체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광원 및 복수의 제 2 광원은 서로 병렬로 배선되는 유도 가열조리기.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광원 및 복수의 제 2 광원은 블록화하여 배선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
  4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광원 및 복수의 제 2 광원은 순서대로 반복되도록 배선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
  45.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는 고리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도광체의 중앙부에 상기 복수의 제 1 광원 및 복수의 제 2 광원이 고리형으로 배열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
  46.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는 복수 개의 도광체편을 포함하며,
    상기 도광체편과 적어도 2개의 상기 광원을 1개의 블록으로 하여, 상기 블록을 조합하여 사용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
  47.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는 외주 끝 부분에 상기 천판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세운 벽부를 가지며,
    상기 벽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천판 방향으로 상기 광선이 발광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
  48.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광원 및 복수의 제 2 광원은 서로 교대로 점멸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49.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을 발광하는 복수의 제 3 광원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광원, 복수의 제 2 광원 및 복수의 제 3 광원이 순서대로 점멸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
  50.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광원을 접속하는 리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리드부는 상기 도광체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선형으로 배치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의 각각은 트위스트형으로 형성되는 유도 가열 조리기.
KR10-2002-7006990A 1999-12-02 2000-12-01 유도 가열 조리기 KR1004852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343071 1999-12-02
JP34307199A JP3405298B2 (ja) 1999-12-02 1999-12-02 誘導加熱調理器
JPJP-P-2000-00111767 2000-04-13
JP2000111768A JP3405318B2 (ja) 2000-04-13 2000-04-13 誘導加熱調理器
JP2000111767A JP3405317B2 (ja) 2000-04-13 2000-04-13 誘導加熱調理器
JPJP-P-2000-00111768 2000-04-13
JPJP-P-2000-00145180 2000-05-17
JP2000145180A JP2001326064A (ja) 2000-05-17 2000-05-17 誘導加熱調理器
JPJP-P-2000-00168554 2000-06-06
JP2000168554A JP3596429B2 (ja) 2000-06-06 2000-06-06 誘導加熱調理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535A KR20020067535A (ko) 2002-08-22
KR100485201B1 true KR100485201B1 (ko) 2005-04-27

Family

ID=27531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990A KR100485201B1 (ko) 1999-12-02 2000-12-01 유도 가열 조리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041945B2 (ko)
EP (5) EP2106196B1 (ko)
KR (1) KR100485201B1 (ko)
WO (1) WO20010415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67999B (en) * 2000-10-20 2004-02-18 Pulse Home Products Ltd Liquid heating vessel
US6969834B2 (en) * 2001-07-03 2005-11-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ine type luminous device and induction heating cooker employing same
DE10159682A1 (de) * 2001-11-30 2003-06-26 Ego Elektro Geraetebau Gmbh Vorrichtung zur Markierung einer Induktionsspule durch Beleuchtung
US6649874B2 (en) * 2002-02-22 2003-11-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a user non-perceivable light source in a machine
AU2003298883A1 (en) * 2002-07-12 2004-03-2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duction heating cooker
WO2005109956A1 (ja) * 2004-05-10 2005-11-17 Kabushiki Kaisha Toshiba 加熱調理器
JP4839786B2 (ja) * 2005-11-14 2011-12-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
US7554060B2 (en) * 2006-09-29 2009-06-30 England Raymond O Displaying cooking-related information
JP4340919B2 (ja) * 2006-11-22 2009-10-07 船井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再生装置および導光構造
EP2166815B1 (en) * 2007-06-07 2015-11-04 Panasonic Corporation Heating cooker
ES2430328T3 (es) * 2007-06-22 2013-11-20 Panasonic Corporation Cocina de inducción
ES2426218T3 (es) * 2007-06-22 2013-10-22 Panasonic Corporation Cocina de inducción
CN101971698B (zh) * 2008-03-10 2013-04-1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感应加热烹调器
EP2288231B1 (en) * 2008-05-27 2018-08-08 Panasonic Corporation Induction heating cooking apparatus
EP2252130B1 (en) * 2009-02-06 2012-08-22 Panasonic Corporation Electromagnetic cooking device
CN201404100Y (zh) * 2009-04-23 2010-02-17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一种电烤盘
WO2011001568A1 (ja) * 2009-07-03 2011-01-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
WO2011010428A1 (ja) * 2009-07-24 2011-01-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熱調理器
CN102471142B (zh) * 2009-08-17 2016-02-24 Bsh家用电器有限公司 具有以金属涂敷的盖板的感应式加热烧煮盘
EP2405713B1 (en) * 2010-07-09 2012-12-2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n induction cooking hob with illumination equipment
CN102342760B (zh) * 2010-07-30 2015-07-0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感应加热烹调器
FR2967236B1 (fr) * 2010-11-04 2014-10-10 Eurokera Article vitroceramique lumineux
EP2458285B1 (en) * 2010-11-26 2015-09-1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cooking hob with a glass ceramic panel and an illumination device
US8667958B2 (en) * 2010-11-29 2014-03-11 General Electric Company Burner illumination in an appliance
DE202011052226U1 (de) * 2010-12-08 2012-01-16 Schott Ag Anzeige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Kochflächen
EP2632230B1 (en) 2012-02-24 2017-06-14 Whirlpool Corporation Induction heating device, cooking appliance using such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y thereof
CA151671S (en) * 2012-03-12 2014-03-11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Cooktop
DE202012003287U1 (de) * 2012-04-02 2013-07-0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Kochfeld mit einer Platte und einem Leuchtmittel
CN104848271B (zh) * 2014-02-17 2017-04-19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电磁炉
DE102014215781A1 (de) * 2014-08-08 2016-02-11 BSH Hausgeräte GmbH Kochfeld mit einer Beleuchtungsvorrichtung mit spezifischem Lichtleiter
WO2016080594A1 (ko) * 2014-11-18 201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장치, 무선 전력 수신장치 및 무선 충전 시스템
EP3177108B1 (en) * 2015-12-02 2020-04-0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Induction cooking hob
DE102016204887A1 (de) * 2016-03-23 2017-09-28 E.G.O. Elektro-Gerätebau GmbH Anzeigevorrichtung für ein Elektrogerät und Elektrogerät
ES2683880B1 (es) * 2017-03-28 2019-07-12 Bsh Electrodomesticos Espana Sa dispositivo de campo de cocción
ES2683901B1 (es) * 2017-03-28 2019-09-16 Bsh Electrodomesticos Espana Sa Dispositivo de campo de cocción
ES2684128B1 (es) * 2017-03-30 2019-07-29 Bsh Electrodomesticos Espana Sa Dispositivo de aparato doméstico y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 dispositivo de aparato doméstico
US10899273B2 (en) * 2017-12-04 2021-01-26 Flex-N-Gate Advanced Product Development Llc Integrated display light assembly
KR102060150B1 (ko) * 2018-03-23 2019-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각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EP3627964A1 (en) * 2018-09-21 2020-03-25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Illumination device for a heating zone of a cooking hob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71291A (en) * 1979-11-14 1981-06-13 Tokyo Shibaura Electric Co Output display circuit for induction heating cooking oven
JPS6059389U (ja) * 1983-09-29 1985-04-25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電磁調理器の加熱表示装置
DE3635345A1 (de) * 1986-10-17 1988-04-28 Ego Elektro Blanc & Fischer Strahlheizkoerper
JPS6424386A (en) * 1987-07-20 1989-01-26 Toshiba Corp Induction heated cooking apparatus
JPS6463290A (en) * 1987-09-03 1989-03-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Heat cooking apparatus
JPH0514302Y2 (ko) * 1988-02-19 1993-04-16
DE3831233A1 (de) * 1988-09-14 1990-03-22 Ego Elektro Blanc & Fischer Heizkoerper
JP2903561B2 (ja) * 1989-09-28 1999-06-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JPH03114183A (ja) * 1989-09-28 1991-05-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調理器
JPH03289086A (ja) 1990-04-04 1991-12-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調理器
GB2249386B (en) * 1990-10-22 1994-03-30 Moorwood Vulcan Ltd Cooker hobs
JP2739528B2 (ja) 1991-07-02 1998-04-15 株式会社日立テレコムテクノロジー Sd信号データのtssi保証方式
JPH07312280A (ja) * 1994-05-17 1995-11-28 Hitachi Home Tec Ltd 電気クッキングヒーター
JPH07312279A (ja) 1994-05-17 1995-11-28 Hitachi Home Tec Ltd 電気クッキングヒーター
JPH08298181A (ja) * 1995-04-28 1996-11-12 Fuji Electric Co Ltd 誘導加熱装置の動作表示回路
EP0853444B1 (de) * 1997-01-10 2005-11-23 E.G.O. ELEKTRO-GERÄTEBAU GmbH Kochsystem mit einer Kontaktwärme übertragenden Elektro-Kochplatte
JP3810901B2 (ja) * 1997-09-05 2006-08-16 株式会社東芝 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50028A4 (en) 2008-07-02
KR20020067535A (ko) 2002-08-22
EP2101544A2 (en) 2009-09-16
EP2101545A2 (en) 2009-09-16
EP2106196B1 (en) 2017-04-26
EP2101546A3 (en) 2013-11-20
EP2101544B1 (en) 2017-05-31
US7041945B2 (en) 2006-05-09
EP2101546B1 (en) 2016-07-13
WO2001041510A1 (fr) 2001-06-07
EP1250028B1 (en) 2011-06-29
EP2101546A2 (en) 2009-09-16
EP2101545A3 (en) 2013-11-27
EP2101545B1 (en) 2015-04-22
EP2106196A2 (en) 2009-09-30
EP2101544A3 (en) 2013-11-27
EP2106196A3 (en) 2013-11-27
EP1250028A1 (en) 2002-10-16
US20030164370A1 (en) 200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5201B1 (ko) 유도 가열 조리기
KR100494962B1 (ko) 선형상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유도 가열 조리기
US7554060B2 (en) Displaying cooking-related information
JP6622296B2 (ja) 誘導加熱調理機器
JP2017520900A (ja) 誘導加熱調理機器
JP2009059493A (ja) 誘導加熱調理器
JP3584906B2 (ja) 誘導加熱調理器
EP2947960B1 (en) Induction cooking device
KR100917726B1 (ko) 유도가열조리기
JP2001160483A (ja) 誘導加熱調理器
JP3888367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3405318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H03289086A (ja) 誘導加熱調理器
JP3573132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3938163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3786078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3786079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3938165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3786080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3938164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3786077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0182525A (ja) 誘導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