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838B1 - 손토시의 편직방법 - Google Patents

손토시의 편직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838B1
KR100914838B1 KR1020090020289A KR20090020289A KR100914838B1 KR 100914838 B1 KR100914838 B1 KR 100914838B1 KR 1020090020289 A KR1020090020289 A KR 1020090020289A KR 20090020289 A KR20090020289 A KR 20090020289A KR 100914838 B1 KR100914838 B1 KR 100914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needle
hand
stop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배
최승주
Original Assignee
김경배
최승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배, 최승주 filed Critical 김경배
Priority to KR1020090020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8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8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1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colour pattern, e.g. intarsia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4Needle cylinders
    • D04B15/16Driving devices for reciprocatory ac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2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9/28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colour patter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58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glov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1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토시의 편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말 편직기와 같은 원형 편직기를 이용하여 손토시를 편직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끼워지는 관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재단 및 박음질 공정을 거칠 필요 없이 전체를 한번에 직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 및 소요시간이 단축되어 생산효율성이 증대됨과 아울러 편안한 착용감을 부여하도록 하는 손토시의 편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토시의 편직방법은, 니들 실린더(c) 내경에 형성된 슬롯(1)마다 삽입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작동하는 니들(2)과, 상기 니들 사이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작동하는 싱커(3)로 구성된 공지의 원형 편직기(M)로 손토시를 편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니들 실린더(c)를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전시켜 실이 삽입된 상기 니들(2)의 상하 작동과 싱커(3)의 전후 작동이 연속적으로 행해짐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 첫마디 부위에서부터 손등 돌출부 하부까지 감쌀 수 있는 소정 사이즈로 원통 형상을 이루면서 편직이 시작되는 제1단계; 상기 니들(2)의 일부를 상승시켜 편직이 중단되는 편직 중단 니들(21)과 그 나머지를 편직이 계속되는 편직 작동 니들(22)로 구분 후, 상기 편직 작동 니들이 작동되도록 상기 니들 실린더(c)를 좌우로 왕복 회전시키면서 편직하되, 상기 편직 작동 니들(22)에 의해 정방향으로 편직이 시작되는 부분(A)은 수직으로 코가 연속 형성됨과 아울러 역방향으로 편직 시에는 상기 편직 작동 니들(22)을 맨 끝(B)에서부터 순서대로 하나씩 편직 중단시켜 사선으로 코가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테이퍼 형상으로 편직되는 제2단계; 상기 편직 중단 니들(21)과 상기 편직 작동 니들(22) 전체가 작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단계에서와 동일한 방향으로 니들 실린더(c)를 회전시켜 상기 수직으로 연속 형성된 코의 처음(가)과 끝(나)을 서로 연결(E)하여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끼워지는 관통공(5)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관통공 인접 부위에 손등이 접하는 볼록부(6)가 형성되도록 편직되는 제3단계; 및 상기 니들 실린더(c)를 제1단계에서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팔 부위를 감쌀 수 있는 소정 사이즈로 원통 형상을 이루면서 편직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토시의 편직방법 {Knitting method for hand wristlet}
본 발명은 손토시의 편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말 편직기와 같은 원형 편직기를 이용하여 손토시를 편직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끼워지는 관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재단 및 박음질 공정을 거칠 필요 없이 전체를 한번에 직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 및 소요시간이 단축되어 생산효율성이 증대됨과 아울러 편안한 착용감을 부여하도록 하는 손토시의 편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토시(hand wristlet)는 겨울철에 추위를 막기 위해 방한용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일할 때 옷소매가 더러워지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팔 부위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최근 들어 손토시가 새로운 패션 아이템으로 발전함에 따라 색상과 재질의 다양성은 물론이고 디자인과 기능적인 면에서도 여러 가지 종류의 손토시가 만들어지고 있다.
상기 손토시를 제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실을 사각 형태로 편직(編織)한 후 좌우 양단을 맞대고 재봉함으로써 원통형으로 만들어 착용하였는데, 이와 같은 원통형 손토시는 착용 중에 흘러내릴 염려가 있었고, 특히 작업용의 경우 상하 양단에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을 이용하여 손목과 팔목 부위를 각각 조이는 상태로 착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손토시는 손등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길게 만든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이 노출 가능하도록 편직된 손토시의 일부를 재단하여 별도로 관통공을 형성한 후에 상기 관통공의 가장자리가 풀어지지 않도록 박음질 등으로 마감처리를 하여 사용해왔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손토시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또한 손토시 내측에 박음질된 이음부가 피부에 직접 닿아 불편함이 느껴질 뿐만 아니라 외관상으로 보기에도 좋지 않았다.
이에 따라 원형 편직기(양말 편직기)를 이용하여 이음부가 없이 전체가 원통형이 되도록 토시를 직조하는 기술이 공지된 바, 그 예로서 실용신안등록 제20399호의 작업용 토시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손목과 팔꿈치 부위에 고무줄을 공급하여 직경을 줄여 직조 후 그 부분을 안쪽으로 접어 박음질함에 따라 가공이 번거로운데다가 작업용에만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 패션이나 방한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공지의 원형 편직기를 이용하여 손토시를 제조하되,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개량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설명을 돕기 위하여 먼저 원형 편직기로 편물을 직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일반적인 원형 편직기(M)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러한 원형 편직기는 통상 모터에 의해 회전 작동하는 실린더 샤프트의 외측에 원통형 니들 실린더(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니들 실린더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간격마다 다수의 슬롯(1)이 배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슬롯마다 각각 편직니들(knitting needle : 2)이 삽입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각각의 편직니들(이하 '니들'이라 함) 사이에는 싱커(sinker : 3)가 니들과 직각으로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원형 편직기(M)는 상기 실린더 샤프트에 의해 니들 실린더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각각의 니들(2)이 상하 운동을 함과 동시에 싱커(3)가 실을 잡아주면서 편직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다수의 니들(2)에 실이 끼워진 채 순차적으로 아래쪽으로 내려갔다가 다시 위로 올라옴과 동시에 각각의 싱커(3)가 전, 후진함에 따라 코(loop)를 연속으로 만들어 가면서 원통형으로 편직이 되는 것이다.
한편, 길을 걷거나 앉아 있을 때와 같이 손을 사용하지 않을 때 사람들의 손은 가볍게 주먹을 쥔 듯 자연스럽게 안쪽으로 살짝 오므리는 형태를 취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종래의 손토시를 착용하게 되면 손등 부분에 당겨지는 느낌이 들어 불편하였으며, 더욱이 타이트하게 편직된 손토시의 경우에는 그 불편함이 더 크게 느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팔과 손등 부위를 감싸도록 착용하는 손토시에 있어서, 토시를 편직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재단공정 없이 엄지손가락이 노출 가능한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편직하여 제조공정 및 소요시간이 단축되도록 하는 손토시의 편직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손을 오므린 상태에서도 손등 부분에 당겨짐이 느껴지지 않아 착용감이 편안함과 아울러 디자인 면에서도 효율성과 독특함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토시의 편직방법은, 니들 실린더 내경에 형성된 슬롯마다 삽입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작동하는 니들과, 상기 니들 사이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작동하는 싱커로 구성된 공지의 원형 편직기로 손토시를 편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니들 실린더를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전시켜 실이 삽입된 상기 니들의 상하 작동과 싱커의 전후 작동이 연속됨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 첫마디 부위에서부터 손등 돌출부 하부까지 감쌀 수 있는 소정 사이즈로 원통 형상을 이루면서 편직이 시작되는 제1단계; 상기 니들의 일부를 상승시켜 편직이 중단되는 편직 중단 니들과 그 나머지를 편직이 계속되는 편직 작동 니들로 구분 후, 상기 편직 작동 니들이 작동되도록 상기 니들 실린더를 좌우로 왕복 회전시키면서 편직하되, 상기 편직 작동 니들에 의해 정방향으로 편직이 시작되는 부분은 수직으로 코가 연속 형성됨과 아울러 역방향으로 편직 시에는 상기 편직 작동 니들을 맨 끝에서부터 순서대로 하나씩 편직 중단시켜 사선으로 코가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테이퍼 형상으로 편직되는 제2단계; 상기 편직 중단 니들과 상기 편직 작동 니들 전체가 작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단계에서와 동일한 방향으로 니들 실린더를 회전시켜 상기 수직으로 연속 형성된 코의 처음과 끝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끼워지는 관통공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관통공 인접 부위에 손등이 접하는 볼록부가 형성되도록 편직되는 제3단계; 및 상기 니들 실린더를 제1단계에서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팔 부위를 감쌀 수 있는 소정 사이즈로 원통 형상을 이루면서 편직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2단계에서의 상기 편직 중단 니들은 사용자의 손등을 감싸도록 편직된 볼록부의 폭만큼 니들의 1/2 이상을 중단시키거나 또는 니들의 1/2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토시의 편직방법에 따르면, 손등 부위에서부터 팔 부위까지 감싸도록 이루어진 손토시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엄지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관통공을 만들기 위하여 별도로 재단 후 박음질하는 공정을 생략하고 공정 전체를 한번에 수행함으로써 공정 및 소요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품질의 향상 및 원가절감을 기대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라는 장점을 가진 것이다.
또한 엄지손가락이 끼워지는 관통공에 인접하는 위치에 손등을 따라 볼록한 곡선으로 이루어진 볼록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손토시를 착용 시 손등 부분에 당겨짐이 느껴지지 않고 자연스럽게 손등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됨에 따라 착용감이 편안한 인체공학적 제품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팔 부위가 감싸지는 부분과 볼록부 및 손등 돌출부 하부까지 감싸는 부분을 편직하는 실의 색상을 각각 다르게 직조함에 따라 디자인 면에서도 색다른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원형 편직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2a는 본 발명에 따른 편직니들의 절반을 중단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2b는 도2a의 편직니들 중 편직 작동 니들이 역방향으로 작동 시 맨 끝의 편직 작동 니들 1개가 작동 중단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2c는 도2b 중 편직 작동 니들 2개가 작동 중단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2d는 도2b 중 편직 작동 니들 3개가 작동 중단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편직 작동 니들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개략도
도4(a) 내지 도4(c)는 본 발명에 따른 손토시의 편직 상태를 도시한 편물의 편성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손토시의 편직순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전개도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토시를 도시한 사시도 대용 사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슬롯 2 : 니들
21 : 편직 중단 니들 22 : 편직 작동 니들
3 : 싱커 4 : 시작단
5 : 관통공 6 : 볼록부
E : 수직으로 형성된 첫 코와 마지막 코의 연결 지점
M : 원형 편직기 c : 니들 실린더
H : 손토시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토시의 편직방법에 대하여 편직순서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b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손토시의 편직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2a는 본 발명에 따른 편직니들의 절반을 중단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2b는 도2의 편직니들이 역방향으로 회전 시 맨 끝의 편직 작동 니들 1개가 작동 중단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2c는 도2b 중 편직 작동 니들 2개가 작동 중단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2d는 도2b 중 편직 작동 니들 3개가 작동 중단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편직 작동 니들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평면개략도이고, 도4(a) 내지 도4(c)는 본 발명에 따른 손토시의 편직 상태를 도시한 편물의 편성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손토시의 편직순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토시를 도시한 사시도 대용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손토시의 편직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1] 편직 시작 단계
본 발명의 손토시를 착용 시 사용자의 손가락 첫마디 부위에서부터 손등 돌출부 하부까지를 감싸도록 원통형으로 편직을 시작하는 단계이다.여기에서, 상기 손등 돌출부는 사용자가 손을 가볍게 쥐었을 때 돌출되는 부위를 나타내며, 상기 손등 돌출부를 기점으로 팔 방향은 상부, 손가락 방향은 하부로 한다.
도1에서와 같은 공지의 원형 편직기의 니들(2)에 실을 삽입 후 모터(미도시)를 작동시키면 니들 실린더가 좌우 어느 한쪽 방향으로만 고속 회전 가동되면서 상기 니들과 싱커의 연속 동작에 의해 손가락 첫마디 부위에서부터 손등 돌출부 하부까지 끼워질 수 있도록 일정한 사이즈로 원통 형상을 이루면서 편직이 시작된다.
이때, 편직을 시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니들(2)에 끼워지는 실(미도시)에 고무사 등을 함께 혼합한 후 상기 니들 실린더를 1, 2회 정도 회전 작동시킴에 따라 시작단 부위에 탄력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2] 부분 편직 단계
본 발명의 손토시를 착용 시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끼워지는 관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준비단계이다.
상기 니들 실린더에 삽입된 니들 중 절반은 편직을 중단하고 절반만 작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니들 실린더를 좌우로 왕복 회전시키면서 편직이 계속 이루어진다.
즉, 도2a에서와 같이 전체 니들(2) 중 일부의 니들(편직 중단 니들 : 21)을 상방으로 솟아오르게 하여 편직을 중단시키고, 나머지 니들(편직 작동 니들 : 22)만 작동시키는데, 상기 니들 실린더의 회전에 따라 상기 편직 작동 니들(22)은 순차적으로 상하로 승강되면서 편직이 이루어지되,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반복적으로 행한다(도2a의 화살표 상의 d 좌측이 편직 중단 상태의 니들임).
이때, 도2b 내지 도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니들 실린더가 역방향으로 회전될 때마다 상기 편직 작동 니들(22)을 끝에서부터 순서대로 하나씩 편직 중단시킨 후 계속적으로 편직해 나간다(도2b 내지 도2d의 ①, ②, ③의 순서대로).
예컨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팔에 착용할 손토시의 경우에는 니들의 1/2 정도는 편직을 중단시킨 후, 편직이 시작되는 어느 한 지점(A 지점)을 기준으로 좌측에서부터 우측으로 배열된 편직 작동 니들(22)은 계속적으로 작동시켜 엄지손가락이 끼워질 정도의 일정한 사이즈로 편직해 나가고, 오른쪽 엄지손가락이 끼워지는 부위의 반대측 지점(B 지점)에서는 상기 니들 실린더(c)가 우측에서 좌측으로 회전할 때마다, 즉 역방향으로 가동될 때마다 니들을 순서대로 하나씩 중단시키면서 편직해 나간다(도3의 ①, ②, ③, ④의 순서대로).
이에 따라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 지점은 고리 형상의 코(loop)가 수직을 향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반면에, B 지점은 사선으로 코가 형성되면서 편직이 이루어지므로 A 지점에서 B 지점을 향해 전체적으로 테이퍼 형상(tapered shape)을 띠게 된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왼팔에 착용할 손토시의 경우에는 상기 오른팔에 착용할 토시와는 정반대로, 상기 니들의 1/2 정도는 편직을 중단시킨 후 편직이 시작되는 어느 한 지점을 기준으로 우측에서부터 좌측으로 배열된 편직 작동 니들은 계속 편직을 하되 좌측에서 우측으로, 다시 우측에서 좌측으로 니들 실린더를 왕복 회전시키면서 편직을 해나가고, 왼쪽 엄지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반대측 지점에서는 상기 니들 실린더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회전할 때마다 상기 편직 작동 니들을 순서대로 하나씩 중단시켜 계속적으로 편직해 나가면 된다.
[3] 관통공 형성 단계
본 발명의 손토시를 착용 시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끼워지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는 단계이다.
상기 니들 실린더(c)를 정방향, 역방향으로 수차례 왕복 회전 가동시켜 사용자의 손등 돌출부 하부로부터 엄지손가락이 시작되는 부위에 이르기까지 감싸질 수 있을 만큼 편직이 되면 상기 편직 중단 니들(21)과 편직 작동 니들(22)을 모두 작동시킨다.
즉, 상기 니들 실린더를 [1] 단계에서와 같이 좌우 어느 한쪽 방향으로 1회 정도 회전 가동시키면 도4b에서와 같이 수직으로 연속 형성되어 있던 (가)와 (나) 부분의 코가 서로 연결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관통공(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부위에서부터 그 반대쪽 부위에 이르기까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었기 때문에 그 사이는 테이퍼 형상이되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의 볼록부(6)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손토시를 착용 시 상기 관통공(5)은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끼워지게 되는 반면, 상기 볼록부(6)는 사용자 손등의 볼록하게 돌출된 부위를 자연스럽게 감싸게 된다.
[4] 팔 부위 편직 및 마감처리
본 발명의 손토시를 착용 시 사용자의 팔 부위를 감싸도록 원통형으로 편직하는 단계이다.
상기 관통공(5)의 형성이 이루어지고 나면 [1] 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니들 실린더(c)를 좌우 어느 한쪽 방향으로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수차례 고속 회전시켜 상기 니들(2) 전체를 작동시킨 후 편직을 중단하며 마무리한다.
이때 상기 니들 실린더의 회전 횟수는 본 발명에 따른 손토시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시작되는 부위에서부터 팔 부위에 이르기까지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조정하면 된다.
또한, 상기 편직 중단 니들(21)은 전체 니들(2) 개수의 대략 1/2 가량으로 하거나 또는 그 이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편직 중단 니들(21)은 사용자의 손등을 감싸도록 형성된 상기 볼록부(6)의 폭을 규정하게 되는데, 통상 사용자 손등의 폭이 손바닥의 폭보다 약간 더 넓은 점을 감안하였을 때 상기 편직 중단 니들(21)의 개수는 전체 니들(2) 개수의 1/2을 초과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실의 신축성에 의해 대략 1/2 정도로 정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 첫마디 부위에서 시작하여 팔 부위에 이르기까지의 편직공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 팔 부위에서부터 시작하여 손가락 첫마디 부위에 이르기까지의 편직공정도 상기 니들 실린더의 회전 가동 횟수에만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한 방법으로 편직하면 된다.
아울러, 상기 니들 실린더에 설치되는 니들의 수는 실의 두께나 착용하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200개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실은 폴리에스테르사, 면사, 아크릴사 등 다양한 종류의 실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양말 편직기를 이용하여 손토시를 편직하되, 원형 실린더에 54개의 니들을 설치하고 폴리에스테르사로 손토시를 편직하는 방법에 대하여 예시하기로 한다.
아울러 도4는 본 실시예에 의해 코가 형성되는 상태를 순서대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 하단의 (c)에서부터 도면 상단의 (a)를 향해 편직되어 가는 것이고, 도5는 본 실시예를 통해 편직되는 손토시의 편직순서를 부호로서 표기한 전개도(展開圖)로서 실제로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양말 편직기의 상부에 별도로 설치된 원사 공급기(미도시)를 통해 공급받은 폴리에스테르사와 고무사를 니들(2)에 함께 끼우고 니들 실린더를 시계반대방향으로 2회 정도 회전시키면 도4(c)의 시작단(4) 부위에 탄력성이 부여되며, 이후 상기 고무사를 상기 니들(2)로부터 제거한다.
상기 니들 실린더를 18회 정도 동일한 방향으로 계속 회전 가동시키면 사용자의 손가락 첫마디 부위에서부터 손등 돌출부 하부까지를 감싸도록 원통 형상으로 편직이 이루어진다(도5의 a1 → a2 → ... → a53 → a54 → b1 → b2 → ... → b53 → b54 → c1 → c2 → ... → e53 → e54의 순서대로).
이어서, 상기 니들의 절반, 즉 27개의 편직 중단 니들을 상승시켜 편직을 중단시킨 후, 나머지 27개의 편직 작동 니들을 9회 정도 왕복 회전(정방향, 역방향 모두 합해 18회)시키는데, 먼저 니들 실린더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27개의 편직 작동 니들(22)만을 작동시킨 후 시계반대방향, 즉 역방향으로 다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편직 작동 니들(22) 중 맨 끝에 위치한 하나의 니들을 상승시켜 편직이 중단되도록 한 후 다시 왕복 회전을 반복하고, 이와 같이 역방향으로 되돌아올 때마다 상기 편직 작동 니들을 끝에서부터 하나씩 순서대로 상승시켜 편직이 중단되도록 한다(도5의 f27 → f26 → ... → f2 → f1 → g2 → g3 → ... → g26 → g27 → h27 → h26 → ... → h4 → h3 → i4 → i5 → ... → i26 → i27 → j27 → j26 → ... → j6 → j5 → k6 → k7 → ... → k26 → k27 → ℓ27 → ℓ26 → ... → ℓ8 → ℓ7 → m8 → m9 → ... → m26 → m27의 순서대로).
이에 따라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정방향)으로 회전이 시작되는 부분은 수직으로 코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반면, 시계반대방향(역방향)으로 회전이 시작되는 부분은 경사지게 코가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테이퍼 형상을 띠게 된다.
다음으로 도4(a)에서와 같이 상기 편직 중단 니들(21)과 편직 작동 니들(22)을 함께 작동시키도록 한 후 상기 니들 실린더를 시계반대방향으로 1회 정도 회전시키면(도5의 m28 → m29 → m30 → ... → m54 → n1 → n2 → ... → n8의 순서대로) 수직으로 코가 형성된 부분(도5의 f27, g27, h27, i27, j27, k27, ℓ27, m27 부분)의 시작 지점 f27이 당겨지면서 m27과 서로 연결됨에 따라 그 사이에 자연스럽게 관통공(5)이 형성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부위와 사선으로 코가 형성된 부분(도5의 f1, g2, h3, i4, j5, k6, ℓ7, m8 부분) 사이에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볼록부(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 및 볼록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니들의 절반을 작동 중단시킨 후 원사 공급기를 통해 다른 색상의 실을 공급함에 따라 상기 볼록부(6) 부분만 다른 색감을 주도록 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도4(a)에서와 같이 상기 니들 실린더를 시계반대방향으로 200회 정도 더 회전시킨 후(도5의 n9 → n10 → ... → n53 → n54 → o1 → o2 → ... → o53 → o54 → p1 → p2 → ... → p53 → p54 → q1 → q2 → ... → z53 → z54) 마감처리하면 사용자의 팔 부위를 감싸도록 원통 형상으로 편직이 이루어지면서 도6에서와 같은 손토시(H)가 완성된다.
이때, 도6의 부호 E는 도4(b)의 (가)와 (나)의 코 부분이 서로 연결된 지점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편직된 손토시(H)를 착용 시 상기 관통공(5)에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끼워지게 됨과 아울러 사용자의 손등의 볼록한 부분은 상기 볼록부(6)에 자연스럽게 접하게 되며, 이러한 손토시를 착용하게 되면 추위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멋내기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손등에 당겨짐이 느껴지지 않아 착용감이 우수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토시의 편직방법에 대하여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특히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된 니들 실린더의 회전 횟수와 니들의 개수 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4)

  1. 니들 실린더(c) 내경에 형성된 슬롯(1)마다 삽입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작동하는 니들(2)과, 상기 니들 사이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작동하는 싱커(3)로 구성된 공지의 원형 편직기(M)로 손토시를 편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니들 실린더(c)를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전시켜 실이 삽입된 상기 니들(2)의 상하 작동과 싱커(3)의 전후 작동이 연속적으로 행해짐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 첫마디 부위에서부터 손등 돌출부 하부까지 감쌀 수 있는 소정 사이즈로 원통 형상을 이루면서 편직이 시작되는 제1단계;
    상기 니들(2)의 일부를 상승시켜 편직이 중단되는 편직 중단 니들(21)과 그 나머지를 편직이 계속되는 편직 작동 니들(22)로 구분 후, 상기 편직 작동 니들이 작동되도록 상기 니들 실린더(c)를 좌우로 왕복 회전시키면서 편직하되, 상기 편직 작동 니들(22)에 의해 정방향으로 편직이 시작되는 부분(A)은 수직으로 코가 연속 형성됨과 아울러 역방향으로 편직 시에는 상기 편직 작동 니들(22)을 맨 끝(B)에서부터 순서대로 하나씩 편직 중단시켜 사선으로 코가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테이퍼 형상으로 편직되는 제2단계;
    상기 편직 중단 니들(21)과 상기 편직 작동 니들(22) 전체가 작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단계에서와 동일한 방향으로 니들 실린더(c)를 회전시켜 상기 수직으로 연속 형성된 코의 처음(가)과 끝(나)을 서로 연결(E)하여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끼워지는 관통공(5)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관통공 인접 부위에 손등이 접하는 볼록부(6)가 형성되도록 편직되는 제3단계; 및
    상기 니들 실린더(c)를 제1단계에서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팔 부위를 감쌀 수 있는 소정 사이즈로 원통 형상을 이루면서 편직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토시의 편직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의 상기 편직 중단 니들(21)은 사용자의 손등을 감싸도록 편직된 볼록부(6)의 폭만큼 전체 니들(2)의 1/2 이상 중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토시의 편직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의 상기 편직 중단 니들(21)은 전체 니들(2)의 1/2을 중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토시의 편직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편직 작동 니들(22)에 다른 색상의 실을 혼합하여 상기 볼록부(6)에 색감을 부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토시의 편직방법.
KR1020090020289A 2009-03-10 2009-03-10 손토시의 편직방법 KR100914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289A KR100914838B1 (ko) 2009-03-10 2009-03-10 손토시의 편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289A KR100914838B1 (ko) 2009-03-10 2009-03-10 손토시의 편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4838B1 true KR100914838B1 (ko) 2009-09-02

Family

ID=41355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289A KR100914838B1 (ko) 2009-03-10 2009-03-10 손토시의 편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83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633B1 (ko) 2009-12-01 2011-09-21 용원주 실린더형 편직기를 이용한 편직방법
KR101149673B1 (ko) 2011-12-05 2012-05-31 주식회사 태진텍스타일 토시 편직방법
KR101211917B1 (ko) 2011-06-22 2012-12-13 주식회사 태진텍스타일 덧버선 편직방법
KR101217423B1 (ko) 2012-08-02 2013-01-02 조원만 터치홀을 가지는 장갑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265443B1 (ko) 2011-06-22 2013-05-16 주식회사 태진텍스타일 머플러 편직방법
KR101269727B1 (ko) 2011-06-22 2013-05-30 주식회사 태진텍스타일 토시 편직방법
KR101270873B1 (ko) 2012-01-30 2013-06-05 주식회사매스트 양말 편직방법
KR101459971B1 (ko) 2013-11-22 2014-11-07 강호언 토시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10033691A (ko) * 2019-09-19 2021-03-29 이종욱 엄지 끼움공을 포함하는 편직물 편직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990Y1 (ko) * 2000-06-02 2000-11-15 박태랑 작업용 토시
KR200227605Y1 (ko) * 2000-12-28 2001-06-15 권영건 토시
JP2004060134A (ja) * 2002-07-31 2004-02-26 As Corp サポーター
JP2004068235A (ja) * 2002-08-06 2004-03-04 As Corp サポータ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990Y1 (ko) * 2000-06-02 2000-11-15 박태랑 작업용 토시
KR200227605Y1 (ko) * 2000-12-28 2001-06-15 권영건 토시
JP2004060134A (ja) * 2002-07-31 2004-02-26 As Corp サポーター
JP2004068235A (ja) * 2002-08-06 2004-03-04 As Corp サポータ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633B1 (ko) 2009-12-01 2011-09-21 용원주 실린더형 편직기를 이용한 편직방법
KR101211917B1 (ko) 2011-06-22 2012-12-13 주식회사 태진텍스타일 덧버선 편직방법
KR101265443B1 (ko) 2011-06-22 2013-05-16 주식회사 태진텍스타일 머플러 편직방법
KR101269727B1 (ko) 2011-06-22 2013-05-30 주식회사 태진텍스타일 토시 편직방법
KR101149673B1 (ko) 2011-12-05 2012-05-31 주식회사 태진텍스타일 토시 편직방법
KR101270873B1 (ko) 2012-01-30 2013-06-05 주식회사매스트 양말 편직방법
KR101217423B1 (ko) 2012-08-02 2013-01-02 조원만 터치홀을 가지는 장갑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459971B1 (ko) 2013-11-22 2014-11-07 강호언 토시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10033691A (ko) * 2019-09-19 2021-03-29 이종욱 엄지 끼움공을 포함하는 편직물 편직 방법
KR102240579B1 (ko) 2019-09-19 2021-04-15 이종욱 엄지 끼움공을 포함하는 편직물 편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838B1 (ko) 손토시의 편직방법
US8468856B2 (en) Tubular knitted fabric for clothing and legwear
CA2434529C (en) A circular knit blank and a garment made therefrom
KR20120110258A (ko) 편직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ITMI972870A1 (it)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un manufatto del tipo maglietta body o simile con un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e manufatto
JPH06166901A (ja) パンティーアンダーガーメント
JP2019044286A (ja) テーラードジャケ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43554B2 (ja) 伸縮性を有する肌着
JP4066075B2 (ja) 5本指タイプのストッキング類の製造方法及び5本指タイプのストッキング類
JP2009144253A (ja) 異なる編組織からなる経編地
KR200203990Y1 (ko) 작업용 토시
CN111280499A (zh) 一种便携易打理弹性单西服的制作工艺
JPH08269803A (ja) ワンピースパンティストッキン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03721B2 (ja) 無縫製のニットパンツ
CN218711243U (zh) 一种编织一体成型表带
JP3136876U (ja) 下穿き類
JPH017684Y2 (ko)
JPH10110304A (ja) ヒップアップ機能を備えた衣料
EP3289901A1 (en) Technical knit glove
JPH10226903A (ja) パンティストッキング
JP2021038483A (ja) 無縫製ニットブラジャ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70405A (ja) 縦無縫製のデザイン性の生地とその製造方法
JPH0770883A (ja) 伸長性を有する編地
JPH05163601A (ja) 水着またはレオタード
JP2003239123A (ja) 衣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