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917B1 - 덧버선 편직방법 - Google Patents

덧버선 편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917B1
KR101211917B1 KR1020110060600A KR20110060600A KR101211917B1 KR 101211917 B1 KR101211917 B1 KR 101211917B1 KR 1020110060600 A KR1020110060600 A KR 1020110060600A KR 20110060600 A KR20110060600 A KR 20110060600A KR 101211917 B1 KR101211917 B1 KR 101211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needle
needle cylinder
heel
nee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복종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진텍스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진텍스타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진텍스타일
Priority to KR1020110060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9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1Decoration; Mark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4Needle cylinders
    • D04B15/16Driving devices for reciprocatory ac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2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9/38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stitch patter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10B2501/021Hosiery; Panti-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편기를 이용하여 별도의 재단 및 박음질 공정을 거치지 않고 발끼움부가 구비되도록 덧버선 전체를 한번에 편직하여 생산 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덧버선 일단에는 편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입체무늬를 편직함으로써 디자인적 형상미를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한 덧버선 편직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Description

덧버선 편직방법{KNITING METHOD OF OUTER SOCKS}
본 발명은 환편기를 이용하여 별도의 재단 및 박음질 공정을 거치지 않고 발끼움부가 구비되도록 덧버선 전체를 한번에 편직하여 생산 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덧버선 일단에는 편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입체무늬를 편직함으로써 디자인적 형상미를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한 덧버선 편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덧버선은 양말 위에 덧신거나 맨발에 신는 목 없는 버선이다. 이러한 덧버선은 환편기(circular knitting machine)와 같은 편직기계에 의해 편직 된다. 환편기는 바늘이 원형으로 배열되어 회전하며 편직하는 기계로서, 니들(knitting needle)에 의해 뜨개질 루프(loop)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통 모양의 편직물을 만들 수 있다. 환편기는 통상 모터에 의해 회전작동을 하는 실린더 샤프트 외측에 원통형 니들 실린더가 설치되고 니들 실린더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간격마다 다수의 슬롯이 배열 형성되며 슬롯마다 니들이 상, 하로 승강하도록 삽입설치되며 각 니들과 니들 사이에 위치하여 루프를 형성하기 위하여 실을 하강시키는 싱커(sinker)가 니들과 직각으로 배치되어 전, 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환편기는 실린더 샤프트에 의해 니들 실린더가 회전함에 따라 각 니들이 상, 하 운동을 함과 동시에 싱커가 원사를 잡아주면서 편직이 이루어진다. 다수의 니들에 원사가 끼워진 채 순차적으로 아래쪽으로 내려갔다 다시 위로 올라옴과 동시에 각 싱커가 전, 후진함에 따라 루프를 연속으로 만들어 가면서 덧버선, 머플러, 양말, 토시 등과 같은 원통형 편직물을 편직한다.
이러한 원통형 편직물 편직방법의 실시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6427호에는 『덧버선은 압축 스폰지를 사용하여 형성하게 되며, 상기 덧버선의 내부 및 외부에는 미끄럼 방지용 문양부를 형성하되, 상기 덧버선에 형성되는 문양부는 압축 스폰지의 표면에 네오프렌, 지오플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케네프탈네이트, 폴리스틸렌 졸 용액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문양부 형상으로 1차 인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졸 용액을 23~28℃ 온도에서 5~10분 동안 1차로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1차 건조된 덧버선 표면에 다시 네오프렌, 지오플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케네프탈네이트, 폴리스틸렌 졸 용액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문양부 형상으로 2차 인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인쇄된 문양부를 23~28℃ 온도에서 5~10분 동안 2차로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졸 용액의 문양부가 겔 상태로 고체화되는 단계를 통하여 완성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력을 증대시켜 미끄러짐을 예방하기 위한 문양을 갖는 덧버선.』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0-1985-0006302호에는 『편물로서 된 통상의 목도리를 편직함에 있어, 그 중앙부분에는 포킷형 모자를, 그리고 양단부에는 장갑을 일체로 형성하여 단일품으로서 목도리와 모자 그리고 장갑의 세가지 기능을갖게함을 목적으로 하는 다용도 편직물 목도리.』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914838호에는 『니들 실린더 내경에 형성된 슬롯마다 삽입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작동하는 니들과, 상기 니들 사이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작동하는 싱커로 구성된 공지의 원형 편직기로 손토시를 편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니들 실린더를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전시켜 실이 삽입된 상기 니들의 상하 작동과 싱커의 전후 작동이 연속적으로 행해짐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 첫마디 부위에서부터 손등 돌출부 하부까지 감쌀 수 있는 소정 사이즈로 원통 형상을 이루면서 편직이 시작되는 제1단계; 상기 니들의 일부를 상승시켜 편직이 중단되는 편직 중단 니들과 그 나머지를 편직이 계속되는 편직 작동 니들로 구분 후, 상기 편직 작동 니들이 작동되도록 상기 니들 실린더를 좌우로 왕복 회전시키면서 편직하되, 상기 편직 작동 니들에 의해 정방향으로 편직이 시작되는 부분은 수직으로 코가 연속 형성됨과 아울러 역방향으로 편직 시에는 상기 편직 작동 니들을 맨 끝에서부터 순서대로 하나씩 편직 중단시켜 사선으로 코가 형성되면서 전체적으로 테이퍼 형상으로 편직되는 제2단계; 상기 편직 중단 니들과 상기 편직 작동 니들 전체가 작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단계에서와 동일한 방향으로 니들 실린더를 회전시켜 상기 수직으로 연속 형성된 코의 처음과 끝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끼워지는 관통공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관통공 인접 부위에 손등이 접하는 볼록부가 형성되도록 편직되는 제3단계; 및 상기 니들 실린더를 제1단계에서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팔 부위를 감쌀 수 있는 소정 사이즈로 원통 형상을 이루면서 편직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토시의 편직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03990호에는 『환편직기를 이용하여 이음부가 없이 전체가 원통형이 되도록 직조를 하고, 손목조임부와 팔꿈치조임부를 직조 시에는 고무줄을 공급하여 함께 직조되도록 함으로써 직경이 줄어들면서 자체가 탄성을 갖도록 구성하면서 필요한 길이의 두배 정도가 되도록 직조한 후 그 절반을 내부로 접어 넣어 끝단을 박음질함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용 토시.』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원통형 편직물 중 특히 덧버선은 별도의 재단 및 박음질 공정을 거치지 않고 발끼움부가 구비되도록 덧버선 전체를 한번에 편직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지 않아 대부분 재단 및 박음질 공정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덧버선에 다른 원사를 사용하여 평면 무늬를 형성하는 편직기술은 일반화되어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으나 편직면으로부터 돌출된 입체무늬를 편직하는 기술은 기술개발의 미비로 인해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환편기를 이용하여 별도의 재단 및 박음질 공정을 거치지 않고 발끼움부가 구비되도록 덧버선 전체를 한번에 편직하여 생산 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덧버선 일단에는 편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입체무늬를 편직함으로써 디자인적 형상미를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한 덧버선 편직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니들 실린더를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니들 실린더 외주에 설치된 니들 전체를 사용하여 원통형의 봉조자리를 편직하는 제1단계; 니들 실린더를 외주 절반을 설정구간으로 하여 이 설정구간만큼 니들 실린더가 설정구간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180°로 정, 역회전을 반복하면서 설정구간 내의 니들을 사용하여 발뒤꿈치를 편직하는 제2단계; 니들 실린더 외주 일단에 설치된 니들 중 어느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니들 실린더의 외주를 설정구간으로 하여 이 설정구간만큼 니들 실린더가 설정구간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정, 역회전을 반복하면서 설정구간 내의 니들을 사용하여 설정구간에서 제외된 어느 하나의 니들로 인해 터진 형태의 발끼움부가 구비된 몸통을 편직하는 제3단계; 입체무늬를 형성하고자 하는 위치와 폭에 부합하도록 니들 실린더 외주의 설정구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설정한 다음 이 설정구간만큼 니들 실린더가 설정구간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정, 역회전을 반복하면서 설정구간 내의 니들만을 사용하여 발끼움부 편직완료 지점으로부터 연결하여 편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입체무늬를 편직하는 제4단계; 제2단계의 발뒤꿈치 편직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니들 실린더를 절반의 설정구간으로 나누어 이 설정구간만큼 니들 실린더가 설정구간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180°정, 역회전을 반복하면서 설정구간 내의 니들을 사용하여 발앞꿈치를 편직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덧버선 편직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제4단계에서 입체무늬는 입체무늬 앞쪽과 입체무늬 뒤쪽을 연결편직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체무늬 앞쪽의 편직시에는 입체무늬 하단부에서 입체무늬 상단부로 갈수록 니들 실린더 설정구간 내의 작동 니들을 하나씩 정지시켜 니들의 작동수를 줄이면서 편직하고, 반대로 입체무늬 뒤쪽의 편직시에는 입체무늬 상단부에서 입체무늬 하단부로 갈수록 입체무늬 앞쪽 편직시 작동 정지되었던 니들을 하나씩 다시 작동시켜 니들의 작동수를 늘리면서 편직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단계에서 아래로 볼록한 반원형 발뒤꿈치는 발뒤꿈치 앞쪽의 편직시 발뒤꿈치 위쪽으로 편직해 갈수록 니들 실린더 설정구간 내의 작동 니들을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하나씩 정지시켜 니들의 작동수를 줄이면서 편직하고, 반대로 발뒤꿈치 뒤쪽의 편직시에는 발뒤꿈치 앞쪽 편직완료 지점으로부터 발뒤꿈치 뒤쪽의 아래쪽으로 편직해 갈수록 발뒤꿈치 앞쪽 편직시 작동 정지되었던 니들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순차적으로 하나씩 다시 작동시켜 니들의 작동수를 늘리면서 편직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5단계에서 위로 볼록한 반원형 발앞꿈치는 발앞꿈치 앞쪽의 편직시 발앞꿈치 아래쪽으로 편직해 갈수록 니들 실린더 설정구간 내의 작동 니들을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하나씩 정지시켜 니들의 작동수를 줄이면서 편직하고, 반대로 발앞꿈치 뒤쪽의 편직시에는 발앞꿈치 앞쪽 편직완료 지점으로부터 발앞꿈치 뒤쪽의 위쪽으로 편직해 갈수록 발앞꿈치 앞쪽 편직시 작동 정지되었던 니들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순차적으로 하나씩 다시 작동시켜 니들의 작동수를 늘리면서 편직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덧버선 편직방법은, 환편기를 이용하여 별도의 재단 및 박음질 공정을 거치지 않고 발끼움부가 구비되도록 덧버선 전체를 한번에 편직함으로써 생산 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덧버선 일단에는 편직면으로부터 돌출된 입체무늬를 편직함으로써 디자인적 형상미를 대폭 부각시킬 수 있다.
또한, 덧버선 하부에는 편직면으로부터 돌출된 토끼, 코끼리의 친근한 동물 캐릭터의 등의 입체무늬를 편직함으로써 소비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덧버선을 선호하지 않는 소지자들의 경우에도 자연스럽게 덧버선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덧버선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덧버선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니들 실린더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봉조자리 편직에 따른 니들 실린더의 작동상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발뒤꿈치 편직에 따른 니들 실린더의 작동상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발끼움부 편직에 따른 니들 실린더의 작동상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입체무늬 편직에 따른 니들 실린더의 작동상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발앞꿈치 편직에 따른 니들 실린더의 작동상태 평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덧버선 편직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덧버선 편직방법은, 환편기에 원사를 공급하여 덧버선(20)을 편직함에 있어서, 종래의 덧버선 편직방법과는 달리 별도의 재단 및 박음질 공정을 거치지 않고 발끼움부(231)가 구비되도록 덧버선(20) 전체를 한번에 편직함으로써 생산 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덧버선(20)의 일단에는 토끼, 코끼리의 동물 캐릭터 형상 등과 같은 입체무늬(24)를 형성하여 덧버선(20)을 선호하지 않는 소비자들에게 흥미를 유발하여 덧버선(20) 구매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 덧버선 편직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덧버선 편직방법은, 아래의 일련의 단계에 따라 순차적으로 편직된다.
(1) 제1단계: 봉조자리 편직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덧버선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덧버선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니들 실린더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봉조자리 편직에 따른 니들 실린더의 작동상태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계는, 니들 실린더(1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발뒤꿈치(22)를 편직하기 전에 도 1, 2와 같은 원통형 봉조자리(21)를 편직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니들 실린더(10) 회전방향은 반 시계방향을 정방향, 시계방향을 역방향이라 한다.
이러한 봉조자리(21) 편직시 니들 실린더(10)는, 도 4와 같이 별도의 설정구간(13) 없이 360°로 회전하고 니들 실린더(10) 외주에 설치된 니들(11) 전체를 사용하여 봉조자리(21)를 편직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봉조자리(21)의 편직은 도 3의 환편기에 의해 편직이 이루어진다. 환편기는 통상 모터에 의해 회전작동을 하는 실린더 샤프트 외측에 원통형 니들 실린더(10)가 설치되고, 니들 실린더(10)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간격마다 다수의 슬롯이 배열 형성되며 슬롯마다 니들(11)이 상, 하로 승강하도록 삽입설치되며, 각 니들(11)과 니들(11) 사이에 위치하여 루프를 형성하기 위하여 실을 하강시키는 싱커(12)가 니들(11)과 직각으로 배치되어 전, 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환편기는 실린더 샤프트에 의해 니들 실린더(10)가 회전하면서 봉조자리(21)를 편직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덧버선 편직방법에 따른 니들 실린더(10) 외주에는 총 96개의 니들(11)이 설치되어 있다. 이 니들(11)은 니들 실린더(10)가 한 방향으로 회전을 반복시 원사가 끼워진 채 순차적으로 아래쪽으로 내려갔다 다시 위로 올라오면서 봉조자리(21)를 편직한다. 봉조자리(21) 편직시에는 니들 실린더(10) 외주에 설치된 96개의 니들(11) 전체를 사용한다. 이때, 니들 실린더(10)는 한 방향으로 1 내지 3회전하고 이로 인해 일정높이의 원통형 봉조자리(21)가 편직된다.
(2) 제2단계: 발뒤꿈치 편직
도 5는 본 발명의 발뒤꿈치 편직에 따른 니들 실린더의 작동상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계는, 원통형 봉조자리(21) 편직완료 후 니들 실린더(10)가 180°로 회전하면서 착용자의 발 라인에 부합되는 발뒤꿈치(22)를 편직하는 단계이다.
이때, 니들 실린더(10)는 도 5와 같이 지름 A, B를 기준으로 절반을 설정구간(13)으로 하여 설정구간(13)만큼 설정구간(13)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 180°로 정, 역회전을 반복 회전하면서 도 1, 2와 같은 발뒤꿈치(22)를 편직한다. 여기서 설정구간(13) 내의 니들(11)은 상, 하로 작동하면서 도 2의 발뒤꿈치(22)에 표기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발뒤꿈치(22) 앞쪽을 먼저 편직한 다음 연결하여 발뒤꿈치(22) 뒤쪽을 편직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발뒤꿈치(22) 앞쪽 편직시에는 도 2의 발뒤꿈치(22)에 표시된 화살표와 같이 발뒤꿈치(22)의 위쪽으로 갈수록 반원의 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니들 실린더(10)의 설정구간(13) 내의 한쪽과 다른 쪽 끝단에서부터 안쪽으로 작동 니들(11)을 하나씩 정지시켜 니들(11)의 작동수를 줄이면서 편직한다. 따라서, 위로 볼록한 반원형태의 발뒤꿈치(22)를 편직할 수 있다.
반대로 발뒤꿈치(22) 뒤쪽의 편직시에는 도 2의 발뒤꿈치(22)에 표시된 화살표와 같이 발뒤꿈치(22) 앞쪽 편직완료 지점으로부터 연결하여 발뒤꿈치(22) 뒤쪽의 아래쪽으로 갈수록 발뒤꿈치(22) 앞쪽 편직시 작동 정지되었던 니들(11)을 하나씩 다시 작동시켜 니들(11)의 작동수를 늘리면서 편직한다. 발뒤꿈치(22) 뒤쪽을 편직하는 과정에서 발뒤꿈치(22) 앞쪽과 발뒤꿈치(22) 뒤쪽의 측면 라인은 자연스럽게 연결편직되어 봉합된다.
한편, 덧버선(20) 편직완료 후 발뒤꿈치(22) 뒤쪽 하부와 봉조자리(21) 뒤쪽 상부는 서로 연결되도록 도 2와 같이 박음질하여 봉합처리한다. 이때, 박음질 부위가 보이지 않도록 뒤집어서 박음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제3단계: 발끼움부가 구비된 몸통 편직
도 6은 본 발명의 발끼움부 편직에 따른 니들 실린더의 작동상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단계는, 니들 실린더(10)의 설정구간(13)을 정한 다음 이 설정구간(13)만큼 니들 실린더(10)가 정, 역회전을 반복하면서 도 1과 같이 발끼움부(231)가 구비된 몸통(23)을 편직하는 단계이다.
이때, 니들 실린더(10)의 설정구간(13)은 니들 실린더(10) 외주 일단에 설치된 니들(11) 1개를 제외한 나머지 전체구간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니들 실린더(10)가 한 방향으로 360°회전하지 않고 설정구간(13)의 한쪽 끝과 다른 쪽 끝으로 정, 역회전을 반복하고 이 설정구간(13) 내의 니들(11)이 상, 하 작동을 하면서 일정길이의 발끼움부(231)가 구비된 몸통(23)을 편직한다.
만일 니들 실린더(10)가 한쪽방향으로 완전히 회전하면서 니들 실린더(10) 외주에 설치된 니들(11) 전체를 사용할 몸통을 편직할 경우 발끼움부(231)가 없는 원통형의 몸통이 형성된다. 그러나 니들 실린더(10) 외주 일단 a, b사이의 1개의 니들(11)을 제외한 나머지를 설정구간(13)으로 정하여 이 설정구간(13)만큼 니들 실린더(10)가 설정구간(13)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정, 역회전을 반복하면서 설정구간(13)에서 제외한 니들(11) 외에 설정구간(13) 내의 전체 니들(11)이 작동하여 발끼움부(231)가 구비된 몸통(23)을 편직한다. 즉, 설정구간(13)에서 제외된 니들(11)은 작동하지 않으므로 이 작동을 멈춘 니들(11) 부위 a, b에 대응하여 발끼움부(231)가 형성된다.
(4) 제4단계: 입체무늬 편직
도 7은 본 발명의 입체무늬 편직에 따른 니들 실린더의 작동상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4단계는, 니들 실린더(10)에 설정구간(13)을 정한 다음은 니들 실린더(10)가 이 설정구간(13)만큼 회전하면서 몸통(23)의 편직을 완료한 지점으로부터 연결하여 도 1, 2와 같은 편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입체무늬(24)를 편직하는 단계이다.
이때, 니들 실린더(10)의 설정구간(13)은 입체무늬(24)의 위치와 폭에 부합되도록 니들 실린더(10)의 외주에 적어도 1개 이상 임의로 설정한다. 니들 실린더(10)는 설정구간(13)만큼 설정구간(13)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정, 역회전을 반복하고 설정구간(13) 내의 니들(11)은 상, 하 작동을 하면서 도 2의 입체무늬(24)를 따라 표시된 화살표와 같이 입체무늬(24)를 편직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7과 같이 설정구간(13)을 a에서 b와, c에서 d로 설정하였을 때 a에서 b 사이의 설정구간(13)과, c에서 d 사이의 설정구간(13) 내에 원사가 끼워진 니들(11)이 상, 하로 작동하고, 니들 실린더(10)가 a에서 b와, c에서 d의 설정구간(13)만큼 도 7의 설정구간(13)에 표시된 화살표와 같이 정, 역회전을 반복하면서 공급된 원사로 입체무늬(24)를 편직한다. 입체무늬(24)의 편직순서는 도 2의 입체무늬(24)를 따라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즉, 입체무늬(24) 앞쪽을 먼저 편직하고, 연결하여 입체무늬(24) 뒤쪽을 편직하여 원통형의 입체무늬(24)를 편직한다. 도 7의 입체무늬(24) 부분은 토끼의 양쪽 귀부분이다.
이때, 입체무늬(24)를 편직해 나가는 과정에서 환편기에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입체무늬(24) 앞쪽과 뒤쪽의 좌, 우 측면라인은 자연스럽게 연결편직되어 봉합된다. 따라서,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인 도 1, 2와 같은 입체무늬(24)의 토끼 귀가 편직된다.
도 2상에는 입체무늬(24)를 이루는 토끼 귀의 두께가 두꺼운 것으로 보이나 실제 편직되는 입체무늬(24)를 이루는 토끼 귀의 두께 폭은 매우 얇고, 입체무늬(24)와 연결되는 발앞꿈치(25)의 편직 시작라인과 동일선상이 되어 발앞꿈치(25)를 편직하기 위해 니들 실린더(10)를 한쪽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입체무늬(24)를 이루는 토끼 귀의 편직완료부위와 발앞꿈치(25)는 자연스럽게 연결편직된다.
입체무늬(24)의 편직시 입체무늬 하단부(241)에서 입체무늬 상단부(242) 쪽으로 갈수록 설정구간(13)의 가장자리 니들(11) 수를 점차 줄임으로써, 입체무늬 하단부(241)에서 입체무늬 상단부(242)로 갈수록 폭이 좁아 지는 형태로 토끼 귀 모양의 입체무늬(24)를 편직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입체무늬(24)의 앞쪽을 편직시에는 입체무늬 하단부(241)에서 입체무늬 상단부(242) 쪽으로 갈수록 니들 실린더(10)가 설정구간(13) 만큼 정, 역회전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설정구간(13)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니들(11)을 하나씩 정지시킨다. 따라서, 편직을 위한 작동 니들(11)의 수가 점차 줄어들어 입체무늬 하단부(241)에서 입체무늬 상단부(242)로 갈수록 폭이 좁아 지는 토끼 귀 형태의 입체무늬(24) 앞쪽이 편직된다.
반대로 입체무늬(24)의 뒤쪽을 편직시에는 입체무늬 상단부(242)에서 입체무늬 하단부(241) 쪽으로 갈수록 작동이 정지되었던 가장자리의 니들(11)을 하나씩 작동시켜 편직을 위한 작동 니들(11)의 수를 점차 늘려가면서 토끼 귀 형태의 입체무늬(24) 뒤쪽을 편직한다. 따라서, 입체무늬 상단부(242)를 편직할 때 작동 니들(11)의 수가 가장 적고, 입체무늬 하단부(241)를 편직할 때 작동 니들(11) 수가 가장 많다. a에서 b, c에서 d의 양 설정구간(13) 내의 니들(11)에 의해 입체무늬(24)의 토끼 귀가 대칭하여 양쪽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a에서 b, c에서 d의 양 설정구간(13)의 폭은 동일하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니들 실린더(10)의 a에서 b, c에서 d의 양 설정구간(13)을 통해 편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토끼 귀 등과 같은 입체무늬(24)를 편직함으로써, 소비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덧버선(20)의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물론, 설명한 입체무늬(24)의 동일한 편직방법으로 도 1, 2에 도시된 토끼 코 부위도 편직할 수 있다. 따라서, 토끼 코 부위의 편직방법은 생략한다. 입체무늬(24) 편직방법의 설명시 토끼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입체무늬(24) 편직방법을 통해 여러 가지 다양한 동물, 식물, 사람, 사물 등의 입체무늬(24)를 편직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5) 제5단계: 발앞꿈치 편직
도 8은 본 발명의 발앞꿈치 편직에 따른 니들 실린더의 작동상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5단계는, 제2단계 발뒤꿈치(22) 편직방법 동일한 방법으로 니들 실린더(10)를 작동하면서 입체무늬(24) 편직완료 지점으로부터 연결하여 도 1, 2와 같은 발앞꿈치(25)를 편직하는 단계이다.
이때, 니들 실린더(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름 A, B를 기준으로 절반을 설정구간(13)으로 하여 설정구간(13)만큼 설정구간(13)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180°로 정, 역회전을 반복 회전하면서 발앞꿈치(25)를 편직한다. 그리고 설정구간(13) 내의 니들(11)은 상, 하로 작동하면서 도 2의 발앞꿈치(25)를 따라 표시된 화살표와 같이 발앞꿈치(25) 앞쪽을 먼저 편직한 다음 연결하여 발앞꿈치(25) 뒤쪽을 편직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발앞꿈치(25) 앞쪽의 편직시에는 도 2의 발앞꿈치(25)를 따라 표시된 화살표와 같이 반원형 발앞꿈치(25)를 형성하기 위해 아래쪽으로 갈수록 니들 실린더(10) 설정구간(13) 내의 작동 니들(11)을 하나씩 정지시켜 니들(11)의 작동수를 줄이면서 편직한다. 따라서, 아래로 볼록한 반원형 발앞꿈치(25)를 편직할 수 있다.
반대로 발앞꿈치(25) 뒤쪽의 편직시에는 도 2의 발앞꿈치(25)를 따라 표시된 화살표와 같이 발앞꿈치(25) 앞쪽 편직완료 지점으로부터 연결하여 발뒤꿈치(22) 뒤쪽의 위쪽으로 갈수록 발앞꿈치(25) 앞쪽 편직시 작동 정지되었던 니들(11)을 하나씩 다시 작동시켜 니들(11)의 작동수를 늘리면서 편직한다. 발앞꿈치(25) 편직시에는 토끼 얼굴에 부합하는 흰색의 원사를 사용하여 편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덧버선(20) 편직완료 후에는 터진 상태의 발앞꿈치(25) 뒤쪽 상부와 몸통(23) 뒤쪽 하부를 도 2와 같이 서로 연결되도록 박음질하여 봉합처리한다. 이때, 박음직 부위가 보이지 않도록 뒤집어서 박음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실시예 1>
환편기에 원사를 공급하여 봉조자리(21), 발뒤꿈치(22), 몸통(23), 입체무늬(24) 및 발앞꿈치(25) 순의 순차적으로 덧버선(20)을 편직한다.
먼저, 도 4와 같이 니들 실린더(10)를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고 니들 실린더(10) 외주에 설치된 니들(11)이 상, 하 작동을 하면서 도 1, 2와 같은 원통형 봉조자리(21)를 편직한다.
다음 도 5와 같이, 니들 실린더(10) 지름 A, B를 기준으로 절반의 설정구간(13)을 나누어 설정구간(13)만큼 니들 실린더(10)가 180°로 정, 역회전을 반복하고 설정구간(13) 내의 니들(11)의 상, 하 작동을 통해 도 1, 2와 같은 발뒤꿈치(22)를 편직한다.
발뒤꿈치(22)의 편직이 완료되면 연결하여 발끼움부(231)가 구비된 몸통(23)을 편직한다. 이때, 니들 실린더(10)는 도 6과 같이 니들 실린더(10) 외주 일단 a, b에 설치되는 1개의 니들(11)을 제외한 나머지 전체를 설정구간(13)으로 하여 이 설정구간(13)만큼 정, 역회전을 반복하고, 설정구간(13) 내에 설치된 니들(11)은 상, 하 작동을 하면서 일정길이의 발끼움부(231)가 구비된 몸통(23)을 편직한다.
몸통(23) 편직이 완료되면 연결하여 입체무늬(24)를 편직한다. 입체무늬(24)의 편직시 니들 실린더(10)는 도 7과 같이 a에서 b사이, c에서 d사이의 설정구간(13)만큼 정, 역회전을 반복한다. 이 설정구간(13) 내의 니들(11)은 상, 하 작동하면서 도 2의 입체무늬(24)에 표시된 화살표와 같이 입체무늬(24) 앞쪽을 먼저 편직한 다음 입체무늬(24) 뒤쪽 순으로 편직한다. 이때, 입체무늬(24) 앞쪽의 편직시에는 입체무늬 하단부(241)에서 입체무늬 상단부(242) 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a에서 b사이, c에서 d사이의 설정구간(13) 내의 니들(11)의 작동수를 줄이면서 편직한다.
반대로 입체무늬(24) 뒤쪽의 편직시에는 입체무늬 상단부(242)에서 입체무늬 하단부(241) 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a에서 b사이, c에서 d사이의 설정구간(13) 내의 니들(11)의 작동수를 다시 늘이면서 편직한다.
입체무늬(24)의 편직이 완료되면 연결하여 발앞꿈치(25)를 편직한다. 발앞꿈치(25) 편직시 니들 실린더(10)는 도 8과 같이 180°설정구간(13)만큼 정, 역회전을 반복하고 설정구간(13) 내의 니들(11)은 상, 하 작동을 하면서 발앞꿈치(25) 앞쪽과 발앞꿈치(25) 뒤쪽을 연결편직한다.
발앞꿈치(25)는 아래로 볼록한 반원형태이므로 발파꿈치(25) 앞쪽의 편직시에는 설정구간(13) 내의 니들(11)의 작동수를 아래로 갈수록 점차 줄이면서 편직하고, 발앞꿈치(25) 뒤쪽의 편직시에는 설정구간(13) 내의 정지되었던 니들(11)을 다시 작동하여 니들(11)의 작동수를 위쪽으로 갈수록 점차 늘이면서 편직한다.
덧버선(20)의 편직이 완료 후에는 발뒤꿈치(22) 뒤쪽 하부와 봉조자리(21) 뒤쪽 상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박음질하여 봉합처리한다. 마찬가지로 발앞꿈치(25) 뒤쪽 상부와 몸통(23) 뒤쪽 하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봉합처리한다.
< 실시예 2>
실시예 1과 반대로 환편기에 원사를 공급하여 발앞꿈치(25), 입체무늬(24), 몸통(23), 봉조자리(21) 및 발뒤꿈치(22) 순의 순차적으로 덧버선(20)을 편직한다.
먼저, 발앞꿈치(25)를 편직한다. 발앞꿈치(25) 편직시 니들 실린더(10)는 도 8과 같이 180°설정구간(13)만큼 정, 역회전을 반복하고 설정구간(13) 내의 니들(11)은 상, 하 작동을 하면서 발앞꿈치(25) 앞쪽과 발앞꿈치(25) 뒤쪽을 연결편직한다.
발앞꿈치(25)는 아래로 볼록한 반원형태이므로 발파꿈치(25) 앞쪽의 편직시에는 설정구간(13) 내의 니들(11)의 작동수를 아래로 갈수록 점차 줄이면서 편직하고, 발앞꿈치(25) 뒤쪽의 편직시에는 설정구간(13) 내의 정지되었던 니들(11)을 다시 작동하여 니들(11)의 작동수를 위쪽으로 갈수록 점차 늘이면서 편직한다.
발앞꿈치(25)의 편직이 완료되면 연결하여 입체무늬(24)를 편직한다. 입체무늬(24)의 편직시 니들 실린더(10)는 도 7과 같이 a에서 b사이, c에서 d사이의 설정구간(13)만큼 정, 역회전을 반복한다. 이 설정구간(13) 내의 니들(11)은 상, 하 작동하면서 도 2의 입체무늬(24)에 표시된 화살표와 반대로 입체무늬(24) 뒤쪽을 먼저 편직한 다음 입체무늬(24) 앞쪽 순으로 편직한다. 이때, 입체무늬(24) 뒤쪽의 편직시에는 입체무늬 하단부(241)에서 입체무늬 상단부(242) 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a에서 b사이, c에서 d사이의 설정구간(13) 내의 니들(11)의 작동수를 줄이면서 편직한다.
반대로 입체무늬(24) 앞쪽의 편직시에는 입체무늬 상단부(242)에서 입체무늬 하단부(241) 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a에서 b사이, c에서 d사이의 설정구간(13) 내의 니들(11)의 작동수를 다시 늘이면서 편직한다.
입체무의(24)의 편직이 완료되면 연결하여 발끼움부(231)가 구비된 몸통(23)을 편직한다. 이때, 니들 실린더(10)는 도 6과 같이 니들 실린더(10) 외주 일단 a, b에 설치되는 1개의 니들(11)을 제외한 나머지 전체를 설정구간(13)으로 하여 이 설정구간(13)만큼 정, 역회전을 반복하고, 설정구간(13) 내에 설치된 니들(11)은 상, 하 작동을 하면서 일정길이의 발끼움부(231)가 구비된 몸통(23)을 편직한다.
몸통(23)의 편직이 완료되면 연결하여 봉조자리(21)를 편직한다. 이때, 니들 실린더(10)는 도 4와 같이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고 니들 실린더(10) 외주에 설치된 니들(11)은 상, 하 작동을 하면서 도 1, 2와 같은 원통형 봉조자리(21)를 편직한다.
봉조자리(21)의 편직이 완료되면 발뒤꿈치(22)를 편직한다. 이때, 니들 실린더(10)는 지름 A, B를 기준으로 절반의 설정구간(13)을 나누어 설정구간(13)만큼 180°로 정, 역회전을 반복하고 설정구간(13) 내의 니들(11)의 상, 하 작동을 통해 도 1, 2와 같은 발뒤꿈치(22)를 편직한다.
덧버선(20)의 편직이 완료 후에는 발뒤꿈치(22) 뒤쪽 하부와 봉조자리(21) 뒤쪽 상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박음질하여 봉합처리한다. 마찬가지로 발앞꿈치(25) 뒤쪽 상부와 몸통(23) 뒤쪽 하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봉합처리한다.
이와 같이 편직완료된 덧버선(20)은 전체가 한번에 편직되므로 착용감이 매우 좋을 뿐만 아니라 덧버선(20) 일단에는 편직면으로부터 돌출된 토끼, 코끼리의 친근한 동물 캐릭터 등의 입체무늬(24)가 편직되어 소비자들에게 흥미 유발과 친근함을 주어 덧버선(20)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니들 실린더 11:니들 12:싱커
13:설정구간 20:덧버선 21:봉조자리
22:발뒤꿈치 23:몸통 24:입체무늬
25:발앞꿈치 231:발끼움부 241:입체무늬 하단부
242:입체무늬 상단부

Claims (5)

  1. 니들 실린더를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니들 실린더 외주에 설치된 니들 전체를 사용하여 원통형의 봉조자리를 편직하는 제1단계;
    니들 실린더를 외주 절반을 설정구간으로 하여 이 설정구간만큼 니들 실린더가 설정구간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180°로 정, 역회전을 반복하면서 설정구간 내의 니들을 사용하여 발뒤꿈치를 편직하는 제2단계;
    니들 실린더 외주 일단에 설치된 니들 중 어느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 니들 실린더의 외주를 설정구간으로 하여 이 설정구간만큼 니들 실린더가 설정구간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정, 역회전을 반복하면서 설정구간 내의 니들을 사용하여 설정구간에서 제외된 어느 하나의 니들로 인해 터진 형태의 발끼움부가 구비된 몸통을 편직하는 제3단계;
    입체무늬를 형성하고자 하는 위치와 폭에 부합하도록 니들 실린더 외주의 설정구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 설정한 다음 이 설정구간만큼 니들 실린더가 설정구간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정, 역회전을 반복하면서 설정구간 내의 니들만을 사용하여 발끼움부 편직완료 지점으로부터 연결하여 편직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입체무늬를 편직하는 제4단계;
    제2단계의 발뒤꿈치 편직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니들 실린더를 절반의 설정구간으로 나누어 이 설정구간만큼 니들 실린더가 설정구간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180°정, 역회전을 반복하면서 설정구간 내의 니들을 사용하여 발앞꿈치를 편직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덧버선 편직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4단계에서,
    입체무늬는 입체무늬 앞쪽과 입체무늬 뒤쪽을 연결편직함을 특징으로 하는 덧버선 편직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입체무늬 앞쪽의 편직시에는 입체무늬 하단부에서 입체무늬 상단부로 갈수록 니들 실린더 설정구간 내의 작동 니들을 하나씩 정지시켜 니들의 작동수를 줄이면서 편직하고, 반대로 입체무늬 뒤쪽의 편직시에는 입체무늬 상단부에서 입체무늬 하단부로 갈수록 입체무늬 앞쪽 편직시 작동 정지되었던 니들을 하나씩 다시 작동시켜 니들의 작동수를 늘리면서 편직함을 특징으로 하는 덧버선 편직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단계에서,
    아래로 볼록한 반원형 발뒤꿈치는 발뒤꿈치 앞쪽의 편직시 발뒤꿈치 위쪽으로 편직해 갈수록 니들 실린더 설정구간 내의 작동 니들을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하나씩 정지시켜 니들의 작동수를 줄이면서 편직하고, 반대로 발뒤꿈치 뒤쪽의 편직시에는 발뒤꿈치 앞쪽 편직완료 지점으로부터 발뒤꿈치 뒤쪽의 아래쪽으로 편직해 갈수록 발뒤꿈치 앞쪽 편직시 작동 정지되었던 니들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순차적으로 하나씩 다시 작동시켜 니들의 작동수를 늘리면서 편직함을 특징으로 하는 덧버선 편직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5단계에서,
    위로 볼록한 반원형 발앞꿈치는 발앞꿈치 앞쪽의 편직시 발앞꿈치 아래쪽으로 편직해 갈수록 니들 실린더 설정구간 내의 작동 니들을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하나씩 정지시켜 니들의 작동수를 줄이면서 편직하고, 반대로 발앞꿈치 뒤쪽의 편직시에는 발앞꿈치 앞쪽 편직완료 지점으로부터 발앞꿈치 뒤쪽의 위쪽으로 편직해 갈수록 발앞꿈치 앞쪽 편직시 작동 정지되었던 니들을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순차적으로 하나씩 다시 작동시켜 니들의 작동수를 늘리면서 편직함을 특징으로 하는 덧버선 편직방법.
KR1020110060600A 2011-06-22 2011-06-22 덧버선 편직방법 KR101211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600A KR101211917B1 (ko) 2011-06-22 2011-06-22 덧버선 편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600A KR101211917B1 (ko) 2011-06-22 2011-06-22 덧버선 편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1917B1 true KR101211917B1 (ko) 2012-12-13

Family

ID=47907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600A KR101211917B1 (ko) 2011-06-22 2011-06-22 덧버선 편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9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531B1 (ko) 2013-04-09 2015-03-23 박철환 덧버선 편직기의 바늘 조절용 캠 장치 및 덧버선
KR20210033691A (ko) * 2019-09-19 2021-03-29 이종욱 엄지 끼움공을 포함하는 편직물 편직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990Y1 (ko) 2000-06-02 2000-11-15 박태랑 작업용 토시
KR100614184B1 (ko) 2006-03-31 2006-08-22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다기능 헤어웨어
KR100914838B1 (ko) 2009-03-10 2009-09-02 김경배 손토시의 편직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990Y1 (ko) 2000-06-02 2000-11-15 박태랑 작업용 토시
KR100614184B1 (ko) 2006-03-31 2006-08-22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다기능 헤어웨어
KR100914838B1 (ko) 2009-03-10 2009-09-02 김경배 손토시의 편직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531B1 (ko) 2013-04-09 2015-03-23 박철환 덧버선 편직기의 바늘 조절용 캠 장치 및 덧버선
KR20210033691A (ko) * 2019-09-19 2021-03-29 이종욱 엄지 끼움공을 포함하는 편직물 편직 방법
KR102240579B1 (ko) 2019-09-19 2021-04-15 이종욱 엄지 끼움공을 포함하는 편직물 편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6487B2 (ja) アンクルソックスのような衣料品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JP6106865B2 (ja) パイル長を変化させた編地、これを備えたニット製品及び靴下
US70769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sock having a looped tab
KR101232703B1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EP1133245B1 (en) FOOTWEAR GARM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02526665A5 (ko)
CN106062265B (zh) 套脚衣物、用于制造这种套脚衣物的方法及用于针织品或袜类的圆机
JP5548918B2 (ja) 筒状編地の開口部形成方法、筒状編地製品、袋状編地製品、及び、靴下
KR101211917B1 (ko) 덧버선 편직방법
CN109259365A (zh) 一种夹纱西服的制作方法
CN108588998A (zh) 一种编织形成耳片结构的织物及其编织方法
ITMI972870A1 (it)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un manufatto del tipo maglietta body o simile con un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e manufatto
JP2008075236A (ja) 靴下類の製造方法
JP6535552B2 (ja) 靴下の編成方法
JP4066075B2 (ja) 5本指タイプのストッキング類の製造方法及び5本指タイプのストッキング類
ITMI20081687A1 (it)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un manufatto sagomato con lembi di maglia bordati su un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calzetteria o simile.
KR101265443B1 (ko) 머플러 편직방법
ITBS20000085A1 (it) Copripiede modellato e metodo per la sua costruzione su macchine circolati da calzetteria
KR101606079B1 (ko) 손뜨개질에 의한 정장 상의의 깃 형성방법
CN208379117U (zh) 一种编织形成耳片结构的织物
JP2004204378A (ja) 靴下
JP3220677U (ja) 靴下
JP3185287U (ja) 靴下
JP6466209B2 (ja) 靴下における爪先部の形成方法
JP3174981U (ja) ポケット付靴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