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155B1 - 내시경 - Google Patents

내시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155B1
KR100912155B1 KR1020067027772A KR20067027772A KR100912155B1 KR 100912155 B1 KR100912155 B1 KR 100912155B1 KR 1020067027772 A KR1020067027772 A KR 1020067027772A KR 20067027772 A KR20067027772 A KR 20067027772A KR 100912155 B1 KR100912155 B1 KR 100912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instrument
guide wire
guide
meteorological
endosc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7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3790A (ko
Inventor
다까시 오오따와라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3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for receiv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98Deflecting means for inserted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내시경 삽입부의 선단부의 소정의 위치에 가이드 와이어를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한 충분한 고정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내시경을 제공한다. 선단부측에 선단부 경질부를 갖고 내부에 처치구 삽입 관통용 채널을 구비하여 체강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삽입부의 기단부측에 연속 설치되는 조작부와, 처치구 삽입용 채널의 선단부측 개구부 근방에 배치되고 처치구를 유도하는 처치구 유도면을 갖고 조작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기상되는 처치구 기상대를 구비한 내시경이며, 처치구 기상대는 처치구 유도면의 선단부측에 처치구 삽입 관통용 채널의 선단부측 개구부로부터 도출시킨 가이드 와이어를 걸림 이탈 가능하게 하는 슬릿이 형성되고, 처치구 유도면의 외연부에 가이드 와이어를 슬릿으로 유도하는 가이드 와이어 유도 수단이 형성되고, 조작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처치구 기상대를 기상시켰을 때에 가이드 와이어는 가이드 와이어 유도 수단에 의해 슬릿으로 유도되도록 구성하였다.
내시경, 슬릿, 처치구 기상대, 가이드 와이어 유도부, 조작 노브

Description

내시경 {ENDOSCOPE}
본 발명은 내시경, 상세하게는 삽입부 선단부에 설치되는 처치구 삽입 관통용 채널의 선단부측 개구부로부터 가이드 와이어를 도출시킨 상태로 하고, 이 가이드 와이어를 이용하여 처치구를 환부로 유도하여 원하는 처치를 행하는 내시경과, 이 내시경을 적용하는 내시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화관계 및 췌담관계 등에 있는 질환 부분의 처치를 행할 때에는, 삽입부 선단부에 촬상 광학계를 구비한 이른바 측시형 내시경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측시형 내시경을 이용하는 처치로서는, 담관이나 췌관에 조영제를 주입하는 진단 준비를 위한 처치나 총담관 등에 존재하는 담석을 벌룬이나 파지 처치구 등에 의해 회수하는 치료적 처치 등이 있다.
내시경에 의한 췌관이나 담관 또는 간관 등의 처치를 행할 때에는, 내시경 삽입부의 선단부를 이들 췌관이나 담관 또는 간관 등의 처치를 행해야 할 관에 삽입하게 된다. 그러나, 이들 췌관이나 담관 또는 간관 등은 매우 가는 관이므로, 내시경 삽입부의 선단부를 삽입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래서, 통상의 경우 다음과 같은 순서가 실시되고 있다.
우선, 측시형 내시경의 삽입부 선단부를 십이지장 유두 부근까지 삽입한 후, X선 투시하에 있어서 처치구 삽입 관통용 채널을 삽입시킨 가이드 와이어를 내시경의 삽입부 선단부에 있어서 측방을 향해 뚫어 설치되어 있는 개구부로부터 도출시키고, 이 가이드 와이어를 췌관이나 담관 또는 간관 등의 처치를 행해야 할 원하는 관에 삽입한다. 그 후, 이 가이드 와이어를 안내로 하여 카테터 등의 처치구를 췌관이나 담관 또는 간관 등 처치를 행해야 할 원하는 관에 대해 삽입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가이드 와이어 또는 처치구는 내시경 삽입부의 축방향으로 삽입 관통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가이드 와이어 또는 처치구는 동일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가이드 와이어 또는 처치구를 삽입부 선단부에 있어서 처치구 삽입 관통용 채널의 개구부로부터 도출시켜, 췌관이나 담관 또는 간관 등의 관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삽입부의 개구부 근방에 있어서 가이드 와이어 또는 처치구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생긴다. 그로 인해, 측시형 내시경에 있어서는 삽입부 선단부에 처치구 기상대(處置具 起上臺)가 설치되어 있다. 이 처치구 기상대를 기상(起上)시킴으로써 삽입부의 축방향으로 진행하는 가이드 와이어나 처치구의 진행 방향을 측방을 향해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췌관이나 담관 또는 간관 등의 매우 가는 관에 대해 가이드 와이어를 한 번 삽입한 상태로 해 두면, 이후에는 이것을 안내로 하여 췌관이나 담관 또는 간관 등의 관에 대해 각종 처치구를 삽입 발출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췌관이나 담관 또는 간관으로부터 처치구를 제거할 때에는, 상기 처치구와 가이드 와이어와의 밀착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가 처치구와 함께 의도하지 않게 제거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췌관이나 담관 또는 간관 등은 매우 가는 관이므로, 이들 관으로의 가이드 와이어의 삽입은 어려운 작업이다. 이로부터, 가이드 와이어를 몇 번이나 췌관이나 담관 또는 간관 등에 삽입하는 것은 시술자에게 있어서 매우 번잡하여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작업이 되어 버린다.
따라서, 시술자가 처치구를 췌관이나 담관 또는 간관 등으로부터 제거할 때에는 가이드 와이어가 동시에 제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안이 필요하다. 종래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시술자가 어느 정도 처치구를 제거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처치구와 동시에 이동한 가이드 와이어를 시술자와는 별도의 보조자가 췌관이나 담관 또는 간관 등의 방향을 향해 되밀거나, 또는 가이드 와이어가 처치구와 함께 제거되지 않도록 그 이동을 억지하는 등의 작업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작업은 매우 번잡한 것일 뿐만 아니라, 시술자 및 보조자 등 복수의 인원이 필요하게 되어 버린다. 이에 의해, 내시경 진단 치료를 행하기 위해서는 작업의 번잡함으로부터 치료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하는 문제나, 인적 비용이 상승하는 것으로부터 병원 및 환자 쌍방의 금전적 부담이 커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그래서, 종래에 있어서는, 처치구 기상대를 기상시킴으로써 가이드 와이어를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를 구비한 내시경에 대한 제안이,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4905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16777호 공보 등에 의해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상기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4905호 공보에 의해 개시되어 있는 내시경은, 처치구 기상대의 유도면 정상부에 가이드 와이어 고정용 슬릿을 설치하고, 처치구 기상대를 기상시켰을 때에 처치구 기상대의 슬릿에 가이드 와이어를 계지함으로써 내시경에 대해 가이드 와이어를 고정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16777호 공보에 의해 개시되어 있는 내시경은, 처치구 기상대의 유도면에 가이드 와이어 고정용 가이드 와이어 계지 홈을 마련하는 동시에, 조작부의 겸자구부 근방에 가이드 와이어 고정 기구를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각 공보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처치구를 제거할 때에는 처치구 기상대와 내시경의 삽입부의 선단부의 소정의 부위와의 사이에서 가이드 와이어가 내시경에 대해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부터, 처치구의 제거에 수반하여 가이드 와이어도 췌관이나 담관 또는 간관 등으로부터 제거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4905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16777호 공보
그런데, 가이드 와이어는 경질이기는 하지만 가늘고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처치구 삽입 관통용 채널로부터 도출된 상태에서는 내시경의 축방향에 대해 반드시 곧은 상태로 도출되는 것은 아니다. 이로 인해, 가이드 와이어의 축방향은 처치구 기상대의 유도면 상에 있어서 임의의 방향을 향해 배치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상기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4905호 공보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16777호 공보 등에 의해 개시되어 있는 수단에 따르면, 처치구 기상대가 기상될 때의 가이드 와이어의 위치에 따라서는 처치구 기상대의 기상 동작에 수반하여 가이드 와이어가 유도면으로부터 일탈해 버리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처치구 기상대의 슬릿에 가이드 와이어가 계지되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가능성이 있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어 가이드 와이어가 처치구 기상대와 이 처치구 기상대의 수용실 측벽과의 사이의 부위에 실수로 끼워 넣어지는 등의 상태, 이른바 허위 고정 상태가 발생하고,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가이드 와이어의 내구성을 저하시켜 버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처치구 기상대를 이용하여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부의 선단부에 고정하는 내시경에서는 의도하지 않은 위치(예를 들어, 처치구 기상대와 그 수용실 측벽과의 사이의 위치)에 가이드 와이어를 실수로 끼워 넣어 고정한 상태(허위 고정 상태)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처치구 기상대의 슬릿 등의 소정의 위치로 가이드 와이어를 확실하게 유도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내시경 삽입부의 선단부에 가이드 와이어를 고정할 때에 허위 고정 상태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가이드 와이어를 확실하게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고, 충분한 고정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내시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은, 선단부측에 선단부 경질부를 갖고 내부에 처치구 삽입 관통용 채널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체강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기단부측에 연속 설치되는 조작부와, 상기 삽입부에 있어서 상기 처치구 삽입 관통용 채널의 선단부측 개구부 근방에 배치되어 처치구를 유도하는 처치구 유도면을 갖고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기상 가능하게 구성되는 처치구 기상대를 구비한 내시경이며, 상기 처치구 기상대는 상기 처치구 유도면의 정상부에 상기 처치구 삽입 관통용 채널의 상기 선단부측 개구부로부터 도출시킨 가이드 와이어를 걸림 이탈 가능하게 하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처치구 유도면의 외연부에 상기 가이드 와이어를 상기 슬릿으로 유도하는 가이드 와이어 유도 수단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처치구 기상대를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기상시켰을 때에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 유도 수단에 의해 상기 슬릿으로 유도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시경 삽입부의 선단부에 가이드 와이어를 고정할 때에 의도하지 않은 위치에 가이드 와이어를 실수로 끼워 넣은 상태인 허위 고정 상태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가이드 와이어를 확실하게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고, 충분한 고정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내시경을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내시경을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내시경의 선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내시경의 선단부의 상면도이다.
도5는 도1의 내시경에 있어서의 처치구 기상대만을 취출하여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6은 도1의 내시경에 있어서의 절연 부재의 일부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7은 도1의 내시경에 있어서의 기상 범위 제한 기구를 도시한 것으로, 제2 스토퍼부가 돌출한 상태에 있는 통상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8은 도7의 기상 범위 제한 기구에 있어서, 제2 스토퍼부가 내벽면 내에 수용되고 처치구 기상대의 최대 기상 위치가 제1 스토퍼부에 의해 규정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9는 도1의 내시경에 있어서의 기상 범위 제한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스토퍼 구동 기구 중 조작 노브의 배치 위치의 근방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10은 도9의 부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11은 도9의 스토퍼 구동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캠 부재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12는 도1의 내시경의 조작부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며, 상기 조작부에 설치되는 조작 노브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3은 도1의 내시경에 대응하고, 좌굴의 방지를 고려한 처치구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14는 도1의 내시경에 대해 도13의 처치구를 적용하였을 때의 모습을 도시 한 도면이며, 내시경의 선단부 근방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15는 도1의 내시경이 적용되는 내시경 장치에 있어서의 모니터의 표시 화면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6은 도1의 내시경에 있어서의 기상 조작시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내시경의 선단부의 상태를 도시한 도2의 II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17은 도16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내시경의 선단부의 상면도이다.
도18은 도16 및 도17의 상태로부터 처치구 기상대가 소정량만큼 회전되어 가이드 와이어가 기상되어 있고, 처치구 기상대의 유도면의 일부가 제2 스토퍼부에 접촉하여 그 회전이 제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9는 도18의 상태로부터 더욱 처치구 기상대가 소정량만큼 회전되어 처치구 기상대가 최대 기상 위치에 배치되고 가이드 와이어가 슬릿에 있어서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0은 도1의 내시경에 있어서의 기상 범위 제한 기구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2 스토퍼부가 돌출한 상태에 있는 통상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1은 도20의 기상 범위 제한 기구에 있어서, 제2 스토퍼부가 내벽면 내에 수용되어 처치구 기상대의 최대 기상 위치가 제1 스토퍼부에 의해 규정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 내시경
2 : 광원 장치
3 : 비디오 프로세서
4 : 모니터
5 : 키보드
12 : 삽입부
13 : 조작부
17a, 17Aa : 제1 스토퍼부
17b, 17Ab : 제2 스토퍼부
21 : 선단부 경질부
22 : 선단부 커버
23 : 처리구 삽입 관통용 채널
25 : 수용실
25a : 측벽(側壁)
25b, 25Ab : 수용부
26 : 채널 개구부
27 : 처치구 기상대
27a : 처치구 유도면
27b : 슬릿
27c : 가이드 와이어 유도부
27cc : 에지부
28 : 기상대 회전 지지점
30 : 기상 와이어
35 : 만곡 조작 노브
40 : 처치구 삽입구
47 : 스토퍼 구동 기구
47a, 47Aa : 탄성 부재
48 : 조작 노브
55 : 처치구
56 : 가이드 와이어
64 : 견인 노브
69 : 견인 와이어
77 : 절연 부재
77a : 유도면
77b : 퇴피(退避) 슬릿부
100 : 내시경 장치
이하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내시경을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내시경의 선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 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I11-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내시경의 선단부의 상면도이다. 또한, 도4에서는 가이드 와이어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도5는 도1의 내시경에 있어서의 처치구 기상대만을 취출하여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6은 도1의 내시경에 있어서의 절연 부재의 일부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우선,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의 상세를 설명하기 전에, 상기 내시경을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전체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 주로 도1을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내시경 장치(100)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1)과 그 주변 장치(5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내시경(1)은 조작부(13)와, 삽입부(12)와, 유니버설 코드(14)로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 삽입부(12)와 조작부(13)를 연결하는 위치에는 삽입부(12)를 보호하기 위한 삽입부 보호 부재(33)가 설치되어 있다.
주변 장치(50)는 캐스터(8)가 하부에 장착된 가대(9)에 배치되는 각종 장치, 예를 들어 광원 장치(2)와 비디오 프로세서(3)와 모니터(4)와 키보드(5)와 흡인 펌프 장치(6)와 송수병(7)으로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광원 장치(2)와 비디오 프로세서(3)는 접속 케이블(73)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시경(1)과 주변 장치(50)는 커넥터(18)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18)는 주변 장치(50)의 광원 장치(2)에 접속되어 있다. 이 커넥터(18)에는 유체관로의 단부를 구성하는 슬리브(도시하지 않음)와, 라이트 가이드 의 단부를 구성하는 라이트 가이드 슬리브나 전기 접점부(모두 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라이트 가이드는, 유니버설 코드(14)로부터 내시경(1)의 조작부(13) 및 삽입부(12) 내를 삽입 관통하여 삽입부(12)의 선단부(17)까지 유도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광원 장치(2)로부터의 조명광은 선단부(17)의 조명 렌즈(36)(도2 및 도4 참조)를 통해 체강 내를 향해 확대 개방 조사되도록 되어 있다.
내시경(1)의 조작부(13)에는 만곡 조작 노브(35)와, 송기 송수 조작 버튼(37)과, 흡인 조작 버튼(38)과, 처치구 기상대(27)(상세는 후술함. 도3 및 도5 참조)의 기상 조작을 행하는 처치구 기상대 조작 노브(이하, 단순히 조작 노브라 함)(48)와, 소정의 처치구를 내시경(1)의 삽입부(12)의 내부에 배치되는 처치구 삽입 관통용 채널(23)(도3 참조)에 삽입하기 위한 개구(40a)를 갖는 처치구 삽입구(40)가 배치되어 있다.
내시경(1)의 삽입부(12)는 선단부(17)와 만곡부(16)와 가요관부(1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만곡부(16)는 조작부(13)에 설치된 만곡 조작 노브(35)에 의해 만곡 조작되는 것이며, 선단부(17)와 가요관부(15)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선단부(17)의 외주면 상에는 일부가 절결된 오목 함몰 형상의 절결부(19)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19)의 면 상에 처치구 삽입 관통용 채널(23)(도3 참조)의 선단부측의 채널 개구부(2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절결부(19)에는 상기 채널 개구부(26)의 근방에 있어서 선단부(17)에 내장되는 촬상 유닛(도시하지 않음)의 대물 렌즈(34)와 조명 광학계의 조명 렌즈(36)가 설치되어 있다(도2 및 도4 참조).
또한, 선단부(17)의 절결부(19)의 후단부측의 벽면(20)에는 송기 송수용 노즐(53)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노즐(53)은 조작부(13)의 송기 송수 조작 버튼(37)의 버튼 조작에 의해 대물 렌즈(34)의 외측 표면을 향해 물이나 공기 등의 유체를 내뿜어 상기 대물 렌즈(34)면의 청소를 행할 때의 유체 토출구이다.
선단부(17)에 있어서 채널 개구부(26)의 근방에는, 처치구(도시하지 않음) 또는 가이드 와이어(56)를 기상하는 처치구 기상대(27)를 배치하는 처치구 기상대 수용실(이하, 단순히 수용실이라 약칭함)(25)이 형성되어 있다.
처치구 기상대(27)는 조작 노브(48)의 회전 조작에 의해 조작부(13)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상대 계지 구동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연동하여 구동되는 기상 와이어(30)(도3 및 도4 참조)를 통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처치구 삽입구(40)의 개구(40a)로부터 처치구 삽입 관통용 채널(23)을 삽입하여 선단부가 채널 개구부(26)로부터 도출된 처치구 또는 가이드 와이어(56)의 진행 방향을 처치구 삽입 관통용 채널(23) 내에 있어서의 진행 방향[삽입부(12)의 축방향]으로부터 채널 개구부(26)의 개구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것이다. 또한, 처치구 기상대(27)는 췌관이나 담관 또는 간관 등으로부터 처치구를 제거할 때에 최대 기상시킴으로써 가이드 와이어(56)를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와이어(56)는, 예를 들어 초탄성 합금 등에 의해 형성되는 코어선과, 테프론(등록상표)이나 우레탄 등의 유연한 외피를 피복한 형태로 구성되는 가늘고 긴 형상의 선 형상 부재이다. 이 가이드 와이어(56)는 내시경(1)을 이용하여 췌관이나 담관 또는 간관 등 체강 내의 매우 가는 관에 대해 겸자나 카테터 등의 처치 구(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할 때에, 상기 처치구에 앞서 상기 췌관이나 담관 또는 간관 등에 삽입해 둠으로써, 상기 처치구의 삽입시의 안내를 행하는 부재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다음에, 내시경(1)의 선단부(17)의 내부 구성의 개략에 대해 처치구 기상대(27)를 중심으로 하여 주로 도3을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내시경(1)의 선단부(17)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 본체로서의 선단부 경질부(21)와, 이 선단부 경질부(21)의 주위를 덮도록 배치되고 수지 등의 비도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선단부 커버(2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선단부 커버(22)는 선단부 경질부(21)의 선단부측에 있어서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착 고정되어 있다.
선단부 경질부(21)에는 삽입 방향을 따라 긴 구멍(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 구멍(21a)에는 처치구(도시하지 않음)의 삽입 관통용 안내로로서의 접속 파이프(43)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 접속 파이프(43)의 후단부측의 외주에는 처치구를 삽입 관통시키는 처치구 삽입 관통용 채널(23)의 선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 파이프(43)의 선단부측에는 처치구 삽입 관통용 채널(23)에 삽입되는 처치구 또는 가이드 와이어(56)를 접속 파이프(43)를 통해 채널 개구부(26)측으로 안내하는 도입 안내로(24)가 형성되어 있다.
도입 안내로(24)의 선단부측에는, 선단부 경질부(21)와 선단부 커버(2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인 수용실(2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수용실(25)에는 그 상면측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가 처치구 삽입 관통용 채널(23)의 선단부 개 구부를 구성하는 채널 개구부(26)로 되어 있다.
수용실(25)의 내부 공간에는 처치구 기상대(27)가 배치되어 있다. 이 처치구 기상대(27)는 단면이 대략 삼각 형상을 갖고 형성되고, 일단부가 선단부 경질부(21)의 도입 안내로(24)의 선단부 개구부 근방의 바닥면측의 부위에 형성되는 기상대 회전 지지점(2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처치구 기상대(27)는 수용실(25)의 내부에 있어서 도3에 나타낸 화살표 R 방향으로 소정의 범위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처치구 기상대(27)에는, 도입 안내로(24)에 연통하여 단면이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홈부로 이루어지고 처치구를 채널 개구부(26)로 유도하는 처치구 유도면(27a)이 채널 개구부(26)에 대향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처치구 유도면(27a)의 선단부측에는 처치구 기상대(27)가 소정의 조작에 의해 기상되었을 때에 가이드 와이어(56)가 끼워 넣어지고, 이것을 고정하는 대략 V자 형상의 슬릿(27b)(도4 및 도5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처치구 기상대(27)의 측면의 중간 정도의 부위에는, 조작부(13)의 기상대 계지 구동 기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연장되어 삽입부(12)의 내부를 삽입 관통하는 기상 와이어(30)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이 기상 와이어(30)의 외주측은 가이드 파이프(31)에 의해 피복되어 있고, 이 가이드 파이프(31)는 삽입부(12)의 내부를 삽입 관통하는 가이드 튜브(32)의 내부를 삽입 관통하고 있다.
처치구 기상대(27)는 기상 와이어(30)의 견인 조작에 수반하여 기상대 회전 지지점(28)을 중심으로 기상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처치구 기상대(27)는 후술하는 제1 스토퍼부(17a)가 규정하는 위치까지 기상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제1 스토퍼부(17a)에 의해 규정되는 처치구 기상대(27)의 위치를 최대 기상 위치라 하는 것으로 한다.
선단부 경질부(21)의 선단부측에는 절연 부재(77)가 상기 처치구 기상대(27)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절연 부재(77)의 선단부측의 면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 형상의 유도면(77a)이 전방면을 향해 개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유도면(77a)은 처치구 기상대(27)가 최대 기상 위치에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유도면(77a)과 처치구 기상대(27)의 슬릿(27b)과의 사이에서 가이드 와이어(56)를 끼움 지지한다. 이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56)가 슬릿(27b)에 파고들어가, 가이드 와이어(56)의 고정시에 상기 가이드 와이어(56)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처치구 기상대(27)는 최대 기상 위치보다도 약간 전방의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후술하는 제2 스토퍼부(17b)에 의해 위치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위치에 있어서 처치구의 삽입 조작이 행해지는 것이 된다. 따라서, 절연 부재(77)의 유도면(77a)과 처치구 기상대(27)의 유도면(27a)과의 사이에 있어서, 처치구 및 가이드 와이어(56)가 그 삽입 탈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각각 설정 및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절연 부재(77)의 유도면(77a)의 근방에는 처치구 기상대(27)가 최대 기상되었을 때에 상기 처치구 기상대(27)의 가이드 와이어 유도부(27c)(후술함)가 인입되어 간섭을 피하는 퇴피부(退避部)가 되는 퇴피 슬릿부(77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퇴피 슬릿부(77b)를 형성한 것에 의해, 처치구 기상대(27)의 최대 기상 위치[제1 스토퍼부(17a)의 위치]에의 기상 각도가 확보되어 있다.
또한, 절연 부재(77)의 일측 가장자리부에는 상방을 향해 개방되고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U자 홈부(77c)가 마련되어 있다. 이 U자 홈부(77c)에는 기상 와이어(30)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처치구 기상대(27)의 처치구 유도면(27a)의 외연부에는 가이드 와이어(56)가 상기 처치구 기상대(27)에 의해 기상될 때에, 상기 가이드 와이어(56)가 처치구 유도면(27a) 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유지하면서, 또한 이것을 슬릿(27b)으로 유도하는 가이드 와이어 유도 수단인 가이드 와이어 유도부(27c)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와이어 유도부(27c)는 처치구 유도면(27a)의 외연부의 일부분에 형성된 볼록부이며, 수용실(25)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조명 렌즈(36) 등이 배치되어 있는 고정 부재에 인접하는 측의 처치구 기상대(27)의 측면부의 소정의 부위에 있어서, 예를 들어 외부로 돌출하도록 또한 단면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용실(25)의 내벽면의 소정의 부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처치구 기상대(27)의 기상을 소정의 위치에서 제한하는 제2 스토퍼부(17b)를 포함하는 스토퍼 구동 기구(47)와, 처치구 기상대(27)의 최대 기상 위치를 규정하는 제1 스토퍼부(17a) 등에 의해 구성되는 처치구 기상대(27)의 기상 범위 제한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중, 제1 스토퍼부(17a)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실(25)의 기단부측 의 측벽(25a)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볼록 형상이 되도록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스토퍼부(17a)의 근방에는, 이에 인접하는 부위에서 측벽(25a)으로부터 돌출 함몰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스토퍼부(17b)와, 이 제2 스토퍼부(17b)의 돌출 함몰 동작을 실현하는 스토퍼 구동 기구(47)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스토퍼부(17a) 및 제2 스토퍼부(17b)의 상세에 대해서는, 도7 및 도8에 도시하고 있다. 도7은 제2 스토퍼부(17b)가 돌출한 상태에 있는 통상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8은 제2 스토퍼부(17b)가 내벽면 내에 수용된 상태가 되어 처치구 기상대(27)의 최대 기상 위치가 제1 스토퍼부(17a)에 의해 규정될 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2 스토퍼부(17b)는 측벽(25a)의 내부에 수용되는 위치(도8에 도시한 상태)와, 측벽(25a)으로부터 수용실(25)의 내부를 향해 돌출하는 위치(도7에 도시한 상태) 사이에서 돌출 함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제2 스토퍼부(17b)가 측벽(25a)의 내부에 수용되는 위치에 배치되기 위한 수용부(25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부(25b)의 바닥면부에는 긴축성의 탄성 부재(47a)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스토퍼부(17b)는 탄성 부재(47a)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스토퍼부(17b)는 통상 상태에 있어서는 탄성 부재(47a)에 의해 도7 및 도8에 나타낸 화살표 X2 방향을 향해 항상 가압되어 있다.
한편, 수용부(25b)에는 견인 와이어(69)를 삽입 관통시키는 견인 와이어 채널(74)이 연통하고 있다. 견인 와이어 채널(74)은 상기 내시경(1)의 삽입부(12)의 내부를 통해 조작부(13)의 내부의 소정의 부위까지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이 견인 와이어 채널(74)의 내부에는 견인 와이어(69)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이 견인 와이어(69)의 선단부에는 선단부 부재(69a)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 선단부 부재(69a)는 견인 와이어(69)가 후술하는 스토퍼 구동 기구(47)에 의해 도7에 나타낸 화살표 Y1 방향으로 압입되었을 때에, 제2 스토퍼부(17b)를 탄성 부재(47a)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돌출시키는 방향(도7 및 도8의 화살표 X1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견인 와이어(69)가 압입됨으로써 선단부 부재(69a)는 수용부(25b)에 인입되고, 이에 수반하여 제2 스토퍼부(17b)를 밀어 올리도록 작용한다. 그로 인해, 제2 스토퍼부(17b)의 후단부, 즉 선단부 부재(69a)가 접촉하는 측의 단면에는 견인 와이어(69)의 이동 방향(삽입 관통 방향)에 대해 각도를 갖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스토퍼부(17b)는 도7에 도시한 상태, 즉 측벽(25a)으로부터 수용실(25)의 내부를 향해 돌출한 상태가 되도록 배치된다. 이 도7에 도시한 상태가 본 내시경(1)에 있어서의 통상 상태이다.
그리고, 제2 스토퍼부(17b)가 도7의 위치에 있을 때, 처치구 기상대(27)의 기상 동작이 실행되면 그 처치구 기상대(27)의 일부가 제2 스토퍼부(17b)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의해, 처치구 기상대(27)는 그 이상(도3의 화살표 R1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이 제한되게 된다.
한편, 견인 와이어(69)가 후술하는 스토퍼 구동 기구(47)에 의해 도8에 나타낸 화살표 Y2 방향으로 견인되었을 때에는, 선단부 부재(69a)가 수용부(25b)로부터 인출된다. 이에 의해, 도7의 상태(돌출 상태)에 있었던 제2 스토퍼부(17b)는 탄성 부재(47a)의 가압력에 의해 수용부(25b)에 수납되는 방향(도7 및 도8의 화살표 X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때 제2 스토퍼부(17b)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25a)의 수용부(25b)에 수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제2 스토퍼부(17b)가 도8의 위치에 있을 때, 처치구 기상대(27)의 일부가 제2 스토퍼부(17b)를 통과하여 더욱 회전하고 제1 스토퍼부(17a)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처치구 기상대(27)의 최대 기상 위치(도3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 등 참조)를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스토퍼 구동 기구(47)의 일부는 조작부(13) 쪽에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 구동 기구(47)의 구성 부재 중 조작부(13) 쪽에 설치되는 부재(조작 부재 등)에 대해 도9 내지 도11에 의해 이하에 설명한다.
도9는 조작부(13)의 일부이며 스토퍼 구동 기구 중 조작 노브의 배치 위치의 근방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10은 도9의 부위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11은 스토퍼 구동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캠 부재를 취출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1)의 조작부(13)에는, 도1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13)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그립(62)과 삽입부 보호 부재(33)의 사이의 부위에, 견인 와이어(69)의 견인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 부재이며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견인 노브(64)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견인 노브(64)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13)의 내부 고정 부재(46)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 되어 있다. 또한, 견인 노브(64)의 회전축은 상기 내시경(1)의 삽입부(12)의 중심축과 동축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견인 노브(64)의 내부에는 원통 형상의 캠 부재(65)(도10 및 도11 참조)가 일체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캠 부재(65)의 원주면 상에는, 도10 및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홈(65a)이 비스듬히 뚫어 설치되어 있다. 이 캠 홈(65a)에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핀(66)이 걸어 맞추어져 있다. 이에 의해, 캠 부재(65)가 회전함으로써 이동 핀(66)은 견인 노브(64) 및 삽입부(12)의 중심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 핀(66)에는 견인 와이어 채널(74)의 내부에 삽입되는 견인 와이어(69)의 기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견인 노브(64)의 회전 조작이 이루어지면 이에 수반하여 캠 부재(65)가 동시에 회전한다. 그러면, 이동 핀(66)이 캠 부재(65)의 캠 홈(65a)을 따라 이동한다. 이에 의해, 이동 핀(66)을 통해 견인 와이어(69)가 삽입부(12)의 축방향을 따라 진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견인 와이어(69)의 선단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선단부 부재(69a)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견인 와이어(69)의 진퇴 이동에 수반하여 선단 부재(69a)도 마찬가지로 진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견인 노브(64)의 회전 조작을 행함으로써 임의의 시기에 제2 스토퍼부(17b)의 배치를 설정하고, 처치구 기상대(27)의 회전 제한 위치의 설정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견인 노브(64)의 회전 조작을 행하여 견인 와이어(69)를 압출 방향으로 이동시켜 도7에 도시한 상태로 한 것으로 한다. 이 때에는, 처치구 기상대(27)는 제2 스토퍼부(17b)에 의해 그 회전 범위가 제한된다. 이 때의 처치구 기상대(27)의 회전 범위는, 제2 스토퍼부(17b)에 접촉하는 위치, 즉 도7에 도시한 부호 U의 위치까지가 된다.
한편, 예를 들어 도7의 상태에 있을 때에 견인 노브(64)의 회전 조작을 행하여 견인 와이어(69)를 견인 방향으로 인입하여 도8에 도시한 상태로 한 것으로 한다. 이 때에는, 처치구 기상대(27)는 제1 스토퍼부(17a)에 의해 그 회전 범위가 제한되게 된다. 이 때의 처치구 기상대(27)의 회전 범위는, 제1 스토퍼부(17a)에 접촉하는 위치, 즉 도8에 도시하는 부호 MAX의 위치(최대 기상 위치)까지가 된다. 즉, 도7에 도시한 부호 U의 위치로부터 처치구 기상대(27)를 더욱 소정량만큼 기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처치구 기상대(27)는 조작부(13)에 설치되는 조작 노브(48)의 회전 조작을 행함으로써 상기 조작부(13)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상대 계지 구동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기상 와이어(30)(도3 및 도4 참조)를 견인함에 의해 기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조작 노브(48)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13)의 소정의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도12는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의 조작부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도이며, 상기 조작부에 설치되는 조작 노브의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12에 있어서는 도면의 번잡화를 피하기 위해 조작부의 조작 노브 이외의 부재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조작 노브(48)는 조작부(13)의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되는 축부(48a)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조작부(13)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 다. 조작 노브(48)는 축부(48a)와, 이 축부(48a)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기단부(48b)와, 이 기단부(48b)로부터 연장되는 아암부(48c)와, 이 아암부(48c)의 선단부에 일체적으로 배치되는 노브부(48d)에 의해 형성되는 레버 형상 조작 부재이다. 노브부(48d)에 손가락을 걸어 상기 노브부(48d)를 도12에 나타낸 화살표 R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작 노브(48)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작 노브(48)가 회전하면 기단부(48b)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레버부(48e)도 모두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레버부(48e)에 연속 설치되는 링크 부재(48f)가 도12에 나타낸 화살표 T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링크 부재(48f)에는 기상 와이어(30)가 연속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에 의해 기상 와이어(30)의 견인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1)에 있어서는, 처치구 기상대(27)를 그 최대 기상 위치까지 기상 시켰을 때에 가이드 와이어(56)를 처치구 기상대(27)의 슬릿(27b)과 절연 부재(77)의 유도면(77a)과의 사이에 있어서 끼움 지지하고, 또한 슬릿(27b)에 대해 가이드 와이어(56)를 파고 들어가게 함으로써 그 고정 강도를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처치구 기상대(27)의 최대 기상 위치에서의 가이드 와이어(56)의 고정 강도는 기상 스트로크, 즉 처치구 기상대(27)의 기상량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즉, 가이드 와이어(56)의 슬릿(27b)에 의한 고정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처치구 기상대(27)의 기상각을 증가시키는 것이 용이하고 또한 유효한 수단이 된다. 환언하면, 처치구 기상대(27)의 기상각을 증가시키고 상기 처치구 기상대(27)의 기상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조작 노브(48)의 회전각을 증가시키면 좋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노브(48)에 있어서는 조작 노브(48)의 아암 길이 치수[축부(48a)의 중심으로부터 노브부(48d)의 정상점까지의 치수 = 조작 노브(48)의 높이 치수라고도 함]를 종래의 것에 비해 약간 연장시켜 형성하고 있다. 도12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종래의 조작 노브(48)보다도, 상기 도면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본 실시 형태의 조작 노브(48)가 되도록 조작 노브(48) 자체의 높이 치수를 연장하여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의 조작 노브(48)에 있어서는, 도12의 부호 H로 나타내는 치수 = 1 mm 정도를 연장하여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조작 노브(48)의 회전량은 도12의 부호 S로 나타내는 양만큼 여분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노브(48)의 높이 치수를 연장할 때에는 상기 조작 노브(48)의 노브부(48d)의 정상점의 위치를, 예를 들어 만곡 조작 노브(35)의 조작 반경 내부나 그보다도 내측에 수납되도록 하는 것이 조작성을 저해하는 일이 없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조작 노브(48)의 높이 치수를 약간 연장하는 것만으로, 대폭의 설계 변경을 행하는 일 없이 원하는 기상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처치구 기상대(27)는 카뉼라(cannula) 등의 튜브 시스(tube sheath)를 갖는 처치구(특별히 도시하지 않음)를 원하는 췌관이나 담관 또는 간관 등에 삽입할 때에, 상기 처치구를 기상시켜 그 선단부를 원하는 방향을 향하게 하기 위해 서도 이용된다. 따라서, 상기 처치구를 기상시켰을 때에 처치구 기상대(27)가 실수로 최대 기상 위치에 배치되어 버리면, 상기 처치구를 좌굴시켜 버리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이러한 경우도 고려하여 다음에 나타내는 구성의 처치구를 생각할 수 있다.
도13은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에 대응하여, 좌굴의 방지를 고려한 처치구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14는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에 대해 도13의 처치구를 적용하였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본 내시경의 선단부 근방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1)에 대응시킨 처치구(55)는 카뉼라 등의 튜브 시스를 갖는 처치구이다. 여기서, 상기 처치구(55)를 최선단부측의 소정 영역인 선단부 영역(55a)과, 이 선단부 영역(55a)에 연속 설치되고 두께가 약간 두꺼운 구조로 형성되는 두꺼운 영역(55b)과, 이 두꺼운 영역(55b)에 연속 설치되는 기단부측의 기단부 영역(55c)의 3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이 중, 선단부 영역(55a)은 예를 들어 최선단부로부터 도13에 도시한 치수 L1(구체적으로는 20 내지 30 mm 정도)의 영역으로 한다. 두꺼운 영역(55b)은 선단부 영역(55a)에 연속 설치하는 영역이며, 예를 들어 도13에 도시한 치수 L2(구체적으로는 200 mm 정도)의 영역으로 한다. 기단부 영역(55c)은 두꺼운 영역(55b)으로부터 기단부측의 모든 영역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처치구(55)의 튜브 두께는 선단부 영역(55a) 및 기 단부 영역(55c)에 있어서 대략 동등한 두께로 설정되어 있는 한편, 두꺼운 영역(55b)에서 전술한 양자보다도 약간 두께를 증가시켜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처치구(55)의 내경은 선단부로부터 기단부까지 변화시키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 와이어(56)의 삽입 관통성이나 조영제 등의 유통성은 유지되어 있다.
처치구(55)의 두꺼운 영역(55b)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치구(55)의 선단부를 내시경(1)의 채널 개구부(26)로부터 도출시켰을 때, 절연 부재(77)와 접촉할 가능성이 높은 범위로 되어 있다. 즉, 처치구 기상대(27)에 의한 기상력이 부가되는 부위이다. 따라서, 그 부위의 두께를 증가시켜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처치구(55)는 처치구 기상대(27)를 기상시킨 경우에도 좌굴하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처치구 기상대(27)에 의한 처치구(55)의 좌굴이나 손상 등의 방지를 고려하여,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1)을 적용하는 내시경 장치(100)에 있어서는 처치구 기상대(27)의 기상 조작의 실행 중에는 모니터(4)의 화면 상에 다음에 나타내는 표시가 행해진다.
도15는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이 적용되는 내시경 장치에 있어서의 모니터의 표시 화면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4)의 표시 화면(4a)에는 내시경 화상(4b) 외에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 영역(4c)이 마련되어 있다. 이 정보 표시 영역(4c) 중 소정의 영역(4d)에는, 처치구 기상대(27)의 기상 조작을 행할 때에 그 기상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도15에 도시한 표시는 그 일예이다. 본 예에서는, 예를 들어 대략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그래프 형식의 표시가 이루어져 있고, 상기 그래프 표시 중 부호 A로 나타내는 영역이 녹색으로 표시되고, 부호 B로 나타내는 영역이 적색으로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처치구 기상대(27)의 근방에 설치되는 위치 센서 등의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처치구 기상대(27)의 기상량을 기초로 하는 소정의 표시가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15에 도시한 표시예에서는 그래프 표시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기상 각도를 나타내는 숫자를 합쳐 표시시키거나, 숫자 표시만의 형태의 표시로 해도 좋다.
또한, 검지 수단은 처치구 기상대(27)의 근방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예를 들어 조작부(13)의 내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기상 와이어(30)의 이동량을 검지하도록 하거나, 조작 노브(48) 등의 회전 조작량을 검지하도록 구성하면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1)의 작용, 상세하게는 조작 노브(48)(도1 참조)를 이용하여 가이드 와이어(56)를 기상시키는 기상 조작시의 동작 및 가이드 와이어(56)를 소정의 부위에 고정하는 고정 조작시의 동작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도16 내지 도19는 도1의 내시경의 선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 중, 도16은 도3과 마찬가지로 도2의 III-IIl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17은 도16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내시경의 선단부의 상면도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도16 및 도17은 처치구 기상대(27)가 아직 기상되지 않고 임의의 가이드 와이어(56)가 채널 개구부로부터 도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16 및 도17에 도시한 상태를 초기 상태라 하는 것으로 한다. 도18은 도16 및 도17의 상태로부터 처치구 기상대(27)가 소정량만큼 회전되어 가이드 와이어(56)가 기상되어 있고, 처치구 기상대(27)의 처치구 유도면(27a)의 일부가 제2 스토퍼부(17b)에 접촉하여 그 회전이 제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19는 도18의 상태로부터 더욱 처치구 기상대(27)가 소정량만큼 회전되어 처치구 기상대(27)가 최대 기상 위치에 배치되고, 가이드 와이어(56)가 슬릿(27b)에 있어서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조작부(13)의 처치구 삽입구(40)의 개구(40a)(도1 참조)로부터 가이드 와이어(56)를 처치구 삽입 관통용 채널(23)의 내부에 삽입 관통시킨 카테터 등의 처치구(도시하지 않음)의 손잡이측 후단부로부터 삽입시킨 후, 가이드 와이어(56)의 선단부를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채널 개구부(26)로부터 도출시키고 처치구의 선단부를 처치구 삽입 관통용 채널(23)의 내부에 배치시킨 상태로 한다. 이 때, 가이드 와이어(56)의 일부는 처치구 기상대(27)의 처치구 유도면(27a) 상에 적재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는 조작 노브(48)(도1 참조)를 조작한다. 즉, 사용자는 처치구 기상대(27)를 기상시켜야 할 소정의 방향으로의 조작 노브(48)의 회전 조작을 행한다. 그러면, 이 조작 노브(48)의 회전력은 소정의 기상대 결합 구동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기상 와이어(30)를 견인하는 역량으로 변환된다. 이에 의해, 기상 와이어(30)가 견인되면, 처치구 기상대(27)는 기상대 회전 지지점(28)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도16에 나타낸 화살표 R1 방향(도16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을 향해 회전을 개시한다.
처치구 기상대(27)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하면, 처치구 기상대(27)의 처치구 유도면(27a)에 적재된 상태에 있는 가이드 와이어(56)는 채널 개구부(26) 쪽을 향해 기상된다.
이 때, 가이드 와이어(56)가 도17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 즉 처치구 유도면(27a)의 슬릿(27b)의 내부에 인입되어 있는 상태이면, 상기 가이드 와이어(56)는 그 위치[가이드 와이어(56)의 적재를 의도하는 소정의 위치]가 유지된 상태로 기상되는 것이 된다.
한편, 가이드 와이어(56)가 도17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점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가이드 와이어(56)의 적재를 의도하지 않은 위치], 즉 처치구 유도면(27a)의 슬릿(27b)의 내부에 인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며, 또한 처치구 기상대(27)와 수용실(25)의 측벽(25a) 쪽에 흔들리고 있는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가이드 와이어(56)는 다음과 같이 기상된다.
즉, 이 경우에 있어서 가이드 와이어(56)는 처치구 기상대(27)의 기상 방향으로의 회전에 수반하여 기상되면서, 처치구 기상대(27)의 처치구 유도면(27a) 상을 수용실(25)의 측벽(25a) 쪽을 향해 미끄러져 떨어지도록 이동한다. 이 경우, 가이드 와이어(56)는 처치구 기상대(27)에 있어서 슬릿(27b)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이드 와이어 유도부(27c) 상을 미끄럼 이동한다. 그러나, 이 가이드 와이어(56)의 미끄러져 떨어짐 이동은 처치구 기상대(27)의 가이드 와이어 유도부(27c)의 에지부(27cc)에 접촉한 시점에서 제한된다. 즉, 가이드 와이어(56)는 가이드 와이어 유도부(27c)의 에지부(27cc)에 계지된 상태가 되면, 그 이상은 수용실(25)의 측벽(25a) 쪽을 향해 미끄러져 떨어지는 일 없이 기상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지부(27cc)에 계지된 상태]가 유지된 채로 처치구 기상대(27)에 의해 어느 정도 기상된다. 상기 가이드 와이어(56)에는 직진 상태로 복원되는 방향으로의 탄성 장력을 갖고 있다. 따라서, 가이드 와이어(56)가 어느 정도 기상된 상태가 되면, 가이드 와이어(56)에는 도17에 나타낸 화살표 D 방향으로의 역량이 작용한다. 이에 의해, 상기 가이드 와이어(56)는 처치구 기상대(27)에 의해 기상되면서, 가이드 와이어 유도부(27c)의 에지부(27cc)로부터 처치구 유도면(27a)의 슬릿(27b)을 향해 처치구 유도면(27a) 상을 이동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도18에 도시한 상태가 될 때까지 처치구 기상대(27)가 회전하였을 때에는, 가이드 와이어(56)는 반드시 슬릿(27b)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처치구 유도면(27a)의 외연부는 슬릿(27b)을 향해 매끄러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이 외연부의 가이드 와이어 유도부(27c)로부터 슬릿(27b)에 이르는 영역은 가이드 와이어 유도부(27c)를 정상부로 하여 에지부(27cc)로부터 슬릿(27b)을 향해 매끄럽게 경사져 있다. 이러한 에지부(27cc)로부터 슬릿(27b)측으로 이동한 가이드 와이어(56)는, 이 외연부에 저해되는 일 없이 원활하게 슬릿(27b)의 내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러한 가이드 와이어 유도부(27c)는 처치구 기상대(27)의 기상 동작에 수반하여 이 가이드 와이어(56)를 에 지부(27cc)측으로 이동하고, 그 후 도18에 도시한 상태가 되도록 이 가이드 와이어(56)를 슬릿(27b)의 내부로 확실하게 유도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와이어(56)가 처치구 유도면(27a)의 슬릿(27b)의 내부에 인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며, 또한 처치구 기상대(27)와 수용실(25)의 측벽(25a) 쪽과는 반대측, 즉 상기 내시경(1)의 선단부(17)의 외측으로 흔들리고 있는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가이드 와이어(56)는 기상 동작에 수반하여 처치구 기상대(27)의 처치구 유도면(27a) 상을 슬릿(27b)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56)는 이 경우에도 처치구 기상대(27)에 의해 기상되면서 반드시 슬릿(27b)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에서 도18에 도시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처치구 기상대(27)는, 가령 가이드 와이어(56)가 슬릿(27b)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라도 이 가이드 와이어(56)를 화살표 R1 방향(도16 참조)으로 기상하는 동시에 가이드 와이어(56)의 적재 상태를 조정하고, 제2 스토퍼부(17b)에 의해 회전 제한될 때까지 이 가이드 와이어(56)를 슬릿(27b)의 내부에 확실하게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처치구 기상대(27)는 의도하지 않은 위치, 예를 들어 처치구 기상대(27)와 수용실(25)의 측벽(25a)과의 사이의 위치에 가이드 와이어(56)를 실수로 끼워 넣어 고정한 상태(허위 고정 상태)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이러한 슬릿(27b)의 내부에 수납한 가이드 와이어(56)를 도18에 도시한 상태[채널 개구부(26) 쪽을 향한 상태]로 기상할 수 있다. 또한, 도18에 도시한 상태는 처치구 기상대(27)의 처치구 유도면(27a)의 일부가 제2 스토퍼부(17b)에 접촉하여 그 회전이 제한된 상태이다.
이 도18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 내시경(1)의 축방향으로 가이드 와이어(56)를 이동시킴으로써 채널 개구부(26)로부터 도출시킨 상태의 가이드 와이어(56)를 췌관이나 담관 또는 간관 등의 원하는 관 등을 향해 삽입하는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와이어(56)를 통해 소정의 처치구가 삽입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처치구를 인발하는 조작을 행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18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더욱 처치구 기상대(27)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도18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더욱 처치구 기상대(27)를 화살표 R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데 앞서, 제2 스토퍼부(17b)에 의한 처치구 기상대(27)의 회전 제한을 해제한다. 그러기 위해, 조작부(13)의 견인 노브(64)(도9 참조)의 회전 조작을 행하여 견인 와이어(69)를 견인 방향으로 인입한다. 이에 의해, 제2 스토퍼부(17b)가 수용실(25)의 측벽(25a) 내에 수용되어 도8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 때의 처치구 기상대(27)의 회전 범위는 제1 스토퍼부(17a)에 접촉하는 위치, 즉 도19에 도시한 최대 기상 위치이다. 이 상태에서는, 가이드 와이어(56)는 처치구 기상대(27)의 슬릿(27b)과 절연 부재(77)의 유도면(77a)과의 사이에 있어서 끼움 지지되고, 또한 상기 가이드 와이어(56)는 슬릿(27b)에 끼워 맞추어진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56)는 그 축방향에서의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위치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 가이드 와이어(56)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췌관이나 담관 또는 간관 등에 대한 처치구의 삽입 발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56)의 위치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조작 노 브(48)(도1 참조)를 조작하여 처치구 기상대(27)의 기상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이 조작 노브(48)의 회전력은 소정의 기상대 계지 구동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기상 와이어(30)를 이완시킨다. 이에 의해, 처치구 기상대(27)는 기상대 회전 지지점(28)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도19에 나타낸 화살표 R2 방향(도19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을 향해 회전을 개시한다. 이윽고, 처치구 기상대(27)는 도16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56)의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췌관이나 담관 또는 간관 등으로부터 가이드 와이어(56)를 제거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처치구 기상대(27)의 처치구 유도면(27a)의 일부에 가이드 와이어 유도부(27c)를 형성한 것에 의해, 처치구 기상대(27)의 기상 조작에 수반하여 가이드 와이어(56)가 기상 될 때, 의도하지 않은 위치에 가이드 와이어(56)를 실수로 끼워 넣어 고정하는 일 없이 상기 가이드 와이어(56)를 처치구 기상대(27)의 슬릿(27b)을 향해 확실하게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확실하게 허위 고정 상태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 와이어(56)의 외피 벗겨짐 등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항상 안정된 고정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처치구 기상대(27)의 기상 범위에 있어서, 가이드 와이어(56)의 삽입 탈거를 가능하게 한 통상의 기상 범위와, 가이드 와이어(56)를 확실하게 고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최대 기상 위치를 갖는 이른바 2단계 기상 방식으로 하였으므로, 처치구 기상대(27)의 안정된 기상 조작을 확보하면서 처치구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확실하게 가이드 와이어(56)를 고정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통상 기상 범위 중 상한 위치와 최대 기상 위치의 사이의 기상각의 제어는 조작부 쪽이 아닌, 내시경(1)의 선단부 부위 근방, 즉 처치구 기상대(27)의 근방에서 행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기상 와이어(30)의 변동이나 삽입부 형상의 차이나 경시 열화 등에 의해 기상각이 변화되어 버리는 일도 없어 안정된 기상각의 제어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일 실시 형태의 내시경(1)에 있어서는, 도7 내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스토퍼부를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상 범위 제한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처치구 기상대(27)의 기상 범위를 2단계로 제한하는 이른바 2단 기상 방식을 실현하고 있다. 이 2단 기상 방식을 실현하는 기구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다음에 나타내는 기구를 채용할 수도 있다.
도20 및 도21은, 상기 일 실시 형태의 내시경에 있어서의 처치구 기상대의 2단 기상 방식을 실현하는 기상 범위 제한 기구에 대한 별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중, 도20은 제2 스토퍼부(17Ab)가 돌출한 상태에 있는 통상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21은 제2 스토퍼부(17Ab)가 내벽면 내에 수용된 상태가 되어 처치구 기상대(27)의 최대 기상 위치가 제1 스토퍼부(17Aa)에 의해 규정될 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2 스토퍼부(17Ab)는 측벽(25a)의 내부에 수용되는 위치(도21에 도시한 상태)와, 측벽(25a)으로부터 수용실(25)의 내부를 향해 돌출하는 위치(도20에 도시한 상태)의 사이에서 돌출 함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제2 스토퍼부(17Ab)가 측벽(25a)의 내부에 수용되는 위치에 배치되기 위한 수용부(25A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부(25Ab)의 바닥면부에는 신장성 탄성 부재(47Aa)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스토퍼부(17Ab)는 탄성 부재(47Aa)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스토퍼부(17Ab)는 통상 상태에 있어서는 탄성 부재(47Aa)에 의해 도20 및 도21에 나타낸 화살표 X1 방향을 향해, 즉 제2 스토퍼부(17Ab)를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항상 가압되어 있다. 이 때의 상태(도20의 상태)가 본 예에 있어서의 통상 상태가 된다.
제2 스토퍼부(17Ab)의 전단부는, 처치구 기상대(27)의 일부가 접촉하는 측의 단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단면에는 처치구 기상대(27)의 접촉면에 대응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처치구 기상대(27)의 일부가 제2 스토퍼부(17Ab)에 접촉하면, 상기 처치구 기상대(27)의 기상은 그 위치에서 우선 제한된다.
이 상태에서, 또한 처치구 기상대(27)의 기상 조작이 이루어져 처치구 기상대(27)의 일부가 제2 스토퍼부(17Ab)에 대해 압박되어 소정의 역량 이상의 역량이 가해지면, 제2 스토퍼부(17Ab)는 탄성 부재(47Aa)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도20 및 도21에 나타낸 화살표 X2 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그리고, 제2 스토퍼부(17Ab)는 수용부(25Ab)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에 의해, 처치구 기상대(27)는 제2 스토퍼부(17Ab)에 의한 제한이 해제되고, 또한 제1 스토퍼부(17Aa)에 의해 제한되는 최대 기상 위치까지 기상할 수 있게 된다. 이 때의 상태(도21의 상태)가 본 예에 있어서의 최대 기상 위치를 제한할 때의 상태이다. 이 상태로부터, 처치구 기상대(27)의 기상 조작이 해제되어 제2 스토퍼부(17Ab)를 압입하는 위치로부터 떨어지면, 제2 스토퍼부(17Ab)는 탄성 부재(47Aa)의 가압력에 의해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 상태(통상 상태)로 복귀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보다 단순한 기구에 의해 제2 스토퍼부(17Ab)의 돌출 함몰을 제어하여, 처치구 기상대(27)의 2단 기상 방식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내시경은 소화관 및 췌담관계 등에 대해 의료 행위를 행하는 내시경에 유용하며, 특히 췌담관계 등의 내부에 처치구를 안내하는 가이드 와이어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내시경에 적합하다.

Claims (5)

  1. 선단부측에 선단부 경질부를 갖고 내부에 처치구 삽입 관통용 채널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체강 내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기단부측에 연속 설치되는 조작부와, 상기 삽입부에 있어서 상기 처치구 삽입 관통용 채널의 선단부측 개구부 근방에 배치되고 처치구를 유도하는 처치구 유도면을 갖고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기상 가능하게 구성되는 처치구 기상대를 구비한 내시경이며,
    상기 처치구 기상대는, 상기 처치구 유도면의 선단부측에 상기 처치구 삽입 관통용 채널의 상기 선단부측 개구부로부터 도출시킨 가이드 와이어를 걸림 이탈 가능하게 하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처치구 유도면의 외연부에 상기 가이드 와이어를 상기 슬릿으로 유도하는 가이드 와이어 유도 수단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선단부 경질부에는 상기 처치구 기상대가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기상되었을 때에 상기 가이드 와이어 유도 수단의 간섭을 피하는 퇴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처치구 기상대를 상기 조작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기상시켰을 때에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 유도 수단에 의해 상기 슬릿으로 유도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치구 유도면은, 상기 처치구 기상대에 형성되고 단면이 V자 형상을 이루는 홈부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슬릿은 단면이 상기 처치구 유도면에 있어서의 상기 V자 형상과는 형상이 상이한 V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처치구 삽입 관통용 채널의 상기 선단부측 개구부로부터 도출시킨 가이드 와이어를 고정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 유도 수단은 상기 삽입부 선단부에 배치된 조명 광학계측을 향해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곡절된 상태에 있어서 당해 처치구 기상대를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기상시켰을 때, 당해 가이드 와이어를 상기 슬릿을 향해 유도하도록 상기 처치구 유도면에 있어서의 상기 조명 광학계측의 외연부에 있어서 외부를 향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퇴피부는 상기 선단부 경질부의, 상기 처치구 기상대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당해 처치구 기상대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기상되었을 때에 상기 가이드 와이어 유도 수단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 경질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처치구 기상대의 기상 범위를 적어도 2군데에서 제한하는 기상 범위 제한 기구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범위 제한 기구는 상기 처치구 기상대의 최대 기상 위치를 제한하는 제1 스토퍼 부재와, 상기 처치구 기상대의 기상 개시 위치로부터 최대 기상 위치에 이르는 범위 내에 있어서의 소정의 기상 위치에서 상기 처치구 기상대의 기상을 제한할 수 있는 제2 스토퍼 부재와, 이 제2 스토퍼 부재를 상기 처치구 기상대의 기상 제한 위치와 상기 처치구 기상대의 기상을 제한하지 않는 위치로 설정하는 스토퍼 구동 기구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KR1020067027772A 2004-07-02 2005-07-01 내시경 KR100912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97308 2004-07-02
JP2004197308A JP4025755B2 (ja) 2004-07-02 2004-07-02 内視鏡
PCT/JP2005/012226 WO2006004053A1 (ja) 2004-07-02 2005-07-01 内視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790A KR20070023790A (ko) 2007-02-28
KR100912155B1 true KR100912155B1 (ko) 2009-08-14

Family

ID=35782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7772A KR100912155B1 (ko) 2004-07-02 2005-07-01 내시경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914441B2 (ko)
EP (1) EP1764028B8 (ko)
JP (1) JP4025755B2 (ko)
KR (1) KR100912155B1 (ko)
CN (1) CN100473328C (ko)
AU (1) AU2005258423B2 (ko)
CA (1) CA2572406C (ko)
WO (1) WO200600405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3593A1 (ko) * 2018-04-18 2019-10-24 (주) 태웅메디칼 분리형 프로브를 갖는 내시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9627A (en) 1994-02-09 1997-03-11 Boston Scientific Technology, Inc. Method for delivering a bifurcated endoluminal prosthesis
US6051020A (en) 1994-02-09 2000-04-18 Boston Scientific Technology, Inc. Bifurcated endoluminal prosthesis
US20040199052A1 (en) 2003-04-01 2004-10-07 Scimed Life Systems, Inc. Endoscopic imaging system
US7922654B2 (en) 2004-08-09 2011-04-1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Fiber optic imaging catheter
US7922650B2 (en) 2004-03-23 2011-04-1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visualization system with endoscope and mounted catheter
US11819192B2 (en) 2004-03-23 2023-11-2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In-vivo visualization system
US20060252993A1 (en) * 2005-03-23 2006-11-09 Freed David I Medical devices and systems
US7993287B2 (en) 2006-03-03 2011-08-09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Endoscopic wire guide
AU2007224008B2 (en) 2006-03-03 2013-04-18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Endoscopic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catheter
WO2007103457A2 (en) * 2006-03-03 2007-09-13 Wilson-Cook Medical, Inc. Endoscopic catheter apparatus having a radial groove
EP1991106A1 (en) 2006-03-03 2008-11-19 Wilson-Cook Medical Inc. Endoscopic elevator apparatus
US20070244356A1 (en) * 2006-04-17 2007-10-18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Elongate medical devices having an improved distal profile for use with an endoscope
US7753843B2 (en) 2006-05-09 2010-07-1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device positioning system
JP5078279B2 (ja) * 2006-05-17 2012-11-21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
JP4970877B2 (ja) 2006-05-17 2012-07-11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
US7655542B2 (en) * 2006-06-23 2010-02-02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epositing a microcrystalline silicon film for photovoltaic device
US7582515B2 (en) * 2007-01-18 2009-09-01 Applied Materials, Inc. Multi-junction solar cells an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orming the same
US20080223440A1 (en) * 2007-01-18 2008-09-18 Shuran Sheng Multi-junction solar cells an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orming the same
US20080173350A1 (en) * 2007-01-18 2008-07-24 Applied Materials, Inc. Multi-junction solar cells an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orming the same
US8203071B2 (en) * 2007-01-18 2012-06-19 Applied Materials, Inc. Multi-junction solar cells an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orming the same
US20080245414A1 (en) * 2007-04-09 2008-10-09 Shuran Sheng Methods for forming a photovoltaic device with low contact resistance
US8216209B2 (en) 2007-05-31 2012-07-10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n agent to a kidney
US7875486B2 (en) * 2007-07-10 2011-01-25 Applied Materials, Inc. Solar cells an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orming the same including I-layer and N-layer chamber cleaning
US20090104733A1 (en) * 2007-10-22 2009-04-23 Yong Kee Chae Microcrystalline silicon deposition for thin film solar applications
CN101842875A (zh) 2007-11-02 2010-09-22 应用材料股份有限公司 在沉积处理间实施的等离子处理
US8895842B2 (en) * 2008-08-29 2014-11-25 Applied Materials, Inc. High quality TCO-silicon interface contact structure for high efficiency thin film silicon solar cells
WO2011011301A2 (en) * 2009-07-23 2011-01-27 Applied Materials, Inc. A mixed silicon phase film for high efficiency thin film silicon solar cells
WO2011046664A2 (en) * 2009-10-15 2011-04-21 Applied Materials, Inc. A barrier layer disposed between a substrate and a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layer for thin film silicon solar cells
US20110126875A1 (en) * 2009-12-01 2011-06-02 Hien-Minh Huu Le Conductive contact layer formed on a transparent conductive layer by a reactive sputter deposition
JP5389721B2 (ja) * 2010-03-31 2014-01-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用フード
WO2011148894A1 (ja) 2010-05-28 2011-12-01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
JP5663373B2 (ja) * 2011-03-31 2015-02-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用挿入補助具
US9179826B2 (en) * 2012-10-12 2015-11-10 Karl Storz Gmbh & Co. Kg Distal tip channel ramp
US11234581B2 (en) * 2014-05-02 2022-02-01 Endochoice, Inc. Elevator for directing medical tool
AU2016297077B2 (en) 2015-07-21 2020-10-22 GI Scientific, LLC Endoscope accessory with angularly adjustable exit portal
EP3403566A4 (en) * 2016-01-14 2019-09-18 Olympus Corporation ENDOSCOPE COVER, ENDOSCOPE, SEPARATOR AND ENDOSCOPE UNIT
DE102017100867B3 (de) * 2017-01-18 2018-06-14 Hoya Corporation Endoskop mit einem Endoskopkopf und einem am Endoskopkopf einsetzbaren und von diesem lösbaren Albarranhebel
JP7109453B2 (ja) * 2017-02-01 2022-07-29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多角的な視野方向を有する内視鏡
JP6672200B2 (ja) * 2017-02-23 2020-03-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
KR20240006071A (ko) 2017-03-03 2024-01-12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장치 팁
JP6704872B2 (ja) * 2017-03-31 2020-06-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及び内視鏡における光学系の取り付け方法
CA3083867A1 (en) * 2018-01-08 2019-07-11 GI Scientific, LLC Device delivery tools and systems
DE112018006968T5 (de) * 2018-01-29 2020-10-08 Fujifilm Corporation Endoskop
JP7141963B2 (ja) * 2019-03-01 2022-09-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
US20200288952A1 (en) * 2019-03-11 2020-09-17 Spiration, Inc. D/B/A Olympus Respiratory America Sheath location indicator and overextension preventer
WO2021234794A1 (ja) * 2020-05-18 2021-11-2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被覆部材及び処置具
JP7451331B2 (ja) 2020-07-15 2024-03-1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起上台デバイス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9312A (ja) * 1999-07-19 2001-02-06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
JP2002034905A (ja) * 2000-04-17 2002-02-05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とその内視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963Y2 (ko) * 1973-06-21 1982-01-29
US3897775A (en) * 1973-09-07 1975-08-05 Olympus Optical Co Endoscope with facile bending operation
US4407273A (en) * 1981-02-25 1983-10-04 Kabushiki Kaisha Medos Kenkyusho Raising means for guiding an implement of an endoscope
US4841949A (en) * 1986-12-10 1989-06-27 Olympus Optical Co., Ltd. Endoscope with a device for raising a medical instrument
US5323768A (en) * 1991-04-22 1994-06-28 Olympus Optical Co., Ltd. Diathermic dissector with a bifurcation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as a lumen for guiding a wire
US5343853A (en) * 1991-09-20 1994-09-06 Fuji Photo Optical Co., Ltd. Side-looking type electronic endoscope which allows manipulating tool to be inserted thereinto
JP3279390B2 (ja) * 1993-05-07 2002-04-30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
US5868663A (en) * 1996-03-26 1999-02-09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Front end structure of side-view type endoscope
JP3634671B2 (ja) * 1999-06-21 2005-03-30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内視鏡
JP3679674B2 (ja) * 2000-02-03 2005-08-0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US6582357B2 (en) * 2000-05-24 2003-06-24 Pentax Corporation Treating instrument erecting device for use in endoscope
US6824509B2 (en) * 2001-07-23 2004-11-30 Olympus Corporation Endoscope
JP3772107B2 (ja) 2001-10-12 2006-05-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システム
JP4488280B2 (ja) * 2002-06-07 2010-06-2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用処置具および内視鏡装置
JP2004236715A (ja) * 2003-02-04 2004-08-26 Pentax Corp 側方視型内視鏡の処置具起上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9312A (ja) * 1999-07-19 2001-02-06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
JP2002034905A (ja) * 2000-04-17 2002-02-05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とその内視鏡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3593A1 (ko) * 2018-04-18 2019-10-24 (주) 태웅메디칼 분리형 프로브를 갖는 내시경
KR20190121497A (ko) * 2018-04-18 2019-10-28 신경민 분리형 프로브를 갖는 내시경
KR102110352B1 (ko) 2018-04-18 2020-06-08 (주) 태웅메디칼 분리형 프로브를 갖는 내시경
US11826022B2 (en) 2018-04-18 2023-11-28 Taewoong Medical Co., Ltd. Endoscope having separable pro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15017A (ja) 2006-01-19
JP4025755B2 (ja) 2007-12-26
WO2006004053A1 (ja) 2006-01-12
US7914441B2 (en) 2011-03-29
EP1764028B1 (en) 2016-08-31
CA2572406C (en) 2010-09-14
CN100473328C (zh) 2009-04-01
AU2005258423B2 (en) 2009-12-03
CA2572406A1 (en) 2006-01-12
EP1764028A4 (en) 2014-10-29
CN1976620A (zh) 2007-06-06
AU2005258423A1 (en) 2006-01-12
EP1764028B8 (en) 2016-10-12
EP1764028A1 (en) 2007-03-21
KR20070023790A (ko) 2007-02-28
US20070249898A1 (en)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155B1 (ko) 내시경
US10441143B2 (en) Insertion assisting tool for endoscope
EP1764027B1 (en) Endoscope with an instrument riser
JP4970877B2 (ja) 内視鏡
CN102670153B (zh) 用于内窥镜的插入辅助器
US20070142706A1 (en) Overtube for endoscope and endoscope system
JP2012192080A (ja) 内視鏡装置
JP4414827B2 (ja) 内視鏡
JP2000245689A (ja) 内視鏡挿入用補助具
JP2002330924A (ja) 内視鏡
JP2007307086A (ja) 内視鏡
US20210015348A1 (en) Endoscopic tool stabilization and related methods of use
JP2004261431A (ja) 内視鏡
JP2007029291A (ja) 内視鏡装置、内視鏡装置の使用方法、内視鏡処置具
KR100893243B1 (ko) 내시경
JP2000342528A (ja) 内視鏡先端保持具
JP2599217B2 (ja) 内視鏡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