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0990B1 - 손가락끝 자극 장치 - Google Patents

손가락끝 자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990B1
KR100910990B1 KR1020077015575A KR20077015575A KR100910990B1 KR 100910990 B1 KR100910990 B1 KR 100910990B1 KR 1020077015575 A KR1020077015575 A KR 1020077015575A KR 20077015575 A KR20077015575 A KR 20077015575A KR 100910990 B1 KR100910990 B1 KR 100910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tip
finger
infrared
disposed
b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5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1008A (ko
Inventor
도시키 스기야마
요시히로 시미즈
후미카즈 이시와타
Original Assignee
에쿠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59454A external-priority patent/JP426368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5718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159684A/ja
Application filed by 에쿠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쿠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1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9Acupun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1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ultraviol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구나 간단하게 취급 가능하며, 손가락끝을 확실하게 자극할 수 있고, 이 손가락끝 자극에 의하여, 체온을 건강한 사람과 동일한 정도로 안정시킬 가능성이 있는 손가락끝 자극 장치를 제공한다. 손가락끝 자극 장치(1)는, 손가락끝이 배치되는 손가락끝 배치부(3)와, 손가락끝 배치부(3)에 배치된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근적외선(near infrared ray)을 조사하는 근적외선 조사부(4)를 구비한다. 또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300)는, 손가락끝이 배치되는 손가락끝 배치부(331 ∼ 335)와, 손가락끝 배치부(331 ∼ 335)에 배치된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근적외선 발생 부재(341 ∼ 345)와,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배치된 청자색 광을 발하는 청자색 광 발생부((361 ∼ 365)를 구비한다.
자극, 손가락끝, 체온, 근적외선, 자율 신경, 펄스 광, LED

Description

손가락끝 자극 장치{FINGERTIP STIMUL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손가락끝을 자극하는 손가락끝 자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내의 심부 온도가 37.2℃일 때, 그 사람의 체내에서는, 생명 유지 활동에 빠질 수 없는 효소가 가장 활발하게 기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우리가 아는 체온의 평균은, 직장(直腸)·혀밑에서 36.5 ∼ 36.7℃, 겨드랑이 밑에서 36.2 ∼ 36.3℃ 정도가 보통 체온으로 알려져 있다.
만약, 체내의 효소가 활발하게 기능할 수 있을 만큼의 체온을 유지할 수 없으면, 당연히 효소의 활동이 활발하지 않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병에 걸릴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저혈압인 사람은, 하루 중의 체온이 어느 정도 변동하므로, 아침에 가장 낮고, 그 후 점점 상승해 나간다. 건강한 사람은, 아침이라 하더라도 체온은 적어도 35℃ 이상이지만, 저혈압인 사람은, 아침의 체온이 35℃에 이르지 않을 정도로 낮을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저혈압인 사람은, 아침 동안 체온이 낮으므로 효소가 충분히 기능하지 않고, 기력이 없는 현상이 일어나기 쉬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저혈압인 사람이 아침에 약하다고 알려진 것은, 체온이 낮아서 체내의 효소가 충분히 기능하지 않으므로, 아침에 약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체온이 낮은 상태가, 아침만으로 끝나지 않고 그 후에도 지속되면, 암이나 교원병(collagen disease), 알레르기, 위궤양 등의 병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또 반대로, 고열이 나면, 뇌세포가 손상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그것은, 뇌세포가 열 자체로 손상을 입는 것이 아니라, 열이 높아지면 뇌가 필요로 하는 산소량이 많아지는 데 반해, 그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으므로 세포가 손상된다.
고열이 나면, 신체가 긴장 상태가 되고, 혈류(血流)가 악화되므로, 뇌에 대한 혈행(血行)도 악화되어, 뇌 내의 산소가 부족하게 된다. 고열로 소아가 경련을 일으키는 것은, 이러한 산소 부족 때문이다.
또한, 「냉증」은, 실은 신체가 차가워지는 것이 아니라, 냉방 등으로 신체의 표면으로부터 열이 빼앗길 때, 중요한 신체의 심부의 열을 빼앗기지 않으려고, 신체의 표면이 냉기에 노출되는 환경에서는, 자율 신경이 체표의 혈관을 수축시키고, 모공도 닫아서, 가능한 방열을 회피하여 신체의 심부의 체온을 유지하려고 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체내의 심부 온도를 항상 37.2℃로 유지하기 위하여, 인간의 신체는 항상 체온 조절을 행하고 있다. 더운 날에는 땀을 흘려서 기화열을 방출하여, 체온이 필요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추운 날에는 피부나 혈 관이 수축하여, 가능한 한 열이 밖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체온의 조절을 행하고 있는 것이 「자율 신경」이다.
자율 신경은, 무의식 중에 체내의 모든 조정을 행하고 있는 신경으로, 교감 신경과 부교감 신경으로 대별된다.
심장의 움직임이나 호흡이 빨라지거나 혈압을 올려서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활동을 위한 산소를 전신에 공급하는 것이 교감 신경의 역할이다. 부교감 신경은 이와 반대로, 심장을 천천히 움직이게 하고, 신체 전체의 긴장을 푸는 기능을 하고 있다. 낮에는 주로 교감 신경이 작용하며, 밤에 잘 때는 부교감 신경이 주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자율 신경은, 심장의 기능이나 혈관의 확장·이완 등을 조정하여 혈압이나 혈류를 지배하고 있다. 또는, 각각의 세포가 「작용할 것」인지 「작용하지 않을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자율 신경」이다. 자율 신경은 체내의 거의 「모든」 세포를 지배하고 있고, 그 때의 행동에 맞는 세포가 활동하며, 그렇지 않은 세포가 휴식하는 것을 결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흥분했을 때는, 심장이나 혈관의 세포를 움직이게 하여 신체를 활동 상태로 하도록 교감 신경이 명령을 낸다. 예를 들면, 음식을 먹을 때는, 중요한 소화 흡수에 관련되는 세포는 작용하게 하고, 그 외는 쉬도록 부교감 신경이 명령 한다.
체온을 유지하는 에너지는 전신을 순환하고 있는 혈액에 의하여 발생한다. 식사를 하면 내용물이 소화·분해되어 간장으로 운반되어 에너지로 변환된다. 운 동에 의해서도 근육에서 열이 발생한다. 이들 열에너지는 혈액에 의해 전신의 세포로 분배된다. 따라서, 어떤 원인에 의하여 혈류가 감소하면, 혈액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고, 체온이 내려간다.
혈액이 줄어드는 원인 중의 하나가 교감 신경의 긴장이다. 예를 들면, 일이 바쁘고, 수면 부족 상태에서 열심히 일을 하고 있으면, 교감 신경의 긴장 상태가 계속된다. 다만 보통은, 교감 신경의 긴장 상태가 어느 정도 계속되더라도, 그 후에는 부교감 신경이 작용하여, 신체는 균형 상태로 되돌아온다.
그러나, 계속 무리하게 되면, 부교감 신경이 작용할 여유가 없어져서, 신체가 계속 긴장하게 된다. 교감 신경은 혈관이 수축하도록 작용하므로, 이와 같이 계속 무리하는 사람은 혈관이 가늘어진다. 가는 혈관에 흐르는 혈액량은 적으므로, 전신의 혈액 순환량이 줄어들어, 체온도 내려간다.
한편, 항상 부교감 신경이 우위로 작용하는 것이 좋다고는 말할 수 없다. 부교감 신경은 혈관을 확장시키므로, 혈액이 대량으로 혈관으로 유입된다. 그 대량의 혈액을 움직이려면 시간이 걸리므로, 이 경우도 오히려 혈액의 흐름이 악화된다.
자율 신경의 관점에서 보면, 교감 신경과 부교감 신경 중 어느 쪽이 극단적으로 우위가 되어도, 신체의 밸런스가 깨어져서 저체온이 되어, 다양한 병을 초래한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혈액량 등의 체내 조정은, 자율 신경만으로 행해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자율 신경계와 내분비계(호르몬의 분비), 그리고 「면역계」의 3개의 조정 시 스템이 서로 작용하여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체온은, 자율 신경뿐만 아니라 면역계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교감 신경이 우위가 되면, 백혈구 중의 임파구의 비율이 적어진다. 그리고, 교감 신경 우위 상태가 계속되어 더 저체온이 되면, 임파구의 비율은 더 줄어든다. 임파구는 부교감 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백혈구 중의 과립구(granulocytes)는 교감 신경의 지배를 받기 때문이다.
그리고, 저체온으로부터 벗어나 체온이 상승하면, 이번에는 부교감 신경이 우위가 되어, 임파구의 비율이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임파구가 너무 증가해도 반대로 체온은 저하된다. 체온이 낮은 상태는, 효소의 기능이 악화된 상태이므로, 당연히 다양한 병에 걸리기 쉽다.
스트레스는, 교감 신경을 긴장시키므로 저체온의 원인이 된다. 스트레스는, 정신적, 육체적으로 부하가 걸린 상태이며, 전신의 근육에 혈액을 대량으로 공급해야만 될 상태에 직면하여, 교감 신경을 흥분시키는 요인이 된다.
육체적인 것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고민」, 「걱정」, 「놀라움」, 「슬픔」, 「조바심」 등의 동요가 있으면, 교감 신경은 긴장한다. 다만, 통상적으로는 교감 신경이 긴장하는 대신 부교감 신경이 작용하므로, 균형이 깨지지 않는다.
그러나, 약한 스트레스라 하더라도 장기간에 걸쳐서 계속되면, 부교감 신경이 신체를 원래대로 쉽게 되돌릴 수 없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교감 신경이 우위가 되어, 저체온이 된다. 중병을 앓은 사람의 경위를 물어보면, 예외없이 큰 스트레스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교감 신경 우위 상태가 오래 계속되면 위험하다.
면역력을 담당하고 있는 것은, 「과립구」와「임파구」이다. 저체온이 계속되면, 면역력이 저하된다. 면역력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체내에서 만들어진 유해한 물질을 처리하여, 체내를 항상 생존에 적절한 상태로 유지하고자 하는 능력이다. 이러한 능력이 저하되면, 신체의 비정상인 상태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면역 시스템은, 대략 과립구와 임파구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면역 세포가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것은 체온이다.
체온이 통상의 범위 내에 있는 사람(병이 걸리지 않은 사람)을 채혈하여 과립구와 임파구 상태를 조사하면, 체온이 높은 사람일수록 임파구의 개수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파구는 신체에 해를 끼치는 요소를 배제하는 작용을 하므로, 임파구가 많으면, 몸의 방어력이 높아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래, 체내의 심부 온도가 37.2℃일 때 겨드랑이 밑의 체온이 36.2 ∼ 36.3℃ 정도인 보통 체온이, 35℃ 정도 또는 그 이하인 「저체온」인 사람은, 체내의 심부 온도가 37.2℃에 달하지 않고 좀 더 낮은 것은 명백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저체온」인 사람의 경우, 체온의 컨트롤을 행하고 있는 「자율 신경」의 기능이 정상적이지 않고, 전신의 혈류가 정체되기 쉬우므로, 「면역력」도 저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만성적으로 저체온인 사람은, 보통체온이 정상치인 건강한 사람에 비해, 면역력이 낮고, 병에 걸리기 쉽다고 할 수 있다.
종래, 자율 신경의 교감 신경 또는 부교감 신경의 흥분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는, 자율 신경에 가장 효과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부위에 「적외선」이나 「전기 펄스」, 「침뜸」 등의 물리적인 자극을 가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또한, 시각으로부터의 「광 펄스」의 조사에 의해 「자율 신경」의 흥분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도카이대학 공학부: 「주기적 점멸 광 자극에 대한 뇌파와 말초 혈류의 응답」에 의함).
광에 의한 시각 자극이 「자율 신경」에 자극을 주고, 「체온」조절에 효과적인지의 이유에 관하여, 도카이대학 공학부의 연구자의 연구는, 뇌 내에는 각종 주파수의 자발성 리듬을 생성하는 진동자(리듬 발생원)가 다수 존재하고, 이들이 상호 작용함으로써 뇌파를 발생시킨다는 미국의 연구 논문에 기초하고 있다(P. Andersen and S.A.A. Andersson: Physiological Basis of the Alpha Rhythm, Appleton-Century Crofts, N; Y., 1968에 의함).
또한, 이들 진동자는, 통상적으로는 불규칙적으로 활동하고 있지만, 중추 신경계에 기원하는 내부적인 자극이나 외부로부터의 감각 자극이 가해지면, 서로 결합하여 동기화하는 활동을 나타내고, 뇌파에 명확한 유발 리듬을 발생시킨다(Erol Basar: Brain Function and Oscillation, Springer, 1998, 1999)의 연구에 의함).
이상의 연구를 기초로 하여 도카이대학에서는, 주기적으로 점멸하는 광에 의한 시각 자극에 대한 뇌내 진동자의 응답과 광 자극이, 심박 주기나 말초 혈류 등의 심혈관계 파라미터의 동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연구를 행하였다.
이것은, 그들이 광 자극에 대한 뇌내 진동자의 인입 현상 중, 특히 자극 광의 점멸 주파수에 의한 알파파의 인입 현상에 주목하여, 자극 광의 점멸 주파수와 심박 주기의 변동 및 말초 혈류 동요에 내재하는 체온 조절 리듬의 변화와의 관계를 고찰하고, 광 자극이 자율 신경계의 활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검토한 것이다.
먼저 체온의 상승은, 말초 혈관에 있어서의 혈류량의 상승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체온 상승 시에는, 심박수가 충분한 혈액량을 유지시키기만 하는 리듬으로 박동할 필요가 있다. 체온 상승의 과정에는, 심박수를 상승시키는 단계가 포함된다.
심폐계의 역할은, 신체의 각 조직 및 기관에 적합하도록 산소화된 혈액의 관류(perfusion)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 동작은 자율 신경계에 의해 조심스럽게 조절되고, 자율 신경계는 동맥 혈압이나 산소 함유량 등을 연속적으로 감지하여, 이들을 좁은 범위 내로 유지하도록 호흡, 심 출력, 및 혈관 저항의 변화를 행한다. 자율 신경계는, 그것이 조절하는 효과 기관과 공동으로 피드백 및 제어계로서 작용한다(일본 특공평 2-57933에 의함).
본 발명자들은 이상의 연구 성과로부터, 「펄스 광에 의한 시각 신경에 대한 자극」이 「뇌파의 인입 현상」을 유발하고, 결과적으로 말초 혈관 운동에 변화를 주며, 그것이 혈압에 변동을 부여하고, 자율 신경계의 조절을 발생시켜서, 심박수의 동요(증감)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기대하였다.
1975년 Kitney의 연구에 「An Analysis of the Nonlinear Behaviour of the Human Thermal Vasomotor control System」이 있다. 그 중, 사람의 체온 조절계가 혈관 운동의 변화를 통하여 지첨(指尖) 혈류에 약 20초(∼ 0.05Hz)의 주기를 가지 는 리듬을 일으키는 현상을, 말초 혈류 동요의 파워 스펙트럼 밀도의 해석에 의해 밝히고 있다.
또한, Akselrod는 1981년의 논문 「Power Spectrum Analysis of Heart Rate Fluctuations; A Quantitative Probe of Beat-To-Beat Cardiovascular Control」 중의, 심박 주기 동요의 파워 스펙트럼 밀도에 보이는 0.05Hz 근방의 피크는 약 20초의 주기를 가지는 체온 조절 리듬에 대응하는 피크이며, 말초 혈관 운동의 동요에 기인하여, 그것이 혈압의 변동을 일으키고, 자율 신경계의 조절을 통하여 심박 동요에 반영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도카이대학의 실험에서는, 3Hz의 광 자극이 다른 주파수에서의 자극보다 큰 말초 혈류 동요를 일으키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심박 주기에 관해서는, 3Hz의 광 자극에 의해 「증대」하고, 자극 후에도 그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연구의 결론은, 체온 조절 중추는 시상하부(hypothalamus)에 있으며, 광에 의한 감각 자극에 의해 체온 조절 중추가 자극을 받고, 결과적으로 혈관 교감 신경의 흥분이 일어나서 교감 신경계와 레닌·안지오텐신계(Renin Angiotensin System)를 포함하는 시간 지연을 수반한 압반사(baroreflex) 피드백 기구가, 말초 혈류 동요의 저주파 성분의 강도 변화에 진동 현상을 일으킨 것으로 결론짓고 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체온 조절 중추」, 즉, 「자율 신경」의 중추인 「시상하부」이다. 시상하부는 심장의 기능을 항진시키는 「교감 신경」과 심장의 기능을 억제하는 「부교감 신경」의 중추이며, 동시에 「체온」이나 식욕, 수면, 대사(代謝), 혈압의 제어를 행하고 있다.
이 부위가 「광에 의한 감각 자극」에 의해 자극을 받는다는 사실은, 광에 의한 자율 신경 중추에 대한 자극으로 볼 수 있으며, 즉 체온이나 혈압 조정에의 스위치가 될 수도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부터, 「자율 신경」을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동양 의학에서는 「침뜸」이 알려져 있다. 침구사가, 환자의 증상을 듣고 적절한 혈에 침뜸을 시술함으로써, 자율 신경에 효과적인 「자극」을 가하여,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며, 이로써, 몸의 상태가 회복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 3-244464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인체의 혈 치료법에 사용하는 치료기의 존재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자와 같은 침뜸의 경우, 일반 사람(비전문가)이 스스로 자신에게 침구를 시술하는 것은 곤란하며, 특히, 안전하고 효과적인 「자극」을 가하는 것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후자와 같은 혈 요법용 치료기의 경우, 혈의 위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범위에 표시선을 넣은 시료의를 착용하므로, 취급이 귀찮고 불편한데다 착용 방법이나 표시선의 크기에 의해, 혈에 효과적인 「자극」을 가해지는지의 여부가 불명료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누구나 간단하게 취급이 가능하며, 손가락끝을 확실하게 자극할 수 있고, 이 손가락끝 자극에 의해, 자율 신경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자극을 가하여, 체온의 컨트롤을 도모할 수 있는 손가락끝 자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손가락끝 자극에 더하여 시각 자극을 효과적으로 가함으로써, 체온 조절을 행하여 말초 혈류의 증가를 촉진할 수 있는 손가락끝 자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관계되는 손가락끝 자극 장치는, 손가락끝이 배치되는 손가락끝 배치부와, 상기 손가락끝 배치부에 배치된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근방 부 위에 근적외선(near infrared ray)을 조사하는 근적외선 발생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관계되는 손가락끝 자극 장치는, 손가락끝이 배치되는 손가락끝 배치부와, 상기 손가락끝 배치부에 배치된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근방 부 위에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근적외선 발생 부재와,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게 배치된 청자색 광을 발하는 청자색 광 발생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관계되는 손가락끝 자극 장치는, 손가락끝이 배치되는 손가락끝 배치부와, 상기 손가락끝 배치부에 배치된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근적외선 발생 부재와,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게 배치된 광 펄스를 발하는 광 펄스 발생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관계되는 손가락끝 자극 장치는, 손가락끝이 배치되는 손가락끝 배치부와, 상기 손가락끝 배치부에 배치된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근적외선 발생 부재와, 상기 손가락끝 배치부에 배치된 손가락끝의 복면(腹面) 측 부위에 청자색 광을 조사하는 청자색 광 발생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손가락끝을 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II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화살표 III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손가락끝 배치부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전개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IIX-IIX선을 따라서 나타낸 횡단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IX-IX선을 따라서 나타낸 종단 측면도이다.
도 10은 전자 회로의 일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1은 근적외선 LED의 발광(조사) 각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2는 근적외선 LED를 3개 사용한 경우의 배치 각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배치에 의한 근적외선 LED의 조사 범위를 나타낸 설명도이 다.
도 14는 크래들(cradle)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크래들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크래들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손가락끝 자극 장치를 크래들에 세트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8은 손가락끝 자극 장치를 크래들에 세트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20은 제3 실시예의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22는 제4 실시예의 주요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23은 제2 실시예의 손가락끝 자극 장치를 사용하여 근적외선의 조사를 행하여 얻어진 피험자의 체온 추이의 실험예 1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4는 실험예 1의 체온 추이 기록이다.
도 25는 제2 실시예의 손가락끝 자극 장치를 사용하여 근적외선의 조사를 행하여 얻어진 피험자의 체온 추이의 실험예 2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6은 실험예 2의 체온 추이 기록이다.
도 27은 제2 실시예의 손가락끝 자극 장치를 사용하여 근적외선의 조사를 행하여 얻어진 피험자의 체온 추이의 실험예 3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8은 실험예 3의 체온 추이 기록이다.
도 29는 제2 실시예의 손가락끝 자극 장치를 사용하여 근적외선의 조사를 행하여 얻어진 피험자의 체온 추이의 실험예 4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0은 실험예 4의 체온 추이 기록이다.
도 31은 400nm 대역 형광 램프의 발광 스펙트럼의 강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2는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3은 제5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4는 손가락끝 삽입부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XXXV-XXXV선을 따라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6은 도 34의 XXXVI-XXXVI선을 따라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7은 지지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8에서 (a)는 하측 서포트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b)는 하측 서포트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9는 상측 서포트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0은 쿠션 부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1에서 (a)는 LED 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b)는 LED 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2에서 (a)는 도 35의 손가락끝 삽입부에 핀을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종 단면도이며, (b)는 도 35의 손가락끝 삽입부에 LED 유닛을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3은 도 36의 손가락끝 삽입부에 LED 유닛을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44는 각각의 손가락끝 삽입부에 LED 유닛을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5는 각각의 손가락끝 삽입부에 LED 유닛을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6은 쿠션 부재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7은 제5 실시예의 전개 정면도이다.
도 48은 제5 실시예의 내부를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49는 제5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50은 제5 실시예의 손가락끝 자극 장치를 사용하여 얻어진 피험자의 기초 대사 추이의 실험예 1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1은 제5 실시예의 손가락끝 자극 장치를 사용하여 얻어진 피험자의 기초 대사 추이의 실험예 2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2는 제5 실시예의 손가락끝 자극 장치를 사용하여 얻어진 피험자의 기초 대사 추이의 실험예 3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3은, 제5 실시예의 손가락끝 자극 장치를 사용하여 얻어진 피험자의 기초 대사 추이의 실험예 4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4는 제5 실시예의 손가락끝 자극 장치를 사용하여 얻어진 피험자의 기초 대사 추이의 실험예 5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5는 제5 실시예의 손가락끝 자극 장치를 사용하여 얻어진 피험자의 기초 대사 추이의 실험예 6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6은 제5 실시예의 손가락끝 자극 장치를 사용하여 얻어진 피험자의 기초 대사 추이의 실험예 7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7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8은 제6 실시예를 나타낸 주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59는 도 57의 LIX-LIX선을 따라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0은 도 57의 LX-LX선을 따라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61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의 제7 실시예를 전개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62는 제7 실시예에 사용하는 크래들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 63은 제7 실시예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64는 메인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65는 손가락끝 삽입부의 일부 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66은 손가락끝 삽입부의 단면도이다.
도 67은 고무색(rubber sack)을 손가락끝 삽입부에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8에서, (a)는 메인 하우징에 LED 유닛을 장착한 상태를 한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b)는 메인 하우징에 LED 유닛을 장착한 상태를 다른 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며, (c)는 메인 하우징에 LED 유닛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9는 제7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70에서, (a)는 개폐 기구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b)는 A부의 확대도이다.
도 71에서, (a)는 회전 이동 플레이트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b)는 회전 이동 플레이트를 나타낸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72는 개폐 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73에서, (a)는 개폐 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b)는 B부의 확대도이다.
도 74에서, (a)는 록용 링과 록핀의 관계를 나타낸 주요부의 사시도이며, (b)는 록용 링과 록핀의 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5에서, (a)는 록 위치에 있을 때의 사시도이며, (b)는 록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76에서, (a)는 해제 위치에 있을 때의 사시도이며, (b)는 해제 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77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의 제8 실시예의 원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8에서, (a)는 제8 실시예를 나타낸 원리 사시도이며, (b)는 제8 실시예를 나타낸 적용 사시도이다.
도 79는 제8 실시예를 5개의 손가락에 적용할 때의 원리적 평면도이다.
도 80에서, (a) 근적외선 LED의 직사 방식, (b) 근적외선 LED의 반사 방식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1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의 제9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1은 손가락끝을 측면으로부터 본 도면, 도 2는 도 1의 화살표 Ⅱ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3은 도 1의 화살표 Ⅲ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손가락끝 배치부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상기 손가락끝 자극 장치(1)는, 적어도 1개(바람직하게는 한쪽 손의 5개 전부)의 손가락끝이 배치되는 손가락끝 배치부(3)를 구비하고, 상기 손가락끝 배치부(3)에 배치된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근적외선 발생 부재(4)를 구비한 것이다.
근적외선 발생 부재(4)가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조사하는 근적외선의 파장은, 바람직하게는 820 ∼ 920nm의 범위 내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870nm부근이다. 이와 같은 근적외선 발생 부재(4)는, 적어도 1개(도면에서는 2개)의 근적 외선 LED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적외선 발생 부재(4)는,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접촉한 상태에서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근적외선 발생 부재(4)는, 근적외선을 간헐적으로 ON/OFF 하면서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가락끝 자극 장치(1)는, 손가락끝 배치부(3)에 배치된 손가락끝의 복면측 부위에 청자색 광을 조사하는 청자색 광 발생 부재(7)를 구비한 것이다.
청자색 광 발생 부재(7)가 손가락끝의 복면측 부위에 조사하는 청자색 광의 파장은, 바람직하게는 390 ∼ 420nm의 범위 내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405nm부근이다. 이와 같은 청자색 광 발생 부재(7)는, 청자색 LED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손가락끝 자극 장치는, 구체적 설계를 다양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 몇 개의 설계예를 들고, 이들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4는 개략적인 전개도, 도 5는 평면도, 도 6은 정면도, 도 7은 저면도, 도 8은 도 6의 IIX-IIX선을 따라서 나타낸 횡단 평면도, 도 9는 도 5의 IX-IX선을 따라서 나타낸 종단 측면도이다.
상기 손가락끝 자극 장치(10)는, 손가락끝이 들어가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원반형의 장치 본체(20)에, 6개의 손가락끝 삽입부(31, 32, 33, 34, 35, 36)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 중, 손가락끝 삽입부(31, 32, 33, 34, 35)는, 왼손의 제1 손가락(엄지) Ll, 제2 손가락(검지) L2, 제3 손가락(장지) L3, 제4 손가락(약지) L4, 제5 손가락(소지) L5를 각각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손가락끝 삽입부(36, 35, 34, 33, 32)는, 오른손의 제1 손가락(엄지) R1, 제2 손가락(검지) R2, 제3 손가락(장지) R3, 제4 손가락(약지) R4, 제5 손가락(소지) R5를 각각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손가락끝 삽입부(31)는, 왼손의 제1 손가락(엄지) L1용으로 독립되어 있으며, 또한, 손가락끝 삽입부(36)는, 오른손의 제1 손가락(엄지) R1용으로 독립되어 있다.
이에 비해, 손가락끝 삽입부(32)는, 왼손의 제2 손가락(검지) L2와 오른손의 제5 손가락(소지) R5에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손가락끝 삽입부(33)는, 왼손의 제3 손가락(장지) L3와 오른손의 제4 손가락(약지) R4에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손가락끝 삽입부(34)는, 왼손의 제4 손가락(약지) L4와 오른손의 제3 손가락(장지) R3에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손가락끝 삽입부(35)는, 왼손의 제5 손가락(소지) L5와 오른손의 제2 손가락(검지) R2에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장치 본체(20)는 저면을 가지는 하측 케이스(21)와, 하측 케이스(21)에 끼워맞추어지는 상측 케이스(22)와 상측 케이스(22)의 상면에 장착되는 쿠션 부재(23)로 구성된다.
상측 케이스(22)는 상면에 손가락끝 삽입부용의 6개의 구멍이 형성된 주요 공간부(24)가 형성되어 있다(도 8 참조).
상기 주요 공간부(24) 내에는, 손가락끝이 접촉될 때의 감촉이 우수한, 예를 들면 젤형 물질 등이 충전됨으로써, 6개의 손가락끝 삽입부(31, 32, 33, 34, 35, 36) 중 적어도 손가락끝 복면 측의 윤곽을 형성하는 적절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손가락 접촉 부재(25)가 배치되어 있다(도 8, 도 9 참조).
그리고, 상기 주요 공간부(24)의 깊이는, 왼손의 다섯 손가락의 손가락끝을 손가락끝 삽입부(31 ∼ 35)에 각각 삽입하고, 또는, 오른손의 다섯 손가락의 손가락끝을 손가락끝 삽입부(36 ∼ 32)에 각각 삽입하여, 그 선단이 손가락 접촉 부재(25)에 의하여 저면에 접촉했을 때, 각 손가락 중 적어도 손톱 전체를 포함하는 제1 관절(가장 앞측의 관절) 부근까지는 주요 공간부(24)에 다 들어가도록 설계되어 있다(도 9 참조).
또한, 장치 본체(20)의 주요 공간부(24)에는, 6개의 손가락끝 삽입부(31, 32, 33, 34, 35, 36)의 손가락끝 배면측(손톱 측)에 있어서의 소정 높이에,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근적외선 LED(41, 42, 43, 44, 45, 46)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들 근적외선 LED는, 모두 3개씩의 근적외선 LED로 구성된다. 즉, 근적외선 LED(41)는 3개의 근적외선 LED(41a, 41b, 41c)로, 근적외선 LED(42)는 3개의 근적외선 LED(42a, 42b, 42c)로, 근적외선 LED(43)는 3개의 근적외선 LED(43a, 43b, 43c)로, 근적외선 LED(44)는 3개의 근적외선 LED(44a, 44b, 44c)로, 근적외선 LED(45)는 3개의 근적외선 LED(45a, 45b, 45c)로, 근적외선 LED(46)는 3개의 근적 외선 LED(46a, 46b, 46c)로, 각각 구성된다.
이 중, 손가락끝 삽입부(31)의 근적외선 LED(41a, 41b, 41c)와, 손가락끝 삽입부(36)의 근적외선 LED(46a, 46b, 46c)는 1개의 유연성 밴드에 장착되어, 제1 LED 밴드(51)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제1 LED 밴드(51)는, 양단이 고정핀(52, 52)에 의해 상측 케이스(22)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일단이 축지지핀(54)에 의해 상측 케이스(22)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밴드 가압 캠(53)의 타단(55)에 의해, 제1 LED 밴드(51)는, 중앙 부분이 내측을 향해 가압된다.
제1 LED 밴드(51)의 중앙 부분의 가압은, 하측 케이스(21)에 고정시킨 캠 구동봉(56)이, 하측 케이스(21)와 상측 케이스(22)의 상대 회전 이동에 의해 밴드 가압 캠(53)을 내측으로 구동함으로써, 내측을 향해 가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외의 손가락끝 삽입부(32 ∼ 35)의 근적외선 LED가, 다른 1개의 유연성 밴드에 장착되어, 제2 LED 밴드(61)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제2 LED 밴드(61)는, 양단과 중앙이 고정핀(62)에 의해 상측 케이스(22)에 고정됨으로써, 손가락끝 삽입부(32)의 근적외선 LED(42a, 42b, 42c)와 손가락끝 삽입부(33)의 근적외선 LED(43a, 43b, 43c)를 장착한 밴드 가동부(61a)와, 손가락끝 삽입부(34)의 근적외선 LED(44a, 44b, 44c)와 손가락끝 삽입부(35)의 근적외선 LED(45a, 45b, 45c)를 장착한 밴드 가동부(61b)로 2 분할되어 있다.
제2 LED 밴드(61)의 밴드 가동부(61a)는, 일단이 축지지핀(64a)에 의해 상측 케이스(22)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밴드 가압 캠(63a)의 타단(65a)에 의해, 중앙 부분이 내측을 향해 가압된다.
상기 밴드 가동부(61a)의 중앙 부분의 가압은, 하측 케이스(21)에 고정시킨 캠 구동봉(66a)이, 하측 케이스(21)와 상측 케이스(22)의 상대 회전 이동에 의해 밴드 가압 캠(63a)을 내측으로 구동함으로써, 내측을 향해 가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LED 밴드(61)의 밴드 가동부(61b)는, 일단이 축지지핀(64b)에 의해 상측 케이스(22)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밴드 가압 캠(63b)의 타단(65b)에 의해, 중앙 부분이 내측을 향해 가압된다.
상기 밴드 가동부(61b)의 중앙 부분의 가압은, 하측 케이스(21)에 고정시킨 캠 구동봉(66b)이, 하측 케이스(21)와 상측 케이스(22)의 상대 회전 이동에 의해 밴드 가압 캠(63b)을 내측으로 구동함으로써, 내측을 향해 가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장치 본체(20)의 주요 공간부(24)에는, 6개의 손가락끝 삽입부(31, 32, 33, 34, 35, 36)의 손가락끝 복면측(손톱과 반대측)에 있어서의 소정 높이에, 손가락끝의 복면측 부위에 청자색 광을 조사하는 청자색 LED(71, 72, 73, 74, 75, 76)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장치 본체(20)에는, 예를 들면, 손가락끝 삽입부(31)에 삽입된 왼손의 제1 손가락(엄지) L1, 또는, 손가락끝 삽입부(36)에 삽입된 오른손의 제1 손가락(엄지) R1의 복면 측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온도 센서(26)가 검출한 손가락끝 온도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케이스(21)의 저면에 배치한 온도 표시기(27)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측 케이스(21)의 저면에는, 상기 손가락끝 자극 장치(10)(장치 본체(20))의 조작 패널(2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장치 본체(20)의 측면에는, AC 어댑터잭(2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장치 본체(20)에는, 주요 공간부(24)로부터 외측의 적절한 위치에, 전자 회로(80)가 배치되고, 주요 공간부(24)로부터 내측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 배터리(8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전자 회로(80)의 일례를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회로(80)는, 전원 스위치(82)가 접속된 시퀀스/타이머 회로(83)을 구비하고, 상기 시퀀스/타이머 회로(83)에 설정된 조건에 따라, 근적외선 LED(41 ∼ 46) 및 청자색 LED(71 ∼ 76)에 전기를 흐르게 하여 이들을 발광·조사시킨다.
이 중, 근적외선 LED(41 ∼ 46)의 전원 회로에는, 펄스 발생 회로(84) 및 스위칭 회로(8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근적외선 LED(41 ∼ 46)는 소정의 주기로 ON/OFF를 반복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시퀀스/타이머 회로(83)의 설정 조건으로부터 벗어나는 비정상이 발생할 때는, 사전에 어느 한쪽으로 선택·설정되어 있는 멜로디 또는 바이브레이터에 의한 알람 회로(86)가 동작하여, 사용자에게 알람을 통하여 알리도록 되어 있다.
도 11은 각각 1개의 근적외선 LED[41(a, b, c) ∼ 46(a, b, c)]의 발광(조 사) 각도를 나타낸 설명도, 도 12는 각각의 근적외선 LED(예를 들면(41))를 구성하는 3개의 근적외선 LED(41a, 41b, 41c)의 배치 각도를 나타낸 설명도, 도 13은 근적외선 LED(41a, 41b, 41c)의 배치에 의한 조사 범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1개의 근적외선 LED(예를 들면, 41a)의 발광(조사) 각도는, 광축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 30˚이다. 이와 같은 근적외선 LED를 3개(예를 들면, 41a, 41b, 41c) 배열하여,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0˚의 각도로 배치하면, 전체적인 조사 범위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20˚에 이른다.
전술한 바와 같은 손가락끝 자극 장치(10)를 사용할 때는, 손가락끝 삽입부(31, 32, 33, 34, 35)에, 왼손의 제1 손가락(엄지) L1, 제2 손가락(검지) L2, 제3 손가락(장지) L3, 제4 손가락(약지) L4, 제5 손가락(소지) L5를 각각 삽입하거나, 또는, 손가락끝 삽입부(36, 35, 34, 33, 32)에, 오른손의 제1 손가락(엄지) R1, 제2 손가락(검지) R2, 제3 손가락(장지) R3, 제4 손가락(약지) R4, 제5 손가락(소지) R5를 각각 삽입한다.
그리고, 손가락을 삽입하고 있지 않은 측의 손으로 하측 케이스(21)의 측면을 잡고, 손가락을 삽입하고 있는 상측 케이스(22)에 대해서 약간 회전 이동시키면, 캠 구동봉(56)이 밴드 가압 캠(53)을 내측으로 구동함으로써, 제1 LED 밴드(51)의 중앙 부분이 내측을 향해 가압되는 동시에, 캠 구동봉(66a, 66b)이 밴드 가압 캠(63a, 63b)을 내측으로 구동함으로써, 제2 LED 밴드(61)의 밴드 가동부(61a, 61b)의 중앙 부분이 내측을 향해 가압된다.
제1 LED 밴드(51)의 중앙 부분이 내측을 향해 가압됨으로써, 상기 제1 LED 밴드(51)에 장착된 근적외선 LED(41a, 41b, 41c)가 왼손의 제1 손가락(엄지) L1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접촉하여 가볍게 가압하거나, 또는, 제1 LED 밴드(51)에 장착된 근적외선 LED(46a, 46b, 46c)가 오른손의 제1 손가락(엄지) R1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접촉하여 가볍게 가압한다.
또한, 제2 LED 밴드(61)의 밴드 가동부(61a)의 중앙 부분이 내측을 향해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2 밴드 가동부(61a)에 장착된 근적외선 LED(42a, (42b, 42c, 43a, 43b, 43c)가, 왼손의 제2 손가락(검지) L2와 제3 손가락(장지) L3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접촉하여 가볍게 가압하거나, 또는, 오른손의 제4 손가락(약지) R4와 제5 손가락(소지) R5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접촉하여 가볍게 가압한다.
마찬가지로, 제2 LED 밴드(61)의 밴드 가동부(61b)의 중앙 부분이 내측을 향해 가압함으로써, 상기 밴드 가동부(61b)에 장착된 근적외선 LED(44a, 44b, 44c, 45a, 45b, 45c)가, 왼손의 제4 손가락(약지) L4와 제5 손가락(소지) L5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접촉하여 가볍게 가압하거나, 또는, 오른손의 제2 손가락(검지) R2와 제3 손가락(장지) R3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접촉하여 가볍게 가압한다.
이 상태에서, 조작 패널(28)의 전원 스위치(82)를 넣으면, 시퀀스/타이머 회로(83)가 기동하여, 설정된 조건에 따라 근적외선 LED(41 ∼ 46) 및 청자색 LED(71∼76)에 전기가 흐르게 된다.
이 중, 근적외선 LED(41 ∼ 46)는, 펄스 발생 회로(84) 및 스위칭 회로(85)의 기능에 의해, 타이머 설정 시간 내에, 소정의 주기로 ON/OFF를 반복한다. 이에 따라, 손가락끝 삽입부(31 ∼ 35)에 삽입된 왼손의 다섯 손가락 L1 ∼ L5, 또는, 손가락끝 삽입부(36 ∼ 32)에 삽입된 오른손의 다섯 손가락 R1 ∼ R5의 모든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근적외선이 간헐적으로 조사된다.
한편, 청자색 LED(71 ∼ 76)는, 타이머 설정 시간 동안, ON 상태를 지속한다. 이로써, 손가락끝 삽입부(31 ∼ 35)에 삽입된 왼손의 다섯 손가락 L1 ∼ L5, 또는, 손가락끝 삽입부(36 ∼ 32)에 삽입된 오른손의 다섯 손가락 R1 ∼ R5의 모든 손가락끝 복면측 부위에, 청자색 광이 연속적으로 조사된다.
도 14는 손가락끝 자극 장치(10)를 사용하지 않을 때, 장치 본체(20)를 세트해 두는 크래들의 평면도, 도 15는 정면도, 도 16은 측면도이며, 상기 크래들(90)은, 도시하지 않은 전원 코드를 사용하여 콘센트 등의 AC 전력 공급원에 접속 가능하며, 또한, 본체 접속용 AC 잭(91)을 구비하고 있다.
손가락끝 자극 장치(10)의 장치 본체(20)를 크래들(90)에 세트할 때는, 장치 본체(20)의 측면에 설치한 AC 어댑터 잭(29)을, 크래들(90)의 본체 접속용 AC 잭(91)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위치를 맞추어서 세트한다. 세트한 상태를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19는 주요부(도 8에 해당한다)의 횡단 평면도, 도 20은 주요부(도 9에 해당한다)의 종단 측면도이다.
손가락끝 자극 장치(110)는, 도 4 ∼ 도 9(및 도 10 ∼ 도 18)에 나타낸 손가락끝 자극 장치(10)와 대체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손가락끝 자 극 장치(10)에서 사용한 부호에 100을 더한 부호를 붙여서 나타내고, 그에 대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손가락끝 자극 장치(110)는, 제1 LED 밴드(151)의 중앙 부분을 내측을 향해 가압하는 구조, 및, 제2 LED 밴드(161)의 밴드 가동부(161a, 161b)의 중앙 부분을 내측을 향해 가압하는 구조가, 손가락끝 자극 장치(10)와 상이하다.
즉, 상기 손가락끝 자극 장치(110)에서는, 상측 케이스(122)에, 제1 LED 밴드(151)의 중앙 부분에 대응한 밴드 삽입 부재(157)와, 제2 LED 밴드(161)의 밴드 가동부(161a)의 중앙 부분에 대응한 밴드 삽입 부재(167a)와, 제2 LED 밴드(161)의 밴드 가동부(161b)의 중앙 부분에 대응한 밴드 삽입 부재(167b)가 설치되어 있다.
밴드 삽입 부재(157)는, 압축 스프링(158)을 구비하고, 상기 압축 스프링(158)에 의해 장치 본체(120)의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가압하고 있다. 그러므로, 밴드 삽입 부재(157)는, 그 가압력에 의해, 제1 LED 밴드(151)의 중앙 부분을 내측을 향해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밴드 삽입 부재(167a)는, 압축 스프링(168a)을 구비하고, 상기 압축 스프링(168a)에 의해 장치 본체(120)의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가압하고 있다. 그러므로, 밴드 삽입 부재(167a)는, 그 가압력에 의해, 제2 LED 밴드(161)의 밴드 가동부(161a)의 중앙 부분을 내측을 향해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밴드 삽입 부재(167b)는, 압축 스프링(168b)을 구비하고, 상기 압축 스프링(168b)에 의해 장치 본체(120)의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가압하고 있다. 그러므로, 밴드 삽입 부재(167b)는, 그 가압력에 의해, 제2 LED 밴드(161)의 밴드 가동부(161b)의 중앙 부분을 내측을 향해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손가락끝 자극 장치(110)를 사용할 때는, 손가락끝 삽입부(131, 132, 133, 134, 135)에 왼손의 제1 손가락(엄지) L1, 제2 손가락(검지) L2, 제3 손가락(장지) L3, 제4 손가락(약지) L4, 제5 손가락(소지) L5를 각각 삽입하거나, 또는, 손가락끝 삽입부(136, 135, 134, 133, 132)에 오른손의 제1 손가락(엄지) R1, 제2 손가락(검지) R2, 제3 손가락(장지) R3, 제4 손가락(약지) R4, 제5 손가락(소지) R5를 각각 삽입한다.
제1 LED 밴드(151)의 중앙 부분이, 밴드 삽입 부재(157)에 의해 내측을 향해 가압하고 있으므로, 손가락끝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1 LED 밴드(151)에 장착된 근적외선 LED(141a, 141b, 141c)가 왼손의 제1 손가락(엄지) L1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접촉하여 가볍게 가압하거나, 또는, LED 밴드(151)에 장착된 근적외선 LED(146a, 146b, 146c)가 오른손의 제1 손가락(엄지) R1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접촉하여 가볍게 가압한다.
또한, 제2 LED 밴드(161)의 밴드 가동부(161a)의 중앙 부분이, 밴드 삽입 부재(167a)에 의해 내측을 향해 가압하고 있으므로, 손가락끝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밴드 가동부(161a)에 장착된 근적외선 LED(142a, 142b, 142c, 143a, 143b, 143c)가, 왼손의 제2 손가락(검지) L2와 제3 손가락(장지) L3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접촉하여 가볍게 가압하거나, 또는, 오른손의 제4 손가락(약지) R4와 제5 손가락(소지) R5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접촉하여 가볍게 가압한다.
마찬가지로, 제2 LED 밴드(161)의 밴드 가동부(161b)의 중앙 부분이, 밴드 삽입 부재(167b)에 의해 내측을 향해 가압하고 있으므로, 손가락끝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밴드 가동부(161b)에 장착된 근적외선 LED(144a, 144b, 144c, 145a, 145b, 145c)가, 왼손의 제4 손가락(약지) L4와 제5 손가락(소지) L5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접촉하여 가볍게 가압하거나, 또는, 오른손의 제2 손가락(검지) R2와 제3 손가락(장지) R3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접촉하여 가볍게 가압한다.
이 상태에서, 조작 패널(128)(도시 생략)의 전원 스위치(182)(도시 생략)를 넣으면, 시퀀스/타이머 회로(183)(도시 생략)가 기동하여, 설정된 조건에 따라 근적외선 LED(141 ∼ 146) 및 청자색 LED(171 ∼ 176)에 전기가 흐르게 된다.
이 중, 근적외선 LED(141 ∼ 146)는, 펄스 발생 회로(184)(도시 생략) 및 스위칭 회로(185)(도시 생략)의 기능에 의해, 타이머 설정 시간 내에, 소정의 주기로 ON/OFF를 반복한다. 이로써, 손가락끝 삽입부(131 ∼ 135)에 삽입된 왼손의 다섯 손가락 L1∼L5, 또는, 손가락끝 삽입부(136 ∼ 132)에 삽입된 오른손의 다섯 손가락 R1∼R5의 모든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근적외선이 간헐적으로 조사된다.
한편, 청자색 LED(171 ∼ 176)는, 타이머 설정 시간 동안, ON 상태가 지속된다. 이로써, 손가락끝 삽입부(131 ∼ 135)에 삽인된 왼손의 다섯 손가락 L1 ∼ L5, 또는, 손가락끝 삽입부(136 ∼ 132)에 삽입된 오른손의 다섯 손가락 R1 ∼ R5의 모든 손가락끝 복면 측 부위에, 청자색 광이 연속적으로 조사된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21은 주요부(도 8에 해당한다)의 횡단 평면도, 도 22는 주요부(도 9에 해당한다)의 종단 측면도이다.
손가락끝 자극 장치(210)는, 도 4 ∼ 도 9(및 도 10 ∼ 도 18)에 나타낸 손가락끝 자극 장치(10)와 대체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손가락끝 자극 장치(10)에서 사용한 부호에 200을 더한 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그에 대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손가락끝 자극 장치(210)는, 손가락끝 삽입부(231)의 근적외선 LED(241a, 241b, 241c)가, 유연성 밴드에 장착되며, 1개의 링에 고정되어, LED 밴드 부착 링(241G)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LED 밴드 부착 링(241G)은, 손가락끝을 삽입할 때, 약간 움직여서 손가락끝 삽입부(231) 내에서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손가락끝 삽입부(232)의 근적외선 LED(242a, 242b, 242c)가, 유연성 밴드에 장착되며, 1개의 링에 고정되어, LED 밴드 부착 링(242G)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LED 밴드 부착 링(242G)은, 손가락끝을 삽입할 때, 약간 움직여서 손가락끝 삽입부(232) 내에서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손가락끝 삽입부(233)의 근적외선 LED(243a, 243b, 243c)가, 유연성 밴드에 장착되며, 1개의 링에 고정되어, LED 밴드 부착 링(243G))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LED 밴드 부착 링(243G))은, 손가락끝을 삽입할 때, 약간 움직여서 손가락끝 삽입부(233) 내에서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손가락끝 삽입부(234)의 근적외선 LED(244a, 244b, 244c)가, 유연성 밴드에 장착되며, 1개의 링에 고정되어, LED 밴드 부착 링(244G)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LED 밴드 부착 링(244G)은, 손가락끝을 삽입할 때, 약간 움직여서 손가락끝 삽입부(234) 내에서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손가락끝 삽입부(235)의 근적외선 LED(245a, 245b, 245c)가, 유연성 밴드에 장착되며, 1개의 링에 고정되어, LED 밴드 부착 링(245G)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LED 밴드 부착 링(245G)은, 손가락끝을 삽입할 때, 약간 움직여서 손가락끝 삽입부(235) 내에서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손가락끝 삽입부(236)의 근적외선 LED(246a, 246b, 246c)가, 유연성 밴드에 장착되며, 1개의 링에 고정되어, LED 밴드 부착 링(246G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LED 밴드 부착 링(246G)은, 손가락끝을 삽입할 때, 약간 움직여서 손가락끝 삽입부(236) 내에서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LED 밴드 부착 링(241G, 242G, 243G, 244G, 245G, 246G)으로부터, 삽입한 손가락끝을 인출할 때, LED 밴드 부착 링(241G ∼ 246G)이 상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빠짐 방지용 누름판(259)이, LED 밴드 부착 링(241G ∼ 246G)의 상면을 누르고 있다.
상기와 같은 손가락끝 자극 장치(210)를 사용할 때는, 손가락끝 삽입부(231, 232, 233, 234, 235)에 왼손의 제1 손가락(엄지) L1, 제2 손가락(검지) L2, 제3 손가락(장지) L3, 제4 손가락(약지) L4, 제5 손가락(소지) L5를 각각 삽입하거나, 또는, 손가락끝 삽입부(236, 235, 234, 233, 232)에 오른손의 제1 손가락(엄지) R1, 제2 손가락(검지) R2, 제3 손가락(장지) R3, 제4 손가락(약지) R4, 제5 손가락(소지) R5를 각각 삽입한다.
손가락끝 삽입부(231)에는, LED 밴드 부착 링(241G)이, 손가락끝을 삽입할 때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손가락끝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LED 밴드 부착 링(241G)에 장착된 근적외선 LED(241a, 241b, 241c)가 왼손의 제1 손가락(엄지) L1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확실하게 접촉한다.
또한, 손가락끝 삽입부(232)에는, LED 밴드 부착 링(242G)이, 손가락끝을 삽입할 때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손가락끝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LED 밴드 부착 링(242G)에 장착된 근적외선 LED(242a, 242b, 242c)가 왼손의 제2 손가락(검지) L2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확실하게 접촉하거나, 또는, 오른손의 제5 손가락(소지) R5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확실하게 접촉한다.
또한, 손가락끝 삽입부(233)에는, LED 밴드 부착 링(243G)이, 손가락끝을 삽입할 때,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손가락끝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LED 밴드 부착 링(243G)에 장착된 근적외선 LED(243a, 243b, 243c)가, 왼손의 제3 손가락(장지) L3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확실하게 접촉하거나, 또는, 오른손의 제4 손가락(약지) R4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확실하게 접촉한다.
또한, 손가락끝 삽입부(234)에는, LED 밴드 부착 링(244G)이, 손가락끝을 삽입할 때,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손가락끝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LED 밴드 부착 링(244G)에 장착된 근적외선 LED(244a, 244b, 244c)가, 왼손의 제4 손가락(약지) L4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확실하게 접촉하거나, 또는, 오른손의 제3 손가락(장지) R3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확실하게 접촉한다.
또한, 손가락끝 삽입부(235)에는, LED 밴드 부착 링(245G)이, 손가락끝을 삽입할 때,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손가락끝을 삽입함으로써, 상 기 LED 밴드 부착 링(245G)에 장착된 근적외선 LED(245a, 245b, 245c)가, 왼손의 제5 손가락(소지) L5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확실하게 접촉하거나, 또는, 오른손의 제2 손가락(검지) R2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확실하게 접촉한다.
또한, 손가락끝 삽입부(236)에는, LED 밴드 부착 링(246G)이, 손가락끝을 삽입할 때,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손가락끝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LED 밴드 부착 링(246G)에 장착된 근적외선 LED(246a, 246b, 246c)가, 오른손의 제1 손가락(엄지) R1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확실하게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조작 패널(228)(도시 생략)의 전원 스위치(282)(도시 생략)를 넣으면, 시퀀스/타이머 회로(283)(도시 생략)가 기동하여, 설정된 조건에 따라 근적외선 LED(241 ∼ 246) 및 청자색 LED(271 ∼ 276)에 전기가 흐르게 된다.
이 중, 근적외선 LED(241 ∼ 246)는, 펄스 발생 회로(284)(도시 생략) 및 스위칭 회로(285)(도시 생략)의 기능에 의해, 타이머 설정 시간 내에, 소정의 주기로 ON/OFF를 반복한다. 이로써, 손가락끝 삽입부(231 ∼ 235)에 삽입된 왼손의 다섯 손가락 L1 ∼ L5, 또는, 손가락끝 삽입부(236 ∼ 232)에 삽입된 오른손의 다섯 손가락 R1∼R5의 모든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근적외선이 간헐적으로 조사된다.
한편, 청자색 LED(271 ∼ 276)는, 타이머 설정 시간 내에, ON 상태가 계속된다. 이로써, 손가락끝 삽입부(231 ∼ 235)에 삽입된 왼손의 다섯 손가락 L1 ∼ L5, 또는, 손가락끝 삽입부(236 ∼ 232)에 삽입된 오른손의 다섯 손가락 R1 ∼ R5의 모든 손가락끝 복면 측 부위에, 청자색 광이 연속적으로 조사된다.
도 23은 손가락끝 자극 장치(10)를 사용하여 근적외선의 조사를 행하여 얻어 진 피험자의 체온 추이의 실험예 1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24는 그 체온 추이 기록이다.
도 23 및 도 2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손가락끝 자극 장치(10)를 사용하여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근적외선을 단시간 동안 조사함으로써, 피험자의 체온은 상승하고, 그 후 장시간에 걸쳐, 초기 체온에 비해 바람직한 체온이 유지되었다.
도 25는 손가락끝 자극 장치(10)를 사용하여 근적외선의 조사를 행하여 얻어진 피험자의 체온 추이의 실험예 2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26은 그 체온 추이 기록이다.
도 25 및 도 26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손가락끝 자극 장치(10)를 사용하여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근적외선을 단시간 동안 조사함으로써, 피험자의 체온은 상승하고, 그 후 근적외선의 단시간 동안의 조사를 반복하면, 안정된 체온이 유지되었다.
도 27은 손가락끝 자극 장치(10)를 사용하여 근적외선의 조사를 행하여 얻어진 피험자의 체온 추이의 실험예 3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28은 그 체온 추이 기록이다.
도 27 및 도 28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손가락끝 자극 장치(10)를 사용하여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근적외선을 단시간 동안 조사함으로써, 초기 체온이 매우 낮은 피험자의 체온은 조기에 상승하고, 그 후 정상치를 향해 체온이 계속 상승하였다.
도 29는 손가락끝 자극 장치(10)를 사용하여 근적외선의 조사를 행하여 얻어진 피험자의 체온 추이의 실험예 4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30은 그 체온 추이 기록이다.
도 29 및 도 30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손가락끝 자극 장치(10)를 사용하여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근적외선을 단시간 동안 조사함으로써, 피험자의 체온은 상승하였다가, 그 후 안정되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부터, 손가락끝 자극 장치(10)를 사용하여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근적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손가락끝을 확실하게 자극할 수 있고, 이 손가락끝 자극에 의해, 자율 신경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자극을 가하여, 체온의 컨트롤을 도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10) 만에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손가락끝 자극 장치(1, 110, 210)를 사용한 경우라도, 마찬가지의 손가락끝 자극에 의해, 자율 신경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자극을 가하여, 체온의 컨트롤을 도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31은 본 발명의 발명자가 개발한 400nm 대역 형광 램프의 발광 스펙트럼의 강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래프의 가로축은 파장, 세로축은 분광계의 광전자증배관(PMT; Photo Multiplier Tube) 계수치(광자수)에 비례한 값이다.
도 3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기 형광 램프는, 피크의 중심 파장이 405nm, 반값폭이 33.0nm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가, 상기 형광 램프를 사용하여 실험할 때, 사람에 대해서 400nm 대역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혈중 산소 포화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우연히 발견하였다.
생체에 있어서는, 혈중 산소 포화도가 저하되면 호흡 장애·티아노제(thianose) 등 각종 질환이 발병하는 것이 알려져 있으므로, 400nm 대역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얻어지는 혈중 산소 포화도가 향상되는 것은, 인체에 있어서 매우 바람직한 효과라 할 수 있다.
손가락끝 자극 장치(10)에 청자색 LED(71 ∼ 76)를 설치한 목적은, 400nm 대역 형광 램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400nm 대역광을 인체에 조사함으로써 혈중 산소 포화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얻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효과는, 청자색 LED(71 ∼ 76)로서, 390 ∼ 420nm의 범위 내에 있는 바람직한 파장이나, 405nm부근에 있는 더 바람직한 파장을 선택함으로써 실현된다. 그 이유는, 이와 같은 청자색 LED(71 ∼ 76)의 발광 스펙트럼은, 상기 400nm 대역 형광 램프의 발광 스펙트럼과 실질적으로 서로 중첩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도, 손가락끝 자극 장치(10)에만 한정되지 않고, 그 외의 손가락끝 자극 장치(1, 11O, 210)에 설치한 청자색 광 발생 부재(7), 청자색 LED(171 ∼ 176, 271 ∼ 276)의 목적도, 400nm 대역 형광 램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400nm 대역광을 인체에 조사함으로써 혈중 산소 포화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얻는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모든 손가락끝 자극 장치(1, 10, 110, 21O)에, 근적외선 발생 부재(4), 근적외선 LED(41 ∼ 46, 141 ∼ 146, 241 ∼ 246), 및, 청자색 광 발생 부재(7), 청자색 LED(71 ∼ 76, 171 ∼ 176, 271 ∼ 276)를 설치하였 으나,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청자색 광 발생 부재(7), 청자색 LED(71 ∼ 76, 171 ∼ 176, 271 ∼ 276)를 설치하지 않고, 근적외선 발생 부재(4), 근적외선 LED(41 ∼ 46, 141 ∼ 146, 241 ∼ 246) 만 설치함으로써, 손가락끝 자극 장치(1, 10, 110, 21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근적외선 발생 부재(4), 근적외선 LED(41 ∼ 46, 141 ∼ 146, 241 ∼ 246)를 설치하지 않고, 청자색 광 발생 부재(7), 청자색 LED(71 ∼ 76, 171 ∼ 176, 271 ∼ 276) 만 설치함으로써, 손가락끝 자극 장치(1, 10, 110, 21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손가락끝 자극 장치(10, 1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적외선 LED(41 ∼ 46, 141 ∼ 146)를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접촉하여 가볍게 가압하기 때문에, 밴드 가압 캠(53, 63a, 63b)과 캠 구동봉(56, 66a, 66b), 또는, 압축 스프링(158, 168a, 168b)을 구비한 밴드 삽입 부재(157, 167a, 167b)를 사용하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손가락 접촉 부재(25, 125)를, 예를 들면 공기압 등을 사용하여 장치 본체(20, 120)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팽창시킴으로써, 손가락 접촉 부재(25, 125)가 손가락끝의 복면 측을 외측으로 밀어내는 작용에 의해, 근적외선 LED(41 ∼ 46, 141 ∼ 146)를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접촉하여 가볍게 가압할 수 있다.
도 32 ∼ 도 49는,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의 제5 실시예를 나타 낸 도면이다. 이 손가락끝 자극 장치(300)는,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착탈 가능한 반구면형의 상측 케이스(31OU)와 하측 케이스(310L)에 의해, 실질적으로 구체형으로 구성된 것이다.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케이스(310U)와 하측 케이스(31OL)의 경계 부근에는, 그 외형이 원형인 지지판(320)이 배치된다.
지지판(320)의 중앙에는, 중공 원통(321)이 장착되고, 중공 원통(321)의 상단은 상측 케이스(310U)에 맞닿을 때까지 연장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중공 원통(321)은, 광을 투과하는 플라스틱제로 만들어진다.
또한, 지지판(320)에는, 중공 원통(321)에 외접하는 5개의 손가락끝 삽입부(331 ∼ 335)가 장착된다. 손가락끝 삽입부(331 ∼ 335)는 실질적으로 통형이며, 그 상단은 상측 케이스(310U)에 맞닿을 때까지 연장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측 케이스(310U)에 형성된 5개의 개구(311 ∼ 315)에 장착된다. 이들 손가락끝 삽입부(331 ∼ 335)는 모두, 광을 투과하는 플라스틱제로 만들어진다.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판(320)의 상면에는, 중공 원통(321)의 하단을 위치 결정하는 오목부(321r)가 형성되고, 또한, 손가락끝 삽입부(331, 332, 333, 334, 335)의 하단을 위치 결정하는 오목부(331r, 332r, 333r, 334r, 335r)가 형성된다. 이로써, 중공 원통(321) 및 손가락끝 삽입부(331, 332, 333, 334, 335)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1개의 손가락끝 삽입부(331)는, 엄지 손가락끝이 삽입되는 것이며, 다른 4개의 손가락끝 삽입부(332, 333, 334, 335)보다 큰 직경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4개의 손가락끝 삽입부(332, 333, 334, 335)는, 엄지를 제외한 4개의 손 가락끝이 삽입되는 것이며, 오른손과 왼손에 공통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모두 동일한 직경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손가락끝 삽입부(331, 332, 333, 334, 335)의 하방 부분에는, 삽입되는 각 손가락끝을 각각 일정 방향으로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경사진 가이드부(331a, 332a, 333a, 334a, 335a)가 형성되어 있다.
도 34 및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엄지용 손가락끝 삽입부(331)의 가이드부(331a)는, 중공 원통(321)의 중심으로부터 엄지용 손가락끝 삽입부(331)의 중심을 지나서 연장되는 직선의 연장 방향으로 향하도록 손가락끝을 가이드한다.
또한, 엄지 이외의 손가락끝 삽입부(332, 333, 334, 335)의 가이드부(332a, 333a, 334a, 335a)는, 엄지용 손가락끝 삽입부(331)의 중심으로부터 각 손가락끝 삽입부(332, 333, 334, 335)의 중심을 통하여 연장되는 직선의 연장 방향으로 향하도록 각 손가락끝을 가이드한다.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부(331a)의 맞은 편의 소정 높이의 위치에는, 실질적으로 손가락끝 삽입부(331)의 반 원주만큼의 길이를 가지는 창구멍(33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부(332a)의 맞은 편의 소정 높이의 위치에는, 실질적으로 손가락끝 삽입부(332)의 반 원주만큼의 길이를 가지는 창구멍(332b)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지만, 나머지 가이드부(333a, 334a, 335a)의 맞은 편의 소정 높이의 위치에도, 마찬가지로, 실질적으로 손가락끝 삽입부(333, 334, 335)의 반 원주만큼의 길이를 가지는 창구멍(333b, 334b, 335b)(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창구멍(331b, 332b, 333b, 334b, 335b)은, 모두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이 높이는, 각 손가락끝 삽입부(331, 332, 333, 334, 335)에 손가락끝이 삽입될 때, 손가락끝의 손톱뿌리가 위치하는 높이로 설계된다.
도 42의 (a) 및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엄지용 손가락끝 삽입부(331)의 창구멍(331b)은, 중공 원통(321)의 중심으로부터 엄지용 손가락끝 삽입부(331)의 중심을 지나서 연장되는 직선 상에 핀(331c)이 설치되어 있다. 창구멍(331b)은, 상기 핀(331c)을 협지하여 그 양측에 동일한 길이만큼 형성된다.
또한,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끝 삽입부(332, 335)의 창구멍(332b, 335b)은, 엄지용 손가락끝 삽입부(331)의 중심으로부터 각 손가락끝 삽입부(332, 335)의 중심을 지나서 연장되는 직선(도 44 참조) 상에, 핀(332c, 335c)이 설치되어 있다. 도 45에서는 본래의 위치로부터 시프트되어 도시되어 있다. 창구멍(332b, 335b)은, 상기 핀(332c, 335c)을 협지하여 그 양측에 동일한 길이만큼 형성된다.
도시 하지는 않지만, 마찬가지로, 손가락끝 삽입부(333, 334)의 창구멍(333b, 334b)은, 엄지용 손가락끝 삽입부(331)의 중심으로부터 각 손가락끝 삽입부(333, 334)의 중심을 지나서 연장되는 직선(도 44 참조) 상에, 핀(333c, 334c)(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창구멍(333b, 334b)은, 상기 핀(333c, 334c)을 협지하여 그 양측에 동일한 길이만큼 형성된다.
도 4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엄지용의 손가락끝 삽입부(331)의 창구 멍(331b)에는, 창구멍(331b)의 높이(상하 간격)에 필요한 클리어런스(clearance)를 가지고 삽입 가능한 높이를 가지는 LED 유닛(341)이 배치된다.
또한,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끝 삽입부(332)의 창구멍(332b)에는, 창구멍(332b)의 높이(상하 간격)에 필요한 클리어런스를 가지고 삽입 가능한 높이를 가지는 LED 유닛(342)이 배치된다.
도시 하지는 않지만, 마찬가지로, 손가락끝 삽입부(333, 334, 335)의 창구멍(333b, 334b, 335b)에는, 창구멍(333b, 334b, 335b)의 높이(상하 간격)에 필요한 클리어런스를 가지고 삽입 가능한 높이를 가지는 LED 유닛(343, 344, 345)가 배치된다.
창구멍(331b, 332b, 333b, 334b, 335b)의 높이(상하 간격)는 모두 동일하므로, LED 유닛(341, 342, 343, 344, 345)의 높이는 모두 동일하게 된다.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LED 유닛(341, 342, 343, 344, 345)은 실질적으로 모두 동일한 초승달 모양을 하고 있다. LED 유닛(342, 343, 344, 345)의 모양과 크기는 모두 동일하며, LED 유닛(341)은 그보다 약간 크다.
즉, LED 유닛(341)의 길이는 손가락끝 삽입부(331)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배면의 곡률은 손가락끝 삽입부(331)의 외형의 곡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이로써 큰 곡률을 가지는 앞면 측에 4개의 근적외선 LED(341a)가 앞면의 곡률 중심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LED 유닛(342, 343, 344, 345)의 길이는 손가락끝 삽입부(332, 333, 334, 335)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배면은 손가락끝 삽입부(332, 333, 334, 335)의 외형의 곡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이로써 큰 곡율을 가지는 앞면 측에, 각각 4개의 근적외선 LED(342a, 343a, 344a, 345a)이 앞면의 곡률 중심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근적외선 LED(341a, 342a, 343a, 344a, 345a)가 발생시키는 근적외선의 파장은, 820 ∼ 920n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며, 870nm부근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손가락끝의 손톱뿌리를 조사하여 손가락끝을 자극하기위하여, 이와 같은 근적외선 LED(341a, 342a, 343a, 344a, 345a)는 간헐적으로 ON/OFF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LED 유닛(341, 342, 343, 344, 345)은, 저면 중앙에, 좌우 사이의 중심축 선을 따라 긴홈(341b, 342b, 343b, 344b, 345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긴홈(341b, 342b, 343b, 344b, 345b)을 핀(331c, 332c, 333c, 334c, 335c)에 걸어 맞춤으로써, 각 LED 유닛(341, 342, 343, 344, 345)은, 그 앞면 측에 배치된 근적외선 LED(341a, 342a, 343a, 344a, 345a)가 창구멍(331b, 332b, 333b, 334b, 335b)으로부터 각 손가락끝 삽입부(331, 332, 333, 334, 335)의 내부에 진입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LED 유닛(341, 342, 343, 344, 345)은, 도 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합한 쿠션 부재(355)를 샌드위치형으로 끼운 상측 서포트판(350U)과 하측 서포트판(350L)에 의해, 소정 위치에 유지된다.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서포트판(350L)은, 원형의 판재로부터 중공 원통(321) 및 5개의 손가락끝 삽입부(331, 332, 333, 334, 335)의 배치 영역(351) 을 잘라낸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하측 서포트판(350L)은, 상면에 복수개의 조인트(352)를 구비하고 있다.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서포트판(350U)은, 원형의 판재로부터 중공 원통(321) 및 5개의 손가락끝 삽입부(331, 332, 333, 334, 335)의 배치 영역(353)을 잘라낸 형상을 하고 있다.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쿠션 부재(355)는, 각 창구멍(331b, 332b, 333b, 334b, 335b)의 높이(상하 간격)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원형의 쿠션재로부터, 중공 원통(321) 및 5개의 손가락끝 삽입부(331, 332, 333, 334, 335)의 배치 영역(356)을 잘라낸 형상을 하고 있다. 또한, 쿠션 부재(355)에는, 하측 서포트판(350L)의 조인트(352)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구멍(357)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쿠션 부재(355)로서는, 예를 들면, 저반발 우레탄제의 쿠션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5 및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서포트판(350L)은 각 창구멍(331b, 332b, 333b, 334b, 335b)의 하면의 높이에 돌출되어 장착된다. 또한, 상측 서포트판(350U)은 각 창구멍(331b, 332b, 333b, 334b, 335b)의 상면의 높이에 돌출되어 장착된다.
또한, 쿠션 부재(355)는, 하측 서포트판(350L)의 조인트(352)에 구멍(357)을 걸어 맞추어서, 도 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측 서포트판(350U, 350L) 사이에 샌드위치형으로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쿠션 부재(355)에 의해, 각 LED 유닛(341, 342, 343, 344, 345)은, 그 배면이 손가락끝 삽입부(331, 332, 333, 334, 335)의 외형과 중첩되는 위치에 유지된다.
즉, 쿠션 부재(355)는, 외력이 걸리지 않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손가락끝 삽입부(331, 332, 333, 334, 335) 내에 진입 한계까지 진입한 상태의 5개의 LED 유닛(341, 342, 343, 344, 345)의 배면과 밀착하고 있다. 또한, 쿠션 부재(355)의 작용은, 외력이 걸리면, 그에 따라 크게 압축 또는 변형될 수 있고, 또한, 외력이 제거되면 천천히 초기 위치까지 복원될 수 있다.
이로써, LED 유닛(341, 342, 343, 344, 345)은, 손가락끝 삽입부(331, 332, 333, 334, 335)에 손가락끝이 삽입될 때, 삽입되는 손가락끝에 밀려서 쿠션 부재(355)가 압축·변형되면서, 그 삽입을 방해하지 않도록 후방으로 슬라이드된다.
이 때, LED 유닛(341, 342, 343, 344, 345)은, 핀(331c, 332c, 333c, 334c, 335c)의 주위에 요동 가능하므로, 상기 요동과 후방 슬라이드의 복합 동작에 의해, 근적외선 LED(341a, 342a, 343a, 344a, 345a)는, 각 손가락끝의 손톱뿌리에 용이하게 위치 결정되어 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근적외선 LED(341a, 342a, 343a, 344a, 345a)를 동작시키면, 사용자의 각 손가락끝의 손톱뿌리에 근적외선이 조사된다.
또한, 손가락끝 삽입부(331, 332, 333, 334, 335)로부터 손가락끝이 빠져나오면, LED 유닛(341, 342, 343, 344, 345)은, 압축·변형 상태로부터 초기 상태까지 복원되는 쿠션 부재(355)의 작용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방으로 슬라이드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상기 손가락끝 자극 장치(300)는, 도 34 및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 원통(321)의 상단 부근에 5개의 청자색 LED(361, 362, 363, 364, 365)를 구비하고 있다.
청자색 LED(361, 362, 363, 364, 365)가 발하는 청자색 광의 파장은, 390∼ 420n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405nm부근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의 시각을 자극하기 위해, 이와 같은 청자색 LED(361, 362, 363, 364, 365)는 간헐적으로 ON/OFF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4 및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자색 LED(361, 362, 363, 364, 365)는, 중공 원통(321)의 원주 방향을 따라서, 서로 인접하는 손가락끝 삽입부(331, 332, 333, 334, 335) 상호간의 중간에 위치하며, 모두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그 위치에서 모두 바깥 방향으로 발광한다.
그러므로, 청자색 LED(361, 362, 363, 364, 365)를 동작시키면, 손가락끝 삽입부(331, 332, 333, 334, 335)의 상단이 장착된 상측 케이스(310U)의 개구(311, 312, 313, 314, 315)로부터 청자색 광이 상방으로 퍼져서,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식된다.
또한, 상기 손가락끝 자극 장치(300)는,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 원통(321)의 내부에 진동부(370)가 배치되고, 진동부(370)는 지지판(32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진동부(370)은, 실질적으로 원반형이며, 중심축선의 주위에 회전시킴으로써 진동을 발생시키는 2개의 진동자(370a, 370b)(도시 생략)를, 그들의 중심축선을 서로 직교시켜서 배치한 것이다. 그러므로, 진동부(370)를 동작시키면, 떨림 에 의한 소리(웅웅거림)를 발생시킨다.
또한, 도 34 및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끝 삽입부(331 ∼ 335) 중 어느 하나, 예를 들면 엄지용 손가락끝 삽입부(331)에는, 손가락끝이 삽입될 때 검지하는 포토 센서(375)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끝 삽입부(331 ∼ 335)에 손가락끝을 삽입할 때, 포토 센서(375)가 이것을 검지하여, 손가락끝 자극 장치(300)의 사전에 결정된 1사이클의 동작 시퀀스의 개시 조건으로서 사용한다.
도 47 및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판(320)의 하부에는, 프린트 기판(381), 배터리(382)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케이스(310U)의 측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AC 어댑터 외에, 배터리 체크 LED와 그것을 나타내는 마크(383), 전원 ON 표시 LED와 그것을 나타내는 마크(384), 멜로디/바이브레이터 전환 표시 LED와 그것을 나타내는 마크(385)가 형성되어 있다. 도 49는 손가락끝 자극 장치(30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손가락끝 자극 장치(300)는, 사용자가 손가락끝 삽입부(331, 332, 333, 334, 335)에 5개의 손가락을 삽입하면, 엄지가 삽입된 것을 포토 센서(375)가 검지하고, 이것과 전원 스위치가 ON됨으로써, 손가락끝 자극 장치(300)의 사전에 결정된 1사이클의 시퀀스 동작을 개시한다.
즉, 각 LED 유닛(341, 342, 343, 344, 345)의 근적외선 LED(341a, 342a, 343a, 344a, 345a)가 펄스 광을 발하고, 사용자의 각 손가락끝의 손톱뿌리에 근적외선을 조사한다.
또한, 청자색 LED(361, 362, 363, 364, 365)가 펄스 광을 발하고, 상측 케이스(310U)의 개구(311, 312, 313, 314, 315)로부터 상방으로 퍼지는 청자색 펄스 광이 사용자의 시각을 자극한다.
상기 청자색 펄스 광은, 3Hz 또는 그 부근의 펄스 광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조건에 부합되면, 청자색 광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적색 광 등이 사용되어도 된다. 즉, 청자색 LED(361, 362, 363, 364, 365)로서의 청자색 발생 부재는, 펄스 광 발생 부재로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진동부(370)가 사용자의 각 손가락끝을 진동시킨다. 손가락끝을 진동시킴으로써(맛사지함으로써), 혈관의 확장을 기대할 수 있다.
도 50 ∼ 도 56은, 본 발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7명의 피험자에 대해서, 손가락끝 자극 장치(300)를 사용하여 약 2주간의 기초 대사 추이를 조사한 그래프이다.
피험자는, 하루 1회 조사된 그룹과 하루 2회 조사된 그룹으로 나누고, 각각의 결과를 도 50 ∼ 도 53, 및 도 54 ∼ 도 56에 나타낸다.
「파선」은 회귀 직선이며, 그 95% 신뢰성 한계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모집단에 대한 회귀 직선은, 신뢰성 한계선으로 둘러싸인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배치를 바꿀 가능성이 있다.
하루 1회의 그룹(도 50 ∼ 도 53)에서, 신뢰성 한계 내에서 회귀 직선의 「경사」는, 「플러스」로도 「마이너스」로도 될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 로, 어느 쪽도 의미가 있는 증가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루 2회의 그룹(도 54 ∼ 도 56)은, 모두 기초 대사가 급격한 각도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신뢰성 한계 내에서 회귀 직선의 경사는 항상 「플러스」이며, 의미가 있는 증가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부터, 손가락끝 자극 장치(300)를 하루 2회 이상 사용함으로써, 기초 대사 촉진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된다.
상기 기초 대사의 증가는, 손가락끝 자극 장치(300)를 사용하여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근적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생기는 손가락끝 자극에 의해, 자율 신경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자극을 가하여, 체온의 컨트롤을 도모하는 것을 하나의 요인으로 하여 발생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초 대사의 증가는, 손가락끝 자극에 더하여, 손가락끝 자극 장치(300)를 사용하여 시각 자극을 효과적으로 가함으로써, 체온 조절을 행하여 말초혈류의 증가를 촉진시키는 것을 하나의 요인으로 하여 발생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도 57 ∼ 도 60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의 제6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손가락끝 자극 장치(400)는, 제5 실시예의 손가락끝 자극 장치(300)와 마찬가지로, 서로 착탈 가능한 반구면형의 상측 케이스(410U)와 하측 케이스(410L)(도시 생략)에 의해, 실질적으로 구체형으로 구성된 것이다.
손가락끝 자극 장치(400)는, 손가락끝 삽입부(431, 432, 433, 434, 435)가, 상·손가락끝 삽입부(431U, 432U, 433U, 434U, 435U)와, 하·손가락끝 삽입부(431L, 432L, 433L, 434L, 435L)로 분할되어 있는 점에서 손가락끝 자극 장치(300)와 상이하다.
상·손가락끝 삽입부(431U, 432U, 433U, 434U, 435U)는, 상측 케이스(410U)의 개구에 일체로 고정된다.
한편, 하·손가락끝 삽입부(431L, 432L, 433L, 434L, 435L)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다. 도 5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손가락끝 삽입부(431L)는, 원형의 저면이 지지판(420)에 형성된 원형의 오목부(431r)에 위치 결정되고, 축선의 주위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유지된다.
또한, 도 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손가락끝 삽입부(432L)는, 원형의 저면이, 지지판(420)에 형성된 원형의 오목부(432r)에 위치 결정되고, 축선의 주위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유지된다. 도시 하지는 않지만, 나머지 하·손가락끝 삽입부(433L, 434L, 435L)도 마찬가지로, 원형의 저면이, 지지판(420)에 형성된 원형의 오목부(433r, 434r, 435r)(도시 생략)에 위치 결정되고, 축선의 주위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유지된다.
도 5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손가락끝 삽입부(431L)에는, 삽입되는 손가락끝을 일정 방향을 향하여 가이드하는 경사진 가이드부(431a)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431a)의 맞은 쪽에는, 창구멍(431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창구멍(431b)에는 LED 유닛(441)이 배치된다.
도 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손가락끝 삽입부(432L)에는, 삽입되는 손가 락끝을 일정 방향을 향하여 가이드하는 경사진 가이드부(432a)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432a)의 맞은 쪽에는, 창구멍(432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창구멍(432b)에는 LED 유닛(442)이 배치된다.
도시 하지는 않지만, 나머지 하·손가락끝 삽입부(433L, 434L, 435L)에도 마찬가지로, 삽입되는 손가락끝을 일정 방향을 향하여 가이드하는 경사진 가이드부(433a, 434a, 435a)(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433a, 434a, 435a)의 맞은 쪽에는, 창구멍(433b, 434b, 435b)(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창구멍(433b, 434b, 435b)에는 LED 유닛(443, 444, 445)이 배치된다.
이와 같은, LED 유닛(441, 442, 443, 444, 445)을 구비한 하·손가락끝 삽입부(431L, 432L, 433L, 434L, 435L)는, 축선의 주위에 회전 이동 가능하므로, 손가락끝이 삽입될 때, 삽입되는 손가락끝의 방향에 따라, 하·손가락끝 삽입부(431L ∼ 435L) 중 어느 하나는 필요한 각도만큼 회전 이동하여 손가락끝의 방향에 맞출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로써, LED 유닛(441, 442, 443, 444, 445)의 방향을, 손가락끝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맞출 수 있으므로, 근적외선 LED(441a, 442a, 443a, 444a, 445a)(도시 생략)를 동작시키면, 사용자의 각 손가락끝의 손톱뿌리에 근적외선이 적절한 방향으로, 또한 효율적으로 조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손가락끝 자극 장치(400)는, 제5의 실시예의 손가락끝 자극 장치(3O0)와 마찬가지로 하여, 사전에 결정된 1사이클의 시퀀스 동작을 실행한다.
상기 손가락끝 자극 장치(400)의 경우도, 손가락끝 자극 장치(300)와 마찬가지로, 손가락끝 자극에 의하여, 자율 신경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자극을 가하여, 체온의 컨트롤을 도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손가락끝 자극에 더하여, 손가락끝 자극 장치(40O)를 사용하여 시각 자극을 효과적으로 가함으로써, 체온 조절을 행하여 말초 혈류의 증가를 촉진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손가락끝 자극 장치(400)를 사용함으로써, 기초 대사 촉진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61 ∼ 도 76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의 제7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손가락끝 자극 장치(500)는, 도 6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착탈 가능한 반구면형의 상측 케이스(51OU)와 하측 케이스(510L)에 의해, 실질적으로 구체형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내부에는 메인 하우징(520)이 배치된다.
도 61에 나타낸 바와 같이, 5개의 손가락끝을 삽입하는 손가락끝 삽입부가, 상·손가락끝 삽입부(531U ∼ 535U)와, 하·손가락끝 삽입부(531L ∼ 535L)로 분할되어 있다. 이들 손가락끝 삽입부는, 도 6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되지만, 도 61에서는 편의상, 상·손가락끝 삽입부(531U, 532U)와, 하·손가락끝 삽입부(531L, 532L)를 대향하여 나타내고 있다.
상·손가락끝 삽입부(531U ∼ 535U)((533U, 534U, 535U는 도시 생략)는 상측 케이스(510U)의 개구에 일체로 고정된다. 한편, 하·손가락끝 삽입부(531L ∼ 535L)는 메인 하우징(520)에 설치된다.
도 6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하우징(520)의 중앙에는, 펌프 수납부(521)가 형성된다. 펌프 수납부(521)의 주위에, 5개의 하·손가락끝 삽입부(531L ∼ 535L)가 형성된다.
하나의 하·손가락끝 삽입부(531L)에는, 그 상·손가락끝 삽입부(531U)와 함께(이하, 다른 손가락끝 삽입부는 마찬가지이므로 생략), 엄지 손가락끝이 삽입되며, 다른 4개의 하·손가락끝 삽입부(532L, 533L, 534L, 535L)보다 큰 직경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4개의 하·손가락끝 삽입부(532L, 533L, 534L, 535L)에는, 엄지를 제외한 4개의 손가락끝이 삽입되며, 오른손과 왼손에 공통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모두 동일한 직경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5 및 도 6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손가락끝 삽입부(531L)의 하방 부분에는, 삽입되는 손가락끝이 일정 방향으로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경사진 가이드부(531a)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 하지는 않지만, 다른 하·손가락끝 삽입부(532L, 533L, 534L, 535L)의 하방 부분에도, 삽입되는 각 손가락끝이 각각 일정 방향으로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경사진 가이드부(532a, 533a, 534a, 535a)(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도 6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엄지용 하·손가락끝 삽입부(531L)의 가이드부(531a)는, 펌프 수납부(521)의 중심으로부터 엄지용 하·손가락끝 삽입부(531L)의 중심을 지나서 연장되는 직선의 연장 방향으로 향하도록 손가락끝을 가이드한 다.
또한, 엄지 이외의 하·손가락끝 삽입부(532L, 533L, 534L, 535L)의 가이드부(532a, 533a, 534a, 535a)는, 엄지용 하·손가락끝 삽입부(531L)의 중심으로부터 각 하·손가락끝 삽입부(532L, 533L, 534L, 535L)의 중심을 지나서 연장되는 직선의 연장 방향으로 향하도록 각 손가락끝을 가이드한다.
이들 가이드부(531a, 532a, 533a, 534a, 535a)의 방향은, 제5 실시예의 손가락끝 자극 장치(300)에 대하여 도 44에 나타낸 내용과 동일하므로, 참조될 수 있다. 도 6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부(531a)의 맞은 쪽 소정 높이의 위치에는, LED 유닛(541)이 배치되고, 잠금쇠(541b)로 그 위치에 고정된다. 도시 하지는 않지만, 다른 가이드부(532a, 533a, 534a, 535a)의 맞은 쪽 소정 높이의 위치에도, LED 유닛(542, 543, 544, 545)(도시 생략)이 배치되고, 공통의 잠금쇠(542b)(도 68참조)로 그 위치에 고정된다. 이들 LED 유닛(541, 542, 543, 544, 545)은, 모두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상기 높이는, 각 하·손가락끝 삽입부(531L, 532L, 533L, 534L, 535L)에 손가락끝이 삽입될 때, 손가락끝의 손톱뿌리가 위치하는 높이로 설계된다.
도 65 및 도 6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손가락끝 삽입부(532L)에는, 근적외선을 투과하고, 유연성을 가지는 탄성 부재로 구성되는 고무색(531R)이 수용된다. 도시 하지는 않지만, 다른 하·손가락끝 삽입부(532L, 533L, 534L, 535L)에도, 실리콘 고무제의 고무색(532R, 533R, 534R, 535R)(도시 생략)이 수용된다. 이와 같은 탄성 부재로서 실리콘 고무, 즉, 실리콘 고무제의 고무색인 것이 바람직하 다.
고무색(531R)은, 가이드부(531a)의 경사를 따라 밀착되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LED 유닛(541) 측의 측면(주위면) 및 저면은, 하·손가락끝 삽입부(531L)의 대응하는 측면(주위면) 및 저면 사이에 기밀 공간(531s)이 형성되도록, 형상·치수가 설계되어 있다. 도시 하지 않지만, 다른 고무색(532R, 533R, 534R, 535R)의 형상·치수도 마찬가지로 설계되므로, 가이드부(532a, 533a, 534a, 535a)의 경사를 따라 밀착하고, 또한, LED 유닛(542, 543, 544, 545) 측의 측면(주위면) 및 저면은, 하·손가락끝 삽입부(532L, 533L, 534L, 535L)의 대응하는 측면(주위면) 및 저면 사이에 기밀 공간(532s, 533s, 534s, 535s)(도시 생략)이 형성된다.
도 64 및 도 6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손가락끝 삽입부(531L, 532L, 533L, 534L, 535L)에는, 고무색(531R, 532R, 533R, 534R, 535R) 사이에 기밀 공간(531s, 532s, 533s, 534s, 535s)이 형성되는 측면에, 그 벽면에 고무색(531R, 532R, 533R, 534R, 535R)이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홈(531g, 532g, 533g, 534g, 535g)이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무색(531R)은, LED 유닛(541)에 대응하는 위치에, 렌즈부(531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렌즈부(5311)는, LED 유닛(541)의 근적외선 LED(541a)로부터 발하는 근적외선을 수렴시키고, 손가락끝의 손톱뿌리에 조사하는 기능을 한다. 다른 고무색(532R, 533R, 534R, 535R)도, LED 유닛(542, 543, 544, 545)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는 렌즈부(5321, 5331, 5341, 5351)를 구비하고 있다.
메인 하우징(520)은, 적어도, 고무색(531R, 532R, 533R, 534R, 535R)의 렌즈부(5311, 5321, 5331, 5341, 5351)에 대응하는 부분, 즉, 근적외선 LED(541a, 542a, 543a, 544a, 545a)(LED 유닛(541, 542, 543, 544, 545)에 대응하는 부분이, 근적외선을 투과하는 재료로 구성된다.
근적외선 LED(541a, 542a, 543a, 544a, 545a)가 발생시키는 근적외선의 파장은, 820 ∼ 920n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870nm부근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손가락끝의 손톱뿌리의 근방을 조사하여 손가락끝을 자극하기 위해, 이와 같은 근적외선 LED(541a, 542a, 543a, 544a, 545a)는, 간헐적으로 ON/OFF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무색(531R)의 고정 방법은, 상측 케이스(510U)에 고정된 상·손가락끝 삽입부(531U)의 하면이, 고무색의 플랜지(531f)를 상측으로부터 누름으로써, 고무색(531R)을 하·손가락끝 삽입부(531L)에 고정시킨다. 도시 하지는 않지만, 다른 고무색(532R, 533R, 534R, 535R)도, 상측 케이스(510U)에 고정된 상·손가락끝 삽입부(532U, 533U, 534U, 535U)의 하면이, 고무색의 플랜지(532f, 533f, 534f, 535f)(도시 생략)를 상측으로부터 누름으로써, 하·손가락끝 삽입부(532L, 533L, 534L, 535L)에 고정된다.
도 6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밀 공간(531s)은, 메인 하우징(520)의 하부에 형성된 공기 통로(523)를 통하여, 펌프 수납부(521)에 설치된 펌프(522)에 연결되어 있다. 도시 하지는 않지만, 다른 기밀 공간(532s, 533s, 534s, 535s)도, 메인 하우징(520)의 하부에 형성된 각각의 공기 통로(523)를 통하여, 펌프(522)에 연결 되어 있다.
즉, 펌프(522)는, 공기 통로(523)를 통하여, 모든 기밀 공간(531s, 532s, 533s, 534s, 535s)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모든 기밀 공간(531s, 532s, 533s, 534s, 535s)은, 공기 통로(523)를 통하여, 배기구를 구비한 전자기 밸브(524)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모터를 구동하여 펌프(522)를 작동시키면, 가압 공기가 각 기밀 공간(531s, 532s, 533s, 534s, 535s)에 이송되어 기밀 공간(531s, 532s, 533s, 534s, 535s)이 넓어지고, 그에 따라, 고무색(531R, 532R, 533R, 534R, 535R)이 손가락끝을 싸도록 변형됨으로써, 렌즈부(5311, 5321, 5331, 5341, 5351)를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위치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 때, 펌프(522)의 모터 전류를 감시하여 최적 압력으로 가압을 정지하면, 그 가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압 상태에서, LED 유닛(541, 542, 543, 544, 545)의 근적외선 LED(541a, 542a, 543a, 544a, 545a)로부터 발한 근적외선은, 고무색(531R, 532R, 533R, 534R, 535R)의 렌즈부(5311, 5321, 5331, 5341, 5351)를 통하여, 손가락끝의 손톱뿌리에 적절하게 조사된다.
고무색(531R, 532R, 533R, 534R, 535R)의 가압을 해제할 때는, 전자기 밸브(524)를 작동시킴으로써, 기밀 공간(531s, 532s, 533s, 534s, 535s) 내의 가압 공기는 배기된다.
또한, 펌프(522)에 의한 가압, 가압 정지, 전자 밸브(524)에 의한 배기를 1사이클로 설정하여, 이것을 반복함으로써, 손가락끝의 가압 및 맛사지가 실현될 수 있다.
도 70 ∼ 도 7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케이스(51OU)와 하측 케이스(51OL)의 착탈은, 메인 하우징(520)의 하방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는 하부 하우징(550)에 배치한 착탈 기구에 의해 실현된다.
착탈 기구는 베이스판(551)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판(551)의 중앙에, 회전 이동 플레이트(552)가 회전 이동축(552a)의 주위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판(551)의 주위 3개소에, 록핀(553)이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있다. 록핀(553)은, 코일 스프링(553a)의 가압력에 의해, 하부 하우징(550)의 주위면에 형성한 개구(550a)로부터 소정 위치까지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각 록핀(553)의 풀리(553b) 및 회전 이동 플레이트(552)의 풀리(552b)에 바이오메탈(554)이 권취되고, 바이오메탈(554)의 양단은 단자판(554a)에 고정되며, 단자판(554a)은 베이스판(551)에 고정되지 않으므로, 와이어 케이블(554b)로 회전 이동 플레이트(552)의 회전 이동축(552a)에 연결되어 있다.
회전 이동 플레이트(552)의 하나의 풀리(552b)는, 스프링(552c)에 의해 긴 구멍(552d)을 따라 바이오 메탈(554)을 잡아끄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그러므로, 바이오 메탈(554)의 느슨함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바이오 메탈(554)에 전기를 흐르게 하면, 바이오 메탈(554)이 수축되어 길이가 짧아짐으로써, 도 7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핀(553)을 요동시켜서, 하부 하우징(550)의 주위면 개구(550a)로부터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바이오 메탈(554)의 단자판(554a) 대신, 도 73에 나타낸 단자판(554c)과 같이, 베이스판(551)에 나사(554d)로 고정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는, 와이어 케이블이 불필요하게 된다.
도 74 ∼ 도 7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케이스(51OU)와 하측 케이스(51OL)의 착탈이 행하여진다.
즉, 상측 케이스(510U)와 하측 케이스(510L)가 장착되어 있을 때는, 도 7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핀(553)은, 하측 케이스(51OL)의 록용 링(555)의 하방에 위치하며, 코일 스프링(553a)의 가압력에 의해, 하부 하우징(550)의 주위면 개구(550a)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록용 링(555)의 하방으로 들어가서 위치한다.
한편, 상측 케이스(510U)와 하측 케이스(510L)를 분리할 때는, 바이오 메탈(554)에 전기를 흐르게 하고, 록핀(553)을 요동시켜서, 하부 하우징(550)의 주위면 개구(550a)로부터 내측으로 수용한다.
그러면, 이 때, 도 6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하우징(520)에 설치한 눌러내림 플런저(556)가 하측 케이스(510L)를 눌러 내림으로써, 도 74 및 도 7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 케이스(510L)의 록용 링(555)이 록핀(553)의 하방으로 이동되어, 록이 해제된다.
또한, 이 손가락끝 자극 장치(500)는, 도 6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손가락끝 삽입부(531U ∼ 535U)의 상단 부근에, 5개의 청자색 LED(561 ∼565)(561, 562만 도시한다)를 구비하고 있다, .
청자색 LED(561 ∼ 565)가 발생시키는 청자색 광의 파장은, 390 ∼ 420n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405nm부근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의 시각을 자극하기 위해, 이와 같은 청자색 LED(561 ∼ 565)는, 간헐적으로 ON/OFF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자색 LED(561 ∼ 565)를 동작시키면, 상·손가락끝 삽입부(531U ∼ 535U)가 고정된 상측 케이스(510U)의 개구로부터 청자색 광이 상방으로 퍼지고,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식된다.
또한, 상기 손가락끝 자극 장치(500)는, 도 64 및 도 6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하우징(520)의 내부에 진동부(진동자(570a, 570b))가 배치되어 있다. 양측 진동자(570a, 570b)는, 실질적으로 원반형이며 중심축선의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진동을 발생시키며, 중심축선을 서로 직교하게 하여 배치하였으므로, 진동부(진동자(570a, 570b))를 동작시키면, 떨림에 의한 소리를 발생시킨다.
또한, 도시 하지는 않지만, 상·손가락끝 삽입부(531U ∼ 535U) 중 어느 하나, 예를 들면 엄지용 상·손가락끝 삽입부(531U)와 다른 하나의 상·손가락끝 삽입부에는, 손가락끝이 삽입될 때 검지하는 포토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상·손가락끝 삽입부(531U ∼ 535U)에 손가락끝을 삽입할 때, 포토 센서가 이것을 검지하여, 손가락끝 자극 장치(500)의 사전에 결정된 1사이클의 동작 시퀀스의 개시 조건으로서 사용한다.
도 6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하우징(520)의 측부에는, 배터리 체크 LED와 그것을 나타내는 마크(583), 전원 ON 표시 LED와 그것을 나타내는 마크(584), 멜로디/바이브레이터 전환 표시 LED와 그것을 나타내는 마크(585)가 형성되어 있 다. 이들 LED 및 마크(583, 584, 585)는, 상측 케이스(510U)의 광투과성 측부를 통하여, 바깥쪽으로부터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다.
또한, 상기 손가락끝 자극 장치(500)는, 도 62 및 도 6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끝 자극 장치(500)를 탑재하는 크래들(59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크래들(590)은, 배터리 교환 시에, 손가락끝 자극 장치(500)을 상하 반전하여 탑재할 때, 상측 케이스(510U)의 상·손가락끝 삽입부(531U ∼ 535U)에 끼워 맞추어지는 오목부(591)를 구비하고 있다.
즉, 손가락끝 자극 장치(500)를 상하 반전하여 크래들(590)에 탑재하면, 크래들(590) 측으로부터 손가락끝 자극 장치(500) 측에 바이오 메탈(554)용의 전력이 공급되고, 바이오 메탈(554)이 수축되어, 눌러 내림 플런저(556)에 의해 록이 해제 된다. 이로써, 하부 하우징(550) 내에 설치되어 있는 배터리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손가락끝 자극 장치(500)의 경우도, 손가락끝 자극에 의해, 자율 신경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자극을 가하여, 체온의 컨트롤을 도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손가락끝 자극에 더하여, 손가락끝 자극 장치(50O)를 사용하여 시각 자극을 효과적으로 가함으로써, 체온 조절을 행하여 말초 혈류의 증가를 촉진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손가락끝 자극 장치(500)를 사용함으로써, 기초 대사 촉진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77 ∼ 도 79는,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의 제8 실시예를 나타 낸 도면이다.
이 손가락끝 자극 장치(600)는, 타원형 통 미러(601)를 사용한다. 도 7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 초점(601a)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모두 다른 쪽 초점(601b)에 모이는, 타원형 통 미러(601)의 특성을 이용하여,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위치에 근적외선을 조사한다.
즉, 도 7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 초점(601a)의 위치(도 78의 (a) 참조)에 근적외선 LED(602)를 배치하고(도 78의 (b) 참조), 다른 쪽 초점(601b)의 위치(도 78의 (a) 참조)에 손가락끝(610)이 배치된다(도 78의 (b) 참조).
도 79에 나타낸 바와 같이, 5개의 타원형 통 미러(601)의 한쪽 초점을 모두 공통으로 하여 근적외선 LED(602)를 배치하고, 다른 쪽 초점(611, 612, 613, 614, 615)에 각각 엄지 외 4개의 손가락이 배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손가락끝 자극 장치(600)는, 한 손의 다섯 손가락의 모든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위치에 근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의 손가락끝 자극 장치(300, 400, 500, 600)는, 모두, 도 8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적외선 LED를 손가락끝의 손톱 측에 배치함으로써,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위치에, 근적외선을 직접 조사 방식으로 조사하는 것이다.
이에 비해, 도 8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적외선 LED를 손가락끝의 복면 측에 배치하고, 손톱 측에 반사판(거울 등)을 배치함으로써,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위치에, 근적외선을 반사 방식으로 조사할 수도 있다.
도 81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의 제9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 다.
이 손가락끝 자극 장치(700)는, 반사판으로서 금속 또는 합금(도금) 수지(701)를 사용하고, 이것에 슬라임(slime)형 젤(702)을 접합시켜서 점착성 반사 부재(703)를 작성한다. 상기 점착성 반사 부재(703)를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위치에 부착하고, 근적외선 LED(704)의 조사면에 손가락끝의 복면 측에서 접함으로써, 도 8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위치에, 근적외선을 반사 방식으로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가락끝 자극 장치(700)는, 청자색 LED가 발하는 청자색 광을 적절한 프리즘을 통하여 링형으로 발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청자색 발광 링(705)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손가락끝이 배치되는 손가락끝 배치부와, 상기 손가락끝 배치부에 배치된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근적외선 발생 부재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므로, 손가락끝을 확실하게 자극할 수 있고, 이러한 손가락끝 자극에 의해, 자율 신경에 안전하고 효과적인 자극을 가하여, 체온의 컨트롤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누구나 간단하게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가락끝 자극에 더하여 시각 자극을 효과적으로 가함으로써, 체온 조절을 행하여 말초 혈류의 증가를 촉진할 수 있다.

Claims (22)

  1. 손가락끝이 배치되는 손가락끝 배치부와,
    상기 손가락끝 배치부에 배치된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근적외선(near infrared ray)을 조사하는 근적외선 발생 부재와,
    상기 손가락끝 배치부에 배치된 상기 손가락끝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발생 부재
    를 구비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
  2. 손가락끝이 배치되는 손가락끝 배치부와,
    상기 손가락끝 배치부에 배치된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근적외선 발생 부재와,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게 배치되고, 청자색 광을 발하는 청자색 광 발생 부재와,
    상기 손가락끝 배치부에 배치된 상기 손가락끝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발생 부재
    를 구비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
  3. 손가락끝이 배치되는 손가락끝 배치부와,
    상기 손가락끝 배치부에 배치된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근적외선 발생 부재와,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게 배치되고, 펄스 광을 발하는 펄스 광 발생 부재와,
    상기 손가락끝 배치부에 배치된 상기 손가락끝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발생 부재
    를 구비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
  4. 손가락끝이 배치되는 손가락끝 배치부와,
    상기 손가락끝 배치부에 배치된 손가락끝의 손톱뿌리 근방 부위에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근적외선 발생 부재와,
    상기 손가락끝 배치부에 배치된 손가락끝의 복면(腹面) 측 부위에 청자색 광을 조사하는 청자색 광 발생 부재와,
    상기 손가락끝 배치부에 배치된 상기 손가락끝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 발생 부재
    를 구비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발생 부재는, 간헐적으로 ON/OFF하여 상기 근적외선을 발생시키는 근적외선 LED를 구비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의 파장은, 820nm ∼ 920nm의 범위 내인, 손가락끝 자극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자색 광 발생 부재는, 간헐적으로 ON/OFF하여 상기 청자색 광을 발생시키는 청자색 LED를 구비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청자색 광 발생 부재는, ON 상태를 계속하여 상기 청자색 광을 발생시키는 청자색 LED를 구비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
  9. 제2항, 제4항,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청자색 광의 파장은, 390nm ∼ 420nm의 범위 내인, 손가락끝 자극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광 발생 부재는, 3Hz의 펄스 광을 발생시키는, 손가락끝 자극 장치.
  11. 삭제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부재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끼리의 축선을 교차시켜서 떨림에 의한 소리를 발생시키는, 손가락끝 자극 장치.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끝 배치부는, 장치 본체 표면의 개구로부터 내부로 상기 손가락끝을 삽입할 수 있는 손가락끝 삽입부를 구비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발생 부재는, 상기 손가락끝 삽입부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끝 삽입부의 내부로 진입한 초기 위치로부터, 손가락끝에 밀려서 후퇴 가능한 가동 부재에, 간헐적으로 ON/OFF하여 근적외선을 발생시키는 근적외선 LED를 구비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끝 배치부는,
    장치 본체 표면의 개구로부터 내부로 연장되는 손가락끝 삽입부와,
    손가락끝이 삽입되는 상기 손가락끝 삽입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로서, 근적외선을 투과하고, 유연성을 가지며,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손가락끝 삽입부 사이의 기밀 공간이 가압됨으로써 손가락끝에 밀착 가능한 탄성 부재
    를 구비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 발생 부재는, 상기 손가락끝 삽입부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위치에, 간헐적으로 ON/OFF하여 근적외선을 발생시키는 근적외선 LED를 구비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실질적으로 구체이며, 왼손의 제1 손가락 및 오른손의 제1 손가락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1개와, 왼손의 제2 손가락 ∼ 제5 손가락 및 오른손의 제2 손가락 ∼ 제5 손가락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4개를 합하여 5개의 상기 손가락끝 삽입부를 구비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끝 배치부는, 장치 본체에, 왼손의 제2 손가락 ∼ 제5 손가락 및 오른손의 제2 손가락 ∼ 제5 손가락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4개와, 왼손의 제1 손가락 및 오른손의 제1 손가락에 대해 각각 1개씩, 합해서 6개의 상기 손가락끝 삽입부를 구비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끝 배치부는, 타원형 통 형상의 반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타원형 통 형상의 반사 부재의 한쪽 초점 영역에 상기 손가락끝 배치부가 배치되고, 상기 타원형 통 형상의 반사 부재의 다른 쪽 초점 영역에 상기 근적외선 발생 부재가 배치되는, 손가락끝 자극 장치.
  2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근적외선의 파장은, 820nm ∼ 920nm의 범위 내인, 손가락끝 자극 장치.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실질적으로 구체이며, 왼손의 제1 손가락 및 오른손의 제1 손가락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1개와, 왼손의 제2 손가락 ∼ 제5 손가락 및 오른손의 제2 손가락 ∼ 제5 손가락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4개를 합하여 5개의 상기 손가락끝 삽입부를 구비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
  2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끝 배치부는, 장치 본체에, 왼손의 제2 손가락 ∼ 제5 손가락 및 오른손의 제2 손가락 ∼ 제5 손가락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4개와, 왼손의 제1 손가락 및 오른손의 제1 손가락에 대해 각각 1개씩, 합해서 6개의 상기 손가락끝 삽입부를 구비한, 손가락끝 자극 장치.
KR1020077015575A 2004-12-13 2005-12-13 손가락끝 자극 장치 KR1009109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59454A JP4263687B2 (ja) 2004-12-13 2004-12-13 指先刺激装置
JPJP-P-2004-00359454 2004-12-13
JP2005357189A JP2007159684A (ja) 2005-12-12 2005-12-12 指先刺激装置
JPJP-P-2005-00357189 2005-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008A KR20070091008A (ko) 2007-09-06
KR100910990B1 true KR100910990B1 (ko) 2009-08-05

Family

ID=36587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5575A KR100910990B1 (ko) 2004-12-13 2005-12-13 손가락끝 자극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139976A1 (ko)
EP (1) EP1825882A1 (ko)
KR (1) KR100910990B1 (ko)
AU (1) AU2005314902A1 (ko)
CA (1) CA2590631A1 (ko)
TW (1) TWI309575B (ko)
WO (1) WO20060648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864A1 (ko) * 2022-08-10 2024-02-15 서울대학교병원 부교감 신경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공기압을 이용한 촉각 자극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5549A1 (en) * 2005-01-13 2011-01-20 Shimon Eckhouse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a diseased nail
KR100860455B1 (ko) * 2008-03-27 2008-09-25 박중국 휴대용 물리치료기구
JP5483956B2 (ja) * 2009-08-21 2014-05-07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美容装置
RU2449768C1 (ru) * 2011-02-11 2012-05-10 Фанур Амирович Исмагил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пациентов с умеренными нарушениями функции памяти
CN107625635A (zh) * 2016-07-18 2018-01-26 陈崇扬 按摩装置
TWI631933B (zh) * 2017-01-18 2018-08-11 神仙科學股份有限公司 Physiological resonance stimulation method and wearable system using the same
DE102018004685B4 (de) * 2018-06-12 2023-02-09 Bhm-Tech Produktionsgesellschaft M.B.H. Vibrotaktiles Stimulationssystem
KR102192665B1 (ko) * 2020-04-14 2020-12-17 백성욱 경락 자극 장치
TWI823751B (zh) * 2023-01-13 2023-11-21 南臺學校財團法人南臺科技大學 智慧復健系統及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4779A (ja) * 1989-09-06 1991-04-19 Daiken Iki Kk レーザー治療器
US5643173A (en) * 1995-09-01 1997-07-01 Welles; William F.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ss relief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014Y2 (ko) * 1984-11-30 1990-04-11
US5366379A (en) * 1991-08-05 1994-11-22 Yang Hong Mo Needle-puncturing position indicating apparatus utilizing a lighting display panel in fingers acupuncture
JPH10165524A (ja) * 1996-12-10 1998-06-23 Keisuke Kobayashi 生体用光線照射装置
JP3045102U (ja) * 1997-07-07 1998-01-23 幸子 河村 手指用血行促進装置
JPH11192315A (ja) * 1997-10-28 1999-07-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温熱治療器
JPH11267179A (ja) * 1998-03-25 1999-10-05 Onkyo Corp 光健康器具
JP2000254241A (ja) * 1999-03-04 2000-09-19 Mamoru Arikata 赤外線治療器の赤外線源
JP2000316999A (ja) * 1999-05-12 2000-11-21 Ya Man Ltd レーザ光照射プローブ
US6267721B1 (en) * 1999-06-18 2001-07-31 William F. Welles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ss relief system
US20020183810A1 (en) * 2001-06-04 2002-12-05 Vlahos George J. Light therapy equipment
US6641599B2 (en) * 2001-10-26 2003-11-04 D & K Unlimited, Inc. Systems of therapeutic treatment
US20040147984A1 (en) * 2001-11-29 2004-07-29 Palomar Medical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low power optical treatme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4779A (ja) * 1989-09-06 1991-04-19 Daiken Iki Kk レーザー治療器
US5643173A (en) * 1995-09-01 1997-07-01 Welles; William F.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ss relie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864A1 (ko) * 2022-08-10 2024-02-15 서울대학교병원 부교감 신경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공기압을 이용한 촉각 자극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5314902A1 (en) 2006-06-22
TW200628188A (en) 2006-08-16
WO2006064811A1 (ja) 2006-06-22
US20080139976A1 (en) 2008-06-12
EP1825882A1 (en) 2007-08-29
KR20070091008A (ko) 2007-09-06
TWI309575B (en) 2009-05-11
CA2590631A1 (en) 200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990B1 (ko) 손가락끝 자극 장치
US6860896B2 (en) Therapeutic method and apparatus
US78507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light therapy
US6974224B2 (en) Modularized light processing of body components
RU2707365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роведения светотерапии и изменения циркадного ритма
US6896693B2 (en) Photo-therapy device
US7101384B2 (en) Light processing of selected body components
US20080269849A1 (en) Temporal control in phototherapy
US20100305668A1 (en)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 disorders and biostimulation of bone and soft tissue
WO2014085540A1 (en) Light and bioelectric therapy pad
WO2009039644A1 (en) Adipose resolve apparatus for low-power laser
US20070239233A1 (en) Surface mount light emitting diode medical apparatus
JP3126750U (ja) 皺とり器
CA2589505A1 (en) Light processing of selected body components
JP4263687B2 (ja) 指先刺激装置
KR200404931Y1 (ko) 발광다이오드를 부착한 두피 마사지 기기
JP2007159684A (ja) 指先刺激装置
JP2007007449A (ja) 指先刺激装置
RU72403U1 (ru) Светоизлучающий жилет
RU80114U1 (ru) Устройство физиотерапевтическое для гидромассажа и светов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аверс-душ-рейнбоу"
ES2834308T3 (es) Cama de terapia de LED
RU33016U1 (ru) Физиотерапевт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для свето- и цветотерапии
RU30083U1 (ru) Биорезонатор для психотерапевтической коррекции системы саморегуляции и адаптации организма человека
KR102170267B1 (ko) 고주파 치료기
JP2695142B2 (ja) リラクセーション誘導装置とこれを利用した学習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