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0783B1 - 몸체 내 해부학적 강의 위치를 알아내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몸체 내 해부학적 강의 위치를 알아내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783B1
KR100910783B1 KR1020037016568A KR20037016568A KR100910783B1 KR 100910783 B1 KR100910783 B1 KR 100910783B1 KR 1020037016568 A KR1020037016568 A KR 1020037016568A KR 20037016568 A KR20037016568 A KR 20037016568A KR 100910783 B1 KR100910783 B1 KR 100910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ignal
measuring
fluid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6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0742A (ko
Inventor
티모데우스 요안 마리 레흐네르
Original Assignee
반 니이케르크 얀
드로스트 마리누스 아드리안
반 도르스텐 프란클린 로베르뜨 크리스띠안
반 뷔이크 마아르텐 헤라르두스 프란시스쿠스
테우니센 레오나르두스 요하네스 마리아
란헨베르그 크리스띠아누스 야코부스 마리아
마아스 아드리아누스 야코부스 요하네스
티모데우스 요안 마리 레흐네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 니이케르크 얀, 드로스트 마리누스 아드리안, 반 도르스텐 프란클린 로베르뜨 크리스띠안, 반 뷔이크 마아르텐 헤라르두스 프란시스쿠스, 테우니센 레오나르두스 요하네스 마리아, 란헨베르그 크리스띠아누스 야코부스 마리아, 마아스 아드리아누스 야코부스 요하네스, 티모데우스 요안 마리 레흐네르 filed Critical 반 니이케르크 얀
Publication of KR20040010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luid pressure within the body other than blood pressure, e.g. cerebral pressure; Measuring pressure in body tissues or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87Locating particular structures in or on the body
    • A61B5/4896Epidural sp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1Puncturing needles for the peridural or subarachnoid space or the plexus, e.g. for anaesth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luid pressure within the body other than blood pressure, e.g. cerebral pressure; Measuring pressure in body tissues or organs
    • A61B5/032Spinal flui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61B5/4839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combined with drug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61B5/7415Sound rendering of measured values, e.g. by pitch or volume var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Air Bag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10)내의 해부학적 강(15)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장치(1)를 설명한다. 상기 장치는, 위치이동가능한 플런져(32)에 의하여 밀폐된 방식으로 차단되어 있으며 공동의 삽입바늘(20)에 연결되어 있는 유체가 채워진 저장조(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유체내에 전파되는 압력을 계측하기 위하여, 상기 장치는 압력게이지(40)를 구비한다. 신호변환기(50)는 상기 압력게이지(40)에 의하여 제공된 지속적인 압력-계측 신호를 후속절차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시키는데 이용된다. 합성기(60)는 상기 변환된 압력-계측 신호를 상기 압력을 나타내는 지속적 소리신호로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가령, 상기 삽입바늘(20)이 위치이동되는 동안, 바늘끝(21)이 상기 해부학적강(15)에 도달된다면, 그 결과는 소리신호에서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변화이다. 상기 장치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압력-계측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몸체 내 해부학적 강의 위치를 알아내는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locating an anatomical cavity in a body}
본 발명은 몸체 내 해부학적 강(anatomical cavity in a body)의 위치를 알아내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자의 몸과 같은 몸체내의 강의 위치를 알아내는 것은 특히 마취를 위하여 중요하며, 마취에서는 해부학적 강, 예컨대 척수(spinal cord) 주변에 위치한 경막외강(硬膜外腔, epidural cavity) 내부로 마취작용을 하는 물질을 투여하는 것이 종종 필요하다. 상기 해부학적 강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하여, 공동(hollow)의 바늘과 등장액(等張液, isotonic liquid) 또는 가스혼합물(gas mixture)로 채워진 저장조(reservoir), 종종 위치이동가능한 플런져(displaceable plunger)가 구비된 주입시린지(injection syringe)가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경우에, 공동의 바늘은 위치를 알아내고자 하는 강의 주변부의 환자의 몸에 삽입된다. 상기 주입시린지(injection syringe)는 상기 바늘의 자유단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등장액 또는 가스혼합물은 상기 주입시린지로부터 상기 바늘을 통해 주사되어 상기 환자의 몸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바늘과 주사기를 다루는 사람, 예컨대 외과의사는 한 손은 상기 바늘을 상기 몸에 삽입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다른 한 손의 엄지손가락은 상기 주입시린지의 플런져를 가압하는데 사용한다. 상기 등장액은 상기 바늘의 개방단을 거쳐 상기 주입시린지로부터 배출되지만, 진행하는 도중 상기 바늘의 끝이 위치하고 있는 조직(tissue)으로부터 어느 정도의 저항을 받게 된다. 결과적으로, 일정한 힘이 상기 플런져에 가해져야 되고, 상기 등장액내에서 압력이 생성된다. 상기 바늘의 끝이 상기 해부학적 강에 도달했을 때, 상기 바늘로부터 배출되고 있는 상기 등장액은 더 이상 주변의 조직으로부터 저항을 받지 않게 되며, 상기 등장액내의 압력은 떨어지게 된다. 상기 조합체를 다루는 사람은, 주입시린지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손에서 이것을 느낄 수 있다. 상기 경막외강에 도달했을 때, 예컨대 마취제가 투여될 수 있도록 카테터(catheter)는 상기 바늘을 거처 상기 경막외강으로 종종 삽입된다.
상기 경막외강의 위치를 알았을 때, 상기 바늘의 끝이 상기 경막외강을 넘어 지나치지 않게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상기 경막외강 뒤에 있는 척수강(spinal cord cavity) 또는 척수가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이며, 이는 환자에게 안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결국, 해부학적 강의 위치를 알아내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바늘의 끝이 너무 깊게 삽입되는 위험을 방지하는 여러 종류의 방법들과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유형의 방법과 장치의 예는, 특히 EP 0 538 259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상기 공지된 장치는, 공동의 바늘, 상기 바늘과 연결되어 있는 유체저장조, 상기 유체를 가압하기 위한 펌프수단, 상기 유체에 전달되는 압력과 관련된 압력- 계측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계측수단, 상기 계측수단으로부터 생성된 압력-계측 신호를 후속절차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시키기 위한 신호-변환 수단 및 상기 신호-변환 수단에 의하여 변환된 압력-계측 신호와 관련된 청각신호를 발신하기 위한 재생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공지된 장치의 바늘은 몸체내로 삽입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주입시린지 형태의 저장조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주입시린지는 등장액 형태의 유체를 담고 있다. 상기 바늘과 주입시린지는 T형상의 연결기를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주입시린지내의 상기 등장액에 전달되는 압력을검출하고 계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압력-계측 수단이 또한 이러한 T-형상의 연결기에 연결된다. 상기 공지된 장치는 압력변화율을 측정하기 위해서, 상기 압력-계측 수단으로부터 생성된 압력-계측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또한 구비하며, 이 압력변화는 주로 상기 몸체내의 바늘의 이동에 따른 결과이다. 상기 프로세서와 압력-계측 수단으로부터 제공된 압력데이타는 프로세서에 저장된 차이(margins)와 지속적으로 비교된다.
상기 공지된 장치가 사용될 때, 상기 바늘의 끝은 위치를 알아내고 자 하는 상기 해부학적 강의 주변에 이미 위치하여 있는 상태이다. 상기 바늘, 주입시린지 및 압력-계측 수단은 스위치의 자리를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주입시린지에는, 상기 바늘을 통해 상기 액체를 이동시키는 펌프수단으로서 기능하여 상기 액체에 압력을 생성하는 플런져가 있다. 상기 주입시린지의 플런져에 가해지는 힘이 없는 때에 상기 스크린에 나타나는 압력은 0 으로 조정되어 있다. 그 다음, 상기 주입시린지와 바늘을 다루는 사람은 상기 플런져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 기 주사기내의 액체의 압력을 소정의 수준까지 올린다. 이 과정에서, 그는 언제든지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압력의 레벨을 읽을 수 있다. 상기 주입시린지내의 액체가 요구된 압력까지 도달했을 때, 상기 장치를 다루는 사람은 상기 플런져에 대한 압력을 조심스럽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린에 표시된 압력데이타를 이용하면서 상기 바늘을 상기 몸체의 강(cavity)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액체의 압력은 변화할 것이다. 상기 압력변화의 정도가 상기 프로세서에 저장된 최저치를 초과하거나 및/또는 일정한 시간에서의 상기 압력변화율이 상기 프로세서에 저장된 최저차이내에 있을 때, 상기 경고수단이 작동되며 상기 재생수단을 통해 첫 번째 청각경고신호를 보낸다. 상기 바늘의 추가적 이동이 없이 상기 플런져를 미세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압력이 다시 복원될 수 있다면, 상기 첫 번째 청각경고신호는 멈추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가령 더 많은 급격한 압력변화가 발생하고 상기 압력이 상기 플런져를 미세하게 이동시킴으로써 복원될 수 없다면, 상기 경고수단은 두 번째 청각경고신호를 보내게 되며, 이 신호는 첫 번째 경고신호와는 분명히 구별된다. 상기 두 번째 경고신호로부터, 상기 장치를 다루는 사람은 상기 바늘의 끝이 상기 해부학적 강에 도달했음과 상기 바늘을 이동시키는 것을 멈춰야 한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EP 0 538 259에 공지된 상기 장치 및 방법의 결점은 상기 청각경고신호들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한 상기 압력데이타의 해석에 기초하여 발신된다는 것이다. 상기 장치를 다루는 사람은 상기 순간의 압력을 상기 스크린에서 볼 수 있으며 상기 플런져를 통해 이러한 정보를 느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그의 청취에 의존 하게 되는 경향이 즉시 생기며 상기 청각경고음을 믿게 된다. 그러나, 사실상 이것은 충분한 것으로 입증된 것이 아니며, 결국 상기 장치를 다루는 사람은 상기 스크린을 역시 주시하게 되어 상기 바늘을 볼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결점을 제거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키는, 해부학적 강의 위치를 알아내는 개선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의 바늘과, 그 바늘에 연결되어 있으며 액체로 채워져 있는 저장조를 구비하는 해부학적 강의 위치를 알아내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저장조는 상기 유체를 가압하기 위한 펌프수단과 또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체내에서 전파되는 압력과 관련된 압력-계측 신호를 생성하는 계측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계측수단에 의하여 발생된 상기 압력-계측 신호를 후속절차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시키기 위한 신호-변환 수단이 제공된다. 청각재생수단도 역시 제공되며, 이 청각재생수단은 상기 유체내에서 전파되는 압력을 나타내는 청각신호를 발신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상기 압력은 상기 정각신호에 의하여 상기 장치를 다루는 사람 및 상기 바늘이 몸체내로 삽입되는 동안 참석한 참관자에게 지속적으로 유용하게 되며, 상기 청각신호는 상기 전파되는 압력, 즉 상기 압력신호를 나타낸다. 상기 장치를 다루는 사람은 결국 순간의 압력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얻기 위하여 그의 청취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데이터는 상기 저장조에 연결된 상기 바늘내의 압력을 직접적으로 나타낸다.
결국, 상기 장치를 다루는 사람은 상기 바늘을 육안으로 직접 지속적으로 주시할 수 있으며, 시각정보 및/또는 촉각정보에 기초하여 작업할 필요가 없다. 특별한 장점은, 상기 계측된 압력의 해석을 프로세서 보다는 상기 장치를 다루는 사람이 담당한다는 것과 각각의 경우의 내부의 개별적 압력변화들에 대하여 해석을 끌어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EP 0 538 259에 공지된 상기 장치와 방법의 결점은 상기 바늘의 끝이 너무 깊게 삽입되는 위험과 연관된 것이다. 비록 상기 알려진 장치가 이러한 위험을 감소시키더라도, 상기 장치를 다루는 사람의 감각은 상기 경고신호들에 의하여 지원되기 때문에, 한 손은 상기 바늘을 가압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다른 한 손은 상기 주입시린지의 플런져를 가압하기 위하여 사용됨에 따른 결과, 상기 해부학적 강에 도달했을 때, 상기 바늘이 관통(너무 깊게)하는 위험은 여전히 존재한다. 상기 바늘을 움직이는 것은 상대적으로 많은 힘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 위험은 결코 무시되어서는 않된다.
이러한 결점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중요하고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극복되며, 본 발명에는 자동펌프수단이 제공되며 특히 상기 유체를 지속적으로 이송시키는 자동펌프수단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를 사용할 때, 상기 장치를 다루는 사람은 그의 청취에 기초하여 순간순간의 압력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받게되며, 결국 상기 유체의 압력을 감각으로 느껴야 할 필요가 전혀 없다. 자동펌프수단의 사용은, 상기 장치를 다루는 사람이 상기 바늘의 끝을 상기 해부학적 강쪽으로 움직이게 하는데 두 손을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두 손이 사용될 때, 상기 장치를 다루는 사람은 이 목적을 위하여 한 손만을 사용할 때보다 훨씬 제어된 방식으로, 상기 바늘을 삽입할 수 있다. 더욱이, 그는 이제 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어떠한 힘도 줄 필요가 없고 단지 상기 바늘에 힘을 가하기만 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펌프수단은, 위치이동가능한 플런져를 구비하며, 상기 펌프수단에는 상기 플런져를 상기 저장조내로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drive unit)이 제공된다.
상기 구동유닛이 상기 플런져를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킨다는 사실은, 상기 바늘이 삽입될 때 상기 바늘의 끝은 다양한 형태의 조직들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상기 자동펌프수단에 의하여 상기 플런져에 가해지는 힘은 계속 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대적으로 단단한 조직의 경우, 부드러운 조직의 경우보다 상기 바늘로부터 유출된 유체는 그 조직으로부터 보다 큰 저항을 받게 된다. 상기 바늘의 끝이 상기 해부학적 강에 도달했을 때, 상기 유체는 사실상 저항없이 상기 해부학적 강 내부로 흘러 들어가게 되며, 결국 상기 플런져에 어떠한 힘도 가해질 필요가 없게 된다. 이것은 결국 상기 유체의 압력을 상당히 떨어지게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상기 바늘의 끝이 너무 깊게 들어가게 되는 위험은 EP 0 538 259에 공지된 장치에 비하여 상당히 감소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는 훈련목적의 용도, 특히 의료계종사자를 훈련시키기 위한 용도에 탁월하게 적합하다. 교사는 상기 바늘의 끝에서의 압력상태에 대한 정보를 항상 들을 수 있기 때문에, 교사는 쉽게 학생 또는 피훈련자의 행동들을 모니터 할 수 있으며 적절한 지시를 쉽게 제공할 수 있다. 가령, 상기 구동수단을 구비한 바람직한 구현예가 사용되고 있다면, 이 구현예는 상기 학생 또는 피훈련자가 단지 상기 바늘을 이동시키는 것에만 집중해야 하고, 이것을 하는데 양 손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추가적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또한 해부학적 강을 알아내기 위한 장치에 특히 사용되기 위한 계측 및 신호발생장치 및 관측자를 위하여 몸체 내부에 위치한 공동의 바늘의 끝 지점에서의 유체내의 압력을 계측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의 첫 번째 바람직한 구현예의 측면도이며, 여기서 상기 장치의 부분들은 도식적으로 예시되어 있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의 바람직한 두 번째 구현예의 일부분을 도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의 첫 번째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며, 이 구현예는 전체로서 참조번호 11에 의하여 표시되어 있다.
도 1은 상기 장치(1)의 가능한 용도들 중 하나인 해부학적 강, 특히 인체내의 경막외강의 위치를 알아내는 용도를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인체의 소부분은 도 1의 단면부분에 도시되어 있으며, 참조번호 10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해부학적 강 또는 경막외강은 참조번호 15에 의하여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및 다른 면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를 알아내는 장치의 도면을 참조한 두 개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대한 이하의 기술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며, 이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기 장치(1)는 바늘끝(21)을 구비한 공동의 삽입바늘(20)(hollow puncture needle)을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예에서, 상기 삽입바늘(20)은 상기 몸체(10)내로 삽입되는 부분이며, 상기 바늘끝(21)은 상기 경막외강(15)의 주변부에 위치한다.
상기 삽입바늘(20)에는 핸들(22)이 제공되며, 이 핸들은 상기 삽입바늘(20)을 다루는 사람, 예컨대 외과의사에 의하여 쥐어지는 부분이다. 이 핸들(22)은, 삽입바늘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삽입바늘(20)에 밀거나 당기는 힘을 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주입시린지 형태의 저장조(30)는 상기 삽입바늘(20)과 동일선상에 위치한다. 상기 저장조(30)는 유체가 채워지는 공간(31) 및 일측을 밀폐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저장조(30)를 폐쇄하는 위치이동가능한 플런져(32)를 구비한다.
본 구현예에서 상기 위치이동가능한 플런져(32)는 상기 저장조(30)내의 유체에 압력을 생성시키는 펌프수단으로 기능한다. 상기 펌프수단으로서 플런져를 이용하는 것의 대체물로서, 예컨대 벨로즈(bellows)나 다른 적합한 펌프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저장조(30)는 연결부(33)를 매개로 상기 삽입바늘(20)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것은 유체가 상기 저장조(30)로부터 상기 삽입바늘(20)로 유입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저장조(30)내의 유체는 기체 또는 예컨대 무균의 등장액과 같은 액체일 수 있다. 이하의 본문에서, 본 발명은 상기 저장조(30)내에 등장액이 있는 상태에 따른 예에 기초하여 논의될 것이지만, 본 발명은 상기 저장조(30)내에 기체가 있는 놓여 있는 상태에 따른 구현예에도 동등하게 잘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저장조(30)내의 상기 액체의 압력을 계측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를 알아내는 장치(1)에는 전기적 압력게이지(40)가 제공된다. 상기 압력게이지(40)의 출력기(41)는 신호변환기(50)의 입력기(51)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신호변환기는 상기 압력게이지(40)에 의하여 제공된 압력-계측 신호를 후속절차에 이용되기에 적합한 형태, 예컨대 전압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신호변환기(50)는 상기 변환된 압력-계측 신호를 청각출력기(52)와 시각출력기(53) 모두에 발신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상기 압력게이지(40)와 상기 신호변환기(50)는 두 개의 분리된 요소들 대신에 단일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합성기(60)의 하나의 입력기(61)는 상기 청각출력기(52)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합성기(60)는, 상기 저장조(30)내에 전파되는 압력, 즉 상기 변환된 압력-계측 신호를 나타내는 소리신호형태를 형상하기 위하여, 상기 변환된 압력-계측 신호를 처리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상기 합성기(60)는, 출력기(62)를 통하여, 소리신호를 발산하기 위한 확성기(70)에 연결되어 있다. 적절하다면, 오디오엠프(상세하게는 미도시)가 상기 소리신호를 증폭시킬 목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소리신호와 상기 변환된 압력-계측 신호 사이의 관계로 인하여, 상기 소리신호는 상기 저장조(30)내의 액체에서 전파되고 있는 압력을 대변한다. 상기 소리신호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면들은 상기 변환된 압력-계측 신호와 직접적으로, 지속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합성기(60)의 조절에 의존한다. 예컨대, 상기 소리신호의 피치(pitch)는 상기 압력을 대변할 수 있지만, 가령 상기 소리신호가 파동성을 가지고 있다면, 예컨대 볼륨이나 파(pulse)의 주파수가 상기 압력을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가능성은 상기 피치와 볼륨 및 주파수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는 것이다. 하나의 가능하며 적절할 수 있는 조합은, 예컨대 상기 피치를 상기 압력을 계측하는 용도로, 상기 볼륨을 상기 압력의 변화율을 계측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어 급격한 압력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완만한 변화가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강한 소리신호가 발산된다. 상기 예에서, 또 다른 가능성은 상기 피치와 볼륨의 역할을 교환하는 것이다.
엠프(80)의 입력기(81)는 상기 시각출력기(53)에 연결되어 있으며, 증폭되고 변환된 압력-계측 신호를 출력기(82)로 발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엠프(80)는, 상기 증폭되고 변환된 압력-계측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조(30)내의 액체의 압력을 나타내는 시각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상기 출력기(82)를 통해 스크린(90)에 연결되어 있다.
압력게이지(40), 신호변환기(50), 합성기(60), 확성기(70), 엠프(80) 및 스크린(90)을 구비한 상기 조합체는, 도 1에 파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계측 및 재생유닛(100)으로 이하 명명된다.
상기 장치(1)가 몸체내의 경막외강(15)의 위치를 알아내는데 사용되기 전에, 상기 삽입바늘(20)은 먼저 상기 경막외강이 위치한 부근에서 상기 몸체(10)내로 약간 삽입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저장조(30)와 거기에 연결된 상기 계측 및 재생유닛(100)은 상기 삽입바늘(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먼저 모든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연결되고, 그 다음 상기 액체가 가압되며, 상기 액체가 상기 바늘(20)로부터 유출되자마자 상기 삽입바늘(21)이 상기 몸체(10)내로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상기 압력계측이 즉시 시작될 수 있기 때문에, 후자의 방법이 바람직하다.
가령 상기 장치(1)를 다루는 사람이 상기 플런져(32)에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저장조(30)내에 위치한 액체내에서 압력은 상승하게 된다. 이 압력의 결과로써, 상기 액체는 저장조(30)와 삽입바늘(20)을 구비한 상기 유닛으로부터 상기 바늘끝(21)을 거쳐 배출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바늘끝(21)에서 배출된 액체는, 상기 바늘끝(21)이 놓여 있는 상기 조직에 의하여 상기 액체의 흡수에 대한 저항을 받게 된다. 이 저항은, 상기 장치(1)를 다루는 사람이 상기 플런져(32)에 힘을 가함으로써 극복되어야 하는 압력으로서 표현될 수 있다. 가령 상기 장치(1)를 다루는 사람이 상기 삽입바늘(20)을 상기 경막외강(15)쪽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플런져(32)를 (약간)위치이동시키는 것이 보장된다면, 상기 플런져(32)에 가해지는 힘 및 그 결과 상기 액체내에서 전해지는 압력은 항상 상기 삽입바늘끝(21)에서의 압력과 언제나 동일하게 된다.
상기 청각신호는 언제나 상기 액체내 순간의 압력을 청각 재생한 것이므로 그 결과 발신된 청각신호가 상기 측정된 압력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상기 합성기(60)는 설치된다.
상기 액체가 상기 바늘끝(21)을 떠날 때 상기 액체가 겪게 되는 상기 저항의 어떤 변화들은 상기 저장조(30)내의 압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상기 저장조(30)내의 압력의 변화는 차례로 상기 소리신호의 변화들을 직접적으로 불러온다. 그러므로 상기 삽입바늘(20)을 다루는 사람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압력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결국 그가 인지한 청각신호에서의 어떤 변화들을 이용할 수 있다. 가령 시각재생이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면, 이것은 시각신호에 적용될 것이다.
상기 바늘끝(21)이 상기 경막외강(15)에 이르렀을 때, 상기 배출된 액체는 매우 작은 저항을 받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액체를 상기 저장조(30)로부터 이동시키 위하여, 작은 힘이 상기 플런져(32)에 가해져야 한다. 결과적으로 저장조(30)에서의 압력은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지식으로, 상기 바늘끝(21)이 상기 경막외강(15)에 도달했다는 것과 상기 삽입바늘(20)의 몸체(10)내로의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는 것이 상기 소리신호의 급격하고 현저한 변화로부터 유추될 수 있다. 가령 시각재생의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면, 상기 장치(1)를 다루는 사람은 스크린(90)을 주시할 수 있으며 상기 경막외강(15)에 도달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장치(1)를 사용할 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리신호에서 인지한 변화들에 기초하여 작업하므로 상기 압력-계측 신호의 교정(calibration)은 결정적이지 않다. 예컨대, 상기 소리신호의 볼륨 또는 피치의 절대치들은 중요한 것이 아니다.
상기 연속적 압력-계측 신호는 마찬가지로 전압신호로서, 상기 신호변환기(50)에 의하여, 상기 시각출력기(53)를 통하여, 상기 엠프(80)의 입력기(81)로 제공된다. 상기 출력기(82)를 통하여, 상기 압력-계측 신호는 증폭된 형태로 상기 스크린(90)에 제공되며, 이 스크린은 제공된 상기 압력-계측 신호에 기초하여 시각신호를 전송한다. 역시 이 경우에도, 상기 압력-계측 신호와 상기 시각신호 사이에는 상기 시각신호가 상기 바늘끝(21)에서의 압력을 나타내는 관계가 있다.
상기 스크린(90)은, 예컨대 상기 시각신호를 수치의 형태로 재생하거나 또는 시간에 따라 상기 측정된 압력을 곡선의 형태로 도시하도록 고안될 수 있다. 상기 경막외강(15)에의 도달은 매우 특징적이며 그래서 상당히 분간할 수 있는 곡선을 야기하기 때문에, 상기 압력을 시간에 따라 곡선형태로 도시한 시각재생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린(90)에는, 상기 수치가 교정되게 하는 수단이 제공될 수 있지만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바늘끝(21)이 상기 경막외강(15)에 도달했는지 아닌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신호의 변화들에 기초하여 작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바늘(20)이 몸체내부로 삽입되는 동안, 상기 지속적인 소리신호는 상기 지속적 시각신호보다 훨씬 중요하다. 이것은 상기 사용자가 적어도 이동중에는 상기 삽입바늘(20)을 주시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시각신호를 관찰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상기 스크린(90)을 주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장치(1)를 다루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는 원칙적으로 상기 소리신호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 있으며 그의 눈을 상기 삽입바늘(20)의 이동을 주시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리신호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바늘끝(21)에서의 압력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다른 상기 장치(1)에서, 상기 신호변환기(50)의 시각출력기(53), 상기 엠프(80) 및 상기 스크린(90)은 바람직하게는 생략가능하며,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1)에는 상기 신호변환기(50)의 시각출력기(53), 상기 엠프(80) 및 상기 스크린(90)은 상기 첫 번째 바람직한 구현예의 특별한 변형을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시각신호는 모니터링 옵션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2)의 두 번째 바람직한 구현예의 일부분을 도식으로 나타낸다. 상기 장치(2)의 두 번째 구현예는 도 1에 도시된 첫 번째 바람직한 구현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구비한다.
상기 장치(2)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기 공동의 삽입바늘(도 1 참조)은 도 2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저장조(30)는 호스(34)와 연결부(33)에 의하여 상기 삽입바늘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장치(2)에는, 상기 플런져(32)에 가해진 힘의 결과로서, 상기 유체 특히 플런져(32) 및 상기 저장조(31)내에 상기 플런져의 밑에 위치한 상기 액체(또는 바람직하게는 기체혼합물)를 이동시키기 위한 자동펌프수단이 제공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상기 장치(2)는 연결로드(35)를 구비하며, 연결로드의 일단은 구동유닛(110)에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로드의 타단에는 압력디스크(36)가 제공된다. 상기 구동유닛(110)은, 상기 연결로드(35)의 축방향 이동을 이루기 위하여, 상기 연결로드(35)에 힘을 가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압력디스크(36)는 상기 플런져(32)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예로서, 상기 구동유닛(110)은 (저장)배터리(120)에 연결되어 있는 전기모터일 수 있다. 상기 플런져(32)의 바람직한 자동위치이동을 위한 적절한 구동유닛의 일예는 전문분야에서 알려진 주입펌프(injection pump)이다. 이런 타입의 펌프는 매우 정확하게 소량의 액체를 이송시키는데 특히 적합하다. 에너지를 상기 구동유닛(110)에 제공하기 위한 다른 가능성들을 생각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장치(2)에는 상기 구동유닛(110)을 본관(本管)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펌프를 상기 저장조(30)와 상기 바늘(20)사이에 배열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이 경우에, 상기 펌프수단은 상기 저장조에서 어떠한 압력도 생성시키지 않지만, 상기 액체를 상기 저장조로부터 흡입하여 이것을 일정한 압력하에 상기 바늘을 거쳐 배출시킨다. 결국,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저장조내의 압력의 계측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지만, 상기 바늘에서 또는 상기 펌프를 막 지난 후의 압력의 계측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생성된 압력을 결정하기 위한 또 다른 가능성은, 펌프수단에 의하여 소비된 동력을 측정하는 것이고,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펌프수단에 의하여 발생된 압력차를 계산한다. 이러한 가능성은 더 이상 자세히 보여주지 않는다.
상기 플런져(32)의 자동위치이동의 중요한 장점은 상기 장치(2)를 다루는 사람이 상기 삽입바늘을 이동시키는데 두 손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장치(도 1)의 첫 번째 바람직한 구현예의 설명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상 기 저장조(30)내의 압력은 지속적으로 소리신호에 의하여 들을 수 있게 제공된다. 결국, 상기 장치를 다루는 사람이 상기 플런져(32)를 스스로 가압하는 것은 전혀 필요없다. 그러나, 이것은, 예컨대 EP 0 538 259로부터 공지된 장치가 사용될 때, 요구되는 것이다.
상기 저장조(30), 상기 연결로드(35), 상기 구동유닛(110) 및 상기 (저장)배터리(120)는 도 2에 파선에 의하여 도식으로 표시된 상기 계측 및 재생유닛(100)으로서의 하우징(130)의 내부에 모두 배치된다. 이 배열은 상기 삽입바늘에 용이하게 연결되는 컴팩트한 조합체가 발생되기 때문에, 이러한 타입의 배열은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조(30)는, 상기 하우징(130)내의 이러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공간내에 설치되며, 이 저장조는, 상기 공간의 위치에서, 사용전에 용이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후에 상기 하우징(130)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형태로, 바람직하게 설계된다.
상기 하우징(130)을 예컨대 탁자 또는 침대와 같은 어떤 바람직한 목적물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30)의 외부에 클램핑수단(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상기 압력게이지(40)는, 상기 구동유닛(110)에 의하여 상기 연결로드(35)에 가해진 힘을 픽업(pick up)하도록 고안된 힘픽업장치(force pick up)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 상기 신호변환기(50)는 힘-전압 변환기로서 설계된다. 상기 구동유닛(110)은, 상기 압력게이지(40)의 힘픽업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제 어유닛(111)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장치(111)는 상기 플런져(32)의 위치이동을 일정속도로 하게 하는 책임을 지며, 결국 상기 바늘을 통한 상기 액체의 일정한 유동을 형성하는 책임을 진다. 상기 플런져(32)의 위치이동의 결과, 상기 저장조(30)내에 위치한 액체에서의 압력은 상승한다. 이 압력의 결과, 상기 액체는, 상기 바늘끝을 거쳐, 상기 저장조(30)와 삽입바늘을 구비한 조합체로부터 배출되는 것이 용이해 진다. 이 과정에서, 상기 바늘끝에서 배출된 액체는 상기 바늘끝이 위치한 조직에 의하여 상기 액체의 흡수에 대한 저항을 받게 된다. 이 저항은, 상기 플런져(32)에 가해진 힘의 결과로서 상기 구동유닛(110)에 의하여 극복되어야 할 압력 그 자체로서 표현된다. 상기 삽입바늘이 상기 경막외강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상기 플런져(32)가 위치이동되는, 상기 지속적이지만 느린 속도는 상기 플런져(32)에 가해진 힘을 의미하며, 결국 상기 액체내에서 전파되는 압력은 항상 상기 바늘끝에서의 압력과 동일하다.
상기 플런져(32)가 일정한 속도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플런져(32)가 단계적으로 이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상기 바늘이 너무 깊게 삽입되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분히 짧은 간격으로 상기 이동 단계들이 서로 보조를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유닛(110)이 상기 플런져(32)를 누르는 힘은 상기 제어장치(111)에 의하여 제어된다. 안전을 위하여, 상기 제어장치(111)에는 상기 액체에 전파되는 최대압력 즉 상기 플런져(32)에 가해지는 최대힘을 제한하는 압력제한기(pressure limiter)가 제공된다. 이것은 제어되지 않은 방식으로 상기 플런져(32)에 힘이 가 해지는 가능성을 방지하며, 결국 상당한 힘으로 액체가 상기 몸체로 삽입될 때, 상기 몸이 입게 되는 피해의 가능성을 방지한다.
적절한 구동을 위하여, 상기 연결로드(35)의 일부분에는 헬리컬 톱니(helical toothing)가 제공되며, 이 경우에 상기 구동유닛(110)에는 상기 일부분과 맞물리는 구동기어가 제공된다. 이 경우에, 상기 압력게이지(40)의 힘픽업장치는 상기 기어에 의하여 상기 연결로드(35)에 가해지는 힘을 계측하도록 고안될 수 있다.
상기 경막외강의 위치를 알아내는 과정은 예컨대 상기 호스(34)방향으로 상기 플런져(32)를 위치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저장조(30)내의 등장액을 가압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상기 구동유닛(110)은 도 2의 왼편으로 연결로드(35)에 가해진다. 이 힘의 결과, 상기 연결로드(35)는 축방향으로 움직이며, 상기 플런져(32)는 상기 압력디스크(36)를 거쳐 상기 호스(34)의 방향으로 동일하게 움직인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액체는 상기 몸체쪽으로 움직이는 것이 용이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액체는, 이미 논의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의 조직으로부터 저항을 받게 되며, 이 저항은 상기 몸체에 의하여 가해지는 반대압력을 겪게되며, 결국 상기 액체내의 압력으로 변환된다.
상기 액체를 상기 몸체의 조직으로 주입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유닛(110)에 의하여 상기 연결로드(35)에 가해진 힘은 직접적으로 상기 바늘끝에서의 압력과 관련되어 있으며, 적어도 상기 저항을 극복해야 한다. 가령 상기 바늘끝이 실질적으로 동질의 조직을 통과하여 이동한다면, 상기 바늘끝에서의 압력은 거의 변하지 않 을 것이며, 상기 가해질 힘은 사실상 일정하다. 상기 엠프(70)는 이 경우에 마찬가지로 변하지 않는 소리신호를 발신할 것이다.
상기 저장조(30)내의 액체가 상기 출발압력이 된 후에, 상기 구동유닛(110)은 상기 연결로드(35)를 일정하게, 바람직하게는 느리게 이동시키도록 고안된다. 상기 조직이 상기 액체의 흡수에 대한 동일한 저항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상기 플런져(32)는 일정한 이동/이동속도가 바람직하므로 상기 바늘끝이 상기 몸체의 조직을 통해 움직일 때 상기 구동유닛(110)이 상기 플런져(32)를 가압하는 힘은 변할 것이다. 그 결과, 상기 액체내의 압력은 상기 바늘끝이 이동하는 동안 마찬가지로 변하게 된다. 상기 계측 및 재생유닛(100)은, 도 1을 참조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을 계측하고 청각 및/또는 시각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바늘끝이 상기 경막외강에 도달했을 때, 상기 액체는 상기 경막외강으로 흘러 들어가며, 상기 액체의 흡수에 대한 저항은 갑자기 또한 매우 유의성 있게 줄어들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액체내에서 전파되는 압력은 마찬가지로 갑자기 또한 유의성 있게 저하된다. 이 때에, 상기 구동유닛(110)은 상기 연결로드(35)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경막외강에 도달하기 전의 상황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훨씬 적은 힘을 가하면 된다. 상기 힘의 갑작스럽고 유의성 있는 변화는, 소리신호 및 적절하게는 시각신호의 갑작스럽고 유의성 있는 변화로서 상기 장치(2)를 다루는 사람에 의하여 관찰된다. 상기 장치(2)를 다루는 사람은 상기 바늘끝이 상기 경막외강에 도달했다는 것과 상기 삽입바늘의 이동을 멈춰야 한다는 것을 이러한 형식의 변화로부터 유추할 수 있다. 이후 그는, 상기 경막외강내로 투입될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주입시린지를 상기 삽입바늘로 위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또는 경막외 카테터로 알려진 것을 삽입하기 위하여, 이후 상기 연결부(33)에서 상기 삽입바늘과 상기 장치의 남아있는 구성요소들과의 연결을 해제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나타나 있지 않은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압력-계측 신호의 추이(profile)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수단을 구비한다. 특히, 상기 계측된 압력데이타가 저장되고 이후 복원될 수 있는 전자메모리 또는 예컨대 자기저장수단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압력-계측 신호의 추이가 종이에 직접적으로 인쇄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기록수단의 주요한 장점은 상기 장치를 다루는 사람이 사실상 상기 의도된 해부학적 강에 도달했었는지 여부를 돌이켜 평가할 수 있다는 것과 필요하다면 이것을 증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장점은, 상기 바늘이 몸체내에서 이동되는 동안 상기 기록된 압력데이타가 저장된다면 더욱 커질 것이며, 이 데이터를 가지고 계측된 압력이 시간에 따라 도시된 곡선을 작성하는 것도 쉬워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해부학적 강에 도달하면 매우 특징적이며 결국 분별력 있는 곡선을 만들어 내기 때문에, 시간에 따라 작도된 압력커브 형태의 시각재생은 매우 유용하다. 압력계측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기록수단은 발명적 사상으로 별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상기 기록수단은 청각 또는 시각신호를 생성하는 재생수단과 함께 사용될 필요가 없다. 상기 저장은 이후의 상기 압력계측데이타에 대한 참고로서도 중요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위에서 논의된 실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으면서, 이 예들의 다양한 변화와 개량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발명적 사상은 종종 경막외강의 위치를 알아내는 단계의 후속단계, 즉 상기 경막외강내에 경막외 카테터(catheter)의 위치를 정하는 것에 적용가능하다.
상기 경막외강의 위치를 알아내는 것은 종종 마취물질을 상기 카테터를 통해 투입하는 것의 예비단계이다. 이 경우에, 상기 카테터의 끝이 정확한 위치 즉, 상기 경막외강내에 위치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상기 바늘끝이 상기 경막외강에 도달한 후 상기 삽입바늘로부터 상기 저장조와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기 카테터는 삽입될 수 있으며, 그 다음 상기 카테터를 상기 삽입바늘을 통하여 상기 경막외강으로 가이딩한다. 종종 상기 카테터의 위치를 설정하는 사람은 상기 카테터가 정확하게 위치되었을 때의 합당한 느낌을 가져야 하며, 더욱이 정확한 위치설정이 바람직하다는데 대하여 확신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계측 및 신호발생 장치는 이러한 상황에서 이롭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테터가 상기 삽입바늘을 거쳐 삽입되었을 때, 그 정확한 위치설정은, 상기 계측 및 신호발생 장치의 어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른 계측 및 신호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주입되게 될 상기 액체를 가압하는 것과, 상기 압력을 계측하는 것과, 특히 이 압력의 상기 변화(들)에 의하여 점검될 수 있다.
상기 액체가 상기 카테터에 공급됨에 따라 상기 카테터내의 액체가 가압되는 동안, 상기 액체의 압력은 최초로 상승할 것이다. 가령, 상기 액체가 이후 카테터를 통하여 주입되고, 상기 카테터의 끝이 사실상 상기 경막외강에 도달했다고 한다면, 상기 액체는 사실상 저항없이 상기 경막외강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고, 상기 액체내의 압력은 결국 변하지 않거나 또는 거의 변하지 않을 것이며, 상기 계측 및 신호발생 장치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청각신호 및/또는 상기 시각신호는 사실상 변화가 없을 것이다. 상기 작업을 수행하는 사람은 상기 카테터가 정확하게 위치설정 되었다는 것과 상기 카테터를 그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는 것을 즉각 알게 된다.
상기 본문은 인체내의 경막외강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의 적용을 기술한 것이다. 또한 상기 장치는 그 특성의 관점에서 그 주변의 밀접한 지역과 다르며 몸체내에 위치하고 있는 국부(region)의 위치를 알아내는 데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이러한 문맥에서, 예컨대 인체내의 종기 또는 종양의 위치를 알아내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종양은 일반적으로 그것이 위치하고 있는 주변조직과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암은 상기 주변조직과 비교할 경우 유체의 주입에 대한 다른 저항을 나타낼 것이다. 가령 본 발명에 따른 상기장치가 상기한 방식과 유사하게 사용된다면, 상기 바늘끝에서 계측된 압력의 급격한 변화는 찾고자 하는 지역에 도달했음을 나타내게 될 것이다. 이러한 사정에서, 위치를 알고자 하는 지역에 선행하는 몸체내의 일부분에서 상기 바늘이 이동하고 있는 동안 상기 유체내에서 발생하는 상기 압력의 변화들은 상기 바늘끝이 상기 위치를 알고자 하는 지역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유체에서 일어나는 상기 압력의 변화에 비하여 훨씬 적을 것이다. 위치를 알고자 하는 지역이 사실상 발견되었다는 것을 매우 높은 정도의 확실성으로 수립할 수 있도록, 가령 위치를 알고자 하는 지역이 그 지역을 둘러싸고 있는 지역과 어떻게 차이나는 지를 알고 있다면 이로울 것이다.
상기 바늘끝이 상기 강에 도달했을 때 상기 유체내에서 일어나는 상기 압력의 변화보다 상기 강에 선행하는 몸체의 일부에서 상기 삽입바늘이 이동하는 동안 상기 유체에서 일어나는 압력의 변화가 유의성있게 적다고 가정한다면, 상기 장치는 어떤 요구되는 몸체내의 어떤 요구되는 강의 위치를 알아내는데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상기 본문은 등장액을 이용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고 있다. 이미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기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기체는 액체에 비하여 매우 크게 압축될 수 있는 매체이다. 상기 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동안 이것을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동안 상기 기체의 일정한 유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또한 상기 장치에는 부가적인 제어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Claims (35)

  1. 공동(hollow)의 바늘;
    상기 바늘과 연결되어 있으며 유체가 채워져 있는 저장조;
    상기 유체를 가압하기 위한 펌프수단;
    상기 유체 내에서 전파되는 압력과 연관되어 있는 압력-계측 신호를 생성하는 계측수단;
    상기 계측수단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압력-계측 신호를 변환된 압력-계측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신호-변환 수단; 및
    상기 신호-변환 수단에 의하여 변환된 상기 압력-계측 신호와 연관되어 있는 청각신호를 발신하기 위한 재생수단을 구비한, 몸체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재생수단은, 상기 유체내에서 전파되는 압력을 지속적으로 나타내는 상기 청각신호를 발신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신호의 피치는 상기 유체 내에서 전파되는 압력을 나타내는,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신호의 볼륨은 상기 유체 내에서 전파되는 압력을 나타내는,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변환 수단은 상기 변환된 압력-계측 신호를 전압의 형태로 발신하도록 설계된,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단은 합성기, 소리엠프 및 확성기를 구비하는,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내에서 전파되는 압력을 나타내는 시각신호를 발신하도록 설계된 시각재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재생수단은 엠프 및 스크린을 구비하는,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상기 압력-계측 신호의 추이(profile)를 기록하도록 설계된 기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수단은 이동가능한 플런져를 구비하는,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자동펌프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펌프수단은 유체를 지속적으로 이송시키도록 설계된,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수단은 상기 저장조 내의 플런져를 위치이동시키도록 설계된 구동유닛을 구비하는,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수단은 상기 구동유닛에 의하여 상기 플런져에 가해진 힘을 픽업하도록 설계된,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의 압력을 제한하기 위하여 압력제한수단이 제공된,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장치.
  15. 하우징;
    유체가 채워져 있는 저장조를 수용하고 또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된 공간으로서, 유체가 채워져 있는 저장조는 유체를 가압하기 위한 펌프수단에 연결되고 또한 공동의 바늘에 연결되도록 설계된, 공간;
    상기 유체 내의 전파되는 압력과 연관되어 있는 압력-계측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계측수단;
    상기 계측수단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압력-계측 신호를 변환된 압력-계측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신호-변환 수단; 및
    상기 신호-변환 수단에 의하여 변환된 상기 압력-계측 신호를 지속적으로 나타내는 청각신호를 발신하도록 설계된 재생수단;을 구비하고,
    제1항에 따른 장치를 위한,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계측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수단은 이동가능한 플런져를 구비하는,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계측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자동펌프수단이 제공되는,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계측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수단은 유체를 지속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설계된,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계측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수단은 상기 플런져를 위치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계측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수단은 상기 구동유닛에 의하여 상기 플런져에 가해지는 힘에 기초한 상기 압력-계측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계된,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계측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수단에는, 일단이 상기 이동가능한 플런져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는 이동가능한 연결로드와, 상기 연결로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이 제공되어 있는,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계측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수단에는 상기 연결로드에 가해진 힘을 픽업하기 위한 힘픽업이 제공되어 있는,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계측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변환 수단은 힘-전압 변환기를 구비하는,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계측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헬리컬 톱니가 제공되어 있는,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계측 장치.
  25. 제15항에 있어서,
    청각신호를 발신하도록 설계된 상기 재생수단은 합성기 및 확성기를 포함하는,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계측 장치.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계측 신호를 나타내는 시각신호를 발신하기 위한 시각재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계측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재생수단은 엠프와 스크린을 구비하는,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계측 장치.
  28. 제15항에 있어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압력-계측 신호의 추이를 기록하도록 설계된 기록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계측 장치.
  2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를 임의의 원하는 목적물에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제공되는 부착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기 위한 계측 장치.
  30. 몸체 내에 위치한 공동의 바늘의 바늘끝의 위치에서의 몸체 내의 압력을 관찰자에게 신호로 알리기 위한 방법으로서,
    유체를 상기 공동의 바늘 속으로 주입하는 단계;
    상승된 압력을 상기 유체에 적용시키는 단계;
    상기 유체 내의 압력을 계측하는 단계; 및
    상기 유체 내의 순간 압력을 지속적으로 나타내는 청각신호를 생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몸체 내에 위치한 공동의 바늘의 바늘끝의 위치에서의 몸체 내의 압력을 관찰자에게 신호로 알리기 위한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내에서의 순간 압력을 나타내는 시각신호를 생성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체 내에 위치한 공동의 바늘의 바늘끝의 위치에서의 몸체 내의 압력을 관찰자에게 신호로 알리기 위한 방법.
  32. 공동의 바늘 내의 유체 내에서 전파되는 압력과 관련된 압력-계측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계측수단;
    상기 계측수단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압력-계측신호를 변환된 압력-계측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변환수단; 및
    상기 신호-변환수단에 의하여 변환된 압력-계측신호를 지속적으로 나타내는 청각신호를 발신하도록 설계된 재생수단을 구비하는, 몸체(10) 내에 놓여 있는 영역의 위치를 알아내는 제1항에 따른 장치를 위한 조립체.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KR1020037016568A 2001-06-20 2002-06-20 몸체 내 해부학적 강의 위치를 알아내는 장치 및 방법 KR1009107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18334 2001-06-20
NL1018334A NL1018334C2 (nl) 2001-06-20 2001-06-20 Inrichting voor het lokaliseren van een holte in het inwendige van een lichaam.
PCT/NL2002/000405 WO2003000146A1 (en) 2001-06-20 2002-06-20 Device and method for locating an anatomical cavity in a bod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742A KR20040010742A (ko) 2004-01-31
KR100910783B1 true KR100910783B1 (ko) 2009-08-04

Family

ID=1977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6568A KR100910783B1 (ko) 2001-06-20 2002-06-20 몸체 내 해부학적 강의 위치를 알아내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1) US7922689B2 (ko)
EP (1) EP1397078B1 (ko)
JP (2) JP4738732B2 (ko)
KR (1) KR100910783B1 (ko)
CN (1) CN1278653C (ko)
AT (1) ATE337733T1 (ko)
BR (1) BRPI0210600B8 (ko)
CA (1) CA2450569C (ko)
CY (1) CY1105770T1 (ko)
DE (1) DE60214372T2 (ko)
DK (1) DK1397078T3 (ko)
ES (1) ES2271267T3 (ko)
HU (1) HU229825B1 (ko)
IL (2) IL159366A0 (ko)
MX (1) MXPA03011780A (ko)
NL (1) NL1018334C2 (ko)
NO (1) NO341943B1 (ko)
NZ (1) NZ530667A (ko)
PL (1) PL205959B1 (ko)
PT (1) PT1397078E (ko)
RU (1) RU2297188C2 (ko)
TR (1) TR200302201T2 (ko)
WO (1) WO2003000146A1 (ko)
ZA (1) ZA2003093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9008B2 (en) 1998-04-10 2008-11-11 Milestone Scientific, Inc. Drug infusion device with tissue identification using pressure sensing
US6773417B2 (en) * 2001-07-06 2004-08-10 Ispg, Inc. Epidural space locating device
GB0301934D0 (en) 2003-01-28 2003-02-26 Sundar Satish Delivery apparatus and location method
WO2004082491A1 (en) * 2003-03-18 2004-09-30 Robert Ganz Method and device for delivering a substance to tissue layers
CA2433205A1 (en) * 2003-03-18 2004-09-18 James Alexander Keenan Drug delivery, bodily fluid drainage, and biopsy device with enhanced ultrasonic visibility
JP4722849B2 (ja) * 2003-09-12 2011-07-13 マイルストーン サイアンティフィック インク 圧力検知を使用した組織を同定した薬剤注入装置
JP2007188087A (ja) 2006-01-13 2007-07-26 Lg Electronics Inc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WO2008036890A1 (en) * 2006-09-22 2008-03-27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Method and device to identify the impedance of tissues and other materials
US7618409B2 (en) * 2006-12-21 2009-11-17 Milestone Scientific, Inc Computer controlled drug delivery system with dynamic pressure sensing
US10219832B2 (en) 2007-06-29 2019-03-05 Actuated Medical, Inc. Device and method for less forceful tissue puncture
US9987468B2 (en) 2007-06-29 2018-06-05 Actuated Medical, Inc. Reduced force device for intravascular access and guidewire placement
US8328738B2 (en) * 2007-06-29 2012-12-11 Actuated Medical, Inc. Medical tool for reduced penetration force with feedback means
NL2002708C2 (en) * 2009-04-02 2010-10-05 Apad Octrooi B V Unit, assembly,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a sensor means provided in a medical localisation device.
US8814807B2 (en) 2009-08-19 2014-08-26 Mirador Biomedical Spinal canal access and probe positioning, devices and methods
WO2011022073A1 (en) * 2009-08-19 2011-02-24 Mirador Biomedical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access to target anatomical sites or environments
US10463838B2 (en) 2009-08-19 2019-11-05 Medline Industries, Inc Vascular access methods and devices
EP2579765B1 (en) * 2010-06-13 2019-08-07 Omeq Medical Ltd. Anatomical-positioning apparatus with an expandable device
WO2012040543A1 (en) * 2010-09-24 2012-03-29 Norkunas Matthew W Single operator anesthesia and drug delivery system
US8366672B1 (en) * 2011-05-06 2013-02-05 Barton Barry J Fluid administration system
JP5921827B2 (ja) * 2011-06-30 2016-05-24 株式会社トップ 硬膜外針穿刺システム
JP2015512711A (ja) * 2012-03-30 2015-04-3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医療用針
US9956341B2 (en) 2012-07-03 2018-05-01 Milestone Scientific, Inc. Drug infusion with pressure sensing and non-continuous flow for identification of and injection into fluid-filled anatomic spaces
WO2014122269A1 (en) * 2013-02-07 2014-08-14 Medizinische Universität Graz Infusion arrangement and method
US9320851B2 (en) 2013-02-07 2016-04-26 Medizinische Universitaet Graz Infusion arrangement and method
JP5467668B1 (ja) * 2013-10-07 2014-04-09 応用電子工業株式会社 硬膜外腔識別装置
CN104586479B (zh) * 2015-01-07 2016-11-09 东南大学 一种可自动报警的腹腔镜手术用穿刺装置
CN108024746B (zh) * 2015-06-15 2021-10-08 奥克兰联合服务有限公司 压力传感器
NL2014978B1 (en) * 2015-06-17 2017-01-23 Apad Octrooi B V Infusion pump unit.
US10940292B2 (en) 2015-07-08 2021-03-09 Actuated Medical, Inc. Reduced force device for intravascular access and guidewire placement
US11793543B2 (en) 2015-09-18 2023-10-24 Obvius Robotics, Inc.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ed insertion of penetrating member
RU2717373C9 (ru) * 2015-10-16 2020-09-18 Майлстоун Саентифик, Инк.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кожной инъекции с электрической стимуляцией нерва
US10220180B2 (en) 2015-10-16 2019-03-05 Milestone Scientifi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peripheral nerve block
US9504790B1 (en) 2016-02-23 2016-11-29 Milestone Scientific, Inc.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a target region
US10632255B2 (en) 2017-02-15 2020-04-28 Milestone Scientific, Inc. Drug infusion device
US11471595B2 (en) 2017-05-04 2022-10-18 Milestone Scientifi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peripheral nerve block
IT201700053993A1 (it) * 2017-05-18 2018-11-18 Apparecchio di rilevamento della profondità in particolare nella dissezione intracorneale
US10646660B1 (en) 2019-05-16 2020-05-12 Milestone Scientific, Inc.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a target region
CN111166437B (zh) * 2020-02-17 2021-11-16 杭州三坛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硬膜外麻醉置针的辅助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03824A2 (en) * 1987-07-28 1989-02-22 Antonio Espejo Martinez A device for locating the epidural space
EP0538259A1 (en) * 1991-02-28 1993-04-28 Industrias Palex, S.A.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natomical cavities
US5520650A (en) * 1994-08-25 1996-05-28 Zadini; Filiberto Self-arresting overpenetration-proof cannula device for body cavitie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7934A (en) * 1973-05-04 1975-02-25 Veriflo Corp Pressure monitor for a lung ventilator
US4356826A (en) 1979-05-09 1982-11-02 Olympus Optical Co., Ltd. Stabbing apparatus for diagnosis of living body
FR2628625B1 (fr) 1988-03-21 1990-08-10 Gretem Dispositif de mesure de la pression d'un liquide a usage medical
JPH0793948B2 (ja) 1991-08-09 1995-10-11 アトム株式会社 輸液装置
US5269762A (en) 1992-04-21 1993-12-14 Sterling Winthrop, Inc. Portable hand-held power assister device
US5295967A (en) 1992-09-23 1994-03-2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ringe pump having continuous pressure monitoring and display
DE69329774T2 (de) 1992-10-15 2001-06-21 Gen Hospital Corp Infusionspumpe mit elektronisch ladbarer medikamentenbibliothek
JPH06142114A (ja) 1992-10-30 1994-05-24 Olympus Optical Co Ltd 体腔内処置装置
US5690618A (en) 1995-02-22 1997-11-25 Mark Timothy Smith Electronic syringe
IL116685A (en) 1996-01-05 2000-07-16 Vascular Technologies Ltd Blood vessel entry indicator
US6569147B1 (en) * 1996-07-26 2003-05-27 Kensey Nash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of use for delivering beneficial agents for revascularizing stenotic bypass grafts and other occluded blood vessels and for other purposes
US6022337A (en) 1997-09-04 2000-02-08 Herbst; Walter Dental anesthetic and delivery injection unit
US6200289B1 (en) 1998-04-10 2001-03-13 Milestone Scientific, Inc. Pressure/force computer controlled drug delivery system and the like
FR2805749B1 (fr) 2000-03-01 2002-05-17 Poudres & Explosifs Ste Nale Seringue sans aiguille a deux niveaux de vitesse d'injection
US6705990B1 (en) * 2000-07-25 2004-03-16 Tensys Medic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physiologic parameters of a living subject
AU2002240386A1 (en) * 2001-02-14 2002-08-28 Acist Medical Systems, Inc. Catheter fluid control system
US7022072B2 (en) * 2001-12-27 2006-04-04 Medtronic Minimed, Inc. System for monitoring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03824A2 (en) * 1987-07-28 1989-02-22 Antonio Espejo Martinez A device for locating the epidural space
EP0538259A1 (en) * 1991-02-28 1993-04-28 Industrias Palex, S.A.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natomical cavities
US5520650A (en) * 1994-08-25 1996-05-28 Zadini; Filiberto Self-arresting overpenetration-proof cannula device for body cavi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530667A (en) 2007-02-23
WO2003000146A1 (en) 2003-01-03
HU229825B1 (en) 2014-09-29
EP1397078B1 (en) 2006-08-30
CN1278653C (zh) 2006-10-11
NO20035628D0 (no) 2003-12-17
JP4738732B2 (ja) 2011-08-03
ZA200309374B (en) 2005-02-23
CA2450569C (en) 2011-08-09
NO341943B1 (no) 2018-02-26
PT1397078E (pt) 2006-12-29
US7922689B2 (en) 2011-04-12
RU2004102042A (ru) 2005-03-10
AU2002309349A2 (en) 2003-01-08
NL1018334C2 (nl) 2002-12-30
ATE337733T1 (de) 2006-09-15
NO20035628L (no) 2004-01-26
IL159366A0 (en) 2004-06-01
BRPI0210600B1 (pt) 2016-04-05
KR20040010742A (ko) 2004-01-31
ES2271267T3 (es) 2007-04-16
DK1397078T3 (da) 2007-01-08
PL205959B1 (pl) 2010-06-30
BR0210600A (pt) 2004-09-28
JP2004530493A (ja) 2004-10-07
BRPI0210600B8 (pt) 2021-06-22
US20040215080A1 (en) 2004-10-28
DE60214372D1 (de) 2006-10-12
JP2009195744A (ja) 2009-09-03
DE60214372T2 (de) 2006-12-14
HUP0400176A2 (hu) 2005-05-30
IL159366A (en) 2008-04-13
EP1397078A1 (en) 2004-03-17
CY1105770T1 (el) 2011-02-02
CN1543328A (zh) 2004-11-03
PL367769A1 (en) 2005-03-07
MXPA03011780A (es) 2004-04-02
RU2297188C2 (ru) 2007-04-20
CA2450569A1 (en) 2003-01-03
AU2002309349B2 (en) 2007-03-22
TR200302201T2 (tr) 2004-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783B1 (ko) 몸체 내 해부학적 강의 위치를 알아내는 장치 및 방법
EP1670522B1 (en) Drug infusion device with tissue identification using pressure sensing
KR101355032B1 (ko) 동적 압력을 감지하는 컴퓨터 제어 약물 송달 시스템
JP2604502B2 (ja) バル−ン・カテ−テル膨張デ−タの監視、表示システム
US9504790B1 (en)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a target region
JPH10512786A (ja) 特に医療を目的とする圧力を制御して流体を取扱う方法および装置
JP2007504907A (ja) 圧力検知を使用した組織を同定した薬剤注入装置
DE69227307T2 (de) Totalunabhängiges, digital kontrolliertes, wegwerfbares spritzensystem zum aufblasen eines katheterballons
CN104887268A (zh) 一种声波穿刺辅助系统及其使用方法
AU2002309349B8 (en) Device and method for locating an anatomical cavity in a body
AU2002309349A1 (en) Device and method for locating an anatomical cavity in a body
US20130109999A1 (en) Manometer for Use in Testing Spinal Region and Relate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