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884B1 - 팔레트를 이송시킬 수 있는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팔레트를 이송시킬 수 있는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884B1
KR100909884B1 KR1020080110203A KR20080110203A KR100909884B1 KR 100909884 B1 KR100909884 B1 KR 100909884B1 KR 1020080110203 A KR1020080110203 A KR 1020080110203A KR 20080110203 A KR20080110203 A KR 20080110203A KR 100909884 B1 KR100909884 B1 KR 100909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pallet
conveyor system
guid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쌍우
Original Assignee
남쌍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쌍우 filed Critical 남쌍우
Priority to KR1020080110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8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4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rollers which are moved, e.g. over a supporting surface, by the traction element to effect conveyance of loads or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6Drums, rollers, or wheels with projections engaging abutments on belts or chains, e.g. sprocket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팔레트가 체인에 의하여 이송되면서도, 팔레트가 체인에 의하여 구속되지 않도록 구성된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은 한 쌍의 좌우 엔드리스 체인과, 상기 한 쌍의 엔드리스 체인을 지지하기 위한 좌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좌우 지지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플랜지와, 상기 엔드리스 체인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엔드리스 체인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 구동 유닛과, 상기 엔드리스 체인의 타측 단부에 배치된 피동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유닛과 피동 유닛은 체인과 기어 결합하는 한 쌍의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과 인접하여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휠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휠에는 구동 유닛과 피동 유닛을 따라 회동하는 팔레트를 지지하는 가이드 핀이 마련되어 있다.
체인 컨베이어, 팔레트, 스프라켓,

Description

팔레트를 이송시킬 수 있는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CHAIN CONVEYOR SYSTEM CAPABLE OF TRANSFERRING PALLET}
본 발명은 팔레트를 이송시키기 위한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팔레트가 체인에 의하여 이송되면서도, 팔레트가 체인에 의하여 구속되지 않도록 구성된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조 공정에서 완제품 또는 반제품은 벨트 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2)를 연속으로 이송하기 위하여 상하로 이격 배치된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10 및 20)와, 상기 상부 및 하부 컨베이어(10 및 20)를 각각 측면에서 지지하는 좌우 측판(6 및 8)과, 상기 좌우 측판(6 및 8)을 지지하는 다수의 포스트(4)를 구비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의 좌측 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개략도로서, 팔레트(2)가 상부 컨베이어(10)에서 하부 컨베이어(20)로 전달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부 컨베이어(10)는 좌측에 컨베이어(12)를 안내하는 롤 러(14)와, 컨베이어(12)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스프라켓(16)과, 상기 구동 스프라켓(16)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기(54)를 구비한다. 또한, 상부 컨베이어(10)는 도 1의 우측에 배치된 피동 스프라켓을 구비한다.
하부 컨베이어(20)는, 전술한 상부 컨베이어(10)와 반대로, 좌측에 컨베이어(22)를 안내하는 피동 스프라켓(24)을 구비하며, 우측에는 컨베이어를 안내하는 롤러와, 컨베이어를 회동시키는 구동 스프라켓과, 상기 구동 스프라켓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기(56)를 구비한다.
상부 컨베이어(10)와 하부 컨베이어(20)의 좌우측 단부에는 팔레트 승하강 기구(30)가 각각 배치되어, 상부 컨베이어(10)에 의하여 이송된 팔레트를 하부 컨베이어(20)로, 그리고, 하부 컨베이어(20)에 의하여 이송된 팔레트를 상부 컨베이어(10)로 이송한다.
팔레트 승하강 기구(30)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유압 실린더(32)와, 유압 실린더(32)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하로 승하강하는 피스톤 로드(34)와, 브라켓(36)에 의하여 상기 피스톤 로드(34)의 상단부와 결합되고, 수직 샤프트(38)를 따라 상하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제1 슬라이더(49a)와, 브라켓(42)에 의하여 상기 제1 슬라이더(49a)와 연결되고 수직 샤프트(38)를 따라 상하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제2 슬라이더(49b)와, 상기 브라켓(42)의 하부에 고정된 전동기(44)와, 상기 전동기(44)와 벨트(46)에 의하여 연결된 두 쌍의 롤러를 구비한다.
롤러는 각각 구동 롤러(48a)와 피동 롤러(48b)를 구비하며, 각각의 구동 롤러(48a)는 마주보고 배치되며, 전동기(44)의 구동축과 벨트(46)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팔레트 승하강 기구(30)는 팔레트(2)가 상부 컨베이어(10)의 롤러(14)에 도달하면 컨트롤러(비도시)에 의하여 승강 위치에 배치된다. 이와 동시에, 전동기(44)가 작동하여, 구동 롤러(48a)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피동 롤러(48b)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팔레트(2)는 상부 컨트롤러(10)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팔레트 승하강 기구(30)의 롤러(48a 및 48b) 상부로 이동한다. 팔레트(2)가 롤러의 적소에 배치되면, 전동기(44)의 구동이 멈춘다.
그 이후, 팔레트 승하강 기구(30)는 하부 컨베이어(20)의 상부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유압 실린더(32)의 작동에 의하여 하강 위치로 이동하고, 전동기(44)는 역방향으로 재구동된다. 전동기(44)의 재구동에 의하여 롤러(48a 및 48b)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롤러의 상부에 놓인 팔레트(2)는 하부 컨베이어(20)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전동기(56)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하부 컨베이어(20)에 의하여 팔레트(2)는 하부 컨베이어(20)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여, 컨베이어 시스템의 우측에 배치된 팔레트 승하강 기구(30)에 도착한다. 우측 팔레트 승하강 기구(30)는 좌측 팔레트 승하강 기구(30)와 구조 및 작동이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우측 팔레트 승하강 기구(30)에 도착한 전술한 과정과 반대로 동작하여 팔레트(2)가 상부 컨베이어(10)로 승강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컨베이어 시스템은 팔레트를 상부 컨베이어로부터 하부 컨베이어로 하강시키고 다시 하부 컨베이어로부터 상부 컨베이어로 승강시키기 위 한 팔레트 승하강 기구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한다. 따라서,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전체 구조의 사이즈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팔레트 승하강 기구를 컨베이어 시스템의 좌우측에 설치하므로, 컨베이어 시스템의 설치비가 증가하는 단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팔레트를 고정 지지하는 체인 컨베이어가 개발 및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실용 제20-419872호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체인 컨베이어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 스프로켓과, 상기 구동 스프로켓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피동 스프로켓과, 상기 구동 및 피동 스프로켓 사이를 연결하는 체인과, 어태치먼트 체인에 고정된 팔레트를 구비한다.
전술한 종래 체인 컨베이어는 연속 반복적인 순환을 기본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팔레트가 구동 스프로켓과 피동 스프로켓 사이에서 정방향으로 구동될 때에는, 팔레트 상부에 놓인 공작물 또는 워크가 안정적으로 이송된다. 그러나, 원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팔레트가 뒤집히므로, 팔레트 상방의 워크가 작업장 플로어로 낙하하는 단점이 있다.
팔레트 상방의 워크가 팔레트의 위치 변경시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센서 등을 이용하여 워크를 지지하고 있는 팔레트가 컨베이어의 끝부분에 도달할 때 컨베이어 시스템의 작동을 중단시켜야 한다. 컨베이어 시스템의 작동을 정지시키면, 전제 제조 공정에 지장을 초래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컨베이어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팔레트를 별도의 승하강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컨베이어 시스템의 무한궤도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팔레트가 체인에 의하여 이송되지만, 체인에 의하여 구속받지 않는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팔레트를 이송하기 위한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한 쌍의 좌우 엔드리스 체인과, 상기 한 쌍의 엔드리스 체인을 지지하기 위한 좌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좌우 지지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플랜지와, 상기 엔드리스 체인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엔드리스 체인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 구동 유닛과, 상기 엔드리스 체인의 타측 단부에 배치된 피동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유닛과 피동 유닛은 체인과 기어 결합하는 한 쌍의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과 인접하여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휠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휠에는 구동 유닛과 피동 유닛을 따라 회동하는 팔레트를 지지하는 가이드 핀이 마련되어 있는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한 쌍의 엔드리스 체인은 상호 대향하는 측면에 가이드 체인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팔레트는 엔드리스 체임의 가이드 체인을 수납하기 위하여 그 저면에 레일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팔레트는 공작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부면에 복수개의 지지판을 구비한다.
상기 플랜지의 측면은 좌우 지지 프레임과 체결되며, 상부면 및 하부면은 팔레트의 저면 일부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부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커버의 저면에는 체인을 적소에 보유하기 위한 체인 홀딩 부재가 마련되어, 체인에 팔레트의 무게에 의하여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유닛의 가이드 휠에 마련되어 있는 가이드 핀은 그 일단부가 가이드 휠의 내주면에 직경방향으로 고정되어, 팔레트가 구동 유닛을 따라 하방으로 회동할 때 팔레트가 지지도된다. 가이드 핀은 가이드 휠의 원주면을 따라 등간격으 로 4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동 유닛의 가이드 휠에 마련되어 있는 가이드 핀은 그 일단부가 가이드 휠의 내주면에 접선방향으로 고정되어, 팔레트가 피동 유닛을 따라 상향 회동할 때 팔레트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은 가이드 휠의 원주면에 상호 반대 방향으로 2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 유닛과 피동 유닛은 한 쌍의 지지 디스크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 디스크 사이에 팔레트의 소정 부분이 삽입되어, 팔레트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 시스템은 상기 좌우 지지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는 구동 유닛에 인접하여 스톱퍼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스톱퍼는 공작물이 적재되어 있는 팔레트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팔레트의 저면에 고정된 레인 부재와 가이드 체인이 마찰식으로 접촉하고 있으므로, 팔레트가 체인에 의하여 이송되면서도, 팔레트가 체인에 의하여 구속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컨베이어 시스템은 컨베이어 시스템이 작동 중에 팔레트의 이송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의 평면도이 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은 다수의 포스트(112)에 의하여 지지되는 한 쌍의 좌우 지지 프레임(102 및 104)과, 상기 좌우 지지 프레임(102 및 104)의 우측 단부에 고정된 구동 유닛(200)과, 상기 좌우 지지 프레임(102 및 104)의 좌측 단부에 고정된 피동 유닛(300)과, 상기 구동 및 피동 유닛(200 및 300)에 권취되고, 다수의 팔레트(130)를 이송하는 엔드리스 체인(152)을 포함한다. 좌우 지지 프레임(102 및 104)은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제조되며, 하기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은 또한 좌우 지지 프레임(102 및 104) 중 어느 하나에는 구동 유닛(200)에 인접하여 스톱퍼(120)를 구비한다. 스톱퍼(120)는 체인(152)의 상부에서 이송되는 팔레트(130)에 워크(W)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그 워크가 플로어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체인(152)을 따라 이동하는 팔레트(130)의 지지판(132) 상부에 차량의 크랭크 아암과 같은 복잡한 형상의 공작물이 배치된 상태로 수평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공작물이 팔레트(130)의 지지판(132)으로부터 제거되지 않은 상태로 구동 유닛(200)까지 이송되면, 공작물이 작업장의 플로어로 낙하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공작물 낙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구동 유닛(200)에 인접하여 스톱퍼를 설치하여 공작물이 적재된 팔레트가 더이상 이송하는 것을 방지한다.
팔레트(130)의 상부에 적재되는 워크(W)의 사이즈 및 형상에 따라, 별도의 지지판(134)을 팔레트(130)의 측면에 고정할 수 있다.
체인(152)은 다수의 링크와 커넥팅 핀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은 컨베이어의 구동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두개의 체인이 상호 나란하게 연결된 더블 체인과, 체인의 한 측면에는 가이드 체인(154)을 구비한다. 가이드 체인(154)의 커넥팅 핀에는 고무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동 유닛(200)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구동 유닛(200)은 기어형 전동기(11)와 결합되며 좌우측이 베어링에 의하여 지지된 회전축(202)과, 상기 회전축(202)의 좌우 외측에 장착되며, 체인(152)과 기어 결합되는 한 쌍의 스프라켓(204)과, 상기 스프라켓(204)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회전축(202)에 장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 휠(206)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휠(206)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지지 디스크(208)를 구비한다.
스프라켓(204)은 더블 체인과 기어 결합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더블 기어(204a)를 구비한다. 스프라켓(204)과 기어 결합되는 체인(152)의 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가이드 체인(15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130)의 하부의 양측면에 고정된 레일 부재(138)의 내부에 삽입된다. 팔레트(130)는 양측면 하부에 삽입된 가이드 체인(154)에 의하여 이송된다.
가이드 휠(206)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외주면으로부터 직경방향으로 돌출하는 4개의 가이드 핀(210)을 구비한다. 가이드 핀(210)은 일단부가 가이드 휠(206)의 내주면에 직경 방향으로 삽입 고정된다. 가이드 핀(210)은 가이드 체인(154)에 의하여 이송되는 팔레트(130)의 저면에 고정된 레일 부재(202)의 측면에 나사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스터브(139)를 지지하여, 팔레트(130)가 구동 유닛(200)의 구동축을 따라 하강할 때 팔레트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의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은 좌우 지지 프레임(102 및 104)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플랜지(500)를 구비한다. 플랜지(500)는 돌출하는 상하부(502)와, 좌우 지지 프레임(102 및 104)과 볼트에 의하여 체결되는 측면부(504)를 구비한다. 플랜지(500)와 좌우 지지 프레임(102 및 104)을 체결하기 위하여, 지지 프레임(102 및 104)의 측부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406 및 408)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500)의 상하부(502)는 팔레트(130)의 스페이서(136)를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 단부(506)를 각각 구비한다. 팔레트(130)가 가이드 체인(154)에 의하여 수평 이송할 때, 플랜지의 상하부(502)는 팔레트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팔레트(130)의 스페이서(136)를 지지하므로써, 팔레트(130)와 상기 팔레트(130) 상부에 놓인 워크(W)의 무게의 의하여 체인이 처지는 것을 방지한다.
좌우 지지 프레임(102 및 104)의 상부면의 일부에는 체인(152)이 배치되며, 체인(152)이 팔레트(130)와 워크(W)의 무게에 의하여 안쪽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 기 위한 체인 홀딩 부재를 구비한다. 체인 홀딩 부재는 지지 프레임(102 및 104)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상판(404)의 저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의 측면도로서, 피동 유닛(30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피동 유닛(300)은 좌우측이 베어링에 의하여 지지된 회전축(302)과, 상기 회전축(302)의 좌우 외측에 장착되며, 체인(152)과 기어 결합되는 한 쌍의 스프라켓(304)과, 상기 스프라켓(304)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회전축(302)에 장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 휠(306)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휠(306)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지지 디스크(308)를 구비한다.
스프라켓(304)은, 전술한 구동 유닛(200)의 스프라켓(204)과 같이, 더블 체인과 기어 결합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더블 기어(304a)를 구비한다.
가이드 휠(306)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접선방향으로 돌출하는 2개의 가이드 핀(310)을 구비한다. 가이드 핀(310)은 일단부가 가이드 휠(306)의 내주면에 접선 방향으로 삽입 고정된다. 가이드 핀(310)은 가이드 체인(154)에 의하여 이송되는 팔레트(130)의 저면에 마련된 레일 부재(202)의 측면에 설치된 스터브(139)를 지지하여, 팔레트(130)가 피동 유닛(300)의 구동축을 따라 승강할 때 팔레트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을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팔레트(130)가 구동 유닛(200)에 의하여 컨베이어의 상부에서 하부로 위치가 변경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팔레트(130)가 피동 유닛(300)에 의하여 컨베이어의 하부에서 상부로 위치가 변경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컨베이어의 상부를 따라 이동한 팔레트(130)가 구동 유닛(200)에 도달하면, 팔레트(130)의 레일 부재(202)의 저면에 마련된 스터브(139)가 가이드 핀(210)과 맞닿는다. 따라서, 팔레트(130)가 체인(152)을 따라 하방으로 급격하게 미끄러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팔레트(130)는 가이드 핀(210)에 의하여 컨베이어의 상부면에서 하부면까지 지지되는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그 이후, 팔레트(130)는 컨베이어의 하부면을 따라 체인(152)에 의하여 피동 유닛(300)까지 이동한다. 피동 유닛(300)까지 이동한 팔레트(130)는 피동 유닛의 가이드 휠(306)의 가이드 핀(310)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로 피동 유닛(300)을 따라 회동하게 된다.
이 경우에, 컨베이어의 상부에 도착한 팔레트(130)가 가이드 핀(310)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핀(310)의 상단부(310a)가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팔레트(130)의 스터브(139)가 가이드 핀(310)의 원추형 상단부를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02 및 104)의 소정 부분에는 터치 센서가 마련되어, 컨베이어 시스템에서 이송되는 팔레트(13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판(450)과, 팔레트(130)의 측면에 마련된 보스(137)와 접촉하는 롤러(456)를 갖는 선회 아암(454)과, 상기 선회 아암을 고정판(450)에 피벗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축(452)을 구비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130)의 지지판(132)에 워크(W)가 적재되어 있으면, 스톱퍼(120)에 의하여 팔레트(130)의 이송이 차단된다. 이 경우에, 팔레트(130)는 레일(138)과 가이드 체인(154)이 접촉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팔레트는 그 자리를 유지하고, 체인만 구동하게된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컨베이어 시스템 전체를 정지시키지 않아도, 팔레트가 전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보호 받고자 하는 보호범위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결정된다.
도 1은 통상의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의 좌측 단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동 유닛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의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의 피동 유닛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9는 팔레트가 구동 유닛에 의하여 컨베이어의 상부에서 하부로 위치가 변경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팔레트가 피동 유닛에 의하여 컨베이어의 하부에서 상부로 위치가 변경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에 채용된 체인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104: 지지 프레임
200: 구동 유닛
300: 피동 유닛
120: 스톱퍼
152: 엔드리스 체인
154: 가이드 체인
132: 지지판
202, 302: 회전축
204, 304: 스프라켓
206, 306: 가이드 휠
208, 308: 지지 디스크
210, 310: 가이드 핀
500: 플랜지

Claims (15)

  1. 팔레트를 이송하기 위한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한 쌍의 좌우 엔드리스 체인과,
    상기 한 쌍의 엔드리스 체인을 지지하기 위한 좌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좌우 지지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플랜지와,
    상기 엔드리스 체인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엔드리스 체인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 구동 유닛과,
    상기 엔드리스 체인의 타측 단부에 배치된 피동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유닛과 피동 유닛은 체인과 기어 결합하는 한 쌍의 스프라켓과, 상기 스프라켓과 인접하여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휠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 휠에는 구동 유닛과 피동 유닛을 따라 회동하는 팔레트를 지지하는 가이드 핀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엔드리스 체인은 상호 대향하는 측면에 가이드 체인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는 엔드리스 체임의 가이드 체인을 수납하기 위하여 그 저면에 레일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는 공작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부면에 복수개의 지지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의 측면은 좌우 지지 프레임과 체결되며, 상부면 및 하부면은 팔레트의 저면 일부를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부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 커버의 저면에는 체인을 적소에 보유하기 위한 체인 홀딩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의 가이드 휠에 마련되어 있는 가이드 핀은 그 일단부가 가이드 휠의 내주면에 직경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은 가이드 휠의 원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4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 유닛의 가이드 휠에 마련되어 있는 가이드 핀은 그 일단부가 가이드 휠의 내주면에 접선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은 가이드 휠의 원주면에 상호 반대 방향으로 2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과 피동 유닛은 한 쌍의 지지 디스크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 디스크 사이에 팔레트의 소정 부분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좌우 지지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는 구동 유닛에 인접하여 스톱퍼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스톱퍼는 공작물이 적재되어 있는 팔레트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라켓은 외주면에 더블 기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은 팔레트의 저면에 마련된 레일 부재의 측면에 설치된 스터브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15.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의 상단부가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시스템.
KR1020080110203A 2008-11-07 2008-11-07 팔레트를 이송시킬 수 있는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 KR100909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203A KR100909884B1 (ko) 2008-11-07 2008-11-07 팔레트를 이송시킬 수 있는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203A KR100909884B1 (ko) 2008-11-07 2008-11-07 팔레트를 이송시킬 수 있는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9884B1 true KR100909884B1 (ko) 2009-07-30

Family

ID=41338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203A KR100909884B1 (ko) 2008-11-07 2008-11-07 팔레트를 이송시킬 수 있는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88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8177A (zh) * 2013-12-26 2014-04-09 无锡市贝斯特精密机械有限公司 自动上料装置
CN108147003A (zh) * 2018-02-06 2018-06-12 浙江爱易特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灯罩板生产线用托架传送装置
CN109911490A (zh) * 2019-04-19 2019-06-21 福建景丰科技有限公司 一种丝饼仓库转运系统
KR20200107103A (ko) * 2019-03-06 2020-09-16 원종대 지그 플레이트 프리플로우 컨베이어 장치
KR102247839B1 (ko) * 2020-11-02 2021-05-06 (주)로파 무한궤도 방식의 컨베이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954A (ja) * 1991-07-17 1993-02-02 Nissan Motor Co Ltd 搬送装置
JPH0769418A (ja) * 1993-04-21 1995-03-14 Roberts Sinto Corp サブグループにて互いに連結される摩擦駆動再循環パレットを備えたチェーンコンベヤ
US5735384A (en) 1996-08-29 1998-04-07 Western Atlas, Inc. Endless accumulating conveyor
KR200419872Y1 (ko) 2006-03-27 2006-06-26 주식회사 세림지엠티 수평이송형 팔레트용 컨베이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954A (ja) * 1991-07-17 1993-02-02 Nissan Motor Co Ltd 搬送装置
JPH0769418A (ja) * 1993-04-21 1995-03-14 Roberts Sinto Corp サブグループにて互いに連結される摩擦駆動再循環パレットを備えたチェーンコンベヤ
US5735384A (en) 1996-08-29 1998-04-07 Western Atlas, Inc. Endless accumulating conveyor
KR200419872Y1 (ko) 2006-03-27 2006-06-26 주식회사 세림지엠티 수평이송형 팔레트용 컨베이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8177A (zh) * 2013-12-26 2014-04-09 无锡市贝斯特精密机械有限公司 自动上料装置
CN108147003A (zh) * 2018-02-06 2018-06-12 浙江爱易特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灯罩板生产线用托架传送装置
KR20200107103A (ko) * 2019-03-06 2020-09-16 원종대 지그 플레이트 프리플로우 컨베이어 장치
KR102231482B1 (ko) * 2019-03-06 2021-03-24 원종대 지그 플레이트 프리플로우 컨베이어 장치
CN109911490A (zh) * 2019-04-19 2019-06-21 福建景丰科技有限公司 一种丝饼仓库转运系统
CN109911490B (zh) * 2019-04-19 2024-02-27 福建景丰科技有限公司 一种丝饼仓库转运系统
KR102247839B1 (ko) * 2020-11-02 2021-05-06 (주)로파 무한궤도 방식의 컨베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7245B2 (en) Chain-type conveyor having direction-changing roller
KR100909884B1 (ko) 팔레트를 이송시킬 수 있는 체인 컨베이어 시스템
JP6140467B2 (ja) 被搬送物の方向転換装置
JP6140468B2 (ja) 被搬送物の方向転換装置
CN210175922U (zh) 一种顶升移载机
KR20210036069A (ko) 난좌 자동 적재장치
JP6804978B2 (ja) 通路形成装置
JP5314748B2 (ja) 昇降装置
CN113734757B (zh) 用于童鞋装配的双层传送带托盘运输的可升降式传送装置
JP4073723B2 (ja) 荷の昇降移載装置
JP2018118855A (ja) 昇降装置及び昇降装置を備えた収納装置
KR101011727B1 (ko) 반전수단을 구비한 컨베이어 장치
CN108620340A (zh) 顶升旋转机构及具有其的检漏机
JP2020019650A (ja) ローリング機構付き搬送装置
KR100879069B1 (ko) 차량용 타이어 공급장치
CN218023634U (zh) 一种立式料斗提升机
JP2591674Y2 (ja) クロスコンベヤ
KR102472545B1 (ko) 배터리 활성화 공정용 컨베이어 시스템
JPH07157067A (ja) ローラコンベヤにおける搬送物転向装置
JP2005263359A (ja) 搬送装置
JP4289200B2 (ja) 搬送設備
CN208679835U (zh) 顶升旋转机构及具有其的检漏机
JPH0581138U (ja) ターンテーブル
EP2090531A1 (en) Chain-type conveyor having direction-changing roller
CN214494758U (zh) 一种辊道输送机带链条翻转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