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221B1 - 재봉틀용 루퍼장치 - Google Patents

재봉틀용 루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221B1
KR100909221B1 KR1020070071674A KR20070071674A KR100909221B1 KR 100909221 B1 KR100909221 B1 KR 100909221B1 KR 1020070071674 A KR1020070071674 A KR 1020070071674A KR 20070071674 A KR20070071674 A KR 20070071674A KR 100909221 B1 KR100909221 B1 KR 100909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er
holder
needle
fixing
sew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602A (ko
Inventor
조이현
Original Assignee
조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이현 filed Critical 조이현
Priority to KR1020070071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221B1/ko
Publication of KR20090008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2Loop takers, e.g. loopers for chain-stitch sewing machines, e.g. oscillat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30Driving-gear for loop takers
    • D05B57/32Driving-gear for loop takers in chain-stitch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1/00Loop holders; Loop spreaders; Stitch-forming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방 바늘받이를 루퍼 장치에 일체화 시켜 루퍼 본체와 함께 하나의 구동원에 의해 동시적으로 작동함으로써, 바늘받이가 바늘들을 정확하게 지지 및 교정운동 시킬 수 있어 루퍼 본체의 정확한 작동을 보장받을 수 있는 재봉틀용 루퍼장치를 제공한다.
그 루퍼장치는 루퍼 로커 샤프트(S)에 해제 및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루퍼 홀더(10)와, 그 루퍼 홀더(10)의 일측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장착부재(20)와, 루퍼 홀더(10)에 조절 및 해제 가능하게 장착되며 바늘들과 연동하여 재봉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루퍼 본체(30)와, 그 루퍼 본체(30)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며 바늘(N1-N5) 및 실을 유도 및 지지하기 위한 전방 바늘받이(needle guard : 40)와, 복수의 바늘(N1-N5)을 안내 및 지지하기 위해 장착부재(20)에 해제 및 조정 가능하게 일체적으로 장착되는 후방 바늘받이(50)로 구성된다.
재봉틀, 루퍼, 바늘받이, 루퍼홀더, 루퍼 본체

Description

재봉틀용 루퍼장치{LOPPER DEVICE FOR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틀용 루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후방 바늘받이(needle guard)를 루퍼 본체에 일체화 시켜 항상 안정적인 작동을 유지하고, 수리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하며, 동력의 손실을 방지하고, 재봉틀의 전체적인 구성을 간단히 함은 물론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재봉틀용 루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형태의 의류 또는 재봉제품이 생산 및 제조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의류 및 제직품에는 그 용도 및 적용에 따라 다양한 바느질 또는 재봉작업이 사용되거나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바느질 또는 재봉작업을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미싱이라 칭하는 재봉틀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재봉틀에는 소정의 결과물을 제공받기 위해서는 해당 바느질 또는 재봉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침사루프를 포착하여 솔기를 형성하기 위한 루퍼(looper)와, 바늘에 접촉하여 그 바늘을 정규의 상하 운동궤적을 다른 운동으로 안내하기 위한 바늘받이(needle guard)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재봉틀의 루퍼 및 바늘받이가 특허공개 제10-2006-30284호에 개시되어 있다.
공개 특허 제10-2006-30284호에 개시된 미싱의 바늘받이 장치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봉틀은 기본적으로 침봉(1)을 구비하며, 그 침봉(1)의 단부에는 바늘고정부(2)가 구비되고, 그 바늘 고정부(2)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바늘(3)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바늘(3)이 관통되는 바늘판(4)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바늘판(4)의 하부에는 각각의 바늘(3)의 배면에 접촉하여 그 바늘(3)의 운동을 교정, 지지 및 안내하기 위한 후방 바늘받이(5)가 설치되어 있다. 물론, 재봉틀의 내부 또는 바늘판(4)의 하부에는 바늘(3)의 상하 왕복 운동에 대응하여 봉제 진행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횡단하여 선단부(6a)가 가늘고 긴 타원형의 운동궤적을 이루도록 왕복 요동하는 루퍼(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같은 구성에 따라 재봉틀이 작동하면, 각각의 바늘(3)과 루퍼(6)가 상호 연동하거나 협력하여 프로그램되거나 예정된 형태의 바느질 또는 재봉작업이 이루어지며, 이때 후방 바늘받이(5)는 바늘(3)을 지지 및 보호하여 안정적인 재봉작업을 이루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재봉틀의 후방 바늘받이 및 루퍼의 구성은 다소의 문제점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후방 바늘받이와 루퍼가 각각 다른 동력장치 및 동력원에 의해 상호 작동하므로 완전히 정확한 상호 작용을 항상 보장받기 곤란하여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후방 바늘받이가 재봉틀의 내부, 즉 바늘판의 하부 깊숙이 설치되어 있어서, 그것의 설치, 수리 또는 교체가 곤란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기간 사용시 바늘에 의한 후방 바늘받이의 편마모로 인해 바늘의 안정적인 지지 및 보호를 이룰 수 없어 고장을 초래하거나, 최종 재봉 제품의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동력원 및 구동장치에 의해 동시적으로 작동될 수 있어 항상 정확한 작동을 보장할 수 있는 재봉틀용 루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후방 바늘받이의 설치, 수리 또는 교체가 용이한 재봉틀용 루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장기간 사용시에도 바늘을 안정적으로 지지 및 보호할 수 있어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재봉 제품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재봉틀용 루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은, 복수의 바늘을 구비하는 재봉틀의 구동장치에 연결된 루퍼 로커 샤프트의 단부에 장착되는 루퍼장치에 있어서, 상기 루퍼 로커 샤프트에 해제 및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루퍼 홀더; 상기 루퍼 홀더의 일측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장착부재; 상기 루퍼 홀더에 조절 및 해제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바늘들과 연동하여 재봉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루퍼 본체; 상기 루퍼 본체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바늘 및 실을 유도 및 지지하기 위한 전방 바늘받이(front needle guard; 및 상기 복수의 바늘을 안내 및 지지하기 위해 상기 장착부재에 해제 및 조정 가능하게 일체적으로 장착되는 후방 바늘받이(rear needle guard)를 포함하며: 상기 루퍼 홀더는 상기 루퍼 본체가 안착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는 상기 루퍼 본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공이 천공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측부에는 상기 고정공에 연통하며 체결볼트가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루퍼 홀더의 고정부의 평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평면을 갖는 장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부의 하부에는 상기 후방 바늘받이에 고정되는 고정편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후방 바늘받이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이 천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루퍼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용 루퍼장치는 후방 바늘받이가 루퍼 홀더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부재에 일체화 되어 루퍼 본체와 함께 하나의 구동원에 의해 동시적으로 작동함으로써, 후방 바늘받이가 바늘들을 정확하게 지지 및 교정운동 시킬 수 있어 루퍼 본체의 정확한 작동을 보장받을 수 있으므로 신뢰성 및 제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방 바늘받이가 루퍼 홀더 또는 루퍼 본체에 용이하게 장착, 분리 및 교체될 수 있으므로 작업성 및 유지 보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늘받이를 일체로 구비한 루퍼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루퍼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루퍼장치의 루퍼 본체와 바늘받이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들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봉틀용 루퍼장치는 기본적으로, 재봉틀의 메인 구동장치(미도시)에 연결된 루퍼 로커 샤프트(S)의 단부에 고정되는 루퍼 홀더(10)를 구비한다.
그 루퍼 홀더(10)의 상부의 일측에는 후술되는 루퍼 본체가 안착될 수 있도록 고정부(12)가 대체로 평탄한 상부면을 지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고정부(12)에는 루퍼 본체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공(14)이 천공 형성된다. 또한, 그 고정부(12)의 측방에는 체결볼트(B1)가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고정공(14)에 연통하는 체결공(16)이 형성된다, 물론, 루퍼 홀더(10) 자체에는 그 루퍼 홀더(10)를 루퍼 로커 샤프트(S)에 연설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 및 위치에 복수의 고정공 또는 장착공이 천공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은 각각의 고정공 또는 장착공들의 구성 및 역할은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이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되며, 이에 따라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명확성을 위해 생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주요 특징에 따르면, 루퍼 홀더(10)의 일측에는 후술되는 후방 바늘받이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재(20)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 장착부재(20)는 상기 루퍼 홀더(10)의 고정부(12)의 평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평면을 갖는 장착부(22)를 구비한다. 그 장착부(22)의 하부에는 후술되는 후방 바늘받이의 장착시 그 장착 기준을 설정함은 물론 정확한 장착을 위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편(24)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장착부(22)에는 후방 바늘받이의 실제적인 장착을 위해 2개의 장착공(26;28)이 천공 형성된다. 물론, 그 장착공(26;28)에는 각각 쇄정볼트(B2)가 해제 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루퍼 홀더(10)에는 루퍼 본체(30)가 교체 가능하게 또는 해제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 루퍼 본체(3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바늘들과 상호 연동하거나 협력하도록 고리형으로 형성되는 바, 그 전체적인 형상은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루퍼 본체(30)는 상기 루퍼 홀더(10)의 고정부(12)에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부(32)가 구비된다. 그 지지부(32)에는 상기 루퍼 홀더(10)의 고정공(14)에 삽입되어 체결공(16)으로부터 체결되는 체결볼트(B1)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체결편(34a)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체결편(34b)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2체결편(34b)은 후술되는 후방 바늘받이의 설치에 이용된다.
또한, 루퍼 본체(30)의 지지부(32)에는 후술되는 전방 바늘받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2개의 쇄정공(36;38)이 형성된다.
물론, 루퍼 본체(30)에는 실제적으로 실 및/또는 바늘을 지지 및 안내하기 위한 전방 바늘받이(40)가 해제 및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 전방 바늘받이(40)는 루퍼 본체(30)의 지지부(32)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설치부(42)를 구비한다. 그 설치부(42)에는 루퍼 본체(30)의 지지부(32)에 구비된 제2체결편(34b)에 외삽되도록 천공된 설치공(44)이 형성된다.
또한, 제1바늘받이(40)의 설치부(42)에는, 상기 루퍼 본체(30)의 지지부(32)에 형성된 2개의 쇄정공(36;38)에 상응하며 이에 연통하는 삽입공(46;48)이 천공형성된다. 물론, 그 쇄정공(36;38)과 삽입공(46;48)의 연통공에는 설치볼트(B3)가 해제 가능하게 체결된다.
특히, 본 발명의 주요 특징에 따르면, 루퍼 본체(30)와 동시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후방 바늘받이(50)가 루퍼장치에 일체적으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방 바늘받이(50)는 루퍼 홀더(10)의 일측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장착부재(20)에 일체적으로 장착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후방 바늘받이(50)는 상기 장착부재(20)의 장착부(22)에 지지되어 장착되는 체결부(52)를 구비한다. 특히, 그 체결부(52)에는 장착부재(20)의 장착부(22)의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편(24)에 상응하며 그 고정편(24)이 삽입되는 장입공(54)이 천공 형성된다. 또한, 그 체결부(52)에는 장착부재(20)의 장착부(22)에 천공된 2개의 장착공(26;28)에 상응하며 이에 연통하는 쇄정공(56;58)이 천공 형성된다. 물론, 그 장착공(26;28)과 쇄정공(56;58)의 연통공에는 쇄정볼트(B2)가 해제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하,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재봉틀용 루퍼장치의 설치 및 그 작용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루퍼 홀더(10)의 고정부(12)에 루퍼 본체(30)를 고정하고, 그 루퍼 본체(30)에는 전방 바늘받이(40)를 설치하며, 장착부재(20)에는 후방 바늘받이(50)를 설치하여 루퍼 장치를 조립하거나 형성한다.
이후, 작업자는 재봉틀의 일측 하부에 위치하는 루퍼 커버(LC)를 개방한 후, 그 루퍼장치의 루퍼 홀더(10)를 재봉틀의 메인 구동장치에 연결된 루퍼 로커 샤프트(S)의 단부에 삽입하여 고정볼트(B4)를 이용하여 체결시켜 재봉틀에 대한 장착을 완료한 후, 루퍼 커버(LC)를 폐쇄한다.
이후, 작업자가 재봉틀을 작동시키면, 침봉에 구비된 복수의 바늘(N1,N2,N3,N4,N5)들이 작동하면서 재봉작업을 시작한다. 초기 각각의 바늘(N1-N5)이 하방으로 이동할 때는 타원적으로 선회 또는 회전 운동하는 루퍼 장치의 후방 바늘받이(50)의 일측면, 도면에서 볼 때 좌측면에 접촉되거나 지지되어 규정된 범위로 안내하며, 또한 그 바늘(N1,N2,N3,N4,N5)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해 상방으로 이동하면, 후방 바늘받이(50)와 및 루퍼 본체(30)와 전방 바늘받이(40)사이로 입장되는 바늘(N1,N2,N3,N4,N5)이 후방 바늘받이(50)의 타측면, 도면에서 볼 때 우측면에 접촉되거나 지지되어 그 바늘(N1,N2,N3,N4,N5)을 안정적으로 지지 및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바늘(N1,N2,N3,N4,N5)의 상방이동 중 루퍼 장치의 후방 바늘받이(50)의 작용모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바늘(N1,N2,N3,N4,N5)이 하방으로 작동하여 이들 각각의 바늘들이 침사루프를 형성한 후 상방으로 복귀하는 순간, 루퍼 샤프트(S)에 의해 타원적으로 선회운동하고 있는 루퍼 장치의 후방 바늘받이(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후방 바늘받이(50)의 바늘 접촉부(50a)의 선단부가 도면에서 볼 때 우측의 바늘(N1)에 접촉됨과 동시에, 그 바늘(N1)을 약간 또는 설정된 범위만큼 교정 안내하여 밀어냄으로써, 루퍼 본체(30)의 선단부가 그 바늘(N1)에 의해 형성되는 침사루프를 정확하게 포착하게 되는 것이다.
유사하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바늘받이(50)의 바늘 접촉부(50a)가 우측의 바늘(N1)을 지나 더 회동운동하면, 그 바늘 접촉부(50a)의 선단부는 도면에서 볼 때 중앙의 바늘(N2)에 접촉됨과 동시에, 그 바늘(N2)을 약간 또는 설정된 범위만큼 교정 안내하여 밀어냄으로써, 루퍼 본체(30)의 선단부가 중앙의 바늘(N2)에 의해 형성되는 침사루프를 정확하게 포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바늘(N1-N5)들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순간에 후방 바늘받이(50)의 바늘 접촉부(50a)가 바늘(N3,N4)과 순차적으로 접촉됨과 동시에, 각각의 바늘(N3,N4)을 약간 또는 설정된 범위만큼 교정 안내하여 밀어냄으로 써, 루퍼 본체(30)의 선단부가 각각의 바늘(N3,N4)에 의해 형성되는 침사루프를 정확하게 포착하게 되는 것이다.
동일하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바늘받이(50)의 바늘 접촉부(50a)가 중앙의 바늘(N4)을 지나 더 회동하면, 그 후방 바늘받이(50)의 바늘 접촉부(50a)의 선단부가 도면에서 볼 때 최 좌측의 바늘(N5)에 접촉됨과 동시에, 그 바늘(N5)을 약간 또는 설정된 범위만큼 교정 안내하여 밀어냄으로써, 루퍼 본체(30)의 선단부가 좌측의 바늘(N5)에 의해 형성되는 침사루프를 정확하게 포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바늘(N1,N2,N3,N4,N5)이 하방으로 작동하여 이들 각각의 바늘들이 침사루프를 형성한 후 상방으로 복귀하는 순간, 루퍼 샤프트(S)에 의해 타원적으로 선회 및 회전하고 있는 루퍼 장치의 후방 바늘받이(50)의 바늘 접촉부(50a)의 선단부가 각각의 바늘(N1,N2,N3,N4,N5)과 순차적으로 접촉하여 그 바늘들을 약간 또는 설정된 범위만큼 교정 안내하여 밀어내어 루퍼 본체(30)의 선단부가 각각의 바늘(N1,N2,N3,N4,N5)에 의해 형성되는 침사루프를 정확하게 포착하게 됨으로써, 소정의 봉제품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와 같은 후방 바늘받이(50)의 작용모드 중에는 전방 바늘받이(40)에 대칭적으로 위치하는 후방 바늘받이(50) 또한 동시적으로 타원적인 선회운동 및 회전 운동함으로써, 각각의 바늘들 및 실을 안정적으로 유지 및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방 바늘받이(40)에 대한 구성 및 작용모드는 당업자에게는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명확성을 위해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시간이 경과하거나 많은 작업 후 또는 작업 중에 후방 바늘받이(50)가 노후하거나 과도하게 마모되어 그 후방 바늘받이(50)를 수리하거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이를 쉽게 행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재봉틀의 일측 하부에 위치하는 루퍼 커버(LC)를 개방한 후, 쇄정볼트(B2)를 해제하여 루퍼 홀더(10)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부재(20)로부터 후방 바늘받이(50)를 분해하거나 분리하여 이를 수리하거나 또는 교체할 수 있다. 이때, 쇄정볼트(B2)의 헤드가 상방을 향함은 물론 작업자에게 직접 노출되어 있어, 작업자가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그 쇄정볼트(B2)에 쉽게 접근시킬 수 있어 매우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후방 바늘받이(50)를 분해, 교체 및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후방 바늘받이(50)가 루퍼장치에 일체화되어 루퍼 본체(30)를 회동 또는 선회시키기 위한 하나의 구동축, 즉 로프 로커 샤프트(S)에 의해 루퍼 본체(30)와 함께 선회 운동됨으로써, 그 작동이 정확하고 오차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재봉불량 또는 고장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후방 바늘받이의 설치가 간단하고, 루퍼 본체와 함께 일체화 되어 작동됨으로 인해 정확하고 안정적인 작동이 보장됨으로 인해 우수한 재봉제품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종래의 재봉틀의 루퍼장치와 니들 가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늘받이를 일체로 구비한 루퍼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루퍼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루퍼장치의 루퍼 본체와 후방 바늘받이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루퍼 홀더 20: 장착부재
30: 루퍼 본체 40: 전방 바늘받이
50: 후방 바늘받이

Claims (6)

  1. 복수의 바늘(N1,N2,N3,N4,N5)을 구비하는 재봉틀의 구동장치에 연결된 루퍼 로커 샤프트(S)의 단부에 장착되는 루퍼장치에 있어서,
    상기 루퍼 로커 샤프트(S)에 해제 및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루퍼 홀더(10);
    상기 루퍼 홀더(10)의 일측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장착부재(20);
    상기 루퍼 홀더(10)에 조절 및 해제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바늘들과 연동하여 재봉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루퍼 본체(30);
    상기 루퍼 본체(30)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바늘(N1-N5) 및 실을 유도 및 지지하기 위한 전방 바늘받이(front needle guard : 40); 및
    상기 복수의 바늘(N1-N5)을 안내 및 지지하기 위해 상기 장착부재(20)에 해제 및 조정 가능하게 일체적으로 장착되는 후방 바늘받이(rear needle guard : 50)를 포함하고:
    상기 루퍼 홀더(10)는 상기 루퍼 본체(30)가 안착되는 고정부(12)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12)의 상부에는 상기 루퍼 본체(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공(14)이 천공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2)의 측부에는 상기 고정공(14)에 연통하며 체결볼트(B1)가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공(16)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재(20)는 상기 루퍼 홀더(10)의 고정부(12)의 평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평면을 갖는 장착부(22)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부(22)의 하부에는 상기 후방 바늘받이(50)에 고정되는 고정편(24)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22)에는 상기 후방 바늘받이(5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26;28)이 천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루퍼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퍼 본체(30)는 상기 루퍼 홀더(10)의 고정부(12)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지지부(32)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32)에는 상기 루퍼 홀더(10)의 고정공(14)에 삽입되어 체결공(16)으로부터 체결되는 상기 체결볼트(B1)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체결편(34a)과, 상기 전방 바늘받이(40)가 고정되는 제2체결편(34b) 및 쇄정공(36;3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루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바늘받이(40)는 상기 루퍼 본체(30)의 지지부(32)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설치부(42)를 구비하며; 상기 설치부(42)에는 상기 루퍼 본체(30)의 지지부(32)에 구비된 제2체결편(34b)에 외삽되도록 천공된 설치공(44)과, 상기 루퍼 본체(30)의 지지부(32)에 형성된 2개의 쇄정공(36;38)에 상응하며 이에 연통하는 삽입공(46;48)이 천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루퍼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바늘받이(50)는 상기 장착부재(20)의 장착부(22)에 지지되어 장착되는 체결부(52)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부(52)에는 상기 장착부재(20)의 장착부(22)의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편(24)에 상응하며 그 고정편(24)이 삽입되는 장입공(54)과, 상기 장착부재(20)의 장착부(22)에 천공된 2개의 장착공(26;28)에 상응하며 이에 연통하는 쇄정공(56;58)이 천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틀용 루퍼장치.
KR1020070071674A 2007-07-18 2007-07-18 재봉틀용 루퍼장치 KR100909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674A KR100909221B1 (ko) 2007-07-18 2007-07-18 재봉틀용 루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674A KR100909221B1 (ko) 2007-07-18 2007-07-18 재봉틀용 루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602A KR20090008602A (ko) 2009-01-22
KR100909221B1 true KR100909221B1 (ko) 2009-07-24

Family

ID=40488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674A KR100909221B1 (ko) 2007-07-18 2007-07-18 재봉틀용 루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2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8699U (ja) * 2011-03-24 2011-06-23 株式会社鈴木製作所 ミシンのルーパ装置
CN110396777B (zh) * 2019-06-25 2024-04-09 吴江阳光科技缝纫机有限公司 一种链式缝纫机的弯针调节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5846A (ja) * 2002-08-09 2004-03-04 Hashima:Kk 縫製機におけるルーパ
US20040055521A1 (en) 2002-08-09 2004-03-25 Hashima Co., Ltd. Sewing machine
KR20060030284A (ko) * 2004-10-05 2006-04-10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미싱의 바늘받이 장치
KR20060102501A (ko) * 2005-03-23 2006-09-27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지그재그 바느질 재봉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5846A (ja) * 2002-08-09 2004-03-04 Hashima:Kk 縫製機におけるルーパ
US20040055521A1 (en) 2002-08-09 2004-03-25 Hashima Co., Ltd. Sewing machine
KR20060030284A (ko) * 2004-10-05 2006-04-10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미싱의 바늘받이 장치
KR20060102501A (ko) * 2005-03-23 2006-09-27 야마토 미싱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지그재그 바느질 재봉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602A (ko) 200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220946A (ja) 刺繍ミシン
CN1746371B (zh) 带剪线装置的缝纫机
CN103443672A (zh) 光纤切割器
JP2007014600A (ja) シークイン送り装置
KR100909221B1 (ko) 재봉틀용 루퍼장치
RU238367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ки ширины штопки для швейной машины
JP4702606B2 (ja) 穴かがりミシンのスロートプレート高さ調整機構
JP2534304Y2 (ja) モジュール組立て式ミシン
CN1880539B (zh) 带有能够保持可互换装置的台板的缝纫机
JPH0213495A (ja) スパンコール縫いミシンのスパンコール供給装置
JP3210359U (ja) ミシン用コード付け装置
US20070261619A1 (en) Thread Feed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
TW201804046A (zh) 刺繡機,尤其是梭車刺繡機
CN210002030U (zh) 一种自动换纱变色头结构及针织机
TWI676720B (zh) 進給齒裝卸裝置及具備該進給齒裝卸裝置之縫紉機
KR20120079248A (ko) 자동 재봉기 지그장치
KR100652836B1 (ko) 스팽글 공급제어장치
JP2010035681A (ja) ポストベッドミシン
KR101096723B1 (ko) 쌍침 사절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재봉틀
KR101955451B1 (ko) 히치 스티치용 회전북통에 구비된 훅몸체의 회전축선과 동력전달회전부의 회전축선을 일치시키는 장치
TWI729090B (zh) 縫紉機
KR200282271Y1 (ko) 자수실 봉착장치
US614802A (en) Xhe n noh
JP2007061250A (ja) 鳩目穴かがりミシン
KR20140145552A (ko) 자수기의 재봉틀 아암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