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830B1 - 빌딩설비 관리방법 및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빌딩설비 관리방법 및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830B1
KR100903830B1 KR1020020058157A KR20020058157A KR100903830B1 KR 100903830 B1 KR100903830 B1 KR 100903830B1 KR 1020020058157 A KR1020020058157 A KR 1020020058157A KR 20020058157 A KR20020058157 A KR 20020058157A KR 100903830 B1 KR100903830 B1 KR 100903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management
display device
display
history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8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7727A (ko
Inventor
후지노아츠야
하타케야마도시히코
가와니시세이지
마츠자키요시오
마츠도다카시
도히오사무
무토이사무
나가세히로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빌딩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빌딩 시스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030027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66B3/008Displaying information not related to the elevator, e.g. weather, publicity, internet or TV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Alarm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주자에게 있어서, 맨션 관리비 등의 지출과, 빌딩설비의 고장수리, 보수와의 관련이 가깝게 느껴지는 빌딩설비나 엘리베이터의 관리를 실현하는 것이다.
빌딩설비의 「이상발생」, 감시센터로부터의 출동지시에 의한 「작업 중」, 「수리완료」 등의 상태를 엘리베이터홀 또는 케이지내에 설치한 표시장치에 표시하여 맨션 거주자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킨다. 거주자가 표시 요구조작을 행하면, 빌딩설비의 이력정보를 표시한다. 또 작업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작업내용은 감시센터에서 평가하여, 작업자별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고, 대가지불 준비나, 감시센터에서의 작업자 선택에 이용한다.

Description

빌딩설비 관리방법 및 관리장치{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ANAGING EQUIPMENT OF BUILD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빌딩설비와 승강기 관리장치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빌딩설비와 승강기 관리방법의 개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설비관리처리의 프로그램예를 나타내는 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리 중 처리의 프로그램예를 나타내는 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시센터에서의 이상분석처리 프로그램예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시센터에서의 수리완료시 처리 프로그램예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력확인처리의 프로그램예를 나타내는 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장치의 화면 구성예를 나타내 는 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장치의 표시문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관리장치 11 : 관리제어기
12 : 설비상태이력 데이터베이스 13 : 설비관리 네트워크
14 : 표시제어장치 15 : 표시장치
15-1 : 정보표시영역 15-2 : 엘리베이터정보영역
15-3 : 조작방법설명영역 16 : 입력장치
20 :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21 : 케이지
22 : 행선지층 버튼 23 : 홀 호출버튼
30 : 빌딩설비 제어장치 31 : 전원설비
32 : 펌프·수도설비 33 : 조명
34 : 공기조화 35 : 입퇴출 관리장치
36 : 현관문 37 : 방재설비
38 : 방범 카메라 39 : 주차장설비
40 : 감시센터 41 : 원격감시제어기
42 : 빌딩설비별 데이터베이스 43 : 작업자별 데이터베이스
44 : 통신회선 100 : 설비관리처리
110 : 수리 중 처리 120 : 이력확인처리
200 : 이상분석처리 210 : 수리완료시 처리
본 발명은 빌딩설비와 승강기 관리방법 및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빌딩, 그 중에서도 맨션의 엘리베이터 홀이나 엘리베이터 케이지내 등과 같이 빌딩내에서 거주자 등이 공유하는 부위(이하, 공유부라 함)에 설치된 표시장치를 사용하여 빌딩설비의 상태변화, 가동상황의 이력 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적합한 관리방법 및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빌딩내의 수송을 담당하는 중요한 빌딩설비로서, 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보수점검이 실시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상 감시장치를 구비하여 이상상태 및 이상이 되기 전의 징후를 검출하여 원격의 감시센터에 통보한다는 것도 행하여지고 있다.
엘리베이터의 상태 이력정보에 관하여, 일본국 특개평4-313581호 공보에는 엘리베이터 시스템내에 발생하는 고장, 경보 등의 각종 이력을 기록하여 축적하는 감시장치가 개시되고, 또 일본국 특개평8-310760호 공보에는 보수원의 휴대용 단말기에 수리이력을 표시, 인쇄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상태의 감시센터로부터의 확인에 관하여 일본국 특개2000-090374호 공보에는 엘리베이터제어회로의 현재의 동작신호를 보수관리센터에 표시하여 파악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의 보수실시의 감시센터로부터의 확인방법에 관하여 일본국 특개평 11-272972호 공보에는 원격감시 단말장치에 카드를 삽입하면 보수점검작업 중, 카드를 뽑아 내면 보수점검작업의 종료를 감시센터에 송신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홀 및/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내에 표시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1-031344호 공보, 특개2001-106450호 공보 등에 엘리베이터의 운행상태나 보수일, 고장상태에 관한 정보를 특정한 버튼조작의 조합으로 실현하는 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빌딩내 설비 및 빌딩 관련설비에는 엘리베이터를 비롯하여 전원설비, 펌프·수도설비, 조명, 공기조화, 입퇴출 관리장치, 현관문, 방재설비, 방범카메라, 주차장설비 등 여러 종류의 설비가 있다. 이들 설비는 개별로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역시 개별로 감시장치나 이상통보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많은 빌딩내 설비 및 빌딩 관련설비가 개별로 제어장치나 감시장치나 이상통보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거의 동일한 기능을 복수의 빌딩설비가 중복되어 구비하게 되어, 그 중복에 의한 낭비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되어 있고, 빌딩 전체로서의 관리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한쪽에서 감시장치나 이상통보장치, 원격감시센터의 진전은, 빌딩설비의 고장의 발생으로부터 수리작업까지의 시간을 단축하고, 그 결과 예를 들면 맨션의 거주자 등, 가까운 설비에 고장이나 수리작업이 있었던 것 자체, 인식할 수 없게 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 때문에 맨션 관리비 등의 지출과 보수, 수리 등과의 관련이 희박하게 느껴지게 되기 시작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거주자에게 빌딩설비의 상태, 고장, 수리 등의 정보를 제공하기 쉽게 한 빌딩설비의 관리방법 및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빌딩설비에 공통의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은, 단일 기업만으로 행하는 것은 곤란하게 되어 복수의 기업, 위탁지와의 공동에 의한 보수, 수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복수의 회사, 다수의 작업자에 의한 서비스제공은 회사, 작업자에 의하여 제공할 수 있는 기술레벨에 차가 있기 때문에, 항상 고도의 서비스를 보증하는 것의 장해가 될 수 밖에 없다. 상기 일본국 특개평11-272972호 공보에서는 감시센터로부터 보수점검작업 중, 보수점검작업 종료가 확인 가능할 뿐이며, 거주자에 대하여 점검의 정보를 제공한다는 사고방식이 없고, 또 복수의 회사, 다수의 작업자의 서비스 레벨파악에 대해서도 고려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복수의 회사, 다수의 작업자에 의한 서비스의 레벨파악과, 거주자에 대한 고도의 서비스제공에 적합한 빌딩설비 관리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일면에 있어서, 빌딩설비의 고장, 수리 등의 정보를 기록하는 설비상태이력 데이터베이스와, 거주자가 용이하게 인식 가능한 엘리베이터 홀 및/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내라는 빌딩내의 공유부에 설치한 표시장치와, 이 표시장치에서의 표시의 요구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를 구비하고, 이 입력요구에 따라 표 시장치에 설비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른 일면에 있어서 빌딩마다 설치되는 관리장치와, 엘리베이터 홀 및/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내에 설치되는 표시장치와 입력장치와, 복수의 빌딩관리장치와 접속되는 감시센터와, 이 감시센터에 접지되어 작업자마다 작업자별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입력장치를 거쳐 빌딩설비에 대한 작업내용이 입력되어 작업자별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그 밖의 많은 특징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분명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빌딩설비와 승강기 관리장치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시스템의 주요 구성장치는 관리장치(10), 표시장치(15), 입력장치(16), 엘리베이터 제어장치(20)와 각종 빌딩설비제어장치(30), 감시센터(4O)이다.
관리장치(10)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각종 처리를 실시하는 관리제어기(11), 빌딩설비의 상태변화를 기록하는 설비상태이력 데이터베이스(12)를 구비한다. 관리장치(10)와 각종 제어장치는 설비관리 네트워크(13)로 접속된다.
거주자가 용이하게 인식 가능한 엘리베이터 홀 및/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내라는 빌딩내의 공유부에 설치한 표시장치(15)의 표시내용은 표시제어장치(14)에 의하여 제어된다. 또 표시장치(15)의 근방에는 입력장치(16)가 설치된다. 도 1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케이지(21)내의 행선지층 버튼(22), 엘리베이터 홀의 홀 호출 버튼(23)이 입력장치(16)를 겸용하고 있다.
또 빌딩설비에는 전원설비(31), 펌프·수도설비(32), 조명(33), 공기조화 (34), 입퇴출 관리장치(35), 현관문(36), 방재설비(37), 방범 카메라(38), 주차장 설비(39) 등이 있다. 각 빌딩설비마다 빌딩설비제어장치(30)가 설치되나, 예를 들면 조명(33)과 공기조화(34)와 같이 공통의 빌딩설비제어장치(30)로 제어되거나, 현관문(36)과 같이 입퇴출 관리장치(35)라는 다른 빌딩설비에 접속되거나, 또는 방재설비(37)와 같이 고유한 빌딩설비제어장치(30)를 가지지 않은 것 등, 다양한 접속 케이스가 있다.
감시센터(40)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감시센터측의 처리를 실시하는 원격감시제어기(41), 설비상태이력 데이터베이스(12)에 대응하는 빌딩설비별 데이터베이스 (42), 또 작업자별 데이터베이스(43)가 있고, 관리장치(10)와는 통신회선(44)으로 접속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빌딩설비와 승강기 관리방법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시간경과에 따라 각 장치, 수단, 또는 거주자, 작업자가 어떠한 동작을 행하는지를 나타내고 있다.
빌딩설비·기기에 이상이 발생하면 이상 검지신호가 관리장치(10)에 출력되고, 또 거주자에게 이상의 영향이 미친다. 관리장치(10)는 이상 검지신호를 받으면, 감시센터(40)에 이상을 통보함과 동시에, 표시장치(15)에 이상발생을 표시시켜 거주자에게 이상발생을 시인 또는 청각으로써 인식시킨다. 감시센터(40)는 이상통보를 수신하면 이상상태를 분석하여 필요에 따라 작업자에게 출동을 지시함과 동시에, 관리장치(10)에 출동연락 또는 이상에 대한 대응방법을 송신한다. 관리장치 (10)는 출동연락 또는 이상에 대한 대응방법을 수신하면 표시장치(15)에 진척상황, 작업 중을 표시시켜 거주자에게 이상에 대하여 대응 중임을 시인 가능하게 한다. 감시센터(40)로부터의 출동지시를 받은 작업자는 해당 빌딩에 출동하여 수리작업을 행한다. 작업자의 수리작업에 의하여 빌딩설비·기기가 정상화되면 거주자에 대한 이상의 영향이 없어지고, 정상 복귀한다. 수리를 완료한 작업자는 입력장치(16)에 대하여 수리완료시의 입력조작을 행한다. 이 입력을 받아 관리장치(10)는 설비상태이력 데이터베이스(12)의 내용을 갱신하고, 표시장치(15)에 대하여 수리완료를 표시시켜 거주자가 이상의 수리가 완료된 것을 시인 가능하게 한다. 수리완료의 데이터는 관리장치(10)로부터 감시센터(40)에 송신되고, 감시센터(40)는 수리의 평가를 행함과 동시에, 빌딩설비별 데이터베이스(42), 작업자별 데이터베이스(43)를 갱신하여 작업자 또는 그 소속하는 보수회사 등의 사업체에 대한 비용의 지불 수속처리를 행한다.
이상에 의하여 이상발생으로부터의 일련의 처리를 완료한다.
또 상기에 상관없이 거주자는 빌딩설비·기기의 상태변화에 관한 설비상태이력 데이터베이스(12)의 내용을 확인 가능하다. 즉 이력을 확인하고 싶은 거주자가 이력확인조작으로서, 입력장치(16)를 조작하면 설비상태 이력데이터베이스(12)가 참조되고, 관리장치(10)는 표시장치(15)에 이력데이터를 표시시켜 거주자에게 빌딩설비·기기의 상태변화를 시인 가능하게 한다.
이하, 상기한 처리의 프로그램예를 플로우차트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설비관리처리(100)의 프로그램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비관리처리(100)는 관리장치(10)의 관리제어기(11)에서 실행되는 처리이다. 이하의 처리프로그램과 같이 프로그램의 기동정지는 도시 생략한 조작시스템의 동작에 의하여 정기적으로 또는 인터럽트신호에 의하여 필요에 따라 행하여지는 것으로 한다.
단계(100-1)에서 설비의 이상을 검지하면, 단계(100-2)에서 감시센터(40)에 이상을 통보하고, 단계(100-3)에서 표시장치(15)에 이상상태를 표시시킨다. 단계 (100-4)에서 감시센터(40)의 응답을 기다려, 응답이 있으면 단계(100-5)에서 표시장치(15)에 응답내용 또는 진척상황을 표시시킨다. 응답내용 또는 진척상황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감시센터(40)로부터의 응답신호로부터 단계(100-6)에서 수리·점검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뒤에서 설명하는 수리 중 처리(110)의 서브루틴으로 이행한다.
수리 중 처리(110)의 처리가 종료한 경우, 또는 단계(100-1)에서 설비에 이상이 검지되지 않은 경우 및 단계(100-6)에서 수리·점검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이상」에 관련되는 표시를 행할지의 판정에 관한 단계(100-7) 이하의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100-7)에서는 「이상」에 관련되는 표시를 행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상」에 관련되는 표시란, 단계(100-3, 100-5)의 이상상태가 계속 중인 것의 표시, 또는 뒤에서 설명하는 수리 중 처리(110)에서 수리완료시의 단계(110-7)에서 표시하는 수리완료에 관한 표시를 말한다. 단계(100-7)에서 「이상」에 관련되는 표시를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100-8)에서 표시의 종료조건을 확인한다. 표시의 종료조건이란, 예를 들면 수리완료표시로부터 3일간이 경과하였다 라는 표시시간 만료에 의한 것이거나, 또는 수리완료의 표시를 본 거주자가 입력장치(16)를 거쳐 입력하는 완료의 확인, 표시의 종료를 지시하는 입력지령 등으로, 빌딩의 상황에 맞추어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단계(100-8)에서 이상표시의 종료조건이 성립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상표시를 계속하기 위하여 이하의 단계를 행하지 않고 설비관리처리(100)를 종료한다. 단계 (100-8)에서 이상표시의 종료조건이 성립한 경우에는 단계(100-9)에서 「이상」관련표시를 종료한다. 단계(100-7)에서 「이상」에 관련되는 표시를 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 또는 단계(100-9)에서 「이상」관련표시를 종료한 경우에는, 단계(100-10)에서 표시장치(15)에 통상의 표시내용의 표시를 지시하고, 설비관리처리(100)를 종료한다.
도 4는 수리 중 처리(110)의 프로그램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한 단계(100-6)에서 수리·점검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110-1)에서 작업자에 의한 입력장치(16)로부터의 수리 개시조작의 입력 대기상태가 된다. 단계(110-1)에서 작업자에 의한 수리 개시조작의 입력이 있고, 단계(110-2)에서 그 조작자의 식별 코드입력이 정규의 코드와 일치한 경우에는 이하의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110-3)에서는 빌딩설비의 고장, 수리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장치(15)에 표시시킨다. 단계(11O-4)에서는 빌딩설비의 수리에 관한 작업지시가 있으면 표시장치(15)에 표시시킨다. 이 단계(110-3, 110-4)는 작업자에 대한 관리장치(10), 감시센터(4O)로부터의 작업지원이 된다.
단계(110-5)는 작업자에 의한 수리완료의 입력대기상태로서, 완료입력이 있으면 단계(110-6)에서 관리장치(10)가 이상을 초래한 빌딩설비·기기의 상태를 체크하여 수리가 OK인지 확인한다. 수리의 확인이 OK가 될 때까지는 단계(110-3)로 되돌아가, 상기한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110-6)에서 수리의 완료가 확인되면, 단계(110-7)에서 표시장치(15)에 수리완료를 표시시킨다. 단계(110-8)에서는 수리의 완료에 따라 설비상태이력 데이터베이스(12)를 갱신하고, 단계(110-9)에서는 감시센터(40)에 수리의 완료에 관한 데이터[작업자로부터의 입력과, 관리장치(10)에서의 설비상태확인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리 중 처리(110)로부터 설비관리처리(100)로 복귀한다.
도 5는 감시센터에서의 이상분석처리(200)의 프로그램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설명한 단계(100-2)에 의한 감시센터(40)에의 통보를 받아 감시센터(40)에서는 이상분석처리(200)가 기동된다. 단계(200-1)에서 설비 이상의 통보를 수신하면 단계(200-2)에서 그 이상이 순간 정전 등, 일과성의 것인지를 확인한다. 단계(200-2)에서 이상이 일과성의 것인 경우에는, 단계(200-3)에서 현재가 정상인지를 확인한다. 단계(200-3)에서 현재가 정상인 경우에는, 특히 수리, 점검이 필요없으므로 단계(200-4)에서 「일과성 이상, 정상복귀」의 표시지시를 선택하여 B로 점프한다.
단계(200-3)에서 현재가 정상이 아닌 경우, 또는 단계(200-2)에서 이상이 일과성의 것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200-5)에서 감시센터(40)로부터의 원격조작으로 수정이 가능한지를 확인한다. 원격조작에서 수정이란, 프로그램의 일시적인 데이터 이상 등으로, 원격조작으로 재기록하는 등의 조작에 의하여 수정하는 것을 가리킨다. 단계(200-5)에서 원격조작에서의 수정이 가능한 경우에는 단계(200-6)에서 원격의 수정조작을 실시하고, 단계(200-7)에서 정상으로 복귀하였는지를 확인한다. 단계(200-7)에서 정상으로 복귀한 경우에는 단계(200-8)에서 「이상, 원격조작에 의하여 정상복귀」의 표시지시를 선택하여 B로 점프한다.
단계(200-7)에서 정상으로 복귀할 수 없었을 경우, 또는 단계(200-5)에서 원격조작에서의 수정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200-9)에서 작업자의 출동에 의하여 수리가 필요한 이상인지를 확인한다. 이상이 경미하여 작업자의 출동은 필요없는 경우에는 단계(200-10)에서 「경미한 이상, 다음번 점검에서 대책」의 표시지시를 선택한다. 단계(200-9)에서 작업자의 출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단계(200-11)에서 작업자가 자사인지 타사인지를 확인하여, 자사인 경우에는 단계(200-12)에서 출동지시의 표시를 행한다. 단계(200-11)에서 타사인 경우에는 작업자별 데이터베이스(43)를 참조하여 위탁하는 회사, 작업자를 선택하여, 단계(200-13)에서 출동의뢰를 지시한다. 그 후 단계(200-14)에서 「이상, 출동지시완료」의 표시지시를 선택한다.
이와 같이 이상분석처리(200)에서는 단계(200-4, 200-8, 200-10, 또는 200-14) 중 어느 하나로 대응방법이 결정되었기 때문에 단계(200-15)에서 표시지시의 데이터를 관리장치(10)에 송신한다. 그 후, 단계(200-16)에서 빌딩설비별 데이터베이스(42)를 갱신하고, 단계(200-17)에서 작업자별 데이터베이스(43)를 갱신한다.
도 6은 감시센터에서의 수리완료시 처리(210)의 프로그램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설명한 이상분석처리(200)에서 작업자의 출동을 지시한 경우에는 수리 완료시처리(210)의 단계(210-1)에서 관리장치(10)로부터의 수리완료데이터의 수신 대기상태가 된다. 단계(210-1)에서 수리완료데이터를 수신하면, 단계(210-2)에서 빌딩설비별 데이터베이스(42)를 갱신한다. 다음에 단계(210-3)에서 수리의 평가를 행한다. 이 수리의 평가는 이상 자체의 난이도, 출동지시로부터 작업완료까지의 작업시간의 장단이거나, 수리완료가 되기까지의 반복수 등을 항목으로서 평가하여, 평가채점과 지불 금액을 결정하는 것이다. 단계(210-4)에서는 평가결과에 의하여 작업자별 데이터베이스(43)를 갱신한다. 단계(210-5)에서는 위탁회사, 작업자에 대한 지불처리를 행한다.
이상, 도 3 내지 도 6의 처리에 의하여 이상에 대응하는 관리장치(10), 감시센터(4O)의 일련의 처리를 완료한다.
도 7은 이력확인처리(120)의 프로그램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거주자는 빌딩설비·기기의 상태변화에 관한 설비상태이력 데이터베이스(12)의 내용을 확인 가능하다. 단계(120-1)에서 이력확인의 개시조작이 있고, 단계(120-2)에서 그 조작자식별 코드가 정규의 것인 경우에는, 이력 데이터의 표시장치(15)에 대한 표시가 가능하다. 단계(120-3)에서는 표시의 대상이 되는 이력 데이터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단계(120-4)에서 상세정보표시의 지시입력이 행하여진 경우에는, 단계(120-5)에서 설비상태이력 데이터베이스(12)를 판독하고, 단계(120-6)에서 조작자 식별 코드에 따른 상세정보를 표시한다. 단계(120-4)에서 상세정보표시의 지시입력이 없어지면 종료한다.
도 8은 표시장치의 화면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장치(15)는 문 자, 도면의 표시가 가능한 컴퓨터 디스플레이타입의 것의 사용이 일반적이나, 일반정보나, 이력 데이터베이스(12)의 기록내용으로부터 빌딩설비의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영역(15-1)이 필요하다.
엘리베이터 홀이나 케이지내에 표시장치(15)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의 위치표시기를 겸용하고, 엘리베이터정보영역(15-2)이 있으면 안성마춤이다. 또 행선지층 버튼(22)이나 홀 호출버튼(23)을 입력장치(16)로서 겸용하는 경우에는 버튼수가 적기 때문에 특수한 조작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아, 표시장치(15)에 조작방법설명영역(15-3)이 있는 것이 편리하다.
도 9는 표시장치의 표시문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상발생으로부터의 일련의 처리에 대응하여, 도 9 (1) 이상발생시, (2) 작업 중, (3) 수리완료라고 한 처리를 행한다.
또 거주자에 의한 빌딩설비·기기의 이력확인조작에 대해서는, 도 9 (4)와 같은 이력표시를 행한다. 또한 상기한 단계(200-4)의 일과성 이상에 대해서는 도 9 (5), 단계(200-8)의 원격수정에는 도 9 (6), 단계(200-10)의 경미한 이상에는 도 9 (7)과 같은 표시를 행한다.
또 도 9는 설명을 위한 일례로서, 각각의 상황에 따라 적합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빌딩마다 설치되는 관리장치(10)와, 상기 빌딩의 엘리베이터 홀 및/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21)내에 설치되는 표시장치(15)와, 복수의 빌딩 관리장치(10)와 접속되는 감시센터(40)를 구비한 빌딩설비와 승강기의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10)에 설치되어 빌딩설비(20, 31∼39)의 상태변화를 기록하는 설비상태이력 데이터베이스(12)와, 상기 감시센터(40)에 설치되어 빌딩마다의 상기 설비상태이력 데이터베이스(12)에 대응하는 빌딩설비별 데이터베이스(42) 및 작업자마다의 작업자별 데이터베이스(43)와, 상기 빌딩설비에 대한 작업내용과 상기 표시장치(15)에서의 표시요구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16)와, 이 입력요구에 따라 상기 설비상태이력 데이터베이스(12)의 내용을 상기 표시장치(15)에 표시하는 표시제어장치(14)와, 상기 입력장치(16)를 거쳐 입력된 작업내용에 따라 상기 작업자별 데이터베이스(43)를 갱신하는 기록제어수단[원격감시제어기(41)내]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거주자가 빌딩설비의 고장, 수리 등을 용이하게, 선택적으로 표시 시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복수의 회사, 다수의 작업자의 서비스 레벨파악이 가능하게 되어 거주자에게 고도의 서비스의 제공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일과성 이상이나 원격수정 등, 작업자가 출동하지 않은 이상에 관해서도 거주자에게 보고, 정보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한 외에, 이하와 같은 특징이 있다.
특징 12 :
빌딩마다 설치되는 관리장치와, 상기 빌딩의 엘리베이터 홀 및/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내에 설치된 입력장치와, 복수의 빌딩의 관리장치와 접속되는 감시센터를 구비한 빌딩설비와 승강기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시센터가 빌딩설비별 데이터베이스와 작업자별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관리장치가 빌딩설비의 이상을 감시센터에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감시센터가 작업자의 출동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의 수리작업 완료입력에 따라 상기 관리장치가 상기 입력데이터를 감시센터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감시센터가 작업자별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갱신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설비와 승강기 관리방법.
특징 13 :
특징 12에 있어서, 상기 감시센터가 작업자의 출동을 결정하는 단계가 상기 작업자별 데이터베이스의 기록내용에 따라 출동하는 작업자를 선택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설비와 승강기 관리방법.
특징 14 :
빌딩마다 설치되는 관리장치와, 상기 빌딩의 엘리베이터 홀 및/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내에 설치되는 표시장치와, 복수의 빌딩의 관리장치와 접속되는 감시센터를 구비한 빌딩설비와 승강기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의 근방에 설치되어 표시요구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관리장치가 빌딩설비의 이상을 검지하는 단계와, 이상을 감시센터에 통보하는 단계와, 이상발생을 표시장치에 표시시키는 단계와, 감시센터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와, 감시센터로부터의 응답내용을 표시장치에 표시시키는 단계와, 입력장치로부터의 입력에 의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와, 수리완료를 표시장치에 표시시키는 단계와, 완료데이터를 감시센터에 송신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설비와 승강기 관리방법.
특징 15 :
빌딩마다 설치되는 관리장치와, 상기 빌딩의 엘리베이터 홀 및/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내에 설치되는 표시장치와 입력장치와, 복수의 빌딩의 관리장치와 접속되는 감시센터를 구비한 빌딩설비와 승강기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시센터가 상기 관리장치로부터의 이상통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이상내용을 분석하는 단계와, 작업자에게 출동을 지시하는 단계와, 이상에 대한 응답내용을 관리장치에 송신하는 단계와, 관리장치로부터의 수리완료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작업자의 작업내용을 평가하는 단계와, 작업자별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와, 작업자 또는 그 소속사업체에의 비용의 지불수속을 행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설비와 승강기 관리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거주자가 빌딩설비의 고장, 수리 등을 용이하게, 선택적으로 표시 시인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빌딩설비의 관리방법에 있어서,
    빌딩설비의 상태를 기록하는 이력 데이터베이스와;
    빌딩의 공유부에 설치된 표시장치와;
    빌딩의 공유부에 설치되어 표시요구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를 구비하고, 빌딩설비의 상태변화를 상기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의 상기 이력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의 표시요구를 받음에 따라 상기 표시장치에 상기 이력 데이터베이스의 기록내용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설비의 관리방법.
  2. 빌딩설비 관리방법에 있어서,
    빌딩설비의 상태를 기록하는 이력 데이터베이스와;
    엘리베이터 홀 및 엘리베이터 케이지내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된 표시장치와;
    상기 표시장치의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표시장치에의 표시요구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를 구비하고, 빌딩설비의 상태변화를 상기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이력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의 표시요구를 받은 것에 따라 상기 표시장치에 상기 이력 데이터베이스의 기록내용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설비 관리방법.
  3. 빌딩설비의 관리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홀 및 엘리베이터 케이지내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된 표시장치와;
    상기 표시장치의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표시장치에의 표시요구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와;
    빌딩설비의 상태변화를 기록하는 이력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이력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의 표시요구가 입력된 것에 따라 상기 표시장치에 상기 이력 데이터베이스의 기록내용을 표시하는 표시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설비의 관리장치.
  4. 빌딩설비 관리방법에 있어서,
    빌딩설비의 상태를 기록하는 이력 데이터베이스와;
    엘리베이터 홀 및 엘리베이터 케이지내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된 표시장치와 입력장치를 구비하고, 빌딩설비의 상태변화를 상기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식별코드와 표시요구에 따라 상기 식별코드에 따른 상기 이력 데이터베이스의 기록내용을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설비 관리방법.
  5. 빌딩설비의 관리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홀 및 엘리베이터 케이지내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된 표시장치와 입력장치와, 빌딩설비의 상태변화를 기록하는 이력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이력 데이터베이스의 기록내용을 표시하는 정보표시영역과, 엘리베이터의 위치와 진행방향을 표시하는 엘리베이터정보영역과, 상기 입력장치의 조작방법을 설명하는 조작방법설명영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설비의 관리장치.
  6. 빌딩마다 설치되는 관리장치와;
    복수의 빌딩의 관리장치와 접속되는 감시센터와;
    엘리베이터 홀 및 엘리베이터 케이지내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된 표시장치를 구비한 빌딩설비 관리방법에 있어서,
    빌딩설비의 이상발생을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단계와;
    이상을 감시센터에 통보하는 단계와;
    감시센터로부터의 응답을 표시하는 단계와;
    이상에 대한 수리완료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설비 관리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빌딩설비의 상태변화를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단계와, 표시요구입력에 따라 이력 데이터베이스의 기록내용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설비 관리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빌딩설비의 일과성의 이상, 감시센터로부터의 원격조작에 의한 수정, 또는 작업자가 출동하지 않는 이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설비 관리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리완료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장치가 이상을 초래한 빌딩설비/기기의 상태를 체크하여 수리가 OK인지 확인될 때, 상기 표시장치에 수리완료를 표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설비 관리방법.
  10. 빌딩마다 설치되는 관리장치와;
    상기 빌딩의 엘리베이터 홀 및 엘리베이터 케이지내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된 표시장치와 입력장치와, 복수의 빌딩의 관리장치와 접속되는 감시센터를 구비한 빌딩설비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수리완료입력을 접수한 것에 따라 상기 관리장치내의 빌딩설비별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설비 관리방법.
  11. 빌딩마다 설치되는 관리장치와;
    상기 빌딩의 엘리베이터 홀 및 엘리베이터 케이지내 중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표시장치와;
    복수의 빌딩의 관리장치와 접속되는 감시센터를 구비한 빌딩설비의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리장치에 설치되어 빌딩설비의 상태변화를 기록하는 설비상태이력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감시센터에 설치되어 빌딩마다의 상기 설비상태 이력 데이터베이스에 대응하는 빌딩설비별 데이터베이스 및 작업자마다의 작업자별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빌딩설비에 대한 작업내용과 상기 표시장치에서의 표시요구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와;
    상기 표시요구에 따라 상기 설비상태이력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표시제어장치와;
    상기 입력장치를 거쳐 입력된 작업내용에 따라 상기 작업자별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기록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설비의 관리장치.
KR1020020058157A 2001-09-26 2002-09-25 빌딩설비 관리방법 및 관리장치 KR1009038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93980A JP4005328B2 (ja) 2001-09-26 2001-09-26 ビル設備と昇降機の管理装置
JPJP-P-2001-00293980 2001-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727A KR20030027727A (ko) 2003-04-07
KR100903830B1 true KR100903830B1 (ko) 2009-06-25

Family

ID=19115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157A KR100903830B1 (ko) 2001-09-26 2002-09-25 빌딩설비 관리방법 및 관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30057029A1 (ko)
EP (1) EP1314677B1 (ko)
JP (1) JP4005328B2 (ko)
KR (1) KR100903830B1 (ko)
CN (1) CN1223503C (ko)
HK (1) HK1054734A1 (ko)
TW (1) TWI2921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0680A (ja) * 2002-04-10 2003-10-21 Takao Suzuki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5193998A (ja) * 2003-12-26 2005-07-21 Taisei Corp エレベータの運行システム
US7721852B2 (en) * 2004-03-30 2010-05-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of elevator
CN1829650A (zh) * 2004-05-21 2006-09-06 三菱电机株式会社 升降机的远程监视控制系统
US7793762B2 (en) * 2004-11-30 2010-09-14 Otis Elevator Company Destination entry passenger interface with multiple functions
CN100417582C (zh) * 2005-03-24 2008-09-10 陕西亿丰电子工程有限公司 电梯运行安全追忆评估系统
JP4849902B2 (ja) * 2006-02-02 2012-01-11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昇降路内通信ケーブルの異常検知によるエレベータ保守装置
JP5344797B2 (ja) * 2007-03-13 2013-11-2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スカレータの機能可変型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9137732A (ja) * 2007-12-10 2009-06-25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WO2010070378A1 (en) 2008-12-19 2010-06-2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or frame with electronics housing
WO2010120771A1 (en) * 2009-04-15 2010-10-21 DiMi, Inc. Remote building monitoring and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JP2011003007A (ja) * 2009-06-18 2011-01-06 Yamatake Corp 施設管理装置及び施設管理方法
TWI402777B (zh) * 2009-08-04 2013-07-21 Sinew System Tech Co Ltd Management Method of Real Estate in Community Building
WO2011124131A1 (en) * 2010-04-08 2011-10-13 Kit Meng Chan Utility control system
KR101224732B1 (ko) * 2010-12-30 2013-01-21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2344069B (zh) * 2011-10-14 2013-05-01 东营市宏安电梯有限责任公司 电梯应急管理技术支持系统
WO2013171889A1 (ja) 2012-05-17 2013-11-21 三菱電機株式会社 管理システ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765642B (zh) * 2012-07-23 2014-12-10 广州日滨科技发展有限公司 电梯故障分级处理的方法及装置
KR20140109708A (ko) 2013-03-06 2014-09-16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수직 배열 방사소자들을 구비한 안테나
JP2015009938A (ja) * 2013-06-28 2015-01-19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管理装置、エレベーター管理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管理方法
CN106132864B (zh) * 2014-03-14 2019-09-10 奥的斯电梯公司 用于确定无绳电梯系统中磁性部件的磁场取向的系统和方法
JP6244273B2 (ja) * 2014-06-30 2017-12-06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情報表示装置及び情報表示システム
JP6614800B2 (ja) * 2015-05-20 2019-12-0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訪問計画作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029884B2 (en) * 2015-09-14 2018-07-24 Otis Elevator Company Building management system integrated with elevator display
US10005640B2 (en) * 2015-09-23 2018-06-26 C.E. Electronics Elevator alert status indicator
CN105253731B (zh) * 2015-11-20 2018-05-11 宁夏电通物联网科技股份有限公司 电梯维保超期报警系统及方法
CN106219341A (zh) * 2016-07-28 2016-12-14 安徽互智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监控系统
US10011460B2 (en) * 2016-09-27 2018-07-0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ynamic displays for messaging and communication
WO2018087253A1 (en) 2016-11-11 2018-05-17 Inventio Ag Security system for buildings with elevator installations
JP6785724B2 (ja) * 2017-06-16 2020-11-18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情報処理装置、問合せ処理システムおよび問合せ処理方法
US11095502B2 (en) * 2017-11-03 2021-08-17 Otis Elevator Company Adhoc protocol for commissioning connected devices in the field
JP6913647B2 (ja) * 2018-03-07 2021-08-0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保守作業管理装置、保守作業管理システム
US11029810B2 (en) * 2018-05-07 2021-06-08 Otis Elevator Company Equipment service graphical interface
SG11201913558RA (en) * 2018-05-10 2020-11-27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Simulation device
CN108946370B (zh) * 2018-07-24 2021-05-07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电梯故障信息处理方法、系统、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09019198A (zh) * 2018-08-24 2018-12-18 广州广日电梯工业有限公司 电梯外召系统及方法
CN109052085B (zh) * 2018-10-31 2024-04-05 通力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控制系统和一种电梯控制方法
CN109650207A (zh) * 2019-01-31 2019-04-19 深圳桥通物联科技有限公司 电梯轿厢内查看电梯数据的方法
CN110697527B (zh) * 2019-09-04 2021-03-23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退出轿顶检修模式的控制方法、装置、控制器和存储介质
JP7463076B2 (ja) * 2019-10-23 2024-04-08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情報表示方法
JP7001189B1 (ja) * 2021-04-27 2022-01-19 三菱電機株式会社 ロボットの稼働計画策定の支援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0665A (en) * 1987-01-20 1989-11-14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Touch control arrangement for graphics display apparatus having saw reflectors of frit composition
JPH02123081A (ja) * 1988-10-31 1990-05-1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操作装置
US5679934A (en) * 1994-10-21 1997-10-21 Kone Oy Programmable operating panel for an elevator car
WO2000044662A1 (en) * 1999-02-01 2000-08-0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with operating mode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3648A (en) * 1974-09-30 1976-08-10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Monitoring system for elevator installation
US4418795A (en) * 1981-07-20 1983-12-06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ervicing methods and apparatus
US4512442A (en) * 1984-03-30 1985-04-23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servicing of an elevator system
DE3611597A1 (de) * 1986-04-07 1987-10-08 Flohr Otis Aufzugs Gmbh Zentrale fahrtreppen-fernueberwachungsanordnung
US4930604A (en) * 1988-10-31 1990-06-05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Elevator diagnostic monitoring apparatus
US5132681A (en) * 1989-07-05 1992-07-21 Ryoichi Yabe Intelligent switch system
FI93339C (fi) * 1993-03-17 1995-03-27 Kone Oy Menetelmä hissin ohjaustietojen toimittamiseksi, tallentamiseksi ja näyttämiseksi
FI102884B1 (fi) * 1995-12-08 1999-03-15 Kone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hissin toimintojen analysoimiseksi
FI111620B (fi) * 1995-12-21 2003-08-29 Kone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hissin toimintojen esittämiseksi
DE19800714A1 (de) * 1998-01-09 1999-07-15 Kone Oy Verfahren zur Wartung einer Aufzugsanlage und Aufzugsanlage
US6439350B1 (en) * 2001-07-02 2002-08-27 Otis Elevator Company Differentiating elevator car door and landing door operating problem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0665A (en) * 1987-01-20 1989-11-14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Touch control arrangement for graphics display apparatus having saw reflectors of frit composition
JPH02123081A (ja) * 1988-10-31 1990-05-1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操作装置
US5679934A (en) * 1994-10-21 1997-10-21 Kone Oy Programmable operating panel for an elevator car
WO2000044662A1 (en) * 1999-02-01 2000-08-0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with operating mode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57029A1 (en) 2003-03-27
CN1223503C (zh) 2005-10-19
EP1314677A2 (en) 2003-05-28
EP1314677A3 (en) 2003-11-19
KR20030027727A (ko) 2003-04-07
JP4005328B2 (ja) 2007-11-07
CN1410336A (zh) 2003-04-16
JP2003099882A (ja) 2003-04-04
EP1314677B1 (en) 2006-05-17
HK1054734A1 (en) 2003-12-12
TWI292134B (ko) 2008-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830B1 (ko) 빌딩설비 관리방법 및 관리장치
EP1400475A1 (en) Elevator system
JP5517288B2 (ja) エレベータ保守作業管理システム
KR20000049305A (ko) 주차 안내 및 관리 시스템
WO2007055286A1 (ja) 昇降機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7145500A (ja) 保守点検管理システム
CN102574661B (zh) 电梯通知装置
JP2007238202A (ja) 保守点検管理システム
JP2002316780A (ja) 地震発生時の作業報告システム
JP2009214962A (ja) 昇降機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9214964A (ja) 昇降機の保守管理システム
JP7412316B2 (ja) エレベーター呼び登録方法及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2017138908A (ja) ビル設備管理システム
CN112020472B (zh) 具备更新电梯的点检信息显示的功能的显示控制装置及电梯系统
JP2011190097A (ja) エレベータのコンディション情報報知システム
JP5501737B2 (ja) エレベータ保守作業管理システム
JP4659607B2 (ja) エレベーター用地震時管制運転の復旧対応システム
JPH071219U (ja) 駐車場の故障監視システム
KR19990074721A (ko)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장치
KR20190102027A (ko)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
JP2894420B2 (ja) ビル管理装置
JPH0822589A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装置
JP2022130148A (ja) 現場表示具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
JP2009214963A (ja) 昇降機の保守管理システム
JPH05178554A (ja) エレベータ表示灯の点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