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558B1 - 인서트를 내장하는 이중사출성형방법 및 이러한 이중사출성형방법에 의해 제작된 인서트 내장형 전자제품 케이스 - Google Patents

인서트를 내장하는 이중사출성형방법 및 이러한 이중사출성형방법에 의해 제작된 인서트 내장형 전자제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558B1
KR100903558B1 KR1020080088852A KR20080088852A KR100903558B1 KR 100903558 B1 KR100903558 B1 KR 100903558B1 KR 1020080088852 A KR1020080088852 A KR 1020080088852A KR 20080088852 A KR20080088852 A KR 20080088852A KR 100903558 B1 KR100903558 B1 KR 100903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old assembly
moving
assembly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활
이기철
신재웅
Original Assignee
엠앤드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앤드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앤드엠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08317464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09279920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1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with an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3Injection moulding apparatus
    • B29C45/10Injection moulding apparatus using moulds or injection units usable in different arrangements or combinations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15The materials being injected at different mould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29C2045/14114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using an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1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with an insert
    • B29C2045/1673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with an insert injecting the first layer, then feeding the insert, then injecting the second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서트를 삽입하여 이중사출성형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전자제품용 케이스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이중사출성형방법은 고정 금형과 이동 금형을 각각 포함하는 제 1 금형조립체 및 제 2 금형조립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고정 금형에는 사출액 주입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출액 주입구에는 사출액 주입용 게이트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과 상기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이중사출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이중사출성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을 고정 금형으로부터 분리되게 이동시켜서 상기 제 1 금형조립체를 개방시키는 단계; 인서트를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 내에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을 고정 금형과 맞물리도록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의 고정 금형에 설치된 사출액 주입용 게이트를 통하여 제 1 사출액을 상기 제 1 금형조립체 내에 주입하는 단계;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을 고정 금형으로부터 분리되게 이동시켜서 상기 제 1 금형조립체를 개방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에서 만들어진 1차 사출성형품을 상기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을 고정 금형과 맞물리도록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제 2 금형조립체의 고정 금형에 설치된 사출액 주입용 게이트를 통하여 제 2 사출액을 상기 제 2 금형조립체 내에 주입하는 단계; 상기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을 고정 금형으로부터 분리되게 이동시켜서 상기 제 2 금형조립체를 개방시키는 단계; 그리고 완성된 사출성형품을 제 2 금형조립체로부터 꺼내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이중사출성형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본 발명의 전자제품용 케이스는 투명한 수지로 성형되는 외측 표면 및 상기 외측 표면의 내측면에 유색의 수지가 주입되어 성형되는 내측 표면으로 구성된 이중 층으로 되어 있고, 외측 표면와 내측 표면 사이에 삽입되는 인서트를 포함하고 있다.
고정 금형, 이동 금형, 사출액 주입구, 사출액 주입용 게이트, 인서트, 전자제품용 케이스,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이중사출성형장치

Description

인서트를 내장하는 이중사출성형방법 및 이러한 이중사출성형방법에 의해 제작된 인서트 내장형 전자제품 케이스{A DOUBLE INJECTION MOLDING METHOD INCORPORATING INSERTS AND AN ELECTRONIC PRODUCT CASE HAVING INSERTS PRODUCED BY THE SAID METHOD}
본 발명은 핸드폰, PDA 등 휴대용 단말기,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제품의 외장 케이스를 이중사출성형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작된 전자제품의 외장 케이스에 관한 발명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조회사의 로고 등과 같은 인서트를 내장하는 방식의 이중사출성형방법 및 이러한 이중사출성형방법에 의해 제작된 인서트 내장형 전자제품 외장 케이스에 관한 발명이다.
종래 데스크톱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 제품의 외장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단일의 금형을 사용하여 사출성형하는 방식으로 제작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은 이러한 방식으로 제작된 데스크톱 컴퓨터의 전면 케이스(1) 및 노트북 컴퓨터의 상부면 케이스(10)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작된 컴퓨터 케이스는 케이스의 표면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이나 긁힘에 약하고, 외관상으로도 미려한 디자인을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의 외장 케이스에는 제조회사의 로고, 제품의 사양을 나타내는 문자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문자나 기호가 부착되어 있고, 이러한 문자나 기호는 전자제품의 외장 케이스의 사출성형시에 금형 내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인서트(insert)라고 지칭한다.
한편, 컴퓨터 케이스에는 컴퓨터 제조사의 로고(2, 12), 각종 안내 표시(3, 13), 컴퓨터의 사양을 나타내는 표시(4, 14), 컴퓨터 내부에 사용된 부품 제작사의 로고(5, 15) 등 다양한 표지(본 발명에서의 "인서트"에 해당함)가 부착된다. 이러한 표지는 평면형의 문양이나 입체형의 디자인일 수 있다. 종래의 컴퓨터용 케이스에서는 이러한 표지를 케이스의 표면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하고 있었으나, 표지를 케이스 표면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케이스 제작 공정 이외에 별도의 부착 공정을 거쳐야 하며,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 표지는 시간에 지남에 따라 접착력이 약해져서 쉽게 떨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표지가 입체형의 디자인일 경우에는 외부로 돌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부착력이 더욱 약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자제품용 케이스에 인서트를 부착하는 종래의 방식을 개선하여, 전자제품용 케이스에 인서트를 부착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공정이 필요없으며, 부착후 떨어져 나갈 염려가 전혀 없으며, 외관상으로도 미려한 전자제품용 케이스를 이중사출성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면, 고정 금형과 이동 금형을 각각 포함하는 제 1 금형조립체 및 제 2 금형조립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고정 금형에는 사출액 주입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출액 주입구에는 사출액 주입용 게이트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과 상기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이중사출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이중사출성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을 고정 금형으로부터 분리되게 이동시켜서 상기 제 1 금형조립체를 개방시키는 단계; 인서트를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 내에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을 고정 금형과 맞물리도록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의 고정 금형에 설치된 사출액 주입용 게이트를 통하여 제 1 사출액을 상기 제 1 금형조립체 내에 주입하는 단계;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을 고정 금형으로부터 분리되게 이동시켜서 상기 제 1 금형조립체를 개방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에서 만들어진 1차 사출성형품을 상기 제 2 금형조립체의 이 동 금형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을 고정 금형과 맞물리도록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제 2 금형조립체의 고정 금형에 설치된 사출액 주입용 게이트를 통하여 제 2 사출액을 상기 제 2 금형조립체 내에 주입하는 단계; 상기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을 고정 금형으로부터 분리되게 이동시켜서 상기 제 2 금형조립체를 개방시키는 단계; 그리고 완성된 사출성형품을 제 2 금형조립체로부터 꺼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중사출성형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고, 다만 인서트를 제 1 금형조립체 내의 이동 금형 내에 배치시키는 대신에, 인서트를 제 1 금형조립체에서 1차 사출성형품을 만든 후 이를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 내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1차 사출성형품내에 배치시키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중사출성형장치에 인서트 파지용 기구 또는 로봇팔을 더 구비하여, 인서트를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내(제 1 실시형태) 또는 1차 사출성형품내(제 2 실시형태)에 배치시키는 단계가 상기 인서트 파지용 기구 또는 로봇 팔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 금형내(제 1 실시형태) 또는 1차 사출성형품내(제 2 실시형태)에는 상기 인서트가 안착되는 상기 인서트와 대응되는 형상의 오목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서트의 배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 금형과 상기 인서트는 자성체로 되어 있어서, 상기 인서트가 자기력에 의해 상기 이동 금형 내에 고정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이중사출성형방법에 의해 제작된 전자제품용 케이스는 투명한 수지로 성형되는 외측 표면 및 상기 외측 표면의 내측면에 유색의 수지가 주입되어 성형되는 내측 표면로 구성된 이중 층으로 되어 있고, 상기 외측 표면 및 상기 내측 표면 사이에 삽입된 인서트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이중사출성형방법에 따르면, 전자제품용 케이스의 외 표면층과 내 표면층 사이에 다양한 종류의 인서트를 직접 삽입하여 일체형으로 전자제품용 케이스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인서트를 부착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공정없이 각종 인서트를 전자제품용 케이스에 삽입할 수 있으며, 한 번의 공정으로 완제품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용 케이스는, 이중 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일 층의 케이스에 비하여 강도가 강하며, 외 표면층을 투명하게 함으로써 내장된 인서트를 외부에 인식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인서트가 이탈되거나 파손되거나 긁히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입체형상의 인서트라고 하더라도 떨어져 나갈 염려가 전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이중사출성형방법 및 이에 의한 사출성형품은 모든 전자제품의 외장 케이스에 적용할 수 있지만, 아래에서는, 도시의 간략화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 데스크톱 컴퓨터용 외장 케이스와 노트북 컴퓨터용 외장 케이스를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사출성형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는, 고정 금형(100)과 이동 금형(200)을 각각 포함하는 제 1 금형조립체(100, 200) 및 제 2 금형조립체(도시생략)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고정 금형에는 사출액 주입구(도시생략)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출액 주입구에는 사출액 주입용 게이트(도시생략)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과 상기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이중사출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이중사출성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제 1 금형조립체를 개방하기 위해서, 이동 금형(200)을 고정 금형(100)으로부터 분리되게 화살표 A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다음 단계로, 컴퓨터 제조회사의 로고, 컴퓨터의 사양을 나타내는 문자 및 컴퓨터에 내장된 마이크로 프로세서 제조사의 로고 등과 같은 인서트(400)(도면상으로, 1 개의 인서트만 도시되어 있지만, 복수개의 인서트를 포함할 수도 있음)를 이동 금형(200) 내에 배치시킨다.
이때, 통상적으로, 이중사출성형장치에 인서트 파지용 기구 또는 로봇팔(300)을 더 구비하여, 상기 인서트 파지용 기구 또는 로봇 팔(300)에 의해서 인서트(400)를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200)(제 1 실시형태) 또는 1차 사출성형품(제 2 실시형태) 내에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서트 파지용 기구 또는 로봇팔(300)은 인서트(400)를 집어들어서 인서트(400)를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200)(제 1 실시형태) 또는 1차 사출성형품(제 2 실시형태) 내에 자동적으로 배치시키는 장치로서 제 1 또는 제 2 금형조립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과 고정 금형 사이로 진입하여 인서트를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200)(제 1 실시형태) 또는 1차 사출성형품(제 2 실시형태) 내에 배치시킨 후, 상기 제 1 또는 제 2 금형조립체가 폐쇄되기 전에 제 1 또는 제 2 금형조립체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장치이다.
다음 단계로, 이동 금형(200)을 고정 금형(200)과 맞물리도록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결합시킨 다음, 고정 금형(100)에 설치된 사출액 주입용 게이트(도시생략)를 통하여 제 1 사출액을 제 1 금형조립체 내에 주입한다. 이 때, 제 1 사출액은 내부의 인서트(400)가 잘 보일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수지(resin)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단계로,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200)을 고정 금형(200)으로부터 분리되게 화살표 A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제 1 금형조립체를 개방시킨 다음,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에서 만들어진 1차 사출성형품(반제품)을 상기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 1 금형조립체에서 만들어진 1차 사출성형품을 상기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200)을 180도 회전시키면,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200)은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이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과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은 수평방향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200)을 180도 회전시키면, 자동적으로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200)과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이 서로 자리를 바꾸게 된다(즉,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200)이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이 되고,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이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200)이 된다).
결론적으로,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200)을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제 1 금형조립체에서 만들어진 1차 사출성형품(반제품)을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다음 단계로, 상기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을 고정 금형과 맞물리도록 결합시킨 다음, 상기 제 2 금형조립체의 고정 금형에 설치된 사출액 주입용 게이트를 통하여 제 2 사출액을 상기 제 2 금형조립체 내에 주입한다. 통상적으로 제 1 사출액은 내부의 인서트가 잘 보이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수지를 사용하지만, 제 2 사출액은 디자인을 고려하여 적절한 색깔의 유색 수지를 사용한다.
다음 단계로, 상기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을 고정 금형으로부터 분리되게 이동시켜서 상기 제 2 금형조립체를 개방시킨 다음, 완성된 사출성형품을 제 2 금형조립체로부터 꺼집어낸다.
한편,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상기 이동 금형(200) 내에는 상기 인서트(400)가 안착되는 상기 인서트와 대응되는 형상의 오목부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인서트(400)의 배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인서트를 일시적으로 이동 금형내의 제위치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한편, 이동 금형(200)과 상기 인서트(400)를 자성체로 만들어서, 인서트(400)가 자기력에 의해 이동 금형(200) 내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고, 다만 인서트를 제 1 금형조립체 내의 이동 금형 내에 배치시키는 대신에, 인서트를 제 1 금형조립체에서 1차 사출성형품을 만든 후 이 1차 사출성형품을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 내로 이동시킨 다음에 상기 1차 사출성형품내에 배치시키는 것만 다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이중사출성형방법에 의해 제작된 전자제품용 케이스는 투명한 수지로 성형되는 외측 표면 및 상기 외측 표면의 내측면에 유색의 수지가 주입되어 성형되는 내측 표면로 구성된 이중 층으로 되어 있고, 상기 외측 표면 및 상기 내측 표면 사이에 삽입된 인서트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의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스크톱 컴퓨터용 전면 케이스(20)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4의 케이스(2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하고 있다. 전면 케이스(20)는 데스크톱 컴퓨터(100)의 전면을 형성하도록 조립된다.
데스크톱 컴퓨터용 전면 케이스(20)는, 도 4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전원버튼 등의 버튼이 구비되는 버튼 장착부(23), 각종 내장형 디스크가 장착되는 디스크 장착부(24), 각종 단자 등이 구비되는 단자 장착부(25)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종 인서트(26, 27, 28, 29)가 포함되어 있다. 케이스(20)에 포함되는 인서트에는 컴퓨터 내부에 사용된 부품의 로고(26), 컴퓨터 제조사의 로고(27), 버튼 안내 표시(28), 컴퓨터 브랜드명(29) 등이 있다. 이러한 인서트(26, 27, 28, 29)는 평면(특히 필름형상) 또는 입체의 디자인 형상물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용 케이스(20)는 이중의 수지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케이스(20)는 외측 표면(21)와 내측 표면(22)의 이중 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 표면(21)는 투명한 수지로 성형되어 있고, 내측 표면(22)는 유색의 수지로 성형되어 있다. 외측 표면(21)와 내측 표면(22)는 그 형상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외측 표면(21)와 내측 표면(22)가 이중의 수지층으로 형성될 수 있는 한 서로 다른 형상으로 성형될 수도 있다. 외측 표면(21)와 내측 표면(22) 사이에는 각종 인서트(26, 27, 28, 29)가 삽입되어 있다.
인서트(26, 27, 28, 29)는 외측 표면(21)의 내측면에 접착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외측 표면(21)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인서트(26, 27, 28, 29)에 외측 표면(21)의 외측면으로부터 자성을 가하여 자기력에 의해 인서트가 부착되게 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외측 표면(21)의 내측면 또는 내측 표면(22)의 외측면 상에 인서트가 삽입될 자리를 파기하여 오목부를 형성하여 둘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인서트는 오목부에 안착되어 삽입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용 상부면 케이스(30) 및 상부면 케이스(30)가 조립된 노트북 컴퓨터(200)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용 상부면 케이스(30)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이 데스크톱 컴퓨터용 전면 케이스(20)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즉, 노트북 컴퓨터용 상부면 케이스(30)도 외측 표면(31), 내측 표면(32) 및 그 사이에 내포되어 있는 각종 인서트(33, 34)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의 구성은 전술한 데스크톱 컴퓨터용 전면 케이스(20)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영역이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외측 표면(21, 31)를 투명한 수지로 성형 하고 내측 표면(22, 32)를 유색의 수지로 성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외에도 외측 표면(21, 31)와 내측 표면(22, 32) 모두 서로 다른 색상의 유색으로 성형할 수 있으며, 투명도를 서로 다르게 하여 이중사출성형할 수도 있다. 또한, 인서트(26, 27, 28, 29, 33, 34)는 전술한 종류의 표지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며, 인서트(26, 27, 28, 29, 33, 34)의 부착 방법 역시 접착 또는 자력에 의한 부착에만 국한되지 않고, 외측 표면(21)의 내측면에 내측 표면(22)가 사출성형되는 동안에 인서트(26, 27, 28, 29, 33, 34)가 외측 표면(21)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는 정도라면 어떤 방법으로든 인서트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인서트(26, 27, 28, 29, 33, 34)는 사출 성형의 방식에 따라 외측 표면(21)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구성뿐만 아니라, 내측 표면(22)의 외측면에 고정된 후에 외측 표면(21)를 성형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를 내장하여 이중사출성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 데스크톱 컴퓨터용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노트북 컴퓨터용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스크톱 컴퓨터용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전면 케이스의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 컴퓨터용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부면 케이스의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이다.

Claims (9)

  1. 고정 금형과 이동 금형을 각각 포함하는 제 1 금형조립체 및 제 2 금형조립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고정 금형에는 사출액 주입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출액 주입구에는 사출액 주입용 게이트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과 상기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인서트 파지용 기구 또는 로봇팔을 구비하고 있는 이중사출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이중사출성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을 고정 금형으로부터 분리되게 이동시켜서 상기 제 1 금형조립체를 개방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금형조립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 파지용 기구 또는 로봇 팔이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과 고정 금형 사이로 진입하여 인서트를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 내에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을 고정 금형과 맞물리도록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의 고정 금형에 설치된 사출액 주입용 게이트를 통하여 제 1 사출액을 상기 제 1 금형조립체 내에 주입하는 단계;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을 고정 금형으로부터 분리되게 이동시켜서 상기 제 1 금형조립체를 개방시키는 단계;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과 상기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을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에서 만들어진 1차 사출성형품을 상기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을 고정 금형과 맞물리도록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제 2 금형조립체의 고정 금형에 설치된 사출액 주입용 게이트를 통하여 제 2 사출액을 상기 제 2 금형조립체 내에 주입하는 단계;
    상기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을 고정 금형으로부터 분리되게 이동시켜서 상기 제 2 금형조립체를 개방시키는 단계; 그리고
    완성된 사출성형품을 제 2 금형조립체로부터 꺼내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를 내장하는 이중사출성형방법.
  2. 삭제
  3. 고정 금형과 이동 금형을 각각 포함하는 제 1 금형조립체 및 제 2 금형조립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고정 금형에는 사출액 주입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출액 주입구에는 사출액 주입용 게이트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과 상기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인서트 파지용 기구 또는 로봇팔을 구비하고 있는 이중사출성형장치를 이용하여 이중사출성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을 고정 금형과 맞물리도록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의 고정 금형에 설치된 사출액 주입용 게이트를 통하여 제 1 사출액을 상기 제 1 금형조립체 내에 주입하는 단계;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을 고정 금형으로부터 분리되게 이동시켜서 상기 제 1 금형조립체를 개방시키는 단계;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과 상기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을 180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 1 금형조립체에서 만들어진 1차 사출성형품을 상기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 2 금형조립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인서트 파지용 기구 또는 로봇 팔이 상기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과 고정 금형 사이로 진입하여 인서트를 상기 1차 사출성형품내에 배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을 고정 금형과 맞물리도록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제 2 금형조립체의 고정 금형에 설치된 사출액 주입용 게이트를 통하여 제 2 사출액을 상기 제 2 금형조립체 내에 주입하는 단계;
    상기 제 2 금형조립체의 이동 금형을 고정 금형으로부터 분리되게 이동시켜서 상기 제 2 금형조립체를 개방시키는 단계; 그리고
    완성된 사출성형품을 제 2 금형조립체로부터 꺼내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를 내장하는 이중사출성형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금형 내에는 상기 인서트가 안착되는 상기 인서트와 대응되는 형상의 오목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를 내장하는 이중사출성형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사출성형품에는 상기 인서트가 안착되는 상기 인서트와 대응되는 형상의 오목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를 내장하는 이중사출성형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의 배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를 내장하는 이중사출성형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금형과 상기 인서트는 자성체로 되어 있어서, 상기 인서트가 자기력에 의해 상기 이동 금형 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를 내장하는 이중사출성형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3 항의 인서트를 내장하는 이중사출성형방법에 의해 제작된 전자제품용 케이스로서,
    투명한 수지로 성형되는 외측 표면; 및
    상기 외측 표면의 내측면에 유색의 수지가 주입되어 성형되는 내측 표면;
    으로 구성된 이중 층으로 되어 있고,
    상기 외측 표면 및 상기 내측 표면 사이에 삽입된 인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용 케이스.
KR1020080088852A 2008-05-23 2008-09-09 인서트를 내장하는 이중사출성형방법 및 이러한 이중사출성형방법에 의해 제작된 인서트 내장형 전자제품 케이스 KR100903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17464A JP2009279920A (ja) 2008-05-23 2008-12-12 インサート物を内蔵する2重射出成形方法及び該2重射出成形方法により製作されたインサート物内蔵型電子製品ケー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739 2008-05-23
KR20080006739 2008-05-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3558B1 true KR100903558B1 (ko) 2009-06-23

Family

ID=40982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852A KR100903558B1 (ko) 2008-05-23 2008-09-09 인서트를 내장하는 이중사출성형방법 및 이러한 이중사출성형방법에 의해 제작된 인서트 내장형 전자제품 케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9279920A (ko)
KR (1) KR100903558B1 (ko)
CN (1) CN10158522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967B1 (ko) * 2011-04-29 2013-09-06 구미에이테크솔루션주식회사 인서트 성형금형
WO2016159408A1 (ko) * 2015-03-31 2016-10-06 대우전자부품(주) 사출성형 방법
KR20220009841A (ko) 2020-07-16 2022-01-25 주식회사 광안정밀 인서트사출성형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컵홀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71550A (zh) * 2010-05-12 2010-10-27 广州毅昌科技股份有限公司 平板显示产品实心透明立柱及其加工工艺
CN102290274A (zh) * 2011-07-13 2011-12-21 苏州达方电子有限公司 壳体及其制造方法
US9007748B2 (en) * 2011-08-31 2015-04-14 Apple Inc. Two-shot knuckles for coupling electrically isolated sections of a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CN107053580B (zh) * 2017-03-28 2019-05-17 宁海县大鹏模具塑料有限公司 带亮条装饰的车窗三角板的成型工艺
CN109483800A (zh) * 2019-01-09 2019-03-19 青岛佳友模具科技有限公司 一种超厚透明双色包覆件注塑成型方法
CN109501125A (zh) * 2019-01-26 2019-03-22 庐江凯胜塑胶有限公司 一种双色加模内成型电源按键注塑成型工艺方法
CN113194647A (zh) * 2021-04-29 2021-07-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组件、其制备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6493Y1 (ko) * 1994-11-25 1998-04-21 김광호 사출금형의 인서트물 고정장치
KR20010045105A (ko) * 1999-11-02 2001-06-05 한영수 필름 삽입형 하우징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하우징
KR20020082634A (ko) * 2001-04-25 2002-10-31 이춘우 자동 인서트 공급기
JP2003117943A (ja) * 2001-10-17 2003-04-23 Daicel Polymer Ltd 樹脂封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4405A (ja) * 1987-10-28 1989-05-08 Taigaasu Polymer Kk 電磁波シールドケー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1195009A (ja) * 1988-01-29 1989-08-04 Hashimoto Forming Ind Co Ltd 複合装飾モールディングの製造方法
JP3514572B2 (ja) * 1995-12-28 2004-03-31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2色成形同時絵付け品の製造方法
JP3609038B2 (ja) * 2001-05-21 2005-01-12 株式会社日本製鋼所 3層積層体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用金型
JP2009006668A (ja) * 2007-06-29 2009-01-15 Nissha Printing Co Ltd 2色成形同時絵付け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6493Y1 (ko) * 1994-11-25 1998-04-21 김광호 사출금형의 인서트물 고정장치
KR20010045105A (ko) * 1999-11-02 2001-06-05 한영수 필름 삽입형 하우징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하우징
KR20020082634A (ko) * 2001-04-25 2002-10-31 이춘우 자동 인서트 공급기
JP2003117943A (ja) * 2001-10-17 2003-04-23 Daicel Polymer Ltd 樹脂封止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967B1 (ko) * 2011-04-29 2013-09-06 구미에이테크솔루션주식회사 인서트 성형금형
WO2016159408A1 (ko) * 2015-03-31 2016-10-06 대우전자부품(주) 사출성형 방법
KR20220009841A (ko) 2020-07-16 2022-01-25 주식회사 광안정밀 인서트사출성형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컵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279920A (ja) 2009-12-03
CN101585225A (zh)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558B1 (ko) 인서트를 내장하는 이중사출성형방법 및 이러한 이중사출성형방법에 의해 제작된 인서트 내장형 전자제품 케이스
EP2695715B1 (en) Device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51943B1 (ko) 외장 케이스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
US85522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overmolding of decorated plastic parts
US20130126531A1 (en) Case for for enclosing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US20140308469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glass integrally molded product and glass integrally molded product
US20070170621A1 (en) Cov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357073B1 (en) Two-color molding equipment and two-color molded product
US20040137664A1 (en) Advanced packaging shell for pocke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JP2011073438A (ja) キー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該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キーユニット
KR200431587Y1 (ko) 이중사출 성형에 의한 휴대폰용 케이스
US8962996B2 (en) Electronic key for vehicle
JP5217941B2 (ja) 成形部品及び成形部品の製造方法
US8720720B2 (en) Hous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110233094A1 (en) Housing for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10271443B2 (en) Anchoring structure for annular member and electronic key
JP2010012601A (ja) ハウジングケース、及び、ハウジングケースの製造方法
WO2006052783A2 (en) Electronic device housing
EP1943076B1 (en) Fob having a clip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US8422205B2 (en) Housing for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090303669A1 (en) Housing of electronic device
KR101501034B1 (ko) 일체형 방수부재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및 그 방수부재 어셈블리
KR101542066B1 (ko) 전자기기 플립 커버의 도어 심재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플립 커버
US20110233220A1 (en) Housing for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120320631A1 (en) Cover and light guide plate for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