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066B1 - 전자기기 플립 커버의 도어 심재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플립 커버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플립 커버의 도어 심재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플립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066B1
KR101542066B1 KR1020140120441A KR20140120441A KR101542066B1 KR 101542066 B1 KR101542066 B1 KR 101542066B1 KR 1020140120441 A KR1020140120441 A KR 1020140120441A KR 20140120441 A KR20140120441 A KR 20140120441A KR 101542066 B1 KR101542066 B1 KR 101542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dditional weight
electronic device
weight portion
flip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0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권
김승재
김대진
Original Assignee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0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0Transparent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25Personal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를 보호하는 플립 커버(flip cover)에 구비되는 것으로, 여닫을 수 있는 플립 커버 도어(door)의 강성을 유지하는 도어 심재와,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플립 커버가 개시된다. 개시된 전자기기 도어 심재는, 판 형상이며 플라스틱(plastic)으로 이루어진 보드부(board portion), 및 보드부와 일체로 결합되고 플라스틱보다 비중이 큰 물질로 이루어진 추가 무게부(added weight portion)를 구비한다. 추가 무게부는, 보드부의 외주변 중에서 도어를 여닫기 위한 회전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외주변보다 회전의 중심에서 먼 외주변에 더 가깝다.

Description

전자기기 플립 커버의 도어 심재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플립 커버{Inner member of door of flip cover for electronic device and flip cov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의 플립 커버(flip cover)에 관한 것으로, 의도하지 않게 열리는 사고가 억제되는 플립 커버의 도어 심재(心材)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플립 커버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는 전면(前面)에 큰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이 배치되고, 많은 전자소자들을 포함하여 충격에 취약하다. 충격으로부터 휴대용 전자기기를 보호하고, 휴대용 전자기기 소지자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도록 전자기기 플립 커버(flip cover)가 주지되어 있다. 플립 커버는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가 고정 지지되는 커버 본체와, 상기 커버 본체에 여닫을 수 있게 연결된 도어(door)를 구비한다.
그런데, 종래의 플립 커버는 커버 본체와 도어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탄성 때문에 도어가 의도하지 않게 쉽게 열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스마트폰을 떨어뜨리는 등 충격이 가해질 때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어의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스냅 파스너(snap fastener)를 적용한 전자기기 플립 커버도 있지만, 한손으로 플립 커버를 잡고 스냅 파스너를 잠그거나 여는 조작을 하기 어렵고, 플립 커버의 미적 완성도에 감점 요인이 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4993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0892호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를 보호하는 전자기기 플립 커버로서, 도어(door)가 의도하지 않게 열리는 사고가 억제되며, 성인의 평균적인 손 크기 기준으로, 한 손으로 전자기기 플립 커버를 잡고 도어를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는 전자기기 플립 커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냅 파스너를 이용하지 않고도 도어가 의도하지 않게 열리는 사고가 억제되도록 개선된 전자기기 플립 커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자기기 플립 커버(flip cover)에 구비되는 것으로, 여닫을 수 있는 도어(door)의 강성(剛性)을 유지하는 도어 심재(心材)로서, 판 형상이며, 플라스틱(plastic)으로 이루어진 보드부(board portion), 및 상기 보드부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플라스틱보다 비중이 큰 물질로 이루어진 추가 무게부(added weight portion)를 구비하고, 상기 추가 무게부는, 상기 보드부의 외주변 중에서 상기 도어를 여닫기 위한 회전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외주변보다 상기 회전의 중심에서 가장 먼 외주변에 더 가까운 도어 심재를 제공한다.
상기 추가 무게부는 상기 보드부의 상기 회전 중심에서 가장 먼 외주변을 따라 일정한 두께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 중심에서 가장 먼 외주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드부는 용융된 수지가 상기 추가 무게부에 접촉하고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드부와 접촉하는 상기 추가 무게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보드부와의 접촉 면적을 확장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드부에는 빛이 투과하는 투명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추가 무게부는 강자성체 금속 또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기가 전면(前面)이 노출되게 삽입 안착되는 홀더(holder), 및 상기 전자기기의 전면이 가려지도록 닫힌 위치와, 상기 전자기기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열린 위치 사이에서 여닫을 수 있는 도어(door)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플립 커버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본 발명의 도어 심재, 및 상기 도어 심재의 양 측면을 감싸는 외피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드부에는 빛이 투과하는 투명창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외피는 상기 투명창은 가리지 않게 상기 도어 심재의 양 측면을 감쌀 수 잇다.
상기 추가 무게부의 소재는 강자성체 금속 또는 자석이고, 상기 홀더는, 상기 도어가 닫힌 위치인 때 상기 추가 무게부와의 사이에 자기적 인력(磁氣的 引力)이 작용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자성 물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닫힌 위치인 때 상기 도어와 상기 홀더는 서로 접촉되고, 상기 추가 무게부와 상기 자성 물질부는 서로 겹쳐지는 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 플립 커버는, 상기 도어가 닫힌 위치인 때 상기 홀더를 사이에 두고 상기 도어의 반대 측에 배치되는 베이스(base)를 더 구비하고,
상기 추가 무게부의 소재는 강자성체 금속 또는 자석이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도어가 닫힌 위치인 때 상기 추가 무게부와의 사이에 자기적 인력이 작용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자성 물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닫힌 위치인 때 상기 도어와 상기 베이스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추가 무게부와 상기 자성 물질부는 서로 겹쳐지는 위치에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았는데도 플립 커버의 도어가 열리는 사고가 억제된다. 따라서, 플립 커버를 씌운 전자기기를 떨어뜨렸을 때 도어가 열려 전자기기 전면(前面)이나 모서리가 파손되는 사고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가 안착된 플립 커버의 홀더 또는 베이스를 한 손으로 잡은 채로, 그 손의 일부 손가락으로 닫힌 위치의 도어를 튕겨 도어를 열 수 있고, 플립 커버를 잡은 손을 손목 스냅(snap)을 이용하여 빠르게 기울임으로써 열린 위치를 도어를 닫을 수 있다. 따라서, 한 손으로 전자기기 플립 커버를 잡고 용이하게 도어를 열고 닫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 플립 커버는 스냅 파스너(snap fastener)를 구비하지 않고도 도어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슬림(slim)하고 미적 완성도가 높으며 도어 개폐 조작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 플립 커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 심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전자기기가 탑재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플립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 플립 커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전자기기가 탑재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플립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 플립 커버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전자기기가 탑재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플립 커버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플립 커버의 도어 심재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플립 커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 플립 커버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어 심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전자기기가 탑재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플립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플립 커버(flip cover)(10)는 전자기기의 일 예인 스마트폰(1)을 보호하고, 스마트폰 소지자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홀더(holder)(11)와, 도어(door)(20A)와, 연결부(18)를 구비한다.
홀더(11)는 스마트폰(1)이 전면(前面)이 노출되게 삽입 안착되는 것으로, 플라스틱(plastic)으로 이루어지고,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된다. 도어(20A)는 스마트폰(1)의 전면이 가려지도록 닫힌 위치와, 스마트폰(1)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열린 위치 사이에서 여닫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닫힌 위치의 도어(20A)는 도 3에서 실선으로, 상기 열린 위치의 도어(20A)는 도 3에서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다.
도어(20A)는, 도어(20A)로서 강성(剛性)을 유지하는 도어 심재(心材)(21A)와, 도어 심재(21A)의 양 측면을 감싸는 외피(29)를 구비한다. 도어 심재(21A)는 플라스틱(plastic)으로 이루어진 보드부(board portion)(23A)와, 플라스틱보다 비중이 큰 물질로 이루어진 추가 무게부(added weight portion)(25A)를 구비한다. 보드부(23A)는 스마트폰(1)의 전면(前面) 형태에 대응되게 4곳의 코너(corner)가 곡선형인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빛이 투과하는 투명창(22)이 형성되어 있다. 투명창(22)은 도어(21A)가 닫힌 상태에서도 스마트폰(1) 전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분을 관찰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어 심재(21A)가 외피(29)에 의해 감싸지더라도 투명창(22)에는 외피(29)가 덮여지지 않는다. 투명창(22)의 두께와 외피(29)에 의해 감싸인 투명창(22) 이외의 부분의 두께가 대략 같아지도록 투명창(22)의 두께는 투명창(22) 외부의 보드부(23A)의 두께보다 약간 두껍다.
추가 무게부(25A)는 예컨대, 금속, 자석과 같이 플라스틱보다 비중이 큰 물질로 이루어진다. 추가 무게부(25A)는 보드부(23A)의 4개의 외주변 중에서 도어(20A)를 여닫기 위한 회전의 중심(CR1)에서 가장 가까운 외주변보다 상기 회전의 중심(CR1)에서 가장 먼 외주변에 더 가깝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의 중심(CR1)은 연결부(18)와 도어(20A)가 이어지는 부분에서 도어 심재(21A)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회전축선(CR1)이며, 추가 무게부(25A)는 회전축선(CR1)에서 가장 먼 보드부(23A)의 외주변(이하, "바깥쪽 외주변" 이라 한다)에 결합된다. 추가 무게부(25A)는 상기 바깥쪽 외주변을 따라 일정한 두께로 연장되고, 상기 바깥쪽 외주변에 결합된다.
추가 무게부(25A)는 수지의 사출 성형으로 형성된 보드부(21A)의 상기 바깥쪽 외주변에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에 의해 부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제작 공정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보드부(21A)를 사출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캐비티(cavity) 내에 추가 무게부(25A)를 삽입하고, 용융된 수지를 상기 캐비티에 사출 주입하고 경화하여, 보드부(21A)가 추가 무게부(25A)에 접촉하여 경화된 도어 심재(21A)를 성형할 수 있다. 이러한 소위 삽입 사출로 형성된 도어 심재(21A)는 보드부(21A)와 추가 무게부(25A)가 일체로 형성된다. 보드부(21A)와 접촉하는 추가 무게부(25A)의 외주면에는 보드부(21A)와의 접촉 면적을 확장하기 위한 돌기(26)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26)로 인해 보드부(21A)와 추가 무게부(25A)의 결합력이 강화된다. 돌기(2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추가 무게부(25A)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된 일자형도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연결부(18)는 홀더(11)의 일 측면과 회전축선(CR1)에서 가장 가까운 도어(20A)의 외주변(이하, "안쪽 외주변" 이라 한다)을 연결하는 것으로, 도어(20A)가 홀더(11)에 대해 열리고 닫힐 수 있게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어(20A)의 형상에 대응되는 부분과 연결부(18)의 형상에 대응되는 부분이 일체로 이어지도록 외피(29)를 재단하여 연결부(18)를 형성할 수 있다. 연결부(18) 내부에는 도어 심재(21A)에 대응되는 딱딱한 부재가 배치되지 않는다.
홀더(11)에 스마트폰(1)이 삽입 안착되고 도어(20A)가 닫힌 위치인 때, 추가 무게부(25A)의 무게 때문에 도어(20A)는 스마트폰(1) 소지자의 의도적인 열림 동작에 의하지 않고는 쉽게 열리지 않으며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스마트폰(1)을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 의도하지 않게 도어(20A)가 열리고 그 상태에서 외부 충격이 가해져 스마트폰(1)의 전면(前面)이 손상되는 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1)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마트폰(1) 소지가가 홀더(11)를 한 손으로 잡은 채로, 다른 손으로 또는 상기 홀더(11)를 잡은 손의 일부 손가락으로 닫힌 위치에 있는 도어(20A)의 바깥쪽 외주변을 튕겨 도어(20A)를 쉽게 열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1)의 사용을 중단하고 도어(20A)를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마트폰(1) 소자자가 홀더(11)를 한 손으로 잡은 채로, 다른 손으로 도어(20A)의 외주변을 도어(20A)를 열 때와 반대 방향으로 튕기거나, 홀더(11)를 잡은 손을 손목 스냅(snap)을 이용하여 빠르게 기울임으로써 열린 도어(20A)를 닫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자기기 플립 커버(10)는 두 손을 이용하여, 또는 한 손만을 이용하여 홀더(11)를 잡고 도어(20A)를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부재의 참조번호와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된 부재는, 서로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같은 부재로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어(20B)의 도어 심재(21B)는 플라스틱(plastic)으로 이루어진 보드부(board portion)(23B)와, 예컨대, 금속, 자석과 같이 플라스틱보다 비중이 큰 물질로 이루어진 추가 무게부(added weight portion)(25B)를 구비한다. 추가 무게부(25B)는 보드부(23B)의 바깥쪽 외주변을 따라 일정한 두께로 연장되고, 상기 바깥쪽 외주변에 결합된다. 추가 무게부(25B)는 보드부(23B)를 사출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캐비티 내에 삽입하고 수지를 사출 및 경화하는 소위 삽입 사출에 의해 보드부(23B)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추가 무게부(25B)는 도 3에 도시된 추가 무게부(25A)와 달리 접촉 면적을 확장하기 위한 돌기(26)를 구비하지 않고 일 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이다.
한편, 추가 무게부(25A, 25B)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추가 무게부가 보드부의 바깥쪽 외주변에 접하여 배치되지 않고 보드부의 내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추가 무게부의 길이가 도어의 바깥쪽 외주변 길이와 대응될 정도로 연장되지 않고, 상기 도어 바깥쪽 외주변 길이의 절반이나 그 이하의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전자기기 플립 커버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전자기기가 탑재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플립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부재의 참조번호와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된 부재는, 서로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같은 부재로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플립 커버(30)는 홀더(holder)(31)와, 도어(door)(20A)와, 연결부(18)를 구비한다.
홀더(11)는 스마트폰(1)이 전면(前面)이 노출되게 삽입 안착되는 것으로, 플라스틱(plastic)으로 이루어지고,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된다. 도어(20A)는 스마트폰(1)의 전면이 가려지도록 닫힌 위치와, 스마트폰(1)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열린 위치 사이에서 여닫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닫힌 위치의 도어(20A)는 도 6에서 실선으로, 상기 열린 위치의 도어(20A)는 도 6에서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다. 추가 무게부(25A)는 예컨대, 스테인레스스틸(stainless steel)과 같은 강자성체 금속이나 자석으로 이루어진다. CR2는 도어(20A)를 여닫을 때 도어(20A) 회전의 중심이 되는 회전축선이다.
홀더(11)는 도어(20A)가 닫힌 위치인 때 도어(20A)와 접촉된다. 또한 홀더(11)는 도어(20A)가 닫힌 위치인 때 추가 무게부(25A)와 겹쳐지도록 정렬된 위치에 배치된 자성 물질부(35)를 구비한다. 자성 물질부(35)는 도어(20A)가 닫힌 위치인 때 추가 무게부(25A)와의 사이에 자기적 인력(磁氣的 引力)이 작용하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추가 무게부(25A)가 스테인레스스틸과 같은 강자성체 금속이면 자성 물질부(35)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추가 무게부(25A)가 자석이면 자성 물질부(35)는 스테인레스스틸과 같은 강자성체 금속일 수 있다. 또는, 추가 무게부(25A)가 N극 자석이면 자성 물질부(35)는 S극 자석일 수 있고, 추가 무게부(25A)가 S극 자석이면 자성 물질부(35)는 N극 자석일 수 있다. 자성 물질부(35)의 형태는 추가 무게부(25A)의 형태와 대응되게 직선 연장된 막대 형태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트(dot) 형태의 복수의 자성 물질부를 일렬로 배열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플립 커버(30)는 도어(20A)가 닫힌 위치인 때 추가 무게부(25A)의 무게에 더하여 추가 무게부(25A)와 자성 물질부(35) 사이의 자기적 인력으로 인해 더욱 신뢰성 있게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자기기 플립 커버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전자기기가 탑재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플립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플립 커버(50)는 홀더(51)와, 도어(door)(70)와, 베이스(base)(55)와, 연결부(68)를 구비한다.
홀더(51)는 스마트폰(1)이 전면(前面)이 노출되게 삽입 안착되는 것으로, 플라스틱(plastic)으로 이루어지고,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형성된다. 도어(70)는 스마트폰(1)의 전면이 가려지도록 닫힌 위치와, 스마트폰(1)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열린 위치 사이에서 여닫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닫힌 위치의 도어(70)는 도 8에서 실선으로, 상기 열린 위치의 도어(70)는 도 8에서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다.
도어(70)는, 도어(70)로서 강성(剛性)을 유지하는 도어 심재(心材)(71)와, 도어 심재(71)의 양 측면을 감싸는 외피(79)를 구비한다. 도어 심재(71)는 플라스틱(plastic)으로 이루어진 보드부(board portion)(73)와, 플라스틱보다 비중이 큰 물질로 이루어진 추가 무게부(added weight portion)(75)를 구비한다. 보드부(73)는 빛이 투과하는 투명창(72)이 형성되어 있다. 투명창(72)은 도어(70)가 닫힌 상태에서도 스마트폰(1) 전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분을 관찰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어 심재(71)가 외피(79)에 의해 감싸지더라도 투명창(72)에는 외피(79)가 덮여지지 않는다.
추가 무게부(75)는 플라스틱보다 비중이 큰 물질 중에서 예컨대, 스테인레스스틸(stainless steel)과 같은 강자성체 금속이나 자석으로 이루어진다. 추가 무게부(75)는 대략 사각형인 보드부(73)의 4개의 외주변 중에서 도어(70)를 여닫기 위한 회전의 중심이 되는 회전축선(CR3)에서 가장 가까운 외주변보다 상기 회전축선(CR3)에서 가장 먼 외주변에 더 가깝다. 구체적으로, 추가 무게부(75)는 회전축선(CR1)에서 가장 먼, 보드부(73)의 바깥쪽 외주변에 결합된다. 추가 무게부(75)는 상기 바깥쪽 외주변을 따라 일정한 두께로 연장된 얇은 막대형 부재이다.
베이스(55)는 홀더(51)를 부착 지지하며, 도어(70)가 닫힌 위치인 때 홀더(51)를 사이에 두고 도어(70)의 반대 측에 배치된다. 베이스(55)는, 베이스(55)로서 강성(剛性)을 유지하는 대략 사각형의 판 형상인 베이스 심재(心材)(56)와, 베이스 심재(56)의 양 측면을 감싸는 외피(62)를 구비한다. 베이스 심재(58)는 플라스틱(plastic)으로 이루어진 보드부(board portion)(58)와, 도어(70)가 닫힌 위치인 때 추가 무게부(75)와의 사이에 자기적 인력이 작용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자성 물질부(60)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추가 무게부(75)가 스테인레스스틸과 같은 강자성체 금속이면 자성 물질부(60)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추가 무게부(75)가 자석이면 자성 물질부(60)는 스테인레스스틸과 같은 강자성체 금속일 수 있다. 또는, 추가 무게부(75)가 N극 자석이면 자성 물질부(60)는 S극 자석일 수 있고, 추가 무게부(75)가 S극 자석이면 자성 물질부(60)는 N극 자석일 수 있다.
연결부(68)는 도어(70)와 베이스(55)를 연결하는 것으로, 도어(70)가 홀더(51)에 대해 열리고 닫힐 수 있게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어(70)의 외피(79)와 베이스(55)의 외피(60)와 연결부(68)가 이어져 있다. 연결부(68) 내부에는 도어 심재(73)나 베이스 심재(58)에 대응되는 딱딱한 부재가 배치되지 않는다.
도어(70)가 닫힌 위치인 때 도어(70)와 베이스(55)는 서로 이격된다. 베이스(55)의 자성 물질부(60)는 도어(70)가 닫힌 위치인 때 추가 무게부(75)와 겹쳐지도록 정렬된 위치에 배치된다. 자성 물질부(60)의 형태는 추가 무게부(75)의 형태와 대응되게 직선 연장된 막대 형태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트(dot) 형태의 복수의 자성 물질부를 일렬로 배열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플립 커버(30)는 홀더(51)에 스마트폰(1)이 삽입 안착되고 도어(70)가 닫힌 위치인 때, 추가 무게부(75)의 무게 때문에 도어(20A)는 스마트폰(1) 소지자의 의도적인 열림 동작에 의하지 않고는 쉽게 열리지 않으며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더욱이, 추가 무게부(75)와 자성 물질부(60)가 이격되어 있지만 추가 무게부(75)와 자성 물질부(60) 사이에 자기적 인력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도어(20A)보다 더욱 신뢰성 있게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스마트폰(1)을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 의도하지 않게 도어(70)가 열리고 그 상태에서 외부 충격이 가해져 스마트폰(1)의 전면(前面)이 손상되는 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폰(1)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마트폰(1) 소지가가 베이스(55)를 한 손으로 잡은 채로, 다른 손으로 또는 상기 베이스(55)를 잡은 손의 일부 손가락으로 닫힌 위치에 있는 도어(70)의 바깥쪽 외주변을 튕겨 도어(70)를 쉽게 열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1)의 사용을 중단하고 도어(70)를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마트폰(1) 소자자가 베이스(55)를 한 손으로 잡은 채로, 다른 손으로 도어(70)의 외주변을 도어(70)를 열 때와 반대 방향으로 튕기거나, 베이스(55)를 잡은 손을 손목 스냅(snap)을 이용하여 빠르게 기울임으로써 열린 도어(70)를 닫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자기기 플립 커버(50)는 두 손을 이용하여, 또는 한 손만을 이용하여 베이스(55)를 잡고 도어(70)를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플립 커버 11: 홀더
20A, 20B: 도어 21A, 21B: 도어 심재
22: 투명창 23A, 23B: 보드부
25A, 25B: 추가 무게부 29: 외피

Claims (12)

  1. 전자기기 플립 커버(flip cover)에 구비되는 것으로, 여닫을 수 있는 도어(door)의 강성(剛性)을 유지하는 도어 심재(心材)로서,
    판 형상이며, 플라스틱(plastic)으로 이루어진 보드부(board portion); 및, 상기 보드부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플라스틱보다 비중이 큰 물질로 이루어진 추가 무게부(added weight portion);를 구비하고,
    상기 추가 무게부는, 상기 보드부의 외주변 중에서 상기 도어를 여닫기 위한 회전의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외주변보다 상기 회전의 중심에서 가장 먼 외주변에 더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심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무게부는 상기 보드부의 상기 회전 중심에서 가장 먼 외주변을 따라 일정한 두께로 연장되고, 상기 회전 중심에서 가장 먼 외주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심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부는 용융된 수지가 상기 추가 무게부에 접촉하고 경화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심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부와 접촉하는 상기 추가 무게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보드부와의 접촉 면적을 확장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심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부에는 빛이 투과하는 투명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심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무게부는 강자성체 금속 또는 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심재.
  7. 전자기기가 전면(前面)이 노출되게 삽입 안착되는 홀더(holder); 및, 상기 전자기기의 전면이 가려지도록 닫힌 위치와, 상기 전자기기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열린 위치 사이에서 여닫을 수 있는 도어(door);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플립 커버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의 도어 심재; 및, 상기 도어 심재의 양 측면을 감싸는 외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플립 커버.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부에는 빛이 투과하는 투명창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외피는 상기 투명창은 가리지 않게 상기 도어 심재의 양 측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플립 커버.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무게부의 소재는 강자성체 금속 또는 자석이고,
    상기 홀더는, 상기 도어가 닫힌 위치인 때 상기 추가 무게부와의 사이에 자기적 인력(磁氣的 引力)이 작용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자성 물질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플립 커버.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힌 위치인 때 상기 도어와 상기 홀더는 서로 접촉되고,
    상기 추가 무게부와 상기 자성 물질부는 서로 겹쳐지는 위치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플립 커버.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플립 커버는 상기 도어가 닫힌 위치인 때 상기 홀더를 사이에 두고 상기 도어의 반대 측에 배치되는 베이스(base)를 더 구비하고,
    상기 추가 무게부의 소재는 강자성체 금속 또는 자석이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도어가 닫힌 위치인 때 상기 추가 무게부와의 사이에 자기적 인력이 작용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자성 물질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플립 커버.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힌 위치인 때 상기 도어와 상기 베이스는 서로 이격되고,
    상기 추가 무게부와 상기 자성 물질부는 서로 겹쳐지는 위치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플립 커버.
KR1020140120441A 2014-09-11 2014-09-11 전자기기 플립 커버의 도어 심재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플립 커버 KR101542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441A KR101542066B1 (ko) 2014-09-11 2014-09-11 전자기기 플립 커버의 도어 심재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플립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0441A KR101542066B1 (ko) 2014-09-11 2014-09-11 전자기기 플립 커버의 도어 심재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플립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2066B1 true KR101542066B1 (ko) 2015-08-05

Family

ID=53886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0441A KR101542066B1 (ko) 2014-09-11 2014-09-11 전자기기 플립 커버의 도어 심재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플립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0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938B1 (ko) 2012-07-24 2013-04-11 (주)한보이앤씨 스마트폰 보호용 플립커버
KR101364493B1 (ko) 2013-06-11 2014-02-21 주식회사 이솔 액정 투시창이 형성된 덮개를 갖는 플립형 휴대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938B1 (ko) 2012-07-24 2013-04-11 (주)한보이앤씨 스마트폰 보호용 플립커버
KR101364493B1 (ko) 2013-06-11 2014-02-21 주식회사 이솔 액정 투시창이 형성된 덮개를 갖는 플립형 휴대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45741A1 (en) Composite protective case for phones, othe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other apparatus
CN107205533B (zh) 用于壳体端口的桥形加强件
US20180063976A1 (en) Anchoring structure for annular member and electronic key
KR200472140Y1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542066B1 (ko) 전자기기 플립 커버의 도어 심재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플립 커버
JP5472125B2 (ja) 携帯機器
KR20150001004U (ko)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200478697Y1 (ko) 휴대 전자기기용 플립형 케이스
KR101628045B1 (ko) 액정디스플레이 보호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US20120152966A1 (en) Protective cover for electronic device
US8724299B2 (en) External component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55103Y1 (ko) 휴대폰용 콤비 케이스
KR20130004853U (ko) 휴대폰 케이스
JP3172683U (ja) 携帯用電子機器の保護カバー
KR102028687B1 (ko) 전자기기용 커버의 결합구조
KR200476267Y1 (ko) 휴대 전자기기용 플립형 케이스
KR101303345B1 (ko) 휴대기기용 수납 케이스
JP6507017B2 (ja) 電子機器
JP5660932B2 (ja) 電子機器用カバー部材および電池蓋
KR200474213Y1 (ko)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CN213637876U (zh) 一种新式手机保护壳
KR101201923B1 (ko) 터치입력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용 보호커버
JP3192586U (ja) 携帯式電子装置用保護ケース
JP6770401B2 (ja) 電子機器筐体のパネル構造および電子機器
JP6361777B2 (ja) 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