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004U -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004U
KR20150001004U KR2020130007233U KR20130007233U KR20150001004U KR 20150001004 U KR20150001004 U KR 20150001004U KR 2020130007233 U KR2020130007233 U KR 2020130007233U KR 20130007233 U KR20130007233 U KR 20130007233U KR 20150001004 U KR20150001004 U KR 201500010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main body
front cover
case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2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7076Y1 (ko
Inventor
임창수
Original Assignee
임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창수 filed Critical 임창수
Priority to KR20201300072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076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0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0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0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0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폰의 전면부를 보호하기 위한 전방커버를 닫을 때 케이스의 본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위해 본 고안은 스마트폰이 안착되기 위한 공간을 두고 그 공간의 가장자리로는 측벽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부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구조로써 스마트폰의 전면을 보호하는 전방커버로 구성된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타측면부에 위치한 측벽부의 상단에는 자석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커버에는 상기 수납홈과 대응된 위치에 금속판이 구비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omitted}
본 고안은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폰의 전면부를 보호하기 위한 전방커버를 닫을 때 케이스의 본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고가의 스마트폰을 외부의 충격이나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255559호에 의하면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마트폰(10)을 보호하는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보호케이스(100)는 스마트폰이 안착되는 공간을 가지는 하드케이스(120)와, 상기 하드케이스(120)의 측면부에 결합되어 회동하는 구조로써 스마트폰의 전면을 보호하는 덮개(110)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는 덮개(110)가 하드케이스(120)의 전면부를 덮는 경우에 덮개(110)를 하드케이스(120)의 전면부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어서 덮개(110)가 쉽게 열림으로 인해 스마트폰(1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스마트폰(1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어서 오염물질이나 충격에 취약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여, 보호케이스의 본체에 자석을 장착하고, 덮개에는 자석에 부착되는 금속판을 설치함으로써 덮개가 보호케이스의 본체에서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스마트폰이 안착되기 위한 공간을 두고 그 공간의 가장자리로는 측벽부(210)를 가지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일측면부에 결합되어 젖혀지는 구조로써 스마트폰의 전면을 보호하는 전방커버(230)로 구성된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타측면부에 위치한 측벽부(210)의 상단에는 자석(223)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홈(220)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커버(230)에는 상기 수납홈(220)과 대응된 위치에 금속판(231)이 구비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전방커버가 본체에 닫힌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오염물질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스마트폰의 보호 케이스의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도2의 A-A부분의 단면도.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 2와 도면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체(200)는 스마트폰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평평한 바닥부(211)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서 측벽부(210)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본체(200)는 합성수지재로 된 경질의 하드 케이스 또는 연질의 케이스(일명 젤리 케이스)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도1의 하드 케이스(120)의 구조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전방커버(230)는 본체(200)의 전면부위를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일측이 본체(200)의 일측과 연결부(240)에 의해 연결되어 본체(200)의 전면을 개방하거나 폐쇄시킬 수 있어서, 본체(200)에 수납된 스마트폰을 보호하게 된다.
이때, 전방커버(230)가 본체(200)의 전면으로 닫혀서 폐쇄시킬 때 그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본체(200)의 타측, 즉 연결부(240)가 구비된 반대편의 측벽부(210)에 자석(223)이 설치되고, 전방커버(230)의 내측면 즉, 본체(200)로 닫혔을 때 측벽부(210)와 맞닿는 부위에는 금속판(231)이 구비되어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측벽부(210)는 자석(223)이 수납되는 수납홈(220)이 형성되는데, 측벽부(210)의 상단에 하나 또는 복수의 수납홈(220)이 형성되고, 이 수납홈(220)에는 자석(223)이 수납되는데, 자석(223)이 수납홈(220)에 꽉 끼도록 압입되거나 또는 본드에 의해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수납홈(22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측벽부(210)의 두께가 약간 두껍거나 또는 수납홈(220)이 형성된 부위만 외측으로 두껍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전방커버(230)의 내측면에는 수납홈(220)과 대향되는 부위에 금속판(231)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금속판(231)은 본드에 의해 전방커버(230)의 내측면 외부에 부착되거나 또는 전방커버(230)의 외피 안쪽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수납홈(220)으로부터 자석(223)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3의 A-A부분 단면도에서 같이 수납홈(220)의 상단 양측 부위에는 내측으로 0.5∼1mm 정도 돌출된 한 쌍의 상단돌기부(221,222)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상단돌기부(221,222)는 측벽부(210)의 상단 양측으로부터 수납홈(22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본체(200)의 금형 사출시에 동시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자석(223)의 수납홈(220)의 상측으로부터 밀어넣게 되면, 돌기부(221,222)에 걸리면서 수납홈(220)과 돌기부(221,222)의 탄성에 의해 수납홈(220)이 약간 벌어지면서 자석(223)이 수납되고, 이후 탄성 복원력에 의해 수납홈(220)의 원래의 크기로 복원되면서 자석(223)이 상측이 돌기부(221,222)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수납홈(220)에 수납된 자석(223)은 돌기부(221,222)에 의해 외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면서 안정적으로 수납되는 것이다.
또한, 돌기부(221,222)에 의해 자석(223)과 전방커버(230)와의 단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금속판(231)이 전방커버(230)의 외부에 구비된 경우에 금속판(231)의 두께가 돌기부(221,221)의 두께만큼 두꺼우면 금속판(231)의 하단부위가 자석(223)의 상단부위에 접촉하여 고정력이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같이 자석(223)에 의해 전방커버(230)가 본체(20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스마트폰 사용시에는 전방커버(230)를 약간의 힘을 가해서 열면 부착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된다.
200 : 본체 210 : 측벽부
211 : 바닥부 220 : 수납홈
221,222 : 돌기부 223 : 자석
230 : 전방커버 231 : 금속판
240 : 연결부

Claims (3)

  1. 스마트폰이 안착되기 위한 공간을 두고 그 공간의 가장자리로는 측벽부(210)를 가지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일측면부에 결합되어 젖혀지는 구조로써 스마트폰의 전면을 보호하는 전방커버(230)로 구성된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타측면부에 위치한 측벽부(210)의 상단에는 자석(223)이 수납되기 위한 수납홈(220)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커버(230)에는 상기 수납홈(220)과 대응된 위치에 금속판(23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2.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220)의 상단부위에는 측벽부(210)의 상단부위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된 상단 돌기부(221,22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3. 2항에 있어서, 상단 돌기부(221,222)는 수납홈(220의 상단 대향되는 부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2020130007233U 2013-08-27 2013-08-27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2004770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233U KR200477076Y1 (ko) 2013-08-27 2013-08-27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233U KR200477076Y1 (ko) 2013-08-27 2013-08-27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004U true KR20150001004U (ko) 2015-03-09
KR200477076Y1 KR200477076Y1 (ko) 2015-05-13

Family

ID=53038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233U KR200477076Y1 (ko) 2013-08-27 2013-08-27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07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314B1 (ko) * 2015-04-03 2016-07-05 황원천 렌티큘러장식 스마트폰 케이스
KR20160094899A (ko) 2016-07-19 2016-08-10 이종건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KR20240000127U (ko) * 2022-07-13 2024-01-22 (주)파란마당 단말기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337B1 (ko) 2015-11-24 2017-09-15 주식회사 원데이원커뮤니케이션 분리 및 조합이 가능한 메이크업 팔레트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20230099008A (ko) 2021-12-27 2023-07-04 배연주 카드 수납이 가능한 휴대전화 보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4362U (ko) * 1978-10-30 1980-05-02
KR200470008Y1 (ko) * 2012-02-03 2013-11-21 주식회사 솔로젠 휴대폰 케이스
KR101246081B1 (ko) * 2012-10-26 2013-03-22 신영환 휴대폰 케이스
KR200465844Y1 (ko) * 2012-11-13 2013-03-12 이춘식 휴대폰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314B1 (ko) * 2015-04-03 2016-07-05 황원천 렌티큘러장식 스마트폰 케이스
KR20160094899A (ko) 2016-07-19 2016-08-10 이종건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KR20240000127U (ko) * 2022-07-13 2024-01-22 (주)파란마당 단말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076Y1 (ko) 2015-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076Y1 (ko)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JP3198689U (ja) 保護カバー
US20130319836A1 (en) Housing assembly having a push button
US9756915B2 (en)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movable sensor cover
US9668555B2 (en) Water resistant protective device case
US20160285497A1 (en)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9256252B2 (en) Mobile device protecting structure
US20150244408A1 (en) Mobile device jacket
US9403631B2 (en) Waterproof hermetically-sealed electronic product protection device
KR200465497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US20220400824A1 (en) Three-proof earbuds box protective case
KR101434578B1 (ko) 모바일기기용 방수 케이스
AU2014201219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detachable battery pack
KR200472140Y1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0477291Y1 (ko) 휴대 단말기 케이스
CN204669429U (zh) 手机保护外壳
KR20120001165U (ko)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KR200450887Y1 (ko) 핸드폰 보호 케이스의 핸드폰 고정 장치
JP6471361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用パッキン
JP2016072950A (ja) 保護カバー
KR200470008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140037405A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20120225572A1 (en) Electronic device and infrared receiving device thereof
KR200466324Y1 (ko) 분전함의 소켓 보호용 커버
KR200466469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