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140Y1 -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140Y1
KR200472140Y1 KR2020120003991U KR20120003991U KR200472140Y1 KR 200472140 Y1 KR200472140 Y1 KR 200472140Y1 KR 2020120003991 U KR2020120003991 U KR 2020120003991U KR 20120003991 U KR20120003991 U KR 20120003991U KR 200472140 Y1 KR200472140 Y1 KR 2004721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cover
magnetic shielding
portable terminal
protectiv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9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713U (ko
Inventor
김재성
Original Assignee
김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성 filed Critical 김재성
Priority to KR20201200039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140Y1/ko
Publication of KR201300067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7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1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1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69Arrangement of fasteners magnet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의 덮개가 있어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휴대단말기 스크린을 보호하고, 덮개의 개폐가 용이하며, 덮개가 닫히면 자기력에 의해 바디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되, 휴대단말기가 자기력에 의해 영향받지 않도록 자기차폐수단이 제공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단말기의 배면과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바디; 바디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전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덮개; 휴대단말기의 외측 상하부에 양면테이프에 의해 부착되는 자기차폐용철판; 자기차폐용철판의 위치에 대응되는 덮개의 내부에 삽입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PROTECTING CASE FOR PORTABLE TERMINAL}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의 덮개가 있어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휴대단말기 스크린을 보호하고, 덮개의 개폐가 용이하며, 덮개가 닫히면 자기력에 의해 바디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되, 휴대단말기가 자기력에 의해 영향받지 않도록 자기차폐수단이 제공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정보화의 물결에 따라 개인용 이동통신기기의 발달이 급격히 진행되어 통계청의 통계에 따르면 2010년 7월 기준으로 전국민 이동통신기기 보급률은 1인당 1대를 넘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디지털 데이터의 송수신이 보다 자유로운 스마트폰이 개인용 이동통신기기의 대표로서 각광을 받고 널리 보급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폰 기기는 전면부의 상당부분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터치스크린은 대부분 유리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외부의 충격에 취약하고 긁히거나 스크래치가 발생하기 쉬운 등 취약한 면이 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은 고가인데다 디자인이나 성능이 사용자들이 느끼는 감성지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면을 보호하거나 보완할 수 있는 액세서리에도 자연스레 관심이 많다.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이처럼 유리 재질의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진 휴대단말기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도 다종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2677호에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가 등록되어 있다. 이 고안은 휴대단말기의 후면과 마주보는 면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후면을 감싸는 바디, 상기 바디의 좌측단 및 우측단에서 각각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휴대단말기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감싸는 측면부, 상기 측면부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감싸게 구부러져 연장되는 전면지지부,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측면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휴대단말기의 하면을 감싸게 구부러져 연장되는 하면지지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이다.
그러나 이 고안은 휴대단말기의 후면과 측면을 보호할 뿐, 전면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휴대단말기 전면부 스크린을 보호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6789호에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가 등록되어 있다. 이 고안은 휴대단말기가 올려지는 몸체부와, 몸체부로부터 출몰되는 것으로서 휴대단말기를 선택적으로 덮는 덮개를 포함하며; 몸체부는, 휴대단말기가 안착되는 안착대와, 안착대 상부에 형성되어 휴대단말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와, 안착대의 하부측에 형성된 슬릿홈부를 포함하고; 덮개는, 슬릿홈부 내에 위치되는 몰입부와, 휴대단말기를 덮는 덮개와, 덮개와 몰입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 고안은 휴대단말기의 사용시에 덮개를 슬릿홈부로 집어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덮개가 몸체부로부터 분리되어 있어 분실의 위험이 있다.
한편, 이격되어 있는 부재들을 체결하는 수단으로 자석이 이용되기도 하는데, 전자제품에 있어서는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에 의한 영향 때문에 이의 사용을 자제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자석의 자기력을 회피하기 위하여 자기차폐용철판이 활용되고 있는데, 도어캐처(Door Catcher)나 차폐장치가 포함된 모터가 그 예이다. 이처럼 자석을 체결수단으로 활용하는 경우 휴대단말기에 간섭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절하게 차폐수단을 보강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케이스의 덮개가 있어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휴대단말기 스크린을 보호하고, 덮개를 바디에 쉽게 탈착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자석을 제공하여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되, 휴대단말기가 자기력에 의해 영향받지 않도록 자기차폐수단이 제공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로 휴대단말기의 배면과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바디; 바디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전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덮개; 휴대단말기의 외측 상하부에 양면테이프에 의해 부착되는 자기차폐용철판; 자기차폐용철판의 위치에 대응되는 덮개의 내부에 삽입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 휴대단말기의 배면과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바디; 바디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전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덮개; 바디의 외측면의 일부에는 내측으로 플랩이 형성되고, 플랩에 부착되는 자기차폐용철판; 자기차폐용철판의 위치에 대응되는 덮개의 내부에 삽입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로, 휴대단말기의 배면과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바디; 바디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전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덮개; 바디의 외측면의 일부에는 내측으로 플랩이 형성되고, 플랩에 삽입되는 자기차폐용철판; 자기차폐용철판의 위치에 대응되는 덮개의 내부에 삽입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가 제공된다.
한편, 전술한 예에서 바디의 외측면의 일부는 바디의 외측면의 상하부 또는 바디의 외측면의 중간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예에서 플랩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예에서 바디는 연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가 제공된다.
덮개가 있는 보호케이스가 제공됨으로써 스크린이 큰 휴대단말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휴대단말기 전면부의 디스플레이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며, 덮개를 바디에 쉽게 탈착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자석이 제공되어 보호케이스 덮개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되, 자기차폐수단이 제공되어 휴대단말기가 자기력에 의해 영향받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자기차폐용철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디 외측면 상하부 부착형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디 외측면 중간부 부착형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디 외측면 상하부 삽입형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젤리타입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는, 휴대단말기의 배면과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바디(10); 바디(10)의 일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전면부(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덮개(20); 휴대단말기의 외측 상하부에 양면테이프(31)에 의해 부착되는 자기차폐용철판(30); 자기차폐용철판(30)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덮개의 내부에 삽입되는 자석(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자기차폐용철판의 결합방식에 따라 크게 부착형과 삽입형으로 구분하고, 이 중에서 부착형은 자기차폐용철판을 휴대단말기에 부착하는 방식과 케이스의 바디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구분하기로 한다. 또한 부착형과 삽입형을 각각 자기차폐용철판의 결합위치에 따라 상하단부 부착(삽입)형과 중간부 부착(삽입)형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사항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바디(10)는 휴대단말기의 배면과 좌측면 및 우측면을 감쌀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형성된다.
바디(10)를 바닥에 누인 상태로 보았을 때, 바디(10)의 내측면이 바닥에 닿는 부위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릿(11)이 형성된다. 슬릿(11)은 하나로 길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다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디(10)의 내측면의 상단부(12)와 하단부(13) 및 외측면의 상단부(14)와 하단부(15)는 휴대단말기를 감쌀 수 있도록 내측방향으로 구브러져 형성된다. 휴대단말기가 바디(10)에 삽입되는 것만으로도 흔들리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각 단부(12, 13, 14, 15)에 의해 휴대단말기는 내측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한다.
덮개(20)는 크게 바디(10)의 내측면을 감싸는 측면부(26)와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전면부(21)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측면부(26)가 전면부(21)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덮개(20)의 측면부(26)의 단부(27)가 바디(10)의 슬릿(11)에 삽입되고 바디(10)의 내면에 융착결합된다.
덮개(20)는 이중면으로 된 비닐이나 고무, 천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부(21)와 측면부(26)의 사이는 선융착(25)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덮개(20)의 전면부(21)의 이중면 사이에는 단단한 재질로 된 심재(22)가 삽입될 수 있다.
이제 자기차폐용철판을 휴대단말기에 부착하는 방식의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단말기는 바디(10)에 끼워지고, 휴대단말기의 일부(예를 들어, 도 3에서는 휴대단말기의 우측 상,하단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기차폐용철판(30)이 부착된다. 자기차폐용철판(30)은 양면테이프(31) 등에 의해 손쉽게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자기차폐용철판(30)의 위치에 대응하는 덮개(20)의 상부(23) 및/또는 하부(24)에는 자석(36)이 삽입되어, 덮개(20)의 전면부(21)가 바디(10)에 덮일 때 덮개(20)는 바디(10)와 일체로 된 상태에 있는 휴대단말기에 자기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덮개(20)의 상부(23) 및/또는 하부(24)에 삽입되는 자석(36)은 심재(22)에 삽입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로, 바디 외측면 상하부 부착형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바디(10)의 외측면의 상부(14) 및/또는 하부(15)에는 내측으로 플랩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10)의 외측면의 상부(14) 및/또는 하부(15)에 형성된 플랩에는 안착홈(17)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17)에 도 2에 도시된 예와 같은 자기차폐용철판(30)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안착된다. 물론, 자기차폐용철판(30)은 전술한 예와 같이 양면테이프(31)에 의해 플랩에 부착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예에서처럼 바디(10)의 외측면의 상부(14) 및/또는 하부(15)에 형성된 플랩의 위치에 대응되는 덮개(20)의 상부(23) 및/또는 하부(24)에는 자석(36)이 삽입되어, 덮개(20)의 전면부(21)가 바디(10)에 덮일 때 서로 자기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덮개(20)의 상부(23) 및/또는 하부(24)에 삽입되는 자석(36)은 심재(22)에 삽입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바디 외측면 중간부 부착형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바디(10)의 외측면의 중간부(16)에는 내측으로 플랩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10)의 외측면의 중간부(16)에 형성된 플랩에는 안착홈(19)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에 전술한 예에서와 같이 자기차폐용철판(30)이 안착된다. 물론, 자기차폐용철판(30)은 양면테이프(31)에 의해 플랩에 부착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예에서처럼 바디(10)의 외측면의 중간부(16)에 형성된 플랩의 위치에 대응되는 덮개(20)의 중간부에도 자석(37)이 삽입되어, 덮개(20)의 전면부(21)가 바디(10)에 덮일 때 서로 자기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덮개(20)의 중간부에 삽입되는 자석(37)이 심재(22)에 삽입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것도 전술한 바와 같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바디 외측면 상하부 삽입형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디 외측면 상하부 부착형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의 경우와 같이 바디(10)의 외측면의 상부(14) 및/또는 하부(15)에 플랩이 형성되고, 이 플랩의 내부에 자기차폐용철판(30)이 삽입된다. 덮개(20)의 전면부(21)에 삽입되는 자석(36) 또는 심재(22)에 관해서는 전술한 예와 같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바디 외측면 중간부 삽입형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가 있을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상응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모든 예에서 바디(10)의 외측면의 상부(14), 하부(15) 또는 중간부(16)에 형성되는 플랩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휴대단말기를 바디(10)로부터 탈착시킬 때 일어날 수 있는 간섭을 최대한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모든 예에서 바디(10)는 TPU(Temperature Polyurethane)나 실리콘 혼성재 등 연질의 고무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속칭 젤리케이스). 연질의 소재이므로 전술한 예에서와 달리 바디(10)의 상단면, 하단면을 개방하지 않고 4면이 모두 휴대단말기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모든 예에서 자기차폐용철판(30)은 자석(36,37)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자기력을 차단하므로 휴대단말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바디 20 덮개
30 자기차폐용철판 36,37 자석

Claims (6)

  1. 휴대단말기의 배면과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전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덮개;
    상기 휴대단말기의 외측 상하부에 양면테이프에 의해 부착되는 자기차폐용철판;
    상기 자기차폐용철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덮개의 내부에 삽입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2. 휴대단말기의 배면과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전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덮개;
    상기 바디의 외측면의 일부에는 내측으로 플랩이 형성되고, 상기 플랩에 부착되는 자기차폐용철판;
    상기 자기차폐용철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덮개의 내부에 삽입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3. 휴대단말기의 배면과 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휴대단말기의 전면을 덮을 수 있는 전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덮개;
    상기 바디의 외측면의 일부에는 내측으로 플랩이 형성되고, 상기 플랩에 삽입되는 자기차폐용철판;
    상기 자기차폐용철판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덮개의 내부에 삽입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외측면의 일부는 상기 바디의 외측면의 상하부 또는 상기 바디의 외측면의 중간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5.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플랩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6.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연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20120003991U 2012-05-14 2012-05-14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04721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991U KR200472140Y1 (ko) 2012-05-14 2012-05-14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991U KR200472140Y1 (ko) 2012-05-14 2012-05-14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713U KR20130006713U (ko) 2013-11-22
KR200472140Y1 true KR200472140Y1 (ko) 2014-04-14

Family

ID=51485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991U KR200472140Y1 (ko) 2012-05-14 2012-05-14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1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554Y1 (ko) 2014-07-04 2014-12-19 주식회사 디아이씨 자석식 보강판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271B1 (ko) 2014-05-30 2016-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부상 시스템
KR101671836B1 (ko) * 2014-07-10 2016-11-03 김진우 스마트폰용 케이스
KR200477291Y1 (ko) * 2014-12-24 2015-05-28 주식회사 위드모바일 휴대 단말기 케이스
CN107707716A (zh) * 2017-11-24 2018-02-16 深圳市泰尔斯五金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带有硅胶的不锈钢手机保护套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2282U (ko) * 1989-09-29 1991-05-21
KR20110006035U (ko) * 2009-12-10 2011-06-16 김광미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2282U (ko) * 1989-09-29 1991-05-21
KR20110006035U (ko) * 2009-12-10 2011-06-16 김광미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554Y1 (ko) 2014-07-04 2014-12-19 주식회사 디아이씨 자석식 보강판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713U (ko) 201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4285B1 (ko)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계폐하는 결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KR200472140Y1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US9743540B2 (en)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US8878080B2 (en) Portabl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
JP2016537902A (ja) 電話、他の携帯型電子装置及び他の装置用の複合保護ケース
KR20090001546U (ko) 분리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CN205232283U (zh) 电子产品的防摔外壳
KR200465394Y1 (ko) 이중 구조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KR101220507B1 (ko)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101400260B1 (ko) 배터리 교체 도어가 부착된 배터리커버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KR200465844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0477291Y1 (ko)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101585383B1 (ko) 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510586B1 (ko) 스마트폰의 보호커버용 클립
KR200470008Y1 (ko) 휴대폰 케이스
KR20120104061A (ko)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된 정전식 버튼 케이스
KR20140037405A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229079B1 (ko) 휴대단말기용 범퍼케이스
KR20110109668A (ko) 커넥터 커버가 부착된 핸드폰 케이스
KR20130139088A (ko) 전면보호 기능을 갖는 휴대폰 케이스
CN208539977U (zh) 一种带屏幕保护膜的手机套
KR20140003032U (ko)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20130017804A (ko) 휴대단말기용 액정보호 케이스
KR101168008B1 (ko) 휴대단말기용 메탈범퍼케이스
KR101201923B1 (ko) 터치입력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용 보호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