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059B1 - 휴대기 및 이를 이용한 전자 키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기 및 이를 이용한 전자 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059B1
KR100901059B1 KR20070133173A KR20070133173A KR100901059B1 KR 100901059 B1 KR100901059 B1 KR 100901059B1 KR 20070133173 A KR20070133173 A KR 20070133173A KR 20070133173 A KR20070133173 A KR 20070133173A KR 100901059 B1 KR100901059 B1 KR 100901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portable
signal
frequency band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133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7171A (ko
Inventor
마사히로 스기우라
히로미찌 나이또오
무네노리 마쯔모또
노리아끼 오까다
신이찌로오 가또오
고로오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080057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Communication devices for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5Mobile pho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전자 키 시스템 용 휴대기(2)는 LF 대역의 전기파에 의해 차량-내 장치(1)로부터 송신된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LF 수신부(21), 및 UHF 대역의 전기파에 의해 차량-내 장치(1)로 라디오 신호를 송신하는 UHF 송신부(22)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기(2)는 또한, UHF 대역의 전기파에 의하여 또 다른 휴대기(3)로부터 송신된 탐색 신호를 수신하는 UHF 수신부(23) 및 탐색 신호가 UHF 수신부(23)에 의해 수신될 때 그 존재를 외부에 알리는 버저(28)를 포함한다. 상기 UHF 송신부(22)는 상기 차량-내 장치(1)로 상기 라디오 신호에 추가하여 상기 휴대기(3)로 탐색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Figure R1020070133173
전자 키 시스템, 차량-내 장치, 휴대기, LF 수신부, UHF 송신부, UHF 수신부

Description

휴대기 및 이를 이용한 전자 키 시스템{MOBILE UNIT AND ELECTRONIC KEY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기 및 이를 이용한 전자 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 관련 기술 분야에서, 전자 키 시스템은 차량 내에 장착된 차량-내 장치, 및 차량의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는 휴대기로 구성된다. 이 전자 키 시스템은 차량의 기계적 키가 작동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인증이 차량-내 장치와 휴대기 사이의 라디오 통신을 통하여 승인되면, 도어의 잠금/잠금해제의 제어 또는 엔진 시동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전자 키 시스템의 휴대기가 분실되었을 때, 휴대기를 찾아내거나 위치 파악하는 것도 쉽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기의 위치 파악을 원할 때 사용되는 휴대기 위치 파악 장치는 이미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JP 제2005-220728A호).
그러나, 상기의 휴대기 위치 파악 장치는 항상 작동되지 않고, 휴대기가 분실된 상태 하에서만 작동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휴대기를 보통 잃어버리지 않고 적절한 관리를 한다는 자신감이 지나친 사용자는 휴대기 위치 파악 장치를 도입하지 않기가 쉽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자는 분실된 휴대기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 지를 알지 못한다.
또한, 통상의 전자 키 시스템에서, 차량-내 장치로부터 휴대기로의 신호 송신과 휴대기로부터 차량-내 장치로의 신호 송신 사이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이 사용된다. 특히, 많은 경우에, LF(저주파)에서의 통신은 차량-내 장치로부터 휴대기로의 신호 송신 시에 행해지고, UHF(초고주파)에서의 통신은 휴대기로부터 차량-내 장치로의 신호 송신 시에 행해진다.
차량-내 장치로부터 휴대기로의 신호 송신 시에 LF 대역을 사용하는 주 목적은 휴대기의 검출 영역을 차량 주변부로 제한하는 것이고, 휴대기로부터 차량-내 장치로의 신호 송신 시에 UHF 대역을 사용하는 주 목적은 약한 출력 레벨에서도 비교적 긴 통신 거리를 획득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분실된 휴대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경우, 휴대기 위치 파악 장치로부터 휴대기로 송신된 탐색 신호는, 휴대기 측에 의해 수신될 수 있는 LF 대역에서 송신되어야 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 LF 대역에서 유도 결합으로 인한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휴대기의 검출 영역은 휴대기 내부의 경우에서처럼 휴대기 위치 파악 장치의 주변으로 제한된다. 휴대기가 검출 영역 외부에 있는 경우, 휴대기는 쉽게 찾아낼 수가 없다.
또한, 휴대기의 검출 영역이 확대되는 경우, 휴대기 위치 파악 장치의 출력 레벨이 높아지는 방법이 제안된다. 그러나, 상술된 LF 대역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현존 구조에서는, 휴대기 위치 파악 장치의 출력 레벨이 높아진다 하더라도 검출 영역의 확장이 제한된다. 이것은 출력 레벨이 상당히 높아진다 하더라도, 통신 거 리가 비교적 확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기 및 휴대기를 포함하는 전자 키 시스템을 제공하는 목적을 갖고, 전자 키 시스템은 휴대기 탐색 용의 전용 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휴대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따르면, 휴대기는 소정의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차량-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키 시스템에 제공된다. 휴대기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전기파에 의해 차량-내 장치로부터 송신된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제1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제2 주파수 대역의 전기파에 의하여 상기 차량-내 장치로 라디오 신호를 송신하고 이로써 차량-내 장치가 소정의 제어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휴대기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전기파에 의하여 또 다른 휴대기로부터 송신된 적어도 한 탐색 신호를 포함하는 라디오 신호를 추가로 수신한다. 휴대기는 상기 탐색 신호 수신시에, 이의 존재를 외부에 추가로 알린다. 휴대기는 차량-내 장치로 라디오 신호에 추가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전자 키 시스템은 대상물의 도어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공되고, 대상-내 장치 및 복수의 휴대기을 갖는다. 대상-내 장치는 대상물 내에 구비되고,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소정의 신호에 응답하여 도어를 제어하기 위한 수신부를 갖는다. 복수의 휴대기 각각은 대상-내 장 치에 의해 수신되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를 갖는다. 송신기는 위치 파악되어야 하는 휴대기의 식별 표시를 포함하는 탐색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탐색 신호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 있다. 상기 휴대기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탐색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및 상기 수신기에 의한 탐색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존재를 나타내는 알림 표시를 발생시키는 알림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기 및 휴대기를 포함하는 전자 키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전자 키 시스템은 휴대기 탐색 용의 전용 장치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휴대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들, 구성들 및 이점들은 수반하는 도면을 참조로 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진다.
(제1 실시예)
이하에 기술되는 전자 키 시스템은 차량의 정규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는 특정 휴대기가 차량 주변의 라디오 통신 영역으로 들어가게 되는 경우 도어의 잠금 해제의 제어를 실행하는 스마트 입력 기능 및 휴대기의 버튼 기능에 따라 도어의 잠금 해제의 제어를 실행하는 키리스(keyless) 입력 기능을 갖는다.
전자 키 시스템은 차량(100) 내에 장착되는 차량-내 장치(1) 및 복수의 휴대기(2 및 3)를 포함한다.
차량-내 장치(1)는 마이크로컴퓨터(10), LF 송신부(11), UHF 수신부(12), 엔진 스위치(15), 차량 도어에 부착된 도어 안테나(16), 차실 내에 설치된 실내 안테나(17), 수하물 트렁크 내에 설치된 트렁크 내 안테나(18) 및 수하물 트렁크 외부에 설치된 트렁크 외부 안테나(19)를 포함한다.
LF 송신부(11)는 휴대기(2 및 3)에 라디오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LF 송신부(11)로부터 송신된 라디오 신호는 도어 안테나(16), 실내 안테나(17), 트렁크-내 안테나(18) 및 트렁크-외 안테나(19)를 통하여 각기 제한된 통신 영역에 도달한다. UHF 수신부(12)는 휴대기(2 및 3)로부터 송신된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엔진 스위치(15)는 엔진 시동 시에 차량 사용자에 의해 작동가능하다. 사용자에 의한 엔진 스위치(15)의 작동이 엔진 스위치(15)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검출되면, 마이크로컴퓨터(10)는 엔진 시동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점검한다. 엔진 시동이 가능하면, 엔진 시동 신호는 마이크로컴퓨터(10)로부터 엔진 제어 장치로 송신된다.
또한, 휴대기(2 및 3) 각각은 제어 IC(20), LF 수신부(21), UHF 송신부(22), UHF 수신부(23), 송신/수신 전환 스위치(24), 누름 스위치(25, 26), 디스플레이부(27) 및 버저(28)를 갖는다.
LF 수신부(21)는 차량-내 장치(1)로부터 송신되는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UHF 송신부(22)는 차량-내 장치(1)로 라디오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UHF 송신부(22)는 휴대기(2 및 3)가 서로 통신할 때 라디오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UHF 수신부(23)는 휴대기(2 및 3)가 서로 통신할 때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송신/수신 전환 스위치(24)는 제어 IC(20)에 의하여 제어를 전환하게 된다. 송신/수신 전환 스위치(24)는 송신이 UHF 송신부(22)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수신이 UHF 수신부(25)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전환시킨다. 이 실시예에서는 수신 전환 스위치(24)가 하프(half)-이중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송신 또는 수신을 전환시키는 구성에 대해 사용된다. 그러나, 송신 및 수신이 실행될 때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순환기는 송신/수신 전환 스위치(24) 대신 사용되고, 이로써 풀(full)-이중 통신으로 송신 및 수신을 실행하게 된다.
누름 스위치(25 및 26)는 원격 키리스 입력 기능을 주로 사용하는 트리거인 키로써 준비된다. 1회 누름 작동을 실행하는 경우, 누름 스위치(25)는 도어의 잠금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고, 반면에 누름 스위치(26)는 도어의 잠금 해제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1회 누름 작동 외 다른 작동이 실행되면, 누름 스위치(25 및 26)는 탐색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트리거인 키로써 사용되거나, 또는 복수의 위치 파악부로부터 하나의 위치 파악부를 선택하는 작동을 실행하기 위한 키로써 사용된다.
디스플레이부(27)는 LED 또는 LCD로 구성된다. 휴대기(2 및 3)가 위치 파악하는 위치파악부 또는 탐색부로써 사용되면, 피위치파악부의 리스트가 LCD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원하는 피위치파악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다. 또한, 휴대기(2 및 3) 사이에 통신이 실현되면, LED는 깜박인다. LED는 재시도된 장치 측에서 위 치파악부의 존재를 알리기 위한 알림 수단으로써 기능하고, 피위치파악 장치로부터 응답이 있다는 사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써의 기능을 한다.
버저(28)는 탐색 장치의 존재를 알리기 위한 알림 수단으로써의 기능을 한다. 즉, 이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27) 및 버저(28) 모두 알림 수단으로써 사용된다.
전자 키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스마트 입력 기능을 실행한다.
차량-내 장치(1)의 각 부분은 마이크로컴퓨터(10)에 의해 제어되면서 작동되고, LF 송신부(11)는 마이크로컴퓨터(10)의 제어하에서 송신 요청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한다. 또한, 휴대기(2 또는 3)의 각 부분은 제어 IC(20)에 의해 제어되면서 작동된다. 휴대기(2 또는 3)가 LF 송신부(11)로부터의 송신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라디오 통신 영역으로 들어가면, 수신부(21)는 송신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LF 대역의 전기파를 사용하는 신호 송신은 LF 송신부(11)와 LF 수신부(21) 사이에서 실행된다. 이것은 휴대기(2 또는 3)의 검출 영역이 차량 주변으로 제한되기 때문이다. 특히, 신호가 도어 안테나(16), 실내 안테나(17), 트렁크-내 안테나(18) 및 트렁크-외 안테나(19)로부터 송신되면, 검출영역은 도어의 근처, 차량 실내, 수화물 트렁크 내부 및 수화물 트렁크 외부로 제한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면, 휴대기(2 또는 3)가 차내 또는 수화물 트렁크 내에 남겨졌을 때, 휴대기(2 또는 3)가 존재하는 곳을 검출할 수 있고, 휴대기(2 또는 3)가 가두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LF 수신부(21)가 차량-내 장치(1)로부터 송신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송신/수신 전환 스위치(24)는 송신 측으로 전환되고, UHF 송신부(22)는 휴대기(2 또는 3)에 대응하는 차량에 특정 코드들을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그 다음, 차량-내 장치(1)에서 UHF 수신부(12)는 휴대기(2 또는 3)로부터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UHF 대역의 전기파를 사용하는 신호 송신은 UHF 송신부(22)와 UHF 수신부(12) 사이에서 실행된다. 이것은 휴대기(2 또는 3)의 출력 파워 레벨이 상대적으로 낮다 하더라도 응당의 통신 거리가 획득되기 때문이며, 응답 신호는 차량-내 장치(1)에 더욱 확실히 송신될 수 있다.
UHF 수신부(12)가 휴대기(2 및 3)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차량-내 장치(1)에서의 마이크로컴퓨터(10)는 인증을 위해 응답 신호에 포함된 코드가 마이크로컴퓨터(10)에 저장된 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점검한다. 전자의 코드가 후자의 코드와 일치하면, 도어의 잠금 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후속 과정에서, 이 형태의 전자 키 시스템에서의 공지된 제어가 실행된다. 예를 들면, 잠금 해제 가능 상태에서 운전자 도어 외부의 도어 손잡이에 배치된 터치 센서(미도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도어 손잡이로의 접촉이 검출되면, 마이크로컴퓨터(10)는 도어 제어 장치로 잠금 해제 신호를 송신한다. 그 결과, 도어 잠금 모터(미도시)가 구동되어 전체 도어가 잠금 해제된다. 또한, 여러 가지 제어는 공지된 방법으로 엔진 시동이 가능하도록 수행된다.
휴대기(2 또는 3)는 도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파악 기능을 수행한 다. 보조 휴대기(3)는 휴대기(2)가 분실된 때 휴대기(2)의 위치를 파악한다. 휴대기(2)는 위치 파악될 주체가 되는 주 휴대기로 참조되고, 휴대기(3)는 보조 휴대기로 참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휴대기(2 및 3) 구성이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처리 과정은 휴대기(2)가 휴대기(3) 위치를 파악하는 경우에도 실행될 수 있다.
위치 파악하는 측인 보조 휴대기(3)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한다. 위치 파악 과정은 트리거로써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절차로 누름 스위치(25 및 26)의 작동으로 실행된다.
위치 파악 과정이 시작되면, 보조 휴대기(3)는 위치 파악될 ID를 설정한다(S101). S101의 과정에서, 예를 들면, 소정 절차로 사용자가 누름 스위치(25 및 26)를 작동시키면, 보조 휴대기(3)의 작동 모드는 주 ID 설정 모드로 전환된다. 작동 모드가 주 ID 설정 모드로 전환되면, 보조 휴대기(3)는 위치파악될 주 휴대기로써 선택될 수 있는 휴대기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27)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제, 사용자가 누름 스위치(25 및 26)를 작동시키고, 리스트로부터 하나의 휴대기를 선택하면, 선택된 휴대기에 대응하여 위치 파악될 ID가 설정된다. 디스플레이부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리스트는 1부터 시작하는 일련 번호들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거나, 또는 이미 등록된 휴대기의 사용자에 의하여 인식된 이름(문자 열)과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위치 파악될 주 휴대기로써 선택될 수 있는 하나의 휴대기 만이 존재하면, 디스플레이부(27) 상에 아무런 디스플레이가 실행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하여 아무 런 선택이 실행되지 않는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될 수 있는 하나의 휴대기 만에 대응하여 위치 파악될 주 휴대기의 ID는 ID 설정 모드로 변경함 없이 설정될 필요가 있다.
후속하여, 보조 휴대기(3)는 S101의 과정에서 설정되었던 탐색 ID를 포함하는 탐색 신호를 송신한다(S103). S103의 과정에서 상기 탐색 신호는 UHF 송신부(22)를 통하여 송신된다.
그 다음, 보조 휴대기(3)는 주 휴대기(2)로부터 응답이 있는지 여부를 점검한다(S105). 응답이 존재하면(S105에서 "예"), 디스플레이부(27)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응답이 수신됨"으로 갱신되고(S107), 위치 파악 과정은 종료된다. 또한, 응답이 존재하지 않으면(S105에서 "아니오"), 디스플레이부(27)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응답이 수신되지 않음"으로 갱신되고(S109), 위치 파악 과정은 종료된다.
S103 내지 S105의 과정에서, 한 번의 탐색 신호 송신 만에 의하여 응답이 있는지 여부를 점검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예를 들면, 한 번의 탐색 신호 송신에 의하여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다면, 탐색 신호를 반복하는 것은 가능하다. 소정 횟수의 탐색 신호 송신이 반복되어도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다면, S105의 과정에서 부정의 결정이 형성된다.
또한, 탐색 신호 송신 이후, 소정의 시간 구간이 경과 할 때까지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응답이 수신될 때까지 대기가 실행될 수 있다. 그 다음, 소정의 시간 구간이 경과한 시간에서 응답이 없다면, 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다. 이 과정은 탐색 신호의 송신 및 결정이 주어진 횟수만큼 반복된 경우에 사용된다.
또한, S107 및 S109의 과정에서, "응답이 수신됨" 및 "응답이 수신되지 않음"의 디스플레이 상태들은 이러한 디스플레이 상태가 서로 구별될 수 있는 경우 임의의 양식의 디스플레이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응답이 수신됨"은 LED 발광에 의하여 나타내어질 수 있고, "응답이 수신되지 않음"은 "LED 깜박거림"에 의하여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응답이 수신됨"이 LED 깜박거림에 의하여 나타내어질 수 있고, "응답이 수신되지 않음"이 "LED 소광"에 의하여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LCD에 의하여 디스플레이가 형성되면, "응답이 수신됨" 또는 "응답이 수신되지 않음"의 문자열은 그 자체로써 LCD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각각의 상태들을 나타내는 기호 또는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의 위치 파악 과정이 보조 휴대기(3)에 의해 실행되고, S103의 과정에서 송신되었던 송신된 탐색 신호가 주 휴대기(2)에 도달되면, 도3에 도시된 위치 파악 과정은 트리거로써 탐색 신호의 수신과 함께 주 휴대기(2)에서 실행된다.
즉, 주 휴대기(2)는 수신된 탐색 신호 내에 포함된 ID가 제어 IC(20)의 불휘발성 메모리 내에 등록되어 있는 휴대기의 ID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먼저 검사한다(S201).
S201의 과정에서 그 ID들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면(S201에서 "아니오"), 주 휴대기(2)는 휴대기(2)가 위치 파악될 주 휴대기가 아니라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주 휴대기(2)는 그 자체로써 이 과정을 종료한다. 한편, S201의 과정에서, 그 ID들이 서로 일치한다면(S201에서 "예"), 주 휴대기(2)는 보조 휴대기(3)에 응답을 송신하고(S203), 버저(28)를 울림 상태로 작동시키고(S05), 과정을 종료한다.
S205의 과정에서, 버저(28)가 긴 시간 구간 동안 과도하게 울린다면, 사용자가 주 휴대기(2)를 즉시 발견할 수 없는 경우에 전력이 쓸모없이 소모될 수 있다. 또한, 정규의 사용자와는 다른 비승인된 제3자가 주 휴대기(2)를 찾아내어 그것을 가져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버저(28)로부터 울림은 버저(28)가 소정 시간 동안 예를 들면, 약 10초 동안 울린 후 중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과정들을 실행하는 휴대기(2 및 3)의 경우, 휴대기(2 및 3)은 서로 위치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기(2 또는 3)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전용의 휴대기 위치 파악 장치와는 달리, 복수의 휴대기(2 및 3)는 각각 휴대기(2 및 3)의 본래 의도된 목적(전자 키로써 의도된 목적)을 위하여 항상 사용될 수 있고, 전용의 휴대기 위치 파악 장치 이상으로 작동 기회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휴대기(2 및 3) 모두가 항상 사용되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예를 들어 하나의 휴대기(2)가 주 휴대기로써 보통 사용될 수 있고, 또 다른 휴대기(3)는 보조 휴대기로써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된 바와 같이, 휴대기(2)가 분실되면, 그 분실된 휴대기(2)는 보조 휴대기(3)에 의해 위치 파악될 수 있다. 역으로, 보조 휴대기(3)의 저장 위치를 잊어 버린 경우에도, 그 보조 휴대기(3)가 휴대기(2)에 의해 위치 파악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추가로, 본 실시예에서, 휴대기(2 및 3) 사이에 탐색을 실현하기 위하여, 제1 주파수 대역으로써 LF 대역을 사용하는 LF 수신부(21)에 추가하여 제2 주파수 대 역으로써 UHF 대역을 사용하는 UHF 수신부(23)가 제공된다.
따라서, 휴대기의 검출 영역을 차량 주변으로 제한 시에 적당한 LF 수신부(21)와는 달리, UHF 송신부(22)로부터의 탐색 신호 송신 시 출력 파워 레벨이 비교적 낮을 경우에도, 통신 거리는 상당히 확보된다. 그 결과, 휴대기(2 또는 3)의 검출 영역은 확대될 수 있다.
즉, 단지 휴대기(2 및 3)가 서로 통신하는 관점으로부터, UHF 수신부(23)의 설비 대신에 LF 수신부(21)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LF 송신부를 설치하는 방법이 제안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형태의 LF 송신부가 휴대기(2 및 3) 내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휴대기(2 및 3) 사이의 통신 거리를 충분히 증가시키는 것은 쉽지 않다. 통신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출력 파워 레벨이 증가되거나 수신부 감도가 강화되면, 휴대기(2 및 3)는 크기가 커져야만 하거나, 또는 전력 소비가 증가될 수 있다. 이 관점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UHF 수신부(23)가 단순히 배치되면, 휴대기(2 및 3)의 크기를 확대시키거나 전력 소비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휴대기(2 및 3) 사이의 통신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추가로, 휴대기(2 및 3)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UHF 송신부(22)는 차량-내 장치(1)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이 이유 때문에, 휴대기(2 및 3) 사이의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전용 송신 수단을 설치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추가로, 주 휴대기(2)를 지정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탐색 신호는 보조 휴대기(3)로부터 주 휴대기(2)로 송신된다. 주 휴대기(2)에서, 탐색 신호가 주 휴대 기(2)를 지정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주 휴대기(2)가 존재한다는 사실은 버저(28)에 의해 주변에 보고된다. 따라서, 위치 파악하는 측 및 위치 파악되는 측에 있지 않은 제3 및 제4 휴대기가 보조 휴대기(3) 및 주 휴대기(2)에 더하여 추가로 존재한다 하더라도, 주 휴대기(2) 만이 그의 존재를 알리고, 이로써 제3 및 제4 휴대기에 의한 불필요한 정보 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더욱이, S101의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위치 파악될 주 휴대기(2)가 선택되기 때문에, 위치 파악될 수 있는 복수의 휴대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알림 작동은 휴대기 중 단 하나에 의해서만 실행될 수 있다.
추가로, 보조 휴대기(3)가 주 휴대기(2)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될 때, 보조 휴대기(3)는 그 응답이 보조 휴대기(2)로부터 수신되었다는 것을 디스플레이부(2)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그 결과, 사용자가 주 휴대기(2)의 알림 작동[버저(28)의 울림]을 인식할 수 없는 장소에 주 휴대기(2)가 존재하는 환경 하에서도, 주 휴대기(2)가 검출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보조 휴대기(3)가 디스플레이에 의하여 알림을 수행하기 때문에, 휴대기(2 및 3) 모두로부터 소리를 발생시킴으로써 어느 휴대기로부터 소리가 발생되는 지를 사용자가 혼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와 유사하다. 이 실시예에서, 위치 파악하는 측인 보조 휴대기(3)에 의해 실행되는 위치 파악 기능은 제1 실 시예와 다르다.
위치 파악 과정이 시작되면, 도2의 S101과 동일한 방식으로, 보조 휴대기(3)는 위치 파악될 ID를 설정한다(S301). 후속하여, 보조 휴대기(3)는 출력 파워 레벨을 설정한다(S303). S303의 과정에서, 예를 들면, 소정의 절차에서 사용자가 누름 스위치(25 및 26)를 작동시키면, 보조 휴대기(3)의 작동 모드는 출력 파워 레벨 설정 모드로 전환된다. 출력 파워 레벨 설정 모드로 전환한 경우, 사용자가 누름 스위치(25 및 26)를 작동시키면, UHF 송신기(22)의 출력 레벨은 복수의 단계에서 정해진 순서로 1,2,3,...으로 전환된다. 현재 출력 파워 레벨이 어떤지는 필요에 따라 수적 또는 그래프적 디스플레이 형태로 LCD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후속하여, 보조 휴대기(3)는 S301의 과정에서 설정되었던 위치 파악될 ID를 포함하는 탐색 신호를 송신한다(S305). S305의 과정에서, 탐색 신호는 UHF 송신부(22)를 통하여 S303의 과정에서 설정되었던 출력 레벨에서 송신된다.
그 다음의 과정은 상술된 S105 내지 S109의 과정과 동일하고, 보조 휴대기(3)는 응답이 주 휴대기(2)로부터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307). 응답이 수신되면(S307에서 "예"), 디스플레이부(27)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응답이 수신됨"으로 갱신되고(S309), 위치 파악 과정은 종료된다. 또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S307에서 "아니오"), 디스플레이부(27)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응답이 수신되지 않음"으로 갱신되고(S311), 위치 파악 과정은 종료된다.
보조 휴대기(3)의 경우에서도,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작동 및 이점이 제공되고, 휴대기(2 및 3)은 서로 위치 파악할 수 있다.
더욱이, 보조 휴대기(3)에서, 송신 출력 파워 레벨은 상기 S303의 과정을 통하여 수동의 작동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주 휴대기(2)는 보조 휴대기(3)의 가까운 주변에 대하여만 먼저 위치 파악될 수 있다. 위치 파악될 주 휴대기(2)가 그러한 가까운 주변에서 위치 파악되지 않는다면, 검출 영역은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파악될 범위는 출력 파워 레벨을 변경시킴으로써 점차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보조 휴대기(3)의 경우에, 사용자가 위치 파악될 휴대기(2)로 인하여 알림 작동을 인식할 수 없는 장소에 위치 파악될 휴대기(2)가 존재하는 환경 하에서도, 주 휴대기(2)가 존재하는 장소는 위치 파악 노력을 쉽게 하기 위하여 어느 정도 좁혀질 수 있다.
특히, 보조 휴대기(3)의 도움으로 첫번째 장소에서 탐색이 실행된다. 이 상황에서, 탐색 영역이 상대적으로 확장되면, 주 휴대기(2)로부터의 응답 수신이 디스플레이부(27) 상에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한편, 탐색 영역이 상대적으로 좁아지면, 주 휴대기(2)로부터의 응답 수신이 디스플레이부(27) 상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것이다. 이 경우, 보조 휴대기(3)는 탐색 영역이 상대적으로 좁아진다 하더라도, 디스플레이부(27) 상에 주 휴대기(2)로부터 응답이 수신되는 제2 장소가 위치 파악되는 방식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장소가 발견되면, 제2 장소는 제1 장소보다 주 휴대기(2)에 더 가깝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의 방식에서, 여러 장소에서 주 휴대기(2)로부터의 응답이 점검사되고, 이로써 주 휴대기(2)에 가까운 장소를 임의의 범위까지 좁히는 것을 가 능하게 한다.
따라서, 주 휴대기(2)가 그 좁아진 범위의 중심 근처에서 위치 파악되면, 주 휴대기(2)를 사용하는 알림 작동이 사용자에 의해 인식될 수 없는 장소에 주 휴대기(2)가 존재하는 환경 하에서도 주 휴대기(2)가 발견될 가능성이 있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와 유사하다. 이 실시예에서, 위치 파악하는 측인 상기 보조 휴대기(3)에 의해 실행되는 위치 파악 기능은 제2 실시예와 다르다.
위치 파악 과정이 시작되면, 보조 휴대기(3)는 위치 파악될 ID를 우선 설정한다(S401). 이 과정은 S101의 과정과 동일하다. 후속하여, 보조 휴대기(3)는 신호 송신의 출력 파워 레벨을 나타내는 변수 레벨을 0으로 초기화하고(S403), 이전의 변수 레벨에 1을 더함으로써 레벨을 증가시키고(S405), 변수 레벨의 값을 출력 파워 레벨로써 설정한다(S407). 즉, 상술된 S303의 과정에서는, 사용자가 수동 작동에 의하여 출력 레벨을 설정하지만, S407의 과정에서는 변수 레벨의 값이 출력 파워 레벨로써 설정된다.
그 다음, 보조 휴대기(3)는 S401에서 설정되었던 위치 파악될 ID를 포함하는 탐색 신호를 송신한다(S409). S409의 과정에서는 탐색 신호가 S407의 과정에서 설정되었던 출력 파워 레벨에서 UHF 송신부(22)를 통하여 송신된다.
후속하여, 보조 휴대기(3)는 주 휴대기(2)로부터 응답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411). 응답이 수신되면(S411에서 "예"), 디스플레이부(27)의 디스플레 이 상태는 "응답이 수신됨"으로 갱신되고(S413), 상기 위치 파악 과정은 종료된다. 한편,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S411에서 "아니오"), 디스플레이부(27)의 디스플레이 상태는 "응답이 수신되지 않음"으로 갱신된다(S415). 출력 레벨이 최대 출력에 도달하였는지 여부가 결정된다(S417).
출력 레벨이 최대 출력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S417에서 "아니오"), 처리 과정은 S405 내지 S415의 과정을 반복하기 위하여 S405의 과정으로 회귀된다. 그 결과, S405의 과정에서, 1 이 변수 레벨에 더해지고, 변수 레벨의 값은 S407의 과정에서 출력 파워 레벨로써 설정된다. 즉, 출력 레벨은 1순위 상승된다.
그 다음, S405 내지 415의 과정을 반복한 결과로써, 출력 레벨이 S417의 과정에서 최대 출력에 도달한 것으로 결정되면(S417에서 아니오), 탐색은 바로 그때 포기되고, 위치 파악 과정은 종료된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작동 및 이점들이 제공되고, 휴대기(2 및 3)은 서로 위치 파악할 수 있다.
더욱이, 보조 휴대기(3)에서, 송신 출력 파워 레벨은 제2 실시예의 보조 휴대기(3)를 가지는 것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더욱이, 검출 영역을 변경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 작동을 고의로 수행하지 않는다면, 송신 출력 레벨은 자동으로 그리고 연속적으로 증가되고, 검출 영역은 주 휴대기(2)로부터의 응답 신호가 수신될 수 없다면 확대될 수 있다.
추가로, 제3 실시예는 주 휴대기(2)로부터의 응답 신호가 수신될 수 없는 경우 송신 출력 레벨이 연속적으로 증가되는 예를 도시한다. 역으로, 주 휴대기(2) 로부터의 응답 신호가 수신될 수 있는 경우 송신 출력 파워 레벨은 연속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실시예에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주 휴대기(2)로부터의 응답의 존재 또는 부재를 확인하면서 응답이 수신된 어떤 장소로 이동하고, 이로써 상기 주 휴대기(2)가 존재하는 장소를 좁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주 휴대기(2)로부터의 응답 신호가 수신될 수 없는 경우 송신 출력 파워 레벨이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구성, 및 주 휴대기(2)로부터의 응답 신호가 수신될 수 있는 경우 송신 출력 레벨이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구성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들은 이하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많은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휴대기(2 및 3)은 서로 위치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키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휴대기가 존재하는 경우, 임의의 휴대기는 휴대기(2 및 3)에 어떠한 위치 파악 기능도 갖지 않는 단순화된 휴대기일 수 있다. 특히, 도6에 도시된 휴대기(4)에서처럼, 제어 IC(20), LF 수신부(21), UHF 송신부(22), UHF 수신부(23), 송신/수신 전환 스위치(24) 및 버저(28)가 설치된다. 이 휴대기(4)는, 휴대기(2 및 3)에 설치된 누름 스위치(25, 26) 및 디스플레이부(27)를 가지지 않는다. 또한, 위치 파악 과정을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제어 IC(20)로부터 삭제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휴대기(4)는 위치 파악 휴대기로써 사용될 수 없다. UHF 수신부(23) 및 버저(28)가 설치되기 때문에, 휴대기(2 및 3)와 동일한 작 동 및 이점들이 위치 파악될 주 휴대기로써 제공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복수의 가족 구성원들이 휴대기을 소지하는 의도된 목적을 가정하는 경우에, 각각 부모들은 휴대기(2 및 3)을 소지하고, 어린이는 휴대기(4)를 소지할 수 있다. 어린이가 휴대기(4)를 분실한 경우, 부모는 휴대기(2 및 3)의 도움으로 휴대기(4)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휴대기(2 및 3)은 휴대기(4)에 의해 위치 파악될 수 없다. 그러나, 휴대기(2 및 3) 모두가 동시에 분실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휴대기(2 및 3)가 서로 위치 파악할 수 있는 것은 충분하다. 오히려, 전체 전자 키 시스템의 도입 시 필요한 비용이 억제될 수 있는 관점에서 제3 휴대기는 휴대기(4)를 갖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유용하다. 또한, 어린이가 휴대기를 소지하는 것을 가정할 때, 버튼 작동이 불필요하게 수행될 수 없는 경우가 더 나을 수 있다. 이 관점으로부터, 누름 스위치(25 및 26)는 휴대기(4)를 가지는 경우로써 생략되는 것이 유용하다.
휴대기가 휴대기(4)에 반대된 경우로써 위치 파악 기능 만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휴대기가 함께 혼합된 전자 키 시스템이 가능할 수 있다. 휴대기가 위치 파악 기능을 가질 뿐이라면, 분실 시 위치 파악되지 못할 수 있다.
휴대기 위치 파악 장치는 전자 키 시스템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의 실시예의 전자 키 시스템에 대응하는 휴대기 위치 파악 장치로써, UHF 대역(제2 주파수 대역)의 전기파에 의해 주 휴대기(2)에 탐색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 수단을 가지는 장치가 제공된다. 즉, LF 대역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기 위치 파악 장치가 아닌, UHF 대역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기 위치 파악 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휴대기 위치 파악 장치는 상기 실시예들의 전자 키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휴대기 위치 파악 장치가 설치되면, 휴대기(2,3 및 4)은 위치 파악될 수 있다. 전용의 휴대기 위치 파악 장치는 전자 키 시스템의 휴대기로써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그 적용 기회가 증가되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의 휴대기(2 및 3)가 더 낫다.
추가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용의 휴대기 위치 파악 장치(5)를 구성하는 경우, 위치파악부(5)는 휴대폰(6)에 연결될 수 있고, 이로써 전용의 휴대기 위치 파악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위치파악부(5)는 제어 IC(50), UHF 송신부(52), UHF 수신부(53), 송신/수신 전환 스위치(54) 및 인터페이스 회로(59)를 갖는다. 이들 중, UHF 송신부(52), UHF 수신부(53) 및 송신/수신 전환 스위치(54)는 휴대기(2 및 3)의 것들과 구성이 동일하다.
휴대폰(6)은 제어 IC(60), 통신부(61), 스피커(62), 마이크로폰(63), 입력키(64), 디스플레이부(65) 및 인터페이스 회로(69)를 갖는다. 휴대폰(6)은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제어 IC(60)가 임의의 적용에 따라 여러 가지 과정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위치파악부(5) 및 휴대폰(6)은 위치파악부(5) 및 휴대폰(6)에 각각 설치된 인터페이스 회로(59 및 69)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도록 서로 연결된다. 제어 IC(60)는 탐색부 제어 적용에 따라 위치 파악부(5)의 각 부분을 제어하고, 위치 파 악 과정을 실행한다.
위치 파악 과정의 실행에 필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휴대폰(6) 측 구성을 이용한다. 특히, 위치 파악 시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는 작동은 입력키(64)를 통한 작동에 의해 또는 마이크로폰(63)을 통한 음성 입력에 의해 수행된다. 탐색 결과는 휴대폰(6) 측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65) 또는 스피커(62)를 통하여 출력된다. 즉, 휴대기(2 및 3) 내에 배치된 누름 스위치(25, 26), 디스플레이부(27) 및 버저(28)의 구성은 휴대폰(6) 내에 배치된 구성들을 갖는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59)를 통하여 휴대폰(6)에 연결될 수 있는 휴대기 위치 파악 장치가 제공되고, 전송 수단(52)이 탐색 신호를 송신하도록 휴대폰(6) 측에서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서 휴대폰(6)이 통신 인터페이스(59)를 통하여 송신 수단(52)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관하여, 휴대폰(6)의 구성과 대체될 수 없는 유일한 최소 구성만이 휴대기 위치 파악 장치 내에 장착되고, 나머지 구성들은 휴대폰(6)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파악부(5)의 구성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위치파악부와 비교했을 때 단순화되고, 위치파악부(5)의 도입 비용이 억제될 수 있다.
위치파악부(5) 및 휴대폰(6)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는 기계적 연결로 제한되지는 않으나, 라디오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파악부(5)는 예를 들면, 키 홀더 형이고, 이는 휴대폰 상에 또는 휴대폰 근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들은 차량과는 다른 사무실 및 집 등과 같은 다른 대상물의 도 어용 전자 키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키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탐색 과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후-탐색 과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탐색 과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탐색 과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6은 위치 파악 기능 만을 가지는 단순화된 휴대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7은 탐색 기능 만을 가지는 위치파악부 및 휴대폰을 도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차량-내 장치
2,3,4 휴대기
10 마이크로컴퓨터
11 저주파(LF) 송신부
12 초고주파(UHF) 수신부
20 제어 IC
21 저주파(LF) 수신부
22 초고주파(UHF) 송신부
23 초고주파(UHF) 수신부
27 디스플레이부
28 버저

Claims (12)

  1. 소정의 제어를 실행하기 위하여 차량-내 장치(1)를 포함하는 전자 키 시스템 용 휴대기이며,
    제1 주파수 대역의 전기파에 의해 상기 차량-내 장치(1)로부터 송신된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수신 수단과,
    제1 주파수 대역과는 다른 제2 주파수 대역의 전기파에 의해 차량-내 장치(1)로 라디오 신호를 송신하고 이로써 차량-내 장치(1)가 소정의 제어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송신 수단(22)을 포함하는 휴대기에 있어서,
    제2 주파수 대역의 전기파에 의하여 다른 휴대기(3)로부터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탐색 신호를 포함하는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2 수신 수단(23)과,
    상기 탐색 신호가 제2 수신 수단(23)에 의하여 수신되는 경우, 이의 존재를 외부에 알리기 위한 알림 수단(28)을 갖고,
    송신 수단(22)은 차량-내 장치(1)로 상기 라디오 신호에 추가하여 상기 탐색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제1 주파수 대역보다 고주파 측에 있는 휴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LF 대역이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UHF 대역인 휴대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송신 수단(22)은 추가의 휴대기(3)를 지정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탐색 신호를 송신하고,
    알림 수단(28)은, 상기 추가의 휴대기를 지정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탐색 신호가 제2 수신 수단(23)에 의하여 수신되는 경우, 상기 추가의 휴대기(3)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외부에 알리는 휴대기.
  5.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 작동에 응답하여 복수의 다른 휴대기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25, 26)을 추가로 포함하고,
    송신 수단(22)은 선택 수단(25, 26)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다른 휴대기 중의 상기 하나를 지정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휴대기.
  6. 제4항에 있어서, 송신 수단(22)은 이의 라디오 신호의 송신 영역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송신 출력 파워 레벨을 변화시키는 휴대기.
  7. 제6항에 있어서, 송신 수단(22)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입력 작동을 기초로 송신 출력 파워 레벨을 변화시키는 휴대기.
  8. 제6항에 있어서, 송신 수단(22)은 상기 탐색 신호가 미리 송신된 이후 제2 수신 수단(23)에 의해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송신 출력 파워 레벨을 변화시키고 상기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휴대기.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응답이 제2 수신 수단(23)에 의해 수신되었음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27)을 추가로 포함하는 휴대기.
  10. 차량(100) 내에 장착되는 차량-내 장치(1)와,
    차량-내 장치(1)가 차량-내 장치(1)에 의해 소정의 제어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차량-내 장치(1)와 라디오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휴대기(2)를 포함하고,
    복수의 휴대기(2,3,4) 중 적어도 두 개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휴대기인 전자 키 시스템.
  11. 대상물의 도어용 전자 키 시스템이며,
    상기 대상물 내에 설치되고, 수신부(12)에 의하여 수신된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소정의 신호에 응답하여 도어를 제어하기 위한 수신부(12)를 갖는 대상-내 장치(1)와,
    각각이 대상-내 장치(1)에 의해 수신되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소정의 신호 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22)를 각각 갖는 복수의 휴대기(2,3,4)를 포함하는 전자 키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기(22)는 위치 파악되는 휴대기의 식별 표시를 포함하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인 탐색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휴대기(2,3,4)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탐색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23)를 갖고,
    휴대기(2,3,4)는 수신기(23)에 의한 탐색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존재를 나타내는 알림 표시를 발생시키기 위한 알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대상-내 장치(1)는 수신부(12)에 의하여 수신되는 소정의 신호의 소정의 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11)를 추가로 갖고,
    휴대기(2,3,4)는 상기 대상-내 장치(1)의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21)를 갖고,
    휴대기(2,3)는 상기 탐색 신호가 상기 탐색 신호에 포함된 식별 표시에 대응하는 휴대기에 의하여 수신되었음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7)를 추가로 갖는 전자 키 시스템.
KR20070133173A 2006-12-19 2007-12-18 휴대기 및 이를 이용한 전자 키 시스템 KR1009010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41211 2006-12-19
JP2006341211A JP4882725B2 (ja) 2006-12-19 2006-12-19 電子キーシステムの携帯機、および電子キー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171A KR20080057171A (ko) 2008-06-24
KR100901059B1 true KR100901059B1 (ko) 2009-06-04

Family

ID=39526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33173A KR100901059B1 (ko) 2006-12-19 2007-12-18 휴대기 및 이를 이용한 전자 키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143478A1 (ko)
JP (1) JP4882725B2 (ko)
KR (1) KR100901059B1 (ko)
CN (1) CN101205773A (ko)
DE (1) DE1020070608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3161B2 (en) 2015-11-10 2017-10-10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46817B1 (fr) * 2009-06-10 2012-06-01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Procede de localisation d'un badge electronique d'un systeme d'acces "mains-libres" a un vehicule
EP2678998B1 (en) * 2011-02-24 2015-11-04 BlackBerry Limited Apparatus for use in a vehicle to warn a user that he has left behind a mobile device
CN103150801B (zh) * 2013-03-23 2015-01-28 北京兴科迪科技有限公司 用于车辆的电子智能钥匙和车门自动控制器
WO2016012604A1 (en) * 2014-07-24 2016-01-28 Keyline S.P.A. Method and apparatus for duplicating keys with electronic code
JP6350862B2 (ja) * 2014-09-05 2018-07-04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キーシステム
EP3227870B1 (en) * 2014-12-02 2024-06-05 Sensormatic Electronics, LLC Dual level human identification and location system
JP6696727B2 (ja) * 2015-03-06 2020-05-2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携帯端末キーシステム
JP6712806B2 (ja) * 2017-03-30 2020-06-24 株式会社ユピテル 中継システム
JP6885258B2 (ja) * 2017-08-09 2021-06-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および認証システム
CN109703515A (zh) * 2019-01-25 2019-05-03 安徽酷哇机器人有限公司 自动驾驶车辆的防盗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6827A (ja) 1999-04-02 2000-11-28 Valeo Securite Habitacle 警告装置を備えた、自動車用のいわゆるハンズフリーアクセスシステム
JP2005207077A (ja) * 2004-01-21 2005-08-04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
JP2005220728A (ja) * 2004-01-09 2005-08-18 Denso Corp 携帯機探索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6827A (ja) 1999-04-02 2000-11-28 Valeo Securite Habitacle 警告装置を備えた、自動車用のいわゆるハンズフリーアクセスシステム
JP2005220728A (ja) * 2004-01-09 2005-08-18 Denso Corp 携帯機探索装置
JP2005207077A (ja) * 2004-01-21 2005-08-04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3161B2 (en) 2015-11-10 2017-10-10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50894A (ja) 2008-07-03
CN101205773A (zh) 2008-06-25
JP4882725B2 (ja) 2012-02-22
DE102007060887A1 (de) 2008-11-20
US20080143478A1 (en) 2008-06-19
KR20080057171A (ko) 2008-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059B1 (ko) 휴대기 및 이를 이용한 전자 키 시스템
JP5003152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CN104512324B (zh) 用于留在车辆中的物品的提醒系统
WO2015174012A1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2008190244A (ja) 電子キーシステム、電子キーシステム用の車載装置、および電子キーシステム用の携帯機
JP2013002111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5152011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車両制御用携帯機
JP2010147838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
JP6536787B2 (ja) 車両用制御システム
JP6244215B2 (ja) 車載通信システム
JP5565752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車載装置,および携帯機
KR101480619B1 (ko) 스마트 키 위치 안내 시스템
JP2010242304A (ja) 情報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10288800B (zh) 信息处理装置、控制终端装置的方法和非暂时性计算机可读记录介质
JP6388254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
JP2010013077A (ja)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
JP2008095422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6111936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携帯機
JP561403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6037410A (ja) 遠隔操作システム
JP2016079590A (ja) 電子キーシステム、車載装置、携帯端末
JP2018186449A (ja) 送信チャンネル設定システム
JP2005220728A (ja) 携帯機探索装置
JP2018071048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2016056504A (ja) 電子キーシステムおよび電子キーシステムの携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