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0838B1 - 필름, 적층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필름, 적층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0838B1
KR100900838B1 KR1020047012949A KR20047012949A KR100900838B1 KR 100900838 B1 KR100900838 B1 KR 100900838B1 KR 1020047012949 A KR1020047012949 A KR 1020047012949A KR 20047012949 A KR20047012949 A KR 20047012949A KR 100900838 B1 KR100900838 B1 KR 100900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tretching
machine direction
mdo
laminated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6413A (ko
Inventor
맥미쉬래리휴이
릴리케네쓰엘.
Original Assignee
클로페이 플라스틱 프로덕츠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76600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0083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클로페이 플라스틱 프로덕츠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클로페이 플라스틱 프로덕츠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86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23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sing multilayered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 B29C55/14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firstly transversely to the direction of feed and then parallel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8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by squeezing between surfaces, e.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2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increasing poro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12Mechanical treatment, e.g. roughening, deforming, stretching
    • B32B2038/0028Stretching, elong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2Cellular or porous
    • B32B2305/026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10Fibres of continuous length
    • B32B2305/18Fabrics, tex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0Fillers, e.g. particles, powders, beads, flakes, spheres,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제1필름층과 제2층을 갖는 미공성 적층 시트의 제조방법. 제1필름층은 포어 개시제를 함유하며 제2층에 접착되어 적층 시트를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적층 시트는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머신 방향 (CD) 치합형 연신기(28)과 적어도 하나의 머신 방향 오리엔테이션 (MDO) 연신 유닛(29)를 이용하여 연신된다. 필름 또는 적층체를 연신시키기 위한 장치와 함께, 미공성 필름 적층체의 제조방법도 제공된다.
Figure R1020047012949
필름, 적층 시트, 미공성 적층 시트, 연신

Description

필름, 적층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FILM, LAMINATED SHEET AND METHODS OF MAKING SAME}
미공성 필름의 제조방법은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예컨대, 미국특허 제3,870,593호 (본 명세서에 참조됨)는 (1) 탄산칼슘과 같은 비흡습성 무기염의 미분 입자를 폴리머에 분산시키고; (2) 상기 폴리머로부터 필름을 형성시켜; (3) 미공성을 갖는 필름을 연신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미공성 필름은 숨쉬는 배리어 (예컨대, 기저귀)와 같이, 다양한 목적에 이용된다.
비록 미공성 필름을 개시하는 종래기술이 수없이 많지만, 대부분 (예컨대 미국특허 제4,353,945호)은 일방향성 또는 이축 연신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는 연신 공정을 정의하지 않고 있다. 가장 흔한 세가지 연신 기술은 MDO (machine direction orientation: 머신 방향 오리엔테이션), 텐터 오븐 및 치합형 (intermeshing) 환형 롤 (상호교합형 (interdigitating) 롤러라고도 칭함)이다. MDO 연신 유닛은 Providence, Rhode Island에 소재하는 Marshal & Williams, Inc.와 같은 벤더들에 의해 제공된 초창기 미공성 필름에서 구할 수 있었다. 전형적인 MDO 연신 유닛은 머신 방향으로만 연신시키기 위해 보다 빠른 속도로 가동되는 하향 롤과 함께, 가열된 롤과 닙을 갖는다.
텐터 오븐 역시 Marshall & Williams를 비롯한 여러 벤더로부터 입수가능했다. 텐터 오븐은 가열된 오븐을 통해 필름 가장자리를 집고 크로스-머신 방향으로 필름을 연신시킴으로써 작동한다. 크로스 방향으로 연신된 필름은 원래 폭보다 실제로 폭이 더 넓은 오븐을 통해 방출된다.
치합형 또는 상호교합형 연신 디바이스는 초창기 Wisconsin, Neenah에 소재하는 Biax-Fiberfilm과 같은 벤더에 의해 생산되었다. 예컨대 미국특허 제4,153,751호는 크로스-머신 방향으로 필름을 연신시키기 위해 롤러의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신장되는 홈을 갖는 상호교합형 롤러를 사용하는 것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미공성 필름과 부직포와의 복합체를 만드는 방법 역시 기술분야에 공지이다. 미공성 필름은 접착제, 열접착 및/또는 초음파접착을 비롯한 여러가지 수단에 의해 부직포에 직접 접착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이러한 복합체는 부직포상에 폴리머 압출물을 압출-코팅한 다음 필름을 미공성으로 (예컨대 연신에 의해) 만듦으로써 제조하기도 하였다.
미공성 필름/직물 복합체를 연신하는 것이 요망될 수도 있지만, 연신에는 나름대로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 예컨대, 미공성 필름의 경우, 연신의 전형적인 긍정적 효과에는 보다 높은 증기 호흡성과 개선된 표면 미관이 포함된다. 증기 호흡성 (수증기 투과율 "WVTR: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라고도 칭함)은 실험실 테스트법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이는 필름중의 미공들의 크기와 빈도와의 함수이다. 이미 미공성인 필름을 추가로 더욱 연신시키면 기존의 미공들의 크기가 증대 되어 새로운 미공이 생긴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고도로 연신된 미공성 필름과 미공성 필름/직물 복합체는 일반적으로 덜 연신된 유사한 재료에 비해 보다 높은 증기 호흡성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연신에 의해 표면 감촉과 드레이프성이 개선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필름/직물 복합체는 각각 단독일때 보다 더 뻣뻣하고 까칠한 경향이 있다. 이러한 복합체를 연신하면 빳빳한 구조가 무너져서 보다 부드러운 표면감촉과 개선된 드레이프성이 제공된다.
다른 한편, 연신 미공성 필름/직물 복합체는 감소된 접착 강도와 증가된 핀홀 특성을 결과시킬 수 있다. 연신은 필름과 직물간의 연결을 파괴시킴으로써 유연성과 드레이프성을 개선시킨다. 이것은 적층체의 접착 강도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연신은 또한 필름, 직물 또는 전체적으로 복합체의 핀홀링, 찢어짐, 파열과 같이, 적층체의 바람직하지 못한 손상을 일으킬 수도 있다.
미공성 필름을 직물에 접착시키기 보다, 먼저, 무공성 필름을 직물에 접착시킨 다음 필름을 미공성으로 만들기 위해, 결과적인 복합체를 연신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미국특허 제5,865,926호는 필름/부직포 복합체를 증분적으로 연신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5,910,225호 (본 명세서에 참조됨)는 MDO 연신 및/또는 텐터 오븐 연신을 이용하고 있다. 몇가지 예에서, 종래기술의 방법은 연신 공정으로 인한 복합체의 손상으로 인해 오직 부분적으로만 성공적이었다. 이러한 손상은 핀홀, 파열 및 기타 기능적 또는 미관적 결함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마찬가지로, 미국특허 제6,013,151호 (본 명세서에 참조됨)는 고속으로 증분적으로 연신시킴으로써 미공성이며 호흡가능한 필름/부직포 적층체를 만들수 있다고 교시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얻어진 미공성 적층체는 높은 수증기 투과율 (WVTR)을 갖는다. 평평한 필름/부직포 적층체는 엠보싱 처리된 필름/부직포 적층체보다도 더 균일하게 증분적으로 연신할 수 있음도 밝혀졌다. 연신을 보다 균일하게 함으로써 WVTR을 높이고 핀홀은 감소시킬 수 있다.
필름과 직물의 접착은 다른 기능적 및 미적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도록 세심하게 컨트롤할 수 있다. 예컨대, 스펀본드 (spunbond) 폴리프로필렌 웹상에 폴리에틸렌 압출물을 압출코팅하는 경우, 용융 온도와 닙 압력과 같은 공정 조건이 필름 구조내로의 섬유의 침투를 결정한다. 그러나 최저 레벨의 침투에서, 필름과 직물은 거의 또는 전혀 접착되지 않기 때문에 탈적층화 (delaminate)되는 경향이있다. 최대 레벨의 침투시에는, 이와 반대로 필름과 직물이 기본적으로 함께 성형되어 하나로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적층체는 각각의 두 성분들의 최악의 특성들을 가지게 되어 딱딱하면서 부서지기 쉽게된다. 또한, 접착 강도가 너무 세면, 핀홀 형성의 위험이 없이 수행될 수 있는 연신량에 제한이 가해진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간단히 말해서, 필름과 직문간에 접착력이 너무 크면, 연신된 필름이 때때로 탈적층화 되기 전에 파열되어 핀홀이 생긴다.
미공성 필름 및 미공성 필름과 부직포와의 복합체의 성능과 외관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특히, 호흡성이 더 높으면서, 핀홀과 기타 기능적 및 미적 결함이 없는 미공성 필름 및 미공성 필름/직물 복합체의 개선된 제 조방법이 요망되고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일구체예는 제1필름층과 제 2층을 포함하는 미공성 적층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 제1필름층을 제2 층에 접착시켜 적층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상기 제1필름층은 포어 개시제 (pore initiator)를 포함하는 단계; 및
(b)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머신 방향 (cross-machine direction; CD) 치합형 연신기와 적어도 하나의 MDO 연신 유닛을 이용하여 적층 시트를 연신하는 단계.
어떤 구체예에서, 제2층은 직물층을 포함하는 반면, 또 다른 구체예에서 제2층은 포어 개시제를 포함하는 또 다른 필름층을 포함한다. 이 방법의 특정 구체예에서, 적층 시트는 적어도 하나의 MDO 연신 유닛에 의해 연신되기 직전이나 직후에 적어도 하나의 CD 치합형 연신기에 의해 연신될 수 있다. CD 치합형 연신기의 맞물림 깊이 (engagement depth)는 약 0.025 내지 약 0.1 인치일 수 있고 MDO 연신비율은 약 1.1:1 및 약 4:1일 수 있다.
필름층은 열가소성 조성물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다. 제2층이 직물일 경우, 필름층을 직물층에 접착하는 단계는 상기 직물층 위에 열가소성 조성물을 압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열가소성 조성물을 직물층과 함께 주조 롤 닙 스테이션 내로 압출시킬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주조 롤 닙 스테이션은 그 사이에 닙을 갖는 롤러를 한쌍 포함한다.
열가소성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의 것일 수 있으며 다음을 포함한다:
- 하나 이상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관능화 폴리올레핀; 및
- 포어 개시제로서 탄산 칼슘.
한가지 특정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한다:
- 하나 이상의 폴리에틸렌;
- 탄산 칼슘 약 40% 내지 약 60%; 및
- 안료, 가공보조제, 항산화제 및 폴리머 개질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 약 1% 내지 10%.
적층체의 제1필름층의 기초 중량은 약 10 내지 약 40 gsm일 수 있다.
직물층은 폴리올레핀계 부직포일 수 있다. 예컨대, 직물층은 스펀본드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폴리에틸렌; 및 카드화(carded) 열접착된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직물층의 기초 중량은 약 10 내지 약 30 gsm일 수 있으며 결과적인 적층체는 수증기 투과율이 하루 1 평방미터당 약 500 그램을 초과할 수 있고 약 60 cm가 넘는 하이드로헤드(hydrohead)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는 다음 단계, 즉:
(a) 포어 개시제를 포함하는 폴리머 조성물로부터 열가소성 필름을 압출시키는 단계; 및
(b) 적어도 하나의 CD 치합형 연신기와 적어도 하나의 MDO 연신 유닛을 이용하여 연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미공성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서는, 미공성 필름을 적어도 하나의 MDO 연신 유닛에 의해 연신 하기 직전 또는 직후에 적어도 하나의 CD 치합형 연신기를 이용하여 연신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는 다음의 단계, 즉:
(a) 제1필름층을 제2필름층에 접착시켜 적층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상기 제1필름층은 포어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인 단계; 및
(b) 적어도 하나의 CD 치합형 연신기와 적어도 하나의 MDO 연신 유닛을 이용하여 적층 시트를 연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2개의 필름층을 포함하는 미공성 적층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서, 각각의 필름층들은 열가소성 조성물로부터 만들어지고, 제1필름층을 제2필름층에 접착시키는 단계는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을 공압출 (co-extrusion)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필름 또는 필름/직물 적층체가 MDO 연신 유닛에 의해 연신되기 직전이나 직후에 CD 치합형 연신기에 의해 연신될 수 있도록 CD 치합형 연신기와 MDO 연신 유닛이 배치된, CD 치합형 연신기와 MDO 연신 유닛을 포함하는 필름 또는 필름/직물 적층체를 연신하기 위한 장치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탁월한 물리적 및 미적 특성을 나타내는 미공성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들 미공성 필름은 단일 필름층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두개 이상의 필름층으로 된 적층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필름 적층체는 예컨대 두개 이상의 열가소성 압출물을 공압출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 도 하나의 미공성 필름층과 적어도 하나의 직물층을 포함하는 적층 시트의 제조방법도 제공한다. 이러한 적층 시트는 미공성 필름을 직물층에 접착시킴으로써 만들 수 있다. 또는, 전구체 필름을 직물층에 접착시켜 적층체를 형성한 다음, 이 적층체를 연신시켜 필름층에 미공성을 제공함으로써 만들 수도 있다. 어떤 기술을 사용하던지 간에, 미공성 필름층과 직물층을 갖는 상기 결과적인 적층 시트는 특히, 탈적층되지 않는 복합체가 요구되는 다양한 최종 용도를 만족시키는 호흡가능한 복합체를 제공하며, 높은 수증기 투과율을 갖는 액체 배리어처럼 거동하고/거동하거나, 부드럽고 마치 옷감과 같다 (예컨대 기저귀 받침시트 (backsheets)와 같은 위생용품).
출원인은 연신방법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개선된 특성을 갖는 미공성 필름과 적층체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특히, 필름이나 적층체를 CD 치합형 환형 롤과 MDO 유닛으로 순차적으로 연신시킬 경우, 예기치않을 정도로 향상된 특성을 갖는 미공성 필름과 적층체를 생산할 수 있다.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적층체 (laminate)"라는 용어는 두개 이상의 필름층을 포함하는 필름 적층체를 가리키는 것이고 필름/직물 적층체는 적어도 하나의 필름층과 적어도 하나의 직물층을 포함하는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는, 필름/직물 적층체를 제조한 다음 연신시켜 미공성을 부여한다. 미공성을 갖도록 활성화될 수 있는 폴리머 조성물을 직물 위에 압출 코팅시킨 다음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연신시켜 높은 수증기 투과율을 갖는 액체 배리어와 같이, 많은 최종 용도에 적합한 호흡가능한 복합체를 제조한다.
미공성의 호흡가능한 필름 또는 적층체의 가장 요망되는 특성은 낮은 핀홀 빈도와 높은 WVTR와의 조합이다. 최적의 포어 크기 분포는 이러한 조합을 가능케한다. CD 치합형 유닛으로만 연신시킨 필름 프로토타잎의 주사전자현미경(SEM) 분석 결과 (도 3)는, 필름에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금속 롤러의 특성으로 인해, 머신 방향으로 구동되는 레인을 따라 특정 부위들에 위치한 포어들을 보여주었다. 이 필름을 후에 MD 치합기 유닛을 통해 연신시키자 (도 5), CD 치합기 유닛에 의해 형성된 포어들이 확대되었으나 새로운 포어는 거의 형성되지 않았다. 따라서, CD 치합 연신에 이은 MD 치합은 최적의 공정은 아니다. 그러나, 필름을 CD 치합에 이어 MDO 연신에 의해 가공하자 (도 6), 그 결과는 훨씬 개선되었다. CD 치합 후에만 포어를 함유하지 않은 레인에서는 새로운 포어들이 쉽게 생성되었다. 일반적으로 소망되는 WVTR이 얻어질때까지 필름이 연신되어야 하므로, 이 CD 치합 플러스 MDO 기술은 핀홀의 빈도를 줄이면서 보다 소형의 포어를 보다 많은 수로 만듦으로써 높은 WVTR을 얻도록 할 수 있는 기술이다. 만일 CD 치합만을 이용하거나 또는 MDO 연신만을 이용해서 동일한 정도의 WVTR을 얻고자 할 경우에는 핀홀이 보다 빈번히 생길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필름을 형성할 수 있고 그 안에 분산되어 있는 포어 개시제를 포함하는 적절한 여하한 폴리머 (또는 폴리머들의 혼합물)로부터 미공성 필름 (및 필름층 적층체)을 제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포어 개시제가 그 안에 분산된 이 폴리머 조성물은 압출에 의해 형성된 연속식 필름처럼, 필름으로 형성된다. 이어서 결과적인 필름을 하나 이상의 크로스 머신 (CD: cross machine) 치합형 연신기와 하나 이상의 머신 방향 오리엔테이션 (MDO) 연신 유닛을 이용하여 연신한다. 일 구체예에서, CD 치합형 연신기에 의한 연신은 MDO 연신 유닛에 의한 연신 직전에 수행되거나 직후에 수행된다. 본 명세서에서 "직전에 수행" 또는 "직후에 수행"된다 함은 CD 치합형 연신기에 의한 연신과 MDO 연신 유닛에 의한 연신 사이에 다른 어떠한 연신도 수행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른 유형의 연신 유닛은 이 시퀀스의 전 또는 후에 사용될 수 있으며, 필름을 오직 하나 이상의 CD 치합형 연신기와 하나 이상의 MDO 연신 유닛에 의해서만 연신시켜도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MDO 연신과 조합적으로 CD 치합형 연신기를 사용함으로써, 출원인들은, 결과적으로 얻어진 미공들이 CD 치합형 연신기 단독으로 연신된 필름 (도 3), MDO 연신기 단독으로 연신된 필름 (도 4), 또는 CD 치합형 연신기와 그에 이어 MD 치합형 연신기로 연신된 필름 (도 5)에 비할 때, 그 수가 더 많고, 크기와 모양이 더 적으면서 균일함을 발견하였다 (도 6).
미공성 필름/직물 적층체를 형성하기 위해, 미공성 필름을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한 후, 미공성 필름을 하나 이상의 직물층에 접착시켜 적층체 구조를 형성시킨다. 또는, 먼저, 비미공성 (non-microporous) 필름을 하나 이상의 직물층에 접착시켜 적층체 구조를 만든 후, 이 적층체 구조를 상기한 방식으로 연신시켜 필름층을 미공성으로 만든다. 필름층과 직물층을 예를들면 접착제에 의한 적찹, 전자기 접착, 열판 접착 및 초음파 적찹과 같은 여러가지 방식으로 접착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하나 이상의 포어 개시제가 내부에 분산된 필름-형성 폴리머를 직물 위에 압출시며 직물층에 필름층이 접착된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결과적 으로 얻어진 적층 시트를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신시켜 필름에 미공성을 부여할 수 있다. 필름을 직물에 부착시키는데 압출 코팅을 이용하는 경우에조차, 접착체 접착, 전자기 접착, 열판 접착 및 초음파 접착과 같은 부가적인 다양한 접착법을 이용함으로써 접착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직물 적층체는 소망하는 어떠한 배열로든 필름층과 직물층을 어떤 수로든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필름/직물 적층체를 형성하는데 이용되는 동일한 기술은 두개 이상의 필름층(이 중 적어도 하나의 필름층은 미공성임)을 포함하는 필름 적층체를 만드는데도 이용가능하다. 따라서, 미공성 필름을 하나 이상의 다른 필름층에 접착시켜 적층체 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는, 비미공성 필름을 먼저 하나 이상의 다른 비미공성 필름층에 접착시켜 적층체 구조를 형성시키고, 이어서 상기 적층체 구조를 상기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신시켜 필름층에 미공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접착제 접착, 전자기 접착, 열판 접착 및 초음파 접착과 같은 여러가지 접착방법에 의해 필름층들을 서로 접착시킬 수도 있다. 필름 적층체 역시 공압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포어 개시제가 분산되어 있는 필름-형성 폴리머 조성물을 공압출시켜 두개 이상의 필름층들이 서로 접착되어 있는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결과적인 적층 시트를 상기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신시켜 필름층을 미공성으로 만들 수 있다.
필름 적층체 중의 각 필름 조성물은 각 필름층마다 소망되는 특성이 얻어지도록 선택할 수 있고, 따라서, 각 필름층의 조성물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필름층은 연신 도중 보다 많은 포어가 그 층에 형성되도록 포어 개시제를 더 많은 양으로 함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결과적인 필름 적층체 증 각 필름층에 대한 WVTR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중간층이 바깥쪽의 다른 두층에 비해 충전제를 보다 적은 양으로 함유하는, 세개의 미공성 층으로 이루어진 필름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라 적층 시트를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장치의 일 구체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여기서, 필름층은 열가소성 필름이고, 직물층은 부직 섬유 웹(nonwoven fibrous web)이다. 도 1의 장치를 사용하여, 부직 웹을 열가소성 압출물과 함께 한 쌍의 롤러의 닙(nip) 내에 삽입하여 압출함으로써 열가소성 필름이 부직 섬유 웹에 적층된다. 이렇게 형성된 적층 시트는 그 다음에 위에서 설명한 방식으로 연신된다. 적층체보다 단지 미공성 필름만이 필요한 경우에는, 롤러(32) 상에 있는 부직포(33)의 웹을 제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필름 적층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다수의 열가소성 압출물을 한 쌍의 롤러의 닙 내에 삽입하여 공동 압출된 필름 적층체를 형성하면 된다.
연속하는 적층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서, 필름층의 열가소성 조성물을 압출기(21)로부터 슬롯 다이(22)를 통해 이송하여 압출물(26)을 형성한다(이 압출물은 형성된 적층 시트의 필름층에 대응함). 압출물(26)은 주조 롤(24)(대체로 금속 롤)과 백업 롤(대체로 고무 롤) 사이의 닙("주조 스테이션 닙") 내로 이송된다. 일례로 미국 특허 공보 제4,626,57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드로우 레조넌스(draw resonance)의 제거를 돕기 위해 공기 나이프(23)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 로, 미국 특허 출원 제09/489,095호(2000년 1월 20일에 출원)에 개시된 공기 냉각 장치가 드로우 레조넌스를 방지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부직포(33)의 웹은 롤러(32)로부터 롤(25, 24) 사이의 주조 스테이션 닙 내로 가압된다. 상기 닙에서, 부직포(33)은 슬롯 다이(22)로부터 갓 배출된 용융 필름(또는 압출물)(26)으로 압출 코팅된다. 요약하면, 압출 적층 과정 중 섬유는 필름에 내장되어 그 필름에 의해 둘러싸여진다.
적층 시트가 롤(24, 25) 사이의 닙으로부터 배출된 후에, 적층 시트는 두개 이상의 연신 스테이션에서 연신된다. 일 구체예에서, 적층 시트는 적어도 하나의 CD 치합형(intermeshing) 연신기 및 적어도 하나의 MDO 연신 유닛을 사용하여 연신되고, 여기서 시트는 하나의 MDO 연신 유닛에 의해 연신되기 직전이나 연신된 직후에 하나의 CD 치합형 연신기에 의해 연신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제어식 롤러[일례로 롤러(45)]가 연신 전에 적층물을 가열하기 위해서 구비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CD 치합형 연신기는 제1 연신 스테이션(28)에 구비되고, MDO 연신 유닛은 제2 연신 스테이션(29)에 구비된다. CD 치합형 연신기는 일반적으로 한 쌍의 롤을 포함하고, 그 롤들 사이에서 닙을 형성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제1 연신 스테이션(28)의 CD 치합형 연신기는 일반적으로 증분식 연신 롤러(30, 31)를 포함한다. 연신 롤러(30, 31)의 구성은 어느 것이나 무방하지만, 도 2에는 CD 치합형 롤러(30, 31)의 예시적인 일 구체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각 링 롤러는 다수의 홈을 구비하고, 이 홈은 롤러의 원주에 평행하게 롤러의 표면 주위로 연장되어 있다. 롤러가 서로 근접하여 맞물려질 때 한 롤의 홈은 다른 한 롤의 홈과 치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공지된 바와 같이, 필름 또는 적층체가 두 롤 사이를 지나갈 때, 필름 또는 적층체가 가로 방향으로 증분 방식으로 연신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각 증분식 연신 롤러(또는 "링 롤러")는 원통형 롤러(37)와, 그 원통형 롤러(37)의 외주에 고정된 다수의 환형 링(38)을 포함한다. 환형 링(38)은 일반적으로 원통형 롤러(37)의 길이를 따라 균일하게 이격되어 있다. 하지만, 연신 롤러(30)의 링은 연신 롤러(31)의 링으로부터 편위되어 있어, 상기 링들이 도 2에 도시된 방식으로 함께 맞물릴 때, 연신 롤러(30)의 링(또한 이 링 사이의 홈)은 연신 롤러(31)의 링(또한 이 링 사이의 홈)과 치합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층 시트가 연신 롤러(30, 31) 사이를 지나갈 때 상기 적층 시트가 가로 방향(즉, 도 1의 기계 방향에 수직)으로 증분 방식으로 연신된다.
예시적인 일 구체예에서, 링 롤러의 샤프트(shaft)는 두 기계 측판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하부 샤프트는 고정 베어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부 샤프트는 수직으로 활주가능한 부재의 베어링에 위치될 수 있다. 활주가능 부재는 스크류를 조절함으로써 작동가능한 웨지(wedge)형 요소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웨지를 외부나 내부로 나사식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수직으로 활주가능한 부재가 각각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하여, 상부 치합형 롤 및 하부 치합형 롤의 기어형 치형부가 서로 맞물리거나 풀어지게 된다. 측면 프레임에 장착된 마이크로미터가 치합형 롤의 맞물림 깊이를 나타내도록 작동될 수 있다.
연신되는 재료에 의해 가해지는 상향력에 대항하도록 활주가능한 부재를 조 절 웨지에 대하여 하부 치합 위치에 유지시는 데 공기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실린더는 또한 후퇴될 수 있어, 치합형 장치를 통해 또는 작동시 모든 기계 닙 지점을 개방시킬 수 있는 안전 회로와 함께 재료를 배출시키도록 상부 치합형 롤 및 하부 치합형 롤이 서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CD 치합형 요소들은 종종 맞물림 깊이가 클 수 있기 때문에, 상부 샤프트가 상승 또는 하강 중일 때 두 치합형 롤의 샤프트를 평행하게 유지시키는 수단이 장치에 포함될 필요가 있다. 이는, 한 치합형 롤의 치형부가 다른 한 치합형 롤의 치형부 사이에 항상 맞물리고 서로 맞물린 치형부 사이의 물리적 접촉으로 인해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이러한 평행 운동은 랙과 기어 장치에 의해 달성되며, 정지 기어 랙은 수직으로 활주가능한 부재와 병렬로 각 측면 프레임에 부착된다. 샤프트는 측면 프레임을 가로지르며, 각 수직으로 활주가능한 부재의 베어링에서 작동된다. 기어가 이 샤프트의 각 단부에 위치되고, 랙과 맞물려 작동되어 소망하는 평행 운동을 발생시킨다.
CD 치합형 연신기의 구동 장치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마찰 계수가 높은 재료를 치합식으로 연신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부 치합형 롤 및 하부 치합형 롤을 모두 작동시킨다. 작은 기계 방향 오정렬이나 구동 장치의 미끄러짐은 아무런 문제점을 유발시키지 않기 때문에, 구동 장치는 백래쉬 방지형일 필요가 없다. 이에 대한 이유는 CD 치합형 요소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파악될 것이다.
도 2의 실시예에서, CD 치합형 요소는 고형 재료로부터 기계로 가공될 수 있지만, 2가지 다른 직경을 가진 디스크를 교번하여 적층시킨 형태로서 가장 잘 나타 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치합형 디스크는 직경이 6인치(15.24cm)이고, 두께가 0.031인치(0.07874cm)이며, 가장자리에서 완전한 반경을 구비한다. 치합형 디스크를 분리하는 스페이서 디스크는 직경이 5½인치(13.97cm)이고, 두께가 0.069인치(0.17526cm)이다. 이러한 구성의 두 롤은 0.231인치(0.58674cm)까지 치합될 수 있으며, 이 때 재료에 대한 간극으로서 0.019인치(0.04826cm)가 모든 면에 형성되고, 이 CD 치합형 요소 구성은 0.100인치(0.254cm)의 피치를 갖는다. 선택적으로는, CD 치합형 롤러가 롤러의 원주 주위로 연장된 일련의 환형 링을 구비한 원통형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 설명한 CD 치합형 롤의 맞물림 깊이가 더 클 수도 있지만, 상기 맞물림 깊이는 약 0.025인치(0.0635cm) 내지 약 0.1인치(0.254cm) 사이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약 0.04인치(0.1016cm) 내지 약 0.075인치(0.1905cm) 사이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맞물림 깊이로 인해 필름에 대한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CD 치합형 롤러를 통과한 후에, 필름 또는 합성물은 MDO 연신 유닛을 포함한 제2연신 스테이션(29)을 통과하게 된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MDO 연신 장비는 다소 복잡할 수는 있지만 원리는 간단하다. 필름 또는 필름/직물 합성물은 두 쌍의 롤러의 닙을 통과한다. 하지만, 제2쌍의 롤러가 제1쌍의 롤러보다 더 빠른 속도로 회전함으로써, 필름 또는 필름/직물 복합체가 제2쌍의 롤러에 의해 끌어 당겨져 기계 방향으로 연신된다.
MDO 연신 유닛의 일부 롤러 조립체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롤이 가열되어 연 신 공정을 보조하게 된다. 선택적으로는, 별도의 가열된 롤이 포함되어 적어도 하나의 롤러 조립체가 3개의 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 제1롤은 필름 또는 복합체를 닙에 제공하기 이전에 가열하는 내부에서 가열되는 롤이다. 이러한 가열된 제1롤은 롤러 조립체의 기타 다른 롤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는다. 제2롤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로 코팅되어, 금속인 제3롤과 손상없이 니핑(nipping)(즉, 물리적 접촉)이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금속인 제3롤과 같이 서로 접촉하고 있는 두 롤 중 단지 하나만이 구동된다. 하지만, 구동되지 않은 롤도 두 롤간의 접촉으로 인해 회전하게 된다. 두 롤 모두가 서로 접촉하여서 구동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이러한 배치에는 좀 더 정밀한 속도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MDO 연신 유닛에 제2 연신 스테이션(29)이 구비된다. MDO 연신 유닛의 제1롤러 조립체는 가열된 롤(50), 코팅된 제2롤(51) 및 금속 제3롤(52)(피동)을 포함한다. 필름 또는 복합체는 롤(51, 52) 사이의 닙을 통과한다. 도 1에 도시된 MDO 연신 유닛의 제2롤러 조립체는 제1롤러 조립체와 유사하지만, 제2롤러 조립체는 단지 코팅된 롤(61)과 피동 금속 롤(62)(가열된 롤을 포함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필름 또는 복합체는 롤(61, 62) 사이의 닙을 통과한다.
작동 중에, MDO 연신 유닛의 두 닙은 밀폐된다. 필름 또는 복합체는 롤(51, 52) 사이에 그리고 롤(61, 62) 사이에 니핑된다. 하지만, 롤(61, 62)은 롤(51, 52)보다 더 빠른 원주 속도로 구동되어, 필름 또는 복합체가 두 닙 사이의 공기 간극에서 연신된다. 통상적인 공기 간극의 크기는 약 0.005인치(0.0127cm) 내지 약 0.550인치(1.397cm) 사이이거나, 약 0.005인치(0.0127cm) 내지 약 0.050인치 (0.127cm) 사이이다.
MDO 연신 유닛에서, "MDO 연신 비율"은 제1쌍의 롤의 속도에 대한 제2쌍의 롤의 속도 비율로 정의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MDO 연신 비율은 롤(52)의 속도에 대한 롤(62)의 속도 비율이다. 일 구체예에서, MDO 연신 비율은 약 1.1:1과 약 4:1 사이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약 2:1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MDO 연신 비율로 인해 필름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MDO 연신 유닛으로부터 배출되고 나면, 필름 또는 복합체는 초기 크기보다 더 길고 더 얇은 형태가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와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미공성 필름층과 적어도 하나의 직물층을 포함하는 적층 시트를 제조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닙으로 압출되는 필름 조성물은 적층 시트가 연신될 때, 미공들이 충전제 입자들의 위치에서 필름층 중에 형성되도록, 충전제 입자 (포어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직물층은 예컨대 스테이플사 또는 스펀-본드 필라멘트사의 부직 섬유 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D 치합형 연신에 의해 제공되는 증분식 연신은 옷감처럼 보이는 복합체에 매우 부드러운 섬유상 마감을 제공해준다. 이러한 증분식 또는 치합형 연신의 결과, 탁월한 호흡성과 액체-배리어 특성 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옷감과 같은 질감의 복합적인 특성이 얻어진다.
필름 및 복합체의 재료
미공성 필름의 제조방법은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이 필름은 무기 충전제의 미분화된 입자 (예컨대 탄산칼슘 또는 다른 염류)를 적절한 폴리머내에 혼합시켜, 충전 폴리머 필름을 형성한 다음 이 필름을 연신시켜 미공성과 호흡성을 부 여함으로써 제조된다.
미공성 필름은 흔히 그것에 존재하는 포어의 크기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0.01 내지 0.25 마이크론 범위의 균등한 직경을 갖는 포어들은 비습윤성(non-wetting) 액체의 흐름을 방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포어의 빈도가 충분히 높으면, 그 재료는 액체인 물에 대한 효과적인 배리어를 유지하는 한편, 물의 합리적인 통과는 허여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라, 필름 (필름/직물 복합체의 필름층과 필름 적층체의 개별적인 필름층들을 포함함)은 하나 이상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관능화 폴리올레핀 또는 그의 조합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한가지 적절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폴리에틸렌의 블렌드 (예컨대 LLDPE와 LDPE와의 블렌드) 및 포어 개시제를 포함한다. 사용되는 각각의 폴리에틸렌의 종류와 사용량 은 크게는, 필름이나 적층체의 목적하는 용도에 의해 좌우된다. 일 구체예에서는 포어 개시제 약 40% 내지 약 60%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필름의 한가지 특정 배합물은 먼저, 다음을 포함하여 구성된 조성물을 용융 블렌딩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약 35 내지 약 45 중량%;
(b)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약 3 내지 약 10 중량%;
(c) 탄산칼슘 충전 입자 (예컨대 표면이 지방산으로 코팅된 탄산칼슘) 약 40 내지 약 60 중량%; 및
(d) 안료, 가공 보조제, 항산화제 및 폴리머 개질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임의의 첨가제 약 1 내지 약 10 중량%.
상기 조성물은 두개의 롤러(상술한 롤러(24) 및 (25)와 같은) 사이의 닙 내로 압출되어 약 550 fpm 내지 약 1200 fpm의 속도 (또는 더 빠른 속도로)로, 드로우 레조넌스 없이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결과적인 필름층은 약 10 내지 약 40 gsm (g/m2), 특히 약 20 내지 약 30 gsm의 기초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이어서, 얻어진 필름을 상술한 방식으로 연신시킬 수 있다.
한가지 특정 필름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약 51 중량%, 평균 입경이 약 1 마이크론인 탄산칼슘 충전제 입자 약 44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은 소망되는 미적 및 물리적 특성 (드레이프성이나 표면 감촉과 같은 특성을 포함해서)을 비롯해서, 필름 또는 적층체의 소망되는 용도에 따라 LLDPE와 LDPE가 각각 적량식 혼합된 블렌드로서 제공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는 뻣뻣함을 증가시키기 위해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시키는 것이 요망될 수 있다. 필름 색상 (백색도)은 안료를 하나 이상 포함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백색 필름은 이산화티타늄을 예컨대 약 4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함으로써 제공된다. 예컨대, 1,1-디플루오로에틸렌과의 1,1,2,3,3,3-헥사플루오로 코폴리머, 1-프로펜과 같이, 플루오로카본 폴리머와 같은 가공 보조제 역시 약 0.1 내지 약 0.5 중량%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Irganox 1010 및 Irgafos 168과 같은 항산화제 역시 약 500 내지 약 4000 ppm의 총 농도로 첨가가능하다.
비록 상술한 필름 조성물들을 이용해서 상기 연신법에 의해 미공성 필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필름층 (예컨대 상기한 복합체로부터 형성된 필름층을 포함함)을 직물층이나 다른 필름층에 접착시킴으로써 복합체 구조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필름층을 직물층이나 다른 부가적인 필름층에 접착시키기에 앞서 연신시킴으로써 미공성으로 만들 수 있다. 또는, 상술한 조성물의 비연신 (unstretched) 필름층을 직물층이나 다른 필름층에 접착시키고 결과적으로 얻어진 복합체 구조를 연신시킴으로써 필름층(들)에게 미공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직물층을 압출물과 함께 두개의 롤러 (전술한 롤러(24) 및 (25)와 같은 롤러) 사이의 닙 내로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필름층의 폴리머 조성물을 직물층 위로 압출시킨다. 얻어진 적층 시트를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연신시켜 미공성 필름층과 직물층을 갖는 적층 시트를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가지 적층체 구조의 직물층들은 약 10 내지 약 30 gsm, 더욱 구체적으로 약 15 내지 약 25 gsm의 기초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적층체의 WVTR은 하루 1 평망미터 당 약 500 그램을 초과할 수 있고 적층체의 하이드로헤드는 약 60 cm를 초과할 수 있다 (적층체 중에 누출물을 생성시키는 컬럼수의 최소 높이로서 측정). 일 구체예에서, WVTR은 하루 1 평방미터당 약 1000 그램을 초과할 수 있으며, 심지어는 하루 1 평방미터당 약 3000 그램을 초과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두가지 이상의 압출물을 두개의 롤러 (전술한 롤러 (24) 및 (25)와 같은 롤러) 상의 닙에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두개 이상의 필름층의 적층체를 형성하기 위해 폴리머 조성물을 공압출시킨다. 결과적으로 얻어진 적층 시트를 이어서 상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신시켜 두개 이상의 미공성 필름층을 갖는 적층 시트를 제공한다.
적절한 직물층은 접착되거나 달리 웹 구조로 압밀된, 천연 또는 합성 섬유 또는 필라멘트를 포함한다. 적절한 직물에는 스펀멜트, 스펀레이스, 카드화, 열접착 또는 접착제 접착된 직물 웹과 같은 부직포 및 직포가 포함된다. 사용가능한 예시적인 직물에는 스펀본드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폴리에틸렌 및 카드화, 열접착된 폴리프로필렌이 포함된다.
테스트 방법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필름과 적층체의 특성은 여러가지 방식으로 테스트될 수 있다. 예컨대, 수증기 투과율 ("WVTR")은 ASTM E 96, "재료의 수증기투과율의 표준 테스트법: Standard Test Methods for Water Vapor Transmission of Materials")에 따라 측정가능하다. 컵형 용기에 기지량의 데시컨트를 샘플과 함께 넣어서 유지링과 가스켓에 의해 안전하게 죈다. 이 어셈블리를 일정한 온도 (40℃)와 습도 (75% RH)의 챔버에 5시간 동안 넣어 둔다. 데시컨트에 의해 흡수된 수분의 양을 중력계로 측정해서 샘플의 WVTR(단위 g/m2·24시간)을 평가하는데 이용한다.
ASTM E 1294-89: "자동화 액체 다공성측정기를 이용한 막 필터의 포어 크기 특성의 표준 테스트법: Standard Test Method for Pore Size Characteristics of Membrane Filters using Automated Liquid Porosimeter"). 이 방법은 포어 직경을 계산하는데 Washburn 방정식을 사용하며 표면 장력에 의한 모세관 융기에 따라 좌우되는 액체 디스플레이스먼트 기술을 이용하여 미공성 필름과 적층 시트의 MPS (마이크론 단위)를 측정한다.
핀홀의 갯수는 클로페이 핀홀 테스트법 (HCTM-02)를 이용하여 측정하는데 이 방법은 코팅 및 적층된 직물의 알코올 용액 (식용 적색 염료 1.0 ml가 섞인 70% 이소프로필 알코올 100 ml)에 대한 침투저항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 테스트는 약 6 평방 피트의 복합체를 샘플의 필름쪽 면상의 72 ml 용액에 노출시킴으로써 수행한다. 샘플의 표시 구획이 커버되도록 용액을 붓으로 골고루 펴바른다. 이 용액을 10분간 방치한 다음 냅킨으로 살짝 두드려 건조시킨다. 샘플을 뒤집어서 염료 마크의 수를 센다. 테스트된 구획 내의 핀홀의 갯수를 보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적층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한쌍의 CD 치합형 환형 롤러의 개략도이고;
도 3은 CD 치합형 롤러에 의해 연신된 필름의 SEM 현미경 사진이고;
도 4는 MDO 연신 유닛에 의해 연신된 필름의 SEM 현미경 사진이고;
도 5는 CD 치합형 롤러에 의해 연신된 다음 MD 치합형 롤러에 의해 연신된 필름의 SEM 현미경 사진이고;
도 6은 CD 치합형 롤러에 의해 연신된 다음 MDO 연신 롤러에 의해 연신된 필 름의 SEM 현미경 사진이고;
도 7은 MDO 유닛에 의해 연신된 A/B/A 필름 적층체의 표면의 SEM 현미경 사진이고;
도 8은 MDO 유닛에 의해 연신된 A/B/A 필름 적층체의 단면의 SEM 현미경 사진이고;
도 9는 CD 치합형 롤러에 의해 연신된 다음 MDO 연신 유닛에 의해 연신된 A/B/A 필름 적층체의 표면의 SEM 현미경 사진이고;
도 10은 CD 치합형 롤러에 의해 연신된 다음 MDO 연신 유닛에 의해 연신된 A/B/A 필름 적층체의 단면의 SEM 현미경 사진이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필름 적층체 및 필름/직물 적층체의 한가지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이 실시예들과 추가의 상세한 설명에 비추어 볼 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단지 당업자에게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본 발명의 원리를 어떻게 적용할지를 보여주기 위해 제시된 것이다. 이들 실시예는 따라서 본 발명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함이 아니다.
다음의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한 것과 유사한 장치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실시예 1에서는 미공성 필름만이 형성되고 적층체는 형성되지 않았으므로, 롤러(32) 상의 부직포(33)의 웹과 주조 스테이션 닙 롤러(24) 및 (25)는 사용되지 않았다.
실시예 1:
50% 탄산칼슘, 47% 폴리에틸렌 수지 및 3% 이산화티타늄을 함유하는 필름 조성물을 표준 주조 필름 장비와 공정 조건을 사용하여 압출시켰다. 45 g/m2 필름층이 제조되도록 압출기 속도와 라인 속도를 설정하였다. 이것이 필름 1A이다. 필름 1B는 필름 1A를 한쌍의 CD 치합형 링 롤러를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만들었다. 링 롤러에는 매 0.100 인치마다 링이 구비되어 있다. 도 3은 필름 1B의 현미경 사진이다. 필름 1C는 필름 1A를 MDO 연신 유닛만을 사용하여 통과시킴으로써 제조하였다. 도 4는 필름 1C의 현미경 사진이다. 필름 1D는 CD 및 MDO 유닛 두가지를 모두 사용해서 필름 1A를 연신시킴으로써 만든 것이다. 1D의 최종 필름 두께는 약 2:1의 MDO 연신율에서 필름의 기초중량이 약 23 g/m2이 되도록 하는 것이었다. 도 6은 필름 1D의 현미경 사진이다. 비교를 위해, 필름 1A를 CD 치합형 유닛으로, 이어서 MD (머신 방향) 치합형 유닛으로도 연신시켜, 필름 1E를 만들었다. 도 5는 필름 1E의 현미경 사진이다.
표 1에 나타낸 물리적 특성 결과는 CD 치합형 롤러 상의 맞물림 깊이와 상기 명시된 MDO 유닛 내외부의 속도비에서의 상기 필름들의 일반적인 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이다. 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CD 치합형 롤러에 의해 연신된 다음 MDO 연신 유닛에 의해 연신된 필름의 특성은 다른 어떠한 경우보다 더 탁월하다. 도 3-6의 현미경 사진은 또한 본 발명의 연신 방법이 다른 필름과 비교할 때 높은 MVTR (또는 WVTR)의 원인이 되는, 직경이 작고 둥근 포어들을 많은 수로 제공함을 입증해주는 것이다. 표 1에서 보고된 "기류 (air flow)" 측정은 고압의 공기를 필름에 적용한 다음 단기간(5초) 동안 필름을 통과하는 기류를 측정함으로써 얻어진 값이다.
샘플 설명 기초 중량 (g/m2) 핀홀 갯수 (#/m2) 기류 (ml/분 @ 90 psi) MVTR (g/m2/1일)
1A-전구체 45 0 0 100
1B-CD 치합형 단독 35 0 1128 1800
1C-MDO 단독 25 0 1511 2500
1D-CD 치합형 & MDO 31 0 6030 3400
1E-CD 치합형 & MD 치합형 23 0 4400 3000
실시예 2:
탄산칼슘 50%, 폴리에틸렌 수지 47%, 및 이산화티타늄 3%를 함유하는 필름 조성물을 표준 주조 필름 장비와 공정 조건을 이용해서 압출시켰다. 20 g/m2 열점 접착시킨, 카드와, 폴리프로필렌 웹을 풀린 상태로부터 주조 스테이션 닙으로 방사하여 그것을 공정 수행 조건 중에 용융 필름 스트림과 접촉시켰다. 40 g/m2 필름층이 직물에 부가되도록 압출기 속도와 라인 속도를 설정하였다. 이로부터 적층체 2A가 만들어졌다. 이어서 필름/직물 적층체 2A를 CD 치합형 링 롤러를 통해 통과시켜 적층체 2B를 만들었다. 링 롤러는 매 0.100 인치마다 링을 구비하고 있다. 적층체 2C는 적층체 2A를 MDO 연신 유닛만을 통과시킴으로써 만들었다. 적층체 2D는 적층체 2A를 CD와 MDO 유닛 두가지 모두로 연신시킴으로써 얻었다. 비교를 위해, 적층체 2A를 CD 연신 유닛과 이어서 MD 연신 유닛으로도 연신시켜, 적층체 2E를 만들었다. 표 2에 나타낸 물리적 특성 결과는 CD 치합형 롤러 상의 맞물림 깊이와 MDO 유 닛 내외부의 속도비에 따라 좌우되는 이들 프로토타잎들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데이터를 나타내는 것이다. 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CD 치합형 롤러에 의해 연신된 후 MDO 연신 유닛에 의해 연신된 필름의 특성은 다른 어떠한 경우보다 더 탁월하다.
샘플 설명 기초 중량 (g/m2) 핀홀 갯수 (#/m2) 기류 (ml/분 @ 90 psi) MVTR (g/m2/1일)
2A-전구체 60 0 0 50
2B-CD 치합형 단독 53 0 414 1100
2C-MDO 단독 49 0 611 1200
2D-CD 치합형 & MDO 46 0 1780 3169
2E-CD 치합형 & MD 치합형 51 0 872 1743
실시예 3
표준 주조 필름 장비 및 공정 조건을 이용하여 3개의 필름층 (A/B/A)을 포함하고 기초 중량이 85 g/m2인 공압출된 필름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제1층 및 제3층 폴리머 조성물은 57% 탄산칼슘과 43% 폴리에틸렌 수지를 함유하였고, 기초 중량은 30 g/m2이었다. 중간층의 폴리머 조성물은 탄산칼슘 54%와 폴리에틸렌 수지 46%를 함유하였으며 기초 중량은 25 g/m2이었다. 어떠한 층도 이산화티타늄은 함유하지 않았다. 이것을 필름 3A로 표시하였다. 필름 3B는 필름 3A를 MDO 연신 유닛으로만 통과시킴으로써 만들었다. 연신율 2.5 및 연신 갭 5 mil을 이용하여, MDO 연신을 215F에서 수행하였다. 도 7은 필름 3B 표면의 현미경 사진이고 도 8은 필름 3B 단면의 현미경 사진이다. 필름 3C는 필름 #3를 CD 연신 유닛으로 연신시킨 후 MDO 유 닛을 이용하여 연신시킴으로써 만들었다. 맞물림 깊이 0.040"를 이용해서 75F에서 CD 치합형 연신을 수행하였다. 연신율 2.0 및 연신 갭 5 mil을 이용하여 215F에서 MDO 연신시켰다. 도 9는 필름 3C 표면의 현미경 사진이고 도 10은 필름 3C의 단면의 현미경 사진이다.
필름 3A, 3B 및 3C의 물리적 특성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CD 치합형 롤러에 의해 연신된 후 MDO 연신 유닛에 의해 연신된 필름의 특성은 MDO 유닛으로만 연신된 필름보다 우수하다. 도 7 내지 도 10의 현미경 사진 역시, 본 발명의 연신 방법이 다른 필름과 비교할 때 높은 MVTR (또는 WVTR)의 원인이 되는, 직경이 작고 둥근 포어들을 많은 수로 제공함을 입증해주는 것이다.
샘플 설명 기초 중량 (g/m2) 핀홀 갯수 (#/m2) MVTR (g/m2/1일)
3A-전구체 85 0 50
3B-MDO 단독 36 0 2850
3C-CD 치합형 & MDO 33 0 9946


Claims (24)

  1. (a) 포어 개시제 (pore initiator)를 포함하는 제1 필름층을 제2 층에 접착시켜 적층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b)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머신 방향 (cross-machine direction; CD) 치합형 연신기와 적어도 하나의 머신 방향 오리엔테이션 (machine direction orientation; MDO) 연신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적층 시트를 연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 필름층과 제2 층을 포함하는 미공성 적층 시트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은 직물층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은 포어 개시제를 포함하는 또 다른 필름층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시트는 적어도 하나의 머신 방향 오리엔테이션 (MDO) 연신 유닛에 의하여 연신되기 직전 또는 직후에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머신 방향 (CD) 치합형 연신기에 의하여 연신되는 것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머신 방향 (CD) 치합형 연신기에 있어서 그 맞물림 깊이는 0.025 내지 0.1 인치이고, 상기 머신 방향 오리엔테이션 (MDO)에 있어서 머신 방향 오리엔테이션 (MDO) 연신율은 1.1:1 내지 4:1인 것인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층은 열가소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필름층을 직물층에 접착시키는 상기 접착 단계는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을 상기 직물층 위에 압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상기 직물층과 함께 주조 롤 닙 스테이션에 압출되고, 여기서 상기 주조 롤 닙 스테이션은 그 사이에 닙을 갖는 한쌍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조성물이고,
    - 적어도 하나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관능화 폴리올레핀과,
    - 포어 개시제로서 탄산칼슘
    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조성물이고,
    -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틸렌과,
    - 탄산칼슘 40 내지 60 중량%와,
    - 안료, 가공 보조제, 항산화제 및 폴리머 개질제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첨가제 1 내지 10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시트의 제1 필름층의 기초 중량은 10 내지 40 gsm인 것인 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층은 폴리올레핀계 부직 재료인 것인 방법.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층은 스펀본드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폴리에틸렌 및 카드화된, 열접착 폴리프로필렌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층의 기초 중량은 10 내지 30 gsm인 것인 방법.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시트는 하루 1 평방 미터당 500 그램을 초과하는 수증기 투과율과 60 cm를 초과하는 하이드로헤드를 갖는 것인 방법.
  15. (a) 포어 개시제를 포함하는 폴리머 조성물로부터 열가소성 필름을 압출시키는 단계와,
    (b)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머신 방향 (CD) 치합형 연신기와 적어도 하나의 머신 방향 오리엔테이션 (MDO) 연신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압출된 열가소성 필름을 연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미공성 필름의 제조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미공성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머신 방향 오리엔테이션 (MDO) 연신 유닛에 의하여 연신되기 직전 또는 직후에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머신 방향 (CD) 치합형 연신기에 의하여 연신되는 것인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머신 방향 (CD) 치합형 연신기에 있어서 그 맞물림 깊이는 0.025 내지 0.1 인치이고, 상기 머신 방향 오리엔테이션 (MDO)에 있어서 머신 방향 오리엔테이션 (MDO) 연신율은 1.1:1 내지 4:1인 것인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조성물이고,
    - 적어도 하나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관능화 폴리올레핀과,
    - 포어 개시제로서 탄산칼슘
    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조성물이고,
    - 적어도 하나의 폴리에틸렌과,
    - 탄산칼슘 40 내지 60 중량%와,
    - 안료, 가공 보조제, 항산화제 및 폴리머 개질제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첨가제 1 내지 10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된 열가소성 필름의 기초 중량은 10 내지 40 gsm인 것인 방법.
  21. (a) 제1 필름층을 제2 필름층에 접착시켜 적층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상기 제1 필름층은 포어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인 단계와,
    (b)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 머신 방향 (CD) 치합형 연신기와 적어도 하나의 머신 방향 오리엔테이션 (MDO) 연신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적층 시트를 연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필름층을 포함하는 미공성 적층 시트의 제조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필름층은 열가소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제1 필름층을 제2 필름층에 접착시키는 상기 단계는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들을 공압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조성물이고,
    - 적어도 하나의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관능화 폴리올레핀과,
    - 포어 개시제로서 탄산칼슘
    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24. 크로스 머신 방향 (CD) 치합형 연신기와 머신 방향 오리엔테이션 (MDO) 연신 유닛이 필름 또는 필름/직물 적층체가 상기 머신 방향 오리엔테이션 (MDO) 연신 유닛에 의하여 연신되기 직전 또는 직후에 상기 크로스 머신 방향 (CD) 치합형 연신기에 의하여 연신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인, 크로스 머신 방향 (CD) 치합형 연신기와 머신 방향 오리엔테이션 (MDO) 연신 유닛을 포함하는 필름 또는 필름/직물 적층체를 연신하기 위한 장치.
KR1020047012949A 2002-02-22 2003-02-24 필름, 적층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008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5887102P 2002-02-22 2002-02-22
US60/358,871 2002-02-22
PCT/US2003/005640 WO2003072338A1 (en) 2002-02-22 2003-02-24 Film, laminated sheet and methods of mak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413A KR20040086413A (ko) 2004-10-08
KR100900838B1 true KR100900838B1 (ko) 2009-06-04

Family

ID=27766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949A KR100900838B1 (ko) 2002-02-22 2003-02-24 필름, 적층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6811643B2 (ko)
EP (1) EP1478502B2 (ko)
JP (1) JP4231790B2 (ko)
KR (1) KR100900838B1 (ko)
CN (1) CN100418734C (ko)
AR (1) AR038590A1 (ko)
AT (1) ATE530328T1 (ko)
AU (1) AU2003219878B2 (ko)
BR (1) BR0307869B1 (ko)
CO (1) CO5611181A2 (ko)
ES (1) ES2376307T3 (ko)
HU (1) HU227459B1 (ko)
MX (1) MXPA04008122A (ko)
PL (1) PL207635B1 (ko)
RU (1) RU2319615C2 (ko)
TW (1) TWI227196B (ko)
WO (1) WO20030723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6760B2 (en) * 2010-11-16 2017-02-14 The Glad Products Company Ribbed film structures with voiding agent created visual characteristics
AR027330A1 (es) * 2000-02-09 2003-03-26 Itw Mima Films Llc Un metodo para fabricar pelicula estirada de plastico
TWI331087B (en) * 2003-03-06 2010-10-01 Sumitomo Chemical Co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porous polyolefin film and laminated porous polyolefin film
US20050023729A1 (en) * 2003-07-31 2005-02-03 Smith Leslie E. Formation of wide paint film parts
DE10348483A1 (de) * 2003-10-14 2005-06-02 Tesa Ag Alterungsbeständige weiche Wickelfolie aus Polyolefin
CN1889905A (zh) * 2003-12-08 2007-01-03 屈德加薄膜产品股份有限公司 能量差复合材料及其制造方法
US7442332B2 (en) * 2004-05-04 2008-10-28 Clopay Plastic Products Compan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niformly stretching thermoplastic film and products produced thereby
US20060063454A1 (en) * 2004-09-17 2006-03-23 Chung Tze W P Method of producing low cost elastic web
ITBO20050114A1 (it) * 2005-03-02 2005-06-01 Gd Spa Unita' di goffratura di un nastro di materiale di incarto
US20070084542A1 (en) * 2005-10-19 2007-04-19 Durakon Industries,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forming stretched paint films and articles formed using same
BRPI0707178A2 (pt) * 2006-01-27 2011-04-26 Clopay Plastic Prod Co materiais respiráveis e respectivos métodos de formação
US9072633B2 (en) 2006-06-07 2015-07-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iaxially stretchable outer cover for an absorbent article
ATE514547T1 (de) * 2006-12-29 2011-07-1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Folien, daraus hergestellte artikel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GB2445738A (en) * 2007-01-16 2008-07-23 Lab901 Ltd Microfluidic device
US8377024B2 (en) 2007-11-19 2013-02-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uter cover for a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NZ586914A (en) 2008-01-24 2012-07-27 Clopay Plastic Prod Co Permanent set elastomeric film and laminate for improving the fit and comfort of garments
MX2011007569A (es) 2009-01-15 2011-08-04 Procter & Gamble Cubierta exterior reusable para un articulo absorbente.
JP5591826B2 (ja) 2009-01-15 2014-09-1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固定サブシステムを有する再利用可能な着用可能吸収性物品
US20100179502A1 (en) 2009-01-15 2010-07-15 Donald Carroll Roe Reusable Wearable Absorbent Articles With Anchoring Subsystems
RU2519957C2 (ru) 2009-01-15 2014-06-20 Дзе Проктер Энд Гэмбл Компани Двухкомпонентные носимые абсорбирующие изделия
US9387138B2 (en) 2009-01-15 2016-07-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usable outer covers for wearable absorbent articles
US8333748B2 (en) 2009-03-05 2012-12-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uter cover for a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US9034230B2 (en) 2009-08-03 2015-05-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aking an elastomeric apertured web
US8808263B2 (en) 2010-01-14 2014-08-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 of commerce including two-piece wearable absorbent article
US20110223486A1 (en) * 2010-03-12 2011-09-15 Xiaomin Zhang Biaxially oriented porous membranes, composit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US8440587B2 (en) 2010-04-23 2013-05-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producing color change in a web substrate
US8343411B2 (en) 2010-04-23 2013-01-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producing a web substrate having activated color regions in deformed regions
US8637430B2 (en) 2010-04-23 2014-0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b substrate having activated color regions in topical additive regions
US8975210B2 (en) 2010-04-23 2015-03-10 The Procter & Gamble Co. Web substrate having activated color regions in deformed regions
US8652114B2 (en) 2010-05-21 2014-02-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nsert with advantageous fastener configurations and end stiffness characteristics for two-piece wearable absorbent article
US8585667B2 (en) 2010-05-21 2013-11-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nsert with advantageous fastener configurations and end stiffness characteristics for two-piece wearable absorbent article
US8652115B2 (en) 2010-05-21 2014-02-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nsert with advantageous fastener configurations and end stiffness characteristics for two-piece wearable absorbent article
US20120022491A1 (en) 2010-07-22 2012-01-26 Donald Carroll Roe Flexible Reusable Outer Covers For Disposable Absorbent Inserts
CN103025289A (zh) 2010-07-22 2013-04-03 宝洁公司 用于吸收制品的外覆盖件
US8460597B2 (en) 2011-03-22 2013-06-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producing color change in a substrate
DK2720862T3 (en) 2011-06-17 2016-09-19 Fiberweb Inc Vapor permeable, water impervious TOTAL MAJOR MULTI-LAYER ARTICLE
EP2723568B1 (en) 2011-06-23 2017-09-27 Fiberweb, LLC Vapor permeable, substantially water impermeable multilayer article
US10369769B2 (en) 2011-06-23 2019-08-06 Fiberweb, Inc. Vapor-permeable, substantially water-impermeable multilayer article
US9765459B2 (en) 2011-06-24 2017-09-19 Fiberweb, Llc Vapor-permeable, substantially water-impermeable multilayer article
US9078792B2 (en) 2011-06-30 2015-07-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wo-piece wear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dvantageous front waist region and landing zone configuration
EP2719518B1 (de) * 2011-09-02 2016-06-08 Rkw Se Verfahren zum Recken einer Folienbahn
US8932273B2 (en) 2012-06-29 2015-01-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insert for two-piece wearable absorbent article
US9469091B2 (en) 2012-08-08 2016-10-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king extensible web laminates
KR20150091302A (ko) * 2012-12-04 2015-08-10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연신 필름의 제조방법
US9060905B2 (en) 2013-03-08 2015-06-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bsorbent articles
US8926579B2 (en) 2013-03-08 2015-01-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stening zone configurations for outer covers of absorbent articles
US8936586B2 (en) 2013-03-08 2015-01-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rgonomic grasping aids for reusable pull-on outer covers
US9078789B2 (en) 2013-03-08 2015-07-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uter covers and disposable absorbent inserts for pants
JP6550383B2 (ja) * 2013-10-16 2019-07-24 オーシーヴィー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キャピタ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可撓性不織マット
US9492332B2 (en) 2014-05-13 2016-11-15 Clopay Plastic Products Company, Inc. Breathable and microporous thin thermoplastic film
CN107920926A (zh) 2015-07-10 2018-04-17 比瑞全球有限公司 微孔透气膜和制造该微孔透气膜的方法
CA3004264C (en) * 2015-11-05 2020-09-22 Berry Global, Inc. Polymeric films and methods for making polymeric films
US11472085B2 (en) 2016-02-17 2022-10-18 Berry Plastics Corporation Gas-permeable barrier film and method of making the gas-permeable barrier film
US11220085B2 (en) * 2017-08-31 2022-01-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pertured elastic film laminates
CN107658132A (zh) * 2017-10-23 2018-02-02 安徽江威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高比能脉冲电容器元件热定型工艺
US10894345B2 (en) 2017-10-30 2021-01-19 Velcro BVBA Linear actuator leverage
US10556369B2 (en) 2017-10-30 2020-02-11 Velcro BVBA Modular molding assembly
US11110632B2 (en) * 2017-10-30 2021-09-07 Velcro Ip Holdings Llc Roll-molding
CN108819279B (zh) * 2018-06-04 2021-06-29 四川大学 一种高孔隙率聚丙烯微孔膜及其制备方法
MX2020013803A (es) * 2018-06-29 2021-03-09 Berry Global Inc Laminados polidimensionales con capacidad de estirarse.
US11584111B2 (en) 2018-11-05 2023-02-21 Windmoeller & Hoelscher Kg Breathable thermoplastic film with reduced shrinka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35943A1 (en) 2001-08-13 2003-02-20 Jones Gregory K. Multilayer microporous films and methods
US20030181120A1 (en) 2002-03-22 2003-09-25 Pai-Chuan Wu Breathable and elastic composite material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0593A (en) * 1972-06-06 1975-03-11 Minnesota Mining & Mfg Stretch-oriented porous films and preparation and use thereof
CA1075870A (en) * 1975-03-31 1980-04-22 Eckhard C.A. Schwarz Process and apparatus for stretching a non-woven web of an orientable polymeric material
US4153751A (en) 1975-03-31 1979-05-08 Biax-Fiberfilm Corporation Process for stretching an impregnated film of material and the microporous product produced thereby
US4223059A (en) * 1975-03-31 1980-09-16 Biax Fiberfilm Corporation Process and product thereof for stretching a non-woven web of an orientable polymeric fiber
DE2641533A1 (de) * 1975-09-17 1977-03-31 Biax Fiberfilm Corp Verfahren zum strecken eines thermoplastischen materials
US4101625A (en) * 1977-01-10 1978-07-18 Fmc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corrugated molecularly oriented plastic strapping
CA1123566A (en) * 1977-02-09 1982-05-18 Eckhard C.A. Schwarz Process and apparatus for stretching a tubularly-formed sheet of a thermoplastic material and the product produced thereby
DE2812263A1 (de) * 1977-03-22 1978-09-28 Biax Fiberfilm Corp Verfahren zum strecken eines thermoplastischen materials
US4350655A (en) * 1977-05-05 1982-09-21 Biax Fiberfilm Process for producing highly porous thermoplastic films
US4353945A (en) * 1978-11-02 1982-10-12 Johnson & Johnson Flocked, foam-coated, water vapor permeable, bacterial barrier
US4626574A (en) 1982-07-21 1986-12-02 Clopay Corporation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film and method of making
JPS6083824A (ja) * 1983-10-14 1985-05-13 Nippon Petrochem Co Ltd 易分繊性一軸延伸配向体の製造方法
JPS61209129A (ja) * 1985-03-01 1986-09-17 Tokuyama Soda Co Ltd 部分的に微多孔性を有するシ−トの製造方法
US5254111A (en) * 1990-02-12 1993-10-19 Clopay Plastic Products Company, Inc. Barrier cuff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US5202173A (en) * 1990-02-12 1993-04-13 Clopay Corporation Ultra soft cloth-like embossed plastic film having post-embossed stretched areas
US5196247A (en) * 1991-03-01 1993-03-23 Clopay Corporation Compostable polymeric composite sheet and method of making or composting same
JP2647262B2 (ja) * 1991-08-07 1997-08-27 クロペイ コーポレイション 生物分解性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5382461B1 (en) * 1993-03-12 1998-11-03 Clopay Plastic Prod Co Extrusion laminate of incrementally stretched nonwoven fibrous web and thermoplastic film and method
US5422172A (en) * 1993-08-11 1995-06-06 Clopay Plastic Products Company, Inc. Elastic laminated sheet of an incrementally stretched nonwoven fibrous web and elastomeric film and method
CA2116081C (en) 1993-12-17 2005-07-26 Ann Louise Mccormack Breathable, cloth-like film/nonwoven composite
JPH09206331A (ja) * 1996-02-02 1997-08-12 Kao Corp 多孔性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US5865926A (en) * 1996-02-15 1999-02-02 Clopay Plastic Products Company, Inc. Method of making a cloth-like microporous laminate of a nonwoven fibrous web and thermoplastic film having air and moisture vapor permeabilities with liquid-barrier properties
US6258308B1 (en) * 1996-07-31 2001-07-10 Exxon Chemical Patents Inc. Process for adjusting WVTR and other properties of a polyolefin film
US5851937A (en) * 1997-03-27 1998-12-22 Clopay Plastic Products Company, Inc. Cloth-like totally biodegradable and/or compostable composite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932497A (en) 1997-09-15 1999-08-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reathable elastic film and laminate
US5910225A (en) * 1997-10-16 1999-06-08 Chicopee, Inc. Film and nonwoven laminate and method
CA2313115A1 (en) * 1998-01-23 1999-07-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making a strong and soft nonwoven web
US20020074691A1 (en) 1999-09-14 2002-06-20 Robert M Mortellite High speed method of making plastic film and nonwoven laminates
US6013151A (en) * 1998-05-15 2000-01-11 Clopay Plastic Products Company, Inc. High speed method of making microporous film products
US6656581B2 (en) 1998-05-15 2003-12-02 Clopay Plastic Products Company, Inc. Incrementally stretched non-embossed films having high moisture vapor transmission rates (MVTRs)
US6265045B1 (en) * 1998-07-29 2001-07-24 Clopay Plastic Products Compan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in-hole prevention in zone laminates
US6479154B1 (en) 1999-11-01 2002-11-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extruded, elastomeric breathable films, process for making sam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AU2301001A (en) * 2000-01-10 2001-07-24 Clopay Plastic Products Company, Inc. Antibacterial microporous film and method of making
TW552196B (en) 2001-07-20 2003-09-11 Clopay Corp Laminated sheet and method of mak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35943A1 (en) 2001-08-13 2003-02-20 Jones Gregory K. Multilayer microporous films and methods
US20030181120A1 (en) 2002-03-22 2003-09-25 Pai-Chuan Wu Breathable and elastic composite material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227459B1 (en) 2011-06-28
EP1478502B1 (en) 2011-10-26
HUP0500045A2 (hu) 2005-09-28
MXPA04008122A (es) 2004-11-26
ES2376307T3 (es) 2012-03-12
CO5611181A2 (es) 2006-02-28
TW200303816A (en) 2003-09-16
ATE530328T1 (de) 2011-11-15
RU2319615C2 (ru) 2008-03-20
JP4231790B2 (ja) 2009-03-04
AR038590A1 (es) 2005-01-19
AU2003219878A1 (en) 2003-09-09
CN1638945A (zh) 2005-07-13
BR0307869A (pt) 2004-12-07
JP2005518290A (ja) 2005-06-23
PL207635B1 (pl) 2011-01-31
BR0307869B1 (pt) 2014-10-21
US20030213549A1 (en) 2003-11-20
PL370403A1 (en) 2005-05-30
RU2004128241A (ru) 2005-05-20
TWI227196B (en) 2005-02-01
WO2003072338A1 (en) 2003-09-04
EP1478502A1 (en) 2004-11-24
AU2003219878B2 (en) 2007-03-29
EP1478502B2 (en) 2015-01-14
CN100418734C (zh) 2008-09-17
US6811643B2 (en) 2004-11-02
KR20040086413A (ko) 2004-10-08
EP1478502A4 (en) 201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0838B1 (ko) 필름, 적층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US6818083B2 (en) Laminated sheet and method of making same
AU2002319600A1 (en) Laminated sheet and method of making same
EP1078013B1 (en) High speed method of making microporous film products
US7629042B2 (en) Multilayer microporous films and methods
KR100577726B1 (ko) 가소성 필름 및 부직 라미네이트의 고속 제조 방법
EP1216135B1 (en) High speed method of making plastic film and nonwoven lamin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