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353B1 - 사용자의 선택 후보가 되는 콘텐츠의 검색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선택 후보가 되는 콘텐츠의 검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353B1
KR100898353B1 KR1020077013974A KR20077013974A KR100898353B1 KR 100898353 B1 KR100898353 B1 KR 100898353B1 KR 1020077013974 A KR1020077013974 A KR 1020077013974A KR 20077013974 A KR20077013974 A KR 20077013974A KR 100898353 B1 KR100898353 B1 KR 100898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ent
user
group
posi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3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6460A (ko
Inventor
도모히코 다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퀘어.에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퀘어.에닉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퀘어.에닉스
Publication of KR20070086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6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사용자의 성질에 관한 정보와 게임 등의 콘텐츠의 성질에 관한 정보가 모두 2 이상의 파라미터를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동일한 좌표상에 배치되어 있다. 콘텐츠는 복수의 콘텐츠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다. 사용자로부터 정보 검색의 요구를 접수하면, 목적으로 하는 콘텐츠의 조건이 정해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의 성질에 따른 위치와 각각의 콘텐츠 그룹의 중심 위치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목적으로 하는 콘텐츠의 조건이 정해져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위치 및 목적으로서 선택된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연결하는 선분과, 각각의 콘텐츠 그룹의 중심 위치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성질 또는 목적으로 한 콘텐츠와 가까운 그룹에 포함되는 콘텐츠뿐만 아니라, 비교적 가까운 그룹에 포함되는 콘텐츠가 구한 거리에 따라 선택 후보로서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사용자 기호성, 콘텐츠 검색, 근사도, 콘텐츠 추천

Description

사용자의 선택 후보가 되는 콘텐츠의 검색 방법{METHOD FOR SEARCHING CONTENT SERVING AS A USER SELECTION CANDIDATE}
본 발명은, 게임 소프트웨어 등의 콘텐츠를 휴대전화 등의 단말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선택할 때에, 단말의 선택 화면에 표시되어 사용자의 선택 후보가 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베이스나 네트워크 등에 존재하는 대량의 데이터 중에서 어떤 목적에 합치하는 정보를 특정하고 싶은 경우, 일반적으로, 키워드 등을 지정하여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 엔진이 이용된다. 그러나, 검색 엔진에 있어서 키워드를 지정하는 것만으로는 대량의 정보가 검색되어 버려 사용자가 바라는 정보를 압축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효율적인 정보의 압축을 행하는 방법으로서, 검색을 행하는 사용자의 행동 이력이나 취향성 등의 성질을 이용한 검색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은, 사용자의 프로파일과 검색 대상이 되는 정보를 각각 좌표치를 갖는 벡터로서 파악하고, 벡터의 유사도로부터 정보의 압축을 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행동 패턴이나 취향성을 반영한 정보를 특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특허 문헌 1의 기술을 이용하면, 예컨대 서적 판매 사이트에서 사용자가 서적을 검색했을 때에, 사용자의 구매 이력을 반영한 추천 서적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 시할 수 있게 된다.
특허 문헌 2는, 사용자의 취향성을 반영한 데이터베이스를 형성하고, 이러한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된 정보를 정보의 압축에 반영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성에 가까운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한다. 특허 문헌 2의 기술을 이용하면, 정보 검색의 초보자나 검색 대상이 되는 정보에 관한 지식이 부족한 사용자라도 사용자의 희망에 가까운 검색 결과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사용자의 행동 이력이나 취향성을 이용한 검색 방법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에 신속하게 도달하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업무 목적이나 학습 목적과 같은 사용자의 목적이 명확한 경우에는, 이러한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정보를 특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게임 소프트웨어와 같이 오락용 콘텐츠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목적이 항상 명확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효율만을 우선하여 상기와 같은 검색 방법을 적용하면 오히려 오락성을 잃게 될 가능성이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남는 시간 등에 휴대전화를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게임을 즐기고 싶을 때, 사용자는 특별히 정해진 게임을 하는 것은 목적으로 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사용자는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게임 소프트웨어 중에서 자기 마음에 들만한 게임 소프트웨어를 추천해주길 바라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서버는 다운로드 가능한 게임 소프트웨어를 사용자의 기호성에 관한 데이터와 기계적으로 매칭시켜 매칭 결과가 상위인 게임 소프트웨어에서부터 차례로 추천하여도 좋다. 그러나, 사용자 자신의 목적이 막연한 상황이라면, 같은 경향의 게임 소프트 웨어가 나열되는 것보다도 약간 기호성에는 맞지 않지만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게임 소프트웨어도 추천되는 쪽이, 추천되는 게임 소프트웨어의 의외성이 높아져 오락성이 증가한다.
사용자가 특정 목적을 갖고 콘텐츠를 검색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서버는 사용자의 목적에 가까운 것에서부터 차례로 추천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목적에 가장 가까운 카테고리의 콘텐츠는 아니지만, 사용자의 기호성에 어떠한 관련이 있는 카테고리의 콘텐츠를 추천하여도 좋다. 이 경우, 사용자가 지금까지 자기의 기호성으로서 깨닫지 못했던 콘텐츠에 도달할 수 있게 되고, 추천되는 콘텐츠의 의외성이 높아져 오락성이 증가한다.
이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사용자의 검색 목적이나 기호성에 따라 추천하는 콘텐츠를 압축하면서도, 사용자의 기호성에 관련된 범위에서 직접 검색 목적이나, 기호성의 범위 이외로부터도 콘텐츠를 선택하여 추천함으로써, 사용자는 의외성 및 오락성이 있는 정보 검색을 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마치 목적지를 향할 때에 흥미가 끌리는 가게가 있으면 들러서 윈도쇼핑을 즐기듯이 의외성 및 오락성이 있는 정보 검색을 즐길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65808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03-58571호 공보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유용한 콘텐츠를 추천하는 경우에 있어서, 휴대전화 등의 사용자 단말의 선택 화면에 표시되어 사용자의 선택 후보가 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검색시키기 위한 정보 검색 방법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특히 사용자 단말로부터 게임 소프트웨어 등의 오락성이 높은 콘텐츠에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 후보가 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는데 적합한 정보 검색 방법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구를 접수한 컴퓨터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어 사용자의 선택 후보가 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정보 검색 방법이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사용자의 성질을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기억하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수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콘텐츠의 분류 정보를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동일한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기억하는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한 각각의 그룹의 대표 위치의 위치 정보인 그룹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상기 그룹의 위치 정보와의 근사도 연산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근사도 연산에 있어서 소정의 근사도보다 가깝다고 판정된 그룹 또는 근사도가 소정의 순위 이내의 그룹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2 이상의 그룹으로부터 각각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를 특정하는 단계에서 특정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선택 후보로서 표시하는 표시 데이터를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표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1 관점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은 사용자가 목적으로 하는 콘텐츠를 특정하지 않고서 수동적으로 콘텐츠를 서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적용된다. 제1 관점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에서는, 사용자의 기호성 등의 성질과 가장 가까운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뿐만 아니라, 비교적 가까운 그룹 중에서도 몇 개의 콘텐츠가 특정되며, 사용자의 선택 후보가 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가 검색된다. 선택 정보로서 관련된 정보가 제시되는 콘텐츠는 검색 대상이 되는 콘텐츠를 미리 분류한 복수 그룹의 각각의 대표 위치와 사용자의 성질에 따른 위치와의 근사도 연산에 의해 압축된다. 모든 콘텐츠를 대상으로 근사도 연산을 행하면 컴퓨터 시스템에 걸리는 부하가 과대해질 가능성이 있지만, 콘텐츠 그룹마다의 근사도 연산에 의해 컴퓨터 시스템에 걸리는 부하가 경감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구를 접수한 컴퓨터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어 사용자의 선택 후보가 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정보 검색 방법이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사용자의 성질을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기억하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수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검색 정보를 접수하고, 이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콘텐츠 정보 기억부를 검색하며, 검색 조건에 합치한 하나의 콘텐츠를 지표 콘텐츠로서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콘텐츠의 분류 정보를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동일한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기억하는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지표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한 각각의 그룹의 대표 위치의 위치 정보인 그룹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지표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연결하는 선분의 위치 정보와, 상기 그룹의 위치 정보와의 근사도 연산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근사도 연산에 있어서 소정의 근사도보다 가깝다고 판정된 그룹 또는 근사도가 소정의 순위 이내의 그룹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지표 콘텐츠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를 특정하는 단계에서 특정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선택 후보로서 표시하는 표시 데이터를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표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2 관점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은 사용자가 목적으로 하는 콘텐츠를 특정하여 능동적으로 콘텐츠를 서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적용된다. 제2 관점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정보에 따라 검색한 콘텐츠가 가장 가까운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기호성 등의 성질에 따른 위치를 시점으로 하고, 검색한 콘텐츠를 종점으로 하는 경로와 가까운 그룹 중에서도 몇 개의 콘텐츠가 특정되며, 사용자의 선택 후보가 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가 검색된다. 선택 정보로서 관련된 정보가 제시되는 콘텐츠는 검색 대상이 되는 콘텐츠를 미리 분류한 복수 그룹의 각각의 대표 위치와 상기한 경로와의 근사도 연산에 의해 압축된다. 모든 콘텐츠를 대상으로 근사도 연산을 행하면 컴퓨터 시스템에 걸리는 부하가 과대해질 가능성이 있지만, 콘텐츠 그룹마다의 근사도 연산에 의해 컴퓨터 시스템에 걸리는 부하가 경감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구를 접수한 컴퓨터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어 사용자의 선택 후보가 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정보 검색 방법이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사용자의 성질을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기억하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수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검색 정보를 접수하고, 이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콘텐츠 정보 기억부를 검색하며, 상기 콘텐츠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한 그룹 중, 검색 조건에 합치하는 하나의 그룹을 지표 그룹으로서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콘텐츠의 분류 정보를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동일한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기억하는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지표 그룹의 대표 위치의 위치 정보인 지표 그룹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한 각각의 그룹의 대표 위치의 위치 정보인 그룹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지표 그룹의 위치 정보를 연결하는 선분의 위치 정보와, 상기 그룹의 위치 정보와의 근사도 연산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근사도 연산에 있어서 소정의 근사도보다 가깝다고 판정된 그룹 또는 근사도가 소정의 순위 이내의 그룹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지표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를 특정하는 단계에서 특정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선택 후보로서 표시하는 표시 데이터를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표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3 관점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은 제2 관점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목적으로 하는 콘텐츠를 특정하여 능동적으로 콘텐츠를 서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적용된다. 제3 관점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정보에 따라 검색한 콘텐츠가 가장 가까운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기호성 등의 성질에 따른 위치를 시점으로 하고, 검색한 그룹을 종점으로 하는 경로의 위치에 가까운 그룹 중에서도 몇 개의 콘텐츠가 특정되며, 사용자의 선택 후보가 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가 검색된다. 제2 관점에 따른 정보 검색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선택 정보로서 관련된 정보가 제시되는 콘텐츠는 검색 대상이 되는 콘텐츠를 미리 분류한 복수 그룹의 각각의 대표 위치와 상기한 경로와의 근사도 연산에 의해 압축된다. 모든 콘텐츠를 대상으로 근사도 연산을 행하면 컴퓨터 시스템에 걸리는 부하가 과대해질 가능성이 있지만, 콘텐츠 그룹마다의 근사도 연산에 의해 컴퓨터 시스템에 걸리는 부하가 경감된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구를 접수한 컴퓨터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어 사용자의 선택 후보가 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정보 검색 방법이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사용자의 성질을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기억하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수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검색 정보를 접수하고, 이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콘텐츠 정보 기억부를 검색하며, 상기 콘텐츠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한 그룹 중, 검색 조건에 합치하는 하나의 그룹을 지표 그룹으로서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지표 그룹에 포함되는 콘텐츠 중에서 하나의 콘텐츠를 지표 콘텐츠로서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콘텐츠의 분류 정보를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동일한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기억하는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지표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부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한 각각의 그룹의 대표 위치의 위치 정보인 그룹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지표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연결하는 선분의 위치 정보와, 상기 그룹의 위치 정보와의 근사도 연산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근사도 연산에 있어서 소정의 근사도보다 가깝다고 판정된 그룹 또는 근사도가 소정의 순위 이내의 그룹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특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지표 콘텐츠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를 특정하는 단계에서 특정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선택 후보로서 표시하는 표시 데이터를 작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표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4 관점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은 제2 및 제3 관점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목적으로 하는 콘텐츠를 특정하여 능동적으로 콘텐츠를 서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적용된다. 제3 관점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정보에 따라 검색한 콘텐츠가 가장 가까운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기호성 등의 성질에 따른 위치를 시점으로 하고, 검색한 그룹에 속하는 소정의 콘텐츠를 종점으로 하는 경로의 위치에 가까운 그룹 중에서도 몇 개의 콘텐츠가 특정되며, 사용자의 선택 후보가 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가 검색된다. 제2 관점에 따른 정보 검색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선택 정보로서 관련된 정보가 제시되는 콘텐츠는 검색 대상이 되는 콘텐츠를 미리 분류한 복수 그룹의 각각의 대표 위치와 상기한 경로와의 근사도 연산에 의해 압축된다. 모든 콘텐츠를 대상으로 근사도 연산을 행하면 컴퓨터 시스템에 걸리는 부하가 과대해질 가능성이 있지만, 콘텐츠 그룹마다의 근사도 연산에 의해 컴퓨터 시스템에 걸리는 부하가 경감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 관점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의 각 단계를 세그먼트로서 포함하는 정보 검색 프로그램도 각각 본 발명의 범위의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관점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에 각각 대응한 정보 검색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도 각각 본 발명의 범위의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관점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에 각각 대응한 정보 검색 프로그램을 각각 기억하는 프로그램 기억 수단과, 이 프로그램 기억 수단에 기억된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도 각각 본 발명의 범위의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시스템의 데이터 기억 수단은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 검색 방법에서 적용되고 있던 상기 사용자 정보 기억부와 상기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부(및 상기 콘텐츠 정보 기억부)를 적어도 포함한다. 이들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처리 수단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상기 표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 관점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에 있어서의 각 단계 실행하는 수단을 하드웨어로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도 각각 본 발명의 범위의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시스템은 각각에 대응하는 정보 검색 수단에서 적용되고 있던 상기 사용자 정보 기억부 및 상기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부를 각각 하드웨어에 의해 구성되는 사용자 정보 기억 수단 및 상기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 수단으로서 구비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에서는, 사용자의 기호성 등의 성질에 따라 선택 후보가 되는 콘텐츠를 압축하면서, 사용자의 성질에 관련된 범위와는 다른 범위로부터도 콘텐츠를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의 선택 화면에 선택 후보로서 표시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이 정보 검색 방법은 사용자가 게임 소프트웨어 등의 오락성이 높은 콘텐츠에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하는 경우에 있어서, 특히 적합한 것으로서 적용되게 된다. 게임 소프트웨어 등의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마치 목적지를 향할 때에 흥미가 끌리는 가게가 있으면 들러서 윈도쇼핑을 즐기듯이 의외성 및 오락성이 높은 정보 검색을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4 관점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에서는, 사용자의 기호성 등의 성질과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에 대응한 콘텐츠를 따라 선택 후보가 되는 콘텐츠를 압축하면서, 사용자의 성질에 관련된 범위와는 다른 범위로부터도 콘텐츠를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의 선택 화면에 선택 후보로서 표시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이들 정보 검색 방법은 사용자가 게임 소프트웨어 등의 오락성이 높은 콘텐츠에 네트워크를 통해 액세스하는 경우에 있어서, 특히 적합한 것으로서 적용되게 된다. 게임 소프트웨어 등의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마치 목적지를 향할 때에 흥미가 끌리는 가게가 있으면 들러서 윈도쇼핑을 즐기듯이 의외성 및 오락성이 높은 정보 검색을 즐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검색 시스템의 이용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검색 시스템이 구비된 콘텐츠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와 콘텐츠를 좌표상에 배치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콘텐츠들을 그룹화한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에서 사용자의 위치와 콘텐츠 그룹의 중심의 근사도 연산을 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에서 사용자의 위치와 콘텐츠 그룹의 중심의 근사도 연산 결과로부터 선택 화면에 표시하는 콘텐츠를 사용자의 기호성에 가까운 콘텐츠로부터 선택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에서 사용자의 위치와 콘텐츠 그룹의 중심의 근사도 연산 결과로부터 선택 화면에 표시하는 콘텐츠를 인기 있는 콘텐츠로부터 선택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에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콘텐츠 선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제2 실시 형태에서 사용자의 위치와 목적물의 위치를 선분으로 연결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제2 실시 형태에서 사용자와 목적물을 연결하는 선분과 콘텐츠 그룹의 위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제2 실시 형태에서 사용자와 목적물을 연결하는 선분의 위치와 콘텐츠 그룹의 중심의 근사도 연산을 행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제2 실시 형태에서 사용자의 위치와 콘텐츠 그룹의 중심의 근사도 연산 결과로부터 선택 화면에 표시하는 콘텐츠를 사용자의 기호성에 가까운 콘텐츠로부터 선택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제2 실시 형태에서 사용자의 위치와 콘텐츠 그룹의 중심의 근사도 연산 결과로부터 선택 화면에 표시하는 콘텐츠를 사용자로부터 목적물로의 경로에 가까운 콘텐츠로부터 선택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제2 실시 형태에서 사용자의 위치와 콘텐츠 그룹의 중심의 근사도 연산 결과로부터 선택 화면에 표시하는 콘텐츠를 인기 있는 콘텐츠로부터 선택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제2 실시 형태에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콘텐츠 선택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의 제1 실시 형태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검색 방법의 제2 실시 형태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휴대전화 또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콘텐츠 서버 에 액세스하여 게임 소프트웨어를 검색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러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일례일 뿐이며, 본 발명에 이용되는 단말 장치나 콘텐츠 등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검색 시스템의 이용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이용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검색 시스템은, 게임 소프트웨어 등을 제공하는 사업자가 운영하는 콘텐츠 서버(10)에 구비되어 있다. 사용자는 휴대전화 등의 휴대형 단말 장치(20)로부터 패킷 통신망(2) 및 인터넷(1)을 통해 콘텐츠 서버(10)에 액세스하여 소정의 조건에 의해 선택된 선택 후보의 리스트를 콘텐츠 서버(10)로부터 취득한다. 사용자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거치형 단말 장치(30)로부터 인터넷(1)을 통해 콘텐츠 서버(10)에 액세스하고, 소정의 조건에 의해 선택된 선택 후보의 리스트를 콘텐츠 서버(10)로부터 취득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단말 장치(20)나 단말 장치(30)에서 표시된 리스트로부터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하면, 해당하는 게임 소프트웨어가 콘텐츠 서버(10)로부터 단말 장치(20)나 단말 장치(30)에 다운로드된다.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검색 시스템이 구비된 콘텐츠 서버(1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콘텐츠 서버(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11), 프로그램 실행시의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RAM(12), 입력 제어나 출력 제어 등의 하드웨어 제어를 위한 기본적인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13), 인터넷(1)과 접속하고, 단말 장치(20) 또는 단말 장치(3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NIC(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및 HDD(15)를 구비한다.
HDD(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정보 검색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정보 검색 프로그램 저장부(151), 후술하는 사용자 정보를 기억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152), 단말 장치(20) 또는 단말 장치(30)에 제공하는 게임 소프트웨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게임 정보 저장부(153), 게임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그 자체를 저장하는 게임 프로그램 저장부(154)를 구비한다. 콘텐츠 서버(10)는, 기록 매체(16)에 기록된 정보 검색 프로그램을 정보 판독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판독하여 정보 저장 프로그램 저장부(151)에 저장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 장치(20) 또는 단말 장치(30)로부터 게임 소프트웨어의 선택 화면의 표시 요구를 송신하면, 콘텐츠 서버(10)의 NIC(14)는 인터넷(1)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표시 요구를 접수한다. 선택 화면의 표시 요구에는 사용자 ID 등의 사용자를 고유하게 식별 가능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콘텐츠 서버(10)에 있어서, CPU(11)는 ROM(13)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을 기동하고, 게임 소프트웨어를 선택하여 단말 장치(20) 또는 단말 장치(30)에 표시하는 화면을 작성하기 위해서, 정보 검색 프로그램 저장부(151)로부터 정보 검색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RAM(12)에 읽어들인다. CPU(11)는, RAM(12)에 읽어들인 정보 검색 프로그램을 RAM(12)을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하여 실행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조건 지정의 유무에 따라 이하 중 어느 하나의 처리를 실행한다.
사용자가 표시하는 게임 소프트웨어에 대해서 아무런 조건을 지정하지 않는 경우는, CPU(11)는, 단말 장치(20) 또는 단말 장치(30)로부터 접수한 표시 요구에 포함되는 사용자 ID 등을 키로하여 사용자 정보 저장부(152)를 검색하고, 해당하는 사용자의 기호성 등을 반영한 좌표상의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사용자 정보 저장부(152)에는 각각의 사용자의 기호성 등을 반영하여 예컨대 쉬운 게임을 좋아하는지 즐거운 게임을 좋아하는지 라고 하는 기준을 2 이상의 좌표축으로서 설정된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예컨대 사용자가 과거에 액세스한 게임 소프트웨어의 내용으로부터 사용자별 프로파일을 작성하고, 사용자의 조작 경향에 따른 값을 설정할 수 있다.
CPU(11)는 게임 정보 저장부(153)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기호성 등에 합치하는 게임 소프트웨어를 검색하고, 소정의 조건에 따라 선택 화면에 표시하는 대상을 특정한다. 게임 정보 저장부(153)에는 게임 프로그램 저장부(154)에 저장된 게임 소프트웨어에 대해서 사용자 정보와 동일한 좌표축을 이용한 각각의 게임 소프트웨어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위치 정보의 기준이 쉬운 게임을 좋아하는지 즐거운 게임을 좋아하는지 라고 하는 기준이라면, 게임 소프트웨어의 위치 정보의 기준은 어느 정도 쉬운 게임인지 어느 정도 즐거운 게임인지 라고 하는 기준이 된다. 게임 소프트웨어는 좌표상의 위치가 가까운 것끼리 그룹화되어 있고, 각 그룹에 속하는 게임 소프트웨어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가 게임 정보 저장부(153)에 기억되어 있다. 그룹마다 게임 소프트웨어의 좌표상의 위치의 중심(重心) 위치도 미리 구해져 게임 정보 저장부(153)에 기억되어 있다.
게임 정보 저장부(153)로부터 사용자의 기호성 등에 합치한 게임 소프트웨어를 선택할 때에는, 표시 요구를 보낸 사용자의 좌표상의 위치 정보와 각각의 게임 소프트웨어의 좌표상의 위치 정보의 근사도 연산이 실행된다. 근사도 연산은 2개의 좌표상의 위치의 거리 계산, 좌표상의 원점을 기준으로 한 각각의 좌표상의 위치의 내적(內積) 계산 등에 의해 행할 수 있지만, 근사도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이들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표시하는 게임 소프트웨어에 대해서 어떠한 조건을 지정한 경우는, CPU(11)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수한 표시 요구에 포함되는 사용자 ID 등을 키로하여 사용자 정보 저장부(152)를 검색하고, 해당하는 사용자의 기호성 등을 반영한 좌표상의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CPU(11)는 게임 정보 저장부(153)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지정하는 검색 조건에 합치한 게임 소프트웨어를 검색하여 지표가 되는 콘텐츠를 특정하고, 이 지표가 되는 콘텐츠의 좌표상의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CPU(11)는 사용자의 좌표상의 위치와 지표가 되는 콘텐츠의 좌표상의 위치를 연결하는 선분을 그어서 선분의 좌표상의 위치를 특정한다.
CPU(11)는 게임 정보 저장부(153)를 참조하여 상기 선분의 위치와 콘텐츠의 위치와의 근사도 연산에 의해 지표 콘텐츠 등의 사용자가 지정한 검색 조건에 가장 합치하는 게임 소프트웨어 이외에 사용자의 기호성이나 목적물에 관련성이 있다고 생각되는 게임 소프트웨어를 선택 화면에 표시하는 대상으로서 특정한다. 근사도 연산은 좌표상의 콘텐츠의 위치와 선분상의 위치의 거리 계산, 좌표상의 원점을 기준으로 한 좌표상의 콘텐츠의 위치와 선분상의 위치의 내적 계산 등에 의해 행할 수 있지만, 근사도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이들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느 쪽의 경우에 있어서도, 사용자의 기호성 등에 합치한 몇 개의 게임 소프트웨어가 특정되면, CPU(11)는 이들 게임 소프트웨어의 타이틀 등을 표시한 선택 화면의 데이터를 작성하여 NIC(14)로부터 인터넷(1) 등을 통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단말 장치(20) 또는 단말 장치(30)에 송출한다. 단말 장치(20) 또는 단말 장치(30)의 표시 장치에는, 송출된 데이터에 따른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단말 장치(20) 또는 단말 장치(30)에서 선택 화면을 확인하여 그 중에서 하나의 타이틀을 선택하면, 이 게임 소프트웨어의 타이틀에 관한 정보가 콘텐츠 서버(10)에 송신된다. 단말 장치(20) 또는 단말 장치(30)로부터 송신된 타이틀에 관한 정보를 접수하면, 콘텐츠 서버(10)의 CPU(11)는 게임 프로그램 저장부(154)로부터 해당하는 게임 소프트웨어를 읽어내어 NIC(14)로부터 인터넷(1) 등을 통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단말 장치(20) 또는 단말 장치(30)에 송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표시하는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근사도 연산의 구체예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및 각 콘텐츠의 좌표상의 위치가 정해지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가 그룹화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5 내지 도 8은 사용자가 대상을 특정하지 않고서 수동적으로 콘텐츠를 서치하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근사도 연산과 콘텐츠의 특정에 관한 구체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 내지 도 15는 사용자가 대상을 특정하여 능동적으로 콘텐츠를 서치하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근사도 연산과 콘텐츠의 특정에 관한 구체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검색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기호성 등을 반영한 위치와 콘텐츠(이 예에서는 게임 소프트웨어로 함)의 분류상의 위치를 동일한 좌표상에 배치한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표는 사용자(P)의 위치를 나타내고, 그 밖의 점은 각각의 콘텐츠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P)의 좌표상의 위치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152)에 저장되고, 각 콘텐츠의 위치에 관한 정보는 게임 정보 저장부(153)에 저장되어 있다.
좌표축이 되는 파라미터 X, 파라미터 Y에는 예컨대 각각의 게임 소프트웨어의 「쉬운 정도」「즐거운 정도」 등의 콘텐츠의 성질을 도수로 나타낸 파라미터가 이용된다. 이 예에서는, 2개의 파라미터로 이루어진 2차원의 평면상에 각각의 콘텐츠가 그 성질에 따라 배치되지만, 파라미터의 수는 2에 한정되지 않고, 3 이상의 파라미터를 설치하여 2차원 이상의 공간에 각각의 콘텐츠를 배치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사용자(P)에 대해서도 동일한 좌표축인 파라미터 X, 파라미터 Y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기호성을 나타내는 위치로서 좌표상의 위치(xp, yp)가 정해진다. 이러한 사용자의 기호성은 미리 사용자의 등록 정보 등으로부터 작성하여 설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의 프로파일을 수집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콘텐츠의 경향을 분석하여 설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사용자 정보 저장부(152)는 사용자의 기호성을 나타내는 위치를 미리 저장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CPU(11)는 선택 화면의 송신 요구를 수신했을 때에 이 요구에 대응한 사용자의 등록 정보나 수집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이 사용자의 좌표상의 위치를 특정하면 좋 다.
사용자나 콘텐츠의 위치를 정하는 좌표축에 이용되는 파라미터는 상기와 같은 사용자의 기호성 및 콘텐츠의 성질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어도 좋고, 사용자의 속성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어도 좋다. 예컨대, 연령이나 이용 빈도 등의 속성을 파라미터로 이용한 경우, 사용자의 위치는 각각의 연령이나 이용 빈도에 따라 결정되고, 콘텐츠의 위치는 각각의 콘텐츠를 좋아하는 연령이나 이용 빈도 등의 경향값으로부터 결정된다.
사용자(P)의 기호성 등에 합치하는 콘텐츠의 선택은 이러한 사용자의 위치와 콘텐츠의 위치의 근사도 계산에 의해 행해진다. 이러한 근사도 계산에서는, 도 4와 같이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있는 콘텐츠들을 그룹화한 각 그룹의 중심 위치가 대표값으로서 이용된다. 사용자(P)의 기호성 등에 합치하는 콘텐츠의 계산을 모든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여 행하면, 콘텐츠의 수가 증가함으로써 콘텐츠 서버(10)에 걸리는 연산 처리의 부하가 많아지기 때문이다. 콘텐츠들을 그룹화한 각 그룹의 중심 위치를 대표 위치로서 이용하여 근사도 계산을 행함으로써 콘텐츠 서버(10)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사용자(P)의 위치와 콘텐츠의 위치를 전제로 하여 제1 실시 형태로서, 사용자가 검색 조건을 지정하지 않고서 수동적으로 콘텐츠를 서치하는 경우의 근사도 계산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말 장치(20) 또는 단말 장치(30)로부터 검색 조건이 지정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의 선택 화면의 표시 요구를 접수하면, CPU(11)는 사용자 ID 등을 키로하여 표시 요구를 행한 사용자를 사용자(P)로 특정하고, 사용자(P)의 위치 정보(xp, yp)를 사용자 정보 저장부(152)로부터 취득한다.
CPU(11)는 콘텐츠의 그룹 각각의 중심의 위치 정보, 예컨대 그룹 A에 대해서 는 중심 A의 위치 정보(xa, ya)를 게임 정보 저장부(153)로부터 취득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A 내지 그룹 F까지의 각각의 중심인 중심 A∼F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면, 사용자(P)의 위치와 중심 A∼F의 위치와의 각각에 대한 근사도 연산을 실행한다. 근사도 연산은 사용자(P)의 위치 정보와 중심 A∼F 각각의 위치 정보로부터 사용자(P)의 위치와 중심 A∼F 각각의 위치와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선택 후보로서 표시하는 콘텐츠로서, 사용자의 기호성과 가까운, 즉, 사용자(P)의 위치에 가까운 콘텐츠가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CPU(11)는 중심 A∼F 중 사용자의 위치 P와 가장 거리가 짧은 위치에 있는 중심 D를 선택하고, 그룹 D에 포함되는 콘텐츠인 게임 D1∼D7을 선택 후보로서 표시되는 콘텐츠로서 특정한다. CPU(11)는 그룹 D에 포함되는 콘텐츠의 전부를 선택 후보로서 표시되는 콘텐츠로서 특정하여도 좋다. 단말 장치(20) 또는 단말 장치(3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수에 제한이 있는 것도 적지 않기 때문에, CPU(11)는 사용자의 기호성에 따라 가까운 순, 또는 일반적으로 인기가 높은 순 등의 순위에 따라 그룹 D에 포함되는 콘텐츠 중의 일부를 선택하여 선택 후보로서 표시되는 콘텐츠로서 특정하여도 좋다.
사용자의 기호성에 따라 가까운 순으로 콘텐츠를 특정하기 위해서는 그룹 D에 포함되는 모든 콘텐츠에 대해서 각 콘텐츠의 위치와 사용자(P)의 위치와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필요가 있다. 인기가 높은 순으로 콘텐츠를 특정하는 경우는, 예컨대 각각의 콘텐츠로의 액세스 빈도를 카운트한 랭킹을 게임 정보 저장부(153)에 기억시켜 두고, CPU(11)는 그 랭킹을 참조하여 선택 후보로서 표시되는 콘텐츠를 특정하는 것으로 하면 좋다.
CPU(11), 중심 D 이외에 사용자(P)의 위치로부터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는 중심 F, 및 그 중심 F에 연이은 중심 B에 각각 대응하는 그룹 F, 그룹 B에 포함되는 콘텐츠도 선택 후보로서 표시하는 콘텐츠에 추가한다. 이들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는 계산상으로는 사용자의 기호성에 가장 합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사용자에게 의외성을 부여하는 동시에, 비교적 가까운 범위에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흥미를 끌 가능성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기호에 가장 가까운 그룹은 아니지만 사용자의 기호에 비교적 가깝다고 판단되는 그룹들에 대해서는, 그룹 내의 콘텐츠 건수를 기준으로 몇개 그룹만을 정하여 선택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고, 중심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거리보다 짧은 위치에 있는 모든 그룹이 선택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들 조건을 조합하여 중심의 위치가 사용자의 위치와 소정의 거리 이내에 있는 그룹 중에서 소정 수 이내의 그룹이 선택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CPU(11)는, 사용자의 기호에 비교적 가까운 것으로서 선택된 그룹에 대해서는, 그 그룹에 포함되는 모든 콘텐츠를, 선택 후보로서 표시되는 콘텐츠로서 특정할 필요는 없다. CPU(11)는 사용자의 기호에 비교적 가까운 것으로서 선택된 그룹으로부터 대표적인 것을 몇 개 선택하여, 선택 후보로서 표시되는 콘텐츠로서 특정하면 좋다.
도 6의 예에서는, 그룹 F, 그룹 B에 포함되는 콘텐츠 중, 사용자(P)의 위치 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콘텐츠가 특정되어 있다. 즉, CPU(11)는 사용자(P)의 위치와, 그룹 F, 그룹 B에 포함되는 모든 콘텐츠의 위치와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거리가 짧은 콘텐츠로부터 소정의 건수(1건이라도 좋음)의 콘텐츠를, 또는 사용자(P)의 위치로부터의 거리가 소정 거리보다도 짧은 콘텐츠를, 선택 후보로서 표시되는 콘텐츠로서 특정하고 있다.
도 7의 예에서는, 그룹 F, 그룹 B에 포함되는 콘텐츠 중, 사용자(P)의 위치와의 사이의 거리에 관계없이 인기 있는 것에서부터 차례로 콘텐츠가 특정되어 있다. 여기서도, 각각의 콘텐츠로의 액세스 빈도를 카운트한 랭킹을 게임 정보 저장부(153)에 기억시켜 두고, CPU(11)는 그 랭킹을 참조하여 선택 후보로서 표시되는 콘텐츠를 특정하는 것으로 하면 좋다. 각 그룹으로부터 특정하는 콘텐츠의 수는 1건이어도 좋고 복수 건이어도 좋다.
선택 후보로서 표시되는 콘텐츠가 특정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20) 또는 단말 장치(30)의 표시 장치에 선택 후보를 표시시키기 위한 표시 데이터가 작성된다. 도 8의 예에서는, 사용자의 기호에 가장 가깝다고 판정된 그룹D 중에서도 가장 사용자(P)의 기호에 가까운[또는 그룹 D 중에서 가장 인기 있음] 게임 D1의 타이틀이 제1 후보로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인 표시 장치의 중앙에 표시되어 있다. 동일한 그룹 D에 속하는 게임 D2 내지 게임 D7의 타이틀이 게임 D1 주변의 비교적 눈에 띄기 쉬운 부분인 표시 장치의 비교적 중앙부에 표시되어 있다.
도 8의 예에서는, 비교적 가깝다고 판정된 그룹 F, 그룹 B로부터 선택된 게임 F1∼F3, 게임 B1∼B3의 타이틀은, 가장 가까운 그룹 D로부터 선택된 게임의 타 이틀보다는 눈에 띄기 어려운 부분인 표시 장치의 우측 상부와 좌측 하부에 표시된다. 이들 게임은 사용자가 가장 추구하는 것은 아니지만, 의외성이 있는 게임으로서 사용자의 흥미를 끄는 일도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의외성은 특별히 목적을 가지고 검색을 행한 것이 아닌 사용자의 장난기를 자극하여 오락성을 높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도 8의 표시 화면에 있어서, 각각의 선택 후보의 타이틀 부분에는 게임 소프트웨어를 기동하기 위한 링크 정보가 매립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단말 장치(20) 또는 단말 장치(30)에 있어서 사용자가 타이틀 부분을 선택하면, 선택한 타이틀에 대응한 게임의 다운로드 요구가 인터넷(1) 등을 통해 콘텐츠 서버(10)에 보내어진다. 단말 장치(20) 또는 단말 장치(30)는 인터넷(1) 등을 통하여 콘텐츠 서버(10)로부터 다운로드한 게임 소프트웨어를 기동하여 사용자가 그대로 게임의 조작을 개시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사용자(P)와 콘텐츠의 배치예를 전제로 하여 제2 실시 형태로서, 사용자가 검색 조건을 지정하여 능동적으로 콘텐츠를 서치하는 경우의 근사도 계산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콘텐츠의 검색 조건은 키워드, 검색 언어, 자연 언어 등의 임의의 방법으로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용자가 키워드로 콘텐츠의 검색 조건을 지정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콘텐츠의 선택 화면의 표시 요구는, 사용자가 지정한 검색 조건과 함께 콘텐츠 서버(10)에 보내어진다.
단말 장치(20) 또는 단말 장치(30)로부터 검색 조건을 지정한 콘텐츠의 선택 화면의 표시 요구를 접수하면, CPU(11)는 사용자 ID 등을 키로하여 요구를 행한 사용자를 사용자(P)라고 특정하고, 사용자(P)의 위치 정보(xp, yp)를 사용자 정보 저장부(152)로부터 취득한다. CPU(11)는 사용자가 지정한 대상을 특정하는 검색 조건에 가장 가까운 지표 콘텐츠로서 게임 A1을 특정하고, 그 위치 정보(xa1, ya1)를 게임 정보 저장부(153)로부터 취득한다.
CPU(11)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P)의 좌표상의 위치(xp, yp)를 시점으로하여 게임 A1의 좌표상의 위치(xa1, ya1)를 종점으로 하는 선분(L)을 그 좌표상에 설정한다. CPU(1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선분(L)의 위치와 그룹 A 내지 그룹 F의 중심의 위치와의 근사도 연산을 실행하여 사용자의 기호성과 검색의 목적물을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가 관심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그룹을 특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A 내지 그룹 F까지의 각각의 중심인 중심 A∼F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여 선분과 중심 A∼F 각각에 대한 근사도 연산을 실행한다. 근사도 연산은 선분(L)의 위치 정보와 중심 A∼F 각각의 위치 정보로부터 선분(L)과, 중심 A∼F의 각각의 위치와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근사도 연산은 사용자(P)의 위치 정보와 중심 A∼F 각각의 위치 정보로부터 사용자(P)의 위치와, 중심 A∼F 각각의 위치와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행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선분(L)의 종점이 되는 게임 A1에 대해서는, 예컨대 사용자가 지정한 검색 조건이 게임의 타이틀이나 분류를 기술한 키워드였을 경우에는, 일반적인 검색 엔 진을 이용하여 키워드 등으로 게임 정보 기억부(153)에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게임 소프트웨어와 매칭을 행하고, 직접 하나의 콘텐츠를 특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사용자가 지정한 검색 조건이 검색 언어였을 경우에는, 검색 언어를 이용한 검색에 의해 하나의 콘텐츠가 특정된다. 사용자가 지정한 검색 조건이 자연 언어였을 경우에는, 자연 언어를 이용한 검색에 의해 하나의 콘텐츠가 특정된다.
CPU(11)는 콘텐츠의 그룹 중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검색 조건에 합치하는 그룹을 특정하고, 그 그룹 A의 중심 A를 선분(L)의 종점으로 설정하여도 좋다. 검색 조건에 합치하는 그룹은 게임 정보 저장부(153)에 그룹별 콘텐츠의 특징 등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지정한 검색 조건에 따라 그룹을 검색함으로써 특정할 수 있다. 그룹별 콘텐츠의 특징 정보 등이 기억되어 있지 않으면, 게임 정보 기억부(153)에 기억되어 있는 게임 소프트웨어의 정보를 사용자가 지정한 검색 조건에 따라 검색하고, 검색한 콘텐츠가 속하는 그룹을 이러한 그룹으로서 특정할 수 있다. CPU(11)는 이렇게 해서 특정한 그룹에 포함되는 콘텐츠 중, 사용자(P)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콘텐츠의 위치 또는 그룹 A에서 가장 인기 있는 콘텐츠의 위치를 선분(L)의 종점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근사도 연산에 의해 사용자가 관심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그룹으로서, 그룹 D, 그룹 B, 그룹 E가 특정된 것으로 한다. 특정하는 그룹의 수나 그룹을 특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건수, 소정의 거리 이내 등을 조건으로 정하면 좋다. 선택 후보로서 표시되는 콘텐츠에는, 첫째로 사용자가 지정한 조건에 가까운 게임 A1과 그 그룹에 포함되는 콘텐츠가 해당한다. 근사도 연산으로 특정된 그룹 D, 그룹 B, 그룹 E에 포함되는 콘텐츠도 선택 후보로서 표시되는 대상이 된다. 이들 그룹에서는, 반드시 그룹에 포함되는 모든 콘텐츠를 표시할 필요는 없고, 대표적인 것을 몇 개 선택하여 표시 대상에 추가하는 것으로 하면 좋다.
도 12의 예에서는, 그룹 D, 그룹 B, 그룹 E 중, 사용자(P)의 위치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콘텐츠가 특정되어 있다. 즉, CPU(11)는 사용자(P)의 위치와, 그룹 D, 그룹 B, 그룹 E에 포함되는 모든 콘텐츠의 위치와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거리가 짧은 콘텐츠로부터 소정의 건수(1건이라도 좋음)의 콘텐츠를, 또는 사용자(P)의 위치로부터의 거리가 소정 거리보다도 짧은 콘텐츠를, 선택 후보로서 표시되는 콘텐츠로서 특정하고 있다.
도 13의 예에서는, 그룹 D, 그룹 B, 그룹 E 중, 선분(L)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콘텐츠가 특정되어 있다. 즉, CPU(11)는 도 11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선분(L)과, 그룹 D, 그룹 B, 그룹 E에 포함되는 각 콘텐츠의 위치와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선분(L)으로부터의 거리가 짧은 콘텐츠로부터 소정의 건수(1건이라도 좋음)의 콘텐츠를, 또는 소정의 거리보다 짧은 위치에 있는 콘텐츠를, 선택 후보로서 표시되는 콘텐츠로서 특정하고 있다.
도 14의 예에서는, 그룹 D, 그룹 B, 그룹 E 중, 사용자(P)의 위치와의 사이의 거리나, 선분(L)과의 사이의 거리에는 관계없이, 인기 있는 것에서부터 차례로 콘텐츠가 특정되어 있다. 여기서도, 각각의 콘텐츠로의 액세스 빈도를 카운트한 랭킹을 게임 정보 저장부(153)에 기억시켜 두고, CPU(11)는 그 랭킹을 참조하여 선택 후보로서 표시되는 콘텐츠를 특정하는 것으로 하면 좋다. 각 그룹으로부터 특정하 는 콘텐츠의 수는 1건이어도 좋고 복수 건이어도 좋다.
선택 후보로서 표시되는 콘텐츠가 특정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20) 또는 단말 장치(30)의 표시 장치에 선택 후보를 표시시키기 위한 표시 데이터가 작성된다. 도 15의 예에서는, 사용자가 지정한 검색 조건에 가장 합치한다고 판정된 게임 A1, 가장 합치한다고 판정된 그룹 A 중에서 사용자(P)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게임 A1, 또는 그룹 A 중에서 가장 인기 있는 게임 A1의 타이틀이 제1 후보로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인 표시 장치의 중앙에 표시되어 있다. 동일한 그룹 A에 속하는 게임 A2 내지 게임 A8의 타이틀이 게임 A1 주변의 비교적 눈에 띄기 쉬운 부분인 표시 장치의 비교적 중앙부에 표시되어 있다.
도 15의 예에서는, 비교적 가깝다고 판정된 그룹 D, 그룹 B, 그룹 E로부터 선택된 게임 D1∼D3, 게임 B1∼B3, 게임 E1∼E3의 타이틀은, 가장 가까운 그룹 A로부터 선택된 게임의 타이틀보다는 눈에 띄기 어려운 부분인 표시 장치의 좌측 상부, 우측 상부, 중앙 하부에 표시된다. 이들 게임은 사용자가 지정한 검색 조건에 가장 합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사용자의 기호성으로부터 목적물에 이르는 과정 부근에 존재한다. 사용자에게 있어서의 일정한 장소[사용자(P)의 위치]로부터 목적지(검색 조건에 따라 특정된 콘텐츠 또는 그룹)를 향할 때까지의 경로에 있는 게임의 타이틀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마치 윈도쇼핑을 즐기듯이 게임을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검색 시스템에서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콘텐츠라고 부르는 것은 상기한 정보 검색 시스템이라 면, 게임 소프트웨어가 된다.
도 16은 사용자로부터 검색 조건이 지정되어 있지 않은 콘텐츠의 선택 화면의 표시 요구를 접수했을 때에, 콘텐츠 서버(10)의 CPU(11)가 실행하는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CPU(11)는 검색 조건이 지정되어 있지 않은 선택 화면의 표시 요구를 NIC(14)이 접수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 요구에 포함되는 사용자 ID 등을 키로하여 사용자 정보 저장부(152)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기호성 등의 좌표상의 위치를 취득한다(단계 S01).
CPU(11)는 게임 정보 저장부(153)를 참조하여 콘텐츠들을 그룹화한 각 그룹에 설정된 중심의 좌표상의 위치를 취득한다(단계 S02). CPU(11)는 단계 S01에서 취득한 사용자의 위치와 단계 S02에서 취득한 각 그룹의 중심 위치 사이의 거리를 각각 산출한다(단계 S04). CPU(11)는 사용자의 위치와의 사이의 거리가 가장 짧은 그룹을 특정한다(단계 S05).
CPU(11)는 단계 S05에서 특정한 사용자의 위치와의 사이의 거리가 가장 짧은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의 타이틀을 게임 정보 저장부(153)로부터 취득한다(단계 S05). 단, CPU(11)는 전술한 각종 방법에 의해 사용자의 위치와의 사이의 거리가 가장 짧은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 중에서 일부의 콘텐츠에 대한 타이틀을 취득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CPU(11)는 사용자의 위치와의 사이의 거리가 가장 짧은 그룹 이외에, 사용자의 위치와의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 거리 이내로 되어 있는 그룹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06). 사용자의 위치와의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 로 되어 있는 그룹이 없으면, 그대로 단계 S08의 처리로 진행한다.
사용자의 위치와의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로 되어 있는 그룹이 있으면, CPU(11)는 사용자의 위치와의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인 각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의 타이틀을 게임 정보 저장부(153)로부터 취득한다(단계 S07). 여기서도, CPU(11)는 전술한 각종 방법에 의해 사용자의 위치와의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인 각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 중에서 일부의 콘텐츠에 대해서만 타이틀을 취득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그리고, 단계 S08의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 S08에서는, CPU(11)는 단계 S05 또는 S07에서 취득한 콘텐츠의 타이틀을 배치하여 단말 장치(20) 또는 단말 장치(30)에 선택 후보로서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작성한다. 표시 데이터에 있어서의 타이틀의 배치는 도 8에 도시한 것으로 할 수 있다. CPU(11)는 작성한 표시 데이터를 NIC(14)로부터 인터넷(1) 등을 통해 표시 요구를 송신한 단말 장치(20) 또는 단말 장치(30)에 송출한다(단계 S09). 그리고, 이 선택 화면의 표시 요구에 따른 처리가 종료된다.
도 17은 사용자로부터 검색 조건이 지정되어 있는 콘텐츠의 선택 화면의 표시 요구를 접수했을 때에 콘텐츠 서버(10)의 CPU(11)가 실행하는 처리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CPU(11)는 검색 조건이 지정되어 있는 선택 화면의 표시 요구를 NIC(14)가 접수한 것으로 판단하면, 표시 요구에 포함되는 사용자 ID 등을 키로하여 사용자 정보 저장부(152)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기호성 등의 좌표상의 위치를 취득한다(단계 S11).
CPU(11)는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검색 조건의 키워드에 의해 게임 정보 저장 부(153)를 검색하고, 사용자가 지정한 검색 조건에 가장 합치한 콘텐츠의 좌표상의 위치를 게임 정보 저장부(153)로부터 취득한다(단계 S12). CPU(11)는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검색 조건에 가장 합치한 그룹의 중심의 좌표상의 위치를 취득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CPU(11)는 최초에 사용자로부터 지정된 검색 조건에 가장 합치한 그룹을 특정하고, 그 후에 그 그룹에 포함되는 콘텐츠 중에서 하나의 콘텐츠의 좌표상의 위치를 취득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CPU(11)는, 단계 S11에서 취득한 사용자의 위치와, 단계 S12에서 취득한 콘텐츠의 위치(또는 그룹의 중심의 위치)를 연결하는 선분의 위치를 특정한다(단계 S14).
CPU(11)는, 게임 정보 저장부(153)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의 그룹 중에서 하나의 그룹에 대해서 중심의 위치를 취득한다(단계 S15). CPU(11)는 단계 S14에서 특정한 선분의 위치와 단계 S15에서 취득한 그룹의 중심 위치 사이의 거리를 산출한다(단계 S16). CPU(11)는 단계 S14에서 특정한 선분과의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소정 거리 이내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7). 사용자의 위치와의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로 되어 있지 않으면, 그대로 단계 S19의 처리로 진행한다.
선분과의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로 되어 있으면, CPU(11)는 선분과의 사이의 거리가 소정 거리 이내인 각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의 타이틀을 게임 정보 저장부(153)로부터 취득한다(단계 S18). 여기서도, CPU(11)는 전술한 각종 방법에 의해 그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 중에서 일부의 콘텐츠에 대해서만 타이틀을 취득하 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그리고, 단계 S19의 처리로 진행한다.
단계 S19에서는, 콘텐츠의 그룹 중에서 단계 S15∼S18의 처리가 미처리로 되어 있는 그룹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미처리로 되어 있는 그룹이 있으면, 단계 S15로 되돌아가고, CPU(11)는 다음 하나의 그룹에 대해서 중심의 위치를 취득한다.
단계 S15 내지 단계 S18의 처리가 미처리로 되어 있는 그룹이 없으면, CPU(11)는 선분의 종점에 있는 그룹(즉, 단계 S12에서 취득한 위치를 포함하는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의 타이틀을 게임 정보 저장부(153)로부터 취득한다(단계 S20). CPU(11)는 종점에 있는 그룹의 중심 위치가 선분과 소정 거리 이내에 있으면, 단계 S18에서 이미 그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가 취득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서 새롭게 콘텐츠를 취득할 필요는 없다. 여기서도, CPU(11)는 선분의 종점에 있는 그룹에 속하는 콘텐츠 중에서 일부의 콘텐츠에 대해서만 타이틀을 취득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CPU(11)는 단계 S18 또는 S20에서 취득한 콘텐츠의 타이틀을 배치하여 단말 장치(20) 또는 단말 장치(30)에 선택 후보로서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표시 데이터를 작성한다(단계 S21). 표시 데이터에 있어서의 타이틀의 배치는, 도 15에 도시한 것으로 할 수 있다. CPU(11)는 작성한 표시 데이터를 NIC(14)로부터 인터넷(1) 등을 통해 표시 요구를 송신한 단말 장치(20) 또는 단말 장치(30)에 송출한다(단계 S22). 그리고, 이 선택 화면의 표시 요구에 따른 처리가 종료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유용한 콘텐츠를 추천하는 경우에 있어서, 휴대전화 등의 사용자 단말의 선택 화면에 표시되어 사용자의 선택 후보가 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검색시키는 것이면, 대상이 되는 콘텐츠는 어떠한 종류의 콘텐츠라도 적용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게임 소프트웨어 등의 오락성이 높은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가장 적합하게 적용된다.

Claims (3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사용자 단말(20, 30)로부터의 요구를 접수한 컴퓨터 시스템(10)이 사용자 단말(20, 30)에 표시되어 사용자의 선택 후보가 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정보 검색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성질을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기억하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152)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 30)로부터 접수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S11)와;
    사용자 단말(20, 30)에 입력된 검색 정보를 접수하고, 이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콘텐츠 정보 기억부(153)를 검색하며, 검색 조건에 합치한 하나의 콘텐츠를 지표 콘텐츠로서 특정하는 단계(S12)와;
    콘텐츠의 분류 정보를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동일한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기억하는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부(153)로부터, 상기 지표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S13)와;
    상기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부(153)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한 각각의 그룹의 대표 위치의 위치 정보인 그룹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S15)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지표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연결하는 선분의 위치 정보와 상기 그룹의 위치 정보와의 상기 2 이상의 좌표축에 의해 구성된 좌표 공간에서의 거리를 산출하는 연산을 실행하는 단계(S14, S16)와;
    상기 연산에 있어서 산출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라고 판정된 그룹 또는 산출된 거리가 작은쪽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순위 이내의 그룹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특정하는 단계(S18, S20)와;
    상기 지표 콘텐츠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를 특정하는 단계에서 특정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20, 30)에 선택 후보로서 표시하는 표시 데이터를 작성하는 단계(S21)와;
    상기 사용자 단말(20, 30)에 상기 표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S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색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데이터는, 상기 지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20, 30)의 표시 장치의 중앙에 표시시키고, 상기 지표 콘텐츠 이외의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상기 지표 콘텐츠에 관한 정보의 주위에 표시시키는 데이터인(도 15)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색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데이터는, 상기 지표 콘텐츠를 포함하는 그룹에 포함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20, 30)의 표시 장치의 중앙부에 표시시키고, 상기 지표 콘텐츠를 포함하지 않는 그룹에 포함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상기 표시 장치의 주변부에 표시시키는 데이터인(도 15)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색 방법.
  8. 사용자 단말(20, 30)로부터의 요구를 접수한 컴퓨터 시스템(10)이 사용자 단말(20, 30)에 표시되어 사용자의 선택 후보가 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정보 검색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성질을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기억하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152)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 30)로부터 접수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S11)와;
    사용자 단말(20, 30)에 입력된 검색 정보를 접수하고, 이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콘텐츠 정보 기억부(153)를 검색하며, 상기 콘텐츠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한 그룹 중에서, 검색 조건에 합치하는 하나의 그룹을 지표 그룹으로서 특정하는 단계(S12)와;
    콘텐츠의 분류 정보를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동일한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기억하는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부(153)로부터, 상기 지표 그룹의 대표 위치의 위치 정보인 지표 그룹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S13)와;
    상기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부(153)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한 각각의 그룹의 대표 위치의 위치 정보인 그룹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S15)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지표 그룹의 위치 정보를 연결하는 선분의 위치 정보와 상기 그룹의 위치 정보와의 상기 2 이상의 좌표축에 의해 구성된 좌표 공간에서의 거리를 산출하는 연산을 실행하는 단계(S14, S16)와;
    상기 연산에 있어서 산출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라고 판정된 그룹 또는 산출된 거리가 작은쪽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순위 이내의 그룹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특정하는 단계(S18, S20)와;
    상기 지표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를 특정하는 단계에서 특정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20, 30)에 선택 후보로서 표시하는 표시 데이터를 작성하는 단계(S21)와;
    상기 사용자 단말(20, 30)에 상기 표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S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색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데이터를 작성하는 단계는, 상기 지표 그룹에 포함되는 콘텐츠의 위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의 상기 2 이상의 좌표축에 의해 구성된 공간에서의 거리를 산출하는 연산을 실행하여, 산출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보다 가깝다고 판정된 콘텐츠, 또는 산출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순위 이내의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선택하여 표시 데이터의 작성에 이용하는(도 12, 도 13)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색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데이터를 작성하는 단계는, 상기 지표 그룹에 포함되는 콘텐츠 중에서, 콘텐츠로의 액세스 빈도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액세스 정보 기억부를 참조하여, 미리 설정된 빈도보다 액세스 빈도가 높은 콘텐츠, 또는 액세스 빈도가 미리 설정된 순위 이내의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선택하여 표시 데이터의 작성에 이용하는(도 14)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색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데이터는, 상기 지표 그룹에 포함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20, 30)의 표시 장치의 중앙부에 표시시키고, 상기 지표 그룹 이외의 그룹에 포함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상기 표시 장치의 주변부에 표시시키는 데이터인(도 15)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색 방법.
  12. 사용자 단말(20, 30)로부터의 요구를 접수한 컴퓨터 시스템(10)이 사용자 단말(20, 30)에 표시되어 사용자의 선택 후보가 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정보 검색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성질을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기억하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152)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 30)로부터 접수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S11)와;
    사용자 단말(20, 30)에 입력된 검색 정보를 접수하고, 이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콘텐츠 정보 기억부(153)를 검색하며, 상기 콘텐츠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한 그룹 중에서, 검색 조건에 합치하는 하나의 그룹을 지표 그룹으로서 특정하는 단계(S12)와;
    상기 지표 그룹에 포함되는 콘텐츠 중에서 하나의 콘텐츠를 지표 콘텐츠로서 특정하는 단계(S12)와;
    콘텐츠의 분류 정보를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동일한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기억하는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부(153)로부터, 상기 지표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S13)와;
    상기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부(153)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한 각각의 그룹의 대표 위치의 위치 정보인 그룹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S15)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지표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연결하는 선분의 위치 정보와 상기 그룹의 위치 정보와의 상기 2 이상의 좌표축에 의해 구성된 좌표 공간에서의 거리를 산출하는 연산을 실행하는 단계(S14, S16)와;
    상기 연산에 있어서 산출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라고 판정된 그룹 또는 산출된 거리가 작은쪽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순위 이내의 그룹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특정하는 단계(S18, S20)와;
    상기 지표 콘텐츠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를 특정하는 단계에서 특정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20, 30)에 선택 후보로서 표시하는 표시 데이터를 작성하는 단계(S21)와;
    상기 사용자 단말(20, 30)에 상기 표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S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색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 콘텐츠를 특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표 그룹에 포함되는 각각의 콘텐츠의 위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의 상기 2 이상의 좌표축에 의해 구성된 좌표 공간에서의 거리를 산출하는 연산을 실행하여, 산출된 거리가 가장 가깝다고 판정된 콘텐츠를 상기 지표 콘텐츠로서 특정하는(도 12, 도 13)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색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 콘텐츠를 특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표 그룹에 포함되는 콘텐츠 중에서, 콘텐츠로의 액세스 빈도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액세스 정보 기억부를 참조하여, 액세스 빈도가 가장 높은 콘텐츠를 상기 지표 콘텐츠로서 특정하는(도 14)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색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데이터는, 상기 지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20, 30)의 표시 장치의 중앙에 표시시키고, 상기 지표 콘텐츠 이외의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상기 지표 콘텐츠에 관한 정보의 주위에 표시시키는 데이터인(도 15)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색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데이터는, 상기 지표 그룹에 포함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20, 30)의 표시 장치의 중앙부에 표시시키고, 상기 지표 그룹 이외의 그룹에 포함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상기 표시 장치의 주변부 에 표시시키는 데이터인(도 15)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색 방법.
  17. 삭제
  18. 사용자 단말(20, 30)로부터의 요구를 접수한 컴퓨터 시스템(10)이 사용자 단말(20, 30)에 표시되어 사용자의 선택 후보가 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정보 검색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사용자의 성질을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기억하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152)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 30)로부터 접수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S11)와;
    사용자 단말(20, 30)에 입력된 검색 정보를 접수하고, 이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콘텐츠 정보 기억부(153)를 검색하며, 검색 조건에 합치한 하나의 콘텐츠를 지표 콘텐츠로서 특정하는 단계(S12)와;
    콘텐츠의 분류 정보를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동일한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기억하는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부(153)로부터, 상기 지표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S13)와;
    상기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부(153)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한 각각의 그룹의 대표 위치의 위치 정보인 그룹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S15)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지표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연결하는 선분의 위치 정보와 상기 그룹의 위치 정보와의 상기 2 이상의 좌표축에 의해 구성된 좌표 공간에서의 거리를 산출하는 연산을 실행하는 단계(S14, S16)와;
    상기 연산에 있어서 산출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라고 판정된 그룹 또는 산출된 거리가 작은쪽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순위 이내의 그룹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특정하는 단계(S18, S20)와;
    상기 지표 콘텐츠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를 특정하는 단계에서 특정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20, 30)에 선택 후보로서 표시하는 표시 데이터를 작성하는 단계(S21)와;
    상기 사용자 단말(20, 30)에 상기 표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S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색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19. 사용자 단말(20, 30)로부터의 요구를 접수한 컴퓨터 시스템(10)이 사용자 단말(20, 30)에 표시되어 사용자의 선택 후보가 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정보 검색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사용자의 성질을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기억하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152)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 30)로부터 접수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세그먼트(S11)와;
    사용자 단말(20, 30)에 입력된 검색 정보를 접수하고, 이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콘텐츠 정보 기억부(153)를 검색하며, 상기 콘텐츠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한 그룹 중에서, 검색 조건에 합치하는 하나의 그룹을 지표 그룹으로서 특정하는 세그먼트(S12)와;
    콘텐츠의 분류 정보를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동일한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기억하는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부(153)로부터, 상기 지표 그룹의 대표 위치의 위치 정보인 지표 그룹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세그먼트(S13)와;
    상기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부(153)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한 각각의 그룹의 대표 위치의 위치 정보인 그룹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세그먼트(S15)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지표 그룹의 위치 정보를 연결하는 선분의 위치 정보와 상기 그룹의 위치 정보와의 상기 2 이상의 좌표축에 의해 구성된 좌표 공간에서의 거리를 산출하는 연산을 실행하는 세그먼트(S14, S16)와;
    상기 연산에 있어서 산출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라고 판정된 그룹 또는 산출된 거리가 작은쪽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순위 이내의 그룹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특정하는 세그먼트(S18, S20)와;
    상기 지표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를 특정하는 세그먼트에서 특정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20, 30)에 선택 후보로서 표시하는 표시 데이터를 작성하는 세그먼트(S21)와;
    상기 사용자 단말(20, 30)에 상기 표시 데이터를 송신하는 세그먼트(S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색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20. 사용자 단말(20, 30)로부터의 요구를 접수한 컴퓨터 시스템(10)이 사용자 단말(20, 30)에 표시되어 사용자의 선택 후보가 되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기 위한 정보 검색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사용자의 성질을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기억하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152)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 30)로부터 접수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세그먼트(S11)와;
    사용자 단말(20, 30)에 입력된 검색 정보를 접수하고, 이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콘텐츠 정보 기억부(153)를 검색하며, 상기 콘텐츠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한 그룹 중에서, 검색 조건에 합치하는 하나의 그룹을 지표 그룹으로서 특정하는 세그먼트(S12)와;
    상기 지표 그룹에 포함되는 콘텐츠 중에서 하나의 콘텐츠를 지표 콘텐츠로서 특정하는 세그먼트(S12)와;
    콘텐츠의 분류 정보를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동일한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기억하는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부(153)로부터, 상기 지표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세그먼트(S13)와;
    상기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부(153)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한 각각의 그룹의 대표 위치의 위치 정보인 그룹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세그먼트(S15)와;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지표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연결하는 선분의 위치 정보와 상기 그룹의 위치 정보와의 상기 2 이상의 좌표축에 의해 구성된 좌표 공간에서의 거리를 산출하는 연산을 실행하는 세그먼트(S14, S16)와;
    상기 연산에 있어서 산출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라고 판정된 그룹 또는 산출된 거리가 작은쪽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순위 이내의 그룹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특정하는 세그먼트(S18, S20)와;
    상기 지표 콘텐츠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를 특정하는 세그먼트에서 특정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20, 30)에 선택 후보로서 표시하는 표시 데이터를 작성하는 세그먼트(S21)와;
    상기 사용자 단말(20, 30)에 상기 표시 데이터를 송신하는 세그먼트(S2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색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네트워크(1, 2)를 통해 사용자 단말(20, 30)에 접속되는 동시에, 데이터를 기억시킨 데이터 기억 수단[15(151을 제외함)]과, 프로그램을 기억시킨 프로그램 기억 수단(151)과, 상기 프로그램 기억 수단(151)에 기억시킨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처리 수단(11)과, 상기 처리 수단(11)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20, 30)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14)을 구비하는 컴퓨터 장치(10)로서,
    상기 데이터 기억 수단[15(151을 제외함)]은 사용자의 성질을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기억하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152)와,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콘텐츠 정보 기억부(153)와, 콘텐츠의 분류 정보를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동일한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기억하는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부(153)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기억 수단(151)은, 상기 처리 수단(1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제18항에 기재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 검색 프로그램을 기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27. 네트워크(1, 2)를 통해 사용자 단말(20, 30)에 접속되는 동시에, 데이터를 기억시킨 데이터 기억 수단[15(151을 제외함)]과, 프로그램을 기억시킨 프로그램 기억 수단(151)과, 상기 프로그램 기억 수단(151)에 기억시킨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처리 수단(11)과, 상기 처리 수단(11)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20, 30)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14)을 구비하는 컴퓨터 장치(10)로서,
    상기 데이터 기억 수단[15(151을 제외함)]은 사용자의 성질을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기억하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152)와,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콘텐츠 정보 기억부(153)와, 콘텐츠의 분류 정보를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동일한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기억하는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부(153)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기억 수단(151)은, 상기 처리 수단(1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제19항에 기재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 검색 프로그램을 기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28. 네트워크(1, 2)를 통해 사용자 단말(20, 30)에 접속되는 동시에, 데이터를 기억시킨 데이터 기억 수단[15(151을 제외함)]과, 프로그램을 기억시킨 프로그램 기억 수단(151)과, 상기 프로그램 기억 수단(151)에 기억시킨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처리 수단(11)과, 상기 처리 수단(11)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20, 30)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14)을 구비하는 컴퓨터 장치(10)로서,
    상기 데이터 기억 수단[15(151을 제외함)]은 사용자의 성질을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기억하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152)와,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콘텐츠 정보 기억부(153)와, 콘텐츠의 분류 정보를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동일한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기억하는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부(153)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기억 수단(151)은 상기 처리 수단(1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제20항에 기재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정보 검색 프로그램을 기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장치.
  29. 삭제
  30. 네트워크(1, 2)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20, 30)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선택 후보로서 그 사용자 단말(20, 30)에 표시시키기 위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 데이터를, 그 사용자 단말(20, 30)에 송신하는 컴퓨터 시스템(10)으로서,
    사용자의 성질을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기억하는 사용자 정보 기억 수단(152)과;
    상기 사용자 정보 기억 수단(152)을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 30)로부터 접수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사용자 위치 정보 취득 수단[11(S11)]과;
    사용자 단말(20, 30)에 입력된 검색 정보를 접수하고, 이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콘텐츠 정보 기억 수단(153)을 검색하며, 검색 조건에 합치한 하나의 콘텐츠를 지표 콘텐츠로서 특정하는 지표 콘텐츠 특정 수단[11(S12)]과;
    콘텐츠의 분류 정보를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동일한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기억하는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 수단(153)과;
    상기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 수단(153)으로부터, 상기 지표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지표 콘텐츠 위치 정보 취득 수단[11(S13)]과;
    상기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 수단(153)으로부터, 콘텐츠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한 각각의 그룹의 대표 위치의 위치 정보인 그룹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그룹위치 정보 취득 수단[11(S15)]과;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지표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연결하는 선분의 위치 정보와 상기 그룹 위치 정보 취득 수단이 취득한 상기 그룹의 위치 정보와의 상기 2 이상의 좌표축에 의해 구성된 좌표 공간에서의 거리를 산출하는 연산을 실행하는 근사도 연산 실행 수단[11(S14, S16)]과;
    상기 연산에 있어서 산출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라고 판정된 그룹, 산출된 거리가 작은쪽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순위 이내의 그룹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특정하는 콘텐츠 특정 수단[11(S18, S20)]과;
    상기 지표 콘텐츠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수단이 특정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20, 30)에 선택 후보로서 표시하는 표시 데이터를 작성하는 표시 데이터 작성 수단[11(S21)]과;
    상기 사용자 단말(20, 30)에 상기 표시 데이터를 송신하는 표시 데이터 송신 수단[11(S22), 1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31. 네트워크(1, 2)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20, 30)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선택 후보로서 그 사용자 단말(20, 30)에 표시시키기 위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 데이터를 그 사용자 단말(20, 30)에 송신하는 컴퓨터 시스템(10)으로서,
    사용자의 성질을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기억하는 사용자 정보 기억 수단(152)과;
    상기 사용자 정보 기억 수단(152)을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 30)로부터 접수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사용자위치 정보 취득 수단[11(S11)]과;
    사용자 단말(20, 30)에 입력된 검색 정보를 접수하고, 이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콘텐츠 정보 기억 수단(153)을 검색하며, 상기 콘텐츠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한 그룹 중에서, 검색 조건에 합치하는 하나의 그룹을 지표 그룹으로서 특정하는 지표 그룹 특정 수단[11(S12)]과;
    콘텐츠의 분류 정보를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동일한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기억하는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 수단(153)과;
    상기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 수단(153)으로부터, 상기 지표 그룹의 대표 위치의 위치 정보인 지표 그룹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지표 그룹 위치 정보 취득 수단[11(S13)]과;
    상기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 수단(153)으로부터, 콘텐츠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한 각각의 그룹의 대표 위치의 위치 정보인 그룹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그룹위치 정보 취득 수단[11(S15)]과;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지표 그룹의 위치 정보를 연결하는 선분의 위치 정보와 상기 그룹 위치 정보 취득 수단이 취득한 상기 그룹의 위치 정보와의 상기 2 이상의 좌표축에 의해 구성된 좌표 공간에서의 거리를 산출하는 연산을 실행하는 근사도 연산 실행 수단[11(S14, S16)]과;
    상기 연산에 있어서 산출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라고 판정된 그룹, 산출된 거리가 작은쪽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순위 이내의 그룹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특정하는 콘텐츠 특정 수단[11(S18, S20)]과;
    상기 지표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수단이 특정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20, 30)에 선택 후보로서 표시하는 표시 데이터를 작성하는 표시 데이터 작성 수단[11(S21)]과;
    상기 사용자 단말(20, 30)에 상기 표시 데이터를 송신하는 표시 데이터 송신 수단[11(S22), 1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32. 네트워크(1, 2)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 단말(20, 30)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선택 후보로서 그 사용자 단말(20, 30)에 표시시키기 위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 데이터를, 그 사용자 단말(20, 30)에 송신하는 컴퓨터 시스템(10)으로서,
    사용자의 성질을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기억하는 사용자 정보 기억 수단(152)과;
    상기 사용자 정보 기억 수단(152)을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 30)로부터 접수한 사용자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사용자 위치 정보 취득 수단[11(S11)]과;
    사용자 단말(20, 30)에 입력된 검색 정보를 접수하고, 이 검색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콘텐츠 정보 기억 수단(153)을 검색하며, 상기 콘텐츠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한 그룹 중에서, 검색 조건에 합치하는 하나의 그룹을 지표 그룹으로서 특정하는 지표 그룹 특정 수단[11(S12)]과;
    상기 지표 그룹에 포함되는 콘텐츠 중에서 하나의 콘텐츠를 지표 콘텐츠로서 특정하는 지표 콘텐츠 특정 수단[11(S12)]과;
    콘텐츠의 분류 정보를 사용자의 위치 정보와 동일한 2 이상의 좌표축을 이용한 위치 정보로서 기억하는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 수단(153)과;
    상기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 수단(153)으로부터, 상기 지표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지표 콘텐츠 위치 정보 취득 수단[11(S13)]과;
    상기 콘텐츠 위치 정보 기억 수단(153)으로부터, 콘텐츠를 2 이상의 그룹으로 분류한 각각의 그룹의 대표 위치의 위치 정보인 그룹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그룹 위치 정보 취득 수단[11(S15)]과;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지표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연결하는 선분의 위치 정보와 상기 그룹 위치 정보 취득 수단이 취득한 상기 그룹의 위치 정보와의 상기 2 이상의 좌표축에 의해 구성된 좌표 공간에서의 거리를 산출하는 연산을 실행하는 근사도 연산 실행 수단[11(SS14, S16)]과;
    상기 연산에 있어서 산출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라고 판정된 그룹, 산출된 거리가 작은쪽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순위 이내의 그룹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특정하는 콘텐츠 특정 수단[11(S18, S20)]과;
    상기 지표 콘텐츠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콘텐츠 특정 수단이 특정한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20, 30)에 선택 후보로서 표시하는 표시 데이터를 작성하는 표시 데이터 작성 수단[11(S21)]과;
    상기 사용자 단말(20, 30)에 상기 표시 데이터를 송신하는 표시 데이터 송신 수단(11(S22), 1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
KR1020077013974A 2004-11-25 2005-11-25 사용자의 선택 후보가 되는 콘텐츠의 검색 방법 KR1008983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40319 2004-11-25
JP2004340319 2004-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6460A KR20070086460A (ko) 2007-08-27
KR100898353B1 true KR100898353B1 (ko) 2009-05-20

Family

ID=36498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3974A KR100898353B1 (ko) 2004-11-25 2005-11-25 사용자의 선택 후보가 되는 콘텐츠의 검색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07209B2 (ko)
EP (1) EP1837777A4 (ko)
JP (1) JP4958269B2 (ko)
KR (1) KR100898353B1 (ko)
WO (1) WO20060573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6758A (ja) * 2006-12-20 2008-07-31 Nec Corp グループ関係性表示システム、グループ関係性表示方法およびグループ関係性表示プログラム
JP4353987B2 (ja) 2007-03-30 2009-10-28 株式会社スクウェア・エニックス コンテンツ情報検索制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情報検索制御方法
US20090125377A1 (en) * 2007-11-14 2009-05-14 Microsoft Corporation Profiling system for online marketplace
JP5180639B2 (ja) * 2008-03-21 2013-04-10 株式会社デンソーアイティーラボラトリ コンテンツ提示装置、コンテンツ提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056542B2 (ja) * 2008-03-31 2012-10-24 富士通株式会社 コンテンツ表示方法、コンテンツ表示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表示プログラム
JP2009252185A (ja) * 2008-04-10 2009-10-29 Ricoh Co Ltd 情報検索装置、情報検索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244466B2 (ja) * 2008-06-05 2013-07-2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コンテンツ提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301416A (ja) * 2008-06-16 2009-12-24 Kddi Corp コンテンツ分類装置、コンテンツ検索装置、コンテンツ検索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553232B2 (ja) * 2010-09-09 2014-07-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楽曲再生システム
KR101785612B1 (ko) * 2010-12-06 2017-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간 네트워크 형성 방법 및 장치
US9146654B2 (en) * 2011-05-25 2015-09-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vement reduction when scrolling for item selection during direct manipulation
JP5950282B2 (ja) * 2013-05-13 2016-07-13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を生成する装置及び方法
KR102076076B1 (ko) * 2013-10-11 2020-02-12 (주)휴맥스 구간 알림 방식을 사용한 컨텐츠 정보 표현 방법 및 장치
JP2017037556A (ja) * 2015-08-12 2017-02-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コンテンツ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0793A (ja) * 2000-06-05 2001-12-21 Fuji Xerox Co Ltd 関連情報表示制御装置及び関連情報表示方法
JP2002342360A (ja) * 2001-05-18 2002-11-29 Sharp Corp 情報提供装置、その方法、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4206679A (ja) * 2002-12-12 2004-07-2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0036B1 (en) 1994-11-29 2002-10-01 Pinpoint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electronic newspapers and target advertisements
US5798760A (en) * 1995-06-07 1998-08-25 Vayda; Mark Radial graphical menuing system with concentric region menuing
US5894311A (en) * 1995-08-08 1999-04-13 Jerry Jackson Associates Ltd. Computer-based visual data evaluation
US5812134A (en) * 1996-03-28 1998-09-22 Critical Thought, Inc. User interface navigational system & method for interactive representation of information contained within a database
US5924090A (en) * 1997-05-01 1999-07-13 Northern Light Technolog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a database of records
US6134532A (en) 1997-11-14 2000-10-17 Aptex Software,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al adaptive matching of users to most relevant entity and information in real-time
CA2339217A1 (en) * 1998-08-05 2000-02-17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Information access
JP3639480B2 (ja) * 1999-11-05 2005-04-2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類似データ検索方法,類似データ検索装置,および類似データ検索用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1265808A (ja) 2000-03-22 2001-09-28 Skysoft Inc 情報検索システム及び情報検索方法
NL1016056C2 (nl) * 2000-08-30 2002-03-15 Koninkl Kpn Nv Methode en systeem voor personalisatie van digitale informatie.
JP2002108924A (ja) * 2000-09-29 2002-04-12 Dainippon Printing Co Ltd 情報選択装置とその方法および情報提供装置
WO2002041190A2 (en) * 2000-11-15 2002-05-23 Holbrook David M Apparatus and method for organizing and/or presenting data
JP2002251401A (ja) * 2001-02-22 2002-09-06 Canon Inc 文書検索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記憶媒体
JP2003058571A (ja) 2001-08-10 2003-02-28 Namco Ltd 情報検索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US6915009B2 (en) * 2001-09-07 2005-07-05 Fuji Xerox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the automatic segmentation and clustering of ordered information
JP2004046612A (ja) * 2002-07-12 2004-02-12 Techno Network Shikoku Co Ltd データマッチング方法、データマッチング装置、データマッチング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7716223B2 (en) * 2004-03-29 2010-05-11 Google Inc. Variable personalization of search results in a search engine
US7437358B2 (en) * 2004-06-25 2008-10-14 App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data
US8527874B2 (en) * 2005-08-03 2013-09-03 Apple Inc. System and method of grouping search results using information representa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0793A (ja) * 2000-06-05 2001-12-21 Fuji Xerox Co Ltd 関連情報表示制御装置及び関連情報表示方法
JP2002342360A (ja) * 2001-05-18 2002-11-29 Sharp Corp 情報提供装置、その方法、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4206679A (ja) * 2002-12-12 2004-07-2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37777A4 (en) 2008-01-23
JP4958269B2 (ja) 2012-06-20
US20080215522A1 (en) 2008-09-04
US7707209B2 (en) 2010-04-27
WO2006057356A1 (ja) 2006-06-01
JPWO2006057356A1 (ja) 2008-06-05
EP1837777A1 (en) 2007-09-26
KR20070086460A (ko) 2007-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8353B1 (ko) 사용자의 선택 후보가 되는 콘텐츠의 검색 방법
US20170161818A1 (en) Explanations for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US9946761B2 (en) Recommendation for diverse content
JP4884918B2 (ja) 仮想空間提供サーバ、仮想空間提供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30268513A1 (en) Annotations based on hierarchical categories and groups
US7958130B2 (en) Similarity-based content sampling and relevance feedback
JP3707361B2 (ja) 情報提供サーバ及び情報提供方法
JP5118431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携帯端末、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12155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603644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social service based on music information
CN110766489B (zh) 请求内容及提供内容的方法和相应设备
JP2007094560A (ja) サービス提供方法、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端末及び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US20190089765A1 (en) Computer system for network node review for actionable item
US20140289050A1 (en) Output of advertisement utilizing exchange of item data
JP4757516B2 (ja) 携帯端末装置
KR101544462B1 (ko) 위치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의 클라이언트 단말 정보를 이용한 개인화 된 poi정보 제공 방법 및 그 클라이언트 단말
JP7392271B2 (ja) アイテム提示方法、アイテム提示プログラムおよびアイテム提示装置
JP2003271636A (ja) コンテンツ推薦システムおよびその端末
JP2009087155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JP2009015516A (ja) コンテンツ識別情報送信サーバ、コンテンツ識別情報送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522576B2 (ja) 販売管理装置
KR101860364B1 (ko) 사물정보 기반 소셜 미디어 제공 방법 및 서버
JP4460255B2 (ja) 利用者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58889A (ko)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프로그램
CN115827901A (zh) 信息展示与搜索方法及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