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8889A -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8889A
KR20170058889A KR1020170057536A KR20170057536A KR20170058889A KR 20170058889 A KR20170058889 A KR 20170058889A KR 1020170057536 A KR1020170057536 A KR 1020170057536A KR 20170057536 A KR20170057536 A KR 20170057536A KR 20170058889 A KR20170058889 A KR 20170058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location
channel
streaming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정현
Original Assignee
우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정현 filed Critical 우정현
Priority to KR1020170057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8889A/ko
Publication of KR20170058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4Marketing, i.e. market research and analysis, surveying, promotions, advertising, buyer profiling, customer management or rewa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서버가 제1유저로부터 특정한 제1위치에 매칭되는 스트리밍 채널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100); 제2유저의 요청에 따라, 탐색채널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S300); 상기 제2유저에게 특정한 채널의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S500); 및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S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장 주인인 제1유저는 음악 플레이리스트를 포함하는 채널을 음악 감상을 하고자 하는 유저들에게 제공하여 매장의 홍보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프로그램 {METHOD AND PROGRAM FOR LOCATION-BASED MUSIC STREAMIMG SERVICE}
본 발명은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특정한 장소에 매칭된 플레이리스트를 다른 유저들에게 제공하며 음악 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음악서비스는 유, 무선 인터넷상에서 또는 기반 하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디지털 파일형식 또는 포맷으로 변환된 음악 콘텐츠를 수용할 수 있는 장치로 전송하여 스트리밍이나 다운로드 형태로 감상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콘텐츠 제공자들은 디지털 음악을 네트워크를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있는데, 음악을 전송하는 종류에 따라 다운로드방식과 스트리밍 방식으로 분류된다.
또한, 콘텐츠 제공자들은 스트리밍 방식으로 인기차트, 최신음악차트, 뮤직비디오차트, 장르별음악차트, 전문가 음악추천, 공개앨범 음악추천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음악저작권 보호 강화, 대중들의 저작권에 대한 인식변화 및 무선통신 기술의 향상에 따라 스트리밍 서비스의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매장들이 내부 또는 외부에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음악을 계속해서 재생한다.
그러나 매장들이 재생하는 음악은 매장의 홍보에 특별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다. 따라서, 매장의 위치에 매칭된 음악 채널을 바탕으로 음악을 감상하고자 하는 다른 유저들에게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여 매장 홍보를 수행할 수 있는,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까페와 같은 매장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원하는 스타일(예를 들어, 장르, 시대 등)의 음악을 청취하기를 원할 수 있다. 유저들이 간편하게 각 매장에서 재생되는 음악을 확인하고 유저의 클라이언트를 통해 청취할 수 있는,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1유저로부터 특정한 제1위치에 매칭되는 스트리밍 채널 생성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스트리밍 채널 생성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스트리밍 채널을 생성하되, 상기 제1위치는 상기 제1유저에 의해 입력된 특정한 지점의 주소에 상응하는 위치 또는 상기 제1유저의 클라이언트에 제공되는 지도 상에 선택된 위치인, 스트리밍 채널 생성단계; 제2유저의 요청에 따라, 탐색채널 리스트를 제공하되, 상기 탐색채널은 제2위치에 제공가능한 채널로서, 상기 제2위치로부터 상기 제2유저에게 부여된 등급에 따른 거리범위 내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위치에 매칭된 스트리밍 채널 또는 채널에 매칭된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까지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범위 조건 내인 제1유저의 스트리밍 채널이고, 상기 제2위치는 상기 제2유저의 실시간 위치인, 채널리스트제공단계; 상기 탐색채널 리스트 중에서 상기 제2유저가 선택한 제1스트리밍 채널의 음악 플레이리스트를 상기 제2유저의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음악 플레이리스트 중에서 상기 제2유저가 선택한 음악에 대한 스트리밍 정보를 상기 제2유저의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1위치는 특정한 매장의 위치에 해당하고, 상기 제1스트리밍 채널의 음악 플레이리스트는 상기 특정한 매장 내에서 재생되는 음악리스트이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스트리밍 채널 생성단계는, 상기 제1유저의 매장에 방문할 가능성이 높은 상기 제2유저의 이동경로에 부합하게 채널 생성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채널리스트제공단계는, 상기 탐색채널이 매칭된 복수의 제1위치를 포함하는 특정한 장소 내에서, 각각의 제1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장소 내 지점 또는 상기 제1위치를 기준으로 형성된 특정범위가 상이함에 따라, 상이한 제2위치에 위치한 복수의 제2유저에게 상이한 탐색채널 리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2유저의 스트리밍에 대해 과금을 수행하여, 상기 제1스트리밍 채널의 생성을 요청한 상기 제1유저에게 상기 과금된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2유저의 음악 스트리밍 중에 상기 제2유저의 클라이언트에 광고를 제공하되, 상기 광고가 음성광고인 경우에는 특정한 재생곡이 재생된 후 다음 재생곡이 재생되기 전에 광고가 제공되고, 상기 광고가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는 상기 제2유저의 클라이언트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제공단계; 및 상기 제1스트리밍 채널을 선택한 하나 이상의 상기 제2유저에게 광고를 제공한 횟수를 바탕으로, 상기 제1스트리밍 채널의 생성을 요청한 상기 제1유저에게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2유저의 상기 제1위치 진입을 인식하여, 상기 제2유저의 클라이언트의 스트리밍 서비스 종료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2유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스트리밍 채널에 대응하는 매장으로 가는 경로정보 또는 이벤트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제1유저는 음악 플레이리스트를 포함하는 채널을 음악 감상을 하고자 하는 유저들에게 제공하여, 매장의 홍보를 수행할 수 있다.
둘째, 음악을 감상하는 유저(즉, 제2유저)는 본인이 원하는 음악 스타일이 재생되는 매장을 간편하게 탐색할 수 있다. 특히, 거리를 기반으로 매장을 탐색하여 제공할 수 있어서, 제2유저는 원하는 매장에 방문하여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제2유저는 각 매장의 운영자가 엄선하여 만든 플레이리스트를 감상할 수 있다.
셋째, 스트리밍 서비스 운영자는 매장을 운영하는 제1유저와 음악 감상하는 제2유저를 연결하여 줌에 따라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제2유저에게 제공되는 음악 사이에 광고를 부가함에 따라, 제2유저는 음악을 무료로 감상할 수 있고, 제1유저는 매장 광고를 제2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스트리밍 서비스 운영자는 음악감상 제공에 따른 수익 이외의 광고 제공에 따른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유저에게 과금한 금액을 제1유저에게 전부 또는 일부 제공하는,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유저에 대한 광고 제공에 따라 제1유저에게 과금을 수행하는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유저에 의해 특정한 특성을 갖는 플레이리스트를 채널 내에 생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2위치로부터 특정범위 내에 속하는 제1위치에 매칭된 채널을 탐색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2위치를 포함하는 특정범위의 기준지점인 상기 제1위치에 매칭된 채널을 탐색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2유저의 클라이언트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서버가 제1유저로부터 특정한 제1위치에 매칭되는 스트리밍 채널 생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100); 제2유저의 요청에 따라, 탐색채널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S300); 상기 제2유저에게 특정한 채널의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S500); 및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S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서버가 제1유저로부터 특정한 제1위치에 매칭되는 스트리밍 채널 생성 요청을 수신한다(S100). 즉, 제1유저는 클라이언트를 통해 특정한 제1위치를 선택하여, 이에 매칭된 스트리밍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제1위치는 제1유저에 의해 특정한 지점의 주소를 입력받거나 제1유저의 클라이언트에 제공되는 지도 상에 지점 또는 지역을 선택받을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제1위치는 특정한 매장의 위치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제1유저는 매장의 점주에 해당할 수 있고, 제1위치는 제1유저가 운영하는 특정한 위치의 매장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리밍 채널은 매장에서 음악 재생을 위해 서버 상에 생성되는 채널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제1위치는 제1유저가 설정하는 임의의 장소 또는 지점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유저는 한강공원을 제1위치로 설정할 수 있고, 한강공원에서 듣기 좋은 음악을 범주로 하는 스트리밍 채널로 생성할 수 있다. 제1유저가 클라이언트 상의 지도에서 특정한 지점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지점의 위치정보(예를 들어, GPS정보, 해당 위치에 해당하는 장소 정보 등)를 획득하여 제1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서버가 제2유저의 요청에 따라, 탐색채널 리스트를 제공한다(S300). 제2유저는 특정한 제1유저에 의해 생성된 채널 내의 음악을 스트리밍(Streaming)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이다. 서버는 제2유저에게 제공 가능한 채널 리스트를 탐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공 가능한 채널은, 다양한 기준을 바탕으로 추출 또는 선별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제1유저의 채널은 정해진 거리 내에서만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고, 서버는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거리를 바탕으로 제공 가능한 채널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2위치는 제2유저의 실시간 위치(즉, 제2유저의 클라이언트에 의해 인식되는 실시간 위치)에 해당할 수 있다.
서버에 의해 위치를 기반으로 탐색되어 제공되는 채널(이하, 탐색채널)은, 제2위치로부터 특정범위 내에 속하는 제1위치에 매칭된 채널(도 5 참조) 또는 제2위치를 포함하는 특정범위의 기준지점인 상기 제1위치에 매칭된 채널(도 6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서버는 제2위치를 중심으로 특정한 거리(또는 반경)에 해당하는 추출범위를 생성하고, 상기 추출범위 내의 지점 또는 영역을 제1위치로 설정한 매장을 추출할 수 있다. 제2유저가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범위(예를 들어, 제2위치를 기준으로 하는 반경)는 과금 수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서버는 제2유저가 사용하는 회원등급 또는 서비스 비용(예를 들어, 요금제)에 따라서 서비스범위를 다르게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유저의 회원등급이 높으면 5km 범위 내의 매장들의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음악 스트리밍을 제공받을 수 있고, 제2유저의 회원등급이 낮으면 1km 범위 내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서버는 각각의 매장에 상응하는 제1위치를 기반으로 설정된 하나 이상의 서비스제공범위를 지도 상에 표시하고, 제2위치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서비스제공범위에 해당하는 매장(또는 제1위치)를 추출(또는 탐색)할 수 있다. 특정한 매장의 스트리밍 서비스의 제공범위는 특정한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범위 내로 설정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서버는 각각의 매장의 제1위치(100a, 100b, 100c, 100d)를 중심으로 각 제1위치를 중심으로 각 매장에 부여된 반경을 중심으로 서비스제공범위를 도출하고, 서비스 제공범위 내에 제2유저의 실시간 위치인 제2위치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100a, 100b 및 100c인 제1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서비스제공범위는 제2위치를 포함하나, 100d인 제1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서비스제공범위는 제2위치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서버는 100d를 제외한 100a, 100b 및 100c에 매칭된 매장의 채널을 제2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매장의 스트리밍 서비스의 제공범위는 제1유저에 의해 지정되는 특정한 형태의 범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즉, 제1유저의 매장에 방문할 가능성이 높은 제2유저의 이동경로에 부합하게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채널리스트 제공단계(S300)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분류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매장을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제2유저는 특정한 매장유형(300)(예를 들어, 까페, 레스토랑 등)을 방문하기를 원할 수 있고, 매장에서 재생되는 음악 스타일을 바탕으로 결정하기를 원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제2유저로부터 방문을 원하는 매장유형(300)을 선택받은 후, 도 7에서와 같이, 해당 유형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매장에 매칭된 채널리스트(4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유저는 원하는 매장 유형 중 원하는 음악 스타일이 재생 중인 매장을 쉽게 탐색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유저의 클라이언트를 통해 플레이리스트를 제공받거나 음악 스트리밍을 제공받음으로써 원하는 음악 스타일이 맞는지 직접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실시예로, 상기 채널리스트제공단계(S300)는, 서버가 상기 제2유저의 특성정보에 부합하는 플레이리스트를 포함하는 채널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특성정보는 상기 제2유저의 성향, 연령대, 성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제2유저의 계정에 포함된 연령, 성별, 선호하는 음악 장르 정보를 바탕으로 제2유저에 적합한 플레이리스트를 포함하는 채널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서버는 제2유저가 스트리밍 제공받은 음악 리스트를 저장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2유저의 성향을 분석하여 적합한 플레이리스트를 포함하는 채널을 추출할 수 있다.
서버는 제2유저에게 특정한 채널의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한다(S500). 제2유저는 제공되는 탐색채널리스트 중에서 원하는 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 제2클라이언트에 표시되는 리스트 상에서 터치조작 등을 통해 선택할 수 있다. 서버는 제2유저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플레이리스트를 제2유저의 클라이언트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에 상응하는 장소가 특정한 매장인 경우, 상기 특정한 채널의 플레이리스트는 특정한 매장 내에서 재생되는 음악리스트일 수 있다. 즉, 매장에서 재생되는 음악을 제2유저들이 본인의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서버는 과금을 수행한다(S700). 서버는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함에 따라 제1유저 또는 제2유저에게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과금수행과정(S700)의 일실시예로, 서버는 제1유저에게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유저가 매장 내에서 재생하는 것에 대한 과금과 제2유저가 제1유저가 생성한 채널에 접속하여 스트리밍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 제2유저가 제1유저의 매장에 매칭된 채널을 통해 음악 청취를 함에 따라, 제1유저는 매장을 다수의 제2유저에게 홍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스트리밍을 수행하는 제2유저의 인원수, 각각의 제2유저가 청취한 곡 수 등을 반영하여 과금 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금수행과정(S700)의 다른 일실시예로, 서버는 제2유저의 스트리밍 횟수에 따라 제2유저에게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서버는 제1유저에게 특정 금액을 스트리밍 서비스 비용으로 주기적으로 과금할 수 있고, 상기 제1유저의 채널에 접속하여 제2유저가 음악 청취를 수행하면 제2유저로부터 일정 금액을 과금한 후 전부 또는 일부를 제1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다(S710). 이를 통해, 제1유저는, 본인의 채널에 많은 제2유저가 접속하여 음악을 청취하는 경우, 스트리밍 서비스 비용을 많이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제1유저가 스트리밍 서비스 비용 회수를 위해 채널 내 플레이리스트를 잘 관리함에 따라 제2유저들은 엄선된 플레이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고, 제1유저들은 많은 제2유저들에게 매장이 홍보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과금수행과정(S700)의 다른 일실시예로, 도 3에서와 같이, 제2유저의 음악 스트리밍 중에 광고를 제공하는 단계(S720);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제2유저에게 광고를 제공한 횟수를 바탕으로, 제1유저에게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S721);를 포함한다. 즉, 제1위치에 상응하는 장소가 제1유저가 운영하는 매장인 경우, 서버는 매장의 홍보수단으로 제2유저에 대한 광고를 포함한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을 수행할 수 있다.먼저, 서버는 제2유저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시에 광고를 제공한다(S720). 즉, 서버는 제2유저의 요청에 따라 특정한 채널의 플레이리스트의 스트리밍을 제공할 수 있고,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시에 광고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서버는 클라이언트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는 영상 형태의 광고를 제공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재생곡이 재생된 후 다음 재생곡이 재생되기 전에 음성 형태의 광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광고는 제1유저의 매장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판매물품과 이벤트정보가 포함 될 수 있다. 그 후, 서버는 하나 이상의 제2유저에게 광고를 제공한 횟수를 바탕으로 제1유저에게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S721). 이를 통해, 제1유저는 잠재 고객에 해당하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는 하나 이상의 제2유저에게 광고를 제공할 수 있고, 제2유저는 원하는 스타일의 음악을 무료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서버 운영자는 스트리밍 서비스(즉, 매장 내외의 음악 재생 또는 제2유저의 음악 재생) 제공에 대한 과금뿐만 아니라, 제1유저의 광고 전달 효과에 대한 과금할 수 있어서, 더 많은 수익을 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제공단계(S720)에서, 서버는 제2유저의 클라이언트 내의 검색기록 또는 상기 제2유저의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적합한 광고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특성정보는 상기 제2유저의 검색기록, 구매기록, 성향(예를 들어, 광고를 제공하는 장소가 카페인 경우, 제2유저가 즐겨 마시는 음료의 종류 등), 연령대, 성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서버는 제1위치의 매장에서 판매하는 물품 중에서 제2유저가 관심을 가질 가능성이 높은 물품을 제2유저의 검색기록 또는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파악하고, 이에 대한 광고를 추출하여 제2유저의 클라이언트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각의 제2유저에 대한 광고를 개인화하여 제2유저에 대한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제1유저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과금수행과정(S700)의 다른 일실시예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버는 제2유저가 요청한 신청곡의 재생여부에 따라 제2유저에 대한 과금 금액을 달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유저가 광고를 제공받음에 따라 무료로 제1유저의 채널 내 플레이리스트를 들을 수 있는 경우, 제2유저가 플레이리스트에 있는 음악만을 청취하는 경우에는 과금이 되지 않고, 제2유저가 신청곡을 요청하여 신청곡이 재생되면 이에 상응하는 금액을 청구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신청곡의 유형, 종류 등에 따라 과금 금액을 달리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저의 제1위치 진입을 인식하여, 제2유저의 클라이언트의 스트리밍 서비스 종료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유저가 제1유저의 매장에 진입하게 되면, 동일한 음악을 재생하고 있으므로 제2유저의 클라이언트에 의한 재생을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유저의 클라이언트는 제1위치에 상응하는 매장 입구 또는 매장 내에 설치된 비콘으로부터 수신되는 비콘신호를 인식하여 매장 진입을 인식할 수 있다. 서버는 제2유저의 클라이언트로부터 매장 내에 진입하였음을 전달받아서 스트리밍 서비스의 중단을 요청할 수 있다. 다만, 제2유저의 제1위치에 상응하는 매장에 진입여부를 인식하는 방식은 매장 내 비콘에 의한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매장 내 와이파이(Wi-Fi)신호를 인식하는 방식, 제1위치 및 제2위치의 GPS신호를 통해 인식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유저는 매장 진입 후 매장 내에 재생되는 음악을 직접 감상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의 무선통신 데이터 또는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저의 제1위치 진입을 인식하여, 제2유저의 클라이언트에 제1위치에 상응하는 매장의 매장정보 재생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유저가 특정한 매장에 해당하는 제1위치에 진입하는 경우, 서버는 제2유저가 매장의 혜택정보(예를 들어, 쿠폰정보, 할인카드정보 등), 이벤트정보, 인기메뉴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음성 또는 영상으로 생성된 매장정보 미디어의 재생을 제2유저의 클라이언트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저에 의해 선택된 특정한 채널에 상응하는 매장으로 가는 경로정보 또는 이벤트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유저들은 선택한 채널이 매칭된 매장으로 직접 방문을 원할 수 있고, 해당 매장에서 제공하는 이벤트정보를 알기를 원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도 7에서와 같이, 제1위치(즉,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매장의 위치)로 제2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경로를 탐색하여 제2유저의 클라이언트의 지도(500)상에 표시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제2 유저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제1유저의 채널에 대한 신청곡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유저는 본인이 청취하고 싶은 곡 또는 다른 서비스를 통해 청취하고 있는 곡을 주변 사람 또는 제1위치 내에 있는 사람들과 외부장치(예를 들어, 제1위치 내에 배치되어 있는 음향장치 등)를 통해 듣기를 원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서와 같이, 제2유저는 클라이언트 화면 상에 표시된 버튼(예를 들어, 신청곡 버튼(600))를 조작한 후 특정한 신청곡을 입력할 수 있고, 서버는 신청곡 정보를 수신하여 제1유저의 채널 내 플레이리스트에 추가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유저의 설정에 따라, 서버는 제1유저에게 제2유저의 신청곡을 플레이리스트에 추가할 지 여부의 결정을 요청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유저는 원하는 곡을 외부 장치를 통해 청취할 수 있고, 복수의 유저가 제1위치에 대응하는 장소 내에서 함께 청취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1유저의 채널에 특정한 특성을 가지는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S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유저는 특정한 음악 스타일(예를 들어, 음악 장르, 시대, 또는 가수 등)를 정하여 플레이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리스트는 제1유저가 추가하는 곡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유저가 생성한 채널을 선택한 하나 이상의 제2유저의 선호 곡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유저의 선호 곡 리스트 중에서 제1유저의 채널 내 플레이리스트에 누락된 곡이 있으면, 서버는 플레이리스트 내에 추가할 수 있다. 이 때, 서버는 제1유저의 채널 내에 생성된 플레이리스트 내에 부여된 특성에 부합하는 제2유저의 선호 곡만을 추출하여 추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유저의 채널 내 플레이리스트는 계속적으로 업데이트가 될 수 있으며, 제2유저들은 본인이 선호하는 곡 외에 같은 성향의 노래를 좋아하는 다른 제2유저들이 선호하는 곡을 들을 수 있다. 또한, 제1유저는 다수의 제2유저들이 본인이 생성한 채널을 통해 음악 감상을 하도록 함에 따라 매장에 대한 홍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리스트 생성단계(S200)는, 제2유저의 회원등급에 따라, 상기 제2유저의 곡 리스트의 재생빈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2유저는 본인이 선호하는 곡이 자주 재생되기를 원할 수 있다. 서버는 제2유저의 회원등급에 따라 선호 곡이 재생되는 빈도를 달리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주기적으로 특정한 채널에 접속한 하나 이상의 제2유저의 선호 곡 리스트를 획득하여 채널 내 플레이리스트를 변경할 수 있다. 먼저, 서버는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제1유저는 음악 플레이리스트를 포함하는 채널을 음악 감상을 하고자 하는 유저들에게 제공하여, 매장의 홍보를 수행할 수 있다.
둘째, 음악을 감상하는 유저(즉, 제2유저)는 본인이 원하는 음악 스타일이 재생되는 매장을 간편하게 탐색할 수 있다. 특히, 거리를 기반으로 매장을 탐색하여 제공할 수 있어서, 제2유저는 원하는 매장에 방문하여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제2유저는 각 매장의 운영자가 엄선하여 만든 플레이리스트를 감상할 수 있다.
셋째, 스트리밍 서비스 운영자는 매장을 운영하는 제1유저와 음악 감상하는 제2유저를 연결하여 줌에 따라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제2유저에게 제공되는 음악 사이에 광고를 부가함에 따라, 제2유저는 음악을 무료로 감상할 수 있고, 제1유저는 매장 광고를 제2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스트리밍 서비스 운영자는 음악감상 제공에 따른 수익 이외의 광고 제공에 따른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7)

  1.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1유저로부터 특정한 제1위치에 매칭되는 스트리밍 채널 생성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스트리밍 채널 생성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스트리밍 채널을 생성하되, 상기 제1위치는 상기 제1유저에 의해 입력된 특정한 지점의 주소에 상응하는 위치 또는 상기 제1유저의 클라이언트에 제공되는 지도 상에 선택된 위치인, 스트리밍 채널 생성단계;
    제2유저의 요청에 따라, 탐색채널 리스트를 제공하되, 상기 탐색채널은 제2위치에 제공가능한 채널로서, 상기 제2위치로부터 상기 제2유저에게 부여된 등급에 따른 거리범위 내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위치에 매칭된 스트리밍 채널 또는 채널에 매칭된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까지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범위 조건 내인 제1유저의 스트리밍 채널이고, 상기 제2위치는 상기 제2유저의 실시간 위치인, 채널리스트제공단계;
    상기 탐색채널 리스트 중에서 상기 제2유저가 선택한 제1스트리밍 채널의 음악 플레이리스트를 상기 제2유저의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음악 플레이리스트 중에서 상기 제2유저가 선택한 음악에 대한 스트리밍 정보를 상기 제2유저의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는 특정한 매장의 위치에 해당하고,
    상기 제1스트리밍 채널의 음악 플레이리스트는 상기 특정한 매장 내에서 재생되는 음악리스트인,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채널 생성단계는,
    상기 제1유저의 매장에 방문할 가능성이 높은 상기 제2유저의 이동경로에 부합하게 채널 생성 범위를 설정하고,
    상기 채널리스트제공단계는,
    상기 탐색채널이 매칭된 복수의 제1위치를 포함하는 특정한 장소 내에서, 각각의 제1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장소 내 지점 또는 상기 제1위치를 기준으로 형성된 특정범위가 상이함에 따라, 상이한 제2위치에 위치한 복수의 제2유저에게 상이한 탐색채널 리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저의 스트리밍에 대해 과금을 수행하여, 상기 제1스트리밍 채널의 생성을 요청한 상기 제1유저에게 상기 과금된 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저의 음악 스트리밍 중에 상기 제2유저의 클라이언트에 광고를 제공하되, 상기 광고가 음성광고인 경우에는 특정한 재생곡이 재생된 후 다음 재생곡이 재생되기 전에 광고가 제공되고, 상기 광고가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는 상기 제2유저의 클라이언트 화면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제공단계; 및
    상기 제1스트리밍 채널을 선택한 하나 이상의 상기 제2유저에게 광고를 제공한 횟수를 바탕으로, 상기 제1스트리밍 채널의 생성을 요청한 상기 제1유저에게 과금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저의 상기 제1위치 진입을 인식하여, 상기 제2유저의 클라이언트의 스트리밍 서비스 종료를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저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1스트리밍 채널에 대응하는 매장으로 가는 경로정보 또는 이벤트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KR1020170057536A 2017-05-08 2017-05-08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70058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536A KR20170058889A (ko) 2017-05-08 2017-05-08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536A KR20170058889A (ko) 2017-05-08 2017-05-08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프로그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512 Division 2015-11-19 2015-1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889A true KR20170058889A (ko) 2017-05-29

Family

ID=59053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536A KR20170058889A (ko) 2017-05-08 2017-05-08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88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748B1 (ko) 2018-08-27 2019-05-27 양정민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748B1 (ko) 2018-08-27 2019-05-27 양정민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6063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ccess to a media item based at least in part on a route
JP5988500B2 (ja) メディアコンテンツ配置基準の指定
US202103428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user-sponsor interaction in a media environment, including support for shake action
US8196162B2 (en) Video media advertising metadata
KR100587763B1 (ko) 광고가 결합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방법
US101340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media content with music-styled advertisements, including use of tempo, genre, or mood
US7805129B1 (en) Using device content information to influence operation of another device
JP2003533909A (ja) インターネットに基づく情報への音声アクセス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901875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providing information to accessing content
US20130268513A1 (en) Annotations based on hierarchical categories and groups
US20110225496A1 (en) Suggested playlist
KR20120052932A (ko) 콘텐츠 프로비저닝 및 수익 지불
JP2010531626A (ja) モバイルコンテンツの一部に関連するコンテキストデータ及び挙動データに基づくモバイル通信設備へのコンテンツの提供
GB2448874A (en) Context based media recommender
US201302384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on and Networking of at Least Artists, Performers, Entertainers, Musicians, and Venues
EP2577484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nalyzing user preferences to dynamically identify remotely located media for local access
JP6827305B2 (ja) 選択装置、選択方法および選択プログラム
JP2007094560A (ja) サービス提供方法、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装置、サービス提供端末及び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
JP2005038210A (ja) 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ビスサーバ、ユーザ端末装置、店舗端末装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715890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70058889A (ko)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40065611A (ko) 컨텐츠 정보 공유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8751475B2 (en)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earmarks
KR100807526B1 (ko) 콘텐츠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7086733A1 (ko) 위치기반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및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