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6392B1 - 과립형 안료 제제 - Google Patents

과립형 안료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6392B1
KR100896392B1 KR1020037003796A KR20037003796A KR100896392B1 KR 100896392 B1 KR100896392 B1 KR 100896392B1 KR 1020037003796 A KR1020037003796 A KR 1020037003796A KR 20037003796 A KR20037003796 A KR 20037003796A KR 100896392 B1 KR100896392 B1 KR 100896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nules
resin
weight
solvent
pigment pr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3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6790A (ko
Inventor
라트슈라그토마스
쇼엔사비네
Original Assignee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30036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6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3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00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61K8/0225Granula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3/00Manicure or pedicure preparations
    • A61Q3/02Nail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00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 C09D17/004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containing an inorganic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36Pearl essence, e.g. coatings containing platelet-like pigments for pearl lust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6Interference pigments, e.g. Iridescent, Pearlesc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수지, 하나 이상의 효과 안료, 및 선택적으로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과립형 안료 제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립은 20 ℃에서 0.001 내지 40 hPa의 증기압을 갖는 물,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을 3 내지 10 중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과립형 안료 제제{PIGMENT PREPARATION IN GRANULATE FORM}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수지, 하나 이상의 효과 안료, 및 적절하다면 첨가제를 포함하는 과립형 안료 제제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과립은 20 ℃에서 0.001 내지 40 hPa의 증기압을 갖는 물,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을 3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산업적인 공정에서, 안료는 건조 분말 형태로 잘 사용되지 않는데, 이는 이러한 분말이 먼지를 생성시킴으로 인해 작업장의 안전성 측면에 대해 한층 강화된 요건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분말을 플라스틱, 밑칠 시스템 등에 도입할 때 많은 경우, 안료 분말의 응집현상이 관찰된다. 안료가 각각의 매트릭스내에서 균일한 분포를 갖는 것은, 비록 달성하기 불가능하지는 않을지라도 종종 어렵다. 배합물내의 진주빛 광택 안료의 전형적인 광택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결합제중의 진주빛 광택 안료 입자의 매우 균일한 분포 및 배향이 요구된다.
적용시, 안료 과립은 분진에 의한 방해가 현저하게 저하되고 미분의 안료 제제에 비해 우수한 자유-유동 특성을 가짐으로 인해 그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가하 고 있다. 안료를 수지로 추가 처리하면 안료의 성능이 크게 향상된다.
EP 0 134 676 B1 호에는 비분진성 금속 안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페이스트는 유기 결합제 매질 및 금속 안료를 유기 액체 비히클과 혼합시켜 제조된다. 제조 공정의 마지막 단계 이후, 유기 액체 비히클은 응집성 페이스트로부터 제거되며 생성된 고체 덩어리는 입자로 분할된다.
또한, EP 0 803 552 B1 호에는 진주빛 광택 안료, 결합제, 및 적절하다면 추가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용매-부재의 자유-유동 과립이 청구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 기술된 과립은 인쇄용 잉크의 전구체로서 특히 적합하다.
그러나, 제조 공정에서 용매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종래의 과립은, 인쇄용 잉크중에 다시 용해시키는 것이 비교적 어렵고/어렵거나 분산이 더욱 어렵게 된다. 제조될 배합물중의 과립으로부터의 진주빛 광택 안료를 균질화시키기 위해서는 기계력이 요구되며, 이는 이후에 진주빛 광택 안료의 소판들을 붕괴시킬 수 있으므로 안료의 광학 특성에 역효과를 주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매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과립에 비해 결합제 시스템중에서 현저하게 높은 용해 속도를 갖고 전술된 단점을 갖지 않는, 고체 입자 형태의 효과 안료 배합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용 잉크 또는 코팅 물질중에서의, 수지 및 효과 안료(예: 진주빛 광택 안료), 예컨대 수지 및 적절하다면 첨가제를 포함하는 과립 의 용해 속도는, 상기 과립이 용매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대신 정교하게 규정된 양의 용매를 여전히 함유하는 경우, 상당히 증가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효과 안료 및 수지를 포함하고, 적절하다면 첨가제도 포함하는 고체 입자 형태중의 안료 배합물에 관한 것으로, 실온에서 비휘발성인 용매를 3 내지 10 중량%(과립 기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0 ℃에서 0.001 내지 40 hPa의 증기압을 갖는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이 선택된다.
본 발명의 과립은 교반에 의한 결합제 시스템내로의 혼입시 용해 속도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과적으로, 과립을 용해시키는데 더욱 작은 기계력이 필요하므로 제조될 배합물의 후속적인 균질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수성 결합제 시스템내로의 포움의 도입, 및 특히 조질의 안료 부분의 파손 위험성이 상당히 감소된다. 전술된 용매보다 적은 함유량(< 3 중량%)에서는 특히 용매-함유 및 방사성-경화 증량제중의 과립의 용매화 또는 용해도가 크게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과립내 용매 함유량을 정교하게 칭량하면 안료 입자의 습윤화를 더욱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과립은 비분진성의 자유-유동적이고, 종래의 과립에 비해 시판중인 결합제 시스템내로 신속하게 혼입되며, 상기 시스템내에서 혼화성이다. 특히, 생성물은 수성의 용매-함유 및 용매-부재 인쇄용 잉크, 및 코팅 시스템과 혼화성이다. 상기 과립을 사용하여 제조한 잉크 및 코팅 물질은, 그라비어(gravure) 인쇄, 플랙소그래피(flexographic) 인쇄, 스크린 인쇄, 오프셋(offset) 오버프린트 니스(overprint varnish, OPV), 및 산업상 코팅 및 자동차 코팅 분야의 다양한 코팅 시스템에 적합하다. 이들은 또한 플라스틱의 착색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안료 과립은 6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 중량%, 특히 80 내지 90 중량%의 효과 안료를 함유한다.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안료 제제는 80 중량% 초과의 효과 안료 함량을 갖는다. 중량%는 항상 과립을 기준으로 한다.
본원에서 언급되는 효과 안료는 진주빛 광택 안료, 금속성 효과 안료, 투명 및 불투명 층들을 갖는 다층 안료, 홀로그래피(holographic) 안료, BiOCl 및 LCP(liquid crystal polymer, 액정 중합체) 안료이다.
소판형 투명 또는 반투명 기재용 진주빛 광택 안료를 포함하는 과립이 특히 바람직하다. 적합한 상기 기재의 예로는 필로실리케이트, 예컨대 천연 또는 합성 운모 또는 다른 실리카성 물질, 활석, 견운모, 고령토 및 SiO2, 유리, TiO2, 흑연 및 Al2O3 소판이 있다. 소판형 기재의 예로는, 유색 또는 무색 금속 산화물(예: TiO2(금홍석 또는 예추석), Fe2O3, Fe3O4, SnO2, ZrO2, SiO2, Al2O3, Cr2O3, ZnO, CuO, NiO, Ce2O3 및 기타 금속 산화물)과 함께 희토류 금속 설파이드, 예컨대 Ce2S3, 티타늄 아산화물, 티타늄 옥시니트라이드, 슈도브루카이트(pseudobrookite)로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코팅된 하나의 균일한 층 또는 연속 층(다층 안료)의 것들이 있다. 진주빛 광택 안료는 예컨대, 독일 특허 및 특허 출원 제 14 67 468 호, 제 19 59 998 호, 제 20 09 566 호, 제 22 14 454 호, 제 22 15 191 호, 제 22 44 298 호, 제 23 13 331 호, 제 25 22 572 호, 제 31 37 808 호, 제 31 37 809 호, 제 31 51 343 호, 제 31 51 354 호, 제 31 51 355 호, 제 32 11 602 호, 제 32 35 017 호 및 P 38 42 330 호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예컨대 독일 다름슈타트 소재의 메르크(Merck) KGaA로부터의 이리오딘(Iriodin, 등록상표)이라는 상표명하에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운모계 다층 안료는 예컨대 메르크 KGaA 또는 EM 인더스트리즈(EM Industries)에 의해 티미론(Timiron, 등록상표) 스플렌디드 코퍼(Splendid Copper), 티미론(등록상표) 스플렌디드 골드, 티미론(등록상표) 스플렌디드 그린, 이리오딘(등록상표) 솔라골드(solargold) 또는 디크로나(Dichrona, 등록상표) 스플렌디드라는 상표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TiO2-SiO2-TiO2 층 순서를 갖는 운모계 다층 안료가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안료 과립은 TiO2-, Fe2O3- 또는 TiO2/Fe 2O3-코팅된 운모, Al2O3 또는 SiO2 소판을 포함한다. SiO2 소판은 예컨대 WO 93/08237 호(습식-화학적 코팅) 또는 DE-A 196 14 637 호(CVD 공정)에 기술된 바와 같이 코팅될 수 있다. Al2O3 소판은 예컨대 EP 0 763 573 A1 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희토류 금속 설파이드로 코팅된 소판형 물질은 예컨대 DE-A 198 10 317 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별히 공개공보 명세서 EP 0 681 009 A1 호, EP 0 632 110 A1 호, EP 0 634 458 A1 호로부터의 특정 제품, 및 또한 LCP 안료(액정 중합체)를 비롯해, 바스프(BASF)로부터의 배리오크롬(Variocrom, 등록상표) 및 팔리오크롬(Paliocrom, 등록상표) 안료 및 수성 제품을 위해 에카르트(Eckart)에 의해 로토바리오 아쿠아(Rotovario Aqua, 등록상표) 또는 스타파 하이드록살(Stapa Hydroxal, 등록상표)이라는 상표명으로 시판되는 바와 같은, 금속성 효과 안료, 특히 수성 및 용매-함유 시스템을 위해 개질된 알루미늄 플레이크가 적합하다. 바스프로부터의 적합한 효과 안료의 예로는 배리오크롬 ED 1478, 배리오크롬 ED 1479 및 배리오크롬 ED 1480이 있다. 또한,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모든 홀로그래피 안료, 및 또한 금속 층을 갖는 소판형 안료가 적합하다. 이러한 종류의 안료는 그 어느 것보다도 플렉스(flex)에 의해 예컨대 크로마플레어(Chromaflair) 레드/골드 000, 크로마플레어 골드/실버 080, 크로마플레어 그린/퍼플 190 및 크로마플레어 실버/그린 060이라는 상표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입자 크기가 약 11 내지 13 ㎛인 크로마플레어 안료는, 생성된 안료의 뒷따른 간섭색을 생성시키는 다양한 두께의 마그네슘 플루오라이드 층 및 불투명 알루미늄 코어로 이루어진다. 또한, 반투명 크롬 층이 가장 바깥 쪽 층으로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안료 과립은 하나 이상의 효과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많은 경우, 2개 이상의 상이한 효과 안료를 사용함으로써 특별한 색 효과 및 광택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안료 과립은 1개 또는 2개, 또는 그 밖에 3개의 효과 안료, 특히 운모 및/또는 SiO2 소판계 안료를 포함한다. 또한, 과립을 기준으로 10 중량% 이하의 유기 및 무기 안료를 갖는 효과 안료의 블렌드가 가능하며, 이 경우 안료의 총량은 과립을 기준으로 90 중량%를 초과할 수 없다. 색 플롭(flop)은 블렌딩에 의해 크게 의도된 방법으로 세팅된다. 구체적으로는, 하나 이상의 염료 및/또는 유기 안료를 분산형으로 첨가하면 특정 색 효과가 유도된다. 또한, 생성물을 규명할 수 있는 물질 및 입자(추적자)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과립은 안료 과립을 기준으로 4.5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25 중량%, 특히 4.5 내지 20 중량%의 수지 또는 수지 혼합물을 함유한다. 사용된 수지 또는 수지 혼합물의 산가는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350, 특히 120 내지 280,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70이다.
적합한 수지로는,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효과 안료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천연, 반합성 및 완전 합성 수지 또는 수지 혼합물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이것으로는 케톤 수지, 알데하이드 수지, 셀룰로스 및 셀룰로스 유도체, 예컨대 알킬셀룰로스, 하이드록시셀룰로스,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스, 셀룰로스 아세토부티레이트, 셀룰로스 니트레이트, 로진,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알키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폴리테르펜, 폴리비닐,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우레아, 방향족 포름알데하이드 수지, 카밤산, 설폰아미드 및 설포 폴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과립은, 사용된 수지가 개질된 로진, 특히 스티렌- 및/또는 말레산-개질된 로진, 케톤 및 알데하이드 수지, 셀룰로스 및/또는 셀룰로스 유도체, 설포 폴리에스테르, 스티렌-개질된 말레에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또는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및 스티렌-개질된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에 우수한 분산성 및 재분산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카복실 그룹을 갖는 로진, 예컨대 말레산- 또는 푸마르산-개질된 로진이 특히 바람직하다. 개질된 로진은 시장에서 널리 입수가능하며, 예컨대 크래머(Kraemer)에 의해 에르카마르(Erkamar)라는 상표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또한, 예컨대 모톤(Morton)에 의해 모레츠(Morez)라는 상표명으로 시판되는 스티렌-개질된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과립의 핵심 구성성분은, 본 발명의 과립중에 3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이다. 과립은 이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5 중량%, 특히 3 내지 5.0 중량%의 용매를 함유한다. 과립중의 용매 성분은 각각의 경우 사용된 수지 시스템에 적절하게 채택되어야만 한다. 제조를 위해, 물 및 또한 모든 비휘발성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한 용매의 예로는 방향족 용매, 예컨대 톨루엔, 석유 알콜, 크실렌, 광유, 식물유, 글리콜 에테르, 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또는 디올,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에테르 디올, 탄소수 2 내지 6의 지방족 트리올 및 테트라올, 예컨대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1,2,4-부탄트리올 및 1,2,6-헥산트리올, 알콜, 케톤, 에스테르, 및 다른 부류의 화합물로부터의 기타 모든 용매, 또는 전술된 용매중 2개 또는 3개의 혼합물이 있다.
비점이 35 ℃ 초과, 특히 70 ℃ 초과인 용매가 특히 바람직하다. 중간 또는 높은 점도의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과 쉽게 혼화될 수 있는 용매가 특히 바람직하다. 용매 성분은 제조시 20 ℃에서 0.001 내지 40 hPa, 특히 0.001 내지 30 hPa의 증기압을 갖는 1개 이상의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한 용매로는 물, 폴리알킬렌 글리콜, 글리콜 에테르, 디올, 탄소수 2 내지 6의 지방족 트리올, 글리세롤, 1,2,4-부탄트리올, 1,2,6-헥산트리올 또는 전술된 용매중 2개 또는 3개의 혼합물이 있다. 적합한 용매의 증기압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또는 문헌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71st Edition, 1990-1991, David R. Lide, CRC Press, chapter 6-48"을 참고하여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폴리알킬렌 글리콜, 톨루엔(29 hPa), 크실렌(10 hPa), 1,2-에탄디올(0.053 hPa), 1,2,3-헥산트리올(0.01 hPa), 1,2,3-프로판트리올(0.001 hPa) 및 물(23 hPa)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물은 용해된 소르비톨 또는 우레아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글리콜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0.1 hPa) 및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0.8 hPa)가 있다(상기 각각의 괄호에 지시된 20 ℃에서의 증기압은 문헌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에 기인한다).
추가 성분으로서, 과립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중화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적합한 제제로는 코팅 분야에서 통용되는 베이스, 예컨대 우레아, 우레아 유도체, 암모니아, 아미노 알콜(예: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수산화 알칼리 금속(예: KOH 또는 NaOH), 아민이 있으며, 여기서 아민은 수성 제품용 과립인 경우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비휘발성이거나 낮은 휘발성을 갖는 저분자 질량의 유기 아민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안료 과립은 이를 기준으로 0.05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 중량%, 특히 1.5 내지 5 중량%의 중화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과립은 추가 성분으로서 0.05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6 중량%, 특히 0.05 내지 3 중량%의 개질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된 개질제는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또는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유도체이며, 그의 목적은 과립의 강도 및 또한 그의 혼화성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필요하다면, 재분산제를 섬유 또는 구형 입자와 같은 거대 입자 형태로 첨가하면, 예컨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처리된 효과 안료가 입체 반발력의 결과로서 확인가능할 정도로 서로의 상부에 놓여져 강한 흡착력이 발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효과는, 본 발명의 과립이 더욱 안정적이며, 과립이 페인트, 인쇄용 잉크 또는 코팅 시스템내로 도입된 후 효과 안료가 더욱 서서히(일부 경우에는 매우 서서히) 침강되고, 임의의 경우 침전물이 덜 단단하며, 또한 침전물이 재교반될 경우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데 있다.
재분산제는 과립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 0 내지 5 중량%, 특히 0.05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0.1 내지 20 ㎛ 섬유 길이의 모든 유기 및 무기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합한 입자로는 모든 합성 섬유(예: 폴리에틸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아미드 섬유), 셀룰로스 섬유, 무기 섬유가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규소 화합물, 유리 섬유, 및 특히 개질된 이소시아네이트와 모노아민 및 디아민의 축합 생성물도 포함된다. 디우레아 유도체, 및 우레탄 그룹을 함유하는 아미노 우레아를 포함하는 이들 축합 생성물은, 요변제(thixotropic agent)로서 공지되어 있으며 결합제와 함께 페인트 및 코팅 물질에 첨가되어 흐름성(running property)과 붓칠성(brushability)을 개선시킨다.
재분산제로서는 예컨대 EP 0 198 519 호 및 문헌 "Organic Coatings: Science and Technology, A. Heenriga, P.J.G. von Hemsbergen, pp.201-222, New York 1983"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모든 디우레아 유도체 및 우레탄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특히 적합한 구형 물질은 비닐 수지, 나일론, 실리콘, 에폭시 수지, 올리핀 수지, 폴리스티렌 및 무기 물질(예: TiO2, SiO2 또는 ZrO2)로 제조된 공동(hollow) 유리, 왁스 또는 중합체 비드(bead)이다. 입자 크기가 0.05 내지 150 ㎛인, 공동 비드뿐만 아니라 솔리드(solid) 비드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과립에서는 공동 유리, 왁스 또는 중합체 비드를 사용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입자 크기가 3 내지 10 ㎛인 SiO2의 구형 입자는, 예컨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용 물질로서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FRG 다름슈타트 소재의 메르크 KGaA의 리크로스퍼(LiChrospher, 등록상표)로서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물질은 단순분산의 형태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즉, 실질적으로 균일한 입자 크기를 가진다. 이 유형의 SiO2, TiO2 및 ZrO2계 단순분산성 구형 입자가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단순분산성 SiO2는 EP 0 216 278 B1 호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공동 유리 비드 는 예컨대 미국 PQ 코포레이션(PQ Corporation)의 큐-셀(Q-CEL), 또는 FRG 프랑크푸르트 소재의 3M의 스카치라이트(Scotchlite)라는 상표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립은 표면-활성 물질, 예컨대 작용기를 추가로 함유할 수도 있는 알킬실란, 또는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또는 형광계면활성제(fluorosurfactant)를 포함할 수 있다. 표면-활성 물질로서는 식 (CnH2n+1)Si(OCmH2m+1)3(여기서, n은 1 내지 30이고 m은 1 내지 10이다)의 실란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적합한 실란 화합물의 예로는 n-헥실데실트리에톡시실란, n-옥틸-데실트리에톡시실란(독일 프랑크푸르트 소재의 데구사 아게(Degussa AG)로부터의 Si 116 및 Si 118), 및 또한 상응하는 플루오로알킬-실란이 있다.
표면-활성 물질로서, 또한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 예컨대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및 리놀레산뿐만 아니라 지방산 혼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표면-활성 시약은 실란, 지방산 및/또는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과립은 안료를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3 중량%, 특히 0.5 내지 2 중량%의 표면-활성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과립을 제조하기 위해, 안료, 수지 및/또는 수지 혼합물, 그리고 존재한다면 첨가제도 용매와 혼합된다. 제조 초기의 용매 분율은 20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중량%이다. 과립의 제조 과정중, 수지 및/또는 수지 혼합물,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추가의 첨가제도 안료에 첨가되기 전에 용매와 미리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과립화에 필요한 물질과 안료 사이에 강한 접착을 생성시킴과 동시에 안료 표면을 더욱 균일하게 덮는다. 후속적으로, 이 혼합물은 온건하게 균질화된다.
바람직하게, 안료는 개시 충전제로서 도입되고, 수지를 함유하는 용매와 함께 우선 교반하에 반죽되고(paste up), 필요하다면 이 단계에서 개질제와 함께 실시되며; 후속적으로는 용매 및 첨가제로 구성된 추가 용매가 첨가된다.
이 생성 과정중 또는 이후에는, 상기 안료 제제에 추가의 통상의 첨가제가 첨가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소포제, 습윤제, 침강방지제(anti-settling agent), 레벨링제(levelling agent), 유화제, 건조제 또는 요변제가 있다. 이들은 코팅 산업에서의 통상적인 보조제이며, 본 발명의 과립중에 0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는 특히 숙시네이트 유도체가 언급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헨켈(Henkel)에 의해 하이드로팔라트(Hydropalat) 875라는 상표명으로 시판되는 것이 있다.
과립을 제조하기 위해, 습식 안료 제제는 제외되거나, 또는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다른 방법들, 예컨대 정제화, 단광화(briquetting), 펠렛화, 과립화, 분사-과립화 또는 유동층 과립화에 의해 조밀 입자 형태로 압착된 후, 정교하게 제어된 조건하에서 건조된다. 상기 건조 과정에서 과립의 용매 함량이 지속적으로 측정된다. 사용된 용매에 따라, 건조 공정은 60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20 ℃에서 실시되며, 적절하게는 감압하에서,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 밀리바하에서 실시될 수 있다. 건조 기간은 건조시킬 제제의 배치 크기, 건조 과정에서의 그의 처리량, 및 사용된 용매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는 0.5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8시간이다. 과립의 잔여 용매 수분 함량이 3 중량% 이상, 10 중량% 이하가 되자 마자 건조 공정은 중단된다. 최종적으로, 과립은 필요에 따라 분류된다.
본원에 사용된 "과립"라는 용어는 가능한 모든 고체 입자 형태, 예컨대 펠렛형, 칩형, 연탄형(briquette), 정제형 등을 포함한다. 과립의 입자 크기는 0.1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 특히 0.1 내지 6 ㎜이다.
제조 공정에서의 잔여 용매 수분 함량의 측정은, 적외선을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사르토리우스(Sartorius) MA 30 수분 분석기를 사용하여 실시된다. 눈금-보정에 따라 수분 함량이 측정된다. 추가로 용해도 증강제(enhancer)가 측정되어질 경우에는 시차 칭량의 원리에 따라 이루어지는데, 이는 상기 측정될 물질이 미리 눈금-보정된 온도 이상에서 물과 함께 방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중합체 물질/수지의 분획물 및 효과 안료만 남는다.
사르토리우스 MA 30 수분 분석기를 사용하여 수분 함량을 측정할 경우, 결과의 도출을 위해 하기 조건이 선택될 수 있다:
초기 시료 질량: 4 내지 5 g의 비연마된 물질
온도: 135 내지 160 ℃
시간 설정: 12 내지 20분
결과 표시: 0 내지 100 %(용매 함량)
본 발명의 과립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인쇄 분야에서부터, 특히 오버프린트 바니슁, 오프셋 오버프린트 바니슁, 그라비어, 플랙소그래피 및 스크린 인쇄의 코팅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코팅 물질에 대한 전구체로서의 과립은 목적하는 임의의 기재 물질, 예컨대 금속(예: 철, 스틸, 알루미늄, 구리, 청동), 플라스틱, 놋쇠 및 금속박뿐만 아니라 유리, 세라믹 또는 콘크리트, 나무, 예컨대 가구, 점토, 텍스타일, 종이, 포장재, 예컨대 플라스틱 용기에 적용되며, 필름 또는 판, 또는 장식용 및/또는 보호용 기타 물질에도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과립은 보안 특징을 생성하기 위한 배합물에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페인트, 인쇄용 잉크, 보안 인쇄용 잉크, 코팅 물질, 분말 코팅 물질, 산업용 및 자동차용 코팅과 같은 배합물, 플라스틱 및 화장품에서의 본 발명의 과립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고자 함이지 이를 제한하고자 함이 아니다.
실시예 1
1.1 과립화 용액의 제조
50 ℃에서 탈이온수(DI water) 260.0 g을 초기 충전재로서 도입하고, 로크라마르(Rokramar) 2150 과립화 수지(크뢰머(Kraamer)로부터의 개질된 로진) 72 g을 4-패들(paddle) 교반기를 사용하여 혼입시킨다. 그 다음, 25 % 암모니아 용액 17 g을 서서히 첨가하고, 혼합물을 과립화 수지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다. 이 후 44 g의 (메르크 KGaA로부터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을 교반하에 첨가한 후, 5분 동안 교반한다.
1.2 과립의 제조
과립을 제조하기 위해, 철저하게 혼합해야 한다. 1 kg 규모로, 에리크(Eirich) R02 혼합기를 사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607 g의 이리오딘(등록상표) 231(독일 메르크 KGaA로부터의 입자 크기 5 내지 25 ㎛의 TiO2/운모 안료)을 혼합 용기내에 위치시키고, 실시예 1.1로부터의 과립화 용액 393 g을 서서히 첨가한다. 혼합물을 균질하게 혼합한다. 습윤 혼합물을 에리크로부터의 TR 01 과립화 판 상에서 과립화한다. 잔여 수분 함량이 3 중량% 미만으로 내려가지 않게 하면서, 습윤의 과립화 혼합물을 0.5 내지 4시간 동안 80 내지 120 ℃에서 유동층 건조기에서 건조시켰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과립을 먼저 메시(mesh) 크기 2 ㎜의 체를 통과시켜 굵은 분획물로부터 분리시킨 후, 400 ㎛의 체를 사용하여 분류함으로써 미세한 분획물로부터 분리시킨다. 건조 과정에서의 과립의 용매 함량을 사르토리우스 MA 30 수분 분석기를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결과의 도출을 위해 하기 조건이 선택되었다:
초기 시료 질량: 4 내지 5 g의 비연마된 물질
온도: 160 ℃
시간 설정: 20분
결과 표시: 0 내지 100 %(용매 함량)
생성물은 내마모성이고 치수적으로 안정하며, 예컨대 통상적인 용매-부재의 자유-라디칼(free-radically) UV-경화 레오플렉스 증량제 니스(UV-curing Rayoflex extender varnish)인 하르트만 드루크파르벤(Hartmann Druckfarben)으로부터의 11 HF 60(UV 니스), 및 하르트만 드루크파르벤으로부터의 용매-함유의 증량제 니스 햅토본드(Haptobond) CT 105(용매로서 에탄올을 갖는 니트로셀룰로스에 기초함)와 혼화성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과립은 또한 상기 인쇄용 잉크 시스템내로의 교반에 의한 혼입시 높은 용해 속도를 나타낸다.
실시예 2
2.1 과립화 용액의 제조
50 ℃에서 탈이온수 256.4 g을 초기 충전재로서 도입하고, 모레츠(Morez) 300 과립화 수지(모톤(Morton)으로부터의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66 g을 4-패들 교반기를 사용하여 혼입시킨다. 그 다음, 75 %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용액 36.6 g을 서서히 첨가하고, 혼합물을 과립화 수지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다. 이 후 44 g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을 교반하에 첨가한 후, 5분 동안 300 rpm으로 교반한다.
2.2 과립의 제조
597 g의 이리오딘(등록상표) 231(메르크 KGaA로부터의 입자 크기 5 내지 25 ㎛의 TiO2/운모 안료)을 혼합 용기내에 위치시키고, 과립화 용액 403 g을 서서히 첨 가한다. 혼합물을 균질하게 혼합한다. 습윤 혼합물을 에리크로부터의 TR 01 과립화 판 상에서 과립화한다. 잔여 수분 함량이 3 중량% 미만으로 내려가지 않게 하면서, 습윤의 과립화 혼합물을 0.5 내지 4시간 동안 80 내지 120 ℃에서 유동층 건조기에서 건조시켰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과립을 먼저 메시 크기 2 ㎜의 체를 통과시켜 굵은 분획물로부터 분리시킨 후, 400 ㎛의 체를 사용하여 분류함으로써 미세한 분획물로부터 분리시킨다. 건조 과정에서의 과립의 용매 함량을 사르토리우스 MA 30 수분 분석기를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결과의 도출을 위해 하기 조건이 선택되었다:
초기 시료 질량: 4 내지 5 g의 비연마된 물질
온도: 135 ℃
시간 설정: 12분
결과 표시: 0 내지 100 %(용매 함량)
수득된 과립은 4±0.5 중량%의 잔여 수분 함량을 가지며, 내마모성이고, 치수적으로 안정하고, 혼화성이고, 바일버거 라크파브릭(Weilburger Lackfabrik)으로부터의 수성 오프셋 오버프린트 니스 350081중에 쉽게 용해될 수도 있다.
실시예 3
3.1 과립화 용액의 제조
50 ℃에서 탈이온수 256.4 g을 초기 충전재로서 도입하고, 모레츠 300 과립화 수지 66 g을 4-패들 교반기를 사용하여 혼입시킨다. 그 다음, 75 %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용액 36.6 g을 서서히 첨가하고, 혼합물을 과립화 수지가 완전 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다. 이 후 44 g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을 교반하에 첨가한 후, 5분 동안 300 rpm으로 교반한다.
3.2 과립의 제조
597 g의 이리오딘(등록상표) 103(독일 다름슈타트 소재의 메르크 KGaA로부터의 입자 크기 10 내지 60 ㎛의 TiO2/운모 안료)을 도입하고, 과립화 용액 403 g을 서서히 첨가한다. 300 내지 500 rpm의 속도에서, MK 케미칼스(MK Chemicals)로부터의 솔칼러(Solcolor) 그린(CI PG 7) 안료 제제 19.5 g을 또한 첨가한다. 혼합물을 균질하게 혼합한다. 습윤 혼합물을 에리크로부터의 TR 01 과립화 판 상에서 과립화한다. 잔여 수분 함량이 3 중량% 미만으로 내려가지 않게 하면서, 습윤의 과립화 혼합물을 0.5 내지 4시간 동안 80 내지 120 ℃에서 유동층 건조기에서 건조시켰다. 해당 색채적 특성을 갖는 녹색조의 진주빛 광택 과립이 수득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과립을 먼저 메시 크기 2 ㎜의 체를 통과시켜 굵은 분획물로부터 분리시킨 후, 400 ㎛의 체를 사용하여 분류함으로써 미세한 분획물로부터 분리시킨다.
생성물은 4±0.5 중량%의 잔여 수분 함량을 가지며, 내마모성이고, 치수적으로 안정하고, 혼화성이고, 바일버거 라크파브릭으로부터의 통상의 오프셋 오버프린트 니스 350081중에 쉽게 용해될 수도 있다.
실시예 4
4.1 과립화 용액의 제조
50 ℃에서 탈이온수 256.4 g을 초기 충전재로서 도입하고, 모레츠 300 과립 화 수지 66 g을 4-패들 교반기를 사용하여 혼입시킨다. 그 다음, 75 %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용액 36.6 g을 서서히 첨가하고, 혼합물을 과립화 수지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다. 이 후 44 g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을 교반하에 첨가한 후, 5분 동안 300 rpm으로 교반한다.
4.2 과립의 제조
597 g의 이리오딘(등록상표) 103을 도입하고, 과립화 용액 403 g을 서서히 첨가한다. 300 내지 500 rpm의 속도에서, MK 케미칼스로부터의 솔칼러 옐로우(CI PY 83) 안료 제제 19.5 g을 또한 첨가한다. 혼합물을 균질하게 혼합한다.
습윤 혼합물을 에리크로부터의 TR 01 과립화 판 상에서 과립화한다. 잔여 수분 함량이 3 중량% 미만으로 내려가지 않게 하면서, 습윤의 과립화 혼합물을 0.5 내지 4시간 동안 80 내지 120 ℃에서 유동층 건조기에서 건조시켰다. 해당 색채적 특성을 갖는 황색조의 진주빛 광택 과립이 수득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과립을 먼저 메시 크기 2 ㎜의 체를 통과시켜 굵은 분획물로부터 분리시킨 후, 400 ㎛의 체를 사용하여 분류함으로써 미세한 분획물로부터 분리시킨다.
과립은 4±1 중량%의 잔여 수분 함량을 가지며, 내마모성이고, 치수적으로 안정하고, 혼화성이고, 바일버거 라크파브릭으로부터의 통상의 수성 오프셋 오버프린트 니스 350081중에 쉽게 용해될 수도 있다.
실시예 5
5.1 과립화 용액의 제조
50 ℃에서 탈이온수 256.4 g을 초기 충전재로서 도입하고, 모레츠 300 과립 화 수지(모톤으로부터의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66 g을 4-패들 교반기를 사용하여 혼입시킨다. 그 다음, 75 %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용액 36.6 g을 서서히 첨가하고, 혼합물을 과립화 수지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다. 이 후 44 g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을 교반하에 첨가한 후, 5분 동안 300 rpm으로 교반한다.
5.2 과립의 제조
과립을 제조하기 위해, 철저하게 혼합해야 한다. 1 kg 규모로, 에리크 R02 혼합기를 사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597 g의 바스프 아게로부터의 팔리오크롬(Paliocrom, 등록상표) 골드 L2002를 혼합 용기내에 위치시키고, 과립화 용액 403 g을 서서히 첨가한다. 혼합물을 균질하게 혼합한다. 습윤 혼합물을 에리크로부터의 TR 01 과립화 판 상에서 과립화한다. 잔여 수분 함량이 3 중량% 미만으로 내려가지 않게 하면서, 습윤의 과립화 혼합물을 0.5 내지 4시간 동안 80 내지 120 ℃에서 유동층 건조기에서 건조시켰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과립을 먼저 메시 크기 2 ㎜의 체를 통과시켜 굵은 분획물로부터 분리시킨 후, 400 ㎛의 체를 사용하여 분류함으로써 미세한 분획물로부터 분리시킨다.
건조 과정에서의 과립의 용매 함량을 사르토리우스 MA 30 수분 분석기를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결과의 도출을 위해 하기 조건이 선택되었다:
초기 시료 질량: 4 내지 5 g의 비연마된 물질
온도: 135 ℃
시간 설정: 12분
결과 표시: 0 내지 100 %(용매 함량)
수득된 과립은 5±0.5 중량%의 잔여 수분 함량을 가지며, 내마모성이고, 치수적으로 안정하고, 혼화성이고, 바일버거 라크파브릭으로부터의 수성 오프셋 오버프린트 니스 350081중에 쉽게 용해될 수도 있다.
실시예 6
6.1 과립화 용액의 제조
50 ℃에서 탈이온수 260.0 g을 초기 충전재로서 도입하고, 로크라마르 2150 과립화 수지(크뢰머로부터의 개질된 로진) 72 g을 패들 교반기를 사용하여 혼입시킨다. 그 다음, 25 % 암모니아 용액 17 g을 서서히 첨가하고, 혼합물을 과립화 수지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다. 이 후 44 g의 (메르크 KGaA로부터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을 교반하에 첨가한 후, 5분 동안 교반한다.
6.2 과립의 제조
과립을 제조하기 위해, 철저하게 혼합해야 한다. 1 kg 규모로, 에리크 R02 혼합기를 사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607 g의 칼러스트림(Colorstream, 등록상표) 오톰 미스테리(Autumn Mystery)(독일 메르크 KGaA로부터의 입자 크기 5 내지 40 ㎛의 Fe2O3-코팅된 SiO2 소판)를 혼합 용기내에 위치시키고, 실시예 6.1로부터의 과립화 용액 393 g을 서서히 첨가한다. 혼합물을 균질하게 혼합한다. 습윤 혼합물을 에리크로부터의 TR 01 과립화 판 상에서 과립화한다. 잔여 수분 함량이 3 중량% 미만으로 내려가지 않게 하면서, 습윤의 과립화 혼합물을 0.5 내지 4시간 동안 80 내지 120 ℃에서 유동층 건조기에서 건조시켰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과립을 먼저 메시 크기 2 ㎜의 체를 통과시켜 굵은 분획물로부터 분리시킨 후, 400 ㎛의 체를 사용하여 분류함으로써 미세한 분획물로부터 분리시킨다.
생성물은 내마모성이고, 치수적으로 안정하고, 예컨대 통상적인 용매-부재의 자유-라디칼 UV-경화 레오플렉스 증량제 니스인 하르트만 드루크파르벤으로부터의 11 HF 60(UV 니스), 및 하르트만 드루크파르벤으로부터의 용매-함유의 증량제 니스 햅토본드 CT 105(용매로서 에탄올을 갖는 니트로셀룰로스에 기초함)와 혼화성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과립은 또한 상기 인쇄용 잉크 시스템내으로의 교반에 의한 혼입시 높은 용해 속도를 나타낸다.
실시예 7
7.1 과립화 용액의 제조
50 ℃에서 탈이온수 256.4 g을 초기 충전재로서 도입하고, 모레츠 300 과립화 수지(모톤으로부터의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66 g을 4-패들 교반기를 사용하여 혼입시킨다. 그 다음, 75 %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용액 36.6 g을 서서히 첨가하고, 혼합물을 과립화 수지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다. 이 후 44 g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을 교반하에 첨가한 후, 5분 동안 300 rpm으로 교반한다.
7.2 과립의 제조
플렉스로부터의 크로마플레어 실버/그린 060 효과 안료(입자 크기가 11 내지 13 ㎛인, MgF2 층과 Cr 외부층을 갖는 알루미늄 물질) 597 g을 혼합 용기내에 위치 시키고, 실시예 7.1로부터의 과립화 용액 403 g을 서서히 첨가한다. 혼합물을 균질하게 혼합한다. 습윤 혼합물을 에리크로부터의 TR 01 과립화 판 상에서 과립화한다. 잔여 수분 함량이 3 중량% 미만으로 내려가지 않게 하면서, 습윤의 과립화 혼합물을 0.5 내지 4시간 동안 80 내지 120 ℃에서 유동층 건조기에서 건조시켰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과립을 먼저 메시 크기 2 ㎜의 체를 통과시켜 굵은 분획물로부터 분리시킨 후, 400 ㎛의 체를 사용하여 분류함으로써 미세한 분획물로부터 분리시킨다. 건조 과정에서의 과립의 용매 함량을 사르토리우스 MA 30 수분 분석기를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결과의 도출을 위해 하기 조건이 선택되었다:
초기 시료 질량: 4 내지 5 g의 비연마된 물질
온도: 135 ℃
시간 설정: 12분
결과 표시: 0 내지 100 %(용매 함량)
수득된 과립은 4±0.5 중량%의 잔여 수분 함량을 가지며, 내마모성이고, 치수적으로 안정하고, 혼화성이고, 바일버거 라크파브릭으로부터의 수성 오프셋 오버프린트 니스 350081중에 쉽게 용해될 수도 있다.
실시예 8
8.1 과립화 용액의 제조
50 ℃에서 탈이온수 256.4 g을 초기 충전재로서 도입하고, 모레츠 300 과립화 수지(모톤으로부터의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66 g을 4-패들 교반기를 사용하여 혼입시킨다. 그 다음, 75 %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용액 36.6 g을 서서히 첨 가하고, 혼합물을 과립화 수지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다. 이 후 44 g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을 교반하에 첨가한 후, 5분 동안 300 rpm으로 교반한다.
8.2 과립의 제조
597 g의 바스프 아게로부터의 배리오크롬 ED 1478을 혼합 용기내에 위치시키고, 과립화 용액 403 g을 서서히 첨가한다. 혼합물을 균질하게 혼합한다. 습윤 혼합물을 에리크로부터의 TR 01 과립화 판 상에서 과립화한다. 잔여 수분 함량이 3 중량% 미만으로 내려가지 않게 하면서, 습윤의 과립화 혼합물을 0.5 내지 4시간 동안 80 내지 120 ℃에서 유동층 건조기에서 건조시켰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과립을 먼저 메시 크기 2 ㎜의 체를 통과시켜 굵은 분획물로부터 분리시킨 후, 400 ㎛의 체를 사용하여 분류함으로써 미세한 분획물로부터 분리시킨다.
건조 과정에서의 과립의 용매 함량을 사르토리우스 MA 30 수분 분석기를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결과의 도출을 위해 하기 조건이 선택되었다:
초기 시료 질량: 4 내지 5 g의 비연마된 물질
온도: 135 ℃
시간 설정: 12분
결과 표시: 0 내지 100 %(용매 함량)
수득된 과립은 4±0.5 중량%의 잔여 수분 함량을 가지며, 내마모성이고, 치수적으로 안정하고, 혼화성이고, 바일버거 라크파브릭으로부터의 수성 오프셋 오버프린트 니스 350081중에 쉽게 용해될 수도 있다.
실시예 9
9.1 과립화 용액의 제조
50 ℃에서 탈이온수 256.4 g을 초기 충전재로서 도입하고, 모레츠 300 과립화 수지(모톤으로부터의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66 g을 4-패들 교반기를 사용하여 혼입시킨다. 그 다음, 75 %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용액 36.6 g을 서서히 첨가하고, 혼합물을 과립화 수지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다. 이 후 44 g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을 교반하에 첨가한 후, 5분 동안 300 rpm으로 교반한다.
9.2 과립의 제조
597 g의 에카르트로부터의 610 0 010 논-리핑 실버(Non-Leafing Silver)(아크릴계)(입자 크기 D50=8 ㎛의 알루미늄 효과 안료)를 혼합 용기내에 위치시키고, 과립화 용액 403 g을 서서히 첨가한다. 혼합물을 균질하게 혼합한다. 습윤 혼합물을 에리크로부터의 TR 01 과립화 판 상에서 과립화한다. 잔여 수분 함량이 3 중량% 미만으로 내려가지 않게 하면서, 습윤의 과립화 혼합물을 0.5 내지 4시간 동안 80 내지 120 ℃에서 유동층 건조기에서 건조시켰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과립을 먼저 메시 크기 2 ㎜의 체를 통과시켜 굵은 분획물로부터 분리시킨 후, 400 ㎛의 체를 사용하여 분류함으로써 미세한 분획물로부터 분리시킨다.
건조 과정에서의 과립의 용매 함량을 사르토리우스 MA 30 수분 분석기를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결과의 도출을 위해 하기 조건이 선택되었다:
초기 시료 질량: 4 내지 5 g의 비연마된 물질
온도: 135 ℃
시간 설정: 12분
결과 표시: 0 내지 100 %(용매 함량)
수득된 과립은 4±0.5 중량%의 잔여 수분 함량을 가지며, 내마모성이고, 치수적으로 안정하고, 혼화성이고, 바일버거 라크파브릭으로부터의 수성 오프셋 오버프린트 니스 350081중에 쉽게 용해될 수도 있다.
실시예 10
10.1 과립화 용액의 제조
50 ℃에서 탈이온수 260.0 g을 초기 충전재로서 도입하고, 로크라마르 2150 과립화 수지(크뢰머로부터의 개질된 로진) 72 g을 4-패들 교반기를 사용하여 혼입시킨다. 그 다음, 25 % 암모니아 용액 17 g을 서서히 첨가하고, 혼합물을 과립화 수지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다. 이 후 44 g의 (메르크 KGaA로부터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을 교반하에 첨가한 후, 5분 동안 교반한다.
10.2 과립의 제조
607 g의 메르크 KGaA 또는 EM 인더스트리즈로부터의 티미론(등록상표) 스플렌디드 골드(입자 크기가 10 내지 60 ㎛인, 교차하는 SiO2와 TiO2층을 갖는 운모계 다층 안료)를 혼합 용기내에 위치시키고, 실시예 10.1로부터의 과립화 용액 393 g을 서서히 첨가한다. 혼합물을 균질하게 혼합한다. 습윤 혼합물을 에리크로부터의 TR 01 과립화 판 상에서 과립화한다. 잔여 수분 함량이 3 중량% 미만으로 내려가지 않게 하면서, 습윤의 과립화 혼합물을 0.5 내지 4시간 동안 80 내지 120 ℃에 서 유동층 건조기에서 건조시켰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과립을 먼저 메시 크기 2 ㎜의 체를 통과시켜 굵은 분획물로부터 분리시킨 후, 400 ㎛의 체를 사용하여 분류함으로써 미세한 분획물로부터 분리시킨다. 건조 과정에서의 과립의 용매 함량을 사르토리우스 MA 30 수분 분석기를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결과의 도출을 위해 하기 조건이 선택되었다:
초기 시료 질량: 4 내지 5 g의 비연마된 물질
온도: 160 ℃
시간 설정: 20분
결과 표시: 0 내지 100 %(용매 함량)
생성물은 내마모성이고 치수적으로 안정하며, 예컨대 통상적인 용매-부재의 자유-라디칼 UV-경화 레오플렉스 증량제 니스인 하르트만 드루크파르벤으로부터의 11 HF 60(UV 니스), 및 하르트만 드루크파르벤으로부터의 용매-함유의 증량제 니스 햅토본드 CT 105(용매로서 에탄올을 갖는 니트로셀룰로스계)와 혼화성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과립은 또한 상기 인쇄용 잉크 시스템내로의 교반에 의한 혼입시 높은 용해 속도를 나타낸다.
실시예 11
11.1 과립화 용액의 제조
231.1 g의 이스텍(Eastek) 1300(수중 30 % 설포 폴리에스테르 분산액, pH=6, 밀도: 1.08 g/㎤, MFT: 12 ℃)을 초기 충전재로서 도입하고, 탈이온수 144.3 g을 4-패들 교반기를 사용하여 혼입시킨다. 이 용액을 효과 안료 과립의 제조를 위한 과립화 용액으로서 사용한다.
11.2 과립의 제조
624.6 g의 메르크 KGaA로부터의 이리오딘(등록상표) 231을 혼합 용기내에 위치시키고, 실시예 11.1로부터의 과립화 용액 375.4 g을 서서히 첨가한다. 혼합물을 균질하게 혼합한다. 습윤 혼합물을 에리크로부터의 TR 01 과립화 판 상에서 과립화한다. 잔여 수분 함량이 3 중량% 미만으로 내려가지 않게 하면서, 습윤의 과립화 혼합물을 0.5 내지 4시간 동안 80 내지 120 ℃에서 유동층 건조기에서 건조시켰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과립을 먼저 메시 크기 2 ㎜의 체를 통과시켜 굵은 분획물로부터 분리시킨 후, 400 ㎛의 체를 사용하여 분류함으로써 미세한 분획물로부터 분리시킨다.
수득된 과립은 내마모성이고, 치수적으로 안정하고, 혼화성이고, 바일버거 라크파브릭으로부터의 수성 오프셋 오버프린트 니스 350081중에 쉽게 용해될 수도 있다.
실시예 12: 페인트
하기로 이루어진 배합물:
3.00 중량%의 실시예 1로부터의 안료 과립
1.50 중량%의 (제네카(Zeneca)로부터의) 모나스트랄(Monastral) 그린 6Y 스펙.
0.50 중량%의 (카펠레(Cappalle)로부터의) 카폭시트(Cappoxyt) 옐로우 4214
0.03 중량%의 (데구사로부터의) FW 200 안료 블랙
0.40 중량%의 (알콘 도요 유럽(Alco Toyo Europe)으로부터의) 달러 알루미늄 알페이트(Alpate) 7620 NS
나머지 사항: 19 중량% 고체 함량(아크릴레이트-멜라민)의 밑칠 물질, 및 희석 혼합물
실시예 13: 플라스틱
폴리스티렌 과립 1 kg을 텀블(tumble) 혼합기내에서 접착제 5g과 함께 균일하게 습윤시킨다. 그 다음, 실시예 6으로부터의 과립 42 g을 첨가하고, 상기 성분들을 2분 동안 혼합한다. 이들 과립을 사출성형 기계에서 표준 조건하에 가공하여 4×3×0.5 ㎝의 작은 계단형 판을 수득한다. 계단형 판은 그의 광택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4(비교)
그라비어 인쇄용 잉크중의 약 4 중량%의 용매를 함유하는 과립을 갖는 건조된 과립의 용해 속도의 비교.
그라비어 인쇄용 잉크 실시예 1로부터의 과립: 즉효성-인쇄용 잉크(ready-to-print ink)중의 <1 %의 잔여 용매 함량 실시예 1로부터의 과립: 즉효성-인쇄용 잉크중의 약 4 %의 잔여 용매 함량
햅토본드 F 105, 실시예 1로부터의 과립으로 20 % 착색됨 용해 속도 >30분 용해 속도 <10분

그라비어 인쇄용 잉크 실시예 3으로부터의 과립: 즉효성-인쇄용 잉크중의 <1 %의 잔여 용매 함량 실시예 3으로부터의 과립: 즉효성-인쇄용 잉크중의 약 4 %의 잔여 용매 함량
세노리트(Senolith)-WL 오버프린트 니스, 수성, 350081; 실시예 3으로부터의 과립으로 20 % 착색됨 용해 속도 >30분 용해 속도 10분
그라비어 인쇄용 잉크 실시예 4로부터의 과립: 즉효성-인쇄용 잉크중의 <1 %의 잔여 용매 함량 실시예 4로부터의 과립: 즉효성-인쇄용 잉크중의 약 4 %의 잔여 용매 함량
세노리트(Senolith)-WL 오버프린트 니스, 수성, 350081; 실시예 4로부터의 과립으로 20 % 착색됨 용해 속도 >30분 용해 속도 <10분

실시예 15
15.1 과립화 용액의 제조
50 ℃에서 탈이온수 260.0 g을 초기 충전재로서 도입하고, 로크라마르 2150 과립화 수지(크뢰머로부터의 개질된 로진) 72 g을 4-패들 교반기를 사용하여 혼입시킨다. 그 다음, 25 % 암모니아 용액 17 g을 서서히 첨가하고, 혼합물을 과립화 수지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다. 이 후 44 g의 (메르크 KGaA로부터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을 교반하에 첨가한 후, 5분 동안 교반한다.
15.2 과립의 제조
607 g의 이리오딘(등록상표) 305 솔라골드(메르크 KGaA로부터의, 입자 크기 10 내지 60 ㎛의 TiO2/Fe2O3 및 SiO2 층을 갖는 운모계 다층 안료)를 혼합 용기내에 위치시키고, 실시예 15.1로부터의 과립화 용액 393 g을 서서히 첨가한다. 혼합물을 균질하게 혼합한다. 습윤 혼합물을 에리크로부터의 TR 01 과립화 판 상에서 과립화한다. 잔여 수분 함량이 3 중량% 미만으로 내려가지 않게 하면서, 습윤의 과립화 혼합물을 0.5 내지 4시간 동안 80 내지 120 ℃에서 유동층 건조기에서 건조시켰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과립을 먼저 메시 크기 2 ㎜의 체를 통과시켜 굵은 분획 물로부터 분리시킨 후, 400 ㎛의 체를 사용하여 분류함으로써 미세한 분획물로부터 분리시킨다.
생성물은 내구동성(drive-resistant)[sic]이고 치수적으로 안정하며, 예컨대 통상적인 용매-부재의 자유-라디칼 UV-경화 레오플렉스 증량제 니스인 하르트만 드루크파르벤으로부터의 11 HF 60(UV 니스), 및 하르트만 드루크파르벤으로부터의 용매-함유의 증량제 니스 햅토본드 CT 105(용매로서 에탄올을 갖는 니트로셀룰로스계)와 혼화성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과립은 또한 상기 인쇄용 잉크 시스템내으로의 교반에 의한 혼입시 높은 용해 속도를 나타낸다.
실시예 16
16.1 과립화 용액의 제조
50 ℃에서 탈이온수 256.4 g을 초기 충전재로서 도입하고, 모레츠 300 과립화 수지(모톤으로부터의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66 g을 4-패들 교반기를 사용하여 혼입시킨다. 그 다음, 75 %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용액 36.6 g을 서서히 첨가하고, 혼합물을 과립화 수지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다. 이 후 44 g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을 교반하에 첨가한 후, 5분 동안 300 rpm으로 교반한다.
16.2 과립의 제조
597 g의 이리오딘(등록상표) 305 솔라골드를 혼합기내에 위치시키고, 과립화 용액 403 g을 서서히 첨가한다. 습윤 혼합물을 에리크로부터의 TR 01 과립화 판 상에서 과립화한다. 잔여 수분 함량이 3 중량% 미만으로 내려가지 않게 하면서, 습윤의 과립화 혼합물을 0.5 내지 4시간 동안 80 내지 120 ℃에서 유동층 건조기에 서 건조시켰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과립을 먼저 메시 크기 2 ㎜의 체를 통과시켜 굵은 분획물로부터 분리시킨 후, 400 ㎛의 체를 사용하여 분류함으로써 미세한 분획물로부터 분리시킨다.
수득된 과립은 내마모성이고, 치수적으로 안정하고, 혼화성이고, 바일버거 라크파브릭으로부터의 수성 오프셋 오버프린트 니스 350081중에 쉽게 용해될 수도 있다.
실시예 17: 용매계 제품용 과립형 안료 제제를 함유하는 네일(nail) 니스
원료(상업적 명칭) 화장품 성분의 국제 명칭(international nomenclature of cosmetic ingredients, INCI)의 조성 [중량%]
디크로나 스플렌디드(등록상표) BR을 함유한 과립 (1) 감청색 안료로 코팅된 TiO2/운모 안료를 포함하는 과립 2.35
요변성 네일 니스 베이스 1348 (2) 톨루엔,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니트로-셀룰로스, 토실아미드/포름알데하이드 수지, 디부틸 프탈레이트, 이소프로필 알콜, 스테아르알코늄 헥토라이트(stearalconium hectorite), 캠포(camphor),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벤조페논-1 96.65
니트로셀룰로스 래커(lacquer)중의 유기 또는 무기 색 안료 분산액 q.s.
공급원:
메르크 KGaA
인터네셔날 래커스(International Lacquers) S.A.
제조:
네일 니스 베이스를 도입시키고, 안료 과립을 교반하에 첨가한다. 30분 동안 팽창하도록 남겨 둔 후, 10분 동안 1000 rpm으로 교반한다.
상기 제조방법으로 과립은 어렵지 않게 혼입될 수 있다.
실시예 18: 수계 제품용 과립형 안료 제제를 함유하는 샤워 젤
원료(상업적 명칭) INCI 조성 [중량%]
A상
티미론(등록상표) 스플렌디드 그린을 포함하는 과립 (1) TiO2 및 SiO2로 코팅된 다층 안료를 포함하는 과립 0.18
켈트롤(Keltrol) T (2) 크산 검 0.75
탈염수 아쿠아(물) ad
100.0
B상
플란타케어(Plantacare) 2000 UP (3) 데실 글루코사이드 20.00
텍사폰(Texapon) ASV 50 (3)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소듐 라우레스-8 설페이트, 마그네슘 라우레스-8 설페이트, 소듐 올레스 설페이트, 마그네슘 올레스 설페이트 3.60
브로니독스(Bronidox) L (4) 프로필렌 글리콜, 5-브로모-5-니트로-1,3-디옥산 0.20
향수 오일 에베레스트(Everest) 79658 SB, 염료 용액 향수 0.05
C상
시트르산 모노하이드레이트 (1)시트르산 0.15
탈염수 10.00
제조:
A상의 경우, 안료 과립을 교반하에 물에 도입시킨다. 어려움 없이 도입이 이루어지며 물을 첨가하고 즉시 과립을 용해시킨다. 교반하에, 켈트롤 T중에 서서히 스캐터링시키고(scatter), 용해될 때까지 교반한다. B상 및 C상을 연속적으로 첨가하고, 모든 성분이 균질하게 분포될 때까지 서서히 교반한다. pH를 6.0 내지 6.5로 조정한다.
공급원:
(1) 메르크 KGaA
(2) 켈코(Kelco)
(3) 코그니스 게엠베하(Cognis GmbH)
(4) 하만 앤드 라이머 게엠베하(Haarmann & Reimer GmbH)

Claims (14)

  1. 4.5 내지 30 중량%의 수지 또는 수지 혼합물 및 60 내지 90 중량%의 하나 이상의 효과 안료를 포함하는 과립형 안료 제제로서, 건조된 과립이 20℃ 에서 0.001 내지 40 hPa의 증기압을 갖는 물,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을 3 내지 10 중량%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안료 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용매가 물, 폴리알킬렌 글리콜, 글리콜 에테르, 디올, 탄소수 2 내지 6의 지방족 트리올, 글리세롤, 1,2,4-부탄트리올, 1,2,6-헥산트리올, 또는 상기 용매중 2개 또는 3개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안료 제제.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지가 알데하이드 또는 케톤 수지, 개질된 로진, 셀룰로스, 셀룰로스 유도체, 설포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수지 또는 스티렌-개질된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안료 제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지 또는 수지 혼합물이 90 내지 350의 산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안료 제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효과 안료가 진주빛 광택 안료, 금속성 효과 안료, 투명한 층들 또는 투명 및 불투명한 층들을 갖는 다층 안료, 홀로그래피(holographic) 안료, BiOCl 또는 LCP(액정 중합체, Liquid Crystal Polymer) 안료임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안료 제제.
  7. 제 6 항에 있어서,
    진주빛 광택 안료가 운모, SiO2, 유리, TiO2 또는 Al2O3 소판을 기재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안료 제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진주빛 광택 안료가 TiO2, Fe2O3 또는 TiO2/Fe2O3로 코팅된, 운모, Al2O3 또는 SiO2 소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안료 제제.
  9. 제 6 항에 있어서,
    다층 안료가 TiO2-SiO2-TiO2로 코팅된 운모 소판임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안료 제 제.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과립이 이를 기준으로 0.05 내지 10 중량%의 중화제를 추가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안료 제제.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과립이 이를 기준으로 0.05 내지 10 중량%의 개질제를 추가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안료 제제.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과립이 추가 성분으로서 소포제, 표면-활성 물질, 습윤제, 침강방지제(anti-settling agent), 레벨링제(levelling agent), 건조제 및/또는 요변제(thixotropic agent)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안료 제제.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과립형 안료 제제를 포함하는, 페인트, 니스, 분말 코팅 물질, 인쇄용 잉크, 보안 인쇄용 잉크, 플라스틱, 및 화장품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배합물.
  14. 제 1 항에 있어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안료 제제.
KR1020037003796A 2000-09-15 2001-09-07 과립형 안료 제제 KR1008963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46152.2 2000-09-15
DE10046152A DE10046152A1 (de) 2000-09-15 2000-09-15 Pigmentpräparation in Granulatform
PCT/EP2001/010343 WO2002022749A1 (de) 2000-09-15 2001-09-07 Pigmentpräparation in granulatfor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6779A Division KR20080070880A (ko) 2000-09-15 2001-09-07 안료 과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6790A KR20030036790A (ko) 2003-05-09
KR100896392B1 true KR100896392B1 (ko) 2009-05-08

Family

ID=76566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796A KR100896392B1 (ko) 2000-09-15 2001-09-07 과립형 안료 제제
KR1020087016779A KR20080070880A (ko) 2000-09-15 2001-09-07 안료 과립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6779A KR20080070880A (ko) 2000-09-15 2001-09-07 안료 과립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365109B2 (ko)
EP (1) EP1319051A1 (ko)
JP (2) JP5583309B2 (ko)
KR (2) KR100896392B1 (ko)
CN (1) CN1283733C (ko)
AU (2) AU1221302A (ko)
BR (1) BR0113889B1 (ko)
DE (1) DE10046152A1 (ko)
TW (1) TW574330B (ko)
WO (1) WO20020227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06198A1 (de) * 2001-02-10 2002-08-14 Merck Patent Gmbh Glanzpigmente und Füllkörper enthaltendes Kunststoffteil
KR20030082108A (ko) * 2002-04-16 2003-10-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료 조성물
JP4011392B2 (ja) * 2002-05-07 2007-11-21 Sriスポーツ株式会社 管状体および該管状体の製造方法
DE10319483A1 (de) 2003-04-30 2004-11-18 Brockhues Gmbh & Co. Kg Schnell zerfallendes Pigmentkonzentrat
US7605194B2 (en) 2003-06-24 2009-10-20 Ppg Industries Ohio, Inc. Aqueous dispersions of polymer-enclosed particles, related coating compositions and coated substrates
NO321768B1 (no) * 2004-06-30 2006-07-03 Inst Energiteknik System for tracerfrigjoring i en fluidstrom
ITMI20051303A1 (it) * 2005-07-08 2007-01-09 Inxel S R L Metodo per la produzione di vernici in polvere termoindurenti particolarmente per l'applicazione mediante impianti elettrostatici
DE102006000997A1 (de) * 2006-01-05 2007-07-12 Basf Ag Harzhaltige feste Pigmentzubereitungen
DE102006010226A1 (de) 2006-03-02 2007-09-06 J.W. Ostendorf Gmbh & Co. Kg Samteffekt erzeugendes Beschichtungsmittel
KR100824387B1 (ko) * 2006-03-28 2008-04-24 정우철 용해성 가공 분산안료 및 그 제조방법
MX298036B (es) * 2006-07-28 2012-04-11 Inxel Trademark & Patents Sagl Recubrimiento de pigmentos inorganicos con resinas de aldehidos o cetonas.
JP4976838B2 (ja) * 2006-12-19 2012-07-18 花王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水系インク
CA2704574C (en) * 2007-11-05 2017-06-27 Servicios Industriales Penoles S.A. De C.V. Method of preparation of an additive for coatings, containing metallic nanoparticles and product obtained
DE102007061701A1 (de) 2007-12-19 2009-06-25 Eckart Gmbh Metalleffektpigmen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Verwendung derselben und Pulverlack
DE102008031901A1 (de) 2008-07-08 2010-01-14 Eckart Gmbh Metalleffektpigmen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Verwendung derselben und Pulverlack
DE102008047572A1 (de) 2008-09-16 2010-04-15 Eckart Gmbh Metalleffektpigmentpräparation in kompaktierter Form,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rselben
DE102008064202A1 (de) * 2008-12-22 2010-06-24 Merck Patent Gmbh Pigmentgranulate
DE102008064201A1 (de) * 2008-12-22 2010-06-24 Merck Patent Gmbh Pigmentgranulate
DE102009016089A1 (de) * 2009-03-20 2010-09-23 Merck Patent Gmbh Beschichtungszusammensetzung
CN101747689B (zh) * 2010-01-08 2011-08-10 东莞市大兴化工有限公司 一种木器涂料用氧化铁红水性色浆及其制备
EP2361956A1 (en) * 2010-02-22 2011-08-31 Inxel Trademark & Patents SAGL Composition of pigments soluble in water and/or in organic solvents
US9168209B2 (en) 2013-03-13 2015-10-2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Pigmented skin-care compositions
US9168394B2 (en) 2013-03-13 2015-10-2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Pigmented skin-care compositions
US9320687B2 (en) 2013-03-13 2016-04-26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Pigmented skin-care compositions
US9168393B2 (en) 2013-03-13 2015-10-2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Pigmented skin-care compositions
US10144837B2 (en) * 2014-05-06 2018-12-04 Basf Coatings Gmbh Method for delivering aluminum into waterborne tint base or paint and refinish mixer system
EP3145890A4 (en) 2014-05-23 2018-02-21 DRIKOLOR Inc Concrete colourants
CN106245455A (zh) * 2016-08-24 2016-12-21 安徽中亚纸业有限公司 一种纸张用钛白色珠光染料及其制备方法
CN106444139A (zh) * 2016-11-02 2017-02-22 深圳市盛波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半透半反偏光片视觉效果控制方法
CN106707395B (zh) * 2016-12-01 2019-10-25 深圳市盛波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高白度半透半反偏光片及其制备方法
WO2019060916A2 (en) * 2017-09-25 2019-03-28 Northeastern University COSMETIC AND DERMATOLOGICAL COMPOSITIONS
US11566115B2 (en) * 2017-09-25 2023-01-31 Northeastern University Biologically-inspired compositions that enable visible through infrared color changing compositions
CN111378330A (zh) * 2018-12-30 2020-07-07 镇江市睿泽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室内装置用绿色型水性环保涂料的制备方法
CN110616019A (zh) * 2019-11-05 2019-12-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珠光涂料、珠光涂层、面板及家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65995A1 (de) * 1998-06-18 1999-12-23 Merck Patent Gmbh Pigmentpräparation
DE19929378A1 (de) * 1999-06-25 2000-12-28 Merck Patent Gmbh Pigmentpräparation
DE19947175A1 (de) * 1999-10-01 2001-04-05 Merck Patent Gmbh Pigmentpräparation
EP1153995A2 (de) * 2000-05-12 2001-11-14 MERCK PATENT GmbH Pigmentpräparation mit modifizierten Kolophoniumharzen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19447A (ko) 1961-06-28
BE759469A (fr) 1969-11-29 1971-05-26 Merck Patent Gmbh Pigment a brillant nacre et leurs procedes de
DE2009566C2 (de) 1970-02-28 1972-06-15 Merck Pat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itandioxid- bzw. Titandioxidaquatüberzügen
US3795299A (en) 1971-03-24 1974-03-05 Suwa Seikosha Kk Method of positioning drum for precision printing
CA957108A (en) 1971-03-30 1974-11-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igments treated with methacrylatochromic chloride for improved humidity resistance
SU445630A1 (ru) * 1972-07-10 1974-10-05 Специальное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ое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декоративных изделий
DE2244298C3 (de) 1972-09-09 1975-06-19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Perlglanzpigmen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2313331C2 (de) 1973-03-17 1986-11-13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Eisenoxidhaltige Glimmerschuppenpigmente
DE2522572C2 (de) 1975-05-22 1982-06-03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Rutilhaltige Perlglanzpigmente
CH635862A5 (de) * 1977-10-15 1983-04-29 Ciba Geigy Ag Verfahren zur granulierung von pigmenten.
DE3137808A1 (de) 1981-09-23 1983-03-31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Perlglanzpigmente mit verbesserter lichtechtheit,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3137809A1 (de) 1981-09-23 1983-03-31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perlglanzpigmente,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3151343A1 (de) 1981-12-24 1983-07-07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Perlglanzpigmente mit verbesserter lichtbestaendigkeit,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3151355A1 (de) 1981-12-24 1983-07-07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perlglanzpigmente mit verbesserter lichtbestaendigkeit,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3151354A1 (de) 1981-12-24 1983-07-07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Perlglanzpigmen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DE3211602A1 (de) 1982-03-30 1983-10-13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erlglanzpigmenten mit verbesserten glanzeigenschaften
DE3235017A1 (de) 1982-09-22 1984-03-22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Perlglanzpigmente
GB8320487D0 (en) 1983-07-29 1983-09-01 Silberline Ltd Metal pigment compositions
CH658667A5 (de) * 1984-05-04 1986-11-28 Ciba Geigy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arbstoffgranulaten.
NL8500476A (nl) 1985-02-20 1986-09-16 Akzo Nv Thixotrope bekledingssamenstelling.
DE3616133A1 (de) 1985-09-25 1987-11-19 Merck Patent Gmbh Kugelfoermige sio(pfeil abwaerts)2(pfeil abwaerts)-partikel
US4756951A (en) * 1986-06-12 1988-07-12 Mannington Mills Inc. Decorative surface coverings having platey material
DE3627329A1 (de) * 1986-08-12 1988-02-18 Merck Patent Gmbh Leicht dispergierbare perlglanzpigmentpraeparation
DE3842330A1 (de) 1988-12-16 1990-06-21 Merck Patent Gmbh Leitfaehige plaettchenfoermige pigmente
DE4207722A1 (de) * 1991-05-28 1992-12-03 Merck Patent Gmbh Oberflaechenmodifizierte plaettchenfoermige pigmente mit verbessertem aufruehrverhalten
ES2120497T3 (es) 1991-10-18 1998-11-01 Merck Patent Gmbh Pigmentos en forma de plaquetas teñidos y revestidos.
US5401313A (en) * 1993-02-10 1995-03-28 Harcros Pigments, Inc. Surface modified particl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EP0632110B1 (de) 1993-07-02 1996-09-11 BASF Aktiengesellschaft Bismutvanadathaltige Glanzpigmente
DE4323744A1 (de) 1993-07-15 1995-01-19 Basf Ag Kohlenstoffhaltige Glanzpigmente
US5455288A (en) * 1994-01-26 1995-10-03 Needham; Donald G. Dustless color concentrate granules
DE4415357A1 (de) 1994-05-02 1995-11-09 Basf Ag Verwendung von Interferenzpigmenten zur Herstellung von fälschungssicheren Wertschriften
JP3242561B2 (ja) 1995-09-14 2001-12-25 メルク・ジヤパン株式会社 薄片状酸化アルミニウム、真珠光沢顔料及びその製造方法
DE19614637A1 (de) 1996-04-13 1997-10-16 Basf Ag Goniochromatische Glanzpigmente auf der Basis von beschichteten Siliciumdioxidplättchen
DE19649756B4 (de) * 1996-04-18 2005-05-25 Bayer Chemical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rikettier- und Preßgranulaten aus Rußpigmenten und deren Verwendung
DE19616287C5 (de) 1996-04-24 2013-11-14 Eckar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erlglanzpigment-Zubereitung
DE19618569A1 (de) * 1996-05-09 1997-11-13 Merck Patent Gmbh Mehrschichtige Interferenzpigmente
DE19708167A1 (de) * 1997-02-28 1998-09-03 Merck Patent Gmbh Pigmentpräparation
DE19810317A1 (de) 1998-03-11 1999-09-16 Merck Patent Gmbh Seltene Erdmetallsulfidpigmente und Yttriumsulfidpigmente
DE19813394A1 (de) * 1998-03-26 1999-09-30 Merck Patent Gmbh Pigmentpräparation
DE59910042D1 (de) * 1998-05-18 2004-09-02 Ciba Sc Holding Ag Wasserlösliche Granulate von Phthalocyaninverbindungen
DE19823865A1 (de) * 1998-05-28 1999-12-02 Merck Patent Gmbh Pigmentzubereitung und deren Verwendung insbesondere in Druckfarben
DE19847169A1 (de) * 1998-10-14 2000-04-20 Merck Patent Gmbh Pigmentpräparation
CA2263667C (fr) * 1999-03-15 2002-02-26 Axel J. Societe En Commandite Procedes de fabrication de granules de pigments et de coloration de bet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65995A1 (de) * 1998-06-18 1999-12-23 Merck Patent Gmbh Pigmentpräparation
DE19929378A1 (de) * 1999-06-25 2000-12-28 Merck Patent Gmbh Pigmentpräparation
DE19947175A1 (de) * 1999-10-01 2001-04-05 Merck Patent Gmbh Pigmentpräparation
EP1153995A2 (de) * 2000-05-12 2001-11-14 MERCK PATENT GmbH Pigmentpräparation mit modifizierten Kolophoniumharz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83733C (zh) 2006-11-08
JP2004509210A (ja) 2004-03-25
AU1221302A (en) 2002-03-26
KR20080070880A (ko) 2008-07-31
AU2002212213B2 (en) 2007-06-28
JP5583309B2 (ja) 2014-09-03
JP2013100533A (ja) 2013-05-23
CN1458968A (zh) 2003-11-26
BR0113889A (pt) 2003-07-29
US7365109B2 (en) 2008-04-29
WO2002022749A1 (de) 2002-03-21
TW574330B (en) 2004-02-01
KR20030036790A (ko) 2003-05-09
DE10046152A1 (de) 2002-03-28
EP1319051A1 (de) 2003-06-18
US20030176536A1 (en) 2003-09-18
BR0113889B1 (pt) 201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392B1 (ko) 과립형 안료 제제
US6544327B1 (en) Pigment preparation
KR100625409B1 (ko) 안료 혼합물
US6398862B1 (en) Pigment preparation
US6432195B1 (en) Pigment preparation with modified colophony resins
US6547870B1 (en) Pigment preparation
US6972305B1 (en) Pigment preparation
JP2000198944A (ja) 顔料混合物
US6638353B1 (en) Pigment preparation
US6139962A (en) Surface-modified platelet-shaped substrates
AU2007202698A1 (en) Pigment preparation in granulate 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