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219B1 - 약용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약용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219B1
KR100895219B1 KR1020070082891A KR20070082891A KR100895219B1 KR 100895219 B1 KR100895219 B1 KR 100895219B1 KR 1020070082891 A KR1020070082891 A KR 1020070082891A KR 20070082891 A KR20070082891 A KR 20070082891A KR 100895219 B1 KR100895219 B1 KR 100895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edicinal
fermentation
active ingredien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8443A (ko
Inventor
김신규
오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희매니지먼트컴퍼니
오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희매니지먼트컴퍼니, 오건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희매니지먼트컴퍼니
Priority to KR1020070082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219B1/ko
Publication of KR20090018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8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2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12G3/026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added before or during the fermentation stage; with flavouring ingredients added before or during the fermentation st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용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약재나 과일을 함수포도당에 흡착시키고 건조시킨 후, 이를 곡자, 코지 등을 이용하여 코지시킴으로써, 가정에서 경제적이면서도 간편하게 약용주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약용주의 제조방법은, 한약재를 엄선하는 단계와, 상기 엄선된 한약재에 주정 10∼20중량%와 정제수 80∼90중량%로 된 혼합용매를 투입하고 80∼95℃의 온도로 5∼8시간 동안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유효성분을 감압농축하여 엑기스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엑기스를 함수포도당에 흡착시켜 코지재료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코지재료를 열풍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코지재료에 정제수, 곡자, 효모 및 코지를 가하여 코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약재, 함수포도당, 흡착, 코지, 약용주, 코지

Description

약용주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FERMENTED HERBS DRINKS}
본 발명은 약용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약재나 과일을 함수포도당에 흡착시키고 건조시킨 후, 이를 곡자, 코지 등을 이용하여 발효시킴으로써, 가정에서 경제적이면서도 간편하게 약용주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한약재를 사용한 약용주를 제조하여 건강의 목적으로 많이 음용해왔다.
상기 약용주의 제조방법은 대략 두 가지로 분류되는 데, 첫째는 증류주(주정, 소주) 또는 양조주(청주) 등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필요한 한약재를 그대로 또는 설탕과 함께 침지시켜 2주 이상(계절에 따라 상이함.) 숙성시켜 제조하는 방법이다.
둘째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한약재에 물을 넣어 가열시켜 열탕한 여과액을 농축시켜 덧밥, 용수, 누룩 등과 함께 담금하여 술덧을 제조하고 2주 이상 발효 및 숙성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한 제조방법은 자기가 원하는 약용주를 소량으로 선택하여 제조 할 수 없고, 누룩과 곡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발효기간이 길어지고 술의 향취와 색상이 탁하고 맛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한약재가 함유하고 있는 약효성분이 충분하게 추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출원된 국내 등록특허 제282165호의 '한약재를 사용한 약용주의 제조방법'은 섬유소분해효소에 의해 처리시켜 연화이완시킨 한약재를 전분질원료에 물을 가하여 얻은 유액과 혼합하고 액화효소를 첨가하여 가열 액화한 후, 24℃ 이하로 냉각시킨 액화물에 발효제를 담금하여 술덧을 만들고 110∼200시간 동안 발효 및 숙성, 제성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나, 전분질원료를 이용함에 따라 냄새가 좋지 못하고 한약재 고유의 풍미가 느껴지지 않으며, 섬유소분해효소, 액화효소 등을 첨가해야 하는 등 가정에서 쉽게 약용주를 제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약용주 제조방법이 갖는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약재 추출물과 과일추출물을 함수포도당에 흡착시키고 건조시킨 후, 이를 곡자, 코지 등을 이용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전분질원료의 풍미가 느껴지지 않아 한약재 고유의 풍미가 그대로 느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약용주의 색깔이 혼탁되지 않고 투명하며,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제조시간이 짧아 가정에서도 간편하게 약용주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필요시마다 자신에게 필요한 한약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약용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약용주의 제조방법은,
한약재를 엄선하는 단계와,
상기 엄선된 한약재에 주정 10∼20중량%와 정제수 80∼90중량%로 된 혼합용매를 투입하고 80∼95℃의 온도로 5∼8시간동안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유효성분을 감압농축하여 엑기스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엑기스를 함수포도당에 흡착시켜 발효재료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발효재료를 열풍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발효재료에 정제수, 곡자, 효모 및 코지를 가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유효성분을 추출할 시, 한약재와 함께 과일을 투입하고 유효성 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발효단계시는 18∼25℃에서 7∼10일간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발효단계시 가하여지는 재료의 투입비는, 발효재료 30∼35중량%에 곡자 0.5∼1중량%, 효모 0.2∼0.5중량%, 코지 0.05∼0.07중량%로 되고 나머지는 정제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한약재와 과일을 함수포도당에 흡착시키고 건조시킨 후, 이를 곡자를 이용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전분질원료의 풍미가 느껴지지 않아 한약재 고유의 풍미가 그대로 느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술이 아주 투명하고, 제조공정이 간단하며 제조시간이 짧아 가정에서도 간편하게 약용주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필요시마다 자신에게 필요한 한약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약용주의 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한약재를 엄선한다. 이때 상기 한약재로는 영지, 하수오, 복분자, 산유수, 구기자, 황정, 인삼, 맥문동, 숙지황, 갈근, 사삼, 길경, 황기, 우슬 당귀 등과 같이 한방에서 사용되는 약재는 모두 사용가능한 것으로, 상기 한약재 1종만을 사용하여 단미를 내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엄선된 한약재는 정제수로 3회 이상 세척하여 완전히 제거되도록 한다.
상기 한약재의 세척이 완료되면 한약재에 혼합용매를 투입하여 한약재의 유효물질을 추출한다. 이때 상기 혼합용매로는 주정 10∼20중량%와 정제수 80∼90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는데, 상기 주정이 10중량% 미만이거나 20%를 초과하게 되면 한약재의 유효성분 추출이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한약재에 혼합용매를 투입하는 양은 후공정인 감압농축단계가 있으므로 제한하지 않는 것이며, 종래 공지된 한약재 엑기스의 추출방법을 따라 충분한 양의 혼합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도록한다.
또한 상기 추출은 80∼95℃의 온도로 5∼8시간동안 행하는 바, 상기 추출온도는 주정과 정제수의 끓는점을 고려한 것이며, 추출시간이 5시간 미만이 되면 유 효성분의 추출이 완료되지 않고 8시간을 초과하여 추출하더라도 더 이상의 유효성분이 추출되지 않아 비경제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추출전 한약재를 혼합용매에 24시간 침적시킬 경우 그 추출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유효성분의 추출이 완료되면, 이를 감압농축(bp20, 50∼60℃)하여 엑기스를 제조하는 데, 상기 엑기스는 69∼70brix의 가용성 고형분을 갖도록 한다.
상기 제조된 엑기스를 함수포도당에 흡착시켜 발효재료를 제조하는 데, 상기 함수포도당에 대하여 엑기스가 100: 15∼40 중량비로 흡착되도록 한다. 상기 엑기스를 함수포도당에 흡착시키는 방법은 함수포도당에 흡착시키고자 하는 엑기스를 소량씩 가하고 교반혼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함수포도당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수포도당은 엑기스재를 첨가흡착시킬 때 엑기스가 균일하게 흡착 또는 혼합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흡착되기 때문에 균일한 흡착을 위해 추가공정이 필요하게 되고 가격도 함수포도당에 비해 무수포도당이 고가이기 때문이다.
상기 발효재료의 제조가 완료되면 이를 열풍건조한다. 상기 열풍건조는 열풍 건조기에서 40∼50℃의 온도로 함수량이 5∼8%가 되도록 건조하는 데, 이는 함수량이 5∼8%일때 발효가 가장 잘 이루어지기 때문으로, 제조된 발효재료의 함수율이 적정하다면 열풍건조공정을 생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건조가 완료된 재료를 보관할 시에는, 상기 건조된 발효재료를 110∼115℃에서 0.67∼1.16 SPi 살균처리하여 질소기체가 함유된 용기에 밀봉하여 보관하는 데, 실온, 차광, 방습하에서 보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때 질소기체 대신 진공상태로 보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보관된 상태의 발효재료를 발효할 시에는 배기 및 환기를 완료한 후 발효하도록 한다.
상기 건조된 발효재료에 정제수, 곡자, 효모 및 코지를 가하여 발효시킨다. 상기 재료의 투입비는 발효재료 30∼35중량%에 곡자 0.5∼1중량%, 효모 0.2∼0.5중량%, 코지 0.05∼0.07중량%만큼 투입한 후 나머지는 정제수로 한다. 이때 상기 정제수는 미네랄을 함유한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곡자의 투입비가 0.5중량% 미만이면 발효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발효주의 생성량이 감소되고, 1중량%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며, 효모가 0.2중량% 미만이더라도 발효가 용이하지 못해 약용주의 풍미와 알코올 도수가 낮아지게 되고 0.5중량%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며, 상기 발효재료가 30중량% 미만이 되거나 35중량%를 초과하여 정제수의 함량의 많거나 적어지게 되면 알코올 %가 너무 높거나 낮 게 되고 약용주의 향취, 색상, 미감 등도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배합비로 배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코지(koji)는 발효기간을 단축시키는 것으로, 상기 코지가 0.05중량% 미만이면 그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고 0.07중량%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므로, 0.05∼0.07중량%로 한다.
삭제
삭제
이때 발효조건은 18∼25℃에서 7∼10일동안 발효시키는 바, 상기와 같은 발효조건만으로 풍미가 우수한 약용주를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발효온도가 18℃ 미만이거나 25℃를 초과하게 되면 발효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풍미가 좋지 못하게되고 발효기간이 7일 미만이 되면 발효가 완료되지 못하고 10일을 초과하면 발효가 지나쳐서 산이 생성되며 신맛이 나는 술이 되므로, 조건을 18∼25℃에서 7∼10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약용주는 8∼10% 정도의 알코올%로 되고, 약용주의 향취, 색, 미감은 사용한 한약재에 따라 다르게 되며, 그 효과 역시 한약재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유효성분을 추출할 시 한약재와 함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과일을 추가하여 추출할 수도 있는 것으로, 과일의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추출시 한약재나 과일을 그대로 투입할 수도 있고, 세절 또는 분쇄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형태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함수포도당을 대신하여 곡식류로 증숙한 쌀가루, 증숙한 보리가루, 증축한 감자가루, 증숙한 고구마가루, 증숙한 강냉이 가루, 증숙한 수수가루, 증숙한 기장가루, 증숙한 좁쌀가루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약용주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한약재를 엄선하는 단계와,
    상기 엄선된 한약재에 주정 10∼20중량%와 정제수 80∼90중량%로 된 혼합용매를 투입하고 80∼95℃의 온도로 5∼8시간동안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유효성분을 감압농축하여 엑기스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엑기스를 함수포도당에 흡착시켜 발효재료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발효재료를 열풍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발효재료에 정제수, 곡자, 효모 및 코지를 가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용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을 추출할 시, 한약재와 함께 과일을 투입하고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용주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단계시는 18∼25℃에서 7∼10일간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용주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단계시 가하여지는 재료의 투입비는, 발효재료 30∼35중량%에 곡자 0.5∼1중량%, 효모 0.2∼0.5중량%, 코지 0.05∼0.07중량%로 되고 나머지는 정제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용주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070082891A 2007-08-17 2007-08-17 약용주의 제조방법 KR100895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891A KR100895219B1 (ko) 2007-08-17 2007-08-17 약용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891A KR100895219B1 (ko) 2007-08-17 2007-08-17 약용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443A KR20090018443A (ko) 2009-02-20
KR100895219B1 true KR100895219B1 (ko) 2009-05-04

Family

ID=40686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891A KR100895219B1 (ko) 2007-08-17 2007-08-17 약용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2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317A (ko) * 1998-03-03 1999-10-05 최은집 술의 제조방법.
KR20000007119A (ko) * 1999-11-27 2000-02-07 오봉수 천연 한약재를 추출하여 만든 인체 보양을 위한 보신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317A (ko) * 1998-03-03 1999-10-05 최은집 술의 제조방법.
KR20000007119A (ko) * 1999-11-27 2000-02-07 오봉수 천연 한약재를 추출하여 만든 인체 보양을 위한 보신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8443A (ko) 200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11057A (zh) 一种快速醇化的黑茶及其加工方法
CN102559473B (zh) 一种虫草保健陈醋的制备方法
JP6993407B2 (ja) ブドウ味スイートワインの製造方法及びブドウ味スイートワイン
CN105660914A (zh) 一种栀子花香红茶的制作工艺
CN105660915A (zh) 一种玫瑰香红茶的制作工艺
CN107057927B (zh) 一种茶酒及其制备方法
KR20120109433A (ko) 삼채 막걸리의 제조방법
KR20100012727A (ko) 발아된 볍씨를 이용한 탁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발포성 탁주의 제조 방법
JP5075221B2 (ja) 発泡性アルコール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78671B1 (ko) 맛과 향이 향상된 소곡화주의 제조방법
KR101169189B1 (ko) 청국장 함유 막걸리의 제조 방법
KR102151573B1 (ko) 허브식초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57179A (ko) 개똥쑥 막걸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개똥쑥 막걸리
KR100895219B1 (ko) 약용주의 제조방법
KR20130077397A (ko) 연약주 제조방법
JPH08140657A (ja) 菊ワインの製造法
CN115491271A (zh) 一种葡萄酒酿造工艺
WO2003057860A1 (fr) Initiateur de fermentation solide possedant une stabilite au stockage amelioree
KR101136487B1 (ko) 복분자?홍삼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복분자?홍삼주
KR102284193B1 (ko) 천연재료를 함유한 누룽지스낵의 제조 방법
KR101924780B1 (ko) 저온추출법을 이용한 바위솔 조청 및 그 제조방법
CN105713781A (zh) 一种易分解的低度清香型调香酒的制备工艺
KR100454227B1 (ko) 도토리 식초 및 이의 제조방법
JP4452164B2 (ja) 酒とその製造方法
KR102621087B1 (ko) 개암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효주 또는 죽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