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733B1 -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 - Google Patents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733B1
KR100894733B1 KR1020080071852A KR20080071852A KR100894733B1 KR 100894733 B1 KR100894733 B1 KR 100894733B1 KR 1020080071852 A KR1020080071852 A KR 1020080071852A KR 20080071852 A KR20080071852 A KR 20080071852A KR 100894733 B1 KR100894733 B1 KR 100894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ongs
parts
gripp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숙녀
Original Assignee
하숙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숙녀 filed Critical 하숙녀
Priority to KR1020080071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4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23P19/027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어, 커플링, 베어링, 하우징 등의 각종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기계부품을 손쉽게 분리하거나 또는 체결시키는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각종 기계부품(예: 기어, 커플링, 베어링, 하우징 등)을 분리하거나 체결시키는 제1,2파지부(50)(50a)가 구비되되, 이 제1,2파지부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프레임(51); 상기 프레임과 직각방향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아암(52); 상기 한 쌍의 아암에 각각 결합되며, 하우징을 파지하는 한 쌍의 집게(54); 상기 프레임의 중간에는 유압실린더(56);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에 체결된 각종 기계부품을 집게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편심작업도 가능하고 또한 기계부품의 손상이 없도록 한 것이며 또한 1인이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이동이 가능하여 기동성이 뛰어나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기계부품, 탈부착장치.

Description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Apparatus for attaching and detaching of machanical component}
본 발명은 기어, 커플링, 베어링, 하우징 등의 각종 기계부품을 손쉽게 분리하거나 또는 체결시키는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내부에 체결된 각종 기계부품을 집게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게 착탈시킬 수 있음은 물론 편심작업도 가능하고 또한 기계부품의 손상이 없도록 하고 아울러 이동이 가능하여 기동성이 뛰어나며 더하여 1인이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회전되는 축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을 개재하여 상기 축에 작용하는 하중을 상기 베어링을 통하여 지탱함으로써 상기 축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게 됨은 주지된 사실이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에는 각종 기계부품인 축, 베어링, 기어 등이 설치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기계부품은 유지보수시 탈부착시키게 된다.
종래에도 하우징에서 베어링을 분리시키는 기술적 구성이 있다.
즉, 특허출원 제1998-0019366호(공개번호 제1999-0086409호)(명칭: 베어링 탈착용 치구)가 출원된바 있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적 구성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치구 삽입홀(20)과 베어링 분리용치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치구 삽입홀(20)은, 상기 하우징(1)으로부터 베어링(10)의 탈착시 삽입되는 베어링 분리용치구(30)의 다리(31)가 상기 베어링(10)의 외륜(11)에 접지 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의 걸림턱(3)의 전원주에 걸쳐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분리용치구(30)는, 상기 베어링(10)의 분리시 가압력을 가하여 상기 베어링(10)을 하우징(1)으로부터 탈착시키기 위한 치구이다. 이때, 상기 베어링 분리용치구(30)는, 상기 치구 삽입홀(20)에 삽입되어 상기 베어링(10)의 외륜(11)에 접지되는 다리(31)와 가압력을 상기 다리(31)에 전달하기 위한 푸시판(32)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리(31)는 상기 하우징(1)의 걸림턱(3)의 전원주에 걸쳐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치구 삽입홀(20)과 대응하는 개수와, 상기 하우징(1)의 관통공(1a)을 관통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베어링(10)의 탈착시 상기 치구 삽입홀(20)을 관통하여 상기 베어링(10)의 외륜(11)에 접하여 상기 푸시판(32)을 통하여 전달되는 가압력으로 상기 베어링(10)을 외측으로 가압하여 베어링(10)을 상기 하우징(1)의 관통공(1a)으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리(31)가 그 일측을 결합시키는 푸시판(32)으로부터 상기 베어링(10)의 외륜(11) 에 접지되는 단부 까지의 거리가 오차없이 동일하게 정밀 가공됨으로써 상기 베어링(10)의 탈착시 각각의 다리(31)가 상기 외륜(11)의 전원주 전체에 걸쳐 동시에 접지됨으로써 후술하는 푸시판(32)으로부터 전달되는 가압력이 균등하게 작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판(32)은, 상기 다리(31)를 통하여 베어링(10)을 탈착시킬 수 있도록 인위적인 가압력을 상기 다리(31)에 동시에 균등하게 전달할 수 있게 상기 치구 삽입홀(20)에 대응하는 개수로 다수개 설치되는 상기 다리(31)의 일측을 상기 치구 삽입홀(20)이 형성되는 원주와 동일한 원주에 상기 치구 삽입홀(20)의 설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일체로 고정시키는 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푸시판(32)의 배부가 바람직하게는 도 3에 2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2등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푸시판(32)의 중앙부가 다소 돌출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푸시판(32)의 가압시 상기 푸시판(32)을 통하여 상기 다리(31)에 전달되는 가압력이 상기 각각의 다리(31)에 균일하게 전달되어 상기 베어링(10)의 탈착시 베어링(10)의 전원주에 걸쳐 균일한 가압력이 가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 베어링 탈착용 치구의 사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전되는 축(4)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하우징(1)을 개재하여 하우징(1)의 관통공(1a)과 축(4)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1a)에 억지 끼워맞춤되어 그 외륜(11)에 대하여 내륜(13)이 독립적으로 구동됨으로써 상기 내륜(13)의 내륜면에 삽입된 축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베어링(10)을 경우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1)으로부터 탈착할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1a)에 그 직경이 축소되어 형성되는 걸림턱(3)의 전원주에 걸쳐 등간격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4∼6개로 설치되는 치구 삽입홀(20)에 분리용치구(30)의 다리(31)를 삽입시킨다. 이 경우, 상기 치구 삽입홀(20)이 상기 관통공(1a)의 내벽(2)에 최대한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분리용치구(30)의 다리(31)가 그 일측을 결합하여 상기 각각의 다리(31)에 동시에 균등한 가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푸시판(32)으로부터 상기 다리(31)의 단부 까지의 거리가 동일하게 정밀 가공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분리용치구(30) 다리(31)의 단부가 상기 베어링(10)의 외륜(11) 전체에 걸쳐 동시에 균일하게 접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분리용치구(30)의 다리(31)를 치구 삽입홀(20)에 삽입시킨 후, 푸시판(32)의 후방에서 가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다수개 설치된 다리(31)에 균등한 가압력이 전달된다. 이때, 상기 푸시판(32)의 배부가 바람직하게는 2등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중앙부가 돌출됨으로써 베어링(10)의 탈착을 위하여 상기 푸시판(32)의 가압시 상기 돌출부를 가압함으로써 가압력이 베어링(10)의 전원주에 걸쳐 균등하게 작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베어링(10)이 일측으로 치우침이 없이 화살표로 도시된 A부와 B부가 동시에 가압력이 작용되는 반대편으로 일정하게 밀려나게 됨으로써 상기 베어링(10)의 손상이나 상기 관통공(1a)의 내벽(2)에 손상이 없이 상기 하우징(1)으로부터 베어링(10)이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다리(31)의 단부가 상기 베어링(10)의 내,외륜(13,11)의 재질보다 강한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분리용치구(30)의 장기간 사용시 충격에 의한 상기 다리(31)의 마모 및 손상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분리용치구(30)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도 다음과 같이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게 되었다.
즉, 상기 종래의 기술은 하우징에서 베어링을 분리만 할 수 있고 체결시킬 수는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은 소형 하우징에 결합된 베어링만 분리할 수 있고, 대형 하우징에 결합된 베어링은 부피가 커서 분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아울러 상기 종래의 기술은 편심된 상태에서 베어링을 분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더하여 상기 종래의 기술은 긴밀히 꽉 체결된 베어링은 치구만으로 분리할 수 없음은 물론 분리하더라도 긴밀히 체결도 할 수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각종 기계부품(예: 기어, 커플링, 베어링, 하우징 등)을 보다 편리하게 분리하거나 체결시키는 제1,2파지부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필요에 따라서는 편심작업도 가능한 장점이 있고, 제3목적은 기계부품의 손상이 없이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4목적은 이동이 가능하여 기동성이 뛰어난 것이고, 제5목적은 1인이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6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각종 기계부품(예: 기어, 커플링, 베어링, 하우징 등)을 분리하거나 체결시키는 제1,2파지부가 구비되되, 이 제1,2파지부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직각방향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아암; 상기 한 쌍의 아암에 각각 결합되며, 하우징을 파지하는 한 쌍의 집게; 상기 프레임의 중간에는 유압실린더;가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각종 기계부품(예: 기어, 커플링, 베어링, 하우징 등)을 보다 편리하게 분리하거나 체결시키는 제1,2파지부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서는 편심작업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계부품의 손상이 없이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동이 가능하여 기동성이 뛰어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1인이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된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는 도 2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 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도 2(a)(b)(c)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기계부품(예: 기어, 커플링, 베어링, 하우징 등)을 분리하거나 체결시키는 제1,2파지부(50)(50a)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도 2(a)(b)(c)에서는 제1파지부(50)만을 세로로 도시하였고, 도 6 에서는 제1,2파지부(50)(50a)가 가로 세로로 함께 조립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다. 이때 상기 제1,2파지부(50)(50a)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프레임(51); 상기 프레임(51)과 직각방향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아암(52); 상기 한 쌍의 아암(52)에 각각 결합되며, 하우징을 파지하는 한 쌍의 집게(54); 및 상기 프레임(51)의 중간에는 유압실린더(56);가 고정 설치되어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된 프레임(51)에는 한 쌍의 아암(52)과 집게(54)가 슬라이딩 동작되게 슬라이드홈(51a)이 형성되고, 상기 아암(52)에는 아암(52)을 고정시키는 조임볼트(52d)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아암(52)의 내부에는 집게(54)가 끼워지는 가이드공(52a)이 형성되되, 상기 집게(54)의 일측과 가이드공(52a)의 내측면에는 각각 집게(54)의 길이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집게(54)가 일정 간격으로 걸려지게 집게기어홈(54a)과 아암기어홈(52b)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아암(52)의 일측에는 풀고 조임에 따라 집게(54)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임볼트(52c)가 구비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한 쌍의 아암(52)에는 하우징을 파지하게 서포트해주는 버팀볼트(53)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더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프레임(51)의 중간에는 유압실린더(56)를 받쳐주며, 조임볼트(55a)로 고정시키는 유압실린더받침대(55)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2파지부(50)(50a)에 구비된 프레임(51)의 중간에는 체결공(51b)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51b)에는 스크류(70)가 체결되어 제1,2파지부(50)(50b)를 상호 십자모양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하우징의 기계부품을 착탈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상기 집게(54)와 가이드공(52a)의 모서리부에는 경사집게가이드홈(54c)과 경사아암기어홈(52e)이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로 반원형으로 집게기어홈(54f)과 아암기어홈(52f)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또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상기 스크류(70)의 일측에는 2개의 스크류(70)를 상호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구(71)가 구비되되, 상기 스크류(70)의 일측에는 베어링을 인출하는 지그(73)가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70)의 타측에는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72)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2파지부(50)(50a)가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제1,2파지부(50)(50a)를 승하강시킴은 물론 거리를 이동시키는 이동부(6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동부(60)에는 플레이트(61)의 일측 상단에 구비되어 프레임(51)이 삽입되는 지주대(63); 상기 플레이트(61)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아암(52)을 받쳐줌과 아울러 제1,2파지부(50)(50a)를 선택적으로 승하강 시키는 잭(65); 및 상기 플레이트(61)의 저면에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캐스터(62);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잭(65)은 핸들(66)과 조절스크류(66a)의 정역회전에 의해 힌지축(68a)을 중심으로 작동하는 링크(68); 상기 링크(68)의 상단에 구비되며, 아암(52)을 긴밀히 파지하여 지지하는 받침대(67);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66) 대신에 유압실린더(도면상 부호 미 도시함)를 적용하여 잭(65)을 승하강 작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2파지부(50)(50a)를 선택적으로 승하강 시키는 리프트(8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리프트(80)는 몸체(81)의 하단에 구비되어 리프트(80)를 이동시키는 캐스터(85); 상기 몸체(81)에 구비되며, 모터(82)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로울러(84); 상기 로울러(84)에 권취되는 와이어(83); 및 상기 와이어(83)에는 제1,2파지부(50)(50a)가 연결되어 와이어(83)의 이동에 의해 제1,2파지부(50)(50a)를 승하강 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제1,2파지부(50)(50a)를 이용하여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각종 기계부품(예: 기어, 커플링, 베어링, 하우징 등)을 보다 편리하게 분리하거나 체결시키는 것으로, 특히 베어링과 하우징 및 거어 등의 마모로 인해 유지보수시에 교체를 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즉, 도 2(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받침대(55)를 프레임(51)의 하단 슬라이드홈(51a)으로 끼워 상승시킨 후 조임볼트(55a)로 조여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유압실린더받침대(55)의 상단에는 유압실린더(56)를 설치하는 것으로, 이때 유압실린더받침대(55)가 반원호로 형성되어 유압실린더(56)를 안정되게 받쳐주게 된다. 물론, 분리시에는 전술한 작동의 역순으로 하게 되면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프레임(51)의 슬라이드홈(51a)에는 각각 한 쌍의 아암(52)을 체결시키는 것으로, 이때 원하는 위치에 아암(52)이 위치하게 되면 조임볼트(52d)로 조여 고정시키게 된다.
아울러 가이드공(52a)에는 집게(54)가 끼워져 설치되는 것으로, 이때 원하는 위치에 집게(54)가 위치하게 되면 조임볼트(52c)로 조여 고정시키게 되고, 더하여 집게(54)의 일측면에 형성된 집게가이드홈(54a)은 가이드공(52a)의 내측면에 형성된 아암기어홈(52b)에 상호 결합되어 걸려지게 작동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집게(54)와 아암(52)이 1조가 되어서 기어홈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작동과정에서 이탈과 어긋남이 없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본원발명의 사용상태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일측에 제1파지부(50)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집게(54)가 하우징을 파지할 수 있도록 아암(52)이 프레임(51)에서 견고히 고정 설치되고, 상기 집게(54)도 아암(52)의 가이드공(52a)으로부터 일정 길이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집게(54)는 집게기어홈(54a)과 아암기어홈(52b)이 상호 맞물려 고정됨은 물론 조임볼트(52c)에 의해 아암(52)에 고정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한 상태에서는 집게(54)의 선단에 구비된 걸림턱(54b)이 하우징의 걸림부에 걸려지게 되어 제1파지부(50)는 하우징의 일측에 긴밀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56)의 작동에 의해 실린더봉이 앞으로 전진하게 되면 축이 뒤쪽으로 빠짐과 동시에 반대로 하우징은 앞쪽으로 전진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베어링으로부터 축이 간단히 이탈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버팀볼트(53)를 조절하여 하우징의 입구에 맞대어 설치하게 되면 하우징이 안정되게 고정되므로 인해 더욱더 베어링으로부터 축을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제1파지부(50)는 도 3(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60)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제1파지부(50)의 프레임(51)을 지주대(63)에 삽입한다. 이후 하단 아암(52)이 잭(65)의 상단 받침대(67)에 고정 설치되면 핸들(66)을 돌린다. 그러면 힌지축(68a)을 중심으로 링크(68)가 작동하면서 상기 받침대(67)를 상하로 승하강 시키되, 이때 받침대(67)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제1파지부(50)도 함께 상하로 승하강 하게 되고, 아울러 제1파지부(50)는 지주대(63)에 끼워진 상태로 상하로 승하강 작동하게 된다.
이후 원하는 위치에 제1파지부(50)가 위치하게 되면 조임볼트(64)를 조여 제1파지부(50)를 이동 없어 고정시키게 된다.
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집게(54)를 이용하여 하우징을 파지한 후 동작시키게 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기계부품(예: 베어링, 기어, 커플링 등)을 보다 편리하게 착탈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된 플레이트(61)는 하단에 캐스터(62)가 설치되어 이동이 편리하고, 또한 상단에는 각종 부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되어 작업환경을 좋게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서는 편심작업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도 3(c)의 하단 아암(52)과 집게(54)는 고정시키되, 상단 아암(52)과 집게(54)는 가상선과 같이 아암(52)과 집게(54)를 상승시키게 되면 중심이 다른 편심된 상태로 하우징의 부품을 착탈시킬 수 있게 되어 종래에는 할 수 없는 편심작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파지부(50)(50a)를 사용하 여 하우징의 각종 부품을 착탈시킬 수 있는 것으로, 규모가 크거나 무게가 무거운 하우징에 십자모양으로 제1,2파지부(50)(50a)를 걸어서 기계부품을 착탈시키게 된다.
즉, 이를 위해서는 2개의 프레임(51)을 상호 십자모양으로 교차시킨 후 체결공(51b)을 일치시킨다. 이후 상기 체결공(51b)에 스크류(70)를 체결하면 상기 제1,2파지부(50)(50a)를 십자모양으로 체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십자모양으로 설치된 제1,2파지부(50)(50a)는 규모가 크거나 중량이 무거운 하우징의 기계부품을 간단히 착탈시게 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54)와 가이드공(52a)의 모서리에 각각 경사집게가이드홈(54c)과 경사아암기어홈(52e)을 형성한 것으로, 이는 집게(54)가 하우징을 파지하기 위해 안쪽으로 힘을 받는 부위에 기어홈을 형성하여 집게(54)와 하우징의 장시간 사용시에도 무리가 없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54)와 아암(52)의 측면에 각각 반원형으로 집게기어홈(54f)과 아암기어홈(52f)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직선으로 형성된 기어홈 보다는 걸림력의 효과를 더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내부로 베어링을 삽입할 수 있는 것으로, 체결공(51b)에 스크류(70)를 체결한 후 일측 모터(72)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70)가 정회전하여 앞으로 전진하게 되면 베어링의 측면과 맞닿고 있는 지그(73)가 스크류(70)의 회전 이동에 의해 앞으로 전진하여 베어링을 하우징 의 내부로 밀려 들어가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베어링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것으로, 베어링의 안쪽에 지그(73)를 넣기 위해 먼저 2개의 스크류(70)를 연결구(71)를 사용하여 상호 길게 연결한다. 이후 일측 모터(72)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70)가 역회전하게 되면 지그(73)는 스크류(70)의 역회전에 의해 베어링을 하우징의 외부로 이탈시키게 되며, 이때 버팀볼트(53)는 하우징의 입구를 받치고 있기 때문에 힘의 반작용에 의해 원활히 베어링을 하우징의 외부로 이탈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파지부(50)(50a)를 리프트(80)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도면상에서는 하나의 파지부만 도시하였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설명의 편의상 도시한 것이고,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를 십자모양으로 설치한 것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기술은 리프트(80)가 캐스터(85)에 의해 이동이 간편하고, 모터(82)의 구동에 의해 제1,2파지부(50)(50a)가 상하로 승하강 되는 것으로, 도면상 미 도시된 버튼을 누르면 모터(82)의 구동가 구동하고,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된 로울러(84)는 권취된 와이어(83)와 함께 회전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와이어(83)에는 제1,2파지부(50)(50a)가 연결되어 상하로 승하강 작동하게 되고, 상기 제1,2파지부(50)(50a)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기계부품(예: 베어링, 기어, 커플링 등)을 보다 편리하게 착탈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 1 은 종래 베어링 탈착용 치구의 사용상태도.
도 2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1실시예인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b)는 상기 도2(a)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c)는 상기 도2(a)의 사용상태도.
도 3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제2실시예인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b)는 상기 도3(a)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c)는 상기 도3(a)의 사용상태도이고,
(d)는 본 발명에 적용된 기계부품 탈부착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
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가 베어링을 체결하는 상태
를 도시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가 베어링을 분리하는 상태
를 도시한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
도 7 의 (a)는 본 발명에 적용된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의 제4실시예의 사시
도이고,
(b)는 본 발명에 적용된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의 제5실시예의 사시
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의 제6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50a: 제1,2파지부 51: 프레임
52: 아암 54: 집게
60: 이동부 65: 잭
70: 스크류 71: 연결구
72: 모터 80: 리프트

Claims (12)

  1. 삭제
  2. 각종 기계부품(예: 기어, 커플링, 베어링, 하우징 등)을 분리하거나 체결시키는 제1,2파지부(50)(50a)가 구비되되, 이 제1,2파지부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한 쌍의 아암과 집게가 슬라이딩 동작되게 슬라이드홈(51a)이 형성되며, 상기 아암에는 아암을 고정시키는 조임볼트(52d)가 구비된 프레임(51); 상기 프레임과 직각방향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아암(52) 및 상기 아암의 내부에는 집게가 끼워지는 가이드공이 형성되되, 상기 집게의 일측과 가이드공의 내측면에는 각각 집게의 길이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집게가 일정 간격으로 걸려지게 집게기어홈(54a)과 아암기어홈(52b)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아암에 각각 결합되며, 하우징을 파지하는 한 쌍의 집게(54); 상기 프레임의 중간에는 유압실린더(56); 상기 제1,2파지부(50)(50a)가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제1,2파지부(50)(50a)를 승하강시킴은 물론 거리를 이동시키는 이동부(60);가 구비된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아암에는 하우징을 파지하게 서포트해주는 버팀볼트(53)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중간에 구비되어 유압실린더를 받쳐주며, 조임볼트로 고정시키는 유압실린더받침대(55)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
  6.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제1,2파지부에 구비된 프레임의 중간에는 체결공(51b)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에는 스크류(70)가 체결되어 제1,2파지부를 상호 십자모양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하우징의 기계부품을 착탈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
  7.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집게와 가이드공의 모서리부에는 경사집게가이드홈(54c)과 경사아암기어홈(52e)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
  8.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의 일측에는 2개의 스크류를 상호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구(71)가 구비되되, 상기 스크류의 일측에는 베어링을 인출하는 지그(73)가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의 타측에는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72)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
  9. 삭제
  10.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60)는,
    플레이트의 일측 상단에 구비되어 프레임이 삽입되는 지주대(63);
    상기 플레이트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며, 아암을 받쳐줌과 아울러 제1,2파지부(50)(50a)를 선택적으로 승하강 시키는 잭(65); 및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캐스터(62);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
  11. 청구항 10 에 있어서,
    상기 잭(65)은,
    핸들과 조절스크류의 정역회전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작동하는 링크(68);
    상기 링크의 상단에 구비되며, 아암을 긴밀히 파지하여 지지하는 받침대(67);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
  12. 삭제
KR1020080071852A 2008-07-23 2008-07-23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 KR100894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852A KR100894733B1 (ko) 2008-07-23 2008-07-23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852A KR100894733B1 (ko) 2008-07-23 2008-07-23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4733B1 true KR100894733B1 (ko) 2009-04-24

Family

ID=40758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852A KR100894733B1 (ko) 2008-07-23 2008-07-23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473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9825A1 (en) * 2010-09-21 2012-03-29 General Electric Company Assembly facilit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388300B1 (ko) 2012-08-29 2014-04-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 모사 방법
KR101423882B1 (ko) 2013-06-04 2014-07-25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
CN108580557A (zh) * 2018-01-26 2018-09-28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轧辊轴承的拆卸装置
CN110614501A (zh) * 2019-10-21 2019-12-27 大连船用柴油机有限公司 大型水力测功器检修的拆卸装配方法及工装
CN112453889A (zh) * 2020-11-18 2021-03-09 国网重庆市电力公司营销服务中心 一种电表箱组装工作台
CN117549034A (zh) * 2023-12-01 2024-02-13 航天科工空天动力研究院(苏州)有限责任公司 一种轴承拆卸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2698U (ko) 1973-07-17 1975-04-09
US3964149A (en) 1975-05-05 1976-06-22 Ingersoll-Rand Company Reversible puller
US6640407B1 (en) * 2002-06-18 2003-11-04 Chin-Sung Ou Bearing detachment device
KR100726371B1 (ko) * 2006-09-21 2007-06-11 현대제철 주식회사 축 결합 해체용 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2698U (ko) 1973-07-17 1975-04-09
US3964149A (en) 1975-05-05 1976-06-22 Ingersoll-Rand Company Reversible puller
US6640407B1 (en) * 2002-06-18 2003-11-04 Chin-Sung Ou Bearing detachment device
KR100726371B1 (ko) * 2006-09-21 2007-06-11 현대제철 주식회사 축 결합 해체용 지그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9825A1 (en) * 2010-09-21 2012-03-29 General Electric Company Assembly facilit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388300B1 (ko) 2012-08-29 2014-04-22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 모사 방법
KR101423882B1 (ko) 2013-06-04 2014-07-25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
CN108580557A (zh) * 2018-01-26 2018-09-28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轧辊轴承的拆卸装置
CN108580557B (zh) * 2018-01-26 2023-09-29 山东钢铁股份有限公司 轧辊轴承的拆卸装置
CN110614501A (zh) * 2019-10-21 2019-12-27 大连船用柴油机有限公司 大型水力测功器检修的拆卸装配方法及工装
CN110614501B (zh) * 2019-10-21 2024-04-12 大连船用柴油机有限公司 大型水力测功器检修的拆卸装配方法及工装
CN112453889A (zh) * 2020-11-18 2021-03-09 国网重庆市电力公司营销服务中心 一种电表箱组装工作台
CN117549034A (zh) * 2023-12-01 2024-02-13 航天科工空天动力研究院(苏州)有限责任公司 一种轴承拆卸装置
CN117549034B (zh) * 2023-12-01 2024-05-07 航天科工空天动力研究院(苏州)有限责任公司 一种轴承拆卸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733B1 (ko)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
WO2008157424A3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joint disassembly
CN109243809B (zh) 变压器缠脚绕线装置
CN108016872B (zh) 一种上料装置
JP2017164830A (ja) チェーン分解機
KR100803915B1 (ko) 롤 조립용 지그장치
KR102067043B1 (ko) 벽돌운반장치
CN210007259U (zh) 一种电缆敷设拉线机
CN111997052A (zh) 夹钳及拔桩机
JP4773893B2 (ja) キャップ取着方法
KR20180000958A (ko) 말뚝 취출장치
CN213265117U (zh) 一种方便安装的电热丝张力调节装置
CN210368022U (zh) 一种羊毛加工的拉断装置
JP6366417B2 (ja) フェルールバンド着脱装置
CN207104286U (zh) 一种消除反作用力拧紧机构
CN204935508U (zh) 一种便携式电动阀门扳手
CN220807382U (zh) 一种用于上身助力的外骨骼机器人
CN217317795U (zh) 馈缆头紧固夹具
CN219485686U (zh) 一种改进型抓取夹具
CN220347794U (zh) 一种金属制品数控车床加工用夹具
CN205527338U (zh) 一种可调节预紧力的桶抓具
CN220645878U (zh) 一种便于调节的液压动力钳
CN220635925U (zh) 一种手动折弯圆管料的夹具
JP4663458B2 (ja) マンコンベア用移動手摺の加圧ローラ着脱装置及びその方法
JP2001047375A (ja) ベアリング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