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300B1 -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 모사 방법 - Google Patents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 모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300B1
KR101388300B1 KR1020120095068A KR20120095068A KR101388300B1 KR 101388300 B1 KR101388300 B1 KR 101388300B1 KR 1020120095068 A KR1020120095068 A KR 1020120095068A KR 20120095068 A KR20120095068 A KR 20120095068A KR 101388300 B1 KR101388300 B1 KR 101388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tering
density
holder
port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8550A (ko
Inventor
박태준
서유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5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300B1/ko
Publication of KR20140028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F27B21/04Sintering pots or sintering pa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16Sintering; Agglomerating
    • C22B1/18Sintering; Agglomerating in sinter p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7/00Furnaces of a kind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 F27B17/02Furnaces of a kind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specially designed for laboratory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96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involving simulation means, e.g. of the treating or charging ste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 모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결용 배합원료(m)가 장입된 소결 포트(10)를 고정하는 홀더부(33,37)를 구비하는 프레임(20)과, 상기 홀더부(33,37)에 연결되어 상기 홀더부(33,37)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압수단(43)과, 상기 홀더부(33,37)에 설치되어 상기 소결 포트(10)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수단(45)과, 상기 소결 포트(10)를 상기 홀더부(33,37)에 고정하고, 상기 소결 포트(10)가 진동하도록 상기 유압수단(43)과 진동수단(45) 중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하는 조작수단(47)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소결 포트에 장입된 소결용 배합원료의 밀도 조절 모사가 가능하고, 소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범위로 소결용 배합원료의 밀도 조절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 모사 방법{DENSITY CHANGE EQUIPMENT OF SINTERING BLENDING ORE, AND SINTERING SIMULATION MO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 모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결 모사 실험시 소결 포트 내의 장입물의 밀도를 조절할 수 있는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 모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로는 연료인 코크스와 철광석을 반복 장입하면서 풍구를 통해 열풍을 불어 넣어 장입된 철광석을 녹여 용선을 생산하는 설비이다.
철광석은 파쇄(crushing)와 체질(screening)에 의하여 적정한 크기만을 선택하여 고로에 장입한다.
고로에는 철광석뿐만 아니라 분철광석을 단광화한 소결광도 사용된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국내공개특허 제1994-0014858호(1994.07.19)_"소결광 제조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결 모사 실험에서 소결광의 품질을 유지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소결 포트 내의 장입물의 밀도를 조절하는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 모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소결용 배합원료가 장입된 소결 포트를 고정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소결 포트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수단과, 상기 소결 포트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고 상기 소결 포트가 진동하도록 상기 진동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조작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중량물이 안착된 판 형상이며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과 직교되게 세로로 연장된 연결플레이트로 구성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판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고, 선단에 힌지축으로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며 상기 소결 포트를 감싸 밀착 고정하는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가 구비된 고정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프레임에 상기 제1홀더부와 상기 제2홀더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유압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유압수단은 상기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에 각각 연결되고 전후진 운동에 의해 상기 제1홀더부와 상기 제2홀더부를 각각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를 전후진 운동시키는 실린더부를 포함한다.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제1홀더부와 상기 제2홀더부의 외면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제1홀더부와 상기 제2홀더부에 각각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이다.
소결용 배합원료가 장입된 소결 포트에 진동을 가하여 소결용 배합원료의 밀도를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소결 포트에 가하는 진동시간과 상기 소결용 배합원료의 밀도와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밀도가 조절된 소결용 배합원료를 소결하여 소결광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소결용 배합원료의 밀도와 상기 소결광 회수율과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결 포트에 가하는 진동시간과 상기 소결용 배합원료의 밀도와의 상관관계는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한다.
<수학식 1>
밀도=(-0.0182×진동시간2)+(0.1708×진동시간)+0.18149
(R2=0.96)
상기 소결용 배합원료의 밀도와 상기 소결광 회수율과의 상관관계는 하기의 <수학식 2>를 만족한다.
<수학식 2>
회수율=(-0.6075×밀도2)+(5.7032×밀도)+60.59
(R2=0.96)
상기 소결용 배합원료는 상기 소결 포트를 소결 모사 장치 내에 구비된 서지호퍼의 하부에 배치시키고 상기 서지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소결용 배합원료를 상기 소결 포트 내부로 낙하시킨 것이다.
본 발명의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는 소결 포트에 장입된 소결용 배합원료의 밀도 조절 모사가 가능하고 소결광의 회수율을 높이는 범위로 소결용 배합원료의 밀도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실제 소결 현장을 더욱 정밀히 모사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소결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건을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소결 포트가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의 작동 전(a)과 작동 후(b)의 소결 포트 내의 소결용 배합원료의 밀도 변화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의 진동시간에 따른 소결용 배합원료의 밀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도 4의 소결용 배합원료의 밀도 변화와 소결광 회수율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는, 소결 모사 실험을 수행하는 소결 모사 장치 내에 구비되어 소결 장입물의 밀도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소결 장입물은 소결 포트를 소결 모사 장치 내에 구비된 서지호퍼의 하부에 배치시키고, 서지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소결용 배합원료를 소결 포트 내부로 낙하시킨 소결용 배합원료를 의미한다.
분철광석, 부원료, 연료는 컨베이어 벨트로 배출된 후 드럼믹서에서 혼합되고 조립되어 소결용 배합원료로 만들어진다. 그리고, 조립된 소결용 배합원료는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송된 후 서지호퍼로 투입되고 드럼피드와 경사판을 거쳐 소결 포트에 장입된다.
이 과정에서 소결용 배합원료의 낙하속도 차이로 인해 입도편석이 발생하며, 소결 포트 내 상부에는 세립이 하부에는 조립만 분포하는 장입 밀도 불균형이 발생한다. 장입 밀도 불균형이 발생하면 소결광의 생산성과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소결 대차에서 통기성이 악화된다.
소결 조업은 저품위 철광석을 다량 함유하는 고배합 구조에서도 소결광의 품질을 유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소결용 배합원료의 장입 밀도를 조절하는 소결 모사 실험이 수행된다.
소결 모사 실험은 실조업 소결 설비의 조건을 설정하여 소결용 배합원료의 장입 밀도를 조절하기에는 소결 설비가 대형화되어 있고 위험 부담이 크므로 소결 모사 장치 내에 소결용 배합원료의 장입 밀도를 조절하는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를 구비하여 소결 모사 실험을 수행하는 것이다. 소결 포트는 실조업 소결 설비의 소결 대차를 대신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는 소결용 배합원료(m)가 장입된 소결 포트(10)를 고정하는 홀더부(33,37)를 구비하는 프레임(20)과, 홀더부(33,37)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압수단(43), 홀더부(33,37)에 설치되어 소결 포트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수단(45)과, 소결 포트(10)를 프레임(20)에 고정하고 소결 포트(10)가 진동하도록 유압수단(43)과 진동수단(45) 중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하는 조작수단(47)을 포함한다.
소결 포트(10)는 상부가 개구된 긴 원통형상으로 내부에 서지호퍼로부터 배출된 소결용 배합원료가 장입된다. 소결 포트(10)의 외면에는 별도의 이송장치가 걸어지기 위한 걸림고리(11)가 구비된다.
프레임(20)은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21)과, 소결 포트(10)를 지지하는 홀더부(33,37)를 구비하는 고정 프레임(31)을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21)은 중량물(n)이 안착된 판 형상이며 하부에 바퀴(25)가 설치되는 지지판(23)과, 지지판(23)과 직교되게 세로로 연장된 연결플레이트(27)로 구성된다. 중량물(n)은 소결 포트(10)를 고정하는 프레임(20)의 무게 중심을 잡기 위한 것이다.
바퀴(25)는 프레임(2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를 이동식으로 설계하여 소결 모사 실험을 용이하게 한다.
고정 프레임(31)은 연결플레이트(27)의 상부 일측에서 지지판(23)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고정 프레임(31)은 두 개가 나란히 돌출된 형상이다.
홀더부(33,37)는 고정 프레임(31)의 선단에 힌지축(35,39)으로 결합되고 회전 가능한 제1홀더부(33)와 제2홀더부(37)로 구성된다.
제1홀더부(33)와 제2홀더부(37)는 각각 반원형 형상이며, 내주면이 소결 포트(10)의 외주면에 대응된다. 제1홀더부(33)와 제2홀더부(37)는 소결 포트(10)를 감싸 밀착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1홀더부(33)와 제2홀더부(37)는 유압수단(43)에 의해 회전 제어된다. 제1홀더부(33)와 제2홀더부(37)는 유압수단(43)의 작동시 선단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홀더부(33)와 제2홀더부(37)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소결 포트(10)를 감싸 밀착 고정하고,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소결 포트(10)를 감싸 밀착 고정한 상태가 해제된다.
유압수단(43)은 로드부(43a)와 실린더부(43b)를 포함한다.
로드부(43a)는 제1홀더부(33)와 제2홀더부(37)의 외면에 각각 연결되고 전후진 운동에 의해 제1홀더부(33)와 제2홀더부(37)를 각각 힌지축(35,39)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실린더부(43b)는 유압을 제공받아 로드부(43a)를 실린더부(43b)에 대해 전후진 운동시킨다.
로드부(43a)는 제1홀더부(33)와 제2홀더부(37)에 힌지결합으로 연결되어 로드부(43a)의 전후진에 따른 제1홀더부(33)와 제2홀더부(37)의 자연스런 회전을 유도한다.
제1홀더부(33)와 제2홀더부(37)의 대응되는 선단에서 서로 형합되는 결합부(33a,37a)가 형성된다. 결합부(33a,37a)는 제1홀더부(33)와 제2홀더부(37)의 선단을 서로 맞물리게 하여 소결 포트(10)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로 제1홀더부(33)와 제2홀더부(37)의 선단은 클램프를 이용하여 체결 고정할 수 있다. 클램프는 제1홀더부(33)와 제2홀더부(37)의 맞물리는 선단을 지지하여 고정할 수 있는 형상이면 다양한 것이 채용될 수 있다.
프레임(20)은 연결플레이트(27)와 고정 프레임(31)을 연결하는 지지 프레임(41)을 더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41)은 소결 포트(10)를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31)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진동수단(45)은 제1홀더부(33)와 제2홀더부(37)의 외면에 각각 장착되고, 제1홀더부(33)와 제2홀더부(37)에 각각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이다. 진동 모터는 소결 포트(10) 전체를 균일하게 진동시키도록 제1홀더부(33)와 제2홀더부(37)의 외면에 일체로 장착된다.
조작수단(47)은 진동수단(4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스위치, 실린더부(43b)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공급스위치일 수 있다. 전원스위치 및 유압공급스위치는 제어부에 의해 작동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소결 포트(10)에 진동이 가해지는 설정시간마다 소결 포트(10) 내에 장입된 소결용 배합원료(m)의 밀도를 측정하는 측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측정수단은 소결 포트(10) 내에 장입된 소결용 배합원료(m)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감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측정수단은 높이감지부를 통해 제공받은 정보와 기입력된 소결용 배합원료의 질량 정보를 이용하여 소결 포트 내에 장입된 배합원료의 밀도를 설정시간마다 측정할 수 있다.
측정수단이 설정시간마다 측정한 결과 데이터는 전자기기와 연결하여 그래프로 출력 가능하다.
한편,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를 이용한 소결 모사 방법은 소결용 배합원료(m)가 장입된 소결 포트(10)에 진동을 가하여 소결용 배합원료(m)의 밀도를 조절하는 단계와, 소결 포트(10)에 가하는 진동시간과 소결용 배합원료(m)의 밀도와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단계와, 밀도가 조절된 소결용 배합원료(m)를 소결하여 소결광을 제조하는 단계와, 소결용 배합원료(m)의 밀도와 소결광 회수율과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결용 배합원료(m)는 소결 포트(10)를 소결 모사 장치 내에 구비된 서지호퍼의 하부에 배치시키고, 서지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소결용 배합원료를 소결 포트(10) 내부로 낙하시킨 것이다.
진동은 소결용 배합원료(m) 사이의 공간을 줄여 소결용 배합원료의 밀도를 조절한다. 진동은 소결 포트(10) 전체에 균일하게 가해지도록 한다. 소결 포트(10)에 진동을 가하는 동안 설정시간마다 소결용 배합원료(m)의 밀도를 측정한다.
설정시간마다 측정한 소결용 배합원료(m)의 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결 포트에 가하는 진동시간과 소결용 배합원료(m)의 밀도와의 상관관계를 도출한다.
이때, 소결용 배합원료(m)의 밀도는 기측정된 소결용 배합원료(m)의 질량을 설정시간마다 감소한 소결용 배합원료의 부피로 나누어 계산한다.
소결 포트에 가하는 진동시간과 소결용 배합원료의 밀도와의 상관관계는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한다.
<수학식 1>
밀도=(-0.0182×진동시간2)+(0.1708×진동시간)+0.18149
(R2=0.96)
소결광을 제조한 후에는 소결용 배합원료의 밀도와 소결광 회수율과의 상관관계를 도출한다.
소결용 배합원료의 밀도와 소결광 회수율과의 상관관계는 하기의 <수학식 2>를 만족한다.
<수학식 2>
회수율=(-0.6075×밀도2)+(5.7032×밀도)+60.59
(R2=0.96)
이하 본 발명을 이용하여 소결 포트에 장입된 소결용 배합원료의 밀도를 조절하는 소결 모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분철광석, 부원료, 연료를 드럼믹서에서 혼합하고 조립한 소결용 배합원료를 준비한다. 준비된 소결용 배합원료를 소결 모사 장치 내에 구비된 서지호퍼의 하부에 배치시키고 서지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소결용 배합원료를 소결 포트(10) 내부로 낙하시켜 소결용 배합원료(m)가 소결 포트(10)에 장입되도록 한다.
소결용 배합원료(m)가 장입된 소결 포트(10)는 별도의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이송시키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에 장착한다.
그 과정은 소결 포트(10)의 걸림고리(11)에 이송장치의 후크를 걸고 이송시켜 소결 포트(10)를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의 제1홀더부(33)와 제2홀더부(37)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조작수단(47)을 작동시켜 실린더부(43b)에 유압을 공급한다. 그러면, 로드부(43a)가 유압에 의해 실린더부(43b)로부터 전진하고, 로드부(43a)가 전진하는 힘에 의해 제1홀더부(33)와 제2홀더부(37)의 선단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제1홀더부(33)와 제2홀더부(37)가 회전하여 선단의 결합부(33a,37a)가 서로 형합되면 소결 포트(10)는 제1홀더부(33)와 제2홀더부(37)의 내면에 밀착 고정된다.
이때, 제1홀더부(33)와 제2홀더부(37)는 유압에 의해 소결 포트(10)를 고정한 상태가 유지되므로 소결 포트(10)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물론, 제1홀더부(33)와 제2홀더부(37)의 결합부(33a,37a)에 클램프를 구비하여 체결하는 경우 제1홀더부(33)와 제2홀더부(37)가 소결 포트(10)를 고정한 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수단(47)을 작동시켜 진동수단(45)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러면, 진동수단(45)의 진동에 의해 소결 포트(10)가 진동하고 소결 포트(10) 내에 장입된 소결용 배합원료(m)의 밀도가 조절된다.
소결용 배합원료의 밀도는 기측정된 소결용 배합원료의 질량을 진동이 가해지는 설정시간마다 측정된 소결용 배합원료의 부피로 나누어 계산된다.
그리고, 소결 포트(10) 내의 소결용 배합원료(m)의 밀도가 조절되면, 소결 포트(10)를 도시되지 않은 소결 모사 장치 내의 소결기로 이송하여 소결시킨다.
소결 포트(10) 내에 장입된 소결용 배합원료(m)의 밀도가 조절된 상태는 도 3에서 확인된다. 도 3은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의 작동 전(a) 소결 포트(10) 내의 소결용 배합원료(m)와, 작동 후(b)의 소결 포트(10) 내의 소결용 배합원료(m)의 밀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밀도 변화는 소결 포트(10)에 부여되는 균일한 진동에 의해 소결 포트(10) 내의 하부에 분포하는 조립 사이에 세립이 일정부분 혼합되고, 이는 소결용 배합원료 사이의 공간을 줄여 공극을 고르게 형성하기 때문이다.
고른 공극은 소결 대차에서 통기성을 확보하고 용융열을 보존하여 용융시간을 억제하고 반응시간을 증가시켜 저품위 철광석의 고배합 구조에서 소결광의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의 진동시간에 따른 소결용 배합원료의 밀도 변화 그래프와 도 5에 도시된 배합원료의 밀도 변화와 소결광 회수율과의 상관관계 그래프로부터 확인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진동시간에 따른 소결용 배합원료의 밀도는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한다.
<수학식 1>
밀도=(-0.0182×진동시간2)+(0.1708×진동시간)+0.18149
(R2=0.96)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소결용 배합원료의 밀도에 따른 소결광 회수율은 하기의 수학식 2를 만족한다.
<수학식 2>
회수율=(-0.6075×밀도2)+(5.7032×밀도)+60.59
(R2=0.96)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시간과 소결용 배합원료의 밀도, 소결용 배합원료의 밀도와 소결광 회수율의 상관관계를 회귀분석방법으로 도출한 결과 수학식 1, 수학식 2와 같은 상관관계가 도출되었으며 상관계수(R2)가 0.96으로 높았다.
이러한 실험결과로부터 실조업 소결 설비의 소결 대차에 진동수단을 설치하고, 소결용 배합원료의 장입 밀도를 조절하는 경우 소결광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술한 구성으로부터 소결 포트 내 장입된 소결용 배합원료의 장입 밀도 조절이 가능하고, 소결공정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결용 배합원료의 장입 밀도 조건을 찾아 소결광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소결 포트 20:프레임
21:베이스 프레임 23:지지판
25:바퀴 27:연결플레이트
31:고정 프레임 33:제1홀더부
35,39:힌지축 37:제2홀더부
33a,37a:결합부 41:지지 프레임
43:유압수단 43a:로드부
43b:실린더부 45:진동수단
47:조작수단 m:소결용 배합원료
n:중량물

Claims (8)

  1. 소결용 배합원료가 장입된 소결 포트를 고정하는 홀더부를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홀더부에 연결되어 상기 홀더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압수단;
    상기 홀더부에 설치되어 상기 소결 포트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수단;
    상기 소결 포트를 상기 홀더부에 고정하고, 상기 소결 포트가 진동하도록 상기 유압수단과 진동수단 중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하는 조작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중량물이 안착된 판 형상이며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과 직교되게 세로로 연장된 연결플레이트로 구성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판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고정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기 고정 프레임의 선단에 힌지축으로 결합되는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홀더부와 상기 제2홀더부는 상기 소결 포트를 고정하도록 상기 유압수단에 의해 회전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압수단은
    상기 제1홀더부와 제2홀더부에 각각 연결되고 전후진 운동에 의해 상기 제1홀더부와 상기 제2홀더부를 각각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를 전후진 운동시키는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
  5. 소결용 배합원료가 장입된 소결 포트에 진동을 가하여 소결용 배합원료의 밀도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소결 포트에 가하는 진동시간과 상기 소결용 배합원료의 밀도와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밀도가 조절된 소결용 배합원료를 소결하여 소결광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 모사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소결용 배합원료의 밀도와 상기 소결광 회수율과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결 포트에 가하는 진동시간과 상기 소결용 배합원료의 밀도와의 상관관계는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 모사 방법.
    <수학식 1>
    밀도=(-0.0182×진동시간2)+(0.1708×진동시간)+0.18149
    (R2=0.96)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소결용 배합원료의 밀도와 상기 소결광 회수율과의 상관관계는 하기의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 모사 방법.
    <수학식 2>
    회수율=(-0.6075×밀도2)+(5.7032×밀도)+60.59
    (R2=0.96)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소결용 배합원료는
    상기 소결 포트를 소결 모사 장치 내에 구비된 서지호퍼의 하부에 배치시키고 상기 서지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소결용 배합원료를 상기 소결 포트 내부로 낙하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 모사 방법.
KR1020120095068A 2012-08-29 2012-08-29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 모사 방법 KR101388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068A KR101388300B1 (ko) 2012-08-29 2012-08-29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 모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068A KR101388300B1 (ko) 2012-08-29 2012-08-29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 모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550A KR20140028550A (ko) 2014-03-10
KR101388300B1 true KR101388300B1 (ko) 2014-04-22

Family

ID=50641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068A KR101388300B1 (ko) 2012-08-29 2012-08-29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 모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3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48411B (zh) * 2016-10-17 2022-08-30 武汉科技大学 一种模拟溜井溜放矿的实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7879B1 (ko) 1992-12-24 2002-02-19 카나가와 치히로 분말품의부피비중자동측정장치
KR200355705Y1 (ko) * 2004-04-07 2004-07-16 강종기 콘크리트 파일 커팅장치
KR100894733B1 (ko) 2008-07-23 2009-04-24 하숙녀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
KR101076070B1 (ko) * 2008-09-29 2011-10-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결원료의 장입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7879B1 (ko) 1992-12-24 2002-02-19 카나가와 치히로 분말품의부피비중자동측정장치
KR200355705Y1 (ko) * 2004-04-07 2004-07-16 강종기 콘크리트 파일 커팅장치
KR100894733B1 (ko) 2008-07-23 2009-04-24 하숙녀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
KR101076070B1 (ko) * 2008-09-29 2011-10-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결원료의 장입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550A (ko) 201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181842A (ja) 粉体計量充填装置
KR101388300B1 (ko) 소결 장입물 밀도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 모사 방법
MX2009000681A (es) Metodo y aparato para cargar hierro de reduccion directa caliente desde recipientes de transporte calientes a un crisol o acabador.
CN102735110A (zh) 鞭炮自动装药机
CN205797772U (zh) 一种钒氮合金成品自动筛分装置
CN206509220U (zh) 一种可移动的建筑施工用筛沙装置
CA2001718C (en) Agglomerating process of sinter mix and apparatus therefor
JP4443384B2 (ja) アスファルト混合物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N202660986U (zh) 鞭炮自动装药机
KR101076070B1 (ko) 소결원료의 장입장치 및 그 방법
CN210960364U (zh) 一种猪饲料磨料系统便捷上料装置
CN104437193A (zh) 粉矿烧结性能试验的混合制粒装置及方法
CN209795960U (zh) 一种新型粉料包装机
CN107716292A (zh) 一种基于电路控制的新型高频振动筛
CN210005383U (zh) 一种改性聚丙烯矿物质填充量测量辅助装置
CN209335054U (zh) 一种物镜组装设备
JP3795791B2 (ja) 自然落下式熱処理方法及び熱処理炉
JPH10110408A (ja) アスファルト再生合材の製造方法及び装置
CN202593924U (zh) 夹紧装置
KR101534126B1 (ko) 원료 장입 장치 및 원료 장입 방법
CN206013003U (zh) 一种全自动防潮颗粒包装机
CN209834802U (zh) 一种振动给料机
KR101334982B1 (ko) 다이아몬드 절삭팁 성형용 다이아몬드 입자 공급장치
CN215625435U (zh) 一种用于粉体加热的振动螺旋给料机
CN204078087U (zh) 粉剂农药贮料、输送和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