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043B1 - 벽돌운반장치 - Google Patents

벽돌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043B1
KR102067043B1 KR1020190086326A KR20190086326A KR102067043B1 KR 102067043 B1 KR102067043 B1 KR 102067043B1 KR 1020190086326 A KR1020190086326 A KR 1020190086326A KR 20190086326 A KR20190086326 A KR 20190086326A KR 102067043 B1 KR102067043 B1 KR 102067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ongs
brick
safety plat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섭
이재욱
이재명
Original Assignee
이장섭
이재욱
이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섭, 이재욱, 이재명 filed Critical 이장섭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62Tiles, bricks, paving slab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1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comprising lif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2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using forks or t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돌과 같은 중량의 물체를 파지하여 상측으로 올린 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벽돌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인 벽돌운반장치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이동바퀴가 구비된 몸체에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용 수직프레임을 따라 리프트장치에 의하여 전방에 형성된 인입용 개구부로 인입된 벽돌을 집게장치로 파지하여 들어올린 후 운반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벽돌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게장치는 인입용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집게용 프레임 양단부분에 전방으로 집게다리용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집게다리용 프레임의 각 단부분에 형성되는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지렛대형 프레임의 중간부분이 결합되고, 상기 지렛대형 프레임의 외측프레임 단부분에 형성되는 제2 회전축(C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집게다리의 중간부분이 결합되며, 상기 집게용 프레임 내측에 설치되고 지렛대형 프레임의 내측프레임 단부분을 외측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하도록 설치되고 지렛대형 프레임에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집게용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지렛대형 프레임 3면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집게다리의 내측으로는 제1 회전축(C1)이 인입될 수 있는 회피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집게다리가 각 집게용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구동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벽돌운반장치{Brick-carrying device}
본 발명은 벽돌과 같은 중량의 물체를 파지하여 상측으로 올린 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벽돌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벽돌과 같은 다양한 중량의 물체 용이하게 운반하고자 중량의 물체를 파지(집을) 시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할(집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벽돌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상가용 건물 등과 같은 건물시공 시 외벽과 기둥은 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하게 되고 내부 벽체는 벽돌이나 블록을 적재하여 시공하게 되며, 이때 벽돌을 필요한 장소로 운반하기 위한 여러 수단들이 제공되고 있다.
벽돌운반수단들은 시공현장에서 벽돌을 다른 장소로 이동하고자 할 때 작업자가 벽돌을 손수레나 운반 하역기구에 적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고, 특히 필요한 장소에 운반한 다음 벽돌로 벽체를 시공벽체의 높이가 높아지면, 높은 위치까지 벽돌을 다시 운반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의 특허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459309호인 벽돌운반구와, 등록특허 제10-1809568호 벽돌운반용 리프트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 제10-1459309호인 벽돌운반구와, 등록특허 제10-1809568호 벽돌운반용 리프트장치는 수직가이드대를 따라 승강하는 승하강 프레임의 양측 단부분에 벽돌 집게용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집게용 프레임의 일면에 집게용 이동대를 설치하고, 상기 집게용 프레임과 집게용 이동대 사이에 유압실린더를 설치하여, 상기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집게용 이동대를 이동시켜 벽돌을 양측에서 가압하여 파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등록특허 제10-1459309호인 벽돌운반구와, 등록특허 제10-1809568호 벽돌운반용 리프트장치의 경우 집게(파지)용 이동대의 이동할 수 있는 범위가 작아 집을(파지할) 벽돌의 폭 가변범위가 작은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파지할 수 있는 물품의 폭이 한정되어 사용상의 범위가 작은 단점이 있으나,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1932442호인 파지폭의 범위가 넓은 벽돌운반장치를 제공하였다.
종래의 기술 및 본 출원인이 제공한 기술에서는 벽돌을 운반을 하고자 할 경우 집게 방식으로만 벽돌을 집어 상측으로 올린 후 운반을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중량물인 벽돌을 파지시 중량에 의하여 처짐현상이 발생하여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이동시 파지된 벽돌이 추락(붕괴)하여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벽돌이 적재된 형태에 따라 종종 집게 방식으로 집을 수 없을 경우가 있는 한편, 벽돌 외의 다른 중량물의 경우 형상, 모양 및 재질 등에 따라 집게 방식으로 집을 수 없는 경우가 있어 운반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즉, 공사현장에서 벽돌 뿐만 아니라 종종 시멘트 등과 같은 중량물을 운반할 경우가 있으나, 이러한 경우 사용함에 제약이 발생하여 범용성이 떨어져 널리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KR) 등록특허 10-1459309 (KR) 등록특허 10-1809568 (KR) 등록실용신안 20-0248416 (KR) 공개특허 10-2009-0082992 (KR) 등록특허 10-1932442
본 발명은 종래의 벽돌운반장치가 가지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벽돌을 양쪽에서 가압하여 파지하는 집게다리의 높이(h)를 제작시 조절이 용이할 수 있는 구조의 벽돌운반장치를 제공하여 집게다리의 높이(h)에 의하여 벽돌을 양쪽에서 가압하여 파지하는 과정에서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집게형태로 양측에서 가압하여 벽돌을 집어 올릴 수 있도록 구비된 집게장치를 가이드용 수직프레임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상하이동대에서 분리되도록 하여 집게장치가 아닌 다른 방식의 장치를 사용하여 물건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물건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즉, 가이드용 수직프레임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상하이동대와 집게장치가 분리되도록 하여 집게장치가 설치되는 위치에 포크장치와 같은 다른 방식의 장치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집게장치의 분리가 용이한 벽돌운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예컨데, 종래기술들은 가이드용 수직프레임에 설치되어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롤러가 설치되는 몸체가 집게장치의 일측에 고정설치됨으로써 집게장치의 파손으로 교체시 가이드용 수직프레임 상측을 분리하여 교체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용 수직프레임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상하이동대와 집게장치가 분리되도록 하여 집게장치의 교체시 상하이동대를 가이드용 수직프레임에서 분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교체가 용이할 수 있는 집게장치의 분리가 용이한 벽돌운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량물의 운반시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운반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집게장치의 분리가 용이한 벽돌운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되는 고중량인 벽돌의 중량에 의하여 처짐현상으로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현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벽돌운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집게장치로 파지한 상태로 운반과정시 측면방향으로 추락하는 벽돌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벽돌운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벽돌운반장치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이동바퀴가 구비된 몸체에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용 수직프레임을 따라 리프트장치에 의하여 전방에 형성된 인입용 개구부로 인입된 벽돌을 집게장치로 파지하여 들어올린 후 운반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벽돌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게장치는,
인입용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양단부분에 전방으로 집게다리용 프레임을 가지는 집게용 프레임과; 상기 집게다리용 프레임의 각 단부분에 형성되는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중간부분이 결합되되, 상기 집게다리용 프레임의 내측으로 수용되게 설치된 한쌍의 지렛대형 프레임과; 상기 지렛대형 프레임의 외측프레임 단부분에 형성되는 제2 회전축(C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중간부분이 결합되되, 내측프레임 일부분이 상기 집게다리용 프레임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설치된 한쌍의 집게다리와; 상기 지렛대형 프레임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설치된 한쌍의 집게다리와; 상기 집게용 프레임 내측에 설치되고 지렛대형 프레임의 내측프레임 단부분을 외측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하도록 설치되고 한쌍의 지렛대형 프레임에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집게용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집게다리의 내측으로는 제1 회전축(C1)이 인입될 수 있는 회피용홈을 구비하도록 하여 지렛대형 프레임이 집게다리용 프레임과 집게다리에 형성되는 내부공간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집게용 프레임 내측에 위치하는 집게용 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지렛대형 프레임이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2 회전축(C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한쌍의 집게다리가 오므러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집게장치의 집게용 프레임 상부에는 전방 안전판이 구비되고, 상기 전방 안전판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탈부착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회전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측면 안전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가이드용 수직프레임과 집게장치 사이에는 집게장치로 중량물인 벽돌을 파지하여 올릴 시 중량에 의한 처짐현상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집게장치 수평유지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용 수직프레임의 하측에는 중량물인 벽돌을 파지과정시 집게다리가 수평상태에서 파지할 수 있도록 초기 집게장치 수평수단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용 수직프레임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상하이동대에 벽돌을 파지하는 집게장치가 탈부착될 수 있도록 상하이동대와 집게장치 사이에는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상하이동대로부터 집게장치가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 집게장치가 분리된 상하이동대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포크장치가 더 구비되어, 집게장치와 포크장치를 선택적으로 상하이동대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동력장치를 이용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동력장치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이동바퀴를 포함하는 동력이동바퀴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집게장치의 집게용 프레임 상부에는 전방 안전판이 구비되고, 상기 전방 안전판의 일측 또는 양측에 탈부착 가능한 측면 안전판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방 안전판과 측면 안전판 사이에는 힌지핀의 분리로 전방 안전판에서 측면 안전판이 분리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안전판 힌지부와, 상기 안전판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측면 안전판을 고정하는 안전판 회전고정장치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벽돌운반장치는 집게장치의 구조의 경우 집게다리의 높이가 구동시키기 위하여 각각 대응되게 구비되는 집게용 유압실린더에 의한 간섭을 회피할 수 있음으로써 집게다리의 높이의 설정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 도면과 같이 집게장치는 고중량물 파지기 그 중량에 따른 처짐에 의하여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으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 도면과 같이 집게장치와 포크장치의 교체가 용이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중량물의 물체(물건)를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즉, 벽돌을 조적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벽돌을 손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본 발명인 집게장치의 분리가 용이한 벽돌운반장치는 큰 구조변경 없이 집게장치를 대신하여 포크장치 등과 같은 다른 장치로 교체설치할 수 있음으로써 벽돌 외의 시멘트 또는 타일 등과 같은 중량물의 물체를 손쉽게 운반할 수 있다.
이는 운반할 수 있는 물체의 종류가 다양해지게 되어 폭넓게 사용할 수 있음으로써 구비하는 소비자들에게 경제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인 집게장치의 분리가 용이한 벽돌운반장치는 몸체에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용 수직프레임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상하이동대에서 집게장치가 분리됨으로써 집게장치의 파손으로 인한 수리 및 교체시 보다 용이하게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여 유지보수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동력장치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이동바퀴를 포함하는 동력이동바퀴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전방 안전판의 일측 또는 양측에 탈부착 가능한 측면 안전판이 구비됨에 따라 측면으로 떨어질 수 있는 벽돌에 의한 안전사로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벽돌운반장치의 측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벽돌운반장치의 배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벽돌운반장치의 평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벽돌운반장치의 집게장치의 일부분이 분리된 평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벽돌운반장치의 집게장치의 일부분 개략도이며, (a)는 집게장치의 일부분 평면개략도이고, (b)는 (a)의 a-a선 단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벽돌운반장치의 집게장치의 작동 상태의 평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벽돌운반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벽돌운반장치와 포크장치가 교체설치될 수 있음을 보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벽돌운반장치의 구성 중 상하이동대의 사시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벽돌운반장치의 구성 중 상하이동대와 집게장치에 구비된 결합수단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벽돌운반장치의 구성 중 중량물인 벽돌을 파지하여 올릴 시 중량에 의한 처짐현상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져 집게장치가 가이드용 수직프레임과 수직상태가 되도록 하는 집게장치 수평유지수단에 대한 개략도이며, (a)는 가이드용 수직프레임 평단면 개략도이며, (b)는 가이드용 수직프레임의 일측면부분의 종단면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벽돌운반장치의 구성 중 집게장치 수평유지수단에 의하여 중량물인 벽돌을 파지하여 올릴 시 중량에 의한 처짐현상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져 집게장치와 가이드용 수직프레임이 수직상태가 이루어짐을 보인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집게장치 수평유지수단이 구비된 벽돌운반장치에서 초기에 집게장치가 수평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초기 집게장치 수평수단에 대한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벽돌운반장치의 구성 중 측면 안전판이 구비된 상태인 평면개략도.
도 14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벽돌운반장치의 구성 중 측면 안전판이 구비된 상태인 측면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벽돌운반장치의 구성 중 측면 안전판에 대한 사시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벽돌운반장치의 구성 중 동력이동바퀴장치에 대한 개략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적층된 상태의 벽돌(B)과 같은 중량의 물체를 집게장치로 집어 상측으로 올린 후 이동시킬 수 있는 벽돌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적층된 상태의 벽돌을 벽돌이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벽돌운반장치(BC)의 구성을 살펴보면, 이동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이동바퀴가 구비되고 전방으로 인입용 개구부(A)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 몸체(10)와, 상기 몸체(10)에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용 수직프레임(20)과, 상기 가이드용 수직프레임(20)에 설치되어 가이드용 수직프레임(20)에 안내되어 이동하는 상하이동대(30)와, 상기 상하이동대(30)에 설치되며 인입용 개구부(A)로 인입된 벽돌과 같은 중량의 물체를 집게 형태로 파지하도록 하는 집게장치(40)와,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제어부(70)와, 상기 집게장치(40)에 파지된 중량의 물체을 들어올리도록 하는 리프트장치(8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는 도 3과 같이 평면상 전방으로 인입용 개구부(A)가 형성되도록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가이드용 수직프레임(20)에 형성된 손잡이(22)를 이용하여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측에 다수의 이동바퀴(11, 12)를 구비한다. 다수의 이동바퀴(11, 12) 중 후방에 위치하는 뒤쪽 이동바퀴(12)는 방향전환이 용이하게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바퀴의 회전을 고정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용 수직프레임(20)은 2개의 가이드대가 프레임이 몸체(10)의 상측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하이동대(30)를 안내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부에는 보강 및 2개의 가이드대의 벌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고정대(21)가 설치되고, 후방의 중간 부분에는 이동시 사용될 수 있는 손잡이(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이동대(30)는 2개의 가이드대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용 수직프레임(20)에 설치되어 가이드용 수직프레임(20)을 따라 이동하는 구성이다.
상기 상하이동대(30)는 제1 상하이동대(30a)와 제2 상하이동대(30b)로 구성되어 가이드용 수직프레임(20)인 2개의 가이드대에 롤각각 설치된다.
도 8과 같이 제1 상하이동대(30a)와 제2 상하이동대(30b)는 각각 분리되거나, 또는 제1 상하이동대(30a)와 제2 상하이동대(30b)가 연결대와 같은 구성으로 일체형태로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상하이동대(30a)와 제2 상하이동대(30b)는 가이드용 수직프레임(20)인 가이드대에 형성된 가이드 홈에 안착되는 다수의 롤러(32)가 설치된 이동플레이트(31)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플레이트(31)에는 다수의 롤러(32)가 설치된 타측으로 집게장치(40)를 설치하기 위한 결합수단(50)의 구성인 다수의 설치홀(51)이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집게장치(40)는 인입용 개구부(A) 내로 인입되는 중량물인 벽돌을 파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집게장치(40)는 상하이동대(30)에 연결설치되고, 리프트장치(80)와 연결되는 집게용 프레임(41)과, 상기 집게용 프레임(41) 전방으로 인입용 개구부(A)가 형성되도록 집게용 프레임(41) 양단부분에 전방으로 형성된 집게다리용 프레임(42, 42')과, 상기 집게다리용 프레임(42, 42')의 각 단부분에 형성되는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중간부분이 결합된 지렛대형 프레임(43)과, 상기 지렛대형 프레임(43)의 외측프레임 단부분에 형성되는 제2 회전축(C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중간부분이 결합된 집게다리(44)와, 상기 집게용 프레임(41) 내측에 설치되고 지렛대형 프레임(43)의 내측프레임 단부분을 외측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하도록 설치되고 지렛대형 프레임(43)에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집게용 유압실린더(45)와, 상기 지렛대형 프레임(43)의 내측프레임 단부분과 집게용 프레임(41)에 양단이 각각 설치되어 집게다리(44)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지렛대형 프레임(43)에 복귀를 위한 탄성력을 부여하는 복귀용 탄성부재(46)로 구성된다.
상기 집게용 프레임(41)은 집게용 유압실린더(45)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도록 보통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하이동대(30)에 연결하기 위한 체결용 브라켓(41a)과 리프트장치(80)와 연결하기 위한 리프트용 브라켓(4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측으로 체결용 브라켓(41a)과 함께 고정되는 전방 안전판(47)이 설치된다. 또한 내측으로는 집게용 유압실린더(45)가 외측방향으로 지렛대형 프레임(43)의 일단을 밀수 있도록 집게용 유압실린더(45)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고정판(41-1)이 형성된다.
상기 집게다리용 프레임(42, 42')의 단면은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지렛대형 프레임(43) 3면의 둘레가 감싸진 형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각 단부분에는 제1 회전축(C1)을 위한 핀홀(42-1)이 형성된다.
상기 지렛대형 프레임(43)은 'ㄷ'자 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집게다리용 프레임(42, 42') 내측에 설치되며, 중앙부분에 제1 회전축(C1)을 위한 제1 핀홀(43-1)이 형성되고, 외측부분에는 제2 회전축(C2)을 위한 제2 핀홀(43-2)이 형성되며, 내측부분에는 복귀용 탄성부재(46)의 일단이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용 홀이 형성된다.
상기 집게다리(44)는 지렛대형 프레임(43) 3면의 둘레를 감싸 안은 형태가 될 수 있도록 그 단면은 'ㄷ'자 형태로 이루지며, 중앙부분에 제2 회전축(C2)을 위한 제2 핀홀(44-1)이 형성되고, 내측으로는 제1 회전축(C1)이 인입될 수 있는 회피용홈(44-2)이 형성된다.
도 5와 같이 지렛대형 프레임(43)은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집게용 프레임(41)와 집게다리(44)로 감싸진 형태로 설치되게 된다.
상기 집게용 유압실린더(45)는 집게용 프레임(41) 내측에 구비된 설치고정판(41-1)에 일측이 고정 또는 지지되어 외측방향으로 지렛대형 프레임(43)의 내측부분을 밀어 한쌍의 집게다리(44)가 벽돌(B)을 양측에서 오무려 파지할(잡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양측에 위치한 지렛대형 프레임(43)을 일대일 밀음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파지하는 하는 한편, 파지한 후에도 뒤틀림현상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하나의 유압실린더를 사용할 경우 파지한 후 리프트 과정 등에서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뒤틀림현상 등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나, 상기 집게용 유압실린더(45)는 지렛대형 프레임(43)과 일대일로 대응함으로써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복귀용 탄성부재(46)는 집게용 유압실린더(45)에 유압을 제거할 경우에 벽돌 파지를 위하여 오므려진 집게다리(44)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보통 지렛대형 프레임(43)의 내측부분을 안쪽으로 당기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보통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일단은 지렛대형 프레임(43)의 내측부분에 연결되고, 타단은 설치고정판(41-1)에 연결된다.
도 3과 도 6을 참조하면,
이와 같이 이루어진 상기 집게장치(40)는 벽돌(B)이 인입용 개구부(A)에 인입되면, 한쌍의 집게용 유압실린더(45)를 이용하여 양측에 구비된 지렛대형 프레임(43)의 내측부분을 밀어 지렛대형 프레임(43)을 제1 힌지축(C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지렛대형 프레임(43)의 회전으로 상기 집게다리(44)는 오므로져 양측에서 벽돌(B)을 가압하여 파지하게 된다.
이러한 형태로 이루어진 집게장치(40)는 집게용 유압실린더(45)가 집게용 프레임(41) 내측에 구비됨으로써 집게다리용 프레임(42, 42'), 지렛대형 프레임(43) 및 집게다리(44)의 제작형태에 간섭을 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하여 도 5의 (b)에서와 같이 벽돌(B)을 파지하는 면인 집게다리(44)의 높이(h) 조절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대(30)와 집게장치(40) 사이에는 상하이동대(30)에서 집게장치(40)를 분리하여 포크장치(60)와 같은 구성을 교체설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수단(50)이 형성된다(도 7참조).
이러한 상기 결합수단(50)은 가이드용 수직프레임(20)에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상하이동대(30)에 집게장치(40)가 간단하게 설치되고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파손에 의한 수리 및 교체시 간편하게 집게장치(40)를 분리하여 수리 및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집게장치(40)를 대신하여 포크장치(60)와 같은 물체를 파지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결합수단(50)은 상하이동대(30)에서 집게장치(40)가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부재(53)와 핀부재(54)를 사용하여 손쉽게 탈부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수단(50)에 의하여 가이드용 수직프레임(20)에서 다수의 롤러(32)가 구비된 상하이동대(30)를 분리하지 않고 집게장치(40)를 분리할 수 있음에 따라 가이드용 수직프레임(20)의 상측에 구비된 상부고정대(21)를 분리하지 않아도 된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수단(50)은 상하이동대(30)의 이동플레이트(31)에 형성된 다수의 설치홀(51)과, 집게용 프레임(41)의 일측에 설치된 체결용 브라켓(41a)에 형성된 체결홀(52)과, 상기 설치홀(51)과 체결홀(52)에 끼워져 상하이동대(30)에 집게장치(40)를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부재(53)와 핀부재(54)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홀(52)은 체결부재(53)를 위한 볼트홀(52a)과 일측이 개구되어 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핀부재(54)를 위한 핀홀(52b)로 이루어지며, 상기 핀홀(52b)은 '┛'형태로 꺽임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의 (b)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핀홀(52b)과 대응하는 설치홀(51)에 핀부재(54)를 설치하고, 상하이동대(30)에 설치된 핀부재(54)와 체결용 브라켓(41a)에 형성된 일측이 개구된 핀홀(52b)을 이용하여 1차로 위치를 고정하고, 설치홀(51)과 볼트홀(52a)을 관통하여 체결부재(53)를 설치하여 2차로 고정을 하도록 한다.
상기 포크장치(60)는 상하이동대(30)에서 집게장치(40)를 분리시킨 후, 상기 집게장치(40) 구성자리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구성이다.
상기 구동제어부(70)는 집게장치(40)와 리프트장치(80)를 조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구성으로, 몸체(10)의 일측에 설치되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장치(71)와, 상기 배터리장치(71)의 전원을 이용하는 유압 파워팩장치(72)와, 조작을 위한 고정식 조작버튼(73)과, 유선 리모콘(74)을 포함한다.
상기 유압 파워팩장치(72)는 리프트를 위한 제1 파워팩(72a)와, 집게를 위한 제2 파워팩(72b)으로 구성된다. 즉, 유압 파워팩장치(72)는 각각 리프트용과 집게용의 유압 파워팩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프트장치(80)는 물체를 리프트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일측이 몸체(10)에 힌지결합방식으로 설치된 리프트용 실린더(81)와, 상기 리프트용 실린더(81)의 타측으로 설치된 스프라켓(82)과, 일단은 몸체(10)에 설치되고 타단은 집게장치(40)에 형성된 리프트용 브라켓(41b)에 설치되는 리프트용 체인(43)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라켓(82)를 대신하여 'V'형 풀리가 설치되어 체인(43)를 대신하여 와이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동력이동바퀴장치(90)는 동력을 이용하여 벽돌운반장치가 이동(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동력이동바퀴장치(90)는 구동제어부(70)에 구비된 배터리장치(71)의 전원을 이용하는 전기모터로 이루어진 동력장치(91)와, 상기 동력장치(91)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이동바퀴(92)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이동바퀴장치(90)는 이동바퀴(92)는 지면에 접촉하거나 이격될 수 있도록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이동장치(93)가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과 도 1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벽돌운반장치(BC)에는 중량물인 벽돌(B)을 파지하여 리프트할 경우 고중량에 따른 집게장치(40)의 처침현상으로 발생하는 전방으로 기울어짐(쏠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집게장치 수평유지수단이 구비된다.
즉, 상기 집게장치 수평유지수단은 상기 가이드용 수직프레임(20)과 집게장치(40) 사이에는 집게장치(40)로 중량물인 벽돌을 파지하여 올릴 시 중량에 의한 처짐현상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져 전방으로 기울어짐(쏠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집게장치 수평유지수단은 상하이동대(30)의 구성인 상부롤러(32-1)가 가이드용 수직프레임(20) 가이드대의 전방측 가이드면(23-1)과 접촉하도록 하고, 하부롤러(32-2)는 가이드용 수직프레임(20) 가이드대의 후방측 가이드면(23-2)과 접촉하도록 하되, 중량에 의한 처짐현상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집게장치(40)의 집게다리(44)가 상측방향으로 처짐보상각(θ)을 가지도록 한다(도 10 참조).
상기 처짐보상각(θ)은 보통 4~10도의 각을 가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집게장치 수평유지수단에 의하여 도 11과 같이 집게장치(40)의 집게다리(44)가 상측방향으로 처짐보상각(θ)이 형성됨에 따라 중량에 의한 처짐현상이 발생시에도 중량물이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인 벽돌운반장치(BC)에는 상기와 같이 집게장치 수평유지수단이 형성된 경우에 벽돌인입공간부(A)에 위치한 바닥에 놓인 벽돌(B)을 파지시 집게장치(40)의 집게다리(44)가 상측방향으로 처짐보상각(θ)을 가진 상태로 파지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초기 집게장치 수평수단이 구비된다(도 12 참조).
즉, 벽돌인입공간부(A)에 위치한 바닥에 놓인 벽돌(B)을 파지하기 위하여 집게장치(40)가 최하측으로 이동시에는 중량에 따른 처짐현상을 보상하기 위하여 형성된 처짐보상각(θ)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처짐현상을 보상하기 위하여 형성된 처짐보상각(θ)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벽돌인입공간부(A)에 위치한 바닥에 놓인 벽돌(B)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처짐현상을 보상하기 위하여 형성된 처짐보상각(θ)이 형성된 상태에서 벽돌인입공간부(A)에 놓인 벽돌(B)을 파지할 경우에는 처짐보상각(θ)으로 이루어지는 중량에 따른 처짐현상을 보상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초기 집게장치 수평수단은 하부롤러(32-2)와 접촉이 이루어지는 가이드용 수직프레임(20) 가이드대의 후방측 가이드면(23-2)의 하측부분에 후방으로 형성된 초기수평용 경사가이드면(2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초기수평용 경사가이드면(24)에 의하여 집게장치(40)가 최하측으로 이동시 하부롤러(32-2)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처짐현상을 보상하기 위하여 형성된 처짐보상각(θ)이 형성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초기 집게장치 수평수단과 집게장치 수평유지수단이 형성된 벽돌운반장치(BC)는 집게장치(40)가 최하측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처짐보상각(θ)이 형성되지 않으며, 리프트되어 상측으로 이동할 경우 처짐보상각(θ)이 형성되게 된다(도 10 내지 도 12 참조).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집게장치(40)의 집게용 프레임(41) 상부에는 파지되어 리프트되는 벽돌(B)의 지지하여 추락현상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전방 안전판(47)이 형성되고, 상기 전방 안전판(47)의 일측 또는 양측에 측면 안전판(48)이 설치된다.
상기 전방 안전판(47)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 안전판(48)은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전방 안전판(47)에 설치되는 측면 안전판(48)은 탈부착이 가능하며 안전판 힌지부(48a)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 15와 같이 전방 안전판(47)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 안전판(48)은 안전판 힌지부(48a)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되, 안전판 힌지부(48a)의 핀의 분리로 탈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방 안전판(47)과 측면 안전판(48)에는 측면 안전판(48)의 회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을 이용한 안전판 회전고정장치(48b)가 구비된다.
이러한 전방 안전판(47)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된 측면 안전판(48)은 집게장치(40)에 파지된 벽돌(B)을 이동시 외부물체와 충돌현상을 예방하여 붕괴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으며, 추락하는 낱개의 벽돌로부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후 리프트 한 상태에서 작업시에는 측면 안전판(48)을 분리하거나 또는 회전시킬 수 있음으로써 작업에 대한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는다.
BC : 벽돌운반장치 A : 벽돌인입공간부
B : 벽돌
C1 : 제1 회전축 C2 : 제2 회전축
10 : 몸체 20 : 가이드용 수직프레임
30 : 상하이동대 40 : 집게장치
41 : 집게용 프레임 42, 42' : 집게다리용 프레임
43 : 지렛대형 프레임 44 : 집게다리
45 : 집게용 유압실린더 46 : 복귀용 탄성부재
50 : 결합수단 51 : 설치홀
52 : 체결홀 52a : 볼트홀
52b : 핀홀 53 : 체결부재
54 : 핀부재
60 : 포크장치
70 : 구동제어부
80 : 리프트장치

Claims (8)

  1. 이동이 용이하도록 이동바퀴가 구비된 몸체에 수직으로 설치된 가이드용 수직프레임을 따라 리프트장치에 의하여 전방에 형성된 인입용 개구부로 인입된 벽돌을 집게장치로 파지하여 들어올린 후 운반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벽돌운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게장치(40)는,
    인입용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양단부분에 전방으로 집게다리용 프레임(42, 42')을 가지는 집게용 프레임(41)과; 상기 집게다리용 프레임(42, 42')의 각 단부분에 형성되는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중간부분이 결합되되, 상기 집게다리용 프레임(42, 42')의 내측으로 수용되게 설치된 한쌍의 지렛대형 프레임(43)과; 상기 지렛대형 프레임(43)의 외측프레임 단부분에 형성되는 제2 회전축(C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중간부분이 결합되되, 내측프레임 일부분이 상기 집게다리용 프레임(42, 42')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설치된 한쌍의 집게다리(44)와; 상기 집게용 프레임(41) 내측에 설치되고 지렛대형 프레임(43)의 내측프레임 단부분을 외측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하도록 설치되고 한쌍의 지렛대형 프레임(43)에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집게용 유압실린더(45)를 포함하되,
    상기 집게다리(44)의 내측으로는 제1 회전축(C1)이 인입될 수 있는 회피용홈(44-2)을 구비하도록 하여 지렛대형 프레임(43)이 집게다리용 프레임(42, 42')과 집게다리(44)에 형성되는 내부공간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집게용 프레임(41) 내측에 위치하는 집게용 유압실린더(45)에 의하여 지렛대형 프레임(43)이 제1 회전축(C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2 회전축(C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한쌍의 집게다리(44)가 오므러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집게장치(40)의 집게용 프레임(41) 상부에는 전방 안전판(47)이 구비되고, 상기 전방 안전판(47)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탈부착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고, 회전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측면 안전판(48)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운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용 수직프레임(20)과 집게장치(40) 사이에는 집게장치(40)로 중량물인 벽돌을 파지하여 올릴 시 중량에 의한 처짐현상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집게장치 수평유지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운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용 수직프레임(20)의 하측에는 중량물인 벽돌을 파지과정시 집게다리(44)가 수평상태에서 파지할 수 있도록 초기 집게장치 수평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운반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용 수직프레임(20)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상하이동대(30)에 벽돌을 파지하는 집게장치(40)가 탈부착될 수 있도록 상하이동대(30)와 집게장치(40) 사이에는 결합수단(50)이 형성되어 상하이동대(30)로부터 집게장치(40)가 분리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운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장치(40)가 분리된 상하이동대(30)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포크장치(60)가 더 구비되어, 집게장치(40)와 포크장치(60)를 선택적으로 상하이동대(30)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운반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력장치를 이용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동력장치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이동바퀴를 포함하는 동력이동바퀴장치(9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운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안전판(47)과 측면 안전판(48) 사이에는 힌지핀의 분리로 전방 안전판(47)에서 측면 안전판(48)이 분리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안전판 힌지부(48a)와, 상기 안전판 힌지부(48a)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측면 안전판(48)을 고정하는 안전판 회전고정장치(48b)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운반장치.
  8. 삭제
KR1020190086326A 2019-05-16 2019-07-17 벽돌운반장치 KR102067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57484 2019-05-16
KR1020190057484 2019-05-1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906A Division KR102120343B1 (ko) 2020-01-07 2020-01-07 벽돌운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043B1 true KR102067043B1 (ko) 2020-02-11

Family

ID=69568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326A KR102067043B1 (ko) 2019-05-16 2019-07-17 벽돌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0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22534A (zh) * 2020-04-11 2020-07-17 闫桐桐 一种垃圾分类管理用小路段临时运输装置
KR102346365B1 (ko) * 2021-07-05 2021-12-31 이혜선 집게형 핸드캐리어
KR20220069743A (ko) 2020-11-20 2022-05-27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프트 장치용 데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292U (ja) * 1992-03-18 1993-10-15 三陽機器株式会社 フォークリフト着脱作業機
KR200248416Y1 (ko) 2001-06-07 2001-10-22 박상록 화물운반용 지게차
KR20090082992A (ko) 2008-01-29 2009-08-03 씨에스주식회사 고소작업대
KR101459309B1 (ko) 2014-07-10 2014-11-07 김근우 벽돌운반구
KR20170112079A (ko) * 2016-03-30 2017-10-12 (주)서남산기 포크리프트용 집게형 매니퓰레이터
KR101809568B1 (ko) 2016-11-14 2017-12-15 이재문 벽돌운반용 리프트 장치
KR101932442B1 (ko) 2018-07-26 2018-12-26 이장섭 파지폭이 범위가 넓은 벽돌운반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292U (ja) * 1992-03-18 1993-10-15 三陽機器株式会社 フォークリフト着脱作業機
KR200248416Y1 (ko) 2001-06-07 2001-10-22 박상록 화물운반용 지게차
KR20090082992A (ko) 2008-01-29 2009-08-03 씨에스주식회사 고소작업대
KR101459309B1 (ko) 2014-07-10 2014-11-07 김근우 벽돌운반구
KR20170112079A (ko) * 2016-03-30 2017-10-12 (주)서남산기 포크리프트용 집게형 매니퓰레이터
KR101809568B1 (ko) 2016-11-14 2017-12-15 이재문 벽돌운반용 리프트 장치
KR101932442B1 (ko) 2018-07-26 2018-12-26 이장섭 파지폭이 범위가 넓은 벽돌운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22534A (zh) * 2020-04-11 2020-07-17 闫桐桐 一种垃圾分类管理用小路段临时运输装置
KR20220069743A (ko) 2020-11-20 2022-05-27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프트 장치용 데크
KR102346365B1 (ko) * 2021-07-05 2021-12-31 이혜선 집게형 핸드캐리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7043B1 (ko) 벽돌운반장치
JPS6124560Y2 (ko)
US20010046436A1 (en) Article transfer apparatus
CN111874608A (zh) 一种自动化取料机械手
CN113023565A (zh) 自行走搬运装置、自行走小车及生产线
KR102120343B1 (ko) 벽돌운반장치
KR101986095B1 (ko) 벽돌운반장치
CN202744161U (zh) 一种车门总成吊运夹具
CN213892511U (zh) 一种石材地板运输车
CN211393575U (zh) 一种多用途吊具
JP2899146B2 (ja) 成形パネルの仕分装置
CN108408573B (zh) 一种用于大型板块垂直运送的装置及其应用方法
KR101201215B1 (ko) 콘크리트 건축물용 거푸집의 운반 장치
KR101793506B1 (ko)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
CN217437535U (zh) 一种周转箱自动抓取装置及起吊装置
EP3322867B1 (en) Set and method for delivering a stack of roof covering panels at a location of use
KR102513729B1 (ko) 체인블럭 장착용 안전 이동장치
KR200497297Y1 (ko) 석재이송장치용 집게의 벌림장치
KR102502007B1 (ko) 판넬소재 흡착 이송이 가능한 호이스트용 행거
CN220351507U (zh) 一种pc钢棒转运吊具
CN218265029U (zh) 一种建筑用高效抓手
CN217024981U (zh) 辅助提升机构及物料转移装置
CN215711168U (zh) 自行走搬运装置、自行走小车及生产线
CN216070028U (zh) 一种节能省力型机电工程施工装置
CN215711139U (zh) 自夹持夹爪及上下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