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506B1 -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506B1
KR101793506B1 KR1020170044009A KR20170044009A KR101793506B1 KR 101793506 B1 KR101793506 B1 KR 101793506B1 KR 1020170044009 A KR1020170044009 A KR 1020170044009A KR 20170044009 A KR20170044009 A KR 20170044009A KR 101793506 B1 KR101793506 B1 KR 101793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lift
link
driving
pair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용규
Original Assignee
(주)신세계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세계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신세계중공업
Priority to KR1020170044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부에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저면 일측에 이송대상물의 상면이 안착되는 지지플레이트와, 한 쌍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 중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상호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이송대상물의 대향되는 일측을 각각 가압하여 이를 파지하는 파지유닛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신축가능하게 설치되는 신축부를 포함하는 구동유닛과, 일단부가 상기 신축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한 쌍의 파지유닛 중 어느 하나의 파지유닛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구동링크와, 일단부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한 쌍의 파지유닛 중 다른 하나의 파지유닛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구동링크 및 양측단부가 각각 싱기 제1 구동링크의 일측과 상기 제2 구동링크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동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지게차와 별도로 제작되어 일반적인 지게차에도 적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지게차의 포크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고, 다양한 크기의 이송대상물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이동시 이송대상물의 유동에 의한 이송대상물 손상 및 지게차의 전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Clamping apparatus for fork lift}
본 발명은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지게차와 별도로 제작되어 일반적인 지게차에도 적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지게차의 포크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고, 다양한 크기의 이송대상물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이동시 이송대상물의 유동에 의한 이송대상물 손상 및 지게차의 전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리프터(Lifter)로서, 이송물(주로 화물)을 지상에서 임의의 높이까지 들어 올려 적재하거나, 혹은 임의의 높이에서 내린 다음 정해진 위치까지 운반하는 고기능 운반기기로서 인건비 절감, 중량물 처리, 안전성 증대 등을 목적으로 산업 전반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중장비 중 하나이다.
지게차는 포크 위에 적재가능하게 분해 또는 해체된 이송대상물을 포크 위에 적재한 후 원하는 위치로 이송하고 있는데, 여기서 지게차는 통상적으로 포크 위에 단순히 적재물을 올려놓은 상태로 이송하고 있는 바 지게차의 회전이나 이동시 충격에 의해 적재물이 전도되거나 기울어져 포크에 적재된 적재물이 포크로부터 낙하하여 파손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되었을 뿐 아니라 적재물의 부피가 큰 경우에는 적재물을 지게차의 포크에 적재하고 로프나 와이어 등으로 포크에 묶음 고정하더라도 이동과정 중 적재물이 심하게 흔들리면서 지게차가 전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지게차 운반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49203호에 따른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이하 '종래의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라 함)가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는 지게차의 선단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결합부에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집게발 형상의 클램핑부 및 클램핑부에 좌우이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로 구성되며, 동력부에 의해 집게발이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송대상물을 파지하게 됨으로써 지게차 이동시 이송대상물의 유동이 저감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는 집게발 형상의 클램프부가 이송대상물의 좌우측부를 가압하여 파지고정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는 바 이송대상물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없어 이송도중 이송대상물이 클램프부로부터 낙하하거나 이탈됨에 따라 주변 작업장비에 충돌하여 작업장비가 파손/손상되거나 심지어 작업자와 충돌하면서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는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이를 제조하는데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요구될 뿐 아니라 기존 지게차의 구조변경이 요구되는 바 실제로 이를 기존의 지게차에 적용하기에는 구조적 제약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49203호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지게차와 별도로 제작되어 일반적인 지게차에도 적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지게차의 포크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고, 다양한 크기의 이송대상물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이동시 이송대상물의 유동에 의한 이송대상물 손상 및 지게차의 전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일단부에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저면 일측에 이송대상물의 상면이 안착되는 지지플레이트와, 한 쌍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 중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상호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이송대상물의 대향되는 일측을 각각 가압하여 이를 파지하는 파지유닛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신축가능하게 설치되는 신축부를 포함하는 구동유닛과, 일단부가 상기 신축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한 쌍의 파지유닛 중 어느 하나의 파지유닛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구동링크와, 일단부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한 쌍의 파지유닛 중 다른 하나의 파지유닛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구동링크 및 양측단부가 각각 싱기 제1 구동링크의 일측과 상기 제2 구동링크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동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한 쌍이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호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몸체와, 상기 이동몸체의 일측 중 상기 이송대상물의 일측과 대응되는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이동몸체가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이송대상물의 일측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이동몸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지지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 지지되는 이동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측단부가 각각 상기 신축부 및 어느 하나의 상기 파지유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으로부터 상기 파지유닛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되, 상기 장공에 상기 연동링크의 힌지축이 삽입되는 제1 구동플레이트 및 상기 장공 내에 삽입되어 양측단부가 각각 상기 제1 구동플레이트의 내면 및 상기 연동링크의 힌지축 일측에 지지되고, 상기 연동링크의 힌지축에 상기 제1 구동플레이트의 중앙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 내면에 설치되고, 지게차의 포크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지게차의 포크에 가압되면서 발생되는 부하를 검출하는 중량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중량감지센서에서 검출된 부하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1 구동링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지게차와 별도로 제작되어 일반적인 지게차에도 적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지게차의 포크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고, 다양한 크기의 이송대상물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이동시 이송대상물의 유동에 의한 이송대상물 손상 및 지게차의 전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의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에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레이트의 상면에 이송대상물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지유닛이 이송대상물을 가압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의 측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1 및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1)는 지지플레이트(10)와, 한 쌍의 파지유닛(20)과, 구동유닛(30)과, 제1 구동링크(40)와, 제2 구동링크(50) 및 연동링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플레이트(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포크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면서 일단부에 포크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갖고 포크가 삽입되는 삽입구(11)가 형성되며, 저면에 이송대상물의 상면이 지지되는 지지면을 제공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파지유닛(20)의 설치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지지플레이트(10)는 지게차의 포크 일측에 형성된 결합홈과 대응되는 일측에 핀홀이 형성되고, 포크가 삽입구(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핀홀을 통해 결합핀을 삽입함으로써 지게차의 포크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파지유닛(20)은 한 쌍이 지지플레이트(10)의 일측에 지지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지지플레이트(10)의 저면에 지지된 이송대상물의 일측을 가압함으로써 파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술하면, 각 파지유닛(20)은 지지플레이트(10)의 일측에 지지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몸체(21)와, 이동몸체(21)의 일측 중 이송대상물의 일측과 대응되는 일측에 설치되는 가압부(22) 및 이동몸체(2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지지플레이트(10)의 상면 일측에 지지되는 이동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한 쌍의 파지유닛(20) 각 이동몸체(21)가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각 이동몸체(21)에 설치된 가압부(22)가 이송대상물의 일측 중 대향되는 일측을 각각 가압함으로써 이송대상물을 고정함과 아울러 이를 파지하게 된다.
여기서, 이동롤러(23)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몸체(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측이 지지플레이트(10)의 상면 일측에 지지되어 이동몸체(21)가 상호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이동몸체(21)와 지지플레이트(10)간 발생되는 마찰력을 저감함으로써 이동몸체(21)의 이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가압부(22)는 이송대상물을 가압하는 경우 이송대상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연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유닛(30)은 지지플레이트(10)의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본체(31)와, 본체(31)의 일단부에 신축가능하게 설치되는 신축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후술하는 제1 구동링크(4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동유닛(30)은 일반적인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임이 자명한 것이다.
제1 구동링크(40)는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제1 구동플레이트(41)와, 한 쌍의 제1 구동플레이트(41)를 상호 연결하는 제1 연결바(4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일단부가 신축부(32)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한 쌍의 이동몸체(21) 중 어느 하나의 이동몸체(21)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1 구동링크(40)는 구동유닛(30)으로부터 구동력이 제공되는 경우 이동몸체(21)에 결합된 단부를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연결링크를 통해 제2 구동링크(50)에 구동력을 전달함과 아울러 일단부에 연결된 이동몸체(2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구동링크(50)는 제1 구동링크(40)와 같이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제2 구동플레이트(51)와, 한 쌍의 제2 구동플레이트(51)를 상호 연결하는 제2 연결바(5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일단부가 본체(3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한 쌍의 이동몸체(21) 중 다른 하나의 이동몸체(21)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제2 구동링크(50)는 연동링크(60)를 통해 제1 구동링크(4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고, 본체(31)에 연결된 일단부를 기준으로 회동함으로써 타단부에 연결된 이동몸체(21)에 제1 구동링크(40) 단부에 연결된 이동몸체(21)와 근접하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연동링크(60)는 대략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단부가 각각 제1 구동링크(40)의 중앙부분과, 제2 구동링크(50)의 중앙부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구동링크(40)에 제공된 구동력이 제2 구동링크(50)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제1 구동링크(40) 및 제2 구동링크(50)가 상호 연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1)는 지게차에 형성된 한 쌍의 포크에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그 한 쌍이 연결바에 의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에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레이트의 상면에 이송대상물이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지유닛이 이송대상물을 가압고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1)의 동작을 첨부된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게차(G)의 포크(F)를 지지플레이트(10)의 삽입구(11)에 삽입하고, 지지플레이트(10) 일측에 형성된 핀홀을 통해 결합핀을 삽입하여 지지플레이트(10)를 지게차(G)의 포크(F)에 견고하게 결합한다.
그리고, 지게차(G)를 이용하여 이송대상물(I)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는데, 이때, 지지플레이트(10)의 저면에 이송대상물(I)의 상면이 지지된다.
다음, 지지플레이트(10)의 저면에 이송대상물(I)의 상면이 지지된 상태에서 구동유닛(30)의 신축부(32)가 신장함에 따라 신축부(32)에 연결된 제1 구동링크(40)의 일단부가 일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제1 구동링크(40)의 타단부가 제1 파지유닛(20)의 일측에 연결되어 고정됨에 따라 제1 구동링크(40)는 신축부(32)에 연결된 일단부가 이동몸체(21)에 연결된 타단부를 기준으로 일정각도 외측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타단부에 연결된 이동몸체(21)의 일측을 지지한다.
이때, 제2 구동링크(50)는 연동링크(60)를 통해 제1 구동링크(4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이동몸체(21)에 연결된 타단부가 본체(31)에 연결된 일단부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제2 구동링크(50)의 타단부에 연결된 이동몸체(21)가 지지플레이트(1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다른 이동몸체(21)와 근접하는 방향인 이송대상물(I)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한 쌍의 이동몸체(21) 중 제1 구동링크(40)의 타단부에 연결된 이동몸체(21)는 제1 구동링크(40)에 의해 지지되고, 제2 구동링크(50)의 일단부에 연결된 이동몸체(21)는 이송대상물(I)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한 쌍의 이동몸체(21)에 각각 결합된 가압부(22)가 이송대상물(I)을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가압하여 파지한다.
이송대상물(I)의 파지작업이 완료되면, 이송대상물(I)은 포크(F)에 의해 상승되고, 지게차(G)를 통해 원하는 목적지로 이송된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조는 도1 내지 도5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이송대상물의 중량에 따라 파지유닛(20)이 이송대상물을 보다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예는 전 실시예와 달리 제1 구동링크(40')가 한 쌍의 제1 구동플레이트(41')와, 제1 연결바(42') 및 탄성부재(43')를 포함함과 아울러 지지플레이트(10)의 내면 상부에 설치되는 중량감지센서(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구동플레이트(41')는 양측단부가 각각 신축부(32) 및 어느 하나의 파지유닛(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는 전 실시예와 동일하나, 중앙으로부터 파지유닛(20)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장공(41'a)이 형성되며, 연동링크(60)의 힌지축(h)이 장공(41'a)에 삽입된다.
그리고, 탄성부재(43')는 장공(41'a) 내에 삽입되어 양측단부가 각각 제1 구동플레이트(41')의 내면 및 연동링크(60)의 힌지축(h) 일측에 지지되고, 연동링크(60)의 힌지축(h)에 제1 구동플레이트(41')의 중앙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43')는 강성이 매우 높은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바(42')는 제1 구동플레이트(41')의 중앙부분에서 연동링크(60)의 힌지축(h)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제1 구동플레이트(41')의 중앙부분을 제외한 영역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중량감지센서(7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10)의 내면 상부에 설치되고, 지게차의 포크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지게차의 포크 일측에 가압되면서 발생되는 부하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하면, 이송대상물의 중량에 의해 지게차의 포크가 지지플레이트(1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지지플레이트(10)에 가해지는 부하를 검출함으로써 이송하고자하는 이송대상물의 중량을 검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구동유닛(30)이 이송대상물의 중량에 따라 제1 구동링크(40')에 추가적인 구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이송대상물을 보다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1')의 동작을 살펴보면, 구동유닛이 구동됨에 따라 제1 구동링크(40') 및 제2 구동링크(50)가 연동되어 한 쌍의 파지유닛(20)이 이송대상물(I) 외면 중 대향되는 일측에 지지되어 이송대상물(I)을 파지하고, 지게차(G)의 포크(F)가 지지플레이트(10)를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이때, 포크(F)가 지지플레이트의 내면 상부에 설치된 중량감지센서(70)를 가압함에 따라 중량감지센서(70)에서 이송대상물(I)의 중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이송대상물(I)의 중량에 근거하여 구동유닛(30)이 제1 구동링크(40')에 추가적인 구동력을 제공한다.
즉, 이송대상물(I)의 중량에 근거하여 신축부(32)가 추가적으로 신장되고, 신축부(32)가 신장됨에 따라 신축부(32) 일측에 연결된 제1 구동링크(40')의 일단부가 외측방향으로 보다 이동되면서 연동링크(60)의 힌지축(h)이 파지유닛(20)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이 발생되어 탄성부재(43')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탄성부재(43')는 반작용으로 연동링크(60)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고, 연동링크(60)는 제공받은 탄성력을 제2 구동링크(50)에 전달함에 따라 제2 구동링크(50)에 연결된 파지유닛(20)이 추가적인 가압력을 전달받으면서 이송대상물(I)을 보다 견고하게 파지하게 된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지지플레이트 11 : 삽입구
20 : 파지유닛 21 : 이동몸체
22 : 가압부 23 : 이동롤러
30 : 구동유닛 31 : 본체
32 : 신축부 40 : 제1 구동링크
41 : 제1 구동플레이트 42 : 제1 연결바
50 : 제2 구동링크 51 : 제2 구동플레이트
52 : 연결바 60 : 연동링크
70 : 중량감지센서 40' : 제1 구동링크
41' : 제1 구동플레이트 41'a : 장공
42' : 제1 연결바 43' : 탄성부재

Claims (3)

  1. 일단부에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저면 일측에 이송대상물의 상면이 안착되는 지지플레이트와;
    한 쌍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 중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상호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이송대상물의 대향되는 일측을 각각 가압하여 이를 파지하는 파지유닛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신축가능하게 설치되는 신축부를 포함하는 구동유닛과;
    일단부가 상기 신축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한 쌍의 파지유닛 중 어느 하나의 파지유닛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구동링크와;
    일단부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한 쌍의 파지유닛 중 다른 하나의 파지유닛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구동링크; 및
    양측단부가 각각 싱기 제1 구동링크의 일측과 상기 제2 구동링크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동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유닛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일측에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한 쌍이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호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몸체와;
    상기 이동몸체의 일측 중 상기 이송대상물의 일측과 대응되는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이동몸체가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이송대상물의 일측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이동몸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이 지지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 지지되는 이동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링크는
    양측단부가 각각 상기 신축부 및 어느 하나의 상기 파지유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으로부터 상기 파지유닛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되, 상기 장공에 상기 연동링크의 힌지축이 삽입되는 제1 구동플레이트; 및
    상기 장공 내에 삽입되어 양측단부가 각각 상기 제1 구동플레이트의 내면 및 상기 연동링크의 힌지축 일측에 지지되고, 상기 연동링크의 힌지축에 상기 제1 구동플레이트의 중앙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 내면에 설치되고, 지게차의 포크가 상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지게차의 포크에 가압되면서 발생되는 부하를 검출하는 중량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중량감지센서에서 검출된 부하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1 구동링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
KR1020170044009A 2017-04-05 2017-04-05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 KR101793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009A KR101793506B1 (ko) 2017-04-05 2017-04-05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009A KR101793506B1 (ko) 2017-04-05 2017-04-05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506B1 true KR101793506B1 (ko) 2017-11-07

Family

ID=60384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009A KR101793506B1 (ko) 2017-04-05 2017-04-05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5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793A (ko) * 2020-07-27 2022-02-04 김진열 보도블록 시공 장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793A (ko) * 2020-07-27 2022-02-04 김진열 보도블록 시공 장비
KR102419790B1 (ko) 2020-07-27 2022-07-13 김진열 보도블록 시공 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155B1 (ko) 스택 그리퍼 장치
US7967354B2 (en) Mixed size product handling end of arm tool
US8444366B2 (en) Forklift adapter
AU2010200817B2 (en) Grippers for use in palletising packaged goods
US7730599B2 (en) Forklift guard, fork rack, and associated methods
WO2020053340A9 (de) Einbox-greifersystem
KR101793506B1 (ko)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
KR102067043B1 (ko) 벽돌운반장치
KR101708860B1 (ko) 이송 시스템 및 그 이송 방법
KR101850811B1 (ko) 판재 적층 및 이송을 위한 자동화 장치
WO2019097443A1 (en) Gripper for the grip of loads
JP3703213B2 (ja) 荷役用掴み装置
KR101986095B1 (ko) 벽돌운반장치
US5344207A (en) Tire lifting apparatus
AU2009201532A1 (en) Clamping Device for Lifting Slab, Panel or Sheet Material
KR102120343B1 (ko) 벽돌운반장치
US7237815B2 (en) Lifting apparatus
EP2923916A1 (en) Sack truck
KR100606855B1 (ko) 농업용 컨테이너박스 운반장치
JPH0912145A (ja) 円筒体の積載装置
US6056340A (en) Load-handling apparatus with end effector and center-of-gravity shifting device
KR102138101B1 (ko) 바스켓 리프트장치
CN212502906U (zh) 移载码垛设备
KR102251311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박스 적재 장치
JP7184468B2 (ja) 電動式タイヤリフ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