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101B1 - 바스켓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바스켓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101B1
KR102138101B1 KR1020190013554A KR20190013554A KR102138101B1 KR 102138101 B1 KR102138101 B1 KR 102138101B1 KR 1020190013554 A KR1020190013554 A KR 1020190013554A KR 20190013554 A KR20190013554 A KR 20190013554A KR 102138101 B1 KR102138101 B1 KR 102138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link
arm
clamp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욱희
Original Assignee
우양정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양정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양정공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3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23Devices for tilting and empty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을 담은 담고 있는 바스켓을 홀딩한 다음 기울임으로써 담긴 물품을 목적 장소에 쏟아내기 위한 바스켓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베이스프레임; 지면에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센터축; 상기 센터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지면에 수평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스켓홀더; 상기 바스켓홀더가 상기 센터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게끔 상기 바스켓홀더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스켓홀더는 상기 바스켓의 모서리가 상기 센터축에 가장 가깝게 인접해 있는 상태로 상기 바스켓을 홀딩한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스켓 리프트장치{Apparatus For Lifting Basket}
본 발명은 바스켓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물품을 담고 있는 바스켓을 홀딩한 다음 기울임으로써 그 안에 담긴 물품을 목적 장소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쏟아내기 위한 바스켓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류회사에서는 각지에서 수거되는 많고 다양한 형태의 물품을 저마다의 운송장소를 향해 분류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수거된 물품은 분류되기 전에 커다란 바스켓에 담긴 상태로 분류 컨베이어 등으로 운반된다. 바스켓은 보통 철재 파이프 또는 막대를 육면체 형태로 조립하고 바퀴를 부착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바스켓에는 수십에서 수백 개의 포장된 물품이 담기게 된다. 바스켓은 바퀴가 부착된 것으로서 롤테이너라 불리기도 한다. 바스켓은 사방이 막혀있는 형식이 있고 물품을 볼 수 있도록 메쉬망으로 되어 있는 것도 있다.
바스켓으로부터 물품을 꺼낼 때에는 작업자가 일일이 물품을 꺼내야 했다. 이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이 상당하기 때문에 물류비용이 증가하는 요인이 되었다.
위에 설명된 것은 물류회사에서 사용되는 바스켓이지만, 본 발명이 물류업에 한정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물류회사에서의 사용은 하나의 예에 불과하다.
종래에도 리프팅 장치들이 각 산업분야에서 제안된 바 있지만, 각기 구체적인 목적과 구성이 본 발명자가 의도하는 바와는 상이하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3-0149841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5-0104200호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물품이 담긴 바스켓에서 물품을 용이하게 꺼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바스켓을 들고 기울임으로써 물품을 목적 장소에 쏟아낼 수 있는 바스켓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물품을 담기 위한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육면체 형태의 바스켓을 거꾸로 기울여서 그 안에 담긴 물품이 자중에 의해 아래로 쏟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프레임; 지면에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센터축; 상기 센터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지면에 수평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스켓홀더; 상기 바스켓홀더가 상기 센터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게끔 상기 바스켓홀더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스켓홀더는 상기 바스켓의 모서리가 상기 센터축에 가장 가깝게 인접해 있는 상태로 상기 바스켓을 홀딩한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리프트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스켓의 측판의 면방향과 상기 센터축이 이루는 각도가 30 ~60°를 이루도록 상기 바스켓을 홀딩한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리프트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스켓홀더는;
평면상 엘(L)자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바스켓의 이웃하는 두 측판에 면접하게 되는 아암;
상기 아암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아암 사이에 끼워진 바스켓을 클램핑하여 고정하는 클램프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기구는;
상기 아암의 배면에 횡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43); 상기 실린더(43)의 길이변화동작에 의해 수직축(V)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끔 실린더의 피스톤(43a)에 제1링크(47)를 매개로 연결되며, 수직축(V)을 축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프축(45); 및 링크기구(26)를 매개로 상기 클램프축(45)에 연결되는 가압봉(49);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실린더(43)가 신장하게 되면 상기 클램프축(45)의 회전하게 되고 상기 가압봉(49)은 상기 아암의 안쪽 공간을 향해 접힘으로써 상기 아암에 도킹되어 있는 바스켓을 클램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는 파워실린더이며;
상기 링크기구(26)는; 일측은 클램프축(45)에 고정되어 클램프축(45)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는 엘(L)자 형태로 된 제2링크(51); 상기 제2링크(51)의 타측에 연결되는 간격유지봉(61); 상기 간격유지봉(61)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게끔 상기 간격유지봉(6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시옷(ㅅ)자 형태로 된 제3링크(59); 제2링크(51)에 상기 제3링크(59)를 향해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3링크(59)가 중간에 위치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핀(55,57); 상기 간격유지봉(61)과 제2링크 사이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75)을 포함한다. 이로써 상기 제3링크(59)는 스토퍼핀(55,57) 사이에서 상기 제2링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상기 클램프축(45)으로 하여금 상기 가압봉(49)이 상기 바스켓(100)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일정 각도 만큼 더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가압봉(49)이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바스켓을 가압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스켓홀더는 평면상 엘(L)자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바스켓의 이웃하는 두 측판에 면접하게 되는 아암; 상기 아암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아암 사이에 끼워진 바스켓을 클램핑하여 고정하는 클램프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바스켓을 아암 사이에 끼운 후, 클램프 기구로 고정한 다음 센터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바스켓은 센터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거꾸로 끼울어지게 되며 따라서 그 안에 담긴 물품이 아래로 쏟아질 수 있게 하는 바스켓 리프트 장치가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바스켓의 모서리가 아래를 향한 상태로 거꾸로 기울어지게 되므로 물품이 한지점으로 모아지면서 쏟아지게 함으로써 떨어지는 물품을 관리하기에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쉬 형태로 된 바스켓에서 물품을 쏟을 때 길쭉한 물품들이 메쉬망 사이로 부분적으로 삐져나와 걸림으로써 물품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는 문제가 해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바스켓의 크기가 조금씩 달라도 별다른 조정없이 항상 같은 힘으로 바스켓을 파지할 수 있어 바스켓의 손상을 주지 않으며 바스켓 크기에 따라 장치를 조정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스켓 리프트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그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스켓 리프트장치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스켓 리프트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스켓 리프트장치의 회전감지부를 도시한일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스켓 리프트장치의 클램프 기구를 도시한일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스켓 리프트장치의 사용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스켓 리프트장치의 사용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스켓 리프트장치의 클램프 기구의 작용상태의 평면도이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기본적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른 도면은 필요한 곳에서 인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물품을 담기 위한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육면체 형태의 바스켓(100)을 거꾸로 기울여서 그 안에 담긴 물품이 자중에 의해 아래로 쏟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바스켓 리프트장치를 제공한다.
바스켓(100)은 상부가 개구되어 있고 육면체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바스켓(100)은 평면상 정육면체일 수도 있고 직육면체일 수도 있다. 바스켓(100)은 파이프를 주된 소재로 하여 만들어지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스켓(100)에는 이동성을 위하여 바퀴(101)가 설치될 수 있다. 바스켓(100)은 지게차 또는 인력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스켓 리프트장치에 도킹된다. 도킹된 바스켓은 단단히 고정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개구부가 하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되면서 기울여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스켓 리프트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베이스프레임(1)이 지면에 고정 설치된다. 베이스프레임(1)은 앵커수단에 의해 지면에 고정될 수도 있으며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베이스프레임(1)은 받침대(3)와, 받침대(3)의 중간에 직립되어 있는 포스트(5)와, 포스트(5)의 상단에 설치되는 축지지대(7)로 구성된다.
센터축(9)이 지면에 수평을 이루도록 베이스프레임(1)에 설치된다. 센터축(9)은 특히 센터축베어링(11)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센터축(9)에는 바스켓홀더(13)가 설치된다. 한편, 바스켓홀더(13)가 센터축(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지면에 수평을 이루는 수평축(H)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센터축(9) 자체를 회전 가능하게 하고 바스켓홀더(13)를 센터축(9)에 고정 결합시킴으로써 바스켓홀더(13)를 수평축(H)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있다. 바스켓홀더(13)는 바스켓(100)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회전구동부(15)는 바스켓홀더(13)가 센터축(9)을 축중심으로 회동하게끔 상기 바스켓홀더(13)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회전구동부(15)는 구동모터(17), 전동장치(19), 및 감속기(21)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브레이크가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바스켓홀더(13)는 바스켓(100)의 모서리(103)가 센터축(9)에 가장 인접해 있는 상태로 바스켓(100)을 홀딩한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한다. 특히 바스켓의 측판(105,105')의 면방향과 센터축(9)이 이루는 각도(K)가 30 ~60°를 이루도록 바스켓(100)을 홀딩한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의 측판(105,105')의 면방향과 상기 센터축(9)이 이루는 각도(K)는 45°이다.
이하, 바스켓홀더(13)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바스켓홀더(13)는 평면상 엘(L)자 형태로 되어 있으며, 바스켓(100)의 이웃하는 두 측판(105,105')에 면접하게 되는 아암(23)과, 각 아암(23)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아암(23) 사이에 끼워진(도킹된) 바스켓(100)을 클램핑하여 고정하는 클램프기구(25)를 포함한다.
아암(23)은 각재나 파이프를 종횡으로 결합하여 만든 2개의 판체(27,27')를 90°의 사이각을 갖도록 결합시켜 제작된 것이다. 아암(23)의 판체(27,27')의 면적은 바스켓의 측판(105,105')의 면적에 준한다. 아암(23)에는 바스켓(100)과 접하는 면에 완충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도킹시 소음과 마모를 줄이기 위함이다.
바스켓홀더(13)는 아암(23)을 센터축(9)에 연결하기 위한 브래킷(29)을 포함한다. 센터축(9)에 전달되는 회전력은 브래킷(29)을 거쳐 아암(23)으로 전달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축(9)에는 센터축(9)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회전감지부(31)가 설치된다. 회전감지부(31)는 회전구동부(15, 도 1 참조)의 반대편에 설치된다. 회전감지부(31)는 센터축(9)에 결합되어 있는 판캠(33)과, 2개의 접점스위치(35)를 포함할 수 있다. 접점스위치(35)는 고정판(37)에 고정시키게 된다. 고정판(37)에는 점점스위치(35)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끔 원호형 고정공(39)이 마련되어 있다. 회전각도의 조정이 이 접점스위치(35)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센터축(9)에는 벨트(41)를 통해 회전 상태(각도, 속도)를 계측하기 위한 회전감지기구(43, 엔코더)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회전감지기구(43)는 콘트롤박스(71, 도 1 참조)에 연결된다.
이하 클램프기구(25)를 도 6을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길이가변기구로서의 실린더(43)가 아암(23)의 배면에 횡방향으로 고정 설치된다. 클램프축(45)이 실린더(43)의 길이변화동작에 의해 수직축(V)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끔 실린더의 피스톤(43a 또는 로드)에 제1링크(47)를 매개로 연결된다. 클램프축(45)은 아암(23)의 배면 끝부분에 수직축(V)을 축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압봉(49)은 제2링크(51)를 매개로 클램프축(45)에 연결되어 있다. 실린더(43)가 신장하게 되면 클램프축(45)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연속적으로 가압봉(49)은 아암(23)의 안쪽 공간을 향해 접히게 된다. 따라서 아암(23)에 도킹되어 있는 바스켓(100)을 클램핑할 수 있게 된다(도 7 참조).
클램핑센서(53)는 클램프기구(25)가 제대로 동작이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음 동작단계로 이어질 수 있도록 신호를 제어부에 인가한다. 클램프기구(25)는 소정의 링크기구(26)에 의해 작동된다. 이 링크기구(26)는 아암(23)의 상하단에 각각 설치되며 하나의 실린더(43)에 의해 함께 작동된다.
엘(L)자 형태의 판재로 된 제2링크(51)에는 한 쌍의 스토퍼핀(55,57)이 제3링크(59)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시옷(ㅅ)자 형태의 판재로 된 제3링크(59)의 중심에는 간격유지봉(61)이 고정되어 있다.
제3링크(59)의 일단에는 바스켓(100)에 지지되는 가압봉(49)이 설치된다. 제2링크(51)는 아암(23)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는데, 간격유지봉(61)은 상하로 설치된 제2링크(51)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며, 제2링크(51)와 제3링크(59)를 매개하기기 위하여 마련된다.
이하, 클램프 기구(25)의 구체적 구성과 작용을 도 6과 도 9를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클램프 기구(25)는 바스켓(100)의 크기가 유동적인 경우에도 별다른 조정이나 조치 없이 적용할 수 있다. 바스켓(100)이 평면상 직사각 또는 정사각형인 경우라면 바스켓(100)의 사이즈에 크게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 기구(25)는 바스켓(100)을 파지하는 경우에도 너무 약하지도 또한 너무 강하지도 않은 적당한 힘(후술되는 토션스프링(75)에 의한 탄성력)으로 파지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하 이러한 작용을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실린더(43)는 모터에 의해 길이가 가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신장량을 조정할 수 있는 모터 구동식 파워실린더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엘(L)자 형태로 된 제2링크(51)의 일측은 클램프축(45)에 고정되어 클램프축(45)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제2링크(51)의 타측은 간격유지봉(61)에 링크연결구(73)를 매개로 연결되되, 제2링크(51)의 타측이 간격유지봉(61)에 어느 정도 유동성을 가지게끔 연결된다(예를 들어, 탄성체로 된 부싱을 이용하거나 도시된 것처럼 "U" 형태로 개방된 결합홈(74)을 이용할 수 있다).
제3링크(59)의 타단에는 클램핑센서의 접점부(53a)에 접촉된다. 제3링크(59)는 간격유지봉(61)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데, 스토퍼핀(55,57) 사이에서만 회전되도록 제한된다. 제3링크(59)의 타단이 스토퍼핀(55,57) 사이에 위치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간격유지봉(61)과 제3링크(59)는 고정되어 있으며, 간격유지봉(61)과 제2링크 사이에는 토션스프링(75)이 매개되어 있다. 토션스프링(73)은 일단은 제2링크(59)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제3링크(59) 내지 간격유지봉(61)에 연결되어 있다.
이하, 링크기구(26)의 작용을 도 9를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바스켓(100)은 클램프 기구(25)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방된 상태에서 자리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파워실린더인 실린더(43)가 신장하게 되면 제2링크(51)가 클램프축(45)을 중심으로 그와 함께 회전하게 되고, 내측 스토퍼핀(55)이 제3링크(59)의 타단(59)을 시계방향으로 밀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봉(49)이 바스켓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실린더는 가압봉이 바스켓(100)에 닿을 때까지 클램프축(45)을 회전시킨다. 실린더(43)는 가압봉(49)이 바스켓(100)에 밀착된 후에도 어느 정도 더 클램프축(45)을 회전시킨다. 즉 실린더(43)는 도 9(c)의 상태에 이를 때까지 클램프축(45)을 더 회전시킨다. 도 9(b)에서 도 9(c)의 상태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토션스프링(75)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가압봉(69)의 그 탄성력에 해당하는 힘만큼 바스켓(100)을 가압하게 된다. 클램프축(45)은 도 9(c)에 도시된 것처럼 제3링크(59)의 타단(59a)이 외측 스토퍼핀(57)에 닿는 때까지 회전하게 되며, 이 순간 클램핑센서(53)의 접점부(53a)가 제3클램프(59)에서 이탈되면서 동작하여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신호에 의해 실린더(43)는 동작을 멈추게 되는 것이다.
한편, 아암(23)의 끝에는 가이더(63,63')가 각각 설치되어 바스켓(100)을 아암(23) 사이에 도킹시킬 때 다른 부분에 부딪히지 않도록 유도한다.
또한 바스켓(100)을 아암(23)에 도킹한 다음 회전시킬 경우 바스켓(100)이 상하로(그의 높이 방향으로) 유동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스토퍼가 구비된다. 스토퍼는 바스켓의 하단을 받치기 위한 하단스토퍼(65)와 바스켓(100)의 상단을 받치기 위한 상단스토퍼(67)를 포함한다. 하단스토퍼(65)는 경사면(65a)을 갖는 기다란 판재 형태로 되어 있으며 아암(23)의 하단프레임(27a)에 고정 설치된다.
상단스토퍼(67)는 아암(23)의 상단프레임(27b)에 고정되며, 아암의 두께 이하의 폭을 갖는 바(bar) 형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이 상단스토퍼(67)의 높이는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바스켓(100)의 높이에 따라 설치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여기서 더 나아가 가압봉(49)에도 보조스토퍼(69,69')를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보조스토퍼(69,69')는 링 형태로서 가압봉(49)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하로 높이 조정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의 일측에는 콘트롤박스(71)가 설치되어 있다. 콘트롤박스(71)에는 제어부가 설치되며, 제어부는 클램프기구(25)와 회전구동부(15)가 시계열에 따라 자동적으로 연속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조작반을 이용하여 수동제어를 할 수도 있으며, 회전각도나 속도 등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암(23)에 바스켓(100)이 제위치에 도킹되었음을 감지하기 위한 도킹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킹 완료시 완료신호는 제어부 및 작업자에게 인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바스켓(100)을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경로를 따라 아암에 도킹하게 되면, 클램프기구(25)가 작동하여 가압봉(49)이 바스켓(100)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한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구동부(15)가 작동하여 센터축(9)이 회전되면, 바스켓(100)은 센터축(9)을 축중심으로 회전하여 반대편으로 옮겨지면서 거꾸로 기울어지게 된다. 그러면 바스켓(100)에 담긴 물품이 모두 쏟아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스켓(100)을 기울였을 때, 그의 모서리(103)가 중앙에 위치되며, 센터축(9)과 가장 가까운 최하단에 위치하게 되므로 물품이 한곳으로 집중하여 쏟아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립된 바스켓(100)에 진동을 가하기 위한 틸팅수단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물품이 빠른 속도로 남김없이 쏟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 : 베이스프레임 9 : 센터축
13 : 바스켓홀더 15 : 회전구동부
17 : 구동모터 23 : 아암
25 : 클램프기구 27,27 : 판체
29 : 브래킷 31 : 회전감지부
35 : 접점스위치 41 : 회전감지기구
43 : 실린더 45 : 클램프축
47 : 제1링크 49 : 가압봉
51 : 제2링크 53 : 클램핑센서
53a : 접점부 55,57 : 스토퍼핀
61 : 간격유지봉 63,63' : 가이더
65 : 하단스토퍼 67 : 상단스토퍼
69,69' : 보조스토퍼 71 : 콘트롤박스
75 : 링크연결구 100 : 바스켓
103 : 모서리 105,105' : 측판

Claims (6)

  1. 물품을 담기 위한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육면체 형태의 바스켓을 거꾸로 기울여서 그 안에 담긴 물품이 자중에 의해 아래로 쏟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프레임; 지면에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센터축; 상기 센터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지면에 수평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스켓홀더; 상기 바스켓홀더가 상기 센터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게끔 상기 바스켓홀더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스켓홀더는 상기 바스켓의 모서리가 상기 센터축에 가장 가깝게 인접해 있는 상태로 상기 바스켓을 홀딩한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하며;
    상기 바스켓홀더는;
    평면상 엘(L)자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바스켓의 이웃하는 두 측판에 면접하게 되는 아암;
    상기 아암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아암 사이에 끼워진 바스켓을 클램핑하여 고정하는 클램프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기구는;
    상기 아암의 배면에 횡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43);
    상기 실린더(43)의 길이변화동작에 의해 수직축(V)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끔 실린더의 피스톤(43a)에 제1링크(47)를 매개로 연결되며, 수직축(V)을 축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클램프축(45); 및 링크기구(26)를 매개로 상기 클램프축(45)에 연결되는 가압봉(49);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실린더(43)가 신장하게 되면 상기 클램프축(45)의 회전하게 되고 상기 가압봉(49)은 상기 아암의 안쪽 공간을 향해 접힘으로써 상기 아암에 도킹되어 있는 바스켓을 클램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리프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의 측판의 면방향과 상기 센터축이 이루는 각도가 30 ~60°를 이루도록 상기 바스켓을 홀딩한 상태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리프트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43)는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파워실린더이며;
    상기 링크기구(26)는;
    일측은 클램프축(45)에 고정되어 클램프축(45)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는 엘(L)자 형태로 된 제2링크(51);
    상기 제2링크(51)의 타측에 연결되는 간격유지봉(61);
    상기 간격유지봉(61)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게끔 상기 간격유지봉(6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시옷(ㅅ)자 형태로 된 제3링크(59);
    제2링크(51)에 상기 제3링크(59)를 향해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3링크(59)가 중간에 위치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핀(55,57); 상기 간격유지봉(61)과 제2링크 사이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75);
    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3링크(59)는 스토퍼핀(55,57) 사이에서 상기 제2링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클램프축(45)으로 하여금 상기 가압봉(49)이 상기 바스켓(100)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일정 각도 만큼 더 회전되도록 하여 상기 가압봉이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바스켓을 가압하게끔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리프트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또한 바스켓을 회전시킬 경우 상기 바스켓이 그의 높이 방향으로 유동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바스켓의 하단을 받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아암의 하단프레임(27a)에 고정 설치되는 하단스토퍼(65);
    및 상기 바스켓의 상단을 받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아암의 상단프레임(27b)에 고정되며, 상기 아암의 두께 이하의 폭을 갖는 바(bar) 형태로 되어 있는 상단스토퍼(6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스켓 리프트장치.
KR1020190013554A 2019-02-01 2019-02-01 바스켓 리프트장치 KR102138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554A KR102138101B1 (ko) 2019-02-01 2019-02-01 바스켓 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3554A KR102138101B1 (ko) 2019-02-01 2019-02-01 바스켓 리프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8101B1 true KR102138101B1 (ko) 2020-07-27

Family

ID=71894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554A KR102138101B1 (ko) 2019-02-01 2019-02-01 바스켓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1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1269A (ja) * 2005-09-28 2007-04-12 Mitsubishi Chem Mkv Co 小分け用装置
JP3941228B2 (ja) * 1998-06-02 2007-07-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ロールクランプ装置
CN201254400Y (zh) * 2008-06-30 2009-06-10 普联国际股份有限公司 可调整高度的自动翻转倒料机
KR200454026Y1 (ko) * 2011-03-21 2011-06-09 박영도 자동 소분 장치
KR20150104200A (ko) 2013-01-15 2015-09-14 히로유키 아베 면역세포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1228B2 (ja) * 1998-06-02 2007-07-0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ロールクランプ装置
JP2007091269A (ja) * 2005-09-28 2007-04-12 Mitsubishi Chem Mkv Co 小分け用装置
CN201254400Y (zh) * 2008-06-30 2009-06-10 普联国际股份有限公司 可调整高度的自动翻转倒料机
KR200454026Y1 (ko) * 2011-03-21 2011-06-09 박영도 자동 소분 장치
KR20150104200A (ko) 2013-01-15 2015-09-14 히로유키 아베 면역세포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6255A (en) Clamping apparatus
US3971485A (en) Forklift attachment
US6003917A (en) Clamping apparatus
CN114394437B (zh) 一种机械型调式装载码垛机械手
US9604830B2 (en) Clamping apparatus
US1062598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esting bulk seed boxes
KR102138101B1 (ko) 바스켓 리프트장치
US7045721B1 (en) Lifting device for use with drum weighing machine
US3698577A (en) Transporting system
US3506148A (en) Gravity actuated self-righting dumper
KR101914155B1 (ko) 유리포장블록 반전장치
KR20200123801A (ko) 조절 가능한 턴오버 카
US4527940A (en) Cheese unloading machine
US3771680A (en) Glass turnover and packing device
JP6976096B2 (ja) コンテナ把持装置
JP5441403B2 (ja) 方向転換装置
JP5196659B2 (ja) 研削台車
KR101793506B1 (ko)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
KR102318371B1 (ko) 제품의 낙하 분배 및 연착 장치
CN219546058U (zh) 托盘夹具
JP2002154641A (ja) 搬送物の反転装置
JP2019058962A (ja) ハンド装置及び物品移送装置
JP3938417B2 (ja) 搬送装置
US11458582B2 (en) Lead board remover
CN216638872U (zh) 全自动灌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