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3793A - 보도블록 시공 장비 - Google Patents

보도블록 시공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3793A
KR20220013793A KR1020200093198A KR20200093198A KR20220013793A KR 20220013793 A KR20220013793 A KR 20220013793A KR 1020200093198 A KR1020200093198 A KR 1020200093198A KR 20200093198 A KR20200093198 A KR 20200093198A KR 20220013793 A KR20220013793 A KR 20220013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k block
sidewalk
unit
batch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9790B1 (ko
Inventor
김진열
Original Assignee
김진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열 filed Critical 김진열
Priority to KR1020200093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790B1/ko
Publication of KR20220013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66F9/188Stacked-bricks l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도블록 시공 장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보도블록 시공 장비(1)에 있어서,
마스트(mast)를 기준으로 승강(昇降)되는 기본프레임(F)이 구비된 동력전달운반수단(100);과, 상기 동력전달운반수단(100)의 기본프레임(F)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어,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을 가압하여, 위치를 이동시키는 보도블록집게수단(200);과, 상기 동력전달운반수단(100)의 기본프레임(F)의 일측과,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의 일측을 결합, 고정시키는 유동커넥터수단(300); 및 상기 동력전달운반수단(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보도블록집게수단(200) 및 유동커넥터수단(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보도블록집게컨트롤러수단(400);으로 구성되어,
보도블록 시공 시,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을 통해,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을, 작업 현장까지 한 번에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은,
유동커넥터수단(300)의 일측에 결합되는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210);과, 상기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210)의 일면에 형성되고, 작업 현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일측과 접면하여,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을 가압, 고정시킬 수 있도록 기준이 되는 보도블록위치고정기준부(220);와, 상기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210)의 일면, 보도블록위치고정기준부(220)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일측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보도블록가압부(230);와, 상기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210)의 일면에 형성되고, 보도블록가압부(230)에 의해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이 완전 가압되기 전, 특정 패턴으로 이루어진 보도블록(B)을 특정 행과 열로 정렬시키는 반회전식 보도블록위치정렬조정부(240);와, 상기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210)의 일측에 형성되고, 보도블록위치고정기준부(220)와 보도블록가압부(230)에 의해 가압, 고정된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을 운반하여 작업 현장에 해제할 시, 이미 운반되어 안치된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상면 일측과 접촉되어, 이미 운반되어 안치된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외관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도블록위치고정기준부(220)와 보도블록가압부(230)에 의해 가압, 고정되어 운반되는,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안착 위치를 확인, 가압 상태를 해제하여,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이 작업 현장에 안전하게 안착되도록 하는 보도블록접촉롤러부(250);와, 상기 보도블록가압부(230)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1동력전달부(260);와, 상기 보도블록위치정렬조정부(240)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2동력전달부(270); 및 상기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210)의 하면 일측에 형성되고, 가압, 고정시키고자 하는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상면 일측에 접면되어,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210)과, 가압, 고정시키고자 하는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이 수평 관계가 성립되도록 하는 보도블록상면안착부(280);로 구성되어,
보도블록 시공 현장에 적층되어 준비된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을, 순차적으로 층(層) 단위로 한 번에 작업 현장으로 이동, 바닥에 안치(安置)시킴으로서, 작업의 용이성은 물론, 시공 기간이 단축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보도블록 시공 현장에 적층되어 투입되는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을 층(層) 단위로 작업 현장에 이동, 운반하여, 보도블록의 시공 작업의 용이성은 물론, 시공 기간의 단축, 시공 비용의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보도블록 시공 장비{Apparatus for installation sidewalk block}
본 발명은, 보도블록 시공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도블록 시공 현장에 적층되어 투입되는 일괄(一括)의 보도블록을 층(層) 단위로, 한 번에 작업 현장까지 이송, 운반하여, 안전하게 지면에 안착시킴으로서, 신속하게 보도블록을 설치,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보도블록 시공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보도블록 공사 작업은, 현재, 시공 현장에 적층되어 투입되는 보도블록을, 작업자가 하나씩 낱개로 작업 현장까지 옮긴 후, 설치하는 작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로 인해, 작업의 용이성이 현저히 저하됨은 물론, 이의 상관관계로 보도블록의 공사 기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공사 기간의 단축 및 작업의 용이성을 위해, 최대한 작업 현장에 가까운 곳에 보도블록을 투입하거나, 손수레, 대차와 같은 운반수단을 이용하여, 다수 개의 보도블록을 운반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극복 방법은, 오히려, 작업자의 동선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운반수단에 뒤죽박죽 뒤섞여 있어, 서로 잦은 마찰과, 스트레스(충격)로 인해, 보도블록의 외관이 쉽게 파손될 위험이 내재되어 있는 방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공 현장에 적층되어 투입되는 보도블록을, 층(層) 단위로, 보도블록이 설치되어야 할 작업 현장까지, 한 번에 일괄(一括)의 보도블록을 이송(운반)시킬 수 있는 보도블록 시공 장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보도블록 시공 장비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6607호의 "포장용 보도블럭 설치장치"(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는,
강우 시, 투입되는 빗물을 용이하게 보관하고, 건기 시, 상기 보관된 빗물을 이용하여, 포장용으로 설치되는 보도블럭을 냉각시킬 수 있게 하도록, 투입되는 빗물을 보관하는 저류보관구역 유닛 및 상기 저류보관구역 유닛의 보관용량을 초과하는 빗물을 수용하여 지반으로 배출시키는 저류배출구역 유닛을 포함하는 포장용 보도블럭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1396호의 "보도블럭 가공장치"(이하, '선행기술 2'라 함.)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두 개의 회전모터와, 각각의 회전모터의 회전모터축에 연결된 회전기어와 벨트에 의해 연결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두 개의 회전기와, 상기 각각의 회전기 상부에 설치된 냉각수공급관과, 상기 각각의 회전기의 하부에 연결되며 하부에 다수개의 홈파기 돌부가 구비된 회전판과, 상기 각각의 회전기의 전면에 설치되어 회전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이동장치와, 상기 두 개의 회전기의 사이 하부에 설치되어 컨베어상에서 이송되는 보도블럭을 안내하는 보도블럭안내장치와, 사익 회전판의 하부에 구동되는 보도블럭을 이송시키며 컨베어 및 컨베어구동모터로 구성된 이송장치와, 상기 회전기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전면에 설치되며 이송장치를 작동시키는 이송작동장치로 구성된 보도블럭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는 보도블록과 관련된 장치에 관한 기술로, 본 발명과 기술분야가 유사하지만, 기술적 특징이 상이하다.
즉, 선행기술 1은, 빗물의 첨두 유출량 저감과 빗물의 지하 침투를 통해 물순환을 건전화하는 목적에서 사용되는 저수 및 보수성 보도블럭을 설치하는 장치에 대한 기술이며,
선행기술 2는, 보도블럭을 가공하는 장치에 대한 기술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를 해결함으로서 발휘되는 효과가 상이하다.
그러므로,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를 포함한 종래의 보도블록과 관련된 장치의 기술과는 다른, 본 발명만의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발명의 목적),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구성요소) 및 이를 해결함으로서 발휘되는 효과를 기반으로, 그 기술적 특징을 꾀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6607호 (2010.04.29.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1396호 (2012.11.08.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도블록 시공 현장에 일괄(一括)로 적층되어 투입되는 보도블럭을, 층(層) 단위로, 일괄(一括)의 보도블럭을 한 번에, 작업 현장까지 이송(운반)시킬 수 있는 보도블록 시공 장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 현장까지 이송(운반)시키기 위해 일괄(一括)의 보도블록을 가압, 고정할 시, 보다 용이하게 일괄(一括)의 보도블록을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실시간, 일괄(一括)의 보도블록의 위치가 출력되는 보도블록 시공 장비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도블록 시공 장비에 있어서,
마스트(mast)를 기준으로 승강(昇降)되는 기본프레임이 구비된 동력전달운반수단;
상기 동력전달운반수단의 기본프레임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어, 일괄(一括)의 보도블록을 가압하여, 위치를 이동시키는 보도블록집게수단;
상기 동력전달운반수단의 기본프레임의 일측과, 보도블록집게수단의 일측을 결합, 고정시키는 유동커넥터수단;
상기 동력전달운반수단의 일측에 형성되어, 보도블록집게수단 및 유동커넥터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보도블록집게컨트롤러수단;으로 구성되어,
보도블록 시공 시, 보도블록집게수단을 통해, 일괄(一括)의 보도블록을, 작업 현장까지 한 번에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보도블록집게수단은,
유동커넥터수단의 일측에 결합되는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
상기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의 일면에 형성되고, 작업 현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일괄(一括)의 보도블록의 일측과 접면하여, 일괄(一括)의 보도블록을 가압, 고정시킬 수 있도록 기준이 되는 보도블록위치고정기준부;
상기 보도블럭집게본체프레임의 일면, 보도블록위치고정기준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일괄(一括)의 보도블록의 일측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보도블록가압부;
상기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의 일면에 형성되고, 보도블록가압부에 의해 일괄(一括)의 보도블록이 완전 가압되기 전, 특정 패턴으로 이루어진 보도블록을 특정 행과 열로 정렬시키는 반회전식 보도블록위치정렬조정부;
상기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고, 보도블록위치고정기준부와 보도블록가압부에 의해 가압, 고정된 일괄(一括)의 보도블록을 운반하여 작업 현장에 해제할 시, 이미 운반되어 안치된 일괄(一括)의 보도블록의 상면 일측과 접촉되어, 이미 운반되어 안치된 일괄(一括)의 보도블록의 외관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도블록위치고정기준부와 보도블록가압부에 의해 가압, 고정되어 운반되는, 일괄(一括)의 보도블록의 안착 위치를 확인, 가압 상태를 해제하여,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이 작업 현장에 안전하게 안착되도록 하는 보도블록접촉롤러부;
상기 보도블록가압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1동력전달부;
상기 보도블록위치정렬조정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2동력전달부;
상기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의 하면 일측에 형성되고, 가압, 고정시키고자 하는 일괄(一括)의 보도블록의 상면 일측에 접면되어,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과, 가압, 고정시키고자 하는 일괄(一括)의 보도블록이 수평 관계가 성립되도록 하는 보도블록상면안착부;로 구성되어,
보도블록 시공 현장에 적층되어 준비된 일괄(一括)의 보도블록을, 순차적으로 층(層) 단위로 한 번에 작업 현장으로 이동, 바닥에 안치(安置)시킴으로서, 작업의 용이성은 물론, 시공 기간이 단축되도록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1. 종래 작업자에 의해 보도블록이 한 장씩 시공되었던 작업 환경을, 일괄(一括)의 보도블록으로 시공할 수 있는 작업 환경으로 변화시키므로, 시공 기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다.
2. 보도블록 시공 장비를 제공함으로서, 보도블록 시공 작업 현장의 인력난을 해소시킬 수 있다.
3. 보도블록 시공 기간의 단축으로, 나아가, 교통난을 해소시킬 수 있다.
4. 보도블록 시공 기간의 단축으로,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5. 일괄(一括)의 보도블록을 한 번에 이송(운반)시키되, 보도블록의 특정 형상에 따라 행과 열로 정렬된 일괄(一括)의 보도블록을 이송(운반)시킴으로서, 작업자에 의한 보도블록의 시공 작업이 용이해진다.(별도로, 작업자가 보도블록의 특정 형상에 따라 행과 열을 맞추면서 시공할 필요가 없다.)
즉, 본 발명은, 보도블록 설치 시공 기간의 단축, 인력난 및 교통난 해소, 시공 비용의 절감 등으로, 보도블록 공사의 용이성을 극대화하는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인 보도블록 시공 장비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보도블록 시공 장비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보도블록 시공 장비의 구성요소 중, 보도블록집게수단에 대한 상세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a)는 측면도, (b)는 정면도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보도블록 시공 장비의 구성요소 중, 보도블록집게컨트롤러수단에 대한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보도블록 시공 장비의 작동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보도블록 시공 장비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보도블록 시공 장비의 작업 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보도블록 시공 장비의 구성요소 중, 윤곽선위치확인모니터링수단에 대한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보도블록 시공 장비의 구성요소 중, 보도블록집게수단의 보도블록위치정렬조정부에 의해 정렬되는 일괄(一括)의 보도블록의 상태 변화를 실시 예로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보도블록 시공 장비에 대한 선행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보도블록 시공 장비(1)에 대한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보도블록 시공 장비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보도블록 시공 장비에 대한 구성도를, 도 3은 본 발명인 보도블록 시공 장비의 구성요소 중, 보도블록집게수단에 대한 상세 개략도를, 도 6은 본 발명인 보도블록 시공 장비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도블록 시공 장비(1)에 있어서,
마스트(mast)를 기준으로 승강(昇降)되는 기본프레임(F)이 구비된 동력전달운반수단(100);
상기 동력전달운반수단(100)의 기본프레임(F)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어,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을 가압하여, 위치를 이동시키는 보도블록집게수단(200);
상기 동력전달운반수단(100)의 기본프레임(F)의 일측과,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의 일측을 결합, 고정시키는 유동커넥터수단(300);
상기 동력전달운반수단(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보도블록집게수단(200) 및 유동커넥터수단(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보도블록집게컨트롤러수단(400);으로 구성되어,
보도블록 시공 시,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을 통해,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을, 작업 현장까지 한 번에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도블록 시공 현장에 적층되어 투입된 보도블록을,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으로 작업 현장에 이송(운반)시킬 수 있는, 보도블록 시공 장비(1)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동력전달운반수단(100)은,
예를 들어, 유압을 이용하여, 마스트(mast)를 기준으로 캐리지 또는, 붐과 암이 상, 하 운동을 하는, 지게차 또는, 굴삭기를 활용하고, 캐리지에 유동커넥터수단(300)과,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이 결합되도록, 기본프레임(F);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커넥터수단(300)에 결합, 고정되고, 보도블록 시공 현장에 일괄(一括)로 적층되어 투입된 보도블록을 층(層) 단위로 작업 현장까지 이송(운반)할 수 있도록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을 가압, 임시 고정시키는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은,
유동커넥터수단(300)의 일측에 결합되는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210);
상기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210)의 일면에 형성되고, 작업 현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일측과 접면하여,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을 가압, 고정시킬 수 있도록 기준이 되는 보도블록위치고정기준부(220);
상기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210)의 일면, 보도블록위치고정기준부(220)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일측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보도블록가압부(230);
상기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210)의 일면에 형성되고, 보도블록가압부(230)에 의해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이 완전 가압되기 전, 특정 패턴으로 이루어진 보도블록(B)을 특정 행과 열로 정렬시키는 반회전식 보도블록위치정렬조정부(240);
상기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210)의 일측에 형성되고, 보도블록위치고정기준부(220)와 보도블록가압부(230)에 의해 가압, 고정된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을 운반하여 작업 현장에 해제할 시, 이미 운반되어 안치된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상면 일측과 접촉되어, 이미 운반되어 안치된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외관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도블록위치고정기준부(220)와 보도블록가압부(230)에 의해 가압, 고정되어 운반되는,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안착 위치를 확인, 가압 상태를 해제하여,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이 작업 현장에 안전하게 안착되도록 하는 보도블록접촉롤러부(250);
상기 보도블록가압부(230)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1동력전달부(260);
상기 보도블록위치정렬조정부(240)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2동력전달부(270);
상기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210)의 하면 일측에 형성되고, 가압, 고정시키고자 하는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상면 일측에 접면되어,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210)과, 가압, 고정시키고자 하는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이 수평 관계가 성립되도록 하는 보도블록상면안착부(280);로 구성되어,
보도블록 시공 현장에 적층되어 준비된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을, 순차적으로 층(層) 단위로 한 번에 작업 현장으로 이동, 바닥에 안치(安置)시킴으로서, 작업의 용이성은 물론, 시공 기간이 단축되도록 한다.
상기 보도블록가압부(230)와, 보도블록위치정렬조정부(240)는,
각각 제 1동력전달부(260)와, 제 2동력전달부(270)에 의해, 일정 각도 회전되도록 형성되어, 동력전달운반수단(100)에 탑승한 작업자에 의한 보도블록집게컨트롤러수단(400)을 통해 조작,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을 정렬,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보도블록집게수단(200)에는,
보도블록위치정렬조정부(240)가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을 특정 행과 열로 정렬시키기 위한 반복적인 일정 각도의 회전을 보조함과 동시에,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을 특정 행과 열로 정렬시킨 후, 보도블록위치정렬조정부(240)가 원위치로 복귀하는데 보조하는 보조탄성부재부(S);와,
유동커넥터수단(300)에 결합, 고정, 분리되는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을 복수의 작업자가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집게수단운반손잡이부(H);가 더 포함,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탄성부재부(S)는, 예를 들어,
보도블록위치정렬조정부(240)가 제 2동력전달부(270)에 의해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을 반복할 시, 보도블록위치정렬조정부(240)가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210)의 상측으로 복귀하는 힘을 보조하는 구성요소이며,(보도블록위치정렬조정부(240)가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을 정렬시킬 때는, 보조탄성부재부(S)는 인장되고, 보도블록위치정렬조정부(240)가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210)의 상측으로 복귀할 때는, 보조탄성부재부(S)는 압축된다.)
집게수단운반손잡이부(H)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을 운반하여, 유동커넥터수단(300)에 결합, 고정시키거나, 교체할 시, 보다 용이하게 집게수단운반손잡이부(H)를 활용하여, 복수의 작업자가 함께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지면)을 기준으로 일정 기울기가 형성되도록 유동커넥터수단(300)에 결합, 고정되되, 가압하여 작업 현장까지 이송(운반)하고자 하는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일측에 보도블록위치고정기준부(220)가 최초로 접촉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즉,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은,
바닥면(지면)에서 보도블록위치고정기준부(220)까지의 높이를 'h1'이라 하고,
바닥면(지면)에서 보도블록가압부(230)까지의 높이를 'h2'라 할 때,
h 2 〉h 1
상기의 부등식의 관계가 성립되는 일정 기울기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는, 보도블록집게수단(200)과,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이 처음부터 수평 관계로 형성될 경우,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을 가압, 고정하기 위한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의 조작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보도블록집게수단(200)을 조작하는 운전석과, 유동커넥터수단(300)에 결합, 고정되어 있는 보도블록집게수단(200)과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어, 원근감에 의해 보도블록집게수단(200)과,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위치를 맞추기 어렵다.)
따라서,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이 유동커넥터수단(300)에 결합, 고정된 후에는, 일정 기울기가 형성되도록 하여, 보도블록위치고정기준부(220)가 제일 먼저,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일측에 접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운반수단(100)에 형성된 기본프레임(F)과,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을 연결시키는 유동커넥터수단(300)은,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이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모터부(310);
상기 회전모터부(310)로부터 돌출되는 샤프트에 결합, 고정되어,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이 회전모터부(31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도록, 회전모터부(310)와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을 연결시키는 유동커넥터브라켓부(320);로 구성되되,
유동커넥터브라켓부(320)는, 결합되는 상기 회전모터부(310)를 기준으로, 상, 하, 좌, 우, 일정 범위 내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보도블록집게수단(200)과의 결합은 물론, 결합된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이 최초,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과 접촉할 시, 용이하게 결합,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보도블록집게수단(200) 및 유동커넥터수단(2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정렬, 가압, 이송(운반), 해방(작업 현장에 내려놓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보도블록집게컨트롤러수단(4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을 제어하는 제 1컨트롤러부(410);
보도블록가압부(230)를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시켜,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일면을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여 해방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컨트롤러부(420);
보도블록위치정렬조정부(240)를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시켜,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대칭되는 두 면을 가압, 가압의 해제를 반복하여, 특정 패턴으로 이루어진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을 특정 행과, 열로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 3컨트롤러부(430);
유동커넥터수단(300)의 회전모터부(310)를 회전시켜, 보도블록집게수단(200)과,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위치를 일치시키는 제 4컨트롤러부(440);로 구성되어,
동력전달운반수단(100)에 탑승한 작업자가 보도블록집게수단(200) 및 유동커넥터수단(300)의 동작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보도블록 시공 장비(1)에는,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을 통한,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 가압 시,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에 대한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그 위치를 일치, 포함시키는, 윤곽선위치확인모니터링수단(500);이 더 포함, 구성되어,
동력전달운반수단(100)에 탑승하여 보도블록집게컨트롤러수단(400)을 통해,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을 제어하는 작업자가 더욱 용이하게 시공 현장에 적층되어 투입된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을 가압, 작업 현장에 이송(운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시공 현장에 적층되어 투입된, 층(層) 단위의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이 형성하는 윤곽선 정보를 확인하여, 적층된 각도에 맞게, 유동커넥터수단(300)의 회전모터부(310)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작업자가 용이하게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을 이용,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을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윤곽선위치확인모니터링수단(500)은,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의 하면 일측에 하나 이상 형성되어, 실시간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의 움직임 및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위치를 촬영하는 보도블록위치확인카메라부(510);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의 실시간 평면의 윤곽선 정보를 인지하는 집게수단윤곽선정보인지부(520);
상기 보도블록위치확인카메라부(510)로부터 촬영되는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평면의 윤곽선 정보를 추출하는 보도블록윤곽선정보추출부(530);
유동커넥터수단(300)의 회전모터부(310)의 일측에 형성되어, 회전모터부(310)의 각도를 센싱하는 회전모터각도센서부(540);
상기 보도블록윤곽선정보추출부(530)를 통해 추출되는, 작업 현장에 이송시키고자 하는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윤곽선 정보와, 집게수단윤곽선정보인지부(520)로부터 인지된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의 실시간 윤곽선 정보를 대비,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윤곽선과,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의 윤곽선이 일치, 포함되도록, 회전모터각도센서부(540)로부터 센싱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유동커넥터수단(300)의 회전모터부(310)를 회전시키는 보도블록집게수단윤곽선일치산출부(550);
동력전달운반수단(100)의 일측에 형성되고, 탑승한 작업자가 운전석에서, 상기 보도블록위치확인카메라부(510), 집게수단윤곽선정보인지부(520), 보도블록윤곽선정보추출부(530), 회전모터각도센서부(540), 보도블록집게수단윤곽선일치산출부(550)로부터 실시간 인지, 촬영, 산출되어 전송되는 화상(畵像)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보도블록위치출력디스플레이부(560);로 구성되어,
동력전달운반수단(100)의 운전석에 탑승하여 보도블록집게수단(200) 및 유동커넥터수단(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을 이용하여,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인 보도블록 시공 장비(1)에, 상술한 윤곽선위치확인모니터링수단(500)이 포함될 경우에는,
보도블록집게컨트롤러수단(400)에,
제 4컨트롤러부(440)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오토컨트롤러부(450);가 더 포함, 구성되어,
이를 이용, 보도블록집게수단(200)과,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위치를 용이하게 일치, 포함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동력전달운반수단(100)의 운전석에 탑승한 작업자는,
제 4컨트롤러부(440)를 통해 수동으로, 보도블록집게수단(200)과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위치를 맞출 수도 있고, 오토컨트롤러부(450)를 통해 반자동, 또는 자동으로 그 위치를 맞출 수 있다.('위치'라 함은, 집게수단윤곽선정보인지부(520)를 통해 인지되는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의 윤곽선 정보와, 보도블록윤곽선정보추출부(530)로부터 추출되는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윤곽선 정보를 말한다.)
또한, 보도블록집게수단윤곽선일치산출부(550)는,
집게수단윤곽선정보인지부(520)를 통해 생성되는 실시간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의 윤곽선 정보를 기준영역(A1)으로 생성시키는 기준영역생성모듈(551);
보도블록위치확인카메라부(510)로부터 실시간 촬영되는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상태, 위치 및 보도블록윤곽선정보추출부(530)로부터 추출된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윤곽선 정보를 맞춤영역(A2)으로 생성시키는 맞춤영역생성모듈(552);
상기 기준영역생성모듈(551)로부터 생성되는 기준영역(A1)과, 맞춤영역생성모듈(552)로부터 생성되는 맞춤영역(A2)이 일치되거나, 포함되도록, 어긋난 좌표와 각도에 따라, 유동커넥터수단(300)의 회전모터부(310)의 회전 각도를 도출하는 회전모터부회전각도분석모듈(553);
상기 회전모터부회전각도분석모듈(553)을 통해 도출된 회전 각도의 값으로 유동커넥터수단(300)의 회전모터부(310)를 회전시켜, 기준영역(A1)과, 맞춤영역(A2)이 일치, 포함되도록 하는 자동위치맞춤모듈(554);로 구성되고,
보도블록위치출력디스플레이부(560)는,
보도블록집게수단윤곽선일치산출부(550)로부터 생성되는 기준영역생성모듈(551)이 출력되도록 하는 보도블록집게수단위치출력모듈(561);
보도블록집게수단윤곽선일치산출부(550)로부터 생성되는 맞춤영역생성모듈(552)이 출력되도록 하는 보도블록위치출력모듈(562);
보도블록집게수단윤곽선일치산출부(550)로부터 도출되는 회전모터부회전각도분석모듈(553)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실시간현재정보출력모듈(563);로 구성되어,
동력전달운반수단(100)의 운전석에 탑승한 작업자가 용이하게, 기준영역(A1)과 맞춤영역(A2)을 일치시키거나, 포함할 수 있도록, 작업자에 의한 보도블록집게컨트롤러수단(400)의 제어를 보조한다.
참고하여, 도 7은 본 발명인 보도블록 시공 장비의 작업 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으로,
도 7의 (a)는, 보도블록집게수단(200)과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이 대치한 상태를,
(b)는,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을 통해,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을 정렬, 가압하는 상태를,
(c)는, 보도블록집게수단(200)에 의해,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이 층(層) 단위로 이송(운반)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보도블록 시공 장비(1)의 구성요소 중, 윤곽선위치확인모니터링수단(500)에 대한 블록도를, 도 9는 본 발명인 보도블록 시공 장비(1)의 구성요소 중,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의 보도블록위치정렬조정부(240)에 의해 정렬되는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상태 변화를 실시 예로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또한, 보도블록가압부(230)로부터 발생되는 가압력을 'FP'라 할 때,
'FP'는, 하기의 부등식이 성립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Figure pat00001
이때,
'M'은,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중량,
'g'는, 중력 가속도,
'FL'은, 보도블록의 피로 한도,
'Fu'는,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을 통해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을 들어올릴 때,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에 전달되는 충격량을 말한다.
또한, '보도블록집게수단(200)과,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위치의 일치'라 함은,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의 윤곽선 정보에 대한 각도와,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윤곽선 정보에 대한 각도가 동일하거나, 포함되어,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이,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에 바로, 접촉, 안치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된 '일괄(一括)'이라 함은,
개별적인 여러 가지 것을 한데 묶음이라는 사전적 의미에 의거,
예를 들어, 50여 개의 보도블록이 한데 모여, 하나의 유닛(unit)으로 이루어진 것을 말한다.(도 6 내지 도 7, 도 9 참조.)
즉, 한 묶음과 동일, 유사한 개념이라 할 것이다.
그러므로, 현장 작업자가 보도블록을 하나 하나 낱개로 운반하여 설치하던 종래의 보도블록 시공 작업이, 본 발명을 통해, 50여 개의 보도블록을 층(層) 단위로 한 번에 운반하여 설치할 수 있는 보도블록 시공 작업으로 변화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보도블록 설치 시공 기간의 단축 및 이로 인한 시공 비용의 절감 효과를 발휘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도블록 시공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도블록의 포장 및 교체 공사 등, 보도블록의 이송(운반) 및 적재까지, 보도블록과 관련된 산업분야 증진에 기여하는 데에 적용할 수 있다.
1: 보도블록 시공 장비
100: 동력전달운반수단 200: 보도블록집게수단
210: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 220: 보도블록위치고정기준부
230: 보도블록가압부 240: 보도블록위치정렬조정부
250: 보도블록접촉롤러부 260: 제 1동력전달부
270: 제 2동력전달부 280: 보도블록상면안착부
300: 유동커넥터수단 310: 회전모터부
320: 유동커넥터브라켓부 400: 보도블록집게컨트롤러수단
410: 제 1컨트롤러부 420: 제 2컨트롤러부
430: 제 3컨트롤러부 440: 제 4컨트롤러부
450: 오토컨트롤러부
500: 윤곽선위치확인모니터링수단
510: 보도블록위치확인카메라부 520: 집게수단윤곽선정보인지부
530: 보도블록윤곽선정보추출부 540: 회전모터각도센서부
550: 보도블록집게수단윤곽선일치산출부 551: 기준영역생성모듈
552: 맞춤영역생성모듈
553: 회전모터부회전각도분석모듈 554: 자동위치맞춤모듈
560: 보도블록위치출력디스플레이부
561: 보도블록집게수단위치출력모듈 562: 보도블록위치출력모듈
563: 실시간현재정보출력모듈
B: 일괄(一括)의 보도블록
B': 보도블록위치정렬조정부(240)에 의해 정렬된 일괄(一括)의 보도블록
F: 기본프레임 H: 집게수단운반손잡이부
S: 보조탄성부재부
A1: 기준영역 A2: 맞춤영역
h1: 바닥면(지면)에서 보도블록위치고정기준부(220)까지의 높이
h2: 바닥면(지면)에서 보도블록가압부(230)까지의 높이

Claims (2)

  1. 보도블록 시공 장비(1)에 있어서,
    마스트(mast)를 기준으로 승강(昇降)되는 기본프레임(F)이 구비된 동력전달운반수단(100);
    상기 동력전달운반수단(100)의 기본프레임(F)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어,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을 가압하여, 위치를 이동시키는 보도블록집게수단(200);
    상기 동력전달운반수단(100)의 기본프레임(F)의 일측과,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의 일측을 결합, 고정시키는 유동커넥터수단(300);
    상기 동력전달운반수단(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보도블록집게수단(200) 및 유동커넥터수단(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보도블록집게컨트롤러수단(400);으로 구성되어,
    보도블록 시공 시,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을 통해,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을, 작업 현장까지 한 번에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시공 장비.
  2. 상기 보도블록집게수단(200)은,
    유동커넥터수단(300)의 일측에 결합되는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210);
    상기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210)의 일면에 형성되고, 작업 현장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일측과 접면하여,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을 가압, 고정시킬 수 있도록 기준이 되는 보도블록위치고정기준부(220);
    상기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210)의 일면, 보도블록위치고정기준부(220)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일측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보도블록가압부(230);
    상기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210)의 일면에 형성되고, 보도블록가압부(230)에 의해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이 완전 가압되기 전, 특정 패턴으로 이루어진 보도블록(B)을 특정 행과 열로 정렬시키는 반회전식 보도블록위치정렬조정부(240);
    상기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210)의 일측에 형성되고, 보도블록위치고정기준부(220)와 보도블록가압부(230)에 의해 가압, 고정된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을 운반하여 작업 현장에 해제할 시, 이미 운반되어 안치된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상면 일측과 접촉되어, 이미 운반되어 안치된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외관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도블록위치고정기준부(220)와 보도블록가압부(230)에 의해 가압, 고정되어 운반되는,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안착 위치를 확인, 가압 상태를 해제하여,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이 작업 현장에 안전하게 안착되도록 하는 보도블록접촉롤러부(250);
    상기 보도블록가압부(230)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1동력전달부(260);
    상기 보도블록위치정렬조정부(240)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 2동력전달부(270);
    상기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210)의 하면 일측에 형성되고, 가압, 고정시키고자 하는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의 상면 일측에 접면되어, 보도블록집게본체프레임(210)과, 가압, 고정시키고자 하는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이 수평 관계가 성립되도록 하는 보도블록상면안착부(280);로 구성되어,
    보도블록 시공 현장에 적층되어 준비된 일괄(一括)의 보도블록(B)을, 순차적으로 층(層) 단위로 한 번에 작업 현장으로 이동, 바닥에 안치(安置)시킴으로서, 작업의 용이성은 물론, 시공 기간이 단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록 시공 장비.
KR1020200093198A 2020-07-27 2020-07-27 보도블록 시공 장비 KR102419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198A KR102419790B1 (ko) 2020-07-27 2020-07-27 보도블록 시공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198A KR102419790B1 (ko) 2020-07-27 2020-07-27 보도블록 시공 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793A true KR20220013793A (ko) 2022-02-04
KR102419790B1 KR102419790B1 (ko) 2022-07-13

Family

ID=80267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198A KR102419790B1 (ko) 2020-07-27 2020-07-27 보도블록 시공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79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2393A (ja) * 1997-11-04 1999-08-17 Cascade Corp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上に搭載される積層貨物把持用クランプ装置、及び積層貨物の移動及び堆積方法
US6802688B1 (en) * 1999-04-27 2004-10-12 Univeyor A/S Apparatus for handling layers of palletized goods
KR100956607B1 (ko) 2007-12-27 2010-05-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포장용 보도블럭 설치장치
KR101201396B1 (ko) 2010-07-20 2012-11-14 이봉기 보도블럭 가공장치
US20130236285A1 (en) * 2012-03-07 2013-09-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for Handling Layers of Goods
KR101793506B1 (ko) * 2017-04-05 2017-11-07 (주)신세계중공업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2393A (ja) * 1997-11-04 1999-08-17 Cascade Corp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上に搭載される積層貨物把持用クランプ装置、及び積層貨物の移動及び堆積方法
US6802688B1 (en) * 1999-04-27 2004-10-12 Univeyor A/S Apparatus for handling layers of palletized goods
KR100956607B1 (ko) 2007-12-27 2010-05-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포장용 보도블럭 설치장치
KR101201396B1 (ko) 2010-07-20 2012-11-14 이봉기 보도블럭 가공장치
US20130236285A1 (en) * 2012-03-07 2013-09-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for Handling Layers of Goods
KR101793506B1 (ko) * 2017-04-05 2017-11-07 (주)신세계중공업 지게차용 클램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790B1 (ko) 202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6848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монта поврежденных поддонов
CN102937031B (zh) 用于地下开采的顶壁支撑板处理
CN110421289B (zh) 标牌自动焊接机器人系统
US10253462B1 (en) Concrete patching robot
WO2007102731A1 (en) Paving machine
KR102419790B1 (ko) 보도블록 시공 장비
KR20200000723A (ko) 그린타이어 인사이드 제품 태그를 이용한 그린타이어 정렬 장치 및 그 정렬 방법
US201100057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 shank within a ripper assembly of a tractor/crawler involving a rotating shank installer
CN111855417A (zh) 一种装配式楼梯力学性能检验系统
US4740102A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road curbs, autoblocking paving blocks and the like
US4946335A (en) Suction lifting device
CN104149134A (zh) 一种操作简便安全的木工裁板锯
CN112368450B (zh) 挖土机、信息处理装置
KR20050060462A (ko) 굴삭기와 연계한 흄관 매설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24106B1 (ko) 생선가시제거용 작업대
KR101570739B1 (ko)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 및 방법
CN115285842A (zh) Aac及alc板材安装车、安装控制系统
RU2494180C1 (ru) Агрегат для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выполнения подготовительно-раскройных операций
CN208614532U (zh) 一种生态板砂光机的推板装置
JP2008007219A (ja) コンテナの位置決め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制御方法
KR102238040B1 (ko) 차량용 배터리 자동체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75648B1 (ko) 콘크리트 파일 두부 절단 및 처리 방법
US20060171782A1 (en) Pipe bedding system
KR102683281B1 (ko) 이중 바닥재 설치장치
CN109759813B (zh) 草坪机车轮轴承自动化压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