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0739B1 -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739B1
KR101570739B1 KR1020150008942A KR20150008942A KR101570739B1 KR 101570739 B1 KR101570739 B1 KR 101570739B1 KR 1020150008942 A KR1020150008942 A KR 1020150008942A KR 20150008942 A KR20150008942 A KR 20150008942A KR 101570739 B1 KR101570739 B1 KR 101570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restoration
elevating
fixed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선
이재서
김현용
이동식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008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62Handles to carry construction b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고정 대차부재(10)에 구비되는 회전판 부재(20)의 상부면에 복수의 제1 승강 부재(30)들이 안치되도록 한 후 상기 제1 승강 부재(30)들의 상부로 원석재(OS)가 안치되도록 하고, 제1 승강 부재(30)들을 승강 구동시켜 수평계를 이용하여 원석재(OS)가 수평의 상태가 되도록 하면 원석재(OS)의 하부로 회전판 부재(20)와의 사이로 제1 고정 부재(40)의 부목(41)과 쐐기(42)를 개입시켜 원석재(OS)가 고정되도록 하며, 레일(5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대차부재(50)의 상부면에 안치되는 복수의 제2 승강 부재(60)들의 상부로 복원용 석재(RS)가 안치되면 제2 승강 부재(60)들을 승강구동시켜 수평계를 이용하여 원석재(OS)와 동일한 높이와 동일 수평선상에 복원용 석재(RS)가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복원용 석재(RS)의 하부로 제2 고정 부재(70)의 부목(71)과 쐐기(72)를 개입시켜 복원용 석재(RS)가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 부재(20)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켜 원석재(OS)의 결실면이 복원용 석재(RS)의 일면과 상호 마주보도록 하여 정확한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 및 방법{Alig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toring stone cultural heritage}
본 발명은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의 석재유물의 훼손된 부분을 복원 또는 보완하기 위하여 원형물과 복원물의 상호 접촉면간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조 문화재는 대부분 옥외에 노출되어 있어 유구한 세월을 버텨오면서 전쟁 등에 의해 인위적으로 훼손되기도 하고, 자연재해나 풍화 등에 의해서도 균열, 박리박락, 탈락 등이 발생하면서 적절한 보존처리가 요구되고 있다.
석조 문화재의 복원은 제작 당시와 동일한 기법 및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며, 이를 위하여 구성암석의 종류와 특징을 정확히 이해해야 안정적인 보존처리가 이루어질 수가 있다.
또한, 결실부분에 대해서도 복원에 필요한 구성암성의 종류와 효과적인 접합 및 보강방법 및 대체석 확보 등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따라서 석조 문화재는 다양한 원인에 의한 결실부위를 정확히 파악하여 올바른 수리와 복원이 되도록 해야 하는데 결실된 부위는 복원용 석재를 사용하여 석조 문화재의 결실면과 긴밀하게 밀착시켜 접합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예전에는 부분적으로 복원되도록 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전체적으로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대규모 복원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석조 문화재를 완전 분해되도록 한 상태에서 균열 또는 박리박락된 부위는 에폭시계 수지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에폭시계 수지 충전재로서 충전시키도록 하고 있다.
한편, 석조 문화재의 일부가 결실된 부위 복원을 위해서 현재는 복원용 석재를 우선 면가공한 후 금속보강이 이루어지게 한 다음 복원용 석재가 접합되도록 한다.
등록특허 제1451717호(2014.02.06.명칭:풍화도에 따른 석조문화재의 금속보강방법)은 결실된 석조 문화재에 복원용 석재를 접합시키기 위하여 금속보강재를 이용한 보강방법에 대해서 제안한 것이다.
이와 함께 종래기술에서는 대부분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 및 접합을 위한 접착제나 접합방법에 대해서만 제안하고 있을 뿐 복원용 석재의 성형을 위해서 현재는 지게차를 이용하여 석조 문화재와 복원용 석재를 일정 높이로 들어올린 후 복원용 석재를 석조 문화재의 결실면으로 왕복 이동되게 함으로써 석조 문화재의 결실면에 가까운 면이 복원용 석재에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복원용 석재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공구를 사용하여 숙련된 작업자에 의해서 면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석조 문화재와 복원용 석재는 지게차에 의해 일정 높이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상 유지가 불가능하며, 복원용 석재를 전후 이동 시 가공면과 석조 문화재의 결실면이 미세하게 어긋나기도 하면서 석조 문화재와 복원용 석재간 가공을 위한 정렬이 안정되지 못해 복원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451717호(2014.02.06.)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석조 문화재의 원석재를 회전 가능하게 일정 높이에서 수평되게 고정되도록 하고, 복원용 석재는 석조 문화재의 원석재와 동일 수평선상에 정확히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석재와 복원용 석재를 한번 정렬되도록 하면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가 있으므로 복원용 석재의 면가공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석조 문화재의 원석재와 복원용 석재의 수평도 맞춤을 보다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는, 고정 대차부재; 상기 고정 대차부재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판 부재; 상기 회전판 부재의 상부에서 복수의 위치에 안치되어 상부에 안치되는 석조 문화재의 원석재를 부분적으로 승강시켜 수평도를 맞추는 복수의 제1 승강 부재; 상기 제1 승강 부재들에 의해 안치되는 원석재를 상기 회전판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부목과 쐐기로 이루어지는 제1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대차부재의 일측에서 레일을 따라 수평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대차부재; 상기 이동 대차부재의 상부면에서 복수의 위치에 안치되어 상부에 안치되는 복원용 석재를 부분적으로 승강시켜 상기 원석재와 동일 수평선상에서 수평도를 맞추는 제2 승강 부재; 상기 제2 승강 부재에 의해 안치된 복원용 석재를 고정되도록 하는 부목과 쐐기로 이루어지는 제2 고정 부재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러한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를 이용한 얼라인방법은, 고정 대차부재에 구비되는 회전판 부재의 상부면에 복수의 제1 승강 부재들이 안치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1 승강 부재들의 상부로 원석재가 안치되도록 하는 단계; 제1 승강 부재들을 승강 구동시켜 수평계를 이용하여 원석재가 수평의 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계; 원석재의 하부로 회전판 부재와의 사이로 제1 고정 부재의 부목과 쐐기를 개입시켜 원석재가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대차부재의 상부면에 복수의 제2 승강 부재들이 안치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2 승강 부재들의 상부로 복원용 석재가 안치되도록 하는 단계; 제2 승강 부재들을 승강구동시켜 수평계를 이용하여 원석재와 동일한 높이와 동일 수평선상에 복원용 석재가 위치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복원용 석재의 하부로 제2 고정 부재의 부목과 쐐기를 개입시켜 복원용 석재가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회전판 부재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켜 원석재의 결실면이 복원용 석재의 일면과 상호 마주보도록 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로서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과 방법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해 석재 문화재의 원석재를 수평상태가 되도록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면서 이 원석재의 결실면과 마주보도록 복원용 석재가 레일을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이동 대차부재에서 원석재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이동 대차부재의 직선 왕복 이동에 의해 원석재의 결실면과 대향하도록 복원용 석재가 정밀 가공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석재와 복원용 석재가 동일 수평선상에서 고정되게 함으로써 이동 대차부재의 왕복 이동에 의해서도 동일한 정렬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장시간의 반복되는 면가공에 의해서도 정확하고 안정된 작업성을 제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를 예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를 통해 얼라인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에 의한 원석재의 얼라인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에 의해 원석재와 복원용 석재를 얼라인시킨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를 예시한 정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는 크게 고정 대차부재(10)와 회전판 부재(20)와 제1 승강 부재(30)와 제1 고정 부재(40)와 이동 대차부재(50)와 제2 승강 부재(60)와 제2 고정 부재(7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고정 대차부재(10)는 석조 문화재의 원석재가 안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정설비이다.
고정 대차부재(10)에는 회전 가능하게 회전판 부재(20)가 구비되도록 하며, 따라서 회전판 부재(20)는 고정 대차부재(10)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된다.
회전판 부재(20)의 회전은 별도의 회전구동수단(미도시)을 통해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할 수도 있으나, 간단히 인력에 의해 회전되게 할 수도 있으며, 다만 일정 각도로 회전시킨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회전판 부재(20)의 상부에는 복수의 제1 승강 부재(30)들이 구비되도록 하며, 제1 승강 부재(30)는 석조 문화재의 원석재를 일정 높이로 들어올리면서 수평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제1 승강 부재(30)로서 상부에 얹혀지는 중량물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잭이나 핸드유압펌프를 사용하도록 하며, 이때의 잭이나 핸드유압펌프는 수동 조작 또는 유압식의 작동되는 구성으로 구비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 승강 부재(30)는 복수 개로서 구비되도록 하되 회전판 부재(20)의 상부면으로 구비되도록 하여 회전판 부재(20)에 의해서 동시에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제1 고정 부재(40)는 다시 부목(41)과 쐐기(42)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제1 고정 부재(40)는 제1 승강 부재(30)들에 의해 일정 높이에서 지지되는 원석재를 하부에서 회전판 부재(20)와의 사이로 삽입되도록 하는 부목(41)과 이 부목(41)과 원석재 사이로 맞춤 삽입되도록 하는 쐐기(42)에 의해 원석재가 제1 승강 부재(30)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1 고정 부재(40)는 제1 승강 부재(30)에 의하여 수평상태가 되도록 하면서 일정 높이로 지지되는 상태 그대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 대차부재(50)는 고정 대차부재(10)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레일(51) 상부에 안치되어 레일(51)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동 대차부재(50)는 레일(51)에서 직선 이동만 가능하도록 구비되도록 하되 레일(51) 형성 방향에 대해 교차되는 방향으로의 유동은 방지되도록 한다.
특히 이동 대차부재(50)는 상부면이 고정 대차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판 부재(20)의 상부면과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동 대차부재(50)는 원석재가 얹혀지는 회전판 부재(20)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복원용 석재가 얹혀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복원용 석재는 이동 대차부재(50)에 직접 얹혀지지는 않고 회전판 부재(20)의 제1 승강 부재(30)와 동일한 구성인 복수의 제2 승강 부재(60)에 얹혀지게 된다.
제2 승강 부재(60)는 제1 승강 부재(30)와 같은 잭이나 유압펌프를 적용하며, 각각의 제2 승강 부재(60)들은 개별적으로 승강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고정 부재(70)는 제1 고정 부재(40)와 동일한 부목(71)과 쐐기(72)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제2 승강 부재(60)의 상부에 얹혀진 복원용 석재가 원석재와 동일하게 수평의 상태가 되도록 한 상태에서 더이상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고정수단이다.
제1 고정 부재(40)와 제2 고정 부재(70)는 원석재와 복원용 석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제1 승강 부재(30)와 제2 승강 부재(60)를 제거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고정 대차부재(10)와 레일(51)은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구성으로 구비되게 할 수도 있고, 이들 하부를 일정 높이의 지지물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이동 대차부재(50)는 레일(51)을 따라서 수동으로 이동이 가능하나 예시한 도면에서와 같이 자동 이송 수단(80)에 의해 손쉽게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자동 이송 수단(80)은 레일(51)의 고정 대차부재(10)측 일단과 그에 대응되는 타단으로 각각 와이어 가이드 롤러(81)가 구비되도록 하고, 이들 와이어 가이드 롤러(81)들에 동시에 걸쳐 감겨지는 와이어(82)의 일단들이 이동 대차부재(50)의 전후방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도록 하면서 일측의 와이어 가이드 롤러(81)는 모터(83)의 구동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의 자동 이송 수단(80)은 와이어 가이드 롤러(81)와 와이어(82) 연결 구조가 양 레일(51) 사이에서 한 쌍으로 구비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90은 고정 대차부재(10)와 레일(51)을 일정 높이에서 지지되도록 하는 베이스 프레임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에 의한 얼라인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석조 문화재의 결실된 부위를 복원하기 위하여 가공한 복원용 석재를 석조 문화재인 원석재와 정확히 정렬시키기 위한 것이다.
특히 원석재의 멸실면에 복원용 석재를 접촉과 분리를 반복하면서 복원용 석재를 면가공 시 위치 오차를 최소화함으로써 정확한 위치에서의 면가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우선 멸실면이 형성된 석조 문화재의 원석재와 이 원석재와 같은 재질의 복원용 석재가 각각 구비되도록 한다.
원석재와 복원용 석재는 그 크기에 따라 인력에 의해 이동시킬 수도 있겠으나 지게차 또는 크레인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를 통해 얼라인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에 의한 원석재의 얼라인상태를 예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에 의해 원석재와 복원용 석재를 얼라인시킨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원석재(Original Stone, OS)와 복원용 석재(Restore Stone, RS)의 정렬을 위해서는 이를 위한 준비 과정이 우선되어야 한다.
따라서, 고정 대차부재(10)의 회전판 부재(20)에는 먼저 상부면으로 수동식 또는 유압식의 잭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1 승강 부재(30)들이 안치되도록 한다.(1단계)
그리고 원석재(OS)는 인력 또는 지게차나 크레인을 이용하여 제1 승강 부재(30)들의 상부에 안치되도록 한다.(2단계)
제1 승강 부재(30)에 안치된 원석재(OS)는 수평계를 이용하여 제1 승강 부재(30)들을 각각 승강 구동시키면서 수평의 상태가 되도록 한다.(3단계)
원석재(OS)의 수평 정렬이 완료되면 원석재(OS)의 하부로 회전판 부재(20)와의 사이에 부목(41)과 쐐기(42)로 이루어지는 제1 고정 부재(40)를 맞춤 삽입시켜 원석재(OS)가 고정되도록 한다.(4단계)
이때 제1 고정 부재(40)의 부목(41)은 제1 승강 부재(30)들에 간섭되지 않는 원석재(OS)와 회전판 부재(20)의 사이로 복수 개가 삽입되도록 하며, 회전판 부재(20)에 얹혀진 부목(41)들은 상단면이 원석재(OS)와는 미세한 간극을 갖는 외경을 갖도록 하고, 부목(41) 상단면과 원석재(OS)와의 사이로 쐐기(42)를 강제 압입되도록 한다.
이렇게 제1 고정 부재(40)에 의해 원석재(OS)를 고정하게 되면 제1 승강 부재(30)는 그대로 유지시켜도 무방하나 제1 승강 부재(30)를 하강시켜 회전판 부재(20)로부터 제거할 수도 있다.
즉 제1 승강 부재(30)를 하강시키게 되면 제1 승강 부재(30)에는 원석재(OS)의 하중에서 자유로워지게 되고, 원석재(OS)는 제1 고정 부재(40)에 지지되는 상태가 되므로 제1 승강 부재(30)를 용이하게 회전판 부재(20)로부터 제거할 수가 있다.
원석재(OS)의 정렬이 이루어지고 나면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대차부재(50)의 상부면으로 복수의 제2 승강 부재(60)들이 안치되도록 한다.(5단계)
제2 승강 부재(60)들은 별도로 구비되게 할 수도 있으나, 회전판 부재(20)로부터 제거한 제1 승강 부재(30)를 재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승강 부재(60)들의 상부에는 원석재(OS)와 마찬가지로 인력 또는 지게차나 크레인을 이용하여 복원용 석재(RS)를 이송시켜 안치되도록 한다.(6단계)
제2 승강 부재(60)들에 걸쳐 안치되는 복원용 석재(RS)는 수평계를 이용해서 각각의 제2 승강 부재(60)들을 승강구동시켜 원석재(OS)와 동일한 높이에서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도록 한다.(7단계)
한편, 원석재(OS)와 복원용 석재(RS)는 제1 승강 부재(30)와 제2 승강 부재(60)로 이송 시 특히 지게차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파렛트와 같은 평판의 받침부재에 얹혀져서 이동시키게 되므로 제1 승강 부재(30)들과 제2 승강 부재(60)들의 상부에는 원석재(OS) 또는 복원용 석재(RS)가 얹혀진 받침부재가 안치되게 할 수도 있다.
제2 승강 부재(60)들에 안치된 복원용 석재(RS)는 그 하부로 부목(71)과 쐐기(72)로 이루어지는 제2 고정 부재(70)들을 맞춤 삽입되게 하여 복원용 석재(RS)가 제2 승강 부재(60)들과 함께 고정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8단계)
즉 제2 고정 부재(70)들은 제1 고정부재(40)와 마찬가지로 이동 대차부재(50)의 상부면으로 제2 승강 부재(60)들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면서 이동 대차부재(50)와 복원용 석재(RS) 사이로 복수 개의 부목(71)이 안치되도록 한 후 부목(71)의 상부면과 복원용 석재(RS) 사이의 간극으로 쐐기(72)를 강제 압입시키도록 함으로써 복원용 석재(RS)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고정 부재(70)들에 의해 복원용 석재(RS)가 고정되면 제2 승강 부재(60)들 또한 그대로 유지되게 할 수도 있으나 하강 구동에 의해 복원용 석재(RS)로부터 자유로운 상태가 되도록 하여 이동 대차부재(50)로부터 제거되게 할 수도 있다.
복원용 석재(RS)가 고정되면 원석재(OS)가 얹혀져 있는 회전판 부재(20)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켜 원석재(OS)의 결실면이 복원용 석재(RS)의 가공하고자 하는 일면과 상호 마주보도록 한 후 회전상태가 고정되도록 한다.(9단계)
이와 같이 원석재(OS)의 결실면이 복원용 석재(RS)와 대향하도록 정렬시키게 되면 복원용 석재(RS)가 고정되어 있는 이동 대차부재(50)를 레일(51)을 따라 전후진시키면서 원석재(OS)의 결실면에 마주보는 면을 수작업에 의해 면가공되도록 한다.
복원용 석재(RS)의 면가공은 정과 망치 및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많은 횟수를 수행하면서 복원용 석재(RS)를 레일(51)을 따라 왕복이동시켜 면맞춤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렇게 면가공한 복원용 석재(RS)의 가공면이 원석재(OS)의 결실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가공되어 긴밀한 면맞춤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홀 가공과 함께 금속보강재를 매입시킨 후 양면이 접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복원을 위해서는 원석재(OS)와 복원용 석재(RS)가 상호 정확하게 얼라인이 이루어져야 더욱 긴밀한 접착이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원석재(OS)와 복원용 석재(RS)를 정확하게 정렬시키게 되면 이동 대차부재(50)를 전후진시키면서 복원용 석재(RS)를 장시간 동안 반복해서 면가공을 하게 되더라도 이미 정렬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가 있으므로 정밀한 면가공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복원용 석재(RS)를 전후진시키더라도 정렬 상태가 전혀 흐트러지지 않게 되므로 원석재(OS)의 결실면에서의 밀착도가 보다 긴밀해지게 된다.
또한, 복원용 석재(RS)의 이동을 보다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가 있으므로 가공시간을 더욱 단축시키면서 복원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다.
10 : 고정 대차부재 20 : 회전판 부재
30 : 제1 승강 부재 40 : 제1 고정 부재
50 : 이동 대차부재 51 : 레일
60 : 제2 승강 부재 70 : 제2 고정 부재
80 : 자동 이송 수단 OS : 원석재
RS : 복원용 석재

Claims (9)

  1.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고정 대차부재;
    상기 고정 대차부재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판 부재;
    상기 회전판 부재의 상부에서 복수의 위치에 안치되면서 그 상부에 안치되는 석조 문화재의 원석재를 독립적으로 승강시켜 수평도를 맞추는 복수의 제1 승강 부재;
    상기 제1 승강 부재들에 의해 수평도를 맞춰 안치된 원석재를 상기 회전판에서 고정되도록 복수의 부목과 쐐기로 이루어지는 제1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대차부재의 일측에서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는 레일을 따라 수평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대차부재;
    상기 이동 대차부재의 상부면에서 복수의 위치에 안치되면서 그 상부에 안치되는 복원용 석재를 독립적으로 승강시켜 상기 원석재와 동일 수평선상에서 수평도를 맞추는 복수의 제2 승강 부재;
    상기 제2 승강 부재에 의해 안치된 복원용 석재를 상기 이동 대차부재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복수의 부목과 쐐기로 이루어지는 제2 고정 부재;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강 부재와 제2 승강 부재는 수동식 또는 유압식 잭으로 이루어지는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제1 승강 부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회전판 부재의 상부에 얹혀지도록 하는 복수 개의 부목과,
    상기 제1 승강 부재에 안치된 원석재와 상기 부목 사이에 강제 삽입되도록 하는 쐐기가 강제 삽입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제2 승강 부재에 간섭되지 않도록 이동 대차부재의 상부에 복수 개의 부목이 얹혀지도록 하고, 상기 제2 승강 부재에 안치된 복원용 석재와 상기 부목 사이에는 쐐기가 강제 삽입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대차부재는 레일의 상기 고정 대차부재측 일단과 그에 대응되는 타단으로 각각 와이어 가이드 롤러가 구비되도록 하고, 이들 와이어 가이드 롤러들에 동시에 걸쳐서 와이어가 감겨지도록 하며, 와이어 가이드 롤러들에 감겨진 와이어의 일단들은 상기 이동 대차부재의 전후방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도록 하면서 일측의 와이어 가이드 롤러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 이송 수단에 의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
  6.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서 일측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고정 대차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회전판 부재의 상부면에 복수의 제1 승강 부재들이 안치되도록 하는 단계;
    복수의 상기 제1 승강 부재들의 상부로 원석재가 안치되도록 하는 단계;
    제1 승강 부재들을 승강 구동시켜 수평계를 이용하여 원석재가 수평의 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계;
    원석재의 하부로 회전판 부재와의 사이로 제1 고정 부재의 부목과 쐐기를 개입시켜 원석재가 회전판 부재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고정 대차부재의 일측에서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대차부재의 상부면에 복수의 제2 승강 부재들이 안치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2 승강 부재들의 상부로 복원용 석재가 안치되도록 하는 단계;
    제2 승강 부재들을 승강구동시켜 수평계를 이용하여 원석재와 동일한 높이와 동일 수평선상에 복원용 석재가 위치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복원용 석재의 하부로 제2 고정 부재의 부목과 쐐기를 개입시켜 복원용 석재가 이동 대차부재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회전판 부재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켜 원석재의 결실면이 복원용 석재의 일면과 상호 마주보도록 하는 단계;
    로서 수행되는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 부재와 원석재 사이를 제1 고정 부재를 개입시켜 제1 고정 부재에 의해 원석재가 고정되도록 한 후 제1 승강 부재들은 하강시킨 후 회전판 부재로부터 제거되도록 하는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동 대차부재와 복원용 석재 사이를 제2 고정 부재를 개입시켜 제2 고정 부재에 의해 복원용 석재가 고정되도록 한 후 복원용 석재를 지지하고 있는 제2 승강 부재들은 하강시킨 후 이동 대차부재로부터 제거되도록 하는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원석재와 복원용 석재는 파렛트와 같은 평판의 받침부재에 적재되어 상기 제1 승강 부재와 제2 승강 부재에 얹혀지도록 하는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방법.
KR1020150008942A 2015-01-19 2015-01-19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 및 방법 KR101570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942A KR101570739B1 (ko) 2015-01-19 2015-01-19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942A KR101570739B1 (ko) 2015-01-19 2015-01-19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0739B1 true KR101570739B1 (ko) 2015-11-20

Family

ID=54844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942A KR101570739B1 (ko) 2015-01-19 2015-01-19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07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68901A (zh) * 2021-09-24 2021-11-19 广州市筑智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物框架结构梁施工的支撑构件
KR20220033135A (ko) * 2020-09-09 2022-03-16 최준현 문화재 파단면 재현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5682A (ja) * 2003-11-18 2005-06-09 Jfe Steel Kk 重量物搬送装置、重量物搬送方法、並びに重量物搬送装置のコンテナ内への配置方法及びコンテナ外への取り出し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5682A (ja) * 2003-11-18 2005-06-09 Jfe Steel Kk 重量物搬送装置、重量物搬送方法、並びに重量物搬送装置のコンテナ内への配置方法及びコンテナ外への取り出し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135A (ko) * 2020-09-09 2022-03-16 최준현 문화재 파단면 재현 시스템
KR102392080B1 (ko) * 2020-09-09 2022-04-28 최준현 문화재 파단면 재현 시스템
CN113668901A (zh) * 2021-09-24 2021-11-19 广州市筑智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物框架结构梁施工的支撑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383B1 (ko) 손상된 팔레트를 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118957B1 (ko) 도어 샌딩용 테이블 지그
KR101570739B1 (ko) 석조 문화재 복원용 얼라인장치 및 방법
KR101262836B1 (ko) 기판 비전 검사시스템
CN103503077B (zh) 用于修复位在容器或池的位于水下的壁区域中的受损部位的设备和方法
KR102108710B1 (ko) 합판 운반장치
CN104843494A (zh) 一种装载电子器件载板的篮具回收设备
KR102056706B1 (ko) 가드레일 설치 자동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드레일 설치방법
CN106185223A (zh) 一种输送线总装
JP4397716B2 (ja) 重量物の載置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20210022923A (ko) 세그먼트 자동 공급 및 이렉터 자동 조립시스템
CN103846672B (zh) 将齿条安装到标准节的方法及其工艺装备
CN110525863B (zh) 一种无人仓储物流货物自动化输送系统和方法
CN111496422A (zh) 叉车外门架焊接设备
CN210649242U (zh) 一种单梁起重机的端梁焊接工作台
CN102030193B (zh) 一种瓷砖上砖机
JP2019042918A (ja) 脆性材料基板の分断装置及びその分断方法
JP2005349560A (ja) 工作物搬送用移送ライン
KR102142305B1 (ko) 블럭 모듈 제작용 작업대
AU2016319392A1 (en) Split frame
CN204643182U (zh) 一种装载电子器件载板的篮具回收设备
CN210505357U (zh) 管道运输装置
CN110744733B (zh) 一种基于输送优化的plc内置八度角芯片的晶圆划片机
CN110696097A (zh) 一种木门生产用板材运转系统
JP2019190197A (ja) 杭打機の作業装置着脱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