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297Y1 - 석재이송장치용 집게의 벌림장치 - Google Patents

석재이송장치용 집게의 벌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297Y1
KR200497297Y1 KR2020230000521U KR20230000521U KR200497297Y1 KR 200497297 Y1 KR200497297 Y1 KR 200497297Y1 KR 2020230000521 U KR2020230000521 U KR 2020230000521U KR 20230000521 U KR20230000521 U KR 20230000521U KR 200497297 Y1 KR200497297 Y1 KR 2004972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s
stone
lifting plate
bol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05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효
Original Assignee
박영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효 filed Critical 박영효
Priority to KR20202300005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2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2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2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 B66C1/445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motor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2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ctuated by lift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석재이송장치용 집게의 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석재를 집을 수 있는 양측 조오가 부착된 양측 집게판의 교차지점인 중간부를 하측볼트에 의해 유동용이토록 결합시키고 양측 집게판의 상측부를 양측 링크편의 하측부와 양측 링크볼트로 유동용이토록 결합시키며 양측 링크편의 상측부를 겹쳐 상측볼트에 의해 유동용이토록 연결대에 결합시키고 있는 석재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 후측부로 결합되는 안내봉을 구비한 다음 안내봉에 결합되는 안내승강공을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있는 승강판에 의해 안내봉의 안내를 받아 상,하측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고 승강판의 하부로 형성되어 하측부를 하측볼트에 유동용이토록 결합되는 연결편에 의해 승강판의 승강과 동시에 하측볼트도 승강시켜 집게판들을 벌리거나 오무릴수 있도록 하며 승강판의 후면에 모터를 장착하여 동력을 발생시켜 공급하도록 한 다음 승강판의 정면에 장착된 기어박스에 의해 모터의 동력을 적정한 회전수로 변환시켜 작동축으로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동축에 결합되는 권취풀리가 회전 및 역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권취풀리에 하측부를 고정핀으로 고정시키고 있고 상측부는 상측볼트에 링크편들과 함께 고정되는 체인이 권취풀리의 회전시에는 감기고 역회전시에는 풀릴 수 있도록 된 석재이송장치용 집게의 벌림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석재이송장치용 집게의 벌림장치{STONE FOR TONGS DEVICE}
본 고안은 석재이송장치용 집게의 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석재를 집을 수 있는 양측 조오가 부착된 양측 집게판의 교차지점인 중간부를 하측볼트에 의해 유동용이토록 결합시키고 양측 집게판의 상측부를 양측 링크편의 하측부와 양측 링크볼트로 유동용이토록 결합시키며 양측 링크편의 상측부를 겹쳐 상측볼트에 의해 유동용이토록 연결대에 결합시키고 있는 석재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 후측부로 결합되는 안내봉을 구비한 다음 안내봉에 결합되는 안내승강공을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있는 승강판에 의해 안내봉의 안내를 받아 상,하측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고 승강판의 하부로 형성되어 하측부를 하측볼트에 유동용이토록 결합되는 연결편에 의해 승강판의 승강과 동시에 하측볼트도 승강시켜 집게판들을 벌리거나 오무릴수 있도록 하며 승강판의 후면에 모터를 장착하여 동력을 발생시켜 공급하도록 한 다음 승강판의 정면에 장착된 기어박스에 의해 모터의 동력을 적정한 회전수로 변환시켜 작동축으로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동축에 결합되는 권취풀리가 회전 및 역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권취풀리에 하측부를 고정핀으로 고정시키고 있고 상측부는 상측볼트에 링크편들과 함께 고정되는 체인이 권취풀리의 회전시에는 감기고 역회전시에는 풀릴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석재가공공장이나 가공된 석재를 집게판으로 집어 다른 장소로 운반시 석재의 폭에 맞추어 작업자가 양측의 집게판을 양손으로 잡고 벌린후 석재의 폭에 맞추어 위치시키는 불필요한 작업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양측 집게판이 벌어지면서 석재의 폭에 근사치로 접근하여 석재를 집을 수 있는 것이므로 향상된 석재운반효율을 얻을 수 있고 집게판들을 벌려줄 작업자가 필요 없는 관계로 집게를 벌리는 도중 작업자에게 닥칠치도 모르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석재운반작업을 할 수 있으며 석재를 집어 운반한 다음 석재를 정해진 위치에 놓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으로 시행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향상된 작업능률도 얻을 수 있는 석재이송장치용 집게의 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은, 선 출원되어 공개된 공개특허번호 제10-2018-0065792호 "회전식 석재 이송장치"가 있다.
상기의 종래 기술은,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제1 결속홀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중간부와, 상기 중간부의 일단에서 상부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인양기의 와이어에 연결되는 일단부와, 상기 중간부의 타단에서 하부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석재(S)의 일측벽을 지지하는 타단부를 포함하는 제1 집게 부재; 상기 제1 집게 부재와 대칭되면서 서로 교차되되,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제2 결속홀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중간부와, 상기 중간부의 일단에서 상부 수직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인양기의 와이어에 연결되는 일단부와, 상기 중간부의 타단에서 하부 수직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석재(S)의 타측벽을 지지하는 타단부를 포함하는 제2집게 부재; 상기 제1 및 제2 집게 부재의 교차 지점에서 중첩된 상기 제1 결속홀과 상기 제2 결속홀에 상호 결속되는 결속 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집게 부재의 타단부에 마주보게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당김시 상기 타단부가 오므라지면서 석재(S)의 측벽 대향면을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의 종래 기술은, 경계석, 건축석 및 묘석 등의 석재 6면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석재의 전후면 가공 후 좌우면을 가공할 때 지게차에 의해 이동시키지 않고 회전에 의해 석재의 방향을 전환시킴으로써, 공정 감축에 의한 공정 개선, 작업자의 안전성 확보, 작업 시간 절약에 의한 매출 증대, 고품질 제품 생산이 가능하며, 석재의 종류 및 형상에 따라 가압 부재의 교체가 가능하다는 취지의 발명인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 역시, 상기의 석재(S)를 가압부재(15)에 의해 집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집게의 타단부(116)(126)들을 양손으로 잡고 벌린후 석재(S)의 폭에 맞추어 위치시키는 불필요한 작업이 필요하게 되므로 석재운반효율의 저하와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우려 및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등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석재가공공장이나 가공된 석재를 집게판으로 집어 다른 장소로 운반시 석재의 폭에 맞추어 작업자가 양측의 집게판을 양손으로 잡고 벌린후 석재의 폭에 맞추어 위치시키는 불필요한 작업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양측 집게판이 벌어지면서 석재의 폭에 근사치로 접근하여 석재를 집을 수 있는 것이므로 향상된 석재운반효율을 얻을 수 있고 집게판들을 벌려줄 작업자가 필요 없는 관계로 집게를 벌리는 도중 작업자에게 닥칠치도 모르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석재운반작업을 할 수 있으며 석재를 집어 운반한 다음 석재를 정해진 위치에 놓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으로 시행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향상된 작업능률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목적들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석재를 집을 수 있는 양측 조오가 부착된 양측 집게판의 교차지점인 중간부를 하측볼트에 의해 유동용이토록 결합시키고 양측 집게판의 상측부를 양측 링크편의 하측부와 양측 링크볼트로 유동용이토록 결합시키며 양측 링크편의 상측부를 겹쳐 상측볼트에 의해 유동용이토록 연결대에 결합시키고 있는 석재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 후측부로 결합되는 안내봉을 구비한 다음 안내봉에 결합되는 안내승강공을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있는 승강판에 의해 안내봉의 안내를 받아 상,하측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고 승강판의 하부로 형성되어 하측부를 하측볼트에 유동용이토록 결합되는 연결편에 의해 승강판의 승강과 동시에 하측볼트도 승강시켜 집게판들을 벌리거나 오무릴수 있도록 하며 승강판의 후면에 모터를 장착하여 동력을 발생시켜 공급하도록 한 다음 승강판의 정면에 장착된 기어박스에 의해 모터의 동력을 적정한 회전수로 변환시켜 작동축으로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동축에 결합되는 권취풀리가 회전 및 역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권취풀리에 하측부를 고정핀으로 고정시키고 있고 상측부는 상측볼트에 링크편들과 함께 고정되는 체인이 권취풀리의 회전시에는 감기고 역회전시에는 풀릴 수 있도록 하면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석재가공공장이나 가공된 석재를 집게판으로 집어 다른 장소로 운반시 석재의 폭에 맞추어 작업자가 양측의 집게판을 양손으로 잡고 벌린후 석재의 폭에 맞추어 위치시키는 불필요한 작업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양측 집게판이 벌어지면서 석재의 폭에 근사치로 접근하여 석재를 집을 수 있는 것이므로 향상된 석재운반효율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집게판들을 벌려줄 작업자가 필요 없는 관계로 집게를 벌리는 도중 작업자에게 닥칠치도 모르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석재운반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석재를 집어 운반한 다음 석재를 정해진 위치에 놓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으로 시행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향상된 작업능률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 석재이송장치용 집게의 벌림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석재이송장치용 집게의 벌림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 석재이송장치용 집게의 벌림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작용도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석재(142)를 집을 수 있는 양측 조오(102)가 부착된 양측 집게판(101)의 교차지점인 중간부를 하측볼트(131)에 의해 유동용이토록 결합시키고 양측 집게판 (101)의 상측부를 양측 링크편(111)의 하측부와 양측 링크볼트(132)로 유동용이토록 결합시키며 양측 링크편(111)의 상측부를 겹쳐 상측볼트(133)에 의해 유동용이토록 연결대(112)에 결합시키고 있는 석재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게판(101)들을 석재(142)의 폭에 근사치로 맞출 수 있도록 자동으로 벌림폭을 조정하기 위해 연결대(112) 후측부로 결합되는 안내봉(113)과,
상기 안내봉(113)의 안내를 받아 상,하측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안내봉(113)에 결합되는 안내승강공(122)을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있는 승강판(121)과,
상기 승강판(121)의 승강과 동시에 하측볼트(131)도 승강시켜 집게판(101)들을 벌리거나 오무릴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승강판(121)의 하부로 형성되어 하측부를 하측볼트(131)에 유동용이토록 결합되는 연결편(129)과,
상기 승강판(121)의 후면에 장착되어 동력을 발생시켜 공급하는 모터(123)와,
상기 모터(123)의 동력을 적정한 회전수로 변환시켜 작동축(125)으로 출력시키는 승강판(121)의 정면에 장착된 기어박스(124)와,
상기 기어박스(124)의 작동축(125)으로 결합되어 회전 및 역회전되는 권취풀리(126)와,
상기 권취풀리(126)의 회전시에는 감기고 역회전시에는 풀릴 수 있도록 하측부를 권취풀리(126)에 고정핀(127)으로 고정시키고 있고 상측부는 상측볼트(133)에 링크편(111)들과 함께 고정되는 체인(128)과,
상기 양측의 집게판(101)들에 의해 집혀진 석재(142)를 지게차나 포클레인의 포크(141)에 의해 다른 장소로 운반이 용이하도록 연결대(112)의 상측부로 결합되는 지지대(114) 양측으로 부착되는 받침대(115)들을 구비한 구성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석재이송장치용 집게의 벌림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석재이송장치용 집게의 벌림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벌림장치는 지게차 및 포크레인등의 포크(141)에 얹혀진 상태로 작동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지게차 및 포크레인등의 포크(141)를 본 고안 연결대(112)의 상측으로 결합되어 있는 지지대(114) 양측의 받침대(115) 하측면과 접촉하도록 삽입한 다음 받침대(115)를 들고 운반할 석재(142)가 있는 곳으로 이동을 한다.
그리고, 상기 석재(142)의 상공에 양측의 집게판(101)들을 위치시킨 다음 지게차 및 포크레인의 운전석에 별도로 설치되는 콘트롤박스의 벌림보턴(도시안됨)을 누르면 승강판(121)의 후면에 장착된 모터(123)가 작동되면서 승강판(121)의 전면에 장착된 기어박스(124)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기어박스(124)의 작동에 의해 기어박스(124)에 연결된 작동축(125)은 정해진 회전수로 회전을 하면서 작동축(125)에 결합된 권취풀리(126)를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권취풀리(126)의 회전에 의해 권취풀리(126)에 하측부를 고정핀 (127)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측부는 상측볼트(133)에 고정되어 있는 체인(128)의 하측부가 권취풀리(126)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으로 권취되면서 권취풀리(126), 기어박스(124), 승강판(121), 모터(123)들을 상측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판(121)의 상측이동에 의해 승강판(121)의 하측부로 형성된 연결편(129)이 양측 집게판(101)을 유동용이토록 연결시키고 있는 하측볼트 (131)에 연결된 관계로 하측볼트(131) 및 양측 집게판(101)들이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도 3에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무려져 있던 상태의 양측 집게판(101)들이 펴지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양측 집게판(101)의 상측부로 링크볼트(132)에 하측부를 유동용이토록 결합시키고 있는 링크편(111)들도 연결대(112) 하측부에 상측부를 상측볼트 (133)에 의해 유동용이토록 결합시키고 있는 관계로 상측볼트(133)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오무려지는 상태가 되고 승강판(121) 상측부로 형성된 안내승강공(122)은 연결대(112) 후측면으로 형성된 안내봉(113)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측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펴지고 있는 양측 집게판(101)의 하측부에 부착된 양측 조오 (102)들의 간격을 운반하고자 하는 석재(142)의 폭에 근사치로 맞추어지면 콘트롤박스의 정지보턴(도시안됨)을 누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콘트롤박스의 정지보턴을 누르면 모터(123)로 공급되던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기 때문에 체인(128)을 권취하고 있던 권취풀리(126)가 자중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고 이에따라, 기어박스(124), 승강판(121),모터(123) 그리고 링크편(111),하측볼트(131),양측 집게판(101)들이 모두 자중에 의해 하강을 하면서 양측 집게판(101)에 부착된 조오(102)들이 석재(142)의 양측면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지를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게차 및 포크레인의 포크(141)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연결대(112)의 하측부로 결합되어 있는 모든 구성품의 자중이 양측 집게판(101)들의 조오(102)들에 집중되기 때문에 조오(102)들에 의해 석재(142) 양측면을 견고하게 압지한 상태로 운반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석재(142)를 원하는 장소에 운반을 완료한 다음에는 다시 지게차 및 포크레인 운전석에 설치된 콘트롤박스의 벌림보턴을 누르면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모터(123)가 가동되면서 양측 집게판(101)들을 벌려주기 때문에 집게판 (101)들의 조오(102)들을 석재(142)로 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다음 운반 작업에 임할 수 있는 것이다.
101-집게판 102-조오
111-링크편 112-연결대
113-안내봉 114-지지대
115-받침대 121-승강판
122-안내승강공 123-모터
124-기어박스 125-작동축
126-권취풀리 127-고정핀
128-체인 129-연결편
131-하측볼트 132-링크볼트
133-상측볼트 141-포크
142-석재

Claims (3)

  1. 석재(142)를 집을 수 있는 양측 조오(102)가 부착된 양측 집게판(101)의 교차지점인 중간부를 하측볼트(131)에 의해 유동용이토록 결합시키고 양측 집게판 (101)의 상측부를 양측 링크편(111)의 하측부와 양측 링크볼트(132)로 유동용이토록 결합시키며 양측 링크편(111)의 상측부를 겹쳐 상측볼트(133)에 의해 유동용이토록 연결대(112)에 결합시키고 있는 석재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게판(101)들을 석재(142)의 폭에 근사치로 맞출 수 있도록 자동으로 벌림폭을 조정하기 위해 연결대(112) 후측부로 결합되는 안내봉(113)과,
    상기 안내봉(113)의 안내를 받아 상,하측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안내봉(113)에 결합되는 안내승강공(122)을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있는 승강판(121)과,
    상기 승강판(121)의 승강과 동시에 하측볼트(131)도 승강시켜 집게판(101)들을 벌리거나 오무릴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승강판(121)의 하부로 형성되어 하측부를 하측볼트(131)에 유동용이토록 결합되는 연결편(129)과,
    상기 승강판(121)의 후면에 장착되어 동력을 발생시켜 공급하는 모터(123)와,
    상기 모터(123)의 동력을 적정한 회전수로 변환시켜 작동축(125)으로 출력시키는 승강판(121)의 정면에 장착된 기어박스(124)와,
    상기 기어박스(124)의 작동축(125)으로 결합되어 회전 및 역회전되는 권취풀리(126)와,
    상기 권취풀리(126)의 회전시에는 감기고 역회전시에는 풀릴 수 있도록 하측부를 권취풀리(126)에 고정핀(127)으로 고정시키고 있고 상측부는 상측볼트(133)에 링크편(111)들과 함께 고정되는 체인(128)과,
    상기 양측의 집게판(101)들에 의해 집혀진 석재(142)를 지게차나 포클레인의 포크(141)에 의해 다른 장소로 운반이 용이하도록 연결대(112)의 상측부로 결합되는 지지대(114) 양측으로 부착되는 받침대(115)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이송장치용 집게의 벌림장치.
  2. 삭제
  3. 삭제
KR2020230000521U 2023-03-17 2023-03-17 석재이송장치용 집게의 벌림장치 KR2004972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521U KR200497297Y1 (ko) 2023-03-17 2023-03-17 석재이송장치용 집게의 벌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521U KR200497297Y1 (ko) 2023-03-17 2023-03-17 석재이송장치용 집게의 벌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297Y1 true KR200497297Y1 (ko) 2023-09-25

Family

ID=88190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0521U KR200497297Y1 (ko) 2023-03-17 2023-03-17 석재이송장치용 집게의 벌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29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3295Y2 (ja) * 1988-05-12 1997-04-23 株式会社三共トレーディング 吊り上げ挾持具における挾持カム
JP2000355482A (ja) * 1999-06-14 2000-12-26 Toho Titanium Co Ltd 掴み力補足装置を備えたト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3295Y2 (ja) * 1988-05-12 1997-04-23 株式会社三共トレーディング 吊り上げ挾持具における挾持カム
JP2000355482A (ja) * 1999-06-14 2000-12-26 Toho Titanium Co Ltd 掴み力補足装置を備えたトング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710B1 (ko) 합판 운반장치
KR102067043B1 (ko) 벽돌운반장치
CN112794058A (zh) 一种可翻转板状物料的码垛机
KR200497297Y1 (ko) 석재이송장치용 집게의 벌림장치
KR200474265Y1 (ko) 이동식 맨홀커버 인양장치
CN206928916U (zh) 码垛管柱机械手
KR102225987B1 (ko) 원단 이송장치
CN206172527U (zh) 多工位点焊码垛机器人系统
KR101986095B1 (ko) 벽돌운반장치
JP2899146B2 (ja) 成形パネルの仕分装置
CN214733828U (zh) 起吊装置
KR20160149892A (ko) 경계석 집게장치
CN205087856U (zh) 一种自动码砖机托板吊运装置
JP4808015B2 (ja) 電動揚重装置
CN114906780A (zh) 一种井盖迁移装置
CN111825004A (zh) 机械起升式工程机械转移装置
CN220351507U (zh) 一种pc钢棒转运吊具
CN209797312U (zh) 一种室内吊运机
CN215711130U (zh) 一种用于吊运石板的吊具
CN206033083U (zh) 一种纸箱厂成品吊装设备
CN215101528U (zh) 一种干式变压器的吊运装置
JPH11200368A (ja) 杭の搬送機構および同方法
CN217458492U (zh) 一种抓斗
CN211282928U (zh) 保温模版码垛机
CN213109369U (zh) 一种土木工程用施工工具运输升降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