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9743A - 리프트 장치용 데크 - Google Patents

리프트 장치용 데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9743A
KR20220069743A KR1020200157173A KR20200157173A KR20220069743A KR 20220069743 A KR20220069743 A KR 20220069743A KR 1020200157173 A KR1020200157173 A KR 1020200157173A KR 20200157173 A KR20200157173 A KR 20200157173A KR 20220069743 A KR20220069743 A KR 20220069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pad
deck
base
lift device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상환
장승규
진재협
문정현
Original Assignee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57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9743A/ko
Publication of KR20220069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97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65G7/04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75Bra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3Heav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용 데크는, 적재물이 수평하게 적재되는 적재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적재물을 싣고 내릴 때 상기 적재물이 미끄러질 수 있도록 상기 적재물의 하역방향을 따라 일렬로 나열되어 회전될 수 있는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들과, 상기 베이스 롤러의 축방향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들을 일체로 결속하며 각각의 베이스 롤러를 회전 가능토록 지지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들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할 수 있는 제동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용 데크를 이용하면, 적재물을 편리하게 하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리프트 장치용 데크{Deck for lif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금형 운반 등이 편리하도록 적재물을 들어 올릴 수 있는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게가 많이 나가는 금형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해 유압력 등에 의해 작용되는 리프트가 많이 이용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7043호(등록일자;2020년2월11일)에는 '벽돌운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선행특허를 살펴보면, 집게장치에 의해 벽돌과 같은 중량의 물체를 파지하여 유압실린더에 의해 상측으로 올린 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유압력 등에 의해 구동되는 리프트 장치는 금형과 같은 적재물의 적재시 작업자들이 직접 적재물을 들어 올린 후 안쪽까지 깊숙히 밀어서 집게장치 등의 데크에 적재하거나 크레인과 같은 별도 기구를 사용해야만 데크에 적재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7043호(등록일자;2020년2월11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적재물을 쉽게 안쪽까지 깊숙히 밀어서 적재할 수 있는 리프트 장치용 데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용 데크는 적재물이 수평하게 적재되는 적재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적재물을 싣고 내릴 때 상기 적재물이 미끄러질 수 있도록 상기 적재물의 하역방향을 따라 일렬로 나열되어 회전될 수 있는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들과; 상기 베이스 롤러의 축방향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들을 일체로 결속하며 각각의 베이스 롤러를 회전 가능토록 지지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들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할 수 있는 제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동부는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들에 밀착되어 마찰을 가하는 마찰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찰패드는 제동시 상기 좌,우측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들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마찰패드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쐐기형상일 수 있다.
상기 마찰패드와 마찰되는 베이스 롤러의 끝단면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마찰패드와 맞접될 수 있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패드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하 회동 가능토록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동부는 상기 마찰패드를 상하 회동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동부는, 상기 프레임에 좌우 이동 가능토록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과 베이스 롤러 사이에 개재된 마찰패드에 끼워질 수 있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을 상기 마찰패드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동부는 상기 마찰패드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마찰패드가 상하 이동 가능토록 결합된 유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들에 의해 형성되는 적재부 전방에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들을 향해 오르막 경사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전후 일렬로 배열되며 각각 전후 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는 서브 롤러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용 데크는 금형 등의 적재물을 싣고 내릴 때, 적재물의 전후 이동에 따라 베이스 롤러들이 적재물의 하역방향으로 함께 회전되기 때문에 적재물이 쉽게 하역될 수 있고, 적재물의 적재 후에는 제동부에 의해 베이스 롤러들의 회전이 구속되어 적재물이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용 데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2와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용 데크의 단면도,
도 4는 도 2와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용 데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의 전후방향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용 데크는, 그 위에 금형 등의 적재물이 적재되며 유압력 등에 의해 승하강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10)들과, 한 쌍의 프레임(20)과, 제동부(3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10)들은 그 위에 적재물이 수평하게 적재될 수 있는 일정 면적의 적재영역을 형성한다. 즉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10)들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동일한 높이 선상에 일렬로 나열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10)들은 각각 회전 가능한 범위 내에서 좁은 간격으로 촘촘히 나열될 수 이다. 나아가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10)들은 적재물을 싣고 내릴 때 적재물이 미끄러지면서 하역될 수 있도록 적재물의 하역방향을 따라 일렬로 나열되어 회전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10)들은 적재물의 하역방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일렬로 나열되며, 각각 좌우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좌우방향을 축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 쌍의 프레임(20)은 각각의 베이스 롤러(10)를 회전 가능토록 지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 롤러(10)의 축방향 양측에 각각 위치된다. 예컨대 각 베이스 롤러(10)의 회전축(12) 일부가 프레임(20)에 고정되고 나머지 부분이 베이스 롤러(10)에 상대 회전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즉 프레임(20)에는 회전축(12)의 일부가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고정되는 축고정홀(20a)이 형성되며, 베이스 롤러(10)의 좌,우 양측단에는 각각 회전축(12)의 나머지 부분이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축삽입홀(1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은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10)들을 일체로 결속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레임(20)은 대략 직사각 블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동부(30)는 적재물의 하역작업시에는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10)들이 회전될 수 있게 하고, 적재물의 하역 작업이 끝나면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10)들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제동부(30)는 마찰력에 의해 제동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10)들에 밀착되어 마찰을 가하는 마찰패드(32)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패드(32)는 제동시 프레임(20)과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10)들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찰패드(32)는 베이스 롤러(10)의 소재 등을 고려하여 마찰력이 충분히 발생할 수 있도록 소재가 선택될 수 있다. 마찰패드(32)는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10)들을 일체로 구속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마찰패드(32)는 한 쌍의 프레임(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10)들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롤러(10)들의 좌,우측 양쪽에 모두 구성될 수 있다. 마찰패드(32)는 좌,우측 프레임(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하 회동 가능토록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마찰패드(32)의 후방 끝단이 프레임(20)에 힌지핀(미도시)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마찰패드(32)의 힌지결합부분은 프레임(20)을 향해 절곡된 구조이며, 프레임(20)의 안쪽 면에는 마찰패드(32)의 힌지결합부분이 위치될 수 있도록 파인 홈(20b)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찰패드(32)의 하측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쐐기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찰패드(32)가 프레임(20)과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10)들 사이 틈새로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마찰패드(32)의 상면에는 마찰패드(32)를 수동으로 상하 회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동부(30)는 마찰패드(32)를 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상하 회동시키는 모터(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34)는 프레임(20)의 바깥쪽 후방에 설치되며, 마찰패드(32)의 힌지핀과 결합되어 마찰패드(32)를 상하 회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찰패드(32)가 모터(34)의 구동력에 의해 보다 쉽게 상하 회동될 수 있으며, 모터(34)가 구동 정지되면 상하 회동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용 데크에 대한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적재물의 하역 작업시에는 모터(34)를 구동하여 마찰패드(32)를 상측으로 올려 놓는다. 따라서 베이스 롤러(10)들이 자유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적재물을 싣거나 내릴 때 적재물의 하역방향으로 베이스 롤러(10)가 함께 회전될 수 있어 적재물이 원활하게 베이스 롤러(10)들 위를 미끄러지면서 쉽게 이동될 수 있다.
하역 작업이 완료되면, 모터(34)를 구동하여 마찰패드(32)를 하향 이동시켜 프레임(20)과 베이스 롤러(10) 사이에 개재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앞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용 데크에 있어서, 마찰패드(100)는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방향으로 베이스 롤러(110)와 마찰되는 면이 경사면(100a)으로 형성되며, 아울러 마찰패드(100)와 마찰되는 베이스 롤러(110)의 끝단면은 적어도 일부가 마찰패드(100)의 경사면(100a)과 맞접될 수 있도록 마찰패드(100)의 경사면(100a)에 대응하여 경사면(110a)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마찰패드(100)와 베이스 롤러(110) 간 마찰력이 보다 강하게 작용될 수 있다. 마찰패드(100)는 베이스 롤러(110)를 중심으로 상하 양측에 각각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동부는, 마찰패드(100)에 의한 제동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마찰패드(100)의 상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1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20)는 프레임(112)에 결합된 상태에서 프레임(112)에 좌우 이동 가능토록 결합되어 프레임(112)과 베이스 롤러(110) 사이에 개재된 마찰패드(100)의 고정홈(100b)에 끼워질 수 있는 고정핀(122)과, 고정핀(122)을 마찰패드(100)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20)는 프레임(112)에 좌우로 관통 형성된 스토퍼 홀(112a)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핀(122)을 프레임(112) 바깥쪽으로 당겨놓고 있으면 마찰패드(100)가 고정핀(122)에 간섭되지 않고 하향 회동될 수 있다. 마찰패드(100)의 하향 회동 후에 고정핀(122)이 스프링(124)의 힘을 도움받아 프레임(112) 안쪽으로 이동하여 마찰패드(100)의 고정홈(100b)에 끼워지면 마찰패드(100)의 회동이 제한될 수 있어 마찰패드(100)에 의한 제동력이 보다 견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용 데크에 있어서, 제동부(200)는 마찰패드(202)와, 유압실린더(2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찰패드(202)는 프레임(210)과 베이스 롤러(220) 사이 간격에서 유압실린더(204)에 의해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204)는 한 쌍의 프레임(2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마찰패드(202)가 상하 이동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204)의 유압력 공급에 의해 마찰패드(202)가 하향 이동하여 프레임(210)과 베이스 롤러(220)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베이스 롤러(220)의 회전이 구속되고, 유압실린더(204)의 유압력 해제에 의해 마찰패드(202)가 상향 이동하여 프레임(210)과 베이스 롤러(220) 사이로부터 빠져 나와 베이스 롤러(220)가 자유 회전 가능해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장치용 데크는, 복수개의 서브 롤러(300)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서브 롤러(300)들은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310)들에 의해 형성되는 적재부 전방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310)들을 향해 오르막 경사로를 형성한다. 즉 복수개의 서브 롤러(300)들은 하단이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310)들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며, 전후방향으로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310)들을 향해 갈수록 크기가 점차 커진다. 복수개의 서브 롤러(300)들은 적재물(320)의 하역방향으로 자유 회전 가능토록 전후 일렬로 배열되며 각각 전후 회전 가능토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적재물(320)을 싣을 때, 적재물(320)을 살짝만 들어 올려 복수개의 서브 롤러(300)들 위에 올려 놓으면 그 다음부터는 쉽게 적재물(320)을 밀어 올려 적재할 수 있다. 적재물(320)을 내릴 때에는 적재물(320)을 복수개의 서브 롤러(300)들을 따라 밀고 내려가면서 쉽게 내릴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서브 롤러(300)들은 제동부에 의해 제동될 수도 있지만, 적재물(320)의 적재영역이 아니므로 제동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베이스 롤러 12; 회전축
20; 프레임 30; 제동부
32; 마찰패드 34; 모터

Claims (7)

  1. 적재물이 수평하게 적재되는 적재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적재물을 싣고 내릴 때 상기 적재물이 미끄러질 수 있도록 상기 적재물의 하역방향을 따라 일렬로 나열되어 회전될 수 있는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들과;
    상기 베이스 롤러의 축방향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들을 일체로 결속하며 각각의 베이스 롤러를 회전 가능토록 지지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들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구속할 수 있는 제동부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용 데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들에 밀착되어 마찰을 가하는 마찰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용 데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찰패드는 제동시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복수개의 베이스 롤러들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용 데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마찰패드는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하 회동 가능토록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용 데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마찰패드를 상하 회동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용 데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프레임에 좌우 이동 가능토록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과 베이스 롤러 사이에 개재된 마찰패드에 끼워질 수 있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을 상기 마찰패드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용 데크.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마찰패드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측 또는 하측에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마찰패드가 상하 이동 가능토록 결합된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장치용 데크.
KR1020200157173A 2020-11-20 2020-11-20 리프트 장치용 데크 KR202200697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173A KR20220069743A (ko) 2020-11-20 2020-11-20 리프트 장치용 데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173A KR20220069743A (ko) 2020-11-20 2020-11-20 리프트 장치용 데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9743A true KR20220069743A (ko) 2022-05-27

Family

ID=81791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173A KR20220069743A (ko) 2020-11-20 2020-11-20 리프트 장치용 데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974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043B1 (ko) 2019-05-16 2020-02-11 이장섭 벽돌운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043B1 (ko) 2019-05-16 2020-02-11 이장섭 벽돌운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53284B2 (ja) 輸送用キャリッジ
KR19980703116A (ko) 슬래브, 패널 또는 시트 재료를 위한 리프팅 장치
RU2748932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замены грузовых единиц
KR20220069743A (ko) 리프트 장치용 데크
FR3028280A1 (fr) Pietement roulant pour un mat telescopique d’un appareil de levage de plaques, appareil muni d’un tel pietement, et procede de mise en œuvre
CN109534201B (zh) 一种卷扬机
CN112642878A (zh) 一种钢卷放卷机
JP2554843Y2 (ja) 昇降荷台の支持装置
KR101393739B1 (ko) 중량물 회전장치
JP5574373B2 (ja) 荷受台昇降装置
JP4647818B2 (ja) 床上貨物運搬装置
JP2003341411A (ja) 貨物車両の荷受台昇降装置
JPS61174934A (ja) 回転ドラムの挾持・起倒装置
KR102527663B1 (ko) 트레일러의 코일 적재용 지지대
JPH01158990A (ja) 舞台床面傾斜装置
CN111606182B (zh) 一种用于房屋建筑施工的安全升降机
CN109677938B (zh) 一种混凝土砌块码垛系统
JPH081271Y2 (ja) 運搬用昇降移動装置
JPH045419Y2 (ko)
JP2869952B2 (ja) 昇降荷受け部を有する台車
JPH0967089A (ja) カセット移動台車における昇降装置
JP2585136B2 (ja) 昇降荷受け部を有する荷取り扱い装置
JP2022150674A (ja) ワーク移載装置及びワーク加熱成形装置
JPH0534452Y2 (ko)
FR3041949B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preparation de receptacle e charge par chargement en charges dudit recepta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