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958A - 말뚝 취출장치 - Google Patents

말뚝 취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958A
KR20180000958A KR1020160079339A KR20160079339A KR20180000958A KR 20180000958 A KR20180000958 A KR 20180000958A KR 1020160079339 A KR1020160079339 A KR 1020160079339A KR 20160079339 A KR20160079339 A KR 20160079339A KR 20180000958 A KR20180000958 A KR 20180000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weight
groove
support shaft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9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원
류재홍
Original Assignee
정도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도야 filed Critical 정도야
Priority to KR1020160079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958A/ko
Publication of KR20180000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9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 E02D9/02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by withdra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oth placing and remov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or mould-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말뚝 취출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말뚝 취출장치는 부품별 간단한 분해조립으로 휴대가 간편하면서 펜스 지지대, 농작물 지지대, 온실 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중에 박힌 다양한 직경을 가진 말뚝을 단일의 장치로 취출가능한 범용성이 제공되고, 소모품인 패드부의 양면사용으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됨과 아울러 취출시 당김력에 의한 지지대의 휨, 찌그러짐현상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해 받침대, 작동바, 중량 파지부, 패드부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패드부를 현장에서 간단하게 교체 적용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직경의 말뚝 취출이 가능한 범용성이 제공되고, 패드부를 상하“‡향으로 뒤집어 양면을 모두 사용하므로 소모품인 패드부의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되며, 받침대와 작동바가 간단하게 분리되어 독립 부품별로 운반 및 휴대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말뚝 취출장치{Stake taking out device}
본 발명은 말뚝 취출장치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별 간단한 분해조립으로 휴대가 간편하면서 펜스 지지대, 농작물 지지대, 온실 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중에 박힌 다양한 직경을 가진 말뚝을 단일의 장치로 취출가능한 범용성이 제공되고, 소모품인 패드부의 양면사용으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됨과 아울러 취출시 당김력에 의한 지지대의 휨, 찌그러짐현상이 방지되는 말뚝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펜스 지지대, 농작물 지지대, 온실 지지대를 포함하는 말뚝은 해머 또는 항타장치를 이용하여 지중에 박는 방식으로 설치되고, 이때 농작물 지지용 말뚝의 경우에는 농작물 수확 후 뽑아서 보관 후 이듬해에 재사용하고 있지만, 과수 지지용 말뚝을 포함하는 지중에 깊이 설치되는 말뚝의 경우 인력에 의한 취출작업에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게시된 특허등록번호 제10-1064087호에서, 체인과 스프라켓 및 걸고리로 형성된 리프트 수단과, 리프트 수단에 의해 기어치차로 하여금 연동시킨 후 이를 업다운 형태로 핸들을 회동시켜 지면에 깊이 박힌 말뚝의 제거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처리하는 기술이 선등록된바 있지만, 업다운 핸들 작동에 의해 체인을 구동하는 기어치차, 스프라켓, 보조 스토퍼를 포함하는 구성들에 의해 구조가 복잡하면서 중량이 증가되어 휴대성이 저하되고, 특히 걸고리에 돌출형성되는 바이트에 찍힌상태로 말뚝이 파지되므로 당김력이 작용시 말뚝이 손상되면서 버어가 발생되고, 이는 온실용으로 사용시에는 보온비닐이 버어에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또한, 특허등록번호 제10-1060666호에서, 길이방향 일단부가 지면에 위치되며, 상호 이격 위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가이딩되면서 상하 이동되는 이동부와, 이동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를 홀딩시키는 홀딩부와, 가이드 프레임에 고정 위치되며 유압에 의하여 이동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실린더부로 구성되어 지지대 철거 시간 및 인건비를 절약하도록 하는 기술이 선등록된바 있다. 그러나 유압 장치의 특성상 유압 실린더와, 유압실린더측으로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펌프 및 탱크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휴대용으로 부적합하고, 특히 홀딩부의 걸림부에 지지대가 파지됨으로 지지대 외주면 손상으로 버어가 형성되어 온실용으로 적용시 보온비닐이 쉽게 찢어지는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부품별 간단한 분해조립으로 휴대가 간편하면서 펜스 지지대, 농작물 지지대, 온실 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중에 박힌 다양한 직경을 가진 말뚝을 단일의 장치로 취출가능한 범용성이 제공되고, 소모품인 패드부의 양면사용으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됨과 아울러 취출시 당김력에 의한 지지대의 휨, 찌그러짐현상이 방지되는 말뚝 취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받침대(10)에 의해 지면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받침축(22)을 중심으로 선회운동되는 작동바(20); 상기 작동바(20)는 받침축(22)을 중심으로 힘점위치에 손잡이부(24)와, 작용점 위치에 중량 파지부(30)가 구비되고, 상기 중량 파지부(30)는 연결부재(26)에 의해 작용점 위치에서 연장되도록 연결되어, 일측이 개방되는 파지홈(32)과, 파지홈(32) 내측에 대향하게 배치되어 말뚝(1) 외주면을 파지하는 패드부(34)가 구비되며, 상기 패드부(34)는 파지홈(32)과 음,양각부(36)(37)로 맞물려 교체가능하게 설치되고, 두께기준 규격별 복수개 구비되어, 선택된 2개의 패드부(34)에 의해 파지홈(32) 사이즈가 변경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받침축(22)은 작동바(20) 양단에 한 쌍으로 돌출되고, 받침축(22)과 대응하는 받침대(10)상에는 받침축(22)이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삽입 및 하부에서 상측방향으로 분리되도록 상측 개방된 가이드라인(12a)을 가진 받침홈(1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드부(34)는 말뚝(1) 외주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종방향으로 가이드홈(34a)이 형성되어, 작용점 위치가 상방향 이동시 중량 파지부(30)의 기울기에 의해 말뚝에 광폭으로 선접촉 파지되고, 작용점 위치가 하방향 이동시 중량 파지부(30) 자중에 의해 가이드홈(34a)이 말뚝(1) 외주면을 타고 하방향으로 이송이 안내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량 파지부(30)는 파지홈(32)을 기준으로 연결부재(26)가 연결되는 일측 단부 대비 다른 일측 단부가 경량으로 형성되어, 작용점 위치가 하방향 이동시 연결부재(36)가 연결되는 중량 파지부(30)의 일측 단부가 타측 단부 대비 선 하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6)는 체인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재(26)가 체결되는 작동바(20)의 작동점 위치에는 받침축(22)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에 위치되는 복수의 체인기어이(1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바(20)의 작용점 위치에는 말뚝(1)이 수용되도록 한 쌍의 포크프레임(16)이 이격배치되고, 각각의 포크프레임(16)에 중량 파지부(30)가 연결되어 말뚝(1)을 기준으로 양측 대칭위치에서 당김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중량 파지부(30)는 파지홈(32)의 일측 개방방향이 일치되면서, 타측 이면에 구비되는 링크부재(38)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패드부를 현장에서 간단하게 교체 적용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직경의 말뚝 취출이 가능한 범용성이 제공되고, 패드부를 상하“‡향으로 뒤집어 양면을 모두 사용하므로 소모품인 패드부의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되며, 받침대와 작동바가 간단하게 분리되어 독립 부품별로 운반 및 휴대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말뚝 취출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말뚝 취출장치에 구비되는 중량파지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말뚝 취출장치에 구비되는 중량파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작동바와 연결부재가 체인기어이에 의해 지지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6 내지 도 7은 한 쌍의 중량 파지부가 말뚝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말뚝 취출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말뚝 취출장치는 부품별 간단한 분해조립으로 휴대가 간편하면서 펜스 지지대, 농작물 지지대, 온실 지지대를 포함하는 지중에 박힌 다양한 직경을 가진 말뚝을 단일의 장치로 취출가능한 범용성이 제공되고, 소모품인 패드부의 양면사용으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됨과 아울러 취출시 당김력에 의한 지지대의 휨, 찌그러짐현상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해 받침대(10), 작동바(20), 중량 파지부(30), 패드부(34)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바(20)는 받침대(10)에 의해 지면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받침축(22)을 중심으로 선회운동된다. 받침대(10)는 지면에 광폭으로 접지되어 하중에 의해 논, 밭 지면에서 함몰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도 1과 같이 하부에 판형 바닥판이 설치되거나, 복수의 받침다리를 구비하여 분산지지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10)는 상부에 작동바(20)가 안착되어 받침축(22)을 중심으로 시소운동되도록 구비되고, 이때 받침축을 기준으로 힘점 측 길이 대비 작용점 측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작동바(20)는 받침축(22)을 중심으로 힘점위치에 손잡이부(24)와, 작용점 위치에 중량 파지부(30)가 구비된다. 작동바(20)는 지렛대원리에 의해 받침축(22)을 받침점으로, 일측 단부의 손잡이부(24)를 작용점으로 하여, 손잡이부(24) 측으로 하방향 외력이 작용시 받침축(22)을 중심으로 선회되는 작용점 위치치의 타측 단부에 중량 파지부(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중량 파지부(30)는 연결부재(26)에 의해 작용점 위치에서 연장되도록 연결되어, 일측이 개방되는 파지홈(32)과, 파지홈(32) 내측에 대향하게 배치되어 말뚝(1) 외주면을 파지하는 패드부(34)가 구비된다. 중량 파지부(30)는 로프, 와이어, 체인, 연결대를 포함하는 연결부재(26)와 축핀으로 연결되어 도 1과 같이 연결부재(26) 작용점 위치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중량 파지부(30)는 일측이 개방되는 파지홈(32)을 통하여 말뚝(1) 측방향에서 삽입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중량 파지부(30)는 연결부재(26)에 의해 당김력이 작용시 말뚝(1) 외주면 양측에 접촉되는 위치에 한 쌍의 패드부(34)가 구비되는바, 여기서 패드부(34)는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체 또는 탄성체가 코팅된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말뚝(1) 외주면에 가압 밀착력이 작용시, 말뚝(1) 손상이 방지되면서 마찰력을 증대시켜 작동바(20)에 의한 당김력이 견고하게 전달된다.
이때, 상기 패드부(34)는 파지홈(32)과 음,양각부(36)(37)로 맞물려 교체가능하게 설치되고, 두께기준 규격별 복수개 구비되어, 선택된 2개의 패드부(34)에 의해 파지홈(32) 사이즈가 변경되도록 구비된다. 패드부(34)는 도 3 (a)와 같이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파지홈(32) 내주면 양측에 삽입 설치되거나, 도 3 (b)처럼 패드부(34)와 파지홈(32)이 대향하는 대응면에 T형홈, 돌기를 형성하여 서로 맞물려 결합된다.
이처럼 상기 패드부(34)는 파지홈(32)과 음,양각부(36)(37)로 맞물려 횡방향 및 종방향 지지력이 동시에 작용함에 따라 중량 파지부(30)가 기울어진 상태로 당김력이 작용하더라도 패드부(34) 횡, 종방향으로 고정력이 견고하게 작용하여 이탈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패드부(34)는 두께기준 규격별로 구비되는바, 일실시예로서 2mm, 4mm, 6mm, 8mm, 10mm 단위로 복수개 구비되고, 중량 파지부(30) 파지홈(32) 사이즈가 60mm로 형성된 경우, 직경이 40mm의 말뚝(1)을 취출시, 중량 파지부(30) 파지홈(32) 내부에 8mm 패드부(34) 2개를 대향하게 배치하여 파지홈(32) 내부 사이즈를 44mm로 설정하여 말뚝과 4mm의 공차를 두고 결합되도록 설정된다. 이에 중량 파지부(30) 일측으로 당김력이 작용하면 패드부(34)와 말뚝(1) 외경 사이의 4mm의 공차로 인해 중량 파지부(30)가 기울어지면서 파지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패드부(34)를 현장에서 간단하게 교체 적용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직경의 말뚝 취출이 가능한 범용성이 제공된다.
작동상에 있어서, 상기 중량 파지부(30)의 파지홈(32)을 측방향에서 말뚝(1)에 끼우고 작동바(20)의 손잡이부(24)를 하방향으로 가압하면 연결부재(26)에 의해 중량 파지부(30) 일측 단부가 기울어지게 당겨지면서 파지홈(32)의 일측 상부 모서리부분과 타측 하부 모서리부분이 말뚝(1) 외주면에 파지되어 상측으로 당김력이 전달되면서 말뚝(1)이 일부 취출되고, 이어서 작동바(20)의 손잡이부(24)를 상방향으로 들면 중량 파지부(30)가 자체 중량에 의해 수평 내지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말뚝(1)을 타고 하방향으로 이송되고, 이후 상기 손잡이부(24)를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작업을 반복 수행하여 말뚝(1)이 취출된다.
그리고, 반복사용으로 주로 마찰되는 패드부(34)의 일측 상부 모서리부분과 타측 하부 모서리부분이 마모시 패드부(34)를 상하“‡향으로 뒤집어 양면을 모두 사용하므로 소모품인 패드부(34) 2회 사용으로 유지관리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받침축(22)은 작동바(20) 양단에 한 쌍으로 돌출되고, 받침축(22)과 대응하는 받침대(10)상에는 받침축(22)이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삽입 및 하부에서 상측방향으로 분리되도록 상측 개방된 가이드라인(12a)을 가진 받침홈(12)이 구비된다. 받침홈(12)의 가이드라인(12a)은 상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통로를 형성하고, 이때 가이드라인(12a)은 받침축(22) 직경 기준으로 2~4배 깊게 형성되어 작동바(20)의 손잡이부(24)를 상,하방향으로 업다운작동하는 중에 받침축(22)이 받침홈(12) 상에서 쉽게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에 논, 밭 현장에서 작업시, 받침대(10)와 작동바(20)를 별도로 분리한 상태로 양손에 들고 이동 후, 우선 취출해야할 말뚝(1)과 인접하는 위치에 받침대(10)를 위치시키고, 이어서 도 1처럼 작동바(20)를 받침대(10) 상부에 안착시키면, 받침축(22)이 가이드라인(12a)에 안내되어 받침홈(12)에 간단하게 끼움결합되며, 이후 다른 곳으로 위치이동시 작동바(20)를 상측으로 들면 받침축(22)이 받침홈(12)상에서 간단하게 분리되면서 받침대(10)와 작동바(20)를 독립 부품별로 운반 및 휴대 간편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패드부(34)는 말뚝(1) 외주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종방향으로 가이드홈(34a)이 형성되어, 작용점 위치가 상방향 이동시 중량 파지부(30)의 기울기에 의해 말뚝에 광폭으로 선접촉 파지되고, 작용점 위치가 하방향 이동시 중량 파지부(30) 자중에 의해 가이드홈(34a)이 말뚝(1) 외주면을 타고 하방향으로 이송이 안내되도록 구비된다. 도 4에서 가이드홈(34a)은 라운드형으로 도시된 상태를 나타내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V형 홈으로 함몰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에 상기 작동바(20)의 당김력에 의해 중량 파지부(3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과정에서 가이드홈(34a)이 말뚝(1) 외주면을 타고 횡방향으로 미세 위치조절되면서 중앙위치(평면뷰에서 연결부재의 당김력이 작용하는 중심과 일직선상에 일치되는 위치)에서 맞물리도록 안내됨에 따라 중량 파지부(30)의 당김력이 좌우방향 유동 손실없이 상방향으로 긴밀하게 전달되어 말뚝(1) 취출효율이 향상됨과 더불어 중량 파지부(30)의 좌우 기울어짐으로 인한 말뚝(1) 외주면 찍힘, 찌그러짐, 긁힘 현상을 포함하는 손상이 방지되고, 특히 가이드홈(34a)으로 인해 패드부(34)와 말뚝(1) 간의 선접촉 또는 면접촉으로 마찰력이 증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중량 파지부(30)는 파지홈(32)을 기준으로 연결부재(26)가 연결되는 일측 단부 대비 다른 일측 단부가 경량으로 형성되어, 작용점 위치가 하방향 이동시 연결부재(36)가 연결되는 중량 파지부(30)의 일측 단부가 타측 단부 대비 선 하강되도록 구비된다. 중량 파지부는 연결부재가 축핀 결합되는 일측이 돌출 형성되어 타측 대비 중량 증가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작동바(20)의 손잡이부(24)가 상방향로 이동시 작용점 위치에 연결된 연결부재(26)가 하방향으로 이송되고, 이때 중량 파지부(30)가 가진 자체 편하중으로 인해 연결부재(26)가 체결된 일측이 타측 대비 먼저 하강되고, 이로 인해 중량 파지부(30)가 신속 간편하게 말뚝(1)을 타고 하강하여 이후 연결부재(26)의 당김력에 의한 말뚝(1) 취출력이 재 작용하므로, 작동바(20)의 상,하방향 빠른 업다운속도에 대응하여 중량 파지부(30)가 신속하게 하강 이송되므로 말뚝(1) 취출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6)는 체인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재(26)가 체결되는 작동바(20)의 작동점 위치에는 받침축(22)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에 위치되는 복수의 체인기어이(14)가 구비된다. 체인기어이(14)는 작동바(20)의 작용점 위치인 일측 단부 선회반경에 해당하는 범위내에 구비되고, 도 5와 같이 작동바(20)의 손잡이부(24)를 하방향으로 가압시 체인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26)가 체인기어이(14)에 순차적으로 맞물리며 당김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상기 체인의 당김력 작용점이 받침축(22)과 동심원상에 항상 일치되어, 체인 당김력이 말뚝(1)과 평행을 이루는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체인 당김력 손실이 방지되면서 중량 파지부(30)의 과도한 기울기(예컨데, 당김력이 말뚝과 평행선상에 불일치할 경우 중량 파지부 기울어짐 방향으로 당김력 손실이 증가됨)로 인한 말뚝(1)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작동바(20)의 작용점 위치에는 말뚝(1)이 수용되도록 한 쌍의 포크프레임(16)이 이격배치되고, 각각의 포크프레임(16)에 중량 파지부(30)가 연결되어 말뚝(1)을 기준으로 양측 대칭위치에서 당김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도 6와 같이 한 쌍의 중량 파지부(30)가 말뚝(1)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되고, 한 쌍의 포크프레임(16)에 의해 말뚝(1) 양측에서 당김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말뚝(1) 양측에서 작용하는 당김력이 힘의 균형을 이루면서 당김력이 말뚝(1) 길이방향 즉, 종방향으로 집중되어 말뚝(1) 손상없이 고하중의 당김력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대형 관재형태의 말뚝(1) 취출용으로도 적용범위가 확대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중량 파지부(30)는 파지홈(32)의 일측 개방방향이 일치되면서, 타측 이면에 구비되는 링크부재(38)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 7과 같이 한 쌍의 중량 파지부(30)가 상,하측에 배치되어 링크부재(38)에 연결됨에 따라 중량 파지부(30)를 말뚝(1)에서 분리하더라도 상, 하측에 배치된 한 쌍의 중량 파지부(30)가 링크부재(38)에 링크결합으로 서로 지지되어 한 쌍의 파지홈(32)이 동일 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이후 다음 말뚝(1)에 삽입하는 작업이 신속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10: 받침대 20: 작동바
30: 중량 파지부

Claims (7)

  1. 받침대(10)에 의해 지면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받침축(22)을 중심으로 선회운동되는 작동바(20);
    상기 작동바(20)는 받침축(22)을 중심으로 힘점위치에 손잡이부(24)와, 작용점 위치에 중량 파지부(30)가 구비되고,
    상기 중량 파지부(30)는 연결부재(26)에 의해 작용점 위치에서 연장되도록 연결되어, 일측이 개방되는 파지홈(32)과, 파지홈(32) 내측에 대향하게 배치되어 말뚝(1) 외주면을 파지하는 패드부(34)가 구비되며,
    상기 패드부(34)는 파지홈(32)과 음,양각부(36)(37)로 맞물려 교체가능하게 설치되고, 두께기준 규격별 복수개 구비되어, 선택된 2개의 패드부(34)에 의해 파지홈(32) 사이즈가 변경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취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축(22)은 작동바(20) 양단에 한 쌍으로 돌출되고, 받침축(22)과 대응하는 받침대(10)상에는 받침축(22)이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삽입 및 하부에서 상측방향으로 분리되도록 상측 개방된 가이드라인(12a)을 가진 받침홈(1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취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34)는 말뚝(1) 외주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종방향으로 가이드홈(34a)이 형성되어, 작용점 위치가 상방향 이동시 중량 파지부(30)의 기울기에 의해 말뚝에 광폭으로 선접촉 파지되고, 작용점 위치가 하방향 이동시 중량 파지부(30) 자중에 의해 가이드홈(34a)이 말뚝(1) 외주면을 타고 하방향으로 이송이 안내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취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파지부(30)는 파지홈(32)을 기준으로 연결부재(26)가 연결되는 일측 단부 대비 다른 일측 단부가 경량으로 형성되어, 작용점 위치가 하방향 이동시 연결부재(36)가 연결되는 중량 파지부(30)의 일측 단부가 타측 단부 대비 선 하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취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6)는 체인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재(26)가 체결되는 작동바(20)의 작동점 위치에는 받침축(22)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에 위치되는 복수의 체인기어이(1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취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20)의 작용점 위치에는 말뚝(1)이 수용되도록 한 쌍의 포크프레임(16)이 이격배치되고, 각각의 포크프레임(16)에 중량 파지부(30)가 연결되어 말뚝(1)을 기준으로 양측 대칭위치에서 당김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취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중량 파지부(30)는 파지홈(32)의 일측 개방방향이 일치되면서, 타측 이면에 구비되는 링크부재(38)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취출장치.
KR1020160079339A 2016-06-24 2016-06-24 말뚝 취출장치 KR20180000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339A KR20180000958A (ko) 2016-06-24 2016-06-24 말뚝 취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9339A KR20180000958A (ko) 2016-06-24 2016-06-24 말뚝 취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958A true KR20180000958A (ko) 2018-01-04

Family

ID=60998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9339A KR20180000958A (ko) 2016-06-24 2016-06-24 말뚝 취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9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47629S1 (en) * 2019-08-03 2022-04-05 M3 Health Indústria E Comércio De Produtos Médicos, Odontológicos E Correlatos S.A. Electronic torque wrench
USD964128S1 (en) * 2019-06-13 2022-09-20 M3 Health Indústria E Comércio De Produtos Médicos, Odontológicos E Correlatos S.A. Prosthetic torque wrenc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64128S1 (en) * 2019-06-13 2022-09-20 M3 Health Indústria E Comércio De Produtos Médicos, Odontológicos E Correlatos S.A. Prosthetic torque wrench
USD947629S1 (en) * 2019-08-03 2022-04-05 M3 Health Indústria E Comércio De Produtos Médicos, Odontológicos E Correlatos S.A. Electronic torque wren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3513B2 (ja) 空気ばねの解体装置
KR20180000958A (ko) 말뚝 취출장치
US20180258603A1 (en) Post driver and puller combo
KR100894733B1 (ko)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
CN109573893A (zh) 新型电缆沟盖板撬运一体化装置
CN103946144B (zh) 用于处理下水道井盖的工具
KR20160123915A (ko) 면 접촉식 그립퍼
CN209442593U (zh) 一种液压式电缆井盖提升装置
CN212098990U (zh) 一种电力管道施工输送用固定装置
CN212506269U (zh) 夹钳及拔桩机
KR200477546Y1 (ko) 화장품 용기의 개구부에 캡을 캡핑하는 자동 캡핑장치
CN107052756B (zh) 一种工具钳胶套组装机的弹性上料装置
KR101531681B1 (ko) 고추지지대 취출기
CN104176624A (zh) 一种起吊装夹器
KR101086290B1 (ko) 트러니언 샤프트의 핀홀에 삽입되는 핀 압입을 위한 압입장치
KR101945837B1 (ko) 가죽공예용 클램프
CN211103761U (zh) 一种便携式热处理工件拆装工具
KR101579185B1 (ko) 수동식 드럼 운반장치
KR101270051B1 (ko) 드럼통 이동용 캐리어
CN204183194U (zh) 一种轴套的安装装置
CN112977559A (zh) 一种简易井盖快速开启及搬运装置
CN110978078A (zh) 一种基于工业设计服务的泡沫裁剪装置
CN206436185U (zh) 一种可转动的气动阀活塞装配工装
CN205555851U (zh) 砂芯组芯吊具
CN110524648A (zh) 一种建筑固定用等距上钉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