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882B1 -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882B1
KR101423882B1 KR1020130064304A KR20130064304A KR101423882B1 KR 101423882 B1 KR101423882 B1 KR 101423882B1 KR 1020130064304 A KR1020130064304 A KR 1020130064304A KR 20130064304 A KR20130064304 A KR 20130064304A KR 101423882 B1 KR101423882 B1 KR 101423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ring
inner ring
ring
moving block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춘호
이상호
정주원
서태준
Original Assignee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4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8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026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fluid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는, 상하부 베어링이 구비된 구동조립체의 내,외륜이 놓이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상에 상기 구동 조립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설정 각도로 다수 배열되고, 내륜안내홈이 형성되는 내륜가이드; 상기 내륜가이드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구동 조립체의 중심으로 기준으로 설정 각도로 다수 배열되고, 외륜안내홈이 형성되는 외륜가이드; 상기 내륜안내홈을 따라 이동하여 내륜의 저면을 지지하는 내륜지그; 상기 외륜안내홈을 따라 이동하여 외륜의 측면을 고정하는 외륜지그; 및 상기 외륜지그와 상기 외륜 사이에 구비되어 가압력을 통해 상기 내륜에 대해 상기 외륜을 가압 이동하여 상기 상하부 베어링을 분리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DISASSEMBLE AND ASSEMBLE DEVICE FOR DRIVE ASSEMBLY}
본 발명은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외륜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내륜지그와 외륜지그로 내륜과 외륜을 각각 고정하고, 외륜지그에 설치된 가압부재를 이용하여 외륜을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간편하게 내륜에서 외륜을 취외하여 상하부베어링을 인출할 수 있는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탄을 주원료로 이용하는 화력발전소는 미세하게 분말화된 석탄(이하 "미분탄"이라 한다)을 공기와 함께 공급하여 보일러에서 연소시키고, 보일러 내에 배관된 수관속의 물을 증기화시켜 터어빈을 회전시켜 발전하게 된다.
미분기는 하우징 내에 회전되는 분쇄 보울 상면에서 복수개의 분쇄롤러가 가압상태로 회전하면서 석탄공급관을 통해 분쇄 보울 중앙으로 투입된 석탄을 미세하게 분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미분기는 분쇄 보울의 회전에 의해 분쇄 보울의 원주방향으로 밀려나가면서 분쇄롤러에 의해 분쇄된 미분탄을 상부에 마련된 배출구로 송출하기 위해 분쇄 보울 하부에서 분쇄롤러의 저널부분을 통해 상방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한편, 미분기에는 분쇄된 연료는 상부에 설치된 다이나믹 분급기(dynamic classifier, 粉級機)의 회전에 의해 작은 입자와 굵은 입자를 상대적인 구동을 통해 각 집단으로 나누게 된다.
이러한 다이나믹 분급기는 각각 반대로 회전하는 내륜과 외륜 사이에 상하부 베어링이 각각 구비되는 구동 조립체(drive assembly)가 구비되어 있다.
이 구동 조립체는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상하부 베어링이 마모되어 파손되므로 회전 구동이 원활하지 않으므로 일정 시간 후에는 점검하거나 교환해 주어야 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3-0000162호(고안의 명칭: 보일러용 미분기, 공개일자: 2013. 01. 08)가 제시되어 있다.
종래의 미분기용 구동 조립체는 기기 정상 작동 중 미분탄이 상하부 베어링 내부로 일부 유입되거나 베어링 자체 결함으로 구동조립체의 이음 및 진동을 초래하게 되어 취외를 통해 구동조립체를 교체해 주어야 한다.
또한, 구동조립체 취외 후 내부에 장착된 상하부 베어링의 손상 여부 판단및 원인 분석을 위해 분해 점검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나 적절한 분해 정비용 지그가 없어 베어링 내부 점검이 불가능하고, 설비의 신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내륜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내륜지그로 내륜 하측을 지지하고, 외륜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외륜지그를 통해 외륜을 고정하며, 외륜지그에 설치된 가압부재로 외륜을 하측으로 가압 이동하고, 내륜으로부터 외륜을 취외하여 상하부베어링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는, 상하부 베어링이 구비된 구동조립체의 내,외륜이 놓이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상에 상기 구동 조립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설정 각도로 다수 배열되고, 내륜안내홈이 형성되는 내륜가이드; 상기 내륜가이드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구동 조립체의 중심으로 기준으로 설정 각도로 다수 배열되고, 외륜안내홈이 형성되는 외륜가이드; 상기 내륜안내홈을 따라 이동하여 내륜의 저면을 지지하는 내륜지그; 상기 외륜안내홈을 따라 이동하여 외륜의 측면을 고정하는 외륜지그; 및 상기 외륜지그와 상기 외륜 사이에 구비되어 가압력을 통해 상기 내륜에 대해 상기 외륜을 가압 이동하여 상기 상하부 베어링을 분리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륜가이드는 90°간격으로 4개 구비되며, 상기 외륜가이드는 90°간격으로 4개 구비되되, 상기 내륜가이드 사이에 45°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륜안내홈과 상기 외륜안내홈은 전,후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륜지그는, 상기 내륜안내홈에 삽입되어 상측이동이 제한되는 내륜이동블록; 및 상기 내륜이동블록의 상측에 구비되고, 기둥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내륜을 저면을 받쳐주는 내륜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륜이동블록은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내륜지지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륜이동블록은 내륜구동부에 의해 전후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내륜구동부는, 상기 내륜이동블록의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내륜암나사부; 상기 내륜암나사부에 체결되고 상기 내륜가이드의 내륜안내홈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내륜나사축; 및 상기 내륜나사축에 결합되고, 회전을 통해 상기 내륜이동블록을 전후 이동하는 내륜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륜지그는, 상기 외륜안내홈에 삽입되어 상측이동이 제한되는 외륜이동블록; 및 상기 외륜이동블록의 상측에 구비되고, 절곡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외륜의 측면을 고정하는 외륜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륜이동블록은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외륜고정부는 ㄱ자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륜고정부의 단부에는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외륜의 하측 이동시 마찰을 방지하는 롤러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외륜고정부의 단부 저면과 상기 외륜 하측둘레 구비된 플랜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륜이동블록은 외륜구동부에 의해 전후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외륜구동부는, 상기 외륜이동블록의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외륜암나사부; 상기 외륜암나사부에 체결되고 상기 외륜가이드의 외륜안내혼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외륜나사축; 및 상기 외륜나사축에 결합되고, 회전을 통해 상기 외륜이동블록을 전후 이동하는 외륜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는, 내륜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내륜지그로 내륜 하측을 지지하고, 외륜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외륜지그를 통해 외륜을 고정하며, 외륜지그에 설치된 가압부재를 이용하여 외륜을 하측으로 가압 이동하고, 외륜으로부터 내륜을 분리하여 상하부베어링을 취외하므로 구동조립체의 점검 및 수리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조립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륜지그 조립 상태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륜지그 조립 상태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에 의해 외륜지그의 분리 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조립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륜지그 조립 상태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륜지그 조립 상태 확대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에 의해 외륜지그의 분리 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는, 플레이트(10), 내륜가이드(20), 외륜가이드(30), 내륜지그(40), 외륜지그(50) 및 가압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플레이트(10)는 상하부 베어링(7,8)이 상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구동조립체(2)의 내,외륜(4,6)이 하측에 놓여지는 구성이다.
구동조립체(2)는 미분기의 다이나믹 분급기에 회동 가능하게 적용되는 구성이다.
구동조립체(2)는 장시간 사용한 후 상,하부 베어링(7,8)을 교체하기위해 내륜(4) 및 외륜(6)을 분리해주어야 한다.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가 필요하다.
내륜가이드(20)는 플레이트(10) 상에 구동 조립체(2)의 중심을 기준으로 설정 각도로 다수 배열되고, 내륜안내홈(22)이 형성된다.
내륜가이드(20)는 90°간격으로 4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륜안내홈(22)은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상측 중심부가 상부로 개방되고, 상측에 걸림턱부가 형성된다.
내륜가이드(20)는 사각형 플레이트(10)의 측면 중심부 또는 모서리부위에서 플레이트(10) 중앙지점으로 방사상형태로 놓여지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륜가이드(30)는 내륜가이드(2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구동 조립체(2)의 중심으로 기준으로 설정 각도로 다수 배열되고, 외륜안내홈(32)이 형성된다.
외륜안내홈(32)은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상측 중심부가 상부로 개방되고, 상측 양측에 걸림턱부가 형성된다.
외륜가이드(30)는 90°간격으로 4개 구비되되, 내륜가이드(20) 사이에 45°간격으로 4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륜가이드(30)는 사각형 플레이트(10)의 모서리부위 또는 측면 중심부에서 플레이트(10) 중앙지점으로 방사상 형태로 놓여지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륜안내홈(22)과 외륜안내홈(32)은 전,후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필요에 따라 후술하는 내륜이동블록(42) 및 외륜이동블록(52)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후측 단부가 차단되게 구성될 수 있다.
내륜지그(40)는 내륜안내홈(22)을 따라 이동하여 내륜(4)의 저면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내륜지그(40)는, 내륜안내홈(22)에 삽입되어 상측이동이 제한되는 내륜이동블록(42)과, 내륜이동블록(42)의 상측에 구비되고, 기둥형태로 형성되어 내륜(4)을 저면을 받쳐주는 내륜지지부(44)를 포함한다.
내륜이동블록(42)은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내륜이동블록(42)은 상하좌우측으로 이탈이 방지된다면 어떠한 단면 형태이던지 적용 가능하다.
내륜지지부(44)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원기둥 형태로 도시한다.
내륜이동블록(42)은 내륜구동부(70)에 의해 전후 슬라이딩 이동한다.
내륜구동부(70)는 4개의 내륜이동블록(42)에 각각 구비되어지며, 4개의 내륜이동블록(42)이 내륜가이드(20)의 내륜안내홈(22)에서 동시에 실정 거리만큼 이동되게 하여 구동조립체(2)의 내륜(4)의 저면에 동시에 위치하여 지지되도록 해준다.
이때, 구동조립체(2)는 크레인의 인양끈부재(90)에 의해 들어 올려져 내륜구동부(70)에 의해 내륜이동블록(42) 이동시 내륜지지부(44)가 외륜(6) 및 내륜(4)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이어, 내륜지지부(44)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내륜(4)의 저면에 위치한 후에는 크레인의 인양끈부재(90)를 하측으로 내려 주어 내륜(4)의 저면을 내륜지지부(44)에 안착함으로써 구동조립체(2)의 외륜(4)이 상측으로 약간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후술하는 외륜지그(50)를 이용하여 외륜(6)을 고정하고 가압부재(60)를 작동하여 내륜(4)에서 외륜(6)을 분리하므로 내륜(4) 및 외륜(6) 상하측 사이에 마련된 상하부베어링(7,8)을 분리할 수 있다.
내륜구동부(70)는, 내륜이동블록(42)의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내륜암나사부(72)와, 내륜암나사부(72)에 체결되고 내륜가이드(20)의 내륜안내홈(22)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내륜나사축(74)과, 내륜나사축(74)에 결합되고, 회전을 통해 내륜이동블록(42)을 전후 이동하는 내륜모터(76)를 포함한다.
내륜나사축(74)은 내륜모터(76)의 축에 플랜지 결합 등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내륜모터(76)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조절되며, 정역회전이 용이한 서보모터(servo motor)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륜지그(40)에는 내륜모터(76)의 구동시 내륜지지부(44)가 내륜(4)의 저면에 정확하게 위치하는 지 여부를 감지하는 내륜위치감지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내륜위치감지부는 내륜지지부(44)의 단부 함몰 부위 또는 내륜이동블록(42)에 구비되어 내륜(4)의 저면을 비춰 접근 상태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등을 적용할 수 있다. 물론, 내륜위치감지부는 다양한 방식의 센서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외륜지그(50)는 외륜안내홈(32)을 따라 이동하여 외륜(6)의 측면을 고정하는 구성이다.
외륜지그(50)는, 외륜안내홈(32)에 삽입되어 상측이동이 제한되는 외륜이동블록(52)과, 외륜이동블록(52)의 상측에 구비되고, 절곡형태로 형성되어 외륜(6)의 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외륜고정부(54)를 포함한다.
외륜이동블록(52)은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외륜이동블록(52)은 상하좌우측으로 이탈이 방지된다면 어떠한 단면 형태이던지 적용 가능하다.
외륜고정부(54)는 외륜이동블록(52)에서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고정부(53)와, 수직고정부(53)의 단부 둘레에서 수평으로 연결된 수평고정부(55)를 포함한다.
즉, 외륜고정부(54)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외륜(6)의 측면에 접촉 지지된다.
외륜나사축(84)은 외륜모터(86)의 축에 플랜지 결합 등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외륜모터(86)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조절되며, 정역회전이 용이한 서보모터(servo motor)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륜지그(50)에는 외륜모터(86)의 구동시 외륜고정부(54)의 수평고정부(55) 단부에 구비된 롤러부재(56)가 외륜(6)의 측면에 정확하게 위치하는 지 여부를 감지하는 외륜위치감지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외륜위치감지부는 외륜고정부(54)의 수직고정부(53) 또는 수평고정부(55)에 구비되어 외륜(6)의 측면을 비춰 접근 상태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등을 적용할 수 있다. 물론, 외륜위치감지부는 접촉스위치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의 센서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외륜고정부(54)의 수평고정부(54)의 단부에는 가압부재(60)에 의해 외륜(6)의 하측 이동시 마찰을 방지하는 롤러부재(56)가 구비될 수 있다.
가압부재(60)는 외륜고정부(54)의 수평고정부(55)의 단부 저면과 외륜(6) 하측둘레 구비된 플랜지(9)에 안착되어 가압부재(60) 작동시 내륜지그(40)의 내륜지지부(44)에 안착된 내륜(4)으로 부터 외륜(6)을 취외하여 상하부베어링(7,8)이 분리 및 인출되게 해준다.
가압부재(60)는 유압잭인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부재(56)는 수평고정부(55)의 양측 지지판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부재(56)는 가압부재(60)의 작동에 의해 외륜(6)이 하강할 때, 외륜(6)이 좌우 흔들림 없이 안내되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는, 내륜가이드(20)를 따라 이동하는 내륜지그(40)로 내륜(4) 하측을 지지하고, 외륜가이드(30)를 따라 이동하는 외륜지그(50)를 통해 외륜(6)의 측면을 고정하며, 외륜지그(50)에 설치된 가압부재(60)로 외륜(6)을 하측으로 이동하여 내륜(4)으로부터 외륜(6)을 취외하여 상,하부베어링(7,8)을 인출함으로써, 구동조립체(2)의 점검 및 수리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갖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 구동 조립체 4 : 내륜
6 : 외륜 7,8 : 상하부 베어링
10 : 플레이트 20 : 내륜가이드
22 : 내륜안내홈 30 : 외륜가이드
32 : 내륜안내홈 40 : 내륜지그
42 : 내륜이동블록 44 : 내륜지지부
50 : 외륜지그 52 : 외륜이동블록
54 : 외륜지지부 56 : 롤러부재
60 : 가압부재 70 : 내륜구동부
72 : 내륜암나사부 74 : 내륜나사축
76 : 내륜모터 80 : 외륜구동부
82 : 외륜암나사부 84 : 외륜나사축
86 : 외륜모터 90 : 인양끈부재

Claims (11)

  1. 상하부 베어링이 구비된 구동조립체의 내,외륜이 놓이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상에 상기 구동 조립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설정 각도로 다수 배열되고, 내륜안내홈이 형성되는 내륜가이드;
    상기 내륜가이드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구동 조립체의 중심으로 기준으로 설정 각도로 다수 배열되고, 외륜안내홈이 형성되는 외륜가이드;
    상기 내륜안내홈을 따라 이동하여 내륜의 저면을 지지하는 내륜지그;
    상기 외륜안내홈을 따라 이동하여 외륜의 측면을 고정하는 외륜지그; 및
    상기 외륜지그와 상기 외륜 사이에 구비되어 가압력을 통해 상기 내륜에 대해 상기 외륜을 가압 이동하여 상기 상하부 베어링을 분리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륜가이드는 90°간격으로 4개 구비되며,
    상기 외륜가이드는 90°간격으로 4개 구비되되, 상기 내륜가이드 사이에 45°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륜안내홈과 상기 외륜안내홈은 전,후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륜지그는,
    상기 내륜안내홈에 삽입되어 상측이동이 제한되는 내륜이동블록; 및
    상기 내륜이동블록의 상측에 구비되고, 기둥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내륜을 저면을 받쳐주는 내륜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륜이동블록은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내륜지지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륜이동블록은 내륜구동부에 의해 전후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내륜구동부는,
    상기 내륜이동블록의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내륜암나사부;
    상기 내륜암나사부에 체결되고 상기 내륜가이드의 내륜안내홈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내륜나사축; 및
    상기 내륜나사축에 결합되고, 회전을 통해 상기 내륜이동블록을 전후 이동하는 내륜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륜지그는,
    상기 외륜안내홈에 삽입되어 상측이동이 제한되는 외륜이동블록; 및
    상기 외륜이동블록의 상측에 구비되고, 절곡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외륜의 측면을 고정하는 외륜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외륜이동블록은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외륜고정부는 ㄱ자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외륜고정부의 단부에는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외륜의 하측 이동시 마찰을 방지하는 롤러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
  10. 제 7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외륜고정부의 단부 저면과 상기 외륜 하측둘레 구비된 플랜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외륜이동블록은 외륜구동부에 의해 전후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외륜구동부는,
    상기 외륜이동블록의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외륜암나사부;
    상기 외륜암나사부에 체결되고 상기 외륜가이드의 외륜안내홈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외륜나사축; 및
    상기 외륜나사축에 결합되고, 회전을 통해 상기 외륜이동블록을 전후 이동하는 외륜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
KR1020130064304A 2013-06-04 2013-06-04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 KR101423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304A KR101423882B1 (ko) 2013-06-04 2013-06-04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304A KR101423882B1 (ko) 2013-06-04 2013-06-04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3882B1 true KR101423882B1 (ko) 2014-07-25

Family

ID=51743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304A KR101423882B1 (ko) 2013-06-04 2013-06-04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88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6387A (zh) * 2018-10-16 2019-01-11 伟创力电子技术(苏州)有限公司 用于pcba的防撞件组装夹具
CN110900496A (zh) * 2019-12-14 2020-03-24 台州浙盛轴承科技有限公司 一种轴承加工用的夹持座
CN111958536A (zh) * 2020-07-27 2020-11-20 浙江安升吉达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活塞杆零件装配系统
CN115781255A (zh) * 2023-02-02 2023-03-14 昆明旅游索道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托索轮轮衬的拆装装置
CN117549244A (zh) * 2023-11-23 2024-02-13 杭州三共机械有限公司 减速机轴承滚压工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7507A (ja) 2004-12-24 2006-07-06 Nsk Ltd 転がり軸受の組立方法及びこの組立方法により組み立てられた転がり軸受
KR20080018610A (ko) * 2006-08-25 2008-02-28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휠 베어링 조립체
KR100894733B1 (ko) 2008-07-23 2009-04-24 하숙녀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
KR20130000152U (ko) * 2011-06-28 2013-01-08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보일러용 미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7507A (ja) 2004-12-24 2006-07-06 Nsk Ltd 転がり軸受の組立方法及びこの組立方法により組み立てられた転がり軸受
KR20080018610A (ko) * 2006-08-25 2008-02-28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휠 베어링 조립체
KR100894733B1 (ko) 2008-07-23 2009-04-24 하숙녀 기계부품의 탈부착장치
KR20130000152U (ko) * 2011-06-28 2013-01-08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보일러용 미분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76387A (zh) * 2018-10-16 2019-01-11 伟创力电子技术(苏州)有限公司 用于pcba的防撞件组装夹具
CN109176387B (zh) * 2018-10-16 2024-05-10 伟创力电子技术(苏州)有限公司 用于pcba的防撞件组装夹具
CN110900496A (zh) * 2019-12-14 2020-03-24 台州浙盛轴承科技有限公司 一种轴承加工用的夹持座
CN110900496B (zh) * 2019-12-14 2021-06-25 台州浙盛轴承科技有限公司 一种轴承加工用的夹持座
CN111958536A (zh) * 2020-07-27 2020-11-20 浙江安升吉达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活塞杆零件装配系统
CN115781255A (zh) * 2023-02-02 2023-03-14 昆明旅游索道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托索轮轮衬的拆装装置
CN115781255B (zh) * 2023-02-02 2023-04-11 昆明旅游索道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托索轮轮衬的拆装装置
CN117549244A (zh) * 2023-11-23 2024-02-13 杭州三共机械有限公司 减速机轴承滚压工装
CN117549244B (zh) * 2023-11-23 2024-04-19 杭州三共机械有限公司 减速机轴承滚压工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3882B1 (ko) 구동 조립체용 분해 조립장치
CN104150266B (zh) 宽幅铝带双轴卷取纵向分切机
CN102909632B (zh) 砂带机
CN105636700A (zh) 固体燃料粉碎装置及固体燃料粉碎装置的制造方法
CN102189164B (zh) 一种异形卷边机构
AU2011361270B2 (en) Briquette machine
CN104108023A (zh) 一种减速机装配线
CN203713050U (zh) 铸片机气刀位置的锁定装置
CN102568631A (zh) 一种高温气冷堆卸料设备的安装拆卸组合装置
CN103659483B (zh) 一种u形管打磨装置
CN202851686U (zh) 一种改进的振动筛轴承箱
CN203076484U (zh) 双立柱曲线辊旋转料式送料装置
CN105013992A (zh) 钢球旋切机
JP6367330B2 (ja) 竪型ローラミル
CN205044005U (zh) 一种数码控制辊筒距离的开炼机
CN105965076A (zh) 电磁阀阀盖加工设备的阀盖铣面机构
CN104084605A (zh) 一种现场车削设备
CN103272893B (zh) 一种悬臂式矫直机
CN104986527B (zh) 一种转向架移动助行机构
CN102545491B (zh) 用于电机定子压装、转子压轴的液压机
CN203598856U (zh) 便于调整辊套对中的对辊破碎机
CN203622140U (zh) 一种u形管打磨装置
CN203972705U (zh) 油压切断机
CN105436366A (zh) 碾环机模具提升装置
CN104028593A (zh) 檩条新型成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