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4201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4201B1
KR100894201B1 KR1020077027468A KR20077027468A KR100894201B1 KR 100894201 B1 KR100894201 B1 KR 100894201B1 KR 1020077027468 A KR1020077027468 A KR 1020077027468A KR 20077027468 A KR20077027468 A KR 20077027468A KR 100894201 B1 KR100894201 B1 KR 100894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onnector
operation lever
vertical direction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7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7631A (ko
Inventor
요시노부 헴미
히로타다 테라니시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7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7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두께 치수에 편차가 있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및, 두께 치수가 다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확실하게 전기 접속할 수 있고, 접촉 신뢰성 및 범용성을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양측단면으로부터 동일 축심상에 돌설한 회동축부(45, 45)를 베이스(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조작 레버(40)로, 상기 베이스(10)에 고정한 접속단자(30)의 폭광부(35)를 들어올리는 커넥터이다. 특히, 베이스(10)의 양측단면에 각각 부착한 한 쌍의 지지금구(50, 60)에 상하 방향으로 연재하는 축받이 홈(53, 63)을 각각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축받이 홈(53, 63)에 상기 조작 레버(40)의 회동축부(45, 45)를 회동 가능, 또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각각 감합하여 지지하였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 특히, 두께가 다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접속할 수 있는 범용성에 우수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접속하는 커넥터로서는, 무삽입력(無揷入力) 전기 커넥터가 있다(특허문헌1 참조).
즉, 상기 무삽입력 전기 커넥터는, 절연 하우징(4)에 회전 캠부재(100)를 원통부분(102)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캠부재(100)를 회전함에 의해, 단자(150)의 일부를 들어올린 후, 평가요(平可撓) 케이블(FFC)을 삽입한다. 뒤이어, 상기 회전 캠부재(10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단자(150)에 대한 부하를 해제함에 의해, 상기 단자(150)로 상기 평가요 케이블(FFC)을 끼워지지하고, 전기 접속하고 있다.
특허문헌1 : 일본 특허2683709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전술한 무삽입력 전기 커넥터는, 회전 캠부재(100)의 원통부분(102)의 회전 중심이 고정식이고, 상하 방향으로 변위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보다도 두꺼운 프린트 기판을 삽입하면, 조작 레버가 상기 단자(150)에 영향을 주지 않는 원래의 위치까지 완전히 복귀할 수가 없다. 이 결과, 단자(150)를 회전 캠부재(100)로 부분적으로 끌어올렸던 채의 상태가 되어, 소망하는 접점압(接点壓)을 확보할 수가 없다. 따라서 두께 치수가 다른 프린트 기판을 접속할 수가 없기 때문에, 범용성이 낮다. 또한, 두께 치수의 사양이 동일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라도, 통상, 수지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두께 치수의 편차가 크고, 전술한 것과 같은 부적합함이 생기기 쉽고, 접촉 신뢰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두께 치수에 편차가 있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확실하게 전기 접속할 수 있는 접촉 신뢰성을 갖을 뿐만 아니라, 두께 치수가 다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도 전기 접속할 수 있는 범용성을 구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양측단면으로부터 동일 축심상에 돌설한 회동축부를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조작 레버로, 상기 베이스에 고정한 접속단자의 일단부를 들어올리는 커넥터에 있어서, 베이스의 양측단면으로부터 연재한 연재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재하는 축받이 홈을 각각 마련하고, 상기 축받이 홈에 상기 조작 레버의 회동축부를 회동 가능, 또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감합(嵌合)하여 지지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는, 양측단면으로부터 동일 축심상에 돌설한 회동축부를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조작 레버로, 상기 베이스에 고정한 접속단자의 일단부를 들어올리는 커넥터에 있어서, 베이스의 양측단면에 각각 부착한 한 쌍의 지지금구에 상하 방향으로 연재하는 축받이 홈을 각각 마련하고, 상기 축받이 홈에 상기 조작 레버의 회동축부를 회동 가능, 또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감합하여 지지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두께 치수가 다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삽입하면, 상기 프리 톤 기판의 두께 치수에 응하여 조작 레버의 회동축부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조작 레버가, 접속단자에 압접하지 않는 위치까지 완전히 복귀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접속단자의 접점압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기 때문에, 두께 치수가 다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도 접속할 수 있고, 범용성을 갖는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의 두께 치수에 편차가 있어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조작 레버의 회동축부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접속단자의 접점압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접촉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로서는, 지지금구의 선단부로부터 연결부를 통하여 연재한 연재부의 후단부에, 솔더링부를 마련함과 함께, 상기 연재부의 선단부에, 조작 레버의 계지용 폴부가 계지하는 계지용 돌기를 마련하여 두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솔더링부로부터 계지용 돌기까지의 거리가 길어진다. 이 때문에, 상기 솔더링부를 프린트 기판에 솔더링하는 경우라도, 용융한 솔더가 유동하여 계지용 돌기에 부착하는 일이 없고, 조작 레버를 동작 불능으로 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인서트 성형한 조작 레버의 금속제 심재(芯材)로부터 연재한 계지용 폴부를, 지지금구의 계지용 돌기에 계지 가능하게 하고 있어서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 레버의 금속제 심재가 보강재로서 기능할뿐만 아니라, 자기(磁氣) 실드재로서도 기능한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의 한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의 (A), (B), (C)는, 도 1에서 도시한 커넥터의 평면도, 저면도 및 부분확대 저면도.
도 4의 (A) 및 (B)는, 도 2에서 도시한 베이스의 사시도, 부분확대도.
도 5의 (A) 및 (B)는, 도 2에서 도시한 베이스가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부분확대도.
도 6의 (A) 및 (B)는, 도 2에서 도시한 베이스의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부분확대도.
도 7의 (A), (B), (C)는, 도 2에서 도시한 베이스를 하방측에서 본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 8의 (A) 및 (B)는, 도 2에서 도시한 베이스의 평면도 및 부분확대 사시도.
도 9의 (A) 및 (B)는, 도 2에서 도시한 제 1 접속단자의 사시도, 정면도.
도 10의 (A), (B), (C)는, 도 2에서 도시한 제 2 접속단자의 사시도, 정면도, 평면도.
도 11의 (A), (B), (C)는, 도 2에서 도시한 조작 레버의 사시도, 부분확대 사시도, 확대 좌측면도.
도 12의 (A), (B), (C)는, 도 11에서 도시한 조작 레버의 평면도, 도 12의 (A)의 B-B선 단면도, C-C선 단면도.
도 13의 (A), (B), (C)는, 도 11에서 도시한 조작 레버의 심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부분확대 사시도, 확대 좌측면도.
도 14의 (A), (B) 및 (C)는, 도 2에서 도시한 지지금구의 사시도 및 평면도.
도 15의 (A) 및 (B)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 사시도.
도 16의 (A), (B), (C)는, 커넥터의 조작 전의 사시도, 조작 도중의 사시도,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삽입 직전의 사시도.
도 17의 (A) 및 (B)는, 조작 레버를 로크하기 직전의 사시도, 부분확대 사시도.
도 18의 (A) 및 (B)는, 조작 레버를 로크한 상태의 사시도, 부분확대 사시도.
도 19의 (A) 및 (B)는, 조작 레버를 로크한 상태의 평면도, 도 19의 (A)의 B-B선 단면도.
도 20의 (A) 및 (B), (C), (D)는, 조작 레버의 조작 전의 평면도, 도 20의 (A)의 B-B선 단면도, C-C선 단면도, D-D선 단면도.
도 21의 (A), (B), (C), (D)는, 조작 레버를 일으킨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1의 (A)의 B-B선 단면도, C-C선 단면도, D-D선 단면도.
도 22의 (A), (B), (C), (D)는, 커넥터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2의 (A)의 B-B선 단면도, C-C선 단면도, D-D선 단면도.
도 23의 (A), (B), (C), (D)는, 커넥터에 다른 두께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접속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도 23의 (A)의 B-B선 단면도, C-C선 단면도, D-D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11 : 베이스 본체
11a, 11b : 계합용 제 1, 제 2 슬릿 12, 13 : 탄성 암부
12a, 13a : 축받이부 12b, 13b : 테이퍼면
14a, 14b : 계합용 돌기 15, 16 : 위치결정용 오목부
15a : 위치결정용 기준면 16a : 위치결정용 돌기
17 : 가이드 설편 17a : 위치 규제용 기준면
20 : 제 1 접속단자 21 : 절곡부
22 : 회동 지점 23 : 단자 본체부
24 : 가동 접점편 30 : 제 2 접속단자
31 : 절곡부 32 : 회동 지점
33 : 단자 본체부 34 : 가동 접점편
35 : 폭광부 39 : 점착 테이프
40 : 조작 레버 41 : 심재
42 : 심재 본체 43 : 축심부
44 : 계지용 폴부 45 : 회동축부
46 : 캠부 47 : 삽입구멍
48 : 빠짐방지용 돌기부 50, 60 : 지지금구
51, 61 : 지지금구 본체 52a, 52b, 62a, 62b : 계합구멍
53, 63 : 축받이 홈 54, 64 : 연결부
55, 65 : 연재부 56, 66 : 계지용 돌기
67, 77 : 솔더링부 70 :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71 : 삽입부 72, 73 : 제 1, 제 2 도전부
74 : 노치부 75, 76 : 제 1, 제 2 접속 패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의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23의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베이스(10)와, 제 1 접속단자(20)와, 제 2 접속단자(30)와, 조작 레버(40)와, 지지금구(50, 6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최대 높이 치수는 0.50㎜, 최대 폭 치수는 4.65㎜, 최대 길이 치수는 13.20㎜이다.
베이스(10)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본체(11)의 양측단면의 편측 연부(緣部)로부터 탄성 암부(12, 13)를 동일 방향으로 평행하게 각각 연재함에 의해, 계합용 제 1 슬릿(11a, 11a)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4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본체(11)는, 그 양측단면의 근방에 계합용 제 2 슬릿(11b, 11b)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제 2 슬릿(11a, 11b)의 이웃하는 측면에는 계합용 돌기(14a, 14b)가 대향하지 않도록 각각 돌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본체(11)의 이면(裏面)에는 후술하는 제 1, 제 2 접속단자(20, 30)가 감합하여 위치결정되는 위치결정용 오목부(15, 16)가 교대로 지그재그 모양으로 마련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이면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가이드 설편(舌片)(17)의 속측(奧側)에 위치 규제용 기준면(17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탄성 암부(12, 13)의 선단부에는, 후술하는 조작 레버(40)의 회동축부(45, 45)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빠짐방지하는 축받이부(12a, 13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탄성 암부(12, 13)의 선단면에는, 테이퍼면(12b, 13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 접속단자(20)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플렉시블 프린 트 기판(70)(도 15)의 일단 연부에 마련한 제 1 도전부(72)에 접속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띠 모양 금속 박판으로부터 타발(打拔)한 침상(針狀) 금속재를 2개로 절곡하고, 절곡부(21)의 근방을 코킹 고정하여 회동 지점(22)으로 함에 의해, 단자 본체부(23)에 소정의 스프링력을 구비한 가동 접점편(24)을 형성하고 있다. 이 결과, 상기 제 1 접속단자(20)는, 상기 단자 본체부(23)와 상기 가동 접점편(24)으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0)의 상기 제 1 도전부(72)를 끼워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접속단자(30)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0)(도 15)의 선단 연부 근방에 위치하는 제 2 도전부(73)에 접속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띠 모양 금속 박판으로부터 타발한 침상 금속재를 2개로 절곡하고, 절곡부(31)의 근방을 코킹 고정하여 회동 지점(32)으로 함에 의해, 단자 본체부(33)에 소정의 스프링력을 구비한 가동 접점편(34)을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제 2 접속단자(30)는, 상기 단자 본체부(33)와 상기 가동 접점편(34)으로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0)의 상기 제 2 도전부(73)를 끼워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 접점편(34)의 선단부는, 후술하는 조작 레버(40)(도 11)의 캠부(46)에 확실하게 맞닿고, 비틀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평면 개략 사다리꼴의 폭광부(35)로 되어 있다. 특히, 상기 폭광부(35)는, 선단 양측에 테이퍼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조작 레버(40)의 삽입구멍(47)에 제 2 접속단자(30)의 가동 접점편(34)을 스무스하게 삽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 1, 제 2 접속단자(20, 30)는, 상기 베이스(10)의 이면에 형성된 가이드용 오목부(15, 16)에 각각 감합하여 위치결정되고, 상기 베이스(10)의 이면에 점착 테이프를 가열, 용착함에 의해,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된다. 이 때,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이면중, 상기 제 1 접속단자(20)의 회전 지점(2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한 위치결정용 기준면(15a)이 제 1 접속단자(20)를 위치결정하고, 상기 제 2 접속단자(30)의 회전 지점(32)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설한 위치결정용 돌기(16a)가 제 2 접속단자(30)를 위치결정하기 때문에, 조립 정밀도가 높다는 이점이 있다.
조작 레버(40)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제 심재(41)를 인서트 성형하여 제조된다. 상기 심재(41)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형상 금속재로부터 타발하여 프레스 가공을 시행함에 의해, 심재 본체(42)의 양단에, 후술하는 회동축부(45)가 되는 축심부(43) 및 계지용 폴부(44)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특히, 상기 축심부(43)는 프레스 가공으로 단면(斷面) 사각형으로부터 단면 개략 원형으로 가공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생산 공수가 적고, 위치 정밀도가 높은 회동축부(45)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단, 성형 수지의 박리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축심부(43)의 외주면에 대향하는 한 쌍의 가는 홈(43a)을 남겨두고 있다. 수지의 흐름을 좋게 하고, 성형 수지의 벗겨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또한, 상기 심재 본체(42)는, 강성을 높이기 위해, 그 편측 연부에 따라 보강용 단부(段部)(42a)를 연속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심재 본체(42)는, 성형 수지의 벗겨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그 나머지 편측 연부에 복수개의 벗겨떨어짐 방 지용 단부(42b)를 소정의 피치로 마련하고 있다.
계속해서, 상기 심재(41)를 인서트 성형함에 의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축심부(43)가 성형 수지로 피복되고, 단면 원형의 회동축부(45)가 된다. 또한, 상기 심재 본체(42)가 성형 수지로 피복되고, 캠부(46)로 구획된 삽입구멍(47)이 형성된다. 단, 상기 회동축부(45)와 캠부(46)는 동일 축심상에 없고, 편심한 위치에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레버(40)는, 도 3의 (C) 및 도 1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이면의 양측단부에, 후술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0)의 노치부(74)에 계합하는 빠짐방지용 돌기부(48)를, 일체 성형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 레버(40)의 회동축부(45, 45)를, 상기 베이스(10)의 탄성 암부(12, 13)에 형성한 테이퍼면(12b, 13b)(도 7의 (A))에 각각 꽉 누르고, 상기 탄성 암부(12, 13)를 눌러 넓힌다. 계속해서, 상기 탄성 암부(12, 13)의 축받이부(12a, 13a)에, 상기 회동축부(45, 45)를 각각 계합함에 의해, 상기 조작 레버(40)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금구(50, 60)는, 도 14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선대칭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10)에 각각 계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금구(50, 60)는, 상기 조작 레버(4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상기 베이스(10)를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기판에 고정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즉, 상기 지지금구(50)(60)는, 그 지지금구 본체(51)(61)의 일단측에, 상기 베이스의 계합 돌기(14a, 14b)에 각각 계합 가능한 한 쌍의 계합구멍(52a, 52b)(62a, 62b)을 마련하고 있는 한편, 그 타단측에 연결부(54)(64)을 통하여 연재 부(55)(65)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연재부(55)(65)는, 상기 연결부(54)(64)의 근방에 위치하는 일단부에 계지용 돌기(56)(66)를 돌설하고 있는 한편, 그 타단부에는 솔더링부(57)(6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금구(50, 60)는, 그 계합구멍(52a, 52b, 62a, 62b)을 상기 베이스(10)의 계합용 돌기(14a, 14b)에 각각 계합하여 고정된다. 이로써, 축받이 홈(53, 63)에 상기 조작 레버(40)의 회동축부(45, 45)가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각각 감합됨과 함께,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 레버(40)의 계합용 폴부(44, 44)가 상기 지지금구(50, 60)의 계지용 돌기(56, 66)에 각각 계지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지지금구(50, 60)는, 솔더링부(57, 67)와 계지용 돌기(56, 66)가 각각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솔더링부(57, 67)를 프린트 기판에 솔더링하여도, 용융한 솔더가 유동하여 계지용 돌기(56, 66)에 부착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금구 본체(51, 61)와 연재부(55, 65)를 폭이 넓은 연결부(54, 64)로 각각 연결하고, 강성을 높이고 있다. 이 때문에, 회동축부(45)를 통하고 축받이 홈(53, 63)에 부하된 외력이 상기 연결부(54, 64)를 통하여 분산되기 때문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0)의 배선에 의한 지지금구(50, 6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0)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일단측에 위치하는 삽입부(71)의 선단 연부에 제 1, 제 2 도전부(72, 73)를 교대로 지그재그 모양으로 병설하고 있다. 한편, 상기 플렉시블 기판(70)은, 그 타단 연부에 상기 제 1, 제 2 도전부(72, 73)에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배선을 통하여 전기 접속된 제 1, 제 2 접속 패드(75, 76)가 2열로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의 사용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조작 전의 커넥터는, 도 20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40)의 회동축부(45) 가 베이스(10)의 탄성 암부(12)에 하방측으로 가세되고, 축받이 홈(63)의 최하위의 위치에 있다(도 20의 (C)). 이 때문에, 상기 조작 레버(40)에 덜커덕거림이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조작 레버(40)의 캠부(46)는 가동 접점편(34)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반송시의 진동 등으로 제 2 접속단자(30)에 소성(塑性) 변형이 생기거나, 동작 특성이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그리고,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의 조작 레버(40)를 일으키면, 조작 레버(40)의 회동축부(45)가 축받이 홈(53)의 최하위의 위치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한다. 이 때문에, 조작 레버(40)의 캠부(46)가 제 2 접속단자(30)의 폭광부(35)를 일으키고,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0)의 삽입부(71)가 삽입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캠부(46)는 단면 개략 사각형이기 때문에, 조작 레버(40)를 소정의 위치까지 일으킨 때에, 소망하는 클릭 느낌을 얻을 수 있고, 조작자에게 안심을 준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두께 0.09㎜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0)의 삽입부(71)를 이군 2 접속단자(30)의 단자 본체부(33)에 따라 삽입하면, 상기 삽입부(71)의 선단부가 베이스(10)의 이면에 형성한 위치 규제용 기준면(17a)(도 19의 (B))에 맞 닿아 위치결정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71)의 제 1 도전부(72)가 제 1 접속단자(20)의 단자 본체부(23)와 가동 접점편(24) 사이에 압입하여 전기 접속됨과 함께, 제 2 도전부(30)가 제 2 접속단자(30)의 단자 본체부(33)와 가동 접점편(34) 사이에 위치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 레버(40)를 쓰러뜨림에 의해, 축받이 홈(53)에 감합되는 조작 레버(40)의 회동축부(45)가 회동하고, 캠부(46)가 경사 하방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제 2 접속단자(30)의 가동 접점편(34)이 자기(自己)의 스프링력으로 제 2 도전부(73)를 가압하고, 제 2 접속단자(30)의 단자 본체부(33)와 가동 접점편(34)으로 제 2 도전부(73)를 끼워지지하고, 전기 접속된다. 또한,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40)를 회동함에 의해, 조작 레버(40)의 계지용 폴부(44)가 지지금구(50)의 계지용 돌기(56)에 계지하고, 접속 작업이 완료된다. 이 결과, 조작 레버(40)의 하면 양단부에 형성한 빠짐방지용 돌기부(48)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0)의 노치부(74)에 계합하고, 빠짐방지된다. 이 때, 조작 레버(40)의 캠부(46)는 접속단자(30)의 가동 접점편(34)에 압접하고 있지 않고, 가동 접점편(34)의 접점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도 2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40)의 회동축부(45)는 축받이 홈(53)의 최하위의 위치까지 복귀하지 않고, 축받이 홈(53)의 중간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22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암부(12)가 들어 올려진 상태로 되기 때문에, 조작 레버(40)에 탄성 암부(12)의 가세력이 작용하고, 조작 레버(40)의 덜커덕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40)를 일으키고, 두께 0.15㎜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70)의 삽입부(71)를 삽입한다. 그리고, 도 23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조작 레버(40)를 쓰러뜨려서 고정하면, 조작 레버(40)의 회동축부(45)는 축받이 홈(53)의 최상위에서 정지하고, 하방측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 때, 조작 레버(40)의 캠부(46)가 가동 접점편(34)에 압접하지 않아서, 접점압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다. 또한, 도 23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암부(12)가 가장 높은 위치까지 들어 올려진 채의 상태로 되기 때문에, 조작 레버(40)에 탄성 암부(12)보다 큰 가세력이 작용하고, 조작 레버(40)의 덜커덕거림을 보다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레버(40)의 회동축부(45)가 지지금구(40)의 축받이 홈(53)에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감합하고 잇다. 이 때문에, 두께가 다른 플렉시블 기판이라도 삽입하여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 기판(70)의 두께 치수에 편차가 있어도, 조작 레버(40)가 접점압에 영향을 주지 않고, 소정의 접점압으로 가동 접점편(24, 34)이 플렉시블 기판(70)의 제 1, 제 2 도전부(72, 73)에 압접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범용성이 있고, 접촉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지지금구(50, 60)의 솔더링부(57, 67)를 프린트 기판의 그라운드선에 접속하고, 조작 레버(40)의 금속제 심재(41)를 계지용 폴부(44)를 통하여 지지금구(50, 60)의 계지용 돌기(56, 66)에 각각 계지함에 의해, 자기 실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에 지지금구를 통하여 조작 레버를 부착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것으로 한하지 않는다. 즉, 상기 베이스의 양측단면으로부터 연재한 연재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재하는 축받이 홈을 직접 마련하고, 상기 축받이 홈에 조작 레버의 회동축부를 회동 가능, 또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감합하여 지지하여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와 별체의 접속단자 및 지지금구를 상기 베이스에 뒤에 붙이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는 이것으로 한하지 않는다. 즉, 상기 접속단자를 베이스에 인서트 성형하여도 좋고, 또한, 상기 지지금구를 베이스에 인서트 성형하여도 좋고, 또한, 상기 접속단자 및 상기 지지금구를 베이스에 각각 인서트 성형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으로 한하지 않고, 다른 프린트 기판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4)

  1. 양측단면으로부터 동일 축심상에 돌설한 회동축부를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조작 레버로, 상기 베이스에 고정한 접속단자의 일단부를 들어올리는 커넥터에 있어서,
    베이스의 양측단면으로부터 연재한 연재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재하는 축받이 홈을 각각 마련하고, 상기 축받이 홈에 상기 조작 레버의 회동축부를 회동 가능, 또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감합하여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양측단면으로부터 동일 축심상에 돌설한 회동축부를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 조작 레버로, 상기 베이스에 고정한 접속단자의 일단부를 들어올리는 커넥터에 있어서,
    베이스의 양측단면에 각각 부착한 한 쌍의 지지금구에 상하 방향으로 연재하는 축받이 홈을 각각 마련하고, 상기 축받이 홈에 상기 조작 레버의 회동축부를 회동 가능, 또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감합하여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지지금구의 선단부로부터 연결부를 통하여 연재한 연재부의 후단부에, 솔더 링부를 마련함과 함께, 상기 연재부의 선단부에, 조작 레버의 계지용 폴부가 계지하는 계지용 돌기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인서트 성형한 조작 레버의 금속제 심재로부터 연재한 계지용 폴부를, 지지금구의 계지용 돌기에 계지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77027468A 2005-05-31 2006-05-23 커넥터 KR1008942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59583A JP4692079B2 (ja) 2005-05-31 2005-05-31 コネクタ
JPJP-P-2005-00159583 2005-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7631A KR20080007631A (ko) 2008-01-22
KR100894201B1 true KR100894201B1 (ko) 2009-04-22

Family

ID=37481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468A KR100894201B1 (ko) 2005-05-31 2006-05-23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89688B2 (ko)
EP (1) EP1890362B1 (ko)
JP (1) JP4692079B2 (ko)
KR (1) KR100894201B1 (ko)
CN (1) CN100546106C (ko)
TW (1) TWI298215B (ko)
WO (1) WO20061295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6040B2 (ja) 2007-08-03 2010-08-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020899B2 (ja) 2008-06-20 2012-09-0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電気コネクタ
JP5634179B2 (ja) * 2010-09-09 2014-12-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保持部材及び組立体
JP5811842B2 (ja) * 2011-12-28 2015-11-11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966875B2 (ja) * 2012-11-16 2016-08-10 富士通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KR101499128B1 (ko) * 2014-01-23 2015-03-05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쉴드 타입 커넥터
CN105449422B (zh) * 2014-08-28 2019-02-22 春源科技(深圳)有限公司 多件式fpc连接器
JP5901733B1 (ja) * 2014-12-09 2016-04-13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CA3025296A1 (en) * 2016-05-24 2017-11-30 Hubbell Incorporated Oxide inhibitor capsule
JP6598835B2 (ja) 2017-11-01 2019-10-30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KR102030989B1 (ko) * 2017-11-09 2019-10-11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케이블 접촉용 커넥터 장치
US11411342B2 (en) * 2020-06-24 2022-08-09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Connector for a flat flexible cab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6948A (ja) * 2002-05-24 2003-12-05 Taiko Denki Co Ltd 扁平導体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04734A (en) 1988-05-05 1994-05-31 Whitaker Corp Zero insertion force electrical connector
JP2738317B2 (ja) * 1994-11-29 1998-04-08 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ネクタ
US5695359A (en) * 1995-02-23 1997-12-09 Molex Incorporated Zero insertion force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JP2824747B2 (ja) * 1995-05-18 1998-11-1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平型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3008157B2 (ja) * 1995-07-06 2000-02-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3023442B2 (ja) * 1995-09-20 2000-03-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747264B2 (ja) * 1995-12-19 1998-05-06 東北日本電気株式会社 表面実装用コネクタ
JPH10270130A (ja) * 1997-01-23 1998-10-09 Sumitomo Wiring Syst Ltd シート状導電路用コネクタ
JP3964583B2 (ja) * 1999-10-26 2007-08-2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TW443641U (en) * 2000-02-02 2001-06-23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3762216B2 (ja) * 2000-12-07 2006-04-05 Smk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接続用コネクタ
TW475785U (en) * 2000-12-28 2002-02-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152083B2 (ja) * 2001-02-22 2008-09-1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3666445B2 (ja) * 2001-11-13 2005-06-2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JP3936596B2 (ja) * 2002-02-04 2007-06-27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JP2004063401A (ja) * 2002-07-31 2004-02-26 Molex Inc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2004103517A (ja) * 2002-09-12 2004-04-02 Sony Corp 電気接続装置および電気接続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JP2004179500A (ja) * 2002-11-28 2004-06-24 Sony Corp 電気接続装置および電気接続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TWM249255U (en) * 2003-07-23 2004-11-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682706B2 (ja) * 2005-05-31 2011-05-11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US7147498B1 (en) * 2005-10-07 2006-12-1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JP4752705B2 (ja) * 2006-09-28 2011-08-17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6948A (ja) * 2002-05-24 2003-12-05 Taiko Denki Co Ltd 扁平導体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90362B1 (en) 2013-01-16
EP1890362A4 (en) 2012-01-04
JP2006338920A (ja) 2006-12-14
US20090318001A1 (en) 2009-12-24
JP4692079B2 (ja) 2011-06-01
CN100546106C (zh) 2009-09-30
KR20080007631A (ko) 2008-01-22
CN101203990A (zh) 2008-06-18
US7789688B2 (en) 2010-09-07
TW200703800A (en) 2007-01-16
TWI298215B (en) 2008-06-21
EP1890362A1 (en) 2008-02-20
WO2006129521A1 (ja) 200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201B1 (ko) 커넥터
JP4707597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1107929B1 (ko) 커넥터용 접속단자 및 그것을 이용한 커넥터
US20070032104A1 (en) Electrical connector
JP6462634B2 (ja) コネクタ
JP4079444B2 (ja) コネクタ
KR100922673B1 (ko) 커넥터
JP2007287420A (ja)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US7448893B2 (en) Connector
KR20100038425A (ko) 단자 지지 구조
JP5015268B2 (ja) 端子組立体、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4651501B2 (ja)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KR101082299B1 (ko) 커넥터용 접속단자 및 이것을 이용한 커넥터
JP4651500B2 (ja)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KR100606482B1 (ko) 단자부재와 그 단자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및 단자부재의제조방법
KR20090113188A (ko) 커넥터
JP2005078907A (ja) コネクタ
JP2008177066A (ja) 端子組立体及び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